KR101146452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452B1
KR101146452B1 KR1020090092459A KR20090092459A KR101146452B1 KR 101146452 B1 KR101146452 B1 KR 101146452B1 KR 1020090092459 A KR1020090092459 A KR 1020090092459A KR 20090092459 A KR20090092459 A KR 20090092459A KR 101146452 B1 KR101146452 B1 KR 10114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amount
wat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952A (ko
Inventor
강병일
김도한
조영건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452B1/ko
Priority to US13/375,115 priority patent/US20120073518A1/en
Priority to EP10786347.4A priority patent/EP2440306B1/en
Priority to PCT/KR2010/003662 priority patent/WO2010143864A2/en
Priority to CN201080026163.7A priority patent/CN102458599B/zh
Publication of KR2011003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452B1/ko
Priority to US14/827,989 priority patent/US2015035485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8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를 구비한 온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의 정수가 상기 온수 탱크로 공급되도록 상기 정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관, 상기 정수 공급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정수 공급 밸브, 사용자가 온수의 추출량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에 따른 상기 정수 공급관의 개방 시간이 독출 가능하게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조작부에 온수의 추출량이 입력되면 상기 온수의 추출량을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에 대응하는 상기 정수 공급관의 개방 시간을 독출하여, 그 개방 시간 동안 상기 정수 공급관을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탱크에 정수가 공급되면 상기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히터의 구동시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의 양에 따른 온도 상승률을 독출 가능하게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를 구동하는 동안 온도 상승률을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수만을 생산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절감되고, 정수 공급관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간단하게 온수 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때문에, 수위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한 양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Figure R1020090092459
정수 탱크, 온수 탱크, 정수 공급관, 온수 추출구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온수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정수 필터를 통하여 수도 등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로 만드는 장치이다. 그런데, 근래에는 정수기의 이러한 정수 기능 뿐만 아니라 생산된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서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정수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 탱크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온수 탱크에 마련된 코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온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온수 탱크 내의 물은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하여 사용할 때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가열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온수의 온도를 90℃로 설정해 놓으면, 온수의 온도가 항상 90℃가 되도록 히터가 주기적으로 가동되어 사용자는 언제든지 90℃의 물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온수의 온도를 90℃로 유지하기 위해 히터가 주기적으로 가동되므로 그만큼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실제로 소비자들은 전기료가 많이 나온 다는 이유로 온수 기능이 있는 정수기의 구매 또는 사용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온수 탱크 내에 온수가 항상 채워져 있으면 온수 탱크의 내벽이 부식되거나 물 떼가 고착화되어,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전력 소모가 절감되고, 구성과 제어가 간단하며, 온수 탱크의 내벽이 부식되는 등의 염려가 없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를 구비한 온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의 정수가 상기 온수 탱크로 공급되도록 상기 정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관, 상기 정수 공급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정수 공급 밸브, 사용자가 온수의 추출량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에 따른 상기 정수 공급관의 개방 시간이 독출 가능하게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조작부에 온수의 추출량이 입력되면 상기 온수의 추출량을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에 대응하는 상기 정수 공급관의 개방 시간을 독출하여, 그 개방 시간 동안 상기 정수 공급관을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탱크에 정수가 공급되면 상기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히터의 구동시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의 양에 따른 온도 상승률을 독출 가능하게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를 구동하는 동안 온도 상승률을 산출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 및 상기 정수 탱크의 수위에 따른 상기 정수 공급관의 개방 시간을 독출 가능하게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온수의 추출량이 입력되면 상기 온 수의 추출량을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 및 상기 정수 탱크의 수위에 대응하는 상기 정수 공급관의 개방 시간을 독출하여, 그 개방 시간 동안 상기 정수 공급관을 개방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를 구동하는 동안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여 온도 상승률을 산출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산출된 온도 상승률에 대응하는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의 양을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온수 탱크의 물의 양과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을 비교하여 오차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을 추출하는 온수 추출구와 상기 온수 추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온수 추출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독출된 온수 탱크의 물의 양이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보다 많은 경우,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만큼의 온수만 상기 온수 추출구를 통해 추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온수 추출구를 통해 추출되고 남은 물은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온수 탱크의 온수 추출량에 따른 상기 온수 추출구의 개방 시간을 독출 가능하게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에 대응하는 상기 온수 추출구의 개방 시간을 독출하고, 그 개방 시간 동안 상기 온수 추출구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독출된 온수 탱크의 물의 양이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정수 공급관을 개방하여 상기 오차 만큼의 물이 상기 온수 탱크에 더 공급되게 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온수의 추출 온도를 더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추출 온도로 될때까지 상기 히터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온수의 추출량이 입력되면 상기 온수의 추출량에서 상기 온수 탱크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을 뺀 값을 상기 온수 탱크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온수 탱크의 물을 추출하는 온수 추출구와 상기 온수 추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온수 추출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온수 탱크의 온수 추출량에 따른 상기 온수 추출구의 개방 시간을 독출 가능하게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추출구가 개방된 때에 상기 온수 추출구의 개방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메모리부에서 상기 온수 추출구의 개방 시간에 대응하는 온수 추출량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온수 추출량과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을 비교하여 상기 온수 탱크에 남은 물의 양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수만을 생산하기 때문에, 항상 히터를 가동하여 온수 탱크 내의 온수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종래의 정수기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온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온수에 대해 온수 조절이 이루어져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양의 온수만을 원하는 온도로 데우기 때문에 온도 조절이 신속하고 용이하다.
또한, 종래에는 온수 탱크 내에 온수가 항상 채워져 있어 온수 탱크의 내벽이 부식되거나 물 떼가 고착화되어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온수 탱크가 비워져 있으므로 온수 탱크의 내벽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정수 공급관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간단하게 온수 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동시에, 온수 가열 중 온도 상승률을 측정하여 온수 탱크 내의 물의 양을 보정함으로써, 수위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한 양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정수기의 제어부의 접속망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도물 등의 원수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한 필터부(100)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후 정수 탱크(200)로 유입된다. 정수 탱크(200)에는 정수가 채워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수 추출 밸브(222)가 개방되어 정수 추출구(220)를 통해 추출되거나 온수 탱크(300)로 유입되어 가열된 후 추출될 수 있다.
온수 탱크(300)에는 온수 탱크(300)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20)가 설치된다. 히터(320)는 밴드 히터, 투입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열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열부가 직접 물에 접촉하는 투입 히터가 바람직할 수 있겠으나, 위생적인 측면에서는 발열부가 물에 접촉하지 않게 온수 탱크의 외부에 장착되는 밴드 히터가 바람직할 것이다. 히터(320)는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온수 탱크(300)에는 또한 온도 감지 센서(340)가 설치되어, 제어부(700)에 온도 신호를 보낸다.
정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300)의 사이에는 정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300)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관(240)이 설치되어, 정수 탱크(200)의 정수가 온수 탱크(300)로 공급될 수 있다. 정수 공급관(240)에는 정수 공급 밸브(242)가 설치되어 정수 공급관(240)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정수 공급 밸브(242)는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제어부(7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온수 탱크(300)에는 온수 추출구(360)가 설치되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온수 추출구(360)는 온수 추출 밸브(362)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온수 추출 밸브(362)는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제어부(7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작동 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온수 추출 밸브(362)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온수 탱크(300)에는 또한 배수구(미도시)를 마련하여, 온수 추출구(360)를 통해 추출되고 남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조작부(400)는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입력받은 명령을 제어부(700)에 전달한다. 조작부(4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키패드로 구성되며 정수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400)에는 정수기의 기능에 관한 여러가지 버튼이 구비되며, 특히 필요로 하는 온수의 추출량과 추출 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다.
정수기의 전면에는 또한 디스플레이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정수기의 작동 상태에 관한 여러가지의 파라미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온수의 양과 온도, 및 온수가 가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정수기에는 또한 알람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알람부(600)는 제어부(700)에 접속되어 제어부(700)의 신호에 따라 알람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특히 온수 제조가 완료되었을 때 알람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온수 제조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알람의 방법으로는 시각이나 청각으로 사용자의 눈이나 귀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주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720)는 정수기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며, 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제어부(700)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부(720)에는 특히,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 및 정수 탱크(200)의 수위에 따른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을 독출 가능하게 저장한다.
예컨대, 다음의 표와 같은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이 메모리부(720)에 저장된다.
만수 중수 저수
200cc 10초 11초 13초
500cc 21초 24초 26초
상기 표를 참조하면, 좌측의 200cc, 500cc는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을 나타내고, 상측의 만수, 중수, 저수는 정수 탱크(200)의 수위를 나타내고, 내측에 초단위로 기록한 시간은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표의 값은 실제로 측정하여 구한 값으로, 정수기의 종류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과 정수 탱크(200)의 수위를 보다 세밀하게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이 많고 정수 탱크(200)의 수위가 낮을수록,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다.
메모리부(720)에는 또한 히터(320)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300)의 물을 가열하는 때에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에 따른 온도 상승률을 독출 가능하게 저장한다.
예컨대, 다음의 도표와 같은 온도 상승률이 메모리부(720)에 저장된다.
Figure 112009059934687-pat00001
상기의 도표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데, 이 시간-온도 좌표에서 온수 탱크(300)의 물의 온도 상승률은 단위 시간 마다 측정한 온도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가 된다. 이 도표에서는 물의 양이 100cc, 200cc, 300cc 인 경우에 대한 온도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는데, 물의 양이 적을수록 온도 상승률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도 상승률은 정수기의 종류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물의 양을 보다 세밀하게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720)에는 또한 온수 탱크(300)의 온수 추출량에 따른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을 독출 가능하게 저장한다. 온수 추출량과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은 비례하여 나타나며, 실제 측정값을 저장한다. 물론, 세밀하게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수도물 등의 원수가 필터부(100)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후 정수 탱크(200)에 저장된다. 정수 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정수 추출구(220)를 통해 추출되거나 또 는 온수 탱크(300)에서 가열된 후 온수로 추출된다.
사용자가 정수 탱크(200)의 물을 추출하여 음용하고자 할 때에는 정수 추출 밸브(222)를 개방하여 정수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조작부(400)에 마련된 키를 눌러 희망하는 온수의 양과 온도를 입력하고, 입력을 완료한 후 엔터키를 누른다. 예컨대, 온수의 추출량 200cc, 추출 온도 90℃를 입력할 수 있다.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과 추출 온도는 제어부(700)에 전달된다. 제어부(700)는 또한 정수 탱크(200)의 수위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700)는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을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하고, 메모리부(720)에서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예컨대, 200cc) 및 정수 탱크(200)의 수위(예컨대, 만수위)에 대응하는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예컨대, 10초)을 독출하여, 그 개방 시간 동안 정수 공급관(240)을 개방한다. 정수 공급관(240)은 메모리부(720)의 데이터값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되므로,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만큼의 정수가 정수 탱크(200)에서 온수 탱크(300)로 유입된다.
온수 탱크(300)로 정수의 유입이 완료되면, 제어부(700)는 히터(320)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300)의 물이 조작부(400)에 입력된 추출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제어부(700)는 온수 탱크(300) 내에 설치된 온도 감지 센서(340)로부터 물의 온도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는다. 제어부(700)는 온수 탱크(300) 내의 물의 온도, 물의 양, 추출 온도 및 히터(320)의 발열량 등을 기초로 하여, 필요한 양의 온수가 제조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700)는 산출된 시간을 추출량 및 추출 온도와 함께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된 사항을 보고 자신이 입력한 온수의 추출량과 추출 온도, 및 온수가 제조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소정의 주기, 예컨대 2~3초마다 필요한 양의 온수가 제조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500)의 표시 사항을 갱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온수 탱크(300)의 물을 가열하는 동안 온도 감지 센서(340)로부터 주기적으로 온도 신호를 수신하여 온도 상승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 상승률에 대응하는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을 메모리부(72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과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을 비교하여 오차를 결정한다.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추출하고자 하는 온수의 양 만큼의 물이 온수 탱크(300)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지만, 정수 공급 밸브(242)의 오작동 등으로 온수 탱크(300)에 유입된 물의 양이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온수 탱크(300)의 물을 가열하는 동안 온도 상승률을 측정하고, 이 온도 상승률에 근거하여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을 산출함으로써, 오차를 보정하려는 것이다.
온도 상승률에 근거하여 산출한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이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과 동일한 경우, 즉 오차가 없는 경우, 제어부(700)는 온수 탱크(300)의 물이 조작부(400)에 입력된 추출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온수 추출구(360)를 개방하여 온수 탱크(300)의 물이 모두 추출되게 한다. 이때, 제어부(700)는 알람부(600)에 신호를 보내 알람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온수 제조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할 수 있다.
온도 상승률에 근거하여 구한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이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제어부(700)는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만큼의 온수만 온수 추출구(360)를 통해 추출되게 한다. 온수 추출구(360)를 통해 추출되고 남은 물(즉, 오차 만큼의 물)은 다음 번의 온수 추출을 위해 남겨두거나, 또는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700)는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에 대응하는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을 메모리부(720)로부터 독출하고, 그 개방 시간 동안 온수 추출구(360)를 개방함으로써,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만큼의 온수만 온수 추출구(360)를 통해 추출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상승률에 근거하여 구한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이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보다 적은 경우, 제어부(700)는 정수 공급관(240)을 개방하여 오차 만큼의 물이 온수 탱크(300)에 더 공급되게 하여, 가열한 후 온수 추출구(360)를 통해 추출되게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추출하고자 하는 온수의 양은 200cc 였고, 정수 탱크(200) 의 수위가 만수위여서 10초 동안 정수 공급 밸브(242)를 개방하여, 온수 탱크(300)에 물을 채우고 온수 탱크(300)의 물을 가열하는데, 온도 상승률을 측정해보니 200cc가 아니라 220cc의 온도 상승률을 나타낸다면 +20cc 만큼 물의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700)는 원하는 온도의 온수가 완성된 후에 온수 추출구(360)를 통해 온수를 배출할 때에 20cc의 물은 남겨놓고 200cc의 온수만 배출되도록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다. 나머지 20cc의 물은 다음 번에 추출될 수 있도록 온수 탱크(300)에 저장해두거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한편, 온도 상승률을 측정해보니 200cc보다 적은 180cc의 온도 상승률을 나타낸다면 -20cc 만큼 물의 오차가 발생한 것이므로, 정수 공급관(240)을 다시 개방하여 20cc 의 물이 온수 탱크(300)로 더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원하는 추출량의 물을 온수 탱크(300)에 공급하고 온수 탱크(300)에 공급된 물을 가열한 후 모두 추출하기 때문에 온수 탱크(300)에는 평상시 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오차가 발생하거나 온수 추출시 사용자가 임의로 온수 추출구(360)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온수 탱크(300)에 잔류하는 물이 존재하게 된다. 이 잔류하는 물은 다음 번의 온수 추출을 위해 남겨두거나, 또는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다면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잔류하는 물을 다음 번의 온수 추출을 위해 남겨두는 경우, 제어부(700)는 조작부(400)에 온수의 추출량이 입력되면 이 온수의 추출량에서 온수 탱크(300)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을 뺀 값을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온수 탱크(300)에는 온수 탱크(300)에 잔류하는 물과 온수 탱 크(300)로 공급되는 물이 합쳐져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 추출량의 물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온수 탱크(300)에 잔류하는 물의 양을 산출하기 위해서, 제어부(700)는 온수 추출구(360)가 개방된 때에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메모리부(720)에서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에 대응하는 온수 추출량을 독출하고,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에서 이 독출된 온수 추출량을 뺀 값을 온수 탱크(300)에 남는 물의 양으로 결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온수만을 생산하기 때문에, 항상 히터를 가동하여 온수 탱크 내의 온수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종래의 정수기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온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온수에 대해 온수 조절이 이루어져야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양의 온수만을 원하는 온도로 데우기 때문에 온도 조절이 신속하고 용이하다.
또한, 종래에는 온수 탱크 내에 온수가 항상 채워져 있어 온수 탱크의 내벽이 부식되거나 물 떼가 고착화되어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온수 탱크가 비워져 있으므로 온수 탱크의 내벽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정수 공급 밸브(242)의 개방 시간을 제어하여 간단하게 온수 탱크(300)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동시에, 온수 가열 중 온도 상승률을 측정 하여 온수 탱크(300) 내의 물의 양을 보정함으로써, 수위 센서나 유량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한 양의 온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수위 센서는 통상 사출물로 형성되므로 온수 탱크 표면 온도 때문에 장착할 수가 없고, 유량계는 저유량을 측정하기에는 오차율이 많은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밸브의 개방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온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부의 접속망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필터부 200 정수 탱크
220 정수 추출구 222 정수 추출 밸브
240 정수 공급관 242 정수 공급 밸브
300 온수 탱크 320 히터
340 온도 감지 센서 360 온수 추출구
362 온수 추출 밸브 400 조작부
500 디스플레이부 600 알람부
700 제어부 720 메모리부

Claims (11)

  1.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200),
    상기 정수 탱크(20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320)를 구비한 온수 탱크(300),
    상기 정수 탱크(200)의 정수가 상기 온수 탱크(300)로 공급되도록 상기 정수 탱크(200)와 상기 온수 탱크(300)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관(240),
    상기 정수 공급관(240)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정수 공급 밸브(242),
    사용자가 온수의 추출량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400),
    상기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에 따른 상기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이 독출 가능하게 저장된 메모리부(720), 및
    상기 조작부(400)에 온수의 추출량이 입력되면 상기 온수의 추출량을 상기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부(720)에서 상기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에 대응하는 상기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을 독출하여, 그 개방 시간 동안 상기 정수 공급관(240)을 개방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온수 탱크(300)에 정수가 공급되면 상기 히터(320)를 구동하여 상기 온수 탱크(300)의 물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며,
    상기 메모리부(720)에 상기 히터(320)의 구동시 상기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에 따른 온도 상승률을 독출 가능하게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히터(320)를 구동하는 동안 온도 상승률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720)에 상기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 및 상기 정수 탱크(200)의 수위에 따른 상기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을 독출 가능하게 저 장하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조작부(400)에 온수의 추출량이 입력되면 상기 온수의 추출량을 상기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부(720)에서 상기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 및 상기 정수 탱크(200)의 수위에 대응하는 상기 정수 공급관(240)의 개방 시간을 독출하여, 그 개방 시간 동안 상기 정수 공급관(240)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300)는 상기 온수 탱크(300)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3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히터(320)를 구동하는 동안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로부터 온도 신호를 수신하여 온도 상승률을 산출하며, 상기 메모리부(720)는 상기 산출된 온도 상승률에 대응하는 상기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을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과 상기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을 비교하여 오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300)는 상기 온수 탱크(300)의 물을 추출하는 온수 추출구(360)와 상기 온수 추출구(36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온수 추출 밸브(36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독출된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이 상기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보다 많은 경우, 상기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만큼의 온수만 상기 온수 추출구(360)를 통해 추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온수 추출구(360)를 통해 추출되고 남은 물은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720)에 상기 온수 탱크(300)의 온수 추출량에 따른 상기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을 독출 가능하게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메모리부(720)에서 상기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 수의 추출량에 대응하는 상기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을 독출하고, 그 개방 시간 동안 상기 온수 추출구(360)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독출된 온수 탱크(300)의 물의 양이 상기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 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정수 공급관(240)을 개방하여 상기 오차 만큼의 물이 상기 온수 탱크(300)에 더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300)는 상기 온수 탱크(300)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3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400)는 온수의 추출 온도를 더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340)로부터 수신된 온도가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추출 온도로 될때까지 상기 히터(32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조작부(400)에 온수의 추출량이 입력되면 상기 온수의 추출량에서 상기 온수 탱크(300)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을 뺀 값을 상기 온수 탱크(300)로의 정수 공급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300)는 상기 온수 탱크(300)의 물을 추출하는 온수 추출구(360)와 상기 온수 추출구(36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온수 추출 밸브(36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부(720)에 상기 온수 탱크(300)의 온수 추출량에 따른 상기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을 독출 가능하게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온수 추출구(360)가 개방된 때에 상기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메모리부(720)에서 상기 온수 추출구(360)의 개방 시간에 대응하는 온수 추출량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온수 추출량과 상기 조작부(400)에 입력된 온수의 추출량을 비교하여 상기 온수 탱크(300)에 남은 물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90092459A 2009-06-08 2009-09-29 정수기 KR10114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459A KR101146452B1 (ko) 2009-09-29 2009-09-29 정수기
US13/375,115 US20120073518A1 (en) 2009-06-08 2010-06-08 Water purifier
EP10786347.4A EP2440306B1 (en) 2009-06-08 2010-06-08 Water purifier
PCT/KR2010/003662 WO2010143864A2 (en) 2009-06-08 2010-06-08 Water purifier
CN201080026163.7A CN102458599B (zh) 2009-06-08 2010-06-08 净水器
US14/827,989 US20150354854A1 (en) 2009-06-08 2015-08-17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459A KR101146452B1 (ko) 2009-09-29 2009-09-29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385A Division KR101560172B1 (ko) 2012-01-09 2012-01-09 정수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52A KR20110034952A (ko) 2011-04-06
KR101146452B1 true KR101146452B1 (ko) 2012-05-18

Family

ID=4404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459A KR101146452B1 (ko) 2009-06-08 2009-09-29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70B1 (ko) * 2019-09-23 2020-09-09 (주)구츠 지능형 수소수겸용 음용수장치 및 그 운영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60Y1 (ko)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KR200367153Y1 (ko) 2004-08-09 2004-11-11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KR20090043785A (ko) * 2007-10-30 2009-05-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JP2010172368A (ja) 2009-01-27 2010-08-1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給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660Y1 (ko)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KR200367153Y1 (ko) 2004-08-09 2004-11-11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KR20090043785A (ko) * 2007-10-30 2009-05-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JP2010172368A (ja) 2009-01-27 2010-08-1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給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52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54854A1 (en) Water purifier
US8048460B2 (en) Beverage maker flow detection logic
CN105352192B (zh) 电热水器及其控制方法
KR101402470B1 (ko)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CN208425952U (zh) 水路组件和饮水装置
CN201492286U (zh) 一种多功能饮料机的电子控制装置
KR101176790B1 (ko) 순간 가열식 정수기
CN102958578A (zh) 储水和排水设备
CN104563514B (zh) 大体积混凝土循环冷却降温系统
CN104840101A (zh) 调温即热式饮水机
KR101146452B1 (ko) 정수기
JP4119309B2 (ja) 貯湯式給湯装置の残湯量表示装置
CN204654638U (zh) 调温即热式饮水机
KR101164157B1 (ko) 정수기의 온수 배출 장치
KR101560172B1 (ko) 정수기의 제어방법
CN107007152A (zh) 饮料提供装置
CN107831798B (zh) 利用流量计脉冲实现压力控制的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100723349B1 (ko) 정수기의 토출밸브 제어시스템
JP2007085676A (ja) 貯湯式給湯装置
WO2009095907A2 (en) Water heating system
CN105333467A (zh) 烤箱
CN208909815U (zh) 一种智能泡茶机
KR20120007085A (ko) 정수기의 온수 배출 방법
ITUB20154828A1 (it) Apparato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comprendente una macchina da caffe ed un recipiente per un liquido alimentare
CN204331360U (zh) 一种基于电力线网络的多功能饮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