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981B1 - 시스템,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후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시스템,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후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981B1
KR102000981B1 KR1020160042040A KR20160042040A KR102000981B1 KR 102000981 B1 KR102000981 B1 KR 102000981B1 KR 1020160042040 A KR1020160042040 A KR 1020160042040A KR 20160042040 A KR20160042040 A KR 20160042040A KR 102000981 B1 KR102000981 B1 KR 102000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rocessing
command
job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423A (ko
Inventor
키미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75Print workflow management, e.g. defining or changing a workflow, cross publi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7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idle time at the output device or increased asset util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2High volume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03Receiving particular commands
    • G06K15/1806Receiving job control commands
    • G06K15/1809Receiving job control commands relating to the printing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25Managing optional units, e.g. sorters, document fee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3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ased on job priority, e.g. re-arranging the order of jobs, e.g. the printing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4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assigning post-processing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후처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인쇄장치로 인쇄된 인쇄물에 대하여 후처리를 행하고, 인쇄장치에, 제1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인쇄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후처리장치로부터 제1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일시 정지 명령에 따라 제1 잡의 인쇄 처리를 정지하며,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에 의거하여 제2 잡의 인쇄 처리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시스템,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후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SYSTEM,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물에 대해 후처리장치를 이용해서 후처리를 행함으로써 성과물을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업 인쇄 업계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장치와 후처리장치를 조합하는 것으로 다양한 성과물이 생성되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인쇄 처리가 행해진 인쇄물을 후처리장치에 세트해서 제본이나 재단 등의 후처리(후 가공)를 행함으로써 고도한 성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생성과 관련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화상 형성장치에 의한 인쇄 처리와 후처리장치에 의한 후처리가 병행되어서 행해질 것이 있다. 즉,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인쇄물을 출력하면서, 그 인쇄물을 핸드 캐리(hand carry) 또는 컨베이어 벨트(conveyer belt)에 의해 후처리장치에 전달한다. 후처리장치는 받은 인쇄물을 후처리해서 성과물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10576호는 화상 형성장치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인쇄 정지 지시를 수신하고, 현재 인쇄 중의 인쇄 처리를 정지시키는 기술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110576호에 기재된 기술은,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인쇄를 정지할 수는 있지만, 화상 형성장치로 인쇄된 인쇄물을 후처리하는 후처리장치로부터의 인쇄 정지에 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후처리장치측에서, 후처리를 할 수 없고, 화상 형성장치의 인쇄 처리를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에도, 인쇄 처리를 정지시킬 할 수 없다. 또한, 후처리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형성장치의 인쇄 처리를 일시 정지시켰을 경우, 후처리장치가 일시 정지의 지시만을 보내면, 화상 형성장치는 인쇄 처리의 재개 시기를 파악할 수 없어, 시스템 전체의 생산성이 저하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화상 형성장치로 인쇄된 인쇄물을 후처리하는 후처리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형성장치의 인쇄 처리를 일시 정지시켰을 경우에도, 시스템 전체의 생산성 저하를 경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시스템은 인쇄장치와, 후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장치와 상기 후처리장치는 용지 반송로에 의해 접속되지 않고, 상기 후처리장치는, 상기 인쇄장치로 인쇄된 인쇄물에 대하여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유닛과, 상기 인쇄장치에,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장치는, 인쇄유닛과, 상기 후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상기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유닛과, 상기 일시 정지 명령에 따라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를 정지하도록 구성된 정지유닛과, 상기 수신된 정보에 나타난 상기 일시 정지의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일시 정지를 위한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고,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처리되지 않는 인쇄 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여기에서는 한 개 이상의 추가 시스템, 한 개 이상의 인쇄장치, 한 개 이상의 그 제어방법, 한 개 이상의 후처리장치, 한 개 이상의 그 제어방법, 및 한 개 이상의 기억매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도 2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 및 후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a, 도 6b(도 6ba 및 도 6bb로 이루어진다), 도 6c, 및 6d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명령(메시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를 나타내는 시퀸스도의 예이다.
도 8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S908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S1007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S1124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13a 및 13b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잡 티켓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및 14b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장치의 조작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큐 및 홀드 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잡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 전체의 환경은 본 발명의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이들의 환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있어서, 네트워크(100)에, 화상 형성장치(101), 후처리장치(102), 및 정보처리장치(103)가 접속되어 있다. 화상 형성장치(101)는 정보처리장치(103)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고, 인쇄 데이터를 1페이지씩 닷 이미지(dot image)로 변환해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1)는, 후처리장치(102)와 네트워크(100)를 통해 통신해서 제어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화상 형성장치(101)로부터 출력된 인쇄물은, 인쇄 오퍼레이터에 의한 핸드 캐리에 의해 후처리장치(102)에 전달되거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서 후처리장치(102)에 전달된다. 후처리장치(102)는, 화상 형성장치(101)로부터 출력된 인쇄물에 대하여, 재단, 제본, 접기 등의 후처리(후 가공)를 행한다. 후처리장치(102)는, 화상 형성장치(101)와 정보처리장치(103)와 네트워크(100)를 통해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후처리장치다. 정보처리장치(103)상에서는, 워크플로우(workflow) 관리 프로그램과 WEB(web server) 서버 등의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하고, 화상 형성장치(101)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 등이 정보처리장치(103)에 인스톨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 후처리장치(102), 및 정보처리장치(103)를 각각 1개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지만, 이 정보 처리 시스템은 그들의 각각으로서 복수의 장치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처리장치(103)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100)는 인터넷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처리장치(103)로부터 인터넷을 사이에 두고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에 액세스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한편, 화상 형성장치(101)는, 인쇄장치이며, 후처리장치(102)는, 인쇄물 처리장치다.
<정보 처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예>
도 2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화상 형성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도다. 화상 형성장치(101)는, 조작부(204), 인증부(205), NIC(network interface card)(206), CPU(central processing unit)(209), RAM(random access memory)(210), ROM(read only memory)(211), 기억부(212), 화상 판독부(207), 인쇄부(208)를 구비하고, 제어부(201)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01)는, 화상 형성장치(101)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202)와,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203)를 포함한다. 조작부(204)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키보드, 터치 패널, 및/또는 기타 입출력 장치로 구성되고, 각종의 설정 값의 입력 및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209)는, ROM(211) 내에 기억된 프로그램과, 기억부(212)로부터 RAM(210)으로 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CPU(209)가,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각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는 각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RAM(210)은, CPU(209)의 메인 메모리이며, 워크 에어리어(work area) 등으로서 기능한다. 화상 판독부(207)는, 예를 들면 스캐너로 구성되고, 종이 문서 등을 독해하는 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 형식(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형식이나 비트맵 형식)의 문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기억부(212)에 기억된 문서 화상을 조작부(204)에 제공하여, 조작부(204) 위에 문서 화상을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201)는 마찬가지로 기억부(212)에 기억된 문서 화상을, 인쇄부(208)에 제공하고, 인쇄부(208)는, 다양한 형식으로 문서 화상을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인쇄부(208)는, 문서 화상을 기억매체에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부(208)가 인쇄 기능을 가짐에 따라, 인쇄부(208)는 종이 매체 등의 출력 매체에 문서 화상을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1)는, NIC(206)를 통하여,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NIC(206)를 통해서 취득된 데이터는, 조작부(204) 위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장치(102)의 하드웨어 구성도다. 후처리장치(102)는, 조작부(304), NIC(305), CPU(308), RAM(309), ROM(310), 기억부(311), 센서 판독부(306), 및 후처리부(307)를 구비하고, 제어부(301)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01)는, 센서 판독부(306)가 판독한 센서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 처리부(302)와, 후처리장치(102) 전체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303)를 포함한다. 조작부(304)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키보드, 터치 패널, 및/또는 기타 입출력장치로 구성되고, 각종의 설정 값의 입력 및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308)는, ROM(310) 내에 기억된 프로그램과, 기억부(311)로부터 RAM(309)으로 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CPU(308)가,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각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실행하는 각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RAM(309)은, CPU(308)의 메인 메모리이며, 워크 에어리어 등으로서 기능한다. 센서 판독부(306)는, 후처리 대상의 인쇄물의 잡 정보(예를 들면, 케이스 제본 잡(case binding job)의 표지와 본문의 조합을 대조한다) 등을, 카메라 등의 장치를 통해서 판독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기억부(311)에 기억된 후처리 정보를 조작부(304)에 제공하고, 조작부(304) 위에 후처리의 설정 정보를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301)는 마찬가지로 기억부(311)에 기억된 후처리 정보를 후처리부(307)에 제공하고, 후처리부(307)는, 다양한 형식으로 후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후처리장치(102)는, NIC(305)를 통하여, 네트워크와 접속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NIC(305)를 통해서 취득한 데이터는, 조작부(304) 위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3)의 하드웨어 구성도다. 정보처리장치(103)는 일반적인 컴퓨터(PC)의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CPU(401)는, ROM(403) 내의 프로그램용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과, 외부 메모리(410)로부터 RAM(402)에 로드된 OS(오퍼레이션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CPU(401)가,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기억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각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실행하는 각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RAM(402)은, CPU(401)의 메인 메모리이며, 워크 에어리어 등으로서 기능한다. 키보드 콘트롤러(404)는, 키보드(408)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패널, 트랙볼(trackball) 등)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콘트롤러(405)는, 디스플레이(409)에의 표시를 제어한다. 디스크 컨트롤러(406)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하드디스크(HD)와 플렉시블 디스크(flexible disk;FD) 등의 외부 메모리(410)에의 데이터 액세스를 제어한다. 네트워크 콘트롤러(NC)(407)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또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제어 처리를 한다.
도 5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장치(101) 및 후처리장치(102)의 각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명령(메시지)을 이용해서,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가 서로 통신하는 예에 의거해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 및 후처리장치(102)의 기능 블럭도를 설명한다.
우선, 화상 형성장치(101)의 각 처리부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바이스 제어부(5101)는, 잡 제어부(5102)로부터의 인쇄 지시에 따라 화상 형성부(5112)를 제어한다. 잡 제어부(5102)는, 인쇄 잡의 처리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즉, 잡 제어부(5102)는 잡 정보 기억부(5107)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 잡 정보와 후처리장치(102)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근거해서 디바이스 제어부(5101)에 인쇄 처리에 관한 지시를 행하고, 후처리장치(102)에 후처리에 관한 명령을 보낸다. 명령 해석부(5103)는, 후처리장치(102)나 정보처리장치(103)로부터 수신한 명령(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코멘드)을 해석한다. 명령 생성부(5104)는 후처리장치(102)나 정보처리장치(103)에 송신하는 명령(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코멘드)을 생성한다. 통신 처리부(5105)는, 후처리장치(102)와 정보 처리장치(103)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잡 정보 관리부(5106)는, 잡 정보 기억부(5107)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 잡 정보를 관리한다. 잡 정보 기억부(5107)는, 화상 형성장치(101)에 있어서 인쇄 처리를 행하기 위한 인쇄 잡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도 16은, 잡 정보 기억부(5107)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일례이며, 화상 형성장치(101)에 의해 유지된 잡의 리스트(1700)를 나타낸다. 리스트(1700)에는, 잡 ID(identification), 잡명, 잡이 프린트 큐에 있는지 홀드 큐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큐 정보, 잡이 처리중인지 대기인지 등의 상태, 그 잡을 화상 형성장치(101)로 처리했을 경우의 처리 시간, 및 후처리 설정의 정보가 포함된다. 화상 형성부(5112)는 인쇄 처리를 행하는 처리 기구다.
잡 특정부(5108)는, 후술하는 순서 재배열부(5110)로 순서를 재배열하는 잡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잡 특정부(5108)는 후처리장치(102)로부터 수신한 일시 정지 명령으로 기록된 일시 정지 시간 이내에 완료할 수 있는 잡을, 잡 제어부(5102)가 관리하는 프린트 큐 및 홀드 큐 내의 잡으로부터 특정한다. 도 15는 프린트 큐와 홀드 큐의 예를 나타낸다. 잡 제어부(5102)는, 프린트 큐의 선두에 있는 잡으로부터 순서대로 잡을 처리한다. 홀드 큐 내의 잡은, 화상 형성장치(101)의 조작부(204)로부터 잡 처리의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 프린트 큐의 후미로 이동된다. 잡 특정부(5108)는, 대기 잡 특정부(5108)에 의해 특정된 대기 잡으로부터, 일시 정지 명령을 송신한 후처리장치(102)에서의 처리가 없는 잡을 특정한다. 순서 재배열부(5110)는, 화상 형성장치(101) 내에 보유되어 있는 잡의 순서를 재배열한다. 구체적으로는, 순서 재배열부(5110)는 일시 정지 명령이 있었던 잡을 홀드 큐로 이동한다. 그리고, 순서 재배열부(5110)는 잡 특정부(5108)에 의해 특정된 잡을 프린트 큐의 선두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잡 제어부(5102)는, 순서 재배열부(5110)에 의해 프린트 큐의 선두로 이동된 상기 잡을 인쇄한다. 재개 확인부(5111)는, 잡 제어부(5102)로부터 받은 일시 정지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정한다. 일시 정지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잡 제어부(5102)를 통해서 명령 생성부(5104)에 처리 재개를 확인하라는 지시를 한다. 명령 생성부(5104)는, 잡 제어부(5102)로부터의 상기 지시를 받아, 도 6b(도 6ba 및 6bb로 이루어진다)에 나타낸 출력 통지 명령(“Push”코멘드)을 생성한다. 통신 처리부(5105)는, 명령 생성부(5104)가 생성한 출력 통지 명령(“Push”코멘드)을 후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실제로 리소스를 생성하지 않고, 출력 통지 명령으로 기술되는 리소스 정보(Resource)의 부수를 시험적으로 갱신한 후, 후처리장치(102)에 출력 통지 명령을 송신한다. 출력 통지 명령을 받은 후처리장치(102)는, 일시 정지 명령 (“Pause”코멘드) 혹은 출력 요구 명령 (“Pull”코멘드)을 송신한다. 화상 형성장치(101)는, 수신한 명령의 종류에 따른 처리를 행해서 재개만 확인하면 된다.
다음에, 후처리장치(102)의 각 처리부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 처리부(5201)는, 화상 형성장치(101) 및 정보처리장치(103)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명령 해석부(5202)는, 화상 형성장치(101)나 정보처리장치(103)로부터 수신한 명령(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코멘드)를 해석한다. 명령 생성부(5203)는 화상 형성장치(101)나 정보처리장치(103)에 송신하는 명령(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코멘드)을 생성한다. 잡 제어부(5204)는, 후처리장치(102)에 있어서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잡의 처리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즉, 잡 제어부(5204)는 잡 정보 기억부(5206)에 기억되어 있는 후처리 잡의 정보와 화상 형성장치(101)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근거해, 디바이스 제어부(5205)에 후처리에 관한 지시를 행하고, 화상 형성장치(101)에 인쇄 처리에 관한 명령을 보낸다. 디바이스 제어부(5205)는, 잡 제어부(5204)로부터의 후처리 지시에 따라 후처리부(5208)를 제어한다. 잡 정보 기억부(5206)는, 후처리장치(102)에 있어서 후처리를 행하는 위한 후처리 잡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후처리 잡의 정보에는, 각 잡에 대하여 어떤 후처리를 실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 제본을 행하는 후처리이면, 표지·본문의 용지 사이즈, 용지 종류, 및 피니싱(finishing) 사이즈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정보는, 미리 정보처리장치(103) 혹은 화상 형성장치(101)로부터 잡 티켓을 통해서 수신되거나, 후처리장치(102)의 조작부(304)로부터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다. 잡 정보 관리부(5207)는, 잡 정보 기억부(5206)에 기억되어 있는 후처리 잡의 정보를 관리한다. 후처리부(5208)는 후처리를 행하는 처리 기구다.
접수부(5209)는, 후술하는 도 14에 나타낸 조작 패널로부터 통신 상대의 처리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을 접수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명령(메시지)의 예>
도 6a 내지 6d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형성장치(101)의 명령 생성부(5104) 및 후처리장치(102)의 명령 생성부(5203)가 생성하는 명령(메시지)의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명령의 교환을 나타내는 시퀸스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b는, 장치가 이 장치 자체의 처리를 시작한 것을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거나, 혹은 장치가 이 장치 자체의 처리를 시작한 것을 통신 상대에게 통지하거나, 혹은 이 장치 자체의 처리의 재개를 통신 상대에게 확인하기 위한 명령을 나타낸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명령을, 총괄하여 출력 통지 명령 또는 “Push”코멘드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장치(101)는 후처리장치(102)에 출력 통지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1)로부터 출력된 인쇄물에 대해 후처리를 실행하도록 후처리장치(102)에 지시할 수 있다.
코멘드 6200은,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장치(101)로부터 후처리장치(102)로 송신되는 출력 통지 명령의 예다. 부분 62001에서는 Type=“PipePush”을 기록하고, xsi:type=“CommandPipePush”을 더 기록함으로써, 코멘드 6200가 출력 통지 명령을 만든다. 코멘드 6200은 부분 62002에 있어서의 PipeParams 요소의 PipeID=“PipeSheet”에 의해, 통신(Pipe)의 ID를 지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PipeSheet”은, PipeID의 일례이며, ID의 부여의 방법은 무엇이든지 상관없다. PipeID를 사용함으로써 이 통신이 어느 통신에 관한 명령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이 개시된 후, 화상 형성장치(101)가 후처리장치(102)에 리소스(예를 들면, 인쇄물)를 출력할 때마다, 이 출력 통지 명령이 후처리장치(102)에 송신된다.
코멘드 6201은, 화상 형성장치(101)에서 리소스(예를 들면, 인쇄물)가 출력된 것을 후처리장치(102)에 통지하는 출력 통지 명령의 예다. 부분 62011은, 화상 형성장치(101)가 35번째의 세트의 본문을 7부 중에서 1부 출력한 것을 후처리장치(102)에 통지하고 있다.
코멘드 6202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일시적으로 정지된 처리를 재개하도록 허용되었는지를 후처리장치(102)에 확인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장치(101)로부터 후처리장치(102)로 송신되는 출력 통지 명령의 예다. 부분 62021에서는, Part 요소로 SetIndex=“34∼-1”을 지정함으로써, 코멘드 6202은 화상 형성장치(101)가 34번째의 세트로부터 처리를 재개하도록 허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1”은 최후까지 처리를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멘드 6203은,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있었던 처리를 재개한 후, 화상 형성장치(101)에서 리소스(예를 들면, 인쇄물)가 출력된 것을 후처리장치(102)에 통지하는 출력 통지 명령이다. 부분 62031은, 화상 형성장치(101)가 34번째의 세트로부터 처리를 재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장치(101)가 리소스를 출력할 때마다, 출력 통지 명령이 후처리장치(102)에 송신된다.
도 6a는, 통신 상대의 처리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명령이다. 이 명령을,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일시 정지 명령 혹은 “Pause”코멘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예를 들면, 후처리장치(102)로부터 화상 형성장치(101)로 이 명령(“Pause”코멘드)을 송신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1)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의 정지를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후처리장치(102)로부터 화상 형성장치(101)로 이 명령(“Pause”코멘드)을 송신하는 예에 근거해서 “Pause”코멘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코멘드 6100은, 후처리장치(102)에 있어서 종이 잼이 발생해서 후처리장치(102)가 후처리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화상 형성장치(101)의 처리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싶은 경우에, 후처리장치(102)로부터 화상 형성장치(101)로 송신되는 일시 정지 명령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일시 정지 명령과 함께,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와, 처리를 일시 정지한 후에 통신 상대가 재개 확인을 송신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상대로 보내는 예에 근거해서 일시 정지 명령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분 61001에서는 Type=“PipePause”을 기록하고, xsi:type= “CommandPipePause”을 더 기록함으로써, 코멘드 6100가 일시 정지 명령을 만든다. 부분 61002의 PipeParams 요소는 통신 상대에 대한 지시를 기록하는 파라미터다.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의 예로서, Duration=“10”과 Unit=“Minutes”을 기록하고 있다. 즉, 코멘드 6100은 화상 형성장치(101)가 처리의 일시 정지로부터 처리의 재개까지 10분간의 인쇄 처리를 정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Unit의 예로서는, Seconds, Hours, Day 등이 있다. 후처리장치(102)가 화상 형성장치(101)로, 일시 정지 명령과 함께,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1)가, 일시 정지 시간, 즉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정보의 송신에 의해, 예를 들면, 화상 형성장치(101)가 이 대기시간 동안, 다른 인쇄 잡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시 처리를 정지한 후에 통신 상대가 재개 확인을 송신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Confirmation=“true”또는 Confirmation=“false”을 기록한다. Confirmation=“true”이 기록되는 경우에는, 코멘드 6100가 재개 확인을 송신하도록 화상 형성장치(101)에 지시한다. Confirmation=“false”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코멘드 6100가 재개 확인을 송신하지 않도록 화상 형성장치(101)에 지시한다. 후처리장치(102)가 화상 형성장치(101)로 일시 정지 명령과 함께, 처리를 일시 정지한 후에 통신 상대가 재개 확인을 송신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후처리장치(102)가 재개를 확인하라고 화상 형성장치(101)에 요청하는지 여부를 화상 형성장치(101)에게 통지할 수 있다.
부분 61003의 Part 요소의 Condition=“Waste”및 SetIndex=“34 35”는, 종이 잼이 발생한 것에 의해, 34번째의 세트와 35번째의 세트가 후처리장치(102)에서 파지(spoilage)가 되는 것을 화상 형성장치(101)에게 통지하고 있다. 한편, 파지는,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 인쇄물을 의미한다.
도 6c는, 통신 상대에게 처리(예를 들면, 성과물의 생성)를 지시하기 위한 명령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 명령을, 출력 요구 명령 또는 “Pull”코멘드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후처리장치(102)는 출력 요구 명령을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1)에게 인쇄 데이터의 인쇄를 지시할 수 있다.
코멘드 6300은, 후처리장치(102)로부터 화상 형성장치(101)로 송신되는 출력 요구 명령의 예다. 부분 63001에서는 Type=“PipePull”을 기록하고, xsi:type=“CommandPipePull”을 더 기록함으로써, 코멘드 6300가 출력 요구 명령을 만든다. 코멘드 6300은, 후처리장치에 있어서 종이 잼이 해소되었으므로, 후처리장치(102)가, 코멘드 6100에 따라 일시적으로 정지된 처리를 재개하도록 화상 형성장치(101)에게 지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부분 63002에서는 Part 요소의 SetIndex=“34∼-1”을 기록함으로써, 코멘드 6300은 34번째의 세트로부터 처리를 재개하도록 화상 형성장치(101)에게 지시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1”은 최후까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d는, 통신 상대에게 통신의 종료를 통지하기 위한 명령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 명령을, 종료 명령 혹은 “Close”코멘드라고 칭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6d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후처리장치(102)에 본 명령을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후처리장치(102)가 화상 형성장치(101)에 본 명령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멘드 6400은, 화상 형성장치(101)로부터 후처리장치(102)로 송신되는 종료 명령의 예다. 부분 64001에서는 Type=“PipeClose”을 기록하고, xsi:type=“CommandPipeClose”을 더 기록함으로써, 코멘드 6400가 종료 명령을 만든다. 부분 64002는, PipeParams 요소의 PipeID=“PipeSheet”을 참조하여, PipeID가 PipeSheet인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명령(메시지)의 각각은 단순히 일례이며, 이들 명령은 다른 방법으로 기록되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명령들 이외의 명령(메시지)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가 명령을 교환할 수 있다. 또,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와의 사이에서 명령을 교환할 때의 코멘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와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이들의 명령을 교환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를 나타내는 시퀸스도>
도 7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명령(메시지)을 이용해서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가 서로 통신하는 처리의 플로우의 예를 나타내는 시퀸스도다.
도 7에 있어서, 스텝 701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의 명령 생성부(5104)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인쇄 처리를 시작할 때에, 대상 잡의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장치(102)에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코멘드(접속 명령)를 생성하고, 생성한 코멘드를 통신 처리부(5105)를 통해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도 13b에 나타내는 후처리용의 잡 티켓을 후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스텝 701에서 생성되어 송신되는 코멘드에 의해,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와의 사이의 접속이 개시된다. 코멘드를 수신한 후처리장치(102)의 명령 해석부(5202)는,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접속의 허가 또는 거절)를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도 13b는, 후처리용의 잡 티켓을 나타낸다. 후처리용의 잡 티켓은, 후처리장치(102)로 잡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잡 티켓이다. 도 13b에 나타낸 Component 요소에 PipeID=“PipeSheet”을 지정함(1601)으로써, PipeSheet을 그것의 ID로서 갖는 통신이 확립된다. 즉, 도 13b에 나타낸 후처리용의 잡 티켓에 PipeID가 기록됨으로써, 이 잡 티켓에 의해 후처리장치(102)에 대한 접속 명령이 만들어진다. 도 13b에 나타낸 Component 요소의 PipeURL 속성에 URL(Uniform Resource Identifier)을 기록함(1602)으로써, 이 잡 티켓이 통신의 접속처를 지정할 수 있다. 도 13b에 나타낸 Component 요소에 PipeProtocol=“JMFPush”을 지정함으로써(1603), 이 잡 티켓은 화상 형성장치(101)가 통신을 초기화하는 것을 정의한다. PipePause 속성(1604)과 PipeResume 속성(1605)은, 통신을 일시적으로 정지할지 재개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값을 정의할 수 있다. PipePause 속성에 기록된 값에 리소스가 도달한 시점에서, 후처리장치(102)가 화상 형성장치(101)에 일시 정지 명령(“Pause”코멘드)을 송신한다. PipeResume 속성에 기록된 값에 리소스가 도달한 시점에서, 후처리장치(102)가 화상 형성장치(101)에 처리 재개 명령(“Pull”코멘드)을 송신한다.
도 13a는, 인쇄용의 잡 티켓의 예를 나타낸다. 인쇄용의 잡 티켓은, 화상 형성장치(101)로 잡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잡 티켓이다. 인쇄용의 잡 티켓에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양면 인쇄 설정, 스테이플링(stapling) 설정, 및 용지정보 등,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때 필요한 인쇄 설정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 13a에 나타내는 인쇄용의 잡 티켓은, 화상 형성장치(101)의 조작부(204)에 입력된 인쇄 설정에 근거해서, 잡 제어부(5102)에 의해 생성되어도 된다. 또는, 정보처리장치(103)가 이 잡 티켓을 생성해서 화상 형성장치(101)가 통신 처리부(5105)를 통해서 잡 티켓을 수신해도 된다.
스텝 702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후처리장치(102)에 대하여 도 6b에 나타낸 코멘드 6200으로 나타낸 출력 통지 명령(“Push”코멘드)을 송신함으로써 인쇄물의 출력(리소스가 출력된 것)을 후처리장치(102)에 통지한다. 코멘드를 수신한 후처리장치(102)의 명령 해석부(5202)는,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허가 또는 거절)를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스텝 703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에서의 인쇄 처리가 개시되면, 후처리장치(102)가 후처리를 행하는 리소스마다 “Push”코멘드(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코멘드 6201)를 명령 생성부(5104)가 생성하고, 생성한 “Push”코멘드를 후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후처리장치(102)는 수신한 리소스에 대한 후처리를 행한다. 코멘드를 수신한 후처리장치(102)의 명령 해석부(5202)는,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허가 또는 거절)를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스텝 703에서는, 리소스 분의 “Push”코멘드가 후처리장치(102)에 송신된다.
스텝 704는, 후처리장치(102)에 있어서, 처리의 중단이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스텝 705에서는, 후처리장치(102)는, 화상 형성장치(101)에 대하여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를 나타내는 “Pause”코멘드를 명령 생성부(5203)에 의해 생성하고, 생성한 “Pause”코멘드를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화상 형성장치(101)가 이 코멘드를 통지받는 가능한 상황의 예로서는 다음의 케이스가 있다. 후처리장치(102)에 있어서 리소스의 버퍼가 미리 정해진 값을 넘기 때문에 화상 형성장치(101)가 이 코멘드를 통지받을 수 있는 케이스나, 후처리장치(102)에 있어서 기기 에러가 발생했기 때문에 이 코멘드를 통지받을 수 있는 케이스 등이 있다. 예를 들면, 후처리장치(102)는, 화상 형성장치(101)에 도 6a에 나타낸 코멘드 6100을 송신한다. 코멘드를 수신한 화상 형성장치(101)의 명령 해석부(5103)는,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허가 또는 거절)를 후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스텝 706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후처리장치(102)로 처리를 재개하도록 허가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Push”코멘드)을 송신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후처리장치(102)에 도 6b에 나타낸 코멘드 6202를 송신한다. 도 6b에 나타낸 코멘드 6202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34번째의 세트로부터 인쇄를 재개했을 경우의 출력 통지 명령이다. 출력 통지 명령을 수신한 후처리장치(102)가 아직 처리를 재개할 수 없는 경우, 후처리장치(102)는 인쇄 처리가 재개되었다고 인식하고, 일시 정지 명령을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이 메커니즘에 의해, 화상 형성장치(101)가 처리를 재개하도록 허가되었는지를 화상 형성장치(101)가 후처리장치(102)에 확인할 수 있다. 코멘드를 수신한 후처리장치(102)의 명령 해석부(5202)는,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허가 또는 거절)를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스텝 707은, 후처리장치(102)에 있어서, 스텝 704에서 발생한 중단이 해소된 것을 나타낸다. 스텝 708에서는, 후처리장치(102)가, 화상 형성장치(101)에 출력 요구 명령(“Pull”)을 송신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처리장치(102)는 도 6c에 나타낸 코멘드 6300을 송신한다. 코멘드를 수신한 화상 형성장치(101)의 명령 해석부(5103)는,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허가 또는 거절)를 후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스텝 709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후처리장치(102)에 리소스를 출력할 때마다 화상 형성장치(101)가 출력 통지 명령(“Push”)을 송신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후처리장치(102)에 도 6b에 나타낸 코멘드 6203을 송신한다. 코멘드를 수신한 후처리장치(102)의 명령 해석부(5202)는,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허가 또는 거절)를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스텝 710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모든 리소스의 출력이 완료했기 때문에 현재의 접속을 종료하는 것을 나타내는 “Close”코멘드를 명령 생성부(5104)가 생성하고, 생성한 “Close”코멘드를 후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후처리장치(102)에 도 6d에 나타낸 코멘드 6400을 송신한다. 코멘드를 수신한 후처리장치(102)의 명령 해석부(5202)는,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허가 또는 거절)를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통신 상대가 코멘드를 수신했을 때, 수신한 코멘드를 해석해서 그 결과(허가 또는 거절)를 송신한다. 그러면, 장치가 허가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이후의 처리를 계속하고, 거절을 수신한 경우에는, 그 이후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도 7은, 화상 형성장치(101)와 후처리장치(102) 사이에서 행해지는 시퀸스를 나타냈지만, 이 시퀀스는 이들의 장치 사이에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장치(102)가, 다른 장치로부터 명령(메시지)을 수신하고 나서 후처리장치(102)가 명령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때까지의 플로우를 나타낸다. 각 플로우에 관한 프로그램은 후처리장치(102)의 기억부(311)에 기억되고, RAM(309)에 판독되어, CPU(308)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801에서는, 통신 처리부(5201)가 명령(메시지)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 통신 처리부(5201)가 명령을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8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802로 진행된다. 스텝 S802에서는, 명령 해석부(5202)가 수신한 명령(메시지)을 해석한다. 스텝 S803에서는, 명령 해석부(5202)가, 해석한 명령이 도 13b에 나타낸 접속 명령인지를 판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명령 해석부(5202)는, 도 13b에 나타낸 Component 요소에 PipeID 속성이 지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PipeID 속성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명령 해석부(5202)는 해석한 명령이 접속 명령이라고 판단한다(스텝 S803에서 YES). PipeID 속성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명령 해석부(5202)는 해석한 명령이 접속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다(스텝 S803에서 NO). 해석한 명령이 접속 명령인 경우에는(스텝 S803에서 YES), 처리가 S804로 진행된다. 해석한 명령이 접속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8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805로 진행된다.
스텝 S804에서는, 통신 처리부(5201)가 화상 형성장치(101)와 통신하기 위한 접속 시작 처리를 행한다. 우선, 통신 처리부(5201)는, 수신한 접속 명령을 잡 정보 기억부(5206)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통신 처리부(5201)는, 접속 명령에 기록된 PipeID에 근거해서 통신을 확립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통신 처리부(5201)는, 도 13b에 나타낸 Component 요소에 PipeID=“PipeSheet”을 취득하고, PipeSheet를 그것의 ID로서 갖는 접속을 작성하고, 화상 형성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한 소켓(socket)을 초기화한다.
스텝 S805에서는, 명령 해석부(5202)는 해석한 명령이 출력 통지 명령(“Push”코멘드)인지를 판단한다. 명령 해석부(5202)는 해석한 명령이 출력 통지 명령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80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806로 진행한다. 명령 해석부(5202)는 해석한 명령이 출력 통지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805에서 NO), 처리가 S815로 진행한다. 스텝 S806에서는, 잡 제어부(5204)가 디바이스 제어부(5205)에 후처리의 실행을 지시하여, 후처리부(5208)에 있어서 후처리가 실행된다. 후처리는, 도 13b에 나타낸 잡 티켓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스텝 S807에서는, 잡 제어부(5204)가, 접수부(5209)로부터의 일시 정지 지시를 검출한다. 혹은 잡 제어부(5204)는 디바이스 제어부(5205)로부터의 일시 정지 지시를 검출한다. 일시 정지 지시를 검출한 경우에는(스텝 S807에서 YES), 처리가 스텝 S808로 진행한다. 일시 정지 지시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807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일시 정지 지시는,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와 처리 재개의 확인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도 포함한다. 일시 정지 지시의 적성 주체는, 접수부(5209)여도 되고, 디바이스 제어부(5205)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접수부(5209)가 일시 정지 지시를 작성할 경우, 도 14에서 나타내는 잡의 일시 정지 화면에서의 입력에 근거해 일시 정지 지시가 설정된다. 디바이스 제어부(5205)가 일시 정지 지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디바이스 제어부(5205)가 일시 정지의 원인에 따라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산출해도 되고, 기기 설정으로서 미리 설정된 일시 정지의 시간을 사용해서 일시 정지 지시를 작성해도 된다.
스텝 S808에서는, 명령 생성부(5203)가 일시 정지 명령(“Pause”코멘드)을 생성한다. 스텝 S809에서는, 통신 처리부(5201)가 스텝 S808에서 생성한 일시 정지 명령을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스텝 S810에서는, 잡 제어부(5204)가 디바이스 제어부(5205)에 후처리의 일시 정지를 지시함으로써, 후처리부(5208)에 있어서 후처리가 정지된다. 스텝 S811에서는, 잡 제어부(5204)가, 접수부(5209)로부터의 일시 정지 해제 지시를 검출한다. 혹은, 잡 제어부(5204)는 디바이스 제어부(5205)로부터의 일시 정지 해제 지시를 검출한다. 일시 정지 해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811에서 YES), 스텝 S812로 처리를 이행한다. 일시 정지 지시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811에서 NO), 스텝 S810로 처리를 이행하고, 잡 제어부(5204)는 일시 정지를 계속한다.
스텝 S812에서는, 명령 생성부(5203)가, 도 7의 스텝 708로 나타낸 것처럼, 화상 형성장치(101)에 대한 처리 재개를 지시하기 위한 출력 요구 명령(“Pull”코멘드)을 생성한다. 스텝 S813에서는, 통신 처리부(5201)가 스텝 S812에서 생성한 출력 요구 명령을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한다. 스텝 S814에서는, 잡 제어부(5204)가 디바이스 제어부(5205)에 후처리의 재개를 지시함으로써, 후처리부(5208)에 있어서 후처리가 재개된다.
스텝 S815에서는, 명령 해석부(5202)가 해석한 명령이 일시 정지 명령(“Pause”코멘드)인지를 판단한다. 명령 해석부(5202)가 해석한 명령이 일시 정지 명령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815에서 YES), 스텝 S816로 처리를 이행한다. 명령 해석부(5202)가 해석한 명령이 일시 정지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815에서 NO), 스텝 S817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816에서는, 잡 제어부(5204)가 디바이스 제어부(5205)에 후처리의 일시 정지를 지시함으로써, 후처리부(5208)에 있어서 후처리가 정지된다.
스텝 S817에서는, 명령 해석부(5202)는 해석한 명령이 종료 명령(“Close”코멘드)인지를 판단한다. 명령 해석부(5202)가 해석한 명령이 종료 명령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817에서 YES), 스텝 S818로 처리를 이행한다. 명령 해석부(5202)가 해석한 명령이 종료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817에서 NO), 스텝 S819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818에서는, 통신 처리부(5201)가 화상 형성장치(101)와의 접속을 종료한다. 또한, 잡 제어부(5204)가 후처리부(5208)에서의 후처리의 종료를 대기한다. 후처리가 종료하면, 잡 제어부(5204)가 디바이스 제어부(5205)에 후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고, 잡 정보 기억부(5206)로부터 잡 정보를 삭제한다. 스텝 S819에서는, 명령 해석부(5202)가 해석에 실패했다는 것을, 통신 처리부(5201)를 통해 화상 형성장치(101)에 통지한다.
도 9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101)가 인쇄 처리를 시작하고 나서 화상 형성장치(101)가 인쇄 처리를 종료할 때까지의 플로우를 나타낸다. 각플로우에 관한 프로그램은 화상 형성장치(101)의 기억부(212)에 기억되어 있고, RAM(210)에 판독되어, CPU(209)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901에서는, 잡 제어부(5102)가 통신 처리부(5105)를 통해서 다른 장치로부터의 인쇄 잡의 수신에 의거해서 또는, 조작부(204)에 입력된 조작에 의거해, 인쇄 지시를 받았는지를 판단한다. 인쇄 잡은,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3) 또는 후처리장치(102)로부터 수신된다. 잡 제어부(5102)가 인쇄 지시를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901에서 YES), 스텝 S902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902에서는, 명령 생성부(5104)가, 도 7의 스텝 701로 나타낸 것처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시작 명령(도 13b의 잡 티켓)을 생성한다. 스텝 S903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명령 생성부(5104)가 스텝 S902에서 생성한 접속 시작 명령을, 통신 처리부(5105)를 통해 통신처인 장치에 송신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통신처인 장치는, 후처리장치(102)이다.
스텝 S904에서는, 잡 제어부(5102)가 디바이스 제어부(5101)를 통해 화상 형성부(5112)에서의 인쇄 처리를 시작한다. 예를 들면, 인쇄 처리는 성과물의 단위 (예를 들면, 1부씩)로 순차 실행된다. 스텝 S905에서는, 명령 생성부(5104)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인쇄 처리를 시작한 것을 통신처리장치에 통지하는 명령(“Push”코멘드)을 생성한다. 스텝 S906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명령 생성부(5104)가 스텝 S905에서 생성한 명령(“Push”코멘드)을, 통신 처리부(5105)를 통해 통신처인 장치에 송신한다.
스텝 S907에서는, 통신 처리부(5105)가 명령(메시지)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 통신 처리부(5105)가 명령을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907에서 YES), 스텝 S908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908에서는, 통신 처리부(5105)가 도 10에 나타낸 명령 수신 처리를 행한다. 스텝 S909에서는, 잡 제어부(5102)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지시를 받은 인쇄 잡의 처리를 모두 완료했는지(예를 들면, 화상 형성장치(101)가 모든 부수의 인쇄를 완료했는지)를 판단한다. 잡 제어부(5102)가 화상 형성장치(101)가 인쇄 잡의 처리를 모두 완료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909에서 YES), 스텝 S910로 처리를 이행한다. 잡 제어부(5102)가 처리해야 할 인쇄 잡이 남아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909에서 NO), 스텝 S905로 처리를 이행한다(예를 들면, 화상 형성장치(101)가 다음 부의 인쇄 처리를 행한다).
스텝 S910에서는, 명령 생성부(5104)가 처리의 종료를 나타내는 명령(“Close”코멘드)을 생성한다. 스텝 S911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명령 생성부(5104)가 스텝 S910에서 생성한 명령(“Close”코멘드)을, 통신 처리부(5105)를 통해 통신처인 장치에 송신한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스텝 S908의 상세 플로우를 나타낸다. 각 플로우에 관한 프로그램은 화상 형성장치(101)의 기억부(212)에 기억되고, RAM(210)에 판독되어, CPU(209)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001에서는, 명령 해석부(5103)가 수신한 명령(메시지)을 해석한다. 스텝 S1002에서는,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명령이 출력 요구 명령(“Pull”코멘드)인지를 판단한다.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명령이 출력 요구 명령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YES), 스텝 S1003로 처리를 이행한다.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명령이 출력 요구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NO), S1004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003에서는, 잡 제어부(5102)가 디바이스 제어부(5101)를 통해 화상 형성부(5112)에서의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부(5112)는 “Pull”코멘드로 지시된 리소스의 인쇄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04에서는,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명령이 일시 정지 명령(“Pause”코멘드)인지를 판단한다.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명령이 일시 정지 명령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4에서 YES), 스텝 S1005로 처리를 이행한다.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명령이 일시 정지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4에서 NO), 스텝 S1008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005에서는, 잡 제어부(5102)가 디바이스 제어부(5101)에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를 지시함으로써, 화상 형성부(5112)에서의 인쇄 처리가 정지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부(5112)가 “Pause”코멘드로 지시된 잡 ID에 해당하는 잡을 일시 정지한다. 스텝 S1006에서는,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일시 정지 명령 내에 일시 정지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지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일시 정지 명령 내에 일시 정지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6에서 YES), 스텝 S1007로 처리를 이행한다.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일시 정지 명령 내에 일시 정지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6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07에서는, 잡 제어부(5102)가 일시 정지 시간에 의거하여 잡을 처리한다.
스텝 S1008에서는,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명령이 종료 명령(“Close”코멘드)인지를 판단한다. 명령 해석부(5103)가 해석한 명령이 종료 명령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8에서 YES), 스텝 S1009로 처리를 이행한다. 해석한 명령이 종료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1008에서 NO), 스텝 S1010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009에서는, 통신 처리부(5105)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접속중인 장치와의 접속을 종료한다. 또한, 잡 제어부(5102)는 화상 형성부(5112)에서의 인쇄 처리의 종료를 대기한다. 인쇄 처리가 종료하면, 잡 제어부(5102)는 디바이스 제어부(5101)에 후처리의 종료를 통지하고, 잡 정보 기억부(5107)로부터 해당 잡 정보를 삭제한다. 스텝 S1010에서는, 명령 해석부(5103)에서의 해석에 실패한 것을, 통신 처리부(5105)를 통해 화상 형성장치(101)가 접속 중인 장치에 통지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일시 정지 명령 내에 일시 정지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처리중인 잡을 일시 정지하고, 그 일시 정지의 지속시간 내에서, 별도의 잡을 처리한다. 즉, 화상 형성장치(101)는, 일시 정지 명령뿐만 아니라, 일시 정지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도 수신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S1007의 상세 플로우다. 각 플로우에 관한 프로그램은 화상 형성장치(101)의 기억부(212)에 기억되어 있고, RAM(210)에 판독되어, CPU(209)에 의해 실행된다.
스텝 S1101에서, 잡 특정부(5108)는, 일시 정지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취득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잡 특정부(5108)가 일시 정지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101에서 YES), 스텝 S1103로 처리를 이행한다. 잡 특정부(5108)가 일시 정지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101에서 NO), 스텝 S1124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103에서, 명령 해석부(5103)는, 일시 정지 명령으로부터 일시 정지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명령 해석부(5103)는 도 6a에 나타낸 일시 정지 명령 6100의 Duration 속성과 Unit 속성을 취득한다. 스텝 S1104에서, 잡 특정부(5108)는, 잡 정보 기억부(5107)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하여, 프린트 큐에 있는 잡 각각의 처리 시간을 취득하고, 일시 정지 시간 내에 있는 처리 시간 내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잡을 특정한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잡 특정부(5108)가 프린트 큐에 있어서, 10분의 일시 정지 시간 내에서 처리 가능한 2개의 잡(이 2개의 잡은 잡명 J2과 J3을 각각 갖는다)을 특정한다. 그리고, 잡 특정부(5108)는 특정된 잡으로부터, 도 16에 나타낸 정보의 후처리 설정을 참조하여, 일시 정지 명령을 송신한 후처리장치(102)로 처리를 행하지 않는 잡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후처리장치(102)가 케이스 제본기인 경우, 잡 특정부(5108)는 2개의 잡 중에서, 케이스 제본을 행하지 않는 J3을 특정한다.
스텝 S1105에서, 잡 제어부(5102)는, 스텝 S1104에서 특정된 잡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잡 제어부(5102)가 특정된 잡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05에서 YES), 스텝 S1106로 처리를 이행한다. 잡 제어부(5102)가 특정된 잡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05에서 NO), 본 처리 플로우를 종료한다. 스텝 S1106에서, 잡 제어부(5102)는, 스텝 S1104에서 특정된 잡이 2개 이상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잡 제어부(5102)가 특정된 잡이 2개 이상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06에서 YES), 스텝 S1116로 처리를 이행한다. 잡 제어부(5102)가 특정된 잡이 1개만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06에서 NO), 스텝 S1107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107에서, 순서 재배열부(5110)는 일시 정지된 잡을 프린트 큐의 선두로부터 홀드 큐의 선두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순서 재배열부(5110)는 도 15에 나타낸 프린트 큐 1300에 있는 잡(“J1”)을 홀드 큐 1301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의 결과로서, 잡 J1은 홀드 큐 1303로 나타낸 것처럼 대기하고 있다. 스텝 S1108에서, 순서 재배열부(5110)는, 스텝 S1104 또는 스텝 S1116에서 특정된 잡을 프린트 큐의 선두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순서 재배열부(5110)는 도 15에 나타낸 프린트 큐 1300에 있는 잡(“J3”)을 프린트 큐 1300의 선두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의 결과로서, 잡 J3는 프린트 큐 1302로 나타낸 것처럼 대기하고 있다.
스텝 S1109에서, 잡 제어부(5102)는, 프린트 큐의 선두로 이동된 잡의 인쇄를 시작한다. 디바이스 제어부(5101)는, 잡 제어부(5102)로부터의 잡 인쇄 시작 지시를 받으면, 잡을 인쇄한다. 스텝 S1110에서, 잡 제어부(5102)는, 잡의 인쇄중에 통신 처리부(5105)가 수신한 명령의 해석 결과를 판독하고, 수신한 명령이 일시 정지된 잡에 관한 출력 요구 명령(“Pull”코멘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잡 제어부(5102)가 수신한 명령이 일시 정지된 잡에 관한 출력 요구 명령(“Pull”코멘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10에서 YES), 스텝 S1117로 처리를 이행한다. 잡 제어부(5102)가 수신한 명령이 다른 명령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10에서 NO), 스텝 S1111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111에서, 잡 제어부(5102)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잡의 인쇄를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잡 제어부(5102)가, 화상 형성장치(101)가 잡의 인쇄를 완료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11에서 YES), 스텝 S1112로 처리를 이행한다. 잡 제어부(5102)가, 화상 형성장치(101)가 잡의 인쇄를 아직 완료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11에서 NO), 스텝 S1109로 돌아가서, 인쇄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 S1112에서, 순서 재배열부(5110)는 스텝 S1005에서 일시 정지된 잡을 홀드 큐로부터 프린트 큐의 선두로 이동시킨다.
스텝 S1113에서, 재개 확인부(5111)는, 일시 정지 명령으로 지시된 일시 정지 시간을 경과했다는 것을 검출한다. 스텝 S1114에서, 재개 확인부(5111)는, 일시 정지 명령 내에서 처리 재개의 확인 지시가 유효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재개 확인부(5111)는 도 6a에 나타낸 일시 정지 명령 6100 내에 있는 Confirmation 속성이 true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재개 확인부(5111)가 처리 재개의 확인 지시가 유효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14에서 YES), 스텝 S1115로 처리를 이행한다. 재개 확인부(5111)가 처리 재개의 확인 지시가 유효하지 않거나 또는 일시 정지 명령 내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14에서 NO), 스텝 S1120로 처리를 이행하고, 화상 형성장치(101)는 인쇄 처리를 재개한다. 스텝 S1115에서, 재개 확인부(5111)는, 잡 제어부(5102)에 대하여 처리 재개의 확인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잡 제어부(5102)는, 명령 생성부(5104)에 출력 통지 명령을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명령 생성부(5104)는 출력 통지 명령(“Push”코멘드)을 생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명령 생성부(5104)는 도 6b에 나타낸 코멘드 6202를 생성한다. 출력 통지 명령(“Push”코멘드)의 리스폰스에 대한 처리는, 도 9에 나타낸 스텝 S907(명령 수신 여부에 대한 판단)과 스텝 S908(명령 수신 처리)과 같다. 스텝 S1116에서, 잡 제어부(5102)는, 특정된 복수의 잡 내에서, 프린트 큐에서 다른 잡(들)보다 선두에 더 가까운 잡을 선택한다. 즉, 잡 제어부(5102)는, 처리순이 빠른 잡을 선택한다.
스텝 S1117에서, 잡 제어부(5102)는, 디바이스 제어부(5101)에 대하여 인쇄 중인 잡을 현재의 1부와 다음의 1부 사이에 끊어짐이 있을 때까지 인쇄하도록 지시한다. 잡 제어부(5102)는 현재 실행 중인 잡보다도, 후처리장치(102)로부터 잡 재개 지시가 있었던, 스텝 S1005에서 일시 정지된 잡의 처리를 우선적으로 재개한다. 스텝 S1118에서, 잡 제어부(5102)는, 현재의 1부와 다음의 1부 사이에 끊어짐이 있을 때까지 화상 형성장치(101)가 인쇄 중인 잡의 인쇄를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잡 제어부(5102)가, 현재의 1부와 다음의 1부 사이에 끊어짐이 있을 때까지 화상 형성장치(101)가 인쇄 중인 잡의 인쇄를 완료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18에서 YES), 스텝 S1119로 처리를 이행한다. 잡 제어부(5102)가, 현재의 1부와 다음의 1부 사이에 끊어짐이 있을 때까지 화상 형성장치(101)가 인쇄 중인 잡의 인쇄를 아직 완료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118에서 NO), 스텝 S1117로 돌아가서 인쇄를 계속한다. 스텝 S1119에서, 잡 제어부(5102)는, 스텝 S1109에서 시작한 인쇄중인 잡을 일시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1112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124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1 처리를 행한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스텝 S1124의 상세 플로우이며,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의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다.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다는 것은, 도 6a에 나타낸 일시 정지 명령 6100의 Duration 속성에 수치 이외의 문자열이 기입된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Duration 속성에 NaN 및 Error라고 하는 문자열이 기입되었을 경우, 후처리장치(102)측에서 해결할 수 없는 장해가 발생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스텝 S1201에서, 잡 제어부(5102)는, 명령 생성부(5104)에 종료 명령(“Close”)을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명령 생성부(5104)는 종료 명령을 생성한다. 스텝 S1202에서, 통신 처리부(5105)는, 종료 명령을 후처리장치(102)에 송신한다.
스텝 S1203에서, 잡 제어부(5102)는, 대체의 후처리장치를 탐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잡 제어부(5102)는 화상 형성장치(101)와 접속되어 있는 후처리장치(102)와 같은 후처리 능력을 갖는 후처리장치를 탐색해도 되고, 혹은 처리 중인 잡으로 설정된 후처리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해서, 처리중인 잡의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후처리장치를 탐색해도 된다. 스텝 S1204에서, 잡 제어부(5102)는, 대체의 후처리장치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잡 제어부(5102)가 대체의 후처리장치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204에서 YES), 스텝 S1205로 처리를 이행한다. 잡 제어부(5102)가 대체의 후처리장치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204에서 NO), 스텝 S1209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205에서, 명령 생성부(5104)는,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시작 명령을 생성한다. 스텝 S1206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명령 생성부(5104)가 스텝 S1205에서 생성한 접속 시작 명령을, 통신 처리부(5105)를 통해서, 대체의 후처리장치에 송신한다.
스텝 S1207에서, 잡 제어부(5102)는, 대체의 후처리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출력 통지 명령을 하도록 명령 생성부(5104)에 지시한다. 명령 생성부(5104)는 출력 통지 명령을 생성하고, 통신 처리부(5105)는 출력 통지 명령을 대체의 후처리장치에 송신한다. 스텝 S1208에서, 잡 제어부(5102)는 디바이스 제어부(5101)를 통해 화상 형성부(5112)에서의 인쇄 처리를 시작한다. 인쇄 처리는 성과물의 단위(예를 들면, 1부씩)로 순차 실행된다.
스텝 S1209에서, 순서 재배열부(5110)는, 잡을 홀드 큐로 이동시킨다. 이 재배열에 따라 후처리장치(102)에서 장해가 해결될 때, 예를 들면 화상 형성장치(101)의 조작부(204)로 해당 잡을 선택해 해당 잡의 처리를 지시함으로써 인쇄를 재개할 수 있다.
도 14a 및 14b는, 도 3에 나타낸 후처리장치(102)의 조작부(304)에 표시되는 잡의 일시 정지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a는, 잡의 일시 정지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텍스트박스 1401은, 잡 ID의 입력을 수신한다. 텍스트박스 1401에 입력된 잡 ID에 근거해서, 잡 정보 기억부(5206)에 기억되어 있는 잡이 특정된다. 텍스트박스 1402는, 후처리장치(102)와 화상 형성장치(101) 사이에서 교환되는 잡마다의 통신을 특정하는 PipeID를 수신한다. 텍스트박스 1402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은, 잡마다의 통신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종류의 컨트롤이든 괜찮고, 예를 들면 드롭 다운(drop down) 리스트나 리스트 박스여도 된다. 텍스트박스 1403은, 일시 정지의 대기 시간을 수신한다. 텍스트박스 1403에 수치가 입력되었을 경우, 입력된 수치가 일시 정지의 대기 시간으로서 사용된다. 또, 기기의 고장 등으로 시간을 정의할 수 없는 경우, NaN 및 Error와 같은 문자열을 입력해도 된다. 드롭 다운 리스트 1404는, 텍스트박스 1403에서 입력된 일시 정지 시간의 단위를 특정한다. "일", "시", "분", "초" 중의 어느 값이 드롭 다운 리스트 1404로부터 선택 가능하다. 체크 박스 1405는, 텍스트박스 1403에서 입력된 일시 정지 시간을 경과한 후에도, 후처리장치(102)가 출력 요구 명령을 화상 형성장치(101)에 송신하지 않을 경우에, 화상 형성장치(101)가 후처리장치(102)에 처리 재개를 확인해 주기 원하는지 아닌지를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체크박스 1405가 체크되는 경우, 후처리장치(102)로부터 화상 형성장치(101)로 송신되는 일시 정지 명령 내에서 처리 재개 확인 지시(Confirmation=“true”)가 유효하게 된다. 버튼 1406은, 통신 상대와의 처리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명령을 발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시 정지 버튼 1406이 눌러지면, 화상 형성장치(101)에 일시 정지 명령이 송신된다.
도 14b는, 잡의 일시 정지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라디오 버튼 1407은, 일시 정지의 대기 시간을 수신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 화면은 "1시간", "30분", 및 "10분"과 같은 수치의 선택을 라디오 버튼 1407을 이용해서 요청한다. 라디오 버튼 1407을 선택함으로써 일시 정지의 대기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이들 수치는 일례이며, 다른 수치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디오 버튼 1407의 값으로서 3개의 값이 표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몇 개의 값을 표시해도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잡의 일시 정지 화면을 통해서, 정지 시간 등을 입력하는 예에 근거해서 정지 시간 등의 입력을 설명했지만, 입력 방법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지 시간을 나타내는 바코드를 이용해서 정지 시간을 입력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는, 화상 형성장치(101)에 재개 확인을 송신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화상 형성장치(101)가 수신한 경우에는, 일시 정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후처리장치(102)에 재개를 확인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장치(101)는, 화상 형성장치(101)에 재개 확인을 송신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화상 형성장치(101)가 수신한 경우에는, 일시 정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후처리장치(102)에 재개를 확인하지 않고 처리를 재개한다. 이 때문에, 후처리장치(102)도 화상 형성장치(101)도, 불필요한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무스하게 재개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이 인쇄 처리와 후처리를 병행해서 잡을 처리하고 있는 동안, 후처리장치(102)로부터 화상 형성장치(101)로 처리중인 잡에 대한 일시 정지 명령이 발행되었을 경우, 화상 형성장치(101)는 일시 정지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화상 형성장치(101)는 그 일시 정지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해, 일시 정지된 잡과 다른 잡을 교체해서 일시 정지 시간 동안 또 다른 잡을 인쇄 할 수 있어, 정보 처리 시스템 전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1)는 일시 정지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 후처리장치(102)에 재개를 확인함으로써, 또 다른 잡을 인쇄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처리 시스템 전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처리장치(102)측에서는, 후처리장치(102)가 일시 정지한 처리중 잡을 재개했을 때에 불필요한 대기 시간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화상 형성장치(101)측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1)가 일시 정지한 처리중 잡의 재개를 기다리고 있는 동안 또 다른 수신된 잡을 인쇄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시스템 전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형성장치로 인쇄된 인쇄물을 후처리하는 후처리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형성장치가 수행한 인쇄 처리를 일시 정지시켰을 경우에도, 시스템 전체의 생산성 저하를 경감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인쇄장치와,
    후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쇄장치와 상기 후처리장치는 용지 반송로에 의해 접속되지 않고,
    상기 후처리장치는,
    상기 인쇄장치로 인쇄된 인쇄물에 대하여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유닛과,
    상기 인쇄장치에,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장치는,
    인쇄유닛과,
    상기 후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상기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유닛과,
    상기 일시 정지 명령에 따라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를 정지하도록 구성된 정지유닛과,
    상기 수신된 정보에 나타난 상기 일시 정지의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일시 정지를 위한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고,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처리되지 않는 인쇄 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유닛은,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상기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인쇄장치가 재개를 확인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는,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를 해제하라는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수유닛이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를 해제하라는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 상기 송신유닛은, 상기 인쇄장치에,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를 해제하라는 지시를 송신하는, 시스템.
  5.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으로 인쇄된 인쇄물에 대하여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유닛과,
    상기 일시 정지 명령에 따라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를 정지하도록 구성된 정지유닛과,
    상기 수신된 정보에 나타난 상기 일시 정지의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일시 정지를 위한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고,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처리되지 않는 인쇄 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인쇄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상기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인쇄장치가 재개를 확인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인쇄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인쇄를 행하는 인쇄단계와,
    상기 인쇄단계에서 인쇄된 인쇄물에 대하여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일시 정지 명령에 따라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를 정지하는 정지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에 나타난 상기 일시 정지의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일시 정지를 위한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고,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처리되지 않는 인쇄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컴퓨터가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인쇄를 행하는 인쇄단계와,
    상기 인쇄단계에서 인쇄된 인쇄물에 대하여 후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후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의 일시 정지 명령과 일시 정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일시 정지 명령에 따라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후처리할 잡의 인쇄 처리를 정지하는 정지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에 나타난 상기 일시 정지의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일시 정지를 위한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고, 상기 후처리장치에서 처리되지 않는 인쇄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4. 삭제
KR1020160042040A 2015-04-10 2016-04-06 시스템,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후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0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1158A JP6525695B2 (ja) 2015-04-10 2015-04-10 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後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5-081158 2015-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423A KR20160121423A (ko) 2016-10-19
KR102000981B1 true KR102000981B1 (ko) 2019-07-17

Family

ID=5698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040A KR102000981B1 (ko) 2015-04-10 2016-04-06 시스템,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후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0318B2 (ko)
JP (1) JP6525695B2 (ko)
KR (1) KR102000981B1 (ko)
CN (1) CN106055282B (ko)
DE (1) DE102016106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6559B2 (en) 2015-04-10 2017-12-19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and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525696B2 (ja) * 2015-04-10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後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25697B2 (ja) 2015-04-10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後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191705B2 (en) * 2015-05-04 2019-01-29 Xerox Corporation Mechanisms to enable FIFO behavior for selected workflow tasks in multi-document jobs
JP2019130868A (ja) * 2018-02-02 2019-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3593A (ja) * 2010-09-16 2012-03-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082133A (ja) * 2011-10-11 2013-05-0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21559A (ja) * 2014-08-04 2014-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152B2 (ja) * 1996-07-19 2005-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ジョブ処理方法
EP1291728B1 (en) * 2001-09-05 2009-09-23 Eastman Kodak Company Image-forming system with automatic finishing output chaining
JP3935788B2 (ja) * 2002-07-03 2007-06-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0480981C (zh) * 2005-11-14 2009-04-22 佳能株式会社 打印系统、作业处理方法和打印设备
JP4906469B2 (ja) * 2005-11-14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ジョブ処理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4781133B2 (ja) 2006-03-08 2011-09-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039422B2 (ja) 2006-06-19 2012-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12755A (ja) * 2006-07-05 2008-01-2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8110576A (ja) 2006-10-31 2008-05-15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印刷実行方法、並びに印刷実行のプログラム
JP4905143B2 (ja) * 2007-01-16 2012-03-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44173B2 (ja) 2007-08-23 2013-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43060B2 (ja) 2007-10-23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システム及びジョブ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9160849A (ja) * 2008-01-08 2009-07-23 Canon Inc 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64663B2 (ja) 2008-05-09 2013-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ジョブ管理装置、印刷ジョブ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179528A (ja) * 2009-02-04 2010-08-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5299058B2 (ja) * 2009-04-22 2013-09-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506245B2 (ja) * 2009-05-28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53865A (ja) * 2010-08-05 2012-03-1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084862B2 (ja) * 2013-02-28 2017-02-22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後処理装置
US9053413B2 (en) * 2013-07-22 2015-06-09 Xerox Corporation Automatically identifying locations of printing defects within printed rolls
JP6525697B2 (ja) 2015-04-10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後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25696B2 (ja) * 2015-04-10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後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846559B2 (en) 2015-04-10 2017-12-19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and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3593A (ja) * 2010-09-16 2012-03-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082133A (ja) * 2011-10-11 2013-05-0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21559A (ja) * 2014-08-04 2014-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55282A (zh) 2016-10-26
JP2016198964A (ja) 2016-12-01
KR20160121423A (ko) 2016-10-19
US20160299726A1 (en) 2016-10-13
US9760318B2 (en) 2017-09-12
CN106055282B (zh) 2019-05-28
DE102016106435A1 (de) 2016-10-13
JP6525695B2 (ja)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981B1 (ko) 시스템,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후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928B1 (ko) 시스템, 인쇄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후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980776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227624A (ja) プリントサーバおよび印刷装置、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と印刷方法
JP5825301B2 (ja) 画像形成装置、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13544A1 (en) Printing system,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int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21149869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09309A (ja) 印刷システム
JP2017047642A (ja) 先行rip時におけるrip後データ保存方法
JP2006209410A (ja) 印刷システム
JP6639269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93394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86987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4437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11940B2 (ja) 後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111520A (zh) 图像形成设备及其控制方法
JP6672025B2 (ja) システム、後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14436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98693A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97573B2 (ja)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71926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20112913A (ja) 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2321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12912A (ja) 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66808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