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700B1 -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700B1
KR101999700B1 KR1020120105764A KR20120105764A KR101999700B1 KR 101999700 B1 KR101999700 B1 KR 101999700B1 KR 1020120105764 A KR1020120105764 A KR 1020120105764A KR 20120105764 A KR20120105764 A KR 20120105764A KR 101999700 B1 KR101999700 B1 KR 10199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amount
dehydration
dru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523A (ko
Inventor
오영기
정연수
권호철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700B1/ko
Priority to AU2013231051A priority patent/AU2013231051B2/en
Priority to JP2013195958A priority patent/JP2014064919A/ja
Priority to BR102013024354-0A priority patent/BR102013024354B1/pt
Priority to US14/034,842 priority patent/US9127388B2/en
Priority to CN201310439510.4A priority patent/CN103668864B/zh
Publication of KR2014003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523A/ko
Priority to JP2015107684A priority patent/JP605929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2Humidity or dryness of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물의 탈수율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풍선 판단단계 및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며, 상기 탈수율 및 함수율은 제1회전속도로 가속된 드럼이 제2회전속도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능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기능에 따라 세탁기와 건조기로 구분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며, 건조기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통합하여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탑로딩 방식과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면(또는 측면)에 구비된 프론트 로딩 방식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탑로딩 방식의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과 터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탑로딩 방식의 세탁기는 드럼과 터브가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드럼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더불어, 캐비닛의 상부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탑로딩 방식의 세탁기에서 탈수과정을 거칠 때 드럼의 회전속도는 제품에 따라 대략 1000rpm을 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고속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를 진행하다 보면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골고루 배치되지 않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즉, 드럼 내의 세탁물이 편심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세탁물의 편심에 의해 드럼이 터브 및 캐비닛에 부딪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드럼과 터브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충격량은 캐비닛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량에 의해 도어가 캐비닛과 분리되거나, 캐비닛의 탑커버가 하부 캐비닛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정부 정책으로 주5일제를 시행하는 사업장이 늘면서 국민의 여가시간도 늘고 있다. 이러한 여가 시간의 증대로 인해 아웃도어 의류시장의 규모도 급격한 증가세를 이루고 있다. 통상 아웃도어 의류제품의 경우 방수 기능을 가지는 직물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아웃도어 의류를 세탁할 때 방수 직물의 내부에 세탁수가 고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세탁과정 중에 아웃도어 의류의 내부로 스며든 세탁수는 탈수 과정을 통해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이 되어야 하는데 의류의 방수 기능에 의해 탈수 과정 중에 세탁수가 아웃도어 의류의 내부에 그대로 존재할 수 있다. 즉, 풍선의 내부에 물을 담은 경우 같이 아웃도어 의류가 풍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내부의 세탁수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세탁수가 세탁물의 내부에 고여 있는 상태를 물풍선이라 칭한다) 특히, 탈수과정에서 물풍선을 가진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일순간 물풍선이 제거되면서 드럼 내부의 세탁물에 편심이 발생한다. 초기 탈수과정에서 편심을 감지할 때 물풍선을 포함한 상태에서 드럼의 편심을 측정하고, 편심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편심 제거과정에서도 물풍선이 해소되지 않고 탈수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세탁기의 제어부는 물풍선이 포함된 경우를 편심이 없는 상태로 인식하여 탈수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탈수가 진행되고 탈수의 진행 중에 물풍선이 제거되면 제거된 물풍선에 의해 세탁물에 편심이 발생한다. 물풍선의 제거에 의해 발생된 편심은 드럼의 회전과정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드럼이 터브와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 과정 중에 발생된 편심은 편심량이 작더라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드럼과 터브의 충격량은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량에 의해 탑커버에 구비된 도어가 분리되거나 탑커버가 캐비닛과 분리될 위험이 존재한다.
한편, 물풍선을 가질 수 있는 의류로 아웃도어 제품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방수 기능을 가지는 세탁물은 모두 물풍선을 가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일 예로, 침대 커버의 경우 물풍선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드럼과 터브의 충돌에 의해 탑커버와 하부 캐비닛이 분리를 방지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물의 탈수율 및 함수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풍선 판단단계; 및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며, 상기 탈수율 및 함수율은 제1회전속도로 가속된 드럼이 제2회전속도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탈수율이 기준탈수율 보다 높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탈수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탈수율을 2개 이상의 탈수율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탈수율 구간에 따라 드럼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탈수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탈수율에 비례하여 드럼의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탈수율이 기준탈수율 보다 낮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물풍선 제거단계 또는 탈수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탈수율이 기준탈수율 보다 낮게 판단되는 판단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판단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탈수행정을 종료하며, 기준횟수 미만인 경우 물풍선 제거단계를 수행하고 탈수율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물풍선 제거단계는 드럼의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한 번 수행하는 포풀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풍선 제거단계는 상기 포풀림 단계 전에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물이 수분을 함유하는 정도가 제한되는 환경에서 포량을 측정하는 기초포량 감지단계 및 기준 RPM으로 드럼을 가속시켜세탁물의 관성값을 측정하는 기준관성값 측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수율은 상기 기초포량 및 기준관성값을 이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는 세탁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초기포량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기초포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는 세탁물에 포함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의 배수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1탈수포량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측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기초포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관성값 측정단계는, 헹굼행정이 완료된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제1RPM 이상으로 가속하는 가속단계 및 상기 제1RPM에서 드럼이 제2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기준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기준 관성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함수율이 기준함수율 보다 낮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탈수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드럼 내의 세탁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전에 수행되며, 상기 세탁물의 초기포량을 측정하는 초기포량 감지단계 및 세탁물에 포함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의 배수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1탈수포량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함수율은 상기 초기포량 및 제1탈수포량을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상기 초기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초기포량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초기포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제1탈수포량을 설정할 수 있다.
세탁물에 포함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의 배수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1탈수포량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 및 상기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2탈수포량을 측정하는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함수율은 상기 제1탈수포량 및 제2탈수포량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상기 함수율이 기준함수율 보다 낮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탈수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 및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제1탈수포량 및 제2탈수포량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수과정 중에 세탁물의 편심에 의해 드럼과 터브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탑커버와 하부 캐비닛이 분리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탈수행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탈수행정에서 물풍선 판단단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탈수행정에서 탈수율 판단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드럼의 회전속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세탁물 처리장치는 탈수기능을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탑로딩 방식과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면(또는 측면)에 구비된 프론트 로딩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가 탑로딩 방식인 세탁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탈수기능만을 가지는 탈수기 또는 탈수기능을 가지는 건조기 등 탈수기능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모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120)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터브(120)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드럼(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터브(120)의 저면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4)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120)는 현가장치(150)에 의하여 캐비닛(110)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은 상부가 개구된 하부 캐비닛(110)과 상기 하부 캐비닛(1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는 탑커버(111)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캐비닛(110)은 측면패널(116), 전면패널(117), 베이스(113) 및 후면패널(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패널(116), 전면패널(117), 베이스(113) 및 후면패널(119)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11)는 상기 하부 캐비닛(1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120)와 드럼(130)이 구비되는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탑커버(111)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탑커버(111)에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탑커버(111)의 일측에는 세탁행정 등을 입력받는 컨트롤 패널(180)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180)을 통해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80)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세탁행정을 선택하거나 세탁행정의 시작 및 종료, 세탁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의 저면에는 상기 캐비닛(110)을 지지하는 레그(170)이 구비된다. 상기 레그(170)는 베이스(11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제 등을 이용하여 오염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행정(S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행정(S20)이 완료된 세탁물에서 세제 등을 제거하는 헹굼행정(S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헹굼행정(S30)이 완료된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S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행정(S20)이 수행되기 전에 드럼 내의 세탁물량(이하 포량)을 감지하는 기초포량 감지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행정(S20)은 세탁수를 이용하여 오염된 세탁물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구체적으로 세탁행정(S20)은 급수단계(S21), 세탁단계(S22) 및 배수단계(S23)를 포함한다. 급수단계(S21)에서는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세탁단계(S22)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탁단계(S22)에서 드럼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서 세탁물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더불어, 세탁단계(S22)에서 세제 등이 드럼 내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제 등은 세탁물에서 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세탁단계(S22)가 종료되면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단계(S23)가 수행된다. 배수단계(S23)에서는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터브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S20)에서 급수단계(S21), 세탁단계(S22) 및 배수단계(S23)는 한 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포량 또는 세탁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상기 급수단계(S21), 세탁단계(S22) 및 배수단계(S23)가 반복되는 횟수가 변할 수 있다.
헹굼행정(S30)은 세탁행정(S20)이 완료된 세탁물에서 세제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구체적으로 헹굼행정(S30)은 급수단계(S31), 헹굼단계(S32) 및 배수단계(S33)를 포함한다. 급수단계(S31)에서는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헹굼단계(S32)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에서 세제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헹굼단계(S32)에서 드럼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서 세탁물에서 세제와 오염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더불어, 헹굼단계(S32)에서 유연제 등이 드럼 내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유연제 등은 세탁물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고 세탁물을 부드럽게 하는 기능을 한다. 헹굼단계(S32)가 종료되면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단계(S33)가 수행된다. 배수단계(S33)에서는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터브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헹굼행정(S30)에서 급수단계(S31), 헹굼단계(S32) 및 배수단계(S33)는 한 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포량 또는 세탁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상기 급수단계(S31), 헹굼단계(S32) 및 배수단계(S33)가 반복되는 횟수가 변할 수 있다.
탈수행정(S40)은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탈수행정(S40)은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탈수행정(S4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술한다.
한편,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80)을 통해 세탁코스 등을 선택하고 세탁행정(S10)이 수행되기 전에 드럼(130) 내의 포량을 감지하는 기초포량 감지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S10)은 헹굼행정(S30)의 배수단계(S33)의 종료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S10)는 드럼(130) 내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은 크게 관성의 크기를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과 전극 센서를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관성의 크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드럼(130) 내의 포량이 많을수록 관성이 크며 관성이 클수록 드럼(130)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데 필요한 전력 또는 전류가 많이 소요되며, 드럼(130)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특징을 이용한다.
관성의 크기를 이용하는 방법의 일 예로, 드럼(130)을 일정속도로 가속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드럼(130) 내의 포량이 많은 경우 드럼(130)이 일정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포량이 적은 경우 드럼(130)이 일정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적게 소요될 수 있다. 상기 소요시간과 포량의 상관관계는 세탁기의 제어부 또는 메모리에 테이블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드럼(130)을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량은 일정시간 동안 측정될 수 있다. 드럼(130) 내의 포량이 많은 경우 드럼(130)을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시키는데 소모되는 전력량이 많으며, 포량이 적은 경우 소모되는 전력량이 작다. 상기 소모되는 전력량과 포량의 상관관계는 세탁기의 제어부 또는 메모리에 테이블로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예 외에도, 드럼(130)을 일정시간 동안 일정속도로 유지시키는데 소모되는 전류량, 드럼(130)을 일정속도로 가속시킨 후 상기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또는 정지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전극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6-0034062, 10-2006-0034064, 10-2006-0022301 외 다수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방수기능을 가지는 직물로 구성된 세탁물을 세탁할 때 세탁물의 내부에 세탁수가 고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세탁과정 중에 세탁물의 내부로 스며든 세탁수는 탈수행정(S40)을 통해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이 되어야 하는데 세탁물의 방수 기능에 의해 탈수행정(S40) 중에 세탁수가 세탁물의 내부에 그대로 존재할 수 있다. 즉, 풍선의 내부에 물을 담은 경우 같이 방수기능을 가지는 세탁물이 풍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내부의 세탁수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세탁수가 세탁물의 내부에 고여 있는 상태를 ‘물풍선’이라 칭한다) 특히, 탈수행정(S40)에서 물풍선을 가진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1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일순간 물풍선이 제거되면서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에 편심이 발생한다. 초기 탈수과정에서 편심을 감지할 때 물풍선을 포함한 상태에서 드럼(130)의 편심을 측정하고, 편심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편심 제거과정에서도 물풍선이 해소되지 않고 탈수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세탁기의 제어부는 물풍선이 포함된 경우를 편심이 없는 상태로 인식하여 탈수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탈수가 진행되고 탈수의 진행 중에 물풍선이 제거되면 제거된 물풍선에 의해 세탁물에 편심이 발생한다. 물풍선의 제거에 의해 발생된 편심은 드럼(130)의 회전과정에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드럼(130)이 터브(120)와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드럼(130)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 과정 중에 발생된 편심은 편심량이 작더라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럼(130)에 의해 드럼(130)과 터브(120)의 충격량은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량에 의해 탑커버에 구비된 도어가 분리되거나 탑커버가 캐비닛과 분리될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탈수행정(S40)에서 상술한 물풍선의 양을 감지하여 물풍선의 해소에 의해 발생되는 편심 및 진동을 방지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의 탈수행정(S40)은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풍선 판단단계(S4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S45)에서 물풍선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를 진행하는 탈수단계(S47)를 포함한다.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S45)에서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에러메시지 표시(S46) 표시 후 탈수행정(S40)을 종료시키거나 물풍선 제거단계(S4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S45)는 탈수행정(S40)의 초기에 수행되며 세탁물의 내부에 물풍선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S45)는 탈수율 판단단계(S460)를 포함한다. 상기 탈수율 판단단계(S460)는 세탁물의 탈수율(Rs)을 판단하여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높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낮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낮은 경우 물풍선 제거단계(S44)를 수행하거나 에러메시지를 표시(S46)하고 탈수행정(S40)D을 종료한다. 또한,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높은 경우 탈수단계(S47)을 수행한다.
상기 탈수율 판단단계(S460)에서 세탁물의 탈수율(Rs)을 기초하여 물풍선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탈수율(Rs)은 특정 상황에서의 세탁물의 기초포량(I0)과 기준 RPM(Rf, reference RPM)으로 드럼을 가속시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측정한 세탁물의 기준관성값(If)의 비(ratio)로 정의된다.
즉, 탈수율(Rs) = D0/If 이다.
상기 탈수율(Rs)을 정성적으로 해석하면, 세탁물의 수분함유량을 특정기준으로 고정한 상태에서의 포량인 기초포량(I0)과, 드럼을 기준 RPM(Rf)으로 가속시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세탁물의 관성값인 기준관성값(If)의 비율이 된다. 상기 드럼을 기준 RPM(Rf)으로 가속시키면 드럼 내의 세탁물의 수분은 상기 기준 RPM의 속도에 비례하여 제거된다. 이때, 상기 기준 RPM이 높을수록 제거되는 수분의 양은 많으며, 기준 RPM이 낮을수록 제거되는 수분의 양은 적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을 기준 RPM으로 가속시켜 세탁물의 수분을 일정량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탈수율(Rs)이 높을수록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확률이 높으며, 상기 탈수율(Rs)이 낮을수록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을 확률이 높다. 즉, 탈수율(Rs)이 높다는 것은 Rf로 가속되면서 세탁물의 수분이 많이 제거되었다는 의미이며, 탈수율(Rs)이 낮다는 것은 Rf로 가속되면서 세탁물의 수분이 적게 제거되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물풍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Rf로 드럼이 가속된 후에도 물풍선이 제거되지 않았다면 물풍선의 무게 또는 관성에 의해 상기 기준관성값(If)은 물풍선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높게 측정된다. 따라서, 탈수율(Rs)은 낮게 측정된다.
반대로 물풍선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Rf로 드럼이 가속되면서 수분이 일정량 제거되었으므로 상기 기준관성값(If)는 낮게 측정된다. 따라서, 탈수율은 높게 측정된다.
상기 기초포량(I0)은 상기 Rf로 드럼을 가속하기 전에 측정되는 포량으로서 특정 환경에서 측정되는 포량을 의미하며, 기초포량 감지단계(S10)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기초포량(I0)은 세탁행정(S20) 전에 측정되는 초기포량(D0)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초포량 감지단계(S10)는 상기 세탁행정(S20) 전에 수행된다. 기초포량(I0)으로 상기 초기포량(D0)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환경이란 세탁물이 세탁수에 젖지 않은 환경을 의미한다. 통상 사용자는 의류와 같은 세탁물을 착용한 후에 바로 세탁을 수행하므로 세탁물은 물에 젖지 않은 상태, 즉, 건조된 상태로 드럼 내에 투입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되는 초기포량(D0)은 건조포량이 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포량(I0)으로 세탁수에 젖지 않은 세탁물의 포량인 건조포량을 초기포량(D0)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초포량(I0)은 헹굼행정(S30)에서 배수단계(S33)가 종료된 후에 측정한 제1탈수포량(W1)일 수 있다. 이때, 기초포량 감지단계(S10)는 헹굼행정(S30)의 배수단계(S33)의 종료 후에 수행되는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일 수 있다. 기초포량(I0)으로 제1탈수포량(W1)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환경이란 세탁물이 세탁수에 충분히 적셔진 환경을 의미한다. 헹굼행정(S30)에서 급수단계(S31)와 헹굼단계(S32)를 거치게 되면 세탁물은 세탁수에 충분히 적셔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단계(S33)를 수행하여 터브(120) 내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면 세탁수에 충분히 적셔진 세탁물이 남게된다. 이 상태에서 세탁물은 더 이상의 세탁수를 흡수할 수 없는 과포화상태가 된다. 따라서, 헹굼행정(S30)의 배수단계(S33)가 종료된 후에 측정되는 제1탈수포량(W1)은 과포화 포량이 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포량(I0)으로 세탁수을 과포화 상태로 함유하고 있는 세탁물의 포량인 제1탈수포량(W1)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의 탈수행정(S40)에서 물풍선 판단단계(S45)는 함수율 판단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수율(Rw)이 높은 고함수포는 세탁물이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세탁물을 의미한다. 고함수포로는 수건 등과 같은 면 직물로 구성된 세탁물일 수 있다. 반대로 저함수포의 경우 세탁물이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세탁물을 의미한다.
함수율 판단단계(S450)는 세탁물이 함수율(Rw)이 낮은 저함수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함수율 판단단계(S450)에서 세탁물이 기준 함수율(RWf)보다 낮은 저함수포로 판단된 경우에는 탈수단계(S47)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함수율 판단단계(S450)에서 세탁물이 기준 함수율(RWf)보다 높은 고함수포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탈수율 판단단계(S460)을 진행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상기 함수율 판단단계(S450)는 탈수율 판단단계(S460)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다면 세탁물 내부에 형성된 물풍선에 의해 함수율(Rw)이 높게 측정될 것이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함수율(Rw)이 낮게 측정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함수율(Rw)을 이용하여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함수율 판단단계(S450)에서 판단기준으로 사용되는 함수율(Rw)은 세탁물이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함수율(Rw)이 높을수록 세탁물은 수분을 흡수, 보유하는 능력이 높으며, 함수율(Rw)이 낮을수록 수분을 흡수, 보유하는 능력이 낮다.
상기 함수율(Rw)은 초기포량(D0)과 제1탈수포량(W1)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함수율(Rw) = W1/D0 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포량(D0)은 수분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의 건조포량을 의미하며, 제1탈수포량(W1)은 헹굼행정(S30)의 배수단계(S33)가 종료된 후에 세탁물이 세탁수에 충분히 적셔진 과포화 상태의 포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조포량(즉, 초기포량 D0)에 비해 제1차탈수포량(W1)이 높은 경우 함수율(Rw)이 높으며, 건조포량에 비해 제1차탈수포량(W1)이 낮은 경우 함수율(Rw)이 낮다. 수건과 같은 세탁물의 경우 함수율(Rw)이 높다. 또는, 면으로 구성된 속옷의 경우 함수율(Rw)이 높을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함수율(Rw)을 초기포량(D0)과 제1차탈수포량(W1)의 비율로 정의하였으나 세탁물이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치는 모두 이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기준 RPM(Rf)로 가속한 후에 제2차탈수포량(W2)을 측정할 수 있다. 함수율(Rw)이 높은 경우 기준 RPM으로 드럼을 가속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많이 제거되므로 제1차탈수포량(W1)에 비해 제2차탈수포량(W2)이 적게 측정된다. 함수율(Rw)이 낮은 경우에는 함수율(Rw)이 높은 세탁물에 비해 제2차탈수포량이 상대적으로 많게 측정된다. 따라서, 함수율(Rw)을 제1차탈수포량(W1)과 제2차탈수포량(W2)의 비율 또는 제1차탈수포량(W1)과 제2차탈수포량(W2)의 차이값과 제1차탈수포량(W1)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함수율(Rw) = (제1차탈수포량(W1) - 제2차탈수포량(W2))/제1차탈수포량(W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Rw = W1/W2 또는 (W1-W2)/W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수율(Rw)을 정의할 수 있는 수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세탁물이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수치면 무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S45)는 탈수율 판단단계(S460) 또는 함수율 판단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탈수율 판단단계(S460)와 함수율 판단단계(S450)를 모두 포함한다.
탈수율 판단단계(S460)에서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낮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높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함수율 판단단계(S450)에서 함수율(Rw)이 기준함수율(Rwf) 보다 낮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함수율(Rw)이 기준함수율(Rwf) 보다 높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물풍선 판단단계(S45)가 탈수율 판단단계(S460)와 함수율 판단단계(S45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낮고 함수율(Rw)이 기준 함수율(Rwf) 보다 높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풍선 제거단계(S44) 또는 에러메시지 표시(S46) 후 탈수행정(S40)을 종료할 수 있다.
세탁물의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높고 함수율(Rw)이 기준 함수율(Rwf) 보다 높은 경우 세탁물은 수건과 같은 고함수포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수단계(S47)을 진행한다.
또한, 세탁물의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높고 함수율(Rw)이 기준 함수율(Rwf) 보다 낮은 경우 일반 세탁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수단계(S47)을 진행한다.
또한, 세탁물의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낮고 함수율(Rw)이 기준 함수율(Rwf) 보다 낮은 경우 방수 기능을 가지는 아웃도어 의류와 같은 저함수포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수단계(S47)을 진행한다.
물풍선 판단단계(S45)는 함수율 판단단계(S450)와 탈수율 판단단계(S460)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수건을 세탁하는 타올 코스를 별도로 구비하고 사용자가 수건만을 드럼에 투입하고, 타올 코스를 선택하여 세탁하는 경우 물풍선 판단단계(S45)는 함수율 판단단계(S45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웃도어 의류와 같은 저함수포를 세탁하는 방수포 코스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는 경우 물풍선 판단단계(S45)는 탈수율 판단단계(S46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탈수율 판단단계(S460)에서 탈수율(Rs)의 범위에 따라 드럼의 탈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탈수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탈수율 판단단계(S460)에 탈수율(Rs)을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해당 구간에 따른 드럼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탈수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탈수율(Rs)은 3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탈수율(Rs)이 제1탈수율(Rsf1)을 초과하는 제1구간과, 제2탈수율(Rsf2) 초과 제1탈수율(Rsf1) 이하인 제2구간과, 제2탈수율(Rsf2) 미만인 제3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탈수율(Rs)이 제1구간에 해당되는 경우 세탁물에 물풍선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정상적인 RPM인 R1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단계(S471)를 진행한다. 일 예로, 드럼의 회전속도 R1은 800 RPM 이상일 수 있으며, 최대 1010RPM일 수 있다.
*탈수율(Rs)이 제2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세탁물에 물풍선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다소 존재하거나, 물풍선의 크기 또는 양이 적다고 판단하여 상기 정상 RPM인 R1보다 낮은 RPM인 R2로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단계(S472)를 진행한다. 일 예로, 드럼의 회전속도 R2는 430 RPM 이상일 수 있으며, 최대 500 RPM 일 수 있다.
탈수율(Rs)이 제3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세탁물에 물풍선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물풍선의 크기 또는 양이 많다고 판단한다.
탈수율(Rs)이 제3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탈수율(Rs)이 제3구간으로 판단된 판단횟수(N)를 카운트하여(S463) 상기 판단횟수(N)가 기준횟수(N0) 이상인 경우 에러 메시지를 표시(S46)하고 탈수행정(S40)을 종료한다. 상기 판단횟수(N)가 기준횟수(N0) 미만인 경우에는 물풍선 제거단계(S44)를 수행하고 다시 탈수율 판단단계(S460)로 진입한다. 상기 판단횟수(N)가 기준횟수(NO)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한 번은 물풍선 제거단계(S44)를 수행하였으므로, 물풍선 제거단계(S44)의 수행에도 불구하고 탈수율(Rs)이 재차 제3구간에 해당하므로 에러메시지를 표시(S46)하고 탈수행정(S40)을 종료한다. 상기 기준횟수(N0)는 2회일 수 있다.
상기 물풍선 제거단계(S44)는 포풀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풀림 단계는 드럼(130)의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1회 이상 반복하여 드럼(130) 내에 엉킨 포를 풀어 주는 단계이다. 상기 포풀림 단계는 일정시간 드럼(130)의 정회전을 반복하거나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다. 또는 드럼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포풀림 단계에 의해 드럼(130)이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되면 물풍선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포풀림 단계의 수행 전에 터브(12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풀림 단계의 수행 전에 급수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포풀림 단계의 수행 후에 배수단계를 거쳐 터브(120)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풍선 판단단계(S45)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물풍선 판단단계(S450)(S460)에서 탈수율(Rs)과 함수율(Rw)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는 함수율(Rw) 및 탈수율(Rs)은 제1회전속도로 가속된 드럼이 제2회전속도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산정한다.
탈수율(Rs)을 정의하는 값인 기초포량(I0)과 기준관성값(If)은 모두 세탁물 무게에 비례하며, 세탁물의 무게는 세탁물의 관성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세탁물의 무게 또는 관성값이 높을수록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이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도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기초포량(I0) 또는 기준관성값(If)은 상기 감속시간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상기 감속시간을 측정하여 기초포량(I0)과 기준관성값(If)을 측정할 수 있으며 탈수율(Rs)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회전속도가 제1회전속도 미만인 것은 물론이다.
함수율(Rw)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제1탈수포량(W1)도 세탁물 무게에 비례하며, 세탁물의 무게는 세탁물의 관성값에 비례하므로 상기 감속시간에 비례한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회전속도는 드럼이 정지된 상태, 즉, 0일 수 있다. 즉, 상기 감속시간은 제1회전속도로 가속된 드럼이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일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감속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구동모터(140)에 역회전 방향의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감속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율(Rs)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수율(Rs)은 특정 상황에서의 세탁물의 기초포량(I0)과 기준 RPM(Rf, reference RPM)으로 드럼을 가속시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한 상태에서 측정한 세탁물의 기준관성값(If)의 비(ratio)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포량(I0)과 기준관성값(If)은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과 종속적인 관계에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초포량(I0)은 특정 환경에서의 세탁물의 포량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특정 환경은 세탁물이 세탁수에 젖지 않은 환경 또는 세탁물이 과포화된 환경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초포량(I0)은 세탁행정(S20) 전에 수행되는 기초포량 감지단계(S10)에서 측정한 초기포량(D0)이거나, 헹굼행정(S30)에서 배수단계(S33)가 종료된 후에 측정한 제1탈수포량(W1)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초포량(I0)이 초기포량(D0)인 경우, 기초포량(I0)은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일 수 있다. 또한, 기초포량(I0)이 제1탈수포량(W1)인 경우, 상기 기초포량(I0)은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일 수 있다. 또한, 기준관성값(If)은 이하 설명되는 기준 감속시간(Tf)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먼저,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T0)과 기준 감속시간(Tf)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기초포량(I0)이 초기포량(D0)인 경우, 탈수율(Rs)은 초기포량 감속시간(T0)과 기준 감속시간(Tf)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탈수율(Rs) = 초기포량 감속시간(T0)/기준 감속시간(Tf)이다. 이하 초기포량 감속시간(T0) 및 기준 감속시간(Tf)의 측정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탈수율(Rs)을 정의하는 기초포량(I0)은 세탁행정(S20)상전에 수행되는 기초포량 감지단계(S10)에서 측정한 초기포량(D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기초포량 감지단계(S10)에서 초기포량(D0)은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감속시간이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이 된다.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은 드럼에 투입된 초기포량(D0)과 비례하는 관계에 있으며, 초기포량 감속시간(T0)과 실제 드럼에 투입되는 초기포량(D0) 사이의 상관관계를 반복적인 실험으로 도출한 테이블로 초기포량(D0)을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을 초기포량(D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초기포량(D0)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제1회전속도는 100 rp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속도는 30 rpm일 수 있다. 즉, 드럼의 회전속도가 100 rpm에서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이 된다. 이때, 기초포량 감지단계(S10)에서 제1회전속도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럼의 구동모터(1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모터(140)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탈수율(Rs)을 정의하는 변수 중 기준관성값(If)을 측정하는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에 대해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는 헹굼행정(S30)이 완료된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제1RPM 이상으로 가속하는 가속단계(S4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RPM에서 드럼이 제2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기준 감속시간(Tf)을 측정하는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관성값(If)을 상기 기준 감속시간(Tf)을 기초하여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 감속시간(Tf)을 노멀라이즈한 수치 또는 기준 감속시간(Tf)에 종속되는 수치를 기준관성값(If)으로 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 감속시간(Tf)을 기준관성값(If)으로 정의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헹굼행정(S30)이 완료된 후 드럼은 제1RPM 이상으로 가속되는 가속단계(S431)를 거친다. 상기 제1RPM은 약 400RPM일 수 있다. 가속단계(S431)의 수행 후에 바로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를 거칠 수 있으나, 소정 시간(Tm) 동안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1RPM 이상으로 유지한 후 상기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시간(Tm)은 5 sec 또는 10 sec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속단계(S431)에서 드럼을 제1RPM 이상으로 가속시키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속단계(S431)의 초기에는 제1RPM을 초과하는 피크(peak) RPM으로 가속시키고, 상기 제1RPM과 상기 피크 RPM의 사이에 존재하는 유지 RPM으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소정 시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크 RPM은 약 440 RPM일 수 있으며, 상기 유지 RPM은 420 RPM일 수 있다. 상기 제2RPM은 100 RPM일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구동모터(14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구동모터(140)에 역방향의 전압을 인가하여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는 제1RPM에서 제2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Tf0 시점에서 유지 RPM인 420 RPM에서 구동모터(140)의 전원이 차단되고 드럼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제1RPM인 400 RPM 에 도달하는 시점(Tf1)부터 드럼이 100 RPM으로 감속되는 시점(Tf2)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준 감속시간(Tf)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초포량(I0)이 제1탈수포량인 경우, 상기 기초포량(I0)은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일 수 있다.
기초포량(I0)이 제1탈수포량(W1)인 경우, 탈수율(Rs)은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과 기준 감속시간(Tf)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탈수율(Rs) =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기준 감속시간(Tf)이다. 상기 기준 감속시간(Tf)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의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탈수율(Rs)을 정의하는 기초포량(I0)은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에서 측정한 제1탈수포량(W1)일 수 있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는 헹굼행정(S30)의 배수단계(S33)가 종료된 후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가 수행되기 전 세탁물은 과포화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에서 제1탈수포량(W1)은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감속시간이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이 된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은 드럼에 수용된 제1탈수포량(W1)과 비례하는 관계에 있으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과 실제 드럼에 수용된 제1탈수포량(W1) 사이의 상관관계를 반복적인 실험으로 도출한 테이블로 제1탈수포량(W1)을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을 제1탈수포량(W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에서 제1회전속도는 100 rp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속도는 30 rpm일 수 있다. 즉, 드럼의 회전속도가 100 rpm에서 30 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이 된다. 이때,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에서 제1회전속도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럼의 구동모터(1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모터(140)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함수율(Rw)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함수율(Rw)은 세탁물이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 함수율(Rw)은 초기포량(D0)과 제1탈수포량(W1)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함수율(Rw) = 제1탈수포량(W1)/초기포량(D0) 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함수율(Rw)을 산정하는데 드럼이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함수율(Rw)은 세탁행정(S20) 전에 수행되는 기초포량 감지단계(S10)에서 측정한 초기포량 감속시간(T0)과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에서 측정한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함수율(Rw) =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초기포량 감속시간(T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과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을 측정하는 방법은 탈수율(Rs)을 산정하는 방법에서의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과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을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가 종료된 후에 측정되는 제2탈수포량(W2)을 이용하여 함수율(Rw)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탈수포량(W2)은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는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가 종료된 후에 수행된다. 즉,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의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가 종료된 후에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에서 제2탈수포량(W2)은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감속시간이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이 된다. 상기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은 드럼에 투입된 제2탈수포량(W2)과 비례하는 관계에 있으며,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과 실제 드럼에 투입되는 제2탈수포량(W2) 사이의 상관관계를 반복적인 실험으로 도출한 테이블로 제2탈수포량(W2)을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을 제2탈수포량(W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에서 제1회전속도는 100 rp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속도는 30 rpm일 수 있다. 즉, 드럼의 회전속도가 100 rpm에서 30 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이 된다. 이때,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에서 제1회전속도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럼의 구동모터(1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모터(140)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을 측정할 수 있다.
제2차탈수포량(W2)을 함수율(Rw)의 산정에 이용하는 경우 함수율(Rw) =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는, 함수율(Rw)을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과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의 차이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에 비해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의 차이가 클수록 함수율(Rw)이 높은 원리를 이용하여,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과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을 기초하여 다양하게 함수율(Rw)을 정의할 수 있다.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에 비해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이 급격이 감소한 경우에는 함수율(Rw)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에서 제1RPM으로 가속하는 가속단계(S431)를 거치면서 수분이 많이 제거되었다면 함수율(Rw)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준관성값을 측정하는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함수율(Rw) 및 탈수율(R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풍선 판단단계(S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S45)에 따라 탈수를 진행하는 탈수단계(S471)(S4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S45)에서 탈수율(Rs)만으로 물풍선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1)와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3)는 생략될 수 있다.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102)는 세탁행정(S20)이 수행되기 전에 드럼 내의 세탁물량을 감지한다.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102)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감속시간이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이 된다.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102)에서 제1회전속도는 100 rp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속도는 30 rpm일 수 있다. 즉, 드럼의 회전속도가 100 rpm에서 30 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이 된다. 이때, 제1회전속도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럼의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모터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초기포량 감속시간(T0)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102)가 완료되면 세탁행정(S20) 및 헹굼행정(S30)이 수행된다.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1)는 헹굼행정(S30)의 배수단계(S33)가 종료된 후 드럼 내의 포량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1)가 수행되기 전 세탁물은 과포화 상태이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1)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감속시간이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이 된다.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1)에서 제1회전속도는 100 rp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속도는 30 rpm일 수 있다. 즉, 드럼의 회전속도가 100 rpm에서 30 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이 된다. 이때, 제1회전속도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럼의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모터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을 측정할 수 있다.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는 탈수율(Rs)의 산정에 필요한 기준관성값(If)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는, 헹굼행정(S30)이 완료된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제1RPM 이상으로 가속하는 가속단계(S4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RPM에서 드럼이 제2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기준 감속시간(Tf)을 측정하는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관성값(If)을 상기 기준 감속시간(Tf)을 기초하여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 감속시간(Tf)을 노멀라이즈한 수치 또는 기준 감속시간(Tf)에 종속되는 수치를 기준관성값(If)으로 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 감속시간(Tf)을 기준관성값(If)으로 정의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헹굼행정(S30)이 완료된 후 드럼은 제1RPM 이상으로 가속되는 가속단계(S431)를 거친다. 상기 제1RPM은 약 400RPM일 수 있다. 가속단계(S431)의 수행 후에 바로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를 거칠 수 있으나, 소정 시간(Tm) 동안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1RPM 이상으로 유지한 후 상기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시간(Tm)은 5 sec 또는 10 sec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속단계(S431)에서 드럼을 제1RPM 이상으로 가속시키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속단계(S431)의 초기에는 제1RPM을 초과하는 피크(peak) RPM으로 가속시키고, 상기 제1RPM과 상기 피크 RPM의 사이에 존재하는 유지 RPM으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소정 시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크 RPM은 약 440 RPM일 수 있으며, 상기 유지 RPM은 420 RPM일 수 있다. 상기 제2RPM은 100 RPM일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구동모터(14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구동모터(140)에 역방향의 전압을 인가하여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는 제1RPM에서 제2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Tf0 시점에서 유지 RPM인 420 RPM에서 구동모터(140)의 전원이 차단되고 드럼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제1RPM인 400 RPM 에 도달하는 시점(Tf1)부터 드럼이 100 RPM으로 감속되는 시점(Tf2)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준 감속시간(Tf)을 측정할 수 있다.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3)는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가 종료된 후 드럼 내의 포량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즉,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S42)의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S432)가 종료된 후에 수행된다.
상기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3)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감속시간이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이 된다. 상기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S413)에서 상기 제1회전속도는 100 rp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속도는 30 rpm일 수 있다. 즉, 드럼의 회전속도가 100 rpm에서 정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이 된다. 이때, 제1회전속도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드럼의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모터에 역전압을 인가하여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을 측정할 수 있다.
물풍선 판단단계(S45)에서는 탈수율(Rs) 및 함수율(Rw)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S45)는 탈수율 판단단계(S460) 또는 함수율 판단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탈수율 판단단계(S460)와 함수율 판단단계(S450)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함수율 판단단계(S450)와 탈수율 판단단계(S460)는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함수율 판단단계(S450)가 탈수율 판단단계(S460) 이전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탈수율(Rs)은 초기포량 감속시간(T0)/ 기준 감속시간(Tf) 일 수 있다. 또한, 함수율(Rw)은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일 수 있다.
함수율 판단단계(S450)에서 함수율(Rw)이 기준함수율(Rwf) 보다 낮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함수율(Rw)이 기준함수율(Rwf) 보다 높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함수율 판단단계(S450)에서 함수율(Rw)이 기준함수율(Rwf) 보다 낮은 경우 상기 탈수단계를 수행하며, 함수율(Rw)이 기준함수율(Rwf) 보나 높은 경우 탈수율 판단단계(S460)를 수행한다.
탈수율 판단단계(S460)에서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낮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탈수율(Rs)이 기준탈수율(Rsf) 보다 높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탈수율(Rs)이 기준 탈수율(Rsf) 보다 낮은 경우 탈수행정(S40)을 종료하거나 물풍선 제거단계(S44)를 수행할 수 있으며, 탈수율(Rs)이 기준 탈수율(Rs) 보다 높은 경우 탈수단계(S471)를 수행하고 탈수행정(S40)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탈수율 판단단계(S460)에서 탈수율(Rs)을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해당 구간에 따른 드럼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탈수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탈수율(Rs)은 3개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탈수율(Rs)이 제1탈수율(Rsf1)을 초과하는 제1구간과, 제2탈수율(Rsf2) 초과 제1탈수율(Rsf1) 이하인 제2구간과, 제2탈수율(Rsf2) 미만인 제3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탈수율(Rs)이 제1구간에 해당되는 경우 세탁물에 물풍선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정상적인 RPM인 R1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단계(S471)를 진행한다. 일 예로, 드럼의 회전속도 R1은 800 RPM 이상일 수 있으며, 최대 1010RPM일 수 있다.
*탈수율(Rs)이 제2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세탁물에 물풍선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다소 존재하거나, 물풍선의 크기 또는 양이 적다고 판단하여 상기 정상 RPM인 R1보다 낮은 RPM인 R2로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단계(S472)를 진행한다. 일 예로, 드럼의 회전속도 R2는 430 RPM 이상일 수 있으며, 최대 500 RPM 일 수 있다.
탈수율(Rs)이 제3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세탁물에 물풍선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물풍선의 크기 또는 양이 많다고 판단한다.
탈수율(Rs)이 제3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탈수율(Rs)이 제3구간으로 판단된 판단횟수(N)를 카운트하여(S463) 상기 판단횟수(N)가 기준횟수(N0) 이상인 경우 에러 메시지를 표시(S46)하고 탈수행정(S40)을 종료한다. (도 6 참조) 상기 판단횟수(N)가 기준횟수(N0) 미만인 경우에는 물풍선 제거단계(S44)를 수행하고 다시 탈수율 판단단계(S460)로 진입한다. 상기 판단횟수(N)가 기준횟수(NO) 이상인 경우 적어도 한 번은 물풍선 제거단계(S44)를 수행하였으므로, 물풍선 제거단계(S44)의 수행에도 불구하고 탈수율(Rs)이 재차 제3구간에 해당하므로 에러메시지를 표시(S46)하고 탈수행정(S40)을 종료한다. 상기 기준횟수(N0)는 2회일 수 있다. (도 6 참조)
상기 물풍선 제거단계(S44)는 포풀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풀림 단계는 드럼(130)의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1회 이상 반복하여 드럼(130) 내에 엉킨 포를 풀어 주는 단계이다. 상기 포풀림 단계에 의해 드럼(130)이 정역회전을 반복하게 되면 물풍선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포풀림 단계의 수행 전에 터브(12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풀림 단계의 수행 전에 급수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포풀림 단계의 수행 후에 배수단계를 거쳐 터브(120)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함수율(Rw)을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으로 정의하였으나,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T1) - 제2탈수포량 감속시간(T2)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세탁기 110 캐비닛
111 탑커버 112 하부 캐비닛
113 베이스 115 도어
116 측면패널 117 전면패널
119 후면패널 120 터브
130 드럼 140 구동 모터
150 현가장치 170 레그
180 컨트롤패널

Claims (20)

  1.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수행정은,
    세탁물의 드럼을 소정 회전속도로 감속시키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산정된 탈수율을 이용하여,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 내부에 세탁수가 고여 생성되는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풍선 판단단계;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한 후, 드럼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물풍선 제거단계; 및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에서 세탁물의 탈수율이 기준탈수율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탈수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에서 세탁물의 탈수율이 기준탈수율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물풍선 제거단계가 진행되거나 상기 탈수행정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세탁물이 수분을 함유하는 정도가 제한되는 환경에서 포량을 측정하는 기초포량 감지단계; 및
    기준 RPM으로 드럼을 가속시켜 세탁물의 관성값을 측정하는 기준관성값 측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수율은 상기 기초포량 및 기준관성값을 이용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는 세탁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초기포량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기초포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포량 감지단계는 세탁물에 포함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의 배수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1탈수포량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기초포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관성값 측정단계는,
    헹굼행정이 완료된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제1RPM 이상으로 가속하는 가속단계; 및
    상기 제1RPM에서 드럼이 제2RPM으로 감속되는데 소요되는 기준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기준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기준 관성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는 함수율을 이용하여 상기 세탁물이 상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풍선 판단단계에서
    상기 탈수율이 기준탈수율보다 작으면서, 상기 함수율도 기준함수율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탈수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드럼 내의 세탁물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전에 수행되며, 상기 세탁물의 초기포량을 측정하는 초기포량 감지단계; 및
    세탁물에 포함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의 배수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1탈수포량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함수율은 상기 초기포량 및 제1탈수포량을 이용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초기포량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초기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포량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초기포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 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탈수포량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제1탈수포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세탁물에 포함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의 배수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1탈수포량을 측정하는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
    드럼을 제1RPM으로 가속시킨 후 다시 제2RPM으로 감속시켜 기준관성값을 측정하는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 및
    상기 기준 관성값 측정단계가 종료된 후에 제2탈수포량을 측정하는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함수율은 상기 제1탈수포량 및 제2탈수포량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상기 함수율이 기준함수율 보다 낮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탈수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포량 감지단계 및 제2탈수포량 감지단계는 드럼을 제1회전속도에서 제2회전속도로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감속시간에 기초하여 제1탈수포량 및 제2탈수포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율을 2개 이상의 탈수율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탈수율 구간에 따라 드럼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탈수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율에 비례하여 드럼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율이 기준탈수율 보다 낮은 경우 물풍선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물풍선 제거단계 또는 탈수행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율이 기준탈수율 보다 낮게 판단되는 판단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판단횟수가 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탈수행정을 종료하며, 기준횟수 미만인 경우 물풍선 제거단계를 수행하고 탈수율을 다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풍선 제거단계는 드럼의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한 번 수행하는 포풀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물풍선 제거단계는 상기 포풀림 단계 전에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105764A 2012-09-24 2012-09-24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64A KR101999700B1 (ko) 2012-09-24 2012-09-24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13231051A AU2013231051B2 (en) 2012-09-24 2013-09-18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3195958A JP2014064919A (ja) 2012-09-24 2013-09-20 洗濯物処理装置の制御方法
BR102013024354-0A BR102013024354B1 (pt) 2012-09-24 2013-09-23 Método para o controle de um aparat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US14/034,842 US9127388B2 (en) 2012-09-24 2013-09-24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310439510.4A CN103668864B (zh) 2012-09-24 2013-09-24 用于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JP2015107684A JP6059290B2 (ja) 2012-09-24 2015-05-27 洗濯物処理装置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64A KR101999700B1 (ko) 2012-09-24 2012-09-24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23A KR20140039523A (ko) 2014-04-02
KR101999700B1 true KR101999700B1 (ko) 2019-07-12

Family

ID=5030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764A KR101999700B1 (ko) 2012-09-24 2012-09-24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27388B2 (ko)
JP (2) JP2014064919A (ko)
KR (1) KR101999700B1 (ko)
CN (1) CN103668864B (ko)
AU (1) AU2013231051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793B1 (ko) * 2012-09-24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9700B1 (ko) * 2012-09-24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06046B1 (ko) * 2015-02-17 201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86254B1 (ko) 2015-06-11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1236455B2 (en) 2015-12-25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7177955B (zh) * 2016-03-10 2021-07-0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和均衡衣物的方法
CN107794700B (zh) * 2016-09-06 2020-05-22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洗衣机脱水振动的控制方法以及控制系统
KR102598865B1 (ko) 2016-12-23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6941967B2 (ja) 2017-02-10 2021-09-29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洗濯機
CN107604591B (zh) * 2017-08-02 2020-09-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及用于该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及设备
CN110106664B (zh) * 2018-02-01 2023-08-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偏心的判断方法及波轮洗衣机
KR20200075439A (ko) * 2018-12-18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1876964A (zh) * 2020-08-04 2020-11-03 江苏新安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脱水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2709046B (zh) * 2020-12-21 2021-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降噪控制方法及洗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430A (ja) * 2003-02-06 2004-08-26 Toshiba Corp ベクトル制御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6592B2 (ja) * 1992-03-31 2001-11-05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DE4336350A1 (de) * 1993-10-25 1995-04-27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Bestimmen der Wäschemenge in einer Wäschebehandlungsmaschine
US5737852A (en) * 1996-08-05 1998-04-1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ryness control for clothes dryer
JPH1090171A (ja) * 1996-09-17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用乾燥検知センサ
US5899005A (en) * 1997-03-13 1999-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dryness of clothing articles
JPH10314484A (ja) * 1997-05-16 1998-12-02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020062446A (ko) * 2001-01-20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배기식 건조기의 건조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US7503127B2 (en) * 2002-04-22 2009-03-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Electrically charged volatile material delivery method
KR100934652B1 (ko) * 2002-12-28 2009-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548606A (zh) * 2003-05-12 2004-11-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脱水过程控制方法
DE10326551A1 (de) * 2003-06-12 2005-01-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ch- und Spülverfahren für eine Waschmaschine
KR100548274B1 (ko) 2003-07-23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포량 검출방법
KR101000055B1 (ko) * 2003-12-12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포풀림방법
DE102004002585A1 (de) * 2004-01-16 2005-08-04 Herbert Kannegiesser Gmbh Vorrichtung zur Nassbehandlung von Wäsche
DE602004021142D1 (de) * 2004-08-18 2009-06-25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r automatischen kontrolle des trocknungsgrads
US7900374B2 (en) * 2004-08-18 2011-03-0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ry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40828B1 (ko) * 2006-05-26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실 장치의 운전 관리 방법
AU2008200434A1 (en) * 2007-01-31 2008-08-14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Fluid entrapment detection
DE102007057331A1 (de) * 2007-11-28 2009-06-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optimalen Drehzahl der Trommel einer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KR100977575B1 (ko) 2008-05-2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US8104191B2 (en) * 2008-07-31 2012-01-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ry dryer providing moisture application during tumbling and reduced airflow
DE102008041019A1 (de) * 2008-08-06 2010-02-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und Erkennung eines unzulässigen Betriebszustands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KR20100094889A (ko) 2009-02-19 201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 행정 제어 장치 및 방법
US8707580B2 (en) * 2009-10-21 2014-04-29 Stmicroelectronics, Inc. Dryness detection method for clothes dryer based on charge rate of a capacitor
KR101658226B1 (ko) * 2009-11-16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9673B1 (ko) 2009-11-16 2016-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포량감지장치
US8549770B2 (en) * 2009-12-18 2013-10-0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with drying uniformity determination
US9080274B2 (en) * 2009-12-23 2015-07-1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101462172B1 (ko) 2010-02-05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물 무게 감지방법
KR101704421B1 (ko) * 2010-04-30 201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RU2517815C1 (ru) * 2010-05-04 2014-05-27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KR20120080947A (ko) * 2011-01-10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WO2012141362A1 (ko) * 2011-04-11 201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8561320B2 (en) * 2011-08-31 2013-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atus of a drying cycle and for controlling a dryer
US20130160221A1 (en) * 2011-12-22 2013-06-2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maximizing drum rotational speed by continuously monitoring inertia during extraction
KR101898489B1 (ko) * 2012-02-07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8769840B2 (en) * 2012-05-14 2014-07-08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Recirculating dryer
KR101919793B1 (ko) * 2012-09-24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9700B1 (ko) * 2012-09-24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21177B1 (ko) * 2012-09-24 2018-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555588B1 (ko) * 2012-10-31 2015-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98485A (ko) * 2013-01-31 2014-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34190B1 (ko) * 2013-01-31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15979B1 (ko) * 2013-08-14 201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9469927B2 (en) * 2013-10-02 2016-10-1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430A (ja) * 2003-02-06 2004-08-26 Toshiba Corp ベクトル制御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68864A (zh) 2014-03-26
CN103668864B (zh) 2016-03-23
JP6059290B2 (ja) 2017-01-11
US20140082959A1 (en) 2014-03-27
US9127388B2 (en) 2015-09-08
JP2015165941A (ja) 2015-09-24
AU2013231051A1 (en) 2014-04-10
BR102013024354A8 (pt) 2015-09-29
JP2014064919A (ja) 2014-04-17
KR20140039523A (ko) 2014-04-02
AU2013231051B2 (en) 2015-12-03
BR102013024354A2 (pt)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700B1 (ko)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19793B1 (ko)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WI424107B (zh) 洗衣機之控制方法
US20080134447A1 (en) Washing And Rinsing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KR101809948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RU2397282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захватом, включающим в себя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моющих средств
TWI378166B (en) Drum-type washing machine
JP2008194090A (ja) 洗濯機
JP5198621B2 (ja) 洗濯機
JP5608353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202200255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4032926A1 (en) Method for washing laundry in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EP2960363B1 (en) Method for washing laundry in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KR102568668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43266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BR102013024356B1 (pt) Método para controlar um aparat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BR102013024354B1 (pt) Método para o controle de um aparat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KR101626309B1 (ko) 세탁물의 포량 감지방법
JP2023091878A (ja) 洗濯機
BR102013024356A2 (pt) método para controlar um aparato de tratamento de vestuário para lavar
KR20090089675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