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439A -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439A
KR20200075439A KR1020180164110A KR20180164110A KR20200075439A KR 20200075439 A KR20200075439 A KR 20200075439A KR 1020180164110 A KR1020180164110 A KR 1020180164110A KR 20180164110 A KR20180164110 A KR 20180164110A KR 20200075439 A KR20200075439 A KR 20200075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dehydration
moisture content
amou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983B1 (ko
Inventor
이선호
김영종
문병현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98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6411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59983B1/ko
Priority to PCT/KR2019/016589 priority patent/WO2020130405A1/ko
Priority to US17/415,446 priority patent/US20220025568A1/en
Publication of KR2020007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06F37/2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2Humidity or dryness of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를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조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검포량 감지단계와, 상기 외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와, 상기 세탁물을 세탁 및 헹굼하는 세탁단계와, 상기 세탁단계 이후에 상기 세탁물의 함습량을 감지하는 습포량 감지단계, 및 상기 세탁물에 포함된 세탈수를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단계에서 상기 세탁물의 포질을 판단하여 상기 탈수단계의 종료시점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탈수단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기능에 따라 의류 처리장지와 건조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 처리장지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세탁단계를 수행하며, 건조기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의류 처리장지와 건조기를 통합하여 건조기능을 가진 의류 처리장지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탑로딩 방식과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면(또는 측면)에 구비된 프론트 로딩 방식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탑로딩 방식의 의류 처리장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조와 외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탑로딩 방식의 의류 처리장지는 내조와 외조가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내조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더불어, 캐비닛의 상부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탑로딩 방식의 의류 처리장지에서 탈수과정을 거칠 때 내조의 회전속도는 제품에 따라 대략 1000rpm을 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고속으로 내조를 회전시켜 탈수를 진행하다 보면 내조 내부의 세탁물이 골고루 배치되지 않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즉, 내조 내의 세탁물이 편심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내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세탁물의 편심에 의해 내조가 외조 및 캐비닛에 부딪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재질의 의류가 시판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세탁물의 종류 또는 의류의 재질에 따라 유사 재질의 세탁물을 별도로 모아 따로 세탁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아웃도어 의류시장의 규모도 급격한 증가세를 이루고 있으며, 통상 아웃도어 의류제품의 경우 방수 기능을 가지는 직물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아웃도어 의류를 세탁할 때 방수 직물의 내부에 세탁수가 고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세탁과정 중에 아웃도어 의류의 내부로 스며든 세탁수는 탈수 과정을 통해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이 되어야 하는데 의류의 방수 기능에 의해 탈수 과정 중에 세탁수가 아웃도어 의류의 내부에 그대로 존재할 수 있다.
즉, 풍선의 내부에 물을 담은 경우 같이 아웃도어 의류가 풍선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내부의 세탁수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이하에서는 세탁수가 세탁물의 내부에 고여 있는 상태를 '물풍선 현상'이라 칭한다).
특히, 탈수과정에서 물풍선 현상이 발생되는 세탁물이 수용된 내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일순간 물풍선 현상이 제거되면서 내조 내부의 세탁물에 의한 과도한 편심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같이 탈수과정에서 물풍선 현상이 제거되면 물풍선 현상의 제검된에 따라 발생되는 편심에 의해 내조의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고, 내조의 진동에 의해 내조가 외조와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내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 과정 중에 발생된 편심은 편심량이 작더라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내조에 의해 내조와 외조의 충격량은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량에 의해 탑커버에 구비된 도어가 분리되거나 탑커버가 캐비닛과 분리될 위험이 존재한다.
한편, 물풍선 현상이 발생되는 의류로 아웃도어 제품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방수 기능을 가지는 세탁물은 모두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에 종류 또는 재질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세탁물에 따라 세탁과정을 가변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에 종류 또는 재질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세탁물에 따라 탈수과정을 가변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에 포함된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특정 세탁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내조의 편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에 포함된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특정 세탁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세탁과정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에 포함된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특정 세탁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탈수단계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를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조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검포량 감지단계와, 상기 외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와, 상기 세탁물을 세탁 및 헹굼하는 세탁단계와, 상기 세탁단계 이후에 상기 세탁물의 함습량을 감지하는 습포량 감지단계, 및 상기 세탁물에 포함된 세탈수를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단계에서 상기 세탁물의 포질을 판단하여 상기 탈수단계의 종료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세탁물의 탈수속도로 진입하기 위하여 가속할 때 상기 세탁물 중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을 감지하는 포질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질감지단게는 상기 건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건포량과, 상기 습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습포량을 통하여 상기 세탁물의 함수율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함수율과 상기 건포량의 기준 함수율을 기초로 상기 세탁물중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질감지단계는 상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이 감지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림단계에서 상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의 세탁물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탈수단계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질감지단계는 상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탈수단계의 진입을 위해 상기 내조의 회전속도를 탈수속도로 가속하는 것이 바람작히다.
여기서,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내조의 회전속도를 탈수속도로 가속하고, 상기 탈수속도에 진입한 이후에 세탁물 수분함량에 따라 상기 탈수단계의 종료 시점을 가변하는 포질감지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작히다.
한편, 상기 포질감지단계는 상기 건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건포량과, 상기 습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습포량을 통하여 상기 세탁물의 기준 수분함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내조의 회전속도가 탈수속도로 가속된 상태에서 상기 세탁물의 잔여 수분함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작히다.
또한, 상기 세탁물의 잔여 수분함량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내조의 탈수속도를 소정 속도로 증가시킨 후 일정시간 유지하여 감지하고 상기 탈수속도로 감속하는 하는 것이 바람작히다.
또한, 상기 세탁물의 잔여 수분함량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내조의 탈수속도를 유지할 때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는 것이 바람작히다.
또한, 상기 세탁물의 기준 수분함량이 상기 잔여 수분함량 보다 작을 경우 상기 탈수단계를 종료하고, 상기 세탁물의 기준 수분함량이 상기 잔여 수분함량 보다 클 경우 상기 탈수단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작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세탁물에 종류 또는 재질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세탁물에 따라 세탁과정을 가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세탁물에 종류 또는 재질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세탁물에 따라 탈수과정을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세탁물에 포함된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특정 세탁물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내조의 편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세탁물에 포함된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특정 세탁물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세탁과정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세탁물에 포함된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특정 세탁물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탈수단계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조 회전 속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1포질 감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포질 감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이하 설명되는 의류 처리장치는 탈수기능을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탑로딩 방식과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면(또는 측면)에 구비된 프론트 로딩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가 탑로딩 방식인 의류 처리장지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 처리장지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탈수 기능만을 가지는 탈수기 또는 탈수기능을 가지는 건조기 등 탈수기능을 가지는 의류 처리장치에 모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종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에 한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출입하는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1)와,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4)와, 세탁수가 수용되며 지지부재(120a)에 의해 캐비닛(110)의 내부에 매달리고 댐퍼(120b)에 의해 완충되는 외조(120)와, 외조(1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150)를 포함한다.
내조(150)에는 세탁수가 외조(120)와 내조(150)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외조(120)의 상부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122)이 형성된 외조 커버(123)가 구비된다.
내조(150)의 바닥에는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56)가 구비되고, 외조(120)의 하측에는 내조(150) 및/또는 펄세이터(156)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60)가 배치된다.
캐비닛 커버(111)에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 전반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116)이 구비되고, 캐비닛 커버(111)의 내측에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는 세제박스(118)와 세제박스(118)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급수호스(174)로부터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18)를 경유하여 내조(150) 내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세제박스 하우징(119)이 배치된다. 세제박스 하우징(119)에는 급수호스(174)로부터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18)로 분배되도록 분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호스(184)와 배수펌프(182)는 외조(120)로부터 세탁수를 배수한다.
모터(160)는 내조(150) 또는 펄세이터(156)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모터(160)는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162)와, 코일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발생시켜 회전하는 회전자(164)를 포함한다. 고정자(162)에는 권선된 다수개의 코일 및 내부 저항이 구비된다. 회전자(164)에는 코일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마그넷이 구비된다. 코일과 마그넷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자(164)는 회전한다.
모터(160)에는 회전자(164)의 위치를 측정하는 홀센서(166)가 구비된다. 홀센서(166)는 회전자(164)의 회전에 의하여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킨다. 홀센서(166)에서 발생된 온/오프 신호를 통하여 회전자(164)의 회전속도 및 위치를 추정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의 제어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세탁수의 급수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건포량 감지단계(단계 S110)와, 설정된 급수량에 따라 세탁물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단계 S120), 세제 등을 이용하여 오염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단계(단계 S130), 세탁단계(단계 S130)가 완료된 세탁물에서 세제 등을 제거하는 헹굼단계(단계 S140)와, 헹굼단계(단계 S140)가 완료된 세탁물의 기준 탈수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세탁수가 함유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습포량 감지단계(단계 S150)와, 설정된 기준 탈수시간에 따라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단계 S200)를 을 포함할 수 있다.
건포량 감지단계(단계 S110)는 크게 모터의 관성의 크기를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과 전극 센서를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관성의 크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내조(150) 내의 포량이 많을수록 관성이 크며 관성이 클수록 내조(150)를 가속하거나 감속하는데 필요한 전력 또는 전류가 많이 소요되며, 내조(150)를 가속하거나 감속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특징을 이용한다.
다른 예로, 내조(150)를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전류량은 일정시간 동안 측정될 수 있다. 내조(150) 내의 포량이 많은 경우 내조(150)를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시키는데 소모되는 전력량이 많으며, 포량이 적은 경우 소모되는 전력량이 작게 나타나는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건포량 감지단계(단계 S110)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급수단계(단계 S120)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급수밸브(172) 및 급수호스(174)를 통하여 세탁수를 공급받아 외조(120)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세탁단계(단계 S130)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오염된 세탁물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구체적으로 세탁단계(단계 S130)는 세탁행정 및 배수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행정은 내조(150) 또는 펄세이터(156)를 회전시켜 세탁물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세탁행정에서 내조(150) 또는 펄세이터(156)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서 세탁물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더불어, 세탁행정은 세제박스(118)를 통하여 세제 등이 내조 내로 공급될 수 있으며, 세제 등은 세탁물에서 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세탁행정이 종료되면 세탁수를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행정이 수행된다. 배수행정은 배수펌프(182)를 이용하여 외조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헹굼단계(단계 S140)는 세탁단계(단계 S130)이 완료된 세탁물에서 세제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구체적으로 헹굼단계(단계 S140)은 급수별도의 급수행정, 헹굼행정 및 배수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행정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외조(120)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헹굼행정은 내조(150) 및 펄세이터(156)를 회전시켜 세탁물에서 세제 및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헹굼행정에서 내조(15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서 세탁물에서 세제와 오염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더불어, 헹굼단계(단계 S140)에서는 세제박스(118)를 통하여 유연제 등이 외조(120) 내로 공급될 수 있으며, 헹굼행정이 종료되면 세탁수를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행정이 수행된다. 배수행정은 배수펌프(182) 및 배수호스(184)를 이용하여 외조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급수단계(단계 S120), 세탁단계(단계 S130), 헹굼단계(단계 S140)는 세탁물의 포량 또는 세탁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적어도 한 번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습포량 감지단계(단계 S150)는 헹굼단계(단계 S140)가 완료된 세탁물 및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의 양을 판단하여 탈수단계(단계 S200)에서 소요될 수 있는 기준 탈수시간을 산출한다. 여기서, 기준 탈수시간은 습포량 감지단계에서 판단되는 습포량에 따라 추가적인 조건없이 습포를 탈수하기 위한 시간으로 실질적으로 최대 탈수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탈수시간은 후술할 탈수단계(단계 S200)에 포함되는 제 1포질 감지단계(단계 S210) 및 제 2포질 감지단계(단계 S220)의 결과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한편, 탈수단계(단계 S200)는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탈수단계(단계 S200)는 내조(15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한다. 여기서, 탈수단계(단계 S200)는 세탁물의 포질은 판단하는 제 1포질 판단단계(단계 S210)와 제 2포질 판단단계(단계 S220)를 포함한다.
한편, 제 1포질 판단단계(단계 S210)는 탈수단계(단계 S200)를 시작하기 위하여 내조(15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때 세탁물의 함수율을 판단하여 세탁물의 함수율에 따라 세탁물 내에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수포 등의 세탁물이 포함하는지 판단한다.
제 2포질 판단단계(단계 S220)는 탈수단계(단계 S200)를 시작한 후 내조(150)의 회전속도가 정상 탈수속도까지 회전속도를 증가시킨 이후에 내조(150)의 회전속도를 정상 탈수속도보다 일시적으로 증가시킨 후 감속하여 세탁물의 함수율을 판단하여 산출되는 함수율에 따라 세탁물의 포질을 판단하여 탈수시간을 가변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제 1포질 판단단계(단계 S2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1포질 감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포질 판단단계(단계 S210)는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포질의 세탁물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세탁물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탈수단계(단계 S200)를 종료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포질 판단단계(단계 S210)는 세탁물의 함수율을 기초로하여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을 판단하기 위하여 함수율을 산출한다(단계 S211).
즉, 함수율가 높은 포질의 세탁물은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세탁물을 의미한다. 고함수포로는 수건 등과 같은 면 직물로 구성된 세탁물일 수 있다. 반대로 저함수포의 경우 세탁물이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세탁물을 의미한다.
이후, 산출되는 함수율와 기준 함수율을 비교하여 세탁물의 함수율이 낮은 저함수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2). 함수율 판단단계(단계 S212)에서 세탁물이 기준 함수율보다 낮은 저함수포로 판단된 경우에는 탈수단계(단계 S200)의 진행을 위해 내조의 회전속도를 가속한다(단계 S214). 또한, 함수율 판단단계(단계 S212)에서 세탁물이 기준 함수율보다 높은 고함수포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 1포질 제거단계(단계 S213)을 진행한다.
세탁물이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세탁물을 포함하고 있다면 세탁물 내부에 형성된 물풍선에 의해 함수율가 높게 측정될 것이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세탁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함수율가 낮게 측정될 것이다. 따라서, 함수율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세탁물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함수율 판단단계(단계 S212)에서 판단기준으로 사용되는 함수율은 세탁물이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함수율가 높을수록 세탁물은 수분을 흡수, 보유하는 능력이 높으며, 함수율가 낮을수록 수분을 흡수, 보유하는 능력이 낮다.
한편, 함수율는 초기포량와 탈수포량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초기포량는 수분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의 건조포량을 의미하며, 상술한 건포량 감지단계(단계 S110)에서 산출된다. 그리고, 탈수포량는 헹굼단계(단계 S140)의 배수행정이 종료된 후에 세탁물이 세탁수에 충분히 적셔진 과포화 상태의 포량을 의미하며, 상술한 습포량 감지단계(단계 150)에서 산출된다.
따라서, 건조포량(즉, 초기포량에 비해 탈수포량가 높은 경우 함수율가 높으며, 건조포량에 비해 탈수포량가 낮은 경우 함수율가 낮다. 수건과 같은 세탁물의 경우 함수율가 높다. 또는, 면으로 구성된 속옷의 경우 함수율가 높을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함수율를 초기포량과 탈수포량의 비율로 정의하였으나 세탁물이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치는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함수율 판단단계(단계 S212)에서 함수율가 기준함수율 보다 낮은 경우 세탁물이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의 세탁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탈수단계를 진행하기 위하여 내조의 회전속도를 탈수속도 가속한다(단계 S214).
또한, 함수율 판단단계(단계 S212)에서 함수율가 기준함수율 보다 높은 경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의 세탁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컨트롤 패널(116)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에러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의 세탁물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탈수단계(단계 S200)를 종료할 수 있다(단계 S215).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제 2포질 판단단계(단계 S2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포질 감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포질 판단단계(단계 S220)는 제 1포질 감지단계(단계 S210)를 통과하여 내조(150)의 회전속도가 탈수단계(단계 S200)의 탈수속도로 가속된 이후에 세탁물의 잔여 수분 함량에 따라 탈수단계의 종료시간을 가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2포질 감지단계(단계 S220)는 탈수단계(단계 S200)의 탈수속도가 유지되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탈수단계(단계 S200)의 탈수속도 지속시간이 가변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포질 감지단계(단계 S220)는 건포량 감지단계(단계 S110)에서 감지되는 건포량과, 습포량 감지단계(단계 S150)에서의 습포량을 기초로하여 세탁물의 기준 수분함량을 산출한다(단계 S221). 여기서, 기준 수분함량은 건포량과 습포량에 따른 기준 수분함량이 정의되는 별도의 테이블에서 산출될 수 있다.
이후, 탈수단계(단계 S200)로 진입한 이후에 세탁물의 탈수를 위하여 내조(150)의 회전속도를 탈수속도인 약 840rpm으로 가속한다(단계 S214).여기서, 탈수속도는 검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건포량 또는 습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습포량에 따라 가변되며, 탈수 시간도 건포량 또는 습포량에 따라 가변되어 설정된다.
이후, 탈수단계(단계 S200)가 진행됨에 따라 탈수속도록 가속된 이후에 내조의 포량을 감지하여 잔여 수분함량을 산출한다(단계 S223). 여기서, 탈수속도로 진입한 내조(150)의 회전속도의 경우 비교적 빠른 rpm을 갖는 것으로, 모터(160)의 홀센서 또는 모터(160)의 전류값 변화를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
이에, 탈수속도로 회전되는 내조(150) 내부의 포량은 내조(150)를 회전시키는 모터(160)의 토크(T), 모터(160)의 마찰계수(B) 및 모터(160)의 회전속도(Wm)를 이용하여 포량상수(Jm)를 산출하고, 산출되는 포량상수(Jm)에 따라 내조의 포량 및 잔여 수분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포량상수(Jm)를 산출하기위한 공식은 아래와 같다.
[공식 1]
Figure pat00001
한편, 잔여 수분함량은 건포량 감지단계(단계 S110)에서 산출되는 세탁물의 건조포량과, 탈수단계(단계 S200)에서 탈수속도로 지속되는 내조의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별도의 테이블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산출되는 포량상수(Jm)에 따라 포량상수에 해당하는 포질의 세탁물(예를 들어 기능성 의류, 면질 의류, 청바지/가을 점퍼류, 겨울점퍼/이불류 등) 및 잔여 수분함량이 세탁코스, 포질에 따른 포량에 대응되어 정의되어 있으며 산출되는 포량상수(Jm)에 따라 세탁물의 포질에 감안한 잔여 수분함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탈수속도로 진입한 내조(150)의 포량 및 잔여 수분함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통상의 탈수속도를 유지하여 진행할 수 있으나, 내조(150)의 회전속도를 일시적으로 가속시키고 일정시간 유지한 후 감속하여 내조(150)의 포량을 감지하여 잔여 수분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공식1]의 경우 모터(160)의 회전속도가 커질수록 포량상수의 값이 커질수 있어 탈수속도보다 일시적으로 내조(150)를 회전시키는 모터(16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포량상수(Jm)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탈수속도의 진행 중 내조(150)의 회전속도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고 일정시간 유지한 후 감속시키되, 내조(150)의 회정속도가 탈수속도보다 증가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유지하는 내조 가/감속단계(단계 S222)더 진행하여 내조의 회정속도가 탈수속도 보다 증가되어 일정시간 유지될 때 포량상수(Jm)를 산출하고, 산출된 포량상수를 기초로하여 잔여 수분함량을 테이블에서 산출할 수 있다.
이후, 건포량 감지단계(단계 S110)에서 감지되는 건포량과, 습포량 감지단계(단계 S150)에서의 습포량에 의해 산출되는 기준 수분함량 산출과정(단계 S221)에서 산출되는 기준 수분함량과, 탈수속도로 집입한 상태에서 산출되는 잔여 수분함량을 비교하여 탈수단계의 종료 및 진행을 판단한다(단계 S224).
즉, 탈수속도에서 산출되는 잔여 수분함량이 기준 수분함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내조(150)에서 탈수되고 있는 세탁물의 포질에서 더 이상 탈수가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탈수속도에서 산출되는 잔여 수분함량이 기준 수분함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탈수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단계 S225)
또한, 탈수속도에서 산출되는 잔여 수분함량이 기준 수분함량보다 클 경우에는 내조(150)에서 탈수되고 있는 세탁물의 포질에서 탈수될 수 있는 수분함유량이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 함으로 현재 탈수속도를 유지하고, 상술한 내조 가속 후 감속단계(S222), 잔여 수분함량 산출단계(단계 S223) 및 기준 수분함량과 잔여 수분함량 비교단계(단계 S224)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기준 수분함량과 잔여 수분함량 비교단계(단계 S224)에서의 비교에 따라 탈수단계를 종료하거나, 설정된 탈수시간이 종료됨에 따라 탈수 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에 종류 또는 재질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세탁물에 따라 세탁과정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에 종류 또는 재질에 따라 세탁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세탁물에 따라 탈수과정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에 포함된 물풍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특정 세탁물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내조의 편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이며, 세탁단계 및 탈수단계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의류 처리장치 110: 캐비넷
120: 외조 150: 내조
160: 모터 162: 고정자
164: 회전자 170: 급수부
180: 배수부 200: 제어부

Claims (11)

  1. 세탁수를 수용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와 상기 내조를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조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검포량 감지단계와,
    상기 외조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와,
    상기 세탁물을 세탁 및 헹굼하는 세탁단계와,
    상기 세탁단계 이후에 상기 세탁물의 함습량을 감지하는 습포량 감지단계, 및
    상기 세탁물에 포함된 세탈수를 제거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단계에서 상기 세탁물의 포질을 판단하여 상기 탈수단계의 종료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세탁물의 탈수속도로 진입하기 위하여 가속할 때 상기 세탁물 중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을 감지하는 포질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질감지단게는
    상기 건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건포량과, 상기 습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습포량을 통하여 상기 세탁물의 함수율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함수율과 상기 건포량의 기준 함수율을 기초로 상기 세탁물중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질감지단계는 상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이 감지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에서 상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의 세탁물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탈수단계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질감지단계는 상기 물풍선 현상을 발생시키는 포질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탈수단계의 진입을 위해 상기 내조의 회전속도를 탈수속도로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내조의 회전속도를 탈수속도로 가속하고, 상기 탈수속도에 진입한 이후에 세탁물 수분함량에 따라 상기 탈수단계의 종료 시점을 가변하는 포질감지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질감지단계는
    상기 건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건포량과, 상기 습포량 감지단계에서 감지되는 습포량을 통하여 상기 세탁물의 기준 수분함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내조의 회전속도가 탈수속도로 가속된 상태에서 상기 세탁물의 잔여 수분함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저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잔여 수분함량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내조의 탈수속도를 소정 속도로 증가시킨 후 일정시간 유지하여 감지하고 상기 탈수속도로 감속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잔여 수분함량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내조의 탈수속도를 유지할 때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의 기준 수분함량이 상기 잔여 수분함량 보다 작을 경우 상기 탈수단계를 종료하고, 상기 세탁물의 기준 수분함량이 상기 잔여 수분함량 보다 클 경우 상기 탈수단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164110A 2018-12-18 2018-12-18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5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110A KR102659983B1 (ko) 2018-12-18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9/016589 WO2020130405A1 (ko) 2018-12-18 2019-11-28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7/415,446 US20220025568A1 (en) 2018-12-18 2019-11-28 Method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110A KR102659983B1 (ko) 2018-12-18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39A true KR20200075439A (ko) 2020-06-26
KR102659983B1 KR102659983B1 (ko) 2024-04-24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25568A1 (en) 2022-01-27
WO2020130405A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407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US920040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752895B1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41172B1 (ko)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20140039523A (ko)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48352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JP2008194090A (ja) 洗濯機
JP2012157417A (ja) 洗濯機
JP3651206B2 (ja) ランドリー機器
WO2013011605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00094889A (ko) 세탁기의 탈수 행정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89026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JP5501091B2 (ja) 洗濯乾燥機
US202200255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659983B1 (ko)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60004132A (ko) 드럼세탁기의 탈수방법
JP2004230063A (ja) 洗濯機
JP2007307236A (ja) 洗濯乾燥機
KR201100483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WO2012124306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11003B1 (ko) 드럼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방법
KR20070075487A (ko) 직립식 세탁기의 탈수방법
KR2024002921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25455B1 (ko) 인공지능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16151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