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172B1 -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172B1
KR102541172B1 KR1020160117044A KR20160117044A KR102541172B1 KR 102541172 B1 KR102541172 B1 KR 102541172B1 KR 1020160117044 A KR1020160117044 A KR 1020160117044A KR 20160117044 A KR20160117044 A KR 20160117044A KR 102541172 B1 KR102541172 B1 KR 10254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ehydration
rpm
spin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333A (ko
Inventor
배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172B1/ko
Priority to US16/332,167 priority patent/US11098431B2/en
Priority to EP17849119.7A priority patent/EP3511462A4/en
Priority to PCT/KR2017/009852 priority patent/WO2018048235A1/ko
Publication of KR2018002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이 가속되어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분산되는 포분산단계 및 드럼의 편심량 감지가 수행되며, 드럼이 탈수RPM까지 회전하여 탈수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며, 포분산단계는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면 재 수행되며, 탈수단계는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는 초과시점 이후에 측정되는 탈수도에 따라 드럼이 탈수RPM으로 회전하는 회전시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Spinning course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물의 세탁과정을 통해 의류 등의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과,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프론트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 및 세탁물의 낙하 충격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 세탁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드럼 세탁 방식은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내부에 드럼이 구비되고, 드럼 내부에 공급된 세탁수에 세탁물이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는 펄세이터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펄세이터 방식은 드럼의 회전이나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과 세제의 작용으로 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길 정도로 세탁수가 공급되어야만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수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세탁장치의 세탁과정은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행정, 세탁 후 헹굼수를 공급하여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과 잔여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 및 오염물질과 잔여세제가 제거된 세탁물로부터 수분 등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한다.
탈수행정은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을 거친 세탁물이 드럼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는 행정이다. 탈수행정에서는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분포하는 세탁물의 편심 분포가 이루어지면, 드럼의 고속회전시 심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탈수행정에서는 세탁물이 편심분포에 따른 편심량을 감지한 후 감지된 편심랑 허용치를 초과하면 회전하는 드럼을 정지시키거나 낮은 회전속도로 감속한 후 드럼 가속시켜 세탁물을 드럼의 내주면에 고르게 분산시킨 후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한다. 이 경우 대개 탈수행정에서 탈수RPM으로 드럼이 회전하는 시간은 고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편심랑 허용치 초과에 따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하면, 그 반복되는 과정에서 세탁물의 수분이 일정수준으로 제거됨에도 불구하고, 탈수행정은 최초 고정된 시간동안 탈수RPM으로 드럼이 회전한다. 따라서, 탈수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탈수행정이 수행되는 시간이 미리 고정되어 설정된 경우에는 세탁물에 충분히 탈수되지 않는 상태에서 탈수행정이 종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수행정에서 세탁물의 상태에 따라 탈수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드럼이 가속되어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분산되는 포분산단계; 및 상기 드럼의 편심량 감지가 수행되며, 상기 드럼이 탈수RPM까지 회전하여 탈수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분산단계는 상기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면 재 수행되며,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는 초과시점 이후에 측정되는 탈수도에 따라 상기 드럼이 탈수RPM으로 회전하는 회전시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탈수도는 상기 포분산단계가 재 수행되는 횟수 및 상기 초과시점부터 상기 탈수RPM도달 시점까지의 드럼의 평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탈수도는 상기 초과시점부터 상기 탈수RPM도달 시점까지의 드럼의 회전시간 및 드럼의 펑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탈수단계는 세탁물이 최초로 간이 탈수되도록 상기 드럼이 선행간탈RPM으로 회전하는 선행간탈단계; 및 상기 선행간탈단계 이후에 세탁물이 다시 간이 탈수되도록 상기 드럼이 후행간탈RPM으로 회전하는 후행간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도는 상기 선행간탈RPM의 도달시점 이전에 측정되는 제1 탈수도; 및 상기 제1 탈수도 측정 이후 상기 후행간탈RPM의 도달시점 이전에 측정되는 제2 탈수도;를 포함하며, 상기 후행간탈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탈수도에 따라 상기 드럼이 상기 후행간탈RPM으로 회전하는 회전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선행간탈단계는 상기 드럼이 상기 선행간탈RPM으로 회전하는 회전시간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행간탈RPM은 상기 선행간탈RPM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탈수단계는 세탁물이 최종 탈수되도록 상기 드럼이 본탈RPM까지 회전하는 본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탈단계는 상기 드럼이 본탈RPM까지 가속되는 본탈가속단계; 및 상기 본탈가속단계 이후에 상기 드럼이 본탈RPM으로 회전하는 본탈RPM유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탈가속단계는 상기 드럼의 가속도가 상기 탈수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본탈단계는 상기 본탈가속단계의 진입시간이 측정되며, 상기 측정된 진입시간이 미리 설정한 진입시점보다 지연되면, 상기 본탈가속단계의 상기 드럼의 가속도는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포를 분산하는 단계가 수차례 반복되어도 탈수행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지 않는다.
둘째, 탈수행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세탁물의 상태에 따라 조절되므로 포로부터 충분한 수분이 제거된 다음에 탈수행정이 종료된다.
셋째, 탈수행정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세탁장치의 주요 구성 간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드럼의 회전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해당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해당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용소를 다른 구성용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용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세탁장치의 주요 구성간에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40) 세탁기(1)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11)가 형성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1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1),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30), 터브(3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0), 모터(50)에 연결되는 회전축(55), 회전축(55)에 연결되어 모터(50)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40),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세탁장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17)을 포함한다.
도 1에는 모터(50)가 직접 회전축(55)과 연결되어 드럼(4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컨트롤패널(17)이 캐비닛(10) 전면에 구비되는 구조가 도시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캐비닛(10)은 드럼(40)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세탁물 투입구(11)가 형성된다. 캐비닛(10)은 세탁물 투입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도어(11)가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11)를 개폐함으로써 드럼(40)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40) 내부에서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여기서, 도어(11)는 드럼(40)을 바라보는 도어 내측면(14)이 드럼(40)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11)를 밀어서 닫으면, 도어(11)의 내측면 중 일부분이 드럼(4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세탁물이 드럼(40) 내부에서만 세탁되며 드럼(40)의 회전에 의한 세탁시 드럼(40)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터브(3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30)는 세탁수가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내부로 급수된다. 또한, 터브(3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주면 및 양단부로 구분될 수 있다. 터브(30)의 양단부 중 전단부는 터브(30)의 전방면(33)을 이루며 후단부는 터브(30)의 후방면(35)을 이룬다. 터브(30)의 전방면(33)에는 드럼(4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방 개구부가 형성된다.
터브(30)는 원주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1)과 댐퍼(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터브(30)는 원주면이 스프링(21)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30)는 드럼(40)과 달리 모터(50)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터브(30)의 상측에는 터브(30)의 내부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가 연결된다.
급수장치는 외부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깨끗한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61), 급수 밸브(61)를 통과한 물을 안내하는 급수호스(62), 급수호스(6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미리 저장된 세제와 혼합한 후 배출하도록 형성된 세제공급장치(63), 세제공급장치(63)에서 배출되는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터브(3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일단이 세제공급장치(63)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30)의 상부에 연결된 급수관(64)을 포함한다. 급수관(64)은 터브(30)의 진동이 세제공급장치(6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벨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브(30)의 하측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배수장치는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7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71)에 연결되어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7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73) 및 일단이 배수펌프(7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후면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펌프(71)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수관(75)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73)은 터브(30)의 진동이 배수펌프(71)에 전달되지 않도록 밸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터브(30)와 캐비닛(10)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도어(11)와 터브(30)의 전방 개구부 사이 즉, 캐비닛(10)의 전면과 터브(30)의 전방 개구부 사이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수 유입을 방지하고자 가스켓(15)이 캐비닛(10)의 전면과 터브(30)의 전방 개구부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스켓(15)은 모터(50)의 진동이가스켓(15)을 통해 캐비닛(10)에 전달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드럼(40)은 터브(3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다. 드럼(40)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터브(30)와 마찬가지로 원주면 및 양단부로 구분될 수 있다. 드럼(40)의 양단부 중 전단부는 드럼(40)의 전방면(43)을 이루며 후단부는 드럼(40)의 후방면(45)을 이룬다.
드럼(40)은 후방면(45)이 모터(50)에 연결되는 회전축(55)에 직결되어 모터(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드럼(40)은 모터(50)에 의해 회전시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나 세탁수의 일부를 들어올려 낙하시키도록 내주면에 리프터(49)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드럼(40)이 모터(50)에 의해 회전하면, 리프터(49)는 드럼(40)과 같이 회전하면서 일측면으로 세탁물이나 세탁수의 일부를 들어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드럼(40)은 복수개의 통공(47)이 측벽 즉, 윈주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통공(47)을 통하여 드럼(40)은 터브(3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3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드럼(4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47)을 통하여 드럼(40)의 내부로 인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세탁장치는 후술하게 될 탈수행정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포량감지부(81), 편심량감지부(83), 진동량감지부(85), 구동부(50) 및 제어부(1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포는 세탁물을 의미하며, 포량은 세탁물의 무게를 의미한다. 이하 포와 포량에 대해서는 상술한 의미로 사용한다.
포량감지부(81)는 드럼(40) 내에 투입된 포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포량에 따라 달라지는 구동부(50)의 구동 특성, 예를 들어, 소정의 회전 속도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 가속 회전시의 가속 기울기 또는 속도 증가량, 제동시의 감속 기울기 또는 속도 감소량, 제동까지 걸리는 시간 등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편심량감지부(83)는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편심량감지부(83)는 드럼(40) 내에서의 포의 분포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구동부(50)의 회전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5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가 구동부(50)와는 별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르게는, 구동부(50)에 구비된 인코더(encoder) 등의 전류 감지부를 이용하여 구동부(50)의 출력 전류값을 측정하고, 상기 출력 전류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편심량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량감지부(85)는 드럼(4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편심량감지부(83)와는 별개로 구비된다. 진동량감지부(85)는 드럼(4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라 운동하는 질량체의 변위 또는 진동주기를 기초로 진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드럼(40) 또는 펄세이터(미도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모터(50), 일단이 모터(50)에 연결되고 타단이 드럼(40)에 연결되는 회전축(55)으로 이루어진다.
제어부(10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 및 미리 입력된 프로세스에 따라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세탁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세탁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00)는 포량감지부(81), 편심량감지부(83) 및 진동량감지부(85)가 생성한 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여 구동부(50)를 제어하고, 각각의 단계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탁장치들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세탁장치는 일반적으로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포함하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에서는 특히 탈수행정에 대해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단계(S200)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드럼(40)의 회전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 크게 포분산단계(S100)와 탈수단계(S200)를 포함한다.
포분산단계(S100)는 드럼(40)을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내부의 포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단계이며, 탈수단계(S200)는 드럼(40)을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하지만, 이러한 포분산단계(S100) 및 탈수단계(S200)는 그 주된 기능을 중심으로 명명한 것이며, 그 명칭에 따라 각 단계에서의 기능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포분산단계(S100)는 포분산뿐만 아니라 드럼(40)의 회전에 의해 포에서 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탈수단계(S200)의 수행중에도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포분산단계(S100)는 습포감지단계(S110) 및 포풀림단계(S12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습포감지단계(S110)는 헹굼행정 종료 후 수분에 젖은 포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습포감지단계(S110)는 탈수행정을 이루는 단계 중 제일 먼저 수행되는 단계이며, 포량감지부(81)가 드럼(40) 내부의 포량, 즉 습포량을 감지하게 된다(S110). 포량감지부(81)는 습포량을 감지한 후 감지한 습포량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습포량을 감지하는 이유는 세탁행정의 초기에 젖어있지 않은 포량, 즉 건포량을 감지하였더라도 수분을 함유한 포의 무게는 건조한 포의 무게와 다르기 때문이다. 감지된 습포량은 후술하는 가속단계에서 드럼(40)을 가속하기 위한 허용조건을 결정하거나, 가속단계에서 드럼(40)을 감속하여 포분산단계(S100)를 다시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드럼(40) 내부의 습포량은 드럼(40)을 제1 회전속도(RPM 1), 예를 들어 대략 100 내지 110 RPM 정도, 바람직하게는 108 RPM으로 가속하여 소정시간 동안 정속운전하고 감속하는 경우에 측정된다. 드럼(40)을 감속하는 경우에 발전제동을 이용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드럼(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1)의 가속 시의 가속구간 회전량, 감속 시의 감속구간 회전량 및 인가된 모터 DC 전원 등을 이용하여 습포량을 감지하게 된다.
포풀림단계(S120)는 습포감지단계(S110)가 수행된 이후에 수행된다. 포풀림단계(S120)는 제어부(100)가 드럼(40)을 가속시켜 드럼(40) 내부의 포를 고르게 분산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포풀림단계(S120)는 포들이 드럼(40) 내부의 특정영역에 집중되어 드럼(40)의 편심량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편심량이 상승하면 드럼(40)의 회전속도 상승 시 소음 및 진동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포풀림단계(S120)는 구체적으로 드럼(40)을 소정의 기울기로 일방향으로 가속하여 후술하는 편심감지단계의 회전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된다.
한편, 포분산단계(S100)는 습포감지단계(S110) 및 포풀림단계(S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40)의 편심량 감지와 드럼(40)의 진동량 감지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은의 탈수단계(S200)는 드럼(40)을 회전시켜 세탁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며 후술하는 일련의 과정을 적어도 한 번 포함한다.
우선, 탈수단계(S200)는 정속 회전하는 드럼(40)의 편심량이 감지된다(S310).
이때 편심량이 기준허용치인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면(S320-N), 다시 포분산이 수행된다(S380).
편심량이 기준허용치인 기준편심량을 초과하지 않으면(S320-Y), 드럼(40)이 가속되면서 가속중인 드럼(40)의 편심량이 감지된다(S330).
이때, 편심량이 기준 허용치인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면(S340-N), 포분산이 수행된다(S380).
편심량이 기준 허용치인 기준편심량을 초과하지 않으면(S340-Y), 포의 물 빠짐 상태를 나타내는 탈수도가 설정된다(S350).
이후, 탈수RPM으로 드럼(40)회전이 회전하는 회전시간을 탈수도에 따라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탈수RPM유지단계의 수행시간을 탈수도에 따라 설정한다 (S360). 여기서 탈수도란 세탁물의 물 빠짐 정도를 나타내며,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측정이 된다. 탈수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후 드럼(40)은 탈수도에 따라 설정된 수행시간 동안 탈수RPM으로 회전한다(S370).
탈수단계(S200)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후술하게 될 세탁물을 간이 탈수하는 간이 탈수단계와 세탁물을 최종적으로 탈수하는 본 탈수단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후술하게 될 제1 간탈단계(S210)로 이루어진 선행간탈단계와 제2 간탈단계(S230)로 이루어진 후행간탈단계와 제3 간탈단계(S250)를 각각 구성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탈수단계(S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탈수단계(S200)는 세탁물이 간이 탈수되는 간탈단계, 드럼(40)이 최종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탈수하는 본탈단계(S270)를 포함한다.
간탈단계는 포분산단계(S100)가 종료된 후에 수행되며, 세탁물이 최초로 간이 탈수되는 선행간탈단계인 제1 간탈단계(S210)와, 선행간탈단계 이후에 세탁물이 다시 간이 탈수되도록 후행간탈단계인 제2 간탈단계(S230) 및 제3 간탈단계(S2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준편심량과 기준진동량은 모두 기준허용치로 통칭될 수 있다. 제1 간탈단계(S210)는 정속 회전하는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제1 편심감지단계(S211), 제1 편심감지단계(S211) 수행 이후 드럼(40)을 가속하여 가속 중인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제1 가속단계(S213) 및 제1 가속단계(S213) 수행 이후 드럼(40)이 탈수RPM을 유지한 채 회전하는 제1 탈수RPM유지단계(S215)를 포함한다.
제1 편심감지단계(S211)는 포분산단계(S100) 이후에 수행되며, 제어부(100)가 드럼(40)이 100 RPM 내지 110 RPM (RPM 1)까지, 바람직하게는 108 RPM으로 정속 회전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이때 편심량감지부(83)가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이후 편심량감지부(83)는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한 후 감지된 편심량을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편심량을 전달받은 제어부(100)는 드럼(40)의 가속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드럼(40) 내부의 포가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드럼(40) 내부의 소정영역에 집중되면 편심량이 커지게 되며 드럼(4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소음 및 진동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 편심감지단계(S211)는 드럼(40)이 회전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가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편심을 감지할 수 있다. 편심이 발생한 드럼(40)은 편심이 발생한 정도에 따라 중력을 따라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중력과 반대되어 위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속도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편심량감지부(83)는 이러한 가속도 차이를 구동모터(141)에 구비된 홀센서와 같은 속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편심량을 감지한 후 편심량을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1 편심감지단계(S211)에서 편심량감지부(83)가 편심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드럼(40) 내부의 포는 드럼(40)이 회전을 하여도 드럼(40) 내주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드럼(40)의 내주면에 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드럼(40)은 대략 100 내지 110 RPM 정도의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일정한 습포량이 수용된 드럼(40)의 편심량이 기준편심량 이상인 경우, 드럼(40)을 고속으로 가속하게 되면 드럼(40)의 진동 및 소음이 현저하게 커진다. 따라서, 제어부(100)에는 습포량에 따라 가속을 허용하는 기준편심량이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테이블(table) 형태로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감지된 습포량 및 편심량을 상기 테이블에 적용하여 가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감지된 습포량에 따른 편심량이 기준편심량 이상이면, 전술한 포분산단계(S100)를 다시 수행되며 이후 다시 편심감지단계가 수행된다.
한편, 포분산단계(S100)에 의해 드럼(40) 내부에 극심하게 뭉쳐있는 포들이 드럼(40) 내부에 고르게 분산되지 않거나 세탁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감지된 편심량이 기준편심량 이하를 만족하지 못하고 계속하여 포분산단계(S100)와 편심감지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행정이 시작되고 나서 드럼(40)이 가속되지 않고 소정시간, 예를 들어 대략 20 내지 30분을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100)는 드럼(40)의 회전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탈수행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았음을 알리게 된다. 감지된 습포량에 따른 편심량이 기준편심량 이하인 경우에는 가속허용조건을 만족하므로 후속하는 가속단계를 포함한 탈수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
제1 가속단계(S213)는 제어부(100)가 드럼(40)이 130 RPM 내지 150 RPM (RPM 2)까지 가속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고 편심량감지부(83)가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속단계(S213)에서 편심량감지부(83)가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진동량감지부(85)에 의해 드럼(40)의 진동량이 감지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제2 가속단계(S233), 제3 가속단계(S253) 및 본탈가속단계(S271)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탈수RPM 유지단계(S215)는 제어부(100)가 드럼(40)이 제1 탈수RPM인 대략 130 내지 150RPM (RPM 2)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여 포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 간탈단계(S210)는 기준허용치인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는 드럼(40)의 편심량이 측정되어도 포분산단계(S100)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100)가 드럼(40)의 회전이 멈추거나 매우 낮은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드럼(40)이 비교적 낮은 RPM으로 회전하는 제1 간탈단계(S210)는 드럼(40)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이 크지 않으므로 드럼(40)의 회전을 멈추게 하거나 드럼(40)이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할 필요가 없으며, 미리 포로부터 수분을 일정 수준이상 제거하여 이후에 수행되는 고속의 탈수단계(S200)들에 의해 발생하는 드럼(40)의 편심 정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제1 탈수RPM 유지단계(S215)가 수행되는 수행시간(T1)도 탈수도에 따라 조절되지 않으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탈수도는 후술하는 제1 탈수도, 제2 탈수도, 제3 탈수도 및 제4 탈수도를 포함한다. 제1 간탈단계에서의 탈수도는 제1 탈수도이다. 제1 탈수도는 포풀림단계(S130) 개시 이후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1 탈수RPM 유지단계(S215) 개시시점까지 세탁물이 탈수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은 대략적으로 편심량의 기준편심량 초과로 인한 포분산단계(S110)의 재 수행 개시시점으로도 볼 수 있다.
한편, 제1 탈수도는 일 예로 포분산단계가 재 수행되는 횟수 및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1 탈수RPM유지단계(S215)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드럼의 평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에는 탈수도를 나타내는 탈수데이터가 감지된 포량 및 탈수행정이 진행에 따른 구간별로 미리 설정된다. 제1 탈수도는 이렇게 미리 설정된 탈수데이터에 포분산단계가 재 수행되는 횟수에 비례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정된 일련의 제1 가중치들 중 해당 재 수행 횟수에 대응하는 제1 가중치가 더해지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제1 탈수도는 드럼의 평균RPM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일련의 제2 가중치들 중 해당 제2 가중치가 더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탈수도는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1 탈수RPM(RPM 2)도달 시점까지의 드럼의 회전시간 및 드럼의 펑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에는 탈수도를 나타내는 탈수데이터가 감지된 포량 및 탈수행정이 진행에 따른 구간별로 미리 설정된다. 제1 탈수도 이렇게 미리 설정된 탈수데이터에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1 탈수RPM(RPM 2)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드럼의 회전시간에 비례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정된 일련의 제3 가중치들 중 해당 재 수행 횟수에 대응하는 제3 가중치가 더해지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제1 탈수도는 드럼의 평균RPM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일련의 제4 가중치들 중 해당 제4 가중치가 더해질 수 있다.
제1 간탈단계(S210)가 수행된 이후, 제2 간탈단계(S230)가 수행된다. 제2 간탈단계(S230)는 정속 회전하는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제2 편심감지단계(S231), 제2 편심감지단계(S231) 수행 이후 가속 중인 드럼(40)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제2 가속단계(S253) 및 제2 가속단계(S253) 수행 이후 드럼(40)이 탈수RPM을 유지한 채 회전하는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를 포함한다.
제2 편심감지단계(S231)는 제1 편심감지단계(S211)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00)가 드럼(40)이 대략 100 내지 110 RPM (RPM 1)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며, 이후 편심량감지부(83)가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감지된 편심량이 기준허용치인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00)가 드럼(40)의 회전을 멈추거나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포분산단계(S100)를 수행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한다.
제2 가속단계(S253)는 제어부(100)가 드럼(40)이 대략 100 내지 110 RPM (RPM 1)으로부터 제2 탈수RPM인 대략 350 내지 400 RPM (RPM 3)까지 가속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고, 편심량감지부(83) 가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이러한 제2 가속단계(S253)는 감지된 습포량에 따른 편심량이 기준허용치인 기준편심량 이하인 경우 즉, 가속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수행된다.
제2 가속단계(S253)가 수행되는 동안 드럼(40)의 회전속도는 과도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과도영역이라 함은 세탁장치의 시스템에 따라 공진이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공진주파수가 포함되는 소정 RPM 대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과도영역은 세탁장치의 시스템이 결정되면, 결정된 시스템에 따라 발생하는 고유의 진동특성이다. 과도영역은 세탁장치의 시스템에 따라 변화하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대략 200 내지 350 RPM의 범위의 과도영역구간을 가질 수 있다. 드럼(40)의 회전속도가 상기 과도영역을 통과하는 경우에 세탁장치에 공진이 발생하여 세탁장치의 소음 및 진동이 현저하게 커지게 된다. 이러한 세탁장치의 소음 및 진동은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나아가 드럼(40)의 가속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과도영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가속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소음 및 진동을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가속단계(S253)가 수행되는 동안 편심량감지부(83)는 드럼(40)의 편심량을 계속해서 감지한다. 드럼(40)의 회전속도가 과도영역 구간을 통과하거나, 포의 종류에 따라 물빠짐 정도가 달라 드럼(40)이 회전할수록 드럼(40)의 편심이 심해지는 경우 드럼(40)의 진동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편심량감지부(83) 에 의해 감지된 편심량이 기준허용치인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면, 제어부(100)는 드럼(40)이 회전을 멈추거나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한 후 다시 포분산단계(S100)를 수행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한다.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는 제어부(100)가 드럼(40)이 제2 탈수RPM인 대략 350 내지 400 RPM (RPM 3)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한다. 제2 간탈단계(S230)에 이루어지는 상당부분의 물 빠짐은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에서 이루어진다.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의 수행시간은 고정될 수 있다.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의 수행시간이 고정되면,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 이전에 편심량 계속해서 기준허용치를 초과함에 따라 포분산단계(S100)가 수차례 반복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도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는 고정된 수행시간 동안 수행된다.
이에 따라, 포분산단계(S100)가 수차례 반복하여 수행되면, 탈수행정의 마지막 단계인 본탈단계(S270)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체의 탈수행정의 수행시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본탈단계(S270)에 진입조차 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전체의 탈수행정의 수행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는 전체의 탈수행정에 소요되는 수행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반복 수행되는 포분산단계(S100)에 의해서도 포로부터 수분이 일정수준까지 제거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가 세탁물 즉 포의 물 빠짐 상태를 나타내는 탈수도에 따라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의 수행시간(T2)이 조절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탈수도는 드럼(40)의 회전속도와 드럼(40)의 회전시간에 의존할 수 있다. 제2 간탈단계에서(S230)의 탈수도는 제2 탈수도이다. 이하 제2 탈수도에 대해서는 제1 탈수도와 중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설명한다.
제2 탈수도는 제2 간탈단계에서(S230) 개시 이후에 설정되며,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2 탈수RPM 유지단계(S235) 개시시점까지 세탁물이 탈수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은 대략적으로 제2 간탈단계(S230)의 개시 이후이며, 편심량의 기준편심량 초과로 인한 포분산단계(S110)의 재 수행 개시시점으로도 볼 수 있다.
제2 탈수도는 일 예로 제2 간탈단계(S230) 개시 이후에 세탁물이 탈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제2 간탈단계(S230) 개시 이후의 포분산단계(S100)가 재 수행되는 횟수 및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드럼의 평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탈수도는 제2 간탈단계(S230) 개시 이후의 측정되며,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2 탈수RPM(RPM 2)도달 시점까지의 드럼의 회전시간 및 드럼의 펑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2 탈수도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제1 탈수도의 경우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2 간탈단계(S230)가 수행된 이후 제3 간탈단계(S250)가 수행된다. 제3 간탈단계(S250)는 정속 회전하는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제3 편심감지단계(S251), 제3 편심감지단계(S251) 수행 이후 가속 중인 드럼(40)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제3 가속단계(S253) 및 제3 가속단계(S253) 수행 이후 드럼(40)이 탈수RPM을 유지한 채 회전하는 제3 탈수RPM유지단계(S55)를 포함한다. 제3 간탈단계(S250)는 제2 간탈단계(S230)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편심감지단계(S251)는 제2 편심감지단계(S231)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00)가 드럼(40)이 대략 100 내지 110 RPM (RPM 1)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하며, 이후 편심량감지부(83)가 드럼(40)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제3 가속단계(S253)는 제2 가속단계(S253)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00)가 드럼(40)이 대략 100 내지 110 RPM (RPM 1)으로부터 제3 탈수RPM인 대략 350 내지 400 RPM (RPM 3)까지 가속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한다.
제3 탈수RPM유지단계(S55)는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와 마찬가지로 제3 가속단계(S253) 이후 제어부(100)가 드럼(40)이 제3 탈수RPM으로 정속 회전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한다.
제3 탈수RPM유지단계(S55)는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와 마찬가지로 제3 탈수RPM유지단계(S255)가 수행되는 수행시간(T3)이 탈수도에 따라 조절된다.
이러한 제3 간탈단계(S250)에서의 탈수도는 제3 탈수도이다. 이하 제3 탈수도에 대해서는 제1 및 제2 탈수도와 중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설명한다.
제3 탈수도는 제3 간탈단계(S250) 개시 이후에 설정되며,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3 탈수RPM 유지단계(S255) 개시시점까지 세탁물이 탈수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은 대략적으로 제3 간탈단계에서(S250) 개시 이후이며, 편심량의 기준편심량 초과로 인한 포분산단계(S110)의 재 수행 개시시점으로도 볼 수 있다.
제3 탈수도는 일 예로 제3 간탈단계(S250) 개시 이후에 세탁물이 탈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제3 간탈단계(S250) 개시 이후의 포분산단계(S100)가 재 수행되는 횟수 및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3 탈수RPM유지단계(S255)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드럼의 평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탈수도는 제3 간탈단계(S230) 개시 이후의 측정되며,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제3 탈수RPM(RPM 3)도달 시점까지의 드럼의 회전시간 및 드럼의 펑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3 탈수도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제1 탈수도의 경우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따라 제2 간탈단계(S230) 이전 또는 제2 간탈단계(S230) 중에 다시 수행되는 포분산단계(S100)에 의한 포의 물 빠짐은 제2 간탈단계(S230)의 수행시간 조절 시 반영되도록 하고, 제2 간탈단계(S230) 이후 제3 간탈단계(S250) 중에 다시 수행되는 포분산단계(S100)에 의한 포의 물 빠짐은 제3 간탈단계(S250)의 수행시간 조절 시 반영될 수 있다.
간탈단계가 수행된 이후, 본탈단계(S270)가 수행된다. 본탈단계(S270)는 본탈가속단계(S271) 및 본탈RPM유지단계(S273)를 포함하지만, 드럼(40)의 회전속도가 100 내지 110RPM(RPM 1)으로 감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드럼(40)은 제3 간탈단계(S250)의 제3 탈수RPM유지단계(S55)가 종료된 후 감속되지 않고 본탈가속단계(S271)로 진입하여 가속된다.
본탈가속단계(S271)는 제어부(100)가 드럼(40)이 대략 350 내지 400 RPM (RPM 3)에서 본탈RPM인 대략 1000 내지 1200 RPM (RPM 4)로 가속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한다. 또한, 본탈가속단계(S271)는 편심량감지부(83)가 드럼(40)의 편심량을 측정한 후 측정된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는 경우 포분산단계(S100)를 반복한다는 점에서 앞선 제2 가속단계(S253) 및 제3 가속단계(S253)와 동일하다.
본탈RPM유지단계(S273)는 제어부(100)가 드럼(40)이 본탈RPM으로 정속 회전하도록 구동부(50)를 제어한다. 본탈RPM유지단계(S273)는 본탈가속단계(S271)에서 측정된 편심량이 기준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된다. 제2 탈수RPM유지단계(S235) 및 제3 탈수RPM유지단계(S55)와 마찬가지로, 본탈RPM유지단계(S273)가 수행되는 수행시간은 수차례 반복되는 포분산단계(S100) 등에 의한 포의 물 빠짐 정도를 나타내는 제4 탈수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4 탈수도는 본탈단계에서(S270) 개시 이후에 설정되며,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본탈RPM 유지단계(S273) 개시시점까지 세탁물이 탈수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은 대략적으로 본탈단계(S270) 개시 이후이며, 편심량의 기준편심량 초과로 인한 포분산단계(S110)의 재 수행 개시시점으로도 볼 수 있다.
제4 탈수도는 일 예로 본탈단계(S270)의 개시 이후에 세탁물이 탈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본탈단계(S270) 개시 이후의 포분산단계(S100)가 재 수행되는 횟수 및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본탈RPM유지단계(S273)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드럼의 평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탈수도는 본탈단계(S270)의 개시 이후의 측정되는 편심량이 기준편심량을 최초로 초과하는 초과시점부터 본탈RPM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드럼의 회전시간 및 드럼의 펑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4 탈수도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제1 탈수도의 경우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따라, 본탈RPM유지단계(S273)가 수행되는 수행시간은 제3 간탈단계(S250) 종료 이후 본탈RPM유지단계(S273) 시작 직전까지 포의 물 빠짐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탈가속단계(S271)는 본탈RPM유지단계(S273)가 수행되는 수행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럼(40)이 대략 350 내지 400 RPM (RPM 3)에서 본탈RPM인 대략 1000 내지 1200 RPM (RPM 4)까지 가속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본탈RPM유지단계(S273)에서 드럼(40)이 가장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포로부터 수분이 가장 많이 제거되므로 본탈RPM유지단계(S273)의 수행시간이 일정수준 이상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분산단계(S100)가 수차례 반복되는 것에 의해 측정된 본탈단계(S270) 진입시간이 미리 설정한 진입시점보다 지연되는 경우, 본탈가속단계(S271)는 본탈RPM유지단계(S273)에 신속히 진입하도록 드럼(40)을 보다 빨리 회전시켜 본탈가속단계(S271)의 수행시간이 최대한 단축되도록 설정된다.
한편, 본탈가속단계(S271)는 다른 예로 제4 탈수도에 의해서도 본탈가속단계(S271)의 수행시간이 최대한 단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세탁기 10: 캐비닛
13: 도어 15:가스켓
30: 터브 40: 드럼
50: 구동부 60: 급수부
81: 포량감지부 83: 편심량감지부
85: 진동량감지부 100: 제어부
S100: 포분산단계 S200: 탈수단계
S210: 제1 간탈단계 S230: 제2 간탈단계
S250: 제3 간탈단계 S270: 본탈단계

Claims (15)

  1. 드럼을 제1RPM으로 회전시켜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분산시키는 포분산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1RPM에서 탈수RPM으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드럼의 편심량을 감지하고, 상기 드럼을 상기 탈수RPM으로 탈수시간 동안 회전시키면서 상기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분산단계는 상기 편심량이 기 설정된 기준편심량을 초과하면 재 수행되며,
    상기 탈수시간은
    상기 포분산단계가 최초로 재 수행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기 탈수RPM에 도달할 때까지 측정되는 탈수도에 따라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도는
    상기 포분산단계가 재 수행되는 횟수 및 상기 포분산단계가 최초로 재 수행되는 시점부터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기 탈수RPM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드럼의 평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도는
    상기 포분산단계가 최초로 재 수행되는 시점부터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기 탈수RPM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드럼의 회전시간 및 상기 포분산단계가 최초로 재 수행되는 시점부터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기 탈수RPM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상기 드럼의 펑균RPM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는
    세탁물이 최초로 간이 탈수되도록 상기 드럼이 선행간탈RPM으로 선행간탈시간 동안 회전하는 선행간탈단계; 및
    상기 선행간탈단계의 이후에 세탁물이 다시 간이 탈수되도록 상기 드럼이 후행간탈RPM으로 후행간탈시간 동안 회전하는 후행간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도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기 선행간탈RPM에 도달하는 시점 이전에 측정되는 제1탈수도; 및
    상기 제1탈수도 측정 이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기 후행간탈RPM에 도달하는 시점 이전에 측정되는 제2 탈수도;를 포함하며,
    상기 후행간탈단계는
    상기 제1탈수도 및 상기 제2 탈수도에 따라 상기 후행간탈시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간탈단계는
    상기 선행간탈시간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행간탈RPM은 상기 선행간탈RPM보다 크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는 세탁물이 최종 탈수되도록 상기 드럼이 본탈RPM까지 회전하는 본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탈단계는
    상기 드럼이 본탈RPM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가속되는 본탈가속단계; 및
    상기 본탈가속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럼이 본탈RPM으로 회전하는 본탈RPM유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탈가속단계는 상기 드럼의 가속도가 상기 탈수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탈단계는 상기 본탈가속단계의 진입시간이 측정되며,
    상기 측정된 진입시간이 미리 설정한 진입시점보다 지연되면, 상기 본탈가속단계의 상기 드럼의 가속도는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시간은
    상기 탈수도에 따라서 증가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도는
    상기 포분산단계가 재 수행되는 횟수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도는
    상기 포분산단계가 최초로 재 수행되는 시점부터 상기 드럼이 탈수 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도는
    상기 포분산단계가 최초로 재 수행되는 시점부터 상기 드럼이 탈수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기 드럼의 평균 RPM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1020160117044A 2016-09-12 2016-09-12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10254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44A KR102541172B1 (ko) 2016-09-12 2016-09-12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US16/332,167 US11098431B2 (en) 2016-09-12 2017-09-08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operation of washing apparatus
EP17849119.7A EP3511462A4 (en) 2016-09-12 2017-09-08 METHOD FOR CONTROLLING A CENTRIFUGAL SPIN TASK OF A WASHING APPARATUS
PCT/KR2017/009852 WO2018048235A1 (ko) 2016-09-12 2017-09-08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44A KR102541172B1 (ko) 2016-09-12 2016-09-12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33A KR20180029333A (ko) 2018-03-21
KR102541172B1 true KR102541172B1 (ko) 2023-06-08

Family

ID=6156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044A KR102541172B1 (ko) 2016-09-12 2016-09-12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98431B2 (ko)
EP (1) EP3511462A4 (ko)
KR (1) KR102541172B1 (ko)
WO (1) WO2018048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7497B (zh) * 2018-08-06 2022-04-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脱水控制方法、装置和衣物处理装置
KR102578643B1 (ko) * 2019-02-01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718945B2 (en) * 2019-08-05 2023-08-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501286A (zh) * 2020-04-08 2020-08-0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涤设备的洗涤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R202022219A2 (tr) * 2020-12-29 2022-07-21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Yıkayıcı ve kurutucu cihazlar için bir çalışma yöntemi.
CN113584803A (zh) * 2021-08-17 2021-11-02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滚筒洗衣机的洗涤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6787A (ja) 1991-02-08 1992-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DE4229646C2 (de) 1992-09-04 1998-08-06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Schleudern von nasser Wäsche
KR20000025012A (ko) * 1998-10-07 2000-05-06 전주범 세탁기의 탈수시간 제어방법
IT1305553B1 (it) 1998-11-10 2001-05-09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Metodo per controllare lo sbilanciamento del carico in unalavabiancheria
JP3433135B2 (ja) 1999-04-28 2003-08-04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20050105731A (ko) 2004-05-03 2005-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04132A (ko) 2004-07-08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탈수방법
KR101155334B1 (ko) * 2004-07-20 2012-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158764A (ja) * 2004-12-09 2006-06-22 Sharp Corp 洗濯機
KR100712848B1 (ko) * 2005-02-03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257702B1 (ko) * 2005-10-06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3563B1 (ko) * 2005-10-12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방법
KR100977575B1 (ko) 2008-05-23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AU2010287152B2 (en) 2009-08-27 2013-08-15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laundry machine
KR20110022495A (ko) * 2009-08-2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20130005041A (ko) * 2011-07-05 2013-01-15 주식회사 정우테크 위치오류를 알려주어 운전자 및 차량을 보호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심 레벨잭
SI2527511T1 (sl) 2012-03-21 2014-05-30 Primus Ce S.R.O. Postopek upravljanja centrifugiranja v pralnem stroj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33A (ko) 2018-03-21
US20190264373A1 (en) 2019-08-29
EP3511462A1 (en) 2019-07-17
EP3511462A4 (en) 2020-05-06
WO2018048235A1 (ko) 2018-03-15
US11098431B2 (en)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172B1 (ko)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CN106574418B (zh) 控制洗衣机的方法
KR101731330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687544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US3235082A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EP2478142B1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KR2008010709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0614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5001018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2311A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KR102604224B1 (ko) 세탁기 제어방법
KR102491974B1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1190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210131672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80099588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2556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100483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60088155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68668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7429843B2 (ja) 洗濯機
KR20210077161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40580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31332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090080820A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KR10170297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