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29B1 -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29B1
KR101991929B1 KR1020180054976A KR20180054976A KR101991929B1 KR 101991929 B1 KR101991929 B1 KR 101991929B1 KR 1020180054976 A KR1020180054976 A KR 1020180054976A KR 20180054976 A KR20180054976 A KR 20180054976A KR 101991929 B1 KR101991929 B1 KR 10199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gelica gigas
gigas nakai
angelica
angina pecto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헌
국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스트로제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스트로제네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스트로제네시스
Priority to KR102018005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929B1/ko
Priority to EP19803580.0A priority patent/EP3795164A4/en
Priority to PCT/KR2019/006004 priority patent/WO2019221571A1/ko
Priority to US17/052,856 priority patent/US11446347B2/en
Priority to JP2021514270A priority patent/JP2021523239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혈소판 응집 억제제)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Antithrombotic agent containing an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혈소판 응집 억제제)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혈관계 질환은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생기는 모든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뇌혈관계 질환, 심혈관계 질환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말초혈관계 질환 등이 있다. 혈관계 질환은 주로 콜레스테롤 등으로 인하여 생성된 혈전에 의한 것이며,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에 혈소판 응집 억제를 위하여 아스피린, 이부브루펜 등의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 약물이 사용되었다.
아스피린(Aspirin; 아세틸 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ASA))은 살리실산염 의약품으로, 해열, 진통, 항염 작용을 가지며, 프로트롬빈 생성 억제를 통한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갖기 때문에 뇌졸중 등의 2차 발병을 억제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계열 약물은 위궤양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특히 위장에서의 과다출혈을 유발하여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위장 장애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혈소판 응집 억제 및/또는 이로 인한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약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전용 약학 조성물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용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혈소판 응집 억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혈전 (혈소판 응집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혈소판 응집 억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이 기존의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의 부작용인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다는 점에 기초하여,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 약물과 같은 기존의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에 의하여 유발되는 위장장애의 예방, 감소, 개선, 완화, 및/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장장애는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 예컨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 약물에 의하여 유발되는 위궤양, 위장 출혈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포함하는, 항염증, 진통,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항염증 또는 진통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병용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진통,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병용 투여 단계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동시에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순차적으로 투여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병용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항염증, 진통,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및 방법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로 인하여 유발되는 위궤양, 위장 출혈 등의 위장장애를 예방, 감소, 개선, 완화, 제거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의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 효과 및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에 기초하여,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의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항혈전제를 포함하는 항혈전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항혈전제를 항혈전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병용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혈전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병용 투여 단계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항혈전제를 동시에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순차적으로 투여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병용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항혈전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의 항혈전,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 효과와 관련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전용 약학 조성물 (항혈전제)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용 약학 조성물 (혈소판 응집 억제제)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용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혈소판 응집 억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혈전 (혈소판 응집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혈소판 응집 억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이 기존의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의 부작용인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다는 점에 기초하여,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 약물과 같은 기존의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에 의하여 유발되는 위장장애의 예방, 감소, 개선, 완화, 및/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위장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장장애는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 예컨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 약물에 의하여 유발되는 위궤양, 위장 출혈 등의 위장장애일 수 있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포함하는, 항염증, 진통,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항염증 또는 진통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병용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진통,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병용 투여 단계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동시에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순차적으로 투여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병용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항염증, 진통,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및 방법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로 인하여 유발되는 위궤양, 위장 출혈 등의 위장장애를 예방, 감소, 개선, 완화, 제거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거나 병용 투여 단계에서 투여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의 함량비는 투여 대상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처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중량 기준으로, 1:0.1 내지 10, 1:0.1 내지 7.5, 1:0.1 내지 5, 1:0.1 내지 2.5, 1:0.1 내지 1, 1:0.1 내지 0.75, 1:0.1 내지 0.5, 1:0.1 내지 0.25, 1:0.25 내지 10, 1:0.25 내지 7.5, 1:0.25 내지 5, 1:0.25 내지 2.5, 1:0.25 내지 1, 1:0.25 내지 0.75, 1:0.25 내지 0.5, 1:0.5 내지 10, 1:0.5 내지 7.5, 1:0.5 내지 5, 1:0.5 내지 2.5, 1:0.5 내지 1, 1:0.5 내지 0.75, 1:0.75 내지 10, 1:0.75 내지 7.5, 1:0.75 내지 5, 1:0.75 내지 2.5, 1:0.75 내지 1, 1:1 내지 10, 1:1 내지 7.5, 1:1 내지 5, 1:1 내지 2.5, 1:2.5 내지 10, 1:2.5 내지 7.5, 1:2.5 내지 5, 1:5 내지 10, 또는 1:5 내지 7.5 (참당귀 추출물 중량: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의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 효과 및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에 기초하여,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의 항혈전 및/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항혈전제를 포함하는 항혈전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항혈전제를 항혈전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병용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혈전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병용 투여 단계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항혈전제를 동시에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순차적으로 투여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병용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항혈전 (또는 혈소판 응집 억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거나 병용 투여 단계에서 투여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 및 항혈전제의 함량비는 투여 대상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처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중량 기준으로, 1:0.1 내지 10, 1:0.1 내지 7.5, 1:0.1 내지 5, 1:0.1 내지 2.5, 1:0.1 내지 1, 1:0.1 내지 0.75, 1:0.1 내지 0.5, 1:0.1 내지 0.25, 1:0.25 내지 10, 1:0.25 내지 7.5, 1:0.25 내지 5, 1:0.25 내지 2.5, 1:0.25 내지 1, 1:0.25 내지 0.75, 1:0.25 내지 0.5, 1:0.5 내지 10, 1:0.5 내지 7.5, 1:0.5 내지 5, 1:0.5 내지 2.5, 1:0.5 내지 1, 1:0.5 내지 0.75, 1:0.75 내지 10, 1:0.75 내지 7.5, 1:0.75 내지 5, 1:0.75 내지 2.5, 1:0.75 내지 1, 1:1 내지 10, 1:1 내지 7.5, 1:1 내지 5, 1:1 내지 2.5, 1:2.5 내지 10, 1:2.5 내지 7.5, 1:2.5 내지 5, 1:5 내지 10, 또는 1:5 내지 7.5 (참당귀 추출물 중량:항혈전제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혈전제'는 항혈전 (예컨대,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을 하는 모든 약물 (소분자 화합물, 단백질, 펩타이드, 천연물, 천연 추출물 등)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을 포함하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또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계열 약물'은 아스피린, 세레콕시브, 이부프로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증상의 경감, 완화, 호전, 또는 개선, 질환의 범위의 감소,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완화, 질환 상태 또는 증상의 개선, 경감 또는 안정화, 부분적 또는 완전한 회복, 생존의 연장, 기타 다른 이로운 치료 결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항혈전제'는 혈관 내 혈전 생성을 저해하거나, 및/또는 혈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증상을 예방, 완화, 개선, 및/또는 치료하는 작용을 하는 모든 약학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혈소판 응집 (응고) 억제제, 항혈소판제, 항혈전증제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혈관계 질환'은 혈관에서 혈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뇌졸중, 뇌경색, 고혈압 등의 뇌혈관계 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심혈관계 질환, 동맥경화증, 말초혈관계 질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항혈전제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기존의 항혈전제로서 사용되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 약물의 부작용인 위궤양, 위장 출혈 등의 위장 장애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염증'은 세균,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및/또는 외래 면역원성 물질 (예컨대, 단백질, 소분자 화합물 등)의 감염, 또는 자가면역 등에 의하여 유발되는 염증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염증'은 염증을 예방, 완화, 개선, 호전, 또는 제거(치료)하는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증'은 신경병증성 통증 (신경통 등), 두통, 근육통, 위통, 생리통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진통'은 통증의 완화, 개선, 호전, 또는 제거(치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염증성 질환'은 관절염 (예컨대, 골관절염, 류마티즘 관절염 등), 심낭염, 혈관염(가와사키병), 척수염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귀는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약용을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당귀는 그 산지에 따라 한국에서 생산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일본에서 생산되는 일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 그리고 중국에서 생산되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Diels)로 구분되고, 그 성분과 약리적 효과는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당귀는 어린 순을 나물로 식용하고, 뿌리를 진통, 항암, 신장 독성경감, 간기능 개선, 당뇨성 고혈압 치료, 혈액순환 개선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은 참당귀(예컨대, 전체 또는 뿌리)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참당귀 (예컨대, 뿌리)을 30 내지 100%(v/v), 40 내지 100%(v/v), 50 내지 100%(v/v), 60 내지 100%(v/v), 70 내지 100%(v/v), 80 내지 100%(v/v), 90 내지 100%(v/v), 91 내지 100%(v/v), 92 내지 100%(v/v), 93 내지 100%(v/v), 94 내지 100%(v/v), 95 내지 100%(v/v), 96 내지 100%(v/v), 97 내지 100%(v/v), 또는 98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 (예컨대, 98%(v/v) 에탄올 수용액(주정))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참당귀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10 내지 90℃,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9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9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40 내지 90℃,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참당귀 추출물, 예컨대,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90 내지 100%(v/v), 92 내지 100%(v/v), 96 내지 100%(v/v), 또는 98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에서 추출)은, 추출물 총 100g당,
(1) 데커신 함량이 약 2000mg 이상, 약 2200mg 이상, 약 2400mg 이상, 약 2600mg 이상, 또는 약 2800mg 이상,약 3000mg 이상, 예컨대, 2000 내지 5000 mg, 2000 내지 4500 mg, 2000 내지 4000 mg, 2000 내지 3500 mg, 2200 내지 5000 mg, 2200 내지 4500 mg, 2200 내지 4000 mg, 2200 내지 3500 mg, 2400 내지 5000 mg, 2400 내지 4500 mg, 2400 내지 4000 mg, 2400 내지 3500 mg, 2600 내지 5000 mg, 2600 내지 4500 mg, 2600 내지 4000 mg, 2600 내지 3500 mg, 2800 내지 5000 mg, 2800 내지 4500 mg, 2800 내지 4000 mg, 2800 내지 3500 mg, 3000 내지 5000 mg, 3000 내지 4500 mg, 3000 내지 4000 mg, 또는 3000 내지 3500 mg이거나, 및/또는
(2)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이 약 1200mg 이상, 약 1400 mg 이상, 약 1600 mg 이상, 또는 약 1800 mg 이상, 예컨대, 1200 내지 3000 mg, 1200 내지 2800 mg, 1200 내지 2600 mg, 1200 내지 2400 mg, 1200 내지 2200 mg, 1400 내지 3000 mg, 1400 내지 2800 mg, 1400 내지 2600 mg, 1400 내지 2400 mg, 1400 내지 2200 mg, 1600 내지 3000 mg, 1600 내지 2800 mg, 1600 내지 2600 mg, 1600 내지 2400 mg, 1600 내지 2200 mg, 1800 내지 3000 mg, 1800 내지 2800 mg, 1800 내지 2600 mg, 1800 내지 2400 mg, 또는 1800 내지 2200 mg 이거나, 및/또는
(3) 노다케닌 (Nodakenin) 함량이 약 800mg 이상, 약 1000mg 이상, 약 1200mg 이상, 약 1500mg 이상, 약 1700mg 이상, 약 2000mg 이상, 약 2200mg 이상, 약 2500mg 이상, 또는 약 2700 이상, 예컨대, 800 내지 5000 mg, 800 내지 4500 mg, 800 내지 4000 mg, 800 내지 3500 mg, 800 내지 3200 mg, 1000 내지 5000 mg, 1000 내지 4500 mg, 1000 내지 4000 mg, 1000 내지 3500 mg, 1000 내지 3200 mg, 1200 내지 5000 mg, 1200 내지 4500 mg, 1200 내지 4000 mg, 1200 내지 3500 mg, 1200 내지 3200 mg, 1500 내지 5000 mg, 1500 내지 4500 mg, 1500 내지 4000 mg, 1500 내지 3500 mg, 1500 내지 3200 mg, 1700 내지 5000 mg, 1700 내지 4500 mg, 1700 내지 4000 mg, 1700 내지 3500 mg, 1700 내지 3200 mg, 2000 내지 5000 mg, 2000 내지 4500 mg, 2000 내지 4000 mg, 2000 내지 3500 mg, 2000 내지 3200 mg, 2200 내지 5000 mg, 2200 내지 4500 mg, 2200 내지 4000 mg, 2200 내지 3500 mg, 2200 내지 3200 mg, 2500 내지 5000 mg, 2500 내지 4500 mg, 2500 내지 4000 mg, 2500 내지 3500 mg, 2500 내지 3200 mg, 2700 내지 5000 mg, 2700 내지 4500 mg, 2700 내지 4000 mg, 2700 내지 3500 mg, 또는 2700 내지 3200 mg이거나, 및/또는
(4) 베타-시토스테롤 함량이 30mg 이상, 50mg 이상, 100mg 이상, 150mg 이상, 200mg 이상, 250mg 이상, 또는 300mg 이상, 예컨대, 30 내지 1000 mg, 30 내지 800 mg, 30 내지 600 mg, 30 내지 500 mg, 30 내지 400 mg, 50 내지 1000 mg, 50 내지 800 mg, 50 내지 600 mg, 50 내지 500 mg, 50 내지 400 mg, 100 내지 1000 mg, 100 내지 800 mg, 100 내지 600 mg, 100 내지 500 mg, 100 내지 400 mg, 150 내지 1000 mg, 150 내지 800 mg, 150 내지 600 mg, 150 내지 500 mg, 150 내지 400 mg, 200 내지 1000 mg, 200 내지 800 mg, 200 내지 600 mg, 200 내지 500 mg, 200 내지 400 mg, 250 내지 1000 mg, 250 내지 800 mg, 250 내지 600 mg, 250 내지 500 mg, 250 내지 400 mg, 300 내지 1000 mg, 300 내지 800 mg, 300 내지 600 mg, 300 내지 500 mg, 또는 300 내지 400 mg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 참당귀 추출물은 건조물, 농축물, 또는 농축 건조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 참당귀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0.01 내지 99.9 중량%, 0.1 내지 99.9 중량%, 1 내지 99.9 중량%, 10 내지 99.9 중량%, 15 내지 99.9 중량%, 20 내지 99.9 중량%, 0.001 내지 90 중량%, 0.01 내지 90 중량%, 0.1 내지 90 중량%, 1 내지 90 중량%, 10 내지 90 중량%, 15 내지 90 중량%, 20 내지 90 중량%, 0.001 내지 70 중량%, 0.01 내지 70중량%, 0.1 내지 70중량%, 1 내지 70중량%, 10 내지 70중량%, 15 내지 70 중량%, 20 내지 70 중량%, 0.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50 중량%, 1 내지 5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5 내지 50 중량%, 또는 20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형분 중량이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물에서 용매 성분을 제거한 고형물의 중량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염소, 토끼, 마우스, 래트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세포, 조직, 또는 이의 배양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투여, 또는 정맥 투여, 근육 투여, 피하 투여, 복막내 투여, 병변 부위 (예컨대 관절) 국소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참당귀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서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시럽제, 분말제, 현탁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간격,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유효성분 (참당귀 추출물)의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1000㎎/kg,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0㎎/kg,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20 ㎎/kg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일 투여량은 단위 용량 형태로 하나의 제제로 제제화되거나, 적절하게 분량하여 제제화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는 참당귀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혈전제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참당귀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참당귀 뿌리를, 10 내지 80℃, 10 내지 70℃, 10 내지 60℃, 10 내지 50℃, 20 내지 80℃, 20 내지 70℃, 20 내지 60℃, 20 내지 50℃,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0℃, 30 내지 50℃,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0 내지 50℃에서, 1 내지 10 부피배, 2 내지 8 부피배, 또는 4 내지 6 부피배의 물 및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컨대, 90 내지 100%(v/v), 91 내지 100%(v/v), 92 내지 100%(v/v), 93 내지 100%(v/v), 94 내지 100%(v/v), 95 내지 100%(v/v), 96 내지 100%(v/v), 97 내지 100%(v/v), 또는 98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 (예컨대, 98%(v/v) 에탄올 수용액(주정))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추출 시간은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시간이면 족하고, 1시간 이상, 2시간 이상, 3시간 이상, 또는 4시간 이상, 예컨대, 1 내지 12시간, 2 내지 12시간, 3 내지 12시간, 4 내지 12시간, 1 내지 6시간, 2 내지 6시간, 3 내지 6시간, 또는 4 내지 6시간 정도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사용된 추출 과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추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법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참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혈소판 응집 억제용) 또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이하, '기능성 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거나 소정의 질병 또는 증상을 예방 및/또는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모든 식품을 의미하며, 최종 제품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각종 식품, 음료 조성물, 식품 첨가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에 함유된 참당귀 추출물의 함량은 식품의 형태, 소망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95 중량% 또는 0.01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또는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또는 그의 염, 알긴산 또는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 특히 건강 기능 음료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전체 건강 기능성 식품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참당귀 추출물은 위장장애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항혈전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혈전제 또는 혈관계 질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간 혈액에서의 참당귀 추출물의 항혈전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아스피린으로 위장장애를 유발시킨 마우스 모델에서의 참당귀 추출물 투여시의 위장 점막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확인된 위장 점막의 손상 정도를 정량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Ulcer index; UI).
도 4는 세레브렉스로 위장장애를 유발시킨 마우스 모델에서의 참당귀 추출물 투여시의 위장 점막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확인된 위장 점막의 손상 정도를 정량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Ulcer index; UI).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아래 기재된 실시예들은 발명의 본질적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될 수 있음은 당 업자들에게 있어 자명하다.
실시예 1: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
1.1.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뿌리를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충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참당귀 뿌리를 파쇄하고 얻은 분말 100g에 5 부피배(500ml)의 에탄올 (98%(v/v) 에탄올(주정))을 첨가하고, 40~60℃ 에서 4 시간 이상 추출한 후, 1um(micrometer) 필터로 여과한 여액을 원래 중량의 10%가 될 때까지 가온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물에 결정셀룰로오스를 서서히 가하면서 계속 농축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하 AGE232라고 명명함).
1.2. 참당귀 에탄올 고온 추출물의 제조
참당귀 뿌리를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충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참당귀 뿌리를 파쇄하고 얻은 분말 100g에 5 부피배(500ml)의 에탄올 (98%(v/v) 에탄올(주정))을 첨가하고, 약 90℃에서 4 시간 이상 추출한 후, 1um(micrometer) 필터로 여과한 여액을 원래 중량의 10%가 될 때까지 가온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물에 결정셀룰로오스를 서서히 가하면서 계속 농축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고온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1.3. 참당귀 에탄올(저농도) 추출물의 제조
참당귀 뿌리를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충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참당귀 뿌리를 파쇄하고 얻은 분말 100g에 5 부피배(500ml)의 30%(v/v) 에탄올을 첨가하고, 40~60℃에서 4 시간 이상 추출한 후, 1um(micrometer) 필터로 여과한 여액을 원래 중량의 10%가 될 때까지 가온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농축물에 결정셀룰로오스를 서서히 가하면서 계속 농축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참당귀 에탄올(저농도)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1.4. 참당귀 열수 추출물의 제조
참당귀 2kg에 증류수 5,000ml를 가하여 수욕조 (약 90℃)에서 8시간씩 4회 추출 후, 여과하여 농축기로 용매를 증발시켜서 생약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기로 12시간동안 동결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건조 분말상태의 참당귀 열수 추출물 분말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항혈전 효과 시험
2.1. Ex- vivo 시험
혈소판 준비를 위하여, 인간 Platelet-rich plasma (PRP)를 Red Cross Blood Center (Seoul, Korea)로부터 입수하였다 (PRP concentration: 1x109 platelets/ml).
혈소판 분석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분석기기로서 Chrono-Log Co 사의 Aggregometer (Instrument: Whole blood/optical Lumi-Aggregometer Model 700 (CHRONO-LOG))를 사용하였다. PPP (Platelet Poor Plasma; Red Cross Blood Center (Seoul, Korea))의 Light transmission 값을 기준 (Baseline) 값으로 하고 PRP (Platelet Rich Plasma) 응집에 의한 Light transmission 간섭 되는 최대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Aggregation agent로서 collagen (12.5㎍/㎖)를 사용하였다.
혈소판 응집에 대한 각 추출물의 억제효과는 dual channel aggreg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latelet-rich plasma (PRP)와 platelet-poor plasma (PPP)를 이용한다. 상기 준비된 PRP 360㎕를 큐벳에 넣고 40㎕의 0.25%(w/v) PEG200 (vehicle), 아스피린 (10ug/ml), 또는 각 추출물(80ug/ml)을 넣었다. 비교를 위하여, 상기 추출물 대신, 항혈전제로 잘 알려진 아스피린 (10ug/ml), 또는 참당귀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데커신 (80ug/ml; 단일화합물) 또는 데커시놀 (80ug/ml; 단일화합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aggregometer에서 1000rpm, 37℃ 교반하면서 2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collagen 12.5㎍/ml를 넣어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고, 6분 후 광전달의 변화를 확인하여 혈소판 응집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혈소판 응집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con: 미투여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당귀 추출물, 특히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한 추출물은 vehicle 투여군 및 대조군 (미투여군)과 비교하여 혈소판 응집률이 낮게 나타났다. 특히,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AGE232)은 다른 추출물과 비교하여 혈소판 응집률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항혈전제로 사용되는 아스피린 (ASA)와 동등한 정도의 혈소판 응집률을 보였을 뿐 아니라, 단일화합물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보다 현저하게 낮은 혈소판 응집률을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참당귀 추출물, 특히 에탄올 추출물 (예컨대, AGE232)이 우수한 항혈전 효과를 가질뿐 아니라, 기존의 항혈전제로 사용되는 아스피린 (ASA)와 동등한 정도의 항혈전 효과를 가지며, 단일화합물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보다 현저하게 높은 항혈전 효과를 가짐을 보여주는 것이다.
2.2. In- vivo 시험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은 영바이오에서 제공하는 5주령된 암컷 ICR 마우스를 동물실험실에서 24±1℃ 온도, 55±5% 습도, 및 12시간의 주야주기로 1주일간 안정화시키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혈전유도 마우스 모델에 대하여 Rota-rod를 이용한 행동능력의 변화를 평가하여 참당귀 추출물의 항혈전 효과를 평가하였다. 혈전유도 마우스 모델은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실험용 마우스로서 안정화시킨 6주령된 ICR마우스 (20-25g 정도)를 준비하고 Rota-rod훈련시켜 세 번의 기준치를 만들고 회전속도 24rpm으로 하여 회전수 300회 이상에서 낙하하지 않고 버티는 개체를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마우스를 처리군 별로 나누고 각각의 약물을 투여한 후(표 1 참조), 90분 후 Collagen(13.2㎍)과 Epinephrine(114㎍)을 섞어 꼬리정맥으로 주사하여 혈전을 유도하였다. 15분 뒤 다시 Rota-rod test을 3회 반복 수행하여 (회전속도: 24rpm), 아래의 수식으로 운동능력의 차이를 분석 하였다:
보호율 (Protection, %) = [(전체 개체수-죽거나 마비된 개체수)/전체 개체수]x100
(전체 개체수: Rota-rod test에서 회전속도 24rpm으로 하여 회전수 300회 이상에서 낙하하지 않고 버티는 개체의 수;
죽거나 마비된 개체수: Rota-rod test에서 회전속도 24rpm으로 하여 회전수 150회 이하에서 낙하한 개체의 수)
상기 얻어진 보호율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Group Dose 죽거나 마비된 개체의 수/전체 개체수 Protection (%)
Control PEG 25%(w/v) 15/18 16.7
ASA (아스피린) 100mg/kg 11/20 45
AGE232 10mg/kg 10/19 47.3
Decursin 10mg/kg 11/18 38.9
Decursinol 10mg/kg 12/19 36.8
열수추출물 10mg/kg 15/19 21.1
에탄올고온추출물 10mg/kg 12/18 33.4
30%에탄올추출물 10mg/kg 13/20 3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참당귀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보호율을 보였으며, 특히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예컨대, AGE232)는 다른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보호율을 보였을 뿐 아니라, 기존의 항혈전제로 사용되는 아스피린 및 단일화합물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보호율을 보였다.
실시예 3. 위장장애 억제 실험 (In- vivo )
실험동물
Male ICR mice, 케이지 당 5마리, 실온 (22±0.5℃), 밤낮 12시간 주기 조건으로 사육.
물, 음식은 무제한 급여하고, 최소 실험 2시간전 동물을 실험에 적응 시키고 variation 을 줄이기 위해 light phase (10:00-17:00)에 진행.
처리군별로 syringe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시험 약물을 매일 1회씩 5일간 경구 투여 하였다 (ASA (Aspirin) 및 세레브렉스 (Celebrex)는 위장장애 유발을 위하여 사용됨):
실험 동물 처리
ASA 300 또는 Cel 300: AspirinTM (ASA, Bayer AG) 300mg/kg 또는 CelebrexTM (Cel, Pfizer) 300mg/kg, 5일 연속 투여;
Con: control;
AGE232 1000: 참당귀 추출물 AGE232 1000mg/kg, 5일 연속 투여;
ASA+AGE232 또는 Cel+AGE232: 참당귀 추출물 AGE232 1000mg/kg 및 AspirinTM (ASA) 300mg/kg 또는 CelebrexTM (Cel) 300mg/kg 병용 투여, 5일 연속 투여;
Decursin 300: decursin 300mg/kg, 5일 연속 투여;
ASA+Decursin 또는 Cel+Decursin: co-administered, dercursin 300mg/kg 및 AspirinTM (ASA) 300mg/kg 또는 CelebrexTM (Cel) 300mg/kg 병용 투여, 5일 연속 투여;
Decursinol 300: decursinol 300mg/kg, 5일 연속 투여;
ASA+Decursinol 또는 Cel+Decursinol: dercursinol 300mg/kg 및 AspirinTM (ASA) 300mg/kg 또는 CelebrexTM (Cel) 300mg/kg 병용 투여, 5일 연속 투여.
해부 및 위 점막 관찰
경추탈골 시킨 후 즉시 위를 꺼내 greater curvature를 따라 열고 cork plate에 전개시켰다. 안쪽 면을 iced cold saline로 헹구어 피 등을 닦아낸 후, 위 내벽을 고해상도의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2 (아스피린 투여 위장장애 유발군) 및 도 4 (세레브렉스 투여 위장장애 유발군)에 나타내었다.
위 손상의 정략적 측정을 위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위점막 병병률 등급 (Ulcer index (UI))을 측정하였다:
(Ⅰ) 점성출혈과 erosions 부위가 < 1mm: 위 점막부종, 충혈, 하나의 출혈이 존재;
(Ⅱ) erosions 부위가 1-3mm: 위 점막하 출혈이 작은 위 점막미란(erosion)과 동반된 경우;
(Ⅲ) erosions 부위가 > 3mm: 출혈이 일어난 가장자리가 심한 미란과 동반, 침식성 손상이나 궤양이 존재.
Ulcer index (UI): (1*n * (Ⅰ)) + (2*n*(Ⅱ)) + (3*n*(Ⅲ)) / number of animals (n은 I, II, 및 III 기준에 해당하는 개체의 수를 의미함)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도 2 및 도 4의 결과에 대하여 얻어진 Ulcer index (UI)를 도 3 (aspirin(ASA) 투여 위장장애 유발군) 및 도 5 (celecoxib(cel) 투여 위장장애 유발군)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ASA 300 또는 Cel 300와 ASA+AGE232 또는 Cel+AGE232의 결과를 비교할 때, 아스피린 또는 세레브렉스에 의하여 유발된 위장장애 (위출혈)이 참당귀 추출물을 함께 투여하는 경우 현저하게 감소함과, (2) 아스피린 또는 세레브렉스와 참당귀 추출물의 병용투여시, 단일화합물인 데커신 및 데커시놀과의 병용투여시와 비교하여, 아스피린 또는 세레브렉스가 유발하는 위장장애 (위출혈)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각 추출물간의 유효성분 분석 ( HPLC )
<검액의 조제>
4 종류의 시료 (참당귀 물 추출물, 참당귀 에탄올 고온 추출물, 참당귀 30% 에탄올 추출물, 및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AGE232)) 1g을 정확히 취하여 50ml 정용플라스크에 넣은 후 약 30 ml 메탄올(100%)을 넣어 용해시킨 다음, 표선까지 메탄올로 채워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한다. 시료의 종류 및 분석항목에 따라 희석 정도를 달리하여 검액을 제조하였다.
<표준액의 조제>
데커시놀 표준품 (순도 98% 이상) 10mg, 데커신 표준품 (순도 98% 이상) 5mg, 데커신 안젤레이트 표준품 (순도 98% 이상) 5mg을 취하여 25ml 플라스크에 넣은 후 100% 메탄올을 넣어 용해시킨 다음, 메탄올로 표선을 채워서 표준액으로 한다. 이 표준용액으로부터 12.5 - 25 - 50 - 100 - 200 ㎍/ml 농도의 표준용액을 제조하여 검량선의 측정에 이용하였다.
<HPLC 조작조건>
검액 및 표준액을 가지고 아래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조작조건에 따라 시험하여 데커신, 데커시놀,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컬 럼 : Cadenza CW C18, (150*4.6mm, 3㎛) 또는 이와 동등한 컬럼;
검출기 : .자외선 분광광도계 (검출파장 330nm);
유 속 : 0.7ml/분;
이동상 : Water(A %), Acetonitril(B %),
0-5min (20, B), 5-6min (20→40, B), 6-22min (40→55, B),
22-23min (55→80, B), 23-25min (80, B), 25-27min (20, B);
시료 주입량 : 10㎕.
<결과>
상기 얻어진 각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참당귀의 추출 용매 및 추출 방법에 따른 주요 성분의 분석 결과
Extraction Method 물(열수) 추출물 에탄올 고온 추출물(90℃) 30% 에탄올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AGE232)
Ext. vol. before concent.(ml) 1,800 650 1210 465
Ext. weight after concent. (g) 42.0 24.2 21.7 30.5
Total extracted compounds from 100g dried Angelica gigas Nakai (mg) Decursin (mg) 19 1640 1101 3243
Decursinol angelate(mg) 10 790 865 1995
Nodakenin(mg) 559 1332 543 2982
β-Sitosterol(mg) 13 85 35 324
표 2에서와 같이, 참당귀 추출물은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노다케닌 (Nodakenin), 및 베타-시토스테롤과 같은 유효성분의 함량(중량 기준)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며, 특히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AGE232)의 상기 유효성분 함량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1)

  1.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를 9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전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40 내지 60℃에서 추출한 것인, 항혈전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96 내지 100%(v/v)의 농도를 갖는 것인, 항혈전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혈전제.
  5.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를 9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졸중, 뇌경색,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동맥경화증, 및 말초혈관계 질환에서 선택된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40 내지 60℃에서 추출한 것인,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96 내지 100%(v/v)의 농도를 갖는 것인,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계 질환은 뇌졸중, 뇌경색,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또는 동맥경화증인,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를 9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용 건강기능성 식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40 내지 60℃에서 추출한 것인, 항혈전용 건강기능성 식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96 내지 100%(v/v)의 농도를 갖는 것인, 항혈전용 건강기능성 식품.
  13.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를 9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졸중, 뇌경색,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동맥경화증, 및 말초혈관계 질환에서 선택된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참당귀 추출물은 40 내지 60℃에서 추출한 것인,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96 내지 100%(v/v)의 농도를 갖는 것인,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계 질환은 뇌졸중, 뇌경색,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또는 동맥경화증인,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17.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장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18. 삭제
  19.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를 9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40 내지 80℃에서 추출한 참당귀 에탄올 추출물 및 항혈전제를 포함하고,
    상기 항혈전제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계열 약물이고,
    상기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에 의하여 유발되는 위궤양 또는 위장 출혈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졸중, 뇌경색,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동맥경화증, 및 말초혈관계 질환에서 선택된 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병용투여용 약학 조성물.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는 아스피린, 세레콕시브, 및 이부프로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병용투여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054976A 2018-05-14 2018-05-14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KR10199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976A KR101991929B1 (ko) 2018-05-14 2018-05-14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EP19803580.0A EP3795164A4 (en) 2018-05-14 2019-05-13 ANTITHROMBO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PCT/KR2019/006004 WO2019221571A1 (ko) 2018-05-14 2019-05-13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US17/052,856 US11446347B2 (en) 2018-05-14 2019-05-13 Antithrombotic composition compris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JP2021514270A JP2021523239A (ja) 2018-05-14 2019-05-13 オニノダケ抽出物を含む抗血栓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976A KR101991929B1 (ko) 2018-05-14 2018-05-14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857A Division KR102126574B1 (ko) 2018-09-12 2018-09-12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929B1 true KR101991929B1 (ko) 2019-06-21

Family

ID=6705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976A KR101991929B1 (ko) 2018-05-14 2018-05-14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46347B2 (ko)
EP (1) EP3795164A4 (ko)
JP (1) JP2021523239A (ko)
KR (1) KR101991929B1 (ko)
WO (1) WO20192215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630A (ko) * 2019-10-31 2021-05-10 (주)한지 참당귀 추출 분말 및 적양파 발효농축 분말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741A (ko) * 2012-07-31 2014-02-1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39B1 (ko) 2006-07-26 2007-12-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전제
KR20100047544A (ko) 2008-10-29 2010-05-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98207B1 (ko) 2014-04-15 2017-01-19 주식회사 케미메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435027B (zh) 2014-11-14 2018-01-09 南京中医药大学 一种经皮给药具有治疗痛经效果的药物组合物及应用其制备的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US10688144B2 (en) 2016-02-01 2020-06-23 Kang Hyun Le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containing an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KR102197183B1 (ko) 2016-08-05 2020-12-31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당귀, 천궁, 및 작약의 열수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 또는 가피타히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면역 활성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20180042035A (ko) 2016-10-17 2018-04-25 (주)웰니스업리서치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4970B1 (ko) 2016-12-19 2018-02-13 주식회사 케미메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353698A1 (en) 2018-10-01 2021-11-18 Astrogenesis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or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roccol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741A (ko) * 2012-07-31 2014-02-1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민영 등, 초법에 따른 당귀의 항산화 및 항혈전 효과, Kor. J. Herbol. 31(3):13-22 (2016.05)* *
김용진 등, 當歸가 백서의 뇌손상 및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제21권 제4호(2000. 12)* *
대한한의학회지 제21권 제4호(2000. 1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630A (ko) * 2019-10-31 2021-05-10 (주)한지 참당귀 추출 분말 및 적양파 발효농축 분말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359B1 (ko) * 2019-10-31 2021-12-22 (주)한지 참당귀 추출 분말 및 적양파 발효농축 분말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5164A4 (en) 2022-10-05
US11446347B2 (en) 2022-09-20
JP2021523239A (ja) 2021-09-02
WO2019221571A1 (ko) 2019-11-21
EP3795164A1 (en) 2021-03-24
US20210228665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404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trachelospermi caulis extract and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82400B1 (ko)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8243B1 (ko) 낙석등 및 목단피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15274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3245B1 (ko)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S2613381T3 (es) Nuevos extractos de Cynara scolymus, Coffea spp. y Olea Europaea para el tratamiento de síndrome metabólico
US20140378543A1 (en)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nutritiona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at include one or more active substances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1929B1 (ko)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US9457055B2 (en) Method for treating inflammation, arthritis or disc diseases using a mixed extract of cibotii rhizoma, ledebouriellae radix, achyranthis radix, paeonia lactiflora pall and glycyrrhizae radix
MXPA05002081A (es) Extractos mejorados de psidium huajava, metodos para su obtencion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padecimientos gastrointestinales.
KR101119410B1 (ko) 회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26574B1 (ko)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KR10179692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54756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54755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JP2013545767A (ja) 有効成分として絡石藤抽出物及び牡丹皮抽出物の混合物を含む炎症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55690B1 (ko)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200011166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50114B1 (ko) 편각영지버섯 추출물, 잇꽃씨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52067B1 (ko)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9362A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부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0326A (ko)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