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245B1 -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245B1
KR101373245B1 KR1020120010558A KR20120010558A KR101373245B1 KR 101373245 B1 KR101373245 B1 KR 101373245B1 KR 1020120010558 A KR1020120010558 A KR 1020120010558A KR 20120010558 A KR20120010558 A KR 20120010558A KR 101373245 B1 KR101373245 B1 KR 10137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steoarthritis
present
extrac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305A (ko
Inventor
이용문
권진환
한민석
이은실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0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2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증 작용, 소염진통 작용, 관절 조직 분해효소 작용, 염증유발 관련효소 억제 작용 및 발부종 억제 등에 효과가 있어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로 기존의 진통제로 널리 쓰이는 약물들과 비교할 때 저용량 사용으로 소염진통 작용을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기존 약물들에 비해 순수 천연물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인체에 안전하다.

Description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Arthrits Comprising Herbal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 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아직까지 이를 완전히 퇴치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골관절염 치료의 목표는 통증을 줄이고 관절의 파괴 및 변형을 예방하여 정상적인 관절을 유지하도록 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종래 골관절염의 통증을 완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방법으로는 COX-1 또는 COX-2 억제제, 마약성 진통제, 글루코사민(Glucosamin) 및 콘드로이틴(Chondroitin) 등의 경구투여 방법과 국소 도포제, 관절강 내에 스테로이드나 히알론산 등을 주사하는 국소 투여방법 등이 시행되고 있다. 통증이 비교적 경미한 경우에는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약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아세트아미노펜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계속되는 환자나 통증이 심한 환자, 염증을 동반한 환자에서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s)가 관절염 치료제로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NSAIDs는 65세 이상의 노인이나 과거에 위궤양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 위출혈 같은 위장관 합병증이 있었던 사람, 스테로이드 제제 또는 항응고제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심각한 위장관 합병증이 생길 위험성이 높아 약물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처럼 위장관 부작용 위험이 높은 환자들의 경우에는 선택적 사이클로옥시게네즈-2 억제제(COX-2 inhibitor)를 주로 사용한다. 기존의 NSAIDs는 COX-1과 COX-2를 모두 억제하는 반면, COX-2 억제제는 COX-2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고, 위장관 출혈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COX-1억제를 막아서 위장관 부작용 위험성을 줄여 준다. 그리고 트라나돌(Tranadol)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는 NSAIDs를 상용하지 못할 경우에 유용하지만, 노년층 환자에 사용 할 경우에는 역시 주의를 요한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호기성 생물체는 산소를 이용한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의 상해에 대하여 자기 방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만, 조직의 방어능을 초월한 활성산소의 생성은 관절염 등 여러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 활성산소는 가장 안정한 형태의 산소인 삼중항 산소(3O2)가 산화, 환원 과정에서 환원되어 생성되는 일중항 산소인 수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1O2-)과 과산화수소(H2O2),아히드록시라디칼(-OH)과 같은 자유라디칼로서, 이들은 단백질, 효소 및 T 세포와 같은 면역계통의 인자를 손상시커 각종 질병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항산화제의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예방적 항산화제인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카탈레이즈(Catalase), 글루타티온 페록시데이즈(Glutathione peroxidase)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와 천연 항산화제인 비타민E, 비타민C,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및 합성 항산화제인 부틸히드록시 아니졸(t-Butyl-4-hydroxyanisole:BHA)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3,5-(t-Butyl)-4-hydroxytoluene:BHT)등 많은 항산화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 항산화 효소는 노화에 따라 활성산소에 대한 방어능력이 저하되고, 합성 항산화제는 돌연변이를 유발하거나 독성 등의 문제가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글루코사민(Glucosamin)이나 콘드로이틴(Chondroitin)은 유럽 류마티스학회에서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조절에 사용하도록 권유된 바 있으나, 아직 그 안정성에는 많은 논란이 있다. 국소 도포제는 전신 부작용을 줄일 수 있고 약물을 이환 부위에 고농도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32 주 이상 투여시에는 효과적인 면에서 위약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국소투여의 다른 방법으로는 관절강 내 주사가 있다. 반감기가 긴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주사는 2 주 내지 4 주까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반복 투여시에는 역시 부작용이 우려된다. 히알론산 주사제의 경우, 히알론산이 활액 구성성분의 하나로 작용하여 마찰 감소 및 PGE 2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골관절염 환자는 이환된 관절 내 히알론산이 줄어들어 있어서 보충요법이 시도 되고 있다. 그러나 분자량이 적은 히알론산은 오히려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개인간 반응성이 다양하여 좀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처럼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치료약물들이 모두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에서는 각종 생약성분을 주제로 하는 골 관절염 치료제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특허공개 제2004-2297호(공개일자; 2004.01.07.)에는 칼로파낙스 사포닌 K 및 그 대사물을 함유한 염증 및 관절염 치료제로서 해동피를 추출하여 분리한 칼로파낙스 사포닌 K와 사물을를 인체 장내 미생물과 배양하여 생산한 대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염증 및 관절염 치료제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장내 미생물로는 박테로이더스 속, 비피도박테리움 속, 유박테리움 속, 퓨소박테리움 속, 락토바실러스 속, 스트렙토코쿠스 속 미생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483,707호(등록일자; 2005.04.07.)에는 위령선, 천화분 및 하고초의 생약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으면서 로스마린산의 함량을 소정량의 범위로 최적화시킨 생약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생약 조성물은 진통 활성, 급성 및 만성 염증 억제 활성, 혈소판 및 혈전 응집 억제활성, 항진된 면역세포(B-임파구, T-임파구) 증식억제활성, 염증관련 효소활성 억제효과, 유해활성산소 라디칼 소거활성, 관절조직 분해효소 활성 억제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특히 관절조직 보호활성도 우수하므로 소염진통제, 혈액순환 개선제, 관절염 치료제 및 관절 보호제 등으로 유용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486,791호(등록일자; 2005.04.22.)에는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프로스타글란딘(PGE 2),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결합 조직의 기질인 콜라젠 단백질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콜라젠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우슬 추출물, 우백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류마토이드 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 특허등록 제555,660호(등록일자; 2006.03.02.)에는 해동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및 칼로파낙스 사포닌 A 유도체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는데, 상기 조성물은 진행성, 염증성 자가면역 관절염의 제반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 각종 관절염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및 건강보조식품에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 0654903호(등록일자:2006.11.30)에는 인진, 갈근, 차조기를 포함하는 연골재생, 소염 및 진통등 관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는데,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효과, 소염 진통작용, 관절조직 분해효소 억제작용, 염증유발 관련효소 억제 작용, 발부종 억제등에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 식품으로서 골관절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 되어 있다.
골관절염(Osteoarthritis,OA)은 전체 골근격계 질환의 40 내지 60%를 차지하고 있는 가장 흔한 운동기계의 질환이며, 평균 연령이 증가되면서 유병율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Haq I et,.J.Osteroarthritis.79(993).pp 377 -383). 관절염은 관절의 연골이 닳아 없어져 관절뼈가 맞부딪히면서 심한 관절통을 유발하며 그로 인한 활동의 제한이 장애의 주 된 원인이 된다. 만성적 경과를 밟는 질환의 특성에 의하여 장기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는데, 장기적인 약물 복용으로 인한 합병증 및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관절염의 치료시 통증의 완화, 관절 연골의 기능유지 및 회복은 물론 합병증도 함께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관절염의 치료방법으로는, 초기에 있어 통증만 있는 경우에는 단순 진통제를 복용하여 통증을 없애는데 초점이 맞춰 있으나, 좀 더 진행된 후 통증이 계속된 경우에는 항염 효과가 강한 소염 진통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소염진통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유형의 소염물질을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소염 진통제의 일종인 하이드로코르티존(Hydrocortisone) 및 베타메타손(Betamethasone)등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위, 간 및 신장의 기능을 연골 세포의 재생 능력을 저해시키는 등의 부작용이 있어 지속적인 관찰과 함께 경구투여가 아닌 관절 내 주사를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관절염 치료에 가장 일반적인 약물복용 방법에 있어 진통억제 및 소염 효과를 가지며 상기 부작용을 낮추는 많은 약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들의 대표적인 예로는 디클로페낙(Diclofenac), 아스피린(Aspirin) 및 이부프로펜(Ibuprofen)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가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역시 소화기. 특히 위장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은 관절염의 근본적인 치료없이 통증 및 염증만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생약조성물을 이용한 항염증작용, 소염진통작용, 관절조직 분해효소 억제 작용, 염증 유발 관련효소 억제 작용, 발 부종 억제 등에 효과가 있는 생약조성물을 개발해야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골 관절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천연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생약 조성물이 항염증 작용, 소염진통 작용, 관절조직 분해효소 억제 작용, 염증유발 관련효소 억제 작용 및 발부종을 억제하여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 관절염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골 관절염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천연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고, 그 결과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천연 생약 조성물이 항염증 작용, 소염진통 작용, 관절조직 분해효소 억제 작용, 염증유발 관련효소 억제 작용 및 발부종을 억제하여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 또는 상기 용매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인진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특유의 향기와 약효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아 왔으며, 민간에서는 식용, 약용 및 단방약으로 오래전부터 애용되어 왔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인진은 산모의 대변하혈이 있거나 산후 복통, 월경불순, 감기로 인한 오한, 열, 오래된 이질, 피부병, 음부의 각종 질명, 풍습, 옴 및 종양 등을 치료하며, 모든 실혈을 치료한다고 전해진다. 또한 인진은 졸심통을 치료하는데 좋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하며, 황달을 주로 치료하므로 온몸이 황색으로 발하고 소변이 붉은 색이 있을 때 진하게 달여 마시면 그 정도가 진정되는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인진은 주성분으로 피넨, 테르피넨, 리모넨, 테르피네올, 쿠마린을 비롯한 정유 성분과 클로르겐산, 카페인산, 페놀라산 등의 방향족 옥시카르본산 등을 함유하고, 손상된 간 회복, 지방간, 간암, 간염, 황달 등의 간질환 치료 및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두충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두충과의 낙엽활엽 식물로서, 중국 특산식물이며 한방에서는 간신의 기능부족으로 나타나는 요통과 무릎이 시리고 연약해지는 증상 등에 근육의 탄력을 강화시키면서 골절 형성을 촉진시킨다. 나무껍질을 보약. 강장제로 쓰고, 대뇌를 튼튼하게 하며, 폐와 무릎통증 및 음습증을 다스린다.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서 신경통 및 고혈압에 쓰고 차로도 복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해동피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 또는 그 동속식물인 당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 var. chinensis Nakai), 털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 var. magnificus Nakai), 가는잎 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 var. maximowiczii Nakai )의 수피로서, 신경통, 관절염 및 당뇨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민간 약재이다. 해동피의 구성성분으로는 13 내지 30%의 탄닌성분, 글루코스, 칼로톡신(Kalotoxin), 칼로사포닌(Kalosaponin),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 헤더라게닌(Hederagenin), 아미노산(Ainoacid), 디-만니톨(d-Mannitol) 및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들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가시오가피는 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인삼보다 좋다는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신경통, 관절염, 고혈압, 신경쇠약, 당뇨 및 강장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체리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로 소염, 살균 효과가 있어 류마티스 환자들에게 좋으며, 포도당이 흡수되는 것을 억제하고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치료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삼백초는 제주도 협재 근처의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잎·꽃·뿌리가 하얗다고 하여 삼백초라 부른다. 한방에서는 전초(全草)를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해열, 이수(利水) 및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소변불리(小便不利), 수종(水腫), 임탁(淋濁), 각기(脚氣), 간염, 황달 및 옹종(癰腫)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하고초는 익모초로도 불렸으며 자궁흥분 작용, 혈전 용해 작용, 심장과 관상 동맥 혈류량 증가작용, 호흡 흥분 작용, 이뇨 작용, 피부진균 억제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당귀는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補血作用),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뛰어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오미자는 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대뇌피질 흥분작용, 혈압 강하작용, 거담, 진해 작용, 호흡 흥분 작용, 강심작용, 당 대사 촉진과 당분해작용, 세포 면역 기능 증강작용, 자궁 흥분 작용, 담즙 분비 촉진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 및 억균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우슬은 어혈을 제거해줌으로 생리불순, 산후복통에 쓰며,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를 잘 통하게 하여 관절염에 쓰고, 음허화동으로 인한 입안과 혀의 발진을 치료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조성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뿐만 아니라 상기 시료들 자체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된 가공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을 수득하는 방법은 추출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추출방법도 포함한다. 상기 추출방법은, 바람직하게 냉침법, 온침법, 열수추출법, 발효추출법, 여과침출법, 수증기증류법, 마이크로웨이브공정을 이용한 추출법, 초임계유체추출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냉침법, 온침법, 열수추출법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냉침법이다. 상기 냉침법(macerating)은 상온에서 액체(또는 용매)에 침출시키는 방법으로 천연물 추출시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상기 추출물을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은 재추출, 감압 증류, 동결 건조 , 분무 건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은 물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냉침(15℃)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난 후 30-80℃로 열을 가해 재추출하여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구체적인 추출과정은 다음과 같다:
인진, 두충 및 우슬은 물에 냉침(15℃)한 후, 재추출하고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사용한다. 해동피, 가시오가피, 삼백초 및 당귀는 20 내지 80%의 에탄올에 냉침(15℃)한 후, 재추출하고 감압농축기로 에탄올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체리, 하고초 및 오미자는 40 내지 60%의 에탄올에 냉침(15℃)한 후, 재추출하고 감압농축기로 에탄올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시의 각 재료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및 당귀는 100 - 200 중량부를 사용하고, 오미자 및 우슬은 50 - 100중량부를 추출 원료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을 수득하여 재농축한 최종적인 추출물을 실시예에서는 생약조성물(BH202)로 표기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약조성물(BH202)”은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혈액내의 프로테오글리칸, 프로스타글란딘,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또는 사이클로오시게나제의 증대를 감소시켜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 작용을 나타낸다.
프로테오글리칸은 단백질, 당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콜라겐 섬유와 엉겨 붙어 연골 내에 빽빽하게 밀집된 구조 또는 틀을 형성하여 몸을 굽혔다 폈다 하는 운동을 가능하도록 연골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복합분자이다. 또한 프로테로글리칸을 연골 조직 내로 감금시켜 스폰지 역할을 해 연골이 계속적인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골관절염이 진행되면, 염증반응과 함께 연골이 파괴되어 활액내로 상기 프로테오글리칸이 방출되어 활액량 및 활액내의 프로테오글리칸의 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활액내의 프로테오글리칸 농도의 감소는 골관절염의 개선을 측정하는 중요한 마커가 된다. 또한, 프로테오글리칸의 활액내로 방출을 억제되는 경우, 연골내의 프로테오글리칸이 생성되고, 이는 연골세포의 증식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활액 내의 프로테오글리칸의 방출억제로 인하여 연골재생의 효과도 측정할 수 있다.
골관절염이 발생된 연골조직은 MMP(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matrix metalloproteinase) 합성 및 활성화에 의하여 파괴되고, MMP-1 (collagenase-1), MMP-2, MMP-3(stromelysin-1), MMP-8 (neutrophilcollagenase), MMP-9(gelatinase), MMP-13(collagenase-3)등의 발현 및 활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활액 내의 MMP-9의 농도의 감소는 골관절염의 개선정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마커가 된다. 또한 사이클로옥시게나제 2(cyclooxyenase2:COX-2)는 통증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E2를 합성하는 효소이며, 이는 NO를 비롯한 기타 자극에 의해 합성이 촉진되기 때문에 COX-2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은 또한 골관절염 치료에 중요한 마커가 된다. 한편 염증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는 항산화 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에 의하여 제거 되므로 세포내의 SOD 함유량은 골관절염 개선에 중요한 마커가 된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연골세포에서 프로테오글리칸과 프로스타글란딘E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활액내에서의 상기 물질의 농도를 감소 시키고, 일산화질소의 생성, MMP-9 및 사이클로옥시게나제나 제2의 발현을 억제하며, 초산에 의한 롸이딩(Writhing)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 부종율을 감소시키며,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SOD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골관절염의 정도에 따라 증가하는 활액의 양을 감소시키고, 연골 파열시 활액 내로 방출되는 총 단백질의 양을 감소시키며, 프로테오글리칸의 활액 내의 함량을 감소시켜 발생된 골관절염의 진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상기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의 식품학적 유효량; 및 (b)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식품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증 작용, 소염진통 작용, 관절 조직 분해효소 작용, 염증유발 관련효소 억제 작용 및 발부종 억제 등에 효과가 있어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ⅲ) 본 발명은 관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로 기존의 진통제로 널리 쓰이는 약물들과 비교할 때 저용량 사용으로 소염진통 작용을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기존 약물들에 비해 순수 천연물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인체에 안전하다.
도 1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에 생약조성물(BH202) 처리시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에 생약조성물(BH202) 처리시 PGE2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에 생약조성물(BH202)처리시iNOS 및 PGE2의 mRNA 발현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토끼 연골세포에 생약조성물(BH202)처리시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토끼 연골세포에 생약조성물(BH202)처리시 PGE2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토끼 연골세포에 생약조성물(BH202)처리시 프로테오글리칸 분해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냉침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유효성분과 열수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유효성분의 양적 차이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생약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각각 유효성분을 추출했다:
인진 10 kg, 두충 10 kg, 우슬 5 kg은 각각 물에 냉침(15℃)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그 후 30 - 80℃로 열을 가하여 다시 추출하여 감압농축기로 인진 5 L, 두충 8 L, 우슬 4 L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해동피 10 kg, 가시오가피 10 kg, 삼백초 10 kg, 당귀 10 kg은 각각 20 내지 80%의 에탄올을 용매로 냉침(15℃)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그 후 30-80℃로 열을 가하여 다시 추출하여 감압농축기로 해동피 6 L, 가시오가피 9 L, 삼백초 9 L, 당귀 5 L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이때 에탄올도 제거 되었다.
체리 10 kg, 하고초 10 kg, 오미자 5 kg은 각각 40 내지 60%의 에탄올을 용매로 냉침(15℃)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그 후 30 - 80℃로 열을 가하여 다시 추출하고 감압농축기로 체리 8 L, 하고초 5 L, 오미자 4L이 되도록 농축하였다. 이때 에탄올도 제거되었다.
상기 10 개의 시료 농축액을 종합해서 다시 농축하여 10 kg(56 Brix)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농축액을 -60℃에서 48 내지 96 시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 추출물 6 kg을 얻었으며 상기 추출물을 생약조성물(BH202)로 표기하였다.
실시예 2: 활성 시험
1. 마우스 대식세포주에서 생약조성물(BH202)의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
생약 조성물(BH202)의 소염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일산화질소의 생성 억제 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마우스 대식세포(Raw264.7 macrophage)를 접종하고 배양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의 염증유발을 위해 1 ug/ml LPS(Lipopolysaccharide)을 처리하여 반응시켰다. 소염작용에 대한 농도 의존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조군에는 용매인 DMEM만 처리하고 실험군에는 생약조성물(BH202)을 10, 25, 50 및 100 ug/ml의 농도가 되도록 투여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배지와 그리스 시약을 1:1 비율로 혼합하고 상온에서 10 분간 방치 후 흡광도 측정기로 파장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와 같이 LPS 처리로 인하여 일산화질소(NO)의 생성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생약조성물(BH202) 처리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크게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억제는 생약조성물 농도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약조성물(BH202)은 LPS 처리로 염증이 유발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에서 중요한 염증유발물질로 알려진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마우스 대식세포주에서 생약조성물(BH202)의 PGE2 생성 억제 효과
생약 조성물(BH202)의 소염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염증반응물질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생성억제 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배지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마우스 대식세포주(Raw264.7 macrophage)를 접종하고 배양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염증유발을 위해 1 ug/ml LPS (Lipopolysaccharide)을 처리하여 반응 시켰다. 염증유발에 대한 농도 의존적 효과를 보고자, 대조군에는 용매인 DMEM만 처리하고 실험군에는 생약조성물(BH202)을 10, 25, 50 및 100 ug/ml의 농도가 되도록 투여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Amersham에서 판매하는 PGE2 어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배양액내 존재하는 PGE2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과 같다.
도 2과 같이 LPS 처리로 인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생성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생약조성물(BH202) 처리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PGE2의 생성이 크게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억제는 생약조성물(BH202) 농도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약조성물(BH202)은 LPS 처리로 염증 유발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에서 중요한 염증유발물질로 알려진 일산화질소(NO)와 더불어 중요한 염증유발물질로 알려진 PGE2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마우스 대식세포주에서 생약조성물(BH202)의 iNOS 및 PGE2의 mRNA 발현 억제 효과
생약 조성물(BH202)의 NO 및 PGE2 생성효소의 발현 억제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생약조성물(BH202)이 iNO2 및 PGE2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SO배지를 이용하여 10cm 배양접시에 마우스 대식세포(Raw264.7 macrophage)를 접종하고 배양하였다. 염증유발을 위해 1ug/ml LPS(Lipopolysaccharide)을 처리하여 반응 시켰다. 생성효소 발현억제 대한 농도 의존적 효과를 보고자, 대조군에는 용매인 DMSO만 처리하고 실험군에는 생약조성물(BH202)을 50 및 100 ug/ml의 농도가 되도록 투여한 후,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마우스 대식세포로부터 RNA을 추출하고 RT-PCR을 수행하여 iNOS, PGE2의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와 같다. 도 3와 같이 생약조성물(BH202)이 투여된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iNO2 및 COX-2의 mRNA 발현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생약조성물 농도에 의존적임을 알 수 있다.
4. 토끼 연골세포에서 생약조성물( BH202 )의 일산화질소( NO ) 생성 억제 효과
생약 조성물(BH202)이 소염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토끼 연골세포에서 일산화질소의 생성 억제 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2-3 주령 토끼 관절로부터 연골조직을 분리하여 분쇄하고, 콜라게나아제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연골세포를 분리하였다.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토끼 연골세포(rabbit chondrocyte)를 접종하고 배양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염증유발을 위해 10 ng/ml IL-1베타(Interleukin-1B)을 처리하여 반응시켰다. 일산화 생성 억제에 대한 농도 의존적 효과를 보고자, 대조군에는 용매인 DMEM만 처리하고 실험군에는 생약조성물(BH202)을 10, 25, 50 및 100 ug/ml의 농도가 되도록 투여한 후,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지와 그리스 시약을 1:1비율로 혼합하고 상온에서 10 분간 방치 후 흡광도 측정기로 파장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와 같이 IL-1B 처리로 인하여 일산화질소(NO)의 생성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생약조성물(BH202) 처리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크게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억제는 생약조성물 농도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약조성물(BH202)이 IL-1B 처리로 염증이 유발된 토끼 연골세포에서 중요한 염증유발물질로 알려진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토끼 연골세포에서 생약조성물( BH202 )의 PGE2 생성 억제 효과
생약 조성물(BH202)이 소염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토끼 연골세포에서 염증반응물질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생성 억제 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2-3 주령 토끼 관절로부터 연골조직을 분리하여 분쇄하고, 콜라제나아제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연골세포를 분리하였다.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토끼 연골세포(rabbit chondrocyte)를 접종하고 배양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염증유발을 위해 10 ng/ml IL-1베타(Interleukin-1B)을 처리하여 반응시켰다. 염증 반응물질 프로글란딘 E2에 대한 농도 의존적 효과를 보고자, 대조군에는 용매인 DMEM만 처리하고 실험군에는 생약조성물(BH202)을 10, 25, 50 및 100 ug/ml의 농도가 되도록 투여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Amersham사에서 판매하는 PGE2 assay kit를 이용하여 배양액내 존재하는 PGE2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도 5와 같이 IL-1B 처리로 인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생성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생약조성물(BH202) 처리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PGE2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억제는 생약조성물(BH202)농도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약조성물(BH202) 이 IL-1B 처리로 염증이 유발된 토끼 연골세포에서 중요한 염증유발물질로 알려진 일산화질소(NO)와 더불어 PGE2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토끼 연골세포에서 생약조성물( BH202 )의 프로테오글리칸 분해 억제 효과
생약 조성물(BH202)의 관절조직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토끼 연골세포에서 프로테오글리칸 분해 억제 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2-3 주령 토끼 관절로부터 연골조직을 분리하여 분쇄하고, 콜라제나아제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연골세포를 분리하였다.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토끼 연골세포(rabbit chondrocyte)를 접종하고 배양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염증유발을 위해 10 ng/ml IL-1베타(Interleukin-1B)을 처리하여 반응시켰다. 염증 반응물질 프로글란딘 E2에 대한 농도 의존적 효과를 보고자, 대조군에는 용매인 DMEM만 처리하고 실험군에는 생약조성물(BH202)을 10, 25, 50 및 100 ug/ml의 농도가 되도록 투여한 후,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프로테오글리칸의 분해산물인 글루코사미노글리칸(GAG)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양액과 1,9-디메틸 메틸블루 발색제(DMB)양을 혼합한 후, 525 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도 6과 같이 생약조성물(BH202) 투여군이 그렇지 않는 군에 비해 프로테오글리칸 산물인 GAG양이 적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생약조성물(BH202)이 프로테오글리칸 분해를 억제함은 물론 이러한 억제가 생약조성물(BH202)농도에 의존적임을 알 수 있다.
7. 마우스에서 생약조성물( BH202 )의 진통효과 시험
생약조성물(BH202)의 진통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에서 Whittle(1964)의 초산에 의한 롸이딩(Writhing) 증상을 관찰하였다. 휘틀의 방법(Brif.J.pharmcol., 22, 246, 1964)에 준하여 하루 동안 절식시킨 10 마리의 성숙한 I.C.R 계 생쥐 수컷(체중 22 ± 2 g)에게 각각 상기 생약 조성물(BH202) 100 mg/Kg, S사 제품 100 mg/Kg 및 아세트아미노펜 50 mg/Kg 을 경구투여하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 투여하여 60 분후에 0.7% 초산 생리식염수 10 ml/kg을 복강 내 주사하여 통증을 유발하였다. 10 분 경과후 10 분 동안의 스트레칭 횟수를 통각 지표로 하여 그 횟수를 측정하였다. 항 라이징(Writhing) 효과는 대조군의 라이징수에 대한 시료 투여군의 억제율을 구했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항목 용량(mg/kg) 마리수 라이징수 억제율(%)
대조군 - 10 33.3 -
시험군(BH202) 100 10 19.6 41.1
S사제품 투여군 100 10 20.6 38.1
아세트아미노펜 투여군 50 10 16.2 51.3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생약조성물(BH202)과 S사 제품을 투여한 시험군은 각각 기존의 강력한 합성 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과 거의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고,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생약조성물(BH202)은 진통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8. 마우스에서 생약 조성물( BH202 )의 급성염증에 대한 억제 효과
생약 조성물(BH202)의 항염증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에 카라기난(carrageenan)을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한 후 발 부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웅성 흰쥐를 사용하여 왼쪽 뒷발의 발목 관절부위에 기준선을 표시하고 플레티스모미터(Ugo Basile, Italy)로 발의 용적을 측정한 후, 상기 생약조성물(BH202) 및 해동피 추출물을 각각 10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30 분후에 정상대조군은 생리식염수 0.1 ml, 양성대조군은 기염제인 1% 타입 IV 람다 카라기난-식염수 용액 0.1 ml를 흰쥐의 왼쪽 뒷발의 족저 중심부 피하에 주사하여 부종을 유발하였다. 각 시험약물의 투여 후 0.5, 1, 2, 4 및 6 시간마다 플레티스모미터로 발의 용적을 측정하고, 기염제 투여 전의 용적과 비교하여 부종 증가율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부종률(%)
0.5 hr 1 hr 2 hr 4 hr 6 hr
정상대조군(식염수) 4.30 3.99 4.27 2.53 1.64
양성대조군(카라기난) 13.30 34.27 45.61 68.21 68.10
시험군(생약조성물) 13.40 28.54 7.48 3.37 1.54
시험군(해동피) 13.00 29.11 9.38 4.63 2.43
* 부종증가율(%) = (투여후 발용적 - 투여전 발용적) ÷ 투여전 발 용적 X 100
표 2와 같이, 양성대조군(카라기난)에서는 투여 후 30 분부터 부종이 급격히 증가하여 6 시간까지 정상대조군(식염수)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은 부종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생약 조성물(BH202) 및 해동피 추출물을 투여한 시험군에서는 투여 후 30 분 및 1 시간에서 히스타민과 세로토닌이 관여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일시적인 부종 현상이 나타났고, 이후 2 시간, 4 시간 및 6 시간에서는 부종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생약조성물(BH202)은 발 부종의 증가율을 감소시켜 염증 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냉침법에 의한 유효 성분 추출 증대 확인
먼저 냉침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유효성분과 열수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유효성분을 비교하기 위해 해동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각각 추출하였다. 냉침추출법에 의하면, 먼저, 해동피를 20-80% 주정에탄올에 24 시간 냉침(15℃) 후에 30-80℃로 열을 가한 후 다시 추출하여 감압농축으로 에탄올 제거 후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표 3과 같이 상기 분말 100 mg을 HPLC전개 용매 1 ml에 용해하여 HPLC로 유효성분 측정지표인 a-헤데린을 측정한 결과 50 ug/ml이었다. 또한 열수추출법에 의하면 해동피를 30-80℃ 열수에서 4 시간 추출하고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이 분말 100 mg을 HPLC전개 1 ml에 용해하여 HPLC로 유효성분 측정지표인 a-헤데린을 측정한 결과 0.5 ug/ml이었다. 따라서 냉침(15℃) 후 열을 가해 재추출한 해동피가 열수로 추출한 해동피에 비해 유효 성분의 함량이 100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이후 본 발명인 생약조성물 시료의 제조는 냉침추출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해동피 분석 조건
항목 HPLC 조건
시스템 DIONEX ICS 3000 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Nanospace SI-2 pump
컬럼 Unison C18, 2*250 mm
모바일 페이즈 Pre-column eluent: 40% ACN+0.001% 인산버퍼
Post-column eluent: 300mM NaOH
샘플 양 10 μL
흐름 속도 Pre-column eluent: 0.2 mL/min
Post-column eluent: 0.8 mL/min
압력 7.7-7.8 MPa
온도 30℃
검출 Pulsed Amperometric Detection; six-potential waveform

Claims (7)

  1. 인진, 두충, 해동피, 가시오가피, 체리, 삼백초, 하고초, 당귀, 오미자 및 우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용매로 처리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냉침법(macerating)으로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냉침법에 의해 추출한 후 30-80℃로 열을 가한 후 다시 추출하여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골세포에서 프로테오글리칸의 분해를 억제하고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a) 상기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치료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골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7. (a) 상기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식품학적 유효량; 및 (b)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골 관절염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10558A 2012-02-02 2012-02-02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3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558A KR101373245B1 (ko) 2012-02-02 2012-02-02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558A KR101373245B1 (ko) 2012-02-02 2012-02-02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305A KR20130089305A (ko) 2013-08-12
KR101373245B1 true KR101373245B1 (ko) 2014-03-11

Family

ID=4921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558A KR101373245B1 (ko) 2012-02-02 2012-02-02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665A (ko) * 2018-04-21 2020-02-24 류형준 통증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00131786A (ko) * 2020-11-09 2020-11-24 류형준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9612A (zh) * 2015-01-15 2017-10-13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包含五味子、杜仲和枸杞子的组合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代谢性骨病的组合物
JP6707134B2 (ja) * 2015-12-09 2020-06-10 エイチエルサイエン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ゴシツ、トチュウ、ザクロの抽出物の複合物(HL‐Joint 100)のCOX2、PGE2抑制を通じた抗炎効果、MMP‐2、9抑制を通じた軟骨保護効果およびコラーゲンタイプIIの合成増加を通じた軟骨再生効果による骨関節炎の改善方法
KR101896020B1 (ko) * 2016-02-01 2018-09-06 이강헌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73430B1 (ko) * 2018-10-12 2020-11-03 고려은단주식회사 도라지 복합발효추출물과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472B1 (ko) * 2019-02-21 2019-07-19 하태걸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6780B1 (ko) * 2019-08-28 2021-09-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성 질환으로 유발된 골소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496944B1 (ko) * 2020-02-24 2023-02-07 이두환 유기게르마늄을 포함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건강보조식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106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관절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4512A (ko) * 2003-05-02 2004-11-10 주식회사 벤스랩 항산화, 항관절염 및 항치매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0654904B1 (ko) 2005-12-12 2006-12-06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KR20110016825A (ko) * 2009-08-12 2011-02-18 (주) 와이디생명과학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106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관절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4512A (ko) * 2003-05-02 2004-11-10 주식회사 벤스랩 항산화, 항관절염 및 항치매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0654904B1 (ko) 2005-12-12 2006-12-06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KR20110016825A (ko) * 2009-08-12 2011-02-18 (주) 와이디생명과학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665A (ko) * 2018-04-21 2020-02-24 류형준 통증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00019664A (ko) * 2018-04-21 2020-02-24 류형준 림프순환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00019935A (ko) * 2018-04-21 2020-02-25 류형준 피멍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
KR20200019934A (ko) * 2018-04-21 2020-02-25 류형준 이명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
KR102234576B1 (ko) 2018-04-21 2021-03-31 류형준 피멍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234575B1 (ko) 2018-04-21 2021-03-31 류형준 이명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243579B1 (ko) 2018-04-21 2021-04-22 류형준 림프순환 촉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243577B1 (ko) 2018-04-21 2021-04-22 류형준 통증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00131786A (ko) * 2020-11-09 2020-11-24 류형준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251435B1 (ko) 2020-11-09 2021-05-11 류형준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305A (ko) 201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245B1 (ko)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ishra et al. Phytochemical, therapeutic, and ethnopharmacological overview for a traditionally important herb: Boerhavia diffusa Linn.
US6395311B2 (en) Multicomponent biological vehicle
US7674488B2 (e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n anti-inflammatory agent
WO2009097512A1 (en) Herb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o treat inflammation and inflammation associated conditions and diseases
KR10190291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 손상 개선용 조성물
US20010046523A1 (en) Ginger-based herbal composition for promoting health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263356B1 (ko)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US20100016246A1 (en) Food composition for functional foods and nutritional supplements
KR101508053B1 (ko) 우슬, 마가목 및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통증 완화용 식품 조성물
EP155045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 antthrombo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ies
EP399514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snake venom
KR102340531B1 (ko) Agkistrodon piscivorous piscivorous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1929B1 (ko)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 조성물
KR100818363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개선용 건강보조식품
Mojica et al. Hibiscus sabdariffa 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KR100541424B1 (ko) 항염증성 생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20765A (zh) 一种长效袪痘护肤组合物及其应用
KR101661423B1 (ko)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용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440534B1 (ko) 시지지움 포르모슘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06493B1 (ko) 민물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부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0534B1 (ko)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8565B1 (ko) 삼채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5869B1 (ko) 항천식 활성을 가지는 신선초 추출물
KR20240040441A (ko) 검은지느러미 빙어 추출물 또는 에메랄드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