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435B1 -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435B1
KR102251435B1 KR1020200148956A KR20200148956A KR102251435B1 KR 102251435 B1 KR102251435 B1 KR 102251435B1 KR 1020200148956 A KR1020200148956 A KR 1020200148956A KR 20200148956 A KR20200148956 A KR 20200148956A KR 102251435 B1 KR102251435 B1 KR 10225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ema
lymphatic
circulation
flu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786A (ko
Inventor
류형준
Original Assignee
류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형준 filed Critical 류형준
Priority to KR102020014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4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체내에서의 림프순환을 촉진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돕는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은 천궁, 메이플 시럽, 지각, 죽력, 해동피 및 의이인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LLEVIATING EDEMA BY PROMOTION OF LYMPHOKINESIS}
본 발명은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체내 림프순환을 촉진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도울 수 있는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많은 임상 경험을 통하여,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고 병든 상태의 몸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데 있어서 원활한 림프순환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체액순환은 혈액순환과 림프순환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체내의 물리적인 물질순환을 담당한다. 혈액순환은 체내 물질순환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림프순환은 심혈관계의 물질순환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림프계는 림프액, 림프관, 림프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인체의 조직 사이에 과도하게 존재할 수 있는 체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또 조직으로부터 세포대사를 마친 후 남은 노폐물과 모세 혈관을 통과하지 못하는 분자량이 큰 지방이나 단백질 등과 같은 세포 대사물질을 대정맥을 통해 혈액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모세 림프관은 모세 혈관과 인접해서 존재하며 전신에 분포되어 있다. 조직에 있는 조직액은 모세 림프관으로 들어가면서 림프액이 된다. 체액이 림프관으로 들어갈 때는 모세 혈관과 달리 막을 통하는 것이 아니라 모세 림프관 끝에 있는 작은 구멍들을 통과하면 된다. 따라서 모세 혈관의 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분자량이 큰 물질도 쉽게 통과할 수 있어 조직액의 성분들이 대부분 림프액에 포함된다. 모세 림프관의 말단 부분은 림프관으로 들어온 체액이 빠져나가기 힘든 구조로 되어 있다. 림프액의 구성은 조직액과 비슷하여 물, 죽은 세포, 지방과 단백질, 염분, 당, 요소, 및 림프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림프관은 림프액을 조직에서 대정맥까지 운반하는 통로이다. 림프관은 위치에 따라 피부와 근막 사이에 있는 천부 림프관과 근막 아래 위치한 심부 림프관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천부 림프관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천부 림프관은 림프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위치상 물리적으로 피부를 자극하는 림프마사지를 통한 림프순환 촉진이 가능하다. 림프액의 이동은 주로 림프관에 있는 판막과 근육의 수축 이완 운동이 연계하여 생기는 작은 동력에 의해 일어난다. 근육이 수축하면 부분적으로 굵어진 근육에 의해 림프관이 눌리면서 림프관 내부의 부피가 줄어든다. 이때 림프액은 줄어든 림프관의 부피만큼 판막에 의해 막힌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심장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근육이 이완되면 부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눌렸던 림프관이 회복되면서 림프관 내부의 부피가 늘어난다. 이때 늘어난 부피만큼 림프액이 보충되어야 하는데 판막으로 막히는 심장 방향에서 오지 못하고 심장에서 먼 방향에서 이동하여 채우게 된다. 따라서 판막의 한 구간은 근육의 운동에 따라 림프순환을 돕는 작은 심장과 같은 펌프 역할을 한다. 또 이러한 작은 펌프가 직렬로 다수 연결되어 있어 팔과 다리와 같은 긴 구간의 근육운동은 강력하게 림프액의 이동을 촉진하는 동력원으로 작용한다. 모세 혈관보다도 피부에 근접해 있는 모세 림프관은, 피부의 가벼운 손상에도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기 쉽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림프관이 대정맥에 도달하기 전에 림프절이 존재한다. 림프절은 그물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의 그물 구조물이 잘 막힐 수 있어서 근육의 움직임이 많거나 큰 부위인 귀 밑, 혀 밑,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주로 분포한다. 림프절은 병원체에 의한 침입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림프구를 생산하고, 혈액으로 돌아가기 전의 림프액에 있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 그리고 죽은 세포와 노폐물 등을 걸러서 분해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림프액의 이동은 조직액이 모세 림프관으로 들어가면서부터 시작된다. 모세 림프관들은 림프관에 합류하고, 림프관에는 정맥의 판막처럼 림프액의 역류를 막아주고 림프액의 순환 동력을 만드는 림프관 판막이 있다. 다시 림프액은 미생물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림프절을 통과하고 대정맥에서 혈액과 합쳐진다. 따라서, 림프순환은 손끝, 발끝 및 머리끝에서 시작하여 심장을 향해 진행하다가, 겨드랑이, 사타구니, 귀 밑 및 혀 밑 등에서 림프절을 통과하면서 병원성 미생물과 노폐물들을 걸러내고, 대정맥과 합쳐지면서 대정맥으로 들어가 혈액이 되는 체액의 순환이다.
이와 같이, 림프계는 심혈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체액순환을 도와주는 보조 순환계이다. 모세 혈관과 조직 사이에서 물질이 교환될 때 구조적으로 모세 혈관에서 조직으로 나오는 체액의 양은 조직에서 모세 혈관으로 들어가는 양보다 항상 많다. 이때 남아도는 체액이 그대로 쌓이면 조직에 부종이 생기고 정수압은 증가 된다. 또 혈액은 부족해진 체액들로 인해 수분을 잃어서 건조하고 끈끈해진다. 만약 이러한 현상들이 개선되지 못하고 지속 되면 심각한 체액순환 장애를 야기하게 되어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림프계는 조직에서 대정맥까지 체액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림프관을 통하여 조직에 쌓여있는 체액들을 대정맥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러한 불균형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체에서 부종은 체액순환의 장애를 의미하고, 체액순환 장애는 림프순환 장애를 의미한다. 또한, 전신 부종의 개선이든 국부적인 부종의 개선이든, 인체의 부종 개선은 체액순환 장애의 개선을 의미하고, 체액순환 장애의 개선은 림프순환 장애의 개선을 의미한다.
림프순환은 몸 안 구석구석 정체된 체액을 모아 대정맥을 통해 혈액으로 돌려보내는 과정으로, 그 과정에서 노폐물의 배출은 촉진하고 필요한 것은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히 체액순환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림프순환보다 혈액순환이 중요하지만 세포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환경의 관점에서 보면 직접적으로 조직액의 순환에 관여하는 림프순환이 혈액순환보다 더 중요한 면이 있다. 림프순환은 먼저 심혈관계의 혈액순환을 도와 세포에 필요한 물질인 영양분, 수분, 산소, 호르몬 등의 공급을 촉진하고, 동시에 조직이나 세포에 쌓여있는 노폐물, 독성물질, 염증물질 등을 빠르게 제거하여,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돕는다. 또, 섭취하는 약이나 영양소의 흡수 및 이동을 돕고 필요한 부위로 빠르게 전달하여 효과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림프순환은 세포가 활동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조성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므로 인체가 건강하게 활동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림프순환 장애는 조직에 쌓인 체액이 림프순환을 통해 혈액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조직에 남아있는 것이므로 전신적인 부종 또는 국부적인 부종을 유발한다. 즉, 몸의 전신적인 부종 또는 국부적 부종은 모두 림프순환 장애라고 단정지을 수 있다. 이러한 부종이 단기간이면 큰 문제가 아니지만 장기간 지속 되면 해당부위의 대사기능을 저하시켜 많은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근육운동이 림프순환의 유일한 동력임을 감안하면 운동부족으로 생길 수 있는 모든 증상이 림프순환장애의 증상이고, 운동으로 좋아질 수 있는 모든 효과가 림프순환 촉진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림프순환은 근육운동에 의해서만 순환동력을 얻는데, 생존을 위한 움직임의 필요성이 적어진 현대인은 근육운동의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림프순환도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절대적으로 운동량이 부족하여 체액순환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림프순환촉진방법을 찾는 것은 건강 유지를 위해 시급한 일이다. 그럼에도, 혈액순환에 대해서는 많이 논의되고 대응하는 방법이 많이 개발되었지만, 림프순환에 대해서는 중요성에 비해서 논의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림프순환의 개념은 현실적인 중요도에 비해 아직까지 의학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고 의약품의 개발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 림프순환을 촉진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도울 수 있는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림프순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천궁, 메이플 시럽, 지각, 죽력, 해동피 및 의이인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은 천궁, 지각, 해동피 및 의이인의 혼합분말에, 메이플 시럽과 죽력를 섞어서 내복용의 환제, 과립제, 또는 산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은, 천궁, 지각, 해동피 및 의이인의 혼합분말에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액상 또는 분말상의 추출물에, 메이플 시럽과, 죽력를 혼합하여 내복용의 환제, 과립제, 산제 또는 액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은, 천궁, 메이플 시럽, 지각, 죽력, 해동피 및 의이인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내복용의 환제, 과립제, 산제 또는 액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체내에서 림프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세포 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고, 세포의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도록 도우며, 체내의 세포들이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준다. 직접적으로는, 체내 림프순환을 촉진하여, 부종개선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림프순환 촉진은 기본적으로 조직에 쌓여있는 체액을 림프관을 통해 순환시켜 대정맥에서 혈액과 합쳐지게 하고, 이를 통해 체액이 전신 순환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직접적인 효과가 바로 부종의 개선 효과이다. 부종은 체액의 정체로 인하여 발생한다. 인체에서 체액의 정체는 림프순환에 의하여만 해소할 수 있다. 체액의 순환은 림프순환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액의 정체는 림프순환의 장애를 의미한다. 부종은 전신 부종 또는 국부적 부종으로 나타난다. 전신 부종은 전신 림프순환 장애라고 볼 수 있고, 국부적 부종은 국부적 림프순환 장애라고 볼 수 있다. 체액의 정체를 해소하면 부종이 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부종 개선이 된 것으로부터 림프순환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품 내용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품 포장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림프액 유량 변화 측정에 사용된 쥐의 림프관을 보여주는 해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림프액 유량 변화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부종 개선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궁, 메이플 시럽, 지각, 죽력, 해동피 및 의이인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율로 구성된다.
i)혈행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천궁 20~50중량%(전체중량기준, 이하 같음);
ii) 달콤한 맛으로 설탕 대용이나 감미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약리적 작용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는 메이플 시럽 20~50중량%;
iii) 정체된 기를 돌게 하는 것으로 알려진 지각 10~30중량%
iv) 열을 내리고 가래를 삭인다고 알려진 죽력 10~30중량%와,
v) 경맥을 잘 통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진 해동피 5~25중량%;
vi) 부종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의이인 1~20중량%.
천궁을 20중량%미만으로 첨가하면 천궁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가 미미하고, 천궁을 5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천궁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의 증대가 천궁의 첨가량의 증대에 미치지 못한다.
메이플 시럽을 20중량%미만으로 첨가하면 메이플 시럽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가 미미하고, 메이플 시럽을 5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메이플 시럽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의 증대가 메이플 시럽의 첨가량의 증대에 미치지 못한다.
지각을 10중량%미만으로 첨가하면 지각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가 미미하고, 지각을 3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지각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의 증대가 지각의 첨가량의 증대에 미치지 못한다.
죽력를 10중량%미만으로 첨가하면 죽력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가 미미하고, 죽력를 3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죽력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의 증대가 죽력의 첨가량의 증대에 미치지 못한다.
해동피를 5중량%미만으로 첨가하면 해동피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가 미미하고, 해동피를 2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해동피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의 증대가 해동피의 첨가량의 증대에 미치지 못한다.
의이인을 1중량%미만으로 첨가하면 의이인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가 미미하고, 의이인을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의이인에 의한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의 증대가 의이인의 첨가량의 증대에 미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천궁, 지각, 해동피 및 의이인의 혼합분말에, 메이플 시럽과 죽력를 섞어서 내복용 환제, 과립제, 또는 산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궁, 지각, 해동피 및 의이인의 혼합분말에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액상 또는 분말상의 추출물에, 메이플 시럽과, 죽력를 혼합하여 내복용 환제, 과립제, 산제 또는 액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궁, 메이플 시럽, 지각, 죽력, 해동피 및 의이인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내복용 환제, 과립제, 산제 또는 액제로 만들 수 있다.
천궁은, 미나리과 식물인 궁궁이나 산궁궁이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메이플 시럽은, 캐나다 단풍나무의 수액을 모아서 농축한 것으로 설탕의 대용품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지각은, 광귤나무의 성숙한 과실로 정체된 기를 돌게 하고, 소화불량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다.
죽력은, 대나무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강한 열에 의해 증발되는 대나무의 수액을 모은 것이다.
해동피는, 오갈피나무과의 엄나무 껍질을 말린 것이다.
의이인은 벼과 식물인 율무의 여문 씨를 말린 것이다. 율무는 한국의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씨가 익은 다음 전초를 베서 말려 두드려 씨를 털어 씨껍질을 벗긴다.
이 가운데, 죽력과 해동피와 메이플 시럽은 그 성분비율과 상관없이, 부종의 치료 및 경감에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죽력과 해동피와 메이플 시럽 가운데 어느 한 성분이라고 빠지면,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는 현저하게 저하된다. 천궁과 지각과 의이인은 죽력과 해동피와 메이플 시럽의 부종의 치료 및 경감 효과를 보충하고 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부종개선, 염증과 통증의 개선, 피멍 제거, 체온조절, 세포 환경 개선, 약물 전달 촉진 등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천궁과 지각과 의이인이 추가되어 상승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림프순환 촉진은 세포의 대사활동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드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 대사환경이 적절하지 못하여 생기는 거의 모든 증상에 활용할 수 있다. 좁은 범위에서는 부종개선, 통증개선, 염증개선, 체온의 조절, 피멍 제거, 약물 전달 촉진 등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게 확대하면 림프순환 부족의 원인인 운동부족으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증상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질병 예방을 위해서, 질병의 증상개선을 위해서, 질병의 치료를 위해서 거의 모든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다른 기능을 갖는 약물이나 기능식품과 혼용을 하여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오히려 유효성분의 흡수와 전달에도 도움을 주고, 증상을 일으키는 부위의 세포 환경개선에도 도움을 주므로 유효성분의 효능효과를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비타민C나 지용성 혈액순환제 등과 함께 복용할 경우 이들의 효과를 확실하게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실시 예1: C4U-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임상 실험 및 약효 확인을 위하여 내복용 조성물 환을 다음과 같은 양으로 수차례 제조하였다.
천궁분말 2,700g, 지각분말 1,400g, 해동피분말 1,100g, 의이인분말 800g의 혼합분말을 만들고, 여기에 메이플 시럽 2,600g과 죽력 1,400g을 더 혼합하여 직경 3-5mm의 작은 환으로 약 10,000g을 만들고 이들을 4.8g 단위로 포장하였다.
<실시 예2: C4U-2>
해동피추출물 220g, 메이플 시럽 500g, 죽력 280g을 혼합하여 시럽으로 약 1,000g을 만들고 이들을 4.8g 단위로 포장하였다.
<실시 예3: C4U-3>
천궁추출물 540g, 지각추출물 300g, 의이인추출물 160g을 혼합하여 시럽으로 약 1,000g을 만들고 이들을 4.8g 단위로 포장하였다.
[쥐의 장간막(mesenteric) 림프관에서 림프액 채취를 통한 림프액의 유량 변화 평가 시험]
1) 실험 목적: C4U-1, C4U-2, 및 C4U-3 시료의 림프유량 증대를 평가하기 위해 쥐의 장간막 림프관에서 림프액을 채취하기 위한 실험방법을 수립하고 각 시료가 림프액 유량에 미치는 영향 및 이를 통한 림프순환촉진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 실험 방법
(1) 동물 처치 및 시료 투여
림프관 확인을 위해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쥐(Male, Sprague-Dawley Rat, 체중 240 250g)에 림프액 채취 1시간 전 peanut oil 1.5 ml를 경구로 투여한다. Peanut oil을 투여한지 30분 후 C4U-1는 1,666 mg에 해당하는 양을 취하여 분말로 만든 후 소량의 정제수에 분산시켜 경구로 투여하였다. C4U-2와 C4U-3는 3,636 mg을 정확하게 취하여 두 번으로 나누어 경구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 C4U-2 및 C4U-3과 동일한 양의 정제수를 경구로 투여하였다. 시료투여 후 30분 이후에 urethane 1 ml를 복강 내에 투여하여 쥐를 마취하였다.
(2) 림프액의 채취 및 림프액 유량의 측정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취된 쥐의 복막을 3-4 cm 절개하였다. 이때, 소장은 복강 옆으로 약간 이동시킨 후 따뜻한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보호하였다. 간 아래의 대정맥(vena cava)에 수직으로 위치한 하얗고 반짝이게 보이는 림프관(도 3 참조)에 polyethylene 재질의 미세 튜브(내경 0.5 mm, 외경 0.9 mm)를 삽입하고 림프액을 1시간 동안 채취하였다. 1시간 후에 미세 튜브를 제거하고 미세 튜브 내로 유입된 림프액 유량의 중량을 미세 저울로 측정하였다.
3) 실험 결과
시험 결과를 도 4에 도표로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쥐에게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고 1시간 동안 채취한 림프액의 유량은 중량으로 1.1 mg이었고 정제수를 투여한 후 측정하여도 림프액의 유량변화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C4U-1, C4U-2, 및 C4U-3를 투여한 후에는 유량이 1.8mg(63.6% 증가), 1.6mg(45.4% 증가), 1.3mg(18.2% 증가)으로 크게 늘어나 투여한 C4U-1, C4U-2, 및 C4U-3 시료는 림프액의 유량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량 변화는 림프액 채취 중에도 알 수 있을 만큼의 차이였다. 이를 통해 C4U-1, C4U-2, 및 C4U-3를 투여한 경우 림프액의 순환이 촉진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C4U-2의 림프순환촉진 증가율은 C4U-3의 림프순환촉진 증가율의 2배 이상임을 알 수 있고, C4U-1의 림프순환촉진 증가율은 C4U-3의 림프순환촉진 증가율의 3배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즉, 해동피, 메이플 시럽 및 죽력의 추출물이 천궁, 지각 및 의이인의 추출물보다 림프순환촉진 효과가 크고, 이들을 모두 혼합할 경우 림프순환촉진 효과가 상승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Sprague-Dawley rat을 이용한 Carrageenan-유도 족 부종 시험]
1) 시험 목적
림프순환촉진의 효과를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부종 시험이다. 부종을 일으키는 거의 모든 병증은 림프액의 정체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종 개선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림프순환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2) 시험 물질
시험물질로 C4U-1, C4U-2, C4U-3를 사용하고, 양성대조물질로 Diclofenac Sodium을 사용하였다. 부형제 1로 멸균주사용수(대한멸균증류수-공급원: 대한약품공업㈜)를 사용하고, 부형제 2로 0.9 % saline (멸균생리식염수-공급원: 대한약품공업㈜)를 사용하였다.
3) 시험 방법
(1) 시험준비
특정병원체 부재 (SPF) 랫드, Hsd:Sprague Dawleyⓡ™ SDⓡ™(생산자 및 공급원: ㈜코아텍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로 181-21) 수컷 6 주령, 30 마리를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하는 랫드는 각종 약효 및 독성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풍부한 시험기초자료가 축적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시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가 용이하기 때문에 선택하였다. 식별을 위해, 동물은 순화기간 (청색), 투여 및 관찰기간 (붉은색) 동안 미부표식법을 사용하여 식별하였다. 사육상자에는 색으로 구별되는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고, 사육실 입구에는 동물실 사용기록지를 부착하였다. 본 시험은 온도 23±3 ℃, 상대습도 55±15 %,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시간 (오전 8 시 점등∼오후 8 시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한 주식회사노터스 설치류 사육구역 1 호실에서 실시하였다. 사육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 환기횟수 및 조도 등의 환경조건은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사료는 ㈜카길애그리퓨리나에서 생산하는 실험동물용 사료를 드림바이오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 507)로부터 공급받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며, 물은 정수된 물을 폴리카보네이트제 음수병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한다. 깔개는 나무깔개를 ㈜코아텍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동천리 406)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순화 및 실험 기간 동안 설치류용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 (W 235 x L 380 x H 175 mm)에서 5 마리/사육상자 이하로 사육하였다. 사육상자, 깔개 및 물병은 주 1 회 이상 교환하였다. 순화기간 중 건강한 것으로 판정된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하고 순위화한 체중에 따라 각 군의 평균체중이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무작위법으로 군분리하였다.
(2) 시험군의 구성
시험군의 구성과 투여량은 다음과 같이 정했다. 시험물질 1은 C4U-1를, 시험물질 2는 C4U-2를, 시험물질 3은 C4U-3를 각각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성대조물질은 Diclofenac Sodium이다.
Figure 112020119773846-pat00001
(3) 투여 시험물질의 조제
Carrageenan의 경우, 필요량을 칭량한 후 부형제인 멸균생리식염수에 1 % (10mg/mL)의 농도로 용해시켜 조제하여 부종 유발물질로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의 경우, 의뢰자측의 요청에 따라 의뢰자측에서 제공한 아래의 정보에 따라 필요량을 칭량한 다음, 멸균주사용수를 넣어 400 mg (주성분 기준)/10 mL의 농도로 조제한 후,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물질 1 (C4U-1)
제형: 환제
처방: 환제 1000 mg 중 주성분 240 mg, 부형제 760 mg
투여량: 주성분으로 400 mpk 투약 (분말로써 약 1666 mg)
시험물질 2 (C4U-2)
제형: 시럽제
처방: 시럽제 1000 mg 중 주성분 110 mg, 부형제 890 mg
투여량: 주성분으로 400 mpk 투약 (시럽제로써 약 3636 mg)
시험물질 3 (C4U-3)
제형: 시럽제
처방: 시럽제 1000 mg 중 주성분 110 mg, 부형제 890 mg
투여량 : 주성분으로 400 mpk 투약 (시럽제로써 약 3636 mg)
양성대조물질의 경우, 필요량을 취한 다음, 멸균주사용수를 넣어 30 mg/10 mL의 농도로 조제한 후, 시험에 이용하였다.
(4) 투여
시험물질의 경우, 임상예정경로인 경구투여를 선택하였다. 부종유발물질인 Carrageenan의 경우, 발바닥 부위에 대한 피내투여를 선택하였다. 시험물질의 경우, 유발물질 (Carrageenan) 투여 2 시간 전 단회 투여하며, 유발물질 또한 단회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및 양성대조물질의 경우, 시험 당일 측정한 체중을 기준으로 10 mL/kg로 산출하여 투여한다. Carrageenan의 경우, 우측 뒷다리 발바닥에 50 μL를 피내 투여하였다. 경구투여의 경우, 동물을 경배부 피부 고정법으로 고정하고, 경구투여용 존데를 이용하여 위 내에 직접 투여하였다. Carrageenan의 경우, 우측 뒷다리 발바닥에 50 μL를 피내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를 위한 동물은 시험물질 투여 전 16 시간 이상 절식을 실시하였다.
(5) 관찰 및 검사 항목
*Carrageenan 투여 전과 주사 후 3 시간 후에 뒷다리의 체적을 하지 부종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아래 제시된 계산식을 이용하여 부종 억제력 (%)을 계산하였다.
* 각 시험군의 부종율 (%) 및 부종 억제력 (%)을 계산하였다.
부종율 (%) = { (Vt - Vn)/Vn } X 100
Vt : Carrageenan 주사 후 일정시간 후의 발 용적,
Vn : Carrageenan 주사 전 발 용적
부종 억제력 (%) = (유발대조군의 평균 부종율 . 각 개체의 부종율) / (유발대조군의 부종율) x 100
4) 시험 결과
시험 결과는 도 5 내지 도 8에 도표로 나타내었다.
도 5는 시험물질만 투입하고 Carrageenan 투여 전에 뒷다리의 체적을 하지 부종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모든 그룹(G1-G6)에서 1mL 내외의 체적임을 알 수 있다. 도 6는 G2-G6 그룹에 Carrageenan을 투여하고 3시간 후의 뒷다리의 체적을 하지 부종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고, 도 7은 도 6의 측정결과와 도 5의 측정결과에 대한 차이값(부종 증가부피)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부종율을 계산하고, 이 부종율을 이용하여 부종 억제력(%)을 계산한 결과표이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G4(C4U-1)의 부종 억제력은 양성대조물질로 Diclofenac Sodium의 부종 억제력인 17%에 가까움을 확인할 수 있다. G5(C4U-2)의 부종 억제력은 8% 내외이고, G6(C4U-3)의 부종 억제력은 4% 내외임을 확인할 수 있다. C4U-2의 성분과 C4U-3 성분이 결합된 C4U-1는 상승적인 부종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종개선 효과를 통해 본원 발명의 림프촉진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쥐의 장간막 림프관에서 채취된 림프액의 점도 평가]
1) C4U-1, C4U-2, 및 C4U-3를 투여할 경우 림프액의 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시료를 쥐에게 투여한 후 채취한 림프액의 점도를 평가하였다.
2. 실험 방법
1) 동물 처치 및 시료 투여
(1)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쥐(Sprague-Dawley rat, male, 체중 190 -200g) 40마리에게, TPA(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를 이용하여 쥐의 귀 및 하지의 4지점에 피부 염증을 유발시켰다.
(2) 염증 유발 6시간 후, 40마리 쥐를 10마리씩 A,B,C,D의 4개 그룹으로 나눈후, A그룹(콘트롤 그룹)을 제외한 B,C,D 그룹에 대하여 각각 분말화된 C4U-1, C4U-2, C4U-3 1,666 mg씩을 정제수(4.5 ml)에 분산시키고 경구 투여하였다.
(4) C4U-1, C4U-2, C4U-3를 위와 같이 투여한 지 30분 후에 chloroform으로 쥐를 마취하였으며 이후에 추가로 urethane 1 ml를 복강 내에 투여하여 실험하는 동안 쥐의 마취상태를 유지하였다.
2) 림프액의 채취
(1) 쥐를 마취시킨 후 쥐의 복막을 3-4 cm 절개하였다. 이 후에 소장을 복강 밖으로 위치시킨 후 따뜻한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덮어 건조를 방지하였다.
(2) 간 밑의 대정맥(vena cava)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는 림프관에 polyethylene 재질의 미세 튜브(ID 0.5 mm, OD 0.9 mm)를 삽입하고 관 밖으로 새어 나오는 림프액을 A,B,C,D 각 그룹별로 모았다.
3) 림프액의 점도 측정
(1) 각 그룹별로 림프액을 2,000 μl 취하여, 직경 35 mm parallel plate(P TiL 30, Thermo Fisher Scientific Co. Ltd., USA)가 장착된 rheometer(모델명: HAAKE RheoStress 1, Thermo Fisher Scientific Co. Ltd., USA)를 이용해 림프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두 plate 사이의 gap은 1.0 mm, 하부 plate의 온도는 20℃로 설정하였다.
(3) 두 plate 사이에 약 2,000 μl의 시료를 넣은 후 5분간 시료를 안정화시켰다.
(4) 500초 동안 0.1 Pa의 shear stress를 가하면서 시료의 strain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하였다.
(5) 측정 완료 후 zero shear viscosity를 계산하였다.
*3. 실험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A그룹)의 경우 zero shear viscosity가 평균 2.21 mPa·s로 측정되었으며, C4U-1(B그룹), C4U-1(C그룹), 및 C4U-3(D그룹)를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zero shear viscosity가 각각 평균 1.78 mPa·s(약 19.5%의 점도 저하), 1.85 mPa·s(약 16.3%의 점도 저하), 1.93 mPa·s(약 12.7%의 점도 저하)로 측정되었다.
[임상시험]
이하에서는 다른 설명이 없으면,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실시 예 1에 따른 C4U-1이다.
<부종 개선 효과의 측정>
부종은 림프순환 장애로 인하여 조직 내에 림프액이나 조직의 삼출물 등의 액체가 고여 과잉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피부와 연부 조직에 부종이 발생하면 임상적으로 부풀어 오르고, 푸석푸석한 느낌을 갖게 되며, 누르면 피부가 일시적으로 움푹 들어간다. 림프액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면 이러한 증상은 사라진다. 따라서, 부종의 개선은 곧 림프순환의 개선을 의미한다. 부종 개선이 확인되면, 림프순환의 개선이 있다고 단정할 수 있는 것이다.
50대 이상의 나이로, 하지 부종이 있는 여자 환자 50명을 선정하여, 이들 환자들에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일 2회, 1회 2포씩 복용하게 하였으며, 7일간 연속 복용한 후, 각 환자에게 i) 체중 변화(체중계 사용), ii)허벅지, 종아리, 발등 중 부종이 가장 심한 부위의 둘레 길이 변화(플라스틱 줄자 사용), iii) 부종상태(육안관찰)을 측정하게 하였다.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아래의 측정 결과로부터, 50명의 환자 가운데 45명(90%)의 환자에게서 하지 부종 중 가장 심한 부위의 둘레 길이가 줄었음을 확인하였고, 40명(80%)의 환자에게서 체중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으며, 46명(92%)의 환자에게서 부종상태가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부종부위 둘레는 복용전 둘레의 1.0%~10.0% 범위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체중은 복용전 체중의 0.5%~4.0% 범위에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 조직내에 정체 되어 있던 체액(림프액이나 조직의 삼출물)이 소변이나, 담즙을 통해 대변으로 배출되어 체중 변화가 발생된 것이다. 부종이 개선되면 그에 상당한 체중 감소가 수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부종의 개선, 즉 림프순환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 항목

환자 수(명)

환자 비율



허벅지, 종아리, 또는 발등 가운데 부종이 가장 심한 부위의 둘레 길이 변화

부종부위 둘레 길이가 줄었다

45

90%

부종부위 둘레 길이가 변화없다

4

8%

부종부위 둘레 길이가 늘었다

1

2%




체중 변화

체중이 줄었다.

40

80%

체중의 변화가 없다

9

18%

체중이 늘었다

1

2%




부종상태

부종상태가 완화되었다

46

92%

부종상태의 변화가 없다

4

8%

부종상태가 악화되었다

0

0%
<개별환자에 대한 임상예>
이하의 임상시험 결과들은, 림프순환이 촉진될 때 당연히 생리학적으로 예측되는 결과들이고, 임상을 통해 확인된 것들이다.
1) 임상시험 1 - 부종 개선(43세, 여자)
갑상선암 수술 후 갑상선약 신지로이드(Synthroid)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서 약독으로 아침마다 얼굴과 손가락 뿐만 아니라 전신이 붓는 증상이 지속 된 환자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포씩 b.i.d로 먹기 시작하면서 7일 만에 얼굴 붓기가 빠지고, 5일만에 몸 전체 부기가 빠지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체중도 2.0kg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환자는 스스로,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도 작아지고 피부도 좋아졌다고 진술하였다. 부종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염분섭취를 제한하거나 이뇨제를 투여하지만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빠른 부종 개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부종은 체액의 정체로 인하여 발생하고, 체액의 정체는 림프순환 장애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종이 개선되었다는 것은 림프순환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임상시험 2 - 부종 개선(54세, 여자)
이 환자는, 알러지 자주 발생하고 부종이 늘 있는 54세 여자 약사였다. 퇴행성 관절염으로 무릎에도 늘 부기가 있었다. 며칠 전 모기에 물렸었는데 그냥 뒀더니, 이틀 지나고 팔목이 많이 붓고 가려워졌다. 스테로이드 연고를 발랐더니 오히려 크게 번지면서 붓고 열이 났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2포를 복용하게 하고, 5시간 후 다시 2포를 복용하게 하였다. 다음날 아침에, 팔목의 부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후 1포씩 b.i.d로 5일을 더 복용하게 하였더니 무릎의 부기도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다. 부종은 체액의 정체로 인하여 발생하고, 체액의 정체는 림프순환 장애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종이 개선되었다는 것은 림프순환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임상시험 3 - 부종 개선(40세, 여자)
살이 통통하게 찐 40세의 여자 환자로, 발등과 발바닥이 자주 붓고 뒷목과 어깨도 아프고 호소하는 환자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2포씩 t.i.d로 5일간 복용하게 하였다. 복용 후 5일 뒤에 발등과 발바닥 붓는 것이 완전히 사라졌고, 살도 좀 빠지는 느낌이라고 진술했다. 림프순환 촉진에 의하여 전신의 노폐물이 많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임상시험 4 - 부종 개선(72세, 여자)
10년 이상 하지 부종으로 피부가 갈라진 흔적이 있는 여자 환자였다. 피부가 예민하여 손을 살짝 대도 통증을 느끼는 상태였다. 순환계용약으로 시판되고 있는 Entelon Tab(150mg)을 수년간 복용하였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었다. 이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3포씩 t.i.d로 20일간 복용하게 하였다. 20일 후 종아리 피부에 주름이 생길 정도로 부종이 감소 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제조 및 시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조성비율과 포장 단위로 제조하였다.
천궁분말 27중량%, 지각분말 14중량%, 해동피분말 11중량%, 의이인분말 8중량%의 혼합분말을 만들고, 여기에 메이플 시럽 26중량%와 죽력 14중량%을 더 혼합하여 직경 3.8mm의 작은 동결건조 환으로 만든 후, 4.8g 단위의 스틱으로 포장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품 내용물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품 포장 사진이다.
위 제품을 2017.5.1부터 2018.3.31까지 6,000,000 스틱포장(1 스틱포장당 4.8g) 이상을 한국의 2,000여개 약국을 통해 판매하였다. 판매에 참여한 약사들을 통하여 2,000명의 부종 환자에 대한 투여 결과를 추적한 결과, 1,960명(약 98%)의 환자에게서 부종 해소와 함께 1.0%~5.0%의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Claims (2)

  1. 메이플 시럽, 죽력, 해동피, 천궁, 지각 및 의이인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2. 삭제
KR1020200148956A 2020-11-09 2020-11-09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25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956A KR102251435B1 (ko) 2020-11-09 2020-11-09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956A KR102251435B1 (ko) 2020-11-09 2020-11-09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413A Division KR20190122561A (ko) 2018-04-21 2019-04-14 림프 순환 장애의 치료 또는 경감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786A KR20200131786A (ko) 2020-11-24
KR102251435B1 true KR102251435B1 (ko) 2021-05-11

Family

ID=7367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956A KR102251435B1 (ko) 2020-11-09 2020-11-09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4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45B1 (ko) 2012-02-02 2014-03-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9927B1 (ko) 2016-11-28 2017-05-26 박노수 관절의 치료를 위한 주사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절 질환의 치료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430A (ko) * 2004-08-24 2006-03-02 담양군 죽력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또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090010384A (ko) * 2007-07-23 2009-01-30 김재욱 여성부종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86682A (ko) * 2012-01-26 2013-08-05 한국스포츠생명공학협회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EP3280446A1 (en) * 2015-04-06 2018-02-14 Janssen Pharmaceutica, N.V. Compositions containing ibrutinib
KR102567235B1 (ko) * 2016-09-12 2023-08-18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45B1 (ko) 2012-02-02 2014-03-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9927B1 (ko) 2016-11-28 2017-05-26 박노수 관절의 치료를 위한 주사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절 질환의 치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786A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2552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Inflammation
JP6088044B2 (ja) 筋の老化防止用組成物
KR102234576B1 (ko) 피멍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CN108434233A (zh) 一种防治脚气、脚癣、脚汗的中药组合物
Sakat et al. Osteoporosis: The brittle bone
CN101406688B (zh) 一种治疗风湿、类风湿性关节炎的复方制剂
KR102251435B1 (ko) 림프순환 촉진에 의한 부종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20160102669A (ko)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274064A (zh) 一种治疗狂犬病的中药制剂
KR20200131787A (ko) 림프순환개선 식품조성물
CN104208369B (zh) 治疗痛风的五藤逍遥丸
US10912324B2 (en) Food product for improving lymphatic circulation
KR102198502B1 (ko) 인체의 림프순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CN111407788A (zh) 祛风寒湿瘀痹痛肿毒、通经络、补阳的外用中药或保健品
CN105031564B (zh) 一种治疗急性软组织扭挫伤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11655250A (zh) 伤害感受性疼痛的预防或改善用组合物
CN115120629B (zh) 腹脐草在制备预防/治疗骨关节病药物方面的用途及其中药组合物、中药制剂及制备方法
KR20190042147A (ko) 부종 개선 식품조성물
CN108066363A (zh) 一种养肝强身组合物
CN117122607A (zh) 灯盏花素-rdg类肽合物在制备治疗冻伤导致肢端循环障碍和炎症药物中的应用
Pandey et al. Role of Nutraceuticals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Bursitis
CN105455420A (zh) 用于缓解疲劳的保健鞋垫
CN104922222A (zh) 一种治疗手足口病患儿皮疹的中药外洗剂
CN112516279A (zh) 一种治疗骨折损伤的内服药物及制备方法
CN102885908A (zh) 一种治疗再障贫血的药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