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544A -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544A
KR20100047544A KR1020080106486A KR20080106486A KR20100047544A KR 20100047544 A KR20100047544 A KR 20100047544A KR 1020080106486 A KR1020080106486 A KR 1020080106486A KR 20080106486 A KR20080106486 A KR 20080106486A KR 20100047544 A KR20100047544 A KR 2010004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oth muscle
vascular smooth
pharmaceutical composition
muscle cell
vas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표
이정진
멍흐 투데브
용 임
유지연
박은석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7544A/ko
Publication of KR2010004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참당귀 추출물은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상 증식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참당귀 추출물,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혈관재협착, 동맥경화, 심혈관계 질환

Description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ngelica Giga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Proliferative Disease}
본 발명은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계 질환은 심부전,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의 심장질환과 동맥경화, 뇌졸중, 말초혈관 질환 등의 혈관질환을 포함하는 질환으로서 광범위하게 허혈성 심혈관 질환이라 한다. 이 질환들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과 더불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서구화된 식생활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하여 최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 및 그로 인한 사망률이 계속 급증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는 이를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치료법으로 약물요법, 유전자 치료법, 경치적 관상동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and stenting), 그리고 외과적으로 수술하는 관동맥우회술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의 재관류 요법 (revascularization therapy)이 시행중이다. 그러나 재관류 요법을 시행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약물을 투여하여야 하며 관상동맥 질환이 재발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특히,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 (PTCA)은 혈관성 질환의 관상동맥경화 환자들에 대한 치료법으로서 1977년 이래 널리 실시되어지고 있으며(Gurentzig, Lancet, 4263, 1978), 효율성이 높은 치료법임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3-6 개월 후에는 약 40% 가량의 환자들에 있어서 재협착(restenosis)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Ryan et al., J. Am. Coll. Cardiol., 22. 2033-2054, 1993). PTCA후의 재협착의 발생기전은 기구(balloon)에 의해 손상된 혈관내피 세포, 활성화된 혈소판 또는 대식세포로부터 여러 가지의 사이토카인이 생성, 분비되면서 혈관 평활근세포의 유주 및 증식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세포외간질 (ECM: extracellular matrix)의 생성 및 분비가 촉진되어 혈관내막의 비후를 일으켜 재협착으로 발전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Godfried et al, Am. Heart J., 129, 203-210, 1995).
정상적인 상태의 혈관 평활근세포는 증식을 하지 않지만, 스텐트 시술 등을 통하여 내피세포의 중막이 손상되면서 여러 단계의 신호전달을 거쳐 혈관 평활근세포의 분열, 이동 및 증식이 유발된다. 혈관 평활근세포 증식의 기전으로는 정상적인 내피세포의 손상에 의한 증식억제인자의 제거와 증식유발인자의 활성화, 혈관평 활근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한 증식유발신호의 전달, 혈관 평활근세포의 핵 내로 전달된 증식유발신호에 의한 세포 주기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정상적인 내피세포는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는데, 내피세포가 손상되면 이들의 분비가 억제되고,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분비되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혈장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사이토카인 (cytokine)등에 의해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는 항 혈소판제, 항 응고제, 콜레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항 알레르기제 등을 이용하여 재협착을 예방해보려고 시도를 하였으며 (Lefkovits et al., Progr. Cardiovas. Dis., 40, 141-158, 1997), 최근에는 생선유(fish oil), 비타민 C 나 비타민E 등 천연물 유래 성분의 재협착 예방 작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약제는 임상에서는 아직 충분한 결과를 얻지 못한 실정이다.
이 밖에 택솔(Herdeg et al., Zeischrift fur Kardiologie, 89, 390-397, 1999), 헤파린, EPA, 에스트로겐 등이 혈관 재협착 억제제로서 연구 개발 중에 있으나, 이 역시 뚜렷한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478671호에는 클로트리마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516026호에는 3'-디옥시아데노신(3'-deoxyadenosine)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10793호에는 Rho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협착증의 예방 및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46314호에는 항트롬빈을 유효성분으로 하 는 이식 혈관병, 재협착증, 인-스텐트 재협착증(in-stent restenosis) 및 폐 고혈압과 같은 혈관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23249호에는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작용 조절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 내 스텐트를 사용한 경피적 관상동맥 혈관형성술 후의 혈관재협착 및/또는 재폐색 등 혈관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43183호에는 커쿠민(curcumin)을 포함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혈관 재협착 억제제는 혈관 재협착을 방지하는 것 이외의, 상처재생억제, 혈관손상, 간독성, 신장손상, 혈소판응집억제에 의한 출혈량 증가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사람에 대하여 안전성이 입증된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혈관 재협착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별다른 연구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혈관 재협착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참당귀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숙근초로 학명은 Angelica gigas Nakai이고 미나리과(Umbelliferae)로 분류된다. 생약명은 토당귀이며 속명으로는 당귀(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 참당귀의 뿌리), 숭엄초, 신감채, 조선당귀, 신감초, 참당귀뿌리, 숭엄초뿌리 등이 있다. 당귀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약용으로 사용하는 당귀는 각 국가별로 서로 약간 다른 식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한국에서 흔히 쓰는 약용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로 2/3년생 초본이고, 일본에서 약용으로 사용되는 당귀는 왜당 귀(Angelica acutilobae)로서 다년생 초본이다. 또한 중국에서 사용되는 약용 당귀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로서 다년생 초본이다. 이들 당귀 들은 효능과 약성이 서로 조금씩 다르지만 약용으로 구별없이 혼용하고 있다.
당귀는 피를 생성하거나 보하는 역할을 하는 주요 약재로 사용된다. 특히, 부인과 질환인 월경불순이나 폐경에 사용되는데, 자궁기능조절, 진정, 진통, 이뇨, 비타민E 결핍증 치료작용, 사하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 강장약으로 빈혈치료, 산후진정, 통경약으로도 쓰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79265호에는 토당귀(Angelica gigas Nakai)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혈관이완제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7630호에는 토당귀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인 쿠마린의 혈관신생억제 작용과 혈관신생 관련 질환인 류마티스성 관절염, 만성염증, 당뇨병성 망막증 및 혈관종에 대한 치료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참당귀 추출물의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효능에 대해서 언급된 문헌은 없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혈관평활근세포의 과도한 증식에 기인하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질로부터 탐색하여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참당귀 추출물이 우수한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의 증식 억제 활성이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참당귀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혈관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proliferative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혈관평활근세포의 과도한 증식에 기인하는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을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질로부터 탐색하여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참당귀의 추출물이 우수한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의 증식 억제 활성이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참당귀(Angelica gigas) 추출물은 참당귀의 전체 부분으로터 얻은 추출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참당귀의 뿌리, 줄기 또는 잎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참당귀의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참당귀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활성성분을 분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존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참당귀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용매로는 천연물 추출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 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에탄올이다.
본 발명의 참당귀 추출물은 하기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참당귀 추출물은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BB)로 유도한 흰 쥐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PDGF-BB로 유도된 흰 쥐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증식 시에 [3H] 티미딘(thymidine)이 DNA로 혼입(incorporation) 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참당귀 추출물은 혈관평활근세포의 과도한 증식이 억제되어야 하는 필요가 있는 다양한 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proliferative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평활근" 은 관 모양의 기관(organ), 방광, 복강, 자궁, 생식도관, 위장관, 호흡기관, 맥관구조, 피부 및 모양체근(ciliary muscle), 눈의 홍채 등의 기관(organ)의 벽(wall) 내에서 발견되는 비-줄무늬근 (non-striated muscle)으로서 상기 평활근은 방추형 (spindle shaped)이며 수축과 이완이 가능하다.
상기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인 "평활근 세포"는 단핵세포로서, 시트 (sheet)나 다발(bundle)의 형태로 배열되어 갭정션(gap junction)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혈관 평활근 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는 혈관 벽의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VSMC hyper-proliferative disorder)"이란 혈관 평활근 세포의 과도한 증식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은 예를 들어,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상 증식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혈관재협착증, 혈관협착증,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뿐만 아니라, 혈관협착증 또는 동맥경화증에 의해 이차적으로 유발되는 심혈관계 질환인 심부전증, 심근경색증, 협심증, 부정맥증, 고혈압성 심장질환증, 선천성 심장질환증, 뇌졸중, 말초혈관협착증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치료 또는 예방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은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혈관재협착증 또는 혈관협착증이다.
아테롬성 동맥경화증은 동맥의 내층에 지방 물질이 침착되거나 섬유화 (fibrosis)되어 있는 질환이다. 한편, 혈관의 재협착증(restenosis)은 혈관벽이 손상(traumatization)된 후 혈관 통로가 좁혀지는 질환이다. 동맥경화 진행과 스탠트 삽입술 후에 발생하는 혈관 재협착증은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 이동 그리고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비 등에 기인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Circulation, 1997, 95, 1998-2002; J. Clin. Invest. 1997, 99, 2814-2816; Cardiovasc. Res. 2002, 54, 499-502). 이에, 동맥경화의 진행과 혈관 재협착의 방지를 위해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물에 대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몇 가지 약물이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J. Am. Coll. Cardiol., 2002, 39, 183-193). 따라서,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매우 효율적으 로 억제하는 본 발명의 참당귀 추출물은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 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동물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ⅰ)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ⅱ)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ⅲ) 질환 또는 질병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 mg/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용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투여경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참당귀 추출물은 뛰어난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므로,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예를 들어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혈관재협착증, 혈관협착증 및 이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참당귀 추출물의 흰쥐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성장 억제 효과
참당귀 추출물이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3.0 x 104의 대동맥 평활근세포를 12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옮기고, 0.5%(V/V)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참당귀 추출물의 농도를 1, 5, 10 μg/ml으로 각각 달리하여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eived growth factor, PDGF-BB)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24시간 후에 트립신(trypsin)을 사용하여 세포를 바닥으로부터 분리해내어 혈구계수기(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카운팅(counting)하였다.
도 1에 여러 가지 농도의 참당귀 추출물이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참당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증식을 억제하였다.
실시예 2 : 참당귀 추출물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 DNA 합성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1에서 참당귀 추출물이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실험 결과를 얻었고, 이어서, 참당귀 추출물이 DNA의 생합성을 저해하는지 다음과 같이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3.0 x 104의 대동맥 평활근세포를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옮기고, 0.5%(V/V)의 우태아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농도를 1, 5, 10 μg/㎖으로 달리한 각각의 농도의 참당귀 추출물을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eived growth factor, PDGF-BB)로 처리하여 20 시간 시점에 1 μl의 [3H] 티미딘(thymidine)을 처리하였다. 4 시간 동안 인큐베인션(incubation)한 후 PBS로 2회 세척한다음 TCA시약으로 30분 처리하였다. TCA 시약을 제거한후 에탄올/에테르(ethanol/ether) (1:1 v/v)로 2번 세척하였다. 1 N의 NaOH를 500 μl씩 각 웰(well)에 분주하여 완전하게 세포를 용해(lysis)시킨 다음 5 mL 신틸레이션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과 혼합하여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방사선능을 측정하였다.
도 2에 참당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DNA의 생합성 억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참당귀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DNA의 생합성을 억제하였으며, 특 히 5-10 μg/ml의 농도에서 DNA 생합성 억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참당귀 추출물을 각각 1, 5, 10 μg/ml의 농도로 흰 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처리한 후, 참당귀 추출물의 이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참당귀 추출물을 각각 1, 5, 10 μg/ml의 농도로 흰 쥐의 대동맥 평활근세포에 처리한 후, 참당귀 추출물의 이 세포 DNA 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2)

  1. (a) 참당귀(Angelica gigas)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혈관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proliferative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은 혈관재협착증, 혈관협착증,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심근경색증, 협심증, 부정맥증, 고혈압성 심장질환증, 선천성 심장질환증, 뇌졸중, 또는 말초혈관협착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80106486A 2008-10-29 2008-10-29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00047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86A KR20100047544A (ko) 2008-10-29 2008-10-29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86A KR20100047544A (ko) 2008-10-29 2008-10-29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44A true KR20100047544A (ko) 2010-05-10

Family

ID=4227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486A KR20100047544A (ko) 2008-10-29 2008-10-29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75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354A (ko) 2021-01-13 2022-07-2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평활근세포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446347B2 (en) 2018-05-14 2022-09-20 Astrogenesis Co., Ltd. Antithrombotic composition compris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KR20230082102A (ko) 2021-12-01 2023-06-08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6347B2 (en) 2018-05-14 2022-09-20 Astrogenesis Co., Ltd. Antithrombotic composition compris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KR20220102354A (ko) 2021-01-13 2022-07-2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평활근세포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2102A (ko) 2021-12-01 2023-06-08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333B1 (ko) 향자궁성 효과가 없는 에스트로겐-유사 기관-선택적의약으로서의 붓꽃 식물, 시미시푸가 라세모사의 추출물및 텍토리게닌의 용도
KR100903030B1 (ko)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71054B1 (ko) 단삼, 백출, 저령, 백복령, 반하, 황련 및 대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01878028A (zh) 作为肾保护剂的中链长度脂肪酸和甘油酯
AU2006296197A1 (en) Herbal composition for inflammatory disorders
KR20100047544A (ko)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683966B1 (ko)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Nagao et al. Effects of diltiazem (CRD-401) on developed coronary collaterals in the dog
AU2007234745B2 (en) Anthracenedione compounds
US2012012880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Wendel et al. Antidiarrheal activity of dehydroleucodine isolated from Artemisia douglasiana
US6395309B1 (en) Use of an extract of Alchemilla vulgaris to inhibit angiogenesis
Cherkaoui‐Tangi et al. Pharmacological studies on hypotensive, diuretic and vasodilator activities of chrysin glucoside from Calycotome villosa in rats
WO2014063660A1 (en) Naringenin and asiatic acid combination treatment of fibrosis
KR101374530B1 (ko)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을 함유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9760B1 (ko)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및 이를 포함하는 신규 약학적 조성물
KR101030922B1 (ko) 동맥경화 예방용 조성물
KR100817932B1 (ko) 베르바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제
US20110015410A1 (en) Novel use of scoparone
JP2007186427A (ja) 脂肪細胞分化抑制剤
KR101398026B1 (ko) 클라이토싸이빈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890116B (zh) 亮氨酸衍生物、包含其的组合物及其用途
KR102028334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Tunón et al. The effect of Menyanthes trifoliata L. on acute renal failure might be due to PAF-inhibition
KR102285839B1 (ko) 산딸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