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966B1 -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966B1
KR100683966B1 KR1020050040863A KR20050040863A KR100683966B1 KR 100683966 B1 KR100683966 B1 KR 100683966B1 KR 1020050040863 A KR1020050040863 A KR 1020050040863A KR 20050040863 A KR20050040863 A KR 20050040863A KR 100683966 B1 KR100683966 B1 KR 10068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argassum
sagachromic
converting enzyme
angiotensin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258A (ko
Inventor
이경복
신현철
유영춘
홍장희
Original Assignee
라이브켐 주식회사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브켐 주식회사,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라이브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9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에서 추출된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활성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는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혈압이나 그 외의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식용가능한 해조류 추출물로서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어 의약품은 물론 건강 식품의 형태로 장기간 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고혈압, 혈압 강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SHR

Description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Inhibitor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Containing Sagarchrom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조류에서 추출된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혈압은 순환기 계통의 만성퇴행성 질환으로서 혈압조절 및 전해질 균형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Renin-Angiotensin System, RAS)의 생리화학적 기전으로 설명된다. 특히 안지오텐신 I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이하 ‘ACE’라 함)는 안지오텐신 I으로부터 다이펩타이드(dipeptide, His-Leu)를 절단시켜 혈관 수축 작용을 갖는 안지오텐신 II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안지오텐신 II의 증가는 강한 혈압 상승작용과 항이뇨 호르몬인 알도스테론(aldosterone)의 분비를 촉진하고 물과 나트륨의 배설을 억제 하여 순환 혈액 양을 증가시킴으로서 고혈압을 일으키게 한다. 그러므로 ACE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혈관 수축을 막아 혈압 강하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ACE 저해제는 고혈압 개선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해 준 약물이라 할 수 있다.
ACE 작용 활성검색은 고혈압 실험동물을 이용하는 검색법과 ACE와 특수 기질을 이용하는 인 비트로(in vitro) 실험법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ACE 억제제로서는 화학 합성제인 캡토프릴(captopril)이 개발되어 고혈압 개선제로서 이용되고 있으나, 마른기침, 두통, 식욕부진, 미각이상, 발진, 백혈구 감소 등 부작용이 많아 최근의 연구 방향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로부터 ACE 저해제의 개발에 집중되고 있다.
ACE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은 펩타이드성 물질과 폴리페놀성 물질로 대별되는데, 펩타이드성 저해물질은 뱀독으로부터 처음 분리되어 보고된 이래, 다랑어, 정어리, 고등어, 전갱이, 가다랭이, 새우, 가리비 등의 어패류의 효소 가수 분해물, 우유단백질인 케이신(casein), 달걀의 알부민(albumin), 젤라틴(gelatin), 동물의 혈장 등에서 분리한 펩타이드 등이 보고되었다(G. Oshima,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566, 128, 1979; S. Maruyama, et al., Agric. Biol. Chem., 46(5), 1393, 1982; S. Maruyama, et al., Agric. Biol. Chem., 51(6), 1581, 1987; M. Kohmura, et al., Agric. Biol. Chem., 54(4), 1101, 1990; Yasuo Ariyoshi, Trends in Food Sci. Tech., 4, 139, 1993; Song, K. B., et al., Biotech. Tech., 10(7), 479, 1996; Song, K. B., et al., Agric. Chem. Biotech., 40(1), 39, 1997).
한편, 폴리페놀성 물질로는 감나무잎, 밀감 등의 추출물, 녹차의 탄닌, 알로에 아세틸만닌, 키토산 올리고당, 양파 조미액, 밀감 피층에서 얻은 탄닌류가 ACE 저해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Matsubara, Y., et al., Agric. Biol. Chem., 49(4), 909, 1985; Cho, Y., et al., Korean J. Food Sci. Tech., 25(3), 238, 1993; Ryu, I. W., et al., Korean J. Food Sci. Tech., 29(1), 1269, 1997; Hong, S. P., et al., Korean J. Food Sci. Tech., 30(6), 1476, 1998; Park, E. J., et al., Food Sci. Biotech., 9(3), 163, 2000). 국내에서도 된장, 쌀, 오징어, 도축혈액의 혈장, 해초류, 버섯 등에서 유래하는 ACE 저해 펩타이드에 관한 연구가 있어 왔다(Yang, H. C., et al., Agric. Chem. Biotech., 37(6), 441, 1994; Shin, J. I., et al., J. Food Sci. Tech., 27(2), 230, 1995; Ko, Y. S., et al., J. Korean Fish. Soc., 32(4), 427, 1999; Song, K. B., et al., 한국등록특허 제215090호; Song, K. B., et al., 한국등록특허 제215091호; Suh, H. J., et al., Food Res. Int., 34, 177, 2001).
그러나, 지금까지 천연물로부터 ACE 저해제를 추출해내는 연구는 주로 식품 단백질을 펩신, 트립신 등의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가수분해물로 부터 ACE 저해효과를 갖는 기능성 펩타이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 대 부분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분리 정제시 수율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높은 제조경비 등의 경제적인 문제로 산업적 이용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해조류에서 추출된 사가크롬산(sargachromic acid) 유도체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SHR(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에서 혈압 감소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활성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음 화학식 1의 사가크롬산;
[화학식 1]
Figure 112005025553784-pat00001
다음 화학식 2의 사가크로만올; 및
[화학식 2]
Figure 112005025553784-pat00002
다음 화학식 3의 사가크로멘알
[화학식 3]
Figure 112005025553784-pat00003
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가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서,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식품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해조류 특히, 갈조류에서 추출 분리한 사가크롬산-유도체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며, SHR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에서 혈압 감소를 유도하는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능을 갖는 사가크롬산(sargachromic acid) 유도체는 다음 화학식 1 내지 3으로 나타내어진다.
[화학식 1]
사가크롬산의 구조
Figure 112005025553784-pat00004
[화학식 2]
사가크로만올의 구조
Figure 112005025553784-pat00005
[화학식 3]
사가크로멘알의 구조
Figure 112005025553784-pat00006
본 발명에 따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의 유효성분인 사가크롬산 유도체는 해조류에서 추출되며, 특히 갈조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갈조류로는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비틀대모자반 (Sargassum sagamianum), 꽈배기모자반 (Sargassum siliquastrum), 알쏭이모자반 (Sargassum confusum), 짝잎모자반 (Sargassum hemiphyllum),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큰잎모자반(Sargassum igoldianu), 괭생이모자반 (Sargassum horneri), 모자반 (Sargassum fulvescens), 또는 쌍발이모자반 (Sargassum patens) 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갈조류에서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추출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유기 용매 추출법으로 수행된다. 용매추출방법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에탄올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사가크롬산 유도체의 수득율을 높이기 위해서 이러한 추출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추출물에 함유된 잔사 및 용매는 원심분리기 및 회전증발 농축기와 같은 통상적인 분리, 농축 수단을 이용하여 제거하며, 보다 높은 순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추가의 분리 정제과정을 거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도 상기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고혈압 또는 그 외의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이 유용한 질병으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대동맥 질환, 신장기능장애, 심부전증 및 시력장애가 포함된다. 상기 관상동맥질환의 예로는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을 들 수 있으며, 뇌혈관 질환으로는 중풍, 뇌출혈, 뇌경색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만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약학적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와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7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하지는 않으나 피하 내, 정맥 내, 근육 내 또는 복강 내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모든 형태로 제조되며, 약제학적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액상제, 환제, 정제, 캡슐제, 산제 및 현탁제 등의 제제로 제형화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 캡슐제, 또는 액상제이다.
캡슐제는 유당,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과 같은 활성성분 및 분말화된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를 사용하여 압착된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형태의 약학적 조성물은 환자의 기호에 따라 색소 및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형태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담체로서 물, 적합한 오일, 염수, 수성 덱스트로스(포도당) 및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글리콜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활성 성분염, 적합한 안정화제 및 완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나트륨바이설파이트, 나트륨 설파이트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산화방지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용 액체 형태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화벤즈알코늄,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과 같은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mg/kg/day의 양으로 투여하며,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는 혈압 개선 및 강하를 위한 목적으로 건강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식품의 개발을 위해 상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각종 식품류, 음료류, 스넥류, 과자류,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콜음료류, 티백차, 인스턴트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를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의 적합한 비율로 첨가되며, 이러한 식품의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매일 1㎎ 내지 1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씩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혈압이나 그 외의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식용가능한 해조류 추출물로서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어 의약품은 물론 건강 식품의 형태로 장기간 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로써 본 발명 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근해에서 채취한 해조류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을 먼저 증류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음지에서 건조한 후에 이를 파쇄하였다. 500g을 함량 대비 20배량의 10%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활성물질을 용출시키기 위해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잔사를 걸러서 제거하고 회전 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20배량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동일량의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하여 3회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15 배량의 실리카겔에 로딩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톤(부피비9/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및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Cushman과 Cheung의 방법에 따라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Cushman, D. W. and Cheung, H. S.. Biochem. Pharmacol., 20, 1637. 1971) ACE 저해 정도는 기질로서 히퓨릴히스티딜류신(hippuryl-L-histidyl-L-leucine, HHL)을 사용하였으며, HHL은 300mM NaCl을 포함하는 50mM 소듐보레이트 완충용액(pH 8.3)에 용해하여 5mM HHL을 만들었다. 효소는 토끼 폐에서 분리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를 사용하였다. 기질에 시료를 넣고 효소를 첨가한 반응액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1N 염산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30초 동안 혼합한 후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인 에틸아세테이트 층만을 취하여 100℃에서 1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건조 후 시험구에 남아있는 히퓨릭액시드(hippuric acid)에 증류수를 가해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228㎚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ACE 저해 정도를 계산하였다. 대조구는 시료 용액 대신 소듐보레이트 완충용액 50㎕를 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물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추출물의 저해율은 IC50 =70㎍/㎖이었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제조한 조추출물을 0.2㎛ 막여과지로 여과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로딩(loading)하였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컬럼은 HP ODS Hypersil 컬럼을, 용매로는 증류수와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용매의 공급은 1.0㎖/분의 유속으로 메탄올 15% 에서 70%까지 30분간에 걸쳐 선형구배 (linear gradient)를 걸어 화학식 1, 2, 3의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분리하였다. 각 물질에 대해 ACE 전환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50%의 억제율을 보이는 농도를 구하여 IC50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 내지 4의 시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ACE 전환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50%의 억제율을 보이는 농도를 구하여 IC50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1 내지 6
폴리페놀성 물질로 알려진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녹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과 케르세틴, 이소플라본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ACE 전환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50%의 억제율을 보이는 농도를 구하여 IC50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각 시료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시료의 조성 IC50 (㎍/㎖)
실시예 1 조추출물 70
실시예 2 화학식1의 사가크롬산 99% 38
실시예 3 화학식2의 사가크로만올 98% 30
실시예 4 화학식3의 사가크로멘알 99% 32
실시예 5 화학식1의 사가크롬산: 60% + 화학식2의 사가크로만올: 25% + 화학식3의 사가크로멘알: 15% 35
비교예 1 카테킨(catechin) 84
비교예 2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122
비교예 3 케르세틴(quercetin) 97
비교예 4 이소플라본(isoflavone) 91
비교예 5 녹차 추출물 310
비교예 6 포도 씨 추출물 230
실시예 6
자발성 고혈압 쥐(Spontaneous Hypertensive Rat, SHR)의 혈압강하 유도효과
실험동물 및 추출물 투여: 수축기 혈압이 240mmHg 이상인 수컷 자발성 고혈압 쥐 (SHR: Spontaneous Hypertensive Rat)를 실험군(20마리) 및 대조군(20마리)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사육실은 25±1℃의 통풍장치가 가동되고 12시간을 주기로 명암을 조절하였다. 사육시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표 1의 실시예 5의 조성을 10% Tween 80에 용해시킨 것을 시험액으로 10% Tween80을 대조액으로 하고 실험군에는 시험액을, 대조군에는 대조액을 매일 1회씩 5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는 매일 오후 6:00~7:00에 실시하였다.
혈압측정: 혈압측정은 섭취 시작 일을 포함하여 7일간 매일 아침 9:00에 실시하였다. 혈압 측정 방법은 Pulse Amplifier (Flat-bed Recosders & Amplifier Operating Instructions, USA)를 사용하였고, 꼬리에 소동물 비관혈식 자동혈압계(JAPAN)와 꼬리 가압대(tail cuff)를 부착시키고, 센서에 연결하여 꼬리동맥을 통해 평균 수축기 혈압을 측정 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데이터처리: 실험데이터의 통계분석은 Student T-test 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 0.05로 하였다.
SHR의 혈압강하 효과
수축기 혈압(mmHg, 평균 ±SD) 이완기 혈압(mmHg, 평균 ±SD)
실험군 대조군 P 값 실험군 대조군 P 값
0 221±34 226±27 179±19 180±22
1 188±30 224±15 0.028 153±21 181±24 0.031
2 190±21 228±23 0.047 154±16 179±18 0.042
3 191±26 212±10 0.038 152±18 174±15 0.023
4 189±22 212±10 0.021 154±22 182±19 0.031
5 192±16 225±13 0.036 151±24 179±25 0.034
6 189±19 222±15 0.025 155±19 182±19 0.043
7 191±16 219±24 0.042 152±14 179±21 0.041
N = 20 : 실험군 및 대조군
본 시험의 결과, 7일간 반복 복용 후 대조군의 경우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군의 경우 수축기혈압 13.5%(p=0.042), 이완기혈압 15.1%(p=0.041)의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7
랫트에서의 4주간 반복투여 독성시험
시험물질의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암수 공히 매체 대조군과 시험물질(실시예 1)을 각각 1000, 333 및 111㎎/㎏의 용량으로 10마리의 SD 계통 암수 랫트에 4주간 반복 경구 투여하여 나타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일반증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체중변화에서는 암수 모두 시험물질투여와 관련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4) 사료 및 물 섭취량에서도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이상은 인정되지 않았다.
(5) 안검사에서는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6) 요검사에서도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독성학적인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7)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8)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도 시험물질의 투여와 관련된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9) 부검소견에서는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물질의 투여에 의한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10) 장기중량에서는 암수의 모든 투여군에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11) 병리조직학적인 검사에서도 시험물질의 투여에 의한 어떠한 독성학적인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시험에서 랫트에서의 4주간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물질의 무영향량(NOEL)은 1000㎎/㎏/day 이상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해양 식용 식물인 다양한 갈조류로부터 분리된 사가크롬산 유도체로 인체에 무해하고,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어 경제적으로 ACE 저해제를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과 이들 물질을 이용한 고혈압 개선용 기능성식품과 의약품의 개발이라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은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혈압이나 그 외의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해조류 추출물로서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어 의약품은 물론 식품의 형태로 장기간 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다음 화학식 1의 사가크롬산;
    [화학식 1]
    Figure 112006071555070-pat00007
    다음 화학식 2의 사가크로만올; 및
    [화학식 2]
    Figure 112006071555070-pat00008
    다음 화학식 3의 사가크로멘알
    [화학식 3]
    Figure 112006071555070-pat00009
    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가크롬산 유도체는 갈조류에서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갈조류는 비틀대모자반 (Sargassum sagamianum), 꽈배기모자반 (Sargassum siliquastrum), 알쏭이모자반 (Sargassum confusum), 짝잎모자반 (Sargassum hemiphyllum),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큰잎모자반(Sargassum igoldianu), 괭생이모자반 (Sargassum horneri), 모자반 (Sargassum fulvescens), 또는 쌍발이모자반 (Sargassum pat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
  4. 다음 화학식 1의 사가크롬산;
    [화학식 1]
    Figure 112006071555070-pat00010
    다음 화학식 2의 사가크로만올; 및
    [화학식 2]
    Figure 112006071555070-pat00011
    다음 화학식 3의 사가크로멘알
    [화학식 3]
    Figure 112006071555070-pat00012
    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0.1 내지 500㎎/㎏/d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캡슐, 정제, 또는 액상제의 형태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다음 화학식 1의 사가크롬산;
    [화학식 1]
    Figure 112005025553784-pat00013
    다음 화학식 2의 사가크로만올; 및
    [화학식 2]
    Figure 112005025553784-pat00014
    다음 화학식 3의 사가크로멘알
    [화학식 3]
    Figure 112005025553784-pat00015
    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가크롬산 유도체 를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건강 식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식품으로는 음료, 스넥, 과자, 면, 껌, 아이스크림, 알콜 음료, 티백차, 인스턴트차, 및 비타민 복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식품의 섭취량은 매일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
KR1020050040863A 2005-05-16 2005-05-16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KR10068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863A KR100683966B1 (ko) 2005-05-16 2005-05-16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863A KR100683966B1 (ko) 2005-05-16 2005-05-16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258A KR20060118258A (ko) 2006-11-23
KR100683966B1 true KR100683966B1 (ko) 2007-02-15

Family

ID=3770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863A KR100683966B1 (ko) 2005-05-16 2005-05-16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76B1 (ko) * 2008-09-18 2011-08-09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PAR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PPARγ 작용제, PPARα 작용제, PPAR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건강식품 및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540957B1 (ko) * 2013-09-03 2015-07-3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자반크로마놀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21B1 (ko) * 2007-02-14 2008-05-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활성산소 소거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45780B1 (ko) * 2007-11-12 2010-03-05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잔가시모자반 추출물,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및 사가하이드로퀴노익산을 포함하는 혈관확장제
KR100945778B1 (ko) * 2007-11-13 2010-03-05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의 구성성분 및 그 제조방법,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확장제 및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혈관확장제
KR101938891B1 (ko) * 2012-06-19 2019-01-1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괭생이 모자반 유래 크로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889820B1 (ko) 2016-12-29 2018-08-21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다중 로드를 구비하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142A (en) 1984-06-01 1986-07-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holesterol lowering method of use
US20050003030A1 (en) 2003-05-05 2005-01-06 Simon James 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mpounds and preparations from African nutmeg see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142A (en) 1984-06-01 1986-07-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holesterol lowering method of use
US20050003030A1 (en) 2003-05-05 2005-01-06 Simon James 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mpounds and preparations from African nutmeg see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676B1 (ko) * 2008-09-18 2011-08-09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PAR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PPARγ 작용제, PPARα 작용제, PPAR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건강식품 및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540957B1 (ko) * 2013-09-03 2015-07-3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자반크로마놀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258A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8611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0683966B1 (ko) 사가크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KR20110060940A (ko) 항염증성 펩티드
AU2016275642C1 (en) Antihypertensive agent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JP2015155408A (ja) 血行動態改善剤
KR101566036B1 (ko)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4002231A (ja) ルブロフサリン配糖体含有組成物
JP2006342134A (ja) 紅麹を用いた薬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506848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flavonoid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sedum sarmentosum bung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tension
KR101030922B1 (ko) 동맥경화 예방용 조성물
KR102100580B1 (ko) 빅벨리해마 알칼레이즈 가수분해물, 그 분획물 또는 그 유효 펩타이드를 이용한 항고혈압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594989B1 (ko) 해조식물로부터 추출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억제제를 함유하는 고혈압 개선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JP2011037829A (ja) 平滑筋弛緩剤
JP2010208965A (ja) Ldlレセプター合成促進剤
KR101794924B1 (ko)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JP4840845B2 (ja) 新規エラグ酸誘導体及び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JP2006016340A (ja)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KR101651100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6.4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KR20060020700A (ko)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활성 억제제를 함유하는 해조식물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2265786B1 (ko) 매실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88470B1 (ko)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는 오배자 추출물
JP5305666B2 (ja) 脈波伝播速度降下剤およびその用途
KR101651106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4-9-1b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KR101546752B1 (ko) 산화질소생성을 유도하는 자이리톨유도체의 반복단위구조를 가지는 뒤영벌유충 유래 다당폴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