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635B1 - 창호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창호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635B1
KR101989635B1 KR1020140114879A KR20140114879A KR101989635B1 KR 101989635 B1 KR101989635 B1 KR 101989635B1 KR 1020140114879 A KR1020140114879 A KR 1020140114879A KR 20140114879 A KR20140114879 A KR 20140114879A KR 101989635 B1 KR101989635 B1 KR 101989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stage
lapping machine
window
type 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371A (ko
Inventor
구자건
임사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11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6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2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without changing their position during the wrapping operation, e.g. in moulds with hinged folders
    • B65B11/025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without changing their position during the wrapping operation, e.g. in moulds with hinged folders by webs revolving around stationar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20Packaging plate glass, tiles, or shi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으로 조립된 창호의 포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몸체 상면에 복수의 레일홈이 마련된 스테이지를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는 스테이지 설치단계;
상기 스테이지 상면에 조립된 창호가 입식으로 거치된 거치대를 안착하는 거치대 안착단계;
상기 스테이지의 일 레일홈 내측으로 로봇형 랩핑기의 가이드 선단에 마련되는 수직바 하단을 삽입하여 스테이지와 로봇형 랩핑기를 연결하는 로봇형 랩핑기 연결단계;
상기 로봇형 랩핑기로부터의 비닐 선단을 조립된 창호 하단에 고정하는 비닐 고정단계;
상기 로봇형 랩핑기를 구동하여 로봇형 랩핑기가 스테이지의 일 레일홈을 따라 주행하도록 하여 로봇형 랩핑기로부터 공급되는 비닐로써 조립된 창호를 감싸도록 하는 로봇형 랩핑기 주행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 포장방법{ wrapping method of window frame }
본 발명은 창호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둘레로 주행하는 로봇형 랩핑기의 주행 궤도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행 궤도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으로 조립된 창호의 포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프레임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건축 구조물에는 채광 및 환기 및 출입 단속을 위한 창호가 마련된다.
한편, 창호는 조립업체에서 적용처의 규격에 상응하는 규격으로 조립된 이후 적용처로 이송되어 설치된다.
이때, 조립된 창호를 조립 상태 그대로 보관 및 이송하는 경우 보관 및 이송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미치게 되는 충격에 의해 창호를 이루는 창틀 프레임 또는 창짝 프레임이 손상될 수 있고, 먼지 또는 비 또는 눈에 의해 창틀 프레임 또는 창짝 프레임이 오염될 수 있어 소비자로부터 불만을 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창호 조립업체에서는 조립된 창호를 비닐 또는 종이 또는 테이프로 감싸 포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창호를 비닐 또는 종이 또는 테이프로 감싸 포장하게 되면 비닐 또는 종이 또는 테이프가 조립된 창호를 보호하게 되므로 설치 이전까지 창호의 손상 방지 및 오염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조립된 창호는 그 크기가 상당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고하중이므로 수작업으로 비닐 또는 종이 또는 테이프 감쌈 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었으므로 창호 포장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창호 포장시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창호 포장시 공개특허 제10-2013-0134594호(공개일 2013. 12. 10)에 개시된 바와 같은 '창호 포장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나, 종래 창호 포장장치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상당한 설치 면적이 소요되므로 비용 또는 작업장의 면적 등의 이유로 적용에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포장 작업을 위하여 포장 대상물 둘레를 따라 자동 주행하는 로봇형 랩핑기가 이용되고 있으나, 로봇형 랩핑기의 경우 주행 궤도를 이탈하게 되면 포장 대상물의 포장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주행 궤도 변경이 용이하지 않아 포장 대상물의 규격이 다양한 경우 포장 작업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로봇형 랩핑기를 이용하여 조립된 창호를 포장하되, 로봇형 랩핑기의 주행 궤도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로봇형 랩핑기의 주행 궤도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창호 포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작업에 의한 창호 포장시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포장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 포장장치에 의한 창호 포장시 창호 포장장치 마련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창호 포장장치 설치에 상당한 공간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형 랩핑기에 의한 포장시 로봇형 랩핑기의 주행 궤도 이탈 및 로봇형 랩핑기의 주행 궤도 변경 곤란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창호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은,
몸체 상면에 복수의 레일홈이 마련된 스테이지를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는 스테이지 설치단계;
상기 스테이지 상면에 조립된 창호가 입식으로 거치된 거치대를 안착하는 거치대 안착단계;
상기 스테이지의 일 레일홈 내측으로 로봇형 랩핑기의 가이드 선단에 마련되는 수직바 하단을 삽입하여 스테이지와 로봇형 랩핑기를 연결하는 로봇형 랩핑기 연결단계;
상기 로봇형 랩핑기로부터의 비닐 선단을 조립된 창호 하단에 고정하는 비닐 고정단계;
상기 로봇형 랩핑기를 구동하여 로봇형 랩핑기가 스테이지의 일 레일홈을 따라 주행하도록 하여 로봇형 랩핑기로부터 공급되는 비닐로써 조립된 창호를 감싸도록 하는 로봇형 랩핑기 주행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의 일 레일홈은 타 레일홈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의 몸체는 바닥면에 복수의 바퀴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의 몸체는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중의 어느 일면에 지게차 포크 삽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 각각에는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형 랩핑기는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및 비닐롤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비닐롤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봇형 랩핑기의 비닐롤지지대는 포스트상에서 승하강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봇형 랩핑기의 수직바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는 수직바를 축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은 로봇형 랩핑기가 스테이지의 몸체 상면에 마련되는 복수 레일홈중의 어느 하나를 따라 주행하게 되는바, 스테이지에 안착되는 창호 규격 이상의 레일홈을 선택하여 로봇형 랩핑기를 연결하고 주행하도록 하면 로봇형 랩핑기의 주행 궤도 이탈 방지 및 주행 궤도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대형 창호라도 안정적으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어 창호 포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은 스테이지의 몸체에 지게차 포크 삽입구 및 바퀴가 마련된 것인바, 지게차 구동 또는 바퀴 구름에 의해 스테이지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장 내의 다양한 공간에서 창호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창호 포장 공간 별도 확보에 따른 공간 활용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스테이지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스테이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로봇형 랩핑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로봇형 랩핑기의 비닐롤지지대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스테이지 설치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거치대 안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로봇형 랩핑기 연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비닐 고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서 로봇형 랩핑기 주행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은 스테이지 설치단계(S1)와, 거치대 안착단계(S2)와, 로봇형 랩핑기 연결단계(S3)와, 비닐 고정단계(S4)와, 로봇형 랩핑기 주행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 설치단계(S1)는 몸체(10') 상면에 복수의 레일홈(11)이 마련된 스테이지(10)를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스테이지(10)의 일 레일홈(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레일홈(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스테이지 설치단계(S1)에서 스테이지(10)의 일 레일홈(11)이 타 레일홈(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레일홈(11)의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의해 레일홈(11)을 따라 주행하는 로봇형 랩핑기(20)의 주행 궤도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지(10)의 몸체(10') 바닥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퀴(1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지(10)의 몸체(10') 바닥면에 복수의 바퀴(12)가 마련됨으로써 바퀴(12) 구름에 의해 스테이지(10)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바퀴(12) 각각에는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부재(1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퀴(12) 각각에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부재(13)가 마련됨으로써 록킹부재(13)를 통해 바퀴(12)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스테이지(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록킹부재(13)는 잠금 상태에서 바퀴(12)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록킹부재(1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그리고 스테이지(10)의 몸체(10')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중의 어느 일면에는 지게차 포크 삽입구(1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지(10)의 몸체(10')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중의 어느 일면에 지게차 포크 삽입구(14)가 마련됨으로써 지게차(도면상 미도시)의 포크(도면상 미도시)를 스테이지 몸체(10')에 마련되는 지게차 포크 삽입구(14)에 삽입하고 지게차를 주행함에 따라 스테이지(1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안착단계(S2)는 스테이지 상면에 조립된 창호(100)가 입식으로 거치된 거치대(200)를 안착하는 것이다.
이때, 거치대(200) 안착은 통상의 어떠한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창호(100)와 거치대(200)는 대형일 뿐만 아니라 고하중이므로 지게차를 이용 즉, 지게차로써 창호(100)가 거치된 거치대(200) 자체를 들어올려 이동한 후 스테이지(10) 상면에 내려놓는 방식으로 거치대(200)를 안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봇형 랩핑기 연결단계(S3)는 스테이지(10)의 일 레일홈(11) 내측으로 로봇형 랩핑기(20)의 가이드(21) 선단에 마련되는 수직바(21a) 하단을 삽입하여 스테이지(10)와 로봇형 랩핑기(20)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10)의 일 레일홈(11) 내측으로 로봇형 랩핑기(20)의 가이드(21) 선단에 마련되는 수직바(21a) 하단을 삽입하여 스테이지(10)와 로봇형 랩핑기(20)를 연결함으로써 로봇형 랩핑기(20)는 레일홈(11)이 형성하는 주행 궤도를 따라서만 주행하게 되므로 로봇형 랩핑기(20)의 주행 궤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로봇형 랩핑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도면상 미도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22) 및 비닐롤(30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비닐롤지지대(23)를 포함하는 것이다.
로봇형 랩핑기(20)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22) 및 비닐롤(30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비닐롤지지대(23)를 포함함으로써 로봇형 랩핑기(20)가 자체로 주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주행 과정에서 비닐롤지지대(23)가 회전하며 비닐(310)이 풀림에 따라 비닐(310)로써 스테이지(10)상의 창호(100)를 감쌀 수 있다.
이때, 로봇형 랩핑기(20)의 비닐롤지지대(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4)상에서 승하강 가능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비닐롤지지대(20)가 포스트(24)상에서 승하강 가능한 것임으로써 비닐롤지지대(23)의 비닐롤(30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310) 선단을 창호(100) 하단에 고정한 이후 로봇형 랩핑기(20)를 주행시키며 비닐롤지지대(23)를 점차로 승강시킴에 따라 비닐(310)로써 창호(100) 하단부터 상단까지를 감쌀 수 있다.
여기서, 비닐롤지지대(23)의 승하강은 통상의 어떠한 승하강 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체인(도면상 미도시) 회전 또는 볼 스크류(도면상 미도시) 회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로봇형 랩핑기(20)에서 수직바(21a)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로봇형 랩핑기(20)의 수직바(21a)가 높낮이 조절됨으로써 스테이지(10)의 레일홈(11) 내측으로 수직바(21a)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수직바(21a)의 하단에는 수직바(21a)를 축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21b)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바(21a)의 하단에 수직바(21a)를 축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21b)가 마련됨으로써 로봇형 랩핑기(20) 주행에 의해 수직바(21a)가 레일홈(11)을 따라 이동할 때 롤러(21b)의 회전에 의해 레일홈(11) 내면과 수직바(21a) 하단 외면의 마찰이 방지되므로 레일홈(11)과 수직바(21a)의 마찰로 인한 레일홈(11) 및 수직바(21a)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비닐 고정단계(S4)는 로봇형 랩핑기(20)로부터의 비닐(310) 선단을 조립된 창호(100) 하단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비닐(310)의 고정은 창호(100)의 손상 없이 비닐(310)의 고정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접착 테이프(도면부호 미표시) 부착이 될 수 있다.
상기 로봇형 랩핑기 주행단계(S5)는 로봇형 랩핑기(20)를 구동하여 로봇형 랩핑기(20)가 스테이지(10)의 일 레일홈(11)을 따라 주행하도록 하여 로봇형 랩핑기(2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310)로써 조립된 창호(100)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로봇형 랩핑기(20)는 비닐(310)이 창호(100) 하단부터 상단까지를 완전히 감싼 이후 주행이 중단되는 것은 물론이다.
로봇형 랩핑기(20)가 비닐(310)이 창호(100) 하단부터 상단까지를 완전히 감싼 이후 주행이 중단됨으로써 창호(100) 포장 과정에서 비닐(310)의 소요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에 의한 창호(100) 포장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바닥에 스테이지(10)가 고정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스테이지 설치단계(S1)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스테이지(10)의 몸체(10') 바닥에는 바퀴(12)가 마련되어 있는바, 스테이지(10)를 밀어 바퀴(12)가 구르도록 함으로써 작업장의 특정 위치로 스테이지(10)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테이지(10)의 몸체(10')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중의 어느 일면에는 지게차 포크 삽입구(14)가 마련되어 있는바, 지게차가 스테이지(10)를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함으로써 작업장의 특정 위치로 스테이지(1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퀴(12) 각각에는 록킹부재(13)가 마련되어 있는바, 스테이지(10) 이동 이후 각각의 바퀴(12)에 마련되어 있는 록킹부재(13)를 잠금 상태로 함으로써 바퀴(12)의 회전이 제한되어 스테이지(1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작업장의 바닥에 스테이지(1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0) 상면에 조립된 창호(100)가 거치된 거치대(200)가 안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 안착단계(S2)가 실시된다.
이때, 거치대(200)에 거치된 창호(100) 양단은 스테이지(10)에 마련된 레일홈(11)중의 최소 어느 하나의 내측에 위치한다.
거치대(200)에 거치된 창호(100) 양단이 스테이지(10)에 마련된 레일홈(11)중의 최소 어느 하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차후 스테이지(10)에 연결되는 로봇형 랩핑기(20) 주행에 의해 비닐(310)로써 창호(100)가 감싸지며 포장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로봇형 랩핑기(20) 주행 과정에서 창호(100)에 의한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0)에 로봇형 랩핑기(20)가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로봇형 랩핑기 연결단계(S3)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스테이지(10)에는 복수의 레일홈(11)이 마련되어 있고, 로봇형 랩핑기(20)는 가이드(21) 선단에 수직바(21a)가 마련되어 있는바, 로봇형 랩핑기(20)의 수직바(21a) 하단을 스테이지(10)의 레일홈(11) 내측에 삽입함으로써 스테이지(10)와 로봇형 랩핑기(2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00) 하단에 로봇형 랩핑기(20)로부터의 비닐(310) 선단이 고정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비닐 고정단계(S4)가 실시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형 랩핑기(20)가 주행하여 비닐(310)에 의해 창호(100)가 감싸지며 포장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로봇형 랩핑기 주행단계(S5)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로봇형 랩핑기(20)의 비닐롤지지대(23)는 포스트(24)상에서 승하강 가능한 것인바, 로봇형 랩핑기(20)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비닐롤지지대(23)가 점차로 승강하게 되면 비닐롤지지대(23)상의 비닐(310)이 창호(100) 하단부터 상단까지를 완전히 감싸게 되므로 로봇형 랩핑기(20)의 주행에 의해 창호(100)의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로봇형 랩핑기(20)는 가이드(21) 선단의 수직바(21a) 하단이 스테이지(10)의 레일홈(11)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행하게 되므로 수직바(21a) 하단의 걸림에 의해 로봇형 랩핑기(20)의 주행 궤도 이탈이 방지될 수 있어 로봇형 랩핑기(20)의 주행 궤도 이탈로 인한 포장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테이지(10)의 레일홈(11)은 복수로 마련된 것이고, 일 레일홈(11)은 타 레일홈(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는 것인바, 창호(100)의 규격에 따라 외측 또는 내측의 레일홈(11) 어느 하나에 로봇형 랩핑기(20)를 연결함으로써 로봇형 랩핑기(20)의 주행 궤도가 창호(100) 규격에 상응할 수 있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창호(100) 포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테이지(10)가 작업장에 고정되는 경우 작업장 내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스테이지(10)는 몸체(10') 바닥에 바퀴(12)가 마련된 것이고, 몸체(10')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중의 어느 일면에 지게차 포크 삽입구(14)가 마련된 것인바, 바퀴(12) 구름 또는 지게차 주행에 의해 스테이지(1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장 내의 다양한 공간에서 창호(100) 포장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장의 공간 활용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 포장방법은 로봇형 랩핑기(20)가 스테이지(10)의 몸체(10') 상면에 마련되는 복수 레일홈(11)중의 어느 하나를 따라 주행하게 되는바, 스테이지(10)에 안착되는 창호(100) 규격 이상의 레일홈(11)을 선택하여 로봇형 랩핑기(20)를 연결하고 주행하도록 하면 로봇형 랩핑기(20)의 주행 궤도 이탈 방지 및 주행 궤도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대형 창호(100)라도 안정적으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어 창호(100) 포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스테이지(10)의 몸체(10')에 지게차 포크 삽입구(14) 및 바퀴(12)가 마련된 것인바, 지게차 구동 또는 바퀴(12) 구름에 의해 스테이지(1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장 내의 다양한 공간에서 창호(100)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창호(100) 포장 공간 별도 확보에 따른 공간 활용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스테이지 10' : 몸체
11 : 레일홈 12 : 바퀴
13 : 록킹부재 14 : 지게차 포크 삽입구
20 : 로봇형 랩핑기 21 : 가이드
21a : 수직바 21b : 롤러
22 : 바퀴 23 : 비닐롤지지대
24 : 포스트 100 : 창호
200 : 거치대 300 : 비닐롤
310 : 비닐 S1 : 스테이지 설치단계
S2 : 거치대 안착단계 S3 : 로봇형 랩핑기 연결단계
S4 : 비닐 고정단계 S5 : 로봇형 랩핑기 주행단계

Claims (9)

  1. 몸체 상면에 복수의 레일홈이 마련되되 일 레일홈이 타 레일홈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스테이지를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는 스테이지 설치단계;
    조립된 창호를 입식으로 거치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를 상기 스테이지 상면에 내려놓는 거치대 안착단계;
    상기 창호의 규격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의 일 레일홈 또는 타 레일홈을 선택한 후 선택된 레일홈의 내부로 로봇형 랩핑기의 가이드 선단에 마련된 수직바 하단을 삽입하여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로봇형 랩핑기를 연결하는 로봇형 랩핑기 연결단계;
    상기 로봇형 랩핑기의 비닐 선단을 상기 창호 하단에 고정시키는 비닐 고정단계; 및
    상기 로봇형 랩핑기의 구동으로 상기 로봇형 랩핑기가 상기 스테이지의 일 레일홈 또는 타 레일홈을 따라 주행하도록 하여 로봇형 랩핑기로부터 공급되는 비닐로써 상기 창호를 감싸도록 하는 로봇형 랩핑기 주행단계;가 포함된 창호 포장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몸체는 바닥면에 복수의 바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포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몸체는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중의 어느 일면에 지게차 포크 삽입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포장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각각에는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포장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형 랩핑기는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및 비닐롤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비닐롤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포장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형 랩핑기의 비닐롤지지대는 포스트상에서 승하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포장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형 랩핑기의 수직바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포장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는 수직바를 축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포장방법.
KR1020140114879A 2014-09-01 2014-09-01 창호 포장방법 KR101989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879A KR101989635B1 (ko) 2014-09-01 2014-09-01 창호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879A KR101989635B1 (ko) 2014-09-01 2014-09-01 창호 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71A KR20160026371A (ko) 2016-03-09
KR101989635B1 true KR101989635B1 (ko) 2019-06-14

Family

ID=5553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879A KR101989635B1 (ko) 2014-09-01 2014-09-01 창호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584B (zh) * 2017-05-08 2019-01-15 苗菁菁 一种铝合金门窗包装带缠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342B1 (ko) * 2002-10-31 2005-04-15 근형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과 보강을 위한 보강섬유 랩핑장치및 그 랩핑 공법
KR200402696Y1 (ko) * 2005-07-18 2005-12-06 홍승도 전동형 이동식 파렛트 랩 포장기
US20140053502A1 (en) 2011-05-09 2014-02-27 Robopac S.P.A. Self-propelled wrapp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521B2 (ja) * 1998-04-28 2001-08-13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ハンドカ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342B1 (ko) * 2002-10-31 2005-04-15 근형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과 보강을 위한 보강섬유 랩핑장치및 그 랩핑 공법
KR200402696Y1 (ko) * 2005-07-18 2005-12-06 홍승도 전동형 이동식 파렛트 랩 포장기
US20140053502A1 (en) 2011-05-09 2014-02-27 Robopac S.P.A. Self-propelled wrapp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71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5498B2 (ja)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方法
ITBO20110660A1 (it) Macchina per imballaggi composti, metodo d'imballaggio e mezzo di avvolgimento
KR101755004B1 (ko) 자율 주행형 랩핑장치
KR102131782B1 (ko)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KR101989635B1 (ko) 창호 포장방법
KR102193112B1 (ko) 전선권출장치
JP2011225167A (ja) エレベータ制御ケーブル運搬台車
CN114837434A (zh) 一种用于玻璃幕墙的快速安装辅助装置
CN111037186B (zh) 白车身焊装用多车型柔性转台切换系统
ITMI20070051U1 (it) Apparecchiatura di imballaggio combinata reggiatrice-avvolgitrice
JP6468092B2 (ja) 機械式駐輪設備及び方法
KR20170001333A (ko) 접이식 컨테이너 개폐장치
KR20180003229U (ko)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JP5738611B2 (ja) 垂直搬送装置
CN109516289B (zh) 一种成品纱放置装置
JP2021109766A (ja) 昇降装置
JP4085637B2 (ja) 物品移載装置
CN105937321A (zh) 一种气动式立体车库
JP5751443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における昇降台昇降装置
KR102153420B1 (ko) 도어 어셈블리의 용접부 사상작업용 반전장치
JP7262561B2 (ja) 建材用搬送台車
JP3680925B2 (ja) 立体駐車装置
CN220701167U (zh) 沟槽保护机构及搬运小车
JP2006177107A (ja) 駐輪設備
CN215548606U (zh) 一种新型电梯维修工具转运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