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166B1 -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166B1
KR101982166B1 KR1020170151245A KR20170151245A KR101982166B1 KR 101982166 B1 KR101982166 B1 KR 101982166B1 KR 1020170151245 A KR1020170151245 A KR 1020170151245A KR 20170151245 A KR20170151245 A KR 20170151245A KR 101982166 B1 KR101982166 B1 KR 10198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late
unit
feed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556A (ko
Inventor
박노춘
Original Assignee
(주)한솔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솔기계 filed Critical (주)한솔기계
Priority to KR102017015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4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 A21B1/46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baking surfaces moving during the baking with surfaces suspended from an endless conveyor or a revolv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 공급공간 내에 배치된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에, 식품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오븐 가열을 요하는 쿠키 반죽이나 증숙처리를 요하는 만두 등 후가공을 요하는 식품의 식품 플레이트들의 단계적인 공급공정과, 이송공정, 및 적재대의 적재레일에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들을 정형화되게 적층시켜 배출하는 적재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Automatic input and loading apparatus for food sorting plate}
본 발명은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오븐 가열을 요하는 쿠키 반죽이나 증숙처리를 요하는 만두 등 후가공을 요하는 식품의 식품 플레이트들의 단계적인 공급공정과, 공급된 식품 플레이트를 구간 이송시켜 식품 플레이트에 식품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구간 이송공정, 및 구간 이송 공정을 통해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를 적재대의 적재레일에 진입시켜 적재하는 식품 플레이트 적재공정을 순차적으로 구현하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각종 식품가공기술의 발달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가공식품들이 개발되었다.
가공식품이라 함은,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의 천연식품재료를 그대로 또는 첨가물을 가하여 먹기 쉽고, 소화 흡수가 잘되며 오래 저장할 수 있도록 처리한 식품을 말한다.
가공식품으로는 스낵, 비스켓, 쵸코렛 등을 비롯한 과자류, 라면이나 스파게티 등을 비롯한 면류뿐만 아니라, 빵류, 커피류, 즉석식 식품류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대량 생산을 요하는 식품 중, 쿠키는 식품 트레이에 쿠키 반죽들을 배열한 다음, 상기 쿠키 반죽들이 배열된 식품 트레이를 적재대의 각 적재레일에 진입시켜 적재한 다음, 상기 적재대를 대형의 오븐기에 투입시켜 굽는 형태로 제조된다.
그리고, 증숙처리를 요하는 만두나 찜빵 등은 식품 트레이에 만두나 찜빵들을 배열한 다음, 상기 만두나 찜빵들이 배열된 식품 트레이를 적재대의 각 적재레일에 진입시켜 적재한 다음, 상기 적재대를 대형의 증숙 처리기에 투입시켜 증숙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식품들을 정렬하는 식품 플레이트를 식품 공급장치의 식품 정렬공간 내에 자동으로 투입하고, 또 식품 정렬공간 내에 투입되어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를 적재대의 각 적재레일에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전용의 장치가 강구되지 아니한 관계로,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식품 플레이트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또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를 적재대의 각 적재레일에 적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식품 플레이트의 공급과,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의 배출 및 적재에 따른 많은 인력의 투입과, 투입된 작업자의 고된 노동이 요구되었고, 또 요하는 생산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워 식품 제조에 따른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KR 10-1439093 B1 KR 10-0241080 B1 KR 10-1236066 B1 KR 10-1388067 B1 KR 10-2010-0112703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오븐 가열을 요하는 쿠키 반죽이나 증숙처리를 요하는 만두 등 후가공을 요하는 식품의 식품 플레이트들의 단계적인 공급공정과, 공급된 식품 플레이트를 구간 이송시켜 식품 플레이트에 식품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구간 이송공정 및 구간 이송 공정을 통해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를 적재대의 적재레일에 진입시켜 적재하는 식품 플레이트 적재공정을 순차적으로 구현하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는,
후가공을 요하는 식품들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식품 공급장치의 식품 공급공간 내에, 낱개씩 공급되는 식품 플레이트를 구간 이동시켜 배출하는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와;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에 적재된 식품 플레이트를 낱개씩 순차 공급하는 플레이트 공급부; 및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에서 배출되는 식품 플레이트를 적재대의 적재레일에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플레이트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편에 배치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본체의 타편에 배치되는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사이를 견착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벨트에는 식품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는 견착바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본체의 양측에는 이송벨트에 안착되는 식품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을 간섭하는 정렬 가이드가 형성되어서,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견착바와 정렬 가이드로 이루어진 단위 정렬공간 내에 식품 플레이트를 안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정렬 가이드의 상부에는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어, 식품 플레이트의 양측이 상기 안내면에 의해 내측으로 간섭되면서 좌우 정렬되어 이송벨트의 중심에 좌우 정렬되고,
상기 정렬 가이드는 본체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안착되는 식품 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탄력적으로 간섭하면서 이송벨트의 중심에 식품 플레이트를 좌우 정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공급부는,
적재된 식품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협지 높이에 위치시키는 플레이트 거상유닛과;
상기 플레이트 거상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플레이트 거상유닛에 의해 협지 높이로 거상된 낱개의 식품 플레이트를 협지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에 형성된 단위 정렬공간 내에 안착시키는 플레이트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거상유닛은,
공급을 요하는 식품 플레이트들의 적층공간을 제공하는 적재 베이스와;
상기 적재 베이스를 단위 높이씩 순차적으로 구간 상승시키는 단위 거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위 거상부재는,
회전축을 등각도 순차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와;
상기 스텝모터와 랙과 피니언 기어로 치합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에 고정된 적재 베이스는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해 단위 높이씩 순차적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이 협지 높이의 식품 플레이트를 협지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단위 정렬공간 내에 공급하면, 단위 거상부재는 해당 식품 플레이트의 높이만큼 적재 베이스를 상승시켜서 적재 베이스에 적층된 식품 플레이트들 중 최상부에 형성된 식품 플레이트는 항시 설정된 협지 높이를 유지하며,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은,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상부와 플레이트 거상유닛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가동자를 갖는 진퇴부재와;
상기 진퇴부재의 가동자에 고정되는 공급 베이스; 및
상기 공급 베이스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협지 높이의 식품 플레이트 전방변과 후방변을 동시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협지부재는 협지 실린더의 단부에 협지바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협지바의 내측면은 경사진 협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협지부재들이 협지바를 동시에 내측으로 진입시키면, 공급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된 식품 플레이트의 전방변과 후방변은 동시에 협지되고, 협지부재들이 협지바를 동시에 외측으로 진출시키면 식품 플레이트의 협지상태는 해제되며,
식품 플레이트를 협지한 협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실린더는 협지부재와 공급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은 플레이트 거상유닛에 의해 협지 높이를 형성한 낱개의 식품 플레이트를 협지부재를 통해 협지한 다음,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승하여 하부에 배치된 식품 플레이트와 협지한 식품 플레이트 사이의 간섭을 해소시킨 후, 진퇴부재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하강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단위 정렬공간 내에 협지된 식품 플레이트를 정위치시키며,
상기 플레이트 적재부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승강 트레이와;
상기 승강 트레이를 상하로 승강시켜 승강 트레이에 진입되는 식품 플레이트의 진입높이와 승강 트레이의 진출높이를 설정하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 트레이에 설치되어, 승강 트레이에 안착된 식품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밀어 적재대의 적재레일 내에 피딩하는 피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딩유닛은,
승강 트레이에 진퇴하는 가동자를 갖는 진퇴부재와;
상기 가동자에 고정되어 승강 트레이에 진입된 식품 트레이를 전방으로 밀어서, 승강 트레이에 진입된 식품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진출시키는 피딩바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바는 승강 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승강 트레이 내에 식품 플레이트가 진입되는 과정에서는 상승하여 식품 플레이트와의 간섭이 방지되고, 진입된 식품 플레이트의 진출과정에서는 하강하여, 식품 플레이트의 후방변을 견착하여 전방으로 진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식품의 식품 플레이트들의 단계적인 공급공정과, 공급된 식품 플레이트를 구간 이송시켜 식품 플레이트에 식품을 정렬하여 배출하는 구간 이송공정 및 구간 이송 공정을 통해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를 적재대의 적재레일에 진입시켜 적재하는 식품 플레이트 적재공정을 순차적으로 구현하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식품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가 시판되면, 종래 작업자가 식품 플레이트에 후가공을 요하는 식품들을 정렬한 다음,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를 적재대의 각 적재레일에 진입시켜 적층함에 따른 인력이 절감되고, 또 작업자의 노된 노동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 플레이트의 공급과 구간 이동 및 적재가 단계적으로 연속하여 구현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 식품 공급장치와 연동하여 식품 플레이트의 구간 이동이 구현되므로, 식품 플레이트에 식품들을 정렬함에 따른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있어,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있어, 플레이트 공급부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있어, 플레이트 적재부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있어,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있어, 플레이트 공급부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에 있어, 플레이트 적재부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식품 플레이트의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1)는, 적재된 식품 플레이트(P)를 낱개씩 순차적으로 식품 공급장치(100)의 식품 공급공간(S)에 통과시켜 공급되는 식품(F)들을 식품 플레이트(P)에 정렬한 다음, 상기 식품(F)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P)를 적재대(200)의 각 적재레일(210) 내에 순차적으로 자동 적재하여 식품(F)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P)들을 적재대(200)의 각 적재레일(210)에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전용장치이다.
상기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가공을 요하는 식품(F)들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식품 공급장치(100)의 식품 공급공간 내에, 낱개씩 공급되는 식품 플레이트(P)를 구간 이동시켜 배출하는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와;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에 적재된 식품 플레이트(P)를 낱개씩 순차 공급하는 플레이트 공급부(20); 및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에서 배출되는 식품 플레이트(P)를 적재대(200)의 적재레일(210)에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플레이트 적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일편에 배치되어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12)와; 상기 본체(10)의 타편에 배치되는 종동롤러(13); 및 상기 구동롤러(12)와 종동롤러(13) 사이에 견착되는 이송벨트(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14)에 식품 플레이트(P)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는 견착바(14a)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본체(10)의 양측에는 이송벨트(14)에 안착된 식품 플레이트(P)를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정렬 가이드(15)를 돌출되게 형성하여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공급부(20)에서 낱개씩 공급된 식품 플레이트(P)는 정렬 가이드(15)와 견착바(14a)에 의해 구획된 사각의 단위 정렬공간(S) 내에 정렬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견착바(14a) 사이의 간격은 식품 플레이트(P)의 길이에 준하고, 상기 정렬 가이드(15) 사이의 간격은 식품 플레이트(P)의 폭에 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사각의 단위 정렬공간(S)에 안착되는 식품 플레이트(P)는 견착바(14a)와 정렬 가이드(15)에 의해 각 가장자리가 지지되어서, 이송벨트(14)상에 정위치 정렬되도록 한다.(2항)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정렬 가이드(15)는 상부에는 경사진 안내면(15a)이 형성되어, 플레이트 공급부(20)에 의해 낱개씩 공급된 식품 플레이트(P)는 도 3b와 같이 정렬 가이드(15)의 안내면(15a)에 의해 양측이 내측으로 간섭되면서 좌우 정렬되어 이송벨트(14)의 중심에 좌우 정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렬 가이드(15)는 본체(11)에 스프링(15b)에 의해 탄지되어, 안착되는 식품 플레이트(P)의 양측 가장자리를 탄력적으로 간섭하면서, 이송벨트(14)의 중심에 식품 플레이트(P)를 좌우 정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의 단위 정렬공간(S)에 적층된 식품 플레이트(P)를 낱개씩 순차 공급하는 플레이트 공급부(20)는, 적재된 식품 플레이트(P)를 순차적으로 협지 높이에 위치시키는 플레이트 거상유닛(21)과; 상기 플레이트 거상유닛(21)의 상부에 배치되어 플레이트 거상유닛(21)에 의해 협지 높이로 거상된 낱개의 식품 플레이트(P)를 협지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10)에 형성된 사각의 단위 정렬공간(S) 내에 안착시키는 플레이트 공급유닛(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거상유닛(21)은,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급을 요하는 식품 플레이트(P)들의 적층공간을 제공하는 적재 베이스(21a)와, 상기 적재 베이스(21a)를 단위 높이씩 순차적으로 구간 상승시키는 단위 거상부재(21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거상부재(21b)는, 회전축을 등각도 순차 회전시키는 스텝모터(21b-a)와, 상기 스텝모터(21b-a)와 랙과 피니언 기어로 치합되는 승강로드(21b-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로드(21b-b)의 상단에 고정된 적재 베이스(21a)는 스텝모터(21b-a)의 구동에 의해 단위 높이씩 순차적으로 상승하고, 결과적으로 적재 베이스(21a)에 적층된 식품 플레이트(P)들 중 맨상부에 적층된 식품 플레이트(P)는 항시 설정된 협지 높이를 유지한다.
즉,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22)이 협지 높이의 식품 플레이트(P)를 협지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의 단위 정렬공간(S) 내에 공급하면, 단위 거상부재(21b)는 해당 식품 플레이트(P)의 높이만큼 적재 베이스(21a)를 상승시켜서 적재 베이스(21a)에 적층된 식품 플레이트(P)들 중 맨상부에 형성된 식품 플레이트(P)는 항시 설정된 협지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22)은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의 상부와 플레이트 거상유닛(21)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가동자(22a-a)를 갖는 진퇴부재(22a)와; 상기 진퇴부재(22a)의 가동자(22a-a)에 고정되는 공급 베이스(22b); 및 상기 공급 베이스(22b)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협지 높이의 식품 플레이트 전방변과 후방변을 동시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부재(22c)를 포함한다.
상기 협지부재(22c)는 협지 실린더(22c-a)의 단부에 협지바(22c-b)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협지바(22c-b)의 내측면은 경사진 협지면(22c-ba)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상기 협지부재(22c)들이 협지바(22c-b)를 동시에 내측으로 진입시키면 공급 베이스(22b)의 하부에 위치된 식품 플레이트(P)의 전방변과 후방변은 동시에 협지되고, 또 도 5b와 같이 협지부재(22c)들이 협지바(22c-b)를 동시에 외측으로 진출시키면 식품 플레이트(P)의 협지상태는 해제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품 플레이트(P)가 가장자리의 내측구간이 요입되게 형성된 형태인 점을 고려하여, 식품 플레이트(P)를 협지한 협지부재(22c)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실린더(22d)를 협지부재(22c)와 공급 베이스(22b) 사이에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22)은 도 5a와 같이 플레이트 거상유닛(21)에 의해 협지 높이를 형성한 낱개의 식품 플레이트(P)를 협지부재(22c)를 통해 협지한 다음, 승강 실린더(22d)에 의해 상승하여 하부에 배치된 식품 플레이트(P)와 협지한 식품 플레이트(P) 사이의 간섭을 해소시킨 후, 도 5b와 같이 진퇴부재(22a)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하강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의 단위 정렬공간(S) 내에 협지된 식품 플레이트(P)를 정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는 플레이트 공급부(20)에 의해 단위 정렬공간(S) 내에 낱개씩 공급되는 식품 플레이트(P)를 정렬 가이드(15)와 견착바(14a)에 의해 구획된 단위 정렬공간(S) 내에 정렬하고, 이송벨트(14)를 길이방향으로 1차 구간 이동시켜 식품 플레이트(P)를 식품 공급장치(100)의 식품 공급공간 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식품 공급장치(100)는 도 1과 같이 식품 플레이트(P)가 위치된 식품 공급공간 내에 식품(F)들을 공급하여서, 식품 플레이트(P)에 식품들을 정렬하게 된다.
이후,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는 이송벨트(14)를 2차적으로 구간 이동시켜 식품(F)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P)를 플레이트 적재부(30)에 배출하고, 상기 플레이트 적재부(30)는 식품(F)들이 정렬된 식품 플레이트(P)를 적재대(200)의 적재레일(210)에 순차적으로 적재한다.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에서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식품 플레이트(P)를 적재대(200)의 적재레일(210)에 적층하는 플레이트 적재부(30)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 트레이(31)와; 상기 승강 트레이(31)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유닛(32); 및 상기 승강 트레이(31)에 탑재되어 승강 트레이와 함께 승강하며, 승강 트레이(31)에 진입된 식품 플레이트(P)를 전방으로 밀어 적재대(200)의 적재레일(210) 내에 진출시켜 적층하는 피딩유닛(33)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 트레이(31)는,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와 마주하는 후방과 적재대(200)와 마주하는 전방이 각각 개방된 트레이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 몸체의 양측에는 구름롤러(31a)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트레이(31)에 탑재된 피딩유닛(33)은 승강 트레이(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는 가동자(33a-a)를 갖는 진퇴부재(33a)와; 상기 가동자(33a)와 함께 승강 트레이(31)를 따라 진퇴하는 피딩바(33c); 및 상기 피딩바(33c)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33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32)은 승강 트레이(31)와 리드 스크루 구조로 연결된 스크루봉(32a)과, 상기 스크루봉(32a)을 정역으로 회전시켜서 승강 트레이(31)를 설정하는 승강모터(3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승강모터(32b)의 정역 회전에 따라 승강 트레이(31)는 상하로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트레이(31)는 도 7a와 같이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에서 식품 플레이트(P)를 진입시키는 과정에서는 승강유닛(32)에 의해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와 수평상태를 형성하여서,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에서 진출되는 식품 플레이트(P)를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 트레이(31)에 진입되는 식품 플레이트(P)는 승강 트레이(31)에 마련된 구름롤러(31a)들에 의해 좌우 양측이 구림 지지되고, 또 도 6과 도 7a와 같이 상기 피딩유닛(33)의 피딩바(33c)는 승강 실린더(32b)의 수축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10)에서 진출되어 승강 트레이(31) 내에 진입되는 식품 플레이트(P)와의 물리적인 간섭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승강 트레이(31) 내에 식품 플레이트(P)의 진입이 완료되면, 도 7b와 같이 식품 플레이트(P)는 승강유닛(32)에 의해 승강하여 적재를 요하는 적재대(200)의 적재레일(210)으로 수평으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피딩유닛(33)의 피딩바(33c)는 승강 실린더(32)의 신장에 의해 하강한 다음, 도 7c와 같이 가동자(33a-a)와 함께 전방으로 진출하면서, 적재대(200)의 적재레일(210)에 식품 트레이(31)에 진입된 식품 플레이트(P)를 진출시켜서, 적재대(200)의 적재레일(210)에 식품 플레이트(P)를 진출시켜 적재한다.
그리하여, 본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는 플레이트 공급부를 통한 적층된 식품 플레이트의 순차적인 공급과,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를 통한 식품 플레이트의 구간 이동과, 구간 이동되면서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트레이의 예비 배출 및 예비 배출된 식품 트레이의 승강 및 적재가 순차적으로 구현되고, 이러한 공정들의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적재대의 각 적재레일에는 식품들이 정렬된 식품 트레이의 적층이 자동으로 구현된다.
1.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10.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 11. 본체
12. 구동롤러 13. 종동롤러
14. 이송벨트 14a. 견착바
15. 정렬 가이드 15a. 안내면
20. 플레이트 공급부 21. 플레이트 거상유닛
21a. 적재 베이스 21b. 단위 거상부재
21b-a. 스탭모터 21b-b. 승강로드
22c. 협지부재 22c-a. 협지 실린더
22c-b. 협지바 22c-ba. 협지면
22d. 승강 실린더 22. 플레이트 공급유닛
22a. 진퇴부재 22a-a. 가동자
22b. 공급 베이스 22c. 협지부재
22d. 협지바 22e. 승강 실린더
30. 플레이트 적재부 31. 승강 트레이
31a. 구름롤러 32. 승강유닛
32a. 스크루봉 32b. 승강모터
33. 피딩유닛 33a. 진퇴부재
33a-a. 가동자
33b. 승강 실린더 33c. 피딩바
100. 식품 공급장치
200. 적재대 210. 적재레일
P. 식품 플레이트 F. 식품

Claims (3)

  1. 후가공을 요하는 식품들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식품 공급장치의 식품 공급공간 내에, 낱개씩 공급되는 식품 플레이트를 구간 이동시켜 배출하는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와;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에 적재된 식품 플레이트를 낱개씩 순차 공급하는 플레이트 공급부; 및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에서 배출되는 식품 플레이트를 적재대의 적재레일에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플레이트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편에 배치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본체의 타편에 배치되는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사이를 견착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벨트에는 식품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는 견착바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본체의 양측에는 이송벨트에 안착되는 식품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을 간섭하는 정렬 가이드가 형성되어서,
    상기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견착바와 정렬 가이드로 이루어진 단위 정렬공간 내에 식품 플레이트를 안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정렬 가이드의 상부에는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어, 식품 플레이트의 양측이 상기 안내면에 의해 내측으로 간섭되면서 좌우 정렬되어 이송벨트의 중심에 좌우 정렬되고,
    상기 정렬 가이드는 본체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안착되는 식품 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를 탄력적으로 간섭하면서 이송벨트의 중심에 식품 플레이트를 좌우 정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공급부는,
    적재된 식품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협지 높이에 위치시키는 플레이트 거상유닛과;
    상기 플레이트 거상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플레이트 거상유닛에 의해 협지 높이로 거상된 낱개의 식품 플레이트를 협지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에 형성된 단위 정렬공간 내에 안착시키는 플레이트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거상유닛은,
    공급을 요하는 식품 플레이트들의 적층공간을 제공하는 적재 베이스와;
    상기 적재 베이스를 단위 높이씩 순차적으로 구간 상승시키는 단위 거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위 거상부재는,
    회전축을 등각도 순차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와;
    상기 스텝모터와 랙과 피니언 기어로 치합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에 고정된 적재 베이스는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해 단위 높이씩 순차적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이 협지 높이의 식품 플레이트를 협지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단위 정렬공간 내에 공급하면, 단위 거상부재는 해당 식품 플레이트의 높이만큼 적재 베이스를 상승시켜서 적재 베이스에 적층된 식품 플레이트들 중 최상부에 형성된 식품 플레이트는 항시 설정된 협지 높이를 유지하며,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은,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상부와 플레이트 거상유닛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가동자를 갖는 진퇴부재와;
    상기 진퇴부재의 가동자에 고정되는 공급 베이스; 및
    상기 공급 베이스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협지 높이의 식품 플레이트 전방변과 후방변을 동시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협지부재는 협지 실린더의 단부에 협지바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협지바의 내측면은 경사진 협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협지부재들이 협지바를 동시에 내측으로 진입시키면, 공급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된 식품 플레이트의 전방변과 후방변은 동시에 협지되고, 협지부재들이 협지바를 동시에 외측으로 진출시키면 식품 플레이트의 협지상태는 해제되며,
    식품 플레이트를 협지한 협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실린더는 협지부재와 공급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공급유닛은 플레이트 거상유닛에 의해 협지 높이를 형성한 낱개의 식품 플레이트를 협지부재를 통해 협지한 다음,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승하여 하부에 배치된 식품 플레이트와 협지한 식품 플레이트 사이의 간섭을 해소시킨 후, 진퇴부재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하강하여 구간 이송 컨베이어부의 단위 정렬공간 내에 협지된 식품 플레이트를 정위치시키며,
    상기 플레이트 적재부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승강 트레이와;
    상기 승강 트레이를 상하로 승강시켜 승강 트레이에 진입되는 식품 플레이트의 진입높이와 승강 트레이의 진출높이를 설정하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 트레이에 설치되어, 승강 트레이에 안착된 식품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밀어 적재대의 적재레일 내에 피딩하는 피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딩유닛은,
    승강 트레이에 진퇴하는 가동자를 갖는 진퇴부재와;
    상기 가동자에 고정되어 승강 트레이에 진입된 식품 트레이를 전방으로 밀어서, 승강 트레이에 진입된 식품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진출시키는 피딩바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바는 승강 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승강 트레이 내에 식품 플레이트가 진입되는 과정에서는 상승하여 식품 플레이트와의 간섭이 방지되고, 진입된 식품 플레이트의 진출과정에서는 하강하여, 식품 플레이트의 후방변을 견착하여 전방으로 진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51245A 2017-11-14 2017-11-14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KR10198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245A KR101982166B1 (ko) 2017-11-14 2017-11-14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245A KR101982166B1 (ko) 2017-11-14 2017-11-14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556A KR20190054556A (ko) 2019-05-22
KR101982166B1 true KR101982166B1 (ko) 2019-05-24

Family

ID=6667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245A KR101982166B1 (ko) 2017-11-14 2017-11-14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6462A (zh) * 2019-08-07 2019-10-29 青岛顺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箱体码垛夹具
KR102271501B1 (ko) * 2020-09-02 2021-07-01 안인성 마스크 제조 시스템용 마스크 패드 자동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0520A (zh) * 2019-05-23 2019-07-23 六盘水恒帆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石膏板材自动化生产线的翻转堆垛设备
CN110294330B (zh) * 2019-07-29 2020-10-30 浙江峰邦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子板材堆叠输送装置
KR102624086B1 (ko) * 2021-03-16 2024-01-10 최원옥 강정 제조 장치
CN114343215A (zh) * 2022-01-10 2022-04-15 广东得臣机电有限公司 一种自动化醒蒸系统
KR102605118B1 (ko) * 2023-04-04 2023-11-23 주식회사큐앤비푸드 마카롱 오토 샌딩 시스템
KR102605102B1 (ko) * 2023-05-08 2023-11-24 주식회사큐앤비푸드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155B1 (ko) 2009-04-22 2009-09-17 김승수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KR101009754B1 (ko) *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065466B1 (ko) 2011-05-02 2011-09-16 디엠에스코리아(주) 버섯재배용 수납박스 자동운반장치
KR101489388B1 (ko) * 2013-01-23 2015-02-04 오종찬 도시락용 프로세싱 라인장치
KR101731001B1 (ko) * 2015-12-29 2017-04-28 (주)아이피에스코리아 제품 묶음 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45005A (en) 1992-02-28 1994-12-22 Schreiber Foods Inc Food packaging apparatus, method and product: flattened tube and food contents transversely sealed by sequential pressing, heating and pressing
KR20100112703A (ko) 2009-04-10 2010-10-20 이범우 식품용기 이송장치
KR101236066B1 (ko) 2011-04-18 2013-02-22 서정설 어묵 포장용 자동적재장치
KR101388067B1 (ko) 2012-07-10 2014-04-24 김각현 포장 대상물 자동 적재장치
KR101439093B1 (ko) 2013-03-18 2014-09-12 주식회사 오토팩코리아 포장팩 공급장치 및 포장팩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155B1 (ko) 2009-04-22 2009-09-17 김승수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KR101009754B1 (ko) *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065466B1 (ko) 2011-05-02 2011-09-16 디엠에스코리아(주) 버섯재배용 수납박스 자동운반장치
KR101489388B1 (ko) * 2013-01-23 2015-02-04 오종찬 도시락용 프로세싱 라인장치
KR101731001B1 (ko) * 2015-12-29 2017-04-28 (주)아이피에스코리아 제품 묶음 포장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6462A (zh) * 2019-08-07 2019-10-29 青岛顺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箱体码垛夹具
KR102271501B1 (ko) * 2020-09-02 2021-07-01 안인성 마스크 제조 시스템용 마스크 패드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556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166B1 (ko)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EP0212023B1 (en) Method for arraying and conveying rows of products
KR20150010545A (ko)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762814B1 (ko) 조미김 가공장치
JP6150763B2 (ja) 食品搬送処理装置及び該食品搬送処理装置を備えた生地成形システム
JPH0771443B2 (ja) コンベヤ上に粘着性食品混合物を載置する装置
CN210445483U (zh) 一种蛋糕生产线的翻面装置
US9924832B2 (en) Heating system for heating a food product
CN104015218A (zh) 一种果蔬切片机
US20090074902A1 (en) Dough press and dough loading system
US6349815B1 (en) In-line stacker machine for stacking cookies
KR101070424B1 (ko) 식빵 생지 정렬 및 케이스 자동 패닝용 장치
CN110192562B (zh) 一种制作双层夹心吐司的设备及其制作方法
US2141226A (en) Bakery machinery
CN210374485U (zh) 晾干烘干一体化装置
CN108974853B (zh) 木条上料机中的排料输送装置
CN216807195U (zh) 一种多线重叠推盘系统
US2859857A (en) Loaf straightener
CN210048053U (zh) 一种烤炉的入料装置
US3319762A (en) Article feed mechanism
US2925053A (en) Dough shaper and conveyor
CN212498044U (zh) 一种面包切片机用自动进料装置
CN219520627U (zh) 一种剪板机的推料机构
CN215684515U (zh) 一种面条加工用全自动切面机
CN219213329U (zh) 一种馍片胚体的自动切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