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102B1 -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102B1
KR102605102B1 KR1020230058961A KR20230058961A KR102605102B1 KR 102605102 B1 KR102605102 B1 KR 102605102B1 KR 1020230058961 A KR1020230058961 A KR 1020230058961A KR 20230058961 A KR20230058961 A KR 20230058961A KR 102605102 B1 KR102605102 B1 KR 10260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veyor
dough
lif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큐앤비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큐앤비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큐앤비푸드
Priority to KR102023005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278Mould conveyor, e.g. with the associated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65G59/045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with a stepwise up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의 트레이; 상기 각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되게 수용되는 트레이챔버; 상기 트레이챔버 일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트레이챔버의 각 트레이 중 최상단에 위치한 트레이를 들어 올린 후 상기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로더(loader); 상기 트레이챔버의 각 트레이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터(lifter); 상기 컨베이어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인 트레이에 유산지를 공급하는 서플라이유닛(supply unit);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트레이의 유산지에 반죽을 공급하는 피더(feeder); 및 상기 피더 일측에 배치되며 반죽을 공급받은 상기 트레이를 진동시켜 반죽을 넓게 펴기 위한 롤아웃유닛(roll out unit);을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트레이에 대한 리프팅 공정, 최상단 트레이 흡착 이송 공정, 이송 후 트레이에 유산지 흡착 공급 공정, 트레이의 유산지 위로 반죽을 올리며 이후 마지막 번째 행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반죽 공급 공정, 트레이에 진동을 주어 반죽을 골고루 넓게 펴는 공정 등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상품성이 우수한 마카롱의 꼬끄를 단시간 내에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공정별 선택 운영 및 추가 공정을 통해 마카롱은 물론,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BAKERY DOUGH FORMING AND AUTOMATIC LOADING SYSTEM}
본 발명은 마카롱, 휘낭시에, 쿠키 등의 베이커리 제품을 위한 반죽을 성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카롱에 대한 반죽 성형 시 이송되는 트레이에 유산지를 올리고 유산지에 격자 형태로 반죽을 올려 성형하되 스윙 동작에 의해 트레이가 흔들리면서 반죽이 넓게 골고루 펴질 수 있도록 하여 일정 크기의 꼬끄를 단시간 내에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휘낭시에에 대한 반죽 성형 시 이에 적합하게 격자 형태로 홈이 파인 트레이를 사용하여 반죽을 올려 성형하며, 성형하고자 하는 베이커리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트레이 및 노즐, 커터 등을 교체 또는 추가 설치하여 범용성을 갖도록 한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마카롱(Macaron)은 달걀 흰자에 설탕, 아몬드, 코코넛, 바닐라 등을 첨가하고 거품을 낸 뒤에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후 오븐에서 구워 만든 과자의 일종으로, 다쿠아즈와 함께 대표적인 머랭(거품) 과자의 하나이며, 속은 매끄러우면서 부드럽고 겉은 바삭바삭한 과자를 말한다.
결국 마카롱은 상하 원판형의 두 꼬끄 사이에 필링(filling)을 넣어 완성되는데, 이러한 마카롱 제조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03623호 (2021.01.1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마카롱 자동 제조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제1,2철판 및 투명커버를 이용하여 마카롱, 특히 마카롱의 일측 코크를 자동으로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마카롱이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하며, 제1철판을 작업컨베이어에 안착시키고, 제1철판 상에 물을 뿌려 시트지를 깔며, 코크 형상의 재료를 주입하고, 주입된 재료를 투명커버과 제2철판으로 덮으며, 이를 뒤집어 시트지와 제1철판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측 코크의 신속한 제조와 함께 코크 위에 필링을 주입하고 반대측 코크를 덮는 과정도 신속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카롱 자동 제조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03625호 (2021.01.1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마카롱 제조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마카롱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조도구와, 상기 제조도구를 이용하여 마카롱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자동제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도구는 마카롱을 형성하기 위한 반죽이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는 제1철판과, 상기 제1철판 상에 부착되는 시트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제조장치를 통해 상기 제1철판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제1철판 상에 주입된 반죽이 고르게 퍼지도록 한 상태로, 마카롱의 일측 코크를 용이하게 형성함으로써, 마카롱의 코크 형태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고, 대량의 마카롱이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한 마카롱 제조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72913호 (2016.10.31.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마카롱 꼬끄의 제조 방법 및 쁘띠 케이크 마카롱의 제조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3은 프렌치 머랭을 기본 적용하여 작업이 간단하고 식감이 우수하며, 재료의 정확한 투입 횟수 및 투입 시간, 최적의 오븐 온도 등의 조건에 의해 마카롱 꼬끄를 제조함으로써 머랭의 밀도를 이탈리안 머랭과 동등한 정도로 끌어올려 초보자가 다루기 용이하고 초보자가 만들어도 실패 확률이 적으며, 제철의 생과일과 견과류를 필링하여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고 긴 숙성 과정이 요구되지 않음은 물론 마카롱의 강한 단맛을 충분히 완화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마카롱 꼬끄의 제조 방법 및 쁘띠 케이크 마카롱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03623호 (2021.01.11.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03625호 (2021.01.11.등록)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72913호 (2016.10.31.등록)
본 발명은 베이커리 중 마카롱에 대한 반죽 성형 시 적층된 트레이를 하나씩 자동 공급하고, 공급된 트레이에 유산지를 하나씩 자동 공급하며, 이송된 트레이의 유산지에 첫째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순차적으로 반죽을 올리되, 트레이를 자동 하강시켜 반죽이 물방울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하고, 트레이를 자동 스윙시켜 반죽을 골고루 넓게 펴서 일정 크기의 꼬끄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베이커리 중 휘낭시에에 대한 반죽 성형 시 격자 형태의 홈이 파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각 홈에 반죽을 자동 공급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한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커리 중 쿠키에 대한 반죽 성형 시 이에 적합한 노즐로 교체한 후 추가로 반죽커터를 설치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한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은,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의 트레이;
상기 각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되게 수용되는 트레이챔버;
상기 트레이챔버 일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트레이챔버의 각 트레이 중 최상단에 위치한 트레이를 들어 올린 후 상기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로더(loader);
상기 트레이챔버의 각 트레이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터(lifter);
상기 컨베이어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인 트레이에 유산지를 공급하는 서플라이유닛(supply unit);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상기 트레이의 유산지에 반죽을 공급하는 피더(feeder); 및
상기 피더 일측에 배치되며 반죽을 공급받은 상기 트레이를 진동시켜 반죽을 넓게 펴기 위한 롤아웃유닛(roll out uni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은,
트레이에 대한 리프팅 공정, 최상단 트레이 흡착 이송 공정, 이송 후 트레이에 유산지 흡착 공급 공정, 트레이의 유산지 위로 반죽을 올리며 이후 마지막 번째 행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반죽 공급 공정, 트레이에 진동을 주어 반죽을 골고루 넓게 펴는 공정 등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상품성이 우수한 마카롱의 꼬끄를 단시간 내에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베이커리의 종류에 따라 각 공정을 선택적으로 운행하거나 추가 공정을 통해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을 반죽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트레이를 나타낸 평면 및 정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트레이챔버 및 이에 수용되는 적층된 트레이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리프터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컨베이어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7은 로더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8은 서플라이유닛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9는 서플라이유닛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0은 피더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11 내지 도 13은 피더 및 이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14는 노즐본체와 호퍼 간의 조립 및 분해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15는 롤아웃유닛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A"에 대한 요부 확대 구성도,
도 17은 롤아웃유닛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18은 다른 예의 트레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9는 반죽 커터를 나타낸 일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은,
크게 트레이(10), 트레이챔버(20), 컨베이어(30), 로더(40), 리프터(50), 서플라이유닛(60), 피더(70), 롤아웃유닛(8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트레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산지(1)가 수용되며 수용된 유산지(1) 위로 격자 형태의 반죽이 올려지게 되는 것으로,
사각의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수납 공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된다.
아울러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트레이(10)는 베이커리의 종류에 따라 내부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며 움푹 들어간 사각 공간의 홈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챔버(20)는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트레이(10)가 상하로 적층되게 수용되는 것으로,
다수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닥에는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21)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대차에 의해 실려 온 트레이(10)들이 상기 트레이챔버(2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챔버(20)에는 트레이(10)들의 진입을 위한 도어가 구비되며, 도어 닫힘 시 트레이(10)들을 지지 및 정렬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3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챔버(20) 일측에 배치되어 트레이(10)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회전체(31) 및 이를 감싸는 벨트(32)로 이루어져, 하나의 회전체(31)의 구동에 의해 벨트(32)가 회전하면서 벨트(32)에 얹힌 트레이(10)를 이송시킨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30)에는 상기 벨트(32)로부터 상방 이격되게 상기 트레이(10)를 지지하는 서포트블록(33)과, 상기 서포트블록(33)을 상하로 승강케 하며 상기 서포트블록(33) 하강 시 상기 트레이(10)를 상기 벨트(32)에 안착하도록 안내하는 블록승강구동부(34)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블록(33)은 판형 블록과 이의 상부면에 상방 돌출되어 상기 트레이(10)의 하부면을 받치는 한 쌍의 사각 기둥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승강구동부(34)는 상기 서포트블록(33)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피스톤의 일부가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서포트블록(33)에 의해 받쳐진 트레이(10)는 상기 서포트블록(33)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30)의 벨트(32)와 접하면서 벨트(32)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로더(loader)(4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챔버(20)의 각 트레이(10) 중 최상단에 위치한 트레이(10)를 들어 올린 후 상기 컨베이어(3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트레이챔버(20)와 상기 컨베이어(30) 상에 한 쌍의 로딩레일(41),
상기 로딩레일(41)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로딩슬라이더(42),
상기 로딩슬라이더(42)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로딩슬라이더구동부(43),
상기 로딩슬라이더(42)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서포트플레이트(44),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4)를 상하로 승강케 하기 위한 서포트승강구동부(45), 그리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4)에 장착되며 에어의 흡기에 의해 상기 트레이(10)를 홀딩(holding) 하도록 단부에 흡착판(461)을 갖는 다수의 흡착로드(4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로딩슬라이더구동부(43)는 상기 로딩슬라이더(42)에 연결되는 피스톤의 일부가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압실린더 본체는 상기 트레이챔버(20)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서포트승강구동부(45)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4)에 연결되는 피스톤의 일부가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압실린더 본체는 상기 로딩슬라이더(4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흡착로드(46)는 사각의 판형 구조를 갖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4)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장착되게 네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 흡착로드(46)의 내부에 공기 유통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통로는 호스 등에 의해서 별도의 진공 흡입기와 연결됨으로써, 진공 흡입기에 의해 에어를 흡입하면 상기 각 흡착로드(46)의 흡착판(461)이 상기 트레이(10)를 홀딩하며, 진공 흡입기의 에어 흡입 동작 해제 시 상기 트레이(10)를 언홀딩(unholding) 한다. 따라서 홀딩 시 상기 트레이(10)는 상기 트레이챔버(20)에서 상기 컨베이어(30)로 이송되며, 언홀딩 시 상기 컨베이어(3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리프터(lifter)(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챔버(20)의 각 트레이(1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트레이챔버(20)에 상하 수직되게 세워지는 둘 이상의 기둥부(51),
상기 각 기둥부(51)에 끼워지며 상기 각 트레이(10) 중 최하단의 트레이(10) 하부면을 지지하는 리프팅부재(52),
상기 트레이챔버(20)에 상하 수직되게 세워지며 상기 리프팅부재(52)가 끼워지는 샤프트(53),
상기 샤프트(53)에 축 결합되는 기어(54), 그리고
상기 기어(54)와 교차축으로 맞물리는 대응기어(55)를 갖는 리프팅모터(5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샤프트(5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팅부재(52)에서 상기 샤프트(53)와 결합되는 부위에는 나사산과 상호 체결되게 대응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샤프트(53) 회전 시 상기 리프팅부재(52)가 상기 각 기둥부(5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승강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모터(56)의 구동에 의해 상기 리프팅부재(52) 상승 시 각 트레이(10) 전체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특히 최상단의 트레이(10)가 정지되어야 하는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리프팅부재(52)의 상승 동작이 정지된다.
이러한 승강 동작은 별도의 센서와 이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리프팅모터(56)를 제어하는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샤프트(53)의 회전 동작을 위한 기어(54) 및 대응기어(55), 그리고 리프팅모터(56) 등의 구동 구조는 일예이고, 상기 샤프트(53)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서플라이유닛(supply unit)(6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30)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30) 상에 놓인 트레이(10)에 유산지(1)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30) 타측에 배치되며 다수의 유산지(1)가 상하 적층되어 있는 유산지챔버(61),
상기 컨베이어(30)와 상기 유산지챔버(61)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서플라이레일(62),
상기 서플라이레일(6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서플라이슬라이더(63),
상기 서플라이슬라이더(63)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서플라이슬라이더구동부(64),
상기 서플라이슬라이더(63)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65),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5)를 상하로 승강케 하기 위한 가이드승강구동부(66),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5)에 장착되며 에어의 흡기에 의해 유산지(1)를 홀딩 하도록 단부에 흡착판(671)을 갖는 다수의 흡착포스트(6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서플라이슬라이더구동부(64)는 상기 서플라이슬라이더(63)에 연결되는 피스톤의 일부가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압실린더 본체는 상기 유산지챔버(61)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승강구동부(66)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5)에 연결되는 피스톤의 일부가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압실린더 본체는 상기 서플라이슬라이더(63)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포스트(67)는 사각의 판형 구조를 갖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5)의 네 모서리 영역과 양측의 두 모서리 사이에서 바깥쪽 영역에 각각 장착되게, 즉 육각의 각 점에 장착되게 여섯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 흡착포스트(67)의 내부에 공기 유통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통로는 호스 등에 의해서 별도의 진공 흡입기와 연결됨으로써, 진공 흡입기에 의해 에어를 흡입하면 상기 각 흡착포스트(67)의 흡착판(671)이 유산지(1)를 홀딩하며, 진공 흡입기의 에어 흡입 동작 해제 시 유산지(1)를 언홀딩(unholding) 한다. 따라서 홀딩 시 유산지(1)는 상기 유산지챔버(61)에서 컨베이어(30)에 놓인 상기 트레이(10) 내로 이송되며, 언홀딩 시 상기 트레이(10) 내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베이커리 중 유산지가 요구되지 않는 제품의 경우, 일예로 휘낭시에 제품의 경우, 도 18에서와 같이 트레이 내에 격자 형태로 홈이 파여 있어 이 홈에 반죽이 올려지게 됨에 따라 유산지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상기 서플라이유닛(6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바로 다음 공정으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피더(feeder)(70)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30)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트레이(10)의 유산지(1)에 반죽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30) 일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승강컨베이어(71),
상기 승강컨베이어(71)의 승강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컨베이어승강구동부(72),
상기 승강컨베이어(71)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10)에 수용된 유산지(1)와 상하 마주하는 다수의 노즐(731)을 갖는 노즐본체(73), 그리고
상기 노즐본체(73)의 각 노즐(731)로 반죽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7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컨베이어(71)는 상기 컨베이어(30)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회전체 및 이의 하나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에 의해서 두 개의 회전체를 감싸는 벨트를 회전시켜 벨트에 얹힌 대상체를 이송시키는 통상의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컨베이어승강구동부(72)는 상기 승강컨베이어(71)를 지지하는 승강지지체(721)와, 상기 승강지지체(721)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피더피스톤(722)와, 상기 피더피스톤(722)의 일부가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상기 피더피스톤(722)을 승강시키는 피더공압실린더본체(723)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승강컨베이어(71)를 승강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결국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컨베이어승강구동부(72)에 의해 상기 승강컨베이어(71)가 상승하고,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73)의 노즐(731)을 통해서 외부 제어에 의해 일정량의 반죽이 나오게 될 때에 승강컨베이어승강구동부(72)에 의해 상기 승강컨베이어(71)가 하강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승강컨베이어(71)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10)에서 행으로 상기 각 노즐(731)을 통해서 반죽을 올리게 될 때에 일정량의 반죽이 올려지게 되면 상기 승강컨베이어승강구동부(72)에 의해 상기 승강컨베이어(71)가 하강하게 되면서 트레이(10)도 함께 하강하여 반죽이 물방울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피더(70)에서 상기 노즐본체(73)와 상기 호퍼(74) 간의 상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상기 노즐본체(73)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피더(70)에는 상기 승강지지체(721) 및 상기 승강컨베이어(71)를 사이에 두고 세워지는 터널부(75)와, 상기 터널부(75)에 상기 승강컨베이어(71)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76)와, 상기 노즐본체(73)의 하단에 상방으로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며 상기 각 수평바(76)에 안착되는 한 쌍의 리세스(77)와, 상기 노즐본체(73)에 체결되어 조임 시 상기 각 수평바(76)를 가압하게 되는 다수의 가압볼트(78)와, 상기 호퍼(74)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본체(73)의 상단에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79)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본체(73)의 노즐(731)을 통해 공급되는 반죽의 양이 서로 다른 여러 대의 노즐본체(73)를 마련한 상태에서 마카롱의 꼬끄 크기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한 노즐본체(73)를 선택하여 교체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노즐본체(73)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베이커리 중 쿠키 제품의 경우 이에 적합한 노즐본체(73)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도 19에서와 같이 상기 피더(70)에는 쿠키 반죽을 커팅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의해 회동되는 샤프트에 일정 간격을 두고 축 결합되는 다수의 커팅날을 갖는 구조의 반죽 커터(9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롤아웃유닛(roll out unit)(80)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더(70) 일측에 배치되며 반죽을 공급받은 상기 트레이(10)를 진동시켜 반죽을 넓게 펴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승강컨베이어(71) 일측에 배치되는 이송컨베이어(81),
상기 이송컨베이어(81)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10)의 상방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가이드스토퍼(82),
상기 이송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되 상기 각 가이드스토퍼(82)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진동블록(83), 그리고
상기 각 진동블록(83)을 스윙(swing)케 하기 위한 스윙구동부(8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81)는 상기 컨베이어(30)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회전체 및 이의 하나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에 의해서 두 개의 회전체를 감싸는 벨트를 회전시켜 벨트에 얹힌 대상체를 이송시키는 통상의 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각 가이드스토퍼(82)는 일측 가이드스토퍼(82)가 '┌'자 형상을 갖고, 타측 가이드스토퍼(82)가 '┐'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트레이(10)의 둘레 상단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트레이(10)의 상하 움직임은 가능하되, 일정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면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도록 적정 높이의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각 진동블록(83)은 상기 이송컨베이어(81)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컨베이어(71) 상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며, 상기 스윙구동부(84)는 상기 각 진동블록(83)의 하단이 하나의 하부블록으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이 하부블록에 연결되되 편심된 일측에 연결되는 피스톤의 일부가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압실린더 본체는 상기 이송컨베이어(81)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블록의 중심이 상기 이송컨베이어(81)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 이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블록이 좌우로 흔들리는 스윙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도 16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스윙구동부(84)에 의해 상기 각 진동블록(83) 스윙 동작 시 상기 트레이(10)의 반죽이 골고루 펴지게 되면서 일정 크기로 최종 성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유산지
10 : 트레이
20 : 트레이챔버
21 : 롤러
30 : 컨베이어
31 : 회전체
32 : 벨트
33 : 서포트블록
34 : 블록승강구동부
40 : 로더
41 : 로딩레일
42 : 로딩슬라이더
43 : 로딩슬라이더구동부
44 : 서포트플레이트
45 : 서포트승강구동부
46 : 흡착로드
461 : 흡착판
50 : 리프터
51 : 기둥부
52 : 리프팅부재
53 : 샤프트
54 : 기어
55 : 대응기어
56 : 리프팅모터
60 : 서플라이유닛
61 : 유산지챔버
62 : 서플라이레일
63 : 서플라이슬라이더
64 : 서플라이슬라이더구동부
65 : 가이드플레이트
66 : 가이드승강구동부
67 : 흡착포스트
671 : 흡착판
70 : 피더
71 : 승강컨베이어
72 : 승강컨베이어구동부
721 : 승강지지체
722 : 피더피스톤
723 : 피더공압실린더본체
73 : 노즐본체
731 : 노즐
74 : 호퍼
75 : 터널부
76 : 수평바
77 : 리세스
78 : 가압볼트
79 : 고정볼트
80 : 롤아웃유닛
81 : 이송컨베이어
82 : 가이드스토퍼
83 : 진동블록
84 : 스윙구동부
90 : 반죽 커터

Claims (7)

  1.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임)개의 트레이(10);
    상기 각 트레이(10)가 상하로 적층되게 수용되는 트레이챔버(20);
    상기 트레이챔버(20) 일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30);
    상기 트레이챔버(20)의 각 트레이(10) 중 최상단에 위치한 트레이(10)를 들어 올린 후 상기 컨베이어(30)에 공급하는 로더(loader)(40);
    상기 트레이챔버(20)의 각 트레이(1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리프터(lifter)(50);
    상기 컨베이어(30)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30) 상에 놓인 트레이(10)에 유산지(1)를 공급하는 서플라이유닛(supply unit)(60);
    상기 컨베이어(30)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트레이(10)의 유산지(1)에 반죽을 공급하는 피더(feeder)(70); 및
    상기 피더(70) 일측에 배치되며 반죽을 공급받은 상기 트레이(10)를 진동시켜 반죽을 넓게 펴기 위한 롤아웃유닛(roll out unit)(80);을 포함하되,
    상기 로더(40)는
    상기 트레이챔버(20)와 상기 컨베이어(30) 상에 한 쌍의 로딩레일(41)과,
    상기 로딩레일(41)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로딩슬라이더(42)와,
    상기 로딩슬라이더(42)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로딩슬라이더구동부(43)와,
    상기 로딩슬라이더(42)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서포트플레이트(44)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4)를 상하로 승강케 하기 위한 서포트승강구동부(45)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4)에 장착되며 에어의 흡기에 의해 상기 트레이(10)를 홀딩(holding) 하도록 단부에 흡착판(461)을 갖는 다수의 흡착로드(46)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플라이유닛(60)은
    상기 컨베이어(30) 타측에 배치되며 다수의 유산지(1)가 상하 적층되어 있는 유산지챔버(61)와,
    상기 컨베이어(30)와 상기 유산지챔버(61)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서플라이레일(62)과,
    상기 서플라이레일(6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는 서플라이슬라이더(63)와,
    상기 서플라이슬라이더(63)의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서플라이슬라이더구동부(64)와,
    상기 서플라이슬라이더(63)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65)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5)를 상하로 승강케 하기 위한 가이드승강구동부(66)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65)에 장착되며 에어의 흡기에 의해 유산지(1)를 홀딩 하도록 단부에 흡착판(671)을 갖는 다수의 흡착포스트(67)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30)는 한 쌍의 회전체(31) 및 이를 감싸는 벨트(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베이어(30)에는 상기 벨트(32)로부터 상방 이격되게 상기 트레이(10)를 지지하는 서포트블록(33)과, 상기 서포트블록(33)을 상하로 승강케 하며 상기 서포트블록(33) 하강 시 상기 트레이(10)를 상기 벨트(32)에 안착하도록 안내하는 블록승강구동부(34)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더(70)는
    상기 컨베이어(30) 일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승강컨베이어(71)와,
    상기 승강컨베이어(71)의 승강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컨베이어승강구동부(72)와,
    상기 승강컨베이어(71)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10)에 수용된 유산지(1)와 상하 마주하는 다수의 노즐(731)을 갖는 노즐본체(73)와,
    상기 노즐본체(73)의 각 노즐(731)로 반죽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74)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컨베이어(71)에 의해 이송된 트레이(10)에 상기 각 노즐(731)을 통해서 반죽을 올리게 될 때에 일정량의 반죽이 올려지게 되면 상기 승강컨베이어승강구동부(72)에 의해 상기 승강컨베이어(71)가 하강하게 되면서 트레이(10)도 함께 하강하여 반죽이 물방울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아웃유닛(80)은
    상기 승강컨베이어(71) 일측에 배치되는 이송컨베이어(81)와,
    상기 이송컨베이어(81)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10)의 상방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가이드스토퍼(8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81) 상에 배치되되 상기 각 가이드스토퍼(82)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진동블록(83)과,
    상기 각 진동블록(83)을 스윙(swing)케 하기 위한 스윙구동부(84)
    로 이루어져,
    상기 스윙구동부(84)에 의해 상기 각 진동블록(83) 스윙 동작 시 상기 트레이(10)의 반죽이 골고루 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KR1020230058961A 2023-05-08 2023-05-08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KR10260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961A KR102605102B1 (ko) 2023-05-08 2023-05-08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961A KR102605102B1 (ko) 2023-05-08 2023-05-08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102B1 true KR102605102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961A KR102605102B1 (ko) 2023-05-08 2023-05-08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1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13B1 (ko) 2015-01-08 2016-11-04 정다운 마카롱 꼬끄의 제조 방법 및 쁘띠 케이크 마카롱의 제조 방법
KR20170113986A (ko) * 2016-03-30 2017-10-13 (주)토탈베이커리시스템 로타리밸브를 이용한 반죽 성형기
KR20190054556A (ko) * 2017-11-14 2019-05-22 (주)한솔기계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KR102155699B1 (ko) * 2020-01-08 2020-09-15 김보라 마카롱 반죽 성형장치
KR102203625B1 (ko) 2020-05-08 2021-01-14 정영택 마카롱 제조시스템
KR102203623B1 (ko) 2020-05-08 2021-01-14 정영택 마카롱 자동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13B1 (ko) 2015-01-08 2016-11-04 정다운 마카롱 꼬끄의 제조 방법 및 쁘띠 케이크 마카롱의 제조 방법
KR20170113986A (ko) * 2016-03-30 2017-10-13 (주)토탈베이커리시스템 로타리밸브를 이용한 반죽 성형기
KR20190054556A (ko) * 2017-11-14 2019-05-22 (주)한솔기계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KR102155699B1 (ko) * 2020-01-08 2020-09-15 김보라 마카롱 반죽 성형장치
KR102203625B1 (ko) 2020-05-08 2021-01-14 정영택 마카롱 제조시스템
KR102203623B1 (ko) 2020-05-08 2021-01-14 정영택 마카롱 자동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27872A (ja) 通過型発酵棚
EP0980206B1 (de) Backofen für die herstellung von dünnwandigen formkörpern mit jeweils aus zwei formhälften bestehenden, auf- und zumachbaren backformen
US4878803A (en) Stick delivery apparatus
KR102605102B1 (ko)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US34811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depositing eggs onto egg flats
JP3008189B2 (ja) 円盤状成形米飯の成形装置
CN112811195A (zh) 一种整层拆垛机
KR101754471B1 (ko)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JP4455674B1 (ja) 層状食品製造装置及び方法
CN111011426A (zh) 用于发酵面食连续化生产的自动化醒蒸设备
US2495096A (en) Malting plow machine
KR102605118B1 (ko) 마카롱 오토 샌딩 시스템
US4886041A (en) Continuous processing baking machines
KR101646961B1 (ko) 식품 이송기
US5649474A (en)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portions for baking
US6349815B1 (en) In-line stacker machine for stacking cookies
JPH01269482A (ja) 自動製麹方法
JP3341172B2 (ja) 焼プリンの製造装置
CN220012005U (zh) 一种便于转运的升降平台
CN221059405U (zh) 面包烘烤隧道炉
CN210642272U (zh) 一种山楂饼流水线的铲边工位
CN216638133U (zh) 鸡蛋干蒸蛋盘卸盘机
CN211310022U (zh) 一种面包排盘机布料组件
CN211322823U (zh) 用于发酵面食连续化生产的自动化醒蒸设备
CN206932843U (zh) 一种菌种培养基装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