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961B1 - 식품 이송기 - Google Patents

식품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961B1
KR101646961B1 KR1020150150052A KR20150150052A KR101646961B1 KR 101646961 B1 KR101646961 B1 KR 101646961B1 KR 1020150150052 A KR1020150150052 A KR 1020150150052A KR 20150150052 A KR20150150052 A KR 20150150052A KR 101646961 B1 KR101646961 B1 KR 10164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verting
support
members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균
Original Assignee
(주)동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기계 filed Critical (주)동일기계
Priority to KR102015015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 대상물이 팬에 성형된 상태로 로딩되게 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로딩된 이송 대상물의 표면을 이송 대상물 지지부에 의해 일부 지지한 상태로 반전시키는 제1 반전부; 상기 제1 반전부에서 반전된 이송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재차 반전시키는 제2 반전부; 상기 제2 반전부에서 반전된 이송 대상물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면서 배출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및 상기 이송 대상물을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머핀 등과 같은 빵류가 포함된 이송 대상물을 팬에서 분리할 때 표면에 최소 부위만 접촉시킨 상태로 반전시킨 후 수행하므로 고급화된 표면 장식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이송 대상물의 배출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송 대상물의 쿨링이 양호하며, 로딩 방향과 언로딩 방향을 반대로 하여 기기의 공간 차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품 이송기 {TRANSFER DEVICE OF FOOD}
본 발명은 식품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의 일종인 머핀과 같은 빵류의 이송시 표면 장식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팬에서 분리시키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생활의 서구화 및 다양화로 인해 빵류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도넛, 샌드위치, 식빵, 패스트리(pastry), 타르트(tarte), 케이크, 도우(dough), 머핀 등과 같은 다양한 완제품 또는 반제품을 대량으로 양산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빵류 중 머핀 등과 같은 특정 제품은 반죽을 유선지를 깐 성형팬에 소량 주입한 상태에서 오븐에 넣고 구워 만드는데 완성되면 성형팬에서 분리시키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빵을 성형팬에서 분리시키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8789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0974617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8789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0974617호에 개시된 제빵시스템에서의 빵 분리장치 및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8789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제빵시스템에서의 빵 분리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제빵시스템에서의 빵 분리장치는 반입·반송 콘베이어(1, 1') 사이에 설치하는 기체(2)의 입·출구측에 부설하는 센서(21), (21')와 스토퍼(22), (22')로 된 빵철판의 이동제어수단, 상기 반입 콘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빵철판을 넘겨받아 분리 작업위치로 하강시여 주고 분리 작업완료 후에는 다시 상승시켜 반송 콘베이어(1')측으로 넘겨주는 콘베이어(4), 이 콘베이어에 의해 하강된 빵철판을 잡아서 흔들어 주므로 빵을 빵철판으로 부터 분리시켜 주는 진동수단과 그 구동수단, 상기 진동수단을 기체(2)의 상부에 이 기체로부터 격리되는 상태로 부설되게 지지하여 주는 탄성지지판과 수개의 탄밭스프링이(71)으로 구성되는 지지수단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제빵시스템에서의 빵 분리장치는 빵을 진동에 의해 빵철판에서 분리시킬 때 빵의 표면 장식이 빵철판과 충돌하면서 손상되는 문제점과, 반입·반송 콘베이어(1, 1')가 일렬로 배치되어 차지 공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특허공보 제0974617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시트가 담긴 성형팬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컨베이어(20)와; 상기 제1컨베이어(20)의 성형팬 이송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제1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성형팬을 하나씩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30)과; 상기 이송유닛(30)에 의해 이동된 성형팬을 클램핑하고 뒤집어서 성형팬에 담긴 시트를 낙하시킨 후 성형팬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반전유닛(40)과; 상기 반전유닛(40)과 일정간격을 두고 병렬로 설치되고 반전유닛(40)에 의해 낙하되는 시트를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50)와; 상기 제2컨베이어(50)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시트를 180도로 뒤집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된 제3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중심축이 결합되고 양측에 시트삽입홈이 형성된 회전체로 이루어진 회전유닛(60)과; 상기 반전유닛(40)과 직렬로 설치되고 반전유닛에 의해 시트가 분리된 성형팬을 배출시키는 제3컨베이어(70);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는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이송유닛(30)에 의해 이동된 성형팬을 클램핑한 상태로 반전유닛(40)에서 뒤집어서 성형팬에 담긴 케이크 시트를 낙하시킬 때 낙하 충격에 의해 케이스 시트의 표면이 손상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87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746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머핀 등과 같은 빵류가 포함된 이송 대상물을 팬에서 분리할 때 표면에 최소 부위만 접촉시킨 상태로 반전시킨 후 수행하므로 고급화된 표면 장식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이송 대상물의 배출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송 대상물의 쿨링이 양호하며, 로딩 방향과 언로딩 방향을 반대로 하여 기기의 공간 차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 식품 이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 대상물이 팬에 성형된 상태로 로딩되게 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로딩된 이송 대상물의 표면을 이송 대상물 지지부에 의해 일부 지지한 상태로 반전시키는 제1 반전부; 상기 제1 반전부에서 반전된 이송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재차 반전시키는 제2 반전부; 상기 제2 반전부에서 반전된 이송 대상물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면서 배출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및 상기 이송 대상물을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대상물 지지부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양단을 지지39700하도록 다수 배열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를 모아주거나 벌어지게 하는 회전부재;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일단과 타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기 회전부재들에 일률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다른 회전부재를 일률적으로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양쪽 외곽 위치에 구비된 상기 회전부재에 각각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과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을 동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반전부는 상기 팬을 반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반전부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이 상단에 형성되면서 다수 배치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들을 일률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안착부재들을 일률적으로 승강시키며, 상기 제1 반전부에 의해 반전된 상기 이송 대상물을 받을 수 있도록 상승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안착홈의 사이즈별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는 한 쌍이 직립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안착홈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제2 반전부와 이웃한 위치마다 배치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배출 방향의 안내와 진행 간격을 조절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를 순차 또는 동시에 회전시켜 상기 이송 대상물의 배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저면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딩부의 도중에는 상기 팬이 상기 이송 대상물의 반전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머핀 등과 같은 빵류가 포함된 이송 대상물을 팬에서 분리할 때 표면에 최소 부위만 접촉시킨 상태로 반전시킨 후 수행하므로 고급화된 표면 장식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이송 대상물의 배출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송 대상물의 쿨링이 양호하며, 로딩 방향과 언로딩 방향을 반대로 하여 기기의 공간 차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제빵시스템에서의 빵 분리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 중 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 및 간격 조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 및 간격 조정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제2 반전부와 간격 조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제2 반전부와 간격 조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이송 대상물이 반전되면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 중 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를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 및 간격 조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 및 간격 조정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제2 반전부와 간격 조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제2 반전부와 간격 조정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에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이송 대상물이 반전되면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식품 이송기(10)는 로딩부(100), 제1 반전부(200), 이송 대상물 지지부(300), 제2 반전부(400), 간격 조정부(500), 언로딩부(600)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오븐 등에서 구운 머핀과 같은 빵류 등이 포함된 이송 대상물을 반전시켜 고급화된 표면 장식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한 상태로 팬(pan: P)에서 분리한 후 이송시키는 기기이다. 이때, 상기 이송 대상물은 빵류 더욱 상세하게는 머핀(muffin)인 것으로 예시한다.
로딩부(100)는 머핀(M)이 성형된 팬(P)을 로딩시키며, 로딩부 프레임(110)에 설치된 구동부(122)에 의해 양측으로 이격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120)가 회전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20) 상에 팬(P)의 저면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로딩시킨다.
한편, 상기 로딩부(100)는 팬(P)의 진행방향 전방에 상기 팬(P)을 가로막는 스토퍼(130)가 구비되어 상기 팬(P)이 머핀(M)의 반전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스토퍼(130)가 실린더 등이 적용되는 승강 구동부(140)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팬(P)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130)는 하강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가 팬(P)이 컨베이어 벨트(120)를 따라 전진하여 제1 반전부(200)에 의한 반전 위치에 도달하면 상승하여 상기 팬(P)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행을 간섭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로딩부(100)에는 스토퍼(130)의 상승에 의해 팬(P)의 이동이 중지된 후 제1 반전부(200)가 상기 팬(P)을 픽업하기 위해 이동할 때 보조 스토퍼(150)가 구동부(160)에 의해 상승하도록 구비되므로 전방 팬(P)과 후방 팬(P)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후행하는 다른 팬(P)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반전부(200)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반전시킬 팬(P)의 대향된 양단(양측벽)을 고정하는 클램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부는 팬(P)의 저면이나 측벽의 여러 지점을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클램핑하여 상기 팬(P)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반전부(200)는 로딩부(100)에 로딩된 팬(P)을 클램핑부에 의해 일부 지지한 상태로 반전시켜 상기 머핀(M)의 표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며, 제1 반전부 프레임(210), 연결축부(220) 및 반전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제1 반전부 프레임(210)은 배치 방향이 상호 평행한 로딩부(100)와 언로딩부(600)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팬(P)을 상기 로딩부(100)에서 상기 언로딩부(600)로 반전시켜 머핀(M)이 수용된 팬(P)을 먼저 반전시킨 후 상기 로딩부(100)측 방향인 원위치로 상기 머핀(M)이 분리된 상기 팬(P)을 복귀하도록 한다.
연결축부(220)는 로딩부(100)와 언로딩부(600)의 사이에 위치된 제1 반전부 프레임(210)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축이다.
반전 구동부(230)는 제1 반전부 프레임(210)의 회전 기점인 연결축부(2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반전부 프레임(210)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모터 등이 이에 적용된다.
한편, 상기 제1 반전부(200)는 후술할 이송 대상물 지지부(300)에 의해 머핀(M)의 표면을 일부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머핀(M)을 제2 반전부(400) 상에 안착시킨 후 원위치시켜 팬(P)이 로딩부(100) 상에 안착되도록 구동된다.
이송 대상물 지지부(300)는 제1 반전부 프레임(2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반전부(200)의 구동에 의해 머핀(M)이 성형된 팬(P)을 반전시킬 때, 상기 팬(P)에서 상기 머핀(M)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지지부 프레임(310), 지지부재(320), 제1, 2 회전부재(330a, 330b), 연결부재(340) 및 제1 구동부(350)를 포함한다.
지지부 프레임(310)은 제1 반전부 프레임(210)과 직교한 상태로 상기 제1 반전부 프레임(2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부에 돌출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2)의 앞쪽인 외측면에 제1 회전부재(330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312)의 뒤쪽인 내측면에 상기 제1 회전부재(330a)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2 회전부재(330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부재(320)는 머핀(M)의 표면 양단을 지지하도록 다수 배열되는 바(bar)로, 제1, 2 회전부재(330a, 330b)의 회전시 간격이 넓어져 상기 머핀(M)의 표면 양단을 지지하거나, 상기 제1, 2 회전부재(330a, 330b)의 반대 회전시 간격이 좁아져 상기 머핀(M)이 후술할 제2 반전부(400)에 안착되도록 지지력을 해제시킨다.
즉, 상기 지지부재(320)는 팬(P)의 반전시 머핀(M) 표면을 지지하도록 이웃한 한 쌍이 벌어져 상기 머핀(M) 표면상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머핀(M)을 제2 반전부(400)상에 놓을 때 상기 머핀(M)과 머핀(M) 사이에 이웃한 한 쌍이 모이면서 상기 머핀(M)의 표면을 지지하고 있던 지지력이 해제되게 한다.
제1, 2 회전부재(330a, 330b)는 삼각형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은 지지부 프레임(310)의 돌출부(312) 앞뒤에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에 위치된 대향된 일단에 지지부재(320)가 각각 고정되고, 하부에 위치된 대향된 타단에 연결부재(340)가 각각 연결된다.
연결부재(340)는 지지부 프레임(310)의 돌출부(312) 앞쪽에 설치된 제1 회전부재(330a)의 하단을 일률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 프레임(310)의 돌출부(312) 뒤쪽에 설치된 제2 회전부재(330b)의 하단을 일률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회전부재(330a)들과 상기 제2 회전부재(330b)들을 일률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제1 구동부(350)는 가장 외곽에 설치된 제1 회전부재(330a)와 제2 회전부재(330b)의 중심에 각각 설치되어 그 사이에 배열된 상기 제1, 2 회전부재(330a, 330b)들을 연결부재(340)를 통해 동시에 회전시켜 상기 제1 회전부재(330a)들에 설치된 지지부재(320)와 상기 제2 회전부재(330b)들에 설치된 지지부재(320)를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 등이 이에 적용된다.
이렇게, 상기 제1 구동부(350)의 구동에 의해 제1 회전부재(330a)들에 설치된 지지부재(320)와 제2 회전부재(330b)들에 설치된 지지부재(320)가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320)들이 모아지게 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330a)들에 설치된 지지부재(320)와 상기 제2 회전부재(330b)들에 설치된 지지부재(320)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320)들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서 반전된 머핀(M)의 표면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구동부(350)는 양쪽 외곽 위치에 구비된 제1 회전부재(330a)와 제2 회전부재(330b)에 각각 구동력을 제공하여 머핀(M)의 표면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20)들과 상기 머핀(M)의 표면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20)들을 동시 동작시키게 된다.
제2 반전부(400)는 제1 반전부(200)에서 반전되면서 이송 대상물 지지부(300)에 지지된 머핀(M)을 전달받아 상기 머핀(M)의 표면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재차 반전시키며, 제2 반전부 프레임(410), 승강 프레임(412), 안착부재(420), 제2 구동부(430) 및 승강부(440)를 포함한다.
제2 반전부 프레임(410)은 후술할 언로딩부(600)의 구동 방향과 평행한 전후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안착부재(420)가 승강 회전축(41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승강 회전축(416)의 사이마다 후술할 간격 조정부(500)의 안내부재 회전축(51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반전부 프레임(410)은 승강 회전축(416)이 승강하므로 상기 승강 회전축(416)이 관통하면서 위치된 부분은 상방으로 개구 형성된다.
승강 프레임(412)은 제2 반전부 프레임(410)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후술할 승강부(440)에 의해 승강하며, 간격 조정부(500)의 안내부재 회전축(510)은 승강하지 않으므로 상기 안내부재 회전축(510)이 관통하면서 위치된 부분은 하방으로 개구 형성된다.
더욱이 승강 회전축(416)은 제2 구동부(430)에 의해 하향 회전되고, 승강부(440)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다.
안착부재(420)는 승강 회전축(416)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직립하게 배치되어 머핀(M)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422)이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머핀(M)의 사이즈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다수 구비된다.
제2 구동부(430)는 안착부재(420)들을 일률적 또는 부분적으로 회전시켜 제1 반전부(200)에 의해 팬(P) 내에 성형된 머핀(M)을 언로딩부(600) 쪽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모터 등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승강부(440)는 승강 프레임(412)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제1 반전부(20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이를 센서나 스위치 등을 통해 감지한 후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승강 프레임(412)을 상승시켜 안착홈(422)이 머핀(M)의 하단에 밀착되게 하며 상기 머핀(M)이 안착 완료되면 상기 승강 프레임(412)을 하강되게 한다.
즉, 상기 승강부(440)는 승강 프레임(412)들을 일률적으로 승강시켜 제1 반전부(200)에 의해 팬(P)에 성형된 머핀(M)을 인수받을 수 있도록 인수 위치까지 안착부재(420)를 상승시키며, 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된다.
간격 조정부(500)는 제2 반전부(400)에서 반전된 머핀(M)이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배출 방향의 안내와, 배출 간격을 조정하여 오븐 등에서 구워진 상기 머핀(M)이 잘 냉각될 수 있도록 하며, 안내부재 회전축(510), 안내부재(520) 및 제3 구동부(530)를 포함한다.
안내부재 회전축(510)은 언로딩부(600)에 의한 머핀(M)의 언로딩 방향 기준 승강 회전축(416)의 후방마다 각각 배치된다.
안내부재(520)는 선단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bar) 형태로 머핀(M)의 진행 방향 안내와 진행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안내부재(520)는 제2 반전부(400)에 의해 머핀(M)의 표면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재차 반전시키면 안착부재(420)의 안착홈(422)에서 상기 머핀(M)이 분리되며, 제2 반전부 프레임(410)이 하향 회전되면 분리된 상기 머핀(M)의 저면이 안내되면서 언로딩부(600) 상에 안착되게 한다. 그 후, 최전방에 배치된 안내부재(520)부터 순차 상향 회전되면 최전방에 반출된 머핀(M)부터 언로딩되지만 후방에 위치된 머핀(M)은 해당 위치의 안내부재(520)에 의해 간섭받고 있으므로 언로딩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520)는 안내부재 회전축(510)에 다수 결합되되, 머핀(M)의 저면 양단을 지지하면서 안내할 수 있도록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3 구동부(530)는 안내부재(520)를 순차 또는 동시에 회전시켜 머핀(M)의 배출 간격을 조절하게 할 수 있도록 모터 등이 이에 적용된다.
언로딩부(600)는 표면 장식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한 상태로 반전시킨 머핀(M)을 언로딩부 프레임(610)에 설치된 구동부(630)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620)가 회전되면서 언로딩시킨다.
제어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로딩부(100), 제1 반전부(200), 이송 대상물 지지부(300), 제2 반전부(400), 간격 조정부(500) 및 언로딩부(600)를 구동시키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부(100)에서 컨베이어 벨트(120)의 회전 속도, 상기 제1 반전부(200)에서 제1 반전부 프레임(210)의 반전 속도, 상기 이송 대상물 지지부(300)에서 지지부재(320)의 개폐 속도, 상기 제2 반전부(400)에서 안착부재(420)의 회전 속도 및 승강 속도, 상기 간격 조정부(500)에서 머핀(M)의 배출 간격 및 상기 언로딩부(600)에서 컨베이어 벨트(620)의 회전 속도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이송기에 의한 머핀의 이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반죽을 넣고 오븐으로 구워 머핀(M)을 성형시킨 팬(P)을 로딩부(100)의 컨베이어 벨트(120)를 통해 연속적으로 로딩시킨다.
다음으로, 팬(P)이 로딩되다가 제1 반전부(200)의 작동 위치에 도달하여 센서(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스토퍼(130)가 승강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팬(P)이 이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팬(P)이 상기 스토퍼(130)에 접촉하면 보조 스토퍼(도면에 미도시)가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상승하면서 후방의 팬(P)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이송 대상물 지지부(300)에 의해 팬(P)에 성형된 다수의 머핀(M)의 양단을 지지부재(320)가 제1 구동부(350)의 구동에 의해 이웃한 간격이 넓어지면서 상기 머핀(M)의 표면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함께 팬(P)을 클램핑부가 클램핑하므로 반전되는 상기 팬(P)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지지부재(320)에 의해 머핀(M)의 표면 양단을 선 형태로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머핀(M)의 표면 장식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한 상태로 반전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제1 반전부(200)의 반전 구동부(230)가 구동되어 이송 대상물 지지부(300)에 의해 팬(P)을 지지한 상태로 제1 반전부 프레임(210)을 언로딩부(60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8(a) 참조]
이때, 제2 반전부(400)의 안착부재(420)가 승강부(440)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안착부재(420)의 안착홈(422)이 머핀(M)의 하단에 밀착되게 하며, 상기 안착홈(422) 내에 상기 머핀(M)이 안착 완료되면 상기 안착부재(420)가 하강된다.
다음으로, 안착부재(420)가 제2 구동부(430)에 의해 하향 회전되면서 지지부재(320)가 회전되면서 머핀(M)의 표면 양단에서 이격[도 8(b) 참조]되면 머핀(M)이 간격 조정부(500)의 안내부재(520)를 따라 언로딩부(600)의 컨베이어 벨트(620) 상에 안착된다. [도 8(c, d) 참조] 그 후, 안착부재(420)는 제2 구동부(430)에 의해 상향 회전되면서 안착홈(422)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원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컨베이어 벨트(620) 상에 머핀(M)이 안착되면 최전방에 위치된 안내부재(520)가 제3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향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부재(520)에 의해 간섭받고 있던 머핀(M)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이때, 안내부재(520)의 상향 회전 순서를 최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시간차를 두면서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머핀(M)의 각 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오븐 등에서 구워진 상기 머핀(M)이 잘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식품 이송기
100: 로딩부
200: 제1 반전부
300: 이송 대상물 지지부
400: 제2 반전부
500: 간격 조정부
600: 언로딩부

Claims (10)

  1. 이송 대상물이 팬에 성형된 상태로 로딩되게 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로딩된 이송 대상물의 표면을 이송 대상물 지지부에 의해 일부 지지한 상태로 반전시키는 제1 반전부;
    상기 제1 반전부에서 반전된 이송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재차 반전시키는 제2 반전부;
    상기 제2 반전부에서 반전된 이송 대상물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면서 배출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및
    상기 이송 대상물을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제2 반전부와 이웃한 위치마다 배치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배출 방향의 안내와 진행 간격을 조절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를 순차 또는 동시에 회전시켜 상기 이송 대상물의 배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식품 이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상물 지지부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양단을 지지하도록 다수 배열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이웃한 상기 지지부재를 모아주거나 벌어지게 하는 회전부재;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일단과 타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기 회전부재들에 일률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다른 회전부재를 일률적으로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식품 이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양쪽 외곽 위치에 구비된 상기 회전부재에 각각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과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을 동시 동작시키는 식품 이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부는 상기 팬을 반전시키는 식품 이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부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이 상단에 형성되면서 다수 배치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들을 일률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안착부재들을 일률적으로 승강시키며, 상기 제1 반전부에 의해 반전된 상기 이송 대상물을 받을 수 있도록 상승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식품 이송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안착홈의 사이즈별로 교체 가능한 식품 이송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한 쌍이 직립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안착홈이 다수 형성되는 식품 이송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저면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되는 식품 이송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의 도중에는 상기 팬이 상기 이송 대상물의 반전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식품 이송기.
KR1020150150052A 2015-10-28 2015-10-28 식품 이송기 KR10164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52A KR101646961B1 (ko) 2015-10-28 2015-10-28 식품 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52A KR101646961B1 (ko) 2015-10-28 2015-10-28 식품 이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961B1 true KR101646961B1 (ko) 2016-08-09

Family

ID=5671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052A KR101646961B1 (ko) 2015-10-28 2015-10-28 식품 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9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29B1 (ko) 2018-04-25 2019-08-14 (주)나노엔지니어링 식빵 운반장치
KR102203623B1 (ko) * 2020-05-08 2021-01-14 정영택 마카롱 자동 제조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9429A (ja) * 1982-04-09 1983-10-20 株式会社押切機械製作所 製パン工程中のフアイナルプルフア−のパン生地整列送り出し機構
KR910008789A (ko) 1989-10-25 1991-05-31 문정환 금속층위의 감광제 제거방법
KR930000277Y1 (ko) * 1990-06-15 1993-01-25 삼립식품공업 주식회사 제빵 시스템에서의 빵 분리 이송장치
JPH08294352A (ja) * 1995-04-28 1996-11-12 Fujisawa:Kk パン菓子類生地の搬送間隔調整装置及び搬送間隔調整方法
KR100974617B1 (ko) 2007-11-30 2010-08-06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9429A (ja) * 1982-04-09 1983-10-20 株式会社押切機械製作所 製パン工程中のフアイナルプルフア−のパン生地整列送り出し機構
KR910008789A (ko) 1989-10-25 1991-05-31 문정환 금속층위의 감광제 제거방법
KR930000277Y1 (ko) * 1990-06-15 1993-01-25 삼립식품공업 주식회사 제빵 시스템에서의 빵 분리 이송장치
JPH08294352A (ja) * 1995-04-28 1996-11-12 Fujisawa:Kk パン菓子類生地の搬送間隔調整装置及び搬送間隔調整方法
KR100974617B1 (ko) 2007-11-30 2010-08-06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29B1 (ko) 2018-04-25 2019-08-14 (주)나노엔지니어링 식빵 운반장치
KR102203623B1 (ko) * 2020-05-08 2021-01-14 정영택 마카롱 자동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405B1 (ko) 파이 분리 이송장치
WO2013046552A1 (ja) 搬送システム
KR102181281B1 (ko) 물품이송장치
CA2592711A1 (en) Baking pan inverting system
KR101646961B1 (ko) 식품 이송기
JP7376258B2 (ja) ベーカリー製品等用の支持板を運搬するためのノリア式装置
CN208199558U (zh) 一种曲奇饼胚排盘机
KR100974617B1 (ko)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US34606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bakery products and similar articles
KR102038148B1 (ko) 제빵트레이의 클리닝장치
US3946856A (en) Apparatus for proofing lumps of dough
JP5774763B1 (ja) 層状食品製造装置及び方法
JPH0632897Y2 (ja) 板状菓子の反転移送装置
US6349815B1 (en) In-line stacker machine for stacking cookies
KR100930273B1 (ko) 제품 언로더
US3036690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7329214B2 (ja) 天板移載システムにおける天板押圧装置
US4211319A (en) Oven unloader
KR102363545B1 (ko) 베이커리용 반죽 자동 정렬장치
WO2002063964A1 (fr) Appareil destine a etendre au rouleau une pate alimentaire
KR20200076779A (ko) 가공식품 조리용 이송장치
JP2764250B2 (ja) パン菓子類生地の展板移載装置
JP5031484B2 (ja) パン焼成用天板に対するパン生地供給装置
JPH052291B2 (ko)
JPH04511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