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029B1 - 식빵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식빵 운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1029B1 KR102011029B1 KR1020180047839A KR20180047839A KR102011029B1 KR 102011029 B1 KR102011029 B1 KR 102011029B1 KR 1020180047839 A KR1020180047839 A KR 1020180047839A KR 20180047839 A KR20180047839 A KR 20180047839A KR 102011029 B1 KR102011029 B1 KR 1020110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ead
- conveyor
- connecting rod
- unit
- body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위치의 바닥측에 위치하는 식빵을 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킨 후 식빵이송부에 의해 투입컨베이어로부터 반출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식빵핸들부에 형성된 함침날의 노출여부에 따라 식빵을 집거나 식빵을 놓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동화공정을 통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상승하고, 인건비 절약 및 작업시간 단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빵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되, 식빵(10)이 투입되는 투입컨베이어(210)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식빵투입부(20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되, 상기 식빵(10)이 반출되는 반출컨베이어(310)가 형성되는 식빵반출부(300);와, 상기 식빵투입부(200)와 상기 식빵반출부(300)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말단에 위치된 상기 식빵(10)을 상기 반출컨베이어(310)의 선단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식빵이송부(400);와, 상기 식빵이송부(400)의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말단에 위치된 상기 식빵(10)을 파지 후 상기 반출컨베이어(310)의 선단에 상기 식빵(10)을 놓는 식빵핸들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글로벌 사회시대를 통해 다방면으로 서구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생활의 경우, 한국 고유의 음식을 대신하는 패스트푸드 음식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밀가루를 원자재로 하는 도넛, 마카롱, 타르트, 케이크, 피자, 머핀, 티라미수, 토스트 및 샌드위치 등의 빵류는 개인 또는 프랜차이즈 업체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과 맛이 나는 완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빵류 중 샌드위치는 2쪽의 식빵 사이에 육류나 달걀, 채소류를 끼운 후 다양한 소스를 첨가하여 만들어 먹는 음식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대식용으로 주로 먹고 있다.
한편, 샌드위치는 가정에서도 쉽게 만들어 먹는 경우도 있고, 식품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한 샌드위치를 편의점, 빵가게 등에서 구매하여 사 먹는 경우도 있다.
한편, 샌드위치를 생산하는 식품공장에서는 위생성, 효율성, 비용절감 등을 고려하여 샌드위치를 만드는 제조장비를 사용하고, 샌드위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빵류 또한 제조장비를 통해 제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빵류를 제조 및 제조를 위한 장비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식품 이송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6961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식품 이송기”는 이송 대상물이 팬에 성형된 상태로 로딩되게 하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 로딩된 이송 대상물의 표면을 이송 대상물 지지부에 의해 일부 지지한 상태로 반전시키는 제1 반전부;와 상기 제1 반전부에서 반전된 이송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대상물의 표면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재차 반전시키는 제2 반전부;와, 상기 제2 반전부에서 반전된 이송 대상물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면서 배출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및 상기 이송 대상물을 언로딩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제2 반전부와 이웃한 위치마다 배치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배출 방향의 안내와 진행 간격을 조절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를 순차 또는 동시에 회전시켜 상기 이송 대상물의 배출 간격을 조절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빵류가 포함된 이송 대상물을 팬에서 분리할 때 표면에 최소 부위만 접촉시킨 상태로 반전시킨 후 수행하므로 고급화된 표면 장식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이송 대상물의 배출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송 대상물의 쿨링이 양호하며, 로딩 방향과 언로딩 방향을 반대로 하여 기기의 공간 차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에는 샌드위치와 같은 종류의 빵을 제조시, 작업자가 샌드위치의 바닥측에 위치하는 식빵을 하나 하나 일일이 컨베이어에 놓은 후 후속작업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작업시간도 오래 걸리며, 작업자의 단순반복작업을 통한 손목의 통증 등의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샌드위치의 바닥측에 위치하는 식빵을 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킨 후 식빵이송부에 의해 투입컨베이어로부터 반출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식빵핸들부에 형성된 함침날의 노출여부에 따라 식빵을 집거나 식빵을 놓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동화공정을 통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상승하고, 인건비 절약 및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경제적 이익에 도움이 되는 식빵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되, 식빵(10)이 투입되는 투입컨베이어(210)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식빵투입부(20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되, 상기 식빵(10)이 반출되는 반출컨베이어(310)가 형성되는 식빵반출부(300);와, 상기 식빵투입부(200)와 상기 식빵반출부(300)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말단에 위치된 상기 식빵(10)을 상기 반출컨베이어(310)의 선단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식빵이송부(400);와, 상기 식빵이송부(400)의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말단에 위치된 상기 식빵(10)을 파지 후 상기 반출컨베이어(310)의 선단에 상기 식빵(10)을 놓는 식빵핸들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컨베이어(210)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구간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구간부(211)로부터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구간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빵이송부(40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된 모터부(110)와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는 제1 링크부재(4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 링크부재(410)에 연결되어 수직운동하는 제2 링크부재(420)가 구성되며, 하부 일측에 상기 제2 링크부재(4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힌지부(431)와, 하부 타측에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 고정축(101)과 연결되는 제2 연결힌지부(432) 및 상부에 제3 연결힌지부(433)가 형성되는 회동브라켓(430)이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식빵핸들부(500)가 위치되고, 일측에 제4 연결힌지부(441)와, 타측에 상기 제3 연결힌지부(433)와 연결되는 제5 연결힌지부(442)가 형성되는 챔버하우징(440)이 구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4 연결힌지부(441)와 연결되는 제6 연결힌지부(451)와, 하부에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형성된 제2 고정축(102)과 연결되는 제7 연결힌지부(452)가 형성되는 제3 링크부재(4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빵핸들부(500)는, 실린더부재(510)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하부에 구비되되, 내부 양측면에 제1 연결로드부재(521)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520)이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피스톤(511)과 결합되되, 양측면에 제2 연결로드부재(531)가 형성되는 이송블럭부재(530)가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로드부재(521)와 상기 제2 연결로드부재(531) 사이에 힌지결합되되, 하부에 제1 함침날(541)이 형성되는 제1 리턴링크부(540)가 다수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함침날(541)이 통과되는 제1 통과공(551)이 다수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55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내부 전면 및 후면에 제3 연결로드부재(522)가 더 구성되고, 상기 이송블럭부재(530)의 전면 및 후면에 제4 연결로드부재(532)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제3 연결로드부재(522)와 상기 제4 연결로드부재(532) 사이에 힌지결합되되, 하부에 제2 함침날(561)이 형성되는 제2 리턴링크부(561)가 다수개가 더 구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550)에 상기 제2 함침날(561)이 통과되는 제2 통과공(552)이 다수개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샌드위치의 바닥측에 위치하는 식빵을 투입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킨 후 식빵이송부에 의해 투입컨베이어로부터 반출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식빵핸들부에 형성된 함침날의 노출여부에 따라 식빵을 집거나 식빵을 놓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동화공정을 통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상승하고, 인건비 절약 및 작업시간 단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후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평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측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식빵투입부 및 식빵핸드부의 측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식빵이송부 및 식빵핸드부의 측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식빵핸드부의 모습을 정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식ㅂ아핸드부의 측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하부하우징의 저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정면 모습을 보인 사진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후면 모습을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평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측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식빵투입부 및 식빵핸드부의 측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식빵이송부 및 식빵핸드부의 측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식빵핸드부의 모습을 정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식ㅂ아핸드부의 측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구성 중 하부하우징의 저면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정면 모습을 보인 사진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의 후면 모습을 보인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빵 운반장치(1)는 크게 본체프레임(100), 식빵투입부(200), 식빵반출부(300), 식빵이송부(400) 및 식빵핸들부(5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식빵 운반장치(1)는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인가장치, 컨베이어부, 감지부, 모터, 벨트부, 기어부, 에어 공급, 배기장치 및 연동되는 구성요소들이 구비되어 진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을 일측, 선단 또는 정면, 우측을 타측, 말단 또는 후면으로 설정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중 식빵핸들부(500)의 일부 구성은 대칭으로 형성되며, 대칭되는 구성의 설명은 한쪽의 구성만 설명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체프레임(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도 1, 도 2, 도 3, 도 11 또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터, 벨트부, 기어부, 에어 공급배기장치 및 기타 연동되는 구성요소들 및 후술할 식빵투입부(200), 식빵반출부(300), 식빵이송부(400)가 설치되는 일종의 골조틀이다.
다음으로, 식빵투입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빵투입부(200)는 도 2,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식빵(10)을 상기 식빵반출부(300) 방향으로 전달하는 일종의 컨베이어로서, 내측에는 상기 식빵(10)이 적재되고 상기 식빵(10)을 이송시키는 투입컨베이어(210)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입컨베이어(210)는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구간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구간부(211)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구간부(212)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상기 투입컨베이어(2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식빵(10)이 상기 제2 구간부(212)의 끝부분에 도착하게 되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된 상기 식빵핸들부(500)의 저면과 평행상태를 이루어 상기 식빵(10)의 표면이 상기 식빵핸들부(500)의 저면과 접촉되는 것을 원활하게 해 주어 후술할 제1, 2 함침날(541, 561)이 상기 식빵(10)의 내부로 원활히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식빵반출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빵반출부(30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후면측에 설치되어 상기 식빵이송부(400)를 통해 상기 식빵투입부(200)의 상기 식빵(10)을 공급받아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일종의 컨베이어이다.
다음으로, 식빵이송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빵이송부(400)는 도 3,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식빵투입부(200)와 상기 식빵반출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말단에 위치된 상기 식빵(10)을 상기 식빵핸들부(500)가 집은 후 상기 식빵핸들부(500)를 상기 반출컨베이어(310)가 있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식빵(10)을 상기 반출컨베이어(310)의 선단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 링크부재(410), 제2 링크부재(420), 회동브라켓(430), 챔버하우징(440) 및 제3 링크부재(4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링크부재(41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된 모터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고정축(101, A-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후술할 제2 링크부재(420)를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링크부재(420)는 상기 제1 링크부재(4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회전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수직운동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수직운동에 따라 후술할 회동브라켓(4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동브라켓(430)은 상기 제2 링크부재(420) 및 후술할 챔버하우징(440)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수직운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챔버하우징(440)를 회전시켜 상기 챔버하우징(44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식빵핸들부(500)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성요소로서, 하부 일측에 상기 제2 링크부재(4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힌지부(431)와, 하부 타측에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 고정축(101)과 연결되는 제2 연결힌지부(432) 및 상부에 후술할 제5 연결힌지부(442)와 연결되는 제3 연결힌지부(433)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하우징(440)은 내측에 상기 식빵핸들부(500)가 위치되고, 상기 회동브라켓(430) 및 후술할 제3 링크부재(450)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브라켓(4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식빵투입부(200)의 말단에 위치되거나 상기 식빵반출부(300)의 선단에 위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일측에 후술할 제6 연결힌지부(451)와 연결되는 제4 연결힌지부(441)와, 타측에 상기 제3 연결힌지부(433)와 연결되는 제5 연결힌지부(442)가 형성된다.
상기 제3 링크부재(450)는 상기 챔버하우징(440)이 상기 회동브라켓(430)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챔버하우징(44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에 상기 제5 연결힌지부(441)와 연결되는 제6 연결힌지부(451)와, 하부에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형성된 제2 고정축(102)과 연결되는 제7 연결힌지부(45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3 링크부재(450)는 상기 제2 고정축(102, B-B`)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식빵핸들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빵핸들부(500)는 상기 식빵이송부(400)의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식빵이송부(40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말단에 위치된 상기 식빵(10)을 파지하고, 상기 반출컨베이어(310)의 선단에 상기 식빵(10)을 놓는 구성요소로서, 실린더부재(510), 상부하우징(520), 이송블럭부재(530), 제1 리턴링크부(540) 및 하부하우징(5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부재(510)는 후술할 상부하우징(520)의 상부에 구비되고, 후술할 이송블럭부재(530)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부재(510)에 형성되는 에어피팅부(512)를 통해 외부의 장치에 의한 공압으로 피스톤(511)을 상승 또는 하강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송블럭부재(53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결과적으로 후술할 제1 리턴링크부(540) 또는 제2 리턴링크부(560)가 회전되어 후술할 제1 함침날(541) 또는 제2 함침날(561)이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재(510)에 형성되는 피스톤(511)의 상부는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린더부(51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피스톤(511)의 상부에는 캡형태의 고정커버(5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커버(513)와 상기 실린더부(510)의 상부 사이의 상기 피스톤(511)의 둘레에는 스프링형태의 탄성부재(51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511)이 하강한 후 상승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5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511)이 상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동력 절약에 도움이 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상부하우징(520)은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봉(棒)형상의 제1 연결로드부재(521)가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이송블럭부재(530)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이송블럭부재(530)는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피스톤(511)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51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요소로서,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봉(棒)형상의 제2 연결로드부재(5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리턴링크부(540)는 하부에 제1 함침날(5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로드부재(521)와 상기 제2 연결로드부재(531) 사이에 힌지결합되는 일종의 연결링크로서, 제1 연결로드부재(521)의 중심축(C-C`)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함침날(541)이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함침날(541)은 소정의 각도로 꺾어져 있는 “ㄷ”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구조에 따른 제1 리턴링크부(540)의 힌지운동에 따라 상기 제1 함침날(541)의 끝부분이 후술할 제1 통과공(551)을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함침날(541)이 하강하여 상기 제1 함침날(541)의 일부가 상기 식빵(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날이 수직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경우에 비하여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경우가 상기 식빵(10)이 상기 식빵핸들부(500)에 잘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 함침날(54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함침날(541)의 노출되는 범위는 상기 식빵(1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하우징(550)은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함침날(541)이 통과되는 제1 통과공(551)이 다수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내부 전면 및 후면에 제3 연결로드부재(522)가 더 구성되고, 상기 이송블럭부재(530)의 전면 및 후면에 제4 연결로드부재(532)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제3 연결로드부재(522)와 상기 제4 연결로드부재(532) 사이에 힌지결합되되, 하부에 제2 함침날(561)이 형성되는 제2 리턴링크부(561)가 다수개가 더 구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550)에 상기 제2 함침날(561)이 통과되는 제2 통과공(552)이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식빵(10)을 집는 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식빵 운반장치
10: 식빵
100: 본체프레임
101: 제1 고정축 102: 제2 고정축
110: 모터부
200: 식빵투입부
210: 투입컨베이어 211: 제1 구간부
212: 제2 구간부
300: 식빵반출부
310: 반출컨베이어
400: 식빵이송부
410: 제1 링크부재 420: 제2 링크부재
430: 회동브라켓 431: 제1 연결힌지부
432: 제2 연결힌지부 433: 제3 연결힌지부
440: 챔버하우징 441: 제4 연결힌지부
442: 제5 연결힌지부 450: 제3 링크부재
451: 제6 연결힌지부 452: 제7 연결힌지부
460: 감지센서
500: 식빵핸들부
510: 실린더부재 511: 피스톤
512: 에어피팅부 513: 고정커버
514: 탄성부재 520: 상부하우징
521: 제1 연결로드부재 522: 제3 연결로드부재
530: 이송블럭부 531: 제2 연결로드부재
532: 제4 연결로드부재
540: 제1 리턴링크부 541: 제1 함침날
550: 하부하우징 551: 제1 통과공
552: 제2 통과공
560: 제2 리턴링크부 561: 제2 함침날
10: 식빵
100: 본체프레임
101: 제1 고정축 102: 제2 고정축
110: 모터부
200: 식빵투입부
210: 투입컨베이어 211: 제1 구간부
212: 제2 구간부
300: 식빵반출부
310: 반출컨베이어
400: 식빵이송부
410: 제1 링크부재 420: 제2 링크부재
430: 회동브라켓 431: 제1 연결힌지부
432: 제2 연결힌지부 433: 제3 연결힌지부
440: 챔버하우징 441: 제4 연결힌지부
442: 제5 연결힌지부 450: 제3 링크부재
451: 제6 연결힌지부 452: 제7 연결힌지부
460: 감지센서
500: 식빵핸들부
510: 실린더부재 511: 피스톤
512: 에어피팅부 513: 고정커버
514: 탄성부재 520: 상부하우징
521: 제1 연결로드부재 522: 제3 연결로드부재
530: 이송블럭부 531: 제2 연결로드부재
532: 제4 연결로드부재
540: 제1 리턴링크부 541: 제1 함침날
550: 하부하우징 551: 제1 통과공
552: 제2 통과공
560: 제2 리턴링크부 561: 제2 함침날
Claims (5)
- 삭제
- 삭제
- 본체프레임(100);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되, 식빵(10)이 투입되는 투입컨베이어(210)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식빵투입부(200);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되되, 상기 식빵(10)이 반출되는 반출컨베이어(310)가 형성되는 식빵반출부(300);
상기 식빵투입부(200)와 상기 식빵반출부(300)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말단에 위치된 상기 식빵(10)을 상기 반출컨베이어(310)의 선단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식빵이송부(400);
상기 식빵이송부(400)의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투입컨베이어(210)의 말단에 위치된 상기 식빵(10)을 파지 후 상기 반출컨베이어(310)의 선단에 상기 식빵(10)을 놓는 식빵핸들부(500);로 구성되되,
상기 투입컨베이어(210)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구간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구간부(211)로부터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구간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식빵이송부(40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구비된 모터부(110)와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는 제1 링크부재(4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 링크부재(410)에 연결되어 수직운동하는 제2 링크부재(420)가 구성되며,
하부 일측에 상기 제2 링크부재(4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힌지부(431)와, 하부 타측에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 고정축(101)과 연결되는 제2 연결힌지부(432) 및 상부에 제3 연결힌지부(433)가 형성되는 회동브라켓(430)이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식빵핸들부(500)가 위치되고, 일측에 제4 연결힌지부(441)와, 타측에 상기 제3 연결힌지부(433)와 연결되는 제5 연결힌지부(442)가 형성되는 챔버하우징(440)이 구성되며,
상부에 상기 제4 연결힌지부(441)와 연결되는 제6 연결힌지부(451)와, 하부에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형성된 제2 고정축(102)과 연결되는 제7 연결힌지부(452)가 형성되는 제3 링크부재(4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 운반장치(1). -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빵핸들부(500)는,
실린더부재(510)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하부에 구비되되, 내부 양측면에 제1 연결로드부재(521)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520)이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실린더부재(510)의 피스톤(511)과 결합되되, 양측면에 제2 연결로드부재(531)가 형성되는 이송블럭부재(530)가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로드부재(521)와 상기 제2 연결로드부재(531) 사이에 힌지결합되되, 하부에 제1 함침날(541)이 형성되는 제1 리턴링크부(540)가 다수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함침날(541)이 통과되는 제1 통과공(551)이 다수개 형성되는 하부하우징(55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 운반장치(1). -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520)의 내부 전면 및 후면에 제3 연결로드부재(522)가 더 구성되고,
상기 이송블럭부재(530)의 전면 및 후면에 제4 연결로드부재(532)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제3 연결로드부재(522)와 상기 제4 연결로드부재(532) 사이에 힌지결합되되, 하부에 제2 함침날(561)이 형성되는 제2 리턴링크부(561)가 다수개가 더 구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550)에 상기 제2 함침날(561)이 통과되는 제2 통과공(552)이 다수개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빵 운반장치(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7839A KR102011029B1 (ko) | 2018-04-25 | 2018-04-25 | 식빵 운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7839A KR102011029B1 (ko) | 2018-04-25 | 2018-04-25 | 식빵 운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1029B1 true KR102011029B1 (ko) | 2019-08-14 |
Family
ID=6762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7839A KR102011029B1 (ko) | 2018-04-25 | 2018-04-25 | 식빵 운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10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87358A (en) * | 2019-09-24 | 2021-03-31 | Steck Depositors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flipping and positioning articl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6068A (ja) * | 2004-07-05 | 2006-01-19 | Daisey Machinery Co Ltd | スライス食パンの包装方法及び包装設備 |
JP2006069649A (ja) * | 2004-09-03 | 2006-03-16 | Oshikiri:Kk | スライス食パン分割供給装置及び方法 |
KR101646961B1 (ko) | 2015-10-28 | 2016-08-09 | (주)동일기계 | 식품 이송기 |
-
2018
- 2018-04-25 KR KR1020180047839A patent/KR1020110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16068A (ja) * | 2004-07-05 | 2006-01-19 | Daisey Machinery Co Ltd | スライス食パンの包装方法及び包装設備 |
JP2006069649A (ja) * | 2004-09-03 | 2006-03-16 | Oshikiri:Kk | スライス食パン分割供給装置及び方法 |
KR101646961B1 (ko) | 2015-10-28 | 2016-08-09 | (주)동일기계 | 식품 이송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87358A (en) * | 2019-09-24 | 2021-03-31 | Steck Depositors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flipping and positioning articles |
GB2587358B (en) * | 2019-09-24 | 2023-12-13 | Steck Depositors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flipping and positioning art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61257A (en) | Toasting apparatus | |
AU2016220685B2 (en) |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food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 |
FI78599C (fi) | Ytstekfoerfarande och -anordning. | |
RU2591978C2 (ru) | Духовка | |
KR102011029B1 (ko) | 식빵 운반장치 | |
US20110097459A1 (en) | Reduced-size apparatus for applying food coat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KR100974617B1 (ko) | 성형팬에서 케이크 시트를 분리하는 장치 | |
JP3087688U (ja) | クレセントコンベア | |
KR102281316B1 (ko) | 콘도그 자동제조 장치 | |
KR102254460B1 (ko) |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 |
JP5774763B1 (ja) | 層状食品製造装置及び方法 | |
US2017007139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atch cooking in continuous automated plant | |
US5528983A (en) | Apparatus for producing layered products | |
KR101266841B1 (ko) | 소보로빵용 생지 제조장치 | |
CN218083016U (zh) | 一种物料定位推送机构 | |
JP3201840U (ja) | 球状食品製造装置 | |
KR102363545B1 (ko) | 베이커리용 반죽 자동 정렬장치 | |
US2205317A (en) | Cooky icing machine | |
KR100318866B1 (ko) | 피자구이기 | |
WO2021065786A1 (ja) | 搬送装置、搬送方法及び食品製造方法 | |
CN210635215U (zh) | 一种竹笋运输提升装置 | |
JP2612829B2 (ja) | 回転飲食台におけるネタ皿供給方法およびネタ皿供給装置 | |
JP2019037164A (ja) | シート状米飯塊折り畳み装置、おにぎり成形装置およびおにぎり製造装置 | |
EP0623531A2 (en) | An improvement in a stocking belt conveyor | |
US3842969A (en) | Conveyor be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