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471B1 -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4471B1 KR101754471B1 KR1020150092224A KR20150092224A KR101754471B1 KR 101754471 B1 KR101754471 B1 KR 101754471B1 KR 1020150092224 A KR1020150092224 A KR 1020150092224A KR 20150092224 A KR20150092224 A KR 20150092224A KR 101754471 B1 KR101754471 B1 KR 1017544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rame
- door
- cylinde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 구동부를 형성하여 면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부가 매립된 상태로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리프트 구동부를 형성하여 면재료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상승이 가능하며, 줌 구동부를 형성하여 지지면이 선단 방향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틸트 구동부를 형성하여 지지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 재료를 이송하는 제면 유니트 사이에 위치하여 일 방향으로 면 재료를 이송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수는 밀가루, 메밀가루, 감자, 녹말 등 다양한 재료를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가늘게 썰든지 국수틀에서 가늘게 빼낸 것을 삶아서 국물에 말거나 비벼 먹는 음식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국수는 한자로 면(麵)이라고 하는데, 제조나 조리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빵보다도 역사가 깊으며, 최근에 인구 증가에 따른 식품의 대량 소비 때문에, 면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면 제조기가 개발되어 면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일반적인 면 제조기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면 제조기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1)가 골격을 형성하고, 베이스부(1)에는 면 제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1)에 설치되는 부품 들 중에서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들만을 선별적으로 설명한다.
베이스부(1) 상에는 제 1 내지 제7 제면 유니트가 이격 되며, 일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들 제면 유니트의 개수는 제조되는 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및 제 2 제면 유니트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나머지는 그 구성이 이들 제 1 및 제 2 제면 유니트와 동일하다.
제 1 및 제 2 제면 유니트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다. 이들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과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은 각각 서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부(1)상에 설치된다. 제 1 롤러 지지 프레임에는 각각 제 1 상부 롤러(4a)와 제 1 하부 롤러(4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롤러 지지 프레임에는 제 2 상부 롤러(6a)와 제 2 하부 롤러(6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상부 롤러(4a)와 제 1 하부 롤러(4b) 사이의 간격은 만들어지는 면재료(3)의 두께를 나타낸다. 즉, 상기 제 1상부롤러(4a)와 제 1 하부 롤러(4b) 사이를 통과한 면재료(3)(도 3 참고)의 두께는 이들 제 1 상부 및 하부 롤러(4a, 4b) 사이의 간격만큼으로 된다.
제 1 상부 및 하부 롤러(4a, 4b)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기 제 2 상부 및 하부 롤러(6a, 6b)사이의 간격은 더 좁게 형성 되어 있다.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3 제면 유니트에서 제 7 제면 유니트로 가면서 계속하여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이처럼 구성된 면 제조기에서 제 1 내지 제 7 제면 유니트의 각각의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을 면재료(3)가 통과하면서 점차로 면재료(3)의 두께가 얇아지게 만들어진다. 최종적으로 제 7 제면 유니트를 통과한 면재료(3)는 최종적인 면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제면 유니트의 문제점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면 제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면의 제조를 위해, 예를 들어 제 1 제면 유니트(100)에서 제 2제면 유니트(200)로 면재료(3)가 전달될 때, 제 1 제면 유니트(10)를 통과하여 나온 면재료(3)의 최선단 부분을 제 2 제면 유니트(200)의 제 2 상부롤러(6a)와 제 2 하부 롤러(6b) 사이로 안내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면재료(3)의 최선단 부분을 받쳐서 제 2제면 유니트(20)로 안내하거나, 긴 막대기를 가지고 면재료(3)의 최선단 부분을 안내하였다.
또한, 제면 유니트들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크기 및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도 제면 유니트마다 다르게 형성되어 컨베이어 장치가 형성된 면대 이동 장치를 설치하여도 정교하게 각각의 제면 유니트들을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크기 및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 제면 유니트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면 재료를 자동 이송할 수 있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위치하며, 제 1 제면 유니트를 통과한 면재료가 제2 제면 유니트로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면재료를 이송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지지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리프트 구동부; 상기 제1 제면 유니트 및 상기 제2 제면 유니트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면재료를 이송하는 상기 지지면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줌 구동부; 및 상기 이송부 지지면의 지지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 구동부; 를 포함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지지면 후단부에 형성된 구동 롤러; 상기 지지면 선단부에 형성된 종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감싸며 지지면을 형성하는 벨트; 를 더 포함하며, 일 방향으로 면을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구동부는 상부면은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며, 하부면에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연결된 리프트 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 하부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실리더가 상하 운동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를 받쳐주는 보조 지지대; 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수용부가 형성된 제 1 프레임;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줌 구동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을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프레임과 연결되는 줌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프레임에 상기 구동 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상기 종동 롤러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프레임이 슬라이딩하면 상기 지지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트 구동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된 틸트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제 1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틸트 실린더의 작동 로드가 상하 운동시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송부 지지면의 지지각이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 하부에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틸트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틸트 실린더가 상승시 상기 틸트 실린더를 따라 선단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줌 실린더의 작동 로드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줌 실린더의 작동 로드가 상하 운동시 상기 제 2 프레임이 수용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개폐 가능한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구동부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된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도어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도어 실린더의 작동 로드와 결합하여 상기 도어 실린더의 상하 운동시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실린더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 실린더의 작동 로드 및 상기 도어는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 실린더의 작동 로드가 상승시 상기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구동부를 형성하여 면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부가 매립된 상태로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리프트 구동부를 형성하여 면재료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상승이 가능하며, 줌 구동부를 형성하여 지지면이 선단 방향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틸트 구동부를 형성하여 지지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제면 유니트 연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제면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제면 유니트 연결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작동 전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작동 후 정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도어 구동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가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제면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제면 유니트 연결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작동 전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작동 후 정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도어 구동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가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이송부에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는 제 1 제면 유니트에서 제 2 제면 유니트 방향으로 면재료를 이송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하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지지면의 제 1 제면 유니트 측을 "후단"이라 정의하며, 지지면의 제 2 제면 유니트 측을 "선단"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인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는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베이스 프레임부, 이송부 및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베이스
프레임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부(10)는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 사이에 위치하며,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내부 중앙에 리프트 실린더(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리프트 실린더(42)의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측벽에는 사각형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 저면 모서리에는 4개의 기둥(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의 하단에는 발판(12a)이 나사봉(12b)에 의해 체결된다. 이 때, 나사봉(12b)은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가 지면의 요철에 따라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리프트 실린더(42)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부(10)는 상부에 설치된 장치의 하중을 견디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지지부(20)는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덮개(12)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프트 실린더(42), 줌 실린더(52) 및 틸트 실린더(62)가 결합된다. 지지부(20)는 일정 두께 및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의 사각 판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20)의 후단에는 후술하는 틸트 실린더(62)와 결합 할 수 있도록 제 1 회전축(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부의 하중을 분배하기 위하여 2개의 제 1 회전축(22)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20)의 상부면에는 제 2 회전축(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회전축(24)에는 후술하는 틸트 실린더(62)를 보조하는 슬라이딩 부재(63)가 결합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의
높이 조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작동 전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작동 후 정면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면 유니트 사이에 면재료를 이송하는 이송부(30)는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덮개(12)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20)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부(20)는 리프트 실린더(42)와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실린더(42)는 베이스 프레임부(10)의 가운데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베이스 프레임부(10)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부(10)의 덮개(12) 하부면에 플랜지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리프트 실린더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리프트 실린더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리프트 실린더(42)의 작동로드(42a)가 지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리프트 실린더(42)의 작동로드(42a)는 지지부(20)의 하부면과 결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리프트 실린더(42)가 지지부(20)의 하부면을 받치고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의 하부면에는 리프트 실린더(42)의 작동로드(42a)보다 단면적이 크며, 일정 두께를 갖고 있는 보조 부재(21)를 통하여 리프트 실린더(42)의 작동로드(42a)와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 실린더(42)의 작동로드(42a)가 상승시 보조 부재(21)의 면적으로 힘을 분배하여 지지면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지지부(20)의 상부면에는 본 발명의 이송부가 설치됨으로써 지지부(20)가 큰 하중을 받고 있으며, 지지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이송부(30)가 동작함에 따라 지지부(20)에 힘이 전달되어 지지부(20)가 진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가 진동할 때에 지지부(2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리프트 실린더(42) 외에도 지지부(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형상의 보조 지지대(44)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지지대(44)의 하단부는 베이스 프레임부 덮개(1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 등으로 베이스 프레임부 덮개(12)에 고정이 될 수 있으며, 보조 지지대(44)의 상단은 지지부(20)의 하부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지지대(44)는 리프트 실린더(42)의 작동로드(42a)가 상승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며, 지지부(20)를 지지하여 지지부(20)가 수평이 유지되도록 형성한다.
이송부의
길이 조절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이송부(30)는 제 1 제면 유니트(100)를 통과한 면재료가 제 2 제면 유니트(300)로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안내하는 지지면을 포함한다. 또한, 이송부(30)는 지지면의 후단에 형성된 구동 롤러(31), 지지면의 선단에 형성된 종동 롤러(32) 및 구동 롤러(31) 및 종동 롤러(32)를 동시에 감싸며 제 2 제면 유니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벨트(33)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면 유니트는 서로 다른 직경의 롤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 사이의 거리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 형성된 거리에 따라 이송부(30)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이송되는 면재료의 최선단이 제면 유니트에 형성된 롤러로 삽입이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되므로 이송부(30)의 길이 조절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줌 구동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줌 구동부(40)는 이송부(30) 내부에 지지면의 이송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 1 프레임(34)과 제 1 프레임의 수용부에 삽입되며, 제 1 프레임(34) 내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제 1 프레임(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2 프레임(36)을 포함한다. 제 1 프레임(34) 후단에는 구동 롤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프레임(36) 선단에는 종동 롤러(3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컨베이어 벨트와는 달리, 삽입된 상태로 있다가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 2 프레임(36)으로 인하여, 이송부(30) 지지면의 길이가 연장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36)이 슬라이딩 하기 전에는 벨트(33)가 제 1 프레임(34) 후단에 형성된 구동 롤러(31)에 감겨있도록 형성되어 벨트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제 2 프레임(36)이 선단을 향하여 슬라이딩 할 때에는 구동 롤러(31)에 감겨있는 벨트(33)가 풀려서 지지면에 형성된 벨트(33)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때에도 지지면에 형성된 벨트(33)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 1 프레임(34) 내부에는 벨트(33)가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당김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당김 장치(미도시)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33)는 당김 장치(미도시)의 외주면에 적층하여 감겨 있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일단부는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선단 방향으로 힘을 받아 벨트(33)가 당겨지면 풀려 나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줌 실린더(52)는 지지면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며, 지지면의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 2 프레임(36)의 선단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연결 부재(3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부재(37)의 일단은 제 2 프레임(36)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은 줌 실린더(52)의 작동로드(52a)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줌 실린더(52)의 작동로드(52a)가 상승할 때 제 2 프레임(36)이 제 1 프레임 수용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선단을 향하여 슬라이딩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의
각도 조절
다시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면 유니트를 통과할 때마다 점점 면재료의 두께는 얇아지므로 각각의 제면 유니트는 서로 다른 직경의 롤러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의 롤러 틈 사이의 각도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 형성된 각도에 따라 이송부(30)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이송되는 면재료의 최선단이 제 2 제면 유니트에 형성된 롤러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되므로 이송부(30)의 각도 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송부(30) 지지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는 틸트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부(30)의 하중을 분배하며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각각 2개의 틸트 프레임(61), 제 1 회전축(22), 제 2 회전축(24) 및 슬라이딩 부재(63)를 구성될 수 있다. 틸트 프레임(61)은 이송부(30)의 제 1 프레임(34) 하부에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1 프레임(34)과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틸트 프레임(61) 내부에는 슬라이딩 부재(63)가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되,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틸트 프레임(61)은 이송부(30)와 수직 방향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측벽 형상으로 형성될 있으며,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측벽의 내부에는 레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63)는 이송부(30) 지지면의 각도가 변경되거나, 경사가 있는 상태로 형성될 때 이송부(3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면의 면적에 비하여 틸트 실린더(62)의 작동로드(62a)의 단면적이 너무 작기 때문에 지지면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 때, 틸트 회전봉(64)의 일측은 슬라이딩 부재(63)에 형성된 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은 지지부(30) 상부에 형성된 제 2 회전축(2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실린더(62)의 작동로드(62a)가 상승시 틸트 회전봉(64)이 제 2 회전축(24)을 회전함에 따라 틸트 회전봉(64)에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63) 역시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딩 부재(63) 및 틸트 회전봉(6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틸트 실린더(62)는 수직 방향이 아닌 선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틸트 실린더(62)는 지지부(30)를 관통하여 지지부(30) 하부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지지부(30)에는 틸트 실린더(62)가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30)의 하부면에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4개의 동일한 형상의 기둥이 결합되어 있으며, 기둥의 하단에는 판상 부재가 결합되어 판상 부재의 상부에 틸트 실린더(62)가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가능한
도어
구동부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도어 구동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는 기본적으로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위생 상태가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가 작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와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도어 구동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구동부(70)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송부(30) 상부에 이송부(30)를 덮어서 밀폐시키는 구조가 필요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도어 프레임(7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74)의 상부면에는 도어(76)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 프레임(74) 하부면에는 하부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도어 실린더(72)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도어(76)가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양방향 열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어 실린더(72)의 작동로드(72a)와 도어(76)는 힌지(77)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 실린더(72)의 작동로드(72a)가 상승시 도어(76)는 힌지(77)를 축으로 하여 외측으로 열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를 매립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동작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가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제면 유니트를 통과한 면재료의 최선단이 이송부에 안착되며, 이송부에 형성된 컨베이어벨트가 작동을 하여 연속하는 면재료를 제 2 제면 유니트의 롤러 사이로 이송하게 된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는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 프레임(74)에 형성된 도어(76)가 닫힌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도어(76)가 개방이 되어야 하므로 도어 실린더 작동로드(72a)가 상승할 때, 힌지(77)로 연결된 도어(76)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의 작동이 다 끝난 상태에서는 도어 실린더 작동로드(72a)가 하강하게 되며, 이 때 양쪽에 형성된 도어(76)는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a) 내지 9(d)는 도어(76)가 개방된 이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어부(70)는 생략하였다. 또한, 도 9(a) 내지 9(d)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가 동작 전이며 리프트 실린더(42), 틸트 실린더(62) 및 줌 실린더(52)의 작동로드가 모두 하강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도어(76)가 개방된 후, 일단 리프트 실린더(42)에 의하여 이송부(30)의 지지면이 상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실린더(42)가 상승함에 따라 이송부(30)의 지지면은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제면 유니트에 형성된 롤러의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 사이에 위치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300)가 상승하는 높이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지지면이 상승된 후 제 2 제면 유니트(200)의 롤러 사이로 지지면의 선단을 향하도록 지지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틸트 실린더(62)에 의하여 틸트 실린더 작동로드(62a)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회전축(22)을 기준으로 지지면이 일정 경사를 형성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회전축(2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틸트 회전봉(64)이 선단을 향하여 회전하며, 틸트 회전봉(64)에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63)가 틸드 프레임(61)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선단을 향하여 슬라이딩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웃하는 제면 유니트 롤러들 사이의 각도가 각기 다르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지지면의 길이가 제 2 제면 유니트(200) 롤러 사이까지의 거리에 못 미칠 수 있다. 도 9의 (d)를 참조하면, 지지면은 일정 각도가 형성된 상태로 줌 실린더(52)에 의하여 줌 실린더(52)가 상승함에 따라 줌 실린더 작동로드(52a)와 연결부재(37)로 체결된 제 2 프레임(24)이 슬라이딩하여 지지면이 선단을 향하여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34)의 후단측에 구동 롤러(31)가 형성되며, 제 2 프레임(36)의 선단측에 종동 롤러(32)가 형성되어 벨트(33)의 길이 역시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안정적으로 면재료를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실린더(42,52,62,72), 구동 롤러(31) 및 종동 롤러(32)는 유압이나 공기압을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1: 베이스부 3: 면 재료
4a: 제 1 상부 롤러 4b: 제 1 하부 롤러
6a: 제 2 상부 롤러 6b: 제 2 하부 롤러
10: 제 1 제면 유니트 12: 제 2 제면 유니트
12a: 발판 12b: 나사봉
20: 지지부 21: 보조 부재
22: 제 1 회전축 24: 제 2 회전축
30: 이송부 31: 구동 롤러
32: 종동 롤러 33: 벨트
34: 제 1 프레임 36: 제 2 프레임
37: 연결 부재 40: 리프트 구동부
42: 리프트 실린더 42a: 리프트 실린더 작동로드
44: 보조 지지대 50: 줌 구동부
52: 줌 실린더 52a: 줌 실린더 작동로드
60: 틸트 구동부 61: 틸트 프레임
62: 틸트 실린더 62a: 틸트 실린더 작동로드
63: 슬라이딩 부재 64: 틸트 회전봉
70: 도어 구동부 72: 도어 실린더
72a: 도어 실린더 작동로드 74: 도어 프레임
76: 도어 77: 힌지
100: 제 1 제면 유니트 200: 제 2 제면 유니트
300: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4a: 제 1 상부 롤러 4b: 제 1 하부 롤러
6a: 제 2 상부 롤러 6b: 제 2 하부 롤러
10: 제 1 제면 유니트 12: 제 2 제면 유니트
12a: 발판 12b: 나사봉
20: 지지부 21: 보조 부재
22: 제 1 회전축 24: 제 2 회전축
30: 이송부 31: 구동 롤러
32: 종동 롤러 33: 벨트
34: 제 1 프레임 36: 제 2 프레임
37: 연결 부재 40: 리프트 구동부
42: 리프트 실린더 42a: 리프트 실린더 작동로드
44: 보조 지지대 50: 줌 구동부
52: 줌 실린더 52a: 줌 실린더 작동로드
60: 틸트 구동부 61: 틸트 프레임
62: 틸트 실린더 62a: 틸트 실린더 작동로드
63: 슬라이딩 부재 64: 틸트 회전봉
70: 도어 구동부 72: 도어 실린더
72a: 도어 실린더 작동로드 74: 도어 프레임
76: 도어 77: 힌지
100: 제 1 제면 유니트 200: 제 2 제면 유니트
300: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Claims (10)
- 면을 제조하는 제면 유니트를 연결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로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상부에 위치하며, 제 1 제면 유니트를 통과한 면재료가 제2 제면 유니트로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면재료를 이송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지지면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리프트 구동부;
상기 제1 제면 유니트 및 상기 제2 제면 유니트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면재료를 이송하는 상기 지지면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줌 구동부; 및
상기 이송부 지지면의 지지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 구동부; 를 포함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지지면 후단부에 형성된 구동 롤러;
상기 지지면 선단부에 형성된 종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감싸며 지지면을 형성하는 벨트; 를 더 포함하며, 일 방향으로 면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구동부는
상부면은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며, 하부면에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연결된 리프트 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연결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하부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 실리더가 상하 운동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를 받쳐주는 보조 지지대; 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수용부가 형성된 제 1 프레임;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줌 구동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을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프레임과 연결되는 줌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프레임에 상기 구동 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상기 종동 롤러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프레임이 슬라이딩하면 상기 지지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구동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된 틸트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제 1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틸트 실린더의 작동 로드가 상하 운동시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송부 지지면의 지지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하부에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틸트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틸트 실린더가 상승시 상기 틸트 실린더를 따라 선단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2 프레임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줌 실린더의 작동 로드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줌 실린더의 작동 로드가 상하 운동시 상기 제 2 프레임이 수용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개폐 가능한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구동부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된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도어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도어 실린더의 작동 로드와 결합하여 상기 도어 실린더의 상하 운동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실린더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 실린더의 작동 로드 및 상기 도어는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 실린더의 작동 로드가 상승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224A KR101754471B1 (ko) | 2015-06-29 | 2015-06-29 |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224A KR101754471B1 (ko) | 2015-06-29 | 2015-06-29 |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158A KR20170002158A (ko) | 2017-01-06 |
KR101754471B1 true KR101754471B1 (ko) | 2017-07-06 |
Family
ID=5783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2224A KR101754471B1 (ko) | 2015-06-29 | 2015-06-29 |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44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64303A (zh) * | 2018-10-31 | 2019-01-25 | 江苏恒通发电机制造有限公司 | 一种小型发电机专用运输转移设备 |
KR102109383B1 (ko) * | 2019-01-31 | 2020-05-12 | 주식회사 진성종합식품 | 칼국수 면 제조 장치 |
KR102234545B1 (ko) * | 2021-01-21 | 2021-04-01 | 이창구 | 떡볶이떡 덩어리 분리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9902A (ja) | 1999-09-01 | 2001-03-21 |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 生地の圧延装置 |
-
2015
- 2015-06-29 KR KR1020150092224A patent/KR1017544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9902A (ja) | 1999-09-01 | 2001-03-21 |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 生地の圧延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158A (ko) | 2017-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4471B1 (ko) |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 |
KR101163405B1 (ko) | 파이 분리 이송장치 | |
US8359973B2 (en) | Apparatus for forming a food material | |
KR101946510B1 (ko) | 다목적 팬 핸들링시스템 | |
TWI676425B (zh) | 包餡食品的成形方法及裝置 | |
KR20100135057A (ko) | 농산물 이송용 이동식 컨베이어 | |
JP7376258B2 (ja) | ベーカリー製品等用の支持板を運搬するためのノリア式装置 | |
MX2007010736A (es) | Sistema de alimentacion de tortillas de maiz o de harina de trigo a un transportador. | |
KR101875372B1 (ko) | 팬닝장치 | |
KR20150113320A (ko) | 식품 성형장치 | |
JP2010200725A (ja) | 食品生地延展装置 | |
FR2937502A1 (fr) | Dispositif de conservation, de cuisson et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e produits a base de pate, notamment de pains | |
JP6021247B2 (ja) | おにぎり成形装置 | |
KR101646961B1 (ko) | 식품 이송기 | |
KR102013172B1 (ko) | 코일 형성 장치 및 방법 | |
EP2164334B1 (en) | Line, method and processing station for forming dough disks such as pizza bases or the like | |
JP7262251B2 (ja) | 荷卸し装置 | |
US20220219905A1 (en) | Article retaining device and supporting body | |
JP6418600B2 (ja) | 米飯盛付装置 | |
JP2007244358A (ja) | 練製食品加工機の生地処理コンベア | |
EP3158870B1 (en) | Automatic table-top machine for kneading and extruding pasta | |
JP5031484B2 (ja) | パン焼成用天板に対するパン生地供給装置 | |
KR102605102B1 (ko) |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 |
KR102363545B1 (ko) | 베이커리용 반죽 자동 정렬장치 | |
JP6714281B2 (ja) | 原料肉塊の移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