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155B1 -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155B1
KR100918155B1 KR1020090034924A KR20090034924A KR100918155B1 KR 100918155 B1 KR100918155 B1 KR 100918155B1 KR 1020090034924 A KR1020090034924 A KR 1020090034924A KR 20090034924 A KR20090034924 A KR 20090034924A KR 100918155 B1 KR100918155 B1 KR 10091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pusher
mushroom
uni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수
Original Assignee
김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수 filed Critical 김승수
Priority to KR102009003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대차로부터 자동으로 하차시키거나 대차에 실을 수 있어 작업 시간 및 노력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신속하게 버섯 배지를 이송시킬 수 있어 양질의 버섯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재 대차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적재 대차로 버섯 배지 바구니를 하차 또는 상차시키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 내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장치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는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로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반출시키거나 상기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반입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를 상기 장치 프레임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 유닛; 상기 이송부와 함께 승하강 구동하되 상기 적재 대차 쪽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푸셔; 상기 푸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클램핑하는 바구니 클램프; 및 상기 바구니 클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바구니 클램프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클램프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섯, 재배, 배지, 상자, 하차, 하차기, 자동

Description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mushroom box}
본 발명은,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대차로부터 자동으로 하차시키거나 대차에 실을 수 있어 작업 시간 및 노력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신속하게 버섯 배지를 이송시킬 수 있어 양질의 버섯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분류학상 담자균류(Basidiomycetes)에 속하는 미생물로 독성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식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버섯들은 육류를 대체할 수 있는 고단백 식품으로 예로부터 승려들이 이용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익한 자연건강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주요 농산물 수익원이 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인 그루칸(glucan) 유도체들에 의한 항암 및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보고 되어 건강식품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다.
버섯의 재배 방법을 살펴보면, 종전만 하더라도 팽나무, 느타리, 떡갈나무, 참나무 등의 원목에 구멍을 뚫어 종균을 접종하는 방식에 의존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원목의 안정된 공급에 차질이 발생될 우려가 높고, 또한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근래에는 버섯의 재배 방법이 개선되고 있다.
즉 근자에 들어서는 톱밥이나 폐면 등을 배지로 사용하여 재배사 내에서 병재배, 상자재배, 포대재배 등에 재배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어 있다.
물론, 배지를 이용하는 버섯의 재배 방법의 경우, 배지 자체의 통기성이나 영양공급 등의 문제가 수반될 수도 있겠으나, 배지에 버섯 종균이 생육되는데 방해가 되는 오염균을 없애기 위한 수단을 추가하거나 아니면 배지가 적재되는 창고의 환경을 개선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
한편, 배지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경우, 버섯 재배기로 톱밥 등의 영양분이 포함된 버섯 배지를 이송시켜야 한다. 보통 버섯 배지들은 하나의 상자(바구니, 박스)에 다수개가 담겨져 이송되는데,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이송시킬 때는 통상적으로 대차가 사용된다.
즉 대차에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실고 버섯 재배기로 대차를 이동시킨 후, 대차로부터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하나씩 꺼내어 버섯 재배기로 옮기게 된다.
그런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버섯 배지 바구니에도 다수의 버섯 배지들이 배치되고, 또한 버섯 배지 바구니 역시 대차에 다수로 적재되기 때문에 대차로부터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일일이 하차시키는 작업 또한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대차에 일일이 싣는 작업을 오로지 수작업에 의존한다면 작업 시간이 지연되 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데, 특히 신속하게 버섯 배지를 이송시키지 못하는 경우 양질의 버섯을 재배하기 힘들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대차로부터 자동으로 하차시키거나 대차에 실을 수 있어 작업 시간 및 노력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신속하게 버섯 배지를 이송시킬 수 있어 양질의 버섯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재 대차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적재 대차로 버섯 배지 바구니를 하차 또는 상차시키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 내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장치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는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로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반출시키거나 상기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반입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를 상기 장치 프레임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 유닛; 상기 이송부와 함께 승하강 구동하되 상기 적재 대차 쪽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푸셔; 상기 푸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클램핑하는 바구니 클램프; 및 상기 바구니 클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바구니 클램프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클램프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유닛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송부의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컨베이어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승하강부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와 함께 승하강 동작되는 이송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적어도 하나의 푸셔는, 1단으로 동작되어 제1 거리를 이동하는 제1 푸셔와, 상기 제1 푸셔가 이동된 위치에서 2단으로 더 동작되어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먼 제2 거리를 이동하는 제2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푸셔 사이에는 상기 제2 푸셔의 동작 시 상기 제2 푸셔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이송부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적재 대차의 밀착 고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대차로부터 자동으로 하차시키거나 대차에 실을 수 있어 작업 시간 및 노력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신속하게 버섯 배지를 이송시킬 수 있어 양질의 버섯 생산량을 증가시 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에서 동일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의 정면도로서 버섯 배지 바구니를 이송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제1 및 제2 푸셔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200)는 적재 대차(1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적재 대차(100)로 버섯 배지 바구니(2)를 하차 또는 상차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200)는, 장치 프레임(201)과, 장치 프레임(201) 내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며 장치 프레임(201)의 외측에 구비되는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240)로 버섯 배지 바구니(2)를 반출시키거나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240)로부터 버섯 배지 바구니(2)를 반입시키는 이송부(202)와, 이송부(202)에 연결되어 이송부(202)를 장치 프레임(201)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 유닛(220)과, 이송부(202)와 함께 승하강 구동하되 적재 대차(100) 쪽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푸셔(231,232)와, 제2 푸셔(232)의 단부에 결합되어 버섯 배지 바구니(2)를 클램핑하는 바구니 클램프(235)와, 바구니 클램프(235)에 연결되어 바구니 클램프(235)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클램프 승하강부(236)를 포함한다.
장치 프레임(201)은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강성을 위해 수직 또는 수평 빔을 상호 용접하여 제작할 수 있다. 장치 프레임(201)은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240)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측면부가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승하강 유닛(220)은, 장치 프레임(201)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221)와, 구동 모터(221)와 이송부(202)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221)의 회전 운동을 이송부(202)의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컨베이어 승하강부(222)를 구비한다.
컨베이어 승하강부(2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21)와 이송부(202)에 연결되는 체인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컨베이어 승하강부(222)에는 이송부 프레임(203)이 연결되어 이송부(202)와 함께 승하강 동작될 수 있는데, 체인으로 컨베이어 승하강부(222)가 마련되는 경우, 이송부(202) 및 이송부 프레임(203)의 승하강 중심을 잡기 위해 일측에 무게추(223)가 마련된다. 무게추(223)의 중량은 이송부(202) 및 이송부 프레임(203)의 중량과 흔들림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장치 프레임(201)의 일측에는 이송부(202)를 회전 구동시키는 이송부 회전 구동부(202a)가 더 마련된다. 이송부 회전 구동부(202a)는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푸셔(231,232)는 장치 프레임(201) 쪽에서 적재 대차(100) 쪽으로 접근 또는 이격되는 구동체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적재 대차(100) 내에 버섯 배지 바구니(2)가 2 열로 배치되면 2단 동작되어 긴 거리를 이동하는 제1 및 제2 푸셔(231,232)가 사용되고, 다른 실시예인 도 7과 같이 적재 대차(100a) 내에 버섯 배지 바구니(2)가 1 열로 배치되면 1단 동작되어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제1 푸셔(231)만이 사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적재 대차(100) 내에 버섯 배지 바구니(2)가 2 열로 배치되면, 앞쪽 열에 배치된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잡아 이동시키는 위치와 뒤쪽 열에 배치된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잡아 이동시키는 위치가 다를 수밖에 없다. 이때는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제1 및 제2 푸셔(231,232)가 사용되는데, 우선은 제2 푸셔(232)와 함께 제1 푸셔(231)가 제1 거리만큼 이동되어 앞쪽 열에 배치된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잡아 이동시키게 되고, 이 작업이 완료되면 제1 푸셔(231)가 이동된 위치에서 2단으로 더 동작되어 제1 거리보다 더 먼 제2 거리만큼 이동되어 뒤쪽 열에 배치된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잡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 푸셔(231,2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서 연결되어 사용된다. 즉 제1 및 제2 푸셔(231,232)는 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는데, 제1 및 제2 푸셔(231,232) 사이에는 제1 푸셔(231)의 동작 후에 제2 푸셔(232)의 동작 시 제2 푸셔(232)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23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처짐방지부(238)는 간단하게 롤러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및 제2 푸셔(231,232)는 연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도 6의 (a) 내지 (c)와 같이 제1 푸셔(231) 및 제2 푸셔(232)의 단독 동작 또는 연이은 동작에 따라 그 동작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바구니 클램프(235)는 클램프 승하강부(236)에 의해 동작되면서 버섯 배지 바구니(2)를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클램프 승하강부(236)에 의해 바구니 클램프(235)는 실선에서 이점쇄선으로 업/다운될 수 있으며, 업(up)될 때 버섯 배지 바구니(2)를 클램핑한다.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쉽게 클램핑하기 위해 바구니 클램프(235)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구니 클램프(235)는 제1 및 제2 푸셔(231,232)의 동작에 따라 위치 이동되는데, 이에는 볼 푸셔(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 승하강부(236)는 제2 푸셔(232)의 단부에 고정부(232a)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장치 프레임(201)에는 적재 대차(100)의 밀착 고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다음으로, 적재 대차(100)에 대해 살펴보면, 적재 대차(100)는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실어 옮기는 운반체이다. 본 실시예의 적재 대차(100)는 높이 방향을 따라 11단으로 되어 있고, 각 단에는 버섯 배지 바구니(2)들이 2열 구조로 배열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적재 대차(100)의 높이 방향을 따른 단의 수(행의 수)와, 각 단의 열의 수는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자동 이송장치(200)를 이용하여 다수의 버섯 배지(1)가 수용된 버섯 배지 바구니(2)가 다수 적재되어 있는 적재 대차(100)로부터 버섯 배지 바구니(2)를 하차시키는(내리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적재 대차(100)를 이송시켜 적재 대차(100)를 장치 프레임(201)의 일측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대차 고정용 실린더(210)가 동작을 하여 적재 대차(100)를 장치 프레임(201) 쪽에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고정용 실린더(210)가 동작됨으로써 그 앞단의 걸림쇠(210a)가 적재 대차(100) 쪽에 고정됨으로써 적재 대차(100)가 장치 프레임(201)의 일측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의 밀착 고정 상태는 도시 않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데, 적재 대차(100)가 작업 위치에 정확하게 밀착 고정이 되어야 센서에 의한 다음 동작이 진행된다.
적재 대차(1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승하강 유닛(220)이 동작된다. 즉 승하강 유닛(220)의 일 구성인 구동 모터(221)가 동작되어 구동 모터(221)와 연결된 컨베이어 승하강부(222)를 상승시킴에 따라 컨베이어 승하강부(222)와 연결된 이송부(202)와 이송부 프레임(203)이 상승되어 적재 대차(100)의 11 단 정위치에서 정지된다(도 1 참조).
이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푸셔(231)가 제2 푸셔(232)와 함께 전진하여 바구니 클램프(235)가 적재 대차(100)의 11 단에서 1열의 버섯 배지 바구니(2) 앞에 근접되도록 한 후에 정지된다.
다음, 바구니 클램프(235)와 연결된 클램프 승하강부(236)가 업(up) 동작되어 상승함으로써 바구니 클램프(235)가 1열에 있는 예컨대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클램핑하도록 한다.
바구니 클램프(235)에 의해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가 클램핑되면, 제1 푸셔(231)가 제2 푸셔(232)와 함께 후진하여,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이송부(202)의 가운데로 정렬시킨다(도 3 참조). 이어 클램프 승하강부(236)가 다운(down) 동작된다.
그런 다음, 승하강 유닛(220)의 역동작에 의해 이송부(202)와 이송부 프레임(203)이 하강하여 정위치에 도달되면, 이송부(202)가 동작되어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240)로 이동시켜 반출시킨다.
적재 대차(100)의 11 단의 1열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240)로 이동시켜 반출시키고 나면, 다시 앞선 동작이 반복된다.
즉 구동 모터(221)가 동작되어 구동 모터(221)와 연결된 컨베이어 승하강부(222)를 상승시킴에 따라 컨베이어 승하강부(222)와 연결된 이송부(202)와 이송부 프레임(203)이 다시 상승되어 적재 대차(100)의 11 단 정위치에서 정지된다. 다음으로 제1 푸셔(231)가 전진하고 이어 제2 푸셔(232)가 더 전진하여 단부의 바구니 클램프(235)가 적재 대차(100)의 11 단에서 2열의 버섯 배지 바구니(2) 앞에 근접되도록 한 후에 정지된다(도 4 참조). 이어, 바구니 클램프(235)와 연결된 클램프 승하강부(236)가 업(up) 동작되어 상승함으로써 바구니 클램프(235)가 11단의 2열에 있는 예컨대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클램핑하도록 한다.
바구니 클램프(235)에 의해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가 클램핑되면, 제1 푸셔(231)가 제2 푸셔(232)와 함께 후진하여,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이송부(202)의 가운데로 정렬시킨다. 이어 클램프 승하강부(236)가 다운(down) 동작된다.
그런 다음, 승하강 유닛(220)의 역동작에 의해 이송부(202)와 이송부 프레임(203)이 하강하여 정위치에 도달되면, 이송부(202)가 동작되어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240)로 이동시켜 반출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11 단으로부터 1 단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적재 대차(100) 내의 모든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적재 대차(100)로부터 하차시킬 수 있게 된다. 빈 적재 대차(100)는 취출되고, 다시 버섯 배지 바구니(2)가 적재된 새로운 적재 대차(미도시)를 가지고 와서 반복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이 적용될 경우, 예컨대 1 시간당 약 500개의 버섯 배지 바구 니(2)를 하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작업 효율이 높아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자동 이송장치(200)를 이용하여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빈 적재 대차(미도시)에 상차시키는(싣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은 하겠으나,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적재 대차에 상차시키는(싣는) 동작은 버섯 배지 바구니(2)가 적재된 적재 대차(100)로부터 버섯 배지 바구니(2)를 하차시키는(내리는) 동작의 역순으로 이해하면 된다.
우선, 빈 적재 대차를 이송시켜 적재 대차를 장치 프레임(201)의 일측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대차 고정용 실린더(210)가 동작을 하여 적재 대차를 장치 프레임(201) 쪽에 밀착되게 고정시킨다.
이때의 밀착 고정 상태는 도시 않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데, 적재 대차가 작업 위치에 정확하게 밀착 고정이 되어야 센서에 의한 다음 동작이 진행된다.
적재 대차의 고정이 완료되면,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240)를 통해 적재 대상의 버섯 배지 바구니(2)들이 이송되어 반입된 후, 이송부(202)로 들어오면, 이송부(202)의 전방에 마련된 도시 않은 포토센서에 의해 1회 상차할 수 있는 버섯 배지 바구니(2) 4개를 체크한다. 체크가 완료되면 이송부(202)는 정지된다.
다음으로, 승하강 유닛(220)의 일 구성인 구동 모터(221)가 동작되어 구동 모터(221)와 연결된 컨베이어 승하강부(222)를 하강시킴에 따라 컨베이어 승하강부(222)와 연결된 이송부(202)와 이송부 프레임(203)이 하강되어 적재 대차의 1 단 정위치에서 정지된다.
이어 제1 푸셔(231)가 제2 푸셔(232)와 함께 전진하여 바구니 클램프(235)가 적재 대차의 1 단에서 1열의 위치에 근접되도록 한 후에 정지된다. 그런 다음, 바구니 클램프(235)와 연결된 클램프 승하강부(236)가 다운(down) 동작되어 하강됨으로써 바구니 클램프(235)가 1열의 위치에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를 내려놓게 된다.
이 과정이 끝나면 제1 및 제2 푸셔(231,232)가 원위치 복귀됨과 더불어 이송부(202)와 이송부 프레임(203)이 상승되어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240) 선상에 다시 놓이게 되고, 새로운 4개의 버섯 배지 바구니(2)들을 다시 전술한 방법대로 적재 대차의 1 단에서 2열의 위치에 내려놓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1 단으로부터 11 단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저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적재 대차 내로 모든 버섯 배지 바구니(2)를 상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대차로부터 자동으로 하차시키거나 대차에 실을 수 있어 작업 시간 및 노력을 감소시켜 작업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신속하게 버섯 배지를 이송시킬 수 있어 양질의 버섯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적재 대차(100a)는 6 단의 1 열짜리로 적용된다. 이처럼 1 열짜리의 적재 대차(100a)가 사용되더라도 자동 이송장치(200a)의 대부분 구성 및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1 열짜리의 적재 대차(100a)가 적용될 경우에는 제1 푸셔(231)만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모든 동작은 포토센서, 말굽센서, 리미트 센서, 엔코더, 인버터를 결합하여 가속, 감속, 정속 운행을 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의 정면도로서 버섯 배지 바구니를 이송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제1 및 제2 푸셔의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섯 배지 2 : 버섯 배지 바구니
100,100a : 적재 대차 200,200a : 자동 이송장치
201 : 장치 프레임 202 : 이송부
203 : 이송부 프레임 210 : 대차 고정용 실린더
220 : 승하강 유닛 221 : 구동 모터
231 : 제1 푸셔 232 : 제2 푸셔
235 : 바구니 클램프 236 : 클램프 승하강부
240 :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

Claims (8)

  1. 적재 대차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적재 대차로 버섯 배지 바구니를 하차 또는 상차시키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 내에서 승하강 이동 가능하며, 상기 장치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는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로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반출시키거나 상기 반출 또는 반입 겸용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상기 장치 프레임 내로 반입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를 상기 장치 프레임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시키는 승하강 유닛;
    상기 이송부와 함께 승하강 구동하되 상기 적재 대차 쪽으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푸셔;
    상기 푸셔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섯 배지 바구니를 클램핑하는 바구니 클램프; 및
    상기 바구니 클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바구니 클램프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클램프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유닛은,
    상기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이송부의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컨베이어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승하강부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와 함께 승하강 동작되는 이송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푸셔는, 1단으로 동작되어 제1 거리를 이동하는 제1 푸셔와, 상기 제1 푸셔가 이동된 위치에서 2단으로 더 동작되어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먼 제2 거리를 이동하는 제2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푸셔 사이에는 상기 제2 푸셔의 동작 시 상기 제2 푸셔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이송부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적재 대차의 밀착 고정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KR1020090034924A 2009-04-22 2009-04-22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KR100918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24A KR100918155B1 (ko) 2009-04-22 2009-04-22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24A KR100918155B1 (ko) 2009-04-22 2009-04-22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155B1 true KR100918155B1 (ko) 2009-09-17

Family

ID=4135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924A KR100918155B1 (ko) 2009-04-22 2009-04-22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15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66B1 (ko) 2011-05-02 2011-09-16 디엠에스코리아(주) 버섯재배용 수납박스 자동운반장치
KR101849161B1 (ko) * 2017-09-08 2018-04-16 주식회사 표고애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1849163B1 (ko) * 2017-09-08 2018-04-16 주식회사 표고애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유닛
KR101849162B1 (ko) 2017-09-08 2018-05-31 주식회사 표고애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터너 컨베이어 유닛
KR20190054556A (ko) * 2017-11-14 2019-05-22 (주)한솔기계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KR101985249B1 (ko) * 2018-10-02 2019-06-04 김형연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CN109907536A (zh) * 2019-02-15 2019-06-21 王星月 一种方便调取工程管理文件的装置及其调取方法
US11382282B2 (en) * 2019-01-04 2022-07-12 Fujian Sanan Sino-Science Photobiotech Co., Ltd. Multifunctional seedling cultur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115A (ja) 1996-06-27 1998-01-20 Tsubakimoto Chain Co 多段式循環移動ラック
KR19980059049U (ko) * 1997-02-28 1998-10-26 박광선 버섯 재배 장치
KR20060039838A (ko) * 2004-11-03 2006-05-09 정의호 다단 균상 순환이송식 버섯재배장치
KR100664574B1 (ko) 2006-01-09 2007-01-04 서인석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115A (ja) 1996-06-27 1998-01-20 Tsubakimoto Chain Co 多段式循環移動ラック
KR19980059049U (ko) * 1997-02-28 1998-10-26 박광선 버섯 재배 장치
KR20060039838A (ko) * 2004-11-03 2006-05-09 정의호 다단 균상 순환이송식 버섯재배장치
KR100664574B1 (ko) 2006-01-09 2007-01-04 서인석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66B1 (ko) 2011-05-02 2011-09-16 디엠에스코리아(주) 버섯재배용 수납박스 자동운반장치
KR101849161B1 (ko) * 2017-09-08 2018-04-16 주식회사 표고애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1849163B1 (ko) * 2017-09-08 2018-04-16 주식회사 표고애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유닛
KR101849162B1 (ko) 2017-09-08 2018-05-31 주식회사 표고애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터너 컨베이어 유닛
KR20190054556A (ko) * 2017-11-14 2019-05-22 (주)한솔기계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KR101982166B1 (ko) 2017-11-14 2019-05-24 (주)한솔기계 식품 정렬용 플레이트 자동 투입 및 적재장치
KR101985249B1 (ko) * 2018-10-02 2019-06-04 김형연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US11382282B2 (en) * 2019-01-04 2022-07-12 Fujian Sanan Sino-Science Photobiotech Co., Ltd. Multifunctional seedling culturing apparatus
CN109907536A (zh) * 2019-02-15 2019-06-21 王星月 一种方便调取工程管理文件的装置及其调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155B1 (ko)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DK2630061T3 (en) Imminent robotic system and method for its use
CN108313693B (zh) 一种适用于磁瓦生产的自动化生产线及其实现方法
KR101769117B1 (ko) 자동 팔레타이저
CN112919148B (zh) 一种非接触式冷链集装箱掏箱消毒装卸智能装备
CN110104428A (zh) 一种胶片自动分拣码垛装置及方法
KR101363770B1 (ko) 버섯 재배용 바스켓 적층 장치
KR101985249B1 (ko)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CN111908003A (zh) 摩天轮料库系统
CN110697393A (zh) 一种双排菌筐上架机
CN212863031U (zh) 一种用于托盘更换的托盘回收设备
KR101441483B1 (ko) 물품 자동 적재 장치
CN108861336B (zh) 物料升降组件
CN108275174B (zh) 一种塑料制品运输装置
CN211035028U (zh) 一种物料分拣单臂升降机
CN112293354A (zh) 一种养殖盒取放机
CN107804714B (zh) 一种苗床搬运车及一种苗床搬运方法
KR20090005969U (ko) 다수개의 포크가 있는 자동 창고 시스템
CN212075600U (zh) 一种采用双叉式端拾器的下料装置
CN106865245B (zh) 一种自动换筐搬运机器人及控制方法
CN212197486U (zh) 自动装卸机构及齿轮自动装卸机
CN218185062U (zh) 一种面点全自动加工系统
CN103482349A (zh) 一种重载换向轨道
CN211224981U (zh) 智能物流仓储系统
CN220549294U (zh) 一种自动装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