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249B1 -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249B1
KR101985249B1 KR1020180117900A KR20180117900A KR101985249B1 KR 101985249 B1 KR101985249 B1 KR 101985249B1 KR 1020180117900 A KR1020180117900 A KR 1020180117900A KR 20180117900 A KR20180117900 A KR 20180117900A KR 101985249 B1 KR101985249 B1 KR 10198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s
conveying
tray
uni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회
Original Assignee
김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연 filed Critical 김형연
Priority to KR102018011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종균을 배양한 포트병 다수개가 담긴 버섯 배지 트레이(Tray)들을 팔레트 또는 대차 등의 운반수단에 정렬된 상태로 다단으로 연속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많은 양의 트레이들이 함께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 및 적재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과 인력을 절감하여 버섯 배지 트레이의 이송 작업 효율이 종래에 비해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는, 다수의 버섯 배지가 담긴 트레이를 운반수단에 자동 적재하기 위한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내측공간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과; 다수의 트레이들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들을 상기 내측공간의 정해진 도착지점으로 이송하는 롤러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도착지점으로 이송된 상기 트레이들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 왕복 작동되는 포크부재가 구비된 승강부와; 상기 이송부의 롤러컨베이어 일정 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트레이들을 적어도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정렬하는 트레이 정렬부와; 상기 트레이 정렬부에 의해 일정 행 및 열로 정렬되어 상기 도착지점에 이송된 상기 트레이들이 상기 포크부재에 의해 상기 운반수단에 동시에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Auto-loading Apparatus For Mushroom Medium Tray}
본 발명은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종균을 배양한 포트병 다수개가 담긴 버섯 배지 트레이(Tray)들을 팔레트 또는 대차 등의 운반수단에 정렬된 상태로 다단으로 연속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많은 양의 트레이들이 함께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 및 적재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과 인력을 절감하여 버섯 배지 트레이의 이송 작업 효율이 종래에 비해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종균이란 톱밥 또는 곡물을 주재료로 하여 버섯 균을 순수 배양한 것으로 작물의 종자와 같은 개념의 씨앗이다. 그 중에서 톱밥을 이용하여 종균생산이 가능한 버섯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영지버섯 등이 있으며 표고버섯은 재배 초기부터 원목재배를 주로 하는데, 표고버섯 종균은 90년대까지만 해도 전체 수요량을 공급하였으나 현재는 유통량의 30~40%를 공급하고 있다.
버섯은 항암, 고혈압 강하작용, 간염 및 동맥경화 예방, 폐질환 및 위장질환 예방, 바이러스 면역증강, 항체생성 촉진, 콜레스테롤 저하 등 섭취시 여러가지 효능이 학술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대사회의 병폐를 인식하고서 발전한 웰빙(well-being)문화와 함께 건강식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버섯의 수요량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라서 재배 농가에서는 보다 편리하고 빠른 버섯 재배방법과 그에 따른 기계들을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포트병을 이용한 버섯 재배법은 가장 일반적인 버섯 재배법으로서 그 재배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버섯의 재배를 위하여 톱밥 등에 버섯 재배를 촉진하기 위한 각종 영양 성분을 배합하는 배지준비단계와; 앞서 준비한 배지를 버섯이 성장을 포트병 내부에 충진하는 배지충진단계와; 배지가 충진된 포트병 내부에 세균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포트병의 입구를 막는 마개닫기단계와; 마개가 닫힌 포트병 내외부에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포트병을 살균하고, 냉각하는 살균냉각단계와; 살균 냉각 후 보관된 포트병의 마개를 열고 포트병의 배지 내부에 종균을 접종하는 종균접종단계와; 종균이 접종된 포트병을 버섯이 성장할 배양실로 옮겨서 배양하는 균사배양단계와; 1차 배양된 버섯 균사 표면의 노화된 균사를 긁어서 제거하고, 균사를 자극하여 버섯 성장을 촉진하는 균긁기단계와; 버섯 재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 생육실에서 버섯을 생육하는 버섯생육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배지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경우, 버섯 재배기로 톱밥 등의 영양분이 포함된 버섯 배지를 이송시켜야 하는데, 보통 버섯 배지들은 하나의 트레이(바구니, 박스)에 다수개가 담겨져 이송되고, 다수의 버섯 배지 바구니들을 이송시킬 때에는 통상적으로 대차가 사용된다.
그런데, 일련의 버섯 재배 과정 중 종균접종단계 또는 버섯 생육 작업이 완료되어 출하하는 경우 포트에 입병된 배지가 다수 담겨져 있는 트레이를 대차에 적재하여 버섯 재배지나 외부로 로 이동시키는 경우 적재되는 대차의 크기에 따라서 많은 양의 트레이를 용이하게 적재하기가 어려운 구조였으며, 트레이를 정확하게 픽업하지 못하거나 이송중 작은 진동에ㄹ도 트레이가 이탈되어 바르게 적재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많은 양의 버섯 배지 트레이를 대차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상차하는 경우 작업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신속하게 버섯 배지를 이송시키지 못한 경우 양질의 버섯을 재배하기가 힘든 문제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배지가 입병되어 있는 플라스틱 병과, 이를 다수개 수납하고 있는 트레이를 적재공간에 순차적으로 적재 및 이송하기 위한 버섯 적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902호(2012.05.31 등록) “버섯 적재장치 및 적재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버섯적재 장치(100)는 ‘ㄷ’자 형태로 생긴 제1 집게부, 제2 집게부, 제3 집게부, 제4 집게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집게부의 하단 즉, ‘ㄴ자’형태로 굽어져 트레이(400)가 가압되어 들어 올려지는 받침 부분에는 콘트롤러 패널이 연결되어있는 전자석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부는 콘트롤러 패널에서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제1, 제2, 제3, 제4 집게부가 트레이(400)를 가압한 후, 전자석부에 전류를 흘려넣으면 여자(勵磁)되어 트레이의 양측에 구비된 자석부와 붙게 되어 트레이(400)가 이송도중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2차 고정 역할을 함은 물론, 전자석으로 인하여 바른 자리에 안착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트레이 다수개를 집게형으로 견인하여 공중에서 옮기는 방식으로 버섯적재 장치(100)가 설치되어 위험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버섯적재 장치가 공중에 설치된 H빔(200)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설치가 까다롭고 유지 및 보수 작업에 따른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공중에서 집게나 로프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방식으로 적재 장소에 배치된 대차(300)에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적재시키고자 하는 경우 승하강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로프가 흔들리거나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불안정적이며, 트레이의 이송 가능한 개수도 한 쌍 정도이고, 버섯적재 장치(100)의 이동 반경 또한 넓어 트레이를 견인 이하는 작업 속도가 매우 더디게 진행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지들이 담긴 포트병들이 수용된 다수의 버섯 배지 트레이들을 적어도 복수의 행과 열로 정렬한 후 정렬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연속하여 적재할 수 있어 인력 낭비를 줄이고, 작업 시간의 단축과 그에 따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해진 규격의 팔레트 또는 대차에 다수의 트레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어 버섯 배지의 운반 또는 출하시 지게차 등을 이용한 이송작업이 용이한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는, 다수의 버섯 배지가 담긴 트레이를 운반수단에 자동 적재하기 위한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내측공간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과; 다수의 트레이들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들을 상기 내측공간의 정해진 도착지점으로 이송하는 롤러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도착지점으로 이송된 상기 트레이들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 왕복 작동되는 포크부재가 구비된 승강부와; 상기 이송부의 롤러컨베이어 일정 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트레이들을 적어도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정렬하는 트레이 정렬부와; 상기 트레이 정렬부에 의해 일정 행 및 열로 정렬되어 상기 도착지점에 이송된 상기 트레이들이 상기 포크부재에 의해 상기 운반수단에 동시에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포크부재와, 상기 포크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내측공간에서 상기 포크부재와 함께 승하강 이동 작동되는 리프트프레임과, 일측 말단이 상기 리프트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체인벨트와, 상기 제1 체인벨트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승하강구동모터와, 상기 제1 체인벨트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제1 체인벨트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반대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포크부재가 일정 높이로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수단을 향하여 전후진 왕복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리프트프레임을 작동시키는 전후진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는, 상기 전후진이동부는,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된 수평이동롤러와, 상기 수평이동롤러를 수평 이동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포크부재 또는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역회전 구동하는 전후진구동모터와, 상기 전후진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전후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전후진구동모터와 상기 수평이동롤러의 롤러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체인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는, 상기 트레이 정렬부는, 상기 롤러컨베이어의 정해진 일정 구간에서 적어도 복수의 열로 정렬되게 상기 트레이들이 정해진 대기위치까지 도착한 경우 이송방향으로의 이동이 임시 정지되게 개폐 작동되는 스톱바와, 상기 스톱바에 의해 임시 정지된 상태의 상기 트레이들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도록 전후진 작동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트레이들이 정해진 복수의 행과 열로 정렬되게 상기 푸셔의 작동을 제어하고, 정렬된 상태의 상기 트레이들이 상기 승강부의 도착지점을 향하여 동시에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톱바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는 버섯 배지 트레이의 이송 또는 운반 작업시 많은 양의 버섯 배지들을 단시간에 이송할 수 있어 인력을 절감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작업 효율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는 대차 등에 일정 행열로 정렬한 상태에서 다단으로 연속하여 적층 가능함에 따라 지게차 등을 이용한 운반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버섯 배지를 이송시킬 수 있어 양질의 버섯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적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의 승강부 및 전후진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의 트레이 정렬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를 통해 트레이가 이송되는 전체 흐름을 평면상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이하에서는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의 승강부 및 전후진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의 트레이 정렬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를 통해 트레이가 이송되는 전체 흐름을 평면상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1)는, 다수의 버섯 배지가 담긴 트레이(T)를 운반수단(C)에 자동 적재하기 위한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T)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과, 공급컨베이어(20)와, 이송부(30)와, 승강부(40)와, 전후진이동부(50), 트레이 정렬부(60) 및 제어부(도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소정의 내측공간(S)을 이루도록 수평프레임(11) 및 수직프레임(12) 다수개가 결합되어 대략 사각형의 구조를 이루며 상기 내측공간(S)을 이루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일측으로 운반수단(C) 즉, 이송용 대차나 팔레트가 실린 지게차 등이 접근하여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측면부가 개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컨베이어(20)는 상기 다수의 트레이(T)를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공급컨베이어(20)는 벨트형 컨베이어 또는 롤러형 컨베이어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버섯 배지가 담기는 상기 트레이(T)가 복수의 포트병이 담길 수 있는 적정 깊이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후술되는 상기 승강부(40)에 구성되는 포크부재(41)에 걸림 지지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돌출된 걸림턱(T')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T)들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내측공간(S)의 정해진 도착지점(Ap)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공급컨베이어(20)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이송부(30)는 다수의 회전롤러가 설치된 제1 이송컨베이어(31) 및 제2 이송컨베이어(32)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 및 제2 이송컨베이어(32)를 각각 작동시키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33a) 및 제2 구동모터(33b)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는 다수의 회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20)에 이웃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로 이송되는 트레이(T)가 임시로 머물 수 있는 이송 경로 및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는 상부로 상기 트레이(T) 하나가 놓일 수 있는 크기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는 후술되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1)와 함께 동시에 작동되거나 필요에 따라 각각 따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와 함께 상기 제1 구동모터(33a)와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에서 다수의 트레이(T)가 정렬되는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하나의 상기 트레이(T)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에 근접하여 대기하고,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를 향하여 곧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의 작동이 멈춘 경우 상기 공급컨베이어(20) 방향에서의 상기 트레이(T)의 공급이 함께 멈추도록 상기 공급컨베이어(20)의 작동이 일시 정지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의 작동으로 그 상부에 놓인 상기 트레이(T)가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이송 경로를 따라 트레이들이 계속하여 공급될 수 있게 상기 공급컨베이어(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는 제1 구동모터(33a) 및 상기 제2 구동모터(33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일측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와 이웃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까지 이어지도록 길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는 상기 트레이(T)의 이동을 위해 상기 공급컨베이어(20) 및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와 계속하여 이송 경로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는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에서 상기 트레이(T)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상에서 측면 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크기가 연장된 확장부(32a)가 마련된 것이 특징이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컨베이어(20)에서부터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를 거쳐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로 통하는 제1 이송경로(P1)는 일직선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에는 상기와 같은 확장부(32a)가 마련되어 후술되는 상기 트레이 정렬부(60)에 의해 다수의 트레이(T)가 정해진 개수로 복수의 열과 행으로 정렬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는 후술되는 상기 트레이 정렬부(60)에 의해 다수의 트레이(T)들이 정해진 일정 열과 행으로 정렬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한 상기 트레이 정렬부(6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이송부(3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도착지점(Ap)으로 다수의 트레이(T)가 이송 완료된 경우 상기 트레이(T)들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상기 운송수단(C) 즉, 이송용 대차나 팔레트 상부로 일정 높이만큼 적층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승강부(40)는 포크부재(41)와, 리프트프레임(42)과, 수직가이드롤러(43)와, 체인벨트(44)와, 승하강구동모터(45) 및 무게추(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포크부재(4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 왕복 작동되게 설치되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에 수평하게 결합된다.
상기 포크부재(41)는 상기 다수의 트레이(T)의 정렬되는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포크날(41a)이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포크날(41a)이 상기 트레이(T)의 가로 폭 또는 세로 폭과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격되는 4개의 포크날(41a)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크부재(41)의 포크날(41a)이 상기 트레이(T)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돌출된 걸림턱(T')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트레이(T)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승하는 경우 일정 열과 행으로 정렬된 다수의 트레이(T)들 각각은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포크부재(41)의 다수의 포크날(41a) 부분에 걸려 하방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트레이(T)가 운반수단에 적층되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T)가 안착된 후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트레이(T)들 사이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에서 승하강 이동됨과 동시에 전후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포크부재(41)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운반수단(C)을 향하여 전후진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가이드롤러(43)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승하강 작동시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가이드롤러(43)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수직프레임(10b)을 따라 구름접촉되게 상기 리프트프레임(42)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양측 네 방향에서 상하로 한 쌍씩 총 8개의 롤러가 마련되어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로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직가이드롤러(43)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은 상기 체인벨트(43)와, 상기 승하강구동모터(44) 및 상기 무게추(45)의 구성을 통해 승하강 왕복이동되게 작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부(40)는 일측 말단이 상기 리프트프레임(42)에 연결된 체인벨트(44)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측 수평프레임(11)에는 상기 체인벨트(44)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되는 상기 승하강구동모터(45)가 브라켓 등의 체결수단으로 안정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체인벨트(44)의 타측 말단에는 상기 무게추(46)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은 상기 승하강구동모터(45)의 정역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체인벨트(44)에 매달린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무게추(46)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프트프레임(42)측과 상호 일정한 무게 중심을 이루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포크부재(41)와, 상기 포크부재(41)에 의해 들리는 상기 트레이(T)들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42) 무게의 합이 상기 무게추(46) 무게의 합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무게추(46)의 무게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트레이(T)들이 상기 포크부재(41)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 상기 체인벨트(44)에 일정한 장력이 발생되어 상기 트레이들을 들어올리도록 상방향으로 작용되는 힘과 서로 평형을 이루도록 하고, 그로인해 상기 승하강구동모터(45)에 전달되는 부하를 줄임으로써 상기 포크부재(41)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1)는 상기 포크부재(41)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이 상기 승강부(40)에 의해 승하강 왕복이동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포크부재(41)가 일정 높이로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수단(C)을 향하여 전후진 왕복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을 작동시키는 전후진이동부(5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진이동부(50)는 수평이동롤러(51), 가이드레일(52), 전후진구동모터(53), 제2 체인벨트(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후진이동부(50)는 상기 승강부(20)의 리프트프레임(42) 내에 설치된 구성으로, 상기 리프트프레임(42)과 일체로 일정 높이 상승한 상태의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운반수단(C)을 향하여 정해진 거리만큼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포크부재(41)는 상기 운반수단(C)의 정해진 높이만큼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측면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이동롤러(51)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길이방향 양측 즉,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이 전후진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프레임(42)에 축설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롤러(51)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 폭 방향을 가로지르는 긴 축봉(51a)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프레임(42) 양측에서 평행하게 지지된 상태로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축봉(51a)은 상기 리프트프레임(42) 양측으로 설치된 수평이동롤러(51)의 롤러축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2)은 상기 수평이동롤러(51)가 구름 이동될 수 있게 수평 이동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가이드레일(52)은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기 수평이동롤러(51)가 설치되는 하단에 길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수평이동롤러(51) 및 상기 가이드레일(52)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랙과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진구동모터(53)는 상기 수평이동롤러(51)를 회전작동시키도록 상기 포크부재(41) 또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전후진구동모터(53)는 상기 제2 체인벨트(54)를 통해 상기 축봉(51a)의 동심상에 설치된 스프로켓과 같은 기어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롤러(51)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체인벨트(54)는 상기 전후진구동모터(53)와 상기 수평이동롤러(51)의 롤러축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전후진구동모터(53)의 회전운동을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전후진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진구동모터(53)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이 전후진 이동하는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도록 상기 리프트프레임(42)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축봉(51a)과 상기 제2 체인벨트(54)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롤러(51)가 구름 회전될 수 있게 정역 회전 구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전후진이동부(50)가 보조롤러(55) 및 가이드홈(5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롤러(55)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 양측 각각에 설치된 상기 수평이동롤러(51) 각각에 트라이앵글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길이방향 양측에 한 쌍씩 나란하게 롤러가 더 설치된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보조롤러(55)는 상기 가이드레일(52)의 하방으로 소정 이격되어 나란하게 내부홈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홈(56)에 구름 회전되게 가이드되며 지지되고, 이를 통해 상기 포크부재(41)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에서 큰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전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에서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승하강운동 및 전후진운동에 의해 일정 높이만큼 상승한 후 하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일정 높이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하며 상기 운반수단(C)을 향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에서 개방된 측면부를 통해 외부로 소정 거리만큼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정렬부(60)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0)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 및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로 이송되는 다수의 상기 트레이(T)들이 정해진 다수의 열과 행으로 정렬된 상태로 상기 포크부재(41)에 실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 정렬부(60)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는 다수의 상기 트레이(T)들이 정해진 일정 열과 행으로 정렬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에 비해 롤러들이 길게 형성되거나 보다 넓은 범위로 이어지도록 하는 상기 확장부(32a)가 마련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에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0)에서부터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를 거쳐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로 통하는 제1 이송경로(P1)와 나란하게 제2 이송경로(P2)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정렬부(60)에 의해 상기 확장부(32a)로 이동하며 정렬되는 트레이들이 상기 제1 이송경로(P1)와 상기 제2 이송경로(P2)를 통해 동시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 정렬부(60)는 스톱바(61), 푸셔(62) 및 작동실린더(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톱바(61)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 상부 일정 지점에 설치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까지 이어지게 설치된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 상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 과의 경계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톱바(61)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0) 및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를 거쳐 제1 이송경로(P1)로 공급되는 트레이들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의 전체 길이만큼 채워질 수 있도록 폐쇄 작동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으로의 진입을 막게 된다.
상기 푸셔(62)는 상기 스톱바(61)와 이웃하여 교차되는 방향의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푸셔(62)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 상의 제1 이송경로(P1) 전체 구간을 커버하도록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이송경로(P1) 상에 다수의 열로 정렬된 다수의 트레이들을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의 상기 확장부(32a)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이송경로(P1)를 통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의 전체 구간에 채워지도록 정해진 열만큼 공급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상기 제2 이송경로(P2) 상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작동실린더(63)는 일정 길이만큼 전후진 왕복 작동되는 로드의 말단이 상기 푸셔(62)와 연결되어 상기 푸셔가 전후진 작동되게 한다.
이에, 상기 작동실린더(63)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의 일정 높이로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로드가 안정되게 출몰되며 상기 푸셔(62)를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셔(62)의 전진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이송경로(P1) 상의 트레이들이 상기 제2 이송경로(P2)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푸셔(62)는 곧바로 후진 작동이 이어지면서 비워진 상기 제1 이송경로(P1) 상에 정해진 열만큼 복수의 트레이가 다시 채워지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제2 이송컨베이어(32) 상부에는 상기 스톱바(61)에 의해 폐쇄된 부분 즉, 상기 내측공간(S)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트레이가 일정 열과 행으로 정렬된 상태로 모두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1)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내측공간(S)에서 상기 포크부재(41)가 승하강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톱바(61)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푸셔(62) 및 작동실린더(63)에 의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의 제1 이송경로(P1) 및 상기 제2 이송경로(P2) 상에 다수의 트레이들이 정해진 열과 행만큼 모두 채워진 경우 상기 스톱바(61)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이 정렬부(60)에 의해 다수의 트레이들이 정렬 작업을 진행되는 중에는 상기 승강부(40) 및 전후진이동부(50)에 의해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운반수단(C)에 트레이들을 적재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와 같은 적재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톱바(61)가 계속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내측공간(S)의 바닥면에 대기상태로 있는 경우 상기 스톱바(61)를 개방하여 다수의 트레이들이 상기 내측공간(S)의 정해진 도착지점(Ap)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포크부재(41)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2)은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30)의 제1 구동모터(33a) 및 제2 구동모터(33b)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공급컨베이어(20)를 통해 상기 트레이(T)가 상기 제1 이송경로(P1)를 따라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31) 및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로 계속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32)에서는 상기 트레이 정렬부(60)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Sp) 즉, 상기 제1 이송경로(P1) 및 제2 이송경로(P2) 상에 정해진 열만큼의 트레이가 채워지면 상기 스톱바(61)를 개방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 정해진 도착지점(Ap)으로 복수의 열 및 행으로 정렬된 상태의 트레이들 모두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지점(Ap)의 하방에 대기하고 있는 상기 포크부재(41)가 상승하도록 상기 승하강구동모터(45)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때 연접하여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다수의 트레이(T)들 사이사이로 상기 포크부재(41)가 진입하여 상승하는 경우 상기 포크부재(41)의 다수의 포크날(41a)에 의해 상기 트레이(T)들의 걸림턱(T') 부분이 걸려 지지된 상태로 상기 트레이(T)들을 들어올리게 된다. 즉, 좌우 다수의 열과 행으로 정렬된 상태의 트레이들 전부를 동시에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40)에서 상기 포크부재(41)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센싱수단(도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센싱수단으로는 리미트스위치, 거리감지센서, 높이조절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30)에 의해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을 상승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운반수단(C)의 적정 높이와 나란한 높이까지 상승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반수단(C)에 높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트레이(T)들의 적층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포크부재(41)가 여러 단으로 적층된 트레이들의 높이에 따라 트레이가 적층 완료된 최상부까지 점차적으로 높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4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이 일정 높이만큼 상승 이동 완료된 경우 상기 전후진이동부(50)의 전후진구동모터(53)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 일정 높이에서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이 전진 이동 작동되기 전에 상기와 같은 센서수단에 의해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운반수단(C)에 적층된 트레이의 높이에 따라 일정 높이까지 위치될 수 있게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포크부재(41)는 상기 운반수단(C)에 먼저 적층된 트레이가 존재하는 경우 최상층의 트레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전진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포크부재(41)에 의해 운반수단으로 전진이동하는 트레이들이 먼저 적층된 하층의 트레이들과 상하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전진이동이 멈추는 것과 동시에 최상층에 적층된 트레이들의 상부를 향하여 상기 포크부재(41)가 하강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리프트프레임(42)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크부재(41)와 함께 하강하는 상기 트레이들은 최상층의 트레이들 상부로 안착된 경우 소정 높이만큼 더 하강하도록 이동한다. 이때, 상기 포크부재(41)는 상기 다수의 포크날(41a) 각각이 상기 트레이에 담긴 버섯 배지병 사이사이로 통과하며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강 작동이 진행되는 상기 포크부재(41)는 함께 하강하는 트레이들의 바닥면이 최상층의 트레이들에 담긴 버섯 배지병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포크날(41a) 부분이 상기 트레이(T)의 걸림턱(T')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포크부재(41)가 트레이(T)들로부터 걸림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후진구동모터(5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포크부재(41)를 후진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포크부재(41)는 상기 트레이(T)들 사이에서 빠져나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내측공간(S)으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포크부재(41)가 상기 내측공간(S)의 도착지점(Ap)과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승하강구동모터(45)가 다시 작동되며 상기 포크부재(41)가 상승 대기상태 즉, 상기 도착지점(Ap)의 하부로 하강 이동되게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포크부재(41)는 상기 트레이(T)를 상기 운반수단(C)에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게 되는데, 이때 트레이의 적층 높이에 따라 상기 포크부재(41)는 상승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승하강 이동과 상기 운반수단(C) 방향으로의 전후진 이동이 반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1)는 상기 이송부(30), 상기 승강부(40), 상기 전후진이동부(50) 및 상기 트레이 정렬부(60)와 같은 구성들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다수의 트레이들이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정렬 작업이 진행되고, 정렬된 상태의 다수의 트레이들이 운반수단에 신속하게 적층되며 안전하게 적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발생된다.
즉, 상기 포크부재(41)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다수의 많은 양의 트레이가 상기 운반수단(C)의 바닥면 최하단부터 한층씩 편리하게 적층하면서 목적한 높이만큼 많은 양의 트레이들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1)는 많은 양의 트레이들을 정렬하는 작업과 동시에 정렬된 상태의 트레이들을 적재하는 작업이 자동화로 빠르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인력 소모를 줄이고,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등 버섯 배지 트레이의 운반 및 이송 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이 종래에 비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 버섯 배지 트레이
C 운반수단
1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10 베이스프레임
20 공급컨베이어
30 이송부
31 제1 이송컨베이어
32 제2 이송컨베이어
33a 제1 구동모터
33b 제2 구동모터
40 승강부
41 포크부재
41a 포크날
42 리프트프레임
43 수직가이드롤러
44 제1 체인벨트
45 승하강구동모터
46 무게추
50 전후진이동부
51 수평이동롤러
52 가이드레일
53 전후진구동모터
54 제2 체인벨트
55 보조롤러
56 가이드홈
60 트레이 정렬부
61 스톱바
62 푸셔
63 작동실린더

Claims (4)

  1. 다수의 버섯 배지가 담긴 트레이를 운반수단에 자동 적재하기 위한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내측공간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과; 다수의 트레이들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들을 상기 내측공간의 정해진 도착지점으로 이송하는 롤러컨베이어가 구비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도착지점으로 이송된 상기 트레이들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 왕복 작동되는 포크부재가 구비된 승강부와; 상기 이송부의 롤러컨베이어 일정 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트레이들을 적어도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로 정렬하는 트레이 정렬부와; 상기 트레이 정렬부에 의해 일정 행 및 열로 정렬되어 상기 도착지점에 이송된 상기 트레이들이 상기 포크부재에 의해 상기 운반수단에 동시에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는, 상기 포크부재와, 상기 포크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내측공간에서 상기 포크부재와 함께 승하강 이동 작동되는 리프트프레임과, 일측 말단이 상기 리프트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체인벨트와, 상기 제1 체인벨트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승하강구동모터와, 상기 제1 체인벨트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제1 체인벨트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반대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포크부재가 일정 높이로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수단을 향하여 전후진 왕복 이동될 수 있게 상기 리프트프레임을 작동시키는 전후진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는, 다수의 회전롤러가 설치되어 각각 따로 작동되거나 함께 동시에 작동될 수 있는 제1 이송컨베이어 및 제2 이송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는 하나의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에 근접하여 대기하고 투입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트레이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상에서 측면 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크기가 연장된 확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정렬부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 정렬부는, 상기 트레이들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전체 길이만큼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이송방향으로의 이동이 임시 정지되게 개폐 작동되는 스톱바와, 상기 스톱바에 의해 임시 정지된 상태의 상기 트레이들을 상기 확장부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도록 전후진 작동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에서 상기 트레이들이 정해진 복수의 행과 열로 정렬되게 상기 푸셔의 작동을 제어하고, 정렬된 상태의 상기 트레이들이 상기 승강부의 도착지점을 향하여 동시에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톱바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포트 팔레트 자동 적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이동부는,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된 수평이동롤러와, 상기 수평이동롤러를 수평 이동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포크부재 또는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역회전 구동하는 전후진구동모터와, 상기 전후진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리프트프레임의 전후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전후진구동모터와 상기 수평이동롤러의 롤러축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체인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포트 팔레트 자동 적재 장치.
  4. 삭제
KR1020180117900A 2018-10-02 2018-10-02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KR101985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00A KR101985249B1 (ko) 2018-10-02 2018-10-02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00A KR101985249B1 (ko) 2018-10-02 2018-10-02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249B1 true KR101985249B1 (ko) 2019-06-04

Family

ID=6681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900A KR101985249B1 (ko) 2018-10-02 2018-10-02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2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111B1 (ko) * 2021-02-19 2021-11-11 (주)대정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KR102621767B1 (ko) * 2022-12-29 2024-01-10 주식회사에이멕스 자동 적재 장치
JP7465508B2 (ja) 2019-11-21 2024-04-11 共和機械株式会社 卵容器移送装置及び卵容器移送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560A (ja) * 1994-05-25 1995-12-05 Kyodo Printing Co Ltd 整列装置
JP2001270606A (ja) * 2000-03-24 2001-10-02 Okamura Corp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0918155B1 (ko) * 2009-04-22 2009-09-17 김승수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US20160280475A1 (en) * 2015-03-23 2016-09-29 Krone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piece goods, or bundles, respective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560A (ja) * 1994-05-25 1995-12-05 Kyodo Printing Co Ltd 整列装置
JP2001270606A (ja) * 2000-03-24 2001-10-02 Okamura Corp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0918155B1 (ko) * 2009-04-22 2009-09-17 김승수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US20160280475A1 (en) * 2015-03-23 2016-09-29 Krone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piece goods, or bundles, respective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5508B2 (ja) 2019-11-21 2024-04-11 共和機械株式会社 卵容器移送装置及び卵容器移送システム
KR102325111B1 (ko) * 2021-02-19 2021-11-11 (주)대정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KR102621767B1 (ko) * 2022-12-29 2024-01-10 주식회사에이멕스 자동 적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249B1 (ko)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KR101065466B1 (ko) 버섯재배용 수납박스 자동운반장치
KR100480380B1 (ko) 판재 적재 시스템
KR100918155B1 (ko) 버섯 배지 바구니의 자동 이송장치
CN214455044U (zh) 一种晶圆上料搬运机构
KR101153902B1 (ko) 버섯 적재장치 및 적재방법
CN209768658U (zh) 一种小蚕养殖用消毒投喂线
CN204751492U (zh) 全自动激光切割系统用移栽装置
CN213036698U (zh) 一种小蚕养殖用的抬升送料输送带
CN112514733A (zh) 一种适用于菌包顶部出菇的食用菌培养方法
CN213036699U (zh) 一种小蚕养殖用的堆垛、散装机构
CN112674037A (zh) 堆垛蚕盘添桑准备机构
CN113348976B (zh) 一种丛生食用菌采摘装置及使用方法
CN214988753U (zh) 蚕盘叠盘解叠装置
JP2001037329A (ja) 容器の搬送装置
CN212739340U (zh) 一种自动拆叠盘机
CN210558018U (zh) 一种果杯码垛机
CN211997689U (zh) 一种养菌上架机
JP7201549B2 (ja) 作物収穫車両
CN109761058B (zh) 一种用于秧盘播种线的叠落盘装置
CN207361702U (zh) 育菇室用食用菌菌筐搬运机器人
JP3403442B2 (ja) 収納容器の分離取り出し装置
CN112293354A (zh) 一种养殖盒取放机
CN219906191U (zh) 一种白酒酒曲生产线
CN214494588U (zh) 一种蚕盘垛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