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111B1 -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111B1
KR102325111B1 KR1020210022218A KR20210022218A KR102325111B1 KR 102325111 B1 KR102325111 B1 KR 102325111B1 KR 1020210022218 A KR1020210022218 A KR 1020210022218A KR 20210022218 A KR20210022218 A KR 20210022218A KR 102325111 B1 KR102325111 B1 KR 10232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osed
pair
large contain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승국
Original Assignee
(주)대정
성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정, 성승국 filed Critical (주)대정
Priority to KR102021002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 B65B11/045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by rotating platforms suppor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수병과 같은 저장용 대형용기를 다층으로 적재한 후 적재된 상태에서 포장용 랩으로 랩핑하여 제공하되, 적재플레이트에 대형용기를 직접 배치할 수 있어 적재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선적재된 대형용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후적재될 대형용기를 적재플레이트에 배치한 후 상방에서 대기 중인 선적재된 대형용기를 후적재된 대형용기의 상방으로 이동시켜 다층으로 적재함으로써 신속한 적재가 가능하여 적재 및 포장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과 상측면에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가 연결 형성된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포장용 랩을 통해 포장하는 랩핑수단을 포함한 랩핑모듈; 상기 적재플레이트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선(先) 인입된 대형용기를 들어 올려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기한 후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후(後) 인입된 대형용기의 상단에 배치시키는 포크가 구비된 스태커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스태커모듈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횡바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향한 일측에 개구된 출입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출입구에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포크와, 상기 지지판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포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포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출입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Large container loading and wrapping device}
본 발명은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수병과 같은 저장용 대형용기를 다층으로 적재한 후 적재된 상태에서 포장용 랩으로 랩핑하여 제공하되, 적재플레이트에 대형용기를 직접 배치할 수 있어 적재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선적재된 대형용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후적재될 대형용기를 적재플레이트에 배치한 후 상방에서 대기 중인 선적재된 대형용기를 후적재된 대형용기의 상방으로 이동시켜 다층으로 적재함으로써 신속한 적재가 가능하여 적재 및 포장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중량의 물품을 이동시킬 때는 일명 지게차라 지칭하는 소형크레인을 이용하게 되는데, 소형크레인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주행부의 일측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포크가 구비되어 고중량의 물품을 이동시킨다.
이때 고중량의 물품은 상기 포크가 출입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팔레트에 배치되는데, 고중량의 물품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팔레트에 적재한 이후 소형크레인의 포크를 이용하여 이를 들어 올린 후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팔레트에 물품을 배치한 상태에서 배송되는 경우 적재된 물품이 배송 중 추락(墜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용 로프를 이용하여 다수 회 결속하는데, 크기가 큰 대형 물품인 경우 결속이 어려워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팔레트에 물품을 배치한 이후 포장용 랩(wrap)를 이용해서 물품의 일부를 감싸서 고정한 후 고정용 로프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포장용 랩을 이용해서 물품의 일부를 감싸는 과정이 물품의 크기에 따라 매우 번거롭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일측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물품이 쓰러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6506호(2019.05.27.)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133호(2012.10.12.)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랩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회전플레이트에 안치되고, 회전플레이트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공급된 포장용 랩을 이용하여 물품의 외면을 감싸는 것이다.
상기의 종래기술을 통해 대형 및 고중량의 물품을 포장용 랩으로 포장하여 운반 중 추락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나, 상기 종래 기술은 작업자가 직접 팔레트에 물품을 다층으로 적재하기 때문에 적층되는 과정에서 물품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품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품이 추락하고, 추락한 물품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 또는 물품의 손상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6506호(2019.05.2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133호(2012.1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적재플레이트에 대형용기를 적재하되 단층으로 선적재한 상태에서 이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기시키고, 적재플레이트에 후적재한 단층의 상단에 대기하던 대형용기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다층으로 적재함으로써 적재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적재 과정에서 물품의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다층으로 적재된 대형용기를 포장용 랩을 통해 랩핑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적재 및 랩핑이 가능한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적재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대형용기가 이동 중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판이 구비되어 적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과 상측면에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가 연결 형성된 적재플레이트와,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포장용 랩을 통해 포장하는 랩핑수단을 포함한 랩핑모듈;
상기 적재플레이트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선(先) 인입된 대형용기를 들어 올려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기한 후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후(後) 인입된 대형용기의 상단에 배치시키는 포크가 구비된 스태커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스태커모듈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횡바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향한 일측에 개구된 출입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출입구에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포크와,
상기 지지판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포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포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출입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크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 사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출입구로 출입하는 다수 개의 포크발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 중 대형용기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대형용기의 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판과, 상기 제1판와 이격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되는 제2판과,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판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수단은, 상기 포크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출입레일과, 상기 한 쌍의 출입레일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랙기어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 양단이 각각 절곡되어 상기 포크에 결합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출입구동모터와, 상기 이동판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구동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랩핑수단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포장용 랩이 권취된 권취롤러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러에서 전달 받은 포장용 랩으로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랩핑롤러와, 상기 승강판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한 쌍의 지지판에 각각 배치되며 동력전달봉을 통해 연동하도록 배치되고 어느 하나는 상기 승강구동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는 한 쌍의 회전휠과, 상기 한 쌍의 회전휠에 각각 맞물려 회전휠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한 쌍의 체인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판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레일과,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롤러가 구비된 한 쌍의 수직승강판과, 상기 수직승강판과 상기 포크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체인의 길이 방향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브릿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고중량의 대형용기를 다층으로 적재하고 적재된 대형용기를 랩핑하는 것을 나란히 배열된 랩핑모듈과 스태커모듈을 통해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적재와 포장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용기를 다층으로 적재하는 과정에서 추락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다층 적재가 가능하여 추락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 대형용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용기의 적재 및 랩핑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랩핑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적재플레이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태커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태커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포크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태커모듈의 동작 상태를 개략 도시한 순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형용기의 적재 및 랩핑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용기의 적재 및 랩핑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포장용 랩을 통해 포장하는 랩핑모듈(10)과, 상기 랩핑모듈(10)에 대형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스태커모듈(5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랩핑모듈(10)을 상세히 살펴보면,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과 상측면에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21)가 연결 형성된 적재플레이트(20)와,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하방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수단(30)과,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일측에 배치되어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포장용 랩을 통해 포장하는 랩핑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플레이트(20)는 대형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용기가 적재되는 상측면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적재플레이트(20)는 상측면과 이에 연결되는 측면에는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구(21)가 연결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21)는 후술하는 스태커모듈(50)의 포크(70)의 포크발(72)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출입하는 것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 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출입구(21)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상측면이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분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분체 사이에 출입구(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입구(21)는 후술하는 랩핑수단(40)을 통해 다수 개의 대형용기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소형크레인을 통해 팔레트로 이송시킬 때 소형크레인에 구비된 포크가 출입한다.
즉, 상기 출입구(21)를 통해 소형크레인에 구비된 포크가 인입되어 일체화된 다수 개의 대형용기를 들어 올려 팔레트 또는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상측면에는 얇은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 받침판(22)이 배치되고, 상기 받침판(22)에 대형용기가 직접 적재된다.
상기 받침판(22)은 적재되는 대형용기의 단층마다 배치되는 것으로, 얇은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각 층에 배치되는 대형용기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대형용기가 다층으로 적재될 때 받침판(22)에 의한 높이 상승을 최소화한다.
상기 회전수단(30)은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회전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30)이 가동시 상기 적재플레이트(20)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회전수단과 적재플레이트는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3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모터와 상기 적재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회전수단(30)의 구성은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랩핑수단(40)은 상기 적재플레이트(20)에 적재된 대형용기를 포장용 랩을 통해 랩핑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랩핑수단(4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승강판(41)과, 상기 승강판(41)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프레임(42)과, 상기 승강프레임(42)의 일측에 배치되며 포장용 랩이 권취된 권취롤러(43)와, 상기 승강프레임(42)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러(43)에서 전달 받은 포장용 랩으로 적재플레이트(20)에 적재된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랩핑롤러(44)와, 상기 승강판(41)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4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동수단(45)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판(4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외측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승강프레임(42)은 상기 승강판(41)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후술하는 권취롤러(43)와 랩핑롤러(44)가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프레임(42)의 구조는 권취롤러(43)와 랩핑롤러(44)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롤러(43)에서 인출되는 포장용 랩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랩핑롤러(44)로 제공하기 위한 인출수단 및 장력유지롤러 등이 더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수단 및 장력유지롤러 등의 구조 및 결합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권취롤러(43)는 상기 승강프레임(42)의 일측에 배치되며 포장용 랩이 권취된 것으로, 인출수단을 통해 외부로 일정한 속도로 인출된다.
상기 랩핑롤러(44)는 상기 승강프레임(42)에서 상기 권취롤러(43)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권취롤러(43)로부터 전달 받은 포장용 랩으로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감싸서 랩핑한다.
상기 이동수단(45)은 상기 승강프레임(4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이동용모터와 상기 이동용모터에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배치되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승강프레임(42)에 결합되는 이동용체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수단(45)은 공지의 승강수단으로서 상술한 각 구성의 결합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랩핑수단(40)은 적재플레이트(20)에 적재된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포장용 랩을 통해 감싸서 랩핑하여 다수 개의 대형용기를 일체화한다.
상기 스태커모듈(50)은 상기 적재플레이트(20)에 대형용기를 다층으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플레이트(2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20)에 선(先) 인입된 대형용기를 들어 올려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기한 후 상기 적재플레이트(20)에 후(後) 인입된 대형용기의 상단에 배치시키는 포크(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태커모듈(50)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지주(61)와, 상기 지주(6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횡바(62)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20)를 향한 일측에 개구된 출입부(64)가 형성된 고정프레임(60)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판(63)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63) 사이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출입구(21)에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포크(70)와, 상기 지지판(63)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포크(7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80)과, 상기 포크(7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출입수단(9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60)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이 수직하게 배치된 다수 개의 지주(61)와 상기 지주(61)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횡바(62)를 통해 일체로 구성되되,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랩핑모듈(10)을 향한 일측이 개구된 출입부(6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61)가 배치되는 간격과 지주(61)의 상하 길이는 후술하는 포크(70)의 폭과 포크의 상하 이동 거리에 따라 조절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판(63)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60)의 출입부(64)측에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판(63)은 후술하는 승강수단(80)이 배치되는 것으로, 승강수단(80)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60)에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거나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판(63)에 배치된 승강수단(80)이 동작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서 지지판이 흔들리는 경우 승강수단(8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포크(70)로 전달되어 포크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대형용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63)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60)에 고정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하거나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포크(70)는 한 쌍의 지지판(63) 사이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적재플레이트(20)에 적재된 대형용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길이 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적재플레이트(20)에 형성된 출입구(21)를 향해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포크(70)는 승강수단(80)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출입수단(90)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승강수단(80)과 출입수단(9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크(70)는 대형용기의 안정적인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고 특히 대형용기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승 또는 하강 중 대형용기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71)와, 상기 가이드바(71) 사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출입구(21)로 출입하는 다수 개의 포크발(7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71)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 중 대형용기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판(7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7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바가 배치되어 한 쌍의 결합바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포크발(72)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71) 사이에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적재플레이트(20)에 형성된 출입구(21)에 출입하면서 적재된 대형용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러한 포크발(72)은 각각이 적재플레이트(20)에 형성된 출입구(21)에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대형용기가 적재된 받침판(22)의 저면과 맞닿는다.
상기 가압판(73)은 상기 포크발(72)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적재된 대형용기의 측면과 맞닿아 이를 가압하여 대형용기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71)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가압판(73)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대형용기의 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판(74)과, 상기 제1판(74)와 이격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바(71)에 고정되는 제2판(75)과, 상기 제1판(74)과 제2판(7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판(74)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76)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판(74)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대형용기의 측면과 맞닿는 것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판(74)에서 대형용기의 측면과 맞닿는 면에는 맞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패드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충격흡수용 패드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과 같이 자체 탄성복원력을 갖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1판의 전체에 부착되거나 다수 개의 분체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판(75)은 상기 제1판(74)과 이격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바(71)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판(75)에는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가압수단(76)의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수단(76)은 상기 제1판(74)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가압수단(76)은 상기 제1판(74)과 상기 제2판(7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판(74)을 제2판(75)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체(761)와, 상기 제1판(74)에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고정자석(762)과, 상기 제2판(75)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자석(76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자력을 형성하는 가변자석(763)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761)는 일단은 상기 제1판(74)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제2판(75)에 맞닿아 제1판(74)을 제2판(7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탄성체(761)를 통해 제1판(74)은 제2판(75)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탄성체(761)를 통해 제1판(74)은 대형용기의 측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포크(70)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 대형용기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자석(762)과 가변자석(763)은 상기 제1판(74)을 제2판(75)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제1판(74)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대형용기의 측면에 맞닿지 않도록 하여 적재된 상태의 대형용기가 제1판(74)에 맞닿아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자석(762)은 제1판(74)에 배치되는데,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제1판(74)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른 실시예로는 제1판의 외면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자석(762)이 제1판(74)에 인입되면 외부의 이물질 또는 습기로부터 고정자석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자력의 세기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고, 고정자석이 제1판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면 상대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자력의 세기가 강해지는 장점은 있으나 이물질 또는 습기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정자석이 제1판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어 이물질 또는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자석(763)은 상기 제2판(75)에 배치되되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을 형성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자력이 소실되는 전자석(電磁石)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판(75)에는 상기 가변자석(763)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및 제어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제어수단의 구성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가압판(73)은 탄성체(761)에 의해 제1판(74)이 탄성 가압되어 대형용기의 측면에 맞닿아 대형용기의 추락을 방지하고, 대형용기로 진입하거나 이탈하는 과정에서는 제1판(74)을 제2판(75)측으로 당겨서 이동하는 제1판(74)이 대형용기를 건드리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판(73)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 중 대형용기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다층으로 적재된 대형용기의 안정적인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승강수단(80)은 상기 지지판(63)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포크(7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판(6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구동모터(81)와, 상기 한 쌍의 지지판(63)에 각각 배치되며 동력전달봉(821)을 통해 연동하도록 배치되고 어느 하나는 상기 승강구동모터(8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는 한 쌍의 회전휠(82)과, 상기 한 쌍의 회전휠(82)에 각각 맞물려 회전휠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한 쌍의 체인(83)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판(63)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레일(84)과, 상기 수직레일(84)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롤러(851)가 구비된 한 쌍의 수직승강판(85)과, 상기 수직승강판(85)과 상기 포크(70)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체인(83)의 길이 방향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브릿지(86)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모터(81)는 한 쌍의 지지판(6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동작시 상기 한 쌍의 회전휠(82)을 회전시킨다.
상기 한 쌍의 회전휠(82)은 한 쌍의 지지판(63)에 각각 배치되며 동력전달봉(821)을 통해 연동하도록 배치되는데, 한 쌍의 회전휠(8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승강구동모터(8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휠이고 다른 하나는 동력전달봉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통해 회전하는 피동휠이다.
상기 한 쌍의 체인(83)은 한 쌍의 회전휠(82)에 각각 맞물리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 일단이 후술하는 브릿지(86)에 결합되어 상기 브릿지(8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 한 쌍의 수직레일(8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판(63)에 각각 배치되어 수직승강판(85)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수직승강판(85)은 수직레일(8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롤러(85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브릿지(86)는 상기 수직승강판(85)과 상기 포크(7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체인(83)의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는 것으로, 체인(83)의 이동에 따라 포크(7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 출입수단(90)은 상기 포크(7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출입레일(91)과, 상기 한 쌍의 출입레일(91)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랙기어(92)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 양단이 각각 절곡 되어 상기 포크(70)에 결합되는 이동판(93)과, 상기 이동판(93)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출입구동모터(94)와, 상기 이동판(93)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구동모터(94)에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92)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95)을 포함한다.
상기 출입레일(91)은 상기 고정프레임(60)에서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랙기어(92)는 상기 한 쌍의 출입레일(91)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기어산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판(93)은 편평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되 길이 방향 양단이 각각 절곡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기 포크(70)의 가이드바(71)에 고정되며 상기 출입구동모터(94)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구동모터(94)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상기 랙기어(92)에 맞물린 피니언기어(95)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판(93)에는 상기 피니언기어(95)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전환수단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동력전환수단의 일예로 상기 이동판(93)에 베어링이 인입되고 상기 베어링에 피니언기어(95)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피니언기어(95)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때 이동판(93)을 이동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으로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출입구동모터(94)와 피니언기어(95)의 구조 및 동작관계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출입레일(91)은 상기 출입구동모터(94)가 동작하면서 피니언기어(95)를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95)는 랙기어(92)와 맞물린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랙기어(92)가 배치된 이동판(93)이 동시에 이동하면서 포크(7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모듈(50)의 동작 상태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 적재플레이트(20)에 받침판(22)을 배치하고 받침판(22) 상면에 대형용기를 배치하여 하나의 층을 형성한 후, 스태커모듈(50)의 포크(70)가 적재플레이트(20)측으로 이동하여 받침판(22)의 저면에 맞닿아 이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대기한다.
이후 적재플레이트(20)에 새로운 받침판(22)을 배치한 후 새로운 대형용기를 배치한 후 상방에 대기 중이던 포크(70)를 하강시켜 대형용기를 다층으로 적층시킨다.
이때 하강하는 포크(70)의 포크발(72)은 인접한 대형용기 사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입되었다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하는 것으로, 하방에 적층된 대형용기와 포크발이 맞닿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대형용기가 다층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발(72)은 적재플레이트(20)의 출입구(21)에 재진입하여 받침판(22)의 저면에 맞닿아 이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대기한다.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대형용기를 원하는 높이, 원하는 층으로 적재한 후 랩핑모듈(10)을 구동시켜 포장용 랩이 적층된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감싸서 랩핑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10 : 랩핑모듈
20 : 적재플레이트
21 : 출입구 22 : 받침판
30 : 회전수단
40 : 랩핑수단
41 : 승강판 42 : 승강프레임
43 : 권취롤러 44 : 랩핑롤러
45 : 이동수단
50 : 스태커모듈
60 : 고정프레임
61 : 지주 62 : 횡바
63 : 지지판 64 : 출입부
70 : 포크
71 : 가이드바 72 : 포크발
73 : 가압판 74 : 제1판
75 : 제2판 76 : 가압수단
761 : 탄성체 762 : 고정자석
763 : 가변자석
80 : 승강수단
81 : 승강구동모터 82 : 회전휠
83 : 체인 84 : 수직레일
85 : 수직승강판 86 : 브릿지
90 : 출입수단
91 : 출입레일 92 : 랙기어
93 : 이동판 94 : 출입구동모터
95 : 피니언기어

Claims (5)

  1.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면과 상측면에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21)가 연결 형성된 적재플레이트(20)와,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하방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수단(30)과,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일측에 배치되어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포장용 랩을 통해 포장하는 랩핑수단(40)을 포함한 랩핑모듈(10);
    상기 적재플레이트(2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재플레이트(20)에 선(先) 인입된 대형용기를 들어 올려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기한 후 상기 적재플레이트(20)에 후(後) 인입된 대형용기의 상단에 배치시키는 포크(70)가 구비된 스태커모듈(50);을 포함하되,
    상기 스태커모듈(50)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지주(61)와, 상기 지주(6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횡바(62)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20)를 향한 일측에 개구된 출입부(64)가 형성된 고정프레임(60)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판(63)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63) 사이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출입구(21)에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포크(70)와,
    상기 지지판(63)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포크(7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80)과,
    상기 포크(7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출입수단(90)을 포함하고,
    상기 포크(7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71)와,
    상기 가이드바(71) 사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출입구(21)로 출입하는 다수 개의 포크발(7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71)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 중 대형용기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판(73)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73)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대형용기의 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판(74)과,
    상기 제1판(74)과 이격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바(71)에 고정되는 제2판(75)과,
    상기 제1판(74)과 상기 제2판(7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판(74)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76)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76)은 상기 제1판(74)과 상기 제2판(7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판(74)을 상기 제2판(75)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체(761)와, 상기 제1판(74)에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고정자석(762)과, 상기 제2판(75)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자석(76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자력을 형성하는 가변자석(7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수단(90)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출입레일(91)과,
    상기 한 쌍의 출입레일(91)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랙기어(92)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 양단이 각각 절곡되어 상기 포크(70)에 결합되는 이동판(93)과,
    상기 이동판(93)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출입구동모터(94)와,
    상기 이동판(93)에 배치되며 상기 출입구동모터(94)에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92)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9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랩핑수단(4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플레이트(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승강판(41)과,
    상기 승강판(41)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프레임(42)과,
    상기 승강프레임(42)의 일측에 배치되며 포장용 랩이 권취된 권취롤러(43)와,
    상기 승강프레임(42)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러(43)에서 전달 받은 포장용 랩으로 적재플레이트(20)에 적재된 대형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랩핑롤러(44)와,
    상기 승강판(41)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4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이동수단(45)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80)은,
    상기 한 쌍의 지지판(6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구동모터(81)와,
    상기 한 쌍의 지지판(63)에 각각 배치되며 동력전달봉(821)을 통해 연동하도록 배치되고 어느 하나는 상기 승강구동모터(8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는 한 쌍의 회전휠(82)과,
    상기 한 쌍의 회전휠(82)에 각각 맞물려 회전휠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한 쌍의 체인(83)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판(63)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레일(84)과,
    상기 수직레일(84)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롤러(851)가 구비된 한 쌍의 수직승강판(85)과,
    상기 수직승강판(85)과 상기 포크(70)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체인(83)의 길이 방향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브릿지(8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 장치.
KR1020210022218A 2021-02-19 2021-02-19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KR102325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18A KR102325111B1 (ko) 2021-02-19 2021-02-19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18A KR102325111B1 (ko) 2021-02-19 2021-02-19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111B1 true KR102325111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218A KR102325111B1 (ko) 2021-02-19 2021-02-19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1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33Y1 (ko) 2010-06-18 2012-10-18 (주)아모레퍼시픽 랩핑장치
KR101506618B1 (ko) * 2013-10-24 2015-03-27 세왕오토팩 주식회사 턴테이블형 랩핑장치
KR200484482Y1 (ko) * 2017-05-15 2017-09-08 우인옥 박스 적재장치
KR20190056506A (ko) 2017-11-17 2019-05-27 티앤아이(주) 견고한 랩핑이 가능한 랩핑기
KR101985249B1 (ko) * 2018-10-02 2019-06-04 김형연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33Y1 (ko) 2010-06-18 2012-10-18 (주)아모레퍼시픽 랩핑장치
KR101506618B1 (ko) * 2013-10-24 2015-03-27 세왕오토팩 주식회사 턴테이블형 랩핑장치
KR200484482Y1 (ko) * 2017-05-15 2017-09-08 우인옥 박스 적재장치
KR20190056506A (ko) 2017-11-17 2019-05-27 티앤아이(주) 견고한 랩핑이 가능한 랩핑기
KR101985249B1 (ko) * 2018-10-02 2019-06-04 김형연 버섯 배지 트레이 자동 적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0267A (ko) 물품 반송용 상자의 반송 장치
EP2896582A1 (en) Transelevator for handling pallets, and goods storage system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KR20110113107A (ko) 물류 자동화 창고
WO2001066456A9 (en) Apparatus for transport and delivery of articles
KR101382195B1 (ko) 자재 보관장치
KR101164151B1 (ko) 랩핑 기계, 탑 포일 랩핑 기계 및 랩핑 기계 또는 탑 포일 랩핑 기계를 보관 또는 운송하기 위한 방법
JP5643804B2 (ja) 板材保管棚
US9017007B2 (en) Pallet turntable, a method for turning a pallet and use of a pallet turntable
JPH11199058A (ja) フォーク駆動式荷役装置及び荷役方法
CN112110383A (zh) 一种双立柱堆垛机
KR102325111B1 (ko) 대형용기 적재 및 랩핑장치
CN213595797U (zh) 双立柱堆垛机
KR102263341B1 (ko) 톰슨박스 반전 공급장치
CN114435832B (zh) 一种料箱搬运机器人
KR20030006277A (ko) 스태커 크레인
KR102512760B1 (ko) 적재물품의 통랩 포장용 포장장치
JP3216400B2 (ja) 立体駐車装置
KR101970286B1 (ko) 고정기능을 구비하는 적재함 이송 및 승, 하강장치
US2720322A (en) Materials piling devices
CN216003987U (zh) 一种用于物料存储的超大型堆垛机
JP6120033B2 (ja) 物品搬送用箱の搬送装置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JP3572477B2 (ja) 格納装置
JP4258059B2 (ja) 倉庫設備における入出庫台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