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167B1 - 발음기 - Google Patents

발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167B1
KR101979167B1 KR1020187008797A KR20187008797A KR101979167B1 KR 101979167 B1 KR101979167 B1 KR 101979167B1 KR 1020187008797 A KR1020187008797 A KR 1020187008797A KR 20187008797 A KR20187008797 A KR 20187008797A KR 101979167 B1 KR101979167 B1 KR 10197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mber
terminal
terminal metal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994A (ko
Inventor
스스무 미야타
고시로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7474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38597A1/ja
Publication of KR20180044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발음기에 있어서, 외부의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제 판재의 접속 단자(28)는, 베이스(10)의 내부로 돌출되는 부위에 홈부(281)를 갖고, 발음체(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제 판재의 단자 금속 부재(24)에는, 발음체(20)에 기계적으로 접합되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홈부에 압입된 돌기 판부(242)를 설치한다. 접속 단자의 홈부에 압입된 돌기 판부를 단자 금속 부재에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발음기에 있어서의 리드 핀을 폐지하여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단자 금속 부재와 리드 핀의 납땜이나 리드 핀의 꺾어 구부림을 폐지하여 가공 공정을 적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음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당해 개시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 2015년 9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172150호, 및, 2016년 8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53885호를 기초로 하고 있다.
본 개시는, 전기 신호를 받아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발음기는, 발음체와 단자 금속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단자 금속 부재에 막대 형상의 리드 핀이 납땜되어 있다. 그리고, 발음체를 베이스 내에 진입시켜 베이스의 격벽에 설치할 때, 베이스에 돌출 설치한 접속 단자의 홈부에 리드 핀이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5650142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발음기는, 접속 단자와 단자 금속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리드 핀이 필요하여, 부품 점수가 많아진다. 또한, 리드 핀을 사용하기 위해, 단자 금속 부재와 리드 핀을 납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수회 리드 핀을 꺾어 구부릴 필요가 있어, 그 결과 가공 공정이 많아진다.
본 개시는 상기 점을 감안하여, 부품 점수 및 가공 공정을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발음기는, 전기 신호를 받아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체와, 발음체와 도전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금속 부재와, 발음체가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를 관통한 상태에서 베이스에 고정되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외부의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접속 단자는,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의 내부로 돌출되는 부위에, 일단측이 개구된 홈부를 구비한다. 단자 금속 부재는,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고, 발음체에 기계적으로 접합됨과 함께 도전 부재가 납땜된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홈부의 개구단부로부터 홈부에 압입된 돌기 판부를 구비한다.
이것에 따르면, 접속 단자의 홈부에 압입된 돌기 판부를 단자 금속 부재에 일체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발음기에 있어서의 리드 핀을 폐지하여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단자 금속 부재와 리드 핀의 납땜이나 리드 핀의 꺾어 구부림을 폐지하여 가공 공정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자 금속 부재는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자 금속 부재의 돌기 판부를 접속 단자의 홈부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도전 부재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의 납땜부에 전달되기 어려운 형상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돌기 판부에 있어서의 홈부에의 압입 방향에 있어서, 당해 돌기 판부의 선단측의 치수보다도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에 가까운 측의 치수가 커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의 돌기 판부를 접속 단자의 홈부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의 선단측의 변형을 흡수하고,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에 하중을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도전 부재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의 납땜부에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돌기 판부는, 당해 돌기 판부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측의 단부와 당해 돌기 판부에 있어서의 홈부에 압입된 부위 사이에, 굴곡부를 가져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의 돌기 판부에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돌기 판부의 길이가 길어져, 돌기 판부를 접속 단자의 홈부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의 선단측의 변형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납땜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에 접속하고 있는 근원부, 접속 단자의 홈부에 끼워 맞춰져 있는 끼워 맞춤부, 및, 근원부와 끼워 맞춤부 사이에서 만곡하도록 형성되는 만곡부를 가져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의 돌기 판부에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만곡부를 통해 근원부와 끼워 맞춤부의 거리가 길어진다. 그 때문에, 돌기 판부는, 발음체가 소리를 발생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 발음기가 설치되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한 발음기의 각 구성 부재의 신축에 의한 반복 응력 등을 만곡부에 의해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기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와 도전 부재를 접속하는 납땜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하여, 납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음기는, 접속 단자의 홈부와 돌기 판부의 끼워 맞춤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고, 그 접촉 개소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는, 단자 금속 부재의 돌기 판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만곡부는, 돌기 판부의 판 두께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면을 따라서 만곡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의 제조 시에 있어서, 금속제 판재를 전단 가공함으로써, 돌기 판부가 갖는 근원부, 끼워 맞춤부 및 만곡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단 가공으로서, 예를 들어 프레스기에 의한 펀칭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금속제 판재를 돌기 판부의 판 두께 방향으로 굽힘 가공하거나 하지 않고,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 공정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제조상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만곡부는, 돌기 판부가 끼워 맞춰져 있는 홈부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가상면을 따라서 만곡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의 돌기 판부는, 홈부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체격을 대형화시키지 않고, 돌기 판부에 필용한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기는, 홈부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에 있어서, 돌기 판부의 체격을 소형화할 수 있다.
만곡부는, 끼워 맞춤부로부터 근원부측을 향하여 볼록의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제1 만곡부와, 그 제1 만곡부로부터 반근원부측을 향하여 볼록의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제2 만곡부를 가져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만곡부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를 가짐으로써, 그 길이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돌기 판부는, 발음체가 소리를 발생할 때의 진동, 발음기가 설치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진동, 또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한 발음기의 각 구성 부재의 신축 등을 제1, 제2 만곡부에 의해 확실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기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와 도전 부재를 접속하는 납땜부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접속 단자의 홈부와 돌기 판부의 끼워 맞춤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는,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에 더하여, 제3 만곡부 등을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만곡부의 외주의 근원부측의 부위는, 제2 만곡부의 외주의 반근원부측의 부위보다도, 근원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와 접속 단자 사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에 필용한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3차원의 어느 방향으로도 약한 힘에 의해 변위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돌기 판부는, 발음체가 소리를 발생할 때의 진동, 발음기가 설치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진동, 또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한 발음기의 각 구성 부재의 신축 등을 만곡부에 의해 확실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기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와 도전 부재를 접속하는 납땜부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접속 단자의 홈부와 돌기 판부의 끼워 맞춤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 금속 부재는, 수지제 판재로 이루어지는 단자판을 통해 발음체에 일체화할 수 있다.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는, 단자판에 맞닿음과 함께 도전 부재가 납땜된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와, 슬릿부에 의해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로부터 분리되어 있음과 함께 단자판에 맞닿지 않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해도 된다. 돌기 판부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의 자유단으로부터 접속 단자측을 향하여 연장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의 돌기 판부를 접속 단자의 홈부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뿐만 아니라,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도 변형된다. 따라서, 변형되는 부위의 길이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의 분만큼 길어져, 돌기 판부를 홈부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의 선단측의 변형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납땜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발음체는,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진동판과,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판 구동부와, 진동판 구동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구비해도 되고, 프레임과 단자판이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발음기는, 전기 신호를 받아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체와, 발음체가 설치되는 베이스와, 발음체와 도전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금속 부재이며, 발음체에 기계적으로 접합됨과 함께 도전 부재가 납땜된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돌기 판부를 구비한 금속제 판을 갖는 단자 금속 부재와, 베이스를 관통한 상태에서 베이스에 고정된 금속제 판을 갖는 접속 단자이며, 접속 단자는 베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외부의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접속 단자는 베이스의 내측에 있어서 돌기 판부가 압입된 홈을 갖고 있는,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좌측면도이다.
도 5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발음체를 베이스에 조립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8c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9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9c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발음체를 베이스에 조립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11c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12a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12c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하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발음체를 베이스에 조립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4b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14c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15a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정면도이다.
도 15b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15c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하면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와 단자판의 사시도이다.
도 17a는 본 개시의 비교예의 발음기의 제조 공정 중의 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b는 비교예의 발음기의 제조 공정 중의 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c는 비교예의 발음기의 제조 공정 중의 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d는 비교예의 발음기의 제조 공정 중의 일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개시의 발음기의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제의 제품에 있어서는, 리드 핀이 접속 단자의 홈부에 끼워 넣어질 때, 단자 금속 부재와 리드 핀의 납땜부에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 및 제조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7a∼도 17d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핀(90)은 단체 상태에서 J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단자 금속 부재(91)에는, 리드 핀(90)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91a)이 형성되어 있다. 발음체(92)의 수지부에는, 리드 핀(90)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9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핀(90)을 각 관통 구멍(91a, 92a)에 삽입하고, 계속해서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핀(90)에 있어서의 발음체(92)의 관통 구멍(92a)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대략 90° 꺾어 구부려서, 접속 단자의 홈부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 넣기부(90a)를 형성한 후, 도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금속 부재(91)와 리드 핀(90)을 납땜한다.
이와 같이 하면, 리드 핀(90)의 끼워 넣기부(90a)가 접속 단자의 홈부에 끼워 넣어질 때, 리드 핀(90)의 끼워 넣기부(90a)에 굽힘 하중이 가해져도, 그 하중은 단자 금속 부재(91)와 리드 핀(90)의 납땜부에는 전달되지 않아, 납땜부에 응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예의 발음기는, 접속 단자와 단자 금속 부재(9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리드 핀(90)이 필요하여, 부품 점수가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드 핀(90)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자 금속 부재(91)와 리드 핀(90)을 납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납땜부에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리드 핀(90)이 각 관통 구멍(91a, 92a)에 삽입되는 전후에 있어서 복수회 리드 핀(90)을 꺾어 구부릴 필요가 있고, 그 결과 가공 공정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형태를 설명한다. 각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는,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발음기는,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어 차실 외부에 경보음을 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베이스(10)는,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베이스(10)의 일단측 개구부에, 베이스(10)의 일단측을 폐색하도록 하여 대략 바닥이 있는 사각통 형상의 수지제의 커버(12)가 접합되어 있다. 베이스(10)의 타단측 개구부에, 베이스(10)의 타단측을 폐색하도록 하여 대략 바닥이 있는 사각통 형상의 케이스(14)가 기밀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베이스(10) 및 케이스(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전기 신호를 받아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체(20)가 수용되어 있다. 발음체(20)는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원추 형상의 진동판(201)과, 이 진동판(201)을 진동시키기 위한 코일 및 자석을 포함하는 진동판 구동부(202)와, 진동판 구동부(202)를 수용함과 함께 진동판(201)의 외주연부를 고정하는 금속제의 프레임(203)을 구비하고 있다.
발음체(20)는 프레임(203)이 베이스(10)에 나사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됨과 함께, 진동판(201)의 외주연부가 베이스(10)에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진동판 구동부(202)의 코일은, 도전 부재로서의 틴셀 와이어(22)를 통해, 도전성 금속(예를 들어, 황동)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단자 금속 부재(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진동판 구동부(202)와 틴셀 와이어(22), 및 틴셀 와이어(22)와 단자 금속 부재(24)는 모두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프레임(203)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단자판(26)이 코오킹에 의해 접합되고, 이 단자판(26)에 단자 금속 부재(24)가 코오킹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환언하면, 단자 금속 부재(24)는 단자판(26)을 통해 발음체(20)의 프레임(203)에 일체화되어 있다.
단자 금속 부재(24)는 도전성 금속(예를 들어, 황동)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28)를 통해, 외부의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외부의 기기로부터의 전기 신호(즉, 음원 신호)가 접속 단자(28), 단자 금속 부재(24), 틴셀 와이어(22)의 경로로, 진동판 구동부(202)의 코일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발음체(20)는 진동판 구동부(202)가 외부의 기기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받아 진동판(201)을 진동시킴으로써, 소리를 발생한다.
발음체(20)가 발생한 소리는, 베이스(10) 및 커버(12) 내에 형성된 소리 통로를 통해 전파되고, 커버(12)에 형성된 방음공(121)으로부터 경보음으로서 외부에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10)와 케이스(14)와 발음체(20)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된 공간의, 온도 변화에 의한 압력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베이스(10)와 케이스(14)와 발음체(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에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베이스(10)에 형성되어 있다. 그 관통 구멍은, 통기는 하지만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압력 조정막(도시하지 않음)으로 덮여 있다.
접속 단자(28)는 베이스(10)의 외주벽을 관통한 상태에서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단자(28)는 베이스(10)의 성형 후에 압입되거나, 또는, 베이스(10)의 성형 시에 인서트재로서 성형되어 베이스(10)에 설치된다. 접속 단자(28)는 금속제 판재(금속제 판)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0)의 외주면에는, 외부 하니스용의 통 형상의 커넥터 하우징(101)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접속 단자(28)에 있어서의 베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는 커넥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 단자(28)에 있어서의 베이스(10)의 내부로 돌출되는 부위[이하, 접속 단자(28)의 내측 부위라 함]는, 선단부가 케이스(14)측을 향하도록,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리고, 접속 단자(28)의 내측 부위의 선단측에는, 선단면[즉, 케이스(14)에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홈부(281)(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281)는 선단면으로부터 구부림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다음에, 단자 금속 부재(24) 및 단자판(26)에 대하여, 도 5a∼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자 금속 부재(24)는 금형을 사용하여 도 5a, 도 5b, 도 5c에 도시한 형상으로 가공된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금속 부재(24)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돌기 판부(242)가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판(26)과의 코오킹 접합에 이용되는 코오킹 돌기부(243)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단자 금속 부재(24)는 주석 도금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에 의한 가공 후에 주석 도금을 실시해도 되고, 혹은, 재료에 주석 도금을 실시한 후에 금형으로 가공해도 된다.
그리고, 단자판(26)에 형성된 단자판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코오킹 돌기부(243)를 삽입한 후, 코오킹 돌기부(243)의 선단을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가 단자판(26)에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가 단자판(26)에 기계적으로 접합된 상태에서는, 돌기 판부(242)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의 일단측 단부로부터, 단자판(2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자판(26)에는, 프레임(203)과의 코오킹 접합에 이용되는 단자판 관통 구멍(2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판(26)은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 금속 부재(24)와 단자판(26)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프레임(203)에 형성된 돌기부(도시하지 않음)를 단자판 관통 구멍(261)에 삽입하고, 돌기부의 선단을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단자판(26)이 프레임(203)에 기계적으로 접합되고, 나아가서는 단자 금속 부재(24)와 단자판(26)이 프레임(203)에 일체화되어 있다.
여기서, 발음체(20), 틴셀 와이어(22), 단자 금속 부재(24) 및 단자판(26)이 일체화된 것을 발음체 집합체(2)라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음체 집합체(2)를 베이스(10)에 조립할 때, 발음체 집합체(2)를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하,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을 이동 방향 X라 한다. 이동 방향 X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10)에 있어서의 케이스(14)가 접합되는 측으로부터, 베이스(10)에 있어서의 커버(12)가 접합되는 측을 향하는 방향이며, 돌기 판부(242)가 홈부(281)에 압입되는 방향이다.
발음체 집합체(2)를 이동 방향 X를 따라서 보았을 때, 돌기 판부(242)의 대부분이 프레임(203)의 외주연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2 참조).
돌기 판부(242)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 X의 치수는, 그 선단측[즉,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로부터 먼 측]의 치수(24a)보다도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에 가까운 측의 치수(24b)가 크게 되어 있다(도 5a∼도 5c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 판부(242)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 X의 치수(24a)를 약 1.5㎜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단자 금속 부재(24)의 판 두께를 약 0.8㎜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홈부(281)의 폭은, 단자 금속 부재(24)의 판 두께보다도 약간 좁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홈부(281)의 폭을 약 0.65㎜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발음체 집합체(2)를 베이스(10)에 조립할 때, 발음체 집합체(2)의 이동에 의해, 도 2∼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금속 부재(24)의 돌기 판부(242)가 접속 단자(28)의 홈부(281)에 압입된다. 이에 의해, 단자 금속 부재(24)와 접속 단자(28)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이동 방향 X를 따라서 보았을 때의 돌기 판부(242)와 홈부(281)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돌기 판부(242)가 홈부(281)의 위치에 합치하도록 변형되어, 홈부(281)에 침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속 단자(28)의 홈부(281)에 압입되는 돌기 판부(242)를 단자 금속 부재(24)에 일체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예의 발음기에 있어서의 리드 핀을 폐지하여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단자 금속 부재와 리드 핀의 납땜이나 리드 핀의 꺾어 구부림을 폐지하여 가공 공정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자 금속 부재(24)는 금속제 판재(금속제 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돌기 판부(242)를 홈부(281)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242)에 가해지는 하중이 틴셀 와이어(22)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의 납땜부에 전달되기 어려운 형상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돌기 판부(242)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 X의 치수는, 그 선단측의 치수(24a)보다도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에 가까운 측의 치수(24b)가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 판부(242)를 홈부(281)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242)의 선단측 변형을 흡수하고,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에 가해지는 하중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8a∼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금속 부재(24)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또는 균등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도 8a∼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는 단자판(26)에 맞닿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244)와, 단자판(26)에 맞닿지 않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244)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를 연결하는 연결부(246)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244)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는 슬릿부(247)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와 돌기 판부(242)는 연속하고 있다. 또한,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 X의 치수, 및 돌기 판부(242)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 X의 치수는 동일하고 또한 일정하다.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와 돌기 판부(242)는 L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돌기 판부(242)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의 자유단으로부터 접속 단자(28)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코오킹 돌기부(243)는 관통 구멍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판(26)에 형성된 단자판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코오킹 돌기부(243)를 삽입한 후, 코오킹 돌기부(243)의 선단을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가 단자판(26)에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단자판(26)을 접합한 후, 틴셀 와이어(22)가 코오킹 돌기부(243)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틴셀 와이어(22)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244)에 납땜된다. 또한, 부호 248을 붙인 부위가, 틴셀 와이어(22)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244)를 납땜한 납땜부이다.
그리고, 발음체 집합체(2)를 베이스(10)에 조립할 때, 이동 방향 X를 따라서 보았을 때의 돌기 판부(242)와 홈부(281)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돌기 판부(242)가 홈부(281)의 위치에 합치하도록, 돌기 판부(242) 및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가 변형되어, 돌기 판부(242)가 홈부(281)에 침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교예의 발음기에 있어서의 리드 핀을 폐지하여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단자 금속 부재와 리드 핀의 납땜이나 리드 핀의 꺾어 구부림을 폐지하여 가공 공정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자 금속 부재(24)는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돌기 판부(242)를 홈부(281)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242)에 가해지는 하중이 틴셀 와이어(22)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244)의 납땜부(248)에 전달되기 어려운 형상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돌기 판부(242)를 홈부(281)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242)와 홈부(281)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돌기 판부(242)뿐만 아니라,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도 변형된다. 따라서, 변형되는 부위의 길이가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의 분만큼 길어져, 돌기 판부(242)를 홈부(281)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242)의 선단측의 변형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납땜부(248)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1a∼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금속 부재(24)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또는 균등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도 11a∼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판부(242)에는, 돌기 판부(242)에 있어서의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측의 단부와 돌기 판부(242)에 있어서의 홈부(281)에 압입되는 부위 사이에, 굴곡부(249)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굴곡부(249)는 돌기 판부(242)를 복수회 꺾어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코오킹 돌기부(243)는 관통 구멍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판(26)에 형성된 단자판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코오킹 돌기부(243)를 삽입한 후, 코오킹 돌기부(243)의 선단을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가 단자판(26)에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단자판(26)을 접합한 후, 틴셀 와이어(22)가 코오킹 돌기부(243)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틴셀 와이어(22)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에 납땜된다. 또한, 부호 248을 붙인 부위가, 틴셀 와이어(22)를 납땜한 납땜부이다.
그리고, 발음체 집합체(2)를 베이스(10)에 조립할 때, 이동 방향 X를 따라서 보았을 때의 돌기 판부(242)와 홈부(281)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돌기 판부(242)가 홈부(281)의 위치에 합치하도록 변형되어, 홈부(281)에 침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교예의 발음기에 있어서의 리드 핀을 폐지하여 부품 점수를 적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단자 금속 부재와 리드 핀의 납땜이나 리드 핀의 꺾어 구부림을 폐지하여 가공 공정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자 금속 부재(24)는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돌기 판부(242)를 홈부(281)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242)에 가해지는 하중이 틴셀 와이어(22)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의 납땜부(248)에 전달되기 어려운 형상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돌기 판부(242)에 굴곡부(249)를 형성함으로써, 돌기 판부(242)의 길이가 길어져, 돌기 판부(242)를 홈부(281)에 압입할 때에 돌기 판부(242)의 선단측의 변형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납땜부(248)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4a∼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금속 부재(24)가 제1∼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또는 균등한 부분에 관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도 14a, 도 14b,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단자 금속 부재(24)도,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 돌기 판부(242), 및, 코오킹 돌기부(243)를 구비하고 있다. 단, 제4 실시 형태의 단자 금속 부재(24)가 구비하는 돌기 판부(242)는 근원부(250), 끼워 맞춤부(260), 및, 만곡부(270)를 갖고 있다. 근원부(250)는 돌기 판부(242) 중,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에 접속하고 있는 부위이다. 끼워 맞춤부(260)는 돌기 판부(242) 중, 접속 단자(28)의 홈부(281)에 압입되어, 그 홈부(281)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 끼워 맞춰지는 부위이다. 만곡부(270)는 돌기 판부(242) 중, 근원부(250)와 끼워 맞춤부(260) 사이에서 만곡하도록 형성된 부위이다.
만곡부(270)는 돌기 판부(242)를 형성하는 금속제 판재의 판 두께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면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금속 부재(24)의 제조 시에 있어서, 금속제 판재를 펀칭 가공함으로써, 근원부(250), 끼워 맞춤부(260) 및 만곡부(270)를 갖는 돌기 판부(242)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 등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세하게는, 모재가 되는 금속제 판재를 펀칭 가공함으로써 돌기 판부(242)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의 외측 형상을 펀칭한 후, 돌기 판부(242)와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의 경계에서 꺾어 구부림으로써, 단자 금속 부재(24)가 형성된다.
제4 실시 형태의 만곡부(270)는 제1 만곡부(271)와 제2 만곡부(272)를 갖고 있다. 제1 만곡부(271)는 끼워 맞춤부(260)로부터 근원부(250)측을 향하여 볼록의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부위이다. 제2 만곡부(272)는 제1 만곡부(271)로부터 근원부(250)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볼록의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부위이다. 또한, 만곡부(270)는 제1 만곡부(271)와 제2 만곡부(272)를 갖는 것에 한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만곡 개소를 갖는 것이면 되고, 그 형상도 원호 형상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각형으로 만곡된 것이어도 된다.
제1 만곡부(271)는 90°보다 작은 각도로 만곡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4b의 화살표(27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만곡부(271)의 외주의 근원부(250)측의 부위(27a)는 제2 만곡부(272)의 외주의 근원부(250)와는 반대측의 부위(27b)보다도, 근원부(250)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한, 화살표(27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만곡부(271)의 외주의 근원부(250)측의 부위(27a)와, 제2 만곡부(272)의 외주의 근원부(250)와는 반대측의 부위(27b)의 거리는, 만곡부(270)의 폭보다도 크게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만곡부(270)의 폭은, 화살표(274)로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돌기 판부(242)를 판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만곡부(270)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된다.
코오킹 돌기부(243)는 제1∼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내측에 관통 구멍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a, 도 15b,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판(26)에 형성된 단자판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코오킹 돌기부(243)를 삽입한 후, 코오킹 돌기부(243)의 선단을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가 단자판(26)에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단자 금속 부재(24)와 단자판(26)과 발음체(20)가 일체화되어, 발음체 집합체(2)를 구성한다. 그 발음체 집합체(2)는 베이스(10)에 조립 장착된다.
도 16은 발음체 집합체(2)가 베이스(10)에 조립 장착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단자 금속 부재(24)의 끼워 맞춤부(260)는, 베이스(10)에 고정된 접속 단자(28)가 갖는 홈부(281)에 압입되어, 그 홈부(281)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서 끼워 맞춰진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6의 화살표(282)는 홈부(281)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단자 금속 부재(24)의 만곡부(270)는, 홈부(281)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282)에 대해 교차하는 가상 면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만곡부(270)는 제1 만곡부(271)와 제2 만곡부(272)를 갖고, S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접속 단자(28) 사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돌기 판부(242)의 길이를 보다 긴 것으로 하고 있다.
발음체(20)가 구비하는 진동판 구동부(202)의 코일에 접속되는 도전 부재로서의 틴셀 와이어(22)는, 단자 금속 부재(24)에 설치된 훅(221)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단자 금속 부재(24)에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 16에서는, 틴셀 와이어(22)와 단자 금속 부재(24)가 납땜된 납땜부(248)에 대해, 설명을 위해 파선의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 납땜부(248)에는, 발음체(20)가 소리를 발생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 발음기가 설치되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한 발음기의 각 구성 부재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한 반복 응력 등이 작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발음기는, 납땜부(248)에 대한 진동 및 반복 응력을 저감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금속 피로의 억제를 위해 바람직하다. 그것을 감안하여, 제4 실시 형태의 발음기는, 상술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다음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금속 부재(24)의 돌기 판부(24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만곡부(270)를 통해 근원부(250)와 끼워 맞춤부(260)의 거리가 길어진다. 그 때문에, 돌기 판부(242)는 발음체(20)가 소리를 발생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 발음기가 설치되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한 발음기의 각 구성 부재의 신축에 의한 반복 응력 등을 만곡부(270)에 의해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기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틴셀 와이어(22)를 접속하는 납땜부(248)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하여, 납땜부(24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음기는, 접속 단자(28)의 홈부(281)와 돌기 판부(242)의 끼워 맞춤부(260)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여, 그 접촉 개소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음기는, 그 발음 기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270)는 돌기 판부(242)를 형성하는 금속제 판재의 판 두께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면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24)의 제조 시에 있어서, 금속제 판재를 펀칭 가공함으로써, 돌기 판부(242)가 갖는 근원부(250), 끼워 맞춤부(260) 및 만곡부(270)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돌기 판부(242)의 판 두께 방향으로 굽힘 가공 등을 하지 않고, 만곡부(27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 공정을 간소한 것으로 하고, 제조상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270)는 돌기 판부(242)가 끼워 맞춰져 있는 홈부(281)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가상면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24)의 돌기 판부(242)는 홈부(281)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만곡부(270)를 만곡시키지 않고, 돌기 판부(242)에 필용한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기는, 홈부(281)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에 있어서, 돌기 판부(242)의 체격을 소형화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270)는 제1 만곡부(271)와 제2 만곡부(272)를 가짐으로써, 그 길이를 보다 긴 것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돌기 판부(242)는 발음체(20)가 소리를 발생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 발음기가 설치되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한 발음기의 각 구성 부재의 신축에 의한 반복 응력 등을 제1, 제2 만곡부(271, 272)에 의해 확실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기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틴셀 와이어(22)를 접속하는 납땜부(248)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접속 단자(28)의 홈부(281)와 돌기 판부(242)의 끼워 맞춤부(260)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만곡부(271)의 외주의 근원부(250)측의 부위(27a)는 제2 만곡부(272)의 외주의 반근원부(250)측의 부위(27b)보다도, 근원부(250)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이것에 따르면,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접속 단자(28) 사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제1 만곡부(271)와 제2 만곡부(272)의 길이를 보다 긴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만곡부(270)는 S자 형상으로 되고, 3차원 중 어느 방향으로도 약한 힘에 의해 변위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돌기 판부(242)는 발음체(20)가 소리를 발생할 때의 진동, 발음기가 설치되는 차량으로부터의 진동, 또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한 발음기의 각 구성 부재의 신축에 의한 반복 응력 등을 만곡부에 의해 확실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음기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틴셀 와이어(22)를 접속하는 납땜부(248)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접속 단자(28)의 홈부(281)와 돌기 판부(242)의 끼워 맞춤부(260)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는 서로 무관계한 것은 아니고, 조합이 명백하게 불가한 경우를 제외하고, 적절히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는, 특별히 필수라고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백하게 필수라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반드시 필수의 것은 아닌 것이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개수, 수치, 양, 범위 등의 수치가 언급되어 있는 경우, 특별히 필수라고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백하게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성 요소 등의 형상, 위치 관계 등에 언급할 때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특정한 형상, 위치 관계 등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형상, 위치 관계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270)는 제1 만곡부(271)와 제2 만곡부(272)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비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2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만곡 개소를 갖는 것이면 된다. 또한, 만곡부(270)는 제1 만곡부(271)와 제2 만곡부(272)에 더하여, 3개 이상의 만곡 개소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270)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것으로 하였다. 이에 비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270)는 예를 들어 각형으로 만곡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 판부(242)를 판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만곡부(270)는 S자 형상으로 하였다. 이에 비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270)는 예를 들어 U자 형상, W자 형상 또는 Z자 형상 등, 직선 형상을 제외한 다양한 형상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게다가,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그것들에 1요소만, 그것 이상, 혹은 그것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2)

  1. 전기 신호를 받아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체(20)와, 상기 발음체와 도전 부재(22)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금속 부재(24)와, 상기 발음체가 설치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외부의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28)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로 돌출되는 부위에, 일단측이 개구된 홈부(281)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금속 부재는, 금속제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음체에 기계적으로 접합됨과 함께 상기 도전 부재(22)가 납땜된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홈부의 개구단부로부터 상기 홈부에 압입된 돌기 판부(242)를 구비하는, 발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에의 압입 방향에 있어서, 당해 돌기 판부의 선단측의 치수(24a)보다도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에 가까운 측의 치수(24b)가 큰, 발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판부는, 당해 돌기 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측의 단부와 당해 돌기 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홈부에 압입된 부위 사이에, 굴곡부(249)를 갖는, 발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금속 부재가 구비하는 상기 돌기 판부는,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에 접속하고 있는 근원부(250),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홈부에 끼워 맞춰져 있는 끼워 맞춤부(260), 및, 상기 근원부와 상기 끼워 맞춤부 사이에서 만곡하도록 형성되는 만곡부(270)를 갖는, 발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돌기 판부를 형성하는 금속제 판재의 판 두께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면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는, 발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돌기 판부가 끼워 맞춰져 있는 상기 홈부의 내벽과 내벽이 마주보는 방향(282)에 대해 교차하는 가상면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는, 발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로부터 상기 근원부측을 향하여 볼록의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제1 만곡부(271)와,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반근원부측을 향하여 볼록의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는 제2 만곡부(272)를 갖는, 발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의 외주의 상기 근원부측의 부위(27a)는, 상기 제2 만곡부의 외주의 반근원부측의 부위(27b)보다도, 상기 근원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발음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금속 부재는, 수지제 판재로 이루어지는 단자판(26)을 통해 상기 발음체에 일체화되어 있는, 발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는, 상기 단자판에 맞닿음과 함께 상기 도전 부재(22)가 납땜된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244)와, 슬릿부(247)에 의해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로부터 분리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단자판에 맞닿지 않는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245)와,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고정부와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46)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 판부는,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 가동부의 자유단으로부터 상기 접속 단자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발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진동판(201)과,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진동판 구동부(202)와, 상기 진동판 구동부를 수용하는 프레임(203)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단자판이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발음기.
  12. 전기 신호를 받아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체(20)와, 상기 발음체가 설치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발음체와 도전 부재(22)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금속 부재이며, 상기 발음체에 기계적으로 접합됨과 함께 상기 도전 부재(22)가 납땜된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241)와, 상기 단자 금속 부재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돌기 판부(242)를 구비한 금속제 판을 갖는 상기 단자 금속 부재(24)와, 상기 베이스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금속제 판을 갖는 접속 단자이며,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외부의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돌기 판부가 압입된 홈(281)을 갖고 있는, 상기 접속 단자(28)를 구비하는, 발음기.
KR1020187008797A 2015-09-01 2016-08-25 발음기 KR101979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2150 2015-09-01
JPJP-P-2015-172150 2015-09-01
JP2016153885A JP6572846B2 (ja) 2015-09-01 2016-08-04 発音器
JPJP-P-2016-153885 2016-08-04
PCT/JP2016/074740 WO2017038597A1 (ja) 2015-09-01 2016-08-25 発音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994A KR20180044994A (ko) 2018-05-03
KR101979167B1 true KR101979167B1 (ko) 2019-05-15

Family

ID=5827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797A KR101979167B1 (ko) 2015-09-01 2016-08-25 발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71120B2 (ko)
JP (1) JP6572846B2 (ko)
KR (1) KR101979167B1 (ko)
DE (1) DE11201600397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1229A4 (en) * 2017-07-24 2021-04-07 Denso Electronics Corporation SOUND GENERATOR FOR VEHICLE
JP7425938B2 (ja) * 2021-03-12 2024-02-01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電気装置
JP2023146288A (ja) * 2022-03-29 2023-10-12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車両用電気音響変換器及び車両用電気音響変換器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2531A (ja) 2002-06-27 2004-01-29 Sony Corp 音場調整用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取付装置
JP2005135675A (ja) 2003-10-29 2005-05-26 Funai Electric Co Ltd スピーカーの接続線の接続構造
JP2007043484A (ja) 2005-08-03 2007-02-15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スピーカ装置用のフレーム
JP2007256331A (ja) 2006-03-20 2007-10-04 Anden 圧電ブザ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6065A (en) 1976-03-02 1977-09-06 Honda Motor Co Ltd Oil pressure type stepless gear reduction
JPS5650142A (en) 1979-09-26 1981-05-07 Tekunorojii Guraasu Corp Low temperature sealant glass
JP3296539B2 (ja) 1996-12-19 2002-07-02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ーの入力端子の接続構造
JP4952589B2 (ja) * 2008-01-10 2012-06-13 アンデン株式会社 圧電ブザー
JP2010135353A (ja) * 2008-12-02 2010-06-17 Yazaki Corp 電子機器
JP5650142B2 (ja) 2012-01-23 2015-01-07 アンデン株式会社 電気部品用筺体構造
JP6368918B2 (ja) 2013-03-27 2018-08-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ピーカと、その製造方法
US9374637B2 (en) * 2013-09-06 2016-06-21 Htc Corporation Electronic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309792B2 (ja) 2014-03-12 2018-04-11 帝人株式会社 黒色樹脂組成物および黒色成形品
JP6337669B2 (ja) 2014-07-23 2018-06-06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発音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2531A (ja) 2002-06-27 2004-01-29 Sony Corp 音場調整用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取付装置
JP2005135675A (ja) 2003-10-29 2005-05-26 Funai Electric Co Ltd スピーカーの接続線の接続構造
JP2007043484A (ja) 2005-08-03 2007-02-15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スピーカ装置用のフレーム
JP2007256331A (ja) 2006-03-20 2007-10-04 Anden 圧電ブザ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50863A (ja) 2017-03-09
US10271120B2 (en) 2019-04-23
US20180262824A1 (en) 2018-09-13
DE112016003979B4 (de) 2024-05-02
JP6572846B2 (ja) 2019-09-11
KR20180044994A (ko) 2018-05-03
DE112016003979T5 (de)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2500B2 (ja) 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スピーカ装置用のフレーム
JP4893322B2 (ja) 超音波センサ
KR101979167B1 (ko) 발음기
CN108431627B (zh) 超声波传感器
JP6275683B2 (ja) 基板保持構造、電子部品モジュール、および電気接続箱
WO2014156017A1 (ja) スピーカと、その製造方法
JP5543831B2 (ja) 電装品
JP2008060140A (ja) 配線基板収納構造
US20200154211A1 (en) Sound generator for vehicle
JP2013150264A (ja) 電気部品用筺体構造
CN107949878B (zh) 发声器
US20160294100A1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005190720A (ja) 自己調芯型コネクタ
JP7425938B2 (ja) 電気装置
JP7383442B2 (ja) 電気接続箱
US8488828B2 (en) Unidirectional condenser microphone unit
JP7398059B2 (ja) 圧電発音部品
US20230051761A1 (en) Piezoelectric element connection structure, vehicle, and piezoelectric element connection method
JP7168618B2 (ja) 基板内蔵コネクタおよび基板内蔵コネクタの連鎖端子の製造方法
JP2009037918A (ja) 端子、端子台及び端子台の製造方法
JP4101238B2 (ja) 圧電サウンダ
CN116848855A (zh) 超声波传感器
JP5979677B2 (ja) 電気部品
JP2005183455A (ja) 半導体モジュールの端子構造及びコントローラ出力端子
CN117134573A (zh) 致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