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66B1 -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66B1
KR101978666B1 KR1020120029461A KR20120029461A KR101978666B1 KR 101978666 B1 KR101978666 B1 KR 101978666B1 KR 1020120029461 A KR1020120029461 A KR 1020120029461A KR 20120029461 A KR20120029461 A KR 20120029461A KR 101978666 B1 KR101978666 B1 KR 101978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pattern
unit
dumm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216A (ko
Inventor
유성진
최형배
장경현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5885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20018059A/ko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CN201280028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649881B/zh
Priority to EP12796334.6A priority patent/EP2720119B1/en
Priority to TW101120743A priority patent/TWI585626B/zh
Priority to JP2014514813A priority patent/JP2014519663A/ja
Priority to US14/124,813 priority patent/US9507389B2/en
Priority to PCT/KR2012/004576 priority patent/WO2012169848A2/ko
Publication of KR20120137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216A/ko
Priority to US15/217,590 priority patent/US95420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과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감지부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가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감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패턴이 감지부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며, 감지부 또는 연결부의 가장자리를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하지 않고 개방되도록 하여 실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전극을 사용자가 연속한 것으로 보이도록 하여 감지부의 시인성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Substrate for Touch Screen Sensor, Touch Screen Sensor and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과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센서에서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지패턴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과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여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 수단으로서,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물체가 스크린에 접촉될 때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장치이다. 터치 입력장치는 근래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많이 장착되고 있으며, 그밖에도 네비게이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터치입력 지원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테스크탑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V), 최첨단 전투기, 탱크, 장갑차 등 전 산업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터치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표시장치 위에 부가되거나 표시장치 내에 내장 설계되므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ITO 투명 전극을 포함한 터치 스크린 센서는 투명전극물질(ITO)를 패터닝하여 감지 및 동작 센서를 형성하는데, ITO 물질의 높은 비저항성으로 인해 감지, 동작 센서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리고 터치하는 손가락과 센서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정전용량의 변화값 인식이 떨어져 고투명, 고내구성의 기재 사용에 제한적이다. 또한,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ITO 이외의 물질로 전극층을 형성하는 경우, 전극층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동작 및 감지 패턴의 치수 차이가 있을 경우 패턴이 시인되는 문제점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투명전극 물질(ITO)를 사용하지 않고, 전도성 재료의 전극으로 형성되는 감지부와 더미부를 사용하여 전극 패턴의 시인성을 저감 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감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패턴이 감지부의 그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여 시인성을 감소시키며, 감지부 또는 연결부의 가장자리를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하지 않고 개방되도록 하여 실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전극을 사용자가 연속한 것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이 형성된 전극층의 상부에는 흑색 계통의 금속의 시드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극층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용 기판은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감지부; 및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연결하는 감지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상기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더미(dummy)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미부를 연결하는 더미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일정한 방향의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패턴이 가장자리에서 교호적으로 길고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은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의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선폭 및 상기 선들간의 간격을 정의하는 피치(pitch)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 형상의 선들의 상기 선폭 또는 상기 피치는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선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정의하는 채움 비율(fill factor)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선들의 채움 비율(fill factor)은 10%이하에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미리 결정된 각도에 따라 틸팅(tilt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는 상기 일정한 방향의 패턴과 상기 패턴과 다른 패턴의 상호 간섭에 따른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결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부는 상기 감지부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상기 기재에 적층되며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을 구비하는 수지층; 및 상기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 및 상기 감지 및 상기 더미 연결부는 상기 전극층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는 동(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니켈-인(Ni-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상기 전극층에 형성된 상기 감지부, 상기 더미부 및 상기 감지 및 상기 더미 연결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블랙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층은 상기 음각의 전극층 상부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는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1 방향의 제1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 감지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기재의 타면 또는 다른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2 방향의 제2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부와,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2 감지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1 더미(dummy)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부는 상기 제2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일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더미부를 연결하는 제1 더미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2 더미(dummy)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더미부는 상기 제1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타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더미부를 연결하는 제2 더미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일정한 방향의 제1 또는 제2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이 가장자리에서 교호적으로 길고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은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의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선폭 및 상기 선들간의 간격을 정의하는 피치(pitch)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 형상의 선들의 상기 선폭 또는 상기 피치는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선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정의하는 채움 비율(fill factor)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선들의 채움 비율(fill factor)은 10%이하에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미리 결정된 각도에 따라 틸팅(tilt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호 간섭에 따른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결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더미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부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부는, 상기 기재에 적층되며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을 구비하는 수지층; 및 상기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극층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는 동(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니켈-인(Ni-P)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부는, 상기 전극층에 형성된 상기 감지부, 상기 더미부 및 상기 연결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블랙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층은 상기 음각의 전극층 상부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정보 표시부; 상기 영상 정보 표시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1 방향의 제1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 감지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기재의 타면 또는 다른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2 방향의 제2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부와,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2 감지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1 더미(dummy)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부는 상기 제2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일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더미부를 연결하는 제1 더미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2 더미(dummy)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더미부는 상기 제1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타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2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더미부를 연결하는 제2 더미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한 방향의 제1 또는 제2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이 가장자리에서 교호적으로 길고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은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패턴의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선폭 및 상기 선들간의 간격을 정의하는 피치(pitch)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 형상의 선들의 상기 선폭 또는 상기 피치는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선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정의하는 채움 비율(fill factor)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선들의 채움 비율(fill factor)은 10%이하에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미리 결정된 각도에 따라 틸팅(tilt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상호 간섭에 따른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결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더미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부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부는, 상기 기재에 적층되며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을 구비하는 수지층; 및 상기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극층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는 동(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니켈-인(Ni-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부는, 상기 전극층에 형성된 상기 감지부, 상기 더미부 및 상기 연결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블랙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층은 상기 음각의 전극층 상부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가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감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패턴이 감지부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며, 감지부 또는 연결부의 가장자리를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하지 않고 개방되도록 하여 실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전극을 사용자가 연속한 것으로 보이도록 하여 감지부의 시인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전극이 형성된 전극층의 상부에는 흑색 계통의 금속의 시드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극층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의 감지부 및 연결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 및 더미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 및 더미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 및 더미부를 형성하는 격자 형상의 패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전극의 선폭 및 피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및 터치 스크린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바로 연결될 수도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기판’이라 함은 터치 스크린 센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필름’이라 지칭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 센서는 상기 기판을 단독으로 또는 상기 기판을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으로 2장의 기판을 형성하여 이들을 접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제1 센서부로 명명되는 것은 상기 상부기판 또는 하부기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제2 센서부로 명명되는 것은 상기 하부기판 또는 상부 기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는 것으로 상, 하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기 위해 제1 및 제2 센서부로 명명한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110) 및 연결부(12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a 또는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감지부(110)는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연결부(120)의 경우 감지부(110)와는 다른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극의 연속성이 사라짐에 따라 패턴의 차이로 인하여 감지부(110) 및 연결부(120)의 시인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감지부(110) 또는 연결부(120)는 그 가장자리를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하여 전극의 연속성이 사라져 단절됨에 따라 시인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 감지부(110)의 시인성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지부(110)와 감지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의 패턴이 동일 또는 유사한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을 제안한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와 연결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감지부(110) 및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감지부(110)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110)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더미(dummy)부(110') 및 나아가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미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전극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여기의 전도성 재료는 불투명성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더미부(110')는 감지부(110)와 이웃하여, 또는 인접하여 형성되는 전극으로 명칭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더미(dummy) 즉, 감지부(110)와 유사한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감지하지는 못하도록 불활성 상태로 형성되는 전극 또는 그 조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지부(110)와 더미부(110')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된다. 더미부(110')를 기재에 형성하는 이유는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지 않는 감지부(110)가 터치 스크린 센서에 전면에 형성되며, 터치 스크린 센서에 조사되는 외부 광에 의해 감지부(110)가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2의 경우 감지부(110)와 더미부(110')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됨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 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감지부(110)의 전체 형상을 다이아몬드, 사다리꼴, 마름모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극은 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해 구비되는 전극으로, 기재(100)에 감지부(110) 및 더미부(110')를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에 관한 사항은 발명의 범주를 넘어서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감지부(110)와 더미부(110') 및, 감지부(110)와 감지부(110)를 연결하는 감지 연걸부(120) 또는 더미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우 더미부(110')와 더미부(110')를 연결하는 더미 연결부(미도시)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한 방향의 패턴이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는 것은 패턴의 반복에 있어서 그 반복 주기 및 반복되는 형태가 기하학적으로 동일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 반복 주 와 반복 형태가 소프트웨어적으로 미리 결정된 용인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110)와 더미부(110')의 전극 패턴뿐만 아니라 이들을 연결하는 감지 연결부(120)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의 전극 패턴이 동일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해 감지부(110)가 인식되는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한 방향의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더미부(110')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감지부(110), 상기 더미부(110') 및 상기 감지 연결부(120)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의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10)와 더미부(110')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더미부(110')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더미부(110')의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된 것은 도 3과 같이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도 2b의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가장자리가 개방됨으로써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어 연속성이 사라져 단절되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고 실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전극을 사용자가 연속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감지부(110)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패턴이 가장자리에서 교호적으로 길고 짧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감지부(110) 또는 더미부(110')는 가장자리에서 전극이 교호적으로 길이가 짧고 길어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교호적이라는 것은 길이가 짧고 긴 것이 순서에 따라 반복되는 것으로 도 4의 110a를 참조하면 도 4의 경우 가장자리에서 길고 짧은 전극이 교대로 반복되나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패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은 전체적으로 망상형 또는 그물형의 격자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패턴의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선폭 및 상기 선들간의 간격을 정의하는 피치(pitch)가 동일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선폭 또는 피치가 가 동일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가진다는 것은 미리 정한 채움 비율(fill factor)를 얻을 수 있도록 [표 1]에 표시된 일정한 범위의 값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선폭(㎛) 피치(㎛) Fill Factor(%)
1~5 100 1.9~10
200 2.5~5.0
300 1.9~3.5
400 1.4~2.5
500 0.4~1.9
600 0.3~1.7
6~10 100 11~19
200 5.9~10
300 3.9~7.0
400 2.9~5.0
500 2.3~3.9
600 1.9~3.3
도 5와 하기의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상기 Fill Factor는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격자형상의 패턴(더미부(110') 또는 감지부(110)의 형상) 또는 다중의 기판을 적층함으로써 나타나는 격자형상의 임의의 기판의 면적에서 전극층(더미부(110')와 감지부(110)로 형성되는 전극층을 의미함)이 차지하는 면적을 나눈 비율로 정의되며, 하기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12023297516-pat00001
이와 같이 정의되는 Fill Factor가 1.4보다 작을 경우, 투과율은 증가하지만 전극층의 저항 상승과 정전용량의 접촉면적이 감소하여 터치 동작 수행이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Fill Factor가 10보다 클 경우, 전극층이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커서 투과율이 저하되고 패턴이 시인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Fill Factor는 1.4 ~10.0%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7.0%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ill Factor의 값에 따라 선폭과 피치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미리 결정된 각도에 따라 틸팅(tilt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형성되는 선들은 수평축을 기준으로 45°기울어진 형태의 패턴을 가지며,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는 것은 단위 면적당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전극의 비율을 높여 감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 틸팅 되는 미리 결정된 각은 일정한 방향의 패턴과 상기 패턴과 다른 패턴의 상호 간섭에 따른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결정된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과 다른 패턴의 간섭은 각각 다른 방향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기판이 적층됨에 있어서 기판에 형성된 전극의 패턴이 간섭을 일으키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정보 표시부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이 형성하는 패턴들과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
모아레 현상이란 일반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주기적인 패턴들이 일정 각도로 적층될 경우에 형성되는 자연적인 간섭현상(interference phenomenon)이다. 모아레 패턴은 물결 형태의 곡선(wave), 잔물결(ripple), 스크린의 표시 영상과 적층되어 보이는 작은 다발(wisp) 형태의 강도 변동 등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아레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패턴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여 패턴의 적층에 따른 물결 형태의 곡선(wave), 잔물결(ripple), 스크린의 표시 영상과 적층되어 보이는 작은 다발(wisp) 형태의 강도 변동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패턴의 방향간에 소정의 제1 각에 따른 비틀림을 주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적층에 따라 형성된 강도 변동들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은 형성된 제3 패턴의 반복되는 간격이 사람의 육안으로 분별이 능한 간격의 정도를 정의하는 분해능 이하의 간격인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틸팅 각도는 도 4에 도시된 각도 외에 선폭 및 피치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는 각도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일정한 방향의 패턴은 틸팅된 패턴을 기준으로 일정한 방향을 가지므로 감지부(110)와 더미부(110') 및, 감지 연결부(120)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는 틸팅된 패턴에 대하여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된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기재(100b), 수지층(100a) 및 전극층(112)을 포함한다.
기재(100b)는 투명기재(100b)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 투명도를 갖는 기재(100b)로, 투명기재(100b)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mide), 아크릴(Acryl), 폴리카보네이트(PC),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즈(TAC), 폴리메틸메타크 릴레이트(PMMA), 폴리에테르설폰(PES),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또는 글라스(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투명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지층(100a)은 상기 기재(100b)에 적층되며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투명기재(100b)에는 수지층(100a)이 적층되며, 그와 같은 음각 형상은, 원하는 음각 형상에 대응되는 양각 형상의 몰드(mold)를 이용하여 수지층(100a)에 임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양각 형상의 몰드를 이용하여 수지층(100a)에 음각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음각이 어떠한 패턴을 이루게 된다. 음각이 형성된 수지층(100a)의 단면은 사각형, 삼각형, 및, 사다리꼴중 어느 하나의 음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몰드의 양각 형상이 사각형이면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 형상도 사각형이고, 몰드의 양각 형상이 삼각형이면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 형상도 삼각형이고, 몰드의 양각 형상이 사다리꼴이면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 형상도 사다리꼴임은 물론이다. 수지층(100a)에서 음각의 '폭'은 1μm 내지 10μm에 속하고, '깊이' 는 1μm 내지 10μm에 속하고, 음각과 음각 사이의 '피치'는 200μm 내지 600μm에 속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음각의 폭, 깊이 및 피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또한, 수지층(100a)은 UV(UltraViolet)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층(112)은 상기 음각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더미부(110') 및 감지 연결부(120)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는 상기 전극층(112)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도성 재료의 일례로는 동(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니켈-인(Ni-P) 등 일 수 있다.
감지부(110)와 더미부(110')는 동시에 형성됨이 가능하며, 동일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10)는 터치신호를 감지하고 전송하는 전기적으로 활성인 전극이며, 더미부(110')는 전기적으로 불활성인 전극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전극층(112)에 형성된 감지부(110), 더미부(110') 및 감지 연결부(120)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블랙층(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층(114)은 상기 음각의 전극층(112) 상부 또는 수지층(100a)과 전극층(112) 사이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블랙층(114)은 수지층(100a)과 전극층(112) 사이에 적층되어, 수지층(100a)에 형성된 음각에서 전극층(112)을 감싸는 형태의 블랙층(114)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전극층(112)의 시인성을 감소 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6b를 참조하면, 블랙층(114)이 전극층(112)을 감싸는 형태가 아닌 음각의 내부에서 전극층(112)을 덮는 형태로 적층 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판은 블랙층을 이용하여 전극층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랙층은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전도성을 띠며 검은색의 금속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7의 (A)를 참조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100)과 제2 센서부(200)는 서로 접합되어 터치 스크린 센서를 형성한다. 즉 제1 센서부(100)과 제2 센서부(200)는 상, 하부 기판이 되어 서로 접합되며, 이들 사이에는 점착제층(300)이 게재 될 수 있다. 접착제층(300)은 광학적 투명 점착제 점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로 하여 터치 스크린 센서의 투명성을 유지함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100)는 기재의 일면에 제1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부(110)와 제1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제1 감지부(110)를 연결하는 제1 감지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제2 센서부(200)는 기재의 타면에 일정한 방향 제2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부(210)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부(210)를 연결하는 제2 감지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타면은 제1 센서부(100) 및 제2 센서부(200)이 동일한 기재에 대하여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기판이 형성되는 면을 일면이라 하였을 때 기판이 형성되지 않은 기재의 다른 면을 타면이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제2 센서부(100, 200)은 서로 등진 상태로 점착제층(300)을 매개로 접합되어 있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기판이 서로 마주보고 접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는 복수의 기재에 대하여 각각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센서부(100)과 제2 센서부(200)에는 상기 각 센서부(100, 200)에 적층 형성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의 절연층은 투명도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상기 PET에 적층되는 투명도를 갖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연층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외부광의 반사율을 경감시키기 위한 AR(Anti Reflection)-LR(Low Refection)-AG(AntiGlare coating)층이 더 적층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중 제1 센서부(100)는 상기 제1 감지부(110)에 인접하며 상기 제1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110)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1 더미(dummy)(110')부와 상기 제1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더미부(110')를 연결하는 제1 감지 연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의 일면은 상기 제2 감지부(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더미부(11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센서부(200)는 상기 제2 감지부(210)에 인접하며 상기 제2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210)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2 더미(dummy)(210')부 및 나아가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은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미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제1 센서부(100) 및 제2 센서부(2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중 하나 및 다른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된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100)과 제2 센서부(200)의 접합은 제1 센서부(100)에 형성된 제1 감지부(110)와 제2 센서부(200)에 형성된 제2 감지부(210)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감지부(110)의 방향이 좌표축상의 y방향이면, 제2 감지부(210)의 방향은 좌표축상의 x방향이 될 수 있도록 서로 접합된다.
이 때, 제1 감지부(110)와 대응하는(마주보는) 위치의 제2 센서부(200)에는 제2 더미부(210')가 형성되며, 제2 감지부(210)와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센서부(100)에는 제1 더미부(110')가 형성된다. 제1 더미부(110')는 상기 제2 감지부(2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일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반대로 제2 더미부(210')는 상기 제1 감지부(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타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B)를 참조 하면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센서 상에서 X축 방향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210)의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Y축 방향의 더미부(110')가 기재의 타면에 위치되며, 반대로 Y축 방향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10)의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X축 방향의 더미부(210')가 기재의 일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감지부(110)와 제2 감지부(210)는 교호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신호 입력 시 그 좌표를 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는 상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기재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 가능하며 또는 각각 다른 기재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기재에 대하여 제1 및 제2 센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재에 형성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의 접합은 제1 센서부에 형성된 제1 감지부와 제2 센서부에 형성된 제2 감지부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감지부의 방향이 좌표축상의 y방향이면, 제2 감지부의 방향은 좌표축상의 x방향이 될 수 있도록 서로 접합된다.
이 때, 제1 감지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제2 센서부에는 제2 더미부가 형성되며, 제2 감지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제1 센서부에는 제1 더미부가 형성된다. 제1 더미부는 상기 제2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일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반대로 제2 더미부는 상기 제1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타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 정보 표시부와 터치 스크린 센서를 포함한다.
영상 정보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영상 정보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정보 표시부는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영상 표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네비게이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터치입력 지원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테스크탑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V), 최첨단 전투기, 탱크, 장갑차 등 영상 출력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전 산업분야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센서는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는 영상 정보 표시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1 방향의 제1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 감지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 2 기판은 상기 기재의 타면 또는 다른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2 방향의 제2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부와,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2 감지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하 제1 및 제2 센서부는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또는 터치 스크린 센서의 제1 및 제2 센서부(100, 200)과 대응되는 것으로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되는 것이므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층에 음각을 형성하고 충진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8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제작 방법은 수지층 도포 단계(S100), 음각 성형 단계(S200), 전극층 형성 단계(S300), 블랙층 형성 단계(S400)를 포함한다.
수지층 도포 단계(S100)는 기재 위에 수지층을 적층하며 기재로는 수지성 필름 또는 글라스가 사용될 수 있다. 기재는 투명기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 투명도를 갖는 기재로, 상술된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투명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휘도 향상을 위해 25~250μm 범위가 적합하고 광선 투과율은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적합하다.
음각 성형 단계(S200)는 수지층을 몰드로 임프린트하여, 패턴화된 음각을 형성한다. 수지층(100a)으로 UV 경화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경화되기 전의 재료에 몰드를 압착하고 누른 상태에서 UV 또는 열을 가해서 수지층(100a)을 경화시킨 후, 몰드를 제거함으로써 음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지층(100a)에 음각을 형성하기 위한 양각 형상의 몰드는 표면 조도가 첫분히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음각 패터닝 후 헤이즈(haze)가 4%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Haze가 4%를 초과할 경우 휘도가 저하되어 제품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10), 더미부 및 연결부(120)는 음각 성형 단계에서 형성된 음각에 대하여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는 전극층 형성단계를 통하여 형성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음각 성형 단계는 상술된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의 전극의 구조를 음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음각 성형 단계(S200)는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감지부(110) 및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의 형성을 위하여 음각을 성형한다. 또한 음각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부(110)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110)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더미부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의 형성을 위하여 음각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일정한 방향의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상기 감지부(110), 상기 더미부 및 감지 연결부(120) 및 더미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 더미 연결부(미도시)의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부(110)와 더미부의 경계에서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은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더미부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끊어진 것으로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더미부의 패턴의 가장자리가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개방됨으로써 테두리 전극으로 연결되어 연속성이 사라져 단절되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고 실제로 미세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전극을 사용자가 연속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감지부(110)의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패턴이 가장자리에서 교호적으로 길고 짧게 형성되는 것은 센서부 또는 더미부의 가장자리에서 전극이 교호적으로 길이가 짧고 길어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각 성형단계(S200)에서 형성되는 패턴은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턴의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선폭 및 상기 선들간의 간격을 정의하는 피치(pitch)가 동일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 교차되는 격자 형상의 선들은 미리 결정된 각도에 따라 틸팅(tilt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층 형성 단계(S300)는 음각 성형단계(S200)에서 형성된 음각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더미부(110) 및 상기 연결부(120)는 전극층 형성 단계(S300)에서 전도성 재료가 충진된 전극층(112)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도성 재료의 일례로는 동(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니켈-인(Ni-P) 등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10)와 더미부(110')는 동시에 형성됨이 가능하며, 동일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10)는 터치신호를 감지하고 전송하는 전기적으로 활성인 전극이며, 더미부(110')는 전기적으로 불활성인 전극이다.
전극층 형성 단계(S300)는 시드층의 형성을 통해 형성 가능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음각의 내표면과 수지층(100a)의 표면에 이후에 형성될 '시드층'과 '수지층(100a)' 간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를 해주어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로는 알칼리계 수용액을 이용한 화학 에칭 또는 촉매 처리, 플라즈마 또는 이온빔 처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표면 처리층 위에 금속성 시드층을 형성한다. 시드층은 금속 물질을 이용하여 무전해 도금, CVD 증착, 스퍼터링 또는 인쇄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금속 물질이란 앞서 언급한 전극 물질을 의미한다. 이후 전극층은 시드층에 무전해 도금, 전해도금, CVD 증착, 스퍼터링, 코팅법 또는 인쇄법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음각의 패턴 영역 이외의 수지층 표면에서 시드층을 제거하는 방법은 패턴 영역인 음각의 내부에 내에칭성을 가지는 수지를 충진시킨뒤, 에칭액에 침전시켜 선택적으로 수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시드층을 제거한다. 이 경우에 에칭에 사용되는 약품은 질산 계열, 황산 계열, 염산 계열, 황산동 계열, 염화제이철, 염화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전극층 형성 단계(S300)는 수지층의 음각에 시드층 없이 전극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음각에 시드층 없이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도성 재료를 수지층(100a)의 표면과 음각에 도포한 후 수지층(100a) 표면의 잔여 물질을 블레이드로 제거하여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지층(100a)에 금속성의 시드층 없이 전도성 재료를 코팅하고 블레이드(blade)를 이용하여 그 외의 표면에는 잔여물이 남지 않게 닦아 내거나 긁어냄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블랙층 형성 단계(S400)는 전극층 형성 단계(S300)에서 형성된 음각의 전극층(112) 상부에 전도성을 띠며 검은색의 재료를 적층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랙층 형성 단계(S400)는 도 6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랙층(114)을 적층하여 전극층(112)의 시인성을 감소 시킨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액정 패널(LCD패널)에 2개의 기판이 적층되며, 각각의 기판은 UV 수지, PET, Hardcoating 으로 구성된다. 즉, 각각의 기판은 전극층을 포함하는 수지층, 그 수지층 위에 적층된 PET, 그 PET 위에 적층된 일정 경도 이상의 코팅(Hard coating)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기판은 점착제층(OCA)에 의해 접합될 수 있는데, 코팅과 수지층 사이에 점착제층(OCA)을 개재하여 각 기판을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가장 윗면에 AR/LR/AG 층이 적층됨으로써 구성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패널의 가장 윗면에 점착제층(OCA)을 형성하고, 그 점착제층에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적어도 하나가 적층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패널의 가장 윗면에 AR/LR/AG 층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액정 패널(LCD 패널)과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점착제층(OCA)사이에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액정 패널과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점착제층(OCA)사이에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액정 패널에 2개의 기판이 적층되며, 하부 기판은 UV 수지, PET, Hard coating으로 구성된다. 즉, 하부 기판은 전극층을 포함하는 수지층, 그 수지층 위에 적층된PET, 그 PET 위에 적층된 일정 경도 이상의 코팅(Hardcoating)으로 구성된다.
반면, 상부 기판은 UV 수지 상부에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하나를 적층하여 구성된다. 즉, 상부 기판은 전극층을 포함하는 수지층, 그 수지층에 적층된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하나로 구성되어, 점착제층(OCA)에 의해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기판의 코팅과 상부 기판의 수지층 상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이들 기판을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 스크린 패널은, 터치 패널의 가장 윗면에 AR/LR/AG 층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액정 패널에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하나가 적층되고, 이 위에 전극층을 포함하는 수지층이 적층된 하부 기판과, 전극층을 포함하는 수지층에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하나가 적층된 상부 기판을 점착제층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패널의 가장 윗면에 AR/LR/AG 층이 적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수지층에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하나가 적층되고, 다시 이 위에 수지층이 적층되고 수지층에 일정 경도 이상의 코팅이 적층된 기판을 액정패널과 점착제층으로 접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전극층을 포함하는 수지층이 적층되고, 그 수지층에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이상의 투명 기재 중 하나가 적층되고, 이 위에 수지층이 적층되고 수지층에 AR/LR/AG 층이 적층된 기판을 액정 패널과 점착제층으로 접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층을 경계로 적층되되, 상기 선택된 층의 상하부에 적층되는 수지층은, 수지층에 포함된 전극층이 상기 선택된 층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각에 형성된 전극층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상기 글라스, 아크릴, 및 일정 경도 이상의 투명 기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층에 직접 접합시킬 수 있으므로 점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수지층의 음각이 LCD 패널과 접하게 되는 구조의 터치 스크린패널의 경우에는 LCD 패널과 수지층이 접할 때, 수지층에 형성된 음각이 조도 역할을 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화질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반드시 전극층을 포함하는 수지층의 음각에 OCA나 점착제를 충진하여야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사상적 범주에 속한다.

Claims (52)

  1.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감지부;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연결하는 감지 연결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더미(dummy)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감지부 각각에 포함된 상기 패턴의 방향은 상기 다수의 감지부 및 상기 감지 연결부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며, 상기 패턴의 방향은 상기 패턴의 강도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비틀림을 주어 틸팅(Tilting) 처리되며,
    상기 다수의 감지부, 상기 감지 연결부 및 상기 더미부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층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감지부, 상기 감지 연결부 및 상기 더미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음각에서 상기 전극층을 감싸는 형태의 블랙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방향의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감지부 내 테두리 전극의 부재(不在)로 상기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패턴이 가장자리에서 교호적으로 길고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선들이 상호 교차되는 그물 형상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상호 교차되는 그물 형상의 선들은 선폭 및 상기 선들간의 간격을 정의하는 피치(pitch)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유사도의 선폭 또는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 형상의 선들의 상기 선폭 또는 상기 피치는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선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정의하는 채움 비율(fill factor)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서 상기 선들의 채움 비율(fill factor)은 10%이하에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교차되는 그물 형상의 선들은 선폭 및 상기 선들간의 간격을 정의하는 피치(pitch)에 의해 결정된 각도에 따라 틸팅(tilt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방향의 패턴 및 상기 패턴과 다른 패턴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 상기 감지 연결부 및 상기 더미부의 패턴에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로 상기 비틀림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부는 상기 감지부와 절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적층되며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을 구비하는 수지층; 및
    상기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더미부 및 상기 감지 연결부는 상기 전극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는 동(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니켈-인(N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에 형성된 상기 감지부, 상기 더미부 및 상기 감지 연결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블랙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층은 상기 음각의 전극층 상부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16.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1 방향의 제1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 감지 연결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1 더미(dummy)부를 구비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기재의 타면 또는 다른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2 방향의 제2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부와,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2 감지 연결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2 더미(dummy)부를 구비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감지부 각각에 포함된 상기 패턴의 방향은 상기 다수의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 연결부의 배열 방향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 연결부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며, 상기 패턴의 방향은 상기 패턴의 강도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비틀림을 주어 틸팅(Tilting) 처리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더미부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층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더미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음각에서 상기 전극층을 감싸는 형태의 블랙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더미부는 상기 제2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일면의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 더미부는 상기 제1 감지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기재의 타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방향의 제1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지거나,
    상기 일정한 방향의 제2 패턴은 연속성 있는 패턴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제2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패턴의 일부가 끊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1 감지부 내 테두리 전극의 부재(不在)로 상기 제1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제2 더미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2 감지부 내 테두리 전극의 부재(不在)로 상기 제2 패턴의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복수의 화소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정보 표시부;
    상기 영상 정보 표시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제1 방향의 제1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부와,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 감지 연결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1 더미(dummy)부를 구비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기재의 타면에 일정한 제2 방향의 제2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부와, 상기 제2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부를 연결하는 제2 감지 연결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제2 더미(dummy)부를 구비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감지부 각각에 포함된 상기 패턴의 방향은 상기 다수의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 연결부의 배열 방향 또는 상기 다수의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 연결부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며, 상기 패턴의 방향은 상기 패턴의 강도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화소 배열과 소정의 각도로 비틀림을 주어 틸팅(Tilting) 처리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더미부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층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감지부,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더미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음각에서 상기 전극층을 감싸는 형태의 블랙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2.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된 다수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인접하며 상기 패턴의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는 다수의 더미(dummy)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감지부 각각에 포함된 상기 패턴의 방향은 상기 다수의 감지부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며, 상기 패턴의 방향은 상기 패턴의 강도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비틀림을 주어 틸팅(Tilting) 처리되며,
    상기 다수의 감지부 및 상기 더미부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패턴화된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층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감지부 및 상기 더미부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음각에서 상기 전극층을 감싸는 형태의 블랙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1020120029461A 2011-06-10 2012-03-22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KR101978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28632.8A CN103649881B (zh) 2011-06-10 2012-06-08 触控屏幕感应器基板、触控屏幕感应器及包括其的面板
EP12796334.6A EP2720119B1 (en) 2011-06-10 2012-06-08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touch screen sensor, and panel comprising same
TW101120743A TWI585626B (zh) 2011-06-10 2012-06-08 觸控螢幕感應器用基板及觸控螢幕感應器
JP2014514813A JP2014519663A (ja) 2011-06-10 2012-06-08 タッチスクリーンセンサー基板とタッチスクリーンセンサーおよびそれを含むパネル
US14/124,813 US9507389B2 (en) 2011-06-10 2012-06-08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touch screen sensor, and panel comprising same
PCT/KR2012/004576 WO2012169848A2 (ko) 2011-06-10 2012-06-08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US15/217,590 US9542021B2 (en) 2011-06-10 2016-07-22 Touch screen sensor substrate, touch screen sensor, and panel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147 2011-06-10
KR20110056147 2011-06-10
KR1020110058859A KR20120018059A (ko) 2010-08-20 2011-06-17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0110058859 2011-06-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814A Division KR101337913B1 (ko) 2013-05-30 2013-05-30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30061809A Division KR101352797B1 (ko) 2013-05-30 2013-05-30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216A KR20120137216A (ko) 2012-12-20
KR101978666B1 true KR101978666B1 (ko) 2019-05-15

Family

ID=4790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461A KR101978666B1 (ko) 2011-06-10 2012-03-22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507389B2 (ko)
EP (1) EP2720119B1 (ko)
JP (1) JP2014519663A (ko)
KR (1) KR101978666B1 (ko)
CN (1) CN103649881B (ko)
TW (1) TWI585626B (ko)
WO (1) WO20121698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8908B (zh) 2012-08-31 2016-09-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CN103677386B (zh) * 2012-08-31 2017-06-2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导电基板及触控显示装置
US9250753B2 (en) * 2013-01-07 2016-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 touch surface in close proximity to display
CN103456390B (zh) * 2013-02-05 2016-04-27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导电膜及其制造方法
US9217678B2 (en) 2013-02-06 2015-12-22 Nanchang O-Film Tech Co., Ltd. Touch sensor panel with conductive wires and color traces
US9268446B2 (en) 2013-02-06 2016-02-23 Nanchang O-Film Tech. Co., Ltd. Monitor, touchscreen sensing modul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ouchscreen sensing module
CN103105970B (zh) * 2013-02-06 2014-09-17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感应模组及包含该触摸屏感应模组的显示器
KR102430886B1 (ko) * 2013-02-27 2022-08-09 미래나노텍(주)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을 위한 더미 패턴을 사용하는 터치 패드의 구조
CN103176652B (zh) * 2013-03-08 2015-05-13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造方法
CN103176679A (zh) * 2013-03-08 2013-06-26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造方法
CN103176680B (zh) * 2013-03-08 2015-05-13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103176681A (zh) * 2013-03-08 2013-06-26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103176656B (zh) * 2013-03-20 2015-05-13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造方法
JP5865285B2 (ja) 2013-03-27 2016-0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40307178A1 (en) * 2013-04-12 2014-10-16 Shenzhen O-Film Tech Co., Ltd Touch screen sensing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3226414B (zh) * 2013-05-02 2015-04-08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备方法
KR20140137304A (ko) * 2013-05-22 2014-12-02 미래나노텍(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및 터치 스크린
KR102108846B1 (ko) * 2013-07-16 2020-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053230B1 (ko) * 2013-07-29 2019-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50029507A (ko) * 2013-09-10 2015-03-18 미래나노텍(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센서,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영상표시장치
WO2015037898A1 (ko) * 2013-09-10 2015-03-19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센서,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영상표시장치
EP3062199B1 (en) * 2013-10-22 2020-01-15 Fujifilm Corporation Conductive film,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JP6068322B2 (ja) * 2013-12-03 2017-01-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TWI509484B (zh) * 2013-12-13 2015-11-21 J Touch Corp 觸控面板裝置與其電極結構
KR20150074350A (ko) * 2013-12-24 2015-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262548B1 (ko) * 2014-02-05 2021-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187680B1 (ko) * 2014-02-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187705B1 (ko) * 2014-03-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198120B2 (en) 2014-03-13 2019-02-05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JP6405659B2 (ja) * 2014-03-25 2018-10-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位置検知電極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用位置検知電極部材の多面付け中間体
CN104951116B (zh) * 2014-03-31 2018-08-31 宸盛光电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5159460A1 (ja) * 2014-04-15 2015-10-22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20150131610A (ko) * 2014-05-15 2015-11-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50146371A (ko) * 2014-06-23 2015-12-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4123037A (zh) * 2014-07-04 2014-10-29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251860B1 (ko) * 2014-07-11 2021-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US9927939B2 (en) 2014-08-13 2018-03-27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WI623873B (zh) * 2014-09-01 2018-05-11 東友精細化工有限公司 透明電極層板及含此之觸控螢幕面板
WO2016052886A1 (ko) 2014-09-30 2016-04-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반사도가 감소된 투명 전극 및 인쇄 공정을 이용한 상기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KR20160041487A (ko) * 2014-10-08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946426B2 (en) * 2014-11-25 2018-04-17 Interface Opto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metal mesh pattern and touch panel
US9898147B2 (en) * 2014-12-12 2018-02-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sh electrode matrix having finite repeat length
KR102263975B1 (ko) 2014-12-16 2021-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229B1 (ko) * 2015-03-11 2016-10-10 주식회사 아모센스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71820B1 (ko) * 2015-04-17 2022-03-07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멀티칩 터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287878A4 (en) * 2015-04-24 2018-10-3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JP6549942B2 (ja) * 2015-09-02 2019-07-24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KR101959488B1 (ko) 2015-09-08 2019-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536878B1 (ko) * 2016-01-26 2023-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96991B1 (ko) * 2016-03-04 2017-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17515B1 (ko) * 2016-07-29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 패널을 구비한 전자 장치
CN109690457A (zh) * 2016-09-07 2019-04-2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摸面板用构件
CN106354353A (zh) * 2016-09-23 2017-01-25 苏州维业达触控科技有限公司 触控导电膜及触控模组和显示装置
KR102419557B1 (ko) * 2017-08-28 2022-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9433B1 (ko) * 2017-11-03 2022-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57359B (zh) 2017-11-24 2019-04-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US10725600B2 (en) * 2018-06-20 2020-07-28 Sharp Kabushiki Kaisha Position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input function
US10854648B2 (en) * 2018-12-14 2020-12-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Image sensor of fingerpri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98B1 (ko) * 2009-08-24 2010-04-27 남동식 터치패널센서
JP2010262529A (ja) * 2009-05-08 2010-11-18 Gunze Ltd 面状体及びタッチ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1777A1 (en) 2001-08-22 2010-12-1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ensor for generating position data and method therefor
JP4159325B2 (ja) 2002-08-27 2008-10-01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スイッチ
JP2006010811A (ja) 2004-06-23 2006-01-12 Sony Corp 表示装置
JP4610416B2 (ja) * 2005-06-10 2011-01-1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JP4967765B2 (ja) * 2007-04-05 2012-07-0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凹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98221B1 (ko) * 2007-04-30 2009-05-18 안영수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JP2008305036A (ja) * 2007-06-06 2008-12-18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US20080309633A1 (en) * 2007-06-13 2008-12-18 Apple Inc. Touch-sensitive display
JP2009009249A (ja) 2007-06-26 2009-01-15 Nissha Printing Co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2方式併用タッチパネル
KR100936009B1 (ko) 2007-12-04 2010-01-08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투 레이어 방식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JP4945483B2 (ja) * 2008-02-27 2012-06-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パネル
EP4071785A1 (en) * 2008-02-28 2022-10-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creen sensor
KR20100006987A (ko) * 2008-07-11 2010-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29638B1 (ko) * 2008-07-31 2013-11-14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평면체 및 터치 스위치
US9395850B2 (en) * 2008-10-06 2016-07-19 Japan Display Inc. Coordinate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JP5075082B2 (ja) 2008-10-06 2012-11-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048930B1 (ko) * 2009-01-16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156275B1 (ko) * 2009-02-06 2012-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5023B1 (ko) 2009-02-23 2011-03-25 (주)이엔에이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JP5230533B2 (ja) * 2009-05-29 2013-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5174745B2 (ja) 2009-06-09 2013-04-03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スイッチ
KR101144152B1 (ko) 2009-11-17 2012-05-09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JP2011059771A (ja) 2009-09-07 2011-03-24 Hitachi Chem Co Ltd 網目状導電性パターン、導体層パターン付き基材及びタッチパネル部材
JP5359736B2 (ja) * 2009-09-28 2013-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電極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US8599150B2 (en) 2009-10-29 2013-12-03 Atmel Corporation Touchscreen electrode configuration
JP2012014669A (ja) 2009-11-20 2012-01-19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JP2011113149A (ja) 2009-11-24 2011-06-09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導電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WO2011065032A1 (ja) * 2009-11-27 2011-06-03 凸版印刷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CN201732353U (zh) 2010-03-02 2011-02-02 禾威科技股份有限公司 手持式触控输入装置
WO2011108869A2 (ko) 2010-03-03 2011-09-09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2529A (ja) * 2009-05-08 2010-11-18 Gunze Ltd 面状体及びタッチスイッチ
KR100954898B1 (ko) * 2009-08-24 2010-04-27 남동식 터치패널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07389B2 (en) 2016-11-29
EP2720119B1 (en) 2020-08-05
US9542021B2 (en) 2017-01-10
TW201303670A (zh) 2013-01-16
US20160328041A1 (en) 2016-11-10
TWI585626B (zh) 2017-06-01
KR20120137216A (ko) 2012-12-20
EP2720119A2 (en) 2014-04-16
CN103649881A (zh) 2014-03-19
WO2012169848A2 (ko) 2012-12-13
EP2720119A4 (en) 2015-03-04
JP2014519663A (ja) 2014-08-14
CN103649881B (zh) 2017-09-15
US20140118641A1 (en) 2014-05-01
WO2012169848A3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66B1 (ko)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KR101301480B1 (ko) 터치스크린 센서, 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7913B1 (ko) 터치 스크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28368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18059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9122088B2 (en)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JP2018152123A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スクリーンのためのダミーパターンを使用するタッチパッドの構造
JP2013058180A (ja) タッチパネル
US10884548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US20110315536A1 (en) Touch panel
JP6349125B2 (ja) タッチセンサ
KR101449493B1 (ko) 더미 패턴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
JP2015018532A (ja) タッチセンサ
KR101386333B1 (ko) 입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2797B1 (ko) 터치 스크린 센서 기판
KR101449499B1 (ko) 더미 패턴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
US20150136450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2675536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US8710516B2 (en) Touch pan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469485B2 (ja) タッチパネル用導電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2022010877A (ja) タッチパネル用電極部材、タッチ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5777093A (zh) 触摸面板用导电部件及触摸面板
KR20140137304A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및 터치 스크린
KR20150141008A (ko)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