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11B1 -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11B1
KR101974311B1 KR1020180093080A KR20180093080A KR101974311B1 KR 101974311 B1 KR101974311 B1 KR 101974311B1 KR 1020180093080 A KR1020180093080 A KR 1020180093080A KR 20180093080 A KR20180093080 A KR 20180093080A KR 101974311 B1 KR101974311 B1 KR 101974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uide
ring support
fishing line
met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CN201880086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683526B/zh
Priority to JP2019531364A priority patent/JP6579416B1/ja
Priority to PCT/JP2018/047624 priority patent/WO2019142625A1/ja
Priority to EP18901248.7A priority patent/EP3741212B1/en
Priority to TW108100340A priority patent/TWI68440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Coating ann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Abstract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갖는 링 유지부와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한다. 링 유지부는 링 유지공을 형성하도록 돌출되어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한다.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부착부를 이루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링 서포트와 부착부가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METHOD OF MANUFACTURING FISHING LINE GUIDE,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낚싯줄을 가이드하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가이드 링을 유지 및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과 결합되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가진다.
낚싯대 중 이른바 진출식(振出式) 낚싯대(telescopic fishing rod)에는, 낚싯대의 관상 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는 유동(遊動)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유동 가이드는, 낚싯대의 관상 대가 관통하는 환상의 부착부를 가진다. 유동 가이드는 관상 대가 부착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관상 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부착부와 관상 대의 외주면 간의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관상 대에 고정된다.
유동 가이드의 일 예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4275457호와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는, 관상 대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부착부와, 가이드 링을 지지하고 부착부에 끼워맞춤되는 부착링을 갖는 금속제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유동 가이드를 개시한다.
유동 가이드를 진출식 낚싯대에 설치하기 위해, 유동 가이드의 환상 부착부는 낚싯대의 후단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된다. 진출식 낚싯대의 관상 대는 낚싯대의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관상 대의 외경과 부착부의 내경이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부착부는 관상 대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부착부를 낚싯대의 후단 측으로 강하게 누르면, 부착부가 약간 변형되고, 부착부가 낚싯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부착부에 결합된 프레임에 다양한 외력이 작용한다. 예컨대, 낚싯대에 횡방향으로 외력이 프레임에 가해지면, 프레임과 부착부가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유동 가이드의 낚싯줄 안내 기능이 상실된다. 그러나, 환상의 부착부와 부착링에 의해 부착부와 결합되는 프레임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프레임에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에 저항하는 충분한 회전방지강도를 갖지 못해, 사용자가 프레임에 가하는 부주의한 충격, 또는 낚시 장소에서의 바위 또는 지면이 프레임에 가하는 충격에 의해,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저항하는 회전방지강도가 크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금속제의 부착링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므로, 충분한 굽힘강도를 갖지 못하며, 유동 가이드에 발생하는 낚싯줄의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하지 못한다.
진출식 낚싯대는, 둔치, 해변가, 갯바위 등에서의 낚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갯바위 낚시를 위한 진출식 낚싯대는, 4.5m 내지 5.5m의 전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출식 낚싯대에는, 일반적으로 10개 내지 15개의 유동 가이드가 부착될 수 있다. 낚시구의 캐스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또는 물고기를 용이하게 낚아올리기 위해서는, 경량의 낚싯대가 유리하며, 이를 위해서는, 경량의 유동 가이드가 진출식 낚싯대에 요구된다. 그러나, 금속제의 부착링을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으로 인해,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경량화에 부응하지 못한다.
일본 특허공보 제4275457호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한 낚싯줄 가이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 플랜지가 형성된 링 서포트와 링 서포트의 하단이 부착부에 매립된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또한, 크기가 작은 부착부의 후단이 크기가 큰 부착부의 전단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갖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 유지부에는 링 유지공인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보강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를,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상기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금속 쉬트에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금속 쉬트의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금속 쉬트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내주면에서 상기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되는 상기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쉬트에 적어도 하나의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쉬트로부터 상기 링 서포트를 블랭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버링 펀치의 중심축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버링 펀치를 상기금속 쉬트 상에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버링 펀치를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버링 펀치의 선단이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구부리는 단계와, 상기 버링 펀치로 상기 관통공을 완전히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는, 상기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상기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와, 상기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상기 링 서포트의 하단으로 볼록한 제2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 전에, 상기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를 상기 금속 쉬트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수지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을 셰이빙하여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시줄 가이드는,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갖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상기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상기 부착부를 이루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링 서포트와 상기 부착부가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상기 부착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방 리브와, 상기 부착부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지지부는 상기 링 지지부 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굽힘각으로 굽힘될 수 있다. 상기 링 유지부는 상기 링 유지공을 형성하도록 상기 링 유지공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랜지는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과 이어지는 만곡한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이 상기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랜지의 안내면과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는 상기 가이드 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끼워 맞춤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방 리브 및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의 후단면까지 연장하고, 상기 부착부의 후단면이 상기 상방 리브의 후단면과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방 리브의 후단면과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은 상기 관상 대에 부착된 다른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의 전단면과 접촉 가능하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는, 복수개의 관상 대와, 상기 관상 대 중 하나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링 유지부에 보강 플랜지가 형성되므로, 가이드 링과 링 유지부 사이의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랜지는 버링 공정 및 셰이빙 공정을 통해 형성되어 안내면을 가지므로, 가이드 링이 링 유지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링의 깨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에 부착부의 후단면까지 연장하는 상방 리브 및 측방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부착부의 후단이 크기가 큰 부착부의 전단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설치된 진출식 낚싯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서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서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서포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라 링 서포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서포트와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금형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보강 플랜지의 형성 방법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랜지의 형성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비교예에 따른 링 유지부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유지부를 비교하기 위한 표이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른 링 유지부에 가이드 링이 삽입되는 과정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유지부에 가이드 링이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비교예에 따른 링 유지부에 가이드 링이 삽입된 모습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유지부에 가이드 링이 삽입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리브가 제공된 부착부를 구비한 낚싯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기재된 '7 mm'라는 치수는 '약 7 mm'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링 서포트가 부착부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면에 표시된 좌표계에서, "TD"는 전방 방향을 의미하고, "BD" 후방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UD"는 상방 방향을 의미하고 "LD"는 하방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WD"는 폭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가 설치된 진출식 낚싯대(10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화살표(TD)는 낚싯대의 팁(tip)(1001)을 향하는 전방 방향을 지시하고, 화살표(BD)는 낚싯대의 버트(butt)(1002)를 향하는 후방 방향을 지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낚싯대(1000)는, 당해 분야에서 진출식(振出式, telescopic) 낚싯대로 참조될 수 있다. 낚싯대(1000)는, 둔치, 해안가, 선상, 갯바위 등에서의 낚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낚싯대(1000)의 사용 장소가 전술한 장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낚싯대(1000)는 길다란 원통 형상의 간체(竿體)(1005)를 포함한다. 간체(1005)는 낚싯대(1000)에 작용하는 여러 외력에 저항하고 낚싯대(10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간체(1005)는 제1 내지 제5 관상 대(1110, 1120, 1130, 1140, 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관상 대가, 그 다음에 위치하고 그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관상 대의 내부에 끼워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복수개의 관상 대가 결합되어, 간체(1005)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확장된 낚싯대(1000)의 간체(1005)를 도시한다.
간체(1005)의 관상 대 중, 낚싯대(10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1 관상 대(11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원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관상 대(1110)에는 릴 시트(1115)가 부착되며, 릴 시트(1115)에는 낚싯줄(미도시)을 방출하거나 감기 위한 릴(미도시)이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낚싯대(1000)는 제2 내지 제5 관상 대(1120, 1130, 1140, 115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릴로부터 방출되거나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릴에 감기는 낚싯줄을 안내한다. 상기 복수개의 낚싯줄 가이드로서, 개시된 여러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가 간체(1005)의 제2 내지 제 5관상 대(1120, 1130, 1140, 1150)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체(1005)의 제3 관상 대(1130)가 낚싯줄 가이드(1)의 환상의 부착부를 관통하여, 낚싯줄 가이드(1)가 간체(1005)에 부착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가 간체(1005)에 부착되기 전에, 낚싯줄 가이드(1)는 그 부착부에서 간체(1005)를 따라 전방 방향(TD) 또는 후방 방향(B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간체(100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간체(1005)의 제3 관상 대(1130)는 전방 방향(TD)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1)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1)의 부착부가 제3 관상 대(1130)의 외주면과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함됨으로써, 낚싯줄 가이드(1)가 간체(1005)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유동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참조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낚싯줄 가이드(1)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낚싯줄 가이드(1)의 정면도이며, 도 2c는 낚싯줄 가이드(1)의 측면도이다.
낚싯줄 가이드(1)는 링 서포트(1a) 및 링 서포트(1a)와 결합되는 부착부(1b)를 포함할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링 유지공(10a)이 형성되는 링 유지부(11) 및 링 유지부(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지지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링 유지공(10a)에는 가이드 링(12)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1b)는 링 서포트(1a)를 인서트로 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부터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링 지지부(13)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1b)는 도 1에 도시된 낚싯대(1000)의 외주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부착부(1b)는 환상의 형상을 가져, 간체(1005)의 관상 대 중 예를 들어, 제3 관상 대(1130)가 부착부(1b)를 관통할 수 있다. 부착부(1b)는 제3 관상 대(1130)가 관통할 수 있는 환상체(16)를 포함한다. 환상체(16)에는 제3 관상 대(1130)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보어(10b)가 낚싯대의 중심축(R)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보어(10b)의 직경은 전방 방향(TD) 또는 후방 방향(BD)으로 균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관상 대(1130)가 보어(10b)를 관통한 상태에서, 부착부(1b)는 제3 관상 대(1130)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고 제3 관상 대(11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 관상 대(1130)는 전방 방향(TD)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환상체(16)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키는 도중, 제3 관상 대(1130)의 외경과 보어(10b)의 직경이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환상체(16)는 제3 관상 대(1130)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 때, 환상체(16)를 후방 방향(BD)으로 더욱 이동시키면, 환상체(16)가 약간 변형되면서 부착부(1b)는 제3 관상 대(1130)에 견고하게 끼워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환상체(16)의 내주면에는 보어(10b)의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중심축(R)을 향하여 돌출한 복수의 세레이션(17)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세레이션(17)의 단부에는 뾰족한 형상의 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세레이션(17)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부착부(1b)를 소정의 크기 이상의 압입 하중으로 간체(1005)에 압입하는 경우, 복수의 세레이션(17)의 팁이 간체(1005)의 외주면을 물게 되어, 간체(1005)와 환상체(16) 사이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링 유지공(10a)은 링 유지부(11)에 링 유지부(11)의 두께방향(즉, 단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링 유지공(10a)은 가이드 링(12)의 외주면에 맞추어지도록 타원형의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링 유지공(10a)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링(12)은 낚싯줄에 의한 마모의 방지를 위하여 세라믹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링(12)은 그 외주면에서 링 유지공(10a)을 둘러싸는 링 유지부(11)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며, 점접촉 또는 면접촉 등에 의해 링 유지부(11)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 유지부(11)의 내주면과 가이드 링(1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이들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링 유지부(11)는 링 유지공(10a)에 의해 가이드 링(12)의 전체 둘레를 따라 가이드 링(12)을 유지하도록 대략 환상을 취한다.
환상체(16)는, 전방 방향(TD)으로 위치하고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외경부(16a)와, 대외경부(16a)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대외경부(16a)와 이어져 있는 소외경부(16b)를 가진다. 대외경부(16a)에서의 환상체(16)의 반경 방향 두께는 소외경부(16b)에서의 환상체(16)의 반경 방향 두께보다 크다. 대외경부(16a)의 전방 방향(TD)의 표면이 부착부(1b)의 환상의 전단면(前端面)(161a)을 형성할 수 있고, 소외경부(16b)의 후방 방향(BD)의 표면이 부착부(1b)의 환상의 후단면(後端面)(161b)을 형성할 수 있다.
부착부(1b)는 링 서포트(1a)와 결합하는 결합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8)는 대외경부(16a)의 상측 외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8)는 전방 결합부(18a)와 후방 결합부(18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8)에는 링 서포트(1a)의 하단이 삽입되는 결합구(181)가 형성될 수 있다.
환상체(16)의 외주면에는 제1 내지 제3 리브(15a, 15b, 15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15a)는 상방 리브로 설명될 수 있고,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한 쌍의 측방 리브로 설명될 수 있다. 제1 리브(15a)는 후방 결합부(18b)의 외측 단부와 소외경부(16b)의 후단면(16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소외경부(16b)의 하측 부분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제1 내지 제3 리브(15a, 15b, 15c)는 정면 방향에서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리브(15a)는 링 지지부(13)에 인접하여 환상체(16)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리브(15a)는 후방 결합부(18b)와 소외경부(16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 리브(15b)의 외주면(151a)은 중심축(R)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제1 리브(15a)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브(15a)는, 후방 방향(BD)에서의 후단면(161b)으로부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확대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2c를 참고하면, 제1 리브(15a)의 외주면(151a)에 포함된 길이 방향 중심선(M2)은 낚싯대의 중심축(R)과 소정의 각도(δ1)를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각도(δ1)는 대략, 20° 내지 50° 사이가 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환상체(16)의 측단에서 환상체(16)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대외경부(16a)와 소외경부(16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및 제3 리브(15b, 15c)의 폭은 제1 리브(15a)의 폭보다 작다. 제1 리브(15a)와 한 쌍의 제2 및 제3 리브(15b, 15c) 간의 중심축(R)에 대한 각도는 대략 120°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리브(15a)와 한 쌍의 제2 및 제3 리브(15b, 15c)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부착부(1b)의 후단면(161b)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b)의 후단면(161b)이 제1 리브(15a)의 후단면과 상기 제2 및 제3 리브(15b, 15c)의 후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부착부(1b)의 후단면(161b)과 제1 내지 제3 리브(15a, 15b, 15c)의 후단면은 하나의 일체로 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소외경부(16b)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반경방향의 두께를 갖는 하측 부착부(161)와, 하측 부착부(161)의 양 선단으로부터 둘레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된 상측 부착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부착부(162)는 중심축(R)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하측 부착부(161)는 중심축(R)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 부착부(162)는 제1 리브(15a)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측 부착부(161)는 한 쌍의 제2 및 제3 리브(15b, 15c)와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부착부(162)는 하측 부착부(161)의 양 선단으로부터 제1 리브(15a)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반경방향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측 부착부(162)에서 제1 리브(15a)와 이어지는 부분의 반경방향 두께가 가장 클 수 있다. 중심축(R)과 하측 부착부(161)의 양 선단을 연결한 선 사이의 각도(α)는 17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측 부착부(162)는 인서트 사출 성형시, 중심선(M1)으로 향하는 사출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반전류의 유입을 촉진함으로써 웰드 라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1)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링 서포트(1a)는, 강도 향상을 위한 구조물로서, 링 유지부(11) 내에 보강 플랜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 플랜지(112)는 가이드 링(12)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 플랜지(112)는 링 유지부(11)로부터 전방 방향(TD) 및 하방 방향(LD)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플랜지(112)는 링 유지부(11)의 전단면(116)으로부터 링 유지공의 중심축(R2)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플랜지(112)는, 내주면(119)의 돌출 길이(ST)가 링 유지부(11)의 두께(RT)보다 작도록, 링 유지부(11)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보강 플랜지(112)는 그 내주면(119)에서 링 유지공(10a)을 한정한다. 링 유지부(11)는 전단면(116)의 반대측 후단면(117)과 보강 플랜지(112)의 내주면 사이(119)에 형성되며 만곡한 형상을 갖는 안내면(118)을 포함할 수 있다. 내주면(119)은 환상으로 연장하며, 가이드 링(12)이 내주면(119)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안내면(118)은 내주면(119)에 이어져 있으며, 안내면(118)은 내주면(119)을 따라 환상으로 연장한다. 안내면(118)은 내주면(119)에 대해 만곡되어 있으며,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안내면(118)의 직경은 후단면(117)으로부터 내주면(119)을 향하여 축소된다.
가이드 링(12)은 안내면(118)과 인접한 위치에서 링 유지공(10a)의 축방향(R2)으로 이동하면서 보강 플랜지(112)의 내주면(119)과 접촉하여 상기 링 유지공에 끼워질 수 있다. 가이드 링(12)이 보강 플랜지(112)에 끼워맞춤 될 때, 가이드 링(12)은 안내면(118)으로부터 내주면(119)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링(12)의 외주면이 안내면(118)을 따라 내주면(119)에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링(12)과 링 유지부(11)간의 끼워맞춤 시에 가이드 링(12)의 외주면에서의 깨짐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 링(12)의 외주면(121)은, 보강 플랜지(112)의 내주면(119)과 접촉하는 제1 외주면(121a)과, 안내면(118)과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외주면(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공간에는 가이드 링(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접착제(G)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링(12)과 보강 플랜지(112) 간에 강한 접착 강도가 달성될 수 있다.
링 유지부(11)에 형성된 보강 플랜지(112)에 의해, 링 서포트(1a)의 굽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보강 플랜지(112)는, 링 서포트(1a)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쉬트 내에 링 유지공(10a)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버링(burring) 공정을 통해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금속 쉬트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버링(burring) 공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a 내지 4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의 링 서포트(1a)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링 서포트(1a)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링 서포트(1a)를 II-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c는 링 서포트(1a)의 측면도이고, 도 4d는 링 서포트(1a)의 후면도이다.
링 서포트(1a)는 가이드 링(12)을 유지하며, 부착부(1b)에 대하여 가이드 링(12)을 지지할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테인리스 합금, 티타늄합금, 순티타늄 등의 금속 재료로 제조된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그 안에 형성된 굽힘부에 의해 링 서포트(1a)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는 박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a)는, 상기 금속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진 얇은 금속 쉬트(당해 분야에서, 이러한 금속 쉬트는 블랭크(blank)로서 참조될 수 있다)를 펀칭, 블랭킹, 벤딩과 같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링 지지부(13)의 우반부(131)와 좌반부(132)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1351)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1351)는 링 지지부(13)를 낚싯대의 중심축(R)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관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굽힘부(1331)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인서트 사출 성형 시에, 부착부(1b)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가 제1 개구(1351)로 유입하여 제1 개구(1351) 내에서 경화한다. 즉, 제1 개구(1351)는 경화된 부착부(1b)의 수지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b)와 링 서포트(1a) 간의 결합 구조가 보강되어, 낚싯줄 가이드(1)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링 서포트(1a)가 부착부(1b)의 결합부(18)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결합부(18)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링 지지부(13)의 우반부(131)와 좌반부(132)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개구(1352)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1352)는 링 지지부(13)를 낚싯대의 중심축(R)의 방향으로(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1352)는 제1 굽힘부(1331)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며,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2 개구(1352)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1)는 더욱 경량화될 수 있다. 제2 개구(1352)는 부착부(1b)의 결합부(18)보다도 외측(상방 방향(UD))에서 링 지지부(13)에 위치한다. 제2 개구(1352)는 결합부(18)의 상측 윤곽선에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부착부(1b)와 링 지지부(13) 간의 결합 강도를 유지한 채로 링 지지부(13)의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링 지지부(13) 내에 형성된 제1 굽힘부(1331)를 가질 수 있다. 제1 굽힘부(1331)는 폭방향(WD)에서 링 지지부(13)의 중앙에 또는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링 지지부(13)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후방 방향(BD))으로 굽힘될 수 있다.
제1 굽힘부(1331)는, 링 서포트(1a) 내에서 낚싯대의 중심축(R)을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또는,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는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13)의 하단까지 연장한다. 또한, 제1 굽힘부(1331)는 낚싯대의 중심축(R)으로부터 대략 상방 방향(UD)으로 연장하여, 제2 굽힘부(1332)의 중앙과 만난다.
링 서포트(1a)는 링 유지부(11)와 링 지지부(13) 간의 경계로 되는 제2 굽힘부(1332)를 가질 수 있다. 제2 굽힘부(1332)는 대략 그 중앙에서 제1 굽힘부(1331)에 연결된다. 링 유지부(11)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13)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후방 방향(BD))으로 굽힘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링 유지부(11)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는, 링 서포트(1a)를 이루는 금속제의 박판 내에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링 서포트(1a)에 굽힘 형상을 이용한 강도 보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는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링 서포트(1a)의 전단면(116) 및 후단면(117) 상에서,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는 가는 선의 형상, 좁은 면의 형상, 좁은 곡면의 형상, 비교적 넓은 곡면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링 서포트(1a)의 종단면을 취할 때,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는 링 서포트(1a)의 전단면 (116) 및 후단면(117) 상에서 후방 방향(B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4a 및 4d를 참고하면, 제2 굽힘부(1332)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 간의 연결점(도 4a에 도시하는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으로부터 제1 굽힘부(1331)에 대해 둔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1a)는, 링 유지부(11)와 링 지지부(13) 간의 경계로 되고 링 유지부(11)의 굽힘의 기준이 되는 제2 굽힘부(1332)를 가진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a)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며, 링 서포트(1a)의 하단(링 지지부(13)의 하단)을 향해 볼록하다. 링 유지부(11)와 링 지지부(13)는 공통의 엣지를 가진다. 이에 따라, 링 서포트(1a)에 있어서, 링 유지부(11)의 하단 엣지와 링 지지부(13)의 상단 엣지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부(1332)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가지며,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링 서포트(1a)를 측방에서 볼 때, 제2 굽힘부(1332)는 전방 방향(TD)과 상방 방향(UD)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부(1332)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만나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는 Y자형 형상을 형성하여, 링 서포트(1a)에 Y자형 굽힘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링 서포트(1a)는, 전술한 금속 쉬트(블랭크)를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따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b 및 4c를 참고하면, 금속 쉬트(블랭크)에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형성하고 링 지지부(13)를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α1)으로 굽힘시키고 링 유지부(11)를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제2 굽힘각(α2)으로 굽힘시키는 벤딩 가공에 의해, 링 서포트(1a)가 형성될 수 있다.
링 서포트(1a)는, 링 유지부(11), 링 지지부(13)의 우반부(131) 및 링 지지부(13)의 좌반부(132)가 서로를 향해 굽힘된 금속제의 박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제의 박판에서, 링 유지부(11), 링 지지부(13)의 우반부(131) 및 링 지지부(13)의 좌반부(132)는 Y자형 굽힘부를 만드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이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에 의해 서로를 향해 굽힘되어 있다.
전술한 금속 쉬트의 프레스 가공은, 금속 쉬트를 이루는 금속 재료가 가공경화를 일으킬 때까지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a를 참고하면, 링 서포트(1a)는 상기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금속 재료가 가공경화되어 생성하는 가공경화부(1341, 13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경화부(1341, 1342)의 형상은,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의 Y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가공경화부(1341, 1342)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따라 링 서포트(1a)의 내부에 형성된다. 가공경화부(1341, 1342)는 링 서포트(1a)의 링 유지부(11) 및 링 지지부(13)보다 높은 항복점(yield point)을 가지므로, 링 서포트(1a)는 가공경화부(1341, 1342)가 생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에서 소성변형을 일으키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만드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서포트(1a)는 링 서포트(1a)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강한 저항을 가져, 링 서포트(1a)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링 지지부(13)는 제1 굽힘각(α1)으로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1 굽힘각(α1)은 120° 내지 170°의 둔각이 될 수 있다. 제1 굽힘각(α1)이 둔각인 경우, 링 지지부(13)의 횡풍과 면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강한 횡풍의 항력에 의해 낚싯대가 휘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굽힘각(α1)이 120° 이상인 경우, 횡풍이 강한 경우에 링 지지부(13)에 대한 횡풍의 항력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링 지지부(13)에 대해 굽힘되어 있는 링 유지부(11)의 넓이를 단순한 형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1 굽힘각(α1)이 170°를 초과하는 경우, 링 지지부(13)를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벤딩시킬 때 제1 굽힘부(1331)에 압축에 의한 가공경화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링 서포트(1a)를 낚싯대의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외력이 링 서포트(1a)에 작용하면, 절곡된 링 지지부(13)가 외력의 벡터 방향으로 일직선 모양으로 변형되기 쉬어, 링 서포트(1a)가 부착부(1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중심축(R)을 따라서 링 지지부(13)의 전단(링 지지부(13)의 측단 엣지)과 링 지지부(13)의 후단(후단면(117) 상의 제1 굽힘부(1331)) 간의 거리(벤딩된 링 지지부의 두께)(T1)는 0.5mm 내지 3mm가 될 수 있다. 수지 재료의 부착부는 탄성변형하기 쉬우며, 작은 응력에 의해서도 휨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거리(T1)가 0.5mm 미만인 경우, 링 서포트(1a)를 낚싯대의 중심축(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의 외력이 링 서포트(1a)에 가해질 때에(도 4a에서의 화살표(F1) 참조), 링 지지부(13)에 의해 밀려지는 결합구(181)의 표면이 변형하여, 링 서포트(1a)에 필요한 반력이 작용하지 않고 링 지지부(13)가 결합구(181)를 타넘어 이동할 수 있다. 거리(T1)가 3mm를 초과하는 경우, 링 서포트(1a)가 지나치게 커질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의 경량화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1b)로부터 돌출된 링 지지부(13)의 부분이 횡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수 있어, 낚싯대의 묵직한 느낌이 두드러지게 악화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링 유지부(11)는 링 지지부(13)에 대해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제2 굽힘각(α2)으로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될 수 있다. 링 유지부(11)는 낚싯대의 팁을 향해(전방 방향(TD)으로) 링 지지부(13)에 대해 제2 굽힘각(α2)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2 굽힘각(α2)은, 링 서포트(1a)의 굽힘 강도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를 위해, 예를 들어, 15° 내지 20°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또는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링 서포트(1a)를 제3 관상 대(1130, 도 1 참조)를 중심으로 하여(낚싯대의 중심축(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외력(F1, 도 4a 참고)이 링 서포트(1a)에 반복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링 서포트(1a)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서포트(1a)는 제3 관상 대(1130)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F1)에 저항하는 향상된 회전방지강도를 가진다.
도 4b 및 도 4c를 참고하면, 링 지지부(13)의 우반부(131)와 좌반부(132)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중심축(R)에 대해 예각으로 비스듬히 위치하여 서로를 향한다. 링 유지부(11)는 링 지지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평평하다. 즉, 링 유지부(11)는 링 지지부(13)로부터 제2 굽힘부(1332)을 통해 절곡되어 있다. 링 유지부(11)의 하단 엣지와 링 지지부(13)의 상단 엣지는 V자 형상의 제2 굽힘부(1332)로서 형성된다.
도 4d를 참고하면, 제2 굽힘부(1332)의 V자 형상에 관련하여, 제2 굽힘부(1332)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가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으로부터 링 서포트(1a)의 상단을 향해 경사져 있다. 제2 굽힘부(1332)의 V자 형상에서의 사잇각(α3)(즉, 직선상 굽힘부(1333, 1334) 간의 사잇각)은 굽힘 강도의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를 위해, 110° 내지 120°일 수 있다. 즉, 링 지지부(13)의 우반부(131) 및 좌반부(132)의 각각의 상단 엣지는, 링 서포트(1a)의 폭방향(WD)에서의 중심으로부터 링 서포트(1a)의 상단을 향해 경사져 있다. 평평한 링 유지부(11)는 좌반부(131) 및 우반부(132)의 각각의 상단 엣지에 제2 굽힘부(133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 서포트(1a)에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하는 Y자형 굽힘부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링 서포트(1a)에 외력(F1)이 작용하여도, 링 서포트(1a)는 링 지지부(13)의 우반부(131) 및 좌반부(132)가 열리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변형하거나, 휘어지거나, 비틀리는 것에 대해 강하게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링 서포트(1a)는 상기 Y자형 굽힘부로 인해, 외력(F1)에 강하게 저항하므로, 링 서포트(1a)는 향상된 회전방지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링 지지부(13)가 부착부(1b)의 결합구(181)를 확장시키거나, 링 지지부(13)가 부착부(1b)의 결합구(181)를 타고넘어 부착부(1b)에 대해 회전하거나, 링 지지부(13)가 부착부(1b)의 결합부(18)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링 서포트(1a)에는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외력(F2, 도 4a 참조)이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낚시 도중의 낚싯줄에 의해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외력(F2)이 링 서포트(1a)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링 서포트(1a)는 외력(F2)에 저항하는 향상된 굽힘강도를 갖는다. 링 서포트(1a)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유지부(11)가 외력(F2)의 방향으로 변형하거나 휘어지는 것, 또는 링 지지부(13)의 우반부(131)와 좌반부(132)가 외력(F2)의 방향으로 열리거나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링 서포트(1a)는 외력(F2)에 저항하는 향상된 굽힘강도를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링 서포트(1a)와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부착부(1b)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링 지지부(13)의 하측 일부가 대외경부(16a)의 결합부(18) 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링 서포트(1a)와 부착부(1b)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 서포트(1a)는 부착부(1b)에 끼워맞춤되는 부착링(미도시)과 같은 연결 부품을 구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착부와 부착링이 형성된 프레임이 결합되는 종래기술의 낚싯줄 가이드와 비교하여,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는 현저하게 작은 중량을 가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S1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S10)에서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서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S12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서포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S10)은 상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1)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S10)은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 및 가이드 링을 링 유지공에 끼워맞춤하는 단계(S30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일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카본 단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비해 3~5배의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진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높은 섬유 배합량으로 고강성을 가지며, 고온에서 우수한 크리프 특성을 가진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고온에서 높은 탄성 유지율을 갖고, 저온에서 우수한 충격 유지율을 갖는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휨 변형량이나 당김 변형량이 작고 선팽창 계수가 작아, 치수 안정성이 높으며,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진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의 일 예는, 270Mpa의 인장강도, 340MPa의 굽힘강도, 17000Mpa의 굽힘탄성률, 22KJ/m2의 노치붙이 샤르피 충격강도(Charpy notched impact strength), 178°C의 하중휨 온도, 1.16g/cm3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카본 장섬유의 일 예는 대략 7mm의 길이와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서의 카본 함량은 약 30%가 될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서의 수지는 나일론 수지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은, 금속 쉬트에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 금속 쉬트의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금속 쉬트로부터 돌출시켜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S120),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을 셰이빙하여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S130), 한 쌍의 제1 개구를 금속 쉬트에 형성하는 단계(S140), 금속 쉬트에 적어도 하나의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50), 및 금속 쉬트로부터 링 서포트를 블랭킹하는 단계(S1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a를 참조하면, 단계(S110)에 있어서, 사각의 평판인 금속 쉬트(100)가 준비되고, 금속 쉬트(100)에 관통공(101)이 형성된다. 금속 쉬트(100)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테인리스 합금, 티타늄합금, 순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쉬트(100)는 순티타늄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관통공(101)의 형성은 펀칭 또는 드릴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관통공(101)은 단계(S120, S130)가 진행된 후에 도 2a에 도시하는 링 유지공으로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b를 참조하면, 단계(S120)에 있어서, 금속 쉬트(100)의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금속 쉬트(100)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내주면(119)에서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되는 보강 플랜지(11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도 8a에 도시된 관통공(101)보다 크기가 확장된 확장공(102)이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20)에 의해, 내주면(119)과 안내면(118)을 갖고 내주면(119)에 의해 링 유지공을 한정하는, 보강 플랜지(112)가 링 서포트(1a)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플랜지(112)는 금속 쉬트(10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할 수 있다. 보강 플랜지(112)의 내주면에 도 2a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될 수 있다.
보강 플랜지(112)의 형성은 버링 공정(burring)에 의해, 예를 들어, 버링 펀치를 사용하여 관통공(101)의 전체 가장자리 부분을 낚싯대의 팁을 향하도록 돌출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S120)는, 버링 펀치의 중심축이 관통공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버링 펀치를 금속 쉬트 상에 정렬하는 단계(S121), 버링 펀치를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버링 펀치의 선단이 관통공(101)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구부리는 단계(S122), 및 버링 펀치로 관통공(101)을 완전히 관통시키는 단계(S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c를 참조하면, 단계(S130)은, 보강 플랜지(112)의 내주면(119)에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115)를 형성할 수 있다. 끼워맞춤 돌기(115)의 형성은 셰이빙(shaving)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셰이빙(shaving)에 의해 내주면(119)을 끼워맞춤 돌기(115)가 남도록 절삭함으로써, 끼워맞춤 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30)에 의해, 가이드 링을 3개소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하는 구조가 링 서포트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30)에서, 셰이빙 공정에 의해 보강 플랜지(112)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버링 펀치로 관통공을 관통시킨 후에는, 보강 플랜지(112)는 요구되는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보강 플랜지(112)의 선단은 거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계(S130)을 통해, 이러한 거친 형상의 선단을 절단하여, 보강 플랜지(112)의 두께를 요구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셰이빙 공정에 의하여 도 8b에 도시된 확장공(102)으로부터 도 8c에 도시된 링 유지공(10a)의 형상이 완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d를 참조하면, 단계(S140)은,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50)의 이전에, 한 쌍의 제1 개구(1351)를 금속 쉬트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구(1351)는 도 5의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에 의해 수지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단계(S140)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제2 개구(1352)를 금속 쉬트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구(1351) 및 제2 개구(1352)의 형성은 펀칭 또는 드릴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쉬트(100)에 제1 굽힘부(1331)가 형성되면, 제1 굽힘부(1331)는 한 쌍의 제1 개구(1351) 및 제2 개구(1352)의 사이를 지난다. 제1 개구(1351) 및 제2 개구(1352)는 제1 굽힘부(1331)에 대칭으로 위치한다.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쉬트(100)로부터 블랭킹된 링 서포트(1a)에서, 제1 개구(1351) 및 제2 개구(1352)는 링 서포트(1a)의 링 지지부(13)에 위치한다.
도 6 및 도 8e를 참조하면, 단계(S150)은,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51)와, 링 유지부와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링 서포트의 하단으로 볼록한 제2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52)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50)에 관련하여,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금속 쉬트(100)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굽힘부(1331)가 제2 굽힘부(1332)보다 먼저 금속 쉬트(100)에 형성될 수도 있거나, 제2 굽힘부(1332)가 제1 굽힘부(1331)보다 먼저 금속 쉬트(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계(S150)에 있어서, 금속 쉬트(100)를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금속 쉬트(100)에 제1 굽힘부(1331) 및 제2 굽힘부(1332)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100)를 벤딩시킨다.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의 형성과 금속 쉬트(100)의 벤딩은, 금속 쉬트(100)에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도 8f 를 참고하면, 상기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는 금속 쉬트의 벤딩에 의해, 금속 쉬트(100)에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되면서,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 주변의 금속 쉬트(100)의 부분이 전술한 제1 굽힘각(α1)과 제2 굽힘각(α2)으로 벤딩된다. 제1 굽힘부(1331)는 링 유지공(10a)에 인접하며, 금속 쉬트(100)의 하단까지 연장한다. 제2 굽힘부(1332)는 금속 쉬트(100)의 하단으로 볼록하며 제1 굽힘부(1331)와 연결된다. 제2 굽힘부(1332)는 금속 쉬트(100)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한다.
도 6 및 도 8f를 참고하면, 단계(S160)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되고 이들을 매개로 벤딩된 금속 쉬트(100)로부터, 링 서포트(1a)가 형성된다. 금속 쉬트(100)로부터 링 서포트(1a)를 형성하는 것은, 프레스 금형을 사용한 블랭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금속 쉬트(100)로부터 얻어진 링 서포트(1a)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11)와 링 유지부(11)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 지지부(13)를 갖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a)에서는, 링 지지부(13)가, 링 유지공(10a) 부근으로부터 링 지지부(13)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α1)으로 굽힘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a)에서는, 링 유지부(11)는, 링 서포트(1a)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고 링 서포트(1a)의 하단으로 볼록한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13)에 대해 제2 굽힘각(α2)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유지부(11)와 링 지지부(13) 간의 경계로 되며, 그 중간에서 제1 굽힘부(1331)에 연결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S200)에 있어서, 링 서포트(1a)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부착부(1b)가 사출 성형된다. 링 서포트(1a)가 사출 성형의 인서트로서 사용될 때, 링 서포트(1a)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 공동 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1b)에 매립되면서, 부착부(1b)가 사출 성형된다. 또한, 링 서포트(1a)의 링 지지부(13)와 부착부(1b)가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단계(S200)의 이후에, 가이드 링을 링 유지공에 끼워맞추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가이드 링(12)을 링 유지공(10a)에 끼워맞춤으로써,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12)을 갖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1)가 제조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개시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라 링 서포트(1a')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서포트(1a)와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1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1a')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금속 쉬트(100')에 관통공(10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고하면, 버링 공정을 통해 보강 플랜지(112')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c)를 참고하면, 쉐이빙 공정을 통해 끼워맞춤 돌기(115')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d)를 참고하면, 금속 쉬트(100')에 제1 개구(1351') 및 제2 개구(1352')을 형성한다.
이후 단계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 서포트의 제조 방법(S10)과 비교예와의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굽힘 공정을 블랭킹 공정보다 먼저 실행하지만, 비교예에 따르면 블랭킹 공정이 굽힘 공정보다 먼저 실행된다. 도 9(e)를 참고하면, 금속 쉬트(100')로부터 평평한 형상의 링 서포트 프리폼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9(f)를 참고하면, 링 서포트 프리폼으로부터 제1 및 제2 굽힙부(1331', 1332')를 형성하여 링 서포트(1a')를 제조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비교예와 같이 링 서포트(1a')을 제조하는 경우, 링 유지부(11')에 대한 굽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같이, 링 서포트가 될 부분과 금속 쉬트(100)의 나머지 부분이 일체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굽힘 공정을 수행하고, 그 다음에 블랭킹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비교예와 같이, 블랭킹 공정을 먼저 수행하고 굽힘 공정을 이후에 진행하면, 링 유지부(11')를 포함한 링 서포트(1a')의 전체 형상이 두께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도록 'V'자 형상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이러한 'V'자 형상은 두께 방향으로 형상의 불균형을 초래하므로 치수 안정성이 낮아 질 수 있다. 즉,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1a')는, 제조 과정에서 블랭킹 공정이 굽힘 공정보다 먼저 실행되면서, 링 유지부(11') 및 링 유지부(11')에 포함된 보강 플랜지(112')가 함께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링 유지부(11') 및 보강 플랜지(112')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중심선(M1)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블랭킹 공정 이후에 굽힘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링 유지부(11')의 치수 변화가 클 수 있다.
비교예와 달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같이, 굽힘 공정을 먼저 수행하고 블랭킹 공정을 이후에 진행하게 되면, 금속 시트(100)의 대체로 평평한 판 부분이 남아 있으므로, 두께 방향으로의 불균형이 최소화된 링 서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링 서포트의 제조 과정에서 굽힘 공정을 실행한 후 블랭킹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굽힘 과정에서 제1 굽힘부를 형성하도록 링 지지부를 'V'자 형으로 벤딩할 때 금속 시트(100)의 편평한 판 부분이 함께 구부러지지 않도록 누를 수 있으며, 링유지부와 링 유지부에 포함된 보강 플랜지가 함께 구부려지지 않게 되어 치수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링 유지부 및 보강 플랜지는 평평한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굽힘 공정 이후에 블랭킹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보강 플랜지는 평평한 내주면을 가질 수 있고, 링 지지부의 치수 변화가 적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하여 부착부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금형에 넣는 링 서포트의 정밀도에 따라 금형과 링 서포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링 유지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므로 금형과 링 서포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간극으로부터 수지 누설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극 발생의 완화 또는 방지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 제조 방법이 아닌 실시예에 따른 링 서포트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금형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4d에 표시된 참조 번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부착부의 사출 성형을 위해, 링 서포트(1a)가 금형(330)의 인서트 시트(334)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인서트 시트(334)는, 링 서포트(1a)의 하측 일부가 성형 공동(331) 내로 삽입되도록, 성형 공동(33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성형 공동(331)에 삽입되는 링 서포트(1a)의 상기 하측 일부는,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 및 제1 개구(1351)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의 하측 일부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성형 공동(331)에 삽입되는 링 서포트(1a)의 상기 하측 일부는,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의 하측 일부가 될 수 있다.
인서트 시트(334)는 성형 공동(331)과 연통하며, 금형(330)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다. 인서트 시트(334)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에 의해 굽힘된 링 서포트(1a)가 안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서트 시트(334)는, 성형 공동(331)의 영역에 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링 서포트(1a)의 전단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바닥벽(335)과, 링 서포트(1a)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측벽(336)을 가진다. 바닥벽(335)에는, 링 서포트(1a)의 제1 굽힘부(1331)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337)와, 링 서포트(1a)의 제2 굽힘부(1332)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33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벽(335)에는 링 서포트(1a)의 제2 개구(1352)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시트(334)의 바닥벽(335)과 측벽(33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링 서포트(1a)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형(330)에는, 성형 공동(331)과 연통하는 수평 주입로(332)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 주입로(332)의 끝에는, 성형 공동(331)과 통하고 수지 재료가 성형 공동(331)으로 들어가는 게이트(333)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 재료는, 링 서포트(1a)가 인서트 시트(334)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평 주입로(332)를 통해 공급되어 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보강 플랜지의 형성 방법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플랜지의 형성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a)를 참고하면, 도 13의 비교예 A(평판 비교예)는 평평한 금속 쉬트에 가이드 링의 삽입을 위한 링 유지공(40a)이 형성된 링 유지부(41)이고, 두께 보강을 위한 추가적인 가공이 제공되지 않는다. 도 12(b)를 참고하면, 도 13의 비교예 B(딥 드로잉 비교예)는 평평한 금속 쉬트에 가이드 링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을 먼저 형성하고, 이후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에 딥 드로잉 공정을 수행하여 보강 플랜지(512)가 형성된 링 유지부(51)이다. 링 유지부(51)에는 링 유지공(50a)이 형성되어 있다. 딥 드로잉 공정은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딥 드로잉 로드로 눌러서 금속 쉬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늘리는 공정을 의미하며, 딥 드로잉 로드가 평판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다. 도 12(c)를 참고하면, 본 개시에 따른 도 13의 실시예 C(버링 및 셰이빙 실시예)는, 평판에 가이드 링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을 먼저 형성하고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에 버링 공정 및 셰이빙 공정을 수행하여 보강 플랜지(112)가 형성된, 링 유지부(11)이다. 링 유지부(11)에는 링 유지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비교예 A 및 비교예 B에 따른 링 유지부와 본 개시의 일 실시예 C에 따른 링 유지부를 비교하기 위한 표이다. 도 14는 비교예 A 및 비교예 B에 따른 링 유지부에 가이드 링이 삽입되는 과정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 C에 따른 링 유지부에 가이드 링이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비교예 A 및 비교예 B에 따른 링 유지부에 가이드 링이 삽입된 모습과 본 개시의 일 실시예 C에 따른 링 유지부에 가이드 링이 삽입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5(a)는 비교예 A를 도시하고, 도 14(b) 및 도 15(b)는 비교예 B를 도시하고, 도 14(c) 및 도 15(c)는 실시예 C를 도시한다.
도 13의 제1 열을 참고하면, 링 서포트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쉬트의 두께(mm)가 기재되어 있으며, 평판 비교예(비교예 A)는, 딥 드로잉 비교예(비교예 B)와 버링 및 셰이빙 실시예(실시예 C)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또한, 도 13의 제2 열을 참고하면, 제조된 링 서포트의 중량(g)이 기재되어 있으며, 딥 드로잉 비교예(비교예 B)의 중량이 가장 크다. 이에 따라, 도 13의 제3 열을 참고하면, 딥 드로잉 비교예(비교예 B)의 평판 대비 중량 비율이 가장 크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링 서포트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딥 드로잉 비교예(비교예 B)가 가장 큰 중량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의 제4열 및 도 14를 참고하여, 가이드 링 압입시의 깨짐 가능성에 대하여 비교예들과 실시예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예 A에서, 가이드 링(12)이 링 유지공(40a)에 끼워지면서, 가이드 링(12)의 엣지(122)와 링 유지부(41)의 엣지(412)가 접촉하게 되므로, 세라믹 재료로 구성된 가이드 링(12)이 깨지게 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B에서, 가이드 링(12)이 링 유지공(50a)에 끼워지면서, 가이드 링(12)의 엣지(122)와 보강 플랜지(512)의 엣지(513)가 접촉하게 되므로, 가이드 링(12)이 깨지게 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비교예 A 및 B와 달리, 실시예 C에서는, 가이드 링(12)이 후단면(117)로부터 전단면(116)으로 이동하면서 링 유지공(10a)에 끼워지게 되므로, 가이드 링(12)이 보강 플랜지(112)의 제조 과정(즉, 버링 공정)에서 형성된 안내면(118)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C의 가이드 링(12)이 깨지게 될 가능성이 비교적 낮게 된다.
도 13의 제5열 및 도 15를 참고하여, 접착제의 고임 장소 유무에 대하여 비교할 수 있다. 비교예 A에는 접착제의 고임 장소가 없으므로, 가이드 링(12)과 링 유지부(41) 사이의 접착 강도가 낮다. 이와 달리, 비교예 B에서, 링 유지부(51)의 내주면과 가이드 링(12)의 외주면 사이에 접착제(G)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고일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므로, 프레임과 가이드 링 사이의 접착 강도가 비교예 A 보다 강하다. 또한, 실시예 C에서, 가이드 링(12)의 외주면(121)은 보강 플랜지(112)의 내주면(119)과 접촉하게 되며, 안내면(118)과 가이드 링(12)의 외주면(1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제(G)가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고일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므로, 프레임과 가이드 링 사이의 접착 강도가 비교예 A 보다 강하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제6열을 참고하면, 실시예 C의 가이드 링(12)과 링 유지부 사이의 접착 강도는, 비교예 A의 접착 강도에 비하여 대략 26.5% 정도 향상될 수 있다.
가이드 링과 프레임 간의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비교예 B와 같은 딥 드로잉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평판과 비교하여 중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비교예에 따른 딥 드로잉 공정의 접힌 가장자리와 실시예에 따른 버링 공정의 링 유지공 주위의 접힌 가장자리를 비교하더라도, 버링 공정의 접힌 가장자리의 체적이 작게 되어, 프레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서트 사출 성형의 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링 서포트의 링 지지부는 곡면보다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며. 딥 드로잉 방식은 링 유지부와 함께 링 지지부도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따른 버링 방식은 링 유지부가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링 지지부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링 유지부의 안내면과 가이드 링의 외주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링과 링 유지부 사이의 조립(압입) 공정의 불량률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6은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비교예에 따른 크기가 서로 다른 부착부(610, 620, 630)가 낚싯대를 수납했을 때의 집합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16(b)는 도 16(a)의 단면도이며, 부착부(620)의 상방 리브(650)가 부착부(610)에 파고들어 손상이 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c)는 상방 리브 (650)에 파고듦 손상이 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a)를 참고하면, 부착부(610)에 인접하고 부착부(610)보다 작은 크기의 부착부(620)의 후단이 부착부(610)에 형성된 보어로 삽입되어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부착부(620)의 후단이 비스듬하게 되어 부착부 (610)에 형성된 보어에 삽입되어 있다. 비교예에 따르면, 낚싯줄 가이드가 관상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방 리브(650)가 인접한 부착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눌려서 파고듦 손상(651)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6(c)를 참고하면,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 부착부의 상단에는 하나의 상방 리브(650)만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방 리브(650)는 인접한 부착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파고듦 손상(651)을 가지고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부착부(610)와 부착부(620) 간의 분리가 잘 되지 않으므로, 낚싯대의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고, 상술한 상방 리브(650)의 파고듦 손상(651)은 부착부의 깨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리브가 제공된 부착부를 구비한 낚싯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b)를 참고하면, 상방 리브(15a) 및 한 쌍의 측방 리브(15b, 15c)는 부착부의 외주면을 따라 대체로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방 리브(15a) 및 한 쌍의 측방 리브(15b, 15c)의 후단면이 부착부의 후단면(161b)에 포함되도록, 상방 리브(15a) 및 한 쌍의 측방 리브(15b, 15c)는 중심축 방향으로 부착부의 후단면(161b)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7(a)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기가 큰 부착부의 전단면과 크기가 작은 부착부의 후단면이 인접하도록 크기가 큰 부착부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와 크기가 작은 부착부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가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크기가 작은 부착부의 상방 리브의 후단면 및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은 크기가 큰 부착부의 전단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의 후단이 크기가 큰 부착부의 보어로 파고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낚싯줄 가이드
1a: 링 서포트
1b: 부착부
10: 링 유지공
11: 링 유지부
12: 가이드 링
112: 보강 플랜지
13: 링 지지부
1331: 제1 굽힘부
1332: 제2 굽힘부
15a: 상방 리브
15b, 15c: 측방 리브

Claims (10)

  1.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갖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 유지부에는 링 유지공인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보강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를,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상기 부착부의 원주 방향의 일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금속 쉬트에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금속 쉬트의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금속 쉬트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내주면에서 상기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되는 상기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쉬트에 적어도 하나의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쉬트로부터 상기 링 서포트를 블랭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 전에, 상기 링 지지부의 상기 하측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를 상기 금속 쉬트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수지 재료로 채워지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버링 펀치의 중심축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버링 펀치를 상기금속 쉬트 상에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버링 펀치를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버링 펀치의 선단이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부분을 구부리는 단계와,
    상기 버링 펀치로 상기 관통공을 완전히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는,
    상기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상기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와,
    상기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상기 링 서포트의 하단으로 볼록한 제2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을 셰이빙하여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6.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시줄 가이드이며,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갖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상기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상기 부착부를 이루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링 서포트와 상기 부착부가 부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부착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방 리브와, 상기 부착부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링 지지부는 상기 링 지지부 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굽힘각으로 굽힘되고,
    상기 링 유지부는 상기 링 유지공을 형성하도록 상기 링 유지공의 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랜지는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과 이어지는 만곡한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이 상기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랜지의 안내면과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는 상기 가이드 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는,
    낚싯줄 가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끼워 맞춤돌기가 형성된,
    낚싯줄 가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리브 및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의 후단면까지 연장하고,
    상기 부착부의 후단면이 상기 상방 리브의 후단면과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을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리브의 후단면과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은 상기 관상 대에 부착된 다른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의 전단면과 접촉 가능한,
    낚싯줄 가이드.
  10. 복수개의 관상 대와,
    상기 관상 대 중 하나에 부착되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20180093080A 2018-01-17 2018-08-09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KR101974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86716.4A CN111683526B (zh) 2018-01-17 2018-12-25 制造钓鱼线引导器的方法、钓鱼线引导器以及包括钓鱼线引导器的钓鱼竿
JP2019531364A JP6579416B1 (ja) 2018-01-17 2018-12-25 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含む釣り竿
PCT/JP2018/047624 WO2019142625A1 (ja) 2018-01-17 2018-12-25 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含む釣り竿
EP18901248.7A EP3741212B1 (en) 2018-01-17 2018-12-25 Method for manufacturing fishing line guide,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TW108100340A TWI684401B (zh) 2018-01-17 2019-01-04 釣線導引件之製造方法、釣線導引件及包含其之釣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5465 2018-01-17
JP2018005465 2018-01-17
KR20180024646 2018-02-28
KR1020180024646 2018-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311B1 true KR101974311B1 (ko) 2019-05-02

Family

ID=6658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80A KR101974311B1 (ko) 2018-01-17 2018-08-09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741212B1 (ko)
JP (1) JP6579416B1 (ko)
KR (1) KR101974311B1 (ko)
CN (1) CN111683526B (ko)
TW (1) TWI684401B (ko)
WO (1) WO20191426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18B1 (ko) * 2020-03-10 2021-06-0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낚싯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1439B (zh) * 2021-01-27 2022-05-10 威海市宝洋渔具有限公司 一种高强度鱼竿导眼及加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700Y1 (ko) * 1994-12-27 1997-07-02 정춘재 낚시대의 낚시줄 안내링
JP2004024079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4275457B2 (ja) 2003-05-16 2009-06-1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ガイド
KR20140004492A (ko) * 2012-07-03 2014-01-13 (주)하림 낚싯대용 가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524407B1 (ko) * 2014-05-23 2015-05-2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696158B1 (ko) *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JP2017085916A (ja) * 2015-11-04 2017-05-2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鍛造ガイド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26Y2 (ja) * 1988-06-20 1995-03-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り用ガイド
JPH0538243A (ja) * 1991-08-06 1993-02-19 Shimano Inc 釣り竿の糸ガイド製造方法
JP2607635Y2 (ja) 1993-07-05 2002-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紙カップ製の除湿器
JPH09172914A (ja) * 1995-12-26 1997-07-08 Ryobi Ltd 釣竿の釣糸ガイド
CN2652139Y (zh) * 2003-10-31 2004-11-03 威海平原陶瓷部品有限公司 双腿渔线导环装置
CN102834000A (zh) * 2010-02-18 2012-12-19 株式会社岛野 钓竿用钓线引导件(包含顶部钓线引导件)以及钓竿
JP5460441B2 (ja) * 2010-04-19 2014-04-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733749U (zh) * 2010-08-20 2011-02-09 孟丽丽 一种钓线导架
JP5794773B2 (ja) * 2010-11-05 2015-10-1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糸用ガイド及び釣り竿
JP5777326B2 (ja) * 2010-11-12 2015-09-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糸用ガイド及び釣り竿
JP5906017B2 (ja) * 2011-01-28 2016-04-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838127B2 (ja) * 2012-05-30 2015-12-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
JP6433311B2 (ja) * 2015-01-23 2018-12-0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US10463031B2 (en) * 2015-03-30 2019-11-05 Globeride, Inc. Fixing structure for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JP6518137B2 (ja) * 2015-06-09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ガイドフレームの製法
JP6553456B2 (ja) * 2015-09-02 2019-07-31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リン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700Y1 (ko) * 1994-12-27 1997-07-02 정춘재 낚시대의 낚시줄 안내링
JP2004024079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4275457B2 (ja) 2003-05-16 2009-06-1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ガイド
KR20140004492A (ko) * 2012-07-03 2014-01-13 (주)하림 낚싯대용 가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524407B1 (ko) * 2014-05-23 2015-05-2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JP2017085916A (ja) * 2015-11-04 2017-05-2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鍛造ガイドフレーム
KR101696158B1 (ko) *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18B1 (ko) * 2020-03-10 2021-06-0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낚싯대
US11825823B2 (en) 2020-03-10 2023-11-28 Fuji Kogyo Co., Ltd.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fishing line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1212B1 (en) 2022-04-13
JPWO2019142625A1 (ja) 2020-01-23
WO2019142625A1 (ja) 2019-07-25
EP3741212A1 (en) 2020-11-25
EP3741212A4 (en) 2020-12-30
CN111683526B (zh) 2022-05-10
JP6579416B1 (ja) 2019-09-25
CN111683526A (zh) 2020-09-18
TW201932006A (zh) 2019-08-16
TWI684401B (zh)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311B1 (ko)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US10111414B2 (en) Fishing line guide,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the same
AU2015262642B2 (en) Fishing line guide, method of manufacturing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fishing line guide
JP2021141887A (ja) 釣り糸ガイド及び釣り竿
CN111820198A (zh) 钓线导向装置的导向框、钓线导向装置以及钓竿
KR101986052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017143B1 (ko)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 및 낚싯줄 가이드
KR102172948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826934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釣糸ガイドのフレーム
WO2019142623A1 (ja) 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釣り糸ガイドの製造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装置及び釣り糸ガイド
JP4321811B2 (ja) 筆記具用筒状部材、射出成形用金型及び筆記具用筒状部材成形方法
CN105815287B (zh) 钓线引导件、钓竿以及引导框
JP7467385B2 (ja) 釣糸ガイド及び当該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
JP2024042635A (ja) 金型構造、インコアの製造方法、インコア、及び管継手
JP2018157769A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釣糸ガイドのフレーム
JP2005040066A (ja) 外ガイドを有する釣竿
KR20050015606A (ko) 외부 가이드를 갖는 낚싯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