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143B1 -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 및 낚싯줄 가이드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 및 낚싯줄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143B1
KR102017143B1 KR1020180093078A KR20180093078A KR102017143B1 KR 102017143 B1 KR102017143 B1 KR 102017143B1 KR 1020180093078 A KR1020180093078 A KR 1020180093078A KR 20180093078 A KR20180093078 A KR 20180093078A KR 102017143 B1 KR102017143 B1 KR 10201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upport
ring
fishing line
attachm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941A (ko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EP18901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41213B1/en
Priority to PCT/JP2018/047622 priority patent/WO2019142623A1/ja
Priority to JP2019531362A priority patent/JP6579415B1/ja
Priority to CN201880086768.1A priority patent/CN111601503B/zh
Priority to TW108100314A priority patent/TWI685299B/zh
Publication of KR2019008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Coating ann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갖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며 경량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가이드 링을 유지 및 지지하는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와,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링 서포트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와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한다. 링 지지부는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부착부는,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 및 낚싯줄 가이드{METHOD OF MANUFACTURING FISHING LINE GUIDE, INJECTION MOLDING DEVICE FOR USE IN MANUFACTURING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LINE GUIDE}
본 개시는 낚싯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사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낚싯줄을 가이드하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가이드 링을 유지 및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과 결합되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가진다.
낚싯대 중 이른바 진출식(振出式) 낚싯대(telescopic fishing rod)에는, 낚싯대의 관상 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는 유동(遊動)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유동 가이드는, 낚싯대와 관상 대가 관통하는 환상의 부착부를 가진다. 유동 가이드는 관상 대가 부착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관상 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부착부와 관상 대의 외주면 간의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관상 대에 고정된다.
유동 가이드의 일 예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4275457호와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는, 관상 대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부착부와, 가이드 링을 지지하고 부착부에 끼워맞춤되는 부착링을 갖는 금속제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유동 가이드를 개시한다.
유동 가이드를 진출식 낚싯대에 설치하기 위해, 유동 가이드의 환상 부착부는 낚싯대의 후단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된다. 진출식 낚싯대의 관상 대는 낚싯대의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관상 대의 외경과 부착부의 내경이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부착부는 관상 대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부착부를 낚싯대의 후단 측으로 강하게 누르면, 부착부가 약간 변형되고, 부착부가 관상 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부착부에 결합된 프레임에 다양한 외력이 작용한다. 예컨대, 낚싯대에 횡방향으로 외력이 프레임에 가해지면, 프레임과 부착부가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유동 가이드의 낚싯줄 안내 기능이 상실된다. 그러나, 환상의 부착부와 부착링에 의해 부착부와 결합되는 프레임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프레임에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에 저항하는 충분한 회전방지강도를 갖지 못해, 사용자가 프레임에 가하는 부주의한 충격, 또는 낚시 장소에서의 바위 또는 지면이 프레임에 가하는 충격에 의해,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저항하는 회전방지강도가 크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진출식 낚싯대는, 둔치, 해변가, 갯바위 등에서의 낚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갯바위 낚시를 위한 진출식 낚싯대는, 4.5m 내지 5.5m의 전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출식 낚싯대에는, 일반적으로 10개 내지 15개의 유동 가이드가 부착될 수 있다. 낚시구의 캐스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또는 물고기를 용이하게 낚아올리기 위해서는, 경량의 낚싯대가 유리하며, 이를 위해서는, 경량의 유동 가이드가 진출식 낚싯대에 요구된다. 그러나, 금속제의 부착링을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으로 인해,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경량화에 부응하지 못한다.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에서는, 부착링을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과 플라스틱제의 부착부가 각각 별개로 제조되므로, 부착링을 부착부에 조립하는 공정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부착링과 부착부 간의 치수 불일치가 발생하거나, 부착링과 부착부의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의 양이 부족한 경우, 부착링을 가지는 프레임이 부착부에 대해 회전하는 불량이 유동 가이드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에서는, 프레임에 부착링을 형성하는 공정과 부착링을 부착부에 조립하는 공정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유동 가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수가 과다해지고, 효율적인 제조가 달성되지 못하며, 제조된 유동 가이드에 불량이 많이 발생한다.
진출식 낚싯대의 관상 대들은 낚싯대의 선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외경을 가진다. 다수의 유동 가이드가 진출식 낚싯대에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다수의 유동 가이드들의 부착부들은, 관상 대의 다양한 외경에 대응하도록 각기 다른 내경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프레임의 부착링과 부착부 간의 끼워맞춤에 의해 프레임과 부착부가 결합되는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들에서는, 직경이 각기 다른 부착링을 가지는 다수의 프레임이 제조되어야만 하고, 각각의 프레임을 가공하기 위한 다수의 금형이 사용되어야만 한다. 이로 인해, 프레임 가공을 위한 금형의 수 및 금형 비용이 과다하다.
일본 특허공보 제4275457호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한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착부와 끼워맞춤되는 부착링을 구비하지 않아 경량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조 공정의 수, 요구되는 금형의 수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 낚싯줄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방지 강도, 굽힘 강도 등이 우수한 낚싯줄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향상된 회전방지 강도와 굽힘 강도를 갖고 낚싯줄의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는 낚싯줄 가이드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갖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가이드 링을 유지 및 지지하는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와,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링 서포트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와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한다. 링 지지부는,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부착부는,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를 이루는 수지 재료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금속 쉬트에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금속 쉬트에 제1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와, 금속 쉬트로부터 링 서포트를 블랭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의 링 유지부는, 링 유지부와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제1 굽힘부에 연결되며 링 서포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고 링 서포트의 하단으로 볼록한 제2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에 대해 제2 굽힘각으로 굽힘된다.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는, 금속 쉬트에 제2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의 전에, 링 지지부에 위치하고 제1 굽힘부에 대해 대칭으로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를 금속 쉬트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개구는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에 의해 부착부를 이루는 수지 재료로 채워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관통공의 전체 둘레를 금속 쉬트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내주면에서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되는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에,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하나의 측면은, 링 서포트와 환상의 부착부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는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낚싯대의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다. 링 서포트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링 서포트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와,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에서의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는 링 지지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의 사출 성형 장치는, 상형과, 하형과, 이젝터를 포함한다. 상형은 부착부의 일부를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제1 성형 공동을 갖는다. 하형은 제2 성형 공동과 인서트 시트를 갖는다. 제2 성형 공동은 부착부의 나머지 일부를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다. 링 서포트는 인서트 시트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인서트 시트는, 제1 굽힘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의 일부가 제2 성형 공동 내로 삽입되도록, 제2 성형 공동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젝터는 사출 성형된 부착부를 하형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젝터는 이젝터 슬리브를 포함하며, 이젝터 슬리브는 사출 성형된 부착부의 환상의 표면과 면접촉으로 접촉하는 환상의 이젝팅 면을 갖는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다른 측면은,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시줄 가이드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는, 관상 대에 부착되는 환상의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를 포함한다. 부착부는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다. 링 서포트는,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갖는 링 유지부와,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한다. 링 지지부는, 링 지지부 내에서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부착부를 이루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링 서포트와 부착부가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된 수지 재료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는 내주면에, 부착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되고 삼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복수의 세레이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는, 부착부의 내측에서 링 지지부에 위치하고 제1 굽힘부에 대해 대칭으로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를 갖는다. 제1 개구는 부착부를 이루는 경화된 수지 재료로 채워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는, 상단에 위치하고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방 리브와, 부착부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방 리브를 포함한다. 상방 리브 및 한 쌍의 측방 리브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부착부의 후단면까지 연장하여, 부착부의 후단면이 상방 리브의 후단면과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방 리브는 상방 리브의 후단면으로부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는,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위치하고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매립되는 대외경부와, 대외경부에 인접하고 대외경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소외경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유지부는, 링 유지부와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제1 굽힘부에 연결되는 제2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해 제2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2 굽힘부는 링 서포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고 링 지지부의 하단을 향해 볼록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의 각 측단 엣지는, 부착부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와,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제1 측단 엣지의 경사 각도와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하는 제2 측단 엣지와,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의 각각과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의 각각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경계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경계부는 제2 굽힘부의 양단점에 또는 제2 굽힘부의 양단점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링 서포트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링 서포트의 일부가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링 서포트와 부착부가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경량인 낚싯줄 가이드를 실현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링 서포트의 일부가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므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공정의 수, 제조에 요구되는 금형의 수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링 서포트에 굽힘부가 제공되므로, 낚싯줄 가이드의 회전방지강도, 굽힘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굽힘부를 갖는 링 서포트는 낚싯줄의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6-6 선을 따라 취한 낚싯줄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 선을 따라 취한 링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16-1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20-20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가이드 링과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낚싯줄의 줄엉킴이 발생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2g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 낚싯줄의 줄엉킴이 해제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2h는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는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24-24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8a 내지 도 28j는 도 25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에서의 줄엉킴의 발생 및 해제의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28k는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2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e는 도 29에 도시하는 단계들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a 내지 도 32f는 도 31에 도시하는 단계들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4a 내지 도 34g는 도 33에 도시하는 단계들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35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6a 내지 도 36i는 도 35에 도시하는 단계들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37은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사출 성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하는 하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에 도시하는 하형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코어 핀과 이젝터 슬리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코어 핀, 이젝터 슬리브 및 사출 성형된 부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이젝터 슬리브에 의해 행해지는 이젝팅 동작을 예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팁(tip)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버트(butt)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가이드 링이 부착부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상방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또한, 개시된 제조 방법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하는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는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행해질 수 있거나, 도면에 도시하는 단계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계가 동시에 행해질 수 있거나, 도면에 도시하는 단계들 중 하나의 단계가 다른 단계에 종속되어 행해질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들은,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갖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 이러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에 관련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여기에 개시된 제조 방법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조될 수 있지만,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반드시 개시된 제조 방법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조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에서, 화살표(TD)는 낚싯대의 팁(tip)(101)을 향하는 전방 방향을 지시하고, 화살표(BD)는 낚싯대의 버트(butt)(102)를 향하는 후방 방향을 지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100)는, 당해 분야에서 진출식(振出式, telescopic) 낚싯대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100)는, 둔치, 해안가, 선상, 갯바위 등에서의 낚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낚싯대(100)의 사용 장소가 전술한 장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낚싯대(100)는 길다란 원통 형상의 간체(竿體)(110)를 포함한다. 간체(110)는 낚싯대(100)에 작용하는 여러 외력에 저항하고 낚싯대(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물로서 기능한다. 간체(110)는 복수개의 관상 대(111, 112, 113, 114, 115)를 포함한다. 하나의 관상 대가, 그 다음에 위치하고 그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관상 대의 내부에 끼워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복수개의 관상 대가 결합되어, 간체(110)를 구성한다. 도 1은 확장된 낚싯대(100)의 간체(110)를 도시한다. 간체(110)의 관상 대 중, 낚싯대(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관상 대(111)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원대로서 기능한다. 관상 대(111)에는 릴 시트(120)가 부착되며, 릴 시트(120)에는 낚싯줄(미도시)을 방출하거나 감기 위한 릴(미도시)이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낚싯대(100)는 간체(110)에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릴로부터 방출되거나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릴에 감기는 낚싯줄을 안내한다. 상기 복수개의 낚싯줄 가이드로서, 개시된 여러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낚싯줄 가이드가 간체(110)의 관상 대(111, 112, 113, 114, 115)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체(110)의 관상 대(113)가 낚싯줄 가이드(1000)의 환상의 부착부를 관통하여, 낚싯줄 가이드(1000)가 간체(110)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1000)가 간체(110)에 부착되기 전에, 낚싯줄 가이드(1000)는 그 부착부에서 간체(110)를 따라 전방 방향(TD) 또는 후방 방향(B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간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간체(110)의 관상 대(113)는 전방 방향(TD)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1000)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1000)의 부착부가 관상 대(113)의 외주면과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됨으로써, 낚싯줄 가이드(1000)가 간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유동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참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6-6 선을 따라 취한 낚싯줄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 선을 따라 취한 링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7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1000)는, 낚싯대의 간체(110)(상세하게는, 간체(110)를 구성하는 관상 대중 하나)에 부착되는 부착부(1100)와, 낚싯줄(130)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1200)과, 가이드 링(1200)을 유지 및 지지하고 부착부(11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서포트(1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1100)는,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서 사용하고 수지 재료를 사출 재료로 사용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100)는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링 서포트(1300)는 부착부(1100)와 부분적으로 또한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경화된 수지 재료는 카본 섬유 강화 수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경화된 수지 재료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100)는 환상의 형상을 갖는 환상체로 형성되어, 간체(110)의 관상 대 중 하나(예컨대, 관상 대(113))가 부착부(1100)를 관통할 수 있다. 부착부(1100)에는 관상 대(113)가 관통하는 보어(1111)가 낚싯대의 중심축(CA1)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100)는 관상 대(113)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1112)을 가지며, 내주면(1112)은 보어(1111)의 표면으로 된다. 보어(1111)의 직경은 전방 방향(TD) 또는 후방 방향(BD)으로 균일할 수 있다. 관상 대(113)가 보어(1111)를 관통한 상태에서, 부착부(1100)는 관상 대(113)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고 관상 대(11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관상 대(113)는 전방 방향(TD)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부착부(1100)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키는 도중, 관상 대(113)의 외경과 내주면(1112)의 직경이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부착부(1100)는 관상 대(113)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 때, 부착부(1100)를 후방 방향(BD)으로 더욱 이동시키면, 부착부(1100)가 약간 변형되면서 부착부(1100)는 관상 대(113)에 견고하게 끼워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100)는,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위치하고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외경부(1113)와, 후방 방향(BD)으로 위치하고 대외경부(1113)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대외경부(1113)에 인접하는 소외경부(1114)를 가진다. 대외경부(1113)에서의 부착부(1100)의 반경 방향 두께는 소외경부(1114)에서의 부착부(1100)의 반경 방향 두께보다 크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외경부(1113)의 전방 방향(TD)의 표면이 부착부(1100)의 환상의 전단면(前端面)(1115)을 형성하고, 소외경부(1114)의 후방 방향(BD)의 표면이 부착부(1100)의 환상의 후단면(後端面)(1116)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외경부(1113)에는, 대외경부(1113)의 일부 둘레를 걸쳐 연장하고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부(1117)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117)에는 그 외면에 결합부(1117)와 링 서포트(1300) 간의 경계로 되는 결합구(1118)가 형성되어 있다. 링 서포트(1300)의 하측 일부가 대외경부(1113)의 결합부(1117)에 매립되어, 링 서포트(1300)가 대외경부(1113)와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1200)은 대략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진다. 낚싯줄(130)은 가이드 링(1200)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링(1200)은 링 서포트(1300)에 끼워맞춤 및 접착제 도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링(1200)은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가이드 링(1200)을 유지하며, 부착부(1100)에 대하여 가이드 링(120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테인리스 합금, 티타늄합금, 순티타늄 등의 금속 재료로 제조된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링 서포트(1300)는, 그 안에 형성된 굽힘부에 의해 링 서포트(1300)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는 박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300)는, 상기 금속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진 얇은 금속 쉬트(당해 분야에서, 이러한 금속 쉬트는 블랭크(blank)로서 참조될 수 있다)를 펀칭, 블랭킹, 벤딩과 같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링 서포트(1300)의 상기 박판으로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가이드 링(1200)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유지부(1310)를 통해 가이드 링(1200)을 지지하는 링 지지부(1320)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1300)를 구성하는 박판에서, 링 지지부(1320)는 링 유지부(1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부착부(1100)에 의해 관상 대(113)의 외주면에 대해 위치된다. 링 서포트(1300),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1100) 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부착부(11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예컨대, 부착부(110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공동에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도록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서 성형 공동에 배치하고 부착부(1100)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예컨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부착부(1100)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7) 내에 매립되면서 링 서포트(1300)가 부착부(11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는 가이드 링(1200)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1311)을 가진다. 링 유지공(1311)은 링 유지부(1310)에 링 유지부(13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링 유지공(1311)은 가이드 링(1200)의 외주면에 맞추어지도록 원형의 내주면을 가진다. 가이드 링(1200)은 그 외주면에서 링 유지공(1311)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며, 점접촉, 면접촉 등에 의해 링 유지공(1311)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 유지공(1311)의 내주면과 가이드 링(120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이들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링 유지부(1310)는 링 유지공(1311)에 의해 가이드 링(1200)의 전체 둘레를 따라 가이드 링(1200)을 유지하도록 대략 환상을 취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의 상측 엣지는 반원 형상 또는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방 방향(TD) 및 상방 방향(UD)에 수직한 낚싯줄 가이드의 폭방향(WD)을 가정할 때, 링 유지부(1310)의 폭방향(WD)에서의 측단 엣지는 서로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또는, 링 유지부(1310)의 폭방향(WD)에서의 양측 엣지는, 상방 방향(UD)으로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링 유지부(1310)의 하단 엣지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취하며, 링 유지부(1310)는 그 하단 엣지에서 링 지지부(1320)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의 사이에 개구나 공동을 구비하지 않는다. 링 유지부(1310)의 하단 엣지의 형상에 대응하여, 링 지지부(1320)의 상단 엣지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취하여, 링 지지부(1320)는 그 상단 엣지에서 링 유지부(1310)와 일체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는, 그 하측 일부에서 부착부(1100) 내에 매립되어 있다. 링 지지부(1320)의 폭방향(WD)에서의 측단 엣지는 상방 방향(UD)으로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또는, 링 지지부(1320)의 폭방향(WD)에서의 측단 엣지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링 지지부(1320)의 하단 엣지는 상방 방향(U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의 폭방향(WD)에서의 양 측면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낚싯대의 중심축(CA1)과 평행하다. 즉, 링 지지부(1320)의 각 측면으로부터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상의 연장선(EL)이 중심축(CA1)과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 내에 형성된 제1 굽힘부(1331)를 가진다. 제1 굽힘부(1331)는 폭방향(WD)에서 링 지지부(1320)의 중앙에 또는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후방 방향(BD))으로 굽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는,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를 가진다.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는 제1 굽힘부(1331)를 통해 일체로 되어 있으며, 전방 방향(TD)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굽힘부(1331)는 관상 대(113)를 향하는 또는 보어(1111)의 중심을 통과하는 하방 방향(LD)으로 링 지지부(1320)의 하단까지 연장하며,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은 결합부(1117)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폭방향(WD)에서 링 지지부(1320)의 하단 엣지의 양단 간의 간격은 부착부(1100)의 보어(1111)의 직경보다 작으며, 링 지지부(1320)의 하단 엣지의 양단은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7) 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부착부(1100)에 매립되는 링 서포트(1300)의 하측 일부는,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이다. 이러한 링 서포트(1300)의 하측 일부가 대외경부(1113)의 결합부(1117) 내에 매립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 간의 경계로 되는 제2 굽힘부(1332)를 가진다. 제2 굽힘부(1332)는 대략 그 중앙에서 제1 굽힘부(1331)에 연결된다. 링 유지부(1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1320)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후방 방향(BD))으로 굽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링 유지부(1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1351)를 가진다. 제1 개구(1351)는 링 지지부(1320)를 낚싯대의 중심축(CA1)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관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굽힘부(1331)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개구(1351)는,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7)의 내측에서 링 지지부(1320)에 위치한다. 전술한 인서트 사출 성형 시에, 부착부(1100)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가 제1 개구(1351)로 유입하여 제1 개구(1351) 내에서 경화한다. 즉, 제1 개구(1351)는 경화된 부착부(1100)의 수지 재료로 채워진다. 이에 따라, 부착부(1100)와 링 서포트(1300) 간의 결합 구조가 보강되어, 낚싯줄 가이드(1000)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링 서포트(1300)가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7)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결합부(11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에 각각 형성되고 제1 개구(1351)의 위에 위치하는 제2 개구(1352)를 가진다. 제2 개구(1352)는 링 지지부(1320)를 낚싯대의 중심축(CA1)의 방향으로(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1352)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1000)는 더욱 경량화될 수 있다.
제2 개구(1352)는 제1 굽힘부(1331)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며,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2 개구(1352)는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7)보다도 외측에서 링 지지부(1320)에 위치한다. 제2 개구(1352)는 결합부(1117) 외측에 위치되는 링 지지부(1320)의 부분에만 형성되며, 결합부(1117) 내측에 매립되는 링 지지부(1320)의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2 개구(1352)는 결합부(1117)의 상측 윤곽선에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부착부(1100)와 링 서포트(1300) 간의 결합 강도를 유지한 채로 링 서포트(1300)의 경량화가 달성된다. 또한, 각각의 제2 개구(1352)는, 링 지지부(1320)의 제1 굽힘부(1331)와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므로, 링 지지부(1320)의 강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제2 개구(1352)는, 제2 굽힘부(1332)와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므로,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가 형성하는 링 서포트(1300)의 굽힘부가 절단되는 것은 없고, 링 서포트(1300)의 강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제1 개구(1351)와 제2 개구(1352)를 갖지 않거나 제1 개구(1351)와 제2 개구(1352)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개구(1351)만이 링 서포트(1300)에 형성될 수 있거나, 제2 개구(1352)만이 링 서포트(13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낚싯대의 중심축(CA1) 또는 부착부(1100)의 중심축(CA2)에 수직한 수직선(HL)에 대해 경사각(TA)으로 전방 방향(TD)으로 기울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향상된 링 서포트(1300)의 굽힘강도, 향상된 링 서포트(1300)의 회전방지강도, 향상된 링 서포트(1300)의 부착강도를 가진다. 전술한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로 인한 링 서포트(1300)의 굽힘 형상이 이러한 향상된 강도에 관련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전술한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는 단지 간략한 선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낚싯줄 가이드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300)를 이루는 금속제의 박판 내에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링 서포트(1300)에 굽힘 형상을 이용한 강도 보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의 전면(1323) 및 후면(1324) 상에서, 제1 굽힘부(1331)는 가는 선의 형상, 좁은 면의 형상, 좁은 곡면의 형상, 비교적 넓은 곡면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링 서포트(1300)의 횡단면을 취할 때, 제1 굽힘부(1331)는 링 서포트(1300)의 전면(1323) 및 후면(1324) 상에서 후방 방향(B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300)의 전면(1323) 및 후면(1324) 상에서 가는 선의 형상 또는 좁은 면의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링 서포트(1300)의 종단면을 취할 때,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300)의 전면(1323) 및 후면(1324) 상에서 후방 방향(B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 내에 형성되어 링 지지부(1320)를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로 구분시키는 제1 굽힘부(1331)를 가진다. 제1 굽힘부(1331)는, 링 서포트(1300) 내에서 낚싯대의 중심축(CA1)을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또는,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는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1320)의 하단까지 연장한다. 또한, 제1 굽힘부(1331)는 낚싯대의 중심축(CA1)으로부터 대략 상방 방향(UD)으로 연장하여, 제2 굽힘부(1332)의 중앙과 만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전방 방향(TD))으로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 간의 경계로 되고 링 유지부(1310)의 굽힘의 기준이 되는 제2 굽힘부(1332)를 가진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300)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며, 링 서포트(1300)의 하단(링 지지부(1320)의 하단)을 향해 볼록하다.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는 공통의 엣지를 가진다. 이에 따라, 링 서포트(1300)에 있어서, 링 유지부(1310)의 하단 엣지와 링 지지부(1320)의 상단 엣지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부(1332)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가지며,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링 서포트(1300)를 측방에서 볼 때, 제2 굽힘부(1332)는 전방 방향(TD)과 상방 방향(UD)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부(1332)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굽힘부(1332)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 간의 연결점(도 10에 도시하는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으로부터 제1 굽힘부(1331)에 대해 둔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1320)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으로 제2 굽힘각(BA2)으로 굽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만나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Y자형 형상을 형성하여, 링 서포트(1300)에 Y자형 굽힘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링 서포트(1300)는, 전술한 금속 쉬트(블랭크)를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를 따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금속 쉬트(블랭크)를,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형성하고 링 지지부(1320)를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시키고 링 유지부(1310)를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제2 굽힘각(BA2)으로 굽힘시키는 벤딩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부(1310),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 및 링 지지부(1320)의 좌반부(1322)가 서로를 향해 굽힘된 금속제의 박판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금속제의 박판에서, 링 유지부(1310),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 및 링 지지부(1320)의 좌반부(1322)는 Y자형 굽힘부를 만드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이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에 의해 서로를 향해 굽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금속 쉬트의 프레스 가공은, 금속 쉬트를 이루는 금속 재료가 가공경화를 일으킬 때까지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상기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금속 재료가 가공경화되어 생성하는 가공경화부(1341, 1342)를 포함한다. 가공경화부(1341, 1342)의 형상은,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의 Y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가공경화부(1341, 1342)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를 따라 링 서포트(13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가공경화부(1341, 1342)는 링 서포트(1300)의 링 유지부(1310) 및 링 지지부(1320)보다 높은 항복점(yield point)을 가지므로, 링 서포트(1300)는 가공경화부(1341, 1342)가 생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에서 소성변형을 일으키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만드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서포트(1300)는 링 서포트(130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강한 저항을 가져, 링 서포트(130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각(BA1)으로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1 굽힘각(BA1)은 120도 내지 170도의 둔각이 될 수 있다. 제1 굽힘각(BA1)이 둔각인 경우, 링 지지부(1320)의 횡풍과 면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강한 횡풍의 항력에 의해 낚싯대가 휘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굽힘각(BA1)이 120도 이상인 경우, 횡풍이 강한 경우에 링 지지부(1320)에 대한 횡풍의 항력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굽힘각(BA1)이 120도 이상인 경우, 링 지지부(1320)에 대해 굽힘되어 있는 링 유지부(1310)의 넓이를 단순한 형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1 굽힘각(BA1)이 170도를 초과하는 경우, 링 지지부(1320)를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벤딩시킬 때 제1 굽힘부(1331)에 압축에 의한 가공경화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링 서포트(1300)를 낚싯대의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외력이 링 서포트(1300)에 작용하면, 절곡된 링 지지부(1320)가 외력의 벡터 방향으로 일직선 모양으로 변형되기 쉬어, 링 서포트(1300)가 부착부(1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축(CA1)을 따라서 링 지지부(1320)의 전단(링 지지부(1320)의 측단 엣지)과 링 지지부(1320)의 후단(후면(1324) 상의 제1 굽힘부(1331)) 간의 거리(벤딩된 링 지지부의 두께)(BT)는 0.5mm 내지 3mm가 될 수 있다. 수지 재료의 부착부는 탄성변형하기 쉬우며, 작은 응력에 의해서도 휨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거리(BT)가 0.5mm 미만인 경우, 링 서포트(1300)를 낚싯대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의 외력이 링 서포트(1300)에 가해질 때에(도 4 및 도 7에서의 화살표(F1) 참조), 링 지지부(1320)에 의해 밀려지는 결합구(1118)의 표면이 변형하여, 링 서포트(1300)에 필요한 반력이 작용하지 않고 링 지지부(1320)가 결합구(1118)를 타넘어 이동할 수 있다. 거리(BT)가 3mm를 초과하는 경우, 링 서포트(1300)가 지나치게 커질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의 경량화를 달성하지 못한다. 또한, 부착부(1100)로부터 돌출된 링 지지부(1320)의 부분이 횡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수 있어, 낚싯대의 묵직한 느낌이 두드러지게 악화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는 링 지지부(1320)에 대해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제2 굽힘각(BA2)으로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링 유지부(1310)는 낚싯대(100)의 팁을 향해(전방 방향(TD)으로) 링 지지부(1320)에 대해 제2 굽힘각(BA2)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2 굽힘각(BA2)은, 링 서포트(1300)의 굽힘 강도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를 위해, 15도 내지 20도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또는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링 서포트(1300)를 관상 대(113)를 중심으로 하여(낚싯대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하여)회전시키는 외력(F1)(도 4 및 도 7 참조)이 링 서포트(1300)에 반복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링 서포트(1300)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서포트(1300)는 관상 대(113)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F1)에 저항하는 향상된 회전방지강도를 가진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되어 있다. 따라서,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중심축(CA1)에 대해 예각으로 비스듬히 위치하여 서로를 향한다. 링 유지부(1310)는 링 지지부(13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평평하다. 링 유지부(1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제2 굽힘각(BA2)으로 굽힘되어 있다. 즉, 링 유지부(1310)는 링 지지부(1320)로부터 제2 굽힘부(1332)을 통해 절곡되어 있다. 링 유지부(1310)의 하단 엣지와 링 지지부(1320)의 상단 엣지는 V자 형상의 제2 굽힘부(1332)로서 형성된다. 제2 굽힘부(1332)의 V자 형상에 관련하여, 제2 굽힘부(1332)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가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으로부터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향해 경사져 있다. 즉,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 및 좌반부(1322)의 각각의 상단 엣지는, 링 서포트(1300)의 폭방향(WD)에서의 중심으로부터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향해 경사져 있다. 평평한 링 유지부(1310)는 우반부(1321) 및 좌반부(1322)의 각각의 상단 엣지에 제2 굽힘부(133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 서포트(1300)에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가 형성하는 Y자형 굽힘부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300)에는 Y자형 굽힘부를 따라 Y자형의 가공경화부(1341, 13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 서포트(1300)에 외력(F1)이 작용하여도,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 및 좌반부(1322)가 열리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변형하거나, 휘어지거나, 비틀리는 것에 대해 강하게 저항한다. 또한, 링 서포트(1300)는 상기 Y자형 굽힘부로 인해, 외력(F1)에 강하게 저항하므로, 링 서포트(1300)는 향상된 회전방지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링 지지부(1320)가 부착부(1100)의 결합구(1118)를 확장시키거나, 링 지지부(1320)가 부착부(1100)의 결합구(1118)를 타고넘어 부착부(1100)에 대해 회전하거나, 링 지지부(1320)가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7)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링 서포트(1300)에는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외력(F2)(도 5 및 도 7 참조)이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낚시 도중의 낚싯줄에 의해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외력(F2)이 링 서포트(1300)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링 서포트(1300)는 외력(F2)에 저항하는 향상된 굽힘강도를 갖는다. 링 서포트(1300)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유지부(1310)가 외력(F2)의 방향으로 변형하거나 휘어지는 것, 또는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가 외력(F2)의 방향으로 열리거나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외력(F2)에 저항하는 향상된 굽힘강도를 갖는다.
굽힘 강도의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소를 위해, 특정 치수 범위로 링 서포트(1300)의 각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굽힘부(1332)의 V자 형상에서의 사잇각(IA1)(즉, 직선상 굽힘부(1333, 1334) 간의 사잇각)은 굽힘 강도의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를 위해, 110도 내지 120도일 수 있다. 링 지지부(1320)의 양 측단 엣지는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링 지지부(1320)는 테이퍼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링 지지부(1320)의 양 측단 엣지가 이루는 사잇각(IA2)은 굽힘 강도의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를 위해 0도 초과 30도 이하의 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링 유지공(1311)의 최하단점(P3)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에 기여한다.
제1 굽힘각(BA1), 제2 굽힘각(BA2), 사잇각(IA1) 및 사잇각(IA2)이 전술한 각각의 범위들 내에서의 각도 값을 갖도록 링 서포트(1300)가 형성될 때, 링 서포트(1300)에서의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 및 링 유지공(1311)의 최하단점(P3) 간의 전술한 위치 관계에 의해, 링 서포트(1300)에서의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각도의 값으로, 제1 굽힘각(BA1), 제2 굽힘각(BA2), 사잇각(IA1), 사잇각(IA2)이 정해지는 경우, 또는, 전술한 위치 관계로 링 유지공(1311)과 제2 굽힘부(1332)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가 행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일 실시예의 링 서포트(1300)에 있어서, 제1 굽힘각(BA1)은 157도로 정해질 수 있고, 제2 굽힘각(BA2)은 20도로 정해질 수 있고, 사잇각(IA1)은 120도로 정해질 수 있고, 사잇각(IA2)은 20도로 정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제1 굽힘부(1331)와 이에 연결되는 제2 굽힘부(1332)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제1 굽힘부(1331)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BA1)으로 낚싯대의 팁을 향해 굽힘될 수 있고, 링 유지부(1310)는 링 지지부(1320)로부터 굽힘없이 연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링 서포트(1300)와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부착부(1100)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 및 제1 개구(1351)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대외경부(1113)의 결합부(1117) 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링 서포트(1300)와 부착부(1100)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 서포트(1300)는 부착부(1100)에 끼워맞춤되는 부착링과 같은 연결 부품을 구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착부와 부착링이 형성된 프레임이 결합되는 종래기술의 낚싯줄 가이드와 비교하여,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는 현저하게 작은 중량을 가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도 11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16-1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10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2200)은, 상하로 긴 장원형(oblong shape)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 링(2200)이 끼워맞춤되는 링 유지공(2311)은 가이드 링(2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장원형을 가진다. 링 유지부(1310)가 낚싯대의 팁을 향해 전방 방향(TD)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낚싯대의 버트로부터 낚싯대의 팁을 향해 낚싯대를 볼 때, 가이드 링(2200)의 내주면은 대략 원형을 취한다. 따라서, 가이드 링(2200)에 낚싯줄을 스무드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2000)의 부착부(1100)는 그 외주면에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3개의 리브(2120, 2130)를 포함한다. 상기 3개의 리브는, 상방 리브(2120)와, 한 쌍의 측방 리브(2130)를 포함한다.
상방 리브(2120)는 링 지지부(1320)에 인접하여 부착부(1100)의 상단에 위치한다. 상방 리브(2120)는 결합부(1117)와 소외경부(1114)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방 리브(2120)의 상면(2122)은 중심축(CA1)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상방 리브(2120)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테이퍼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방 리브(2120)는, 후방 방향(BD)에서의 후단면(2121)으로부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다.
한 쌍의 측방 리브(2130)는 부착부(1100)의 측단에서 부착부(1100)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한 쌍의 측방 리브(2130)는 대외경부(1113)와 소외경부(1114)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측방 리브(2130)의 폭은 상방 리브(2120)의 폭보다 작다. 상방 리브(2120)와 측방 리브(2130) 간의 중심축(CA1)에 대한 각도는 약 120도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리브(2120)와 측방 리브(2130)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부착부(1100)의 후단면(1116)까지 연장한다. 이에 따라, 후방 방향(BD)에서의 상방 리브(2120)의 후단면(2121)과 후방 방향(BD)에서의 측방 리브(2130)의 후단면(2131)은 부착부(1100)의 후단면(1116)과 동일 표면을 형성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방향(BD)에서의 부착부(1100)의 후단면(1116)은 상방 리브(2120)의 후단면(2121)과 측방 리브(2130)의 후단면(2131)을 포함하여, 상방 리브(2120)의 후단면(2121)과 측방 리브(2130)의 후단면(2131)이 부착부(1100)의 후단면(1116)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방 리브(2120)와 측방 리브(2130)로 인해, 부착부(1100)의 둘레방향에서의 강도가 향상된다. 상방 리브(2120)의 후단면(2121)과 측방 리브(2130)의 후단면(2131)이 부착부(1100)의 후단면(1116)과 동일 표면에 위치하므로, 부착부(1100)를 간체(110)의 관상 대에 압입하는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부착부(1100)의 후단면(1116)으로부터 발생하는 균열과 후단면(1116)에서의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방 리브(2120)와 측방 리브(2130)가 부착부(1100)의 압입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방 리브(2120)의 존재로 인해, 부착부(1100)를 성형할 때 부착부(1100)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가 부착부(1100)의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내에서 스무드하게 유동할 수 있고, 수지 재료가 합류하는 부분에서의 웰드 라인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예컨대, 부착부(1100)의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의 성형 표면에는, 상방 리브(2120)와 측방 리브(21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방 리브(2120)와 측방 리브(213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리브 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에 관련하여, 용융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가 성형 금형 내로 들어가는 게이트는 부착부(1100)의 대외경부(1113)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로 유입한 수지는 두개의 흐름으로 분기되고, 두개의 수지 흐름은 부착부(1100)의 상단으로 유동하여, 부착부(1100)의 상단에서 합류될 수 있다. 부착부(1100)가 두께가 다른 대외경부(1113)와 소외경부(1114)를 가지므로, 대외경부(1113)와 소외경부(1114)를 통과하는 수지의 유속에 차이가 생긴다. 또한, 상방 리브(2120)에 도달하는 두개의 수지의 흐름에 시차가 생기고, 상방 리브(2120)의 부근에서 두개의 수지의 흐름은 방향을 바꾸면서 합류할 수 있다. 또한, 상방 리브(2120)의 전술한 형상으로 인해, 두개의 수지 흐름이 흐트러지고, 수지 내의 카본 장섬유가 서로 얽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100)의 상단에서의 크랙 등의 성형 결함이 방지될 수 있고, 부착부(1100)는 수지의 웰드 라인에서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부착부(1100)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반경방향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부착부(1100)의 반경방향의 두께는 최하단에서 가장 작고, 부착부(1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1100)의 두께 구성으로 인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금형 내부의 성형 공간을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융 수지의 체적이 불충분하여 생기는, 이른바 숏 쇼트(short shot)와 같은 성형 결함이 없는 부착부가 성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100)는 대외경부(1113) 내에 원호 형상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오목부(2119)를 가진다. 오목부(2119)는, 사용자가 부착부(1100)를 간체(110)의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붙일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림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20-20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가이드 링과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20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낚싯줄 가이드(2000)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3000)는 더욱 강한 강도를 갖는 링 서포트(1300)를 구비한다. 링 서포트(1300)는, 강도 향상을 위한 구조물로서, 링 유지부(1310) 내에 보강 플랜지(3312)를 구비한다. 보강 플랜지(3312)는 가이드 링(220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장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보강 플랜지(3312)는 링 유지부(1310)로부터 전방 방향(TD) 및 하방 방향(LD)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한다. 보강 플랜지(3312)는 링 유지부(1310) 내에 위치하며, 제2 굽힘부(133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보강 플랜지(3312)는 그 최하단점이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링 유지부(1310) 내에 위치한다.
도 18,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플랜지(3312)는 그 내주면에서 링 유지공(2311)을 한정한다. 보강 플랜지(3312)의 내주면은 끼워맞춤면(3313)과 안내면(3314)을 포함한다. 끼워맞춤면(3313)은 환상으로 연장하며, 가이드 링(2200)이 끼워맞춤면(3313)에 끼워맞춤된다. 끼워맞춤면(3313)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보강 플랜지(3312)는 링 유지부(13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다. 보강 플랜지(3312)는, 끼워맞춤면(3313)의 돌출 길이(ST)가 링 유지부(1310)의 두께(RT)보다 작도록, 링 유지부(1310)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안내면(3314)은 끼워맞춤면(3313)에 이어져 있다. 안내면(3314)은 끼워맞춤면(3313)을 따라 환상으로 연장한다. 안내면(3314)은 끼워맞춤면(3313)에 대해 만곡되어 있으며,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안내면(3314)의 직경은 끼워맞춤면(3313)을 향하여 축소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2200)이 보강 플랜지(3312)에 끼워맞춤 될 때, 가이드 링(2200)은 안내면(3314)으로부터 끼워맞춤면(3313)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링(2200)의 외주면이 안내면(3314)을 따라 끼워맞춤면(3313)에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링(2200)과 링 유지부(1310)간의 끼워맞춤 시에 가이드 링(2200)의 외주면에서의 깨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2200)과 보강 플랜지(3312)의 끼워맞춤면(3313)이 결합할 때, 접착제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가이드 링(2200)의 외주면과 보강 플랜지(3312)의 안내면(33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가이드 링(2200)과 보강 플랜지(3312) 간에 강한 접착 강도가 달성될 수 있다.
링 유지부(1310)에 형성된 보강 플랜지(3312)에 의해, 링 서포트(1300)의 굽힘 강도가 향상된다. 보강 플랜지(3312)는, 링 서포트(1300)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쉬트 내에 링 유지공(2311)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전체 둘레를 버링(burring)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3000)는, 링 서포트(1300)에 전술한 Y자형 굽힘부를 갖추고 있을뿐만 아니라, 링 유지부(1310) 내에 보강 플랜지(3312)를 갖추어서, 전체적으로 향상된 굽힘 강도를 가지는 링 서포트(130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100)는,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배열되고 낚싯대의 중심축(CA1)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세레이션(serration)(3140)을 가진다. 세레이션(3140)의 횡단면 형상은, 낚싯대의 중심축(CA1)을 향하여 뾰족한 삼각형을 가진다. 따라서, 세레이션(3140)은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 부분이 관상 대의 외주면과 밀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1100)는 강도가 높은 수지 재료(예컨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세레이션(3140)의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 부분에서의 강도가 높아, 부착부(1100)를 간체의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붙일 때에 세레이션(3140)의 꼭지점 부분이 끼워붙이는 힘으로 인해 무너지지 않거나 문드러지지 않는다. 즉, 부착부(1100)의 강한 강도로 인해, 세레이션(3140)은 무너짐 없이 최초 형성된 높이를 유지한다. 세레이션(3140)의 꼭지점 부분이 무너지지 않으므로, 부착부(1100)는 강한 회전내력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의 줄엉킴이 발생하여도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링 서포트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낚시줄 가이드에 발생한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g를 참조하여, 낚싯줄의 줄엉킴이 발생되는 예와 줄엉킴이 해제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2a 내지 도 22g에 있어서, 화살표(F3)는 낚시구의 캐시팅 시에 낚싯줄에 걸리는 장력을 가리키고, 화살표(F4)는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낚싯줄 가이드에 가해지는 바람의 힘을 가리키고, 화살표(F5)는 낚싯줄을 릴 측으로 되돌리는 힘을 가리킨다.
도 22a를 참조하면,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릴로부터 방출된 낚싯줄(130)에서는, 바람의 힘(F4) 또는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낚싯줄의 일부가 링 서포트(1300)를 앞질러 루프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2200)을 통과하기 전의 루프부(131)가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낚싯줄의 일부(132)를 넘어갈 수 있다. 도 22c를 참조하면, 루프부(131)가 바람의 힘(F4)이나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22d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2200)으로 진입하기 전의 낚싯줄의 일부(133)에 바람의 방향의 변화나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낚싯줄을 릴 측으로 되돌리는 힘(F5)이 작용하여, 낚싯줄의 일부(133)와 링 서포트(1300)의 사이로, 루프부(131)가 들어가 링 서포트(1300)를 감을 수 있다. 도 22e를 참조하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장력(F3)과 되돌리는 힘(F5)에 의해, 링 서포트(1300)를 감고 있는 루프부(131)가 당겨지면서 축소될 수 있다. 도 22f를 참조하면, 되돌리는 힘(F5)에 의해 루프부(131)가 더욱 축소되어, 낚싯줄(130)은 링 서포트(1300)의 제1 굽힘부(1331) 주변에 감아진 줄엉킴부(134)를 형성하면서 로크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22f에 도시하는 로크 상태의 줄엉킴부(134)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에 낚시줄의 줄엉킴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는, 링 서포트(1300)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낚싯줄의 줄엉킴은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줄엉킴이 발생한 상황에서, 낚싯줄(130)에는 장력(F3)이 계속 가해지고 있다. 도 22g를 참조하면, 로크 상태에 있는 줄엉킴부(134)는 장력(F3)에 의해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향해 원활하게 슬라이딩하여,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지나면 줄엉킴부(134)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유지부(1310)가 링 지지부(1320)에 대해 굽힘되어 있고 링 지지부(1320)는 낚싯대의 팁을 향해 굽힘되어 있으므로, 보강 플랜지(3312)의 하측 벽면이나 가이드 링(2200)의 하측 벽면은, Y자형 굽힘부가 형성하는 전면(1323)의 오목한 부분(1325)에 위치한다. 즉, 보강 플랜지(3312)의 최하단점과 가이드 링(2200)의 최하단점은, 제2 굽힘부(1332)의 폭방향에서의 양단점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줄엉킴부(134)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오목한 부분(1325)에 들어갈 수 없고 오목한 부분(132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줄엉킴부(134)는 보강 플랜지(3312)의 하측 벽면 또는 가이드 링(2200)의 하측 벽면에 걸리는 것 없이 링 서포트(1300)의 상단으로 슬라이딩되어 해제될 수 있다.
도 22h는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는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를 도시한다. 도 22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Y자형 굽힘부를 갖추지 못한 링 서포트에서는, 줄엉킴부(134)가 보강 플랜지의 하측 벽면 또는 가이드 링의 하측 벽면에 걸리고 링 서포트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없어,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2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를 도시하고, 도 24는 도 23의 24-24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4000)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의 보강 플랜지(3312)는 그 내주면(상세하게는, 끼워맞춤면(3313))에 형성된 복수의 끼워맞춤돌기(4315)를 가진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끼워맞춤 돌기(4315)가 끼워맞춤면(3313)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 돌기(4315)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4개 이상일 수 있다. 끼워맞춤 돌기(4315)는 보강 플랜지(3312)의 끼워맞춤면(3313)으로부터 근소한 높이로 링 유지공(2311) 측으로 돌출한다. 끼워맞춤 돌기(4315)는 보강 플랜지(3312)의 끼워맞춤면(3313)을 셰이빙(shaving) 가공에 의해 약간의 깊이로 절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링(2200)은 링 유지공(2311)에 삽입되고 3개의 끼워맞춤 돌기(4315)의 표면과 끼워맞춤될 수 있다. 가이드 링(2200)이 링 유지공(2311)에 삽입되면, 끼워맞춤 돌기(4315)가 가이드 링(2200)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링 유지부(1310)는 보강 플랜지(3312)의 3개의 끼워맞춤 돌기(4315)에 의해 가이드 링(2200)을 3개소에서 유지한다. 즉, 링 유지부(1310)는 3개의 끼워맞춤 돌기(4315)를 통해 가이드 링(2200)과 접촉된다. 가이드 링(2200)의 외주면은 보강 플랜지(3312)의 끼워맞춤면(3313)과 면접촉되지 않고, 끼워맞춤 돌기(4315)와 면접촉 또는 점접촉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2200)은 가이드 링(2200)의 외주면과 보강 플랜지(3312)의 내주면(끼워맞춤면(3313))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가지고 끼워맞춤 돌기(4315)와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틈새는, 끼워맞춤면(3313)으로부터 돌출한 끼워맞춤 돌기(4315)로 인해 형성되며,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 링(2200)을 3개소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하는 구조로 인해, 가이드 링(2200)의 치수와 링 유지공(2311)의 치수를 가이드 링(2200)과 링 유지공(2311)이 정확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가공할 필요가 없다. 즉, 가이드 링(2200)을 3개소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하는 구조로 인해, 가이드 링(2200)과 링 유지공(2311) 간의 끼워맞춤 허용 공차를 확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25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27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5000)는, 가이드 링이 관상 대의 외경보다 크고 링 서포트가 부착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25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5000)는, 낚싯대의 간체(110)(상세하게는, 간체(110)를 구성하는 관상 대중 하나)에 부착되는 부착부(5100)와, 낚싯줄(130)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5200)과, 가이드 링(5200)을 유지 및 지지하고 부착부(51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서포트(5300)를 포함한다.
가이드 링(5200)은 간체(110)의 관상 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5000)는 관상 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가이드 링이 사용되는 예에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 링(5200)의 형상 및 구성은 도 3 및 도 13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의 형상 및 구성과 유사할 수 있다.
부착부(5100)는 환상체로 형성되며, 간체(110)의 관상 대 중 하나가 부착부(510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관상 대가 부착부(5100)를 관통한 상태에서, 부착부(5100)는 상기 관상 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관상 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관상 대는 전방 방향(TD)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부착부(5100)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착부(5100)가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5100)는, 링 서포트(530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5100) 내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5300)와 일체로 결합된다. 일 예로, 링 서포트(530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5100) 내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5300)를 인서트로서 사용하고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부착부(5100)와 링 서포트(530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부착부(5100)의 상기 수지 재료로서, 전술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서, 링 서포트(5300)의 하측 일부와 부착부(5100) 간의 끼워맞춤 및 접착제 접합의 방식에 의해, 링 서포트(530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5100) 내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5300)와 부착부(5100)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링 서포트(5300)의 재료 및 가공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링 서포트의 재료 및 가공 방식과 유사하다. 링 서포트(5300)는, 그 안에 형성된 굽힘부에 의해 링 서포트(5300)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 서포트(5300)는, 관상 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가이드 링(5200)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링 서포트(5300)는 가이드 링(5200)으로부터 부착부(5100)를 향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즉, 링 서포트(5300)의 각 측단 엣지의 일부는 부착부(5100)를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 링 서포트(5300)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5300)는,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5361)와,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5362)와, 한 쌍의 경계부(53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5361)는 부착부(5100)로부터 상방 방향(UD)으로 연장하며, 서로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5362)는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5361)로부터 상방 방향(UD)으로 각각 연장한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5362)는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5361)의 경사 각도와 다른 경사 각도로 경사져 있다. 한 쌍의 경계부(5363)는 제1 측단 엣지(5361)의 각각과 제2 측단 엣지(5362)의 각각의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경계부(5363)는 제1 측단 엣지(5361)와 제2 측단 엣지(5362) 간의 경계로 된다. 경계부(5363)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측단 엣지(5361)의 경사 각도와 제2 측단 엣지(5362)의 경사 각도가 다르다.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5361)는, 부착부(5100)로부터 링 서포트(5300)의 상단을 향해 서로 점차 멀어진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5362)는 가이드 링(5200)의 부근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5362)는 링 서포트(5300)의 상단을 향해 서로 점차 가까워진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5362)는 0도 초과 30도 이하의 사잇각(IA3)으로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5362)는 서로 평행하여, 사잇각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측단 엣지의 형상으로 인해, 링 서포트(5300)는, 가이드 링(5200)을 향해 넓어지다가 경계부(5363)를 지나 다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링 서포트(5300)의 폭은 상방 방향(UD)으로 점차 커지다가 점차 작아지며, 경계부(5363)에서 최대로 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링 서포트(5300)는, 가이드 링(5200)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5310)와, 링 유지부(5310)를 통해 가이드 링(5200)을 지지하는 링 지지부(5320)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5300)를 구성하는 상기 금속제의 박판에서, 링 유지부(5310)와 링 지지부(5320)는 일체로 형성되며, 링 유지부(5310)는 평평하다.
링 유지부(5310)는 가이드 링(5200)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5311)을 가진다. 링 유지공(5311)은 링 유지부(5310)에 링 유지부(53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링 유지부(5310)는 링 유지공(5311)에 의해 가이드 링(5200)의 전체 둘레를 따라 가이드 링(5200)을 유지하도록 대략 환상을 취한다. 링 유지공(5311)의 형상과 링 유지공(5311)과 가이드 링(5200) 간의 결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를 참조하여 설명한 형상 및 결합과 유사할 수 있다.
링 유지부(5310)의 상측 엣지는 반원 형상을 가진다. 링 유지부(5310)의 폭방향(WD)에서의 양 측단 엣지는 부착부(5100)를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5310)의 각 측단 엣지는, 전술한 제2 측단 엣지(5362)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 유지부(5310)의 양 측단 엣지는, 링 유지공(5311)의 중심에 대해 사잇각(IA3)으로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다. 다른 예로서, 링 유지부(5310)의 양 측단 엣지는 평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링 유지부(5310)의 각 측단 엣지의 일부가 전술한 제2 측단 엣지(5362)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링 유지부(5310)의 하단 엣지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취하며, 링 유지부(5310)는 그 하단 엣지에서 링 지지부(5320)와 일체로 연결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링 지지부(5320)는, 링 유지부(5310)의 V자형의 하단 엣지에 대응하는 V자형의 상단 엣지를 가진다. 링 지지부(5320)의 폭방향(WD)에서의 각 측단 엣지는, 전술한 제1 측단 엣지(536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링 지지부(5320)의 양 측단 엣지는 부착부(5100)를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 서로 좁아진다.
링 서포트(5300)는 링 지지부(5320) 내에 전술한 제1 굽힘부(1331)를 가진다. 제1 굽힘부(1331)는 폭방향(WD)에서 링 지지부(5320)의 중앙에 위치한다. 제1 굽힘부(1331)는 간체(110)의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 링 지지부(5320)의 하단까지 연장한다. 링 지지부(5320)는, 제1 굽힘부(1331)를 포함하는 하측 일부에서, 부착부(5100) 내에 매립되어 있다.
링 지지부(5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전방 방향(TD))으로 전술한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5320)는, 제1 굽힘부(1331)에 의해 구분되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우반부(5321)와 좌반부(5322)를 가진다. 우반부(5321)와 좌반부(5322)는 제1 굽힘부(1331)를 통해 일체로 되어 있으며, 전방 방향(TD)으로 전술한 제1 굽힘각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링 서포트(5300)는 링 유지부(5310)와 링 지지부(5320) 간의 경계로 되는 전술한 제2 굽힘부(1332)를 가진다. 링 유지부(5310)의 하단 엣지와 링 지지부(5320)의 상단 엣지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한다. 링 유지부(5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5320)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 (전방 방향(TD))으로 전술한 제2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5300)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한다. 제2 굽힘부(1332)와 링 서포트(5300)의 양 측단 엣지 간의 접속점이 제2 굽힘부의 양단점(P2)으로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측단 엣지(5361)와 제2 측단 엣지(5362) 간의 전술한 한 쌍의 경계부(5363)는,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에 각각 위치한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5300)의 하단을 향해 볼록하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2 굽힘부(1332)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가지며, 그 중심점(P1)에서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링 서포트(5300)를 측방에서 볼 때, 제2 굽힘부(1332)는 전방 방향(TD)과 상방 방향(UD)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굽힘부(1332)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 간의 연결점(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으로부터 제1 굽힘부(1331)에 대해 둔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를 포함한다.
서로 만나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Y자 형상을 형성하여, 링 서포트(5300)에 Y자형 굽힘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링 서포트(5300)는, 링 유지부(5310), 링 지지부(5320)의 우반부(5321) 및 링 지지부(5320)의 좌반부(5322)가 서로를 향해 굽힘된 금속제의 박판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금속제의 박판에서, 링 유지부(5310), 링 지지부(5320)의 우반부(5321) 및 링 지지부(5320)의 좌반부(5322)는 Y자형 굽힘부를 만드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이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에 의해 서로를 향해 굽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 서포트(5300)에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가 형성하는 Y자형 굽힘부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5300)에는 Y자형 굽힘부를 따라 전술한 Y자형의 가공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5000)는, 전술한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가 형성하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향상된 굽힘강도, 향상된 회전방지강도 및 향상된 부착강도를 가진다.
줄엉킴의 원활한 해소를 위해, 특정 치수 범위로 링 서포트(5300)의 각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2 굽힘부(1332)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 간의 사잇각은 전술한 사잇각(IA1)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링 유지공(5311)의 최하단점(P3)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에 기여한다. 또한, 링 서포트(5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5363)는,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에 각각 위치하거나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상측에 각각 위치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5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5363)는, 양단점(P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굽힘각(BA1), 제2 굽힘각(BA2), 사잇각(IA1) 및 사잇각(IA3)이 전술한 각각의 범위들 내에서의 각도 값을 갖도록 링 서포트(5300)가 형성될 때, 링 서포트(5300)에서의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 링 유지공(5311)의 최하단점(P3) 및 링 서포트(5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5363) 간의 전술한 위치 관계에 의해, 링 서포트(5300)에서의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27은 전술한 제5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링 서포트(5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5363)는,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링 유지부(5310)의 각 측단 엣지는 전술한 제1 측단 엣지(5361) 및 제2 측단 엣지(5362)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 28a 내지 도 28j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에서 줄엉킴의 발생과 해제의 예를 설명한다. 도 28a 내지 도 28j는 도 25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에 줄엉킴이 발생하고 줄엉킴이 해제되는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28a 내지 도 28j에 있어서, 화살표(F3)는 낚시구의 캐시팅 시에 낚싯줄에 걸리는 장력을 가리키고, 화살표(F4)는 낚싯줄 가이드에 가해지는 바람의 힘을 가리키고, 화살표(F5)는 낚싯줄을 릴 측으로 되돌리는 힘을 가리킨다.
도 28a를 참조하면,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릴로부터 방출된 낚싯줄(130)의 일부는 바람의 힘(F4) 또는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링 서포트(5300)를 앞질러 루프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8b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5200)을 통과하기 전의 루프부(131)가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낚싯줄의 일부(132)를 넘어갈 수 있다. 도 28c를 참조하면, 루프부(131)가 바람의 힘(F4)이나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링 서포트(5300)의 상단을 지나 링 서포트(5300)의 하단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28d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5200)으로 진입하기 전의 낚싯줄의 일부(133)에 바람의 방향의 변화나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낚싯줄을 릴 측으로 되돌리는 힘(F5)이 작용하여, 루프부(131)가 링 서포트(5300)의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링 서포트(5300)를 감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링 서포트(5300)의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5361)로 인해 링 서포트(5300)의 폭이 링 서포트(5300)의 하단을 향해 작아지므로, 루프부(131)가 부착부(5100)의 부근까지 이동한다. 이에 따라, 링 서포트(5300)의 측방에 줄엉킴부(134)가 형성되면서 낚싯줄은 로크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28e를 참조하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장력(F3)에 의해, 낚싯줄의 일부(135, 136, 137, 138)가 링 서포트(5300)로 조여들어갈 수 있다. 도 28f를 참조하면, 장력(F3)이 계속 작용하는 상황에서, 낚싯줄의 일부(136)는 장력(F3)에 의해 낚싯대의 팁 측으로 크게 이동하고 낚싯줄의 일부(135)가 가장 조여들어가므로, 낚싯줄의 일부(135)가 지점(支点)으로 되어, 낚싯줄의 일부(137)와 낚시줄의 일부(138)는 장력(F3)에 의해 가이드 링(5200)을 향해 이동될수 있다. 도 28g를 참조하면, 장력(F3)이 계속 작용하는 상황에서, 링 서포트(5300)에 엉킨 낚싯줄의 일부(137)가 링 서포트(5300)의 측단 엣지의 경계부(5363)을 타고 넘어 링 서포트(5300)의 상단을 향해 이동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낚싯줄의 일부(138)가 링 서포트(5300)의 측단 엣지의 경계부(5363)을 타고 넘어 링 서포트(5300)의 상단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28h를 참조하면, 장력(F3)이 계속 작용하는 상황에서, 루프부(131)와 줄엉킴부(134)가 링 서포트(5300)의 상단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28i와 도 28j를 참조하면, 장력(F3)이 계속 작용하는 상황에서, 루프부(131)는 링 서포트(5300)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고, 루프부(131)가 링 서포트(5300)의 상단을 지나면 줄엉킴부(134)가 해제될 수 있다.
링 서포트(5300)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유지부(5310)가 링 지지부(5320)에 대해 굽힘되어 있고 링 지지부(5320)는 낚싯대의 팁을 향해 굽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링(5200)의 하측 벽면은, Y자형 굽힘부가 형성하는 오목한 부분(1325)의 부근에 위치한다. 즉, 가이드 링(5200)의 최하단점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루프부(131)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오목한 부분(1325)에 들어갈 수 없고 오목한 부분(132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루프부(131)는 가이드 링(5200)의 하측 벽면에 걸리는 것 없이 링 서포트(5300)의 상단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링 서포트(5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5363)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에 위치하거나 양단점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도 28f 및 도 28g에 도시하는 낚싯줄의 일부(137) 및 낚싯줄의 일부(138)가 경계부(5363)를 원활하게 타고 넘을 수 있고 루프부(131)가 원활하게 링 서포트(5300)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8k는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28k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에서는, 측단 엣지의 경계부(5363)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낚싯줄 일부(135)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움직이는 낚싯줄의 일부(137)는 경계부(5363)을 타고 넘지 못하고, 장력(F3)이 더욱 가해지면, 낚싯줄의 일부(137)와 낚싯줄의 일부(138)가 조여져, 루프부(131)는 링 서포트의 상단을 향해 이동될 수 없고 낚싯줄의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다.
도 29 내지 도 36i를 참조하여,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예컨대, 도 3과 도 11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을 갖고 낚싯대의 관상 대(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관상 대 중 하나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예컨대, 도 7과 도 15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와,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부착부(예컨대, 도 3, 도 11 및 도 17에 도시하는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공통으로 포함한다.
도 2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e는 도 29에 도시하는 단계들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와,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단계(S100)에 의해, 적어도,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와,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 지지부와, 링 유지부를 굽힘시키는 제1 굽힘부를 포함하는 링 서포트가 가공된다. 단계(S200)에 의해,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예컨대, 도3, 도 11 및 도 17에 도시하는 부착부의 내주면)을 갖는 부착부가 사출 성형된다. 사출 성형 공정에서 주입된 수지 재료가 경화됨으로써, 상기 부착부가 성형된다. 부착부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카본 섬유 강화 수지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부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일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카본 단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비해 3~5배의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진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높은 섬유 배합량으로 고강성을 가지며, 고온에서 우수한 크리프 특성을 가진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고온에서 높은 탄성 유지율을 갖고, 저온에서 우수한 충격 유지율을 갖는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휨 변형량이나 당김 변형량이 작고 선팽창 계수가 작아, 치수 안정성이 높으며,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270Mpa의 인장강도, 340MPa의 굽힘강도, 17000Mpa의 굽힘탄성률, 22KJ/m2의 노치붙이 샤르피 충격강도(Charpy notched impact strength), 178℃의 하중휨 온도, 1.16g/cm3의 밀도를 가진다. 카본 장섬유는 대략 7mm의 길이와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서의 카본 함량은 약 30%가 될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서의 수지는 나일론 수지일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는, 금속 쉬트에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금속 쉬트에 상기 제1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30)와, 상기 금속 쉬트로부터 상기 링 서포트를 블랭킹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와 도 30a를 참조하면, 단계(S110)에 있어서, 사각의 평판인 금속 쉬트(200)가 준비되고, 금속 쉬트(200)에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금속 쉬트(200)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테인리스 합금, 티타늄합금, 순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금속 쉬트(200)는 순티타늄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관통공(211)의 형성은 펀칭 또는 드릴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관통공(211)이 도 3에 도시하는 링 유지공으로 될 수 있으며, 관통공(211)에 도 3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9와 도 30b를 참조하면, 단계(S130)에 있어서, 금속 쉬트(200)를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금속 쉬트(200)에 제1 굽힘부(1331) 및 제2 굽힘부(1332)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200)를 벤딩시킨다.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의 형성과 금속 쉬트(200)의 벤딩은, 금속 쉬트(200)에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상기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는 금속 쉬트의 벤딩에 의해, 금속 쉬트(200)에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되면서,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 주변의 금속 쉬트(200)의 부분이 전술한 제1 굽힘각(BA1)과 제2 굽힘각(BA2)으로 벤딩된다. 제1 굽힘부(1331)는 관통공(211)에 인접하며, 금속 쉬트(200)의 하단까지 연장한다. 제2 굽힘부(1332)는 금속 쉬트(200)의 하단으로 볼록하며 제1 굽힘부(1331)와 연결된다. 제2 굽힘부(1332)는 금속 쉬트(200)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한다. 또한,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형성하면서 금속 쉬트(200)를 벤딩함으로써,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공경화부(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가공경화부)가 금속 쉬트(200)에 생성된다.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30)에 관련하여,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금속 쉬트(200)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굽힘부(1331)가 제2 굽힘부(1332)보다 먼저 금속 쉬트(200)에 형성될 수도 있거나, 제2 굽힘부(1332)가 제1 굽힘부(1331)보다 먼저 금속 쉬트(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9와 도 30c를 참조하면, 단계(S140)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되고 이들을 매개로 벤딩된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가 형성된다.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를 형성하는 것은, 프레스 금형을 사용한 블랭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금속 쉬트(200)로부터 얻어진 링 서포트(1300)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유지부(13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 지지부(1320)를 갖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300)에서는, 링 지지부(1320)가, 링 유지공(1311) 부근으로부터 링 지지부(1320)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300)에서는, 링 유지부(1310)는, 링 서포트(1300)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고 링 서포트(1300)의 하단으로 볼록한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1320)에 대해 제2 굽힘각(BA2)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 간의 경계로 되며, 그 중간에서 제1 굽힘부(1331)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29와 도 30d를 참조하면, 단계(S200)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부착부(1100)가 사출 성형된다. 링 서포트(1300)가 사출 성형의 인서트로서 사용될 때, 링 서포트(130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 공동 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1100)에 매립되면서, 부착부(1100)가 사출 성형된다. 또한, 링 서포트(1300)의 링 지지부(1320)와 부착부(1100)가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S200)의 이후에, 가이드 링을 링 유지공에 끼워맞추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1200)을 링 유지공(1311)에 끼워맞춤으로써,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1200)을 갖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금속 쉬트에 제1 굽힘부(1331) 및 제2 굽힘부(1332)가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가 벤딩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링 서포트는 제1 굽힘부만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는, 금속 쉬트에 제1 굽힘부만이 형성되도록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e는 제1 굽힘부만이 형성된 금속 쉬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0e에 도시하는 금속 쉬트로부터, 제1 굽힘부만을 갖고 링 지지부가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는 링 서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0d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와 부착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순티타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착부(1100)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순티타늄의 비중은 4.51이고,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의 비중은 1.16이다.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경량화에 관련하여, 비중이 1.39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 수지로 이루어진 부착부와, 비중이 5.03인 티타늄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부착부에 끼워맞춤되는 부착링을 가지는 링 서포트를 포함하는 비교예의 낚싯줄 가이드가 가정될 수 있다. 비교예의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 총 체적에서 링 서포트가 차지하는 체적의 비율은 23~41%가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 총 체적에서 링 서포트가 차지하는 체적의 비율은 10~19%가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는 비교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중량의 49~70%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는 현저하게 낮은 중량을 가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3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a 내지 도 32f는 도 31에 도시하는 단계들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 중,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들과 동일한 단계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31과 도 32a를 참조하면, 링 서포트를 가공 하는 단계(S100)에서, 금속 쉬트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에 의해, 금속 쉬트(200)에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관통공(212)이 도 11에 도시하는 링 유지공으로 될 수 있으며, 관통공(212)에 도 11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1과 도 32b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는,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30)의 이전에, 상기 수지 재료로 채워지는 한 쌍의 제1 개구(1351)를 금속 쉬트(200)에 형성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제1 개구(1351)의 형성은 펀칭 또는 드릴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쉬트(200)에 제1 굽힘부(1331)가 형성되면, 제1 굽힘부(1331)는 한 쌍의 제1 개구(1351)의 사이를 지난다. 제1 개구(1351)는 제1 굽힘부(1331)에 대칭으로 위치한다. 도 3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쉬트(200)로부터 블랭킹된 링 서포트(1300)에서, 제1 개구(1351)는 링 서포트(1300)의 링 지지부(1320)에 위치한다.
도 31과 도 32e를 참조하면,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부착부(1100)가 사출 성형된다. 링 서포트(1300)가 사출 성형의 인서트로서 사용될 때, 링 서포트(130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 공동 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 및 제1 개구(1351)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1100)에 매립되면서, 부착부(1100)가 사출 성형된다.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에 의해, 제1 개구(1351)는 부착부(1100)를 이루는 수지 재료로 채워진다. 이에 따라, 제1 개구(1351)는 경화된 상기 수지 재료와 결합된다. 또한,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에 의해, 전술한 상방 리브(2120)와 측방 리브(2130)가 부착부(1100)에 형성된다. 이에 관련해, 부착부(1100)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 공동에는, 상방 리브와 측방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리브 형성부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1과 도 32e를 참조하면, 단계(S300)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이 링 유지부(1310)의 링 유지공(2311)에 끼워맞춤되어, 도 11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조될 수 있다.
제1 개구를 금속 쉬트에 형성하는 단계(S120)에 관련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제2 개구의 형성이,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30)의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32f는, 금속 쉬트의 벤딩 전에 제2 개구(1352)가 금속 쉬트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4a 내지 도 34f는 도 33에 도시하는 단계들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 중,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들과 동일한 단계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33과 도 34a를 참조하면, 링 서포트를 가공 하는 단계(S100)에서 금속 쉬트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에 의해, 금속 쉬트(200)에, 도 17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이 결합될 수 있는 링 유지공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213)이 형성된다.
도 33, 도 34a 및 도 34b를 참조하면,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에서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는, 관통공(213)의 전체 둘레를 금속 쉬트(200)로부터 돌출시켜 보강 플랜지(3312)를 형성하는 단계(S111)를 포함한다. 단계(S111)에 의해, 끼워맞춤면(3313)과 안내면(3314)을 갖고 끼워맞춤면(3313)에 의해 링 유지공을 한정하는, 도 17에 도시하는 보강 플랜지(3312)가 링 서포트(1300)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플랜지(3312)는 금속 쉬트(20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할 수 있다. 보강 플랜지(3312)의 내주면(상세하게는, 끼워맞춤면(3313))이 도 17에 도시하는 링 유지공(2311)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보강 플랜지(3312)의 내주면에 도 17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될 수 있다. 보강 플랜지(3312)의 형성은 버링(burring)에 의해, 예컨대 프레스 펀치를 사용하여 관통공(213)의 전체 가장자리 부분을 낚싯대의 팁을 향하도록 돌출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33과 도 34e를 참조하면, 보강 플랜지(3312)가 형성된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가 블랭킹된다. 도 33과 도 34f를 참조하면, 보강 플랜지(3312)를 가진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부착부(1100)가 사출 성형된다. 부착부(1100)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에 의해, 부착부(1100)의 내주면(1112)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복수의 세레이션(3140)이 형성된다. 상기 세레이션은, 부착부(1100)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 공동 내에 배치되는 코어 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핀은 그 외주면에, 부착부(1100)의 세레이션의 형상에 대응하는 세레이션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3 및 도 34f를 참조하면, 단계(S300)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이 링 유지부(1310)의 링 유지공(2311)에 끼워맞춤되어, 도 17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조될 수 있다. 단계(S300)와 관련하여, 가이드 링은 안내면(3314)으로부터 끼워맞춤면(3313)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33과 도 3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는, 금속 쉬트에 제1 개구(1351)를 형성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단계(S120)에 관련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제2 개구의 형성이,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S130)의 이전에 제1 개구(1351)의 형성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도 34g는, 금속 쉬트의 벤딩 전에 제2 개구(1352)가 금속 쉬트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또는,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는, 제1 및 제2 개구를 금속 쉬트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5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6a 내지 도 36i는 도 35에 도시하는 단계들에서 행해지는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의 단계 중,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들과 동일한 단계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35와 도 36c를 참조하면,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S100)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는, 보강 플랜지(3312)의 내주면(상세하게는, 끼워맞춤면(3313))에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4315)를 형성하는 단계(S112)를 포함한다. 끼워맞춤 돌기(4315)의 형성은 셰이빙(shav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셰이빙(shaving)에 의해 끼워맞춤면(3313)을 끼워맞춤돌기(4315)가 남도록 절삭함으로써, 끼워맞춤돌기(4315)가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12)에 의해, 가이드 링을 3개소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하는 구조가 링 서포트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5와 도 36f를 참조하면, 보강 플랜지(3312) 및 끼워맞춤 돌기(4315)가 형성된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가 블랭킹된다. 도 35와 도 36g를 참조하면, 보강 플랜지(3312) 및 끼워맞춤 돌기(4315)를 가진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부착부(1100)가 링 서포트(1300)와 함께 사출 성형된다. 다음으로, 도 35 및 도 36g를 참조하면, 단계(S300)에 있어서, 도 23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이 링 유지부(1310)의 링 유지공(2311)에 끼워맞춤되어, 도 23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조될 수 있다.
도 35와 도 36d에 도시하는 제1 개구(1351)를 형성하는 단계(S120)와 관련하여,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제2 개구를 금속 쉬트(200)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제1 및 제2 개구를 금속 쉬트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6h는, 금속 쉬트의 벤딩 전에, 제2 개구(1352)가 금속 쉬트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는, 도 29와 도30a 내지 도30d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조 방법의 단계들과 유사한 단계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5와 도 30a 내지 도 30c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와 유사한 단계에 의해,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5300)가 금속 쉬트로부터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가 형성된 링 서포트(5300)가 금속 쉬트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링 서포트(5300)의 가공에 관련하여, 도 32b에 도시하는 제1 개구 또는 도 32f에 도시하는 제2 개구가 링 서포트(530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와 도 30d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와 유사한 단계에 의해,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하는 부착부(5100)와 링 서포트(5300)는,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서포트(530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5100)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5300)를 인서트로서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0c, 도 32d, 도 34e 및 도 36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된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가 블랭킹에 의해 형성된다. 즉, 금속 쉬트(200)에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된 후,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가 블랭킹된다. 따라서, 완성된 링 서포트(1300)에서, 외측 치수의 변화가 적다. 도 36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쉬트(200)로부터 파단된 링 서포트(1300)의 파단면(링 서포트(1300)의 측면)이 링 유지공의 중심축에 대해 각도를 갖지 않는다. 도 36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의 측면(1312)과 링 지지부(1320)의 측면(1326)은 링 서포트의 전면 또는 후면과 예각(AA)을 형성한다. 예각(AA)의 크기는 제1 굽힘각(BA1)의 절반으로 될 수 있다. 만일,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공품을 블랭킹에 의해 얻은 후 그러한 가공품에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형성하는 경우, 링 서포트(1300)의 파단면은 링 서포트(1300)의 전면 또는 후면과 대략 직각을 형성하고, 굽힘으로 인한 치수 안정성이 악화된다. 즉, 이러한 경우, 링 서포트(1300)의 측면(1312, 1326)이 링 유지공의 중심축의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그러나,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의 형성 후에 블랭킹된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공의 중심축에 대해 각도를 갖지 않는 파단면을 가지므로, 완성된 링 서포트(1300)는 부착부(1100)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정밀하게 안착될 수 있고, 수지 누설과 같은 성형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낚싯줄 가이드와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착부(1100, 5100)와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1300, 5300)는 부분적 결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20, 5320)의 하측 일부가, 또는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 및 제1 개구(1351)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1100, 5100) 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링 서포트(1300, 5300)와 부착부(1100, 5100)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가이드 링과 부착부의 사이에, 부착부에 일부가 매립되고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1300, 5300)만을 가진다. 즉,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환상의 부착부에 끼워맞춤되는 부착링과 같은 연결 부품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은, 링 서포트에 부착링을 형성하는 공정과 부착링을 환상의 부착부에 끼워맞추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는 더욱 적은 수의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링 서포트(1300, 5300)는 부착링과 같은 연결 부품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한 개의 링 서포트(1300, 5300)가 다양한 외경을 갖는 부착부(1100, 5100)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외경을 갖는 부착부(1100, 5100)에 동일한 한 개의 링 서포트(1300, 530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관련하여, 요구되는 금형의 수와 금형 비용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부착링과 같은 연결 부품을 통해 링 서포트가 부착부에 끼워맞춤되는 낚싯줄 가이드와 비교하여,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요구되는 금형의 수는 62% 정도 감소될 수 있고, 금형 비용은 27% 정도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는,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고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부착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사출 성형 장치의 실시예가 도 37 내지 도 42에 도시되어 있다. 도 37은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사출 성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하는 하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에 도시하는 하형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코어 핀과 이젝터 슬리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코어 핀, 이젝터 슬리브 및 사출 성형된 부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이젝터 슬리브에 의해 행해지는 이젝팅 동작을 예시한다.
전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는,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부착부(예컨대, 도 3, 도 11 및 도 17에 도시하는 부착부(1100), 도 25에 도시하는 부착부(5100))와,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고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예컨대, 도 7, 도 15, 도 18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1300),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5300))를 포함한다. 부착부는 낚싯대의 관상 대(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관상 대 중 하나의 관상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는다. 링 서포트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예컨대, 도 3 및 도 11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1200, 2200),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5200))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예컨대, 도 7, 도 15, 도 18에 도시하는 링 유지부(1310),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하는 링 유지부(5310)) 및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링 지지부(예컨대, 도 7, 도 15, 도 18에 도시하는 링 지지부(1320),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하는 링 지지부(5320))를 포함한다. 링 지지부는,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에서의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예컨대, 도 7, 도 15, 도 18, 도 25에 도시하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예컨대, 도 8에 도시하는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되어 있다. 일 실시예의 사출 성형 장치는 이러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사출 성형 장치(300)는, 상형(320)과, 하형(330)과, 이젝터(340)를 포함한다. 사출 성형 장치(300)는 하형(330)을 지지하는 베이스(310)를 갖는다. 하형(330)은 베이스(310)에 의해 지지되며, 고정되어 있다. 상형(320)은 하형(330)에 접근되거나 하형(3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젝터(340)는 사출 성형된 부착부(1100)를 하형(33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베이스(310)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로드(311)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이드 로드(311)는 하형(330)을 관통한다. 가이드 로드(311)의 상단에는, 도 40에 도시하는 코어 핀(312)이 배치된다. 코어 핀(312)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부착부(1100)의 보어(1111) 및 내주면(1112)이 형성된다. 즉, 코어 핀(312)은 부착부(1100)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주면 형상을 가진다. 코어 핀(312)은 스크류(314)에 의해 가이드 로드(311)의 상단에 부착된다.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 핀(312)의 외주면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세레이션(3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세레이션(313)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부착부의 내주면이 세레이션을 갖지 않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경우, 코어 핀(312)의 외주면은 원통 형상을 가진다.
도 37을 참조하면, 상형(320)은 그 하측에, 부착부(1100)의 일부를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제1 성형 공동(321)을 갖는다. 제1 성형 공동(321)은 부착부(1100)의 소외경부(1114)의 형상에 대략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형(320)에는, 용융된 수지 재료(예컨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가 주입되는 수직 주입로(322)와, 수직 주입로(322)로부터 연장하고 수직 주입로(322)로부터 분기된 제1 수평 주입로(32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 주입로(323)의 끝에는, 제1 성형 공동(321)과 통하고 수지 재료가 제1 성형 공동(321)으로 들어가는 제1 게이트(3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하형(330)은 그 상측에, 부착부(1100)의 나머지 일부를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제2 성형 공동(331)과, 제2 성형 공동(33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인서트 시트(insert seat)(334)를 갖는다.
제2 성형 공동(331)은, 도 3에 도시하는 부착부(1100)의 대외경부(1113) 및 결합부(1117)의 형상에 대략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형(330)에는, 제2 성형 공동(331)과 연통하는 제2 수평 주입로(332)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수평 주입로(332)의 끝에는, 제2 성형 공동(331)과 통하고 수지 재료가 제2 성형 공동(331)으로 들어가는 제2 게이트(333)가 형성되어 있다. 상형(320)과 하형(330)이 닫히면, 제2 수평 주입로(332)는 제1 수평 주입로(323)와 함께 하나의 수평 주입로를 형성한다. 상형(320)과 하형(330)이 닫히면, 제2 게이트(333)는 제1 게이트(324)와 함께 하나의 게이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게이트는, 부착부(1100)의 대외경부(1113)의 최하단에 위치한다. 또한, 상형(320)과 하형(330)이 닫히면, 제1 성형 공동(321)과 제2 성형 공동(331)이 부착부를 성형하기 위한 하나의 성형 공동을 형성한다.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하는 코어 핀(312)은 이러한 하나의 성형 공동 내에 위치한다.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의 사출 성형을 위해, 링 서포트(1300)가 인서트 시트(334)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인서트 시트(334)는, 링 서포트(1300)의 하측 일부가 제2 성형 공동(331) 내로 삽입되도록, 제2 성형 공동(33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성형 공동(331)에 삽입되는 링 서포트(1300)의 상기 하측 일부는,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 및 제1 개구(1351)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성형 공동(331)에 삽입되는 링 서포트(1300)의 상기 하측 일부는,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될 수 있다.
인서트 시트(334)는 제2 성형 공동(331)과 연통하며, 하형(330)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다. 인서트 시트(334)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에 의해 굽힘된 링 서포트(130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인서트 시트(334)는, 제2 성형 공동(331)의 영역에 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링 서포트(1300)의 전면(前面)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바닥벽(335)과, 링 서포트(1300)의 측면(예컨대, 도 36i에 도시하는 측면(1312, 1326))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측벽(336)을 가진다. 바닥벽(335)에는, 링 서포트(1300)의 제1 굽힘부(1331)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337)와, 링 서포트(1300)의 제2 굽힘부(1332)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33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벽(335)에는 링 서포트(1300)의 제2 개구(1352)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인서트 시트의 바닥벽과 측벽의 형상은 단지 예시적이다. 인서트 시트의 바닥벽과 측벽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링 서포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340)는, 부착부(1100)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후 부착부(1100)를 하형(330)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내도록 기능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이젝터(34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이젝터 핀(341)과, 원통 형상을 갖는 이젝터 슬리브(34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 성형 후, 이젝터 핀(341)과 이젝터 슬리브(342)가 사출 성형된 부착부(1100)를 이젝팅한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젝터 핀(341)은, 사출된 수지가 흐르는 통로에 존재하며 수지가 경화된 부분인 스풀(spool)(351)과 접촉하여, 스풀(351)을 상방으로 이젝팅한다. 스풀(351)은 부착부(1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부착부(1100)를 구성하지 않는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젝터 슬리브(342)는 가이드 로드(311)에 부착되어 있다.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젝터 슬리브(342)는 그 상단면에, 사출 성형된 부착부(1100)의 환상의 표면(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부착부의 전단면(1115))과 전체적으로 면접촉으로 접촉하는 이젝팅 면(343)을 구비한다. 이젝팅 면(343)은 환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100)가 상기 하형으로부터 이젝팅될 때, 부착부(1100)의 전단면(1115)은 전단면(1115)의 전체 둘레를 따라 이젝터 슬리브(342)의 이젝팅 면(343)으로부터 균일한 힘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성형된 부착부를 하형으로부터 이젝팅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부착부의 변형, 부착부의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낚싯대, 101: 낚싯대의 팁, 102: 낚싯대의 버트, 110: 간체, 113: 관상대, 130: 낚싯줄, 1000: 낚싯줄 가이드, 2000: 낚싯줄 가이드, 3000: 낚싯줄 가이드, 4000: 낚싯줄 가이드, 5000: 낚싯줄 가이드, 1100: 부착부, 5100: 부착부, 1112: 내주면, 1113: 대외경부, 1114: 소외경부, 1115: 전단면, 1116: 후단면, 2120: 상방 리브, 2121: 후단면, 2130: 측방 리브, 2131: 후단면, 1200: 가이드 링, 2200: 가이드 링, 5200: 가이드 링, 1300: 링 서포트, 5300: 링 서포트, 1310: 링 유지부, 5310: 링 유지부, 1311: 링 유지공, 2311: 링 유지공, 5311: 링 유지공, 3312: 보강 플랜지, 4315: 끼워맞춤 돌기, 1320: 링 지지부, 5320: 링 지지부, 1331: 제1 굽힘부, 1332: 제2 굽힘부, 1351: 제1 개구, 5361: 제1 측단 엣지, 5362: 제2 측단 엣지, 5363: 경계부, 200: 금속 쉬트, 211: 관통공, 212: 관통공, 213: 관통공, 300: 사출 성형 장치, 320: 상형, 321: 제1 성형 공동, 330: 하형, 331: 제2 성형 공동, 334: 인서트 시트, 340: 이젝터, 342: 이젝터 슬리브, 343: 이젝팅 면, BA1: 제1 굽힘각, BA2: 제2 굽힘각, CA1: 중심축, TD: 전방 방향, BD: 후방 방향, UD: 상방 방향, LD: 하방 방향

Claims (18)

  1.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링 서포트와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환상의 부착부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로서,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 및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는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상기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상기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링 지지부가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도록 금속 쉬트에 상기 제1 굽힘부를 형성하여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상기 부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에서 가공된 상기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수지 재료에 의해 상기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인,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쉬트에 상기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쉬트에 상기 제1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쉬트로부터 상기 링 서포트를 블랭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 유지부는, 상기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상기 제1 굽힘부에 연결되며 상기 링 서포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고 상기 링 서포트의 하단으로 볼록한 제2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링 지지부에 대해 제2 굽힘각으로 굽힘되고,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쉬트에 상기 제2 굽힘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쉬트를 벤딩하는 단계 전에, 상기 링 지지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굽힘부에 대해 대칭으로 상기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를 상기 금속 쉬트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수지 재료로 채워지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공의 전체 둘레를 상기 금속 쉬트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내주면에서 상기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되는 보강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8.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낚싯대의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와,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 및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에서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는 링 지지부를 갖는 링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상기 부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와 상기 부착부가 결합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이며,
    상기 부착부의 일부를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제1 성형 공동을 갖는 상형과,
    상기 부착부의 나머지 일부를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제2 성형 공동 및 상기 링 서포트가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상기 제2 성형 공동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성형 공동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인서트 시트를 갖는 하형과,
    사출 성형된 상기 부착부를 상기 하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사출 성형된 상기 부착부의 환상의 표면과 면접촉으로 접촉하는 환상의 이젝팅 면을 갖는 이젝터 슬리브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10.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시줄 가이드이며,
    경화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는 내주면을 갖는 환상의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갖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 지지부는, 상기 링 지지부 내에서 상기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상기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고,
    상기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링 지지부의 하측 일부가 상기 부착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부착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링 서포트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상기 부착부를 이루는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링 지지부의 상기 하측 일부와 상기 부착부가 결합되어 있는,
    낚싯줄 가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수지 재료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내주면에, 상기 부착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열되고 삼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복수의 세레이션을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부착부의 내측에서 상기 링 지지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굽힘부에 대해 대칭으로 상기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를 갖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경화된 수지 재료로 채워진,
    낚싯줄 가이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단에 위치하고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방 리브와, 상기 부착부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방 리브 및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의 후단면까지 연장하고,
    상기 부착부의 후단면이 상기 상방 리브의 후단면과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을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리브는 상기 상방 리브의 후단면으로부터 상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링 지지부의 상기 하측 일부가 매립되는 대외경부와, 상기 대외경부에 인접하고 상기 대외경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소외경부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 유지부는, 상기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상기 제1 굽힘부에 연결되는 제2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링 지지부에 대해 상기 낚싯대의 팁을 향해 제2 굽힘각으로 굽힘되고,
    상기 제2 굽힘부는 상기 링 서포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고 상기 링 지지부의 하단을 향해 볼록한,
    낚싯줄 가이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부착부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와, 상기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로부터 상기 상방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의 경사 각도와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와, 상기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의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의 각각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경계부는 상기 제2 굽힘부의 양단점에 또는 상기 제2 굽힘부의 상기 양단점보다 상측에 각각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
KR1020180093078A 2018-01-17 2018-08-09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 및 낚싯줄 가이드 KR10201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901333.7A EP3741213B1 (en) 2018-01-17 2018-12-25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shing line guide
PCT/JP2018/047622 WO2019142623A1 (ja) 2018-01-17 2018-12-25 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釣り糸ガイドの製造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装置及び釣り糸ガイド
JP2019531362A JP6579415B1 (ja) 2018-01-17 2018-12-25 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釣り糸ガイドの製造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装置及び釣り糸ガイド
CN201880086768.1A CN111601503B (zh) 2018-01-17 2018-12-25 制造钓鱼线引导器的方法,制造钓鱼线引导器的注射模制装置和钓鱼线引导器
TW108100314A TWI685299B (zh) 2018-01-17 2019-01-04 釣線導引件之製造方法、用於釣線導引件之製造之射出成形裝置及釣線導引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5465 2018-01-17
JPJP-P-2018-005465 2018-01-17
KR1020180024644 2018-02-28
KR20180024644 2018-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941A KR20190087941A (ko) 2019-07-25
KR102017143B1 true KR102017143B1 (ko) 2019-09-03

Family

ID=6746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78A KR102017143B1 (ko) 2018-01-17 2018-08-09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 및 낚싯줄 가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41213B1 (ko)
JP (1) JP6579415B1 (ko)
KR (1) KR102017143B1 (ko)
TW (1) TWI6852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18B1 (ko) * 2020-03-10 2021-06-0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낚싯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7760B2 (ja) * 1991-06-18 1999-10-06 松下電工株式会社 成形装置
JP2004024079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及び釣竿
KR101524407B1 (ko) 2014-05-23 2015-05-2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696158B1 (ko) *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380U (ja) * 1981-12-18 1983-06-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釣糸ガイド
JPH077726Y2 (ja) * 1988-06-20 1995-03-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り用ガイド
JPH0538243A (ja) * 1991-08-06 1993-02-19 Shimano Inc 釣り竿の糸ガイド製造方法
KR960016034U (ko) * 1994-11-25 1996-06-17 릴낚시대용 가이드
KR970006700Y1 (ko) * 1994-12-27 1997-07-02 정춘재 낚시대의 낚시줄 안내링
JPH09172914A (ja) * 1995-12-26 1997-07-08 Ryobi Ltd 釣竿の釣糸ガイド
KR200141740Y1 (ko) * 1997-02-18 1999-03-20 정춘재 낚시용 가이드
JP2004081080A (ja) * 2002-08-26 2004-03-18 Daiwa Seiko Inc 釣竿
JP4275457B2 (ja) * 2003-05-16 2009-06-1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ガイド
WO2011102398A1 (ja) * 2010-02-18 2011-08-25 Tokuda Isamu 釣り竿用ラインガイド(トップラインガイドを含む)及び釣り竿
JP5460441B2 (ja) * 2010-04-19 2014-04-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99613B1 (ko) * 2012-07-03 2014-05-27 (주)하림 낚싯대용 가이드 및 그 제조방법
JP6386710B2 (ja) * 2013-09-30 2018-09-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
JP6433310B2 (ja) * 2015-01-23 2018-12-0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ガイ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7760B2 (ja) * 1991-06-18 1999-10-06 松下電工株式会社 成形装置
JP2004024079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及び釣竿
KR101524407B1 (ko) 2014-05-23 2015-05-2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696158B1 (ko) *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18B1 (ko) * 2020-03-10 2021-06-0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낚싯대
US11825823B2 (en) 2020-03-10 2023-11-28 Fuji Kogyo Co., Ltd.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fishing line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79415B1 (ja) 2019-09-25
JPWO2019142623A1 (ja) 2020-02-06
TWI685299B (zh) 2020-02-21
EP3741213B1 (en) 2022-08-17
KR20190087941A (ko) 2019-07-25
EP3741213A1 (en) 2020-11-25
EP3741213A4 (en) 2020-12-23
TW201932005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143B1 (ko)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 및 낚싯줄 가이드
CN105815288B (zh) 钓线引导件、钓竿以及引导框
US10252126B2 (en) Lacrosse head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7922472B2 (en) Mold for use in injection molding process
TWI684401B (zh) 釣線導引件之製造方法、釣線導引件及包含其之釣竿
WO2019142623A1 (ja) 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釣り糸ガイドの製造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装置及び釣り糸ガイド
US20190099930A1 (en) Injection mold
JP6579414B1 (ja)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CN209832428U (zh) 一种斜流圈的成型模具
JP7018038B2 (ja) 遊動式の釣糸ガイド、当該釣糸ガイドの製造方法、及び当該釣糸ガイドを備えた釣竿
CN213645792U (zh) 用于注塑合金的手机外壳模具
JP2018166458A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釣糸ガイドのフレーム
KR102172948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CN207224440U (zh) 一种铅芯刨壳体的加工模具
JP6433311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CN211492620U (zh) 一种模芯结构
CN218274240U (zh) 一种高精度磁粉成型模具
JP201219618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210190467U (zh) 深筋镶件出水路及二次开模机构
CN210100466U (zh) 一种注塑模芯
JP6232034B2 (ja) 鋳抜きピンおよび鋳造用金型
CN107415141A (zh) 一种铅芯刨壳体的加工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