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052B1 -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052B1
KR101986052B1 KR1020180093077A KR20180093077A KR101986052B1 KR 101986052 B1 KR101986052 B1 KR 101986052B1 KR 1020180093077 A KR1020180093077 A KR 1020180093077A KR 20180093077 A KR20180093077 A KR 20180093077A KR 101986052 B1 KR101986052 B1 KR 10198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uide
ring support
fishing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JP201953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JP6579414B1/ja
Priority to EP18901117.4A priority patent/EP3741211B1/en
Priority to CN201880086786.XA priority patent/CN112004412B/zh
Priority to PCT/JP2018/047621 priority patent/WO2019142622A1/ja
Priority to TW108100313A priority patent/TWI68529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Abstract

경량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춘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한다. 낚싯줄 가이드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는,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가이드 링을 지지한다. 링 서포트는 링 유지부와 링 지지부를 포함한다. 링 유지부는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가진다. 링 지지부는,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부착부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부착부와 결합된다. 링 지지부는, 링 지지부 내에서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낚싯줄을 가이드하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가이드 링을 유지 및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과 결합되고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가진다.
낚싯대 중 이른바 진출식(振出式) 낚싯대(telescopic fishing rod)에는, 낚싯대의 관상 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는 유동(遊動)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유동 가이드는, 낚싯대의 관상 대가 관통하는 환상의 부착부를 가진다. 유동 가이드는 관상 대가 부착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관상 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부착부와 관상 대의 외주면 간의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관상 대대에 고정된다.
유동 가이드의 일 예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4275457호와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는, 관상 대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부착부와, 가이드 링을 지지하고 부착부에 끼워맞춤되는 부착링을 갖는 금속제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유동 가이드를 개시한다.
유동 가이드를 진출식 낚싯대에 설치하기 위해, 유동 가이드의 환상 부착부는 낚싯대의 후단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된다. 진출식 낚싯대의 관상 대는 낚싯대의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관상 대의 외경과 부착부의 내경이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부착부는 관상 대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부착부를 낚싯대의 후단 측으로 강하게 누르면, 부착부가 약간 변형되고, 부착부가 관상 대의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또는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부착부에 결합된 프레임에 다양한 외력이 작용한다. 예컨대, 낚싯대에 횡방향으로 외력이 프레임에 가해지면, 프레임과 부착부가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유동 가이드의 낚싯줄 안내 기능이 상실된다. 그러나, 환상의 부착부와 부착링에 의해 부착부와 결합되는 프레임을 가지는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프레임에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에 저항하는 충분한 회전방지강도를 갖지 못해, 사용자가 프레임에 가하는 부주의한 충격, 또는 낚시 장소에서의 바위 또는 지면이 프레임에 가하는 충격에 의해,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저항하는 회전방지강도가 크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금속제의 부착링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므로, 충분한 굽힘강도를 갖지 못하며, 유동 가이드에 발생하는 낚싯줄의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하지 못한다.
진출식 낚싯대는, 둔치, 해변가, 갯바위 등에서의 낚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갯바위 낚시를 위한 진출식 낚싯대는, 4.5m 내지 5.5m의 전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출식 낚싯대에는, 일반적으로 10개 내지 15개의 유동 가이드가 부착될 수 있다. 낚시구의 캐스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또는 물고기를 용이하게 낚아올리기 위해서는, 경량의 낚싯대가 유리하며, 이를 위해서는, 경량의 유동 가이드가 진출식 낚싯대에 요구된다. 그러나, 금속제의 부착링을 가지는 금속제의 프레임으로 인해, 종래기술의 유동 가이드는 경량화에 부응하지 못한다.
일본 특허공보 제4275457호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한 낚싯줄 가이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대의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한 회전에 저항하는 회전방지강도가 강한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분한 강도를 갖추면서도 경량인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향상된 굽힘 강도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가지면서 낚싯줄의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는 낚싯줄 가이드가 제공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가이드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링 서포트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는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가이드 링을 지지한다. 링 서포트는 링 유지부와 링 지지부를 포함한다. 링 유지부는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가진다. 링 지지부는,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부착부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부착부와 결합된다. 링 지지부는, 링 지지부 내에서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굽힘각은 120도 내지 170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낚싯대의 중심축을 따라서 링 지지부의 전단과 링 지지부의 후단 간의 거리는 0.5mm 내지 3mm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유지부는, 링 유지부와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제1 굽힘부에 연결되는 제2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해 제2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2 굽힘부는 링 서포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고 링 지지부의 하단을 향해 볼록하다. 제2 굽힘부의 중심점은 제2 굽힘부의 양단점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각은 15도 내지 20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부는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 간의 연결점으로부터 제1 굽힘부에 대해 둔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 간의 사잇각은 110도 내지 120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부는 제1 굽힘부와 연결되는 곡선상 굽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는 Y자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는,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를 따라 링 서포트의 내부에 형성되고 링 유지부와 링 지지부보다 높은 항복점을 갖는 가공경화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유지공의 최하단점은 제2 굽힘부의 양단점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링 지지부의 양 측단 엣지는 0도 초과 30도 이하의 사잇각으로 서로를 향해 기울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의 각 측단 엣지는, 부착부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와,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의 경사 각도와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와,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의 각각과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의 각각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경계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경계부는 제2 굽힘부의 양단점에 또는 제2 굽힘부의 양단점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는 0도 초과 30도 이하의 사잇각으로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는, 부착부의 외측에서 링 지지부에 위치하고 제1 굽힘부에 대해 대칭으로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는, 부착부의 내측에서 링 지지부에 위치하고 제1 굽힘부에 대해 대칭으로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2 개구를 갖는다. 제2 개구는 경화된 부착부의 수지 재료로 채워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는, 링 유지부로부터 돌출하고 내주면에서 링 유지공을 한정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은,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끼워맞춤면과, 끼워맞춤면을 따라 연장하고 끼워맞춤면에 대해 만곡된 안내면을 포함한다. 가이드 링은 안내면으로부터 끼워맞춤면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플랜지는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복수개의 끼워맞춤 돌기를 갖는다. 가이드 링은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가지고 끼워맞춤 돌기에 끼워맞춤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는,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체와, 환상체의 상단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방 리브와, 환상체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방 리브를 포함한다. 상방 리브 및 한 쌍의 측방 리브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환상체의 후단면까지 연장하여, 환상체의 후단면이 상방 리브의 후단면과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방 리브는 상방 리브의 후단면으로부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하나의 측면은,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의 낚싯대는, 복수개의 관상 대와, 관상 대 중 하나에 부착되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는 제1 얼라인먼트 표지를 갖고, 관상 대 중 하나는 제1 얼라인먼트 표지와 정렬되는 제2 얼라인먼트 표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의하면, 링 서포트의 굽힘 구조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의 회전방지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링 서포트의 굽힘 구조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의 굽힘 강도 및 전체적인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는 향상된 회전방지강도를 가지면서 경량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의하면, 낚싯줄 가이드는 향상된 회전방지강도와 굽힘강도를 가지면서, 낚싯줄의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부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7-7 선을 따라 취한 낚싯줄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9-9 선을 따라 취한 링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18-18 선을 따라 취한 낚싯줄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된 낚싯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22-22 선을 따라 취한 낚시줄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0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과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5f는 굽힘 테스트를 수행한 시험편들을 각각 도시한다.
도 26은 강도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7a 내지 도 27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 낚싯줄의 줄엉킴이 발생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7g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 낚싯줄의 줄엉킴이 해제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7h는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는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를 도시한다.
도 28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의 29-2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g는 도 28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 및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제7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5a 내지 도 35j는 도 3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에서의 줄엉킴의 발생 및 해제의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35k는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링 서포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팁(tip)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낚싯대의 버트(butt)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가이드 링이 부착부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상방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에서, 화살표(TD)는 낚싯대의 팁(tip)(101)을 향하는 전방 방향을 지시하고, 화살표(BD)는 낚싯대의 버트(butt)(102)를 향하는 후방 방향을 지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100)는, 당해 분야에서 진출식(振出式, telescopic) 낚싯대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100)는, 둔치, 해안가, 선상, 갯바위 등에서의 낚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낚싯대(100)의 사용 장소가 전술한 장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낚싯대(100)는 길다란 원통 형상의 간체(竿體)(110)를 포함한다. 간체(110)는 낚싯대(100)에 작용하는 여러 외력에 저항하고 낚싯대(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물로서 기능한다. 간체(110)는 복수개의 관상 대(111, 112, 113, 114, 115)를 포함한다. 하나의 관상 대가, 그 다음에 위치하고 그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관상 대의 내부에 끼워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복수개의 관상 대가 결합되어, 간체(110)를 구성한다. 도 1은 확장된 낚싯대(100)의 간체(110)를 도시한다. 간체(110)의 관상 대 중, 낚싯대(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관상 대(111)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원대로서 기능한다. 관상 대(111)에는 릴 시트(120)가 부착되며, 릴 시트(120)에는 낚싯줄(미도시)을 방출하거나 감기 위한 릴(미도시)이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낚싯대(100)는 간체(110)에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시구를 캐스팅할 때에 릴로부터 방출되거나 물고기를 낚아올릴 때에 릴에 감기는 낚싯줄을 안내한다. 상기 복수개의 낚싯줄 가이드로서, 개시된 여러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낚싯줄 가이드가 간체(110)의 관상 대(111, 112, 113, 114, 115)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체(110)의 관상 대(113)가 낚싯줄 가이드(1000)의 환상의 부착부를 관통하여, 낚싯줄 가이드(1000)가 간체(110)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1000)가 간체(110)에 장착되기 전에, 낚싯줄 가이드(1000)는 그 부착부에서 간체(110)를 따라 전방 방향(TD) 또는 후방 방향(B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간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간체(110)의 관상 대(113)는 전방 방향(TD)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1000)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1000)의 부착부가 관상 대(113)의 외주면과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됨으로써, 낚싯줄 가이드(1000)가 간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유동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참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부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7-7 선을 따라 취한 낚싯줄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9-9 선을 따라 취한 링 서포트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8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의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1000)는, 낚싯대의 간체(110)(상세하게는, 간체(110)를 구성하는 관상 대중 하나)에 부착되는 부착부(1100)와, 낚싯줄(130)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1200)과, 가이드 링(1200)을 유지 및 지지하고 부착부(11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서포트(1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1100)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부착부(1100)는 카본 섬유 강화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부(1100)는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카본 단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비해 3~5배의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진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높은 섬유 배합량으로 고강성을 가지며, 고온에서 우수한 크리프 특성을 가진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고온에서 높은 탄성 유지율을 갖고, 저온에서 우수한 충격 유지율을 갖는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휨 변형량이나 당김 변형량이 작고 선팽창 계수가 작아, 치수 안정성이 높으며,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진다. 카본 장섬유는 대략 7mm의 길이와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서의 카본 함량은 약 30%가 될 수 있다.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서의 수지는 나일론 수지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100)는 환상의 형상을 가져, 간체(110)의 관상 대 중 관상 대(113)가 부착부(1100)를 관통할 수 있다. 부착부(1100)는 관상 대(113)가 관통할 수 있는 환상체(1110)를 포함한다. 환상체(1110)에는 관상 대(113)의 외주면이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보어(1113)가 낚싯대의 중심축(CA1)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보어(1113)의 직경은 전방 방향(TD) 또는 후방 방향(BD)으로 균일할 수 있다. 관상 대(113)가 보어(1113)를 관통한 상태에서, 부착부(1100)는 관상 대(113)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고 관상 대(11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관상 대(113)는 전방 방향(TD)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환상체(1110)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키는 도중, 관상 대(113)의 외경과 보어(1113)의 직경이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서 환상체(1110)는 관상 대(113)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 때, 환상체(1110)를 후방 방향(BD)으로 더욱 이동시키면, 환상체(1110)가 약간 변형되면서 부착부(1100)는 관상 대(113)에 견고하게 끼워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체(1110)는, 전방 방향(TD)으로 위치하고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외경부(1111)와, 후방 방향(BD)으로 위치하고 대외경부(1111)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대외경부(111)와 이어져 있는 소외경부(1112)를 가진다. 대외경부(1111)에서의 환상체(1110)의 반경 방향 두께는 소외경부(1112)에서의 환상체(1110)의 반경 방향 두께보다 크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외경부(1111)의 전방 방향(TD)의 표면이 부착부(1100)의 환상의 전단면(前端面)(1114)을 형성하고, 소외경부(1112)의 후방 방향(BD)의 표면이 부착부(1100)의 환상의 후단면(後端面)(1115)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체(1110)는 대외경부(1111)의 일부 둘레를 걸쳐 연장하고 대외경부(1111)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 결합부(1116)를 가진다. 결합부(1116)에는 그 외면으로부터 환상체(1110)의 중심을 향해 뚫린 결합 슬릿(1117)이 형성되어 있다. 링 서포트(1300)의 하측 부분과 결합부(1116)가 결합되어, 링 서포트(1300)가 부착부(11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결합 슬릿(1117)에 링 서포트(1300)의 하측 부분이 삽입 또는 끼워맞춤되어, 링 서포트(1300)가 부착부(11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슬릿(1117)은 링 서포트(1300)의 하단 엣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저면(1118)을 가진다. 결합 슬릿(1117)은, 링 서포트(1300)의 하측 부분의 횡단면 형상(도 9 참조)에 대응하는 V자형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결합 슬릿(1117)은 링 서포트(1300)의 굽힘각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각도로 그 중앙에서 절곡되어 있다. 결합 슬릿(1117)의 축방향(CA1)에서의 길이는 링 서포트(1300)의 하측 부분의 두께와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다. 결합 슬릿(1117)은, 도 7에 도시하는 경사각(TA)으로 낚싯대의 팁을 향해(전방 방향(TD)으로) 기울어져 있다.
링 서포트(1300)는, 결합 슬릿(1117)의 저면(1118)에 링 서포트(1300)의 하단 엣지가 접촉하기까지 링 서포트(1300)를 결합 슬릿(1117)에 삽입해 끼워붙임으로써, 부착부(1100)에 고정될 수 있다. 링 서포트(1300)와 결합 슬릿(1117)은 헐거운 끼워맞춤 또는 중간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링 서포트(1300)의 하측 일부가 결합부(1116) 내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 사용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부착부(1100)와 링 서포트(13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1200)은 대략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진다. 낚싯줄(130)은 가이드 링(1200)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링(1200)은 링 서포트(1300)에 끼워맞춤 및 접착제 도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링(1200)은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가이드 링(1200)을 유지하며, 부착부(1100)에 대하여 가이드 링(120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테인리스 합금, 티타늄합금, 순티타늄 등의 금속 재료로 제조된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링 서포트(1300)는, 그 안에 형성된 굽힘부에 의해 링 서포트(1300)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는 박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300)는, 상기 금속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진 얇은 금속 쉬트(당해 분야에서, 이러한 금속 쉬트는 블랭크(blank)로서 참조될 수 있다)를 펀칭, 블랭킹, 벤딩과 같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링 서포트(1300)의 상기 박판으로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가이드 링(1200)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유지부(1310)를 통해 가이드 링(1200)을 지지하는 링 지지부(1320)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1300)를 구성하는 박판에서, 링 지지부(1320)는 링 유지부(1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1200)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링 서포트(1300)는 부착부(1100)에 의해 관상 대(113)의 외주면에 대해 위치된다. 링 서포트(1300)와 부착부(1100)는, 링 서포트(1300)가 부분적으로 부착부(1100) 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링 서포트(1300)와 부착부(1100) 간의 결합은, 링 서포트(1300)의 하측 일부(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와 부착부(1100) 간의 끼워맞춤 및 접착제 접합의 방식, 또는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하여 부착부(1100)의 사출 성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는 가이드 링(1200)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1311)을 가진다. 링 유지공(1311)은 링 유지부(1310)에 링 유지부(13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링 유지공(1311)은 가이드 링(1200)의 외주면에 맞추어지도록 원형의 내주면을 가진다. 가이드 링(1200)은 그 외주면에서 링 유지공(1311)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며, 점접촉, 면접촉 등에 의해 링 유지공(1311)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 유지공(1311)의 내주면과 가이드 링(120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이들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링 유지부(1310)는 링 유지공(1311)에 의해 가이드 링(1200)의 전체 둘레를 따라 가이드 링(1200)을 유지하도록 대략 환상을 취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의 상측 엣지는 반원 형상 또는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방 방향(TD) 및 상방 방향(UD)에 수직한 낚싯줄 가이드의 폭방향(WD)을 가정할 때, 링 유지부(1310)의 폭방향(WD)에서의 측단 엣지는 서로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또는, 링 유지부(1310)의 폭방향(WD)에서의 양측 엣지는, 상방 방향(UD)으로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링 유지부(1310)의 하단 엣지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취하며, 링 유지부(1310)는 그 하단 엣지에서 링 지지부(1320)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의 사이에 개구나 공동을 구비하지 않는다. 링 유지부(1310)의 하단 엣지의 형상에 대응하여, 링 지지부(1320)의 상단 엣지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취하여, 링 지지부(1320)는 그 상단 엣지에서 링 유지부(1310)와 일체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는, 그 하측 일부에서 부착부(1100) 내에 매립되어 있다. 링 지지부(1320)의 폭방향(WD)에서의 측단 엣지는 상방 방향(UD)으로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또는, 링 지지부(1320)의 폭방향(WD)에서의 측단 엣지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링 지지부(1320)의 하단 엣지는 상방 방향(U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의 폭방향(WD)에서의 양 측면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낚싯대의 중심축(CA1)과 평행하다. 즉, 링 지지부(1320)의 각 측면으로부터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상의 연장선(EL)이 중심축(CA1)과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 내에 형성된 제1 굽힘부(1331)를 가진다. 제1 굽힘부(1331)는 폭방향(WD)에서 링 지지부(1320)의 중앙에 또는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후방 방향(BD))으로 굽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는,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를 가진다.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는 제1 굽힘부(1331)를 통해 일체로 되어 있으며, 전방 방향(TD)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굽힘부(1331)는 관상 대(113)를 향하는 또는 보어(1113)의 중심을 통과하는 하방 방향(LD)으로 연장하며,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은 결합 슬릿(1117)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폭방향(WD)에서 링 지지부(1320)의 하단 엣지의 양단 간의 간격은 부착부(1100)의 보어(1113)의 직경보다 작으며, 링 지지부(1320)의 하단 엣지의 양단은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6) 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 간의 경계로 되는 제2 굽힘부(1332)를 가진다. 제2 굽힘부(1332)는 대략 그 중앙에서 제1 굽힘부(1331)에 연결된다. 링 유지부(1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1320)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후방 방향(BD))으로 굽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링 유지부(1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는 낚싯대의 중심축(CA1) 또는 부착부(1100)의 중심축(CA2)에 수직한 수직선(HL)에 대해 경사각(TA)으로 전방 방향(TD)으로 기울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향상된 링 서포트(1300)의 굽힘강도, 향상된 링 서포트(1300)의 회전방지강도, 향상된 링 서포트(1300)의 부착강도를 가진다. 전술한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로 인한 링 서포트(1300)의 굽힘 형상이 이러한 향상된 강도에 관련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전술한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는 단지 간략한 선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낚싯줄 가이드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300)를 이루는 금속제의 박판 내에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링 서포트(1300)에 굽힘 형상을 이용한 강도 보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1300)의 전면(1323) 및 후면(1324) 상에서, 제1 굽힘부(1331)는 가는 선의 형상, 좁은 면의 형상, 좁은 곡면의 형상, 비교적 넓은 곡면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링 서포트(1300)의 횡단면을 취할 때, 제1 굽힘부(1331)는 링 서포트(1300)의 전면(1323) 및 후면(1324) 상에서 후방 방향(B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300)의 전면(1323) 및 후면(1324) 상에서 가는 선의 형상 또는 좁은 면의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링 서포트(1300)의 종단면을 취할 때,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300)의 전면(1323) 및 후면(1324) 상에서 후방 방향(B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 내에 형성되어 링 지지부(1320)를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로 구분시키는 제1 굽힘부(1331)를 가진다. 제1 굽힘부(1331)는, 링 서포트(1300) 내에서 낚싯대의 중심축(CA1)을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또는,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되는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링 지지부(1320)의 하단까지 연장한다. 또한, 제1 굽힘부(1331)는 낚싯대의 중심축(CA1)으로부터 대략 상방 방향(UD)으로 연장하여, 제2 굽힘부(1332)의 중앙과 만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전방 방향(TD))으로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 간의 경계로 되고 링 유지부(1310)의 굽힘의 기준이 되는 제2 굽힘부(1332)를 가진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1300)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며, 링 서포트(1300)의 하단(링 지지부(1320)의 하단)을 향해 볼록하다. 링 유지부(1310)와 링 지지부(1320)는 공통의 엣지를 가진다. 이에 따라, 링 서포트(1300)에 있어서, 링 유지부(1310)의 하단 엣지와 링 지지부(1320)의 상단 엣지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부(1332)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가지며,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링 서포트(1300)를 측방에서 볼 때, 제2 굽힘부(1332)는 전방 방향(TD)과 상방 방향(UD)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굽힘부(1332)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굽힘부(1332)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 간의 연결점(도 11에 도시하는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으로부터 제1 굽힘부(1331)에 대해 둔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1320)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예컨대, 전방 방향(TD))으로 제2 굽힘각(BA2)으로 굽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만나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Y자형 형상을 형성하여, 링 서포트(1300)에 Y자형 굽힘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링 서포트(1300)는, 전술한 금속 쉬트(블랭크)를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를 따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금속 쉬트(블랭크)를,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형성하고 링 지지부(1320)를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시키고 링 유지부(1310)를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제2 굽힘각(BA2)으로 굽힘시키는 벤딩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링 서포트(1300)는, 링 유지부(1310),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 및 링 지지부(1320)의 좌반부(1322)가 서로를 향해 굽힘된 금속제의 박판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금속제의 박판에서, 링 유지부(1310),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 및 링 지지부(1320)의 좌반부(1322)는 Y자형 굽힘부를 만드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이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에 의해 서로를 향해 굽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금속 쉬트의 프레스 가공은, 금속 쉬트를 이루는 금속 재료가 가공경화를 일으킬 때까지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상기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금속 재료가 가공경화되어 생성하는 가공경화부(1341, 1342)를 포함한다. 가공경화부(1341, 1342)의 형상은,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의 Y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가공경화부(1341, 1342)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를 따라 링 서포트(13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가공경화부(1341, 1342)는 링 서포트(1300)의 링 유지부(1310) 및 링 지지부(1320)보다 높은 항복점(yield point)을 가지므로, 링 서포트(1300)는 가공경화부(1341, 1342)가 생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에서 소성변형을 일으키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만드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서포트(1300)는 링 서포트(130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강한 저항을 가져, 링 서포트(130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각(BA1)으로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1 굽힘각(BA1)은 120도 내지 170도의 둔각이 될 수 있다. 제1 굽힘각(BA1)이 둔각인 경우, 링 지지부(1320)의 횡풍과 면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강한 횡풍의 항력에 의해 낚싯대가 휘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굽힘각(BA1)이 120도 이상인 경우, 횡풍이 강한 경우에 링 지지부(1320)에 대한 횡풍의 항력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굽힘각(BA1)이 120도 이상인 경우, 링 지지부(1320)에 대해 굽힘되어 있는 링 유지부(1310)의 넓이를 단순한 형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1 굽힘각(BA1)이 170도를 초과하는 경우, 링 지지부(1320)를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벤딩시킬 때 제1 굽힘부(1331)에 압축에 의한 가공경화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링 서포트(1300)를 낚싯대의 관상 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외력이 링 서포트(1300)에 작용하면, 절곡된 링 지지부(1320)가 외력의 벡터 방향으로 일직선 모양으로 변형되기 쉬어, 링 서포트(1300)가 부착부(1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축(CA1)을 따라서 링 지지부(1320)의 전단(링 지지부(1320)의 측단 엣지)과 링 지지부(1320)의 후단(후면(1324) 상의 제1 굽힘부(1331)) 간의 거리(벤딩된 링 지지부의 두께)(BT)는 0.5mm 내지 3mm가 될 수 있다. 수지 재료의 부착부는 탄성변형하기 쉬우며, 작은 응력에 의해서도 휨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거리(BT)가 0.5mm 미만인 경우, 링 서포트(1300)를 낚싯대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의 외력이 링 서포트(1300)에 가해질 때에(도 4 및 도 8에서의 화살표(F1) 참조), 링 지지부(1320)에 의해 밀려지는 결합 슬릿(1117)의 표면이 변형하여, 링 서포트(1300)에 필요한 반력이 작용하지 않고 링 지지부(1320)가 결합 슬릿(1117)을 타넘어 이동할 수 있다. 거리(BT)가 3mm를 초과하는 경우, 링 서포트(1300)가 지나치게 커질 수 있고, 낚싯줄 가이드의 경량화를 달성하지 못한다. 또한, 부착부(1100)로부터 돌출된 링 지지부(1320)의 부분이 횡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수 있어, 낚싯대의 묵직한 느낌이 두드러지게 악화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1310)는 링 지지부(1320)에 대해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제2 굽힘각(BA2)으로 전방 방향(TD)으로 굽힘되어 있다. 링 유지부(1310)는 낚싯대(100)의 팁을 향해(전방 방향(TD)으로) 링 지지부(1320)에 대해 제2 굽힘각(BA2)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2 굽힘각(BA2)은, 링 서포트(1300)의 굽힘 강도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를 위해, 15도 내지 20도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또는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링 서포트(1300)를 관상 대(113)를 중심으로 하여(낚싯대의 중심축(CA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외력(F1)(도 4 및 도 8 참조)이 링 서포트(1300)에 반복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링 서포트(1300)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서포트(1300)는 관상 대(113)에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F1)에 저항하는 향상된 회전방지강도를 가진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링 지지부(1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되어 있다. 따라서,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중심축(CA1)에 대해 예각으로 비스듬히 위치하여 서로를 향한다. 링 유지부(1310)는 링 지지부(13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평평하다. 링 유지부(1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제2 굽힘각(BA2)으로 굽힘되어 있다. 즉, 링 유지부(1310)는 링 지지부(1320)로부터 제2 굽힘부(1332)을 통해 절곡되어 있다. 링 유지부(1310)의 하단 엣지와 링 지지부(1320)의 상단 엣지는 V자 형상의 제2 굽힘부(1332)로서 형성된다. 제2 굽힘부(1332)의 V자 형상에 관련하여, 제2 굽힘부(1332)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가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으로부터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향해 경사져 있다. 즉,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 및 좌반부(1322)의 각각의 상단 엣지는, 링 서포트(1300)의 폭방향(WD)에서의 중심으로부터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향해 경사져 있다. 평평한 링 유지부(1310)는 우반부(1321) 및 좌반부(1322)의 각각의 상단 엣지에 제2 굽힘부(133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 서포트(1300)에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가 형성하는 Y자형 굽힘부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1300)에는 Y자형 굽힘부를 따라 Y자형의 가공경화부(1341, 13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 서포트(1300)에 외력(F1)이 작용하여도,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 및 좌반부(1322)가 열리거나 좁히는 방향으로 변형하거나, 휘어지거나, 비틀리는 것에 대해 강하게 저항한다. 또한, 링 서포트(1300)는 상기 Y자형 굽힘부로 인해, 외력(F1)에 강하게 저항하므로, 링 서포트(1300)는 향상된 회전방지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링 지지부(1320)가 부착부(1100)의 결합 슬릿(1117)을 확장시키거나, 링 지지부(1320)가 부착부(1100)의 결합 슬릿(1117)을 타고넘어 부착부(1100)에 대해 회전하거나, 링 지지부(1320)가 부착부(1100)의 결합 슬릿(1117)으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링 서포트(1300)에는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또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외력(F2)(도 6 및 도 8 참조)이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낚시 도중의 낚싯줄에 의해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외력(F2)이 링 서포트(1300)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링 서포트(1300)는 외력(F2)에 저항하는 향상된 굽힘강도를 갖는다. 링 서포트(1300)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유지부(1310)가 외력(F2)의 방향으로 변형하거나 휘어지는 것, 또는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가 외력(F2)의 방향으로 열리거나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링 서포트(1300)는 외력(F2)에 저항하는 향상된 굽힘강도를 갖는다.
굽힘 강도의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소를 위해, 특정 치수 범위로 링 서포트(1300)의 각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굽힘부(1332)의 V자 형상에서의 사잇각(IA1)(즉, 도 8에 도시하는 직선상 굽힘부(1333, 1334) 간의 사잇각)은 굽힘 강도의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를 위해, 110도 내지 120도일 수 있다. 링 지지부(1320)의 양 측단 엣지는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링 지지부(1320)는 테이퍼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링 지지부(1320)의 양 측단 엣지가 이루는 사잇각(IA2)은 굽힘 강도의 향상과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를 위해 0도 초과 30도 이하의 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링 유지공(1311)의 최하단점(P3)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에 기여한다.
제1 굽힘각(BA1), 제2 굽힘각(BA2), 사잇각(IA1) 및 사잇각(IA2)이 전술한 각각의 범위들 내에서의 각도 값을 갖도록 링 서포트(1300)가 형성될 때, 링 서포트(1300)에서의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 및 링 유지공(1311)의 최하단점(P3) 간의 전술한 위치 관계에 의해, 링 서포트(1300)에서의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각도의 값으로, 제1 굽힘각(BA1), 제2 굽힘각(BA2), 사잇각(IA1), 사잇각(IA2)이 정해지는 경우, 또는, 전술한 위치 관계로 링 유지공(1311)과 제2 굽힘부(1332)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가 행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일 실시예의 링 서포트(1300)에 있어서, 제1 굽힘각(BA1)은 157도로 정해질 수 있고, 제2 굽힘각(BA2)은 20도로 정해질 수 있고, 사잇각(IA1)은 120도로 정해질 수 있고, 사잇각(IA2)은 20도로 정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2000)는, 링 지지부의 노출된 부분에 링 지지부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개구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10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낚싯줄 가이드(2000)의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에 각각 형성된 제1 개구(2351)를 가진다. 제1 개구(2351)는 링 지지부(1320)를 낚싯대의 중심축(CA1)의 방향으로(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2351)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2000)는 더욱 경량화될 수 있다.
제1 개구(2351)는 제1 굽힘부(1331)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며,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1 개구(2351)는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6)보다도 외측에서 링 지지부(1320)에 위치한다. 제1 개구(2351)는 결합부(1116) 외측에 위치되는 링 지지부(1320)의 부분에만 형성되며, 결합부(1116) 내측에 위치되는 링 지지부(1320)의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1 개구(2351)는 결합부(1116)의 상측 윤곽선에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부착부(1100)와 링 서포트(1300) 간의 결합 강도를 유지한 채로 링 서포트(1300)의 경량화가 달성된다. 따라서, 결합부(1116)와 링 지지부(1320)와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에, 접착제의 박리 기점으로 될 수 있는 결합 슬릿(1117)의 상측 윤곽선에서 접착제의 박리가 일어나, 부착부(1100)와 링 서포트(1300) 간의 결합 강도가 저하하거나, 접착제가 박리된 부분에의 해수의 침입에 의해 링 서포트(1300)가 부식해버리는 것 등이 방지된다. 또한, 각각의 제1 개구(2351)는, 링 지지부(1320)의 제1 굽힘부(1331)와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므로, 링 지지부(1320)의 강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제1 개구(2351)는, 제2 굽힘부(1332)와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므로, 제2 굽힘부(1332)와 제1 굽힘부(1331)가 형성하는 링 서포트(1300)의 Y자형 굽힘부가 절단되는 것은 없고, 링 서포트(1300)의 강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도 13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18-18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이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가 부착된 낚싯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3000)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1000, 20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낚싯줄 가이드(3000)와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1000, 2000) 간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된다.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3200)은, 상하로 긴 장원형(oblong shape)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 링(3200)이 끼워맞춤되는 링 유지공(3311)은 가이드 링(3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장원형을 가진다. 링 유지부(1310)가 낚싯대의 팁을 향해 전방 방향(TD)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낚싯대의 버트로부터 낚싯대의 팁을 향해 낚싯대를 볼 때, 가이드 링(3200)의 내주면은 대략 원형을 취한다. 따라서, 가이드 링(3200)에 낚싯줄을 스무드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3000)는, 링 서포트(1300)와 부착부(1100)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3000)의 부착부(1100)는 그 외주면에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3개의 리브(3120, 3130)를 포함한다. 상기 3개의 리브는, 상방 리브(3120)와, 한 쌍의 측방 리브(3130)를 포함한다.
상방 리브(3120)는 링 지지부(1320)에 인접하여 환상체(1110)의 상단에 위치한다. 상방 리브(3120)는 결합부(1116)와 소외경부(111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방 리브(3120)의 상면(3122)은 중심축(CA1)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상방 리브(3120)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테이퍼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방 리브(3120)는, 후방 방향(BD)에서의 후단면(3121)으로부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TD)으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다.
한 쌍의 측방 리브(3130)는 환상체(1110)의 측단에서 환상체(1110)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한 쌍의 측방 리브(3130)는 대외경부(1111)와 소외경부(111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측방 리브(3130)의 폭은 상방 리브(3120)의 폭보다 작다. 상방 리브(3120)와 측방 리브(3130) 간의 중심축(CA1)에 대한 각도는 약 120도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리브(3120)와 측방 리브(3130)는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BD)으로 환상체(1110)의 후단면(1115)까지 연장한다. 이에 따라, 후방 방향(BD)에서의 상방 리브(3120)의 후단면(3121)과 후방 방향(BD)에서의 측방 리브(3130)의 후단면(3131)은 환상체(1110)의 후단면(1115)과 동일 표면을 형성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방향(BD)에서의 환상체(1110)의 후단면(1115)은 상방 리브(3120)의 후단면(3121)과 측방 리브(3130)의 후단면(3131)을 포함하여, 상방 리브(3120)의 후단면(3121)과 측방 리브(3130)의 후단면(3131)이 환상체(1110)의 후단면(1115)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방 리브(3120)와 측방 리브(3130)로 인해, 환상체(1110)의 둘레방향에서의 강도가 향상된다. 상방 리브(3120)의 후단면(3121)과 측방 리브(3130)의 후단면(3131)이 환상체(1110)의 후단면(1115)과 동일 표면에 위치하므로, 환상체(1110)를 간체(110)의 관상 대에 압입하는 때에 발생할 수 있는, 환상체(1110)의 후단면(1115)으로부터 발생하는 균열과 후단면(1115)에서의 백화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방 리브(3120)와 측방 리브(3130)가 환상체(1110)의 압입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방 리브(3120)의 존재로 인해, 부착부(1100)를 성형할 때 부착부(1100)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가 부착부(1100)의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내에서 스무드하게 유동할 수 있고, 수지 재료가 합류하는 부분에서의 웰드 라인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예컨대, 부착부(1100)의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의 성형 표면에는, 상방 리브(3120)와 측방 리브(31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방 리브(3120)와 측방 리브(313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리브 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에 관련하여, 용융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가 성형 금형 내로 들어가는 게이트는 환상체(1110)의 대외경부(1111)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로 유입한 수지는 두개의 흐름으로 분기되고, 두개의 수지 흐름은 환상체(1110)의 상단으로 유동하여, 환상체(1110)의 상단에서 합류될 수 있다. 환상체(1110)가 두께가 다른 대외경부(1111)와 소외경부(1112)를 가지므로, 대외경부(1111)와 소외경부(1112)를 통과하는 수지의 유속에 차이가 생긴다. 또한, 상방 리브(3120)에 도달하는 두개의 수지의 흐름에 시차가 생기고, 상방 리브(3120)의 부근에서 두개의 수지의 흐름은 방향을 바꾸면서 합류할 수 있다. 또한, 상방 리브(3120)의 전술한 형상으로 인해, 두개의 수지 흐름이 흐트러지고, 수지 내의 카본 장섬유가 서로 얽힐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상체(1110)의 상단에서의 크랙 등의 성형 결함이 방지될 수 있고, 환상체(1110)는 수지의 웰드 라인에서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부착부(1100)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반경방향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환상체(1110)의 반경방향 두께는 최하단에서 가장 작고, 환상체(1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1100)의 두께 구성으로 인해,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는 금형 내부의 성형 공간을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융 수지의 체적이 불충분하여 생기는, 이른바 숏 쇼트(short shot)와 같은 성형 결함이 없는 부착부가 성형될 수 있다.
부착부(1100)는 대외경부(1111) 내에 원호 형상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오목부(3119)를 가진다. 오목부(3119)는, 사용자가 부착부(1100)를 간체(110)의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붙일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3000)의 링 서포트(1300)는, 링 지지부(1320)의 우반부(1321)와 좌반부(1322)에 각각 형성된 제2 개구(3352)를 가진다. 제2 개구(3352)는 제1 개구(2351)의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3352)는 링 지지부(1320)를 중심축(CA1)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관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굽힘부(1331)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개구(3352)는, 부착부(1100)의 결합부(1116)의 내측에서 링 지지부(1320)에 위치한다.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시에, 부착부(1100)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예컨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가 제2 개구(3352)로 유입하여 제2 개구(3352) 내에서 경화한다. 즉, 제2 개구(3352)는 경화된 부착부(1100)의 수지 재료로 채워진다. 이에 따라, 부착부(1100)와 링 서포트(1300) 간의 결합 구조가 보강되어, 낚싯줄 가이드(3000)의 강도가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1100)는 상방 리브(3120)의 상면(3122)에 형성된 제1 얼라인먼트 표지(3123)를 가진다. 제1 얼라인먼트 표지(3123)는 폭방향(WD)에서 상방 리브(3120)의 상면(3122)의 중앙에 위치하한다. 또한, 제1 얼라인먼트 표지(3123)는 링 지지부(1320)의 중앙에 위치한 제1 굽힘부(1331)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제1 얼라인먼트 표지(3123)는 상면(3122)에 형성된 가는 홈 또는 상면(3122)에 그려진 선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체(110)의 관상 대는 부착부(1100)의 제1 얼라인먼트 표지(3123)와 정렬될 수 있는 제2 얼라인먼트 표지(116)를 가진다. 제2 얼라인먼트 표지(116)는 관상 대의 외주면에 가는 홈 또는 선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간체(110)의 제2 얼라인먼트 표지(116)에 낚싯줄 가이드(3000)의 제1 얼라인먼트 표지(3123)를 일치시킴으로써, 간체(110)에 대한 낚싯줄 가이드(3000)의 얼라인먼트가 간단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20 내지 도 26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22-2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0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과 링 서포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4000)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30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낚싯줄 가이드(3000)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4000)는 더욱 강한 강도를 갖는 링 서포트(1300)를 구비한다. 링 서포트(1300)는, 강도 향상을 위한 구조물로서, 링 유지부(1310) 내에 보강 플랜지(4312)를 구비한다. 보강 플랜지(4312)는 가이드 링(320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장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보강 플랜지(4312)는 링 유지부(1310)로부터 전방 방향(TD) 및 하방 방향(LD)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한다. 보강 플랜지(4312)는 링 유지부(1310) 내에 위치하며, 제2 굽힘부(133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보강 플랜지(4312)는 그 최하단점이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링 유지부(1310) 내에 위치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플랜지(4312)는 그 내주면에서 링 유지공(3311)을 한정한다. 보강 플랜지(4312)의 내주면은 끼워맞춤면(4313)과 안내면(4314)을 포함한다. 끼워맞춤면(4313)은 환상으로 연장하며, 가이드 링(3200)이 끼워맞춤면(4313)에 끼워맞춤된다. 끼워맞춤면(4313)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보강 플랜지(4312)는 링 유지부(13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다. 보강 플랜지(4312)는, 끼워맞춤면(4313)의 돌출 길이(ST)가 링 유지부(1310)의 두께(RT)보다 작도록, 링 유지부(1310)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안내면(4314)은 끼워맞춤면(4313)에 이어져 있다. 안내면(4314)은 끼워맞춤면(4313)을 따라 환상으로 연장한다. 안내면(4314)은 끼워맞춤면(4313)에 대해 만곡되어 있으며,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안내면(4314)의 직경은 끼워맞춤면(4313)을 향하여 축소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3200)이 보강 플랜지(4312)에 끼워맞춤 될 때, 가이드 링(3200)은 안내면(4314)으로부터 끼워맞춤면(4313)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링(3200)의 외주면이 안내면(4314)을 따라 끼워맞춤면(4313)에 끼워맞춤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링(3200)과 링 유지부(1310)간의 끼워맞춤 시에 가이드 링(3200)의 외주면에서의 깨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3200)과 보강 플랜지(4312)의 끼워맞춤면(4313)이 결합할 때, 접착제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가이드 링(3200)의 외주면과 보강 플랜지(4312)의 안내면(43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가이드 링(3200)과 보강 플랜지(4312) 간에 강한 접착 강도가 달성될 수 있다.
링 유지부(1310)에 형성된 보강 플랜지(4312)에 의해, 링 서포트(1300)의 굽힘 강도가 향상된다. 보강 플랜지(4312)는, 링 서포트(1300)를 성형하기 위한 금속 쉬트 내에 링 유지공(3311)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전체 둘레를 버링(burring)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4000)는, 링 서포트(1300)에 전술한 Y자형 굽힘부를 갖추고 있을뿐만 아니라, 링 유지부(1310) 내에 보강 플랜지(4312)를 갖추어서, 전체적으로 향상된 굽힘 강도를 가지는 링 서포트(1300)를 구비한다. 상기의 Y자형 굽힘부에 의한 굽힘 강도의 향상 또는 보강 플랜지(4312)에 의한 굽힘 강도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지는 6개의 링 서포트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들에 관해 굽힘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상기 굽힘 테스트는,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의 후단면이 평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링 유지부의 상단에 수직 방향의 하중을 가하여 행해졌다. 도 25a 내지 도 25f는 굽힘 테스트를 수행한 시험편을 각각 도시하고, 도 26은 굽힘 테스트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또한, 아래의 표1은 6개의 시험편 각각의 재료, 두께 및 1mm의 스트로크에서의 강도를 보인다.
시험편 재료 두께(mm) 강도(Kgf) 비교
비교예1 티타늄합금 0.8 0.94 -
비교예2 순티타늄 0.8 1.51 100%
비교예3 순티타늄 0.8 1.58 104%
비교예4 순티타늄 0.8 1.77 117%
시험예1 순티타늄 0.8 1.96 130%
시험예2 순티타늄 0.8 2.09 138%
도 25a에 도시하는 비교예1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에서는, 링 지지부 내에 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되며, 링 유지부는 링 지지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도 25b에 도시하는 비교예2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에서는, 전술한 제1 개구와 유사한 개구가 형성되지만, 링 유지부와 링 지지부는 절곡되지 않는다. 도 25c에 도시하는 비교예3에 따른 낚시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에서는, 링 유지부에 전술한 보강 플랜지와 유사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링 지지부에 전술한 제1 개구와 유사한 개구가 형성되지만, 링 지지부와 링 유지부는 절곡되지 않는다. 도 25d에 도시하는 비교예4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에서는, 전술한 보강 플랜지와 유사한 플랜지가 링 유지부에 형성되고, 전술한 제1 개구와 유사한 개구가 링 지지부에 형성되고, 링 지지부가 개구에서 절곡되어 있다. 도 25e에 도시하는 시험예1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는, 전술한 도 13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3000)의 링 서포트가 채용된다. 도 25f에 도시하는 시험예2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는, 전술한 도 20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4000)의 링 서포트가 채용된다.
위의 표1과 도 26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시험예1에 따른 링 서포트의 굽힘 강도는 비교예2에 따른 링 서포트의 굽힘 강도에 비해 30% 향상된 굽힘 강도를 가진다. 또한, 시험예2에 따른 링 서포트의 굽힘 강도는 비교예2에 따른 링 서포트의 굽힘 강도에 비해 38% 향상된 굽힘 강도를 가진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의 줄엉킴이 발생하여도 줄엉킴을 원활하게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링 서포트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낚시줄 가이드에 발생한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g를 참조하여, 낚싯줄의 줄엉킴이 발생되는 예와 줄엉킴이 해제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7a 내지 도 27g에 있어서, 화살표(F3)는 낚시구의 캐시팅 시에 낚싯줄에 걸리는 장력을 가리키고, 화살표(F4)는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낚싯줄 가이드에 가해지는 바람의 힘을 가리키고, 화살표(F5)는 낚싯줄을 릴 측으로 되돌리는 힘을 가리킨다.
도 27a를 참조하면,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릴로부터 방출된 낚싯줄(130)에서는, 바람의 힘(F4) 또는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낚싯줄의 일부가 링 서포트(1300)를 앞질러 루프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3200)을 통과하기 전의 루프부(131)가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낚싯줄의 일부(132)를 넘어갈 수 있다. 도 27c를 참조하면, 루프부(131)가 바람의 힘(F4)이나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27d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3200)으로 진입하기 전의 낚싯줄의 일부(133)에 바람의 방향의 변화나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낚싯줄을 릴 측으로 되돌리는 힘(F5)이 작용하여, 낚싯줄의 일부(133)와 링 서포트(1300)의 사이로, 루프부(131)가 들어가 링 서포트(1300)를 감을 수 있다. 도 27e를 참조하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장력(F3)과 되돌리는 힘(F5)에 의해, 링 서포트(1300)를 감고 있는 루프부(131)가 당겨지면서 축소될 수 있다. 도 27f를 참조하면, 되돌리는 힘(F5)에 의해 루프부(131)가 더욱 축소되어, 낚싯줄(130)은 링 서포트(1300)의 제1 굽힘부(1331) 주변에 감아진 줄엉킴부(134)를 형성하면서 로크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27f에 도시하는 로크 상태의 줄엉킴부(134)로 인해, 낚싯줄 가이드에 낚시줄의 줄엉킴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에서는, 링 서포트(1300)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낚싯줄의 줄엉킴은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줄엉킴이 발생한 상황에서, 낚싯줄(130)에는 장력(F3)이 계속 가해지고 있다. 도 27g를 참조하면, 로크 상태에 있는 줄엉킴부(134)는 장력(F3)에 의해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향해 원활하게 슬라이딩하여, 링 서포트(1300)의 상단을 지나면 줄엉킴부(134)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유지부(1310)가 링 지지부(1320)에 대해 굽힘되어 있고 링 지지부(1320)는 낚싯대의 팁을 향해 굽힘되어 있으므로, 보강 플랜지(4312)의 하측 벽면이나 가이드 링(3200)의 하측 벽면은, Y자형 굽힘부가 형성하는 전면(1323)의 오목한 부분(1325)에 위치한다. 즉, 보강 플랜지(4312)의 최하단점과 가이드 링(3200)의 최하단점은, 제2 굽힘부(1332)의 폭방향에서의 양단점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줄엉킴부(134)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오목한 부분(1325)에 들어갈 수 없고 오목한 부분(132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줄엉킴부(134)는 보강 플랜지(4312)의 하측 벽면 또는 가이드 링(3200)의 하측 벽면에 걸리는 것 없이 링 서포트(1300)의 상단으로 슬라이딩되어 해제될 수 있다.
도 27h는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는 비교예에 따른 링 서포트를 도시한다. 도 27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Y자형 굽힘부를 갖추지 못한 링 서포트에서는, 줄엉킴부(134)가 보강 플랜지의 하측 벽면 또는 가이드 링의 하측 벽면에 걸리고 링 서포트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없어,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다.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2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링 서포트를 도시하고, 도 29는 도 28의 29-2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링 서포트(1300)의 보강 플랜지(4312)는 그 내주면에(상세하게는, 끼워맞춤면(4313))에 형성된 복수개의 끼워맞춤 돌기(5315)를 가진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끼워맞춤 돌기(5315)가 끼워맞춤면(4313)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워맞춤 돌기(5315)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4개 이상일 수 있다. 끼워맞춤 돌기(5315)는 보강 플랜지(4312)의 끼워맞춤면(4313)으로부터 근소한 높이로 링 유지공(3311) 측으로 돌출한다. 끼워맞춤 돌기(5315)는, 보강 플랜지(4312)의 끼워맞춤면(4313)을 셰이빙(shaving) 가공에 의해 약간의 깊이로 절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링(3200)은, 링 유지공(3311)에 삽입되고 3개의 끼워맞춤 돌기(5315)의 표면과 끼워맞춤될 수 있다. 가이드 링(3200)이 링 유지공(3311)에 삽입되면, 끼워맞춤 돌기(5315)가 가이드 링(3200)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링 유지부(1310)는 보강 플랜지(4312)의 3개의 끼워맞춤 돌기(5315)에 의해 가이드 링(3200)을 3개소에서 유지한다. 즉, 링 유지부(1310)는 3개의 끼워맞춤 돌기(5315)를 통해 가이드 링(3200)과 접촉된다. 가이드 링(3200)의 외주면은 보강 플랜지(4312)의 끼워맞춤면(4313)과 면접촉되지 않고, 끼워맞춤 돌기(5315)와 면접촉 또는 점접촉된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3200)은 가이드 링(3200)의 외주면과 보강 플랜지(4312)의 내주면(끼워맞춤면(4313))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가지고 끼워맞춤 돌기(5315)와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틈새는, 끼워맞춤면(4313)으로부터 돌출한 끼워맞춤 돌기(5315)로 인해 형성되며,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 링(3200)을 3개소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하는 구조로 인해, 가이드 링(3200)의 치수와 링 유지공(3311)의 치수를 가이드 링(3200)과 링 유지공(3311)이 정확하게 끼워맞춤되도록 가공할 필요가 없다. 즉, 가이드 링(3200)을 3개소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하는 구조로 인해, 가이드 링(3200)과 링 유지공(3311) 간의 끼워맞춤 허용 공차를 확대시킬 수 있다.
도 30a 내지 도 30g는 도 28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 및 낚싯줄 가이드를 제조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0a를 참조하면, 금속 쉬트(200) 내에 도 28에 도시하는 링 유지공(33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관통공(210)을 형성한다. 금속 쉬트(200)는 순티타늄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공(210)의 형성은 펀칭 또는 드릴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0b를 참조하면, 도 30a에 도시하는 관통공(210)의 전체 둘레를 따라 보강 플랜지(4312)를 형성한다. 보강 플랜지(4312)의 형성은 버링(burring)에 의해, 예컨대 프레스 펀치를 사용하여 관통공(210)의 전체 가장자리 부분을 낚싯대의 팁을 향하도록(즉, 링 유지부에 수직하도록) 돌출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워맞춤면(4313)과 안내면(4314)을 갖고 끼워맞춤면(4313)에 의해 링 유지공(3311)을 형성하는 보강 플랜지(4312)가 링 유지공(33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도 30c를 참조하면, 보강 플랜지(4312)의 끼워맞춤면(4313)에 끼워맞춤돌기(5315)가 형성된다. 끼워맞춤돌기(5315)의 형성은 셰이빙(shav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셰이빙(shaving)에 의해 끼워맞춤면(4313)을 끼워맞춤돌기(5315)가 남도록 약간 절삭함으로써, 끼워맞춤돌기(53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0d를 참조하면, 금속 쉬트(200)에 링 유지공(3311)에 인접하게 제1 개구(2351)와 제2 개구(3352)를 형성한다. 제1 개구(2351)와 제2 개구(3352)의 형성은 펀칭 또는 드릴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0e를 참조하면, 금속 쉬트(200)를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하여,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하면서, 제1 굽힘부(1331) 및 제2 굽힘부(1332) 주변의 금속 쉬트(200)의 부분을 벤딩시킨다.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의 형성과 금속 쉬트(200)의 벤딩은,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이때,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공경화부가 금속 쉬트(200)에 생성된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되고 이들을 매개로 벤딩된 금속 쉬트(200)를 블랭킹 등의 프레스 가공하여, 금속 쉬트(200)로부터 도 30f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1300)를 빼낸다. 다음으로, 도 30g를 참조하면, 링 서포트(1300)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부착부(1100)가 수지 재료(예컨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 링 서포트(1300)와 부착부(1100)는, 링 지지부(132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1100)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부착부(1100)에 매립되는 링 지지부(1320)의 부분은, 제1 굽힘부(1331)의 하측 일부 및 제2 개구(3352)를 포함한다.
도 30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쉬트(200)에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가 형성된 후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의 형상을 빼냄으로써, 링 서포트(130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완성된 링 서포트(1300)의 외측 치수의 변화가 작다. 또한, 금속 쉬트(200)로부터 파단된 링 서포트(1300)의 파단면(링 서포트(1300)의 측면)이 각도를 갖지 않고, 링 서포트(1300)의 측면은 링 서포트(1300)의 전면 또는 후면과 예각을 형성한다. 상기 예각은 제1 굽힘각의 절반으로 된다. 만일, 금속 쉬트(200)로부터 링 서포트(130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공품을 빼낸 후 그러한 가공품에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형성하는 경우, 링 서포트(1300)의 파단면은 링 서포트(1300)의 전면 또는 후면과 대략 직각을 형성하여, 굽힘으로 인한 치수 안정성이 악화된다. 즉, 이러한 경우, 링 서포트(1300)의 측면이 낚싯대의 중심축 또는 부착부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링 서포트(1300)는 그 파단면(링 서포트의 측면)이 각도를 갖지 않으므로, 완성된 링 서포트(1300)는, 부착부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정밀하게 안착될 수 있고, 수지 누설과 같은 성형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도 30a 내지 도 30g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링 서포트의 형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링 서포트의 형상에 따라, 도 30a 내지 도 30f에 도시하는 예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31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6000)에 있어서, 부착부(1100)는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배열되고 낚싯대의 중심축(CA1)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세레이션(6140)(serration)을 가진다. 세레이션(6140)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형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부(1100)는 강도가 높은 수지 재료(예컨대,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세레이션(6140)의 삼각형 형상의 꼭지점 부분에서의 강도가 높아, 부착부(1100)를 간체의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붙일 때에 세레이션(6140)의 꼭지점 부분이 끼워붙이는 힘으로 인해 무너지지 않거나 문드러지지 않는다. 즉, 부착부(1100)의 강한 강도로 인해, 세레이션(6140)은 무너짐 없이 최초 형성된 높이를 유지한다. 세레이션(6140)의 꼭지점 부분이 무너지지 않으므로, 부착부(1100)는 강한 회전내력을 갖는다.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설명을 위해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하는 예가 참조된다. 도 32는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제7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2에 도시하는 제7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7000)는, 가이드 링이 관상 대의 외경보다 크고 링 서포트가 부착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도 32 및 도 35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와 부착부는 도 30a 내지 도 30g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과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낚싯줄 가이드(7000)는, 낚싯대의 간체(110)(상세하게는, 간체(110)를 구성하는 관상 대중 하나)에 부착되는 부착부(7100)와, 낚싯줄(130)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7200)과, 가이드 링(7200)을 유지 및 지지하고 부착부(7100)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링 서포트(7300)를 포함한다.
가이드 링(7200)은 간체(110)의 관상 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낚싯줄 가이드(7000)는 관상 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가이드 링이 사용되는 예에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 링(7200)의 형상 및 구성은 도 3 및 도 13에 도시하는 가이드 링의 형상 및 구성과 유사할 수 있다.
부착부(7100)는 환상체(7110)를 포함하며, 간체(110)의 관상 대 중 하나가 환상체(711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관상 대가 환상체(7110)를 관통한 상태에서, 부착부(7100)는 상기 관상 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관상 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관상 대는 전방 방향(TD)으로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환상체(7110)를 후방 방향(BD)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착부(7100)가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되어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7100)는, 링 서포트(7300)의 하측 일부가 부착부(7100) 내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7300)와 일체로 결합된다. 일 예로, 링 서포트(7300)의 하측 일부가 환상체(7110) 내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7300)를 인서트로서 사용하고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부착부(7100)와 링 서포트(730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부착부(7100)의 상기 수지 재료로서, 전술한 카본 장섬유 강화 수지 재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서, 링 서포트(7300)의 하측 일부와 부착부(7100) 간의 끼워맞춤 및 접착제 접합의 방식에 의해, 링 서포트(7300)의 하측 일부가 환상체(7110) 내에 매립되도록, 링 서포트(7300)와 부착부(7100)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링 서포트(7300)의 재료 및 가공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링 서포트의 재료 및 가공 방식과 유사하다. 링 서포트(7300)는, 그 안에 형성된 굽힘부에 의해 링 서포트(7300)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는 금속제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 서포트(7300)는, 관상 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가이드 링(7200)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링 서포트(7300)는 가이드 링(7200)으로부터 부착부(7100)를 향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즉, 링 서포트(7300)의 각 측단 엣지의 일부는 부착부(7100)를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 링 서포트(7300)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도 3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7300)는,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7361)와,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7362)와, 한 쌍의 경계부(73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7361)는 부착부(7100)로부터 상방 방향(UD)으로 연장하며, 서로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7362)는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7361)로부터 상방 방향(UD)으로 각각 연장한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7362)는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7361)의 경사 각도와 다른 경사 각도로 경사져 있다. 한 쌍의 경계부(7363)는 제1 측단 엣지(7361)의 각각과 제2 측단 엣지(7362)의 각각의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경계부(7363)는 제1 측단 엣지(7361)와 제2 측단 엣지(7362) 간의 경계로 된다. 경계부(7363)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측단 엣지(7361)의 경사 각도와 제2 측단 엣지(7362)의 경사 각도가 다르다.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7361)는, 부착부(7100)로부터 링 서포트(7300)의 상단을 향해 서로 점차 멀어진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7362)는 가이드 링(7200)의 부근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7362)는 링 서포트(7300)의 상단을 향해 서로 점차 가까워진다.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7362)는 0도 초과 30도 이하의 사잇각(IA3)으로 서로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7362)는 서로 평행하여, 사잇각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측단 엣지의 형상으로 인해, 링 서포트(7300)는, 가이드 링(7200)을 향해 넓어지다가 경계부(7363)를 지나 다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링 서포트(7300)의 폭은 상방 방향(UD)으로 점차 커지다가 점차 작아지며, 경계부(7363)에서 최대로 된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링 서포트(7300)는, 가이드 링(7200)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7310)와, 링 유지부(7310)를 통해 가이드 링(7200)을 지지하는 링 지지부(7320)를 포함한다. 링 서포트(7300)를 구성하는 상기 금속제의 박판에서, 링 유지부(7310)와 링 지지부(7320)는 일체로 형성되며, 링 유지부(7310)는 평평하다.
링 유지부(7310)는 가이드 링(7200)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7311)을 가진다. 링 유지공(7311)은 링 유지부(7310)에 링 유지부(73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링 유지부(7310)는 링 유지공(7311)에 의해 가이드 링(7200)의 전체 둘레를 따라 가이드 링(7200)을 유지하도록 대략 환상을 취한다. 링 유지공(7311)의 형상과 링 유지공(7311)과 가이드 링(7200) 간의 결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를 참조하여 설명한 형상 및 결합과 유사할 수 있다.
링 유지부(7310)의 상측 엣지는 반원 형상을 가진다. 링 유지부(7310)의 폭방향(WD)에서의 양 측단 엣지는 부착부(7100)를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유지부(7310)의 각 측단 엣지는, 전술한 제2 측단 엣지(7362)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 유지부(7310)의 양 측단 엣지는, 링 유지공(7311)의 중심에 대해 사잇각(IA3)으로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다. 다른 예로서, 링 유지부(7310)의 양 측단 엣지는 평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링 유지부(7310)의 각 측단 엣지의 일부가 전술한 제2 측단 엣지(7362)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링 유지부(7310)의 하단 엣지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취하며, 링 유지부(7310)는 그 하단 엣지에서 링 지지부(7320)와 일체로 연결된다.
도 33을 참조하면, 링 지지부(7320)는, 링 유지부(7310)의 V자형의 하단 엣지에 대응하는 V자형의 상단 엣지를 가진다. 링 지지부(7320)의 폭방향(WD)에서의 각 측단 엣지는, 전술한 제1 측단 엣지(736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링 지지부(7320)의 양 측단 엣지는 부착부(7100)를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 서로 좁아진다.
링 서포트(7300)는 링 지지부(7320) 내에 전술한 제1 굽힘부(1331)를 가진다. 제1 굽힘부(1331)는 폭방향(WD)에서 링 지지부(7320)의 중앙에 위치한다. 제1 굽힘부(1331)는 간체(110)의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LD)으로 링 지지부(7320)의 하단까지 연장한다. 링 지지부(7320)는, 제1 굽힘부(1331)를 포함하는 하측 일부에서, 부착부(7100) 내에 매립되어 있다.
링 지지부(7320)는 제1 굽힘부(1331)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전방 방향(TD))으로 전술한 제1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지지부(7320)는, 제1 굽힘부(1331)에 의해 구분되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우반부(7321)와 좌반부(7322)를 가진다. 우반부(7321)와 좌반부(7322)는 제1 굽힘부(1331)를 통해 일체로 되어 있으며, 전방 방향(TD)으로 전술한 제1 굽힘각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링 서포트(7300)는 링 유지부(7310)와 링 지지부(7320) 간의 경계로 되는 전술한 제2 굽힘부(1332)를 가진다. 링 유지부(7310)의 하단 엣지와 링 지지부(7320)의 상단 엣지가 제2 굽힘부(1332)를 형성한다. 링 유지부(7310)는 제2 굽힘부(1332)를 기준으로 하여 링 지지부(7320)에 대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방향 (전방 방향(TD))으로 전술한 제2 굽힘각으로 굽힘되어 있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7300)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한다. 제2 굽힘부(1332)와 링 서포트(7300)의 양 측단 엣지 간의 접속점이 제2 굽힘부의 양단점(P2)으로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측단 엣지(7361)와 제2 측단 엣지(7362) 간의 전술한 한 쌍의 경계부(7363)는,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에 각각 위치한다.
제2 굽힘부(1332)는 링 서포트(7300)의 하단을 향해 볼록하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제2 굽힘부(1332)는 하방 방향(LD)으로 볼록한 V자 형상을 가지며, 그 중심점(P1)에서 제1 굽힘부(1331)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링 서포트(7300)를 측방에서 볼 때, 제2 굽힘부(1332)는 전방 방향(TD)과 상방 방향(UD)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굽힘부(1332)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 간의 연결점(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으로부터 제1 굽힘부(1331)에 대해 둔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를 포함한다.
서로 만나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는 Y자 형상을 형성하여, 링 서포트(7300)에 Y자형 굽힘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링 서포트(7300)는, 링 유지부(7310), 링 지지부(7320)의 우반부(7321) 및 링 지지부(7320)의 좌반부(7322)가 서로를 향해 굽힘된 금속제의 박판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금속제의 박판에서, 링 유지부(7310), 링 지지부(7320)의 우반부(7321) 및 링 지지부(7320)의 좌반부(7322)는 Y자형 굽힘부를 만드는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이 제1 및 제2 굽힘부(1331, 1332)에 의해 서로를 향해 굽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 서포트(7300)에는 제1 굽힘부(1331)와 제2 굽힘부(1332)가 형성하는 Y자형 굽힘부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링 서포트(7300)에는 Y자형 굽힘부를 따라 전술한 Y자형의 가공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낚싯줄 가이드(7000)는, 전술한 제1 굽힘부와 제2 굽힘부가 형성하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향상된 굽힘강도, 향상된 회전방지강도 및 향상된 부착강도를 가진다.
줄엉킴의 원활한 해소를 위해, 특정 치수 범위로 링 서포트(7300)의 각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2 굽힘부(1332)의 직선상 굽힘부(1333, 1334) 간의 사잇각은 전술한 사잇각(IA1)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굽힘부(1332)의 중심점(P1)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링 유지공(7311)의 최하단점(P3)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줄엉킴의 원활한 해제에 기여한다. 또한, 링 서포트(7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7363)는,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에 각각 위치하거나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상측에 각각 위치한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서포트(7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7363)는, 양단점(P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굽힘각(BA1), 제2 굽힘각(BA2), 사잇각(IA1) 및 사잇각(IA3)이 전술한 각각의 범위들 내에서의 각도 값을 갖도록 링 서포트(7300)가 형성될 때, 링 서포트(7300)에서의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2 굽힘부(7332)의 중심점(P1), 제2 굽힘부(7332)의 양단점(P2), 링 유지공(7311)의 최하단점(P3) 및 링 서포트(7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7363) 간의 전술한 위치 관계에 의해, 링 서포트(7300)에서의 줄엉킴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34는 전술한 제7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링 서포트(7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7363)는,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P2)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링 유지부(7310)의 각 측단 엣지는 전술한 제1 측단 엣지(7361) 및 제2 측단 엣지(7362)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 35a 내지 도 35j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낚싯줄 가이드에서 줄엉킴의 발생과 해제의 예를 설명한다. 도 35a 내지 도 35j는 도 32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에 줄엉킴이 발생하고 줄엉킴이 해제되는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35a 내지 도 35j에 있어서, 화살표(F3)는 낚시구의 캐시팅 시에 낚싯줄에 걸리는 장력을 가리키고, 화살표(F4)는 낚싯줄 가이드에 가해지는 바람의 힘을 가리키고, 화살표(F5)는 낚싯줄을 릴 측으로 되돌리는 힘을 가리킨다.
도 35a를 참조하면, 낚시구의 캐스팅 시에, 릴로부터 방출된 낚싯줄(130)의 일부는 바람의 힘(F4) 또는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링 서포트(7300)를 앞질러 루프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5b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7200)을 통과하기 전의 루프부(131)가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낚싯줄의 일부(132)를 넘어갈 수 있다. 도 35c를 참조하면, 루프부(131)가 바람의 힘(F4)이나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링 서포트(7300)의 상단을 지나 링 서포트(7300)의 하단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35d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7200)으로 진입하기 전의 낚싯줄의 일부(133)에 바람의 방향의 변화나 낚싯대의 움직임에 의해 낚싯줄을 릴 측으로 되돌리는 힘(F5)이 작용하여, 루프부(131)가 링 서포트(7300)의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링 서포트(7300)를 감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링 서포트(7300)의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7361)로 인해 링 서포트(7300)의 폭이 링 서포트(7300)의 하단을 향해 작아지므로, 루프부(131)가 부착부(7100)의 부근까지 이동한다. 이에 따라, 링 서포트(7300)의 측방에 줄엉킴부(134)가 형성되면서 낚싯줄은 로크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35e를 참조하면,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장력(F3)에 의해, 낚싯줄의 일부(135, 136, 137, 138)가 링 서포트(7300)로 조여들어갈 수 있다. 도 35f를 참조하면, 장력(F3)이 계속 작용하는 상황에서, 낚싯줄의 일부(136)는 장력(F3)에 의해 낚싯대의 팁 측으로 크게 이동하고 낚싯줄의 일부(135)가 가장 조여들어가므로, 낚싯줄의 일부(135)가 지점(支点)으로 되어 낚싯줄의 일부(137)와 낚시줄의 일부(138)는 장력(F3)에 의해 가이드 링(7200)을 향해 이동될수 있다. 도 35g를 참조하면, 장력(F3)이 계속 작용하는 상황에서, 링 서포트(7300)에 엉킨 낚싯줄의 일부(137)가 링 서포트(7300)의 측단 엣지의 경계부(7363)을 타고 넘어 링 서포트(7300)의 상단을 향해 이동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낚싯줄의 일부(138)가 링 서포트(7300)의 측단 엣지의 경계부(7363)을 타고 넘어 링 서포트(7300)의 상단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5h를 참조하면, 장력(F3)이 계속 작용하는 상황에서, 루프부(131)와 줄엉킴부(134)가 링 서포트(7300)의 상단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5i와 도 35j를 참조하면, 장력(F3)이 계속 작용하는 상황에서, 루프부(131)는 링 서포트(7300)의 상단을 향해 슬라이딩하고, 루프부(131)가 링 서포트(7300)의 상단을 지나면 줄엉킴부(134)가 해제될 수 있다.
링 서포트(7300)의 Y자형 굽힘부로 인해, 링 유지부(7310)가 링 지지부(7320)에 대해 굽힘되어 있고 링 지지부(7320)는 낚싯대의 팁을 향해 굽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링(7200)의 하측 벽면은, Y자형 굽힘부가 형성하는 오목한 부분(1325)의 부근에 위치한다. 즉, 가이드 링(7200)의 최하단점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루프부(131)는 Y자형 굽힘부로 인해 오목한 부분(1325)에 들어갈 수 없고 오목한 부분(132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루프부(131)는 가이드 링(7200)의 하측 벽면에 걸리는 것 없이 링 서포트(7300)의 상단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링 서포트(7300)의 측단 엣지의 한 쌍의 경계부(7363)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에 위치하거나 양단점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도 35f 및 도 35g에 도시하는 낚싯줄의 일부(137) 및 낚싯줄의 일부(138)가 경계부(7363)를 원활하게 타고 넘을 수 있고 루프부(131)가 원활하게 링 서포트(7300)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5k는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는 비교예에 따른 낚싯줄 가이드를 도시한다. 도 35k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에서는, 측단 엣지의 경계부(7363)가 제2 굽힘부(1332)의 양단점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낚싯줄 일부(135)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움직이는 낚싯줄 일부(137)는 경계부(7363)을 타고 넘지 못하고, 장력(F3)이 더욱 가해지면, 낚싯줄의 일부(137)와 낚싯줄의 일부(138)가 조여져, 루프부(131)는 링 서포트의 상단을 향해 이동될 수 없고 낚싯줄의 줄엉킴이 해제될 수 없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실시예들의 낚싯줄 가이드에 채용될 수 있는 링 서포트의 굽힘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36a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1300)에서는, 제1 굽힘부(1331A)는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지며, 링 지지부(1320)의 전면과 후면 상에서 폭이 넓은 만곡된 면으로서 나타난다. 제1 굽힘부(1331A)와 연결되는 제2 굽힘부(1332A)는, 그 중앙에 곡선상 굽힘부(1335A)와 곡선상 굽힘부(1335A)의 양 끝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1333A, 1334A)를 포함한다. 곡선상 굽힘부(1335A)가 제1 굽힘부(1331A)와 연결된다. 제1 굽힘부(1331A)와 제2 굽힘부(1332A)는 대략 Y자 형상을 형성한다.
도 36b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1300)에 있어서, 제2 굽힘부(1332B)는 하방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굽힘부(1332B)는 대략 그 전장에 걸쳐 연장하는 곡선상 굽힘부(1335B)를 포함한다. 곡선상 굽힘부(1335B)는 제1 굽힘부(1331B)와 연결된다. 제1 굽힘부(1331B)는 링 지지부(1320)의 거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링 지지부(1320)의 전면과 후면 상에서 폭이 넓은 만곡된 면으로서 나타난다. 곡선상 굽힘부(1335B)의 곡선 형상에서의 링 지지부(1320)의 폭방향에서 마주하는 두개의 점에 각각 접하는 두개의 접선을 가정할 때, 이러한 두개의 접선은 도 11에 도시하는 사잇각(IA1)을 가질 수 있다. 제2 굽힘부(1332B)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부분은 전술한 직선상 굽힘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굽힘부(1331B)와 제2 굽힘부(1332B)는 대략 Y자 형상을 형성한다.
도 36c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1300)에 있어서, 제1 굽힘부(1331C)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1331C1, 1331C2)를 포함한다. 제2 굽힘부(1332C)는 중앙에 위치하는 직선상 굽힘부(1336C)와 직선상 굽힘부(1336C)의 각 끝으로부터 비스듬이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1333C, 1334C)를 포함한다. 제1 굽힘부(1331C)의 직선상 굽힘부(1331C1, 1331C2)에 제2 굽힘부(1332C)의 직선상 굽힘부(1336C)의 각 끝이 연결된다. 제2 굽힘부(1332C)의 직선상 굽힘부(1333C, 1334C)는 도 11에 도시하는 사잇각(IA1)을 가질 수 있다. 각 직선상 굽힘부(1333C, 1334C)는, 제1 굽힘부(1331C)와 제2 굽힘부(1332C) 간의 연결점(직선상 굽힘부(1331C1, 1331C2)와 직선상 굽힘부(1336C) 간의 연결점)으로부터 제1 굽힘부(1331C)에 대해 둔각으로 연장한다. 제1 굽힘부(1331C)의 직선상 굽힘부(1331C1, 1331C2) 사이에서 링 지지부(1320)의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링 지지부(1320)의 전면과 후면은 3개의 표면 영역으로 구분된다. 제1 굽힘부(1331C)와 제2 굽힘부(1332C)는 2개소에서 만나, 제1 굽힘부(1331C)와 제2 굽힘부(1332C)는 대략 Y자 형상을 형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링 서포트 및 도 36a 내지 도 36c에 도시하는 링 서포트는 그 안에 Y자형의 또는 대략 Y자형의 굽힘부를 가지므로, 굽힘부를 그 안에 갖지 않는 평평한 박판으로 이루어진 링 서포트에 비해 향상된 강도를 가진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부착부는 관상 대가 관통하는 환상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낚싯줄 가이드의 부착부는, 관상 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부착발 형상의 구조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착발은 감기실에 의해 관상 대의 외주면에 고착될 수 있고, 접착제가 감기실에 도포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링 서포트는 제1 굽힘부와 이에 연결되는 제2 굽힘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는 제1 굽힘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링 지지부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으로 낚싯대의 팁을 향해 굽힘될 수 있고, 링 유지부는 링 지지부로부터 굽힘없이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링 서포트는 도 17 및 도 23에 도시하는 제1 개구(2351)과 제2 개구(3352)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개구(2351)만이 링 서포트에 형성될 수 있거나, 제2 개구(3352)만이 링 서포트(13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낚싯대, 101: 낚싯대의 팁, 102: 낚싯대의 버트, 110: 간체, 113: 관상대, 116: 제2 얼라인먼트 표지, 130: 낚싯줄, 1000: 낚싯줄 가이드, 2000: 낚싯줄 가이드, 3000: 낚싯줄 가이드, 4000: 낚싯줄 가이드, 5000: 낚싯줄 가이드, 6000: 낚싯줄 가이드, 7000: 낚싯줄 가이드, 1100: 부착부, 7100: 부착부, 1110: 환상체, 7110: 환상체, 1115: 후단면, 3120: 상방 리브, 3121: 후단면, 3123: 제1 얼라인먼트 표지, 3130: 측방 리브, 3131: 후단면, 1200: 가이드 링, 3200: 가이드 링, 7200: 가이드 링, 1300: 링 서포트, 7300: 링 서포트, 1310: 링 유지부, 7310: 링 유지부, 1311: 링 유지공, 3311: 링 유지공, 7311: 링 유지공, 4312: 보강 플랜지, 4313: 끼워맞춤면, 4314: 안내면, 5315: 끼워맞춤 돌기, 1320: 링 지지부, 7320: 링 지지부, 1331: 제1 굽힘부, 1332: 제2 굽힘부, 1333: 직선상 굽힘부, 1333C: 직선상 굽힘부, 1334: 직선상 굽힘부, 1334C: 직선상 굽힘부, 1336C: 직선상 굽힘부, 1335A: 곡선상 굽힘부, 1335B: 곡선상 굽힘부, 1341: 가공경화부, 1342: 가공경화부, 2351: 제1 개구, 3352: 제2 개구, 7361: 제1 측단 엣지, 7362: 제2 측단 엣지, 7363: 경계부, BA1: 제1 굽힘각, BA2: 제2 굽힘각, CA1: 중심축, IA1: 사잇각, IA2: 사잇각, P1: 제2 굽힘부의 중심점, P2: 제2 굽힘부의 양단점, P3: 링 유지공의 최하단점, BT: 링지지부의 전단과 후단 간의 거리, TD: 전방 방향, BD: 후방 방향, UD: 상방 방향, LD: 하방 방향

Claims (21)

  1. 낚싯대의 관상 대에 부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시줄 가이드이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상 대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는 환상체를 포함하는 부착부와,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링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링 유지공을 가지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의 환상체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상기 부착부와 결합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 지지부는, 상기 링 지지부 내에서 상기 관상 대를 향하는 하방 방향으로 상기 링 지지부의 하단까지 연장하는 제1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굽힘각(BA1)으로 굽힘되어 있고,
    상기 링 지지부가 상기 환상체에 매립되는 부분은 상기 제1 굽힘부의 하측 일부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굽힘각(BA1)은 120도 내지 170도인,
    낚싯줄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의 중심축을 따라서 상기 링 지지부의 전단과 상기 링 지지부의 후단 간의 거리(BT)는 0.5mm 내지 3mm인,
    낚싯줄 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유지부는, 상기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지지부 간의 경계로 되고 상기 제1 굽힘부에 연결되는 제2 굽힘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링 지지부에 대해 상기 낚싯대의 팁을 향해 제2 굽힘각(BA2)으로 굽힘되고,
    상기 제2 굽힘부는 상기 링 서포트의 일 측단으로부터 타 측단까지 연장하고 상기 링 지지부의 하단을 향해 볼록하며,
    상기 제2 굽힘부의 중심점은 상기 제2 굽힘부의 양단점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굽힘각(BA2)은 15도 내지 20도인,
    낚싯줄 가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굽힘부는 상기 제1 굽힘부와 상기 제2 굽힘부 간의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제1 굽힘부에 대해 둔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직선상 굽힘부 간의 사잇각(IA1)은 110도 내지 120도인,
    낚싯줄 가이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굽힘부는 상기 제1 굽힘부와 연결되는 곡선상 굽힘부를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굽힘부와 상기 제2 굽힘부는 Y자형을 형성하는,
    낚싯줄 가이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제1 굽힘부와 상기 제2 굽힘부를 따라 상기 링 서포트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지지부보다 높은 항복점을 갖는 가공경화부를 더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 유지공의 최하단점은 상기 제2 굽힘부의 양단점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링 지지부의 양 측단 엣지는 0도 초과 30도 이하의 사잇각(IA2)으로 서로를 향해 기울어진,
    낚싯줄 가이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부착부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멀어지게 경사진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와, 상기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로부터 상기 상방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의 경사 각도와 다른 각도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와, 상기 한 쌍의 제1 측단 엣지의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의 각각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경계부는 상기 제2 굽힘부의 상기 양단점에 또는 상기 제2 굽힘부의 상기 양단점보다 상측에 각각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측단 엣지는 0도 초과 30도 이하의 사잇각(IA3)으로 서로를 향해 기울어진,
    낚싯줄 가이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부착부의 외측에서 상기 링 지지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굽힘부에 대해 대칭으로 상기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1 개구를 갖는,
    낚싯줄 가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부착부의 내측에서 상기 링 지지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굽힘부에 대해 대칭으로 상기 링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2 개구를 갖고,
    상기 제2 개구는 경화된 상기 부착부의 상기 수지 재료로 채워진,
    낚싯줄 가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서포트는, 상기 링 유지부로부터 돌출하고 내주면에서 상기 링 유지공을 한정하는 보강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은, 상기 가이드 링이 끼워맞춤되는 환상의 끼워맞춤면과, 상기 끼워맞춤면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끼워맞춤면에 대해 만곡된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안내면으로부터 상기 끼워맞춤면으로 끼워맞춤되는,
    낚싯줄 가이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는 상기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복수개의 끼워맞춤 돌기를 갖고,
    상기 가이드 링은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과 상기 보강 플랜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가지고 상기 끼워맞춤 돌기에 끼워맞춤된,
    낚싯줄 가이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환상체의 상단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방 리브와, 상기 환상체의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방 리브 및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는 상기 낚싯대의 버트를 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상기 환상체의 후단면까지 연장하고,
    상기 환상체의 후단면이 상기 상방 리브의 후단면과 상기 한 쌍의 측방 리브의 후단면을 포함하는,
    낚싯줄 가이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리브는 상기 상방 리브의 후단면으로부터 상기 낚싯대의 팁을 향하는 전방 방향으로 확대되는 폭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
  20. 복수개의 관상 대와,
    상기 관상 대 중 하나에 부착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낚싯줄 가이드를 포함하는,
    낚싯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가이드의 상기 부착부는 제1 얼라인먼트 표지를 갖고 상기 관상 대 중 하나는 상기 제1 얼라인먼트 표지와 정렬되는 제2 얼라인먼트 표지를 갖는,
    낚싯대.
KR1020180093077A 2018-01-17 2018-08-09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98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31361A JP6579414B1 (ja) 2018-01-17 2018-12-25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EP18901117.4A EP3741211B1 (en) 2018-01-17 2018-12-25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equipped with same
CN201880086786.XA CN112004412B (zh) 2018-01-17 2018-12-25 钓鱼线引导器和配备钓鱼线引导器的钓鱼竿
PCT/JP2018/047621 WO2019142622A1 (ja) 2018-01-17 2018-12-25 釣り糸ガイド及びこれを備える釣り竿
TW108100313A TWI685298B (zh) 2018-01-17 2019-01-04 釣線導引件及具備其之釣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5465 2018-01-17
JP2018005465 2018-01-17
KR20180024643 2018-02-28
KR1020180024643 2018-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052B1 true KR101986052B1 (ko) 2019-06-04

Family

ID=6681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77A KR101986052B1 (ko) 2018-01-17 2018-08-09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741211B1 (ko)
JP (1) JP6579414B1 (ko)
KR (1) KR101986052B1 (ko)
CN (1) CN112004412B (ko)
TW (1) TWI685298B (ko)
WO (1) WO20191426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745A (ko) 2021-11-08 2023-05-16 정점석 낚시줄 가이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46Y1 (ko) * 1988-02-09 1990-06-05 반도스포츠 주식회사 낚시대용 가이드
KR910009054Y1 (ko) * 1988-06-20 1991-11-25 후지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낚시용 가이드
KR960016034U (ko) * 1994-11-25 1996-06-17 릴낚시대용 가이드
KR970003856Y1 (ko) * 1994-11-19 1997-04-24 신수학 농산물 건조판
JP2004024079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4275457B2 (ja) 2003-05-16 2009-06-1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ガイド
KR101524407B1 (ko) * 2014-05-23 2015-05-2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696158B1 (ko) *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635Y2 (ja) 1993-07-05 2002-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紙カップ製の除湿器
JPH09172914A (ja) * 1995-12-26 1997-07-08 Ryobi Ltd 釣竿の釣糸ガイド
KR200141740Y1 (ko) * 1997-02-18 1999-03-20 정춘재 낚시용 가이드
JP2004081080A (ja) * 2002-08-26 2004-03-18 Daiwa Seiko Inc 釣竿
JP2004089055A (ja) * 2002-08-30 2004-03-25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および釣竿
CN102834000A (zh) * 2010-02-18 2012-12-19 株式会社岛野 钓竿用钓线引导件(包含顶部钓线引导件)以及钓竿
JP5478350B2 (ja) * 2010-04-19 2014-04-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り糸ガイド
JP5460441B2 (ja) * 2010-04-19 2014-04-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6134B2 (ja) * 2010-10-28 2014-04-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とその製造方法
KR101466539B1 (ko) * 2013-09-10 2014-11-27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JP6386710B2 (ja) * 2013-09-30 2018-09-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
JP6433310B2 (ja) * 2015-01-23 2018-12-05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ガイ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46Y1 (ko) * 1988-02-09 1990-06-05 반도스포츠 주식회사 낚시대용 가이드
KR910009054Y1 (ko) * 1988-06-20 1991-11-25 후지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낚시용 가이드
KR970003856Y1 (ko) * 1994-11-19 1997-04-24 신수학 농산물 건조판
KR960016034U (ko) * 1994-11-25 1996-06-17 릴낚시대용 가이드
JP2004024079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釣糸ガイド及び釣竿
JP4275457B2 (ja) 2003-05-16 2009-06-10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ガイド
KR101524407B1 (ko) * 2014-05-23 2015-05-29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및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1696158B1 (ko) * 2016-04-01 2017-01-13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및 낚싯줄 가이드용 블랭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평)7-7726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745A (ko) 2021-11-08 2023-05-16 정점석 낚시줄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2004A (zh) 2019-08-16
CN112004412A (zh) 2020-11-27
EP3741211B1 (en) 2022-04-13
CN112004412B (zh) 2022-06-21
EP3741211A4 (en) 2020-12-23
WO2019142622A1 (ja) 2019-07-25
TWI685298B (zh) 2020-02-21
JP6579414B1 (ja) 2019-09-25
EP3741211A1 (en) 2020-11-25
JPWO2019142622A1 (ja)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1414B2 (en) Fishing line guide,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the same
WO2015178174A1 (ja) 釣り糸ガイド、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及び釣り糸ガイドを備える釣り竿
JP7017817B2 (ja) 釣り糸ガイド及び釣り竿
KR101986052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US20200329687A1 (en) Guide frame of fishing line guide,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JP5647847B2 (ja) 釣糸ガイド
KR101974311B1 (ko)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낚싯대
JP5478350B2 (ja) 釣り糸ガイド
KR20190087941A (ko)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 방법,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 및 낚싯줄 가이드
KR102172948B1 (ko) 낚싯줄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낚싯대
JPH08107737A (ja) 中通し竿
JP6826934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釣糸ガイドのフレーム
WO2019142623A1 (ja) 釣り糸ガイドの製造方法、釣り糸ガイドの製造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装置及び釣り糸ガイド
KR100507588B1 (ko) 낚싯대와 그 제조 방법
JP5478351B2 (ja) 釣り糸ガイド
JP3003300U (ja) 中通し竿
JPH09163899A (ja) 釣竿の釣糸ガイ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