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955B1 -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955B1
KR101961955B1 KR1020120145667A KR20120145667A KR101961955B1 KR 101961955 B1 KR101961955 B1 KR 101961955B1 KR 1020120145667 A KR1020120145667 A KR 1020120145667A KR 20120145667 A KR20120145667 A KR 20120145667A KR 101961955 B1 KR101961955 B1 KR 10196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plate
printing
unit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461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모토
타카아키 쿠니타케
Original Assignee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6Details
    • B41F9/18Auxiliary devices for exchanging form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24Cylinder-tripping devices; Cylinder-impression adjus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4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 B41F33/08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operation of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4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 B41F33/14Automatic control of tripping devices by feelers, photoelectric devices, pneumatic devices, or other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resse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동(版胴) 교환 시 인쇄장치의 정지시간을 짧게 하여 효율을 좋게 하는 것이다. 판동(31)은, 키홈(31b)과 레지스터 마크(31c)를 갖는다. 운반대차는, 판동(31)을 인쇄유닛에 대해 반출입(搬出入)한다. 인쇄유닛은, 양 사이드 프레임과 운반대차와의 사이에서 판동(31)의 인도를 행하는 판동인도기구(4)와, 판동(31)의 키홈(31b) 위치를 검출하는 키홈 위치검출기구(60)를 갖는다. 운반대차는, 레지스터 마크(31c)가 미리 정해진 위치가 되도록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키는 판동 회전부(50)를 구비한다. 제어반(制御盤)은, 키홈(31b)과 레지스터 마크(31c)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를 계산한다.

Description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PRINTER AND METHOD FOR REPLACING PLATE CYLINDER THEREOF}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동(版胴)을 갖는 인쇄유닛을 구비하고, 판동의 외주면(外周面)에 부착되는 잉크를 피(被)인쇄재에 전사(轉寫)하여 인쇄하는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적인 인쇄장치는, 인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동의 피인쇄재에 대한 위치맞춤(이하, 가늠잡기)을 한 상태에서 판동 외주면에 부착되는 잉크를 회전동작에 의해 피인쇄재에 전사하여 인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판동에는,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의 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판동의 교환을 행할 때, 상기 키를 상기 키홈에 삽입시켜 상기 판동과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과의 위치결정을 행하고, 상기 판동을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의 인쇄장치는, 인쇄 전의 준비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인쇄장치는, 상기 인쇄유닛에 대해 상기 판동을 반출입(搬出入)하는 파렛트(pallet)가 설치되고, 상기 인쇄유닛에는, 유닛 고정측과 상기 파렛트와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는 판동 인도기구와, 상기 키홈의 위치를 검출하는 키홈 위치검출기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판동 인도기구는, 상기 판동을 축심(軸心)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승재(乘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동을 상기 파렛트로부터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으로 인도하는 도중 단계에서, 검출한 키홈 위치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키홈이 상기 키에 대응하도록 상기 판동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렛트에 승재하여 반입한 판동의 인쇄유닛으로의 장착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판동을 장착한 후, 판동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쇄무늬의 기준위치로 되는 마크의 키홈에 대한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예를 들어, 작업자에 의해 판동의 가늠잡기를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있어 번잡하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특허문헌 2의 인쇄장치에서는, 상기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는 마크 위치검출기구가 설치되고,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판동을 장착한 후, 상기 마크 위치검출기구에 의해 키홈 위치에 대한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후,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검출된 마크의 위치 및 판동 지름 등의 치수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유닛의 가늠잡기를 위한 회전각도를 계산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성8-108517호 공보(단락0015∼0018란, 도 1)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3-266645호 공보(단락0026∼0029란, 도 3)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인쇄유닛에 판동을 장착한 후에,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는 작업과, 인쇄유닛의 가늠잡기를 행하기 위한 회전각도를 계산하는 작업과,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의 분만 회전시키는 작업을 차례로 행하므로, 인쇄유닛에 판동을 장착하여도 바로 인쇄작업을 행할 수 없고, 인쇄장치를 정지시키는 시간이 길어져 효율이 나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판동 교환 시 인쇄장치의 정지시간이 짧은 효율 좋은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동을 반출입(搬出入)하는 운반대차에 있어서, 판동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마크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 발명에서는, 키홈을 갖는 판동(版胴)이 상기 키홈에 유닛 고정측의 키를 삽입시킴으로써 위치결정되어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인쇄유닛과, 이 인쇄유닛에 대해 상기 판동을 반출입하는 운반대차와, 상기 인쇄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판동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판동을 축심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승재(乘載)하고, 유닛 고정측과 상기 운반대차와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는 판동 인도수단과, 상기 판동에서의 키홈 위치를 검출하는 키홈 위치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판동에는,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마크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되도록 상기 판동을 승재하는 마크 위치결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마크 위치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와, 상기 키홈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키홈 위치 및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마크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판동에서의 상기 키홈에 대한 상기 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가지고, 상기 판동 인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키홈이 상기 키에 대응하도록 상기 판동을 회전시켜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복수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각 인쇄유닛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판동에 형성된 마크는, 기준 마크이며, 상기 기억부는,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로의 전사위치간 거리(L) 및 상기 판동의 반지름(r)을 기억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과 하류측 판동에 있어서, 상기 키홈과 상기 기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한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에 나타내는 식(1)
(1) θ3=2(n+1)π+θ12-L/r(n은 정수(整數))
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동 인도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하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하단(下端)이 지지되고, 경동(傾動) 동작에 의해 상단(上端)이 상기 승재한 판동의 기준 마크에 대응하는 외주면과 접촉하는 바(ba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각 인쇄유닛 하부에 대해 상기 판동을 반출입하고, 상기 판동 인도수단은, 상기 판동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승강(昇降)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고, 이 승강부의 하강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와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는 한편, 상기 승강부의 상승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과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운반대차를 상기 각 인쇄유닛에 반입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승 시에 상기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로부터 받아 상승시키는 한편, 하강 시에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으로부터 받은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에 인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홈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일방측(一方側)에서 상기 키홈을 검출하는 비접촉 센서와, 상기 판동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마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키홈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판동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에서 회전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기준 마크에 대한 상기 키홈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복수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각 인쇄유닛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판동에 형성된 마크는,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정규의 기준위치에 대해, 상기 병렬로 배치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으로부터 하류측 판동으로 감에 따라 소정의 각도씩 증가 또는 감소시킨 위치에 표시된 가(假)기준 마크이며, 상기 기억부는,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로의 전사위치간 거리(L) 및 상기 판동의 반지름(r)을 기억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과 하류측 판동에 있어서, 상기 키홈과 상기 가기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한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에 나타내는 식(1)
(1) θ3=2(n+1)π+θ12-L/r+θα(n은 정수)
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동 인도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서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단이 지지되고, 경동 동작에 의해 상단이 상기 승재한 판동의 가기준 마크에 대응하는 외주면과 접촉하는 바(ba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에서는, 제 7 또는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각 인쇄유닛 하부에 대해 상기 판동을 반출입하고, 상기 판동 인도수단은, 상기 판동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며, 이 승강부의 하강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와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는 한편, 상기 승강부의 상승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과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에서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운반대차를 상기 각 인쇄유닛에 반입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승 시에 상기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로부터 받아 상승시키는 한편, 하강 시에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으로부터 받은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에 인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발명에서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홈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일방측으로부터 상기 키홈을 검출하는 비접촉 센서와, 상기 판동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기준 마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키홈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판동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에서 회전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가기준 마크에 대한 상기 키홈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발명에서는, 제 6 또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인쇄유닛의 상하방향 중간이며, 또한 상기 인쇄유닛의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는, 진출상태에서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양 단부(端部)에 결합하여 이 판동을 지지하는 한편, 후퇴상태에서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양 단부로부터 떨어져 이 판동을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으로부터 분리하는 한 쌍의 지지축이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양 단부측에 진퇴 가능하게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지지축을 둘러싸는 통형상 커버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후퇴한 때, 상기 통형상 커버의 선단에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가 접촉하고 이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와의 결합이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4 발명에서는, 제 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커버는,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5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인쇄유닛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측방으로부터 진입한 운반대차를 유닛 고정측과의 연계동작에 의해, 상기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결정하는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과, 운반대차 진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운반대차가 상기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 진입한 때에 이 운반대차 상의 판동이 상기 인쇄유닛에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판동의 단부를 접촉시켜 길이가 다른 각종 판동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판동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6 발명에서는, 제 1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이 운반대차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 상부에 운반대차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판동을 승재하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판동 위치결정수단에 의한 판동 위치결정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운반대차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 대응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7 발명에서는, 제 15 또는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동 위치결정수단은, 운반대차의 진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승재하는 각종 판동의 단부(端部)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표시된 표시부재와, 이 표시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형성되어, 상기 판동을 승재할 때에 이 판동의 단부를 접촉시키는 위치결정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8 발명에서는, 제 1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바이어스(bias) 된 상태에서 일단(一端)이 상기 슬라이더에 축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9 발명에서는, 제 1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과 유닛 고정측과의 연계동작은, 결합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0 발명에서는,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동작은, 상기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 및 유닛 고정측 한쪽에 장착되어, 훅(hook)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여 바이어스 된 훅과, 상기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 및 유닛 고정측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상기 운반대차의 상기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의 진입동작에 의해 상기 훅을 누르고, 이 훅이 상기 훅 바이어스 부재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고 회전하여 결합하는 피결합 부재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1 발명에서는,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마크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되도록 판동을 운반대차에 승재하고, 이어서, 인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동을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운반대차를 상기 인쇄유닛에 반입하고, 그 후, 판동 인도수단에 의해 상기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로부터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인도하는 도중의 단계에서, 상기 판동의 키홈 위치를 검출하고, 또한,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판동의 치수 데이터 및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마크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판동의 키홈 위치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를 계산하고, 그 후, 상기 판동 인도수단에 의해 상기 키홈이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의 키에 대응하도록 상기 판동을 회전시키며, 또한, 상기 키홈에 상기 키를 삽입시켜 상기 판동의 위치결정을 하고 상기 판동을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2 발명에서는, 제 2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동에 형성된 마크는, 기준 마크이며, 이 기준 마크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되도록 판동을 운반대차에 승재하여 복수의 인쇄유닛마다 상기 운반대차를 대기시키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로의 전사위치간 거리(L), 상기 판동의 반지름(r), 및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기준 마크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 및 하류측 판동에서의 키홈 위치와 기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한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의 식(1)
(1) θ3=2(n+1)π+θ12-L/r(n은 정수)
로 계산하고, 상기 판동을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한 후,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3 발명에서는, 제 2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동에 형성된 마크는,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정규의 기준위치에 대해, 상기 병렬로 배치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으로부터 하류측 판동으로 감에 따라 소정의 각도씩 증가 또는 감소시킨 위치에 형성된 가(假)기준 마크며, 이 가기준 마크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되도록 판동을 운반대차에 승재하여 복수의 인쇄유닛마다 상기 운반대차를 대기시키고,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로의 전사위치간 거리(L), 상기 판동의 반지름(r),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가기준 마크 위치 데이터, 및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해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정규의 기준위치로 보정하는 기준위치 보정각도(θα)를 기초로,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 및 하류측 판동에서의 키홈 위치와 가기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한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의 식(1)
(1) θ3=2(n+1)π+θ12-L/r+θα(n은 정수)
로 계산하고, 상기 판동을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한 후,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및 제 21 발명에서는, 키홈에 대한 마크의 위치를 알기 위해 필요한 마크의 위치 데이터를 판동이 운반대차에 승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전에 얻을 수 있으므로, 판동 교환 시 인쇄장치의 정지시간이 짧아지고, 작업효율이 좋아진다.
제 2, 제 7, 제 22 및 제 23 발명에서는, 판동을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장착하기 전에 키홈의 위치를 검출하고, 키홈의 위치 데이터와 기준 마크 또는 가기준 마크의 위치 데이터로부터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행하기 위한 회전각도를 알 수 있으므로, 판동을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장착한 후, 바로 각 판동의 가늠잡기가 자동으로 행해지도록 된다. 따라서, 판동 교환 시 인쇄장치의 정지시간이 짧아지고, 작업효율이 더욱 좋아진다.
제 3 및 제 8 발명에서는, 마크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기준 마크 또는 가기준 마크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할 때에, 바(bar) 상단이 상기 판동의 기준 마크 또는 가기준 마크의 미리 정해진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로 되므로, 기준 마크 또는 가기준 마크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정하기 쉽다. 또, 간단한 구조로 판동에서의 기준 마크 또는 가기준 마크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를 할 수 있으므로, 저 코스트의 운반대차로 할 수 있다.
제 4 및 제 9 발명에서는, 인쇄유닛에 판동을 반입한 상태의 운반대차와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장착된 상태의 판동의 상하로 위치하도록 되므로, 판동의 축심방향과 교차하는 각 인쇄유닛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인쇄유닛 사이를 좁게 할 수 있고, 콤펙트한 레이아웃의 인쇄장치로 할 수 있다.
제 5 및 제 10 발명에서는, 승강부가 상승함으로써, 운반대차로부터 승강부로의 판동의 인도와 판동의 각 인쇄유닛의 장착위치까지의 이동을 한번에 행할 수 있는 한편, 승강부가 하강함으로써, 판동의 각 인쇄유닛의 장착위치에서 운반대차까지의 이동과 상기 판동의 승강부로부터 운반대차로의 인도를 한번에 행할 수 있으므로, 판동의 교환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승강부는, 운반대차 상에 위치결정된 판동을 그 자세로 상승 시에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므로, 운반대차로부터 승강부에 판동이 인도되는 때에 운반대차 상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한 판동의 기준 마크 또는 가기준 마크가 어긋나지 않는다.
제 6 및 제 11 발명에서는, 키홈 검출 시에 센서가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판동이 판동 인도부에서 축심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판동 인도부에 있어서 판동의 위치 어긋남을 기인으로 한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으로의 장착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센서가 접촉식으로 키홈에 접촉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되지 않고, 인쇄유닛의 구조를 심플하게 할 수 있다.
제 12 발명에서는, 종류가 다른 판동의 키홈을 각각 검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접촉 센서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승강부의 승강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각 판동의 키홈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각 인쇄유닛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일없이, 승강부의 승강 동작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크기의 판동의 키홈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 13 발명에서는, 각 지지축이 후퇴하여 판동을 각 인쇄유닛으로부터 분리할 때, 한쪽의 지지축이 판동으로부터 빠지고 다른 쪽의 지지축이 판동에 물려 빠지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판동이 다른 쪽 지지축으로 당겨지고 축심방향 단부(端部)가 통형상 커버의 선단에 접촉하여, 판동은 그 이후 움직이지 않고, 지지축만이 후퇴하므로, 간이하게 판동을 인쇄유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 14 발명에서는, 통형상 커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에 대한 통형상 커버의 선단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판동을 교환한 때에 판동의 축심방향 길이가 변하여도, 이에 따라 통형상 커버의 돌출단을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에 접근시킬 수 있다.
제 15 발명에서는, 인쇄유닛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운반대차를 진퇴시키므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 송급(送給)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판동 위치결정수단 및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인쇄유닛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운반대차를 진입시키는 것만으로 판동이 인쇄유닛에 장착 가능한 위치로 되므로, 작업자는 운반대차를 인쇄유닛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 진입시킨 후에 인쇄유닛의 피인쇄재 송급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판동 장착위치에 대한 판동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판동의 교환작업이 간단하다.
제 16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본체 프레임에 대해 운반대차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운반대차를 진입시킨 상태에서 판동이 인쇄유닛에 장착 가능한 위치가 되는 한편, 슬라이드 프레임을 본체 프레임에 대해 운반대차 후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운반대차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콤팩트하게 되므로, 판동을 운반대차에 의해 반송(搬送)할 때에 좁은 곳에서 자유롭게 방향을 바꿀 수 있어 작업자의 운반대차 조작이 간단해진다.
제 17 발명에서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각종 판동의 단부에 대응하는 표시까지 위치결정 플레이트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고, 판동을 교환할 때의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 18 발명에서는, 운반대차에 판동을 승재할 때에,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에 불의로 상방으로부터 판동이 접촉하여도,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바이어스 부재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에 상방으로부터 판동이 접촉한 때의 위치결정 플레이트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9 발명에서는, 운반대차를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측방으로부터 진입시키면,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 및 유닛 고정측이 서로 결합동작에 의해 결합하므로, 운반대차를 유닛 고정측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 20 발명에서는, 운반대차를 인쇄유닛에 진입시키면 자동적으로 훅이 피결합 부재에 결합하어 유닛 고정측에 운반대차가 고정되므로, 작업자가, 운반대차를 인쇄유닛에 진입시키는 작업과는 별도로, 운반대차를 인쇄유닛에 고정하는 등 번거러운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고, 간단히 운반대차를 유닛 고정측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인쇄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인쇄유닛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의 지지축 주위의 단면(斷面) 확대도이고, (a)는 통형상 커버를 늘린 상태를, (b)는 통형상 커버를 줄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운반대차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운반대차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슬라이드 프레임을 운반대차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의 운반대차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는, 도 5의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도이고, (b)는 도 6의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도이며, (c)는 (a)의 E-E선의 단면도.
도 8은, 도 5의 F-F선 단면도이고, (a)는 통상 상태의 위치결정 플레이트를, (b)는 판동이 상방으로부터 접촉한 상태의 위치결정 플레이트를 각각 나타낸다.
도 9는, 도 2의 G부 확대도.
도 10은, 인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인쇄유닛에 운반대차를 반입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인쇄유닛에 대해 운반대차의 위치가 정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운반대차로부터 인쇄유닛에 판동을 인도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운반대차로부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판동을 인도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운반대차로부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판동을 인도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운반대차와 인쇄유닛과의 사이 판동의 인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a)는 운반대차 상에서 판동의 가기준 마크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정한 상태를, (b)는 인쇄유닛에 운반대차를 반입한 직후의 상태를, (c)는 판동의 키홈 위치를 검출하기 직전의 상태를, (d)는 판동의 키홈 위치를 검출하는 상태를, (e)는 판동의 키홈 위치가 판동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상태를, (f)는 판동을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인도하기 직전의 상태를, (g)는 판동을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인도한 직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7은, 인쇄장치의 가늠잡기를 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상류측 2개 인쇄유닛의 각 구성 부분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도 18은, 인쇄장치의 가늠잡기를 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하류측 2개 인쇄유닛의 각 구성부분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도 19는, 인쇄장치의 가늠잡기를 행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0은, 제 2 실시예의 도 1에 상당하는 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인쇄장치(1)를 나타낸다. 이 인쇄장치(1)는, 플라스틱 필름 등의 피인쇄재(W)에 잉크를 전사하는 판동(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쇄유닛(2)과, 이 인쇄유닛(2) 하부에 대해 상기 판동(31)을 반출입하는 운반대차(5)(도 2 및 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유닛(2)은, 3개 병렬로 배치된다.
도 1의 지면(紙面) 좌측 상부에는, 상기 피인쇄재(W)를 공급하는 공급 롤(10a)이 설치되는 한편, 도 1의 지면 우측 상부에는, 상기 피인쇄재(W)를 감는 감기 롤(10b)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롤(10a)과 상기 감기 롤(10b)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가이드 롤(11)이 설치되고, 상기 피인쇄재(W)는, 상기 각 가이드 롤(11)에 감겨 상기 각 인쇄유닛(2)을 통과하면서 송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 인쇄유닛(2)의 피인쇄재 송급방향 하류측에는, 각각 각 인쇄유닛(2)을 통과한 피인쇄재(W)를 건조시키는 건조기(10c)가 설치된다.
상기 각 인쇄유닛(2)은, 도 2에 나타내듯이, 상하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유닛 고정측)(2a)을 구비하고, 이 양 사이드 프레임(2a) 사이에는, 상기 판동(31)이 축심(軸心)을, 수평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판동(31)의 축심방향 양 단부(端部)에는, 축심방향 내측에 거의 테이퍼(taper)형으로 오목하게 패이는 오목부(31a)가 각각에 형성되고, 이 양 오목부(31a)의 한쪽에는, 키홈(31b)이 형성된다(도 4 참조).
또, 상기 판동(31) 외주면의 축심방향 일단에는,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정규의 기준위치에 대해, 상기 병렬로 배치된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으로부터 하류측 판동(31)으로 감에 따라 소정의 각도씩 증가시킨 위치로 되도록 가기준이 되는 레지스터 마크(가기준 마크)(31c)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인쇄유닛(2)에는, 지지축(32a)이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한쪽의 지지축(32a)은, 거의 수평방향으로 신축(伸縮)되는 실린더(32d)에 의해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일단(一端)측에 진퇴 가능하게 되며, 다른 쪽 지지축(32a)은, 거의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는 서보 모터(servo motor) 구동의 볼 나사(ball screw) 기구(32e)에 의해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타단(他端)측에 진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양 지지축(32a)의 선단(先端)측은, 상기 오목부(31a)에 대응하도록 거의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상기 한쪽의 지지축(32a)에는, 상기 판동(31)의 키홈(31b)에 삽입되는 키(32b)가 형성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양 지지축(32a)은, 진출상태에서 상기 판동(31)의 양 오목부(31a)에 결합되어 상기 판동(31)을 지지하는 한편, 후퇴상태에서 상기 판동(31)의 양 오목부(31a)로부터 떨어져 상기 판동(31)을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으로부터 분리하도록 되며, 상기 판동(31) 및 상기 지지축(32a)은, 한쪽 지지축(32a)에 형성된 키(32b)를 상기 키홈(31b)에 삽입시킴으로써 서로 위치결정되도록 된다.
또, 상기 한쪽 지지축(32a)의 기단(基端)측에는, 이 지지축(32a)을 회전 구동시키는 서보 모터 제어의 회전 구동부(32c)가 설치되고, 이 회전 구동부(32c)가 상기 지지축(32a)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판동(31)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에는, 상기 각 지지축(32a)을 둘러싸는 통형상 커버(38)가 각각 설치되고, 이 통형상 커버(38)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후퇴상태의 상기 지지축(32a)보다 상기 판동(31)측에 접근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통형상 커버(38)는, 기단측 개구 주연(周緣)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2a) 측면에 고정된 외통부(外筒部)(38a)와, 이 외통부(38a)에 대해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를 향해 슬라이드 가능한 내통부(內筒部)(38b)를 구비한다.
상기 외통부(38a)의 돌출단측 상부에는, 이 외통부(38a) 안쪽에 핀 선단(P)이 튀어나오도록 인덱스 플런저(index plunger)(38c)가 장착되고, 상기 외통부(38a)의 돌출단측 하부의 상기 핀 선단(P)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관통공(38d)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통부(38b)의 상부에는,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5개의 관통공(38e)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부(38b)의 하부에는, 상기 5개의 관통부(38e) 각각에 대향하는 5개의 관통공(38f)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형상 커버(38)는, 상기 외통부(38a)에 대해 상기 내통부(38b)를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인덱스 플런저(38c)의 핀 선단(P)을 상기 내통부(38b) 상부의 소정 관통공(38e)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상기 외통부(38a) 하부의 관통공(38d)과 이 관통공(38d)에 대응하는 상기 내통부(38b) 하부의 관통공(38f)에 핀(P1)을 꽂음으로써,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각 지지축(32a)이 후퇴하고 판동(31)을 각 인쇄유닛(2)으로부터 분리할 때, 한쪽 지지축(32a)이 판동(31)으로부터 빠지고 다른 쪽 지지축(32a)이 판동(31)에 물려 빠지기 어려운 상태에서는, 판동(31)이 다른 쪽 지지축(32a)으로 당겨지고 축심방향 단부가 통형상 커버(38)의 선단에 접촉하며, 판동(31)은 그 이후 움직이지 않고, 지지축(32a)만이 후퇴하므로, 간이하게 판동을 인쇄유닛(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 상기 통형상 커버(38)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端部)에 대한 통형상 커버(38)의 선단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판동(31)을 교환한 때에 판동(31)의 축심방향 길이가 변하여도, 이에 따라 통형상 커버(38)의 돌출단을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에 접근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통형상 커버(38)는, 외통부(38a)에 대해 내통부(38b)를 수동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이나, 외통부(38a)에 대해 내통부(38b)를 모터의 구동 등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과 교차하는 일측방(一側方)이며, 또한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양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거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상단이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2a)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축이 지지된 한 쌍의 요동 플레이트(33)가 대향 배치되고, 이 양 요동 플레이트(33)의 하단부 사이에는, 축심이 수평방향을 향하는 퍼니셔 롤(furnisher roll)(34)이 회전 자유롭게 축이 지지된다.
이 퍼니셔 롤(34)은, 상기 양 요동 플레이트(33)의 요동에 의해, 상기 판동(31)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태와 접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되며, 상기 인쇄장치(1)의 가동 중에는, 상기 판동(31)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이 판동(31)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다.
상기 판동(31) 및 상기 퍼니셔 롤(34)에 있어서 각 외주면의 상측 부분 사이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35)가 상기 판동(31) 및 상기 퍼니셔 롤(34)을 걸치도록 판동(31)의 축심방향으로 이간(離間)되어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판동(31), 퍼니셔 롤(34) 및 양 사이드 플레이트(35)에 의해 상기 판동(31)의 외주면에 공급하는 잉크를 저류(貯溜)하는 액류부(液溜部)(Li)가 구성되고, 이 액류부(Li)에 도시하지 않는 잉크 공급장치로부터 잉크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과 교차하는 타측방(他側方)에는, 상기 판동(31)의 외주면에 압접(壓接)하여 외주면에 부착되는 여분의 잉크를 판동(31)의 회전동작에 의해 긁어내는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3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판동(31)의 상방에는, 이 판동(31)에 피인쇄재(W)를 상방으로부터 압착(壓着)시키는 압동(壓胴)이 설치되고, 이 압동은, 도시하지 않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동(31)이 상기 각 지지축(32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압동(37)을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판동(31) 및 상기 압동(37)에 의해 상기 피인쇄재(W)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상기 판동(31) 및 상기 압동(37)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피인쇄재(W)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판동(31)의 외주면에 부착된 잉크를 피인쇄재(W)에 전사하도록 된다.
상기 판동(31) 및 퍼니셔 롤(34)의 하방에는,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장착/분리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39)가 형성되고, 이 양 가이드 플레이트(39)는, 하방으로 감에 따라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대향 배치되며, 양 가이드 플레이트(39)의 하단연(下端緣) 사이는, 상기 퍼니셔 롤(34) 바로 밑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양 가이드 플레이트(39)는, 상기 인쇄장치(1)를 가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인쇄유닛(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운반대차(5)의 측방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인쇄유닛(2) 하부에는,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과 상기 운반대차(5)와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31)의 인도를 행하는 판동 인도기구(판동 인도수단)(4)가 설치된다.
이 판동 인도기구(4)는, 상기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2a)(도 2의 지면 우측) 하부로부터 다른 쪽 사이드 프레임(2a)(도 2의 지면(紙面) 좌측)을 향해 판동 축심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 프레임(41)의 연장단측의 위치에는, 지면(地面)과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연장단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Fr)이 장착된다.
또, 상기 한쪽 사이드 프레임(2a)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41) 상방에는, 회전 축심이 판동 축심방향을 향하는 서보 모터 제어의 제 1 구동부(42)가 설치된다. 이 제 1 구동부(42)의 출력축에는, 판동 축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42a)이 장착되고, 이 회전축(42a)은, 상기 제 1 구동부(42)의 회전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1) 상면에는, 판동 축심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로로 긴 거의 장방형상의 기어 케이스(43)가 한 쌍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42a)은, 한쪽 기어 케이스(43)를 관통함과 동시에, 연장단이 다른 쪽 기어 케이스(43) 내부에까지 이르고, 이 각 기어 케이스(43)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42a)과 일체로 회전하는 평 기어(spur gear)(42b)(도 3 참조)가 설치된다.
또, 상기 각 기어 케이스(43)에는, 이 기어 케이스(43)를 상하로 관통하는 랙(rack)(44)이 설치되고, 상기 각 기어 케이스(43) 내에서 상기 랙(44)과 상기 평 기어(42b)가 서로 맞물린다.
상기 각 랙(44)의 상단에는, 판동 축심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U자형의 지지 플레이트(45)가 장착된다(도 5 참조). 이 지지 플레이트(45)의 거의 네 모퉁이에는, 회전 축심이 판동 축심방향으로 향하는 유닛측 회전체(46)가 설치되고, 이 4개의 유닛측 회전체(46)에 의해 상기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5) 이면의 판동 축심방향 일방측이며, 또한 판동 축심방향과 교차하는 일측방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회전 축심이 판동 축심방향을 향하는 서보 모터 제어의 제 2 구동부(47)가 설치된다.
상기 4개 유닛측 회전체(46) 중, 판동 축심방향 일방측이며, 또한, 판동 축심방향과 교차하는 일측방에 위치하는 유닛측 회전체(46)는, 도시하지 않는 벨트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구동부(47)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4개 유닛측 회전체(46)에 의해 지지된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 2 구동부(47)에는,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47a)(회전각도 검출부)가 설치되고, 이 로터리 엔코더(47a)는, 상기 4개 유닛측 회전체(46)에 의해 지지된 판동(31)의 축심주위의 회전각도를 상기 유닛측 회전체(46)를 개재하여 검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 랙(44), 지지 플레이트(45), 4개 유닛측 회전체(46) 및 제 2 구동부(47)로 승강부(40)를 구성하고, 이 승강부(40)는, 상기 판동(31)을 하방에서부터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 1 구동부(42)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42a)이 회전하면, 상기 평 기어(42b)를 개재하여 상기 각 랙(44)이 상하동(上下動)함으로써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하강단 위치에서 상기 운반대차(5)와의 사이에서 판동(31)의 인도를 행하는 한편, 상승단 위치에서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과의 사이에서 판동(31)의 인도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인쇄유닛(2)에 판동(31)을 반입한 상태의 운반대차(5)와 상기 각 인쇄유닛(2)의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장착된 상태의 판동(31)이 상하로 위치하도록 되고, 판동(31)의 축심방향과 교차하는 각 인쇄유닛(2)의 폭이 좁아지므로, 각 인쇄유닛(2) 사이를 좁게 할 수 있으며, 콤팩트한 레이아웃의 인쇄장치(1)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연장단측 하부에는, 도 9에 나타내듯이, 이 베이스 프레임(4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수직벽부(41a), 및 이 수직벽부(41a)의 연장단으로부터 다른 쪽 사이드 프레임(2a)측에 연장되는 판형상의 수평벽부(41b)로 이루어지는 단면(斷面)이 거의 L자형인 장착 플레이트(41c)가 설치된다.
이 수평벽부(41b)의 상면에는, 제 1 돌출판(48a) 및 제 2 돌출판(48b)이 판동 축심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돌출판(48a)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훅(48c)의 길이방향 중간이 수평지축(48e)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축이 지지된다.
상기 훅(48c)의 길이방향 일단측에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결합 홈(48d)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훅(48c)의 길이방향 타단측에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훅 바이어스 부재)(Sp)의 일단이 고정된다.
또, 상기 제 2 돌출판(48b) 상단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Sp)의 타단이 고정되고, 이 코일 스프링(Sp)은, 상기 훅(48c)을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바이어스하고 이 훅(48c)을 거의 수평자세로 유지하도록 된다.
한편, 상기 운반대차(5)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거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운반대차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52b)(도 5 및 도 6 참조)에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52c)가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이 플레이트(52c)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면(前面)에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U자형을 이루는 스트라이커(striker)(피결합 부재)(52d)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운반대차(5)를 상기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 반입할 때, 상기 스트라이커(52d)는, 도 9에 나타내듯이, 상기 운반대차(5)의 인쇄유닛(2)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의 진입동작에 의해, 상기 훅(48c)의 길이방향 일단 하부를 누르고, 이 훅(48c)이 상기 스트라이커(52d)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코일 스프링(Sp)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반대차(5)를 상기 인쇄유닛(2)의 판동장착위치 하방으로 진입시켜 상기 스트라이커(52d)가 상기 결합홈(48d)에 대응하면, 상기 훅(48c)은, 상기 코일 스프링(Sp)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결합홈(48d)에 스트라이커(52d)가 결합되고, 상기 인쇄유닛(2)에 대해 상기 운반대차(5)의 길이방향 위치가 정해지도록 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52c) 및 상기 스트라이커(52d)에 의해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13)이 구성되고, 상기 스트라이커(52d)는, 상기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 진입한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의 훅(48c)과 착탈 가능한 결합 동작(연계동작)에 의해, 상기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서 운반대차(5)가 이동하지 않게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쇄유닛(2)의 상하방향 중간이며, 또한, 상기 인쇄유닛(2)의 측방(한쪽 사이드 프레임(2a)의 제 1 구동부(42) 상방)에는, 비접촉 센서(6)가 설치된다.
이 비접촉 센서(6)는,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일방측에서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을 향해 레이저광(Lz)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에 있어서 상기 키홈(31b)이 형성된 곳과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 측정값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키홈(31b)을 검출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엔코더(47a) 및 상기 비접촉 센서(6)에 의해 상기 판동(31)에서의 키홈(31b) 위치를 검출하는 키홈 위치 검출 기구(키홈 위치 검출수단)(60)을 구성하고, 상기 레지스터 마크(31c)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40)에 의해 지지된 판동(31)을 상기 비접촉 센서(6)가 상기 키홈(31b)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판동(31)을 축심주위로 회전시켜 상기 로터리 엔코더(47a)에 의해 회전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레지스터 마크(register mark)(31c)에 대한 상기 키홈(31b)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키홈(31b)의 검출 시에 비접촉 센서(6)가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판동(31)이 승강부(40)에서 축심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승강부(40)에 있어서 판동(31)의 위치 어긋남을 기인으로 한 각 인쇄유닛(2)의 양 사이드 프레임(2a)으로의 장착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센서가 접촉식으로 키홈(31b)에 접촉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되지 않고, 인쇄유닛(2)의 구조를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류가 다른 판동(31)의 키홈(31b)을 각각 검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접촉 센서(6)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승강부(40)의 승강 위치를 바꾸는 것 만으로 각 판동(31)의 키홈(31b)을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각 인쇄유닛(2)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일없이, 승강부(40)의 승강동작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판동(31)의 키홈(31b)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운반대차(5)는, 플로어를 자유롭게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다른 쪽 사이드 프레임(2a) 하부에 형성된 개구(도시 않음)로부터 상기 인쇄유닛(2) 하부에 대해 상기 판동(31)을 반출입하는 것이며, 도 2에 나타내듯이, 운반대차 진입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운반대차(5)의 골격을 이루고, 단면 L자형인 복수개의 철제 프레임을 조립한 본체 프레임(51)을 구비한다.
이 본체 프레임(51)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단(前端)이 개구하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U자형인 로어 프레임(lower frame)(51a)과,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단이 개구하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U자형을 이루고, 상기 로어 프레임(51a) 상방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단에서부터 중간까지의 위치에 대응하는 어퍼 프레임(upper frame)(51b)을 구비한다.
이 어퍼 프레임(51b)은, 이 어퍼 프레임(51b)의 네 모퉁이로부터 하방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51c)에 의해 상기 로어 프레임(51a)에 장착되고, 상기 어퍼 프레임(51b)의 운반대차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에는, 도 3에도 나타내듯이,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Sr)이 설치된다.
상기 로어 프레임(51a) 하단측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방에는, 한 쌍의 전측(前側) 캐스터(Ca)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주위에 회전 불가능하게,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방에는, 한 쌍의 후측(後側) 캐스터(Cb)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51a)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단(後端)에는, 거의 문형상의 파지(把持)부재(51d)가 장착되며, 작업자(H)가 상기 파지부재(51d)의 상단을 파지하여 상기 운반대차(5)의 이동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퍼 프레임(51b) 상방에는, 상기 판동(31)을 승재하는 슬라이드 프레임(54)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프레임(54)은, 상기 각 슬라이드 레일(Sr)에 대응하도록 운반대차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프레임(54a)과, 운반대차 진입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상기 양 제 1 프레임(54a) 사이를 교락(橋絡)하는 한 쌍의 제 2 프레임(54b)을 구비하고, 상기 양 제 1 프레임(54a)과 양 제 2 프레임(54b)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54c)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45)가 통과할 수 있는 넓이로 된다.
상기 양 제 1 프레임(54a) 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Sr)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감합(外嵌合)된 단면이 거의 U자형 슬라이더(54d)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이 운반대차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상기 각 제 1 프레임(54a)은, 도 7(c)에 나타내듯이, 단면이 거의 L자형을 이루고, 측면이 상기 어퍼 프레임(51b)의 상부 측면을 피복하도록 형성되며, 한쪽의 제 1 프레임(54a)(도 5, 6의 지면 상측)의 측면에는, 도 7(a), (b)에 나타내듯이, 위치결정용 구멍(54e)이 운반대차 진입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쪽의 제 1 프레임(54a)에 대응하는 상기 어퍼 프레임(51b)의 운반대차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에는, 운반대차 진입방향 거의 중앙에 외측쪽을 향해 선단 핀(P2)이 돌출하는 인덱스 플런저(Index plunger)(51e)가 장착되고, 도 5 및 도 7(a)에 나타내듯이,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을 운반대차 진입방향 앞쪽으로 슬라이드시킨 때, 한쪽의 위치결정용 구멍(54e)에 상기 인덱스 플런저(51e)의 선단 핀(P2)을 감입(嵌入)시킴으로써,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의 위치가 정해지는 한편, 도 6 및 도 7(b)에 나타내듯이,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을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측으로 슬라이드시킨 때, 다른 쪽의 위치결정용 구멍(54e)에 상기 인덱스 플런저(51e)의 선단 핀(P2)을 감입시킴으로써,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의 위치가 정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제 2 프레임(54b)에는, 운반대차 폭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운반대차측 회전체(55)가 회전축심을 운반대차 진입방향을 향해 장착되고, 이 4개의 운반대차측 회전체(55)에 의해 상기 판동(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된다.
또,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측의 제 2 프레임(54b)에 형성된 2개의 운반대차측 회전체(55)의 한쪽에는, 이 운반대차측 회전체(55)의 회전을 규제 가능한 브레이크 레버(brake lever)(55a)가 설치되고, 이 브레이크 레버(55a)의 조작(操作)에 의해, 상기 4개의 운반대차측 회전체(55)에 승재된 판동(31)을 회전 가능한 상태와 정지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운반대차측 회전체(55)로 판동 회전부(50)가 구성되고, 이 판동 회전부(50)는, 상기 레지스터 마크(31c)가 미리 정해진 위치가 되도록 상기 승재된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반대차 폭방향 한쪽에 위치하는 제 1 프레임(54a) 상면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단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운반대차 진입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한 쌍의 직사각형 플레이트(56a)가 형성되고, 이 양 직사각형 플레이트(56a) 사이에는, 운반대차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56b)가 장착된다.
이 샤프트(56b)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거의 각봉(角棒)형상의 바(56c)가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바(56c)는, 상기 샤프트(56b)에 대해 운반대차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바(56c)의 상단에는, 상기 판동 회전부(50)에 승재되는 판동(31)측을 향해 선단 끝이 뾰족한 돌기(56d)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동 회전부(50), 직사각형 플레이트(56a), 샤프트(56b) 및 바(56c)로 마크 위치결정수단(56)이 구성되고, 상기 바(56c)의 경동(傾動) 동작에 의해, 상기 돌기(56d)의 선단이 상기 승재된 판동(31)의 레지스터 마크(31c)에 대응하는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마크 위치결정수단(56)에 의해 레지스터 마크(31c)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할 때에, 바(56c)의 돌기(56d)가 상기 판동(31)에서의 레지스터 마크(31c)의 미리 정해진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되므로, 레지스터 마크(31c)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정하기 쉽다. 또, 간단한 구조로 판동(31)에서의 레지스터 마크(31c)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 할 수 있으므로, 저 코스트의 운반대차(5)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운반대차 폭방향 한쪽에 위치하는 제 1 프레임(54a)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앞측에는, 운반대차 진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판동 위치결정기구(판동 위치결정수단)(57)가 설치된다.
이 판동 위치결정기구(57)는, 도 8(a), (b)에 나타내듯이,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된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와, 이 위치결정 플레이트(57a)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재(57b)와, 운반대차 진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승재되는 길이가 다른 각종 판동(31)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표시된 표시부재(57i)와, 상기 제 1 프레임(54a)의 반(反)표시부재(57i)측에 운반대차 진퇴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57j)과, 상기 표시부재(57i)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단면 U자형의 슬라이더(57k)를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57b)는,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판부(57c)와, 상기 제 1 프레임(54a)에서 떨어지도록 상기 수직판부(57c)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 수평판부(57d)와, 상기 제 1 프레임(54a)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판부(57c)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측 수평판부(57e)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수평판부(57d)와 상기 수직판부(57c)와의 사이에는, 판면(板面)이 운반대차 진입방향을 향하는 플레이트 지지판(57f)이 상기 상측 수평판부(57d)와 상기 수직판부(57c)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57k)는, 상기 하측 수평판부(57e)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7j)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감합되며, 상기 제 1 프레임(54a)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57b)가 운반대차 진입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판(57f)에는,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의 일단(一端)이 수평지축(57g)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축이 지지되며, 상기 수평지축(57g)에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플레이트 바이어스 부재)(57h)이 장착된다.
이 비틀림 스프링(57h)은, 일단(一端)측이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에, 타단(他端)측이 상기 수직판부(57c)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57a)를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바이어스하고 거의 경사진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 자세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도 8(b)에 나타내듯이, 상기 판동(31)이 상방으로부터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에 접촉하여도, 이 위치결정 플레이트(57a)가 상기 비틀림 스프링(57h)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된다. 따라서, 운반대차(5)에 판동(31)을 승재할 때에,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에 불의로 상방으로부터 판동(31)이 접촉하여도,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57a)는, 비틀림 스프링(57h)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에 상방으로부터 판동(31)이 접촉한 때의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승재하는 판동(31)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재(57i)의 표시에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57a)를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이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에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端部)를 접촉시키면서, 상기 판동(31)을 상기 판동 회전부(50)에 승재시킴으로써, 상기 운반대차(5)가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 진입한 때에, 상기 운반대차(5) 상의 판동(31)이 인쇄유닛(2)에 장착 가능하게 상기 운반대차(5)에 위치결정되도록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57k)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각종 판동(31)의 단부에 대응하는 표시까지 위치결정 플레이트(57a)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고, 판동(31)을 교환할 때의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운반대차 폭방향 다른 쪽에 위치하는 제 1 프레임(54a) 상방에는, 운반대차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면이 거의 V자형의 잉크 받이부재(58)가 설치된다.
이 잉크 받이부재(58)는, 상단에 개구부(58a)를 가지며, 이 개구부(58a)는, 상기 운반대차(5)를 상기 인쇄유닛(2) 하부에 반입한 상태에서 상기 각 가이드 플레이트(39)의 하단연(下端緣) 사이에 대응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잉크 받이부재(58)는, 상기 각 가이드 플레이트(39)를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는 잉크를 상기 개구부(58a)를 거쳐 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58a)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필터(58b)에 의해 피복되며, 통과하는 잉크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잉크 받이부재(58)의 바닥부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측을 향해 완만하게 하경(下傾)하며, 잉크 받이부재(58)에 받아진 잉크는,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측을 향해 흐르도록 된다.
상기 로어 프레임(51a)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측 상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운반대차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의 장방형상의 저벽부(底壁部)(59a) 및 이 저벽부(59a)의 외주연(外周緣)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측벽부(側壁部)(59b)로 이루어진 트레이(tray)(59)가 배치되고, 이 트레이(59)는, 상기 로어 프레임(51a)에서 양 측방으로 튀어 나온다.
이 트레이(59)의 운반대차 폭방향 거의 중앙 및 운반대차 폭방향 타방측에는, 상단에 개구부(12a)를 가지며, 상기 잉크 받이부재(58)에서 받은 잉크를 상기 개구부(12a)로부터 회수하는 2개의 잉크 회수박스(12)가 병렬로 배치된다.
또, 상기 어퍼 프레임(51b)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단에는, 상기 잉크 받이부재(58)에서 받은 잉크를 상기 잉크 회수박스(12)로 안내하는 잉크 안내부(53)가 설치된다.
이 잉크 안내부(53)는,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측(前側)이 축으로 지지되고,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측(後側)으로 감에 따라 하경하는 단면이 거의 U자형의 경사부(53a)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안내부(53)를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부(53a)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단이 상기 각 잉크 회수박스(1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을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위치결정을 행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안내부(53)는, 상기 잉크 받이부재(58)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단 부분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며, 상기 잉크 받이부재(58)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측을 향해 흐르고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단(後端)으로부터 낙하하는 잉크를 각 잉크 회수박스(12)로 안내하도록 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51)의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단(前端)에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51c)에 대향 배치된 정면에서 보아 거의 L자형 가이드 부재(52a)가 한 쌍 돌출 배치되며, 이 돌출단의 간격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폭치수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운반대차(5)를 상기 인쇄유닛(2) 하부에 반입할 때(도 11 및 도 12 참조), 상기 운반대차(5)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상기 양 가이드 부재(52a)의 돌출단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양 측면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인쇄유닛(2) 하부에 반입되고, 상기 인쇄유닛(2)에 대해 상기 운반대차(5)의 폭방향 위치가 정해지도록 된다.
상기 운반대차(5)를 상기 인쇄유닛(2)의 하부에 반입하여 상기 훅(48c)이 상기 스트라이커(52d)에 걸린 상태이며,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을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측(前側)으로 슬라이드시켜 위치결정한 상태에서(도 13 참조),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판동 회전부(50)에 승재된 판동(3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며, 상승 시에 상기 판동(31)을 상기 판동 회전부(50)에서 받아 상승시키는 한편(도 14 및 도 15 참조), 하강 시에 상기 각 인쇄유닛(2)의 양 사이드 프레임(2a)으로부터 받은 판동(31)을 상기 판동 회전부(50)에 인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승강부(40)가 상승함으로써, 운반대차(5)로부터 승강부(40)로 판동(31)의 인도와 판동(31)의 각 인쇄유닛(2)의 장착위치까지의 이동을 한번에 행할 수 있는 한편, 승강부(40)가 하강함으로써, 판동(31)의 각 인쇄유닛(2)의 장착위치에서 운반대차(5)까지의 이동과 상기 판동(31)의 승강부(40)로부터 운반대차(5)로의 인도를 한번에 행할 수 있으므로, 판동(31)의 교환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승강부(40)는, 운반대차(5) 상에 위치결정된 판동(31)을 그 자세로 상승 시에 하방에서부터 지지하므로, 운반대차(5)로부터 승강부(40)로 판동(31)이 인도될 때에 운반대차(5) 상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한 판동(31)의 레지스터 마크(31c)가 어긋나지 않는다.
상기 인쇄유닛(2)에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이 인쇄유닛(2)을 제어하는 제어반(制御盤)(제어수단)(7)이 접속된다.
이 제어반(7)은, 상기 각 지지축(32a)으로부터 판동(31)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회전 구동부(32c)를 제어하고 미리 키(32b)를 지지축(32a)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된다.
상기 제어반(7)은, 도 16(b), (c)에 나타내듯이, 상기 판동(31)을 승재한 운반대차(5)를 상기 인쇄유닛(2) 하부에 반입한 상태이며, 상기 제 1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40)를 상승시킴으로써, 이 승강부(40)가 상기 판동(31)을 상기 운반대차(5)로부터 받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어반(7)은, 도 16(c), (d)에 나타내듯이, 상기 제 1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판동(31)을 승재한 승강부를 상승 도중에 정지시키며,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47)를 제어하고 상기 4개의 유닛측 회전체(46)에 의해 상기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키홈 위치검출기구(60)를 제어하여 상기 키홈(31b)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된다.
상기 제어반(7)은, 도 10에 나타내듯이, 조작패널(도시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7a)를 구비하고, 이 기억부(7a)에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듯이,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피인쇄재(W)로의 전사위치간 거리(L), 상기 판동(31)의 반지름(r), 상기 운반대차(5)에 승재된 판동(31)의 레지스터 마크(31c)의 위치 데이터, 및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해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에 대한 하류측 판동(31)의 정규의 기준위치로 보정하는 기준위치 보정각도(θα)가 미리 기억되도록 된다.
여기서, 기준위치 보정각도(θα)는, 인접하는 인쇄유닛(2)에 각각 장착하는 판동(31)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7)은, 상기 각 인쇄유닛(2)의 판동(31)에 있어서, 상기 키홈 위치검출기구(60)에 의해 검출한 키홈(31b)의 위치 데이터(θb) 및 상기 기억부(7a)에 기억된 레지스터 마크(31c)의 위치 데이터(θa)를 기초로 상기 키홈(31b)과 상기 레지스터 마크(31c)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하는 계산부(7b)를 구비하고, 이 계산부(7b)는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과 하류측 판동(31)에 있어서, 상류측 판동(31)에 대한 하류측 판동(31)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에 나타내는 식(1)
(1) θ3=2(n+1)π+θ12-L/r+θα(n은 정수)
로 각각 계산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계산식(1)은, 도 17에 나타내듯이, 피인쇄재 송급방향 상류측과 중앙에 위치하는 양 인쇄유닛(2)의 각 판동(31)에 있어서, 피인쇄재(W)의 상류측 판동(31)의 전사위치와 레지스터 마크(31c)에 대응하는 가늠잡기 위치(X1)와의 사이의 거리(rθ1)와, 하류측 판동(31)의 전사위치와 레지스터 마크(31c)에 대응하는 가늠잡기 위치(X2)와의 사이 거리의 식(2)
(2) L'=2nπr+rθ1-L
로부터 구한 것이다.
또, 상기 제어반(7)은, 도 16(e)에 나타내듯이, 상기 키홈 위치검출기구(60)에 의해 키홈(31b)의 위치 데이터(θb)를 검출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구동부(47)를 제어하여 상기 키홈(31b)이 상기 키(32b)에 대응하도록 상기 판동(31)의 상단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4개의 유닛측 회전체(46)에 의해 상기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키도록 된다.
또한, 상기 제어반(7)은, 도 16(f)에 나타내듯이, 상기 승강부(40)에 승재된 판동(31)의 키홈(31b)이 상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부(42)를 제어하고 상기 승강부(40)를 상승단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된다.
이에 더불어, 상기 제어반(7)은, 상기 승강부(40)가 상승단 위치의 상태에서, 상기 각 실린더(32d)를 제어하고 상기 양 지지축(32a)을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양 단부(端部)로 진출시키고, 상기 키홈(31b)에 키(32b)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판동(31)을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며, 또한, 도 16(g)에 나타내듯이, 상기 제 1 구동부(42)를 제어하고 상기 승강부(40)를 하강시키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7)은,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듯이, 상기 판동(31)이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32c)를 제어하고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에 대해 하류측 판동(31)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도록 된다.
여기서,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압동(37)이 판동(31)에 피인쇄재(W)를 상방에서부터 압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나,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에 대해 하류측 판동(31)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킬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상기 압동(37)을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압동(37)이 판동(31)에 피인쇄재(W)를 상방으로부터 압착(壓着)시키지 않는 상태로 행한다.
또, 상기 제어반(7)은, 상기 각 지지축(32a)에 상기 판동(3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40)를 상승단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승강부(40)에서 상기 판동(31)을 지지하며, 또한, 상기 각 실린더(32d)를 제어하고 상기 양 지지축(32a)을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양 단부에서 후퇴시키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으로부터 상기 판동(31)을 분리하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으로부터 상기 승강부(40)에 판동(31)이 인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반(7)은, 상기 승강부(40)가 상기 판동(31)을 지지하며, 또한, 상기 판동(1)을 승재하지 않은 운반대차(5)가 상기 인쇄유닛(2) 하부에 반입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부(42)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40)를 하강시키고, 하강 도중에 상기 판동(31)을 상기 운반대차(5)에 인도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인쇄장치(1)의 각 인쇄유닛(2)에 판동(31)을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H)는, 상기 인쇄장치(1)가 가동 중에, 상기 표시부재(57i)의 다음에 교환하는 판동(31)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위치결정 플레이트(57a)를 슬라이드 시켜 두고, 이 위치결정 플레이트(57a)에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단부를 접촉시키면서, 이 판동(31)을 상기 판동 회전부(50)에 승재시킨다.
다음에, 도 16(a)에 나타내듯이, 상기 바(56c)를 경동시켜 돌기(56d)의 선단이 레지스터 마크(31c)에 접촉하도록 상기 판동 회전부(50)에 의해 상기 판동(31)을 회전시키고, 상기 돌기(56d)가 상기 레지스터 마크(31c)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55a)를 조작하여 판동(3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판동(31)이 승재된 운반대차(5)를 각 인쇄유닛(2)마다 대기시킨다.
상기 인쇄장치(1)의 인쇄작업이 종료하면, 이 인쇄장치(1)의 각 인쇄유닛(2)으로부터 사용 후의 판동(31)을 분리하고, 그 후, 회전 구동부(32c)를 구동시켜 미리 키(32b)가 지지축(32a)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판동(31)을 회전시켜 둔다.
그 후, 도 11에 나타내듯이, 상기 각 인쇄유닛(2)마다 대기시킨 각 운반대차(5)를 각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 진입시킨다. 상기 운반대차(5)를 상기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 진입시킬 때, 상기 운반대차(5)는, 양 가이드 부재(52a)의 돌출단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41)의 양 측면을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인쇄유닛(2) 하부로 반입되므로, 상기 인쇄유닛(2)에 대해 상기 운반대차(5)의 폭방향 위치가 정해진다.
다음에, 도 11의 상태에서 추가로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 내로 이동시키면, 도 9에 나타내듯이, 상기 스트라이커(52d)가 상기 훅(48c)을 누르고, 이 훅(48c)이 코일 스프링(Sp)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 내로 더 진입시키면, 상기 스트라이커(52d)가 상기 결합 홈(48d)에 대응하고, 상기 훅(48c)은, 상기 코일 스프링(Sp)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결합 홈(48d)에 스트라이커(52d)가 결합되며, 상기 인쇄유닛(2)에 대해 상기 운반대차(5)의 길이방향 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측방에서부터 진입시키면,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13)과 훅(48c)이 서로 결합동작에 의해 결합되므로,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의 유닛 고정측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에 진입시키면, 자동적으로 훅(48c)이 스트라이커(52d)에 결합하여 인쇄유닛(2)의 유닛 고정측에 운반대차(5)가 고정되므로, 작업자(H)가,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에 진입시키는 작업과는 별도로,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에 고정하는 등 번거러운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의 유닛 고정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후, 도 13에 나타내듯이,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을 운반대차 진입방향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한쪽의 위치결정용 구멍(54e)에 상기 인덱스 플런저(51e)의 선단 핀(P2)을 감입시킴으로써(도 7(a) 참조), 상기 어퍼 프레임(51b)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54)의 위치를 정한다.
그 후, 도 14 및 도 16(b)에 나타내듯이, 제 1 구동부(42)를 구동시키고 상기 승강부(40)를 상승시켜 상기 개구부(54c)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4개의 유닛측 회전체(46)에 의해 상기 판동(31)을 하방에서부터 지지한다.
그 후, 도 16(c)에 나타내듯이, 상기 제 1 구동부(42)를 구동시키고 상기 승강부(40)를 더 상승시켜, 상기 인쇄유닛(2)이 상하방향 중간의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리고, 도 16(d)에 나타내듯이, 상기 제 2 구동부(47)를 구동시키고 상기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비접촉 센서(6)에 의해 상기 판동(31)의 키홈(31b) 위치 데이터(θb)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계산부(7b)에 의해, 상기 키홈 위치검출기구(60)로 검출한 키홈(31b)의 위치 데이터(θb) 및 상기 기억부(7a)에 기억된 레지스터 마크(31c)의 위치 데이터(θa)를 기초로 상기 키홈(31b)과 상기 레지스터 마크(31c)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되게 한다.
또, 상기 계산부(7b)에 의해,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과 하류측 판동(31)에 있어서, 상류측 판동(31)에 대한 하류측 판동(31)의 가늠잡기를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에 나타내는 식(1)
(1) θ3=2(n+1)π+θ12-L/r+θα(n은 정수)
로 각각 계산되게 한다.
여기서, 계산된 θ3은, π≥θ3≥-π의 값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계산된 θ3가 3π의 경우, θ3=π로 변환되어 회전각도로서 사용된다.
그 후, 도 16(e)에 나타내듯이, 상기 제 2 구동부(47)를 구동시키고 상기 키홈(31b)이 상기 키(32b)에 대응하도록 상기 판동(31)의 상단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4개의 유닛측 회전체(46)에 의해 상기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킨다.
그 후, 도 16(f)에 나타내듯이, 추가로 상기 제 1 구동부(42)를 구동시키고 상기 승강부(40)를 상승단 위치까지 상승시키며, 도 15에 나타내듯이, 상기 각 실린더(32d)를 신축(伸縮)시켜 상기 양 지지축(32a)을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양 단부에 진출시킨다. 그러면, 상기 키홈(31b)에 키(32b)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판동(31)이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도 16(g)에 나타내듯이, 상기 제 1 구동부(42)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부(40)를 하강시키며, 그 후,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듯이, 상기 회전 구동부(32c)를 구동시키고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에 대해 하류측 판동(31)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며, 판동(31)의 인쇄유닛(2)으로의 장착을 종료한다.
따라서, 키홈(31b)에 대한 레지스터 마크(31c)의 위치를 알기 위해 필요한 레지스터 마크(31c)의 위치 데이터(θa)를 판동(31)이 운반대차(5)에 승재되는 상태에서 사전에 얻을 수 있으므로, 운반대차(5)를 각 인쇄유닛(2)에 반입하고 나서 레지스터 마크(31c)와 키홈(31b)과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얻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 판동(31)을 각 인쇄유닛(2)의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장착하기 전에 키홈(31b)의 위치 데이터(θb)를 검출하고, 키홈(31b)의 위치 데이터(θb)와 레지스터 마크(31c)의 위치 데이터(θa)에 의해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에 대해 하류측 판동(31)의 가늠잡기를 행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알 수 있으므로, 판동(31)을 각 인쇄유닛(2)의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장착한 후, 바로 각 판동(31)의 가늠잡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된다. 따라서, 판동(31)의 교환 시 인쇄장치(1)의 정지시간이 짧아지고, 작업효율이 좋아진다.
다음에, 상기 인쇄장치(1)의 각 인쇄유닛(2)으로부터 판동(31)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각 지지축(32a)에 상기 판동(31)이 지지되며, 또한, 상기 판동(31)을 승재하지 않은 운반대차(5)가 상기 인쇄유닛(2) 하부에 반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부(42)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부(40)를 상승단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승강부(40)에 의해 상기 판동(31)을 지지한다.
이어서, 상기 각 실린더(32d)를 신축시켜, 상기 양 지지축(32a)을 상기 판동(31)의 축심방향 양 단부로부터 후퇴시키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으로부터 상기 판동(31)을 분리하고,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에서 상기 판동(31)을 상기 승강부(40)로 인도한다.
그 후, 상기 제 1 구동부(42)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부(40)를 하강시키고, 하강 도중에 상기 판동(31)을 상기 운반대차(5)로 인도한다.
그리고, 운반대차(5)의 슬라이드 프레임(54)을 어퍼 프레임(51b)에 대해 운반대차 진입방향 후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위치결정하고, 그 후, 상기 훅(48c)과 상기 스트라이커(52d)와의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 후, 상기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부터 측방으로 후퇴시키고, 판동(31)을 인쇄유닛(2)에서 반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운반대차(5)를 진퇴시키므로, 인쇄유닛(2)의 피인쇄재 송급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판동 위치결정기구(57) 및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13)에 의해,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운반대차(5)를 진입시키는 것만으로 판동(31)이 인쇄유닛(2)에 장착 가능한 위치로 되므로, 작업자(H)는,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진입시킨 후에, 인쇄유닛(2)의 피인쇄재 송급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판동 장착위치에 대한 판동(31)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판동(31) 교환작업이 간단하다.
또, 운반대차(5)의 슬라이드 프레임(54)을 본체 프레임(51)에 대해 운반대차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운반대차(5)를 진입시킨 상태에서 판동(31)이 인쇄유닛(2)에 장착 가능한 위치가 되는 한편, 슬라이드 프레임(54)을 본체 프레임(51)에 대해 운반대차 후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운반대차(5)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콤팩트하게 되므로, 판동(31)을 운반대차(5)에 의해 반송할 때에 좁은 곳에서 자유롭게 방향을 바꿀 수 있어 작업자(H)의 운반대차(5) 조작이 간단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지스터 마크(31c)가 상기 병렬로 배치된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으로부터 하류측 판동(31)으로 감에 따라 소정의 각도씩 증가시킨 위치가 되도록 표시되나, 병렬로 배치된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으로부터 하류측 판동(31)으로 감에 따라 소정의 각도씩 감소시킨 위치가 되도록 표시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기준 마크로서의 레지스터 마크(31c)를 판동(31)에 표시하나,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정규의 기준위치에 기준 마크로서 형성된 돔보마크를 이용하여 가늠잡기를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술한 식(1)의 θa의 값은 0이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에 대한 하류측 판동(31)의 가늠잡기를 행하나, 인접하는 인쇄유닛(2)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인쇄유닛(2) 중 2개 인쇄유닛(2)의 상류측 판동(31)과 하류측 판동(31)에 의해 가늠잡기를 행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쇄유닛(2)을 3개 병렬로 배치한 인쇄장치(1)에 대해 설명했으나, 인쇄유닛(2)은 3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 병렬로 배치한 것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반대차(5)의 판동회전부(50)에 승재된 판동(31)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나, 상기 운반대차에 구동부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판동(31)에 있어서 레지스터 마크(31c)의 미리 정해진 위치를 판동(31)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으나, 예를 들어, 판동(31)의 종류가 달라도 모두 같은 위치로 되도록 설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판동(31)의 종류가 달라도 모두 판동(31)의 상단 위치가 레지스터 마크(31)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키홈 위치검출기구(60)에 의해 상기 키홈(31b)의 위치를 검출할 때, 상기 판동(31)을 복수회 회전시켜 검출한 1회전당 로터리 엔코더(47a)로부터의 평균 출력 펄스(pluse) 수와, 상기 레지스터 마크(31c)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비접촉 센서(6)가 키홈(31b)을 검출할 때까지 판동(31)을 축심주위에 회전시켜 검출한 출력 펄스 수에 의해 레지스터 마크(31c)와 키홈(31b)과의 사이 축심주위의 정확한 각도(θ1, θ2)를 계산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반대차(5)에 스트라이커(52d)가 설치되는 한편, 인쇄유닛(2)의 유닛 고정측에 상기 스트라이커(52d)에 결합되는 훅(48c)이 설치되나, 운반대차(5)에 훅(48c)을 설치하고, 인쇄유닛(2)의 유닛 고정측에 스트라이커(52d)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 2 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인쇄장치(1)를 나타낸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인쇄유닛(2)이 1개이며, 판동(31) 교환 시에 있어서, 판동(31)이 상기 양 사이드 프레임(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 피인쇄재(W)에 대한 레지스터 마크(31c)의 위치맞춤을 하여 인쇄를 개시하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를 뿐이며, 그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유닛(2)이 1개라도 판동(31)의 위치맞춤을 위해 필요한 레지스터 마크(31c)의 위치 데이터(31)를 판동(31)이 운반대차(5)에 승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전에 알 수 있고, 운반대차(5)를 인쇄유닛(2)에 반입하고 나서 레지스터 마크(31c)와 키홈(31b)과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를 얻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판동(31) 교환 시 인쇄장치(1)의 정지시간이 짧아지고, 작업효율이 좋아진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동을 갖는 인쇄유닛이 복수 병렬로 배치되고, 각 판동의 가늠잡기를 한 상태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각 판동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잉크를 순차로 피인쇄재에 겹쳐 전사하고 인쇄하는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에 적합하다.
1 : 인쇄장치 2 : 인쇄유닛
2a : 사이드 프레임(유닛 고정측) 4 : 판동 인도기구(판동 인도수단)
5 : 운반대차 6 : 비접촉 센서
7 : 제어반(제어수단) 7a : 기억부
7b : 계산부 13 :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
31 : 판동 31b : 키홈
31c : 레지스터 마크(가기준 마크) 32a : 지지축
32b : 키 38 : 통형상 커버
40 : 승강부 48c : 훅
50 : 판동 회전부 51 : 본체 프레임
52d : 스트라이커(피결합 부재) 54 : 슬라이드 프레임
56 : 마크 위치결정수단 56c : 바
57 : 판동 위치결정기구(판동 위치결정수단)
57a : 위치결정 플레이트
57h : 비틀림 스프링(플레이트 바이어스 부재)
57i : 표시부재 57k : 슬라이더
60 : 키홈 위치검출기구(키홈 위치검출수단)

Claims (23)

  1. 키홈을 갖는 판동(版胴)이 상기 키홈에 유닛 고정측의 키를 삽입시킴으로써 위치결정되어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인쇄유닛과, 이 인쇄유닛에 대해 상기 판동을 반출입(搬出入)하는 운반대차와,
    상기 인쇄유닛에 접속되어, 상기 판동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판동을 축심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승재(乘載)하고, 유닛 고정측과 상기 운반대차와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는 판동 인도수단과, 상기 판동에서의 키홈 위치를 검출하는 키홈 위치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판동에는,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마크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되도록 상기 판동을 승재하는 마크 위치결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마크 위치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와, 상기 키홈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키홈 위치 및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마크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판동에서의 상기 키홈에 대한 상기 마크의 위치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가지며, 상기 판동 인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키홈이 상기 키에 대응하도록 상기 판동을 회전시켜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복수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각 인쇄유닛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판동에 형성된 마크는, 기준 마크이며,
    상기 기억부는,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로의 전사(轉寫)위치간 거리(L) 및 상기 판동의 반지름(r)을 기억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과 하류측 판동에 있어서, 상기 키홈과 상기 기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한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에 나타내는 식(1)
    (1) θ3=2(n+1)π+θ12-L/r(n은 정수(整數))
    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동 인도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하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하단(下端)이 지지되고, 경동(傾動) 동작에 의해 상단(上端)이 상기 승재한 판동의 기준 마크에 대응하는 외주면(外周面)과 접촉하는 바(ba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각 인쇄유닛 하부에 대해 상기 판동을 반출입하고,
    상기 판동 인도수단은, 상기 판동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승강(昇降)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고,
    이 승강부의 하강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와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는 한편, 상기 승강부의 상승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과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운반대차를 상기 각 인쇄유닛에 반입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승 시에 상기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로부터 받아 상승시키는 한편, 하강 시에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으로부터 받은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에 인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홈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일방측에서 상기 키홈을 검출하는 비접촉 센서와, 상기 판동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마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키홈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판동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에서 회전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기준 마크에 대한 상기 키홈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복수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각 인쇄유닛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판동에 형성된 마크는,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정규의 기준위치에 대해, 상기 병렬로 배치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으로부터 하류측 판동으로 감에 따라 소정의 각도씩 증가 또는 감소시킨 위치에 형성된 가(假)기준 마크이며,
    상기 기억부는,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로의 전사위치간 거리(L) 및 상기 판동의 반지름(r)을 기억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과 하류측 판동에 있어서, 상기 키홈과 상기 가기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한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에 나타내는 식(1)
    (1) θ3=2(n+1)π+θ12-L/r+θα(n은 정수)
    로 계산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동 인도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하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하단이 지지되고, 경동(傾動) 동작에 의해 상단이 상기 승재한 판동의 가기준 마크에 대응하는 외주면과 접촉하는 바(ba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각 인쇄유닛 하부에 대해 상기 판동을 반출입하고,
    상기 판동 인도수단은, 상기 판동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고,
    이 승강부의 하강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와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는 한편,
    상기 승강부의 상승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과의 사이에서 상기 판동의 인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운반대차를 상기 각 인쇄유닛에 반입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승 시에 상기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로부터 받아 상승시키는 한편, 하강 시에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으로부터 받은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에 인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키홈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일방측에서 상기 키홈을 검출하는 비접촉 센서와, 상기 판동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기준 마크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가 상기 키홈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판동을 축심주위에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각도 검출부에서 회전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가기준 마크에 대한 상기 키홈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센서는, 상기 인쇄유닛의 상하방향 중간이며, 또한 상기 인쇄유닛의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는, 진출상태로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양 단부(端部)에 결합하여 이 판동을 지지하는 한편, 후퇴상태로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양 단부로부터 떨어져 이 판동을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으로부터 분리하는 한 쌍의 지지축이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양 단부측에 진퇴 가능하게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지지축을 둘러싸는 통형상 커버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후퇴한 때, 상기 통형상 커버의 선단(先端)에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가 접촉하고 이 판동의 축심방향 단부와의 결합이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커버는, 상기 판동의 축심방향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인쇄유닛의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 측방으로부터 진입한 운반대차를 유닛 고정측과의 연계동작에 의해, 상기 판동 장착위치 하방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결정하는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과,
    운반대차 진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운반대차가 상기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 진입한 때에 이 운반대차 상의 판동이 상기 인쇄유닛에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판동의 단부를 접촉시켜 길이가 다른 각종 판동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판동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이 운반대차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 상부에 운반대차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판동을 승재하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판동 위치결정수단에 의한 판동의 위치결정은,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운반대차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 대응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7. 청구항 15 또는 16에 있어서,
    상기 판동 위치결정수단은, 운반대차의 진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승재하는 각종 판동의 단부(端部)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표시가 된 표시부재와,
    이 표시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상기 판동을 승재할 때에 이 판동의 단부를 접촉시키는 위치결정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바이어스(bias)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축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과 유닛 고정측과의 연계동작은, 결합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결합동작은, 상기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 및 유닛 고정측 한쪽에 장착되어, 훅(hook)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여 바이어스 된 훅과,
    상기 운반대차 위치결정수단 및 유닛 고정측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상기 운반대차의 상기 판동 장착위치 하방으로의 진입동작에 의해 상기 훅을 누르고, 이 훅이 상기 훅 바이어스 부재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고 회전하여 결합하는 피결합 부재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1.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마크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되도록 판동을 운반대차에 승재하고,
    이어서, 인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동을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운반대차를 상기 인쇄유닛에 반입하고,
    그 후, 판동 인도수단에 의해 상기 판동을 상기 운반대차로부터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인도하는 도중의 단계에서, 상기 판동의 키홈 위치를 검출하고, 또한,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판동의 치수 데이터 및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마크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판동의 키홈 위치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를 계산하고,
    그 후, 상기 판동 인도수단에 의해 상기 키홈이 상기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의 키에 대응하도록 상기 판동을 회전시키며, 또한, 상기 키홈에 상기 키를 삽입시켜 상기 판동의 위치결정을 하고 상기 판동을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판동 교환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판동에 형성된 마크는, 기준 마크이며,
    이 기준 마크가 미리 결정된 위치로 되도록 판동을 운반대차에 승재하여 복수의 인쇄유닛마다 상기 운반대차를 대기시키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로의 전사위치간 거리(L), 상기 판동의 반지름(r), 및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기준 마크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과 하류측 판동에서의 키홈 위치와 기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한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의 식(1)
    (1) θ3=2(n+1)π+θ12-L/r(n은 정수)
    로 계산하고,
    상기 판동을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한 후,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판동 교환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판동에 형성된 마크는,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한 정규의 기준위치에 대해, 상기 병렬로 배치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으로부터 하류측 판동으로 감에 따라 소정의 각도씩 증가 또는 감소시킨 위치에 형성된 가기준 마크이며,
    이 가기준 마크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되도록 판동을 운반대차에 승재하여 복수의 인쇄유닛마다 상기 운반대차를 대기시키고,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피인쇄재로의 전사위치간 거리(L), 상기 판동의 반지름(r), 상기 운반대차에 승재된 판동의 가기준 마크 위치 데이터, 및 인쇄무늬를 맞추기 위해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정규의 기준위치로 보정하는 기준위치 보정각도(θα)를 기초로, 상기 각 인쇄유닛 중 2개 인쇄유닛의 상류측 판동 및 하류측 판동에서의 키홈 위치와 상기 가기준 마크와의 사이 축심주위의 각도(θ1, θ2)를 각각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한 하류측 판동의 가늠잡기를 하기 위한 회전각도(θ3)를 이하의 식(1)
    (1) θ3=2(n+1)π+θ12-L/r+θα(n은 정수)
    로 계산하고,
    상기 판동을 상기 각 인쇄유닛의 유닛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한 후, 상기 상류측 판동에 대해 하류측 판동을 상기 회전각도(θ3)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의 판동 교환방법.
KR1020120145667A 2011-12-16 2012-12-13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 KR101961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5935 2011-12-16
JPJP-P-2011-275935 2011-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461A KR20130069461A (ko) 2013-06-26
KR101961955B1 true KR101961955B1 (ko) 2019-03-25

Family

ID=4858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667A KR101961955B1 (ko) 2011-12-16 2012-12-13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6388B2 (ko)
KR (1) KR101961955B1 (ko)
CN (1) CN103158346B (ko)
TW (1) TWI6078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2467A (zh) * 2014-01-24 2014-05-21 刘旭 机组式凹版印刷机的自动对版装置
CN106573463A (zh) * 2014-07-30 2017-04-19 奥梅茨私人公司 具有手动预套准系统的印刷机
JP6328533B2 (ja) * 2014-09-29 2018-05-23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トップフィード方式の印刷装置
JP6509567B2 (ja) * 2015-01-16 2019-05-08 株式会社日商グラビア 複数の版胴を有する校正機
JP6757020B2 (ja) * 2017-03-07 2020-09-16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版胴交換装置
CN110944844B (zh) * 2017-09-21 2021-07-16 株式会社新克 多色凹版轮转机
CN108081751A (zh) * 2017-12-08 2018-05-29 广州市佳盛印刷有限公司 一种烟草包装盒印刷装置的安装结构
NL2023046B1 (nl) * 2019-05-01 2020-11-23 Mps Holding Bv Bewerkingsstation voor het bewerken van een substraatbaan
JP7209350B2 (ja) * 2019-05-09 2023-01-20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版胴位相差測定装置及び版胴位相差測定方法
JP7496606B2 (ja) 2020-08-07 2024-06-07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0314A (ja) 2011-05-19 2012-12-10 Toyo Seikan Kaisha Ltd グラビア印刷機及びグラビア印刷機の版胴の交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391B2 (ja) * 1989-09-01 1995-10-25 朋和産業株式会社 グラビア輪転機の版胴交換装置
JPH06102376B2 (ja) * 1990-06-01 1994-1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刷機の胴交換機
JP2575269B2 (ja) * 1992-10-14 1997-01-22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印刷機の版胴位置決め装置
JP3418944B2 (ja) 1994-10-12 2003-06-23 東芝機械株式会社 グラビア印刷機の版胴交換装置
EP1010522A1 (de) * 1998-12-14 2000-06-21 Fischer & Krecke Gmbh & Co.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Druckzylindern
JP3943968B2 (ja) * 2002-03-14 2007-07-11 東芝機械株式会社 輪転印刷機および輪転印刷機の版胴の印刷初期位置補正方法
DE102005010442B4 (de) * 2005-03-08 2007-10-31 Windmöller & Hölscher Kg Wechselvorrichtung und Wechselverfahren
JP2006256176A (ja) * 2005-03-18 2006-09-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版位相合せ装置および方法
JP2010201809A (ja) * 2009-03-04 2010-09-16 Toppan Printing Co Ltd 版胴交換台車
CN201427436Y (zh) * 2009-07-28 2010-03-24 林孝余 印刷机的印版滚筒装夹机构
CN201544516U (zh) * 2009-10-23 2010-08-11 陕西北人印刷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柔印印刷机版辊的快速拆装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0314A (ja) 2011-05-19 2012-12-10 Toyo Seikan Kaisha Ltd グラビア印刷機及びグラビア印刷機の版胴の交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44432A (ja) 2013-07-25
CN103158346B (zh) 2016-08-10
JP5946388B2 (ja) 2016-07-06
CN103158346A (zh) 2013-06-19
TWI607886B (zh) 2017-12-11
TW201345735A (zh) 2013-11-16
KR20130069461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955B1 (ko) 인쇄장치 및 그 판동 교환방법
EP1740381B1 (en) Printing plate module and printing press
KR101419991B1 (ko) 포장지 제조용 기계에서 용이한 공구 조정을 갖는 잔부 배출 유닛
EP2905137B1 (en) Droplet-discharging head, image-forming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head modules of droplet-discharging head
JP2015107656A (ja) 液滴吐出ヘッド、画像形成装置、及び、液滴吐出ヘッドのヘッドモジュール位置決め方法
CN104786651A (zh) 打印机及其控制方法
JP5736179B2 (ja) 輪転印刷機および版胴初期位置調整方法
CN103381702A (zh) 将印刷印版装载在胶印旋转印刷机的印版滚筒上的装置
TWI728714B (zh) 印刷機以及用於印刷機中印刷單元滾筒的搬運車
US8051774B2 (en) Printing plate module, printing press, and method of mounting plates
KR20150002788A (ko) 모바일 잉킹 캐리지를 구비한 인쇄기
KR101275130B1 (ko)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JP4944320B2 (ja) 平坦な被印刷体を処理する機械の排紙装置
JP5830387B2 (ja) 転写ロール交換装置
KR101065276B1 (ko) 스크린 인쇄기에서의 인쇄물 정렬장치
JP6351472B2 (ja) 台車の案内装置
JP2014073661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調整方法及び装置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213321716U (zh) 一种载膜机构
JPH0732576A (ja) 印刷機の水平回転式胴交換機
JP2022030653A (ja) 印刷装置
WO2014054614A1 (ja) 液滴吐出ヘッド及び液滴吐出装置
JPH09150238A (ja) 金型交換装置
JP5995639B2 (ja) 液滴吐出装置
JP3771683B2 (ja) 枚葉印刷機の紙揃え装置
JP2016068913A (ja) 台車の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