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130B1 -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 Google Patents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130B1
KR101275130B1 KR1020110061352A KR20110061352A KR101275130B1 KR 101275130 B1 KR101275130 B1 KR 101275130B1 KR 1020110061352 A KR1020110061352 A KR 1020110061352A KR 20110061352 A KR20110061352 A KR 20110061352A KR 101275130 B1 KR101275130 B1 KR 10127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board
unit
punching
gripp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678A (ko
Inventor
이경택
Original Assignee
영신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기계(주) filed Critical 영신기계(주)
Priority to KR102011006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130B1/ko
Priority to US13/531,125 priority patent/US20120325064A1/en
Publication of KR2013000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31B50/592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using punch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448With subsequent handling [i.e., of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은, 판지(S)의 전방 마크(Q)와 측방 마크(R)를 감지하고, 중앙처리장치(155)에 의해서 오차값을 계산한 후, 상기 전방 레버(135)와 측방 레버(137)가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판지(S)의 전방 모서리(J)와 일측방 모서리(K)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전방 마크(Q)와 측방 마크(R)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패턴(P)을 금형(131)과 정확하게 부합시켜서 절단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The sheet blanking method that used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판지를 잡고 있는 그립퍼를 레버로 푸시하여 판지가 금형과 부합하도록 위치조정함으로써 정확한 타발이 가능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타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타발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타발기에서 그립퍼가 판지를 잡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타발기에서 판지를 잡은 그립퍼가 전방 레버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패턴과 마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의 판지를 잡은 그립퍼가 전방 레버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패턴과 마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의 판지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타발기(1)는 골판지나 마분지 등의 판지(S)를 다양한 형태의 박스 제작이 가능하도록, 전개도 형상으로 테두리를 커팅하여, 다양한 형태의 박스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계이다.
이러한 타발기(1)는 절단된 판지를 한 장씩 공급하는 급지부(10)와, 상기 급지부(10)를 통해 공급된 판지(S)를 전방 및 측방으로 밀착하여 정렬하는 정렬부(20)와,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공급된 판지(S)를 금형으로 가압하는 타발부(30)와, 상기 정렬부(20)에서 판지(S)를 잡고서 타발부(30)로 이송한 후, 타발 된 판지(S)를 배출시키는 이송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렬부(20)에는 컨베이어(21)가 구성되어 급지부(10)에서 공급된 판지(S)를 정렬부(20) 중앙으로 이송시키고, 전방으로 밀어주는 롤러와 일측방으로 밀어주는 롤러가 장착되어 판지(S)를 전방과 일측방으로 밀착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러는 하방으로 압박하면서 판지(S)를 밀어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이송부(40)는 타발기(1)의 일측방 내측면과 상대측방 내측면에 고정된 레일(41)과, 상기 레일(41)을 따라서 순환하는 체인(43)과, 상기 양측 체인(43)에 연결되어 체인(43)과 함께 순환하며 상기 판지(S)를 잡도록 구성된 그립퍼(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립퍼(45)는 양측 체인(43)에 고정된 바(46, bar)와, 상기 바(46)에 고정되어 판지(S)를 집게처럼 집도록 구성된 핑거(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발부(30)는 하부에서 금형(31)이 상하로 왕복하도록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금형(31)의 상승을 저지하는 정반(3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금형(31)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정렬부(20)의 전방부와 높이가 같도록 구성되어 그립퍼(45)가 전진하면 시트(S)가 자연히 금형(31)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판지(S)는 박스의 전개도인 패턴(P)이 다수 개 인쇄되고, 상기 판지(S)의 둘레에는 짧은 선 형상의 마크(Q, R)가 인쇄된다. 상기 마크(Q, R)는 패턴(P)과 함께 인쇄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크(Q, R)가 금형(31) 상면의 정해진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금형(31)과 패턴(P)은 정확하게 부합하게 된다. 따라서, 패턴(P)을 정확하게 윤곽대로 절단한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일반적인 타발기(1)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급지부(10)를 통해서 상기 정렬부(20)로 판지(S)가 공급되는 급지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급지부(10)를 통해서 들어온 판지(S)를 컨베이어(21)로 이송하여 정렬부(20) 중앙에 위치시킨 후, 상기 롤러를 작동시켜서 판지(S)를 정렬부(20)의 전방과 일측방으로 밀착시키도록 하는 정렬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기준은 상기 마크(Q, R)가 되는 것이 아니고 정렬부의 전방과 일측방으로 밀착된 판지(S)의 전방 모서리(J)와 일측방 모서리(K)가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퍼(45)가 상기 판지(S)의 전방을 잡는 그립핑 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그립퍼(45)가 상기 금형(31)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이송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그립퍼(45)는 정해진 지점에서 못 미치는 지점에 멈추게 되는데, 레버(35)가 그립퍼(45) 후방에서 전방으로 일률적으로 밀어주어서 정위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금형(31)이 상향하면서 판지(S)가 정반(33)에 밀착되도록 압박함으로써, 패턴(P)이 절단되도록 하는 타발 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타발된 판지(S)를 그립퍼(45)가 잡은 상태로 배출되는 배출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배출된 판지(S)는 용이하게 패턴(P)과 테두리(U)로 분리하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상기 정렬단계에서 판지의 전방 모서리와 측방 모서리를 기준으로 한 상태에서 그립퍼가 타발부로 이송된 상태가 되면, 판지의 패턴과 금형이 부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서처럼, 양측 2개의 전방 마크가 전방 모서리로부터 정해진 거리에 있고, 일측방의 측방 마크가 측방 모서리로부터 정해진 거리에 있다면, 정확한 타발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5 및 도 6에서처럼, 패턴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 그리고, 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 또는 일측방으로 밀려나간 상태로 인쇄된 경우, 상기 마크도 패턴과 함께 인쇄되므로, 상기 전방 마크와 측방 마크는 각각 전방 모서리와 측방 모서리에서 정해진 거리에 있지 않게 된다. 즉, 도 6에서처럼, 거리 L과 M은 규정된 거리에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그립퍼가 판지를 물고서 정해진 지점까지 이송하게 되면, 점선으로 표시한 금형의 윤곽과 패턴의 윤곽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정확한 타발이 불가능하게 되어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타발 시, 판지의 전방 모서리와 측방 모서리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마크를 기준으로 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은, 절단된 판지를 한 장씩 공급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를 통해 공급된 판지를 전방 및 측방으로 밀착하여 정렬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를 통해 공급된 판지를 금형으로 가압하는 타발부와, 상기 정렬부에서 판지를 잡고서 타발부로 이송한 후, 타발 된 판지를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타발기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를 통해 상기 정렬부로 판지를 공급하는 급지단계와, 상기 급지단계를 통해 공급된 판지를 상기 정렬부의 전방과 측방으로 밀착시키는 정렬단계와, 상기 판지에 인쇄된 전방 양쪽 마크가 판지의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판지에 인쇄된 일측방의 마크가 판지의 일측방 모서리에서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값을 계산하는 오차값 계산단계와, 상기 그립퍼가 상기 판지를 잡는 그립핑 단계와, 상기 그립퍼가 상기 타발부로 이송하여 정지하는 이송 단계와, 상기 오차값 만큼 상기 그립퍼를 푸시하도록 하는 푸시량 조정단계와, 상기 금형을 상승시켜서 판지를 펀칭하는 타발 단계와, 상기 그립퍼가 상기 판지를 잡고서 배출된 후, 놓고서 다시 정렬단계로 복귀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정렬부에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중앙처리장치를 장착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마크의 영상을 인식한 후, 상기 판지에 인쇄된 전방 양쪽 마크가 판지의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진 거리값을 측정하고, 상기 판지에 인쇄된 일측방의 마크가 판지의 측방 모서리에서 떨어진 거리값을 측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오차값 계산 단계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거리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계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푸시량 조정단계는, 전방 레버와 측방 레버가 서보모터에 의해 전진량이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서보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전방 레버와 측방 레버가 오차값만큼 전진하도록 하여 그립퍼를 푸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은, 판지의 전방 마크와 측방 마크를 감지하고, 중앙처리장치에 의해서 오차값을 계산한 후, 상기 전방 레버와 측방 레버가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판지의 전방 모서리와 일측방 모서리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전방 마크와 측방 마크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패턴을 금형과 정확하게 부합시켜서 절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타발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타발기에서 그립퍼가 판지를 잡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타발기에서 판지를 잡은 그립퍼가 전방 레버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패턴과 마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의 판지를 잡은 그립퍼가 전방 레버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패턴과 마크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의 판지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발기의 정렬부에, 전면 카메라와 측면 카메라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발기의 타발부에 전방 레버 및 측방 레버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발기에서 전방 레버 및 측방 레버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에서 그립퍼를 푸시하여 판지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지 타발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발기의 정렬부에, 전면 카메라와 측면 카메라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발기의 타발부에 전방 레버 및 측방 레버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발기에서 전방 레버 및 측방 레버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에서 그립퍼를 푸시하여 판지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판지(S)를 타발 함에 있어서, 상기 판지(S)의 전방 모서리(J)와 일측방 모서리(K)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전방 양쪽 및 일측방에 인쇄된 마크(Q, R)를 기준으로 하여, 금형(131)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판지(S)에 인쇄된 패턴(P)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먼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타발기(100)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타발기(100)는, 절단된 판지(S)를 한 장씩 공급하는 급지부(110)와, 상기 급지부(110)를 통해 공급된 판지(S)를 전방 및 측방으로 밀착하여 정렬하는 정렬부(120)와, 상기 정렬부(120)를 통해 공급된 판지를 금형(131)으로 가압하는 타발부(130)와, 상기 정렬부(120)에서 판지(P)를 잡고서 타발부(130)로 이송한 후, 타발 된 판지(S)를 배출시키는 이송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지부(110)는 일례로서 흡착판이 판지(S)를 흡착한 후, 상기 정렬부(120)로 전진하여 판지(S)를 밀어 넣은 후, 흡착을 해제하고, 후진하여 다시 공급할 판지(S)를 흡착하는 일반적인 장치이다.
상기 정렬부(120)는 판지(S)를 정렬부(120)의 상면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21)와, 상기 컨베이어(1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정렬부(120)에 장착되어 판지(S)를 전방 및 일측방으로 밀어주는 롤러(123, 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123) 중 일측 롤러(123)는 정렬부(120)의 전방에 장착되어 시트(S)를 전방으로 밀어붙이고, 상대측 롤러(125)는 정렬부(120)의 측방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S)를 측방으로 밀어붙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140)는 타발기(100)의 일측방 내측면과 상대측방 내측면에 고정된 레일(141)과, 상기 레일(141)을 따라서 순환하는 체인(143)과, 상기 양측 체인(143)에 연결되어 순환하며 상기 판지(S)를 잡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그립퍼(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립퍼(145)는 상기 양측 체인(143)에 연결된 바(146, bar)와, 상기 바(146)에 고정되어 판지(S)를 잡는 핑거(147)를 포함한다.
상기 타발부(130)는 하방에서 상하로 왕복하는 금형(131)과, 상기 금형(131)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금형(131)의 상승을 저지하는 정반(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발부(130)의 전방 양쪽에서 상기 그립퍼(145)의 전진을 멈추는 정지레버(미도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그립퍼(145)의 후방에서 그립퍼(145)를 밀어주는 전방 레버(135)가 양쪽에 구성된다. 상기 전방레버(135)는 그립퍼(145)가 타발부(130)로 이송한 후, 도 13에서처럼 그립퍼(145)의 후방에서 그립퍼(145)를 오차값만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발부(130)의 전방의 일측방에서 상기 그립퍼(145)를 가압하는 측방 레버(137)와, 상기 측방 레버(137)의 상대측에서 상기 그립퍼(145)를 밀어주는 푸시(139)가 구성된다. 상기 푸시(139)는 일례로 팽창 스프링이 가능하다. 상기 전방 레버(135)는 축이음 되어 전후방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측방 레버(137)는 축이음되어 좌우측방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타발기(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급지부(110)를 통해 상기 정렬부(120)로 판지(S)를 공급하는 급지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급지단계를 통해 공급된 판지(S)를 상기 정렬부(120)의 전방과 측방으로 밀착시키는 정렬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정렬부(120)는 컨베이어(121)가 구성되어 급지부(110)에서 유입되는 시트(S)를 전방으로 이송시켜서 정렬부(12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전방에 구성된 롤러(123)가 시트(S)에 압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어붙이고, 상기 상대측 롤러(125)는 상기 시트(S)를 측방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S)는 정렬부(120)의 전방과 일측방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정렬단계 후에 판지(S)의 전방 모서리(J)에서 전방 마크(Q)까지의 거리와 어느 한쪽의 일측방 모서리(K)에서 측방 마크(R)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에서 알아낸 측정값과 본래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오차값을 계산해 내는 오차값 계산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그립퍼(145)가 상기 판지(S)를 잡는 그립핑 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퍼(145)는 체인(143)을 따라 순환하여 판지(S)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판지(S)를 붙잡는다.
또한, 상기 그립퍼(145)가 상기 타발부(130)로 이송하는 이송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그립퍼(145)는 상기 정지레버(미도시)에 의해 전진이 멈추어진다. 따라서 항상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상기 정지레버(미도시)는 세워져서 그립퍼(145)의 이송을 저지한 후, 다시 숙여져서 그립퍼(145)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반적인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전방 레버(135)와 측방 레버(137)를 기준 세팅된 상태에서 상기 오차값만큼 푸시하도록 하는 푸시량 조정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퍼(145)가 전방 레버(135)와 측방 레버(137)에 의해 위치와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시트(S)는 금형(131)에 부합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즉, 전방 마크(Q)와 측방 마크(R)가 각각 판지(S)의 전방 모서리(J)와 일측방 모서리(K)에서 기준값 만큼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판지(S)와 금형(131)이 부합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방 레버(135)와 측방 레버(137)가 상기 그립퍼(145)를 비틀거나 측방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판지(S)에 인쇄된 전방 마크(Q)와 측방 마크(R)의 위치가 기준값과 차이가 난다면 상기 전방 레버(135)의 전진 이송량과 측방 레버(137)의 측방 이송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판지(S)의 패턴(P)과 금형(131)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13에서처럼, 판지에 인쇄된 패턴(P)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라면, 도 13의 우측의 전방레버(135)가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고, 측방 레버(137)가 전진하게 됨으로써 상기 시트(S)는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패턴(P)이 금형(131)에 부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좌측의 전방레버(135)는 오차값이 0(zero)이면 전진하지 않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패턴(P)이 f만큼 평행하게 후진한 상태이고, 일측방(푸시(139) 방향)으로 j만큼 이동한 상태라면, 상기 전방 레버(135)는 f만큼 전진(판지의 이송 방향)하게 되고, 상기 측방 레버(137)는 상대측으로 j만큼 이송한 상태가 되는데, 이때 그립퍼(145)는 푸시(139)에 의해 측방 레버(137)를 밀어붙이게 된다.
상기 푸시량 조정단계 이후에, 상기 금형(131)을 상승시켜서 판지(S)를 펀칭하는 타발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시량 조정단계 이후에, 상기 그립퍼(145)가 상기 판지(S)를 잡고서 배출된 후, 놓고서 다시 정렬단계로 복귀하는 배출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방레버(135)는 숙여지면서 그립퍼(145)가 다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배출된 판지(S)는 절단된 패턴(P)과 테두리(U)로 분리한다.
상기 측정단계, 오차값 계산단계, 푸시량 조정단계는 일실시예로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버(135)와 측방 레버(137)는 서보모터(158)가 연결되어 회동량이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렬부(120)의 전방 양쪽에서 하방을 감시하도록 카메라(127)가 장착되어 판지(S)의 전방 양쪽에 표시된 전방 마크(Q)를 인지하게 되고, 전방의 일측방에 장착되어 하방을 감시하는 카메라(129)는 판지(S) 전방의 일측방에 인쇄된 측방 마크(R)를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127, 129)를 통해서 상기 마크(Q, R)의 영상을 인식한 후, 상기 판지(S)에 인쇄된 전방 양쪽 마크(Q)가 판지의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진 거리값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판지(S)에 인쇄된 일측방의 마크(R)가 판지의 측방 모서리에서 떨어진 거리값을 측정한 후,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값을 계산하여, 상기 오차값 만큼 서보 모터(158)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앙처리장치(155)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카메라(127, 129)를 통해서 중앙처리장치(155)에서 거리값을 측정하게 되고, 상기 오차값 계산단계는 중앙처리장치(155)에서 상기 측정한 거리값과 기준값을 비교해서 계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량 조정단계는 서보모터(158)를 작동시켜서 상기 전방레버(135)와 상기 측방레버(137)의 회동량을 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지(S)의 전방 마크(Q)와 측방 마크(R)를 감지하고, 중앙처리장치(155)에 의해서 오차값을 계산한 후, 상기 전방 레버(135)와 측방 레버(137)가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판지(S)의 전방 모서리(J)와 일측방 모서리(K)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전방 마크(Q)와 측방 마크(R)를 기준으로 함으로써, 패턴(P)의 정확한 절단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100: 타발기 110: 급지부
120: 정렬부 121: 컨베이어
123, 125: 롤러 130: 타발부
131: 금형 133: 정반
135: 전방 레버 137: 측방 레버
139: 푸시 140: 이송부
141: 레일 143: 체인
145: 그립퍼 146: 바
147: 핑거 155: 중앙처리장치
158: 서보모터

Claims (2)

  1. 절단된 판지(S)를 한 장씩 공급하는 급지부(110)와,
    상기 급지부(110)를 통해 공급된 판지(S)를 전방 및 측방으로 밀착하여 정렬하는 정렬부(120)와,
    상기 정렬부(120)를 통해 공급된 판지를 금형(131)으로 가압하는 타발부(130)와,
    상기 정렬부(120)에서 판지(P)를 잡고서 타발부(130)로 이송한 후, 타발 된 판지(S)를 배출시키는 이송부(140)를 포함하는 타발기(100)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140)는 상기 타발기(100)의 일측방 내측면과 상대측방 내측면에 고정된 레일(141)과, 상기 레일(141)을 따라서 순환하는 체인(143)과, 상기 양측 체인(143)에 연결되어 순환하며 상기 판지(S)를 잡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그립퍼(145)를 포함하는 타발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급지부(110)를 통해 상기 정렬부(120)로 판지를 공급하는 급지단계와,
    상기 급지단계를 통해 공급된 판지(S)를 상기 정렬부(120)의 전방과 측방으로 밀착시키는 정렬단계와,
    상기 판지(S)에 인쇄된 전방 양쪽 마크(Q)가 판지(S)의 전방 모서리(J)에서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판지(S)에 인쇄된 일측방의 마크(R)가 판지(S)의 일측방 모서리(K)에서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값을 계산하는 오차값 계산단계와,
    상기 그립퍼(145)가 상기 판지(S)를 잡는 그립핑 단계와,
    상기 그립퍼(145)가 상기 타발부(130)로 이송하여 정지하는 이송 단계와,
    상기 오차값 만큼 상기 그립퍼(145)를 푸시하도록 하는 푸시량 조정단계와,
    상기 금형(131)을 상승시켜서 판지(S)를 펀칭하는 타발 단계와,
    상기 그립퍼(145)가 상기 판지(S)를 잡고서 배출된 후, 놓고서 다시 정렬단계로 복귀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정렬부(120)에 카메라(127, 129)와 상기 카메라(127, 129)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중앙처리장치(155)를 장착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55)가 상기 카메라(127, 129)를 통해서 상기 마크(Q, R)의 영상을 인식한 후, 상기 판지(S)에 인쇄된 전방 양쪽 마크(Q)가 판지의 전방 모서리에서 떨어진 거리값을 측정하고, 상기 판지(S)에 인쇄된 일측방의 마크(R)가 판지의 측방 모서리에서 떨어진 거리값을 측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오차값 계산 단계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55)가 상기 거리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계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푸시량 조정단계는, 전방 레버(135)와 측방 레버(137)가 서보모터(158)에 의해 전진량이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55)가 상기 서보모터(158)를 작동하여 상기 전방 레버(135)와 측방 레버(137)가 오차값만큼 전진하도록 하여 그립퍼(145)를 푸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KR1020110061352A 2011-06-23 2011-06-23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KR10127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352A KR101275130B1 (ko) 2011-06-23 2011-06-23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US13/531,125 US20120325064A1 (en) 2011-06-23 2012-06-22 The sheet blanking method that used cut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352A KR101275130B1 (ko) 2011-06-23 2011-06-23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78A KR20130000678A (ko) 2013-01-03
KR101275130B1 true KR101275130B1 (ko) 2013-06-17

Family

ID=4736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352A KR101275130B1 (ko) 2011-06-23 2011-06-23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325064A1 (ko)
KR (1) KR101275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219B1 (ko) * 2014-09-29 2015-05-15 대양패키지 주식회사 포장박스 전개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박스 전개판
US9994042B2 (en) 2015-04-16 2018-06-12 Victor Manuel Sud Arce Substrates and method for print engravings
CN106272676B (zh) * 2015-06-11 2018-04-20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基于自动化裁床的卫星保护罩先包膜后冲孔制作方法
CN107584002B (zh) * 2016-07-07 2019-07-05 东莞市鸿企机械有限公司 全自动模切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93A (ja) * 1997-06-20 1999-01-19 Toshiba Fa Syst Eng Kk 基板穴あけ装置
KR100545694B1 (ko) * 2003-07-23 2006-01-24 가부시키가이샤 야스기 세이사쿠쇼 인쇄 원판용 펀칭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6506A (en) * 1988-09-20 1991-05-21 Redicon Corporation Method for multidirectional sheet feeding
JPH07314844A (ja) * 1994-05-25 1995-12-05 Ricoh Co Ltd プリンタ装置
US6619167B2 (en) * 2001-04-05 2003-09-16 Steen Mikkels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cutting of graphics areas from sheets
US6672187B2 (en) * 2001-04-05 2004-01-06 Mikkelsen Graphic Engi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precision cutting of graphics areas from sheets
US7182007B2 (en) * 2004-01-29 2007-02-27 Esko-Graphics A/S Method for dynamically aligning substrates bearing printed reference marks and codes for automated cutting or scoring, and substrates so cut or scored
US7140283B2 (en) * 2004-05-05 2006-11-28 Mikkelsen Graphic Engineering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ision registration of graphics areas operating from the unprinted side
GB2435009B (en) * 2006-01-16 2008-10-01 Bausch & Lomb Method of aligning and cutting web of lidstock
FR2905889B1 (fr) * 2006-06-29 2010-02-05 Didier Georges Dubesset Dispositif d'apprentissage d'une forme a decouper autour de motifs imprimes sur un support d'impression plan,machine a decouper equipee d'un tel dispositif et procede pour sa mise en oeuv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93A (ja) * 1997-06-20 1999-01-19 Toshiba Fa Syst Eng Kk 基板穴あけ装置
KR100545694B1 (ko) * 2003-07-23 2006-01-24 가부시키가이샤 야스기 세이사쿠쇼 인쇄 원판용 펀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5064A1 (en) 2012-12-27
KR20130000678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058B1 (ko) 처리 기계에서 판형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75130B1 (ko) 레지스터를 이용한 판지 타발 방법
CN102822075B (zh) 纸件处理设备
JP2008030958A (ja) 見当合わせが行われる枚葉紙打抜き・型押し機、および枚葉紙打抜き・型押し機を作動させる方法
ES2553963T3 (es) Procedimiento para ubicar la posición de hojas y para alinear hojas
US20200223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er Module for Automated Composite-Based Additive Manufacturing Machine
EP3581381A1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sheets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and digital printing line
EP2640550B1 (en) Device for dismantling of chosen parts of assembled pallets
JP2008200804A (ja) 断裁装置
JP6837080B2 (ja) レジスタ、加工機、及び板状要素の配置方法
JP6722269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US20090013884A1 (en) Sheet punching and embossing machine and method for orienting the sheets
KR100594338B1 (ko) 시트를 가공 기계의 진입부 안으로 위치 정렬 시키기 위한장치
TWI572545B (zh) 用於板片元件側向定位的裝置
JP3496212B2 (ja) 打ち抜き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打ち抜き装置
US11001465B2 (en) Device for the linear corrective transport of ribbon-shaped substrates
JP2010052105A (ja) 半自動平盤打抜機
JP3820398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被印刷物の位置調節装置及びその位置調節方法
JP2008116867A (ja) 刷版識別装置および刷版製造装置
KR102276996B1 (ko) 자동화장치를 이용한 이형지라벨 용기 부착 방법
JP2002346983A (ja) 積載シートの断裁装置
KR101468820B1 (ko) 보강재 펀칭 장치
JP6787568B2 (ja) 製材用の丸太材の準備装置
KR20100135512A (ko) 골판지의 급지장치
JP4025465B2 (ja) 柄付きボードの柄合わせ加工装置及び柄合わせ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