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118B1 - 전자기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기 릴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7118B1 KR101957118B1 KR1020187030059A KR20187030059A KR101957118B1 KR 101957118 B1 KR101957118 B1 KR 101957118B1 KR 1020187030059 A KR1020187030059 A KR 1020187030059A KR 20187030059 A KR20187030059 A KR 20187030059A KR 101957118 B1 KR101957118 B1 KR 101957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movable
- stationary
- fixed
- movable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ontact-making surface, e.g. groov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 spring blade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전자기 릴레이는, 고정 접점판과 고정 접점판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판과 가동 접점판에 설치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킴으로써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전자석 장치를 포함하고, 고정 접점판 또는 가동 접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점판은, 접점판의 다른 영역보다 두께가 얇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접점 영역을 가지며, 접점판의 접점은 머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하고, 몸체부가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머리부가 접점 영역의 제1 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당해 제1면과는 반대쪽인 제2 면으로부터 몸체부의 선단을 힘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접점이 접점판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기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전기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접점을 개폐하는 전자기 릴레이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 릴레이는, 고정 접점부와, 고정 접점부에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석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는 각각 접점 스프링과 접점을 가지는데, 이들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는, 이제까지 소형화, 품질·내구성의 향상 등의 관점에서 여러가지가 제안되었다.
한편, 전자기 릴레이의 경우,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 방전을 단시간에 소호(消弧) 가능한 구성이 요구된다.
이상을 고려할 때,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서, 아크 방전의 소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기 릴레이는, 고정 접점판과 상기 고정 접점판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판과 상기 가동 접점판에 설치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전자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판 또는 상기 가동 접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점판은, 상기 접점판의 다른 영역보다 두께가 얇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접점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접점판의 접점은 머리부와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접점 영역의 제1 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당해 제1면과는 반대쪽인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선단을 힘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접점이 상기 접점판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기 릴레이에 있어서 아크 방전의 소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고정 접점부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고정 접점부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클래드재에 의해 고정 접점부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클래드재에 의해 고정 접점부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클래드재에 의해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고정 접점부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고정 접점부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클래드재에 의해 고정 접점부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클래드재에 의해 고정 접점부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클래드재에 의해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1.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외측 커버를 탈거한 상태의 전자기 릴레이의 전체 구성 및 전자기 릴레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 릴레이(100)는, 고정 접점부(110a,110b)와, 가동 접점부(120a,120b)와, 전자석 장치(130)를 가진다. 고정 접점부(110a,110b)와 가동 접점부(120a,120b)와 전자석 장치(130)는, 베이스 몰드(140)와 바닥판(1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50)의 하측에는 단자(160,170)가 돌출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110a,110b)는 고정 접점 스프링(고정 접점판,111a/111b)과 고정 접점(112a,112b)을 각각 가지고, 각각의 고정 접점 스프링(111a,111b)은 2개의 단자(160) 중 한쪽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부(120a,120b)는 가동 접점 스프링(가동 접점판,121a/121b)과 가동 접점(122a,122b)을 각각 가지고, 각각 고정 접점 스프링(111a,111b) 및 고정 접점(112a,112b)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의 가동 접점 스프링(121a,121b)은 유지 부재(136)를 사이에 두고 접극자(131)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석 장치(130)는 접극자(131), 철심(132), 권선(133), 구동용 계철(134), 힌지 스프링(135), 유지 부재(136)를 가진다.
접극자(131)는 구동용 계철(134)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극자(131)가 구동용 계철(134)의 상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면, 유지 부재(136)를 사이에 두고 접극자(131)에 접속된 가동 접점부(120a,120b)는, 접촉 위치와 비접촉 위치의 사이를 왕복 동작한다. 한편, 접촉 위치라 함은 가동 접점(122a,122b)과 고정 접점(112a,112b)이 접촉하는 위치를 말하고, 비접촉 위치라 함은 가동 접점(122a,122b)과 고정 접점(112a,112b)이 비접촉으로 되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접극자(131)는 철심(132)의 단면(철심면)에 대해 흡착·이반한다. 구체적으로는, 권선(133)에 접속된 단자(170)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접극자(131)는 철심면에 흡착된다. 이 결과, 가동 접점부(120a,120b)가 접촉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가동 접점부(120a,120b)가 접촉 위치로 이동하면, 한쪽의 단자(예를 들어, 도 1에서 좌측 단자,160)가 다른쪽의 단자(예를 들어, 도 1에서 우측 단자,160)에 도통(導通)하게 된다. 이 때, 전류는 한쪽의 단자(160)로부터 고정 접점 스프링(111a)으로 흐르고, 고정 접점(112a)과 가동 접점(122a)의 사이에서 화살표(113) 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전류는 가동 접점(122a)으로부터 가동 접점 스프링(121a,121b)으로 흐르고, 가동 접점(122b)와 고정 접점(112b)의 사이에서 화살표(114) 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전류는 고정 접점(112b)으로부터 고정 접점 스프링(111b)으로 흐르고, 다른쪽의 단자(160)로 흐른다.
힌지 스프링(135)은 접극자(131)가 철심면으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접극자(131)를 가압한다. 또한, 힌지 스프링(135)은 접극자(131)가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접극자(131)를 늘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170)로의 전압 인가가 정지되면, 접극자(131)는 철심면으로부터 이반하고, 가동 접점부(120a,120b)는 비접촉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음에 단자(170)로 전압이 인가될 때까지 가동 접점부(120a,120b)는 비접촉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2.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1)>
이어서,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크 방전은, 고정 접점(112a)과 가동 접점(122a) 및 고정 접점(112b)과 가동 접점(122b)이 각각 접촉할 때 또는 떨어질 때에 발생하는 방전 현상이다. 전자기 릴레이(100)의 경우, 아크 방전이 소멸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면, 대응하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즉, 접극자(131)가 철심(132)으로부터 이반하여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의 물리적 접속이 차단된다 하여도, 전기적 접속이 차단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기 릴레이(100)에서는, 고정 접점(112a,112b) 및 가동 접점(122a,122b)에 대하여 양 측면으로부터 자기장을 가하여 로렌츠힘을 발생시킴으로써,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키는 소호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도 2a는 아크 방전의 소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고정 접점부(110a,110b)와 가동 접점부(120a,120b)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2a에서, 화살표(113)는 고정 접점(112a)와 가동 접점(122a)의 사이에서 흐르는 전류(Ia)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살표(202)는 고정 접점(112a) 및 가동 접점(122a)의 양측면에 영구 자석(221a,222a)을 배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기장(Ba)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자기장(Ba)이 화살표(202) 방향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류(Ia)가 화살표(113) 방향으로 흐르면, 도 2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203) 방향으로 로렌츠힘(Fa)이 발생한다. 이로써, 접점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 방전이 Fa의 방향으로 불어져서,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a에서, 화살표(114)는 고정 접점(112b)와 가동 접점(122b)의 사이에서 흐르는 전류(Ib)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살표(212)는 고정 접점(112b) 및 가동 접점(122b)의 양측면에 영구 자석(221b,222b)을 배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기장(Bb)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자기장(Bb)이 화살표(212) 방향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류(Ib)가 화살표(114) 방향으로 흐르면, 도 2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213) 방향으로 로렌츠힘(Fb)이 발생한다. 이로써, 접점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 방전이 Fb의 방향으로 불어져서,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b, 도 2c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로렌츠힘(Fa)이 발생하는 방향과 로렌츠힘(Fb)이 발생하는 방향은 동일하다. 즉, 로렌츠힘(Fa)이 발생하는 방향과 로렌츠힘(Fb)이 발생하는 방향이 동일하도록, 전류(Ia) 및 전류(Ib)가 흐르는 방향을 감안하여, 영구 자석(221a,222a,221b,222b)의 자극 방향이 정해져 있다.
<3. 아크 방전의 소호 기능(2)>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100)의 소호 기능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100)에서는, 로렌츠힘(Fa,Fb)을 발생시키는 것 뿐 아니라, 로렌츠힘(Fa,Fb)의 발생 방향에 있어서 고정 접점과 고정 접점 스프링 사이의 급격한 형상 변화를 억제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고정 접점과 고정 접점 스프링 사이에 단차 등의 급격한 형상 변화가 있는 경우, 아크 방전이 단차 등에서 재점호하게 되어,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킬 때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도 3a와 도 3b는, 고정 접점부(110b)에 있어서, 고정 접점 스프링(111b)과 고정 접점(112b) 사이의 단차를 작게 함으로써 급격한 형상 변화를 억제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고정 접점부(110b)와 가동 접점부(120b)를 포함하는 전자기 릴레이(100)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영역(300, 고정 접점부(110b)와 가동 접점부(120b)) 확대도이다.
도 3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부(110b)에서는, 로렌츠힘(Fb)의 발생 방향(화살표(213) 방향)에서의 고정 접점(112b)과 고정 접점 스프링(111b) 사이의 급격한 형상 변화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접점 스프링(111b)의 선단 영역(301)의 두께를 다른 영역보다 얇게 하고, 선단 영역(301)에 고정 접점(112b)을 배치함으로써, 고정 접점(112b)의 화살표(213) 방향의 바깥 가장자리와 고정 접점 스프링(111b) 사이의 단차를 작게 하고 있다.
즉, 고정 접점 스프링(111b)의 선단 영역(301)의 두께를 다른 영역보다 얇게 함으로써, 얇게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고정 접점(112b)의 화살표(213) 방향의 바깥 가장자리(303)와 고정 접점 스프링(111b)의 표면(302)과의 단차(d)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아크 방전이 고정 접점(112b)의 바깥 가장자리(303)와 고정 접점 스프링(112b)의 표면 사이의 단차에서 재점호하는 일이 없게 되어,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b에서는 고정 접점부(110b)의 구성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고정 접점부(110a)의 구성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자기 릴레이(100)가 직류 부하에 사용되는 경우,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에 의해, 접점의 바깥 가장자리와 접점 스프링의 표면 사이의 단차에 끼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르다. 이 때문에,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 중, 도 3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부에서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만으로도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키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고정 접점(112b)의 직경이 큰 경우, 접촉면을 둥글게 한 채 고정 접점(112b)의 두께를 얇게 가공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고정 접점 스프링(111b)의 선단 영역(301)의 두께를 다른 영역보다 얇게 함으로써, 단차(d)를 억제하는 상기 구성은, 고정 접점(112b)의 직경이 큰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접점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것은, 접점의 직경이 작은 경우와 비교할 때, 접점에 흐르는 전류가 큰 경우에도 전기적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고정 접점의 설치 방법>
이어서, 고정 접점(112b)을 고정 접점 스프링(111b)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 접점을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납땜 가공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납땜 가공의 경우, 치수 정확도가 나쁘고, 땜납을 용해시키기 위한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100)에서는, 고정 접점용 접점 부재를 고정 접점 스프링(111b)에 설치함에 있어, 리벳 접합을 이용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리벳 접합에 의해 접점 부재(410b)를 고정 접점 스프링(111b)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 스프링(111b)의 선단 영역(301)에는 관통 구멍(401)이 설치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벳 구조를 가지는 접점 부재(410b)의 몸체부(411)를 관통 구멍(401)에 삽입 관통시킨다. 이로써,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벳 구조를 가지는 접점 부재(410b)의 머리부(412)의 아랫면과 선단 영역(301)의 표면이 면접촉하도록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접점 스프링(111b)의 반대쪽 (이면(402)쪽)으로부터 접점 부재(410b)의 몸체부(411)를 고정함으로써, 즉, 몸체부(411)의 선단을 힘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부재(410b)가 고정 접점 스프링(111b)에 접합되어 고정 접점(112b)을 형성한다. 한편, 머리부(412)는 관통 구멍(40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몸체부(411)는 관통 구멍(401)과 같은 직경을 가진다.
이와 같이, 리벳 접합에 의해 고정 접점을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한 경우, 납땜 가공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5. 종합>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 릴레이에서는,
고정 접점 스프링의 선단 영역의 두께를 다른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하고, 당해 선단 영역에 고정 접점을 배치함으로써, 로렌츠힘 발생방향에서의 고정 접점의 바깥 가장자리와 고정 접점 스프링의 단차를 작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키는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정 접점 스프링의 선단 영역에 고정 접점을 설치함에 있어, 리벳 접합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크기가 작은 고정 접점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접점을 리벳 접합에 의해 고정 접점 스프링에 설치함으로써 고정 접점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고정 접점부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접점 스프링을 구성하는 부재에 접점을 구성하는 귀금속부를 압연하여 접합된 평탄한 클래드재(clad metal)에 의해 고정 접점부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a와 도 5b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클래드재에 의해 구성된 고정 접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5a는 고정 접점부(510b)와 가동 접점부(120b)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5b는 클래드재에 의해 구성된 고정 접점부(510b)의 사시도이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부(510b)는, 고정 접점(512b)을 구성하는 귀금속부가 고정 접점 스프링(511b)을 구성하는 금속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 메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이로써, 고정 접점(512b)와 고정 접점 스프링(511b)의 사이에 단차는 없고,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고정 접점부(510b)에 의하면,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키는 소호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클래드재를 이용한 경우, 리벳 접합에 의해 고정 접점을 설치한 경우처럼 선단 영역의 두께가 다른 영역의 두께보다 얇아지도록 고정 접점 스프링을 가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고정 접점의 바깥 가장자리와 고정 접점 스프링의 표면 사이의 단차를 작게 하기 위하여 고정 접점의 머리부의 두께를 그렇게까지 얇게 가공할 필요도 없다.
즉, 클래드재에 의해 고정 접점부를 구성함으로써, 고정 접점부의 생성이 용이하게 되면서도 소호 성능이 향상된다.
[제3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접점부에 있어서 클래드재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 양쪽에 클래드재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6은, 클래드재에 의해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부를 구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부(620b)는, 가동 접점(622b)을 구성하는 귀금속부가 가동 접점 스프링(621b)을 구성하는 금속에 메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접점(622b)의 바깥 가장자리와 가동 접점 스프링(621b)의 표면 사이에 단차는 없다. 그 결과, 아크 방전을 조기에 소멸시키는 소호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제4 실시형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로렌츠힘이 하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로렌츠힘의 발생방향은 하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렌츠힘이 상방향으로 발생하도록, 영구 자석(221a,222a,221b,222b)의 자극 방향을 정하여도 좋다. 다만, 이 경우, 접점의 바깥 가장자리 중 상측 부분과 접점 스프링의 표면 사이의 단차를 작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방향으로 아크 방전이 불어진 경우에, 접점의 바깥 가장자리의 상측 부분과 접점 스프링의 표면 사이의 단차에서 재점호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구성은 다른 요소와 조합하는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응용 형태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4년 7월 3일에 출원된 기초 출원 2014-13812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써 여기에 원용한다.
100 전자기 릴레이 110a,110b,510b 고정 접점부
111a,111b,511b 고정 접점 스프링 112a,112b,512b 고정 접점
120a,120b,620b 가동 접점부 121a,121b,621b 가동 접점 스프링
122a,122b,622b 가동 접점
130 전자석 장치 131 접극자
132 철심 133 권선
134 구동용 계철 135 힌지 스프링
136 유지 부재 140 베이스 몰드
150 바닥판 160 단자
170 단자 221a,222a 영구 자석
221b,222b 영구 자석 301 선단 영역
302 표면 303 바깥 가장자리
401 관통 구멍 402 이면
410b 접점 부재 411 몸체부
412 머리부
111a,111b,511b 고정 접점 스프링 112a,112b,512b 고정 접점
120a,120b,620b 가동 접점부 121a,121b,621b 가동 접점 스프링
122a,122b,622b 가동 접점
130 전자석 장치 131 접극자
132 철심 133 권선
134 구동용 계철 135 힌지 스프링
136 유지 부재 140 베이스 몰드
150 바닥판 160 단자
170 단자 221a,222a 영구 자석
221b,222b 영구 자석 301 선단 영역
302 표면 303 바깥 가장자리
401 관통 구멍 402 이면
410b 접점 부재 411 몸체부
412 머리부
Claims (3)
- 고정 접점판과, 상기 고정 접점판에 설치되는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 접점부와,
가동 접점판과, 상기 가동 접점판에 설치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전자석 장치와,
상기 고정 접점부 및 상기 가동 접점부의 양측면에 설치된 영구 자석
을 포함하는 전자기 릴레이로서,
상기 고정 접점판 또는 상기 가동 접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점판은,
상기 영구 자석의 로렌츠힘의 발생 방향의 상류측에, 상기 접점판의 다른 영역 보다 두께가 얇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접점판의 접점은,
상기 접점판에 접점이 설치된 경우에, 상기 영구 자석의 로렌츠힘의 발생 방향의 하류측에서의 상기 접점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다른 영역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의 단차가 상기 접점의 머리부의 두께 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을 형성하는 접점 부재의 몸체부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접점 부재의 머리부가, 상기 다른 영역 보다 두께가 얇고 관통 구멍이 설치된 영역의 제1 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면과 반대쪽의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힘에 의해 변형시킴으로, 상기 접점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부는 2개의 고정 접점을 가지고, 상기 가동 접점부는 당해 2개의 고정 접점에 대향하는 2개의 가동 접점을 가지며,
상기 가동 접점부가 동작하여 당해 2개의 가동 접점이 대향하는 당해 2개의 고정 접점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2개의 고정 접점이 서로 도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관통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관통 구멍과 같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138120A JP6422249B2 (ja) | 2014-07-03 | 2014-07-03 | 電磁継電器 |
JPJP-P-2014-138120 | 2014-07-03 | ||
PCT/JP2015/067838 WO2016002553A1 (ja) | 2014-07-03 | 2015-06-22 | 電磁継電器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5722A Division KR20170008841A (ko) | 2014-07-03 | 2015-06-22 | 전자기 릴레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6477A KR20180116477A (ko) | 2018-10-24 |
KR101957118B1 true KR101957118B1 (ko) | 2019-03-11 |
Family
ID=550190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5722A KR20170008841A (ko) | 2014-07-03 | 2015-06-22 | 전자기 릴레이 |
KR1020187030059A KR101957118B1 (ko) | 2014-07-03 | 2015-06-22 | 전자기 릴레이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5722A KR20170008841A (ko) | 2014-07-03 | 2015-06-22 | 전자기 릴레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859078B2 (ko) |
JP (1) | JP6422249B2 (ko) |
KR (2) | KR20170008841A (ko) |
WO (1) | WO201600255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33706B2 (ja) * | 2014-07-28 | 2018-12-05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
JP6959728B2 (ja) * | 2016-11-04 | 2021-11-05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2018170241A (ja) * | 2017-03-30 | 2018-11-01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2019096460A (ja) * | 2017-11-22 | 2019-06-20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KR20200144271A (ko) * | 2019-06-18 | 2020-12-29 | 엘에스일렉트릭(주) | 직류 릴레이 |
JP7468412B2 (ja) * | 2021-03-12 | 2024-04-16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2023061086A (ja) * | 2021-10-19 | 2023-05-01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FR3143835A1 (fr) | 2022-12-15 | 2024-06-21 | Sonceboz Automotive S.A. | Contacteur électrique compact à faible résistance de contac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59837A1 (en) * | 2012-12-07 | 2014-06-12 | Fujitsu Component Limited | Electromagnetic relay |
Family Cites Families (5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17474A (en) * | 1960-02-09 | 1962-01-16 | Mallory & Co Inc P R | Miniature relay |
JPS5396459A (en) * | 1977-02-03 | 1978-08-23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 Electromagnetic relay |
JPS54131956U (ko) * | 1978-03-06 | 1979-09-12 | ||
JPS5637415U (ko) * | 1979-08-31 | 1981-04-09 | ||
JPS577115U (ko) * | 1980-06-14 | 1982-01-14 | ||
JPS5947917U (ja) * | 1982-09-22 | 1984-03-30 | 三菱電機株式会社 | 接触子台金 |
JPS59203319A (ja) | 1983-04-30 | 1984-11-17 | 松下電工株式会社 | 接点の取着方法 |
JPS60107550U (ja) * | 1983-12-26 | 1985-07-22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S6289745A (ja) | 1985-10-15 | 1987-04-24 | Fuji Photo Film Co Ltd | 微孔性膜の製造方法 |
JPS6289745U (ko) | 1985-11-25 | 1987-06-09 | ||
JPH0183220U (ko) * | 1987-11-26 | 1989-06-02 | ||
US5041870A (en) * | 1988-10-21 | 1991-08-20 |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 Electromagnetic relay |
JPH02189828A (ja) * | 1989-01-17 | 1990-07-25 | Tanaka Kikinzoku Kogyo Kk | 段付脚部を有するリベット型電気接点の製造方法 |
JPH0299524U (ko) * | 1989-01-26 | 1990-08-08 | ||
JPH0620260Y2 (ja) | 1989-10-16 | 1994-05-25 | 株式会社ゼクセル | スイッチ装置 |
JPH0432486A (ja) | 1990-05-30 | 1992-02-04 | Ryoden Service Kk | エレベータのドアー管理装置 |
US5239281A (en) * | 1990-06-29 | 1993-08-24 | Takamisawa Electric Co., Ltd. | Small sized electromagnetic relay |
JPH04312715A (ja) * | 1991-04-11 | 1992-11-04 | Fuji Electric Co Ltd | 開閉器の電気接点 |
JPH0620260A (ja) | 1991-10-07 | 1994-01-28 | Konica Corp | 磁気記録媒体 |
JP2502457Y2 (ja) | 1992-06-19 | 1996-06-26 | 富士通テン株式会社 | 蓋部の嵌合構造 |
JPH0817319A (ja) * | 1994-06-30 | 1996-01-1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電磁リレー |
US6211761B1 (en) * | 1997-09-10 | 2001-04-03 | Takamisawa Electric Co., Ltd. | Electromagnetic relay, joining structure for hinge spring and yoke in the electromagnetic relay, and flux penetration preventing structure |
JP3590738B2 (ja) * | 1999-04-27 | 2004-11-17 | Necトー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およびその調整方法と組立方法 |
JP4085513B2 (ja) * | 1999-04-28 | 2008-05-14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気機器の封止構造 |
JP2002100274A (ja) * | 2000-09-26 | 2002-04-05 | Omron Corp | 電磁リレー |
JP2002334644A (ja) * | 2001-05-10 | 2002-11-22 | Toyota Motor Corp | 電磁継電器 |
JP4131160B2 (ja) * | 2002-11-08 | 2008-08-13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4131161B2 (ja) * | 2002-11-12 | 2008-08-13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4168733B2 (ja) * | 2002-11-12 | 2008-10-22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4168821B2 (ja) * | 2003-04-24 | 2008-10-22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4168820B2 (ja) * | 2003-04-24 | 2008-10-22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4140432B2 (ja) * | 2003-04-24 | 2008-08-27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4140439B2 (ja) * | 2003-05-12 | 2008-08-27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3896548B2 (ja) * | 2003-08-28 | 2007-03-22 | Necトー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4190379B2 (ja) * | 2003-09-12 | 2008-12-03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複合型電磁継電器 |
JP2005243244A (ja) | 2004-02-24 | 2005-09-08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固定接点端子板への固定接点の固着方法。 |
JP4389653B2 (ja) * | 2004-04-30 | 2009-12-24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4810937B2 (ja) * | 2005-09-06 | 2011-11-09 | オムロン株式会社 | 開閉装置 |
JP5142652B2 (ja) * | 2007-01-31 | 2013-02-13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有極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組立 |
TW201019364A (en) * | 2008-11-12 | 2010-05-16 | Good Sky Electric Co Ltd | An electromagnetic relay |
JP5131219B2 (ja) * | 2009-02-02 | 2013-01-30 | アンデ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5566172B2 (ja) * | 2010-04-16 | 2014-08-06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EP2688083B1 (en) * | 2011-03-14 | 2019-07-03 | Omron Corporation | Electromagnetic relay |
JP5804769B2 (ja) * | 2011-05-18 | 2015-11-04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DE102012006436B4 (de) * | 2012-03-30 | 2020-01-30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Gepol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JP6168785B2 (ja) * | 2012-03-30 | 2017-07-26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有極電磁継電器 |
JP5756825B2 (ja) * | 2013-04-22 | 2015-07-29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2015035403A (ja) * | 2013-08-09 | 2015-02-19 | オムロン株式会社 |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
WO2016013485A1 (ja) * | 2014-07-23 | 2016-01-28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6403476B2 (ja) * | 2014-07-28 | 2018-10-10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JP6433706B2 (ja) * | 2014-07-28 | 2018-12-05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
JP6556514B2 (ja) * | 2015-06-19 | 2019-08-07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電磁継電器 |
-
2014
- 2014-07-03 JP JP2014138120A patent/JP6422249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6-22 US US15/320,357 patent/US9859078B2/en active Active
- 2015-06-22 KR KR1020167035722A patent/KR20170008841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6-22 WO PCT/JP2015/067838 patent/WO201600255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6-22 KR KR1020187030059A patent/KR1019571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59837A1 (en) * | 2012-12-07 | 2014-06-12 | Fujitsu Component Limited | Electromagnetic rel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8841A (ko) | 2017-01-24 |
US20170162354A1 (en) | 2017-06-08 |
KR20180116477A (ko) | 2018-10-24 |
WO2016002553A1 (ja) | 2016-01-07 |
JP2016015297A (ja) | 2016-01-28 |
US9859078B2 (en) | 2018-01-02 |
JP6422249B2 (ja) | 2018-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7118B1 (ko) | 전자기 릴레이 | |
US10199193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H0463489B2 (ko) | ||
US20170062161A1 (en) | Temperature switch | |
JP2018006209A (ja) | 電磁継電器 | |
JP2010108653A (ja) | 電磁継電器 | |
JP2012212668A (ja) | 接点装置及び電磁開閉器 | |
KR101276905B1 (ko) | 전자 접촉기 | |
CN112912985A (zh) | 触点装置 | |
JP6664978B2 (ja) | 電磁継電器 | |
JP7434769B2 (ja) | 電磁継電器 | |
JP7156050B2 (ja) | リレー | |
JP7135876B2 (ja) | リレー | |
JP5525672B2 (ja) | 電磁リレーのヨークの構造 | |
JP7363619B2 (ja) | 電磁接触器 | |
JP5656283B2 (ja) | 電磁リレー | |
US20240312746A1 (en) | Relay | |
KR20240151657A (ko) | 릴레이 | |
KR20240151658A (ko) | 릴레이 | |
JP2012094296A (ja) | 電磁リレー | |
JP4364723B2 (ja) | 電磁接触器 | |
KR20240151649A (ko) | 릴레이 | |
JP5535045B2 (ja) | 電磁リレー | |
KR20240151651A (ko) | 릴레이 | |
KR20240151650A (ko) | 릴레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