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259B1 - 피막 형성성 조성물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피막 형성성 조성물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259B1
KR101951259B1 KR1020177006009A KR20177006009A KR101951259B1 KR 101951259 B1 KR101951259 B1 KR 101951259B1 KR 1020177006009 A KR1020177006009 A KR 1020177006009A KR 20177006009 A KR20177006009 A KR 20177006009A KR 101951259 B1 KR101951259 B1 KR 10195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o
film
meth
units
form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121A (ko
Inventor
에미 아카바네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9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sulfur, e.g. sodium PG-propyldimethicone thiosulfat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 C08F283/12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on to saturated polysiloxanes containing hydrolysable groups, e.g. alkoxy-, thio-, hydrox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8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sulfur-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06Organic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08F4/32Organic compounds
    • C08F4/34Per-compounds with one peroxy-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R3SiO1 /2단위, R2R'SiO1 /2단위, 및 SiO2단위[여기서,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는 탄소원자수 1~6의 1가의 탄화수소기이며, R'은 -C3H6SH기를 나타낸다]를 갖고, 전구성단위 중, R3SiO1 /2단위, R2R'SiO1 /2단위, 및 SiO2단위의 합계량이 80몰% 이상이며, 또한 (R3SiO1 /2단위와 R2R'SiO1 /2단위의 합계)/(SiO2단위)로 표시되는 몰비가 0.5~1.5의 범위인 실리콘 수지; 5~80질량%와, (B)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20~95질량%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B)성분이, 구조 중에 SiO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1)를 포함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다. 이로 인해,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 부착성이 없고, 투명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막 형성성 조성물 및 화장료{FILM-FORMING COMPOSITION AND COSMETIC MATERIAL}
본 발명은, 피막 형성성 조성물 및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료나 의료분야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효과를 부여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나 모발에 발수성을 부여하고, 이들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피막형성제로서 유기실리콘 수지가 이용되어 왔다. 유기실리콘 수지로는, 일반식 RX 3SiO1 /2로 표시되는 M단위(RX는 수소원자나 유기기를 나타냄), SiO2로 표시되는 Q단위, RX 2SiO로 표시되는 D단위, RXSiO3 /2로 표시되는 T단위로부터 구성된 구조를 갖는 수지(이하, 실리콘 레진이라 표기)나 주로 (메트)아크릴기함유 실리콘매크로모노머와 기타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수지(이하, 실리콘변성 아크릴폴리머라 표기)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레진의 구조를 갖는 유기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특징으로는, 이차부착성의 억제, 발수성의 부여 등의 효과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실리콘 레진은 경질의 수지로 유연성이 뒤떨어져, 투명성이 있는 유연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배합하여 얻어지는 화장료를 사용할 때, 당기는 느낌이 생기거나, 피막에 균열이 생겨 박리되기 쉬운 등, 사용감이나 피부나 모발에 대한 밀착성에 과제가 있었다. 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실리콘 레진에 고중합 폴리실록산을 병용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3). 이들 조성물에서는, 얻어지는 피막의 밀착성은 상당히 개선되었지만, 고중합 폴리실록산에 의해 끈적임이 생기거나, 2차 부착이 생기는 등,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특정의 실리콘 레진과 특정의 폴리실록산 및 유제를, 특정의 비율로 배합한 조성물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이 조성물은, 밀착성, 끈적임 및 내찰상성에 있어서 상당히 개선된 피막을 형성하나, 최근의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기에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실리콘변성 아크릴폴리머는, 발수성이 있는 유연하고 밀착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하고,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매끈한 감촉, 광택감 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각종 유제에 대한 상용성을 가진 실리콘변성 아크릴폴리머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5~8).그러나, 이러한 실리콘변성 아크릴폴리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피막의 강도는 약하고, 화장이 지워지기 쉽다는 점에서, 최근의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실리콘 레진과 실리콘변성 아크릴폴리머의 특징을 살려, 끈적임이 없으며, 밀착성이 있고, 내찰상성이 우수한 피막형성제로서, 양자를 혼합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제안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레진과 실리콘변성 아크릴폴리머의 상용성이 낮으므로, 투명성이 있는 깨끗한 피막을 형성하기에는 불충분하였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S63-31371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S64-4334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H4-4515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특허 제4666660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특허공개 2009-46662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특허공개 2012-7208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특허 2767633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특허 297614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 부착성이 없고, 투명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R3SiO1 /2단위, R2R'SiO1 /2단위, 및 SiO2단위[여기서,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는 탄소원자수 1~6의 1가의 탄화수소기이며, R'은 -C3H6SH기를 나타낸다]를 갖고, 전구성단위 중, R3SiO1 /2단위, R2R'SiO1 /2단위, 및 SiO2단위의 합계량이 80몰% 이상이며, 또한 (R3SiO1 /2단위와 R2R'SiO1 /2단위의 합계)/(SiO2단위)로 표시되는 몰비가 0.5~1.5의 범위인 실리콘 수지; 5~80질량%와,
(B)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20~95질량%
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B)성분이, 구조 중에 SiO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1)를 포함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이용하면,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부착성이 없고, 투명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1)성분이, (메트)아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B-1)성분이면,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서,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성분이,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B-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B)성분이,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B-2)를 포함함으로써, 특히 내찰상성이 우수한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B-2)성분이,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1
[상기 식(1) 중, X는 탄소원자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며, 단 R3은 Si와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불소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며, n은 1~3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B-2)성분이면, 제조시에 있어서의 중합반응의 반응성이 양호하며, 미끌림성, 및 중합체와 유제의 상용성이 양호한 피막 형성성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또한, 피막을 형성할 때는, 끈적임이 적고,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막 형성성 조성물은, (C)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C)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피막 형성성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9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면, (C)유제를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끈적임이 적고, 발수성이 풍부하며 양호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C)성분이, 실리콘유 및 경질유동 이소파라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C)성분이면, (A)성분 및 (B)성분의 중합체와의 상용성이 특히 양호하므로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이면, 투명성이 높고, 피부나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 부착성이 없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료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면,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부착성이 없으며, 투명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면, 피부, 모발 등에 통용한 경우에, 유연하고, 당기는 느낌이 없는 피막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면, 화장료나 의료용품의 분야에 있어서 피부, 모발 등에 발수성, 표면보호효과를 부여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로서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부착성이 없고, 투명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서 설명되는 (A)실리콘 수지(실리콘 레진)와, (B)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소정의 비율로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면,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부착성이 없고, 투명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R3SiO1 /2단위, R2R'SiO1 /2단위, 및 SiO2단위[여기서,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는 탄소원자수 1~6의 1가의 탄화수소기이며, R'은 -C3H6SH기를 나타낸다]를 갖고, 전구성단위 중, R3SiO1 /2단위, R2R'SiO1 /2단위, 및 SiO2단위의 합계량이 80몰% 이상이며, 또한 (R3SiO1 /2단위와 R2R'SiO1 /2단위의 합계)/(SiO2단위)로 표시되는 몰비가 0.5~1.5의 범위인 실리콘 수지; 5~80질량%와,
(B)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20~95질량%
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B)성분이, 구조 중에 SiO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1)를 포함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막 형성성 조성물>
[(A) 실리콘 수지]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A)성분은, R3SiO1 /2단위, R2R'SiO1/2단위, 및 SiO2단위[여기서,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는 탄소원자수 1~6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R'은 -C3H6SH기를 나타낸다]를 갖고, 전 구성단위 중, R3SiO1/2단위, R2R'SiO1 /2단위, 및 SiO2단위의 합계량이 80몰% 이상이며, 또한 (R3SiO1/2단위와 R2R'SiO1 /2단위의 합계)/(SiO2단위)로 표시되는 몰비가 0.5~1.5의 범위인 것이 필요시된다.
상기 3종의 단위의 합계량이 80몰%보다 작으면, (A)성분의 유제용해성이 뒤떨어지게 되어,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에 유제를 포함했을 때, 투명성이 높은 양호한 피막이 형성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3종의 단위의 합계량은 80몰% 이상인 것이 필요시되고,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이다.
R2SiO단위, RSiO3 /2단위는 (A)성분에 포함될 수도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R3SiO1 /2단위, R2R'SiO1 /2단위, R2SiO단위, RSiO3 / 2단위에 있어서의 R은, 탄소원자수 1~6의 1가의 탄화수소기이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등의 알킬기, 그리고 페닐기를 들 수 있다. (A)성분에 포함되는 복수의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으나, 전체 R의 80몰% 이상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3SiO1 /2단위와 R2R'SiO1 /2단위의 합계)/(SiO2단위)로 표시되는 몰비는, 0.5~1.5의 범위인 것이 필요시된다. 상기 몰비가 0.5보다 작으면 (A)성분의 유제용해성이 뒤떨어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양호한 피막이 형성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1.5보다 크면, 얻어지는 피막에 끈적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몰비는 0.5~1.5의 범위인 것이 필요시되고, 바람직하게는 0.7~1.2의 범위이다.
(R2R'SiO1 /2단위)/(R3SiO1 /2단위)로 표시되는 몰비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0.001~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0.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1이다. (A)성분은 R2R'SiO1 /2단위에 포함되는 SH기를 반응기로 하여, (B)성분과 반응한다. SH기는 연쇄이동기로도 작용하기 때문에, R2R'SiO1 /2단위의 함유량에 따라 피막 형성성 조성물의 분자량, 피막의 경도를 조정할 수 있다. (R2R'SiO1 /2단위)/(R3SiO1/2단위)로 표시되는 몰비가 0.001 이상이면, 충분한 경도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또한, 0.5 이하이면, 피막형성성은 충분하다.
(A)성분은, 일본특허 제3218872호 공보 등에 기재된, 대응하는 기지의 실란류의 가수분해축합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데, 합성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A)성분의 비율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에 대하여 5~80질량%이나, 바람직하게는 7~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질량%이다. (A)성분의 비율이 5질량%보다 적으면, 충분한 경도가 얻어지지 않아 끈적임이 있는 피막이 된다. 또한, 내수성도 저하되고 피막에 충분한 발수성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비율이 80질량%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있는 피막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B)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B)성분은,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 구조 중에 SiO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1)를 포함한다.
구조 중에 SiO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1)
SiO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라디칼 중합성의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메틸 단독일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외에 1종, 더욱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한다. (메트)아크릴산메틸에 더하여, 2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할 때, 바람직한 (메트)아크릴산메틸의 비율은, (B-1)성분 전체에 대하여 30~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9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70질량%이다.
(메트)아크릴산메틸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n-헥실, (메트)아크릴산n-옥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라우릴,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미리스틸,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팔미틸,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올레일, (메트)아크릴산베헤닐 등의,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지환식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비닐피롤리돈; 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t-부틸아크릴아미드, N-옥틸아크릴아미드, N-t-옥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산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메트)아크릴산이소보닐,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류; (메트)아크릴산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과 (메트)아크릴산의 모노에스테르류; (메트)아크릴산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메트)아크릴산메틸 이외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는, 음이온성 불포화 단량체, 양이온성 불포화 단량체, 양성 불포화 단량체 등의 단관능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및 다관능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것도 예시할 수 있다.
음이온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카르복실기함유 불포화 단량체, 설폰산기함유 단량체, 인산기함유 불포화 단량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함유 불포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본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무수말레산, 시트라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본산; 말레산모노알킬에스테르, 푸마르산모노알킬에스테르, 이타콘산모노알킬에스테르 등의 불포화 디카르본산의 모노알킬에스테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시네이트, 2-프로파노익애씨드, 3-(2-카르복시에톡시)-3-옥시프로필에스테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산기함유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비닐설폰산, (메트)알릴설폰산 등의 알켄설폰산, α-메틸스티렌설폰산 등의 방향족 비닐기함유 설폰산, 설폰산기함유 (메트)아크릴에스테르계 단량체,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등의 설폰산기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인산기함유 불포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인산모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1~3급 아미노기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알릴아민,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스티렌 등의 아미노기함유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의 아민유도체,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유도체, 모노클로로아세트산의 아미노메틸프로판올염, 모노클로로아세트산의 트리에탄올아민염, 모노클로로아세트산칼륨, 모노브로모프로피온산나트륨 등의 할로겐화지방산염에 의한 변성물, 프로피오락톤 등의 락톤류, 프로판술톤 등의 술톤류에 의한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반복수 2~50)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반복수 2~50)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비스페놀F에틸렌옥사이드(반복수 2~50)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프로필렌옥사이드(반복수 2~50)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반복수 2~50)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반복수 2~50)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S에틸렌옥사이드(반복수 2~50)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S프로필렌옥사이드(반복수 2~50)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카프로락토네이트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헥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카프로락토네이트,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에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부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헥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디이소프로페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2개 이상 갖는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2개 이상 갖는 우레탄올리고머 등이 예시된다.
상기 (B)성분의 비율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에 대하여 20~95질량%이나, 바람직하게는 25~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이다. 20질량%보다 적으면, (A)성분과 (B)성분의 중합체와 유제 등의 유기계 용제와의 상용성이 나빠진다. 95질량%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있는 피막을 만드는 것이 곤란해져 사용성이 나빠진다.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B-2)
상기 (B)성분은,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B-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B-2)성분이,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2
[상기 식(1) 중, X는 탄소원자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며, 단 R3은 Si와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불소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며, n은 1~3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의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나,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또한,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불소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나, 피부에 대하여 보다 바람직한 것은 불소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원자수 1~6의 알킬기, 아릴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대한 저자극성, 미끌림성의 관점에서 메틸기, 페닐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메틸기이다.
X는, -COOR3-, 혹은 탄소원자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이며, 바람직하게는 -COOR3-, 혹은 탄소원자수 6~8의 2가의 방향족기이다. -COOR3-에 있어서, R3은 Si에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카르보닐기는 공중합체 주쇄의 탄소원자에 결합되어 있다. R3은, 예를 들어 -(CH2)a-이며, 여기서 a는 1~9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7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의 정수이다. 2가의 방향족 기로는, 페닐렌기, 톨릴렌기, 자일릴렌기, 메시틸렌기 등이 예시되고, 바람직하게는 페닐렌기이다. X가 -COOR3- 혹은, 2가의 방향족 기인 경우의 예를 하기 일반식 (2) 및 (3)에 나타낸다. 이들 실리콘매크로모노머에 있어서, R1~R3 및 a, n은 이미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4
n은 1~3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3~8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5~65의 정수이다. n이 상한값 300 이하이면, 제조시에 있어서 중합반응의 반응성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얻어지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의 밀착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나아가, 피막형성 조성물 중에 탄화수소계 유제를 배합하는 경우에, 이 유제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n이 1 이상이면, 미끌림성이 충분하며, 끈적이는 느낌이 적은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 (2), (3)으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는, 대표적으로는 (메트)아크릴레이트치환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카르비놀변성 실리콘을, 상법(常法)에 따라 탈염산반응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나, 합성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B)성분 전체에 대한 상기 (B-2)성분의 비율은, 0~6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5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이다. 상기 비율이 65질량% 이하이면, 유기계 유제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일 없이, 또한, 점조한 피막의 형성이나 사용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A)성분과 (B)성분의 중합은,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방법은, 용액중합법, 유화중합법, 현탁중합법, 벌크중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용액중합법은, 얻어지는 중합체의 분자량을 원하는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중합반응은, 용매 중에서 행할 수도 있고, 이때 이용되는 용매로는, 펜탄, 헥산, 데칸, 도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등의 지방족계 유기용제,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유기용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사놀, 데칸올 등의 알코올계 유기용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유기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유기용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화장품 용도로서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무용매로 중합반응을 행하거나,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중합체의 GPC에 있어서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으로는, 바람직하게는 700~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3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100,000이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0 이하이면, 각종 유제에 대한 상용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 이상이면, 피막 형성성 조성물로서 이용했을 때, 사용감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굴절률 검출기를 갖고, 용리액으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나 톨루엔을 이용하고, 직쇄폴리스티렌을 표준품으로 하여 작성한 구성곡선을 갖는 액체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A)성분과 (B)성분을 중합하여 얻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면,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 부착성이 없고, 유연하며 투명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은, (C)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유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도 있고,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반고체, 액상 모든 유제가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유제이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은, 유제를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끈적임이 적고, 발수성이 풍부하며 양호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제로는,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고급지방산, 에스테르유나 천연동식물유 등의 극성유, 반합성유, 및 불소계유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성분과 (B)성분의 중합체와의 좋은 상용성으로부터, 실리콘유 및 탄화수소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콘유 및 경질유동 이소파라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콘유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카프릴릴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헥실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등의 저점도로부터 고점도의 직쇄 혹은 분지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겐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상 아미노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검상의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고무, 및 실리콘검이나 고무의 환상 실록산용액, 트리메틸실록시규산, 트리메틸실록시규산의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용액, 스테알록시실리콘 등의 고급알콕시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고급지방산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알킬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장쇄알킬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불소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실리콘 수지 및 실리콘 레진의 용해물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는, 직쇄상, 분지상, 나아가 휘발성의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경질유동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스쿠알렌,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왁스,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코폴리머, (부틸렌/프로필렌/스티렌)코폴리머,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수첨 폴리이소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바셀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지방산으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이소스테아르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고, 고급 알코올로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는,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2-헥실데실,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세틸,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올레산데실,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구연산트리에틸, 석신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에스테르,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라이드유로는,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동식물유류 및 반합성유로는, 아보카도유, 아마씨유, 아몬드유, 백랍(イボタロウ), 들기름, 올리브유, 카카오지, 홍콩야자납(カポックロウ), 비자나무유, 카나우바납, 간유, 칸델릴라납, 정제 칸델릴라납,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우지, 살구나무유, 경랍, 경화유, 소맥배아유, 참기름, 쌀배아유, 쌀겨유, 사탕수수납, 산다화유, 해바라기유, 시어버터, 시나기리유(Paulownia fortunei Hemsley oil), 시나몬유, 호호바납, 스쿠알란, 스쿠알렌, 셸락납, 거북이유, 대두유, 차실유, 동백나무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돈지, 채종유, 일본오동나무유, 강유(ヌカロウ), 배아유, 마지, 퍼식유,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피마자유,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유, 베이베리납, 호호바유, 수첨 호호바유, 마카다미아너트유, 밀납, 밍크유, 메도우폼유, 면실유, 면납, 목랍, 목랍핵유, 몬탄납, 야자유, 경화야자유, 트리야자유지방산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라놀린, 환원라놀린, 라놀린알코올, 경질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알코올,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POE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단,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불소계 유제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C)유제의 배합량은, 피막 형성성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98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의 범위이다.
(C)유제는, (A)성분과 (B)성분의 중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이면, 중합시에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A)성분의 조제시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장료>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때, 이 피막 형성성 조성물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20질량% 정도이다.
나아가, 상기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과 함께, 통상의 화장료에 이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백색안료, 착색안료, 체질안료, 유기분말, 펄제 등의 분체원료, 타르색소, 계면활성제, 고분자 화합물, 겔화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방부제, 다가알코올류, 향료, 미용성분 등을 적당히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장료로는, 상기 화장료 성분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유액, 크림, 클렌징, 팩, 마사지료, 미용액, 미용오일, 세정제, 탈취제, 핸드크림, 립크림, 주름숨김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메이크업 기초, 컨실러, 백분, 리퀴드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볼연지,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셋팅제 등의 모발 화장료, 제한제, UV차단 오일이나 UV차단 유액, UV차단 크림 등의 자외선방어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장료의 형상으로는,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프레스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스틱상 등, 다양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이들 화장료의 형태로는, 수성, 유성, 유중수형 에멀젼, 수중유형 에멀젼, 비수 에멀젼, W/O/W나 O/W/O 등의 멀티에멀젼 등, 다양한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합성예, 비교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예 1〕
헥사메틸디실록산 56g(0.35몰), 1,3-비스(3-메르캅토프로필)-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22g(0.09몰), SiO2분이 40%인 에틸폴리실리케이트 140g(SiO2분으로서 0.93몰), 이소프로필알코올 60g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메탄설폰산 1.2g을 첨가하여 10~20℃로 냉각하고, 교반하면서 물 40g을 적하하였다. 적하종료후, 70~90℃에서 6시간 가열하여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수산화칼륨, 탄산칼슘으로 산을 중화한 후, 다시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g을 첨가하고, 120℃까지 가열해서, 생성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과잉의 물을 제거하였다. 냉각후,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으로 희석한 후, 여과함으로써, 실리콘 수지의 7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용액 300g을 얻었다. 이 용액 200g을 감압하 120℃에서 가열하고,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을 제거함으로써, 분말상의 실리콘 수지 130g을 얻었다. GPC로 구한 표준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900이었다.
〔합성예 2〕
헥사메틸디실록산 61g(0.38몰), 1,3-비스(3-메르캅토프로필)-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2.2g(0.0092몰), SiO2분이 40%인 에틸폴리실리케이트 140g(SiO2분으로서 0.93몰), 이소프로필알코올 60g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메탄설폰산 1.2g을 첨가하여 10~20℃로 냉각하고, 교반하면서 물 40g을 적하하였다. 적하종료후, 70~90℃에서 6시간 가열하여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수산화칼륨, 탄산칼슘으로 산을 중화한 후, 다시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g을 첨가하고, 120℃까지 가열해서, 생성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과잉의 물을 제거하였다. 냉각후,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으로 희석한 후, 여과함으로써, 실리콘 수지의 68%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용액 310g을 얻었다. 이 용액 200g을 감압하 120℃에서 가열하고,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을 제거함으로써, 분말상의 실리콘 수지 130g을 얻었다. GPC로 구한 표준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800이었다.
〔비교합성예 1〕
헥사메틸디실록산 62g(0.38몰), SiO2분이 40%인 에틸폴리실리케이트 140g(SiO2분으로서 0.93몰), 이소프로필알코올 60g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메탄설폰산 1.2g을 첨가하여 10~20℃로 냉각하고, 교반하면서 물 120g을 적하하였다. 적하종료후, 70~90℃에서 6시간 가열하여 가수분해를 행하였다. 수산화칼륨, 탄산칼슘으로 산을 중화한 후, 다시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g을 첨가하고, 120℃까지 가열해서, 생성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과잉의 물을 제거하였다. 냉각후,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으로 희석한 후, 여과함으로써, 실리콘 수지의 7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용액 300g을 얻었다. 이 용액 200g을 감압하 120℃에서 가열하고,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을 제거함으로써, 분말상의 실리콘 수지 136g을 얻었다. GPC로 구한 표준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500이었다.
〔실시예 1~5, 비교예 1~3〕
교반기, 온도계,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제 플라스크에, 이소프로판올 140g, 하기 표 1의 각 모노머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4g을 넣고, 질소기류하에서 교반하면서 82℃에서 가열환류하였다. 5시간 반응을 행한 후, 감압하에서 휘발성성분을 유거(留去)하여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를 얻었다. GPC로 중량평균 분자량(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을 구하였다.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5
표 1에 있어서, 각 성분의 값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에 대한 질량%를 나타낸다.
(실리콘매크로모노머1)
[화학식 5]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6
(실리콘매크로모노머2)
[화학식 6]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7
〔비교예 3-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수지 12.5질량부와 비교예 3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87.5질량부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비교예 3-1로 하였다.
〔비교예 3-2〕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실리콘 수지 12.5질량부와 비교예 3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87.5질량부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비교예 3-2로 하였다.
가열건조 피막형성법에 의한 평가
얻어진 중합체(실시예 1~5, 비교예 1, 2) 및 혼합물(비교예 3-1, 3-2)을 각각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에 용해시키고, 농도 30%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피막 형성성 조성물 6g을 직경 60mm의 알루미늄접시에 첨가하고, 105℃에서 3시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형성된 피막의 상태를 관찰하고, 유연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8
○: 구부려도 갈라지지 않음, △: 수회 구부리면 갈라짐, ×: 구부리면 갈라짐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성분과 (B)성분의 합계에 대하여 (A)성분이 90질량% 포함되는 비교예 1에서는, 결과물이 백색의 분말상이 되고, 유연성은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실리콘 수지 중에 -C3H6SH기가 포함되지 않는 비교예 2, 및 (B)성분만의 중합체와 (A)성분의 혼합물을 이용한 비교예 3-1, 3-2에서는, 피막은 형성되었지만, 투명성 및 유연성이 뒤떨어진 결과가 되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5에서는 투명하며, 또한 유연성이 높은 피막이 형성되었다.
피부도포 피막형성법에 의한 평가
얻어진 중합체(실시예 1~5, 비교예 1, 2) 및 혼합물(비교예 3-1, 3-2)을 각각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에 용해시키고, 농도 10%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피막 형성성 조성물 0.1g을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한시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형성된 피막의 투명성·끈적임·내찰상성을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피막성상의 평가기준
(1) 투명성: 피막의 투명성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A: 투명
B: 미탁
C: 약간 백탁
D: 백탁
(2) 끈적임: 피막 표면을 손가락으로 만져, 끈적임과 미끌림성을 확인하였다.
A: 끈적이지 않고, 양호한 미끌림성을 갖는다.
B: 거의 끈적이지 않고, 미끌림성을 약간 갖는다.
C: 끈적임이 약간 있고, 미끌림성이 거의 없다.
D: 끈적임이 있고, 미끌림성이 없다.
(3) 내찰상성: 피막 표면을 손톱으로 가볍게 긁어, 흠집이 생기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A: 흠집 없음
B: 거의 흠집 없음
C: 약간 흠집이 있음
D: 흠집이 있음
Figure 112017021475696-pct00009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2, 3-1, 및 3-2에서는, 외관, 끈적임, 내찰상성의 모든 평가기준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만족시키는 피막을 얻을 수는 없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5에서는 투명하며, 끈적임이 없고, 또한 내찰상성이 높은 피막이 형성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5에 있어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은, 유연성이 높고, 끈적임이 없으며, 투명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즉, 본 발명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면, 피부 또는 모발 등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며, 끈적임이나 이차부착성이 없고, 투명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A) R3SiO1/2단위, R2R'SiO1/2단위, 및 SiO2단위[여기서,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는 탄소원자수 1~6의 1가의 탄화수소기이며, R'은 -C3H6SH기를 나타낸다]를 갖고, 전 구성단위 중, R3SiO1/2단위, R2R'SiO1/2단위, 및 SiO2단위의 합계량이 80몰% 이상이며, 또한 (R3SiO1/2단위와 R2R'SiO1/2단위의 합계)/(SiO2단위)로 표시되는 몰비가 0.5~1.5의 범위인 실리콘 수지; 5~80질량%와,
    (B)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20~95질량%
    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B)성분이, 구조 중에 SiO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1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1)를 포함하며,
    상기 (B-1)성분이, (메트)아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성분이,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B-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B-2)성분이,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매크로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
    Figure 112018110713017-pct00013

    [상기 식(1) 중, X는 탄소원자수 6~12의 2가의 방향족기 혹은 -COOR3-이며, 단 R3은 Si와 결합되어 있는 지방족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불소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탄소원자수 1~30의 알킬기, 혹은 아릴기이며, n은 1~300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형성성 조성물이 (C)유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C)성분의 배합량이, 상기 피막 형성성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98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성분이, 실리콘유 및 경질유동 이소파라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 형성성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0. 제7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1. 제8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77006009A 2014-09-04 2015-06-29 피막 형성성 조성물 및 화장료 KR101951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9840A JP6224557B2 (ja) 2014-09-04 2014-09-04 皮膜形成性組成物及び化粧料
JPJP-P-2014-179840 2014-09-04
PCT/JP2015/003243 WO2016035232A1 (ja) 2014-09-04 2015-06-29 皮膜形成性組成物及び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121A KR20170044121A (ko) 2017-04-24
KR101951259B1 true KR101951259B1 (ko) 2019-02-25

Family

ID=5543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009A KR101951259B1 (ko) 2014-09-04 2015-06-29 피막 형성성 조성물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47184B2 (ko)
EP (1) EP3195855B1 (ko)
JP (1) JP6224557B2 (ko)
KR (1) KR101951259B1 (ko)
CN (1) CN106687106B (ko)
WO (1) WO2016035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1227B2 (ja) * 2016-04-28 2020-02-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乳化化粧料
JP6754316B2 (ja) 2017-04-10 2020-09-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KR20230153821A (ko) 2022-04-29 2023-11-07 (주)아모레퍼시픽 수분산 제형의 피막 형성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4428A1 (en) 2007-04-27 2008-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rafted silicone polymer and products made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707B2 (ja) 1987-06-17 1995-07-12 株式会社資生堂 毛髪化粧料
JPS6443342A (en) 1987-08-07 1989-02-15 Shiseido Co Ltd Emulsifying compound
JP2685600B2 (ja) * 1989-10-12 1997-12-03 日信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塩化ビニル用水性表面処理剤
JP2767633B2 (ja) 1989-11-21 1998-06-18 株式会社コーセー ゲル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636948B2 (ja) 1990-06-12 1997-08-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硬度シリコーンゴムの製造方法
JPH0830148B2 (ja) 1990-06-12 1996-03-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膜形成性組成物
JP2976146B2 (ja) 1991-05-20 1999-11-10 株式会社コーセー 固形状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US5468477A (en) * 1992-05-12 1995-11-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nyl-silicone polymers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JP3600623B2 (ja) * 1992-07-28 2004-12-15 三菱化学株式会社 毛髪化粧料組成物
DE69332875T2 (de) 1992-07-28 2003-12-04 Mitsubishi Chem Corp Haarkosmetische Zusammensetzung
JPH07268044A (ja) * 1994-03-31 1995-10-17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JP3218872B2 (ja) 1994-07-20 2001-10-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ケイ素樹脂の製造方法
DE19617379A1 (de) 1996-04-30 1997-11-06 Wacker Chemie Gmbh Vorvernetzte Siliconelastomer-Partikel mit Organopolymerhülle als Formulierungsbestandteil in wäßrigen Lackzubereitungen
FR2798844B1 (fr) * 1999-09-16 2001-11-3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copolymere silicone/acrylate et au moins un polymere silicone greffe
JP4166391B2 (ja) * 1999-11-29 2008-10-15 中国塗料株式会社 光硬化性シリコーンブロックアクリル共重合体、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塗膜、塗膜付き基材、並びに該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3852921B2 (ja) 2002-01-23 2006-12-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トリアルキルシロキシシリケート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JP2009540052A (ja) * 2006-06-06 2009-11-19 ダウ・コーニング・コーポレイション シリコーンアクリレートハイブリッ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03075B2 (ja) 2007-07-11 2013-06-05 株式会社コーセー シクロアルキル基含有アクリル系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4666660B2 (ja) 2007-08-01 2011-04-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被膜形成性組成物
JP4678402B2 (ja) * 2007-11-02 2011-04-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膜形成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繊維用風合い改良剤
JP2009161598A (ja) 2007-12-28 2009-07-23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メタ)アクリルグラフトシリコーンポリマー処理粉体及びそれを用いた製品
US20110301247A1 (en) * 2010-06-08 2011-12-08 Hayakawa Chihiro Cosmetic product containing film-forming polymer
JP5508209B2 (ja) 2010-09-28 2014-05-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5891948B2 (ja) 2012-05-25 2016-03-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剥離シート用重剥離添加剤及び剥離シート用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並びに剥離シート
JP5910568B2 (ja) * 2013-04-23 2016-04-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官能基含有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4428A1 (en) 2007-04-27 2008-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rafted silicone polymer and products made therewith
JP2008274116A (ja) 2007-04-27 2008-11-13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グラフト化シリコーンポリマー及びそれよりなる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5855A1 (en) 2017-07-26
CN106687106B (zh) 2019-08-13
CN106687106A (zh) 2017-05-17
EP3195855A4 (en) 2018-04-18
JP2016053010A (ja) 2016-04-14
US10047184B2 (en) 2018-08-14
JP6224557B2 (ja) 2017-11-01
KR20170044121A (ko) 2017-04-24
EP3195855B1 (en) 2020-02-05
WO2016035232A1 (ja) 2016-03-10
US20170240677A1 (en)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7618B2 (ja) カルボシロキサンデンドリマー構造を有する共重合体、並びに、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化粧料
JP4745962B2 (ja) シリコーン重合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6092545B2 (ja) カルボシロキサンデンドリマー構造および親水性基を有する共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JP6105896B2 (ja) 液状アリール基含有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
JP4563855B2 (ja) 睫用化粧料
JP4782025B2 (ja) シリコーン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700816B2 (ja) ゲル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2270897B1 (ko) 장쇄 탄화수소기 함유 다이글리세린 유도체 변성 실리콘 및 그 이용
TWI812674B (zh) 化妝料及其製造方法
KR102596805B1 (ko)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CN114191318A (zh) 包含油、成膜聚合物、单醇和微粒材料的无水液体组合物
KR20200020881A (ko) 화장료용 피막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CN115052932A (zh) 组合物、制备共聚物的方法及其方法和最终用途
KR101951259B1 (ko) 피막 형성성 조성물 및 화장료
JP2007254538A (ja) ゲル化剤、ゲル状組成物および化粧料
KR20050121260A (ko) 내이전성의 화장용 입술 조성물을 위한 무수의 실리콘 개질플루오르화 중합체
JP2019518837A (ja) 架橋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及びそれ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5394168B2 (ja) マスカラ下地化粧料
US20210137820A1 (en) Composition for caring for and/or making up keratin materials
JP6999415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20203145A1 (ja) カルボシロキサンデンドリマー構造を有する共重合体、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化粧料原料、皮膜形成剤及び化粧料
CN117412737A (zh) 油性化妆料
JP2019089715A (ja) 化粧料の製造方法
FR3095758A1 (fr) Emulsion huile-dans-huile avec au moins un oxyde métallique enrobé hydrophobe et au moins deux huiles immiscibles comprenant une huile hydrocarbonée polaire non volatile et une huile siliconée non vola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