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460B1 - 이온 발생 장치,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이온 발생 장치,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460B1
KR101948460B1 KR1020177022965A KR20177022965A KR101948460B1 KR 101948460 B1 KR101948460 B1 KR 101948460B1 KR 1020177022965 A KR1020177022965 A KR 1020177022965A KR 20177022965 A KR20177022965 A KR 20177022965A KR 101948460 B1 KR101948460 B1 KR 10194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resin
discharge electrode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091A (ko
Inventor
히로무 니시다
사또시 오까노
노부유끼 오헤
미쯔유시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7/00Ion beam tubes
    • H01J27/02Ion sources; Ion guns
    • H01J27/26Ion sources; Ion guns using surface ionisation, e.g. field effect ion sources, thermionic ion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03C3/383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using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7/00Ion beam tubes
    • H01J27/02Ion sources; Ion guns
    • H01J27/20Ion sources; Ion guns using particle beam bombardment, e.g. ionisers
    • H01J27/22Metal ion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성능 저하의 리스크를 억제한다. 이온 발생 장치(1)는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21)을 구비하고, 방전 전극은, (i) 당해 방전 전극을 자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3a)와, (ii)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를 구비하는 브러시부를 갖는다. 부착부(33a)는 브러시부의 기단부를 결속하여 보유 지지하고 있고, 절연성 밀봉재(41)는 부착부(33a)의 기단부를 밀봉한다. 그리고, 보호 수지(29)는 브러시 기단면(25t)을 적어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온 발생 장치,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본 발명은 이온 발생 장치, 당해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당해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한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의 공기의 정화, 살균 또는 소취 등을 행하기 위해, 이온 발생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온 발생 장치는,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이온 발생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고전압이 인가된 방전 전극의 선단과 유도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으로서, 복수의 섬유 형상의 도전체의 근원을 묶은 브러시 형상의 방전 전극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카본 섬유의 다발의 일부를, 금속 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시킨 상태에서, 금속 파이프를 카본 섬유의 다발의 타단부에 압착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브러시 형상의 방전 전극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9232호 공보(2003년 8월 15일 공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4220호 공보(2008년 2월 14일 공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38510호 공보(2012년 2월 23일 공개)」 일본 등록 실용신안 공보 「실용신안 등록 제3112435호 공보(2005년 8월 11일 공개)」 일본 등록 실용신안 공보 「실용신안 등록 제3174998호 공보(2012년 4월 19일 공개)」
여기서, 이온 발생 장치를 제조할 때에는, 고전압에 대한 절연 보호를 위해, 일부의 부재를 수지에 의해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방전 전극을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의 기단부를, 수지에 의해 밀봉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단,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의 기단부를 수지에 의해 밀봉한 경우에는, 수지 재료가 방전 전극에 부착되어 버려, 이온 발생 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성능 저하의 리스크를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는,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 전극은, 당해 방전 전극을 자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와,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를 구비하는 브러시부를 갖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부를 결속하여 보유 지지하고 있고, 상기 부착부의 기단부를 밀봉하는 제1 수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면을 적어도 덮는 제2 수지가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에 의하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성능 저하의 리스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방전 전극 및 보호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기 기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송풍 방향과 부착부의 판면 방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온 발생 장치(1)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온 발생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이온 발생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 발생 장치(1)는 사각형의 케이스(10)(하우징)와, 트랜스포머 구동 회로용 기판(12)과, 고압 트랜스포머(13)(고압 회로)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과, 덮개체(15)와, 방전 전극(21ㆍ22)과, 보호판(51ㆍ52)(돌출 부재)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0)는 전방면 및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이며, 절연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전방부에는, 외부 접속용 기판(1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 내에는,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트랜스포머 구동 회로용 기판(12)과, 고압 트랜스포머(13)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외부 접속용 기판(11)과, 트랜스포머 구동 회로용 기판(12)과, 고압 트랜스포머(13)를 덮도록, 덮개체(15)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접속용 기판(11)의 표면에는,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접속 단자(16)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접속 단자(16)의 각각은 외부 접속용 기판(11)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인쇄 패턴, 도금, 스퍼터,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막은, 예를 들어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그들의 합금 등의 재질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수십㎛의 오더의 막 두께(예를 들어 35㎛의 막 두께)를 갖고 있다. 접속 단자(16)의 각각은, 외부 접속용 기판(11)이 케이스(1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1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트랜스포머 구동 회로용 기판(12)에는 고압 트랜스포머 구동 회로가 배치되어 있다. 이 고압 트랜스포머 구동 회로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전압에 의해 고압 트랜스포머(13)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고압 트랜스포머(13)는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어 입력 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는 이온 발생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그 이온 발생 소자는, 고압 트랜스포머(13)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인가받음으로써 양이온 및 음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이온 발생 소자는, 방전 전극(21ㆍ22)과, 환상의 유도 전극(23ㆍ24)을 구비하고 있다. 방전 전극(21)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한쪽의 측부에 부착되고, 유도 전극(23)은 방전 전극(21)의 부착 위치의 주위에 형성된다. 방전 전극(22)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다른 쪽의 측부에 부착되고, 유도 전극(24)은 방전 전극(22)의 부착 위치의 주위에 형성된다.
유도 전극(23)은 방전 전극(21)과의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극인 한편, 유도 전극(24)은 방전 전극(22)과의 사이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극이다. 방전 전극(21)은 유도 전극(23)과의 사이에서, 음이온을 발생하기 위한 전극인 한편, 방전 전극(22)은 유도 전극(24)과의 사이에서, 양이온을 발생하기 위한 전극이다. 또한, 유도 전극(23ㆍ24)은 접지 전위로 되어 있다.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표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 밀봉재(41)(제1 수지, 몰드 수지)로 덮여 있다. 절연성 밀봉재(41)는, 예를 들어 가열 경화형 에폭시 수지 등의 절연 재료이어도 된다. 절연성 밀봉재(41)는 수지 재료를 가열시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 절연성 밀봉재(41)는 방전 전극(21ㆍ22)에 있어서의 부착부(33aㆍ34a)의 기단부를 밀봉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33aㆍ34a)는, 방전 전극(21ㆍ22)을 자장치인 이온 발생 장치(1)[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절연성 밀봉재(41)가 형성됨으로써, 부착부(33aㆍ34a)를 고전압에 대하여 절연 보호할 수 있다.
절연성 밀봉재(41)는 덮개체(15)의 표면과 예를 들어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덮개체(15)의 표면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절연성 밀봉재(41) 상을 덮고 있다. 방전 전극(21ㆍ22)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며,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방전 전극(21)은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25)를 구비하고,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31)와, 복수의 도전체(25)가 부착되는 기단부(33)를 구비한 브러시 형상 방전 전극이다. 또한, 방전 전극(22)은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26)를 구비하고,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32)와, 복수의 도전체(26)가 부착되는 기단부(34)를 구비한 브러시 형상 방전 전극이다.
또한, 선단부(31ㆍ32)는, 기단부(33ㆍ34)로부터 끝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브러시 형상으로 묶인 도전체(25ㆍ26)의 선단(25aㆍ26a)으로부터, 도전체(25ㆍ26)에 있어서의, 기단부(33ㆍ34)와의 접속단(접촉단)까지의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선 형상에는 실 형상, 섬유 형상, 와이어 형상이 포함된다.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는, 예를 들어 금속, 카본 섬유, 도전성 섬유, 도전성 수지 등의 도전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31ㆍ32)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체(25ㆍ26)의 1개당의 외경은 5㎛ 이상, 30㎛ 이하이다. 도전체(25ㆍ26)의 외경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전체(25ㆍ26)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함과 함께, 도전체(25ㆍ26)의 전기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전체(25ㆍ26)의 외경을 30㎛ 이하로 함으로써, 머리털과 같이 휘는 도전체(25ㆍ26)가 형성되어, 도전체(25ㆍ26)의 퍼짐 및 요동 일어나기 쉬워진다.
도전체(25ㆍ26)는, 각각 외경 7㎛의 카본 섬유여도 되고, 또는, 외경 12㎛ 혹은 25㎛의 SUS(스테인리스)제의 도전성 섬유여도 된다.
방전 전극(21)의 기단부(33)는 방전 전극(21)을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 부착하기 위한 판금 형상의 부착부(33a)와, 선단부(31)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체(25)를 상기 접속단에서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33b)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방전 전극(22)의 기단부(34)는 방전 전극(22)을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 부착하기 위한 판금 형상의 부착부(34a)와, 선단부(32)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체(26)를 상기 접속단에서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34b)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방전 전극(21)의 선단부(31)의 길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방전 전극(21) 및 보호판(5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방전 전극(21)[및 유도 전극(23)의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방전 전극(21)의 선단부(31)의 형상이 변화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방전 전극(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에 도시한 L1은, 방전 전극(21)의 선단부(31)의 길이, 즉,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25)가 기단부(33)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길이(돌출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L2는, 방전 전극(21)의 기단부(33)가 덮개체(15), 즉 절연성 밀봉재(41)로부터 돌출(노출)되어 있는 길이(돌출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는 방전 전극(21)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방전 전극(21)의 선단부(31)에서는,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25)의 선단이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4의 (b)는 방전 전극(21)에 고전압의 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방전 전극(21)의 선단부(31)에서는, 복수의 도전체(25)의 각각이, 동극이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반발하므로, 도전체(25)가 휘고, 그 결과, 브러시의 선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된다.
한편, 도전체(25)의 선단에서는, 양이온이 발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체(25)는 브러시의 선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양이온을 발생하는 영역의 면적이 증대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방전 전극(21)은 바늘 형상의 방전 전극에 비해,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이온 발생량이 증대되게 된다.
도 4의 (c)는 방전 전극(21)에 고전압의 펄스가 더 인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방전 전극(21)의 선단부(31)에서는, 복수의 도전체(25)끼리의 전기적인 반발력이 증대되므로, 브러시의 선단이 더 개방된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이온 발생량이 더욱 증대되게 된다.
그런데, 방전 전극(21)의 복수의 도전체(25)는 이극의 유도 전극(23)에 전기적으로 끌어당겨진다. 이 때문에, 도전체(25) 중, 1개 또는 복수개가, 유도 전극(23)측으로 크게 구부러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체(25)의 돌출 길이 L1은, 기단부(33)의 돌출 길이 L2보다도 작다. 따라서, 도전체(25)가 유도 전극(23)에 전기적으로 끌어당겨져 굴곡되어도, 혹은, 도전체(25)에 대해, 사람이 만지는 등의 역학적인 힘이 작용하여 굴곡되어도, 도전체(25)가 절연성 밀봉재(41)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도전체(25)가 절연성 밀봉재(41)와 접촉하는 접촉부에 있어서 이상 방전, 전류 누설 등이 발생하여, 이온의 발생량이 저하되거나 제로로 되거나 하는 문제, 케이스(10) 내의 트랜스포머 구동 회로용 기판(12), 고압 트랜스포머(13) 및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 이상 방전, 전류 누설 등이 발생하여 파손되는 문제, 및, 이온 발생 장치(1)의 소음값이 높아지는 문제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고압 트랜스포머(13)에 의해 케이스(10)에 정전기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덮개체(15) 또는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절연성 밀봉재(41)가 가열 경화형 에폭시 수지 등인 경우, 마찰 저항이 높기 때문에, 먼지 등이 비교적 부착되기 쉬우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상 방전, 전류 누설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전체(25)가 절연성 밀봉재(41)와 접촉하는 접촉부에 있어서 이상 방전, 전류 누설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21)의 선단부(31ㆍ32)의 길이[도전체(25ㆍ26)의 돌출 길이 L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부(33ㆍ34)의 돌출 길이 L2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선단부(31ㆍ32)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도전체(25ㆍ26)가 휘기 어려워지므로, 도전체(25ㆍ26)의 퍼짐 및 요동이 작아져, 브러시 형상 방전 전극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선단부(31ㆍ32)의 길이를 길게 하면 할수록, 이온 발생 장치(1)가 대형화된다.
그 때문에, 선단부(31ㆍ32)의 길이는, 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단부(31ㆍ32)의 길이는 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기단부(33ㆍ34)의 돌출 길이 L2는, 선단부(31ㆍ32)의 길이[도전체(25ㆍ26)의 돌출 길이 L1]의 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보호판(51ㆍ52)에 대하여, 도 2∼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온 발생 장치(1)는 제조되고 나서 각종 전기 기기에 부착될 때까지의 동안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어느 재치대(도시하지 않음)에 적재된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당해 상태를 뒤집은 상태로 상기 재치대에 적재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이온 발생 장치(1)가 전도된 경우, 방전 전극(21ㆍ22)이 상기 재치대 등의 바닥체(바닥)에 접촉하여 브러시 부분이 찌부러져 버리는 등의 파손(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 전극(21ㆍ22)을 각각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51ㆍ52)이, 방전 전극(21ㆍ22)에 각각 인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방전 전극(21ㆍ22)이 돌출 형성된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은, 사각형의 케이스(10)의 상면에 있어서의 후방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은 직사각형이며, 방전 전극(21ㆍ22)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은 방전 전극(21ㆍ22)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변인 긴 변(14a)이 케이스(10)의 후방부의 변(10a)에 평행하게 되도록, 변(10a)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10)의 상면에 있어서의 후방부의 양측 단부에, 방전 전극(21ㆍ22)에 각각 인접하도록 보호판(51ㆍ52)을 돌출 형성하고 있다.
보호판(51ㆍ52)은, 방전 전극(21ㆍ22)의 배열 방향인,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 방향[즉,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14a)에 평행한 방향]으로, 방전 전극(21ㆍ22)을 사이에 두고 병설되어 있다.
보호판(51ㆍ52)의 높이의 최댓값은, 방전 전극(21ㆍ22)의 높이보다도 크고, 보호판(51ㆍ52)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표면에 대해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보다도 돌출되도록, 절연성 밀봉재(41) 상에, 또는 덮개체(15)의 상부에 혹은 덮개체(15)와 일체 성형에 의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온 발생 장치(1)가 예를 들어 전도된 경우라도, 방전 전극(21ㆍ22)이 상기 재치대 등, 이온 발생 장치(1)의 외부의 물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접촉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판(51ㆍ52)의 높이란, 상하 방향의 길이, 즉,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보호판(51)의 상면까지의 높이, 및,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보호판(52)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나타낸다.
보호판(51ㆍ52)의 높이는,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표면에 대해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보다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보호판(51ㆍ52)의 높이가 높아지면, 그만큼, 이온 발생 장치(1)가 대형화된다. 이 때문에, 보호판(51ㆍ52)의 높이는, 예를 들어 이온 발생 장치(1)가 전도된 경우에, 방전 전극(21ㆍ22)이, 상기 재치대 등, 이온 발생 장치(1)의 외부의 물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보호판(51ㆍ52)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방전 전극(21ㆍ22)에 있어서의,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선단부(31ㆍ32)의 선단까지의 높이[즉,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도전체(25ㆍ26)의 선단(25aㆍ26a)까지의 높이의 최댓값]보다도 조금 큰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판(51ㆍ52)은, 각각, 방전 전극(21ㆍ22)과 보호판(51ㆍ52) 사이의 거리가,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방전 전극(21ㆍ22)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의 (b)ㆍ(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25)끼리 혹은 도전체(26)끼리가 반발하여 선단부(31ㆍ32)가 퍼짐으로써, 도전체(25ㆍ26)가 어떤 각도로 쓰러졌다고 해도, 도전체(25ㆍ26)가 보호판(51ㆍ52)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어,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판(51ㆍ52)은, 각각, 보호판(51ㆍ52)을 통해 방전 전극(21ㆍ22)을 보았을 때[즉, 케이스(10)의 변(10a)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이온 발생 장치(1)를 보았을 때], 보호판(51ㆍ52)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에 대향하는 부분이 절결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판(51)에는, 방전 전극(21)에 대향하여, 선단부(31)를 노출시키는 개구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호판(52)에는, 방전 전극(22)에 대향하여, 선단부(32)를 노출시키는 개구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호판(51ㆍ52)에 개구부(51aㆍ52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보호판(51ㆍ52)에 의해 방전 전극(21ㆍ22)에 의한 이온의 방출이 저해되지 않고, 양호한 이온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판 형상의 부착부(33aㆍ34a)는, 판면의 법선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 부착되어 있다. 도전체(25ㆍ26)는, 판금 형상의 부착부(33aㆍ34a)의 두께가 얇은 방향으로 쓰러지기 쉬운 한편, 판금 형상의 부착부(33aㆍ34a)의 두께가 두꺼운 방향으로는 쓰러지기 어렵다. 이 때문에, 방전 전극(21ㆍ22)은, 전후 방향으로는 쓰러지기 쉽지만, 좌우 방향으로는 쓰러지기 어렵다. 따라서, 방전 전극(21ㆍ22)의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보호판(51ㆍ52)이, 방전 전극(21ㆍ22)의 도전체(25ㆍ26)와 근접하지 않아,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방전 전극(21ㆍ22)에 있어서의 판 형상의 부착부(33aㆍ34a)는, 부착부(33aㆍ34a)로부터 판면의 법선 방향으로는 보호판(51ㆍ52)이 존재하지 않도록,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방전 전극의 주변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방전 전극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방전 전극의 예로서 방전 전극(21)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하의 설명은 방전 전극(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부(33b)는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25)를 구비하는 브러시(브러시부라 칭해져도 됨)의 기단부를 결속하여(코오킹하여) 보유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부착부(33a)의 기단부는, 절연성 밀봉재(41)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33b)에 의해 결속된 브러시의 기단부는, 보호 수지(29)(제2 수지)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보호 수지(29)는 브러시의 기단면을 적어도 덮는 부재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브러시의 기단면을, 브러시 기단면(25t)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보호 수지(29)는 예를 들어 UV(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재료여도 된다. 보호 수지(29)는 수지 재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하, 보호 수지(29)를 형성하는 것의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 형상의 도전체(25)의 각각은, 매우 작은 외경(예를 들어 7㎛)을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도전체는, 매우 가늘고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도전체(25)가 결속된 브러시의 기단부[예를 들어 브러시 기단면(25t)]에 액체가 부착된 경우에는, 도전체(25) 간에 현저한 모세관력이 발생하게 되어, 당해 액체는 모세관력에 의해 브러시의 상부에 침투해 버린다.
그런데, 절연성 밀봉재(41)의 절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절연성 밀봉재(41)의 제조 시에, 절연성 밀봉재(41)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당해 공정은, 부착부(33a)의 기단부를 밀봉하는 수지 재료[절연성 밀봉재(41)의 재료]를 진공 탈포하는 처리(후술하는 제2 공정)여도 된다.
상술한 처리에 있어서 수지 재료를 진공 탈포함으로써, 절연성 밀봉재(41)의 내부에 있어서의 보이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성 밀봉재(41)의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지 재료를 진공 탈포한 경우에는, 수지 재료 내의 기포가 배출됨과 함께, 수지 재료가 비산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비산한 수지 재료가 브러시의 기단부에 접착해 버리면, 당해 수지 재료는 모세관력에 의해 브러시의 상부에 침투해 버린다.
그리고, 브러시의 상부에 침투한 수지 재료가 경화되어 버리면, 선 형상의 도전체(25)의 퍼짐이 억제되게 된다. 그 때문에, 방전 전극(21)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능력이 저하되어 버린다. 즉, 이온 발생 장치(1)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불이익이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수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 수지(29)는 상술한 진공 탈포의 처리에 앞서서, 이온 발생 장치(1)의 부재로서 미리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수지(29)는 브러시 기단면(25t)을 덮고 있기 때문에, 브러시 기단면(25t)에의 이물(액체)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이온 발생 장치(1)에 의하면, 보호 수지(29)가 형성됨으로써, 수지 재료가 비산한 경우라도, 비산한 수지 재료가 브러시 기단면(25t)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성능 저하의 리스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호 수지(29)는 접착제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브러시의 기단부를 보다 강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여기서, 당해 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보호 수지(29)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브러시의 기단부는, 결속부(33b)에 의해서만 결속되게 된다. 따라서, 결속부(33b)로부터 도전체(25)가 1개 빠져 버린 경우에는, 결속부(33b)에 있어서의 결속력(브러시의 기단부를 결속하는 힘)이 감소되어 버리게 된다.
그리고, 이 결속력의 저하에 수반하여, 결속부(33b)로부터는 도전체(25)가 더 빠지기 쉬워져 버린다. 이 때문에, 결속부(33b)로부터 도전체(25)가 1개라도 빠져 버린 경우에는, 결속력의 감소에 의해 도전체(25)의 한층 더한 빠짐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모든 도전체(25)가 결속부(33b)로부터 빠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이온 발생 장치(1)에서는, 보호 수지(29)가 브러시 기단면(25t)을 적어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속부(33b) 외에, 보호 수지(29)에 의해서도, 브러시의 기단부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의 기단부를 보다 강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경화 전의 보호 수지(29)는 경화 전의 절연성 밀봉재(41)보다도 높은 점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경화 전의 절연성 밀봉재(41)의 점도는 1.6Paㆍs이고, 경화 전의 보호 수지(29)의 점도는 30Paㆍs이다. 이와 같이, 경화 전의 보호 수지(29)는 경화 전의 절연성 밀봉재(41)에 비해, 매우 높은 점도(약 18배의 점도)를 갖고 있는 것이 이해된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경화 전의 보호 수지(29)의 점도가 경화 전의 절연성 밀봉재(41)의 점도보다도 높기 때문에, 보호 수지(29)가 경화 전이어도, 보호 수지(29)가 모세관력에 의해 브러시의 상부에 빠르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호 수지(29)를 형성하는 공정[후술하는 제3 공정, 예를 들어 보호 수지(29)의 수지 재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공정] 중에, 보호 수지(29)가 모세관력에 의해 브러시의 상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방전 전극(21)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능력의 저하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호 수지(29)의 경화 전의 점도는, 절연성 밀봉재(41)의 경화 전의 점도보다도 높기 때문에, 경화 전의 보호 수지(29)가 브러시 기단면(25t)으로부터 침투하였다고 해도, 보호 수지(29)의 브러시 기단면(25t)으로부터의 침투는 느려, 브러시의 기단부에서 경화되어 정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보호 수지(29)가 브러시의 상부까지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방전 전극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능력의 저하가 억제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온 발생 장치(1)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도 된다. 즉, 당해 제조 방법은, 방전 전극(21)에 보호 수지(29)를 형성하는 공정(제1 공정)과, 보호 수지(29)를 형성하는 공정 후에, 부착부(33a)의 기단부를 밀봉하는 수지 재료를 진공 탈포하는 공정(제2 공정)과, 진공 탈포된 수지 재료를 경화시켜, 절연성 밀봉재(41)를 형성하는 공정(제3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정[예 : 경화 전의 보호 수지(29)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공정]에 있어서 보호 수지(29)를 미리 형성함으로써, 제2 공정에 있어서 수지 재료가 비산한 경우라도, 브러시 기단면(25t)에의 수지 재료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 발생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제3 공정에 있어서, 품질이 높은(절연 성능이 우수한) 절연성 밀봉재(4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온 발생 장치(1)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이온 발생 장치(1)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호판(51ㆍ52)이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 방향으로 방전 전극(21ㆍ22)을 사이에 두고 병설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발생 장치(1)가 예를 들어 전도된 경우라도, 도전체(25ㆍ26)가 이온 발생 장치(1)의 외부의 물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 및 높이에 보호판이 형성되어 있으면, 보호판은 1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을 케이스(10)의 후방부에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은 케이스(1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도 전극(23ㆍ24)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을 생략해도 방전 전극(21ㆍ22)으로부터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도 전극(23ㆍ24)을 이용하는 쪽이, 방전 전극(21ㆍ22)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증대되어, 이온의 발생량이 증대되므로,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과의 상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장치(2)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이온 발생 장치(2)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온 발생 장치(2)는 보호판(51ㆍ52) 대신에, 방전 전극(21ㆍ22)을 각각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61ㆍ62)(돌출 부재)이 방전 전극(21ㆍ22)의 배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인,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짧은 변 방향[즉,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짧은 변(14b)에 평행한 방향]으로, 방전 전극(21ㆍ22)을 사이에 두고 병설되어 있음과 함께, 방전 전극(21ㆍ22)의 부착부(33aㆍ34a)가 쓰러지기 쉬운 방향이 상이한 점과, 외부 접속용 기판(11) 대신에, 케이스(10)의 측면에 오목부(90)를 형성하고, 오목부(90)에 복수의 접속 단자(91)를 설치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 형태 1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보호판(61ㆍ62)의 높이의 최댓값은, 방전 전극(21ㆍ22)의 높이보다도 크고, 보호판(61ㆍ62)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표면에 대해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보다도 돌출되도록, 절연성 밀봉재(41) 상에, 또는 덮개체(15)의 상부에 혹은 덮개체(15)와 일체 성형에 의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도 이온 발생 장치(2)가 예를 들어 전도된 경우에도, 방전 전극(21ㆍ22)이 상기 재치대 등, 이온 발생 장치(2)의 외부의 물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접촉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판(61ㆍ62)의 높이란, 상하 방향의 길이, 즉,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보호판(61)의 상면까지의 높이, 및,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보호판(62)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보호판(61ㆍ62)의 상면이란,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빔부(71ㆍ81)의 상면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보호판(61ㆍ62)의 높이는, 보호판(51ㆍ52)과 마찬가지로,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표면에 대해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보다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보호판(61ㆍ62)의 높이가 높아지면, 그만큼, 이온 발생 장치(2)가 대형화된다. 이 때문에, 보호판(61ㆍ62)의 높이는, 예를 들어 이온 발생 장치(2)가 전도된 경우에, 방전 전극(21ㆍ22)이, 상기 재치대 등, 이온 발생 장치(2)의 외부의 물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보호판(61ㆍ62)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방전 전극(21ㆍ22)에 있어서의,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선단부(31ㆍ32)의 선단까지의 높이[즉,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도전체(25ㆍ26)의 선단(25aㆍ26a)까지의 높이의 최댓값]보다도 조금 큰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판(61ㆍ62)은, 방전 전극(21ㆍ22)과 보호판(61ㆍ62) 사이의 거리가,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의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서로 이격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보호판(61ㆍ62) 간의 거리는,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의 2배 이상의 길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도 도전체(25)끼리 혹은 도전체(26)끼리가 반발하여 선단부(31ㆍ32)가 퍼짐으로써, 도전체(25ㆍ26)가 어떤 각도로 쓰러졌다고 해도, 도전체(25ㆍ26)가 보호판(61ㆍ62)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어,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선단부(31ㆍ32)는, 방전에 의한 정전기에 의해 도전체(25ㆍ26)에 먼지 등이 부착되고, 이에 의해, 방전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유저가 전기 기기에 탑재된 이온 발생 장치(2)를 떼어내어, 선단부(31ㆍ32)의 도전체(25ㆍ26)로부터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61ㆍ62) 간의 거리는,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의 2배 이상의 길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그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선단부(31ㆍ32)의 도전체(25ㆍ26)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선단부(31ㆍ32)의 도전체(25ㆍ26)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판(61ㆍ62)은, 각각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호판(61)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표면에 평행한 가로판을 포함하는 빔부(71)와, 빔부(71)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주인 지지부(72ㆍ73)와, 빔부(71)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주인 지지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72ㆍ74) 간 및 지지부(74ㆍ73) 간은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판(61)에는 2개의 개구부(61aㆍ61b)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판(62)은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표면에 평행한 가로판을 포함하는 빔부(81)와, 빔부(81)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주인 지지부(82ㆍ83)와, 빔부(81)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주인 지지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82ㆍ84) 간 및 지지부(84ㆍ83) 간은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판(62)에는 2개의 개구부(62aㆍ62b)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72ㆍ73)는, 각각,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 방향의 양단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74)는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 방향의 중앙부에, 지지부(72ㆍ73)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부(82ㆍ83)는, 각각,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 방향의 양단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84)는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 방향의 중앙부에, 지지부(82ㆍ83)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빔부(71ㆍ81)는, 각각,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14a)에 평행하게,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긴 변 방향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 쪽의 단부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전 전극(21ㆍ22)은, 보호판(61ㆍ62)을 통해 보았을 때[즉, 케이스(10)의 변(10a)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이온 발생 장치(2)를 보았을 때], 개구부(62aㆍ61b)로부터 방전 전극(21)이 노출됨과 함께, 개구부(62bㆍ61a)로부터 방전 전극(22)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61aㆍ61bㆍ62aㆍ62b)는, 예를 들어 이온 발생 장치(2)의 방전 전극(21ㆍ22)에서 발생시킨 이온을 반송하는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풍구로서 기능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보호판(61ㆍ62)은, 방전 전극(21ㆍ22)의 선단부(31ㆍ32)의 선단 부분[즉, 도전체(25ㆍ26)의 선단 부분]이 빔부(71ㆍ81)로 가려지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단, 보호판(61ㆍ62)의 높이[즉,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빔부(71ㆍ81)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절연성 밀봉재(41)의 표면으로부터 도전체(25ㆍ26)의 선단(25aㆍ26a)까지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으면 되고, 개구부(62aㆍ61b)로부터 방전 전극(21) 전체가 노출됨과 함께, 개구부(62bㆍ61a)로부터 방전 전극(22) 전체가 노출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62aㆍ61b)로부터 방전 전극(2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됨과 함께, 개구부(62bㆍ61a)로부터 방전 전극(22)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됨으로써, 보호판(61ㆍ62)에 의해 방전 전극(21ㆍ22)에 의한 이온의 방출이 저해되지 않고, 양호한 이온의 방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판 형상의 부착부(33aㆍ34a)는, 판면의 법선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되도록,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체(25ㆍ26)는, 상기 판금 형상의 부착부(33aㆍ34a)의 두께가 얇은 방향으로 쓰러지기 쉬운 한편, 상기 판금 형상의 부착부(33aㆍ34a)의 두께가 두꺼운 방향으로는 쓰러지기 어렵다.
이 때문에, 방전 전극(21ㆍ22)은, 좌우 방향으로는 쓰러지기 쉽지만, 전후 방향으로는 쓰러지기 어렵다. 따라서, 방전 전극(21ㆍ22)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판(61ㆍ62)이, 방전 전극(21ㆍ22)의 도전체(25ㆍ26)와 근접하지 않아,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방전 전극(21ㆍ22)에 있어서의 판 형상의 부착부(33aㆍ34a)는, 부착부(33aㆍ34a)로부터 판면의 법선 방향으로는 보호판(61ㆍ62)이 존재하지 않도록,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판(61ㆍ62)이, 이온 발생 소자용 기판(14)의 짧은 변(14b)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방전 전극(21ㆍ2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도전체(25ㆍ26)와 보호판(61ㆍ62)이 근접하지 않아,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한 전기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10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전기 기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이온 발생 장치(1)를 이온 발생 장치로서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실시 형태 2의 이온 발생 장치(2)를 이온 발생 장치로서 사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기기(100)에서는, 이온 발생 장치(1)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외부로 유도하는 통로인 송풍로(102)를 형성하는 팬용 케이싱(101)의 일부에, 이온 발생 장치(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송풍로(102) 내에는, 이온 발생 장치(1)와, 이온 발생 장치(1)에서 발생시킨 이온을 반송하는 기체를 송풍하는 송풍 장치(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온 발생 장치(1)는 송풍 장치(103)의 송풍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송풍 장치(103)는 시로코 팬, 크로스 플로우 팬 또는 그 밖의 팬이어도 된다.
또한, 이온 발생 장치(1)는 전기 기기(100)에 일체로 내장된 구성이어도 되고, 전기 기기(100)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된다. 이온 발생 장치(1)가 전기 기기(100)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온 발생 장치(1)의 교환이나 청소가 가능하여, 전기 기기(100)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전기 기기(10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 공기 조화기, 제습기, 가습기, 공기 청정기, 팬 히터 또는 그 밖의 기기여도 된다. 전기 기기(100)는 가옥용이어도 되고, 차량 탑재용이어도 된다. 전기 기기(100)는, 예를 들어 가옥의 실내, 빌딩의 일실, 병원의 병실, 자동차의 차 실내, 비행기의 기내 또는 배의 선박 내 등의 공기를 조절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부(33a)는 판 형상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부착부(33a)가 판 형상인 경우에는, 전기 기기(100)에 있어서의 송풍 방향을 고려하여, 판 형상의 부착부(33a)의 판면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전기 기기(100)에 있어서의 송풍 방향과 부착부(33a)의 판면의 방향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전기 기기(100)에 있어서의 송풍 방향과 부착부(33a)의 판면의 방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의 (a)에서는, 방전 전극의 예로서 방전 전극(21)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하의 설명은 방전 전극(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8의 (b)는 도 8의 (a)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21)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8에 있어서, 이온을 전기 기기(100)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당해 이온을 반송하는 기체를 송풍하는 방향을 송풍 방향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 발생 장치(1)는 부착부(33a)의 판면이 송풍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전기 기기(10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부착부(33a)의 판면을 송풍 방향과 평행하게 함으로써, 부착부(33a)에 있어서, 송풍을 받는 면의 면적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부착부(33a)가 송풍의 방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 기기(100)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송풍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착부(33a)를 판 형상으로 함으로써, 부착부를 직경이 작은(가늘고 긴) 파이프 형상으로서 형성한 경우에 비해, 당해 부착부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착부(33a)에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부착부(33a)가 변형(예 : 절곡) 또는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기기(100)가 송풍 장치(10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송풍 장치(103)는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열대류에 의해서도 이온 발생 장치(1)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정리〕
본 발명의 형태 1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1)는,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예를 들어 방전 전극(21)]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 전극은, 당해 방전 전극을 자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예를 들어 부착부(33a)]와,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예를 들어 도전체(25)]를 구비하는 브러시부를 갖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부를 결속하여 보유 지지하고 있고, 상기 부착부의 기단부를 밀봉하는 제1 수지[절연성 밀봉재(41)]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면[브러시 기단면(25t)]을 적어도 덮는 제2 수지[보호 수지(29)]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 형상의 도전체의 각각은, 매우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도전체는, 매우 가늘고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도전체가 결속된 브러시부의 기단부에 액체가 부착된 경우에는, 도전체 간에 현저한 모세관력이 발생하여, 당해 액체는 모세관력에 의해 브러시부의 상부에 침투해 버린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지 재료(제1 수지의 재료)가 비산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는, 제1 수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 재료를 진공 탈포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체에 부착된 수지 재료가 경화되어 버리면, 선 형상의 도전체의 퍼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방전 전극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능력이 저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결속부에는, 브러시부의 기단면을 적어도 덮는 제2 수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 재료가 비산한 경우라도, 비산한 수지 재료가 브러시부의 기단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에 의하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성능 저하의 리스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형태 2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의 경화 전의 점도는, 상기 제1 수지의 경화 전의 점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수지의 경화 전의 점도가 제1 수지의 경화 전의 점도보다도 높기 때문에, 제2 수지가 경화 전이어도, 당해 제2 수지가 모세관력에 의해 브러시부의 상부에 빠르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전극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능력의 저하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형태 3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는, 상기 형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의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면으로부터의 침투는, 당해 브러시부의 기단부에서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경화 전의 제2 수지가 브러시부의 기단면으로부터 침투하였다고 해도, 당해 제2 수지가 브러시부의 상부까지 침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방전 전극에 있어서의 이온 발생 능력의 저하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형태 4에 따른 제조 방법은, 상기 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전 전극에 상기 제2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 후에, 상기 부착부의 기단부를 밀봉하는 수지 재료를 진공 탈포하는 공정과, 진공 탈포된 상기 수지 재료를 경화시켜, 상기 제1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를 진공 탈포하는 공정에 있어서, 당해 수지 재료가 비산한 경우라도, 비산한 수지 재료가 브러시부의 기단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이온 발생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당해 이온 발생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형태 5에 따른 전기 기기(100)는 상기 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한 전기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형태 6에 따른 전기 기기는, 상기 형태 5에 있어서, 상기 이온을 상기 전기 기기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당해 이온을 반송하는 기체를 송풍하는 방향을 송풍 방향이라 하고, 상기 부착부는 판 형상이며, 당해 부착부의 판면이 상기 송풍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이온 발생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판 형상의 부착부에 있어서, 송풍을 받는 면의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판 형상의 부착부가 송풍의 방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를 판 형상으로 함으로써, 부착부를 직경이 작은(가늘고 긴) 파이프 형상으로서 형성한 경우에 비해, 당해 부착부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효율적인 송풍을 실현함과 함께, 부착부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부기 사항〕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표현〕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도 표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온 발생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보유 지지되며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을 돌출시키고, 상기 기판을 덮는 몰드 수지를 구비하고, 상기 방전 전극은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와, 상기 복수의 도전체를 코오킹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체의 몰드 수지측의 단부에는 수지가 도포되어 있다.
1, 2 : 이온 발생 장치
21, 22 : 방전 전극
25, 26 : 도전체
25t : 브러시 기단면(브러시부의 기단면)
29 : 보호 수지(제2 수지)
33a, 34a : 부착부
41 : 절연성 밀봉재(제1 수지)
100 : 전기 기기

Claims (5)

  1.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 전극은, 당해 방전 전극을 자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와, 복수의 선 형상의 도전체를 구비하는 브러시부를 갖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부를 결속하여 보유 지지하고 있고,
    상기 부착부의 기단부를 밀봉하는 제1 수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부의 기단면을 적어도 덮는 제2 수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지의 경화 전의 점도는, 상기 제1 수지의 경화 전의 점도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기재된 이온 발생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전 전극에 상기 제2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 후에, 상기 부착부의 기단부를 밀봉하는 수지 재료를 진공 탈포하는 공정과,
    진공 탈포된 상기 수지 재료를 경화시켜, 상기 제1 수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에 기재된 이온 발생 장치를 구비한 전기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을 상기 전기 기기의 외부에 방출하기 위해, 당해 이온을 반송하는 기체를 송풍하는 방향을 송풍 방향이라 하고,
    상기 부착부는 판 형상이며, 당해 부착부의 판면이 상기 송풍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이온 발생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KR1020177022965A 2015-09-02 2016-02-09 이온 발생 장치,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KR101948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3250 2015-09-02
JP2015173250A JP6526525B2 (ja) 2015-09-02 2015-09-02 イオン発生装置、イオン発生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機器
PCT/JP2016/053833 WO2017038111A1 (ja) 2015-09-02 2016-02-09 イオン発生装置、イオン発生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091A KR20170105091A (ko) 2017-09-18
KR101948460B1 true KR101948460B1 (ko) 2019-02-14

Family

ID=5818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965A KR101948460B1 (ko) 2015-09-02 2016-02-09 이온 발생 장치,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48733B2 (ko)
JP (1) JP6526525B2 (ko)
KR (1) KR101948460B1 (ko)
CN (1) CN107925223B (ko)
SG (1) SG11201706607YA (ko)
WO (1) WO2017038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98B1 (ko) * 2015-02-17 2021-01-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JP6612084B2 (ja) * 2015-08-05 2019-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6526525B2 (ja) * 2015-09-02 2019-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イオン発生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機器
CN110506373B (zh) * 2017-04-10 2021-08-17 夏普株式会社 放电装置以及电气设备
FR3072891B1 (fr) * 2017-10-28 2019-11-08 Ancilia Protect Ltd Ioniseur equipe d’un accelerateur de flux ionique notamment pour la protection contre les moustiques
CN111386639B (zh) * 2017-11-28 2022-11-01 夏普株式会社 离子产生装置、器具、提供空气调节机调节的空间的方法
US10786818B2 (en) * 2018-02-09 2020-09-29 Aviation Clean Air, Llc Aircraft proactive air and surface purification component
KR20230085946A (ko) * 2018-02-12 2023-06-14 글로벌 프라즈마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셀프 클리닝 이온 발생기 장치
WO2020032030A1 (ja) * 2018-08-10 2020-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
KR102616653B1 (ko) * 2018-12-14 2023-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섬유 대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기기
KR102537336B1 (ko) * 2022-08-31 2023-06-05 조효섭 공기살균장치
KR102582042B1 (ko) * 2023-06-23 2023-09-25 주식회사 쏠라페 대형 공간 확장 적용이 가능한 고농도 이온 발생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살균 정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549Y1 (ko) * 2006-07-05 2006-10-24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8102A1 (en) * 1980-09-11 1982-03-24 PENNY & GILES POTENTIOMETERS LIMITED Air ionization devices
JP3393270B2 (ja) 1994-10-17 2003-04-07 増田 佳子 コロナ放電ユニット
US5958165A (en) * 1996-07-19 1999-09-28 Ngk Insulator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member
JPH1074576A (ja) * 1996-09-02 1998-03-17 Kazuo Okano イオン発生装置用放電電極
JPH11168276A (ja) * 1997-12-04 1999-06-22 Sony Corp 部品実装方法
JP2000340393A (ja) 1999-05-28 2000-12-08 Ishiyama Seisakusho:Kk 高圧印加式除電器の除電電極である放電電極のスパッタリング現象防止、オゾン発生防止、並びに発光作用防止又真空層内の帯電除去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903942B2 (ja) * 2001-03-15 2012-03-2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イオン発生装置
CN2524406Y (zh) * 2001-12-30 2002-12-04 西安交通大学 在放电尖端上生长碳纳米管阵列的负离子发生器
JP2003229232A (ja) 2002-01-31 2003-08-15 Nihon Seimitsu Co Ltd 電極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JP3089869U (ja) 2002-05-10 2002-11-15 實慶 孫 軟式安全マイナスイオン発生器
KR100560851B1 (ko) * 2003-09-03 2006-03-17 주식회사 이온라이트 음이온 발생과 대기정화 기능을 갖는 삼파장 램프
JP3112435U (ja) 2005-01-07 2005-08-11 侯彩鳳 マイナスイオン空気浄化灯
TWI282399B (en) * 2005-03-28 2007-06-11 Jiun-Guang Luo The device and method of an air ionizer (ion generator)
WO2007078135A1 (en) 2005-12-30 2007-07-12 Halla Climate Control Corp. Vehicle air purifier with a negative and positive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8034220A (ja) * 2006-07-28 2008-02-14 Andes Denki Kk 放電電極素子およびイオナイザー
JP2008112714A (ja) * 2006-10-05 2008-05-15 Vector:Kk イオン風発生装置
JP2008101818A (ja) * 2006-10-18 2008-05-01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KR100903315B1 (ko) 2006-10-31 2009-06-16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JP2008257897A (ja) * 2007-03-31 2008-10-23 Yushin Precision Equipment Co Ltd 除電器の放電用電極
JP4783805B2 (ja) 2008-03-27 2011-09-28 春日電機株式会社 直流式バー形除電電極構造
JP5014269B2 (ja) * 2008-06-20 2012-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における蒸発燃料処理装置
CN201478694U (zh) 2009-08-27 2010-05-19 山东金泽尔工贸有限公司 一种空气离子发生器
WO2011111293A1 (ja) * 2010-03-10 2011-09-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Led封止樹脂体、led装置およびled装置の製造方法
JP4803306B1 (ja) * 2010-04-07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2012038510A (ja) 2010-08-05 2012-02-23 Seiko Denki Kk イオン発生器
JP4949507B2 (ja) * 2010-08-20 2012-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5041495B2 (ja) 2010-11-01 2012-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
JP5192090B2 (ja) * 2011-05-18 2013-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TWM432712U (en) 2011-11-11 2012-07-01 da-peng Lai Wind powered negative ion generator
JP6004525B2 (ja) 2012-08-02 2016-10-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KR102102759B1 (ko) 2013-05-13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온발생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6204712B2 (ja) 2013-06-20 2017-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6155342B2 (ja) * 2013-10-02 2017-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WO2015050045A1 (ja) * 2013-10-02 2015-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WO2015151309A1 (ja) 2014-03-31 2015-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CN204165142U (zh) 2014-08-27 2015-02-18 深圳市同盛绿色科技有限公司 负离子空气净化器
JP6595823B2 (ja) 2015-07-10 2019-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ブラシ電極の製造方法
JP6612084B2 (ja) * 2015-08-05 2019-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JP6526525B2 (ja) * 2015-09-02 2019-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イオン発生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549Y1 (ko) * 2006-07-05 2006-10-24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5223B (zh) 2019-11-19
US20180053621A1 (en) 2018-02-22
CN107925223A (zh) 2018-04-17
JP6526525B2 (ja) 2019-06-05
JP2017050183A (ja) 2017-03-09
WO2017038111A1 (ja) 2017-03-09
SG11201706607YA (en) 2018-03-28
KR20170105091A (ko) 2017-09-18
US10748733B2 (en)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460B1 (ko) 이온 발생 장치, 이온 발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KR20170102978A (ko) 이온 발생 장치 및 전기 기기
CN110574248B (zh) 放电装置及电气设备
CN110506373B (zh) 放电装置以及电气设备
CN107925225B (zh) 离子产生装置及电器设备
WO2014002158A1 (ja) 放電装置
JP4653650B2 (ja) イオン発生素子、イオン発生装置及び電気機器
JP5935840B2 (ja) 放電電極、放電装置
WO2018055787A1 (ja) 放電装置および電気機器
CN108141013B (zh) 离子产生装置及制造方法
KR20160028294A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109690893B (zh) 放电装置及电气设备
JP6123937B2 (ja) 放電電極、放電装置
JP2015215999A (ja) イオ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