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209B1 -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209B1
KR101944209B1 KR1020177029812A KR20177029812A KR101944209B1 KR 101944209 B1 KR101944209 B1 KR 101944209B1 KR 1020177029812 A KR1020177029812 A KR 1020177029812A KR 20177029812 A KR20177029812 A KR 20177029812A KR 101944209 B1 KR101944209 B1 KR 101944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control
search
portable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480A (ko
Inventor
류스케 이시카와
마사히토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7013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Abstract

차량 제어 시스템은,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와, 차량에 탑재되어,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언로크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이 구비하는 복수의 도어 중 언로크하는 도어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에 따라 언로크하는 도어를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고, 일률적으로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의 사용 형태에 따른 도어만을 언로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본 출원은, 2015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5-068821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여기에 그의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언로크(unlock)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서는, 기계적인 키가 아니고,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에 의해 무선으로 도어의 로크(lock)나 언로크(unlock)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을 탑재하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휴대기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이상 떨어지면 모든 도어를 로크하고, 휴대기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접근하면 모든 도어가 언로크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809934호 공보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휴대기가 차량에 접근하면 모든 도어가 언로크된다. 그로 인하여, 유저가 언로크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되는 도어까지 언로크되어 버려, 사용하기 불편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저의 안심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언로크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유저의 사용 형태에 따른 도어를 언로크하도록 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및 이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와, 차량에 탑재되어,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차량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차량 제어 장치는,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언로크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이 구비하는 복수의 도어 중 언로크되는 도어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에 따라 언로크하는 도어를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고, 일률적으로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의 사용 형태에 따른 도어만을 언로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휴대기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6은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개시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a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자동 로크 처리의 경우의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b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수동 로크 처리의 경우의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a는 본 개시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자동 로크 처리의 경우의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b는 본 개시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수동 로크 처리의 경우의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a는 본 개시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자동 로크 처리의 경우의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b는 본 개시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수동 로크 처리의 경우의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개시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개시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한 차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예시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V)에 탑재되는 차량 제어 장치(10) 및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20)에 의해 구축된다. 이 경우, 차량(V)은, 소위 5도어의 차량이며, 운전석의 도어(D1), 조수석의 도어(D2), 후부 좌석의 도어(D3, D4) 및 트렁크의 도어(D5)를 구비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제어부(11)에 복수의 탐색 안테나(12)가 접속된 구성이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는, 운전석의 도어(D1)에 구비되는 운전석용 탐색 안테나(12A), 조수석의 도어(D2)에 구비되는 조수석용 탐색 안테나(12B), 트렁크의 도어(D5)에 구비되는 트렁크용 탐색 안테나(12C)를 구비한다. 또한, 탐색 안테나(12)는, 다른 도어, 예를 들어 후부 좌석의 도어(D3, D4)에 설치해도 된다.
제어부(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 제어 장치(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커스터마이즈 처리부(31)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상적으로 실현한다. 커스터마이즈 처리부(31)는, 선택부의 일례이며, 차량(V)이 구비하는 복수의 도어(D1 내지 D5) 중 휴대기(20)가 접근한 경우에 언로크되는 도어를 선택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커스터마이즈 처리부(31)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20)는, 제어부(21), 로크 버튼(22), 언로크 버튼(23), 안테나(24), 버튼 전지(25)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휴대기(2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로크 버튼(22) 및 언로크 버튼(23)은,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로크 버튼(22)이 조작되면, 제어부(21)는, 차량의 도어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명령 신호를 안테나(24)로부터 출력한다. 언로크 버튼(23)이 조작되면, 제어부(21)는, 차량의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한 언로크 명령 신호를 안테나(24)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휴대기(20)는, 로크 버튼(22) 및 언로크 버튼(23) 이외의 버튼을 구비해도 된다. 버튼 전지(25)는, 휴대기(20)의 전원이 되는 것이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탐색하는 탐색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V)의 도어(D1 내지 D5)가 모두 로크되면, 이 탐색 처리를 개시한다. 이 탐색 처리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를 탐색 안테나(12)로부터 발신한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는, 장파(LF)(Low Frequency)를 탐색 신호로서 발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장파(LF)를 소정의 주기로 발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장파(LF)를 발신하는 주기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장파(LF)를 소정의 출력으로 발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는, 장파(LF)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휴대기(20)를 탐색하는 범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복수의 탐색 안테나(12A 내지 12C) 중 장파(LF)를 출력하는 안테나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제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휴대기(20)를 휴대하는 유저가 차량(V)에 접근하여,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가 되면, 차량 제어 장치(10)가 발신하는 장파(LF)를 휴대기(20)가 수신한다. 그리고, 장파(LF)를 수신한 휴대기(20)는, 고주파 RF(Radio Frequency)를 출력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로부터 고주파 RF를 수신하면, 휴대기(20) 사이에 무선의 통신 회선을 확립한다. 이로 인해, 차량 제어 장치(10)에 휴대기(20)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V)의 도어를 자동으로 언로크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자동 언로크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차량 제어 장치(10)는, 일률적으로 모든 도어(D1 내지 D5)를 언로크하는 것이 아니라,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의 사용 형태에 따라 커스터마이즈된 도어만을 언로크하게 되어 있다.
한편, 휴대기(20)를 휴대하는 유저가 차량(V)으로부터 멀어지고,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통신 회선이 중단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V)의 모든 도어(D1 내지 D5)를 자동으로 로크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자동 로크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통신 형태는, 상술한 LF 대역 통신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기(20)는, 차량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장파(LF)의 전파 강도(RSS)의 값을 차량 제어 장치(10)에 RF 통신에 의해 송신하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그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20)가 접근한 것인지 여부 및 멀어진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가 수신하는 전파 강도가 소정값을 상회하면 차량(V)의 도어(D1 내지 D5)를 자동으로 언로크하고, 소정값을 하회하면 차량(V)의 도어(D1 내지 D5)를 자동적으로 로크한다.
다음으로, 차량 제어 시스템(100)에 의한 차량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V)의 모든 도어(D1 내지 D5)를 자동으로 로크하면, 휴대기(20)의 탐색 처리를 개시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탐색 안테나(12)로부터 장파(LF)를 출력하여 휴대기(20)를 탐색한다. 그리고, 휴대기(20)가 접근하여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 사이에 무선 통신 회선이 확립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그 시점에서 휴대기(20)에 가장 가까운 도어, 이 경우, 도어(D1)를,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하여 언로크한다. 이때,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에 가장 가까운 도어(D1) 이외의 도어(D2 내지 D5)에 대해서는, 로크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V)이 구비하는 복수의 도어(D1 내지 D5) 중 휴대기(20)가 접근했을 때에 언로크되는 도어를 선택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에 가장 가까운 도어를, 언로크되는 도어로서 선택한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에 따라 언로크하는 도어를, 휴대기(20)에 가장 가까운 도어에 커스터마이즈한다. 휴대기(20)를 휴대한 유저가 차량(V)에 접근한 경우, 통상은, 자신에 가장 가까운 도어를 언로크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래서, 일률적으로 모든 도어를 언로크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에 가장 가까운 도어만을 언로크하도록 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저의 사용 형태에 따른 도어만을 언로크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또한 학습 처리부(32)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상적으로 실현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학습 처리부(32)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학습 처리부(32)는, 기억부의 일례이며,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를 도시되지 않은 기억 매체에 기억한다. 즉, 차량(V)의 도어(D1 내지 D5)에는, 도어의 개폐를 검지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개폐 검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가 개폐되면, 학습 처리부(32)는, 개폐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를 도시되지 않은 기억 매체에 기억한다. 즉, 학습 처리부(32)는, 도어의 개폐 이력을 축적한다. 학습 처리부(32)는, 자동으로 모든 도어(D1 내지 D5)가 로크되면, 그 시점에서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바로 근처의 개폐 검지 결과를 추출하여 기억한다. 이에 의해, 학습 처리부(32)는,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를 기억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V)의 모든 도어(D1 내지 D5)를 자동으로 로크하면, 휴대기(20)의 탐색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휴대기(20)가 접근하여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 사이에 무선 통신 회선이 확립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그 시점에서 휴대기(20)에 가장 가까운 도어(D1)를,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하여 언로크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학습 처리부(32)가 기억하고 있는 도어, 이 경우, 도어(D2)도, 언로크되는 도어로서 선택하여 언로크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도어(D1, D2) 이외의 도어에 대해서는, 로크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를 기억하는 학습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학습 기능에 의해 기억된 도어도 언로크한다.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는, 금회의 언로크 후에 있어서도 개폐될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기(20)에 가장 가까운 도어 이외에도, 또한, 개폐될 가능성이 높은 도어도 언로크할 수 있으며, 유저의 사용 형태에 따른 도어를 언로크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학습 처리부(32)는,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를 기억 매체에 기억한다. 즉, 차량(V)의 각 좌석에는, 사람이 착석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착석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좌석에 사람이 착석하면, 학습 처리부(32)는, 착석 센서의 검지 결과를 도시되지 않은 기억 매체에 기억한다. 즉, 학습 처리부(32)는, 사람의 착석 이력을 축적한다. 학습 처리부(32)는, 자동으로 모든 도어(D1 내지 D5)가 로크되면, 그 시점에 있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바로 근처의 착석 검지 결과를 추출하여 기억한다. 이에 의해, 학습 처리부(32)는,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을 특정하여, 특정의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를 기억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V)의 모든 도어(D1 내지 D5)를 자동으로 로크하면, 휴대기(20)의 탐색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휴대기(20)가 접근하여 차량 제어 장치(10)와 휴대기(20) 사이에 무선 통신 회선이 확립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그 시점에서 휴대기(20)에 가장 가까운 도어(D1)를,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하여 언로크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학습 처리부(32)가 기억하고 있는 도어, 이 경우, 도어(D2) 및 도어(D4)도,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하여 언로크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도어(D1, D2, D4) 이외의 도어에 대해서는, 로크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를 기억하는 학습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학습 기능에 의해 기억된 도어도 언로크된다.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는, 금회의 언로크 후에 있어서도 개폐될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기(20)에 가장 가까운 도어 이외에도, 개폐될 가능성이 높은 도어도 더 언로크할 수 있고, 유저의 사용 형태에 따른 도어를 언로크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V)의 각 도어(D1 내지 D5)의 도어 핸들에, 각각 터치 버튼(B1 내지 B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터치 버튼이 조작되면, 그 터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도어를 언로크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되지 않은 도어에 대해서는, 유저가 개별로 터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언로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시스템(100)은,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되지 않은 도어를 개별로 언로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기(20)의 접근에 수반하여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되지 않는 도어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 언로크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어느 터치 버튼(B1 내지 B5)이 조작되면, 그 시점에서 로크되어 있는 모든 도어를 일괄하여 언로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는, 예를 들어 운전석에 대응하는 도어(D1)에만 터치 버튼을 설치하고, 이 터치 버튼이 조작되면, 그 시점에서 로크되어 있는 모든 도어를 일괄하여 언로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로크 스위치(S)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로크 스위치(S)가 조작되면, 차량 제어 장치(10)는, 모든 도어(D1 내지 D5)를 일괄하여 로크한다. 이 경우, 로크 스위치(S)는, 운전석의 도어(D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스위치(S)는, 다른 도어(D2 내지 D5)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로크 스위치(S)는, 차량(V)의 도어(D1 내지 D5) 이외의 부분, 예를 들어 필러나 도어 미러 등에 설치해도 된다.
도 10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의 무선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것에 따라 모든 도어(D1 내지 D5)를 로크한 경우, 즉 자동 로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탐색 안테나(12)로부터 장파(LF)를 발신하여, 휴대기(20)를 탐색하는 탐색 처리를 행한다. 한편, 도 10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유저에 의한 로크 스위치(S)의 조작에 따라 모든 도어(D1 내지 D5)를 로크했을 경우, 즉 수동에 의한 로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탐색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즉, 차량 제어 장치(10)는, 어느 탐색 안테나(12)에서도 장파(LF)를 발신하지 않는다.
수동에 의해 도어를 로크하는 유저는, 자동으로 도어가 언로크되는 자동 언로크 처리를 선호하지 않고, 수동에 의해 도어를 언로크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 상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동에 의해 도어가 로크된 경우에는, 자동 언로크 처리를 행하기 위한 탐색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유저의 의사, 즉, 수동에 의해 도어를 언로크하고 싶다는 의사에 따른 언로크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탐색 처리를 행하지 않는 만큼, 도시되지 않은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동에 의한 로크 처리는, 휴대기(20)의 로크 버튼(22)의 조작에 의한 로크여도 되고, 기계적인 키 부재에 의한 로크여도 된다.
(제6 실시 형태)
도 1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의 무선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것에 따라 모든 도어(D1 내지 D5)에 대해 자동 로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탐색 안테나(12)로부터 장파(LF)를 발신하여 탐색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차량 제어 장치(10)는, 탐색 안테나(12)로부터의 장파(LF)의 발신 주기를 제1 주기로 하여 탐색 처리를 행한다. 제1 주기는, 적절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유저에 의한 로크 스위치(S)의 조작에 따라 모든 도어(D1 내지 D5)에 대해 수동 로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장파(LF)의 발신 주기를 제2 주기로 하여 탐색 처리를 행한다. 제2 주기는, 제1 주기보다도 긴 주기라면, 적절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수동 로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탐색 처리에 있어서의 장파(LF)의 발신 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장파(LF)의 출력을 약화시킨다.
탐색 처리에 있어서의 장파(LF)의 출력을 약화시키면, 휴대기(20)의 접근을 검지하는 정밀도가 저하되고, 자동 언로크 처리가 능숙하게 행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발생한다. 그러나, 수동에 의해 도어가 로크된 경우에는, 수동에 의해 도어를 언로크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로 인하여, 수동에 의해 도어가 로크된 것이면, 탐색 처리에 있어서의 장파(LF)의 출력을 약화시켜도 상관없다. 그리고, 이와 같이 탐색 처리에 있어서의 장파(LF)의 출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1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휴대기(20)의 무선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것에 따라 모든 도어(D1 내지 D5)에 대해 자동 로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탐색 안테나(12)로부터 장파(LF)를 발신하여 탐색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차량 제어 장치(10)는, 탐색 안테나(12)로부터의 장파(LF)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휴대기(20)의 탐색 범위를 제1 범위로 하여 탐색 처리를 행한다. 제1 범위는, 적절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유저에 의한 로크 스위치(S)의 조작에 따라 모든 도어(D1 내지 D5)에 대해 수동 로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탐색 안테나(12)로부터의 장파(LF)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휴대기(20)의 탐색 범위를 제2 범위로 하여 탐색 처리를 행한다. 제2 범위는, 제1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이면, 적절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는, 수동 로크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탐색 처리에 있어서의 탐색 범위를 좁게 함으로써, 장파(LF)의 출력을 약화시킨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 배터리의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모든 탐색 안테나(12A 내지 12C)가 아니고, 소정의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탐색 안테나만을 구동하여 탐색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는, 도어(D1)의 탐색 안테나(12A) 및 도어(D2)의 탐색 안테나(12B)를 구동하여 탐색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는, 도어(D5)의 탐색 안테나(12C)에 의한 탐색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도어(D1, D2)는,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로서 또는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로서 선택되고 있는 도어이다. 즉, 도어(D1, D2)는, 언로크 후에 개폐될 가능성이 높은 도어이다. 또한, 소정의 도어는,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 및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도어이면 된다. 그 외, 소정의 도어는, 개폐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할 수 있는 도어라면, 적절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언로크했다고 해도 개폐될 가능성이 낮다고 판정할 수 있는 도어로부터의 탐색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했다. 따라서, 탐색 처리에 요하는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는, 소정의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탐색 안테나의 출력을 다른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탐색 안테나의 출력보다도 약화시켜 탐색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는, 도어(D5)의 탐색 안테나(12C)의 출력을 탐색 안테나(12A, 12B)의 출력보다도 약화시킨다. 도어(D5)는,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 및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 이외의 도어이다. 즉, 도어(D5)는, 언로크했다고 해도 개폐될 가능성이 낮다고 판정할 수 있는 도어이다. 또한, 소정의 도어는, 개폐될 가능성이 낮다고 판정할 수 있는 도어라면, 적절히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언로크했다고 해도 개폐될 가능성이 낮다고 판정할 수 있는 도어로부터의 탐색 처리의 출력을 약화시키도록 했다. 따라서, 탐색 처리에 요하는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해당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게다가,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더욱이, 그것들의 하나의 요소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5)

  1. 유저가 휴대하는 휴대기와,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휴대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도어를 언로크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이 구비하는 복수의 도어 중 언로크하는 도어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휴대기에 가장 가까운 도어 및 상기 휴대기에 가장 가까운 도어 이외의 소정의 도어를,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전회의 언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도어를,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도어를, 언로크하는 도어로서 선택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도어는, 각각 유저에 의한 소정 조작에 의해 언로크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모든 도어는, 유저에 의한 소정 조작에 의해 언로크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와의 무선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것에 따라 도어가 자동으로 로크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기를 탐색하는 탐색 처리를 행하고, 유저에 의한 소정 조작에 따라 도어를 로크한 경우에는 상기 탐색 처리를 행하지 않는, 차량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와의 무선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것에 따라 도어가 자동으로 로크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기를 탐색하는 탐색 처리에 있어서 탐색 신호를 제1 주기로 출력하여 탐색을 행하고, 유저에 의한 소정 조작에 따라 도어를 로크한 경우에는 상기 탐색 처리에 있어서 탐색 신호를 상기 제1 주기보다도 긴 제2 주기로 출력하여 탐색을 행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와의 무선 통신 회선이 절단된 것에 따라 도어가 자동으로 로크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기를 탐색하는 탐색 처리에 있어서 탐색 범위를 제1 범위로 하여 탐색을 행하고, 유저에 의한 소정 조작에 따라 도어를 로크한 경우에는 상기 탐색 처리에 있어서의 탐색 범위를 상기 제1 범위보다도 좁은 제2 범위로 하여 탐색을 행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를 탐색하는 탐색 안테나를 복수의 도어에 각각 구비하고 있고, 소정의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탐색 안테나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휴대기를 탐색하는 탐색 처리를 행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도어는,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 및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도어인, 차량 제어 시스템.
  12.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기를 탐색하는 탐색 안테나를 복수의 도어에 각각 구비하고 있고, 소정의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탐색 안테나의 출력을 다른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탐색 안테나의 출력보다도 약화시키는, 차량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도어는, 전회의 로크 전에 개폐된 도어 및 전회의 로크 전에 사람이 검지된 좌석에 대응하는 도어 이외의 도어인, 차량 제어 시스템.
  14.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차량 제어 장치.
  15.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휴대기.
KR1020177029812A 2015-03-30 2016-03-15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KR101944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8821 2015-03-30
JP2015068821A JP6565267B2 (ja) 2015-03-30 2015-03-30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PCT/JP2016/001475 WO2016157778A1 (ja) 2015-03-30 2016-03-15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及び携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480A KR20170130480A (ko) 2017-11-28
KR101944209B1 true KR101944209B1 (ko) 2019-01-30

Family

ID=5700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812A KR101944209B1 (ko) 2015-03-30 2016-03-15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65267B2 (ko)
KR (1) KR101944209B1 (ko)
WO (1) WO2016157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7650B2 (ja) * 2017-10-24 2021-05-12 株式会社東洋ボデー トラック荷台用扉の錠システム及びトラック荷台
JP2019105056A (ja) * 2017-12-11 2019-06-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ドアロックシステム、車載通信装置、通信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車両ドアロック制御方法
DE102019114917A1 (de) 2019-06-04 2020-12-10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Verfahren zur Zugangssteuer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Zugangssteuerungssystem
DE102019135130B3 (de) * 2019-12-19 2020-11-05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Verfahren zur Zugangssteuer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Zugangssteuerungssystem
DE102019135665B4 (de) 2019-12-23 2023-02-16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Verfahren zur Kalibrierung einer Positionserfassung eines tragbaren Schüsselelements und Zugangssteuerungs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635A (ja) * 1998-06-18 2000-03-07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07100349A (ja) * 2005-10-03 2007-04-19 Tokai Rika Co Ltd 作動制御装置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9194B2 (ja) * 1996-05-29 2005-08-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ワイヤレスドアロック解除システム
JP3809934B2 (ja) 1999-08-09 2006-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4047663B2 (ja) * 2002-08-29 2008-02-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施解錠制御装置
JP2006118148A (ja) * 2004-10-19 2006-05-11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管理システムの通信管理方法、通信管理装置、通信装置
JP2008150897A (ja) * 2006-12-19 2008-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ア錠制御装置
JP5985915B2 (ja) * 2012-07-25 2016-09-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JP5974876B2 (ja) * 2012-12-07 2016-08-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輌錠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635A (ja) * 1998-06-18 2000-03-07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07100349A (ja) * 2005-10-03 2007-04-19 Tokai Rika Co Ltd 作動制御装置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88499A (ja) 2016-11-04
JP6565267B2 (ja) 2019-08-28
WO2016157778A1 (ja) 2016-10-06
KR20170130480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209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CN108307294B (zh) 用于确定移动设备相对于车厢的位置的系统和方法
US10999718B2 (en) Vehicle function control device and vehicle function control system
JP4529762B2 (ja)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JP4708957B2 (ja)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
KR100638388B1 (ko) 키리스 엔트리장치
JP4528587B2 (ja) 携帯機
US10487546B2 (en) 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
JP2008008111A (ja)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US9556663B2 (en) Door lock system
JP6380004B2 (ja) 車載機
JP2014061866A (ja) 送信無線信号の出力を可変制御する車両リモコンキーと、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073891A (ko) 사용자 맞춤형 원격 차량 출입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31422B2 (ja) 車両用制御装置
WO2014125650A1 (ja) 車両制御装置
JP2008179980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016089B2 (ja) スマートシステム
US9821764B2 (en) Smart entry system
JP201802142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および電子キー
JP5010020B2 (ja) 車両用通信制御システム
KR101664578B1 (ko) 암전류 저감을 위한 스마트키 서칭 시스템 및 방법
KR102303232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5113613A (ja) 施解錠制御装置およびシステム
EP1775184B1 (en) Vehicle door unlock control system
JP6022905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