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588B1 - 유동성 구조체 - Google Patents

유동성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588B1
KR101942588B1 KR1020130051986A KR20130051986A KR101942588B1 KR 101942588 B1 KR101942588 B1 KR 101942588B1 KR 1020130051986 A KR1020130051986 A KR 1020130051986A KR 20130051986 A KR20130051986 A KR 20130051986A KR 101942588 B1 KR101942588 B1 KR 101942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layer
fluid
ink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503A (ko
Inventor
테란스 엘 스티븐스
조나단 알 브릭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2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removing air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Landscapes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동성 구조체는, 유체 저장소로의 연결부 및 구멍들의 어레이로의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유체 저장소와 상기 구멍들의 어레이 사이에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 1 챔버; 상기 유동성 구조체의 외부에 있는 대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로의 연결부를 가지는 제 2 챔버; 및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동성 구조체{FLUIDIC STRUCTURE}
통상적으로, 고체 잉크 프린트 헤드는 드립 피드 (drip feed) 또는 엄빌리컬 (umbilical) 피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용융 잉크가 공급되는 저장소를 포함한다. 또한, 프린트 헤드는 인쇄 면에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잉크가 빠져나오는 개구들의 어레이를 갖는 노즐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분출 요소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프린트 헤드 내에서, 잉크는 저장소로부터 일련의 채널들 또는 매니폴드들 (manifolds) 을 통해 분출 요소 및 노즐 플레이트로 유동한다. 프린트 헤드 내의 이 채널들 또는 매니폴드들은 전반적인 유동성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접합되는 별개의 층들의 조합에 의해 통상적으로 형성된다.
히터의 이용을 통해, 프린트 헤드는, 프린트 헤드 내의 고체 잉크가 용해하거나 정상 작동 동안 액체가 되도록 가열된다. 장기간의 유휴 상태 (idleness) 동안, 또는 전력 강하 (powering down) 후에, 히터는 꺼진다. 프린트 헤드의 관련된 냉각은 프린트 헤드 내의 잉크가 응고하고 수축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공기가 프린트 헤드 내의 채널들 또는 매니폴드들로 도입되게 한다. 그 후의 전력 상승 (power-up) 시에, 이 공기는 유동성 구조체 내의 기포로서 스스로 나타난다. 프린트 헤드를 정확하게 실행시키기 위하여, 프린트 헤드의 내부에 있는 채널들 또는 매니폴드들로부터 이 공기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제거해야 한다.
용어 '프린터' 및 '프린트 헤드' 는 프린터, 팩스기, 사진 인화기 등의 부분인 인쇄 면을 향해 잉크를 생산하는 임의의 구조체 또는 시스템에 적용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이 퍼지 사이클로서 유동성 구조체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제거 접근법은 시스템이 재생 또는 재사용할 수 없는 폐 잉크를 생성한다. 예컨대, 일 접근법에 있어서, 시스템은, 기포가 노즐 플레이트의 일부가 아닌 통기공을 통해 프린트 헤드를 빠져나올 수 있는 곳에서 기포를 채널들 또는 매니폴드들을 따라 이동시킨다. 다른 접근법에 있어서, 시스템은 분출 요소들 및 분출 요소들에 관련된 노즐을 통해 공기를 압입한다. 추가의 다른 접근법에 있어서, 시스템은 분출 요소와 관련되지 않는 노즐 플레이트 내의 통기구들 또는 노즐들을 통해 공기를 압입한다. 각각의 이러한 접근법들에 있어서, 기포와 통기구 또는 분출 요소들 사이에 포획된 잉크는 또한 프린트 헤드를 빠져나온다. 프린터는 이 잉크를 쉽게 재생할 수 없고, 잉크를 낭비하게 된다.
더 엄격한 에너지 절약 요구가 출현하면서, 프린터는 현재 요구되는 것보다 더 빈번하게 전력 강하가 요구될 것이다. 상응하게는, 전력 강하 동안 프린트 헤드로 도입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퍼지 사이클에 대한 요구가 또한 증가될 것이다. 이는 더 많은 폐 잉크에 기여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프린트 헤드의 효율성의 저하, 사용자의 고비용 및 고객 불만족을 초래할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유동성 구조체를 통과하는 잉크 경로의 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통기 챔버를 갖는 유동성 구조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 는 통기 챔버를 갖는 유동성 구조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5 는 다중 통기 챔버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6 ~ 도 9 는 유동성 구조체로부터 기포를 통기하는 프로세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0 은 통기 챔버를 갖는 유동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층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 은 통기 챔버를 갖는 유동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층들의 다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유동성 구조체 (10) 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유동성 구조체는 유체를 저장소로부터 하나 이상의 분출 요소들 및 분출 요소들의 관련된 노즐들로 이동시키는 임의의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프린트 시스템 내의 프린트 헤드에 초점을 맞출 것이지만, 여기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은 어떠한 유동성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한 유동성 구조체에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아무것도 암시하지 않아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유동성 구조체는 유체 (14) 를 포함하는 저장소 (12) 에 연결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저장소는 유체를 채널 (16) 을 통해 유동성 구조체 (10) 내의 챔버 (18) 로 보내는 압력을 받게 된다. 유동성 구조체는, 함께 적층되는 때에 잉크를 저장소로부터, 도면 부호 20 과 같이 개구라고 언급되는, 분출 요소들 및 분출 요소들의 노즐의 어레이로 보내는 매니폴드들 또는 채널들을 형성하는 다중 층들 (22)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층들의 적층 (stack-up) 은 여기에서 도시된 층들보다 더 많은 층들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챔버 (18) 를 형성하는 층(들) 및 개구들을 포함하는 층이 가장 관심사이다. 인쇄 동안, 유체는 분출 요소에 의해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부호 24 와 같은 인쇄 기판에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잉크가 분출 요소에 의해 분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의 전력 강하 사이클 동안 공기는 유동성 구조체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황 하에서, 공기는 마찬가지로 정상 작동 동안 유동성 구조체로 도입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도 2 는 시스템 내의 공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 에서, 도면부호 26 과 같은 기포가 챔버 (18) 내에 포획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스템은, 정상 작동 이전에, 이러한 기포를 퍼지 사이클의 이용을 통해 제거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이 정상 작동 이전에 기포를 제거하지 않는다면, 기포는 유동성 구조체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현재의 유동성 구조체에 있어서, 기포는, 전형적으로, 노즐 플레이트 내에 없는 통기구들, 노즐 플레이트 내에 있는 통기구들 또는 분사 요소들 자체를 통해 바로 빠져나오도록 압입된다. 각각의 이러한 접근법들에 있어서, 기포와 통기구 또는 분출 요소 사이에 포획된 잉크는 또한 프린트 헤드를 빠져나온다. 프린터는 이 잉크를 쉽게 재생할 수 없고, 이 잉크는 낭비된다.
도 3 은 노즐 층에 대향하는 제 1 챔버 (18) 측에 배치된 제 2 챔버 (32) 를 포함하는 유동 구조체 (30) 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 2 챔버는 기포를 통기시키도록 프린트 헤드의 외부에 있는 대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 (34) 를 갖는다. 통기구는 일반적으로 공기를 통기시키기에 필요한 크기보다 훨씬 더 큰 크기를 가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구조체 (30) 에 의하면, 퍼지 사이클 동안, 기포 및 관련된 포획된 유체는 도면부호 36 과 같은 다중 경로를 통해 챔버 (32) 로 이동한다. 부력을 통해, 공기는 챔버 (32) 내의 유체로부터 분리되고 통기구 (34) 를 통해 빠져나온다. 퍼지 사이클의 종료 시에, 유체는 도면 부호 36 과 같은 경로들을 통해 챔버 (18) 로 되돌아온다. 이는 유체의 회수를 허용한다.
도 4 는 챔버 (32) 및 통기구 (34) 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는, 단일 챔버 (32) 및 단일 통기구 (34) 가 있다. 도 5 는 챔버 (32) 및 통기구 (34) 의 추가의 다른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는, 통기구 (34) 를 각각 구비하는 별개의 다중 제 2 챔버 (32) 가 있다. 치수 및 챔버들의 치수 간의 관계는 유동성 구조체를 이용하는 적용 및 시스템에 의존한다. 예컨대, 유체의 특성, 필요한 유량, 사용된 압력 등이 제 2 챔버(들)의 선택된 구성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도 6 ~ 9 는 퍼지 사이클 동안의 유동성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 6 에서, 퍼지 사이클은 유체 저장소 (12) 에 압력을 가하면서 시작한다. 이는 유체 (14) 가 채널 (16) 을 통해 챔버 (18) 로 그리고 도면부호 36 과 같은 경로를 통해 제 2 챔버 (32) 로 유동하게 한다. 또한, 도면부호 26 과 같은 기포는 유체와 함께 경로 (36) 를 통해 그리고 통기구 (34) 를 향해 이동한다. 퍼지 사이클 동안 가해진 압력 프로파일은, 유체가 통기구 (34) 에 도달하여 유동성 구조체를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추가로 더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챔버의 치수, 경로 및 통기구는 원하는 압력 프로파일을 수용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 에서는, 압력이 저장소 (12) 에 여전히 남아있고 챔버 (18) 가 유체로 채워지며 기포가 제 2 챔버 (32) 로 보내진다. 기포는 외부 대기로 빠져나오기 위해 통기구 (34) 부근에 모여진다.
도 8 에서는, 저장소가 더 이상 압력을 수용하지 않고, 액체의 유동은 스스로 역전하기 시작한다. 유체는 제 2 챔버 (32) 로 다시 이동한 후, 도면부호 36 과 같은 경로들을 통해 제 1 챔버 (18) 로 하향 이동한다. 퍼지 사이클의 종료 시에,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챔버 (18) 는 유체로 채워진 채로 남아있고, 제 2 챔버 (36) 는 비어진다. 게다가, 도면부호 36 과 같은 각각의 경로는 유체가 경로 (36) 로 유동하는 것 또는 정상 작동 동안 챔버 (18) 로 부터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는 매니스커스 (38) 를 갖는다.
유동성 구조체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기하학적 매개변수는, 과잉 폐 잉크를 생성함 없이,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구조체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제 2 챔버(들)의 체적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챔버의 체적은 퍼지 프로세스 동안 챔버 내로 압입된 임의의 부수적인 유체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챔버가 수용해야하는 유체의 양을 결정하는 인자들은 마지막 기포가 챔버에 진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양, 및 퍼지 프로세스 동안 챔버에 진입하는 유체의 시간 평균 유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두 개의 값의 결과물 (product) 은 챔버로의 총 체적 유동을 제공하고, 이는 결국 필요하게 될 챔버(들)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컨대, 도 3, 4 및 5 에 도시된 상이한 구현예들은 상이한 체적의 챔버를 필요로 한다. 현재의 고체 잉크 프린트 헤드 설계에 대해, 챔버(들)의 집합적인 체적은 약 0.5 입방 센티미터 (ccs) 초과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제 2 챔버 및 통기구의 단면은 큰 모세관 작용을 나타내지 않거나 큰 매니스커스 강도를 지지하지 않아야 한다. 이는 몇몇 효과를 가진다. 첫째, 이는 퍼지된 기포들이 제 2 챔버 내의 통기구에 접근할 때 퍼지된 기포들을 부유시켜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둘째, 이는 챔버 내의 퍼지된 유체를, 챔버의 통기구와 주된 유동성 구조체 (제 1 챔버) 사이의 상당한 압력차에 대한 필요 없이, 주된 유동성 구조체로 환류시킬 수 있게 한다. 셋째, 이는 환류 동안 챔버 내의 임의의 잔류 기포들이 합쳐져서 터질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챔버 단면의 가장 작은 치수는 챔버의 매니스커스 강도를 결정한다. 현재의 고체 잉크 프린트 헤드 설계에 대하여, 챔버의 매니스커스 강도는 약 0.25 물의 인치(inches of water) 미만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장 작은 치수는 약 1 밀리미터를 초과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챔버의 단면적과 같이, 챔버 통기구(들)은 낮은 매니스커스 강도를 갖기 위하여 크기가 정해질 필요가 있다. 현재의 고체 잉크 프린트 헤드 설계에 대해, 통기구(들)의 매니스커스 강도는 약 0.25 물의 인치(inches of water) 미만이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통기구의 가장 작은 단면 치수는 약 1 밀리미터를 초과해야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크기를 가져야하는 유동성 구조체의 다른 구성 요소는 유동 경로 또는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의 경로들이다. 제 2 챔버 및 통기구들과는 달리, 유동 경로(들)은 정상 작동 동안 제 1 챔버의 배수 작용을 방지하지만 퍼징 (purging) 동안 매니스커스 파손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매니스커스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정상 작동 동안, 유동성 구조체 내의 부압이 분출 요소들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일어난다. 유동 경로의 매니스커스 강도는 이 부압으로 인해 파손에 저항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정압은 퍼지 프로세스 동안 유동성 구조체 내에서 발생한다. 퍼지 프로세스 동안, 유동 경로의 매니스커스 강도는 유체 및 공기가 제 2 챔버(들) 내로 유동하게 하기 위하여 매니스커스의 파손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고체 잉크 프린트 헤드 설계에 대하여, 이 매니스커스 강도는 3 ~ 130 물의 인치(inches of water) 범위 내로 될 필요가 있다. 유동 경로의 향상에 따라, 이는 가장 작은 치수가 약 125 마이크로미터 미만, 1.5 마이크로미터 초과일 것을 필요로 한다.
도 10 및 도 11 은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를 형성하는 층들, 이 챔버들 사이의 유동 경로들, 및 제 2 챔버들의 각각과 연관된 통기구들의 실시형태들을 도시한다. 도 10 에서, 층 (50) 은 복수로 존재하는 제 1 챔버 (18) 및 복수로 존재하는 제 2 챔버 (32) 의 일부를 포함한다. 현재의 실시예의 층 (54) 은 복수로 존재하는 제 2 챔버 (32) 의 일부를 포함한다. 현재의 실시예의 층 (52) 은 각각의 제 1 챔버 (18) 와 상응하는 제 2 챔버 (32) 사이의 다중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컷 아웃부들 (cut outs; 36) 을 포함한다. 또한, 층 (52) 은 복수로 존재하는 제 2 챔버 (32) 의 일부를 포함한다. 현재의 실시예의 층 (56) 은 각각의 제 2 챔버 (32) 에 대한 통기구들 (34) 을 포함한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층 (52 및 54) 은 접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현재의 실시예의 각각의 층은 다른 허용가능한 수단들을 통해 그의 인접 층과 부착될 수 있다.
도 11 은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층 (50) 은 복수로 존재하는 제 1 챔버 (18) 및 복수로 존재하는 제 2 챔버 (32) 의 일부를 포함한다. 현재의 실시예의 층 (52) 은 층 (50) 내의 각각의 제 1 챔버 (18) 와 상응하는 제 2 챔버 (32) 사이의 다중 유동 경로들을 형성하는 컷 아웃부들 (36) 을 포함한다. 또한, 층 (52) 은 복수로 존재하는 제 2 챔버 (32) 의 일부를 포함한다. 현재의 실시예의 층 (54) 은 각각의 제 2 챔버들 (32) 에 대한 통기구들 (34)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층 (52) 은 접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실시예의 각각의 층은 다른 허용가능한 수단들을 통해 그의 인접한 층과 부착될 수 있다.
이 예들은 단지 대표적인 구현예들로 구성되고 실시형태들의 범위를 이러한 예들에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없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Claims (18)

  1.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로서,
    유체 저장소로의 연결부 및 구멍들의 어레이로의 연결부를 갖는 상기 다중 층들로부터 형성된 제 1 챔버로서, 상기 제 1 챔버는 상기 유체 저장소와 상기 구멍들의 어레이 사이에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챔버,
    상기 유동성 구조체의 외부에 있는 대기에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통기구들로의 연결부를 갖는 상기 다중 층들로부터 형성된 제 2 챔버, 및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포함하고,
    퍼징 (purging) 사이클 중에,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를 통해 유동하는 액체가 상기 통기구들 중 어떤 것으로도 진입하지 않고,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유체 저장소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기포를 제거하는 퍼지 프로세스 (purge process) 동안 상기 제 2 챔버로 압입되는 부수적인 (collateral) 유체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체적을 갖는,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제 1 챔버 내의 유동 경로에 평행한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는 모세관 작용을 방지하도록 선택된 단면을 갖는,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제 2 챔버의 전체 길이를 따라 0.25 물의 인치(inches of water)보다 작은 매니스커스 강도 (meniscus strength) 를 생성하는 단면을 갖는,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에서 통기구는 0.25 물의 인치(inches of water)보다 작은 매니스커스 강도를 갖는,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는, 상기 유동성 구조체로부터 액체가 분출되는 작동 동안 상기 제 1 챔버의 배수 작용 (draining) 을 방지하지만 퍼지 사이클 동안 매니스커스 파손을 허용하는 매니스커스 강도를 갖는,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는 3 내지 130 물의 인치(inches of water)의 범위의 매니스커스 강도를 갖는,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
  9. 저장소 및 다중 층들을 갖는 프린트 헤드로서,
    상기 다중 층들은,
    잉크를 수용하도록 잉크 저장소에 연결된 제 1 챔버로서, 상기 다중 층들은 유체 저장소와 구멍들의 어레이 사이에서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들의 어레이가 제트 스택 (jet stack) 으로부터 인쇄 기판으로 잉크를 방출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제 1 챔버,
    상기 다중 층들로부터 형성된 제 2 챔버로서,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구멍들의 어레이에 인접한 측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챔버의 측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제트 스택의 외부에 있는 대기에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통기구들을 갖는, 상기 제 2 챔버, 및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 사이에서의 상기 잉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포함하고,
    퍼징 사이클 중에,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를 통해 유동하는 액체는 상기 통기구들 중 어떤 것으로도 진입하지 않고, 상기 퍼징 사이클의 완료 시에 상기 제 2 챔버에는 유체가 실질적으로 없고,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잉크 저장소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기포를 제거하는 퍼지 프로세스 (purge process) 동안 상기 제 2 챔버로 압입되는 부수적인 (collateral) 유체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체적을 갖는, 저장소 및 다중 층들을 갖는 프린트 헤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는 고체 잉크 제트 프린터의 부품으로서 히터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저장소 및 다중 층들을 갖는 프린트 헤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제트 스택에서의 층과 상기 제 2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제트 스택에서의 층 사이에 접착제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저장소 및 다중 층들을 갖는 프린트 헤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는 상기 접착제 층에서 컷아웃들을 포함하는, 저장소 및 다중 층들을 갖는 프린트 헤드.
  13. 프린트 헤드로서,
    잉크가 인쇄 기판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열된 구멍들의 어레이를 갖는 노즐 층,
    잉크 저장소 및 상기 구멍들의 어레이로의 연결부를 갖는 제 1 챔버를 형성하는 제 1 층,
    상기 프린트 헤드의 외부에 있는 대기에 적어도 두 개의 통기구들을 갖는 제 2 챔버를 형성하는 제 2 층으로서, 상기 제 2 층은 상기 노즐 층에 대향하여 상기 제 1 층의 측에 배열되는, 상기 제 2 층,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 사이의 접착제 층, 및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잉크 경로를 포함하고,
    퍼징 사이클 중에,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를 통해 유동하는 액체가 상기 통기구들 중 어떤 것으로도 진입하지 않고, 상기 퍼징 사이클의 완료시에 상기 제 2 챔버에는 유체가 실질적으로 없고,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잉크 저장소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기포를 제거하는 퍼지 프로세스 동안 상기 제 2 챔버로 압입되는 부수적인 유체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체적을 갖는, 프린트 헤드.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제 1 챔버 내의 유동 경로에 평행한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프린트 헤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는 모세관 작용을 방지하도록 선택된 단면을 갖는, 프린트 헤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는, 상기 프린트 헤드로부터 액체가 분출되는 작동 동안 상기 제 1 챔버의 배수 작용을 방지하지만 퍼지 사이클 동안 매니스커스 파손을 허용하는 매니스커스 강도를 갖는, 프린트 헤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징 사이클의 완료시에 상기 제 2 챔버에는 유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다중 층들을 갖는 유동성 구조체.
KR1020130051986A 2012-05-10 2013-05-08 유동성 구조체 KR101942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68,782 2012-05-10
US13/468,782 US9039141B2 (en) 2012-05-10 2012-05-10 Fluidic structure that allows removal of air bubbles from print heads without generating waste 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503A KR20130126503A (ko) 2013-11-20
KR101942588B1 true KR101942588B1 (ko) 2019-01-25

Family

ID=4953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986A KR101942588B1 (ko) 2012-05-10 2013-05-08 유동성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39141B2 (ko)
JP (1) JP6030496B2 (ko)
KR (1) KR101942588B1 (ko)
CN (1) CN1033868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143B1 (ko) * 2014-01-31 2021-02-1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장치
US10603922B2 (en) 2015-01-22 2020-03-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ent
KR102614074B1 (ko) * 2016-12-05 2023-12-1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잉크젯 방식 액체토출모듈
WO2019177582A1 (en) * 2018-03-12 2019-09-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urging manifolds
CN112706525B (zh) * 2020-12-25 2021-11-30 镭德杰标识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止泡装置和供墨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209A (ja) 2005-06-24 2007-01-11 Canon Inc インク供給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2008030333A (ja) * 2006-07-29 2008-02-14 Ricoh Co Ltd 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JP2009051076A (ja) 2007-08-27 2009-03-12 Brother Ind Ltd 液体吐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7378A (en) * 1986-07-11 1988-02-23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rging an ink jet head
JPS63199650A (ja) * 1987-02-14 1988-08-18 Fujitsu Ltd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JPH09277552A (ja) * 1996-04-16 1997-10-2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51410B2 (ja) * 1999-03-01 2004-08-04 武藤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ATE468227T1 (de) * 2000-06-16 2010-06-15 Canon Kk Kommunikationssystem mit festkörperhalbleiterbauelement, tintenbehälter, mit diesem tintenbehälter ausgestattete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JP2002144576A (ja) * 2000-11-17 2002-05-21 Canon Inc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装置
US6592214B2 (en) * 2001-10-09 2003-07-1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k-jet head, ink-jet head with bubble extracting device, and ink-jet type printing apparatus
JP2004167796A (ja) * 2002-11-19 2004-06-17 Canon Inc 液体吐出カートリッジ
KR100580247B1 (ko) * 2003-08-23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카트리지
JP4003743B2 (ja) * 2003-12-11 2007-11-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5212184A (ja) * 2004-01-28 2005-08-11 Toshiba Tec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625080B2 (en) * 2004-06-18 2009-1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ir management in a fluid ejection device
US7131628B2 (en) * 2004-07-28 2006-11-07 Xerox Corporation Vented MEMS structures and methods
JP2006205386A (ja) * 2005-01-25 2006-08-10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ヘッド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6224318A (ja) * 2005-02-15 2006-08-31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729948B2 (ja) * 2005-03-09 2011-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この液体供給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030423B2 (ja) * 2005-06-23 2012-09-19 エスアイアイ・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070197685A1 (en) * 2006-01-18 2007-08-23 Tamotsu Aruga Recording ink as well as ink media set, ink cartridge, ink recorded matter,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TWI415689B (zh) * 2006-08-17 2013-11-21 Semiconductor Energy Lab 成膜方法、液滴排出方法以及液滴排出裝置
JP4761149B2 (ja) * 2006-08-28 2011-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気体処理方法
JP4933201B2 (ja) * 2006-09-04 2012-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供給方法
US8011765B2 (en) * 2007-02-14 2011-09-06 Ricoh Company, Ltd. Liquid feeding member for liquid ejection head, liquid ej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76437B2 (ja) * 2007-09-01 2013-04-03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吐出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5282417B2 (ja) * 2008-03-07 2013-09-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35694B2 (ja) * 2008-09-25 2011-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
JP5359915B2 (ja) * 2010-02-15 2013-12-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ヘッド
JP5569222B2 (ja) * 2010-07-30 2014-08-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US20120098899A1 (en) * 2010-10-26 2012-04-26 Yonglin Xie Dispensing liquid using dispenser with return fi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209A (ja) 2005-06-24 2007-01-11 Canon Inc インク供給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2008030333A (ja) * 2006-07-29 2008-02-14 Ricoh Co Ltd 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JP2009051076A (ja) 2007-08-27 2009-03-12 Brother Ind Ltd 液体吐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9141B2 (en) 2015-05-26
KR20130126503A (ko) 2013-11-20
CN103386818A (zh) 2013-11-13
JP2013233804A (ja) 2013-11-21
CN103386818B (zh) 2016-03-23
JP6030496B2 (ja) 2016-11-24
US20130300801A1 (en)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588B1 (ko) 유동성 구조체
KR0135399B1 (ko) 잉크 유도 요소를 구비한 잉크 카트리지를 갖는 기록 유니트를 사용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
US7070263B2 (en) Liquid jet head
US6464347B2 (en) Laser ablated filter
US10118390B2 (en) Single jet recirculation in an inkjet print head
RU2431569C1 (ru) Печатающая головка для струйной печати
JP4810293B2 (ja) 吸引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971531A (en) Ink jet cartridge having replaceable ink supply tanks with an internal filter
US8469499B2 (en) Zone venting in a fluid cartridge
JP2009285900A (ja) ライン型ヘッドユニット
JP461779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137385A (ja) チェックバルブ兼用のフィルタを備えるプリントヘッドリザーバ
JP2007276166A (ja) フィルター装置及び液滴吐出装置
JP4414213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システム
US7273275B2 (en) Air funneling inkjet printhead
JP2009090534A (ja) 液滴噴射装置
JP4900177B2 (ja) 液滴噴射装置
US8690302B2 (en) Bubble removal for ink jet printing
JP2009184202A (ja) 流路形成部材及び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EP0709210B1 (en) Ink-jet pen with capillarity gradient
WO2010041519A1 (ja) 液体噴射ヘッド、液体噴射ヘッドの液体充填方法、液体噴射記録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GB2301064A (en) Ink-jet pen with rectangular ink pipe
JP2008201024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504119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回復装置
JP2007268944A (ja) 液滴吐出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