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143B1 -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143B1
KR102218143B1 KR1020167020725A KR20167020725A KR102218143B1 KR 102218143 B1 KR102218143 B1 KR 102218143B1 KR 1020167020725 A KR1020167020725 A KR 1020167020725A KR 20167020725 A KR20167020725 A KR 20167020725A KR 102218143 B1 KR102218143 B1 KR 102218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fluid
fluid
unsaturated
printe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607A (ko
Inventor
제임스 더블유 링
론다 린 윌슨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6011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removing air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하나의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실행시 프린터가 하기 일을 수행하게 하는 지령을 갖는다.
- 유체가 프린트헤드로 통과할 수도 있게 하는 채널 내로 불포화 인쇄 유체를 도입하는 것;
- 불포화 인쇄 유체를 프린트헤드로 분배하여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것;
- 정규의 인쇄 유체를 상기 채널 내로 도입하는 것; 및
- 상기 정규의 인쇄 유체가 상기 프린트헤드로부터 분배될 때까지 인쇄 유체를 프린트헤드로 분배하는 것.

Description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장치{REMOVING AIR FROM A PRINTING FLUID CHANNEL}
어떤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는, 기재 광폭 프린트 바(substrate wide print bar)가 프린트 바를 지나 이동된 종이 또는 다른 인쇄 기재(print substrates) 상에 인쇄를 위하여 사용된다. 잉크젯 프린트 바는 통상적으로 잉크를 잉크 공급원으로부터 하나의 프린트헤드로 또는 다중 프린트헤드로 유동시키기 위한 채널들을 갖는 다부분(multi-part) 유동 구조물을 구비한다.
도 1 및 2는 신규한 공기 제거 시스템의 일 예를 시행하는 잉크젯 프린터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신규한 공기 제거 시스템의 다른 예를 시행하는 잉크젯 프린터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제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을 것 같은 프린터 및 서비스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 내지 8은 도 4에 도시된 프린터에 사용될 수 있을 것 같은 프린트 바의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공기 제거 시스템 또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제거 시스템과 함께 시행될 수 있을 것 같은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9의 방법에서 불포화 인쇄 유체를 유동 채널로 도입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도 9의 방법에서 정규 인쇄 유체를 유동 채널로 도입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공기 제거 시스템 또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제거 시스템과 함께 시행될 수 있을 것 같은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전체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잉크젯 프린트 바에 있어서, 유동 채널 내의 너무 많은 공기는 잉크가 프린트헤드로 유동하는 것을 방해해서, 프린트헤드가 불충분하게 기능하도록 한다. 잉크젯 프린트 바에 있어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의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었다. 일 예에 있어서, 불포화 인쇄 유체가 프린트 바 유동 채널로 도입되어 프린트헤드로부터 분배되는데, 불포화 인쇄 유체가 유동 채널로부터 프린트헤드로 이동함에 따라 공기가 불포화 인쇄 유체로 흡수된다. 소망하는 양의 공기가 유동 채널로부터 제거되자마자, 정규의 인쇄 유체가 유동 채널로 도입되며, 정규의 인쇄 유체가 프린트헤드에 도달해서 통상의 인쇄를 개시할 때까지 프린트헤드로부터 분배된다. 일 예에 있어서, 공기 제거 프로그래밍은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 카트리지를 대신해서 프린트 바 내로 설치된 서비스 카트리지(불포화 인쇄 유체를 가짐)를 이용해서 공기 제거를 수행하는 프린터 제어기에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공기 제거는 불포화 인쇄 유체를 프린트 바 유동 채널로 공급하는 서비스 모듈을 이용하여 서비스 센터에 위치하는 프로그래밍 방향으로 수행된다.
교체가능한 주사 프린트헤드를 이용하는 프린터와는 달리, 기재 광폭 프린트 바는 보통 프린터의 영구 부품으로 설계된다. 기재 광폭 프린트 바 내의 유동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면, 인쇄 품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프린트 바의 사용 수명 및 그에 따른 프린터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보관 및 선적 중 유동 채널 내에 축적될 수도 있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초기의 프린터 셋업(set-up) 중에 정규 인쇄에 앞서 공기 제거가 수행될 수도 있다. 공기 제거는 사용중 축적될 수 있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프린터의 수명 전체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공기는 프린터로부터 프린트 바를 제거함이 없이도 새로운 기술 예를 이용해 제거되어서, 시간을 절약하고 프린트 바에 손상을 입힐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기재 광폭 프린트 바를 참조하여 예들을 기술하였지만, 다른 잉크젯 유형의 분배 장치에 이 예들을 시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설명 내에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 설명 뒤에 따라오는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개시설명을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
본 문헌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린트헤드"는 잉크젯 프린터, 또는 인쇄 유체를 예를 들면 방울 또는 스트림으로서 분배하기 위한 다른 잉크젯 유형의 분배기의 일부를 의미한다. "프린트 바(print bar)"는 단일 프린트헤드 또는 다중 프린트헤드를 보유하는 통상적으로 길다란 구조물 또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쇄 중에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인쇄 유체"는 프린트헤드로부터 분배될 수도 있는 유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로써 잉크 및 선적 유체를 들 수 있다. "정규" 인쇄 유체는 통상의 인쇄 또는 다른 통상의 분배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인쇄 유체를 의미한다. "불포화" 인쇄 유체는 프린트 바 또는 다른 잉크젯 유형의 분배 장치 내에서 유동 채널을 통과할 때 공기를 흡수할 수 있는 인쇄 유체를 의미한다. "불포화" 인쇄 유체의 공기 포화도가 인쇄 유체 및 분배 장치의 특성에 따라 변할 수도 있지만, 효율적인 공기 제거를 위해서는 통상 70% 미만의 공기 포화도가 필요할 것이고, 보다 신속한 공기 제거를 위해서는 통상 50% 미만의 공기 포화도가 바람직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정규 인쇄 유체는 통상 포화된 인쇄 유체일 것이지만, 불포화 인쇄 유체를 정규 인쇄 유체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프린트헤드" 및 "프린트 바"는 잉크로 인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유체의 잉크젯 유형의 분배 및/또는 인쇄 이외의 다른 용도를 위한 잉크젯 유형의 분배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공기 제거 시스템(12)의 일 예를 시행하는 잉크젯 프린터(10)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터(10)는 인쇄 기재(print substrate: 16)의 폭에 걸쳐 있는 프린트 바(14), 프린트 바(14)와 관련된 유동 통제기(18), 기재 이송 기구(20), 잉크 또는 다른 정규 인쇄 유체 공급원(22) 및 프린터 제어기(24)를 구비한다. 프린트 바(14)는 종이 및 다른 인쇄 기재(16)의 시트 또는 연속적 웨브 상에 인쇄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프린트헤드들(26)을 포함한다. 다섯개의 프린트헤드(26)를 도시하지만, 보다 많은 또는 보다 적은 수의 프린트헤드(26)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린트헤드(26)는, 인쇄 유체 공급원(22)으로부터 유동 통제기(16) 내로 그리고 유동 통제기를 통과하는 채널(28), 및 프린트 바(14) 내의 채널(30)을 포함하는 전형적으로 복잡한 유동 경로를 통해서 인쇄 유체를 수용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채널(28)은 대응하는 청색(cyan), 홍색(magenta), 황색(yellow) 및 흑색(black)(CMYK) 잉크 공급원(22)으로부터의 잉크를 유동 통제기(18)로 전달하고, 유동 통제기(18)는 잉크를 프린트 바(14)로 전송하며, 이 프린트 바에서 각 색의 잉크는 채널(30)을 통해 프린트헤드(26)로 분배된다. 유동 통제기(18) 및 채널(28)이 프린트 바(14)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유동 통제기(18) 및 채널(28) 중 하나 또는 양자가 프린트 바(14) 내로 통합될 수도 있다.
제어기(24)는 프로세서(들)과 관련 메모리(들) 및 지령, 그리고 프린터(10)의 작동 요소들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전자 회로 및 부품을 나타낸다. 특히, 제어기(24)는 채널(28, 30)로부터의 공기 제거를 제어하기 위한 지령을 갖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processor readable medium: PRM)(32)을 구비한다. 많은 프린터들, 특히 중소기업 사용 및 개인 사용을 위한 프린터들을 위한 제어 기능이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내에 구현된다. 따라서, PRM(32) 및 공기 제거 지령(34)을 구비하는 프린터(10) 내의 제어기(24)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ASIC 내에서 시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PRM(32) 및 지령(34)을 위한 다른 적절한 시행도 가능하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제거를 위해 각각의 정규 인쇄 유체 공급원(20)은 불포화 인쇄 유체를 수용하는 서비스 카트리지(36)로 대체된다. 공기 제거 시스템(12)은 서비스 카트리지(36) 및 제어기 PRM(32) 상의 공기 제거 지령(34)을 구비한다. 일 예에 있어서, 불포화 인쇄 유체는 선적 유체이다. 다른 예에 있어서, 불포화 인쇄 유체는 잉크이다. 공기 제거가 완료되면, 도 9 내지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 카트리지(36)가 제거되고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22)이 통상의 인쇄를 위해 설치된다.
도 3은 공기 제거 시스템(12)의 다른 예를 시행하는 잉크젯 프린터(1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제거 지령(34)을 갖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32)가 공기 제거를 위해 프린터(1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서비스 센터(38)에 위치한다. 또한 서비스 센터(38)는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unsaturated printing fluid supplies: UPF)(36)을 갖는 서비스 모듈(40)을 구비한다. 도 3 내의 공기 제거 시스템(12)은 UPF 공급원(36)을 갖는 서비스 모듈(40) 및 서비스 센터 PRM(32) 상의 지령(34)을 구비한다. 공기 제거를 위해, 각각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36)이 어댑터(42)를 통해 대응하는 유동 채널(28)에 접속된다. 도 3의 예에는 공급원(36) 중 하나에 제각기 대응하여 4개의 어댑터(42)가 도시되지만, 다른 어댑터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급원들(36)을 채널들(28)에 접속하기 위해 다수의 포트를 가진 단일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의 서비스 카트리지(36) 및 도 3 내의 UPF 공급원(36)은 불포화 인쇄 유체의 임의의 적절한 공급원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불포화 인쇄 유체가 불포화 인쇄 유체를 유지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용기로부터 채널(28)로 직접 도입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써, 불포화 인쇄 유체를 채널(28)로 반송하기 위해서, 인라인 탈가스기(도 8의 탈가스기(53))가 채널(28)과 포화 인쇄 유체의 용기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프린터 제어기(24) 상의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32) 상에, 또는 서비스 센터(38)(또는 프린터(10)로부터 분리된 다른 사이트 또는 장치)에 공기 제거 지령(34)이 단독으로 있을 필요는 없다. 유사하게, 제어기(24) 상의 또는 제어기(24)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가 (또는 양자가) 지령(34)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 제거 지령(34)을 기억 및 실행하기 위해 도시된 것과 다른 적절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 4는 프린터(10)와 도 3에 도시된 공기 제거 시스템(12) 내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서비스 모듈(4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린터(10)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프린트 바(14)의 일 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프린터 바(14)의 분해도이다.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22)이 도 5 및 도 6의 통상 인쇄 동작을 위해 프린트 바(14) 내에 설치된다. 도 7은 프린트헤드(26)를 위한 일 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프린트 바(14)의 저면도이고, 도 8은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 대신에 설치되는 공기 제거 어댑터(42)를 갖는 프린트 바(14)의 분해 평면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통상의 인쇄 동작을 위해 프린터(10) 내의 프린트 바(14)가 예를 들면 청색, 홍색, 황색 및 흑색(CMYK)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 카트리지(22)를 구비한다. 공급 카트리지(22)는 지지부(48) 내에 유지되고 인쇄 유체 포트(50) 및 공기 포트(52)에 연결된다. 인쇄 유체는 공급 카트리지(22)로부터 포트(50) 및 채널(28)을 통해 유동 통제기(18)로 유동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 통제기(18)가 하우징(54) 내에서 카트리지 바(14)의 상부에 수용되고 카트리지 지지부(48)가 하우징(54)에 장착된다.
이제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제거를 위해,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 카트리지(22)가 제거되고,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36)을 갖는 서비스 모듈(40)이 어댑터(42) 및 튜브(44)를 통해 인쇄 유체 포트(50)에 접속된다. 이 예에 있어서 불포화 인쇄 유체는 통상 인쇄를 위해 사용된 잉크와 동일 색(CMYK)의 잉크이며, 시스템(12)은 각각의 색에 대해 인라인 탈가스기(53)를 구비한다. 일단 공기 제거가 완료되면, 어댑터(42)가 분리되고,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22)이 통상 인쇄를 위해 설치된다.
도 9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시스템(12) 또는 도 3에 도시된 시스템(12) 내에 시행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100)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의 방법은 예를 들면 공기 제거 지령(34)을 실행하는 제어기(24)의 방향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공기 제거 지령(3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어기(24) 상에 위치하는 국부적 PRM(32) 내에, 또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서비스 센터(38)에서 제어기(24)로부터 분리된 PRM(32)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불포화 인쇄 유체는 유동 채널(28, 30) 내로 도입되며(블럭 102),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일부 또는 모든 프린트헤드(26)로 분배된다(블럭 104). 소망하는 양의 잉크가 제거되면, 정규 인쇄 유체가 채널(28, 30) 내로 도입된다(블럭 106). 불포화 인쇄 유체가 통상 인쇄를 위해 사용가능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공기 제거 동작의 일부로서 정규의 인쇄 유체를 프린트 바 채널(30)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인쇄 유체가 프린트헤드(26)로부터 분배됨에 따라, 채널(28, 30)을 따라 이동하는 불포화 인쇄 유체는 공기를 흡수해서 공기를 프린트헤드(26)로 반송할 것이고, 프린트헤드에서 공기는 프린트 바(14)로부터 방출될 것이다. 불포화 인쇄 유체가 프린트헤드(26)로 가는 도중에 공기를 흡수함에 따라 불포화 인쇄 유체가 공기로 포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불포화 인쇄 유체의 특성은 이 유체가 프린트헤드(26)로 이동하는 공기 제거 동작중의 시간에 불포화로부터 포화로 변화될 수도 있다. 도 9 내의 블럭 104에서 "불포화" 인쇄 유체를 분배하는 단계는 특성에 있어서의 그러한 임의의 변화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불포화" 인쇄 유체를 분배하는 것은, 프린트헤드의 상류에서 시작된 포화 인쇄 유체를 불포화 인쇄 유체로서 분배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은 도 9의 블럭 102에서 불포화 인쇄 유체를 유동 채널(28, 30) 내로 도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의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22)이 프린트 바(14)로부터 분리되고(블럭 108),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36)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바(14)에 접속된다(블럭 110).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36)이 제어기(24)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되고(블럭 112), 그 다음에 인쇄 유체가 모든 프린트헤드(26)의 일부로부터 분배되어 불포화 인쇄 유체를 채널(28, 30) 내로 이동시킨다(블럭 114). 블럭 108 및 110에서의 분리 및 접속 동작은 사용자 동작인 반면, 블럭 112 및 114에서의 검출 및 분배 동작은 제어기(24)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프린터 동작이다. 변형예로서, 분배를 개시하기 위해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단계가 생략되고, 그 대신에 프린터 제어 패널(46)에 명령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을 접속한 후 사용자가 수동으로 분배를 개시할 수 있다(도 4). 또한 예를 들면 초기의 인쇄 셋업 중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이 접속되기 앞서 공기 제어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그 때에는 블럭 108에서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을 분리하는 것이 생략된다.
도 11은 도 9의 블럭(106)에서 정규의 인쇄 유체를 유동 채널(28) 내로 도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2 또는 도 3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36)이 프린트 바(14)로부터 분리되고(블럭 116),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2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바(14)에 접속된다.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22)이 제어기(24)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되고(블록 120), 그 다음에 인쇄 유체가 모든 프린트헤드(26)의 일부로부터 분배되어 정규의 인쇄 유체를 채널(28, 30)로 이동시킨다(블록 122). 블럭(116, 118)에서의 분리 및 접속 동작은 사용자 동작인 반면, 블럭 120 및 122에서의 검출 및 분배 동작은 제어기(24)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프린터 동작이다. 변형예로서, 분배를 개시하기 위해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단계가 생략되고, 그 대신에 프린터 제어 패널(46)에 명령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정규의 인쇄 유체 공급원을 접속한 후 사용자가 수동으로 분배를 개시할 수 있다(도 4).
대개의 잉크 카트리지 및 다른 잉크젯 인쇄 유체 공급원은 이제 공급원을 식별하고 공급원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전자 칩을 구비한다. 칩 상의 전기 접점들이 프린터 상의 정합 접점들에 연결되어서, 프린터 제어기가, 인쇄 유체 공급원의 존재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공급원을 식별하여, 공급원에 대한 정보를 얻도록 한다. 어댑터(들)(42)과 서비스 카트리지(36) 상의 유사한 전자 칩을 사용하여, 프린터 제어기가, 서비스 카트리지/어댑터의 존재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카트리지/어댑터를 식별하고, 공기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불포화 인쇄 유체에 대한 정보를 얻게 할 수도 있다.
공기 제거 동작은 공기의 문턱값 량이 채널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보통은 공기의 실질적으로 전부가 채널로부터 제거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한 문턱값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문맥에서 "실질적으로 전부"는 불포화 인쇄 유체가 유동 채널을 통해 이동할 때 모든 공기가 불포화 인쇄 유체 내로 흡수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상적으로는 불포화 인쇄 유체가 유동 채널 내 공기의 100%를 흡수할 것이지만, 실무적으로는 흡수되는 공기의 실제 양이 100% 미만일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제거되는 공기의 양은 프린트헤드로부터 분배되는 인쇄 유체 내의 공기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포화 레벨 미만의 공기 농도는, 실질적으로 모든 공기가 유동 채널로부터 제거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는, 소망하는 공기 제거 문턱값에 대응하는 불포화 인쇄 유체의 사전결정된 용적이 프린트헤드로부터 분배될 때까지 공기 제거 공정이 계속된다. 또한 불포화 인쇄 유체를 유동 채널 내로 급속히 도입하여 상당한 용적의 인쇄 유체를 채널 내에서 이미 신속히 변위시키면, 공기 제거 공정의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공기는 분배 노즐에 보다 가까이 하류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유동 채널의 전체 용적의 대략 절반에 대해 불포화 인쇄 유체를 급속히 도입하면 불포화 인쇄 유체가 공기에 보다 빨리 도달하는데 도움이 되고, 그 후 공기 제거 공정의 나머지에 대한 유동을 느리게 하면 인쇄 유체가 공기를 흡수하는 시간을 허용한다.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스템(12) 또는 도 3에 도시된 시스템(12) 내에 시행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고속/저속" 공기 제거 방법(124)의 일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의 방법은 예를 들면 공기 제거 지령(34)을 실행하는 제어기(24)의 방향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불포화 인쇄 유체는 유동 채널(들)의 전체 용적의 약 50%에 대해 제1의 보다 빠른 속도로 하나의 프린트헤드 또는 다수의 프린트헤드로부터 인쇄 유체를 분배하는 것에 의해서 하나의 유동 채널 내로 또는 다수의 유동 채널 내로 불포화 인쇄 유체를 도입한다(블럭 126). 그 다음 제2의 보다 느린 속도로 프린트헤드(들)로부터 인쇄 유체를 분배하여, 소망하는 문턱값까지 유동 채널(들)로부터 공기를 제거한다(블럭 128). 소망하는 문턱값에 도달하면, 정규의 인쇄 유체가 유동 채널(들) 내로 도입되어, 통상의 인쇄 동작을 시작 또는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하나"라는 의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말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전술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개시설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다른 형태, 세부, 및 예가 만들어지고 시행될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프린터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와 접속되고, 상기 유체 포트는 인쇄 유체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것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상기 유체 포트가 상기 인쇄 유체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와 접속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에 결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와;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로 분배할 수 있게 하는 지령을 구비하는,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로부터 연결해제되는
    서비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은 선적 유체를 구비하는
    서비스 모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는 70% 미만의 공기 포화 레벨을 갖는
    서비스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는 50% 미만의 공기 포화 레벨을 갖는
    서비스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는 4개의 유체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상기 4개의 유체 포트와 접속되는 단일 어댑터를 구비하는
    서비스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은 4개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을 구비하고, 단일 어댑터가 상기 4개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에 결합되는
    서비스 모듈.
  8.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를 구비하는 프린트 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로서, 각각의 유체 포트는 인쇄 유체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것이고, 상기 인쇄 유체 카트리지는 정규의 인쇄 유체를 수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를 포함하는
    프린터와;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 및
    상기 유체 포트가 상기 인쇄 유체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로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에 결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서비스 모듈과;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로 분배할 수 있게 하는 지령을 구비하는,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로부터 연결해제되는
    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은 선적 유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는 70% 미만의 공기 포화 레벨을 갖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는 50% 미만의 공기 포화 레벨을 갖는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린터의 외부에 있는
    시스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는 4개의 유체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상기 4개의 유체 포트와 접속되는 단일 어댑터를 구비하는
    시스템.
  16. 프린터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규 인쇄 유체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체 포트는 프린트 바와 연통하고 있는, 카트리지 제거 단계와;
    서비스 모듈을 상기 프린터에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이 서비스 모듈 결합 단계는 상기 서비스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에 결합시키는 것과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에 상기 서비스 모듈의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를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상기 서비스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에 결합되는, 서비스 모듈 결합 단계와;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서비스 모듈의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내의 지령의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불포화 인쇄 유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에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프린터로부터 상기 서비스 모듈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린터로부터 상기 서비스 모듈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프린터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서비스 모듈의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를 연결해제시키는 것을 야기하는, 상기 프린터로부터 상기 서비스 모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규 인쇄 유체 카트리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에 연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 공급원은 선적 유체를 구비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는 70% 미만의 공기 포화 레벨을 갖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인쇄 유체는 50% 미만의 공기 포화 레벨을 갖는
    방법.
KR1020167020725A 2014-01-31 2014-01-31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장치 KR102218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14017 WO2015116132A1 (en) 2014-01-31 2014-01-31 Removing air from a printing fluid cha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607A KR20160114607A (ko) 2016-10-05
KR102218143B1 true KR102218143B1 (ko) 2021-02-19

Family

ID=5375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725A KR102218143B1 (ko) 2014-01-31 2014-01-31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1859B2 (ko)
EP (1) EP3099501B1 (ko)
KR (1) KR102218143B1 (ko)
CN (1) CN105939860B (ko)
WO (1) WO2015116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7552B2 (ja) * 2017-07-07 2022-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液体吐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6388A1 (en) 2001-02-23 2003-04-24 Waggoner Karen Wytmans Inkjet printing system having extended heater resistor life
US7360882B2 (en) 2005-04-22 2008-04-2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method of removing air of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moving ai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370A (en) * 1996-08-30 2000-05-30 Hewlett-Packard Company Fluidic delivery system with tubing and manifolding for an off-axis printing system
EP1287997B1 (en) * 1997-06-04 2006-04-05 Hewlett-Packard Company Ink delivery system Adapter
KR100532297B1 (ko) * 1997-08-18 2005-11-29 휴렛트-팩카드 캄파니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
US6547377B2 (en) * 1998-03-09 2003-04-15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 air management using unsaturated ink
US7344230B2 (en) * 2004-09-07 2008-03-18 Fujifilm Dimatix, Inc. Fluid drop ejection system capable of removing dissolved gas from fluid
EP1802468A1 (en) * 2004-09-16 2007-07-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int head, print head assembly, cartridge and printer
JP4810933B2 (ja) * 2005-08-31 2011-1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供給機構用の気体除去装置、インク供給機構、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1168989B1 (ko) * 2007-05-04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기포제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기포제거방법
US8235514B2 (en) * 2009-11-09 2012-08-07 Eastman Kodak Company Air extraction device for inkjet printhead
US8465139B2 (en) 2010-10-05 2013-06-18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 degassing device for inkjet printer
EP2701917B1 (en) 2011-04-29 2019-04-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gassing fluid
JP5998471B2 (ja) * 2011-12-20 2016-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ダプター
US20130176359A1 (en) * 2012-01-09 2013-07-11 Mark Colby ROBERTS Print head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cleaning print head using same
US8556374B2 (en) * 2012-03-08 2013-10-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head air barrier
US9039141B2 (en) * 2012-05-10 2015-05-26 Xerox Corporation Fluidic structure that allows removal of air bubbles from print heads without generating waste ink
US8967769B1 (en) * 2013-08-27 2015-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bar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6388A1 (en) 2001-02-23 2003-04-24 Waggoner Karen Wytmans Inkjet printing system having extended heater resistor life
US7360882B2 (en) 2005-04-22 2008-04-2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method of removing air of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moving ai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9501B1 (en) 2020-03-11
US9931859B2 (en) 2018-04-03
US20170050445A1 (en) 2017-02-23
CN105939860A (zh) 2016-09-14
KR20160114607A (ko) 2016-10-05
EP3099501A1 (en) 2016-12-07
WO2015116132A1 (en) 2015-08-06
EP3099501A4 (en) 2017-11-01
CN105939860B (zh)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172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697914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2009029111A (ja) 流体吐出装置、及び、流体吐出装置の制御方法
TW201420366A (zh) 組構爲用於有效率氣泡移出之印表機
JP2010208143A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の制御方法
JP5246107B2 (ja) 液体噴射装置
US9085167B2 (en) Arrangement to supply a print head unit having at least one print head with ink in an ink printing apparatus
JP2023053096A (ja)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07216442A (ja) インク供給方法並びにインク供給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方式画像形成装置
JP2010023248A (ja) インク循環型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1901425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18143B1 (ko) 인쇄 유체 채널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시스템 및 장치
US20100171788A1 (en) Ink-jet printer having suction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705506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195012A (ja) 流体噴射装置、及び流体噴射装置における流体の供給方法
JP2019195967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US6536886B1 (en) Reservoir integration for multi-part inkjet printing system, and method
US11040538B2 (en) Inkjet printer and maintenance method
JP201914220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07098746A (ja) プリンタと印刷システム
US20210114371A1 (en) Liquid ejection device
CN111372784B (zh) 流体喷射装置流体供应部的更换和启动
JP668349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2240270A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062127A (ja) クリ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