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257B1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257B1
KR101934257B1 KR1020177013146A KR20177013146A KR101934257B1 KR 101934257 B1 KR101934257 B1 KR 101934257B1 KR 1020177013146 A KR1020177013146 A KR 1020177013146A KR 20177013146 A KR20177013146 A KR 20177013146A KR 101934257 B1 KR101934257 B1 KR 10193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base
needle bed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262A (ko
Inventor
겐타 데라이
요시노리 시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7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Abstract

본 발명은, 횡편기를 사용한 신규 형상의 장식 유닛을 형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베이스 편성포부(1)의 편성폭방향으로 신장되는 하변(2D)과, 하변(2D)의 좌단부로부터 편성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좌변(2L)과, 하변(2D)의 우단부로부터 편성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우변(2R)으로 구성되는 장식 유닛(2)을 베이스 편성포부(1)의 표면에 형성한다. 하변(2D)은, 베이스 편성포부(1)의 편성폭방향으로 신장되는 교차사로 구성된다. 또한 좌변(2L) 및 우변(2R)은, 편성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진 스티치로 구성된다. 교차사 및 스티치는 한 번에 편성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편성포(編成布)를 구성하는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에 봉제에 의하여 형성한 것과 같은 신규 형상의 장식을 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다양한 편성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편성포의 본체인 베이스 편성포부에,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베이스 편사와는 다른 편사(장식 편사)를 넣어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방법으로 편성된 편성포가 개시되어 있다. 장식 편사는,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앞쪽의 면 위의 두 점 사이에 걸쳐져, 편성포의 표면을 장식한다.
한편 봉제에 의하여 편성포의 표면에 장식을 하는 것이 종래부터 행하여지고 있다. 봉제에 의하면, 여러 형상의 장식 패턴, 예를 들면 박스 형상의 장식 유닛(decoration unit)을 늘어놓은 장식 패턴(decoration pattern) 등을 편성포에 형성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303489호 공보
봉제에 의한 장식 패턴의 형성은,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을 한 후에 편성과는 독립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 생산성이 좋은 편성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특허문헌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 등을 사용하여 횡편기로 장식 패턴을 편성하면 좋지만, 특허문헌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는 장식 패턴의 형상은 한정적이다. 그 때문에 횡편기를 사용한 신규 형상의 장식 패턴을 베이스 편성포부에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신규 형상의 장식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얻을 수 있으면, 다양한 디자인의 편성포를 생산성 좋게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의 하나는, 횡편기를 사용한 신규 형상의 장식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전후로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 및 타방의 니들베드와, 그들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하는 복수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베이스 편사와는 다른 장식 편사를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넣어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이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하기 공정α∼하기 공정ε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으로 신장되는 하변과, 상기 하변의 좌단부로부터 상기 편성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좌변과, 상기 하변의 우단부로부터 상기 편성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우변으로 구성되는 장식 유닛을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표면에 형성한다.
[공정α] … 상기 하변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로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부의 스티치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하고, 적어도 상기 좌변을 형성하는 기점이 되는 좌측 기점 스티치와 상기 우변을 형성하는 기점이 되는 우측 기점 스티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남긴다.
[공정β] … 상기 장식 편사를 사용하여, 상기 좌측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좌변 스티치 및 상기 우측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우변 스티치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변 스티치와 상기 우변 스티치의 사이에 있는 공침에 걸림 스티치를 형성한다.
[공정γ] … 상기 걸림 스티치를 편침으로부터 제외시키고, 상기 좌변 스티치와 상기 우변 스티치의 사이에, 상기 공정α에서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한 스티치의 앞쪽(즉, 그 스티치의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측)을 가로지르는 상기 장식 편사로 구성되는 상기 하변을 형성한다.
[공정δ] …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상기 좌변 스티치 및 상기 우변 스티치를 결합시킨 채,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코스수를 늘린다.
[공정ε] … 상기 좌변 스티치 및 상기 우변 스티치를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와 포개서 고정하고, 상기 좌변 스티치로 구성되는 상기 좌변과 상기 우변 스티치로 구성되는 상기 우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상기 공정α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복수의 상기 좌측 기점 스티치와 복수의 상기 우측 기점 스티치를 남기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복수의 장식 유닛을 편성폭방향으로 인접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에 있는 장식 유닛을 형성하기 위한 우측 기점 스티치가 우측에 있는 장식 유닛을 형성하기 위한 좌측 기점 스티치를 겸하고 있어도 좋다. 물론 복수의 장식 유닛을 편성폭방향으로 인접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모든 기점 스티치를 별개의 스티치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하기 공정ζ, η에 의하여, 상기 좌변의 상단과 상기 우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변을 형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공정ζ] … 상기 공정ε을 한 후에, 상기 상변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로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부의 스티치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하고, 적어도 상기 상변의 좌단을 고정하기 위한 좌고정 스티치와 상기 상변의 우단을 고정하기 위한 우고정 스티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남긴다.
[공정η] … 상기 장식 편사를 사용하여, 상기 좌고정 스티치와 상기 우고정 스티치에 턱을 함과 아울러, 양 고정 스티치의 사이에서 미스를 하고, 양 고정 스티치의 사이에, 상기 공정ζ에서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한 스티치의 앞쪽을 가로지르는 상기 상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상기 공정δ에 있어서, 하기 공정δ1∼공정δ3을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튜브모양으로 형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공정δ1] …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전방부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후방부로 분기시킨다.
[공정δ2] … 적어도 상기 베이스 전방부의 코스수를 늘인다.
[공정δ3] … 상기 베이스 전방부와 상기 베이스 후방부를 편성에 의하여 연결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가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공침이 없는 상태로부터 상기 장식 유닛을 편성할 때에, 상기 공정α를 하기 전에 트랜스퍼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공침을 형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하변(下邊)과, 그 양 단부(端部)로부터 하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좌변(左邊) 및 우변(右邊)으로 구성되는 신규 형상의 장식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기본형상의 장식 유닛을 조합하면,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봉제로 다양한 디자인의 장식 패턴을 베이스 편성포부에 형성할 수 있다.
공정α에 있어서, 기점 스티치를 복수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으로 복수의 장식 유닛이 배열된 조직 패턴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공정ε을 한 후에 공정ζ, η을 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우변의 상단(上端)과 좌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변(上邊)을 구비하는 박스 형상의 장식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공정δ에 있어서 공정δ1∼δ3을 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장식 유닛이 형성되는 부분을, 편성폭방향을 축으로 하는 튜브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튜브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불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튜브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는 장식 유닛을 강조할 수 있다.
공정α를 하기 전에 트랜스퍼(transfer)에 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공침(空針)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편성포부가 전후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총침상태(full gauge state)로 결합되어 있어도 장식 유닛의 형성을 할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1의 슈즈 어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의 슈즈 어퍼의 편성순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편성 이미지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1의 슈즈 어퍼에 구비되는 장식 유닛의 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도3에 이어지는 장식 유닛의 편성공정도이다.
도5는, 도4에 이어지는 장식 유닛의 편성공정도이다.
도6(A)∼(D)는, 실시형태1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응용하여 편성한 장식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인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이하, FB라고 한다)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이하, BB라고 한다), 및 편사(編絲)를 급사하는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BB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고 또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2베드 횡편기(two-bed 橫編機)를 사용한 편성례를 설명한다. 물론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상관없다.
〈실시형태1〉
《전체구성》
실시형태1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슈즈 어퍼(shoe upper)(편성포(編成布))(10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인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이 슈즈 어퍼(100)는, 발등측의 부분을 덮는 인스텝 커버(instep cover)(110)와, 발바닥을 덮는 솔 커버(sole cover)(120)로 구성되어 있고, 횡편기에 의하여 무봉제(無縫製)로 편성되어 있다. 인스텝 커버(110)에는, 박스 형상의 장식 유닛(decoration unit)(2)이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장식 패턴(decoration pattern)(111)이 형성되어 있다. 장식 패턴(111)은, 봉제에 의하여 형성된 것처럼 보이지만,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인스텝 커버(110) 중에 있어서, 장식 패턴(111)보다도 상측의 부분을 등부(112), 하측의 부분을 측부(113)라고 부른다.
박스 형상의 장식 유닛(2)은, 하변(2D), 좌변(2L), 우변(2R) 및 상변(2U)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변(2D) 및 상변(2U)은, 베이스 편성포부(1)(인스텝 커버(110))의 편성폭방향으로 신장되는 교차사(cross-over yarn)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좌변(2L) 및 우변(2R)은, 베이스 편성포부(1)의 웨일방향(편성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진 스티치로 구성되어 있다. 좌변(2L)을 구성하는 스티치는, 하변(2D)을 구성하는 교차사의 좌단부(左端部)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우변(2R)을 구성하는 스티치는, 하변(2D)의 우단부(右端部)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장식 유닛(2)을 봉제된 것과 같은 겉모양으로 하기 위하여 일부러 하변(2D)의 우단부의 일부를 베이스 편성포부(1)의 뒤쪽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이며, 실제로는 우변(2R)을 구성하는 스티치는, 베이스 편성포부(1)의 뒤쪽에서 하변(2D)을 구성하는 교차사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좌측의 장식 유닛(2)의 우변(2R)이, 우측의 장식 유닛(2)의 좌변(2L)을 겸하고 있다. 이들 변(2D, 2L, 2R, 2U)을 구비하는 장식 유닛(2)은, 횡편기를 사용하여 무봉제로 편성되어 있다. 이하에 장식 유닛(2)을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슈즈 어퍼의 편성방법》
장식 유닛(2)의 편성순서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슈즈 어퍼(100)의 전체적인 편성순서를 설명한다. 슈즈 어퍼(100)는,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내는 순서로 편성할 수 있다. 도2에 나타내는 순서에서는, 슈즈 어퍼(100)를 니들베드 상에서 가로방향으로 편성하고 있다. 이 도2에서는, 장식 패턴(111)이 형성되는 부분, 측부(113) 및 솔 커버(120)에 대해서는 우측부분만이 도시되어 있고, 그들의 좌측부분은 지면에 있어서 우측부분의 안쪽에 있다.
도2에서는, 먼저 FB와 BB에 편성시작부(100s)를 형성한다. 그 편성시작부(100s)에 계속하여, FB(또는 BB)를 사용하여 인스텝 커버(110)의 등부(112)를 편성한다. 다음에 FB와 BB를 사용하여 장식 패턴(111)이 형성되는 부분을 편성한 후에, FB와 BB를 사용한 통모양 편성(tubular knitting)이나 왕복 편성(reciprocate knitting)에 의하여 인스텝 커버(110)의 측부(113)를 편성한다. 그리고 FB와 BB에서 별개로 왕복 편성을 하여, 솔 커버(120)의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을 편성하고, 최후에 그들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을 편성에 의하여 접합한다.
《봉제된 것과 같은 장식 패턴의 편성》
도2에 나타내는 장식 패턴(111)이 형성되는 부분은, 도3∼5에 나타내는 편성공정도를 따라 편성할 수 있다. 도3∼5의 좌란(左欄)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우란(右欄)에는 FB와 BB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형성상태가 나타나 있다. 각 공정에서 실제로 편성을 한 부분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의 알파벳 대문자는, 편침의 위치를 나타낸다.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는 다이아몬드 마크로, 베이스 편성포부(1B)의 스티치는 오각형 마크로, 베이스 편성포부(1F, 1B)를 편성하는 베이스 편사(Y7)와는 다른 장식 편사(Y8)로 편성되는 스티치는 동그라미 마크로 나타낸다. 이중 마크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나타낸다.
S0에는, FB의 편침(B∼P)에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가, BB의 편침(B∼P)에 베이스 편성포부(1B)의 스티치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들 베이스 편성포부(1F, 1B)는 베이스 편사(Y7)로 편성되어 있다. 베이스 편사(Y7)로는, 모사(wool yarn), 탄성사(彈性絲) 또는 열융착사(熱融着絲)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슈즈 어퍼에 장식 패턴(111)을 형성하는 경우에, 베이스 편사(Y7)는 열융착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편성포부(1F, 1B)의 편성폭 내에는 공침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촘촘한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편성포부(1F, 1B)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장식 유닛(111)(도1, 2를 참조)을 편성한다.
S1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1F, 1B)의 일부를 편성폭방향으로 이동시켜, 베이스 편성포부(1F, 1B)의 편성폭 내에 공침을 형성한다. BB(FB)에 형성되는 공침은, 베이스 편성포부(1F(1B))에 장식 유닛(2)을 형성할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1F(1B))의 스티치를 일시적으로 맡겨 두기 위한 것이다(베이스 편성포부(1F)를 맡기는 조작에 대해서는 다음의 S2를 참조). 또한 공침의 형성위치는, 베이스 편성포부(1F(1B))를 BB(FB)에 맡길 때에 스티치의 이동거리가 짧아지도록 선택하면 좋다. 본 예에서는, FB의 편침(E, G, K, M) 및 BB의 편침(E, G, K, M)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지면의 좌측으로 인접한 스티치에 포갬으로써, 상기 편침(E, G, K, M)을 공침으로 하고 있다. 또한 S1에서 형성한 더블 스티치는, S2 이후에는 이중 마크가 아니라 단일 마크로 나타낸다.
S2에서는, FB의 편침(B, F, H, L, N)에 결합되는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를 BB의 편침(A, E, G, K, M)으로 트랜스퍼한다. 이 트랜스퍼에 의하여, FB의 편침(C, D, I, J, O, P)에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가 남는다(공정α에 상당). FB에 남은 스티치 중의 일부는, 도1에 있어서 원으로 둘러싼 확대도에 나타내는 장식 유닛(2)의 좌변(2L)을 형성하는 기점(起點)이 되는 좌측 기점 스티치(11)와, 장식 유닛(2)의 우변(2R)을 형성하는 기점이 되는 우측 기점 스티치(19)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 FB의 편침(D)의 스티치가, 좌측의 장식 유닛(2)의 좌변(2L)을 형성하기 위한 좌측 기점 스티치(11)이다.
· FB의 편침(J)의 스티치가, 좌측의 장식 유닛(2)의 우변(2R)을 형성하기 위한 우측 기점 스티치(19)이고, 또한 우측의 장식 유닛(2)의 좌변(2L)을 형성하기 위한 좌측 기점 스티치(11)이다.
· FB의 편침(P)의 스티치가, 우측의 장식 유닛(2)의 우변(2R)을 형성하기 위한 우측 기점 스티치(19)이다.
S3에서는, 베이스 편사(Y7)와는 다른 편사인 장식 편사(Y8)를 급사구(8)로부터 급사하여 FB의 편침(B, F, H, L, N)에 걸림 스티치(stitch hooked by the knitting needle)(25)를 형성함과 아울러 FB의 편침(D, J, P)의 기점 스티치(11, 19)에 계속되는 스티치를 형성한다(공정β에 상당). FB의 편침(D)에 형성하는 스티치는, 좌측의 장식 유닛(2)의 좌변(2L)이 되는 좌변 스티치(21)이다. FB의 편침(J)에 형성하는 스티치는, 좌측의 장식 유닛(2)의 우변(2R)이 되는 우변 스티치(29)이고, 우측의 장식 유닛(2)의 좌변(2L)이 되는 좌변 스티치(21)이기도 하다. FB의 편침(P)에 형성하는 스티치는, 우측의 장식 유닛(2)의 우변(2R)이 되는 우변 스티치(29)이다. 상기 장식 편사(Y8)는, 베이스 편사(Y7)와는 소재, 질감, 굵기 또는 색이 다른 편사로 한다. 특히 장식 편사(Y8)의 색을 베이스 편사(Y7)와는 다른 색으로 하면, 장식 유닛(2)을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좌변 스티치(21)와 우변 스티치(29)는, 어느 쪽을 먼저 형성하여도 좋다. 어느 스티치(21, 29)를 먼저 형성할 것인가는, 급사구(8)의 이동방향에 따른다. 또한 걸림 스티치(25)의 형성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예의 경우에는, BB에 공침이 없기 때문에 FB에 걸림 스티치(25)를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부 뒤쪽 니들베드에 걸림 스티치(25)를 형성할 수도 있다. 걸림 스티치(25)는 다음의 S4에서 니들베드로부터 제외되어 버리기 때문에, 어느 니들베드의 편침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S4에서는, S3에서 형성한 걸림 스티치(25)를 FB로부터 제외시킨다(공정γ에 상당). 그 결과, S2에 있어서 BB로 트랜스퍼하여 둔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BB의 편침(A, E, G, K, M)의 스티치)의 앞쪽을 가로지르는 장식 편사(Y8)로 구성되는 하변(2D)이 형성된다. FB로부터 제외된 걸림 스티치(25)의 분량만큼 좌변 스티치(21)와 우변 스티치(29) 사이의 실의 길이가 길어져 있기 때문에, 양 스티치(21, 29)를 크게 할 수 있다. S4에 있어서, 걸림 스티치(25)를 FB로부터 제외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좌변 스티치(11) 및 우변 스티치(19)가 결합되는 FB의 편침(D, J, P)을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부터 후퇴시켜, 좌변 스티치(21) 및 우변 스티치(29)를 크게 하더라도 상관없다.
S5에서는, S2에 있어서 BB의 편침(A, E, G, K, M)에 맡겨 둔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를 FB의 편침(B, F, H, L, N)으로 되돌린다. S5를 한 후에는, 베이스 편성포부(1B)에 대해서도 S2∼S5와 동일한 편성을 한다. 베이스 편성포부(1B)에 대한 편성이 종료하였을 때의 스티치의 결합상태 및 장식 편사(Y8)의 배치상태를 S6에 나타낸다.
도4의 S7에서는, FB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FB의 편침(C, I, O)에 결합되는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를 FB의 편침(D, J, P)으로 트랜스퍼함과 아울러, FB의 편침(D, J, P)에 결합되는 좌변 스티치(21) 및 우변 스티치(29)를 FB의 편침(E, K, Q)으로 트랜스퍼한다. 이 스티치의 배치의 변경은, 베이스 편성포부(1F)의 각 스티치의 간격을 균등하게 함으로써 다음의 S8에서 베이스 편성포부(1F)를 편성할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1F)의 각 스티치의 크기를 맞추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S8에서는, 급사구(7)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FB의 편침(B, D, F, H, J, L, N, P)에 결합하는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BB의 편침(E, G, K, M)에 걸림 스티치를 형성한다(공정δ1에 상당). 이 S8에 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1F)가 FB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전방부(10F)와, BB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후방부(10B)로 분기(分岐)된다.
S9에서는, BB에 결합되는 베이스 후방부(10B)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고, S10에서는, FB에 결합되는 베이스 전방부(10F)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S9, S10은 필요에 따라 반복한다(공정δ2에 상당). 이 반복횟수에 따라 장식 유닛(2)의 좌변(2L) 및 우변(2R)의 길이가 결정된다. S9, S10을 동일한 횟수로 반복하면, 베이스 편성포부(1F)에 있어서의 장식 유닛(2)이 형성되는 부분의 단면이 대략 원형의 튜브모양이 된다. 또한 S9를 하는 횟수보다도 S10을 하는 횟수를 많게 하거나 S9를 하지 않고 S10만을 반복함으로써, 당해 단면이 대략 D자형의 튜브모양이 된다. 이 경우에 베이스 편성포부(1) 중에서 착용자에 닿는 쪽을 평탄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베이스 편성포부(1F)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편성포부(1B)를 튜브모양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베이스 편성포부(1F)의 단부(端部)의 구멍과, 베이스 편성포부(1B)의 단부의 구멍을 연결시켜도 좋다. 구멍을 연결하는 경우에, 베이스 편성포부(1F)의 편성코스(knitting course)를 늘릴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1F)의 편성폭의 외측에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여 두고, 베이스 편성포부(1B)를 편성할 때에 그 걸림 스티치를 베이스 편성포부(1B)에 넣어 편성하면 좋다.
S11에서는, BB의 편침(E, G, K, M)에 결합되는 베이스 후방부(10B)를 FB의 편침(D, F, J, L)에 결합되는 베이스 전방부(10F)에 포갠다. 이 S11은 베이스 전방부(10F)와 베이스 후방부(10B)를 접속하기 위하여 하는 공정이지만, 이 시점에서는 아직 양 부(10F, 10B)는 접속되지 않는다.
S11을 한 후에, 베이스 편성포부(1B)에 대해서도 S8∼S11과 동일한 편성을 한다. 베이스 편성포부(1B)에 대한 편성이 종료하였을 때의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S12에 나타낸다.
도5의 S13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1F, 1B)를 1코스만큼 편성한다(공정δ3에 상당). 이 S13에 의하여, 베이스 편성포부(1F(1B))의 베이스 전방부(10F)와 베이스 후방부(10B)가 접속된다.
S14에서는, FB의 편침(B, D, H, J, N, P)에 결합되는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를 BB의 편침(C, E, I, K, O, Q)으로 트랜스퍼한다. 이 트랜스퍼에 의하여, FB의 편침(F, L)에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가 남는다(공정ζ). FB의 편침(F)의 스티치는, 도1에 있어서 원으로 둘러싼 확대도에 나타내는 좌측의 장식 유닛(2)에 있어서의 상변(2U)의 좌단을 고정하기 위한 좌고정 스티치(13)이다. FB의 스티치(L)의 스티치는, 좌측의 장식 유닛(2)에 있어서의 상변(2U)의 우단을 고정하기 위한 우고정 스티치(17)로서, 우측의 장식 유닛(2)에 있어서의 상변(2U)의 좌단을 고정하기 위한 좌고정 스티치(13)이기도 하다. 또한 지면 관계상, 우측의 장식 유닛(2)을 위한 우고정 스티치(17)는 S15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S15에서는, 급사구(8)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FB의 편침(F, L)의 스티치(13, 17)에 턱(tuck)을 함과 아울러,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미스(miss)를 한다(공정η에 상당). 그 결과, S14에 있어서 BB로 트랜스퍼하여 둔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BB의 편침(C, E, I, K, O, Q)의 스티치)의 앞쪽을 가로지르는 장식 편사(Y8)로 구성되는 상변(2U)이 형성된다.
S16에서는, S14에 있어서 BB의 편침(C, E, I, K, O, Q)에 맡겨 둔 베이스 편성포부(1F)의 스티치를 FB의 편침(B, D, H, J, N, P)으로 되돌린다. S16을 한 후에는, 베이스 편성포부(1B)에 대해서도 S14∼S16과 동일한 편성을 한다. 베이스 편성포부(1B)에 대한 편성이 종료하였을 때의 스티치의 결합상태 및 장식 편사(Y8)의 배치상태를 S17에 나타낸다.
S18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1F, 1B)의 스티치, 좌변 스티치(21) 및 우변 스티치(29)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함과 아울러, 테두리 안을 비워 둔 화살표로 나타내는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를 공침에 편성한다(공정ε에 상당). 이 S18에 의하여, 좌변 스티치(21) 및 우변 스티치(29)가 베이스 편성포부(1F, 1B)에 접속되어, 장식 유닛(2)의 좌변(2L) 및 우변(2R)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S18에서 형성하는 비틀림 스티치는, 도3의 S1에서 줄인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스티치의 수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을 따르면, 도1에 나타내는 장식 패턴(111)을 무봉제로 슈즈 어퍼(100)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식 패턴(111)을 구비하는 편성포는 지금까지 없는 신규의 것이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응용함으로써, 다종다양한 장식 유닛(2)을 편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장식 유닛의 일례를 도6(A)∼(D)에 예시한다. 여기에서 도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티치로 구성되는 좌변(2L) 및 우변(2R)을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도6(A)에는, 하변(2D), 좌변(2L) 및 우변(2R)으로 구성되는 장식 유닛(2)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장식 유닛(2)을 편성하는 경우에, 도3의 S1∼도5의 S13의 편성을 한 후에, 베이스 편성포부(1F, 1B)에 대하여 S14∼S16에 상당하는 편성을 하지 않고 S18에 상당하는 편성을 하면 좋다.
도6(B)에는, 좌변(2L)과 우변(2R)이 경사진 장식 유닛(2)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장식 유닛(2)을 편성하는 경우에, 도5의 S17을 한 후에 좌변 스티치(21) 및 우변 스티치(29)를 편성폭방향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 S18에 상당하는 편성을 하면 좋다. 여기에서 도6(B)에서는 하변(2D)과 우변(2R)이 연결되어 있지만, 이것은 도3의 S2에 있어서 FB에 기점 스티치(11, 19)만을 남김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도6(C)에는, 점선모양으로 형성된 장식 유닛(2)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장식 유닛(2)을 편성하는 경우에, 먼저 처음에 점선모양의 하변(2D)과, 짧은 좌변(2L) 및 우변(2R)을 편성한다. 하변(2D)은, 도3의 S2에 있어서 좌측 기점 스티치(11)와 우측 기점 스티치(19)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스티치를 FB와 BB에 분리하여 두면, 편성할 수 있다.
좌변(2L) 및 우변(2R)을 베이스 편성포부에 고정하면, 베이스 편성포부와, 좌변(2L)(우변(2R))에 계속되는 보조변(2Lh)(보조변(2Rh))을 편성한다. 보조변(2Lh, 2Rh)은, 장식 편사로 베이스 편성포부에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변(2U)은, 도5의 S14에 있어서 좌고정 스티치(13)와 우고정 스티치(17)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스티치를 FB와 BB에 분리하여 두면, 편성할 수 있다.
도6(D)에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장식 유닛(2)이 나타나 있다. 이 예에서는, 상단(上段)의 장식 유닛(2)의 하변(2D)이 하단의 장식 유닛(2)의 상변(2U)을 겸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하단의 장식 유닛(2)의 하변(2D), 좌변(2L) 및 우변(2R)을 편성한 후에, 상단의 장식 유닛(2)의 하변(2D), 좌변(2L) 및 우변(2R)을 편성하면 좋다. 상단의 장식 유닛(2)의 상변(2U)은, 도5의 S14∼S16의 편성과 동일한 편성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하단의 장식 유닛(2)과 상단의 장식 유닛(2)을 비켜 놓아 편성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벽돌로 이루어진 벽과 같은 모양의 장식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하변·좌변·우변으로 삼각형을 만든 장식 유닛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도5의 S18을 할 때에 좌변 스티치(21)와 우변 스티치(29)를 포개 두면 좋다.
복수의 장식 유닛을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좌측의 장식 유닛과 우측의 장식 유닛은, 한번에 연속하여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식 편사를 급사하는 급사구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좌측의 장식 유닛의 좌변 스티치, 하변의 교차사, 우변 스티치를 형성한 후에 장식 편사를 베이스 편성포부의 뒤쪽으로 통과시키고, 우측의 장식 유닛의 좌변 스티치, 하변의 교차사, 우변 스티치를 형성하면 좋다.
〈기타〉
상기 실시형태1, 2에서 설명한 장식 유닛(2)은, 슈즈 어퍼(100) 이외의 편성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트웨어나 니트팬츠, 또는 손수건(handkerchief) 등의 니트제의 소품, 또 니트제의 커버 등에 장식 유닛(2)을 적용할 수 있어, 그들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1, 2에서는 장식 유닛(2)을 형성하는 베이스 편성포부(1)를 플레인 스티치 조직(plain stitch 組織)으로 하였지만, 리브 조직(rib 組織) 등의 다른 편성조직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FB : 앞쪽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
100 : 슈즈 어퍼(편성포)
100s : 편성시작부
110 : 인스텝 커버
111 : 장식 패턴
112 : 등부
113 : 측부
120 : 솔 커버
1, 1F, 1B : 베이스 편성포부
10F : 베이스 전방부
10B : 베이스 후방부
11 : 좌측 기점 스티치
19 : 우측 기점 스티치
13 : 좌고정 스티치
17 : 우고정 스티치
2 : 장식 유닛
2D : 하변
2U : 상변
2L : 좌변
2R : 우변
21 : 좌변 스티치
29 : 우변 스티치
25 : 걸림 스티치
2Lh, 2Rh : 보조변
7, 8 : 급사구
Y7 : 베이스 편사
Y8 : 장식 편사

Claims (5)

  1.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일방(一方)의 니들베드(needle bed) 및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와, 그들 니들베드의 편침(編針)에 편사(編絲)를 급사하는 복수의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베이스 편사와는 다른 장식 편사를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넣어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하기 공정α∼하기 공정ε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編成幅方向)으로 신장되는 하변(下邊)과, 상기 하변의 좌단부(左端部)로부터 상기 편성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좌변(左邊)과, 상기 하변의 우단부(右端部)로부터 상기 편성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우변(右邊)으로 구성되는 장식 유닛(decoration unit)을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표면에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상기 하변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로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부의 스티치(stitch)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transfer)하고, 적어도 상기 좌변을 형성하는 기점이 되는 좌측 기점 스티치와 상기 우변을 형성하는 기점이 되는 우측 기점 스티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남기는 공정α.
    상기 장식 편사를 사용하여, 상기 좌측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는 좌변 스티치 및 상기 우측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우변 스티치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변 스티치와 상기 우변 스티치의 사이에 있는 공침(空針)에 걸림 스티치(stitch hooked by the knitting needle)를 형성하는 공정β.
    상기 걸림 스티치를 편침으로부터 제외시키고, 상기 좌변 스티치와 상기 우변 스티치의 사이에, 상기 공정α에서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한 스티치의 앞쪽을 가로지르는 상기 장식 편사로 구성되는 상기 하변을 형성하는 공정γ.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상기 좌변 스티치 및 상기 우변 스티치를 결합시킨 채,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코스수(knitting course數)를 늘리는 공정δ.
    상기 좌변 스티치 및 상기 우변 스티치를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와 포개서 고정하고, 상기 좌변 스티치로 구성되는 상기 좌변과 상기 우변 스티치로 구성되는 상기 우변을 형성하는 공정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α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복수의 상기 좌측 기점 스티치와 복수의 상기 우측 기점 스티치를 남기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공정ζ, η에 의하여, 상기 좌변의 상단(上端)과 상기 우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변(上邊)을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상기 공정ε을 한 후에, 상기 상변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로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부의 스티치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하고, 적어도 상기 상변의 좌단을 고정하기 위한 좌고정 스티치와 상기 상변의 우단을 고정하기 위한 우고정 스티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남기는 공정ζ.
    상기 장식 편사를 사용하여, 상기 좌고정 스티치와 상기 우고정 스티치에 턱(tuck)을 함과 아울러, 양(兩) 고정 스티치의 사이에서 미스(miss)를 하고, 양 고정 스티치의 사이에, 상기 공정ζ에서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한 스티치의 앞쪽을 가로지르는 상기 상변을 형성하는 공정η.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전방부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베이스 후방부로 분기시키는 공정δ1과,
    적어도 상기 베이스 전방부의 코스수를 늘이는 공정δ2와,
    상기 베이스 전방부와 상기 베이스 후방부를 편성에 의하여 연결하는 공정δ3
    을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튜브모양으로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가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공침이 없는 상태로부터 상기 장식 유닛을 편성할 때에,
    상기 공정α를 하기 전에, 트랜스퍼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공침을 형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77013146A 2014-10-17 2015-08-25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934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3029 2014-10-17
JPJP-P-2014-213029 2014-10-17
PCT/JP2015/073838 WO2016059879A1 (ja) 2014-10-17 2015-08-25 編地の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262A KR20170072262A (ko) 2017-06-26
KR101934257B1 true KR101934257B1 (ko) 2019-01-02

Family

ID=5574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146A KR101934257B1 (ko) 2014-10-17 2015-08-25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84196B2 (ko)
EP (1) EP3208373B1 (ko)
JP (1) JP6280991B2 (ko)
KR (1) KR101934257B1 (ko)
CN (1) CN106795667B (ko)
BR (1) BR112017007048A2 (ko)
TW (1) TWI671448B (ko)
WO (1) WO2016059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2778A (zh) * 2019-06-17 2019-08-27 鹤山精丰织造有限公司 一种形成有加厚结构的鞋面的生产工艺
US11186946B2 (en) * 2019-08-26 2021-11-30 Personal Habitat, LLC Reflective knit art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489A (ja) 2007-06-06 2008-12-18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6933B1 (en) * 2007-07-30 2015-05-13 Shima Seiki Mfg., Ltd Fabric knitting method and weft knitting machine
WO2009072617A1 (ja) * 2007-12-06 2009-06-11 Shima Seiki Mfg., Ltd. 振り柄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ATE503876T1 (de) * 2008-06-20 2011-04-15 Hugo Boss Trade Mark Man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ÜßLINGS
JP2012251262A (ja) * 2011-06-03 2012-12-20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2013019069A (ja) * 2011-07-09 2013-01-31 Tb Kawashima Co Ltd 自動車内装用織編布帛
JP5844578B2 (ja) * 2011-09-01 2016-01-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引き返し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2069225B1 (ko) * 2012-01-20 2020-01-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풋웨어 및 풋웨어의 제조방법
JP5865730B2 (ja) * 2012-02-28 2016-02-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フリンジ付編地の編成方法
JP5984455B2 (ja) * 2012-03-30 2016-09-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5995535B2 (ja) * 2012-06-01 2016-09-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BR112015004289A2 (pt) * 2012-09-25 2017-07-04 Shima Seiki Mfg calçado e método para tecelagem de malha de calçado
JP5955197B2 (ja) * 2012-10-31 2016-07-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BR112015019680A2 (pt) * 2013-02-25 2017-07-18 Shima Seiki Mfg método para tricotar gáspea de sapato
TWI596249B (zh) * 2013-04-04 2017-08-21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鞋襪類之編織方法
BR112015030561A2 (pt) * 2013-06-17 2017-07-25 Shima Seiki Mfg gáspea e método para produzir uma gáspea
EP3011855B1 (en) * 2013-06-21 2018-09-19 Shima Seiki Mfg., Ltd Shoe upper production method and shoe upper
JP2015074836A (ja) * 2013-10-04 2015-04-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489A (ja) 2007-06-06 2008-12-18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9879A1 (ja) 2016-04-21
TW201623716A (zh) 2016-07-01
KR20170072262A (ko) 2017-06-26
US10184196B2 (en) 2019-01-22
CN106795667B (zh) 2018-09-04
US20170283996A1 (en) 2017-10-05
JPWO2016059879A1 (ja) 2017-04-27
EP3208373B1 (en) 2019-04-24
EP3208373A4 (en) 2018-04-04
JP6280991B2 (ja) 2018-02-14
CN106795667A (zh) 2017-05-31
BR112017007048A2 (pt) 2017-12-12
TWI671448B (zh) 2019-09-11
EP3208373A1 (en)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6014B2 (ja)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6053925B2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およびシューズアッパーの製造方法
JP5306997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CN105074070A (zh) 脚穿戴用品的编织方法
CN103882613B (zh) 针织纱的防脱散方法
KR101329124B1 (ko) 되돌림 편성방법 및 편성포
CN102534972B (zh) 多层结构的针织物的编织方法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JP5479048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93425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934263B1 (ko) 슈즈 어퍼의 편성방법 및 슈즈 어퍼
JP2012202006A (ja) 仕切りを有する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WO2007020829A1 (ja) パイピング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5695962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KR1019858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6518549B2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の編成方法、およびシューズアッパー
JP6139140B2 (ja) 編地の編成方法
JP2017020131A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CN104746227A (zh) 编织物的编织方法以及编织物的制造方法
JP2007016340A (ja) 編地および編地の編成方法
JP2016079509A (ja) 突起部を備えた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