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171B1 -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및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및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171B1
KR101931171B1 KR1020167036851A KR20167036851A KR101931171B1 KR 101931171 B1 KR101931171 B1 KR 101931171B1 KR 1020167036851 A KR1020167036851 A KR 1020167036851A KR 20167036851 A KR20167036851 A KR 20167036851A KR 101931171 B1 KR101931171 B1 KR 10193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oil
pressure chamber
oil supply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103A (ko
Inventor
히로유키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탄 밸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01L1/245Hydraulic tapp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01L1/245Hydraulic tappets
    • F01L1/255Hydraulic tappets between cam and rocke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01L1/2405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by means of a hydraulic adjusting device located between the cylinder head and rocke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3/00Manufacturing of components used in valv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부품수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고압실에 에어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보디(13) 내에 플런저(1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플런저(14)에 리저버(24)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머리부(19)에 안팎을 연통시키는 연통구멍(25)을 형성하고, 보디(13) 내에 플런저 바닥부(20)와의 사이에 고압실(28)을 형성하고, 플런저 둘레벽부(21)에 오일 공급 구멍(40)을 형성하고, 보디(13)와 플런저(14) 사이에 리턴 스프링(41)을 개재하고, 플런저 바닥부(20)에 밸브 기구(42)를 설치하고, 리저버(24)를 공간이 연속적으로 계속되도록 설정하고, 오일 공급 구멍(14)을 플런저(14)의 축선(O)보다도 그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시킨다.

Description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및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HYDRAULIC LASH ADJUSTER AND METHOD FOR USING HYDRAULIC LASH ADJUSTER}
본 발명은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및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내연 기관에서는, 엔진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 구동되는 캠 샤프트와, 이 캠 샤프트에 고정된 캠과, 이 캠과 흡기 밸브(또는 배기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 시스템 사이에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커 암이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있어서는, 캠 샤프트로부터의 구동력이 캠 및 로커 암을 통하여 밸브 시스템에 전달되어, 밸브 시스템이 변위 운동되게 되어 있고, 이 밸브 시스템의 변위 운동에 의해, 흡기 밸브(또는 배기 밸브)는 개폐된다. 이때,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는, 그 구동(신축 동작)에 의해, 캠과 로커 암과의 밸브 클리어런스를 자동 조정한다.
이러한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는, 일반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보디 내에 중공의 플런저를, 그 머리부가 이 보디의 개구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게 하고, 그 플런저에, 그 내부를 이용하여 오일을 저류하는 저압실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머리부에서 저압실 안팎을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형성하고, 보디 내에 그 보디의 바닥부와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서 오일이 충전되는 고압실을 형성하고, 보디 및 플런저의 각 둘레벽부에, 저압실 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를 구성하기 위한 오일 공급 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보디의 바닥부와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 탄성 가압 수단을 개재하고, 플런저의 바닥부에, 탄성 가압 수단의 복귀력에 의해 플런저가 신장 운동할 때, 밸브 개방하여 저압실로부터 고압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는 밸브 기구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내연 기관에 있어서의 다이나믹 밸브 기구에 사용하면, 플런저의 머리부에 로커 암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로커 암으로부터의 입력 하중을 고압실의 유압으로 받아내어 플런저가 단축 운동할 때에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밸브 클리어런스가 발생할 때에는, 플런저가 밸브 클리어런스를 없애는 방향(신장 방향)으로 신장 운동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에 대해서는, 엔진 운전시에, 오일 팬으로부터 오일 펌프에 의해 퍼내진 오일이, 유로 및 저압실을 경유하여 고압실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오일에는, 도중에, 에어가 기포로서 혼입되는 경우가 있고, 그 에어가 고압실에 고이면, 플런저가 단축 운동할 때, 그 에어가 압축되어 그 플런저의 단축 운동이 용이하게 되어, 플런저에 감쇠력을 부여하는 기본 기능이 저해된다.
이러한 사정으로, 최근,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로서, 오일 중의 에어로 이루어지는 기포가 고압실측에 흘러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허문헌 2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 내에 통 형상의 안내통을 새롭게 설치하여, 오일 공급로로부터 플런저 내에 유입하는 오일을, 안내통의 외주면과 플런저의 내주면 사이의 환상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플런저의 머리부로 인도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내통으로서 기단측 외경보다도 선단측 외경이 짧게 된 것을 준비하고, 그 안내통의 선단측을 플런저의 머리부측을 향하게 하면서, 그 기단측 외주면을 플런저 내주면에, 오일 공급로보다도 플런저의 바닥부측에서 끼워맞추어 유지하고, 오일 공급로보다도 플런저의 머리부측에서, 플런저의 내주면과 안내통의 외주면 사이에 환상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 운전시에는, 오일 공급로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은, 우선, 환상 공간 내를 플런저의 머리부측을 향하여 안내되고, 그 플런저의 머리부 내에서, 그 오일로부터 에어가 점차로 분리된다(기포의 조대화). 그리고, 오일 자체가 밸브 기구의 밸브 개방에 따라, 안내통 내를 거쳐 고압실측으로 흘러드는 한편, 분리된 에어는, 잉여 오일과 함께, 플런저 머리부의 연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결과, 플런저 내에, 에어가 기포로서 포함되는 오일이 공급되어도, 그 오일 중의 에어가 고압실 내로 흘러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개 2013-189926호 공보 일본 특허 4159605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에서는, 고압실에 에어가 흘러드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플런저 내에 안내통을 새롭게 설치하고, 그 안내통 외주면과 플런저 내주면 사이에, 오일의 안내통로로서 환상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어, 래시 어저스터에 있어서의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제1 목적은, 부품수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고압실에 에어가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2 목적은 상기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보디 내에 중공의 플런저가 그 머리부를 이 보디의 개구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플런저에는, 그 내부를 이용하여 오일을 저류하는 저압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머리부에서 이 저압실 안팎을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 내에 이 보디의 바닥부와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서 오일이 충전되는 고압실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둘레벽부에 상기 저압실 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를 구성하기 위한 오일 공급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의 바닥부와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 탄성 가압 수단이 개재되고,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에, 상기 탄성 가압 수단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신장 운동할 때, 밸브 개방하여 상기 저압실로부터 상기 고압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는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에 있어서,
상기 저압실이, 상기 플런저의 축선 방향 전체에 걸치고, 이 플런저의 축선으로부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의 직경 방향 전체에 있어서, 공간이 연속적으로 계속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이 플런저의 축선보다도 이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청구항 1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2∼4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서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보디 내에 중공의 플런저가 그 머리부를 이 보디의 개구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플런저에는, 그 내부를 이용하여 오일을 저류하는 저압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머리부에서 이 저압실 안팎을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 내에 이 보디의 바닥부와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서 오일이 충전되는 고압실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둘레벽부에, 상기 저압실 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를 구성하기 위한 오일 공급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의 바닥부와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 탄성 가압 수단이 개재되고,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에, 상기 탄성 가압 수단의 복귀력에 기인하여 상기 플런저가 신장 운동할 때, 밸브 개방하여 상기 저압실로부터 상기 고압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는 밸브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저압실이, 상기 플런저의 축선 방향 전체에 걸치고, 이 플런저의 축선으로부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의 직경 방향 전체에 있어서, 공간이 연속적으로 계속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이 플런저의 축선보다도 이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되어 있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사용하고,
상기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상기 저압실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이 저압실에서 오일의 선회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청구항 5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6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저압실이, 플런저의 축선 방향 전체에 걸치고, 플런저의 축선으로부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의 직경 방향 전체에 있어서, 공간이 연속적으로 계속되도록 설정되고,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의 축선보다도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되어 있으므로,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플런저 내로의 오일의 공급에 따라, 저압실에 오일의 선회류(스월)가 생성되게 되어, 그 오일 중에 에어가 기포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그 선회류에 의해, 그 기포는 오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류의 직경 방향 중앙 영역을 향하여 이동된다(원심 분리 효과를 이용한 기액 분리). 이것에 의해, 기포끼리가 충돌(일체화)함과 아울러, 오일 선회류의 직경 방향 중앙 영역을 향함에 따라 압력 강하하는 것에 기인하여 기포의 체적 팽창이 진행하게 되고(기포의 조대화 촉진), 오일의 선회류의 직경 방향 중앙 영역에서는, 그 조대화한 기포가 집합하고, 그것들은 더욱 일체화함으로써 보다 조대화된다. 이 때문에, 오일 선회류의 직경 방향 중앙 영역에서는, 오일 중의 기포(조대화한 기포)가 큰 부력을 보유하게 되고, 그 큰 부력에 의해, 기포가 적극적으로 플런저의 머리부 내로 인도된다. 그리고, 그러한 기포가 플런저의 머리부 내로 인도되면, 그 기포 주위의 오일 압력(정압)의 저하에 기인하여, 그 기포의 부력이 더욱 증대(기포의 더한층의 조대화)하게 되어, 플런저의 머리부로부터 바닥부측으로 기포가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는 한편, 플런저 머리부 내의 기포는 잉여 오일과 함께 차례로, 연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결과, 당해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에서는, 플런저 내에 안내통을 특별히 설치하지 않아도, 고압실에 에어가 유입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되어, 부품수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고압실에 에어가 유입하는 것을 간단히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의 머리부측보다도 이 플런저의 바닥부측에 접근시켜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저압실에서의 오일 중의 기포가 고압실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한다고 해도, 오일 선회류에 의한 원심 분리 효과에 의해 그 기포의 조대화를 즉시 도모하고, 그 조대화한 기포를 그 부력에 의해 플런저의 머리부측으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포가, 저압실 중, 고압실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한다고 해도, 그 기포를 플런저 머리부측으로 즉시 이동시킴으로써, 그 기포가 고압실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플런저의 축선 방향 길이 및 그 플런저 내 공간(저압실)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플런저의 머리부에 걸친 거리를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고, 그 긴 거리하에서, 오일 중에서의 기포끼리의 일체화와 기포의 체적 증가를 촉진하여, 플런저 머리부측에서의 오일 중의 기포의 조대화(부력의 증대화)를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포를 일단, 플런저 머리부측에 이르게 하면, 그 기포가 고압실을 향하는 것을 곤란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의 둘레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각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의 축선보다도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동일한 경사 방면으로 지향되어 있으므로, 저압실에 있어서, 각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류는 플런저의 내주면을 따르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는 선회류를 각각 생성하게 되어, 저압실에서의 오일 선회류의 생성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술의 청구항 1의 작용효과를 적확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에 있어서의 둘레벽부의 두께 방향 내방을 향함에 따라 플런저의 머리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지향되어 있으므로,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플런저 내에 공급되는 오일은 고압실측을 향해서가 아니고, 그 고압실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플런저의 머리부측을 향하여 공급되게 되어, 저압실의 선회류는 선회하면서 플런저 머리부측을 향하여 흐르는 나선류가 된다. 이것에 의해, 기포를, 저압실 중, 주로 오일 공급 구멍보다도 플런저의 머리부측에서 존재시키고, 그곳에서, 전술의 원심 분리 효과에 의한 기포의 조대화 촉진이 도모되게 되어, 플런저의 바닥부측에 기포가 존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압실에의 에어의 유입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저압실이 플런저의 축선 방향 전체에 걸치고, 이 플런저의 축선으로부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의 직경 방향 전체에 있어서, 공간이 연속적으로 계속되도록 설정되고,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의 축선보다도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되어 있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사용하고,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저압실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저압실에서 오일의 선회류를 생성하므로, 당해 방법은 청구항 1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이용하여 사용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청구항 1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의 머리부측보다도 플런저의 바닥부측에 접근시켜진 위치에 배치된 것을 사용하고, 저압실에, 플런저의 머리부측보다도 플런저의 바닥부측에 접근시켜진 위치에서, 오일의 선회류를 생성하므로, 당해 방법은 청구항 2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이용하여 사용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청구항 2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의 둘레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각 오일 공급 구멍의 지향 방향이, 플런저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동일한 방면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사용하여, 각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류를 플런저의 내주면을 따르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므로, 당해 방법은 청구항 3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이용하여 사용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청구항 3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플런저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이 플런저에서의 둘레벽부의 두께 방향 내방을 향함에 따라 이 플런저의 머리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지향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 저압실에서의 오일의 선회류를 플런저의 머리부측을 향한 나선류로 하므로, 당해 방법은 청구항 4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이용하여 사용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청구항 4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가 포함된 다이나믹 밸브 (動瓣)기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X3-X3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런저 내에서의 원심 분리에 의한 기액 분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종래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구조 및 그 내부에 오일이 공급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오일의 흐름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런저에 있어서의 각 오일 공급 구멍의 지향 방향을 설명하는 횡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내연 기관의 다이나믹 밸브 기구를 나타낸다. 이 다이나믹 밸브 기구(1)는 연소실에 이어지는 흡기 포트 또는 배기 포트를 개폐하는 기구로서, 흡기 포트 또는 배기 포트를 개폐하는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이하, 밸브라고 함)(2)와, 회전구동되는 캠(3)과, 밸브(2)와 캠(3) 사이에 배치되어 캠(3)의 회전구동력을 밸브에 작용력으로서 전달하는 로커 암(4)과, 지지점으로서 로커 암(4)을 지지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2)는, 알려진 바와 같이, 밸브 시스템(6)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그 밸브 시스템(6)은 엔진의 실린더 헤드(7)에 형성된 흡기 포트(또는 배기 포트)(8)에 이어지는 관통구멍(9) 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통과되어 있다. 밸브 시스템(6)의 외주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10)이 헐겁게 끼워진 상태를 가지고 권회되어 있고, 그 압축 코일 스프링(10)은 실린더 헤드(7)와 밸브 시스템(6)의 상부에 고정된 리테이너(11)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밸브(2)를 흡기 포트(또는 배기 포트)(8)의 개구를 밸브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상기 캠(3)은 자동차용 엔진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구동되는 캠 샤프트(12)에 고정되어 있고, 캠(3)은 캠 샤프트(12)의 회전에 따라 회전구동된다.
상기 로커 암(4)은, 캠(3)의 회전구동에 의한 요동에 의해, 그 캠(3)의 회전구동력을 밸브 시스템(6)에 전달하게 되어 있고, 밸브 시스템(6)은, 그 로커 암(4)의 요동에 따라, 관통구멍(9)을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2)는, 밸브 시스템(6)의 슬라이딩에 따라, 흡기 포트(또는 배기 포트)(8)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5)는, 지지점으로서 로커 암(4)을 지지하기 위해,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보디(13) 내에 플런저(1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보디(13)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개구측을 상방을 향하게 하면서, 실린더 헤드(7)의 상부측에 형성된 원통 형상 오목부(15) 내에 수납되어 있다. 보디(13) 상부 외주측에는, 다른 부위보다도 외경이 작은 소직경부(13a)가 형성되고, 그 소직경부(13a)에는, 플런저(14)의 빠짐 방지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둥근 고리 형상의 리테이너 캡(16)이 장착되어 있다. 보디(13)의 바닥부(13b)에는, 그 내면측에서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17) 내주면과 보디(13)의 둘레벽부(13c) 내주면(바닥부(13b)보다도 개구측의 내주면) 사이에 둥근 고리 형상의 단차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14)에는 중공의 막대 형상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 플런저(14)는 그 축선 방향 일단부를 이루는 머리부(19)와, 그 축선 방향 타단부를 이루는 바닥부(20)와, 그 머리부(19)와 바닥부(20) 사이를 걸치는 둘레벽부(21)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고, 그 플런저(14)는, 그 바닥부(20)측을 보디(13)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춘 상태에서, 그 머리부(19)측을 보디(13)의 개구로부터 외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1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와 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를 구비하는 2분할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는, 플런저(14)의 바닥부측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디(13) 내에서는, 그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의 바닥부는, 플런저(14)의 바닥부(20)로서 보디(13)의 바닥부(13b)에 대향되고,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의 개구는 보디(13)의 개구측을 향해져 있다.
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는, 플런저(14) 중,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보다도 머리부측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는, 그 바닥부(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바닥부)가 플런저(14)의 머리부(19)로서 보디(13) 개구의 외방(상방)을 향해져 있는 한편, 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의 개구측 단면이, 보디(13) 내에서,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의 개구측 단면 위에 재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의 내부공간과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의 내부공간은, 협동하여, 오일을 저류하기 위한 저압실로서의 리저버(2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14)(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의 머리부(1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형성되고, 그 머리부(19)에는, 플런저(14) 안팎을 연통하는 연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런저(14)의 대략 반구 형상의 머리부(19)에 대응하고, 로커 암(4)에는, 그 플런저(14)와의 맞닿음면에서, 대략 반구 형상의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오목부(26) 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27)가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14)의 머리부(19)는 로커 암(4)의 지지점으로서 그 로커 암(4)의 오목부(26)를 받아내고 있다.
상기 플런저(14)의 바닥부(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디(13) 내에 고압실(28)을 구획하고 있다. 이 고압실(28)에는 오일(29)이 충전되어 있고, 로커 암(4)로부터의 입력 하중이 플런저 머리부(19)에 입력되었을 때에는, 그 입력 하중을 고압실(28)의 오일(29)이 받아내고, 그때, 그 고압실(28)의 오일(29)은, 플런저(14)(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에서의 둘레벽부(13c) 외주면과 보디(13)에서의 둘레벽부(21) 내주면 사이의 미세한 간극(30)으로 누설되어, 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와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의 분리면으로부터 리저버(24)(플런저(14) 내)로 되돌려진다. 이 경우, 간극(30)으로 누설된 오일을 플런저(14) 내로 되돌리기 쉽게 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와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 사이(분리면)에 오일 되돌림구(31)가 형성되고, 그 오일 되돌림구(31)는 간극(30)과 리저버(24) 내를 연통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14)의 둘레벽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14)의 머리부(19)에 연속하는 머리부측 둘레벽부(32)(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의 일부에 의해 구성)와, 그 머리부측 둘레벽부(32)보다도 플런저(14)의 바닥부측에서의 주둘레벽부(33)(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의 일부와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로 구성)를 가지고 있다. 머리부측 둘레벽부(32)의 외경은 주둘레벽부(33)의 외경보다도 직경 축소되어 있고, 머리부측 둘레벽부(32)의 외주면과 주둘레벽부(33)의 외주면 사이에는 단차부(34)가 형성되고, 그 단차부(34)는, 플런저(14)의 빠짐방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보디(13) 내에서 리테이너 캡(16)에 면해 있다. 또한 머리부측 둘레벽부(32)의 내경도, 그 외경에 대응하여, 주둘레벽부(33)의 내경보다도 직경 축소되어 있고, 리저버(24)의 내경은 주둘레벽부(33)측(플런저(14)의 바닥부측)에 비해 머리부측 둘레벽부(32)측(플런저(14)의 머리부(19)측)이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주둘레벽부(33)의 내경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머리부측 둘레벽부(32)에 가까운 부분의 내경인 제1 내경(D1)과, 머리부측 둘레벽부(32)에 대해 먼 부분의 내경인 제2 내경(D2)을 가지고 있고, 제1 내경(D1)이 제2 내경(D2)보다도 다소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보디(13) 및 상기 플런저(14)의 둘레벽부에는, 오일 팬(도시 생략)으로부터 오일 펌프에 의해 퍼내진 오일을 상기 리저버(24)에 공급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 공급로(35)가 형성되어 있다. 오일 공급로(3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디 둘레벽부(13c)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환상 홈(36, 37)과, 그 양쪽 환상 홈(36, 37) 사이를 걸치는 오일 공급 구멍(38)과, 플런저(14)에서의 둘레벽부(21) 외주면에 그 플런저(14)의 축선 방향 대략 중앙에서 형성되는 환상 홈(39)과, 그 환상 홈(39)과 리저버(24) 사이를 걸치는 오일 공급 구멍(40)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오일 공급로(35)는, 보디(13)에 대한 플런저(14)의 신축 운동 또는 상대회전이 있어도, 보디(13) 및 플런저(14)에서의 환상 홈(37, 39)끼리의 중첩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연통 상태가 보상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엔진 운전시에, 보디 둘레벽부(13c) 외주면의 환상 홈(36)에, 오일 팬(도시 생략)으로부터 오일 펌프에 의해 퍼내진 오일이 실린더 헤드(7)에서의 유로(도시 생략)를 거쳐 공급되면, 그 환상 홈(36)에 공급된 오일은 보디 둘레벽부(13c) 내부의 오일 공급 구멍(38)을 통하여 보디 둘레벽부(13c) 내주면의 환상 홈(37)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환상 홈(37)에 공급된 오일은, 또한, 플런저(14)에서의 둘레벽부(21) 외주면의 환상 홈(39)에 공급되고, 그 환상 홈(39)에 공급된 오일이 플런저(14)의 둘레벽부(21) 내부의 오일 공급 구멍(40)을 통하여 리저버(24)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 운전시에는, 리저버(24) 내는 오일(29)이 충전된 상태가 되고, 리저버(24)에의 오일의 공급에 의해 잉여가 된 오일은 플런저 머리부(19)의 연통구멍(25)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그 배출된 오일은 윤활유로서 로커 암(4) 등에 대해 윤활성을 주게 된다.
상기 오일 공급로(35)의 구성요소 중, 상기 플런저(14)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4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14)의 축선(O)보다도 플런저(14)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되어 있고(도 3 중, 1점 쇄선 참조), 오일 공급 구멍(40)으로부터 리저버(24)에 오일이 공급된 경우에는, 리저버(24)에서 오일의 선회류(S)(도 3 중, 실선 화살표 참조)가 생성되게 되어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오일 공급 구멍(40)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14)의 둘레벽부의 두께 방향(도 2 중, 좌우 방향) 내방을 향함에 따라 플런저(14)의 머리부(19)측으로 경사지도록 지향되어 있다(도 2 중, 1점 쇄선 참조). 이것에 의해, 플런저(14)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40)으로부터 리저버(24)에 오일이 공급된 경우에는, 오일은 플런저(14)의 둘레벽부의 두께 방향보다도 플런저(14)의 머리부(19)측(도 2 중, 상측)으로 분출되게 되고, 상술의 선회류(S)는 이 플런저 머리부(19)측으로의 오일의 분출과 더불어, 도 2 중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하면서 플런저 머리부(19)측을 향하여 흐르는 나선류가 된다.
상기 보디(13)의 바닥부(13b)와 상기 플런저(14)의 바닥부(20)(오목부(17) 바닥부)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가압 수단으로서의 리턴 스프링(41)이 개재되어 있다. 이 리턴 스프링(41)은 보디(13)에 대한 플런저(14)의 단축 운동에 따라 압축되게 되어 있고, 이 리턴 스프링(41)의 압축에 의해, 리턴 스프링(41)은 복귀력(탄성 반발력)를 보유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14)의 바닥부(20)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압실(28)측에서 밸브 기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 기구(42)는 플런저 바닥부(20)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리저버(24)로부터 고압실(28)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는 밸브 구멍(43)과, 고압실(28)에서 밸브 구멍(4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체크볼(44)과, 리턴 스프링(41)에 의해 플런저 바닥부(20)에 눌려지는 리테이너(45)와, 리테이너(45)와 체크볼(44) 사이에 개재되어 체크볼(44)을 밸브 구멍(43)의 주연부에 착좌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체크볼용 스프링(46)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밸브 기구(42)는 플런저(14)가 보디(13)에 대해 단축 운동할 때에는 밸브 구멍(43)이 체크볼(44)에 의해 밸브 폐쇄 상태로 되고, 플런저(14)가 보디(13)에 대해 신장 운동할 때에는, 체크볼(44)이 밸브 구멍(43) 주연부(밸브 시트)로부터 이간하여, 리저버(24)로부터 고압실(28)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나믹 밸브 기구(42)에서는, 엔진 시동 후, 엔진의 구동에 따라, 오일 펌프가 오일 팬의 오일을 유로(도시 생략), 오일 공급로(35)를 통하여 플런저(14)(유압식 래시 어저스터(5))의 리저버(24)에 공급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리저버(24) 내는 오일(29)로 충전되고, 잉여의 오일은 플런저 머리부(19)의 연통구멍(25), 로커 암(4)의 연통로(27)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엔진의 구동에 따라 캠(3)이 회전하고, 로커 암(4)이 그 작용점을 내리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밸브 시스템(6)을 밸브(2)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로커 암(4)이 압축 코일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젖혀지려고 하여, 그 로커 암(4)에 의해 플런저(14)는 하강하는 방향으로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고압실(28) 내의 오일 압력이 높아지고, 고압실(28) 내의 오일(29)은 강체가 되어, 래시 어저스터(24)가 로커 암(4)의 지지점이 된다. 이 때, 플런저(14)와 보디(13)의 간극(30)에 약간이지만 오일을 리크시키면서 플런저(14)는 조금씩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캠(3)이 더욱 회전함으로써 로커 암(4)이 밸브 시스템(6)을 밸브(2)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 더 변위시키면, 밸브(2)가 흡기 포트(또는 배기 포트)(8)를 개방하여, 흡기 통로(또는 배기 통로)가 흡기 포트(또는 배기 포트)(8)를 통하여 연통된다.
한편, 흡기 포트(또는 배기 포트)(8)가 개방된 후, 캠(3)이 더 회전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 시스템(6)이 밸브(2)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변위하면, 로커 암(4)이 그 작용점을 올리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흡기 포트(또는 배기 포트)(8)는 밸브(2)에 의해 폐색된다.
캠(3)이 더 회전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10)의 탄성력의 반력이 없어져, 로커 암(4)과 캠(3)에 간극이 생기고, 래시 어저스터(5) 내의 리턴 스프링(41)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14)가 간극분만큼 상방으로 신장 운동한다. 이때, 고압실(28)에 부압이 발생하고, 체크볼(44)이 체크볼용 스프링(46)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려지게 되어, 리저버(24)측의 오일이 고압실(28) 내로 들어가고, 리저버(24) 내의 압력과 고압실(28) 내의 압력이 밸런스를 이룬 상태에서 체크볼(44)이 밸브 구멍(43)을 폐색한다(스탠바이 상태).
이와 같이, 엔진의 구동에 따라 캠(3)이 회동하면, 로커 암(4)이 래시 어저스터(5)(플런저(14))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그 로커 암(4)의 요동에 따라 밸브 시스템(6)이 하강 또는 상승하므로, 밸브(2)에 의해 흡기 포트(또는 배기 포트)(8)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이 다이나믹 밸브 기구(1)에서의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5)에서는, 에어가 고압실(28)에 고이면, 플런저(14)가 단축 운동할 때에, 그 에어가 압축되어 플런저(14)에 감쇠력을 부여하는 기능이 손상되므로, 리저버(24)에 공급되는 오일 중에 함유되는 에어가 고압실(28)에 혼입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플런저(14)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40)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14)의 축선(O)보다도 플런저(14)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되어, 오일 공급 구멍(40)으로부터 리저버(24) 내로의 오일의 공급에 따라, 리저버(24) 내에 오일의 선회류(S)(스월: 도 3 중, 실선 화살표 참조)가 생성되게 되어 있으므로, 리저버(24)에 공급되는 오일 중에 에어가 기포로서 포함되어 있어도, 그 오일 선회류(S)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과 그 오일 중의 기포(B)는 기액 분리된다(기포(B)의 이동을 화살표로 나타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일 선회류(S)하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 중의 기포(B)는 선회류(S)의 직경 방향 중앙 영역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이동에 따라, 기포(B)끼리 충돌(일체화)함과 아울러, 그 각 기포(B)의 체적은 오일 선회류(자유 와류)(S)의 직경 방향 중앙 영역을 향함에 따라 압력 강하됨에 따라 증가하게 되고, 오일 선회류(S)의 직경 방향 중앙 영역에서는, 조대화된 기포가 집합하고, 그것들은, 충돌(일체화), 나아가 상승에 기인하는 체적 팽창에 의해, 더욱 조대화된다. 이와 같이, 오일 선회류(S)의 직경 방향 중앙 영역에 집합된 기포(B)는, 그 큰 부력에 의해, 안내통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고압실(28)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는 플런저 머리부(19)를 향하여 오일 속을 상승하게 되고, 그 상승 속도는 상승에 수반되는 기포의 체적 팽창에 의해 가속된다.
기포(B)가 플런저 머리부(19)에 이르면, 그 기포(B)는 그 큰 부력에 의해, 플런저 머리부(19)로부터 플런저 바닥부(20)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고, 그 플런저 머리부(19)에서의 기포(B)는 리저버(24)로의 오일 공급에 따라 생기는 잉여 오일과 함께 차례로, 플런저 머리부(19)의 연통구멍(25)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리저버(24)에 공급되는 오일을, 원심 분리 효과를 이용한 기포(B)의 조대화 촉진에 의해, 고압실(24)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는 플런저 머리부(19)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기포(B)가 플런저 머리부(19)에 이르면, 그 기포(B)의 큰 부력에 의해 그 기포(B)가 플런저 머리부(19)로부터 바닥부(20)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하는 종래와 같이, 플런저(14') 내에 안내통(G)을 설치하고, 오일 공급 구멍(40')으로부터 플런저(14') 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상황에 있어서, 그 안내통(G)의 외주면(Go)과 플런저(14')의 내주면 사이의 환상 공간(CS)에 의해 오일(29')을 플런저(14')의 머리부(19')측을 향하여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안내통(G)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종래 구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와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에 「'」을 부가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14)의 오일 공급 구멍(40)이 플런저(14)의 두께 방향 내방을 향함에 따라 플런저(14)의 머리부(19)측으로 경사지도록 지향되어, 엔진 운전시에, 오일 공급로(35)로부터 플런저(14) 내에 공급되는 오일이, 고압실(28)측을 향해서가 아니고, 그 고압실(28)로부터 멀리 벗어나는 플런저 머리부(19)측을 향하여 분출되므로(도 2 중, 오일 공급 구멍(40)으로부터의 화살표 참조), 전술의 오일 선회류(S)는 이 플런저(14)의 머리부(19)측을 향하여 오일이 분류되는 것과 더불어, 선회하면서 플런저 머리부(19)측을 향하여 흐르는 나선류(부호 S를 사용함)가 된다(도 2 중, 실선 화살표 참조). 이 때문에, 플런저(14) 내에 공급된 오일을 그 오일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에어)와 함께, 고압실(28)로부터 멀리 벗어나는 플런저(14)의 머리부(19)측을 향하여 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의해, 오일 공급 구멍(40)으로부터 리저버(24)에 공급되는 오일 중의 기포(B)를 리저버(24) 중, 주로 오일 공급 구멍(40)보다도 플런저의 머리부(19)측에서 존재시키고, 그곳에서, 전술의 원심 분리 효과에 의한 기포(B)의 조대화 촉진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플런저 바닥부(20)측에 기포(B)가 존재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고압실(28)에의 에어의 유입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이 경우, 플런저(14)에서의 머리부(19)측의 내경이 플런저(14)에서의 바닥부(20)측의 내경보다도 직경 축소되어, 오일의 선회류(S)가 플런저(19)의 바닥부(20)측보다도 머리부(19)측에서 증속되므로, 그 플런저 머리부(19)측에서, 원심 분리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상기 효과(플런저 머리부(19)의 연통구멍(25)으로부터의 에어의 배출을 높여, 고압실(28)에의 에어의 유입 억제를 높이는 것)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 도 7, 도 8은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각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14)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40)의 배치 위치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경우보다도 플런저(14)의 바닥부(20)측에 접근시켜지고, 플런저 머리부(19)의 연통구멍(25)과 오일 공급 구멍(40) 사이의 거리가, 제1 실시형태의 경우에서는 L1이었던 것에 대해, 그 L1보다도 긴 L2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저버(24)에서의 오일 중의 기포가 고압실(28)에 가까운 위치(오일 공급 구멍(40) 위치 부근)에 존재했다고 해도, 오일 선회류(S)에 의한 원심 분리 효과에 의해 그 기포(B)의 조대화를 즉시 도모하고, 그 조대화된 기포(B)를 신속하게 플런저의 머리부(19)측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 플런저(14)의 축선 방향 길이 및 그 플런저(14) 내 공간(리저버(24))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플런저(14)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40)으로부터 플런저 머리부(19)에 걸친 거리를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고, 그 긴 거리하에서, 오일 중의 기포(B)끼리의 일체화와 기포의 체적 증가를 촉진하여, 플런저 머리부(19)측에서의 오일 중의 기포(B)의 조대화(부력의 증대화)를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포(B)가 플런저 머리부(19)측으로 일단 이동하면, 그 플런저 머리부(19)측에서의 기포(B)가 플런저 바닥부(20)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2 실시형태에서도, 고압실(28)에의 에어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7, 도 8에 도시하는 제3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14)에서의 오일 공급 구멍(40)이 복수 설치되고, 그 복수의 오일 공급 구멍(40)이 플런저(14)의 둘레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각 오일 공급 구멍(40)은 플런저(14)의 축선(O)에 대한 지향 방향보다도 플런저(14)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동일한 경사 방면(도 8에서, 오일 공급 구멍(40)과 축선(O)을 연결하는 1점 쇄선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진 상태)으로 지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오일 공급 구멍(4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류를 플런저(14)의 내주면을 따르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흐르게 할 수 있어, 리저버(24)에서의 오일 선회류(S)의 생성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술의 원심 분리 효과에 의한 기포(B)의 조대화 촉진을 적확하게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태양을 포함한다.
(1) 플런저(14)로서 머리부측 플런저 구성부(23)와 바닥부측 플런저 구성부(22)를 일체화한 일체화물을 사용하는 것.
(2) 오일 공급 구멍(40)의 지향 방향을 플런저(14)의 축선(O)보다도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면서, 플런저(14)의 축선(O)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
(3) 플런저(14)의 내경을 머리부(19)측보다도 바닥부(20)측을 소직경으로 하여, 그 플런저 바닥부(20)측에서의 선회류(S)의 증속을 도모하는 것.
(4) 플런저 머리부(19)에서의 연통구멍(25)으로부터 외부로의 오일의 배출에 있어서, 로커 암(4)(오목부(26) 내면)과 플런저 머리부(19)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이용하는 것. 이것에 따라, 로커 암(4)에 연통로(27)(도 1, 도 2 참조)를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5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13 보디
13b 보디 바닥부
13c 보디 둘레벽부
14 플런저
19 플런저 머리부
20 플런저 바닥부
21 플런저 둘레벽부
24 리저버(저압실)
25 연통구멍
28 고압실
40 오일 공급 구멍
41 리턴 스프링(탄성 가압 수단)
42 밸브 기구
O 축선
S 선회류

Claims (8)

  1.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보디 내에 중공의 플런저가 그 머리부를 이 보디의 개구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플런저에는, 그 내부를 이용하여 오일을 저류하는 저압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머리부에서 이 저압실 안팎을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 내에 이 보디의 바닥부와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서 오일이 충전되는 고압실이 상기 보디의 상기 저압실보다 바닥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둘레벽부에, 외부로부터 상기 저압실 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를 구성하기 위한 오일 공급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의 바닥부와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 리턴 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에, 상기 리턴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신장 운동할 때, 밸브 개방하여 상기 저압실로부터 상기 고압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는 밸브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에 있어서,
    상기 저압실이, 상기 플런저의 축선 방향 전체에 걸치고, 이 플런저의 축선으로부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의 직경 방향 전체에서, 공간이 연속적으로 계속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플런저에서의 외부로부터의 오일 공급 구멍은, 이 플런저의 축선 방향에서, 이 플런저의 바닥부 내면과 이 오일 공급 구멍 사이의 거리가 이 플런저 내에서의 저압실의 중앙 위치와 이 오일 공급 구멍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에서의 외부로부터의 오일 공급 구멍이, 이 플런저의 축선보다도 이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플런저에서의 둘레벽부의 두께 방향 내방을 향함에 따라 이 플런저의 머리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서의 내경이 이 플런저의 바닥부측으로부터 이 플런저의 머리부측을 향하여 직경 축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서의 외부로부터의 오일 공급 구멍이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오일 공급 구멍이 상기 플런저의 둘레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각 오일 공급 구멍이 상기 플런저의 축선보다도 이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동일한 경사 방면으로 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머리부가 로커 암의 오목부를 받아내는 것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연통구멍이 상기 로커 암의 오목부 내에 수납되는 상기 플런저의 머리부의 외면과 상기 저압실 내를 연통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연통구멍이, 상기 플런저의 돌출 부분에 형성되는 오일 배출 구멍으로서, 유일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5.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보디 내에 중공의 플런저가 그 머리부를 이 보디의 개구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플런저에는, 그 내부를 이용하여 오일을 저류하는 저압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머리부에서 이 저압실 안팎을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 내에 이 보디의 바닥부와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서 오일이 충전되는 고압실이 상기 보디의 상기 저압실보다 바닥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둘레벽부에, 외부로부터 상기 저압실 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를 구성하기 위한 오일 공급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디의 바닥부와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 사이에 리턴 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플런저의 바닥부에, 상기 리턴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신장 운동할 때, 밸브 개방하여 상기 저압실로부터 상기 고압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하는 밸브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저압실이, 상기 플런저의 축선 방향 전체에 걸치고, 이 플런저의 축선으로부터 내주면에 이르기까지의 직경 방향 전체에서, 공간이 연속적으로 계속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플런저에서의 외부로부터의 오일 공급 구멍은, 이 플런저의 축선 방향에서, 이 플런저의 바닥부 내면과 이 오일 공급 구멍 사이의 거리가 이 플런저 내에서의 저압실의 중앙 위치와 이 오일 공급 구멍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에서의 외부로부터의 오일 공급 구멍이, 이 플런저의 축선보다도 이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지향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플런저에서의 둘레벽부의 두께 방향 내방을 향함에 따라 이 플런저의 머리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지향되어 있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를 사용하고,
    상기 플런저에서의 외부로부터의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상기 저압실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이 저압실에서 오일의 선회류를 생성하고, 이 저압실에서의 오일의 선회류를 상기 플런저의 머리부측을 향한 나선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로서, 이 플런저의 내경이 이 플런저의 바닥부측으로부터 이 플런저의 머리부측을 향하여 직경 축소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서의 외부로부터의 오일 공급 구멍이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오일 공급 구멍이 상기 플런저의 둘레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각 오일 공급 구멍의 지향 방향이, 상기 플런저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이 플런저의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 동일한 방면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각 오일 공급 구멍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류를 상기 플런저의 내주면을 따르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머리부가 로커 암의 오목부를 받아내는 것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연통구멍이 상기 로커 암의 오목부 내에 수납되는 상기 플런저의 머리부의 외면과 상기 저압실 안팎을 연통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연통구멍이, 상기 플런저의 돌출 부분에 형성되는 오일 배출공으로서, 유일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KR1020167036851A 2014-09-17 2014-09-17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및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KR101931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4523 WO2016042615A1 (ja) 2014-09-17 2014-09-17 油圧式ラッシュアジャスタ及び油圧式ラッシュアジャスタ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103A KR20170031103A (ko) 2017-03-20
KR101931171B1 true KR101931171B1 (ko) 2018-12-21

Family

ID=5553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851A KR101931171B1 (ko) 2014-09-17 2014-09-17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및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2203B2 (ko)
EP (1) EP3196432B1 (ko)
JP (1) JP6402183B2 (ko)
KR (1) KR101931171B1 (ko)
CN (1) CN107484421B (ko)
WO (1) WO2016042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4326A (zh) * 2019-03-27 2019-06-07 大连理工大学 一种高效移动式制动支点
CN109779716B (zh) * 2019-03-27 2021-01-05 大连理工大学 一种紧凑型移动式驱动支点
CN109779717B (zh) * 2019-03-27 2021-01-05 大连理工大学 一种紧凑型固定式驱动支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7964B2 (ja) * 1991-08-09 1999-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式位置調整装置
JP2009047127A (ja) * 2007-08-22 2009-03-05 Otics Corp ラッシュアジャス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9006A (ja) * 1982-12-25 1984-07-10 Fuji Valve Kk 内燃機関の油圧式弁間隙調整装置
JPH0350306A (ja) * 1989-07-18 1991-03-04 Nittan Valve Kk 動弁機構における油圧式ラッシュアジャスタ
FR2678321B1 (fr) * 1991-06-25 1995-01-13 Renault Culasse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19614668A1 (de) 1996-04-13 1997-10-16 Schaeffler Waelzlager Kg Hydraulisches Abstützelement für eine Ventil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629313B4 (de) * 1996-07-20 2005-01-13 Ina-Schaeffler Kg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US5901676A (en) * 1997-08-28 1999-05-11 Eaton Corporation Hydraulic lash compensator
KR19990030492U (ko) 1997-12-30 1999-07-26 양재신 차량의 실린더헤드에 있는 밸브태핏의 오일 공급구조
DE10156646A1 (de) * 2001-11-17 2003-05-28 Volkswagen Ag Ventiltrieb für Brennkraftmaschinen
JP2008025394A (ja) * 2006-07-19 2008-02-0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ラッシュアジャスタ
JP4825631B2 (ja) * 2006-09-19 2011-11-30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カムハウジング
DE102011005575A1 (de) * 2011-03-15 2012-09-2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ntiltrieb mit Zusatzhub im Nockengrundkreis
DE102011079748A1 (de) * 2011-07-25 2013-01-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ntil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2013189926A (ja) 2012-03-14 2013-09-26 Otics Corp ラッシュアジャスタ
JP2014009644A (ja) * 2012-06-29 2014-01-20 Toyota Motor Corp ラッシュアジャス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7964B2 (ja) * 1991-08-09 1999-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式位置調整装置
JP2009047127A (ja) * 2007-08-22 2009-03-05 Otics Corp ラッシュアジャ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52203B2 (en) 2019-07-16
CN107484421B (zh) 2019-11-05
EP3196432B1 (en) 2019-12-11
EP3196432A4 (en) 2018-10-03
KR20170031103A (ko) 2017-03-20
WO2016042615A1 (ja) 2016-03-24
JPWO2016042615A1 (ja) 2017-06-29
JP6402183B2 (ja) 2018-10-10
US20170218796A1 (en) 2017-08-03
EP3196432A1 (en) 2017-07-26
CN107484421A (zh)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4764B1 (ja) 油圧式ラッシュアジャスタ
KR101931171B1 (ko)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 및 유압식 래시 어저스터의 사용 방법
CN107201943B (zh) 可变压缩比装置
US9879793B2 (en) Control valve for a camshaft adjuster
JP2013241835A (ja) 高圧燃料ポンプのリリーフ弁
EP2557307A1 (en) Pump head for a fuel pump
JP5071401B2 (ja) 燃料供給装置
KR102358172B1 (ko) 태핏
JP4005934B2 (ja) 内燃機関用油圧ラッシュアジャスタ
JP2005188379A (ja) 逆止弁及びその逆止弁を備える燃料噴射ポンプ
JP2010065603A (ja) 燃料ポンプの潤滑オイル供給構造
JP2007023948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ポンプ
JP4098738B2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ポンプ
JP2014070559A (ja) ラッシュアジャスタ
JP2008215340A (ja) サプライポンプ
JP2017219018A (ja) 内燃機関の動弁機構
JP6184241B2 (ja) ハイドロリックラッシュアジャスタ
CN109386334A (zh) 液压间隙调节器
CN111120028A (zh) 用于气门机构的液压间隙调节器
CN116696629A (zh) 燃料喷射泵
JP2007023949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ポンプの吸入兼溢流孔の加工方法
JP2004232596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リフタ
JP2008101488A (ja) 燃料噴射ポンプ
JP2018527515A (ja) 燃料ポンプアセンブリ
JP2007023947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