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645B1 - 복수 구역으로 이루어진 단일 직조 직물 구성물 - Google Patents

복수 구역으로 이루어진 단일 직조 직물 구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645B1
KR101929645B1 KR1020167034397A KR20167034397A KR101929645B1 KR 101929645 B1 KR101929645 B1 KR 101929645B1 KR 1020167034397 A KR1020167034397 A KR 1020167034397A KR 20167034397 A KR20167034397 A KR 20167034397A KR 101929645 B1 KR101929645 B1 KR 10192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fabric
transition
type
z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304A (ko
Inventor
디힌 위닝
앤드류 이프
알리에 페티
썬샤인 유이
Original Assignee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D03D15/12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2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73Tensile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직물 구성물이 직조된 위사 및 경사 실로 이루어지고, 직물은 제1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선택적으로, 제2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및 제3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역에 의해서 형성된 지역을 갖는다. 제3 구역은 제1 구역 및/또는 제2 구역에 인접하여 배치된 전이 구역이다. 모든 구역은, 이음매 없이 함께 결합된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 구성물로서 형성된다. 전이 구역은, 제1 구역 유형으로부터 적어도 전이 구역을 통해서 그리고, 존재하는 경우에, 제2 구역 유형까지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위사 및/또는 경사 실의 세트의 복수의 밴드를 포함한다. 직물 구성물이 다양한 최종 제품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고 의복 적용예에서의 이용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복수 구역으로 이루어진 단일 직조 직물 구성물{UNITARY WOVEN FABRIC CONSTRUCT OF MULTIPLE ZONES}
본원은 2014년 5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991,293호의 이익 향유 및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러한 가특허출원의 기재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서 본원에서 전체가 인용되는 것과 같이, 참조에 의해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최종 제품에서 이용되나 의복 적용예에서 이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직물의 직조된 구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상이한 구역들이 이음매 없이(seamlessly) 결합되는 단일 직조 직물 구성물로 형성되는 복수의 기능적 및/또는 시각적 효과의 구역들을 가지는 직물 구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또한 직물 구성물 및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상이한 지역들 내에서 상이한 기능적 속성들을 가지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예를 들어, 직물-기반의 제품에서, 특별한 내구성의 구역들; 환기 또는 통기성을 위한 비교적 높은 다공도; 사람이나 물품의 형상을 따르거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한 탄성; 방수성; 단열 또는 열 보유; 화재 지연, 등을 생성하도록 속성이 선택될 수 있다. 종종 이러한 여러 가지 기능적 속성이 직조 재료 및 프로세스의 선택에서 충돌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내구성의 목적이 통기성 또는 탄성을 희생시킬 수 있다.
불리하게, 구체적인 속성들의 복수의 구역들을 가지는, 의복 품목(apparel item) 또는 다른 최종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통상적인 접근 방식은, 구체적인 구역들에 따른 제품의 패널화(panelization)를 필요로 한다. 각각의 패널은, 전체 제품을 생성하기 위해서 다른 패널에 이어져야 하는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이는, 비용, 시간, 제품 신뢰성, 및 기타와 관련하여 상당한 단점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패널이 상이한 직조 기계 상에서 또는 동일한 기계 상의 상이한 일괄처리 작업(different batch operation)으로 작업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상이한 속성들의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 구성물의 이용을 교시하는 종래 기술의 일부 개선이 있었다. 예를 들어, 본원과 동일한 소유권 하에 있는 미국 특허 제8,333,221호는, 개시된 속성 유형들의 제한된 세트를 기초로 하는 복수의 기능적 구역을 가지는 단일 직조 직물의 특정 형태를 개시한다. 그러나, 그러한 통상적인 기술은 여전히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패널화된 직조 구성물 및 단일 직조 구성물 모두에서, 인접한 구역들은 구분적으로(discretely) 상이한 속성의 세트들을 가지고, 예를 들어,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다른 구역까지 급격한 전이 또는 전이의 특성에 대한 제한된 제어가 존재하며, '221 특허는 실들의 행들의 간격의 변동을 개시하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이의 맞춤화의 형태로서 제한적이고 유연하지 못하다. 또한, 그러한 제품의 시각적 외관이 미적으로 훌륭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는 구역들 사이의 급격한 전이 및 과도한 이음매의 이용 때문이다. 그에 따라, 일부 경우에, 통상적인 기술은, 상이한 구역들을 최종 제품 내의 상응하는 필요 지역들에 대해서 맵핑(mapping)하기 위한 양자택일적(all or nothing) 접근 방식을 취하며 - 이는, 주어진 구역이 속성의 하나의 세트의 전부 또는 다른 세트의 전부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전체적인 구역이 균일한 속성의 세트를 나타낸다. 다른 경우에, 어떻게 전이가 일어나는 방식에 대한 유연성이 없고, 제한된 간격-의존 효과만이 존재한다.
통상적인 직물 구성물은 단일 직조 직물에서 속성의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속성의 다른 구역까지 매끄러운 또는 점진적인 전이를 제공하는 해결 과제를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하였다. 간단히, 통상적인 직물 구성물 및 방법은 단일 직조 직물 내에서 광범위한 속성을 제공하는 해결과제를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하였다. 통상적인 직물 구성물 및 방법은 단일 직조 직물에서 속성의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속성의 다른 구역까지 매끄러운 또는 점진적인 전이를 제공하는 해결 과제를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전술한 그리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단점을 해결하는 새롭고 개선된 구성물 및 방법이 상당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일반적으로, 기능적 및/또는 시각적 효과 속성에 대한 희망하는 차이를 제공하는 상이한 지역들을 가지는, 의복, 또는 다른 최종 제품의 가공 품목(engineered item)에서 이용될 수 있는 특정의 신규한 단일 직조 직물 구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위사 및 경사 실(weft and warp yarn)의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 구성물에 관한 것이다. 직물은 제1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및 제2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역에 의해서 형성된 지역을 갖는다. 제2 구역은 제1 구역에 인접하여 또는 밀접하게 근접하여 배치되는 전이 구역이다. 모든 구역들은 이음매 없이 함께 결합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 구성물로서 형성된다. 전이 구역은, 전이 구역을 통해서 제1 구역 유형으로부터의 선택된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위사 및/또는 경사 실의 세트의 복수의 밴드를 포함한다. 의복 물품 또는 다른 최종 제품이 직물 구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위사 및 경사 실의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 구성물에 관한 것이고, 직물은 제1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제2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및 제3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역에 의해서 형성된 지역을 갖는다. 제3 구역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에 배치된 전이 구역이다. 모든 구역은, 이음매 없이 함께 결합된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 구성물로서 형성된다. 전이 구역은, 제1 구역 유형으로부터 제2 구역 유형까지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위사 및/또는 경사 실의 세트의 복수의 밴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속성"이라는 언급은 대상(object)의 성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다른 구역까지 속성의 전이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논의되는 속성의 종류의 변화가 아니라, 주어진 속성에 대한 값 또는 다른 측정의 변화를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직물 구성물이 다양한 최종 제품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고 의복 적용예에서의 이용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한 적용예에서, 의복 품목의 패턴의 직물 구성물에 대한 맵핑이 있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직물 내의 구역의 각각이 의복 품목 상의 지역들에서 상이하게 맵핑되고, 이는 각각, 선택된 기능적 및/또는 시각적 효과 속성을 위한 차이를 제공한다. 직물 구성물 내의 각각의 구역이 의복 품목 상의 둘 이상의 별개의 지역들로 분배될 수 있다. 각각의 지역은 선택된 기능적 및/또는 시각적 효과 속성을 위한 차이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가, 직물 구성물의 직조에서 실을 선택적으로 플로팅시키는 것(floating)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예로서, 실이 연속적인 행에서 선택적으로 플로팅되어 전이 구역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구분적인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그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이 구역 내의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형성한다. 패턴이 화소 크기, 형상 및/또는 간격의 점진적인 변화를 가지는 화소화된(pixelated) 패턴일 수 있다. 각각의 화소는, 다른 교차부(crossover)의 세트와 인접되고 그로부터 구분적이며 그로부터 이격되는 경사 및 위사 실 교차부의 세트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문헌에서 원래 출원된, 또는 후속되어 보정된 바와 같은 첨부된 청구항은 이러한 '발명의 내용' 목차 내로, 마치 직접적으로 기재된 것과 같이, 포함된다. 전술한 '발명의 내용' 및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의 특징 및 실시예의 포괄적인 항목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통상의 숙련자는 도면과 함께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다른 실시예 및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도면은, 종래 기술을 도시하는 것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모두 단일 직조된, 무이음매 구성물의, 복수의 구역을 가지는 천(textile)을 도시하며, 의류를 위한 패턴과 유사한 윤곽선이 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2a는, 일부가 전이 구역인, 모두 단일 직조된, 무이음매 구성물의, 복수의 구역을 가지는 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의류를 위한 패턴과 유사한 윤곽선이 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2b는 3-3으로 표시된 도 2a의 둘러싸인 지역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전이 구역을 위한 직조 체계(weaving scheme)를 도시한다.
도 3b는 전이 구역을 위한 직조 체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c는 전이 구역을 위한 직조 체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천으로 제조된 자켓 쉘(jacket shell)의 후면, 외부 표면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외부 표면 자켓 상의 전이 구역 지역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a의 자켓의 외부 표면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되는, 후면, 내부 표면을 도시한다.
도 4d는 도 4b에 도시된 전이 구역 지역의 내부 표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의도된 사용자의 선택된 신체 지역에 대해서 맵핑된 복수의 구역을 가지는 천으로 제조된 대표적인 의류를 도시하며, 모든 구역은 단일 직조된, 무이음매 구성물이다.
도 6은 구성물로 제조된 접혀진, 봉합된 자켓과 함께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천 상의 패턴으로부터 절단된 대표적인 천 구성물을 도시한다.
도 7은 대안적인 전이 구역을 위한 대표적인 직조 체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에 따른 대표적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동일한 또는 대체로 유사한 특징들이 공통적인 참조 번호를 공유한다.
전이 구역을 가지는 복수의 구역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일반적으로, 서로 상이하고 의류 또는 다른 직조된 대상 내의 상이한 기능적 요구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구역 유형을 가지는 직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도면은, 복수의 구역이 제품 패턴 즉, 자켓에 상응하도록 직조되는 직조 체계를 도시한다. 주어진 직조 유형의 기능적 구역이 이하의 속성 중 하나 이상을 위한 것일 수 있다:
* (강도 및/또는 내구성에 의해서 측정되는 바와 같은) 내구성
* 통기성(투과성)
* (예를 들어, 양호한 피트(fit), 신축성, 성능 구역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 안락함 (촉감(hand))
* 절연(insulation)
* 방수성
* 난연성
* 시각적 효과(예를 들어, 색채, 패턴, 표면 질감)
* 기타.
구역들이 이하를 기초로 할 수 있다:
* 사용되는 실의 유형
* 실의 데니어(denier)
* 직물의 유형, 주어진 직조에서의 실의 수 또는 공간 관계, 예를 들어 직물 카운트(fabric count)를 포함하는 직조 속성.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하나 이상의 속성이 상이한 적어도 제1 구역 유형(Z1) 및 제2 구역 유형(Z2)을 고려한다. (도 1 참조.) 제1 및 제2 구역 유형들 사이에, 제1 및 제2 구역과 상이하나 서로 인접하는 제3 구역 유형이 있을 수 있다. (도 2 참조.) 일부 실시예에서, 수치적으로 측정 가능한 속성에 대해서, 다른 구역 유형에 비해서 하나의 구역 유형 내에서 이용되는 주어진 속성의 비교가 적어도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25%, 150%, 200%, 25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5000%, 10,000% 또는 그 초과의 상대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 하에서, 제3 구역 유형은, 전이 구역에 인접하거나 그에 밀접하게 이격된 제1 및 제2 구역 유형의 하나 이상의 속성의 선택된 혼합(blend)을 갖는 전이 구역(ZT) 일 수 있다. 전이 구역은, 상이한 유형들의 둘 이상의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무이음매 직조의 일부이다. 전이 구역은, 하나의 인접한 구역 유형의 일부 또는 모든 속성의 하나 이상의 다른 상이한 인접한 구역 유형들로의 점진적인 전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전이 구역은 -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 전이 구역에 인접한 2개의 상이한 구역 유형들 사이에서 이격되고 분리한다. 가장 전형적으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구역 유형이 전이 구역에 인접하고 그 대향 측면들 상에서 위치된다.
전이 구역과 별개로, 주어진 전이 구역에 인접하는 또는 밀접하게 근접하는 다른 구역 유형이, 그러한 구역에 걸쳐 균일하거나 일정한 하나 이상의 선택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전이 구역들은 그들이 제공하는 구역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속성과 관련하여 상이하고,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택된 속성 또는 속성들은 전이 구역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제는, '221 특허의 고려 사항을 뛰어 넘는 '221 특허에서의 교시 내용에 대한 현저한 개선을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은, 복수의 셀(cell)을 형성하는, 상호 직조된(interwoven) 그리고 교차하는, 위사 및 경사 실과 같이 통상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길이방향 실 및 횡방향 실의 세트를 포함한다. 직물이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직물 구성물이 구성물 또는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면, 실크, 나노웨브,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중합체-기반의 직조형, 부직형, 또는 편직형(knit) 구성물의 하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이 다른 재료의 플라이(ply)로 적층되어 다중 층 구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구성물(10 또는 100)이 이용되는 대상 또는 의류의 특성에 따라서 직물 구성물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직물 구성물(10)의 조성이 운동을 위한 탄성-기반의, 신축성 재료, 소방수를 위한 내화성 재료, 또는 캠핑 장비 및/또는 군사 목적을 위한 큰 내구성의 재료일 수 있다.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재료가 본원에서의 교시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숙련자에게 매우 자명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위사 실(Y1, Y2) 및 경사 실(Y3)이 서로 직교하여, 직물 구성물 내의 패턴의 망상형 패턴(crosshatched pattern)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다이아몬드 형상과 같은, 다른 적합한 구성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상 또는 의류에 따라서, 실이 약 5 데니어 내지 약 1050 데니어의 범위의 데니어 등급을 갖는다. 큰 데니어의 실(예를 들어, 850 데니어)이, 예를 들어, 무거운 캔버스 재료로 이루어진 대상에 적합한 반면, 작은 데니어 실(예를 들어, 70 데니어)은, 예를 들어, 경량 자켓 및 캠핑 장비에 보다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에 따라서,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 내의 상이한 구역들은, 상이한 속성, 예를 들어, 마모, 저항, 인장 강도, 파열 강도, 연신, 방수성, 또는 통기성 특성을 가지는 구성물의 상이한 지역들을 나타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직물(10)이 복수의 직물의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복잡한 대상 또는 의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상이한 직물 유형들의 별개의 패널들을 조합할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지역들에서 이용되는 실의 밀도 및/또는 실의 유형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구역들 내에서 이용되는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조 단계가 상이한 지역들을 상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직물 구성물의 상이한 지역들이 전술한 상이한 직물 성질들 중 임의의 성질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나일론-기반의 실이 규정된 간격으로 직물 내에 점재되어(interspersed) 내구성 구역을 생성한다. (도 1의 Z1.) 내구성 구역이, 나일론 Cordura™ 실과 같은 큰 인성(tenacity)의 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구성 구역이 립스탑(ripstop) 직물 구성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립스탑 라인을 위해서 이용되는 실이, 예를 들어, 실리콘 함침된 립스탑, 폴리우레탄 코팅된 립스탑, 반사 립스탑, 열 및 태양 반사 립스탑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숙련자에게 매우 자명한 다른 처리가 본 개시 내용을 기초로 하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에 포함된다.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에서, 구역(Z1)은 직물의 단일 직조에서 상이한 속성들의, 예를 들어 낮은 내구성의 그러나 큰 투과성의, 인접한 구역에 이음매 없이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구역들은 동일한 직조 프로세스에서 형성되고, 각각이 직조된 후에 함께 결합되는 별개의 패널들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든 다른 것들이 동일한, 도 3을 참조하면,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의 구역이, 상이한 특성의 셀들로 형성되는 구성물의 일부에 비해서 더 큰 내구성을 부여하는 셀로 형성될 수 있다. 변경된 내구성이, 예를 들어 실의 밀도, 직조 패턴, (예를 들어, 실 구조 및/또는 재료 유형과 관련된) 재료, (화학적, 기계적, 등의) 제조 프로세스에서의 변경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다중 구역의 단일 직물은, 구성물의 상이한 구역들 사이에서 직물 구성물(10)의 통기성을 달리한다. 예를 들어, 구역(Z2)이 경사 및 위사 실 교차점(intersection)의 보다 큰 셀로 형성될 수 있다. 변경된 통기성이 또한, 예를 들어 실의 밀도, 상이한 직조 패턴들, 상이한 재료들, 및/또는 (화학적, 기계적, 등의) 상이한 제조 프로세스에서의 변경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직물 구성물이, 경사 방향의 실의 세트의 길이에 의해서 규정되는 경사 길이, 및 위사 방향의 세트 실의 길이에 의해서 규정되는 위사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구조물로서 직조 기계로부터 얻어진다. 직물 내의 상이한 구역들이 경사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그러한 구역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위사 실의 세트 내의 변동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역으로, 직물 내의 상이한 구역들이 위사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그러한 구역들은, 연속적인 경사 실의 세트 내의 변동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 참조.) 다시 말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구역들(Z1, ZT 및 Z2)이, 위사 및/또는 경사 방향을 따라서 연부간에(edge to edge) 연장되는 평행한 실들과 관련하여 규정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사 및 경사 직조사(thread) 모두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다른 구역 유형과는 상이한 전체적인 특성의, 격자 무늬 패턴에서와 같은, 직선적인(rectilinear) 구역이, 위사 및 경사 실 배향을 기초로 하는 중간 구역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한 직선적인 구역에서, 구역이 직물의 그리드(grid)의 임의 섹션 내에서 격리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부간에 연장되지 않는다. 다중 구역 직물 구성물에 대한 다른 가능성이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도 7은 구성물의 연부로부터 이격된 삼각형 형상의 전이 구역(Zt)을 갖는다.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다른 구역들(Z1, Z2, Z3, 및 Z4)이 전이 구역에 인접한다.
직물 구성물, 및 결과적으로 직물 구성물 내의 구역이, 적용예 및 의도된 용도에 따라서, 가변적인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 내에서 투과성 또는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해서, 주어진 구역 유형이 비교적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4 평방 인치의 표면적이 겨드랑이(underarm) 지역 내에서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다. 25 평방 인치 이상의 구역이 의류의 다른 지역에서 양호한 통기성 또는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직물 내의 구역의 평방 인치가, 그러한 직물이 직조 기계로부터 유래될 때, 의류의 경우에 전형적으로 1 내지 900 평방 인치 이상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그보다 큰 또는 작은 지역이 희망 결과에 따라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구역들은, 구성물 내의 연부간에 연장되는 평행한 지역들이다. 직물 구성물이 둘 이상의 구역 유형으로 이루어진 임의 수의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기능적 속성 및/또는 시각적-효과 속성을 각각 나타내는,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구역 유형들이 있을 수 있다. 속성이 실 유형의 특성 및/또는 구역 유형의 직조 특성에 의해서 부여될 수 있다.
직물 구성물 내의 구역들이 의류를 위한 패턴과 함께 이용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의류와 같은 최종 제품에서의 기능적 구역을 위한 충분한 표면적의 최소 치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직조 기계로부터 유래되는 직물 구성물의 위사 또는 경사 방향의 구역들의 연부-대-연부 폭이 적어도 1 인치가 될 것임이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높이"는 구역의 폭에 직각인 치수를 의미한다. 구역의 높이가 또한 적어도 1 인치일 수 있다. 일부 적용예에서, 구역의 폭이 적어도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42, 44, 48, 50, 52,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인치 또는 대략 그 정도일 수 있다. 많은 적용예에서, 구역의 높이가 적어도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42, 44, 48, 50, 52,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인치 또는 대략 그 정도일 수 있다.
일부 적용예에서, 예를 들어, 텐트에서, 여러 가지 치수가 상당히 더 클 수 있다. 의료적인 적용예를 위한 직물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에, 치수가 상당히 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나노섬유의 이용으로 축척이 조정될 수 있다.
직물 구성물이 직조 기계로부터 유래될 때, 다른 구역에 대한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인 높이가 직물 구성물 내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축척 또는 크기를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인접한 구역들의 세트가, 하나의 세트 대 다른 세트에서 0.25 내지 10 배 이내의, 또는 대략 그 정도의 상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경사 실의 간격이 균일하거나 변경될 수 있다. 간격이 패턴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이 주어진 제1의 복수의 경사 실에 대해서 균일할 수 있고 이어서 제2의 복수의 경사 실에 대해서 변화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위사 방향의 실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경사 실의 간격이 위사 실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그와 상이할 수 있다. 직물이 주어진 측면 경사 또는 위사 실을 우선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능직(twill) 구성물의 직물이, 경사 실 위에 플로팅되는 하나의 표면의 위사 실을 우선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비(dobby) 또는 자카드 직조에서, 직물은, 주어진 실 유형의 상대적인 간격 및 수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서 페이스 표면(face surface)에서의 경사 실 또는 위사 실을 우선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페이스 또는 위사 페이스 직물 면이, 경사 실 및 위사 실의 상대적인 커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역에서 이용되는 직조 유형이 많은 수의 표준 직조 유형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고려되는 직조 유형에는: 플레인(plain), 바스킷, 골을 가지는(ribbed), 능직, 새틴(satin), 도비, 펠레(Faille), 립스탑, 및 레노(leno)(불균형) 및 그 조합이 포함된다. 직물 구성물 및 그 내부의 구역이, 구성물 내에서 상이한 준위에 각각 위치되는, 3개의 둘 이상의 실의 세트를 이용하여, 상호직조된 직물들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조된 직물이, 자카드, 컴퓨터화된 자카드, 도비, 오토 도비, 및 기타를 포함하는 임의 유형의 표준 룸(loom)에서 생산될 수 있다. 위사 삽입이, 공기 제트, 물 제트, 또는 레이피어(rapier) 및 기타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또는 복수의 층 구성일 수 있는 본원에서 개시된 직물 구성물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천연 섬유, 및 천연 및 합성의 조합과 같은, 전체-합성 섬유를 기초로 하는 실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상호직조된 직물 구성물이: 이중 옷감(cloth), 이중 직조, 및 이중-면 구성물을 포함한다.
통상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표준 직조의 일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플레인 직조에서는 일반적으로 위사(필링(filling)) 실이 경사 실의 위와 아래로 교호적으로 통과한다. 플레인 직조 직물은 모슬린, 깅엄, 브로드클로스, 쉬폰을 포함한다.
바스켓 직조는 플레인 직조의 일반적인 변형이다. 이러한 경우에, 둘 이상의 실이 함께 배치되고 상호직조 프로세스 중에 하나로서 취급된다. 바스켓 직조를 이용하는 직물은 몽크 옷감(Monk's cloth), 옥스포드 옷감 및 홉새킹(hopsacking)이다.
능직 직조에서, 일 방향을 따른 실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다른 방향을 따른 둘 이상의 실들 위로 플로팅된다. 각각의 플로팅이 마지막 실로부터 하나의 실 위에서 시작된다. 이는 대각선의 리브 또는 코드 패턴(diagonal rib or cord pattern)을 생성한다. 능직 직물이 긴밀하게 직조되어, 강한 내구적 직물을 생산한다. 능직 직조를 가지는 직물이 데님, 개버딘(gabardine) 및 수라(surah)를 포함한다. 능직 직물은, 2개의 측면이 동일한 플레인 직조와 달리, 기술적으로 상이한 정면 및 후면을 갖는다. 능직의 정면이 기술적 페이스(technical face)이고; 후면은 기술적 후방부라 지칭된다. 능사 직조 직물의 기술적 페이스 측면은 가장 현저한 웨일(wale)을 가지는 측면이고; 이는 일반적으로 보다 내구적이고, 보다 매력적이고, 직물의 패션 측면으로서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며, 직조 중에 보여질 수 있는 측면이다. 만약 기술적 페이스 상에 경사 플로트가 있다면(즉, 경사가 둘 이상의 위사 위로 교차한다면), 기술적 후방부 상의 필링 플로트가 있을 것이다(위사가 둘 이상의 경사 위를 가로지를 것이다). 만약 능직 웨일이 하나의 측면 상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된다면, 이는 다른 측면 상에서 좌측으로 진행될 것이다. 능직 직물은, 그들이 직조될 때, 위 및 아래를 가지지 않는다.
새틴 직조는, 표면 상에서 플로팅하는 긴 실을 갖는다. 경사 실은 4개 이상의 필링 실 위로 이어서 하나의 실 아래로 진행한다. 다음의 플로트는 마지막 플로트가 시작되는 곳으로부터 위로 2개의 실을 시작한다. 새틴 직조의 페이스가 단지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로 거의 전체적으로 구성된다. 이는, 광을 반사하고 번쩍이는 광택을 가지는 표면을 생성한다. 새틴 직조를 이용하여 새틴 및 사틴(sateen) 직물을 만들기 위해서 이용된다. 새틴에서 플로트가 경사 실이고, 사틴에서 플로트가 필링 실이다.
파일(pile) 직조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여분의 고리 또는 실 단부를 갖는다. 그러한 고리 또는 실 단부가 플레인 직조 또는 능직 직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벨벳의 경우에, 그들은 이중 페이스 대 페이스 직조되고, 중간을 절단하여 파일 직물의 2개의 별개의 조각을 만든다. 이러한 유형의 직조를 가지는 직물로서, 코듀로이, 벨벳, 인조 모피가 있다. 파일 직조 및 브러시 작업된(brushed) 표면 직물이 보풀(nap)을 갖는다. 보풀은, 다른 방향으로부터 볼 때 달리 보이는 섬유 단부의 층이다. 파일 직조는 기능적 속성 및 시각적 효과 속성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또는 보풀 작업이 단열재 및/또는 미적 표면 질감으로서 또한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에 따라서 제조된 단일, 다중 구역 구조물을 가지는 직물이 상이한 패턴을 이용하여 다중 구역 구조물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예가 색채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로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되는 색조를 이용하여 다중 구역 구조물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반복적인 패턴을 이용할 수 있고, 반복적인 패턴의 변화되는 밀도를 이용하여, 그러한 패턴뿐만 아니라, 색채 또는 음영 변동을 보여주는,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구역 구조물을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에 따라서 제조된 다중 구역 구조물을 가지는 직물이, 다중 구역 구조물을 나타내기 위해서 시각적인 패턴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임의 직물 구성물, 또는 그 일부가 1-층, 1.5 층, 2-층, 2.5 층 또는 3-층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최외부) 층이 (예를 들어, 외부에 노출되는) 외부 용도에 적합한 재료(예를 들어, 실 또는 침착된(deposited) 화학적 재료)의 하나의 유형일 수 있고, 하단의 가장 내부의 층이 (예를 들어, 사람의 신체와 접촉하는) 내부 용도에 적합한 재료(예를 들어, 실)의 하나의 유형일 수 있다. 중간 층은 망상형 스레딩(crosshatched threading)으로 인해서 파열 및 찢김에 저항하는 직조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비-천 재료(non-textile material)일 수 있다.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의 다중 구역 구조물이 하나 이상의 층 내에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다중 구역 구조물이 중간 층 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다중 구역 구조물이, 층을 형성하는 인쇄된 또는 달리 침착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구성물(100)과 같은 직물 구성물로 제조된 의류(200)의 정면도 및 배면도를 도시한다. 설명 목적을 위해서, 의류가 자켓 쉘이다. 그러나,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이 임의의 적합한 의류, 또는 비제한적으로, 캠핑, 스포츠, 화재진압 및 다른 전문 분야, 군사 및 패션 또는 통상의 숙련자에게 매우 자명한 임의의 다른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대상이나 의류를 포함하는 대상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이, 단독적인 또는 조합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양모, 면,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구성물을 이용하는 의류 내의 층이, 발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ePTFE)과 같은 방수, 통기성 막일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조자는 또한 패턴(15 또는 150)에 의해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 구조물을 기초로 의류의 일부에 상응하도록 직물(10 또는 100)의 구역을 또한 선택할 수 있다. 직물 구성물의 구역들을 의류의 구역들로 맵핑하는 것이 본원에서 "구역 프로파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직물 구성물(100)의 부분이 자켓(200)의 지역에 상응한다. 자켓(200)의 각각의 지역이, 내구성, 통기성, 탄성 및/또는 방수성과 같은 여러 가지 속성과 관련하여 상이한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부쪽 및 등쪽 섹션 지역들의 어깨 지역 및 하부 소매 부분이, 보다 큰 통기성을 요구하는 다른 지역 보다, 더 큰 내구성을, 그러나 더 작은 통기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자켓 및 바지로 이루어진 한 벌(300) 내의 어두운 영역 및 밝은 영역이 상이한 구역 유형을 나타낸다. 자켓은 어깨 영역(21.2), 상부 팔 지역(21.2), 팔꿈치/하부 팔 지역(21.3), 손목 또는 소맷부리 지역(21.4), 엉덩이 지역(21.5), 무릎 지역(21.6), 하부 다리 및 발목 지역(21.7), 머리 지역(21.8) 및 지퍼 지역(21.9) 내에서 큰 내구성 직물의 제1 구역 유형의 복수의, 어두운 구역들을 포함한다. 더 밝게 채색된 지역은 더 큰 통기성, 탄성, 유연성 또는 다른 희망 속성의 구역 유형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의류가 직물 구성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 절단될 수 있고, 이어지거나, 융합되거나, 테이핑 처리되거나 달리 함께 결합되어 의류(200 또는 300)와 같은 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편평한, 보강된, 및/또는 곡선형 봉합을 이용하여, 구성요소 부분들이 함께 이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패턴은, 완전한 자켓 쉘을 나타내는 단일 대상으로서 절단될 수 있는 자켓을 도시한다. 도 6은, 상부 우측 모서리에서, 3-차원적인 의류(300)로 형성될 수 있는 패턴으로부터 절단된 직물 구성물의 예를 도시한다. 쉘 형태를 완성하기 위해서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할 필요가 없이, 쉘이 실질적으로 완전한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간 신체는 의복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단열 또는 전도성, 탄성, 안락함, 및/또는 촉감(hand)과 관련하여 상이한 요구들을 갖는다. 다른 적합한 특성이, 비제한적으로, 의류의 시각적 외관을 포함한다. 구역적 프로파일을 기초로, 의류를 위한 직물 구성물의 적절한 구역들이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복수 구역 구조물의 직물 구성물을 형성하는 것, 그리고 제어된 방식으로 구역들에 걸친 성질들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천 조성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단일 직물 구성물로부터 절단된 하나 이상의 조각을 이용하여 맞춤형 의류(100)가 생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단일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이 복수의 직물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임의 실시예에서, 주어진 구역의 직조 유형이, 도 3a 내지 도 3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적어도 4가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i) 상이한 실 유형들의 이용(도 3a); (ii) 주어진 직조사 또는 실에 대한 데니어 차이(도 3b); 그리고 (iii) 교차-지점의 더 높은 밀도(도 3c). 부가적으로, 데니어는, 예를 들어 상이한 직조사 또는 실 유형들 중 동일한 것을 함께 꼬는, 다중 필라멘트 실의 이용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2, 도 4a 내지 도 4d, 그리고 도 6은 직물의 단일 층으로 형성되고 복수 구역 유형을 포함하는 자켓의 가능한 실시예의 상세 부분을 도시하고, 그러한 복수 구역 유형 중 적어도 하나가 전이 구역 유형이다. 전이 구역을 가지는 직물 구성물이 다양한 종류의 직조 기계 및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도시된 자켓을 위한 직물 구성물이, 경사 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를 위한 도비 직조 기계 또는 자카드 직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구역(Z1, Z2, 및 ZT)은 이음매 없이 결합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 구성물의 일부이고, 도 2 내지 도 3의 구성물 상에 도시된 패턴으로 일반적으로 표시되나, 그러한 패턴은 동일하게 합치(identical match)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모든 구역이 능직 직조로 구성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전체적인 자켓 쉘(200)의 후면을 도시한다. 후면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대면할 수 있는 외부 표면 및 사용자와 대면할 수 있는 내부 표면을 갖는다. 도 4b는 도 4a로부터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외부 표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c 및 도 4d에서, 자켓(200)의 내부 표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d는 도 4c로부터의 상세 부분을 도시한다.
자켓은 3개의 구역 유형, 제1 구역 유형(Z1), 제2 구역 유형(Z2), 및 전이 구역(ZT)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직물 구성물이 직조 기계로부터 완성될 때, 직물 구성물(100)(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역들이 서로 평행하고 직물 구성물을 가로질러 연부간에 연장된다. 직물 구성물 내의 주어진 유형의 각각의 구역은, 의류 또는 다른 최종 제품의 부분에 대해서 다시 맵핑되는, 의류 또는 다른 최종 제품을 위한 패턴의 부분에 대해서 맵핑된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물 구성물(10 또는 100) 상의 패턴이 주어진 구역을 패턴 상의 상이한 구역들로 나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의류 내의 각각의 구역에 대한 최종 제품 내의 1x 또는 그 초과의 복수의 구역들이 있다. 예를 들어, 직물 구성물(100) 내의 구역(Z2)이, 의류(200) 내의 Z1, Z2, ZT 에 대해서 구분된 구역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구성물 내의 주어진 구역을 이용하여 의류 또는 다른 최종 제품 내의 2, 3, 4, 또는 그 초과의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
구역 유형의 예로서, 도 4a 내지 도 4c는 자켓(200)의 후면을 도시하고, 여기에서 제1 구역 유형(Z1)은 자켓의 후방부의 대체로 중앙 지역 내에 배치된다. 전이 구역(ZT)은 제1 구역 유형 아래에 그리고 그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는, 본원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인접한 또는 근접한 구역의 속성에서 다른 인접한 또는 근접한 구역의 속성으로의 전이를 제공한다. 제2 구역 유형(Z2)이 전이 구역 아래에 그리고 그에 인접한다. 임의의 다른 구역과 같이, 전이 구역의 복수 세트가 직물 구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고 최종 제품을 초래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경사 실의 동일한 유형이 모든 구역에 걸쳐서 사용된다. 경사 실이 사용자의 신체의 장축(신체 장축)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위사 실이 장축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그에 따라, 구역의 속성이 사용된 위사 실 유형 및/또는 직조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사 직조사가 구역들을 가로질러 일정할 수 있고 경사 직조사가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경사 및 위사 직조사 모두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구역 속성은, 상이한 구역들 내의 위사 실 유형, 경사 실 유형, 및/또는 직조 유형의 특성에 의존한다.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임의의 주어진 구성물에서, 경사 실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한편, 경사 실이 반드시 경사 방향에 걸쳐 동일한 실 유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실 유형이 경사에 걸쳐 이동하는 동안 변화될 수 있다. 변경이 실 재료, 데니어, 또는 임의의 다른 실 속성과 관련될 수 있다. 변경이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의 실 유형이 기본 실 유형일 수 있고, 상이한 실 유형이 주어진 복수의 기본 실 유형 이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상이한 실 유형이 경사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자켓(200) 내의 경사 실이 폴리프로필렌 실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의류 적용예를 위한 비교적 경량의 실이고, 의류 사용자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장점을 갖는다. 자켓(200)에서, 더 어두운 회색 지역에 의해서 표시된 제1 구역 유형(Z1)의 복수의 구역이 존재하고, 위사 실은 내구성 구역 유형을 제공하기 위한 비교적 큰 내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위사 실이, 70D 또는 그 초과 데니어 나일론 6,6 또는 Cordura™ 나일론과 같은, 큰 인성의 나일론일 수 있다. 나일론 40D와 같은, 더 경량의 실 유형을 이용하는 제2 직조 유형의 복수의 통기성 구역(Z2)이 존재한다. 통기성 구역은 또한, 더 무거운 데니어 내구성 구역의 구성 보다, 더 가벼운 중량의, 보다 유연한 구역 구성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이한 기능적 구역들(Z1 및 Z2) 사이에 전이 구역(ZT)이 존재한다. 전이 구역(ZT)에서, 각각의 인접한 구역(즉, 내구성 구역 및 통기성 또는 더 가벼운 중량의 구역)에 특유한(specific) 더 무거운 또는 더 가벼운 위사 실들의 혼합이 존재한다. 전이 구역 내의 그러한 위사 실들의 블렌딩은 주어진 인접한 구역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해당 인접한 구역에 보다 더 유사해지기 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에 따라, 전이 구역은, 하나 이상의 속성이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구역의 특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다른 유형들의 인접한 또는 근접한 구역들 사이의 속성의 연속, 구배, 또는 스펙트럼의 특성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전이 구역을 통해서, 다른 구역으로 선택된 구역-유형 속성의 매끄러운 전이가 존재할 수 있다.
전이는 주어진 구역 또는 구역들의 세트의 속성들 모두에 대한 것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구역이 실 유형을 기초로 하는 특유의 내구성 속성 및 시각적 효과 속성을 가지고, 제2 구역이 직조 유형의 개방성을 기초로 하는 특유의 통기성 속성, 및 특유의 시각적 효과 속성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의 전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이 구역이 제1 구역 내의 더 무거운 실 유형으로부터 제2 구역 내의 더 가벼운 실 유형까지 매끄러운 전이를 단지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이 구역은 제1 구역 유형 내의 더 조밀한 직조로부터 제2 구역 유형 내의 더 개방된 직조로의 전이를 단지 허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이 구역은 제1 구역 유형 내의, 예를 들어, 검은색-채색된 실로부터 제2 구역 유형 내의 백색 채색된 실로의 전이를 단지 허용할 수 있다. 속성 전이들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이 구역이, 직조 개방성 및 실 색채의 매끄러운 전이를 허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이 구역이 예의 모든 속성, 즉 실 유형의 데니어, 직조 개방성, 및 실 색채의 전이를 허용할 수 있다. 짧게 말해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속성이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선택된 조합으로 전이될 수 있다.
전이는, 기초로 하는 임의의 수의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으로부터 제2 구역까지 전이 구역에 걸쳐서, 경사 실이 일정한 경우에, 전이 구역이 패턴 내의 하나 이상의 위사 실의 복수의 밴드와 관련하여 규정될 수 있다. (도 3a) 밴드로부터 밴드로의(from band to band) 실 유형들의 조성 또는 실들의 공간적 관계가 변화되어, 구역들 사이의 점진적인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한다. (도 3b 및 도 3c.) 위사 실의 점진적인 밴딩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경사 실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밴드화되어(banded), 규정된 전이 구역에 걸친 점진적인 전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위사 실의 점진적인 밴드의 예로서, 제1 구역(Z1)에 가장 근접한 밴드가 제1 구역과 동일한 유형의 위사 실의 비교적 큰 백분율 및 제2 구역과 동일한 유형의 위사 실의 비교적 작은 백분율을 가질 수 있고, 그러한 백분율은 밴드에서 밴드로 변화된다. (도 3a) 제2 구역에 더 근접한 각각의 연속되는 밴드에서, 제2 구역의 백분율에 보다 유사해지도록 그러한 백분율이 천이된다(shift). 점진적인 밴딩이 또한, 하나의 구역에 대한 다른 성질들의 변경을 기초로 하는 제1 및 제2 구역들의 실 유형들의 블렌딩이 아니라, 단지 하나의 실 유형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가 단지 제1 구역 유형의 실 유형을 가질 수 있고 어떠한 제2 구역 유형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실 유형이, 제2 구역의 위사 유형과 상이한 다른 실 유형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 유형이 경사 직조사에서 이용되는 동일한 실 유형일 수 있거나 제1 및 제2 구역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실 유형과 완전히 상이할 수 있다.
소정 범위의 다른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만약 경사 실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경량 실이라면, 제1 구역은, 비제한적으로, 70D 나일론 6,6과 같은, 큰 인성의 실의 내구성 구역이고, 제2 구역은, 40D 나일론과 같은, 경량의 나일론을 포함하는 통기성의, 더 가벼운 중량의 구역이다. 전이 구역이, 전이 구역에 걸쳐 점진적으로 천이되는 밴드들 내의 3개의 실 유형 중 임의의 실 유형의 조합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만약 단일 실 유형 만이 사용된다면, 예를 들어, 본원의 다른 곳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기성이 직조 유형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실 유형 및 혼합의 변경과 조합하여, 또는 점진적 전이의 독립적인 형태로서, 직조 유형이 하나의 구역 유형으로부터 다른 구역 유형으로 진행될 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구역이 동일한 유형의 실을 가질 수 있으나, 직조 유형이 상이할 수 있다. 전이가 조밀한 직조(큰 직물 카운트)의 구역으로부터 비교적 느슨한 직조의 구역으로 진행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실 유형 및/또는 직조 유형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점진적인 전이 내의 연속되는 밴드들의 각각이, 인접한 또는 연속되는 밴드들과 동일한 실 유형 또는 직조 유형을 이용하는 것을 기초로 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밴드 내의 실 유형이 제1 또는 제2 구역 유형에서 사용된 임의 실 유형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그 대신에, 실 유형들이 상이할 수 있으나, 여전히 하나의 구역 유형의 속성으로부터 다른 속성까지 점진적인 전이를 제공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서, 예를 들어, 경사 직조사가 폴리프로필렌이고 제1 구역이, 70D 나일론 6,6과 같은, 큰 인성의 실의 내구성 구역이고, 제2 구역이, 40D 나일론과 같은, 비교적 가벼운 중량의 나일론의 통기성의, 더 가벼운 중량의 구역이라면, 전이 구역은, 제1 및 제2 구역 내에서와 같지 않은, 그러나 그러한 구역들 중간의, 변화되는 데니어 및 인성을 가지는 밴드들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에 근접하는 제1 밴드가 65D 나일론일 수 있고, 제2 구역에 더 근접한 연속되는 밴드가 55D 나일론일 수 있으며, 제2 구역에 보다 더 근접한 제3 밴드가 50D 나일론일 수 있으며, 기타 등등일 수 있다.
전이 구역 내의 밴드의 수가, 희망하는 성질에 따라서, 몇 개로부터 많은 수까지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의류 적용예에서의 점진적인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적어도 3개의 밴드의 전이 구역이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미세한 입상도(granularity)가 요구될 수 있고, 성질의 연속적인 진행을 각각 제공하는 밴드의 수가 4, 5, 6, 7, 8, 9, 10, 15, 20, 30, 40, 50, 100, 200, 300, 400, 500, 1000, 10,000 또는 그 초과,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 또는 범위일 수 있다.
의류와 같은 최종 제품에서의 기능적 구역을 위한 충분한 표면적의 최소 치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직조 기계로부터 유래되는 직물 구성물의 위사 또는 경사 방향의 구역들의 연부-대-연부 폭이 적어도 1 인치가 될 것임이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많은 적용예에서, 밴드를 위한 평행한 직조사들의 세트의 높이에 의해서 규정되는 바와 같은, 밴드의 높이가 그러한 밴드를 포함하는 전이 구역의 전체 높이의 백분율일 수 있다. 많은 적용예에서, 주어진 밴드의 높이가 전이 구역의 높이의 .001%, .01%, .1%, 1%,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5%, %, 26%, 28%, 30%, 32%, 33%, 34%, 36%, 38%, 40%, 42%, 44%, 48%, 50% 또는 대략 그 정도일 수 있다.
일부 적용예에서, 예를 들어, 텐트에서, 임의 유형의 구역의 또는 전이 구역 내의 밴드의 여러 가지 치수가 상당히 더 클 수 있다. 의료적인 적용예를 위한 직물과 같은 일부 적용예의 경우에, 치수가 상당히 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나노섬유의 이용으로 축척이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실 유형의 플로팅 또는 페이싱의 선택적인 변화가 존재하는 전이의 전환점이 있다. 예를 들어, (1) 제1 구역에 근접한 전이 구역의 제1 부분에서, 제1 구역 내의 위사 실을 반영하는 위사 실이 플로팅되어 그들을 직물의 페이스에 배치하고 및/또는 (2) 제2 구역에 근접한 전이 구역의 제2 부분에서, 제2 부분을 반영하는 위사 실이 플로팅되어 그들을 직물의 페이스에 배치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가, 실을 선택적으로 플로팅시키는 것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이 연속적인 행에서 플로팅되어 전이 구역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구분적인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그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이 구역 내의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형성한다. 이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의 전이 구역(ZT)에서 확인할 수 있고, 도 7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인 플로팅을 이용하여, 전이 구역이 직물 구성물 내에서 연부로부터 연부까지 존재할 수 있거나, 전이 구역이, 직물 구성물의 그리드 내의 임의의 곳에서, 직물 구성물의 연부로부터 이격된 구분된 지역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패턴이 화소 크기, 형상 및/또는 간격의 점진적인 변화를 가지는 화소화된 패턴일 수 있다. 자카드 제어를 이용하여 직물의 페이스에서 위사 직조사를 선택적으로 플로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점 또는 다른 패턴 요소의 밀도, 크기, 또는 형상이 전이 구역 내에서 기능적 및/또는 시각적 효과와 관련하여 점진적인 전이로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 도면은 밝게 채색된 경사 실의 세트 위의 어둡게 채색된 위사 실의 세트의 플로팅에 의해서 형성된 요소(116a, 116b, 116c, 116d)를 도시한다. 위사 실이 위에서 플로팅되는 경사 실의 수 및 결과적으로 요소의 크기가 요소의 각각의 연속적인 행(row)(밴드)과 함께 감소된다. 이는 또한 도 4b의 자켓 쉘(200) 내의 화소-유사 또는 점 요소(16a, 16b 및 16c)에 의해서 표시된 패턴에서 확인될 수 있다. 도 7의 개략도에서와 유사하게, 요소는 플로팅된 실의 세트이다. 도 7에서와 유사하게, 도 4b의 위사 실이 어둡게 채색되고, 경사 실이 밝게 채색된다. 그러나, 반대 측면 상에서, 직물의 페이스 상에서의 어두운 위사 실의 선택적인 플로팅으로 인해서, 도 4d에서 요소(16d 및 16e)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점이 경사 실의 밝은 색채를 갖는다.
능직 직조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직물의 희망 측면에서 위사 실의 선택적인 플로팅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사 또는 경사 직조사가 상이한 커버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직물의 페이스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직물 구성물 내의 실의 플로트의 변화가, 직물 구성물의 시각적 속성뿐만 아니라 기능적 속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플로트 밀도의 지역이, 더 높은 플로트 밀도의 지역에 비해서, 더 내구적, 더 신축 저항적, 및/또는 덜 투과적일 수 있다.
요약하면, 전이 구역의 본 발명에 따른 이용은 기능적 지역들 사이의 기능성의 보다 매끄러운 블렌딩을 제공한다. 이는 또한, 의류 내의 미감의 보다 양호한 관리 및 제공을 허용하여, 하나의 구역으로부터 다른 구역으로 미감들 사이의 급격한 전이를 방지한다.
패턴 설계
유리하게, 복수의 구성요소의 절단, 조립 및 봉합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의류를 위한 패턴이 적어도 신체 부분에 대해서 단일의, 편평한 컷아웃(cutout)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패턴은 특정 구역의 전방 및 후방 부분이 3차원적인 형상으로 접혀질 수 있게 하여 상응하는 신체 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접혀진 부분이, 정렬되고 그리고 함께 봉합되고 선택적으로 테이프 처리되는 연부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6의 자켓 쉘을 보면, 통기성 구역 및 내구성 구역의 전방 및 후방 부분이 그러한 방식으로 합쳐진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쉘의 전방 및 후방 부분이 대향 측면 상에서 상응하는 부분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어깨뼈에 상응하는, 내구성 구역 후방 부분이 가슴 지역 내의 대향 부분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가슴 지역이 통기성 구역 내에 단순히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자켓의 전방부 상의 포켓이 더 큰 통기성 구역 내에 내장된 내구성 구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쉘의 소매 부분 상의 팔꿈치 지역이 내구성 직조로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인접한 소매 부분이 통기성 직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역 기능성은 설명 목적을 위한 것이고, 원리는 의류 또는 다른 종류의 최종 제품 상에서 임의 수의 조합 또는 배열로 임의의 둘 이상의 기능적 구역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부피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서 결합되어야 하는 이음매를 최소화하는 패턴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특정 지역에 대해서 맵핑되고, 적용 가능한 경우에, 후방 측면 및 전방 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구역 유형을 배치하는 것이 고려 사항에 포함된다. 도시된 예에서, 패턴 내의 윤곽화된 부분은, 사용자의 몸통, 목, 및 팔 그리고 선택적으로 머리 지역을 수용하기 위한 부피 공간을 생성하도록 계산된 각도, 곡률 및 접힘선을 갖는다. 보다 특히, 2-차원적인 패턴이 의류 또는 다른 대상의 3D 렌더링(rendering)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3D 표상이 일단 존재하면, 수동적 접근 방식 및/또는 소프트웨어 도구를 이용하여 대상에 대한 "메시(mesh)"를 생성할 수 있다.
다각형 메시는, 3D 컴퓨터 그래픽 및 고체 모델링(solid modeling)에서 다각형 대상의 형상을 형성하는 정점들, 연부들, 및 페이스들의 집합체이다. 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사변형 또는 다른 단순한 볼록 다각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이러한 것이 렌더링을 단순하게 하기 때문이나, 페이스가 또한 보다 일반적으로 오목한 다각형 또는 홀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각형 메시의 상이한 표상들이 상이한 적용예들 및 목적들을 위해서 이용된다. 메시 상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동작들이 불리언 논리(Boolean logic), 평활화(smoothing), 단순화, 및 많은 다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피 메시가 구조물의 표면 및 부피 모두를 나타내는 반면, 다각형 메시는 표면(부피는 내포된다(implicit)) 만을 명시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 부피 메시가 다각형 메시와 구분된다.
Adobe™ Illustrator 및 AutoCAD™ 프로그램과 같은, 주지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그래픽 설계 및 CAD 프로그램과 같은, 초기 3D 렌더링을 생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일단 3D 렌더링이 생성되면, 메싱 기능(meshing function)을 포함할 수 있고 2D 패턴 또는 접근 개산(close approximation)으로서 3D 대상을 렌더링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UV 맵핑" 동작이 실시될 수 있다. UV 맵핑은 3D 모델의 2D 이미지 표상을 만드는 3D 모델링 프로세스이다. UV 맵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설계자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는 양자의 어떠한 조합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종종 UV 맵이 생성될 것이고, 이어서 설계자는 그러한 UV 맵을 조정하고 최적화하여 이음매 및 중첩을 최소화할 것이다. 만약 모델이 대칭적이라면, 설계자는 메시 내에서 반대의 다각형을 중첩시켜 양 측면이 동일한 표면 질감으로 동시에 표현될 수 있게 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에 따라서 동일한 직조된 구역 유형으로 전환된다.
모델이 3D 모델러를 이용하여 다각형 메시로서 생성될 때, UV 좌표가 메시 내의 각각의 정점에 대해서 생성될 수 있다. 3D 모델러가 다각형의 연속적으로 연결된 측면의 세트에 의해서 형성된 이음매에서 삼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 메시를 펼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은, 다각형을 2-차원적인 패턴으로 자동적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만약 메시가 예를 들어 UV 구체라면, 모델러는 그러한 구체를 정방형 투영법(equirectangular projection)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설계자는, 직조에 적합한 직선적 풋프린트(footprint) 내의 패턴의 배치를 최소화하면서, 연부들의 결합 및 봉합을 위한 적절한 접힘선 및 절단선을 대상을 위해서 생성된 메시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공개 소스 메싱 소프트웨어의 예에 대해서 http://www.openmesh.org/ 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은 의복의 물품을 형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의복의 물품 또는 품목은 완전한 의류 또는 그 상당 부분 또는 구성요소, 예를 들어 몸통 부분, 바지 다리, 소매, 또는 후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의복의 물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이용하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선택된 구역 유형으로 구성된 직물 구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방법 단계는: 직조 장치 상에서 경사 실의 세트를 제공하고, 제1 구역 유형의 직조된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서, 위사 실의 세트를 경사 실 내로 직조하는 단계; 장치 상에서 위사 실의 제2 세트를 제공하고, 제2 구역 유형의 직조된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서, 위사 실의 제2 세트를 경사 실 내로 직조하는 단계; 장치 상에서 위사 실의 제3 세트를 제공하고, 제3 구역 유형의 직조된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서, 위사 실의 제3 세트를 경사 실 내로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구역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에 배치된 전이 구역일 수 있다. 모든 구역은, 이음매 없이 함께 결합된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 구성물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이 구역은, 제1 구역 유형의 성질로부터 제2 구역 유형의 성질로의 점진적인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위사 실의 세트의 복수의 밴드로 구성된다. 단계들이 언급된 순서대로 또는 임의의 특별한 순서대로 실시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직조 기계를 이용할 때, 제1 구역이 먼저 직조되고, 전이 구역이 다음에 직조되고, 그리고 제2 구역이 전이 구역 다음에 직조되어,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에 개재된 전이 구역을 초래한다.
고려되는 방법에서, 제1 및 제2 구역 유형이,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서 이용되는 위사 실의 세트들 사이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고려되는 방법에서, 제1 및 제2 구역 유형이,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서 이용되는 경사 실의 세트들 사이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고려되는 방법에서, 제1 및 제2 구역 유형이,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서 이용되는 직조 유형 속성 사이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고려되는 방법은, 직물 내의 구역들 각각이 의복의 물품 상의 상이한 지역들에 대해서 맵핑되도록, 의복의 물품의 패턴을 직물 구성물에 대해서 맵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고려되는 방법에서, 직물 구성물 상의 각각의 구역이, 선택된 기능적 또는 시각적 효과 속성을 위한 차이를 각각 제공하는 의복의 물품 상의 둘 이상의 별개의 그리고 상이한 지역들로 분배될 수 있다.
직물 구성물이 직조 기계 상에서 완성된 후에, 의복 물품의 생산을 향해서 이하의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패턴 또는 설계에 따라 직물 구성물을 절단하는 단계; 및 맵핑된 패턴 또는 설계에 따라서 직물 구성물을 의복의 물품으로 조립하는 단계. 가위 작업, 스탬핑, 또는 날카로운 연부를 기초로 하는 다른 작업; 열적 절단(thermal knifing); 레이저 절단; 및 워터 젯팅을 포함하는, 임의 형태의 절단이 이용될 수 있다.
조립 단계가, 주어진 유형의 구역을 의복 품목의 상이한 측면들 상에 배치하기 위해서 직물 구성물 내에서 구역들을 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 단계가, 사용자의 신체를 위한 외피, 예를 들어 소매, 다리부, 후드를 형성하기 위해서, 절단된 직물 내의 이음매들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퍼, 스냅(snap), 단추, 주머니, 후크-및-루프 체결부, 단열부 등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가 물품에 부가될 수 있다. 결합 또는 부가 방법이 봉합, 테이프 작업, 접착 및 열적 결합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는, 의복의 물품의 3D 렌더링에 상응하도록 배열된 다각형의 세트로 이루어진 3D 메싱을 생성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어서, 직물이 다각형의 복수의 연부를 따라서 접히고 및/또는 절단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에서의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직물 구성물의 경사 또는 위사의 폭이, 구성물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 패턴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에 근접할 수 있다. 주어진 패턴에 상응하는 직물 구성물을 위한 직조 프로세스가 연속적인 프로세스로서 설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어진 직물 구성물을 위한 섹션을 반복하는 것으로 직물의 롤(roll)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적용예
본원에서 설명된 제품 모두가 의복의 품목과 관련되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의 원리가 도시된 것들 이외의 의복의 다른 물품에, 예를 들어 긴 바지 및 짧은 바지, 조끼, 신발 갑피, 모자, 장갑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원리는 또한 텐트; 배낭; 더플 백; 다른 가방 또는 캐리어 품목; 속 씌우개(upholstery); 침구류; 바닥 덮개; 및 직조된 직물을 이용하는 임의의 다른 최종 제품을 포함하는 다른 품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정의 및 용어
"필라멘트"는 짧은 섬유(staple fiber) 보다 상당히 더 긴 길이의 섬유의 연속적인 스트랜드이다. 모든 인간-제조 섬유는 필라멘트 섬유이나, 필라멘트 섬유인 유일한 천연 섬유는 실크이다. 필라멘트는 2가지 유형: 단일필라멘트 및 다중-필라멘트이다.
"실"은, 천연, 인간-제조 또는 혼합 형태의 양자 모두의 조합의 섬유의 번들의 길고 꼬인 그리고 연신된 스트랜드(drafted strand)이다. 이는 직물 산업에서 스피닝 프로세스의 최종 제품이다.
"직조사"라는 용어는 전형적으로 합사에 대해서 사용된다. 스피닝 이후에 실시되는 더블링 프로세스에 의해서 합사를 제조하기 위해서 둘 또는 둘보다 많은 실이 함께 꼬일 때, 최종-제품이 직조사로 지칭된다. 직조사의 일반적인 예가 봉사(sewing thread)이다.
필라멘트, 실 또는 직조사는 모두, 직조된 또는 편직된 직물의 제조에서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각각 이용될 수 있는 모든 필라멘트형 구조물이다. 그에 따라, 편의상,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구별이 문맥상 자명하거나 명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또는 첨부된 청구항 또는 도면에서 임의의 하나의 그러한 구조물에 언급은 필라멘트형 구조물의 3가지 유형 모두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편의상, "실"은, 실, 직조사, 및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주로 이용되는 용어이다.
"직물"은 직조 또는 편직 프로세스의 최종-제품이나,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직물은 웨이빙(waving) 프로세스의 최종 제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구별이 문맥상 자명하거나 명확하지 않는 한, "직물" 및 "천"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경사 밀도(ends per inch)" 또는 "EPI"는 직조된 직물의 인치당 경사 직조사의 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경사 밀도가 클수록, 직물이 더 미세하다.
"위사 밀도(picks per inch)" 또는 "PPI"는 직조된 직물의 인치당 위사 직조사의 수를 의미한다. 픽(pick)은 단일 위사 직조사이다. 일반적으로, 위사 밀도가 클수록, 직물이 더 미세하다.
"실 카운트" 또는 "직조사 카운트"로 또한 지칭되는, "직물 카운트"는, 직조된 직물의 인치당 계수된 경사 실 단부 및 픽 실 단부(필링/위사 실)의 수를 의미한다. 직물 카운트는 단부의 수 곱하기 직물의 평방 인치 내의 픽의 수이다.
(비록, PPI, EPI 또는 직물 카운트가 미국에서 인치로 측정되고 보고될 수 있지만, 이는 또한 25 mm, 또는 2.5 cm별로 보고될 수 있는데, 이는 SI 단위가 측정에 대해서 국제적으로 용인되는 단위이기 때문이다.)
"직물 밀도"는 "지표 인자(cover factor)"로 지칭되는 것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인자는 직물의 인치 당 위사 실의 수와 위사 실의 데니어의 제곱근의 곱에 대해서 모두 부가된 직물의 인치 당 경사 실의 수와 경사 실의 데니어의 제곱근의 곱을 측정한다. 그에 따라, 큰 지표 인자 직물은, 모두가 큰 위사 밀도 카운트로 직조된,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를 따른 비교적 큰 데니어 실을 포함할 것이다.
"인장 강도"는 압력하에서 파괴에 저항하는 섬유, 실, 또는 직물이 나타내는 강도이다. 이는, 천에 대한 ASTM 표준과 같은, 표준화된 테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테스팅 기계 상에서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직물이 제공하는 저항의 파운드의 실제 숫자이다.
직물의 "파열 강도"는 직물의 파열에 대한 저항의 측정이다. 파열 강도는 또한, 예를 들어 위사 또는 경사 방향을 따른 테스팅에서, 재료의 이방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존재하는 파열을 전파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측정된다. 직물 시편의 전파의 일부로서, 절개부가 직물 내에 만들어지고, 절개부를 연장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엘멘도르프 테스터(Elmendorf tester) 및 천에 대한 ASTM 표준과 같은, 표준화된 테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통상의 숙련자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 대상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되고 도시된 부분들 및 작용들의 상세 내용, 재료, 및 배열의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이 본원에 포함된 교시 내용 및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특허 및 비-특허 문헌은 모든 목적을 위해서 그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은 "및" 또는 "또는", 뿐만 아니라 "및" 그리고 "또는"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에서 인용된 임의의 그리고 모든 특허 및 비-특허 문헌은 모든 목적을 위해서 그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임의의 특별한 예와 함께 전술된 원리가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다른 예와 조합되어 설명된 원리와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간주되지 않아야 할 것이고, 이러한 개시 내용의 검토 이후에, 통상의 숙련자는 본원에서 설명된 여러 개념을 이용하여 안출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시스템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통상의 숙련자는, 본원에서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된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구성에 맞춰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임의의 통상의 숙련자가 개시된 혁신 사항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 대한 여러 가지 수정이 통상의 숙련자에게 매우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서 규정된 일반적인 원리는, 이러한 개시 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청구된 발명은 본원에서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의 언어와 일치되는 전체 범위를 허용할 것이며, 관사("a" 또는 "an")의 사용에 의한 것과 같은, 단수형의 요소에 대한 언급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기술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하나 이상"을 의미할 것이다.
통상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또는 추후에 공지될 개시 내용 전반을 통해서 설명된 여러 가지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이 본원에서 설명되고 청구된 특징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개시된 어떠한 것도, 그러한 개시 내용이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인용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대중을 위해서 헌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았다. 요소가 "~를 위한 수단" 또는 "~를 위한 단계"라는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인용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요소도 미국 특허법 하에서 "기능적(a means plus function)" 청구항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발명자(들)는,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및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것을 청구할 권리를 포함하여, 본원에서 개시된 청구 대상에 대한 모든 권리를 보유한다.
발명자(들)은 청구항이 가특허출원의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고 있고, 그에 따라 구체적인 청구항을 포함시키지 않았으나, 발명자는, 비제한적으로, 적어도 이하의 청구 대상을 청구할 권리를 보유한다.

Claims (72)

  1. 직물 구성물을 포함하는,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이며:
    위사 실 및 경사 실의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은 제1 선택된 기능적 속성을 나타내는 제1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제2 선택된 기능적 속성을 나타내는 제2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그리고 제3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및 제2 구역 사이에 배치된 전이 구역이며, 상기 모든 구역이 함께 이음매 없이 결합되는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된 구성물로서 형성되며, 제3 전이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구역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가,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기 전이 구역을 통해서, 상기 제2 구역까지 선택된 구역-유형 속성의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도록 배치된 위사 실의 세트의 적어도 5개의 서로 다른 밴드를 포함하고;
    속성의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전이 구역 내의 주어진 밴드의 높이가 상기 전이 구역의 높이의 0.001% 내지 20%이고; 그리고
    상기 기능적 속성은 내구성, 통기성, 탄성, 안락함, 방수성, 및/또는 난연성에 있어서 재료의 차이를 나타내는, 최종 제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을 위한 제1 선택된 속성이 상기 제1 구역 내의 제1 실 유형에 의존하고, 상기 제2 구역을 위한 제2 선택된 속성이 상기 제2 구역 내의 제2 실 유형에 의존하고, 상기 전이 구역의 밴드가 제1 유형 및 제2 유형의 실을 포함하고, 상기 밴드 내의 제1 실 유형의 백분율이 상기 제1 구역에 인접한 밴드로부터 상기 제2 구역에 인접한 밴드까지 점진적으로 그리고 매끄럽게 감소되는, 최종 제품.
  4. 직물 구성물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이며:
    위사 실 및 경사 실의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은 제1 선택된 기능적 속성 및 제1 선택된 시각적 속성을 나타내는 제1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제2 기능적 속성 및 제2 선택된 시각적 속성을 나타내는 제2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그리고 제3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및 제2 구역 사이에 배치된 전이 구역이며, 상기 모든 구역이 함께 이음매 없이 결합되는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된 구성물로서 형성되며, 제3 전이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전이 구역은 상기 전이 구역 내에서의 상기 선택된 기능적 속성 및 상기 선택된 시각적 속성의 점진적인 밴드에서 밴드로의 전이 내에서 선택적으로 플로트되는 상기 위사 및/또는 경사 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제1 선택된 기능적 속성 및 제1 선택된 시각적 속성을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2 선택된 기능적 속성 및 제2 선택된 시각적 속성으로 점진적으로 전이시키는 적어도 5개의 서로 다른 밴드들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인 플로트는 (1) 상기 제1 구역에 근접한 전이 구역의 제1 부분 내의, 상기 제1 구역을 반영하는 위사 실이 상기 직물 구성물의 페이스 표면에서 우선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상기 제1 구역을 반영하는 위사 실의 배치, 및/또는 (2) 상기 제2 구역에 근접한 전이 구역의 제2 부분 내의, 상기 제2 구역을 반영하는 위사 실이 상기 직물 구성물의 페이스 표면에서 우선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상기 제2 구역을 반영하는 위사 실의 배치에 의해서, 상기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형성하는, 최종 제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선택적인 플로트가 상기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나타내는 자카드 직조 구성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선택적인 플로트의 그룹화된 세트가 복수의 구분적인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이 구역의 연속적인 밴드 내에 제공되고, 상기 구분적인 형상은 상기 전이 구역을 가로질러 적어도 상기 시각적 속성의 점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패턴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최종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밴드 내에서 각각의 구분적인 형상은 화소의 역할을 하고,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패턴은 전이 구역의 부분 내에서 가로질러 이동하는 동안의 화소 크기, 형상 및/또는 간격의 변화를 포함하는, 최종 제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가 실 데니어의 점진적인 변화로 구성되어, 제1 구역으로부터 제2 구역까지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는, 최종 제품.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각각의 구역이 적어도 4 인치의 폭을 가지는, 최종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각각의 구역이 적어도 4 인치의 높이를 가지는, 최종 제품.
  17. 직물 구성물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이며:
    위사 실 및 경사 실의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은 제1 선택된 기능적 속성을 나타내는 제1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제2 선택된 기능적 속성을 나타내는 제2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그리고 제3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및 제2 구역 사이에 배치된 전이 구역이며, 상기 모든 구역이 함께 이음매 없이 결합되는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된 구성물로서 형성되며, 제3 전이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구역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가,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기 전이 구역을 통해서, 상기 제2 구역까지 선택된 구역-유형 속성의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위사 및/또는 경사 실의 세트의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전이 구역 내의 주어진 밴드의 높이가 상기 전이 구역의 높이의 0.001% 내지 20%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속성의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기능적 속성은 내구성, 통기성, 탄성, 안락함, 방수성, 및/또는 난연성에 있어서 재료의 차이를 나타내는, 최종 제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제1 구역/제2 구역 또는 제2 구역/제1 구역)의 상대적인 높이가 서로의 16% 내지 100% 이내인, 최종 제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i) 상기 제1 구역 및/또는 (ii)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상기 전이 구역의 상대적인 높이가 서로의 16% 내지 10,000% 이내인, 최종 제품.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구역 유형과 상이한 선택된 속성을 나타내는 제4 구역 유형을 가지는 제4 구역, 및 상기 제4 구역으로부터 상기 제4 구역과 상이한 구역 유형의 다른 구역까지 제4 선택된 속성을 위한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는 상기 제4 구역에 인접하는 전이 구역의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가 상기 제4 구역과 다른 구역에 인접하고 그 사이에 위치되는, 최종 제품.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제1 구역 유형의 선택된 기능적 속성이 상기 제2 구역 유형의 탄성에 비하여 큰 탄성이고, 상기 제2 구역 유형의 선택된 기능적 속성이 상기 제1 구역 유형의 내구성에 비하여 큰 내구성이며, 그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 구역의 탄성 및 내구성이 상이한, 최종 제품.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제품은, 직조된 천 또는 부직 천의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층 중 하나의 층이 직물 구성물이고, 다른 층은 방수적인 통기성 천 층이며, 상기 층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연적인(coextensive), 최종 제품.
  3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전이 구역이 사용자의 신체의 선택된 지역에 상응하며, 적어도 2개의 구역이 상이한 직조 유형인, 최종 제품.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제1 구역이, 어깨, 상부 등, 쇄골부터 상부 가슴까지, 팔꿈치, 팔 소맷부리, 다리 발목 부분, 주머니, 지퍼, 둔부 및/또는 무릎 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역에 비하여 큰 마모를 갖는 지역에 배치되는 내구성 구역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역은, 신체가 휘어지거나 굽혀지는 신체 관절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구역에 비하여 덜 내구적이고 더 탄성적인 구역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제4 구역 또는 상기 제2 구역은, 중간 가슴으로부터 하부 가슴, 복부, 중간 등으로부터 하부 등, 및/또는 겨드랑이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에 배치되는 통기성 구역 유형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
  4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역들 사이에 배치된 전이 구역의 일부가 탄성의 제1 구역 유형으로부터 제1 구역 유형에 비하여 비탄성의 제2 구역 유형까지 전이 구역에 걸친 점진적인 전이를 제공하며, 상기 구역들이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 내의 밴드에 걸친 탄성 실 유형의 실의 비율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서 전이되는, 최종 제품.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제품이 의복의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특정 구역이 의복의 물품의 전방 측면 상의 일부 및 의복의 물품의 후면 상의 다른 부분을 가지며, 상기 부분들은 서로 인접하고 직물 구성물 내에서 함께 이음매 없이 직조되는, 최종 제품.
  4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자카드 구성이 시각적 효과의 점진적인 매끄러운 전이를 포함하는, 최종 제품.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이 능직 직조를 포함하는, 최종 제품.
  45. 제39항에 있어서,
    내구성을 위한 상기 제1 구역 유형을 위한 인장 강도가 상기 제2 구역의 인장 강도 보다 적어도 10% 더 강한, 최종 제품.
  46. 제39항에 있어서,
    내구성을 위한 상기 제1 구역 유형을 위한 파열 강도가 상기 제2 구역의 파열 강도 보다 적어도 10% 더 강한, 최종 제품.
  47. 신발, 의복, 텐트, 배낭, 및 가방 품목의 물품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일부가 직물 구성물을 포함하는, 방법이며:
    직물 구성물을 직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 구성물을 직조하는 것은:
    직조 장치 상에서 경사 실의 세트를 제공하고, 제1 선택된 속성을 나타내는 제1 구역 유형의 직조된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서, 위사 실의 세트를 경사 실 내로 직조하는 단계;
    상기 장치 상에서 위사 실의 제2 세트를 제공하고, 제2 선택된 속성을 나타내는 제2 구역 유형의 직조된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서, 위사 실의 제2 세트를 경사 실 내로 직조하는 단계;
    상기 장치 상에서 위사 실의 제3 세트를 제공하고, 제3 구역 유형의 직조된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서, 위사 실의 제3 세트를 경사 실 내로 직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사이에 배치된 전이 구역이고, 상기 모든 구역은, 이음매 없이 함께 결합된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 구성물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3 전이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구역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고 그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전이 구역은, 상기 제1 선택된 속성 유형으로부터 상기 제2 선택된 속성 유형까지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며;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가, 상기 제1 구역 유형을 위한 제1 선택된 속성의 성질로부터 상기 제2 구역 유형을 위한 제2 선택된 속성의 성질까지 점진적인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위사 및/또는 경사 실의 세트의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는, 위사 실의 제3 세트를 경사 실 내로 직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을 위한 패턴을 상기 직물 구성물 상으로 맵핑하는 단계로서, 상기 패턴이 단일의, 편평한 컷아웃을 제공하고, 상기 구역들 중 특정 구역의 인접한 부분이 단일 구조물로 절단될 수 있고 이어서 연부들을 정렬시키도록 접혀져서 물품을 위한 3-차원적인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인접한 부분들 중 하나가 단일 구조물의 전방 측면 상에 배치되게 되고 상기 인접한 부분들 중 다른 것이 상기 단일 구조물의 후방 측면 상에 배치되게 되는,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을 절단하고 상기 연부들을 결합시켜 물품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2. 삭제
  53. 제47항에 있어서,
    도비 직조 기계를 이용하여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4. 삭제
  55. 삭제
  56.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이며:
    직물 구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 구성물은:
    위사 실 및 경사 실의 단일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은 제1 선택된 속성을 나타내는 제1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및 제2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역을 경계짓는 둘레를 가지며,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구역에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을 적어도 가지는 전이 구역이며, 상기 양 구역이 단일 직조 직물 내에서 함께 이음매 없이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전이 구역은,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기 전이 구역을 통해서 상기 제1 선택된 속성에 대한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위사 및/또는 경사 실의 세트의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이 구역이, 상기 직물의 둘레로부터 멀리 이격된 직물의 섹션 내로 격리되고 상기 직물의 연부로부터 연부까지 연장하지 않는,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
  5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이, 상기 직물의 둘레로부터 멀리 이격된 직물의 섹션 내로 격리되고 상기 직물의 연부로부터 연부까지 연장하지 않는, 최종 제품.
  5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이중 옷감, 이중 직조, 및 이중-페이스형 구성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복수 층 구성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제1 구역이 이중 옷감, 이중 직조, 및 이중-페이스형 구성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복수 층 구성을 포함하는,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
  60. 삭제
  61. 삭제
  62. 직물 구성물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이며:
    위사 실 및 경사 실의 직조된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은 제1 선택된 속성을 나타내는 제1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제2 선택된 속성을 나타내는 제2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 그리고 제3 구역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역을 가지며,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1 및 제2 구역 사이에 배치된 전이 구역이며, 상기 모든 구역이 함께 이음매 없이 결합되는 인접한 구역들을 가지는 단일 직조된 구성물로서 형성되며, 제3 전이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구역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여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가,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기 전이 구역을 통해서, 상기 제2 구역까지 선택된 구역-유형 속성의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위사 및/또는 경사 실의 세트의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의 제1 구역 유형이 보풀 표면을 가지는 컷 파일 직조를 포함하는, 최종 제품.
  6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텐트를 포함하는, 최종 제품.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된 기능적 속성이 통기성이고, 상기 제2 구역 유형의 통기성이 상기 제1 구역 유형의 통기성보다 작은, 최종 제품.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택된 속성이, 상기 제1 구역 유형을 위한 색채 또는 음영 보다 더 어두운 색채 또는 음영을 위한 시각적 속성을 포함하는, 최종 제품.
  66. 삭제
  67.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 유형이 내구성의 제3 선택된 속성을 더 나타내고, 상기 제1 구역 유형의 내구성이 상기 제2 구역 유형의 내구성 보다 비교적 작은, 최종 제품.
  68. 삭제
  6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제1 구역 유형의 속성이 탄성이고 상기 제2, 전이 구역이 탄성의 속성으로부터 내구성의 제2 선택된 속성까지 점진적이고 매끄럽게 전이되는,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
  7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위사 및/또는 경사 실이 상기 제2, 전이 구역의 일부 내에서 점진적인 전이로 선택적으로 플로트되어 상기 전이 구역에 걸쳐 상이한 기능적 및/또는 시각적 효과를 생성하며, 그에 따라 상기 선택적인 플로트는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선택적인 플로트는, 주어진 직조 유형의 변경으로서 속성의 점진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형성하는 자카드 직조 구성을 포함하는,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선택적인 플로트가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 내에서 구분적인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은 상기 전이 구역 내에서 그리고 상기 전이 구역을 가로질러 점진적으로 변화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속성의 점진적인 전이를 나타내는,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구성물에서 상기 패턴은 상기 전이 구역의 일부 내의 점진적으로 그리고 매끄럽게 변화되는 화소화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변화는 전이 구역의 부분 내에서 가로질러 이동하는 동안의 화소 크기, 형상 및/또는 간격의 변화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균일한 직조 유형의 선택적인 플로트에 의해서 표시되는, 의복 또는 신발의 물품.
KR1020167034397A 2014-05-09 2015-04-28 복수 구역으로 이루어진 단일 직조 직물 구성물 KR101929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91293P 2014-05-09 2014-05-09
US61/991,293 2014-05-09
PCT/US2015/027975 WO2015171363A1 (en) 2014-05-09 2015-04-28 Unitary woven fabric construct of multiple zo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304A KR20160149304A (ko) 2016-12-27
KR101929645B1 true KR101929645B1 (ko) 2018-12-14

Family

ID=5439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397A KR101929645B1 (ko) 2014-05-09 2015-04-28 복수 구역으로 이루어진 단일 직조 직물 구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60054B2 (ko)
EP (1) EP3140442A4 (ko)
JP (1) JP6562952B2 (ko)
KR (1) KR101929645B1 (ko)
CN (2) CN106661782B (ko)
HK (1) HK1258236A1 (ko)
TW (1) TWI617709B (ko)
WO (1) WO2015171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3564B1 (fr) * 2014-07-11 2017-03-24 Perrin & Fils Tissu et article d'habillement comprenant des zones de compression et methode d'obtention d'un tel tissu.
EP3300475A4 (en) 2015-04-30 2019-04-10 The North Face Apparel Corp. DEFLECTOR STRUCTURES FOR INSULATING PAD MATERIALS
AU2016270294A1 (en) * 2015-06-02 2017-12-07 Boardriders Ip Holdings, Llc Clothing articles especially useful for aquatic activities
CN105442154B (zh) * 2015-12-15 2017-05-10 机械科学研究总院先进制造技术研究中心 一种具有梯度结构的三维预制体织造方法
DE102016001411B4 (de) * 2016-02-09 2020-02-06 Hans-Martin Kner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hschafts
US10973268B2 (en) * 2016-08-25 2021-04-13 Nike, Inc. Garment with zoned insulation and variable air permeability
WO2018071641A1 (en) * 2016-10-13 2018-04-19 Danaher Thomas Non-seamed sheeting fabric having a cool portion and a warm portion
US20180279694A1 (en) * 2016-11-03 2018-10-04 Fox Head, Inc. Base layer of a garment
US10121100B2 (en) * 2016-12-20 2018-11-06 Capital One Services, Llc Two piece transaction card having fabric inlay
WO2019240867A1 (en) * 2018-06-10 2019-12-19 Advanced Functional Fabrics Of America Uniquely identifiable articles of fabric configured for data communication
WO2018129051A1 (en) 2017-01-04 2018-07-12 Advanced Functional Fabrics Of America Uniquely identifiable articles of fabric and social networks employing them
CN107541834A (zh) * 2017-10-20 2018-01-05 武汉纺织大学 一种具有拓扑结构的三维蜂窝织物及其织造方法
EP3742916A4 (en) * 2018-01-26 2021-10-27 Quantum Materials, LLC FOOTWEAR COMPONENTS WITH VARIABLE MODULE ZONES
DE102018205136A1 (de) 2018-04-05 2019-10-10 Adidas Ag Bekleidungsartikel
IT201800005281A1 (it) * 2018-05-11 2019-11-11 Metodo di tessitura per la realizzazione di articoli indossabili con specifica composizione zona per zona
US11313056B2 (en) * 2018-05-30 2022-04-26 Nike, Inc. Woven garment with grip yarns
CN109208162B (zh) * 2018-08-17 2021-04-27 华尔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进线调节方法
CN113272485A (zh) * 2018-12-21 2021-08-17 利惠商业有限公司 分区弹力编织的服装
USD923944S1 (en) * 2019-03-20 2021-07-06 The North Face Apparel Corp. Baffled material for apparel
US11358075B2 (en) * 2019-04-11 2022-06-14 Argo-Hytos Group Ag Fabric layer, flat material, filter element, filt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abric layer
WO2020212988A1 (en) 2019-04-18 2020-10-22 Delta Galil Industries Ltd. Clothing article having terry cloth adjacent to non-terry cloth
USD940962S1 (en) 2019-05-30 2022-01-11 Camelbak Products, Llc Backpack
EP3754101A1 (en) * 2019-06-19 2020-12-23 SEI S.p.A. Laser finishing method for providing a finishing pattern on a fabric
EP4010846A1 (en) 2019-08-05 2022-06-15 Advanced Functional Fabrics Of America, Inc. Machine-readable tape
WO2021050296A1 (en) * 2019-09-13 2021-03-18 Knorr Ventures, LLC Tartan encoding and decoding system
WO2021181418A1 (en) * 2020-03-11 2021-09-16 Devaraj Vikram Krishna Terry fabric with non-uniform/ differential pick density and method thereof
TWI802807B (zh) * 2020-07-23 2023-05-21 大力卜股份有限公司 建立鞋子部件模型的方法及設計鞋子的方法
US20220064825A1 (en) * 2020-09-01 2022-03-03 Casper Sleep Inc. Light woven sheet
CN113026226B (zh) * 2021-03-12 2022-12-23 鲁泰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针织服装缝制用模板、卷绕装置及缝制方法
US20230367292A1 (en) * 2022-05-11 2023-11-16 SX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zero-waste design pattern and reduction in material was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446A (ja) 1999-06-04 2000-12-12 Yoshida Sengyo:Kk 伸縮性織物
US20110070412A1 (en) * 2009-09-18 2011-03-24 Ly John T Variegated Ripstop
US20120037263A1 (en) * 2010-08-16 2012-02-16 Cassie Malloy Non-kinking self-wrapping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559A (en) 1925-09-15 1927-03-10 Jacques Rodier An improved method of spinning, and yarn used in such method
FR2095158A5 (en) 1971-06-18 1972-02-04 Billon Freres Garments - having leg or arm apertures knitted on a raschel machine
JPS5225164A (en) * 1975-08-18 1977-02-24 Unitika Ltd Method of producing special textile
JPS60462B2 (ja) 1979-05-04 1985-01-08 東レ株式会社 特殊風合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7143564A (en) * 1981-02-28 1982-09-04 Toukou Kasen Kogyo Kk Production of garment
CH655430B (ko) * 1983-04-27 1986-04-30
US4649573A (en) * 1985-05-20 1987-03-17 Yen Su Y S Garment pattern and article of clothing
JPH0657584A (ja) * 1992-08-11 1994-03-01 Kanebo Ltd 無境柄の織地
US5604997A (en) * 1995-02-24 1997-02-25 Nike, Inc.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ATE194019T1 (de) * 1995-04-06 2000-07-15 Alexander Buesgen Verfahren zum weben einer drei-dimensional geformten gewebezone
US5692319A (en) 1995-06-07 1997-12-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360° wrap fit closure system
JP3023354B2 (ja) * 1998-04-22 2000-03-21 株式会社ワコール 体型補整機能または筋肉サポート機能を有する衣類
US5978966A (en) * 1998-09-11 1999-11-09 Dicker; Timothy P. Energy expenditure garment
US6474367B1 (en) 1998-09-21 2002-11-05 Georgia Tech Research Corp. Full-fashioned garment in a fabric and optionally having intelligence capability
US6299962B1 (en) 1998-12-22 2001-10-09 Reebok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US6029376A (en) 1998-12-23 2000-02-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EP1091030B1 (de) * 1999-09-17 2003-11-26 Sattler AG Markisenstoff
US20050037844A1 (en) 2002-10-30 2005-02-17 Nike, Inc. Sigils for use with apparel
US6367168B1 (en) 2000-07-26 2002-04-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tented upper
JP2003193348A (ja) * 2001-12-18 2003-07-09 Kikuchi Kogyo Kk 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用ウェビングの製造方法
US7845022B1 (en) 2002-02-14 2010-12-07 Nike, Inc. Deposition of electronic circuits on fibers and other materials
BE1014721A5 (nl) * 2002-03-22 2004-03-02 Wiele Michel Van De Nv Werkwijze en weefmachine voor het weven van weefsels met poollussen.
US8206219B2 (en) 2002-10-30 2012-06-26 Nike, Inc. Interactive gaming apparel for interactive gaming
DE60330885D1 (de) 2002-10-30 2010-02-25 Nike International Ltd Kleidungsstücke mit bewegungserfassungsmarker für videospiele
FR2847127B1 (fr) 2002-11-14 2005-02-11 Jean Pierre Lopez Vetement pour le haut du corps essentiellement constitue d'une piece, et procede de confection d'un tel vetement
US6584707B1 (en) 2002-11-20 2003-07-01 Nike, Inc. Athletic shoe with an adjustable sizing system
US6910288B2 (en) 2002-12-18 2005-06-28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 textile with fusible filaments and fibers
US6889451B2 (en) 2003-04-23 2005-05-10 Mike, Inc. Fluid system with internal filter
US7047668B2 (en) 2003-07-24 2006-05-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a polymer layer
JP2005087611A (ja) 2003-09-19 2005-04-07 Daiwa Seiko Inc 釣り用ウエ−ダ
US7435264B2 (en) 2003-11-12 2008-10-14 Milliken & Company Sculptured and etched textile having shade contrast corresponding to surface etched regions
US7437774B2 (en) * 2004-03-19 2008-10-2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zoned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7155846B2 (en) 2004-06-03 2007-01-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rior ribs
US7568298B2 (en) * 2004-06-24 2009-08-04 Dashamerica, Inc. Engineered fabric with tightening channels
US7204042B2 (en) 2004-06-28 2007-04-17 Nike, Inc. Integrated woven upper region and lacing system
US7293371B2 (en) 2004-09-22 2007-11-13 Nike, Inc. Woven shoe with integral lace loops
US20060101674A1 (en) 2004-11-18 2006-05-18 Nike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with powered elements and shaped power source
US7836608B2 (en) 2004-12-06 2010-11-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med of multiple links
CN101142352A (zh) * 2005-01-28 2008-03-12 D·S·颜科霍姆 无缝衣服
US9332792B2 (en) * 2005-02-17 2016-05-10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utilizing targeted venting or heat retention zones that may be defined based on thermal profiles
US7428772B2 (en) * 2005-05-19 2008-09-30 Mmi-Ipco, Llc Engineered fabric articles
US7637032B2 (en) * 2005-07-29 2009-12-29 Nike, Inc. Footwear structure with textile upper member
US7500323B2 (en) 2005-08-15 2009-03-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fastening system
WO2007074833A1 (ja) 2005-12-26 2007-07-05 Mitsubishi Rayon Co., Ltd. 部分的に異なるストレッチ性を有する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8904671B2 (en) 2006-05-25 2014-12-09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 tensile element with a deposition layer
US8051586B2 (en) 2006-07-07 2011-11-08 Nike, Inc. Customization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832117B2 (en) 2006-07-17 2010-11-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full length composite plate
JP5209868B2 (ja) 2006-11-14 2013-06-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部分的に異なる通気度を有する布帛、その布帛を用いた衣類、および布帛の製造方法
US7743531B2 (en) 2006-12-20 2010-06-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expandable heel portion
US8021735B2 (en) * 2007-01-08 2011-09-20 Xymid, Llc Stitchbonded fabric with a substrate having diverse regional properties
JP2010111953A (ja) * 2007-02-13 2010-05-20 Miyake Design Jimusho:Kk 着色織布
US8302233B2 (en) 2007-09-11 2012-11-06 Nike, Inc.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and apparatus
CN101827969A (zh) 2007-09-12 2010-09-08 美登坊有限公司 含热塑易熔纱线的织物、制作含热塑易熔纱线的织物的方法、以及由含热塑易熔纱线的织物形成的纺织品
US8037621B2 (en) 2007-09-13 2011-10-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woven strap system
US7941942B2 (en) 2007-09-13 2011-05-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composite upper
US8051585B2 (en) 2008-11-06 2011-11-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ips
US20100199520A1 (en) 2009-02-06 2010-08-12 Nike, Inc. Textured Thermoplastic Non-Woven Elements
US20100199406A1 (en) 2009-02-06 2010-08-12 Nike, Inc.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US7836918B1 (en) * 2009-11-18 2010-11-23 Paradox LLC Process for imparting high stretch, recovery and modulus into a woven fabric
US7841369B1 (en) * 2009-11-18 2010-11-30 vParadox LLC Weaving process for production of a full fashioned woven stretch garment with load carriage capability
US7836917B1 (en) 2009-11-18 2010-11-23 Paradox LLC Weaving connectors for three dimensional textile products
BE1019155A3 (nl) * 2010-01-15 2012-04-03 Wiele Michel Van De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weefsels met minstens twee verschillende poolhoogtes in een zelfde poolrij.
US8893406B2 (en) 2010-02-09 2014-11-25 Nike, Inc. Footwear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522471B2 (en) 2010-06-25 2013-09-03 Pacific Aerospace & Electronics, Inc. Firearms and firearm components comprising bonded multi-metallic materials; methods of manufacture
US8800172B2 (en) 2011-04-04 2014-08-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knit upper with a polymer layer
CN103857597B (zh) 2011-08-30 2016-02-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编织包
US9119438B2 (en) 2011-12-05 2015-09-01 Nike, Inc. Sole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954481B1 (ko) 2012-01-24 2019-03-0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3차원 제직 시스템
US20130196100A1 (en) 2012-01-26 2013-08-01 Nike, Inc. Three-Dimensional Bag With Affixed Seams
US9624608B2 (en) * 2012-02-17 2017-04-18 Nike, Inc. Architecturally reinforced denim
WO2013148244A1 (en) 2012-03-27 2013-10-03 Under Armour, Inc. 3 dimensionally woven footwear
US20160270474A9 (en) 2012-03-27 2016-09-22 Under Armour, Inc. Footwear including woven upper
US20130260104A1 (en) 2012-04-03 2013-10-03 Nike, Inc. Yarns, Threads, And Textiles Incorporating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TWM452973U (zh) 2012-11-20 2013-05-11 Sun May Labels Ind Co Ltd 一體成型鞋面結構改良
US20140173933A1 (en) 2012-12-21 2014-06-26 Nike, Inc. Woven Footwear Upper With A Lockout Assembly
US9241537B2 (en) 2013-01-15 2016-01-26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that intersect
US10024740B2 (en) 2013-03-15 2018-07-17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thletic activity
WO2015100369A1 (en) * 2013-12-23 2015-07-02 The North Face Apparel Corp. Textile constructs formed with fusible fila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446A (ja) 1999-06-04 2000-12-12 Yoshida Sengyo:Kk 伸縮性織物
US20110070412A1 (en) * 2009-09-18 2011-03-24 Ly John T Variegated Ripstop
US20120037263A1 (en) * 2010-08-16 2012-02-16 Cassie Malloy Non-kinking self-wrapping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2013538302A (ja) 2010-08-16 2013-10-10 フェデラル−モーグル パワートレ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ねじれがない自己巻き付き織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0442A1 (en) 2017-03-15
US10060054B2 (en) 2018-08-28
HK1258236A1 (zh) 2019-11-08
WO2015171363A1 (en) 2015-11-12
JP6562952B2 (ja) 2019-08-21
TW201615909A (zh) 2016-05-01
CN108720139B (zh) 2020-06-02
JP2017524833A (ja) 2017-08-31
KR20160149304A (ko) 2016-12-27
TWI617709B (zh) 2018-03-11
EP3140442A4 (en) 2018-01-24
CN106661782A (zh) 2017-05-10
US20170233904A1 (en) 2017-08-17
CN108720139A (zh) 2018-11-02
CN106661782B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645B1 (ko) 복수 구역으로 이루어진 단일 직조 직물 구성물
JP7084791B2 (ja) 断熱充填材料のためのバッフル構築体
CN102630259B (zh) 杂色防撕裂布
CN106574410B (zh) 三维织物
CN105297255B (zh) 一种填芯纬加弹性纬的凹凸提花壁挂织物
CN213013265U (zh) 一种八层纱布提花面料、空调被及织物产品
CN107613799A (zh) 特别适用于水上活动的衣物
CN111020825A (zh) 一种立体纬编面料
JP7342332B2 (ja) 伸縮性織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下半身用衣類
JP2011080177A (ja) 弾性復元力を備えた細幅織物
CN104452018A (zh) 一种具有光影效果的浮雕面料
Chen Interwoven fabrics and their applications
ES2886349T3 (es) Plisado de prendas de vestir
JP2006009190A (ja) 網目組織を備えたリボン
CN113638108A (zh) 一种基于一体织造成型技术的提花短裙的成型方法
CN113897723A (zh) 高形状记忆高伸缩性负泊松比面料成型方法及其用途
PL70563Y1 (pl) Dzianina użytkow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