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204B1 -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의 제조장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의 제조장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204B1
KR101914204B1 KR1020167020436A KR20167020436A KR101914204B1 KR 101914204 B1 KR101914204 B1 KR 101914204B1 KR 1020167020436 A KR1020167020436 A KR 1020167020436A KR 20167020436 A KR20167020436 A KR 20167020436A KR 101914204 B1 KR101914204 B1 KR 101914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layer
laminate
glass substrate
recessed
transf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096A (ko
Inventor
코지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사카모토 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카모토 준 filed Critical 사카모토 준
Publication of KR2016010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93Transfer cylinders; Offset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체(60)의 제조방법은, 주면(611)을 갖는 유리기판(610)을 준비하는 공정과, 그라비어옵셋 인쇄에 의해, 유리기판(610)의 주면(611)을 덮도록 기능층(660)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기능층(660)은, 예를 들면, 비산방지층, 내지문부착층, 반사방지층 및 방현층 중 적어도 하나이다.

Description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의 제조장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LAMINATE MANUFACTURING APPARATUS, LAMINATE, AND TOUCH PANEL PROVIDED WITH LAMINATE}
본 발명은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의 제조장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표시기기의 표시화면을 구성하는 유리기판에 기능층을 형성함으로써, 표시기기에 소정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유리기판의 표면에 방오성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지문의 제거성을 향상시킨 터치패널용 방오성기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2에는, 유리기판의 표면에 접착함으로써 유리기판의 파손으로 인한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비산방지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 공개 2013-091047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 특허 공개 2013-029919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능층은, 기능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유리기판에 증착하고 가열함으로써 형성된다.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능층은, 점착제를 개재하여 유리기판에 접착된다. 그러나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능층으로는, 기능층을 형성할 때의 턱트타임(tact time)이 길어서, 양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능층을 유리기판에 형성할 때의 턱트타임을 단축하여 양산성을 향상시킨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의 제조장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주면을 갖는 유리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그라비어옵셋 인쇄에 의해,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주면을 덮도록 기능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비산방지층, 내지문부착층, 반사방지층 및 방현층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상기 공정은, 판과, 표면을 갖는 옵셋 인쇄용 블랭킷과, 기능층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기능층 조성물이 상기 판에서 상기 블랭킷으로 전사되는 공정과, 상기 기능층 조성물이 상기 블랭킷에서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주면에 전사되는 공정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블랭킷에 전사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주면에 전사하는 공정을 복수 회 반복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은 오목부 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 형성영역은, 각각이 오목부를 규정하는 복수의 오목부영역과, 상기 복수의 오목부영역 중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상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영역은 상면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상면부와 평행인 밑면부를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상기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제조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판과, 표면을 갖는 옵셋 인쇄용 블랭킷과,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기능층 조성물을 상기 판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랭킷은, 상기 판에서 전사된 상기 기능층 조성물을 유리기판에 전사시킨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은 오목부 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 형성영역은, 각각이 오목부를 규정하는 복수의 오목부영역과, 상기 복수의 오목부영역 중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상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영역은 상면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상면부와 평행인 밑면부를 갖는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영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영역은 상기 복수의 상부영역보다 크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는, 주면을 갖는 유리기판과,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주면을 덮도록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기능층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터치패널은, 상술한 적층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능층을 유리기판에 형성할 때의 턱트타임을 단축하여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널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 (b) 및 (c)는 기능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의 전사롤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a)에 기재된 오목부 형성영역의 모식적인 확대도이며, (c)는 (b)의 IVC-IVC선을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형태의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패널(600)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는 터치패널(600)의 한 예로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을 설명한다. 터치패널(600)은 유리기판(610, 620), 제1 전극층(630), 제2 전극층(640), 점착층(650) 및 기능층(660)을 구비한다.
유리기판(610)은 평판형의 형상을 가지며, 투광성을 갖는다. 유리기판(610)은 터치패널(600)의 관찰자측(터치패널(600)을 조작하는 유저측)에 배치되며, 터치패널(600)의 관찰자에 면한 제1 주면(611)과, 제1 주면(611)과 서로 마주하는 제2 주면(612)을 갖는다.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는 기능층(660)이 배치된다. 유리기판(610)의 제2 주면(612)에는 제1 전극층(630)이 배치된다.
기능층(660)은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터치패널(600)에 소정의 기능을 부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능층(660)은 비산방지층이다. 기능층(660)은, 낙하 등의 충격으로 인해 유리기판(610)이 파손되어 버린 경우에 유리기판(610) 조각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능층(660)의 재료로는, 주지의 비산방지용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기능층(660) 재료의 예로서, 광경화성수지 타입, 열경화성수지 타입, 또는 2액혼합반응액 타입의 재료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광경화성수지 타입에서는 라디칼계 경화계 또는 카티온계 경화계의 재료가 이용된다. 라디칼계 경화계의 재료로는, 아크릴계, 엔-티올계, 또는 비닐에테르계의 재료 등이 포함되며, 카티온계 경화계의 재료로는, 에폭시계, 옥세탄계, 비닐에테르계의 재료 등이 포함된다. 또 열경화성수지 타입의 재료로는, 에폭시계, 페놀계, 폴리에스터계의 재료 등이 포함된다.
유리기판(620)은 평판형의 형상을 가지며, 투광성을 갖는다. 유리기판(620)은 터치패널(600)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는 표시장치(예를 들면 액정모니터)측에 배치되며, 표시장치에 면한 제1 주면(621)과, 제1 주면(621)과 서로 마주하는 제2 주면(622)을 갖는다. 유리기판(620)의 제2주면(622)에는 제2 전극층(640)이 배치된다. 유리기판(610) 및 유리기판(620)은, 제1 전극층(630)과 제2 전극층(640)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층(650)에 의해 접합된다.
터치패널(600)에서는, 기능층(660)에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제1 전극층(630) 및 제2 전극층(640)이 검출하고, 검출된 정전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특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60)는, 본 실시형태에서 유리기판(610)과 기능층(660)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60)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적층체(6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유리기판(610)을 준비한다.
다음에,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에 의해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을 덮도록 기능층(660)을 형성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기능층(660)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능층(660)을 형성하는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를 준비한다.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는 인쇄기(70)를 구비한다.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는 유리기판(610)을 반송하는 반송부(5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인쇄기(70)는 판롤(10), 전사롤(20) 및 공급부를 갖는다. 판롤(10) 및 전사롤(20)은 각각 회전 가능하다. 판롤(10)에는 소정의 패턴에 오목한 홈(111)(도 3 참조)이 형성된다. 이 패턴은,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 형상에 대응한다. 전사롤(20)의 표면에는 블랭킷이 장착된다. 블랭킷은,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된다. 공급부(80)는, 기능층(660)을 형성하는 기능층 조성물(K)을 판롤(10)에 공급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롤(10)에 형성된 오목한 홈(111)에, 기능층(660)을 형성하는 기능층 조성물(K)이 공급된다. 여기서, 전사롤(20) 및 판롤(10)은 각각 동등한 각속도로 회전한다. 판롤(10)로의 기능층 조성물(K) 공급은 공급부(80)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공급부(80)에 의해, 기능층 조성물(K)을 판롤(10) 상부에서 떨어뜨려도 되고, 또는 공급부(80)가 기능층 조성물 저장부인 경우에는, 기능층 조성물(K)은 기능층 조성물 저장부에서 공급되어도 된다. 또는 공급부(80)가 노즐인 경우에는, 기능층 조성물(K)은 노즐에서 판롤(10)을 향해 분출되어도 된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롤(10)은 전사롤(20)에 기능층 조성물(K)을 전사한다. 회전하는 판롤(10) 상의 기능층 조성물(K)이 전사롤(20)과 접촉하면, 기능층 조성물(K)은 전사롤(20)에 전사된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롤(20)은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기능층 조성물(K)을 전사한다. 회전하는 전사롤(20) 상의 기능층 조성물(K)이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과 접촉하면, 기능층 조성물(K)은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전사된다. 이로써,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기능층(660)이 형성된다.
또한,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전사된 기능층 조성물(K)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추가로 후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기능층(660)의 재료로서 열경화성수지 타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는 가열장치(40)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가열장치(4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기능층 조성물(K)이 경화되어 기능층(660)이 형성된다. 한편, 기능층(660)의 재료로서 광경화성수지 타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는 광조사장치(도시 생략)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기능층 조성물(K)에 대하여 소정 파장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기능층 조성물(K)이 경화되어 기능층(660)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60)의 제조방법, 적층체(60), 및 터치패널(600)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능층(660)은,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에 의해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의 적어도 일부에 인쇄되어 형성된다.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의 고속 또한 연속 인쇄에 의해,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기능층(660)을 형성할 때의 턱트타임(tact time)이 단축되므로, 적층체(60)의 양산성이 향상된다. 또,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에 의하면, 예를 들면 곡면형상의 제1 주면(611)을 갖는 유리기판(610) 또는 대형 유리기판이어도 기능층(660)의 형성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능층(66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전사롤(20)을 구비한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의 전사롤(2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기재된 오목부 형성영역의 모식적인 확대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IVC-IVC선을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전사롤(20)을 설명한다. 전사롤(20)은 블랭킷(21)과 코어(22)를 갖는다. 코어(22)는 외주면(23)을 갖는다. 블랭킷(21)은 코어(22)의 외주면(23)에 장착된다.
블랭킷(21)의 표면(H)에는 오목부 형성영역(30)이 형성된다. 오목부 형성영역(30)은 복수의 오목부영역(32)과 복수의 상부영역(31)을 포함한다. 복수의 오목부영역(32)은 각각 오목부를 규정한다. 복수의 오목부는 격자형으로 나열된다. 상부영역(31)은 복수의 오목부영역(32)을 연락한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오목부 형성영역(30)을 설명한다. 오목부 형성영역(30)은 복수의 오목부영역(32(오목부영역(32a, 32b, 및 32c)))과 복수의 상부영역(31(상부영역(31a 및31b)))을 포함한다. 복수의 오목부영역(32)은 각각 오목부(오목부(35a, 35b, 및 35c))를 갖는다. 상부영역(31)은, 인접하는 오목부영역(32)에 의해 규정된다. 복수의 오목부(오목부(35a, 35b, 및 35c))는, 상면부(상면부(33a 및 33b))와 평행인 밑면부(밑면부(34a, 34b, 및 34c))를 갖는다.
오목부 형성영역(30) 내에서 복수의 오목부영역(32)은 상부영역(31)보다 크다. 오목부 형성영역(30) 중에서 복수의 오목부영역(32)이 차지하는 비율은, 예를 들면 50%~95%이다. 코어(22)에 블랭킷(21)을 장착하면, 밑면부는 코어 표면을 따른다. 코어(22)에 블랭킷(21)을 장착하면, 상면부는 코어 표면을 따른다.
복수의 오목부(35)의 깊이(d1)는, 예를 들면 0mm보다 크고 3m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깊이(d1)는, 0.3mm 이상 0.4mm 이하이다. 복수의 오목부(35)의 크기(d2)는, 예를 들면 30μm 이상 1000μm 이하이다. 복수의 오목부의 간격(d3)은, 예를 들면 30μm 이상 1000μm 이하이다.
이상, 도 4를 참조하여,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본 실시형태의 전사롤(20)을 설명하였다. 전사롤(20)이 갖는 블랭킷(21)에서 복수의 상부영역은 상면부를 가지며, 복수의 오목부는 상면부와 평행인 밑면부를 갖는다. 복수의 오목부에도 기능층 조성물을 담아둘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전사롤(20)에 의하면, 한 번의 인쇄로 전사할 수 있는 기능층 조성물의 양을 많게 할 수 있어,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두꺼운 기능층(660)을 인쇄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능층(660)의 비산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오목부 형성영역 내에서, 복수의 오목부영역은 상부영역보다 크다. 따라서 보다 많은 기능층 조성물을 복수의 오목부에 담아둘 수 있고,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두꺼운 기능층(660)을 인쇄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능층(660)의 비산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기능층(660)은 비산방지층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층(660)은 내지문부착층, 반사방지층 또는 방현층일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층(660)의 재료로서는 주지의 내지문부착재료, 반사방지재료 또는 방현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에서,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는 1번의 인쇄에 의해 기능층(660)을 형성했으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60)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형태의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 및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에 의한 기능층(660)의 형성공정을 설명한다.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100)는 인쇄기(70a, 70b, 70c), 가열장치(40a, 40b, 40c) 및 반송부(50)를 구비한다. 인쇄기(70a, 70b 및 70c)는 각각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인쇄기(7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능층(660)의 형성 시, 먼저 인쇄기(70a)에 의해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기능층 조성물(Ka)이 인쇄된다. 그리고 가열장치(40a)에 의해, 기능층 조성물(Ka)이 가열되어 기능층(660a)이 형성된다. 이어서 인쇄기(70b)에 의해, 기능층 조성물(Ka) 위에 기능층 조성물(Kb)이 인쇄된다. 그리고 가열장치(40b)에 의해, 기능층 조성물(Kb)이 가열되어 기능층(660b)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인쇄기(70c)에 의해, 기능층 조성물(Kb) 위에 기능층 조성물(Kc)이 인쇄된다. 그리고 가열장치(40c)에 의해, 기능층 조성물(Kc)이 가열되어 기능층(660c)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기능층을 겹쳐 바름으로써 기능층을 적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층 조성물(Ka, Kb 및 Kc)로서 동일한 비산방지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두꺼운 비산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기능층 조성물(Ka, Kb 및 Kc)로서 각각 다른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능층 조성물(Ka)로서 비산방지재료를 사용하고, 기능층 조성물(Kb)로서 반사방지재료를 사용하며, 기능층 조성물(Kc)로서 내지문부착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유리기판(610)의 제1 주면(611)에 비산방지층, 반사방지층 및 내지문부착층을 적층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터치패널의 예로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을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패널은 저항막방식, 전자유도방식 또는 적외선방식의 터치패널이어도 된다. 이들 터치패널의 구성에 대해서는 주지의 구성이 채용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적층체의 제조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능층을 그라비어옵셋 인쇄에 의해 유리기판에 직접 형성할 수 있다.
10 : 판롤  111 : 오목한 홈
20 : 전사롤 21 : 블랭킷
22 : 코어 23 : 외주면
30 : 오목부 형성영역 31, 31a, 31b : 상부영역
32, 32a, 32b, 32c : 오목부영역
33a, 33b : 상면부 34a, 34b, 34c : 밑면부
40, 40a, 40b, 40c : 가열장치
50 : 반송부 600 : 터치패널
610, 620 : 유리기판 611 : 제1 주면
612 : 제2 주면 630 : 제1 전극층
640 : 제2 전극층 650 : 점착층
660 : 기능층
70, 70a, 70b, 70c : 인쇄기
80 : 공급부 100 : 인쇄장치

Claims (10)

  1. 주면을 갖는 유리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판롤과 전사롤을 갖는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그라비어옵셋 인쇄장치를 이용한 그라비어옵셋 인쇄에 의해,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주면의 정해진 범위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기능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롤은, 표면을 갖는 옵셋 인쇄용 블랭킷을 가지며,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은, 오목부 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 형성영역은, 각각이 오목부를 규정하는 복수의 오목부영역과, 상기 복수의 오목부영역 중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상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영역은, 상면부를 가지며,
    복수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상면부와 평행인 밑면부를 갖는,
    적층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비산방지층, 내지문부착층, 반사방지층 및 방현층 중 적어도 하나인, 적층체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기능층 조성물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기능층 조성물이, 상기 판롤에서 상기 전사롤로 전사되는 공정과,
    상기 기능층 조성물이, 상기 전사롤에서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주면에 전사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롤에 전사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기판의 상기 주면에 전사하는 공정을 복수 회 반복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3mm 이상 3mm 이하인, 적층체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제조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판롤과,
    전사롤과,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기능층 조성물을 상기 판롤로 공급하는 공급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전사롤은, 상기 판롤에서 전사된 상기 기능층 조성물을 유리기판에 전사시키고,
    상기 전사롤은, 표면을 갖는 옵셋 인쇄용 블랭킷을 가지며,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은, 오목부 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 형성영역은, 각각이 오목부를 규정하는 복수의 오목부영역과, 상기 복수의 오목부영역 중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상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영역은, 상면부를 가지며,
    복수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상면부와 평행인 밑면부를 갖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3mm 이상 3mm 이하인, 적층체의 제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영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복수의 상부영역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적층체의 제조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67020436A 2013-12-26 2014-12-22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의 제조장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 KR101914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9207 2013-12-26
JP2013269207 2013-12-26
PCT/JP2014/083919 WO2015098844A1 (ja) 2013-12-26 2014-12-22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の製造装置、積層体、及び積層体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096A KR20160103096A (ko) 2016-08-31
KR101914204B1 true KR101914204B1 (ko) 2018-11-01

Family

ID=5347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436A KR101914204B1 (ko) 2013-12-26 2014-12-22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의 제조장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78385B2 (ko)
JP (1) JP6316317B2 (ko)
KR (1) KR101914204B1 (ko)
CN (1) CN105848885A (ko)
TW (1) TWI603853B (ko)
WO (1) WO2015098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5070A (zh) * 2016-11-10 2017-04-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印刷设备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8673A (ja) * 2007-08-30 2009-03-19 Fujimori Kogyo Co Ltd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
CN101600332A (zh) * 2008-06-02 2009-12-09 株式会社东进世美肯 防电磁波过滤器及其制造方法及包含该过滤器的显示器
JP2010134301A (ja) * 2008-12-07 2010-06-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1648A (en) * 1988-03-14 1989-08-29 Gila River Products, Inc. Materials for laminat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JPH0248357U (ko) 1988-09-29 1990-04-04
JPH0628098A (ja) 1992-07-07 1994-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明タッチパネル
CA2175707A1 (en) * 1993-11-03 1995-05-11 Peter Lawrence Bocko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inting
JPH1080660A (ja) 1996-09-09 1998-03-31 Toyo Ink Mfg Co Ltd 感熱転写材の製造方法
JP2000167977A (ja) 1998-12-11 2000-06-20 Nisshin Steel Co Ltd 耐熱非粘着意匠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293084B2 (ja) 1999-02-04 2002-06-17 日新製鋼株式会社 耐熱非粘着プレコート鋼板
TW507500B (en) 2001-01-09 2002-10-21 Sumitomo Rubber Ind Electrode plate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933051B2 (en) * 2002-08-17 2005-08-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JP4069369B2 (ja) 2002-09-25 2008-04-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反射防止膜及び反射防止膜の製造方法
TW200600344A (en) 2004-06-29 2006-01-01 Top Digital Co Ltd Intaglio offset printing machine
JP4754273B2 (ja) 2005-06-06 2011-08-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導電性インク、導電性パターンおよび導電体
JP2006343920A (ja) 2005-06-08 2006-12-21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736860B2 (ja) 2006-03-03 2011-07-27 日鉄住金鋼板株式会社 ロール塗装方法
JP5020642B2 (ja) * 2007-01-15 2012-09-05 阪本 順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多層構造形成方法
JP2009295980A (ja) * 2008-06-02 2009-12-17 Dongjin Semichem Co Ltd 電磁波遮蔽用フィルター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2010191169A (ja) 2009-02-18 2010-09-02 Oji Paper Co Ltd 輝度均斉化シートおよび面光源装置
TWI494953B (zh) 2009-10-07 2015-08-01 Sakamoto Jun A conductive thin film structu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thin film structure
JP2011086786A (ja) 2009-10-16 2011-04-28 Bridgestone Corp 光透過性電磁波シールド材の製造方法、及び光透過性電磁波シールド材
JP5416546B2 (ja) 2009-10-23 2014-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基板
WO2011062085A1 (ja) * 2009-11-20 2011-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機能付きフレキシブル表示パネル
KR20130100950A (ko) 2010-07-05 2013-09-1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도전층 부착 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용 투명 도전막 적층체, 터치 패널
WO2012032920A1 (ja) * 2010-09-06 2012-03-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位相差板、位相差板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EP2615528B1 (en) 2011-02-07 2016-04-06 Dexerials Corporation Transparent conductive element, input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ster for fabrication of transparent conductive element
JP2013029919A (ja) 2011-07-27 2013-02-07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ガラス飛散防止フィルム
WO2013035582A1 (ja) 2011-09-09 2013-03-14 Dic株式会社 受容層形成用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受容基材、印刷物、導電性パターン及び電気回路
JP2013091047A (ja) 2011-10-27 2013-05-16 Asahi Glass Co Ltd 防汚性基板の製造方法
JP5045857B1 (ja) 2012-02-22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防汚層、防汚性基材、表示装置および入力装置
JP2015000822A (ja) 2013-06-13 2015-01-05 旭硝子株式会社 飛散防止膜付き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TWI586554B (zh) * 2013-12-20 2017-06-11 阪本順 膜形成用橡皮布、印刷裝置、印刷方法以及膜形成用橡皮布製造方法
US9455142B2 (en) * 2014-02-06 2016-09-27 Transtron Solutions Llc Molecular precursor compounds for ABIGZO zinc-group 13 mixed oxide materi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8673A (ja) * 2007-08-30 2009-03-19 Fujimori Kogyo Co Ltd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
CN101600332A (zh) * 2008-06-02 2009-12-09 株式会社东进世美肯 防电磁波过滤器及其制造方法及包含该过滤器的显示器
JP2010134301A (ja) * 2008-12-07 2010-06-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8844A1 (ja) 2015-07-02
CN105848885A (zh) 2016-08-10
US10078385B2 (en) 2018-09-18
JP6316317B2 (ja) 2018-04-25
US20160328038A1 (en) 2016-11-10
JPWO2015098844A1 (ja) 2017-03-23
TW201527134A (zh) 2015-07-16
KR20160103096A (ko) 2016-08-31
TWI603853B (zh)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6893B2 (en) Curv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201102126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KR101279369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잉크 인쇄 방법
TWI470501B (zh) 具有多層印刷層的裝置及其印刷方法
CN103713768A (zh) 显示装置的盖板结构、触控面板结构及防护面板结构
KR101574254B1 (ko) 터치패널센서용 적층필름
TW201509677A (zh) 電子裝置
US20160243763A1 (en) An optimized method of three-dimensional printing
KR101355179B1 (ko) 터치패널센서
JP4716235B1 (ja) 画像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US937589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025710A1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14204B1 (ko) 적층체의 제조방법, 적층체의 제조장치, 적층체, 및 적층체를 구비한 터치패널
KR20140063482A (ko) 터치스크린을 위한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커버글라스
KR20130117101A (ko)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877B1 (ko) 엠보싱 장식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94097B1 (ko) 곡면을 가진 물체에 데코레이션층을 형성하는 방법
TW201536568A (zh) 橡皮布、印刷裝置、印刷方法以及橡皮布製造方法
JP5874387B2 (ja) 装飾体
KR102238788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5707176B2 (ja) 装飾透明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M381520U (en) Improved display-panel protection structure
KR101518000B1 (ko)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및 터치패널센서
KR20160107459A (ko) 모바일 및 it기기용 윈도우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
CN203805322U (zh) 一种3d图像打印用平面载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