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165B1 -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 Google Patents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165B1
KR101911165B1 KR1020170018031A KR20170018031A KR101911165B1 KR 101911165 B1 KR101911165 B1 KR 101911165B1 KR 1020170018031 A KR1020170018031 A KR 1020170018031A KR 20170018031 A KR20170018031 A KR 20170018031A KR 101911165 B1 KR101911165 B1 KR 101911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top bridge
case
half body
hea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635A (ko
Inventor
류이치 아베
나오토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91Flat filter elements, e.g.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5/00Fuel tank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0/00Arrangements of air clea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J40/10Arrangements of air clea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haracterised by air duc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2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04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14Handlebar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of controls thereon,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2M7/06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directly under the saddle or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4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for connecting or joining to other devices, e.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02M35/048Arranging or mounting on or with respect to engines or vehicl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13Means upstream of the air filter; Connection to the ambien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2Motorcycles; All-terrain vehicles, e.g. quads, snowmobiles; Small vehicles, e.g. fork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Abstract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시트(13)와 시트(13)의 전방의 헤드 파이프(14)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구비한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헤드 파이프(14)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5)과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반체(90)와, 메인 프레임(15)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체(91)를 구비하고, 상부 반체(91)는, 상하 2분할 구조로 마련되며, 상부 반체(91)의 상하 2분할 구조의 분할면(103)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경사진 분할면(103)을 따라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부착된다.

Description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AIR-CLEANER STRUCTURE OF SADDLE-RIDE TYPE VEHICLE}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탑승자 시트와 탑승자 시트의 전방의 헤드 파이프 사이에, 가로로 긴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5-45320호 공보
상기 종래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에서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가로로 길게 형성하여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크게 확보하도록 하고 있지만, 에어 클리너 케이스가 전후 방향으로도 대형화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탑승자 시트(13)와 그 탑승자 시트(13)의 전방의 헤드 파이프(14)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구비한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상기 헤드 파이프(14)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5)와 상기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반체(90)와, 상기 프레임 부재(15)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체(9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반체(91)는, 상하 2분할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상하 2분할 구조의 분할면(103)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경사진 상기 분할면(103)을 따라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클리너 케이스는,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와 헤드 파이프의 후방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반체와, 프레임 부재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체를 구비하고, 상부 반체는, 상하 2분할 구조로 마련되며, 상부 반체의 상하 2분할 구조의 분할면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경사진 분할면을 따라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가 부착된다. 이에 의해,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가, 상부 반체의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분할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상하 방향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가 차지하는 전후 방향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분할면이 좌우 한 쌍의 프레임 부재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 파이프(14)의 상방에서 프론트 포크(70)를 지지하는 톱 브릿지(71)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반체(90)는, 상기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분할면(103)은,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며, 상기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반체는, 톱 브릿지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 반체와 상부 반체의 결합부가 톱 브릿지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톱 브릿지가 회동하였을 때에 상기 결합부와 톱 브릿지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체의 분할면은,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며, 톱 브릿지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부 반체의 분할면의 전방부와 톱 브릿지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전방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 케이스와 탑승자 시트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반체(91)의 전방부에는, 외기를 받아들이는 흡입 덕트(87)가 마련되며, 조타용의 바 핸들(73)은, 그 바 핸들(73)의 하단(73a)과 상기 톱 브릿지(71)의 상면(71c) 사이에 마련되는 핸들 포스트(74)에 의해, 상기 톱 브릿지(71)의 상기 상면(71c)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흡입 덕트(87)는, 상기 바 핸들(73)의 상기 하단(73a)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2)의 하방이자 상기 톱 브릿지(71)의 상기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반체의 전방부에는, 외기를 받아들이는 흡입 덕트가 마련되며, 조타용의 바 핸들은, 바 핸들의 하단과 톱 브릿지의 상면 사이에 마련되는 핸들 포스트에 의해, 톱 브릿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흡입 덕트는, 바 핸들의 하단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의 하방이자 톱 브릿지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핸들 포스트에 의해 바 핸들을 상방에 마련함으로써, 바 핸들과 톱 브릿지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흡입 덕트를, 바 핸들 및 톱 브릿지와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한 상태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 덕트(87)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핸들락 장치(120)가, 좌우의 상기 흡입 덕트(87) 사이이자, 상기 흡입 덕트(87)와 상기 핸들 포스트(74)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락 장치가, 좌우의 흡입 덕트 사이이자, 흡입 덕트와 핸들 포스트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흡입 덕트와 핸들 포스트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핸들락 장치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핸들락 장치가 방해가 되기 어려워, 흡입 덕트의 길이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내부에서 좌우의 상기 흡입 덕트(87) 사이에, 흡기 센서(8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내부에서 좌우의 흡입 덕트 사이에, 흡기 센서가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내부에서 좌우의 흡입 덕트 사이의 넓은 공간의 흡기를 흡기 센서로 검출할 수 있어,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평면에서 보아 차량 전방측이 광폭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는, 평면에서 보아 차량 전방측이 광폭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후방부의 폭이 작아져,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후방부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후방의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톱 브릿지(71)는, 상기 프론트 포크(70)의 상단을 상기 톱 브릿지(71)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프론트 포크(7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톱 브릿지는, 프론트 포크의 상단을 톱 브릿지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프론트 포크를 지지하기 때문에, 톱 브릿지의 위치가 낮아져, 톱 브릿지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기 위해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상부를 작게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상부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차량 전방면측에는, 전타(轉舵)하는 상기 프론트 포크(70)를 피하는 전타 여유부(10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차량 전방면측에는, 전타하는 프론트 포크를 피하는 전타 여유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프론트 포크측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후방의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탑승자 시트(13)의 하방에 연료 탱크(57)가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 시트(13)의 전방에 그 탑승자 시트(13)보다 하방으로 움푹 패인 걸침부(56)가 마련되고, 상기 연료 탱크(57)의 급유구(57a)는, 상기 탑승자 시트(13)의 상기 걸침부(56)측에 마련된 리드(44a)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 시트의 전방에 탑승자 시트보다 하방으로 움푹 패인 걸침부가 마련되고, 탑승자 시트의 하방의 연료 탱크의 급유구는, 탑승자 시트의 걸침부측에 마련된 리드로부터 노출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톱 브릿지의 후방에 배치함에 따른 빈 공간을 이용하여, 탑승자 시트의 전방에 걸침부를 마련할 수 있어, 탑승자 시트의 걸침부측에 마련된 리드로부터 노출되는 급유구를 통해 연료 탱크에 용이하게 급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분할면(103)은, 측면에서 보아 상기 톱 브릿지(71)의 상단보다 상방을 지나는 전방 상향의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반체의 분할면은, 측면에서 보아 톱 브릿지의 상단보다 상방을 지나는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상하 방향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서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톱 브릿지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전방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어,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덕트를, 바 핸들 및 톱 브릿지와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한 상태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덕트와 핸들 포스트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핸들락 장치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흡기 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후방부의 폭이 작아져,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후방부를 컴팩트화하여 탑승자 스페이스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 케이스의 상부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타 여유부에 의해,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프론트 포크측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시트의 걸침부측에 마련된 리드로부터 노출되는 급유구를 통해 연료 탱크에 용이하게 급유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체의 분할면이 톱 브릿지보다 큰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차체 프레임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 및 조타계의 주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 및 조타계의 주변부의 구성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측 케이스의 단체를 후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8은 상측 케이스를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X-X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라고 하는 방향의 기재는,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차체에 대한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내는 부호 FR은 차체 전방을 나타내고, 부호 UP는 차체 상방을 나타내며, 부호 LH는 차체 좌측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의 측면도에서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은, 한쪽의 것만이 도시되어 있다.
자동 이륜차(1)는, 차체 프레임(F)에 파워 유닛으로서의 엔진(10)이 지지되고, 전륜(2)을 조타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타계(11)가 차체 프레임(F)의 전단에 조타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륜(3)을 지지하는 스윙 아암(12)이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측에 마련된 차량이다. 자동 이륜차(1)는, 탑승자가 올라타서 착좌하는 승차용의 시트(13)(탑승자 시트)가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의 상방에 마련된 안장형의 차량이다.
도 2는 차체 프레임(F)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체 프레임(F)은, 전단에 마련되는 헤드 파이프(14)와,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부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5, 15)(프레임 부재)과, 메인 프레임(15, 15)의 전단부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프레임(16, 16)과, 메인 프레임(15, 15)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피봇 프레임(17, 17)과, 피봇 프레임(17, 17)의 상부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차량 후단부까지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프레임(18, 18)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15, 15)은, 헤드 파이프(14)의 하부로부터 비교적 완만한 경사로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 본체부(15a, 15a)와, 헤드 파이프(14)의 상부와 메인 프레임 본체부(15a, 15a)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부(15b, 15b)를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 본체부(15a, 15a)는, 헤드 파이프(14)로부터 연장되어 평면에서 보아 후방측일수록 차폭 방향의 간격이 커지는 프레임 전방부(15c, 15c)와, 프레임 전방부(15c, 15c)의 후단으로부터 서로 대략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후방부(15d, 15d)를 구비한다.
좌우의 보강 프레임부(15b, 15b)는, 후방측일수록 서로의 차폭 방향의 간격이 커지며, 메인 프레임 본체부(15a, 15a)보다 큰 경사로 후방 하향으로 연장된다. 보강 프레임부(15b, 15b)의 전단부에는, 스테이(27, 27)가 마련된다. 또한, 보강 프레임부(15b, 15b)는, 스테이(27, 27)의 후방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 스테이(34, 34)를 구비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은, 메인 프레임 본체부(15a, 15a)의 전후의 중간부와 다운 프레임(16, 16)을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연결 프레임(19, 19)을 구비한다.
피봇 프레임(17, 17)은, 피봇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상하의 중간부에 구비하고, 이 피봇 구멍에는, 좌우의 피봇 프레임(17, 17)을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피봇축(31)이 삽입 관통된다.
차체 프레임(F)은, 메인 프레임 본체부(15a, 15a)의 프레임 후방부(15d, 15d)의 전방부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전방측 크로스 프레임(20)과, 피봇 프레임(17, 17)의 상단부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측 크로스 프레임(21)과, 피봇 프레임(17, 17)의 하단부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하측 크로스 프레임(22)을 구비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은, 시트 프레임(18, 18)의 전방부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후방측 크로스 프레임(23)과, 시트 프레임(18, 18)의 후단부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후단측 크로스 프레임(24)과, 후방측 크로스 프레임(23)과 후단측 크로스 프레임(24) 사이에서 시트 프레임(18, 18)을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크로스 프레임(25)을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F)은, 다운 프레임(16, 16)의 하단부에 전방측 엔진 행거(26)(도 1)를 구비하고, 전방측 크로스 프레임(20)에 상측 엔진 행거(28)(도 2)를 구비하며, 메인 프레임 본체부(15a, 15a)의 후단부에 후방측 엔진 행거(29)를 구비하고, 하측 크로스 프레임(22)에 하측 엔진 행거(30)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12)은, 피봇축(31)에 전단부가 피봇 지지되어, 피봇축(31)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한다. 후륜(3)은, 스윙 아암(12)의 후단부에 삽입 관통되는 후륜 차축(32)에 피봇 지지된다.
엔진(10)은, 피봇 프레임(17, 17)의 전방에서 차체 프레임(F)으로부터 매달리도록 탑재된다.
엔진(10)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축(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35)와, 크랭크 케이스(35)의 전방부로부터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부(36)를 구비한다. 크랭크 케이스(35)는, 메인 프레임(15, 15)의 프레임 후방부(15d, 15d)의 하방에 위치한다. 실린더부(36)는, 메인 프레임(15, 15)을 따르도록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전방부는, 좌우의 다운 프레임(16, 16) 사이, 및, 좌우의 연결 프레임(19, 19) 사이에 위치한다. 크랭크 케이스(35)의 후방부에는, 변속기가 수용된다.
엔진(10)은, 전방측 엔진 행거(26), 상측 엔진 행거(28), 후방측 엔진 행거(29) 및 하측 엔진 행거(30)를 통해 차체 프레임(F)에 지지된다.
엔진(10)은, 실린더부(36)의 실린더 축선(C)이 연직보다 수평측에 가까워지도록 전방으로 경사진 엔진이며, 엔진(10)의 상방에는 공간이 확보된다.
엔진(10)의 출력은, 엔진(10)의 출력축(도시하지 않음)과 후륜(3) 사이에 감기게 되는 체인(37)에 의해 후륜(3)에 전달된다.
엔진(10)의 배기관(38)은, 실린더부(36)의 실린더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고, 엔진(10)의 하방을 지나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윙 아암(12)의 우측방의 머플러(39)에 접속된다.
엔진(10)에 공급되는 공기(외기)를 정화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메인 프레임(15, 15)의 전방부의 상방에서 헤드 파이프(14)의 후방에 배치된다.
엔진(10)의 라디에이터(42)는, 헤드 파이프(14)의 하방에서 실린더부(36)의 전방에 배치된다.
시트(13)는, 운전자(탑승자)용의 전방측 시트(44)와, 전방측 시트(44)보다 한층 높은 패신저(동승자)용의 후방측 시트(45)를 일체로 구비한다. 시트(13)는, 전단부의 힌지(13a)를 통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전방측 시트(44)는, 메인 프레임(15, 15)의 후방부의 상방 및 피봇 프레임(17, 17)의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전방측 시트(44)는, 크랭크 케이스(35)의 후방부의 상방에 위치한다.
후방측 시트(45)는, 시트 프레임(18, 18)의 후방부의 상방에 배치된다. 후방측 시트(45)의 좌우의 측방에는, 후방측 시트(45)에 착좌한 패신저가 파지하는 파지부(46, 46)가 각각 마련된다.
피봇 프레임(17, 17)의 외측면에는, 판형의 스텝 홀더(47, 47)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운전자용의 좌우 한 쌍의 서브 스텝(48, 48) 및 패신저용의 좌우 한 쌍의 패신저 스텝(49, 49)은, 스텝 홀더(47, 47)에 각각 지지된다. 운전자용의 좌우 한 쌍의 메인 스텝(50, 50)은, 전방측 시트(44)의 전방 하방에 마련된다.
메인 스탠드(51)는, 피봇 프레임(17, 17)의 하부에 연결된다. 사이드 스탠드(52)는, 차체 프레임(F)의 하부의 좌단부에 마련된다.
자동 이륜차(1)는, 차체를 덮는 차체 커버(60)를 구비한다. 차체 커버(60)는, 헤드 파이프(14) 및 조타계(11)의 상부를 전후 및 좌우 측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커버(61)와, 프론트 커버(61)의 하부의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15, 15)을 상방 및 좌우의 측방으로부터 덮는 시트 하부 커버(62)와, 시트 하부 커버(62)의 하방에서, 엔진(10) 및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좌우 한 쌍의 중간 측면 커버(63, 63)를 구비한다.
또한, 차체 커버(60)는, 엔진(10)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언더 커버(64)와, 시트 하부 커버(62)의 후방에서 시트(13)의 하방을 측방으로부터 덮는 좌우 한 쌍의 리어 커버(65, 65)와, 엔진(10)의 후방부의 하부 및 피봇 프레임(17, 17)의 하부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커버(66, 66)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커버(61)는, 헤드 파이프(14) 및 조타계(11)의 상부를 전방 및 좌우 측방으로부터 덮는 전방면 커버(61a)와, 헤드 파이프(14) 및 조타계(11)의 상부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방면 커버(61b)를 구비한다.
전방면 커버(61a)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판형의 윈드 스크린(67)이 마련된다. 헤드라이트(68)는, 전방면 커버(61a)에 마련된다.
또한, 자동 이륜차(1)는, 후륜(3)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펜더(54)와, 전륜(2)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펜더(55)를 구비한다.
시트 하부 커버(62)의 전방부 및 중간 측면 커버(63, 63)의 전방부는, 상하로 합쳐짐으로써, 단면 역 U자형인 터널형의 센터 터널부(69)를 형성한다. 차체 프레임(F)의 전방부 및 실린더부(36)는, 센터 터널부(69)의 내측에 수납된다.
센터 터널부(69)의 상면이 전방측 시트(44)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전방측 시트(44)의 전방면과 후방면 커버(61b) 사이에는, 하방으로 움푹 패인 걸침부(56)가 형성된다. 전방측 시트(44)에 착좌하는 운전자는, 자동 이륜차(1)의 승강 시에, 걸침부(56)로 발을 통과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타고 내릴 수 있다.
연료 탱크(57)는, 전방측 시트(44)의 하방에서 프레임 후방부(15d, 15d)의 상방에 배치된다. 연료 탱크(57)는, 전방부의 상면에 급유구(57a)를 구비한다. 연료 탱크(57)의 후방에는, 수납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힌지(13a)를 통해 시트(13)를 상방에 개방하면, 연료 탱크(57) 및 상기 수납부가 상방에 노출된다.
전방측 시트(44)의 전단부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는, 개구(44d)(도 5)와, 이 개구(44d)를 막는 급유구 리드(44a)(리드)가 마련된다. 급유구 리드(44a)는, 하단의 힌지부(44b)(도 3)를 축으로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힌지부(44b)를 축으로 하여 급유구 리드(44a)를 걸침부(56)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개구로부터 급유구(57a)가 노출된다. 이 때문에, 시트(13)를 개방하지 않아도, 급유구 리드(44a)를 개방함으로써, 급유구(57a)로부터 급유할 수 있다. 이때, 걸침부(56)의 공간을 이용하여 급유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도 3은 에어 클리너 케이스(41) 및 조타계(11)의 주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 및 조타계(11)의 주변부의 구성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도 6에서는, 차체 커버(60) 등을 제거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급유구 리드(44a)가 개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차체 프레임(F), 조타계(11) 및 에어 클리너 케이스(41) 이외의 것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 및 도 3∼도 6을 참조하면, 조타계(11)는, 헤드 파이프(14)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는 스티어링 샤프트(58)(도 5)와, 전륜(2)의 좌우의 양측에 배치되어 전륜(2)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70, 70)와, 스티어링 샤프트(58)의 상단에 고정되어 좌우의 프론트 포크(70, 70)를 연결하는 톱 브릿지(71)와, 스티어링 샤프트(58)의 하단에 고정되어 좌우의 프론트 포크(70, 70)를 연결하는 보텀 브릿지(72)를 구비한다. 또한, 조타계(11)는, 프론트 포크(70, 70)의 상방에 마련되는 스티어링으로서의 바 핸들(73)과, 바 핸들(73)을 톱 브릿지(71)에 고정하는 핸들 포스트(74)를 구비한다.
전륜(2)은, 프론트 포크(70, 70)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지는 전륜 차축(75)에 피봇 지지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 핸들(73)에는, 좌우 한 쌍의 백미러(76, 76) 및 좌우 한 쌍의 너클 가드(77, 77)가 마련된다.
헤드 파이프(14)의 축선(14a)은, 자동 이륜차(1)에 설정되는 캐스터각의 정도만큼, 연직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축선(14a)과 프론트 포크(70, 70)는 평행이다.
톱 브릿지(71)는, 헤드 파이프(14)의 축선(14a)에 대하여 직교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보다 차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측면에서 보아, 톱 브릿지(71)는,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다. 톱 브릿지(71)는, 헤드 파이프(14)의 상방에 위치한다.
톱 브릿지(71)는, 스티어링 샤프트(58)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부(71a)를 차폭 방향의 중앙부에 구비하고, 프론트 포크(70, 70)의 상부가 감합되어 고정되는 포크 고정부(71b, 71b)를 차폭 방향의 양단부에 구비한다.
바 핸들(73)에 의한 조작에 따라, 조타계(11)는 조타되고, 이때, 톱 브릿지(71)는, 스티어링 샤프트(58)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은, 측면에서 보아 헤드 파이프(14)의 축선(14a)에 직교하여 후방으로 연장된다.
프론트 포크(70, 70)는, 똑바르게 연장되는 단면 원형의 파이프형으로 형성된다. 프론트 포크(70, 70)는, 톱 브릿지(71)의 상면(71c)보다 상방으로 돌출하는 포크 돌출부(70a, 70a)를 상단부에 구비한다. 즉, 톱 브릿지(71)는, 프론트 포크(70, 70)의 상단보다 내려간 위치에서 프론트 포크(70, 70)를 지지한다.
핸들 포스트(74)는, 톱 브릿지(71)의 상면(71c)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홀더 본체(80, 80)와, 홀더 본체(80, 80)의 상면에 부착되는 캡(81)을 구비한다. 핸들 포스트(74)는, 측면에서 보아, 프론트 포크(70, 70)의 축선(70b)을 따라 후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방으로 연장된다. 핸들 포스트(74)는, 스티어링 샤프트(58)보다 전방의 위치에 고정된다.
홀더 본체(80, 80)는, 포크 돌출부(70a, 70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원통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80a, 80a)와, 베이스부(80a, 80a)의 차폭 방향 내측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80b, 80b)를 구비한다. 바 핸들(73)은, 아암부(80b, 80b)의 상면과 캡(81) 사이에 끼움고정된다. 이와 같이, 톱 브릿지(7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핸들 포스트(74)로 바 핸들(73)을 지지하기 때문에, 바 핸들(73)과 톱 브릿지(71)의 간격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바 핸들(73)은, 톱 브릿지(71)의 상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중앙부(73a)(하단)와, 핸들 중앙부(73a)의 양단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이자 후방 상방으로 상승하는 굴곡부(73b, 73b)와, 굴곡부(73b, 73b)의 상단으로부터 프론트 포크(70, 70)보다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3c, 73c)를 일체로 구비한다.
바 핸들(73)은, 핸들 중앙부(73a)의 좌우의 양단부가 핸들 포스트(74)에 고정됨으로써, 프론트 포크(70, 70)의 상방에 마련된다. 차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핸들 중앙부(73a)는, 바 핸들(73)의 하단이 된다. 운전자가 파지하는 그립부는, 연장부(73c, 73c)의 단부에 마련된다.
조타계(11)의 조타에 의해, 바 핸들(73)은, 스티어링 샤프트(58)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바 핸들(73)의 하단인 핸들 중앙부(73a)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2)은, 측면에서 보아 헤드 파이프(14)의 축선(14a)에 직교하여 후방으로 연장된다. 연장 평면(P2)은, 연장 평면(P1)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프론트 커버(61)의 내측에 수납되며, 걸침부(56)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세하게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과 후방면 커버(61b) 사이에 수납된다.
도 3∼도 5를 참조하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헤드 파이프(14)를 따라 상하로 가늘고 긴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전체로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하부는, 좌우의 메인 프레임(15, 15) 사이에 배치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상부는, 걸침부(56)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며, 톱 브릿지(71) 및 핸들 포스트(74)의 후방에 위치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상부와 핸들 포스트(74) 사이의 공간에는, 운전자 등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장치(120)(핸들락 장치)가 배치된다. 조작 장치(120)는, 주차 시에 조타계(11)의 회동을 규제하는 핸들락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핸들락 장치이다.
조작 장치(120)는, 상면에서 보아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조작 장치(120)는, 차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차폭 방향에서는, 좌우의 프론트 포크(70, 70) 사이의 위치에 있다.
조작 장치(120)는, 핸들 포스트(74)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부(121)와, 본체부(121)로부터 톱 브릿지(71)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상부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보강 프레임부(15b, 15b)의 스테이(27, 27)에 고정되는 고정부(122)를 구비한다.
본체부(121)는, 운전자 등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조작부(121a) 및 제2 조작부(121b)를 상면에 구비한다. 제1 조작부(121a)는, 자동 이륜차(1)의 주전원의 온/오프 및 상기 핸들락 기구(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을 전환하는 조작부이다. 제1 조작부(121a)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핸들락 기구가 록 측으로 동작하면, 조작 장치(120)가 구비하는 돌출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돌출하여 톱 브릿지(71)에 결합됨으로써, 조타계(11)의 회동이 규제된다.
제2 조작부(121b)는, 시트(13)의 록 상태 및 급유구 리드(44a)의 록 상태를 전환하는 조작부이다.
본체부(121)의 전방부(121c)(도 5)는, 톱 브릿지(71)와 핸들 중앙부(73a) 사이이자, 좌우의 홀더 본체(80, 8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하단부로부터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속 튜브(85)에 의해, 스로틀 보디(33)의 상단에 접속된다. 스로틀 보디(33)는,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어, 실린더부(36)의 상면에 위치하는 흡기 포트(36a)에 하단이 접속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상부에 마련되는 좌우 한 쌍의 흡입 덕트(87, 87)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41) 내에 마련되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와, 에어 클리너 케이스(41) 내에 흡기된 공기(흡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 센서(89)와, 상기 접속 튜브(85)를 구비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메인 프레임(15, 15)의 좌우의 보강 프레임부(15b, 15b)와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반체(90)와, 보강 프레임부(15b, 15b)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체(91)를 상하로 합쳐서 상자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 반체(91)는, 상하로 분리 가능한 상하 2분할 구조로 마련된다. 상부 반체(91)는, 하부 반체(90)에 결합되는 중간 케이스(92)와, 중간 케이스(92)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측 케이스(93)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하부 반체(90)와 중간 케이스(92)는, 일체로 결합되어 하측 케이스(94)를 형성한다. 하부 반체(90)와 중간 케이스(92)의 결합은, 예컨대, 용착이나 접착에 의해 행해진다. 즉, 하부 반체(90) 및 중간 케이스(92)는, 각각의 제조 단계에서는 개별로 제조되지만, 자동 이륜차(1)에 조립되기 전의 단계에서, 하측 케이스(94)로서 일체화된다.
도 7은 하측 케이스(94)의 단일체를 후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도 7을 참조하면, 하부 반체(90)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하부 반체(90)는, 하부가 좌우의 메인 프레임 본체부(15a, 15a)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가 좌우의 보강 프레임부(15b, 15b) 사이에 위치한다.
하부 반체(90)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하부 반체 전방면부(90a)는, 측면에서 보아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과 대략 평행하게 후방 상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반체(90)의 후방면을 구성하는 하부 반체 후방면부(90b)는, 하부 반체 전방면부(90a)와 대략 평행하게 후방 상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반체(90)의 좌우의 측면(90c, 90c)은, 상단으로부터 하단측으로 갈수록 차폭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다. 보강 프레임부(15b, 15b)는, 측면(90c, 90c)의 외측방에 위치한다.
하부 반체(90)의 상부에는, 좌우의 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착부(90f, 90f)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부착부(90f, 90f)는, 보강 프레임부(15b, 15b)보다 외측방이자 상방에 위치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하부 반체(90)를 통해 차체 프레임(F)에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반체(90)는, 부착부(90f, 90f)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브래킷(130, 130)을 통해, 보강 프레임부(15b, 15b)의 에어 클리너 케이스 스테이(34, 34)에 고정된다.
브래킷(130, 130)은 상하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되는 브래킷 고정 볼트(131, 131)에 의해, 에어 클리너 케이스 스테이(34, 34)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하부 반체(90)의 부착부(90f, 90f)는, 브래킷(130, 130)의 상부에 차폭 방향외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되는 케이스 고정 볼트(132, 132)에 의해, 브래킷(130, 130)의 상부에 고정된다.
하부 반체(90)의 하면(90d)에는, 접속 튜브(85)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튜브 고정 구멍(95)이 마련된다.
하부 반체(90)의 상면에는, 하부 반체 전방면부(90a), 하부 반체 후방면부(90b) 및 측면(90c, 90c)의 각 상방 가장자리에 의해 구획되는 개구부(90e)가 형성된다. 하부 반체(90)의 상방 가장자리부에는, 개구부(90e)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하측 플랜지부(96)가 전체 둘레에 형성된다. 개구부(90e)는 측면에서 보아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고, 개구부(90e)를 따라 형성되는 하측 플랜지부(96)도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다. 하측 플랜지부(96)는, 리브로서 기능하며, 하부 반체(90)의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킨다.
하측 플랜지부(96)는, 그 전단부(96a)가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하측 플랜지부(96)는, 전단부(96a)를 포함하는 전체가,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의 하방에 위치한다.
중간 케이스(92)는,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중간 케이스(92)는, 측면에서 보아, 톱 브릿지(71) 및 헤드 파이프(14)의 상단부의 후방에 위치한다.
중간 케이스(92)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중간 케이스 전방면(92a)은,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을 따르도록 연장된다. 중간 케이스 전방면(92a)의 하단부는, 대략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된다.
중간 케이스(92)의 좌우의 측면(92b, 92b)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서로의 차폭 방향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즉, 측면(92b, 92b)의 후단부는, 중간 케이스(92)의 후방면을 구성한다.
중간 케이스(92)의 상면에는, 중간 케이스 전방면(92a) 및 측면(92b, 92b)의 상방 가장자리로부터 중간 케이스(9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97)가 전체 둘레에 형성된다. 플랜지부(97)의 내주부는, 중간 케이스(92) 내를 상방에 개방시키는 개구부(92c)를 구획한다.
측면에서 보아, 플랜지부(97) 및 개구부(92c)는,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다. 상세하게는, 플랜지부(97) 및 개구부(92c)는, 톱 브릿지(71)보다 큰 전방 상향의 경사로 마련된다. 또한, 톱 브릿지(71)의 경사는, 연장 평면(P1)의 경사와 동일하다.
플랜지부(97)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부착되는 엘리먼트 부착부이다. 플랜지부(97)에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를 고정하는 고정구(도시하지 않음)가 감합하는 고정 구멍(97a)이 복수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플랜지부(97)는, 후방 가장자리부(97b)가 차량 전방측의 전방 가장자리부(97c)보다 짧고, 후방 가장자리부(97b)와 전방 가장자리부(97c)가, 좌우의 측방 가장자리부(97d, 97d)에 의해 연결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간 케이스(92)의 상면부에는, 상측 케이스(93)를 중간 케이스(92)에 고정하는 고정구(101)(도 3)가 감합하는 고정 구멍(98)이 복수 마련된다.
중간 케이스(92)의 하면에는, 중간 케이스 전방면(92a) 및 측면(92b, 92b)의 하방 가장자리에 의해 구획되는 개구부(92d)가 형성된다. 개구부(92d)는, 개구부(90e)를 통해 하부 반체(90) 내에 연통된다.
중간 케이스(92)의 하방 가장자리부에는, 개구부(92d)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플랜지부(99)가 전체 둘레에 형성된다. 상측 플랜지부(99) 및 플랜지부(97)는, 리브로서 기능하며, 중간 케이스(92)의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킨다.
중간 케이스(92)는, 상측 플랜지부(99)가 하부 반체(90)의 하측 플랜지부(96)에 상방으로부터 합쳐진 상태로, 상측 플랜지부(99)와 하측 플랜지부(96)를 용착 등에 의해 고착하여 하부 반체(90)에 결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플랜지부(99)와 하측 플랜지부(96)의 결합부가,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의 하방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톱 브릿지(71)가 회동하였을 때에,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플랜지부(99)와 하측 플랜지부(96)의 결합부가 톱 브릿지(71)에 닿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하측 케이스(94)를 전방측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다.
도 8은 상측 케이스(93)를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다.
상측 케이스(93)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상측 케이스(93)는, 하부가 헤드 파이프(14)의 상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부가 핸들 포스트(74)의 후방에 위치한다.
상측 케이스(93)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상측 케이스 전방면부(93a)는, 헤드 파이프(14)보다 크게 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상측 케이스(93)의 후방면을 구성하는 상측 케이스 후방면부(93b)는, 하부 반체 후방면부(90b)를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상측 케이스(93)의 좌우의 측면(93c, 93c)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서로의 차폭 방향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측 케이스 전방면부(93a), 상측 케이스 후방면부(93b) 및 측면(93c, 93c)의 각 상부는, 상측 케이스(93)의 상면을 구성한다.
상측 케이스(93)의 전방면부(93a)에는, 흡입 덕트(87, 87)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덕트 고정 구멍(102, 102)이 좌우에 형성된다.
상측 케이스(93)의 하면에는, 상측 케이스 전방면부(93a), 상측 케이스 후방면부(93b) 및 측면(93c, 93c)의 각 하방 가장자리에 의해 구획되는 개구부(93d)가 형성된다.
상측 케이스(93)의 하방 가장자리부에는, 개구부(93d)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측 케이스 플랜지부(100)가 전체 둘레에 형성된다.
개구부(93d)는 측면에서 보아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고, 개구부(93d)를 따라 형성되는 상측 케이스 플랜지부(100)도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다. 상측 케이스 플랜지부(100)는, 플랜지부(97)에 맞추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 케이스 플랜지부(100)는, 리브로서 기능하며, 상측 케이스(93)의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킨다.
상측 케이스 플랜지부(100)에는, 고정구(101)(도 3)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101a)이 복수 마련된다.
상측 케이스(93)는, 상측 케이스 플랜지부(100)가 중간 케이스(92)의 플랜지부(97)에 상방으로부터 합쳐진 상태로, 고정구(101)에 의해 중간 케이스(92)에 고정된다.
상측 케이스 플랜지부(100)와 플랜지부(97)가 합쳐지는 면은, 상부 반체(91)를 상하로 2분할하는 분할면(103)이다. 분할면(103)은, 톱 브릿지(71)의 후방에서 연장 평면(P1)과 교차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톱 브릿지(71)보다 큰 전방 상향의 경사로 마련된다.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 등을 메인터넌스할 때는, 고정구(101)를 제거함으로써, 상측 케이스(93)를 중간 케이스(92)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반체(91)의 분할면(103)이,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며,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분할면(103)[상측 케이스 플랜지부(100)]의 전방부는, 톱 브릿지(71)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분할면(103)의 전방부와 톱 브릿지(71)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전방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와 시트(13)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여,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분할면(103)은, 분할면(103)을 전방 상방으로 그대로 연장한 연장선(도시하지 않음)이, 톱 브릿지(71)의 상단보다 상방을 지나는 큰 전방 상향의 경사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면적을 상하 방향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차지하는 전후 방향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를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도 9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평면도이다.
도 5∼도 9를 참조하면,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측 케이스(93)와 중간 케이스(92)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중간 케이스(92)의 플랜지부(97) 상에 셋트되며, 고정 구멍(97a)에 감합하는 고정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플랜지부(97)에 고정된다. 즉,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측면에서 보아 상부 반체(91)의 분할면(103)을 따라 전방 상향의 자세로 배치된다.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마련됨으로써, 에어 클리너 케이스(41) 내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보다 상방의 클린 사이드(105)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보다 하방의 더티 사이드(106)로 구획된다.
클린 사이드(105)는, 흡입 덕트(87, 87)로부터 상부 반체(91) 내에 흡기되어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가 흐르는 공간이다. 더티 사이드(106)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하측 케이스(94) 내를 흐르는 공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상부 반체(91)의 분할면(103)을 따라 전방 상향의 자세로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면적을 상하 방향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전후 방향에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분할면(103)이 좌우 한 쌍의 보강 프레임부(15b, 15b)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강 프레임부(15b, 15b)가 방해가 되지 않는 가운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좋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톱 브릿지(71)보다 큰 전방 상향의 경사로 마련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면적을 상하로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를 대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사이클을 길게 할 수 있다.
클린 사이드(105)의 공기는, 접속 튜브(85)를 통하여 흡기 포트(36a)측으로 흐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튜브(85)의 상면의 흡기구(85a)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경사를 따르도록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접속 튜브(85)를 소형화하면서, 효율적으로 흡기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플랜지부(97)에 고정되는 프레임(88a)과, 프레임(88a)의 내측에 지지되는 필터(88b)를 구비한다.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고정 구멍(97a)에 감합하는 상기 고정구가, 프레임(88a)의 고정 구멍(88c)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고정된다.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중간 케이스(92)의 플랜지부(97)의 형상에 맞추어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 가장자리(88d)가 플랜지부(97)의 전방 가장자리부(97c)에 고정된다. 즉,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그 전방 가장자리(88d)(전방측)가 그 후방 가장자리(88e)(후방측)보다 차폭 방향으로 광폭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를 수용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도, 시트(13)의 운전자에게 가까운 후방부측을 협폭으로 할 수 있어, 운전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IX-IX 단면도이다.
도 3∼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흡입 덕트(87, 87)는, 상측 케이스(93)의 상부의 덕트 고정 구멍(102, 102)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고, 선단의 흡기구는, 차폭 방향의 외측이자 전방 하방을 지향한다.
흡입 덕트(87, 87)는, 톱 브릿지(71) 및 핸들 포스트(74)의 후방에 위치하며, 핸들 중앙부(73a)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2)의 하방이자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바 핸들(73)을 핸들 포스트(74)에 의해 상승시켜, 연장 평면(P2)과 연장 평면(P1) 사이에 흡입 덕트(87, 87)를 마련함으로써, 바 핸들(73)과 톱 브릿지(71) 사이의 공간을 유효 이용하여 흡입 덕트(87, 87)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덕트(87, 87)의 흡기구가 톱 브릿지(71)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노면측으로부터의 먼지 등이 흡입 덕트(87, 87)에 도달하기 어려워,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상측 케이스(93)는, 상측 케이스 후방면부(93b)의 상부에, 상측 케이스(93)의 내측으로 움푹 패인 센서 고정부(107)를 구비한다. 센서 고정부(107)에는, 흡기 센서(89)가 고정된다. 흡기 센서(89)는, 좌우의 흡입 덕트(87, 87) 사이에 배치되며, 흡입 덕트(87, 87)에 있어서의 상측 케이스(93)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흡기 센서(89)는, 상측 케이스(93) 내에 삽입되어 클린 사이드(105)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로드형의 센서 본체부(89a)와, 센서 고정부(107) 내에 위치하며, 검출값을 송신하는 배선이 접속되는 접속부(89b)를 구비한다.
센서 본체부(89a)는, 상측 케이스 전방면부(93a)와 대략 평행하게 전방 하향으로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측으로 연장되고, 검출부가 되는 하단(89c)은, 상측 케이스(93) 내의 흡입 덕트(87, 87)의 하류단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측 케이스(93)의 내부에서 좌우의 흡입 덕트(87, 87) 사이에, 흡기 센서(89)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흡입 덕트(87) 내가 아니라, 상측 케이스(93)의 내부에서 좌우의 흡입 덕트(87, 87) 사이의 넓은 공간의 흡기를 흡기 센서(89)로 검출할 수 있어,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장치(120)는, 좌우의 흡입 덕트(87, 87) 사이이자, 흡입 덕트(87, 87)와 핸들 포스트(74) 및 톱 브릿지(71)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좌우의 흡입 덕트(87, 87) 사이의 공간을 유효 이용하여 조작 장치(120)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바 핸들(73)의 후방에서 운전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조작 장치(120)를 마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전방면, 즉, 중간 케이스 전방면(92a) 및 하부 반체 전방면부(90a)의 좌우의 단부에는, 전타하였을 때의 프론트 포크(70, 70) 및 톱 브릿지(71)를 피하는 전타 여유부(108, 108)가 형성된다.
전타 여유부(108, 108)는, 프론트 포크(70, 70) 및 톱 브릿지(71)의 형상에 맞추어 곡면형으로 후방으로 움푹 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전방면에 전타 여유부(108, 108)를 마련함으로써,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프론트 포크(70, 70)측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후방의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자동 이륜차(1)는, 시트(13)와 시트(13)의 전방의 헤드 파이프(14)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구비하고,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헤드 파이프(14)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5, 15)과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반체(90)와, 메인 프레임(15, 15)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체(91)를 구비하고, 상부 반체(91)는, 상하 2분할 구조로 마련되며, 상부 반체(91)의 상하 2분할 구조의 분할면(103)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경사진 분할면(103)을 따라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부착된다. 이에 의해,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상부 반체(91)의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분할면(103)에 부착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면적을 상하 방향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차지하는 전후 방향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분할면(103)이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5, 15)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이 좋다.
또한, 헤드 파이프(14)의 상방에서 프론트 포크(70, 70)를 지지하는 톱 브릿지(71)를 구비하고, 하부 반체(90)는,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 반체(90)와 상부 반체(91)의 결합부가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톱 브릿지(71)가 회동하였을 때에 상기 결합부와 톱 브릿지(71)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체(91)의 분할면(103)은,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며,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부 반체(91)의 분할면(103)의 전방부와 톱 브릿지(71)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전방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와 시트(13)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여,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체(91)의 전방부에는, 외기를 받아들이는 흡입 덕트(87, 87)가 마련되고, 조타용의 바 핸들(73)은, 바 핸들(73)의 하단인 핸들 중앙부(73a)와 톱 브릿지(71)의 상면(71c) 사이에 마련되는 핸들 포스트(74)에 의해, 톱 브릿지(71)의 상면(71c)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흡입 덕트(87, 87)는, 핸들 중앙부(73a)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2)의 하방이자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핸들 포스트(74)에 의해 바 핸들(73)을 상방에 마련함으로써, 바 핸들(73)과 톱 브릿지(71) 사이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흡입 덕트(87, 87)를, 바 핸들(73) 및 톱 브릿지(71)와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한 상태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덕트(87, 87)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고, 조작 장치(120)가, 좌우의 흡입 덕트(87, 87) 사이이자, 흡입 덕트(87, 87)와 핸들 포스트(74)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흡입 덕트(87, 87)와 핸들 포스트(74)로 둘러싸인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조작 장치(120)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장치(120)가 방해가 되기 어려워, 흡입 덕트(87, 87)의 길이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내부에서 좌우의 흡입 덕트(87, 87) 사이에, 흡기 센서(89)가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내부에서 좌우의 흡입 덕트(87, 87) 사이의 넓은 공간의 흡기를 흡기 센서(89)로 검출할 수 있어,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평면에서 보아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 가장자리(88d)가 광폭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후방부의 폭이 작아져,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후방부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후방의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톱 브릿지(71)는, 프론트 포크(70, 70)의 상단을 톱 브릿지(71)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의 프론트 포크(70, 70)를 지지하기 때문에, 톱 브릿지(71)의 위치가 낮아진다. 이에 의해, 톱 브릿지(71)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기 위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상부를 작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상부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차량 전방면측의 중간 케이스 전방면(92a) 및 하부 반체 전방면부(90a)에는, 전타하는 프론트 포크(70, 70)를 피하는 전타 여유부(108, 108)가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프론트 포크(70, 70)측에 가까이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후방의 탑승자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트(13)의 하방에 연료 탱크(57)가 배치되며, 시트(13)의 전방에 시트(13)보다 하방으로 움푹 패인 걸침부(56)가 마련되고, 연료 탱크(57)의 급유구(57a)는, 시트(13)의 걸침부(56)측에 마련된 급유구 리드(44a)로부터 노출된다.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톱 브릿지(71)의 후방에 배치함에 따른 빈 공간을 이용하여, 시트(13)의 전방에 걸침부(56)를 마련할 수 있어, 시트(13)의 걸침부(56)측에 마련된 급유구 리드(44a)로부터 노출되는 급유구(57a)를 통해 연료 탱크(57)에 용이하게 급유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체(91)의 분할면(103)은, 측면에서 보아 톱 브릿지(71)의 상단보다 상방을 지나는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의 면적을 상하 방향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차지하는 전후 방향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를 크게 하면서,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안장형 차량으로서 자동 이륜차(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전륜 또는 후륜을 2개 구비한 3륜의 안장형 차량이나, 4륜 이상을 구비한 안장형 차량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1: 자동 이륜차(안장형 차량) 13: 시트(탑승자 시트)
14: 헤드 파이프 14b: 후방면
15, 15: 메인 프레임(프레임 부재) 41: 에어 클리너 케이스
44a: 급유구 리드(리드) 56: 걸침부
57: 연료 탱크 57a: 급유구
70, 70: 프론트 포크 71: 톱 브릿지
71c: 상면 73: 바 핸들
73a: 핸들 중앙부(바 핸들의 하단) 74: 핸들 포스트
87, 87: 흡입 덕트 88: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89: 흡기 센서 90: 하부 반체
91: 상부 반체 103: 분할면
108, 108: 전타 여유부 120: 조작 장치(핸들락 장치)
P1: 연장 평면(톱 브릿지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
P2: 연장 평면(바 핸들의 하단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

Claims (10)

  1. 탑승자 시트(13)와 그 탑승자 시트(13)의 전방의 헤드 파이프(14)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구비한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상기 헤드 파이프(14)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5)와 상기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반체(90)와, 상기 프레임 부재(15)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체(9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반체(91)는, 상하 2분할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상하 2분할 구조의 분할면(103)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경사진 상기 분할면(103)을 따라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부착되며,
    상기 헤드 파이프(14)의 상방에서 프론트 포크(70)를 지지하는 톱 브릿지(71)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반체(90)는, 상기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분할면(103)은,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며, 상기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반체(91)의 전방부에는, 외기를 받아들이는 흡입 덕트(87)가 마련되고,
    조타용의 바 핸들(73)은, 그 바 핸들(73)의 하단(73a)과 상기 톱 브릿지(71)의 상면(71c) 사이에 마련되는 핸들 포스트(74)에 의해, 상기 톱 브릿지(71)의 상기 상면(71c)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흡입 덕트(87)는, 상기 바 핸들(73)의 상기 하단(73a)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2)의 하방이자 상기 톱 브릿지(71)의 상기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보다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덕트(87)는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핸들락 장치(120)가, 좌우의 상기 흡입 덕트(87) 사이이자, 상기 흡입 덕트(87)와 상기 핸들 포스트(74)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내부에서 좌우의 상기 흡입 덕트(87) 사이에, 흡기 센서(8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는, 평면에서 보아 차량 전방측이 광폭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톱 브릿지(71)는, 상기 프론트 포크(70)의 상단을 상기 톱 브릿지(71)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프론트 포크(7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8. 탑승자 시트(13)와 그 탑승자 시트(13)의 전방의 헤드 파이프(14)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구비한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상기 헤드 파이프(14)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5)와 상기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반체(90)와, 상기 프레임 부재(15)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체(9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반체(91)는, 상하 2분할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상하 2분할 구조의 분할면(103)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경사진 상기 분할면(103)을 따라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부착되며,
    상기 헤드 파이프(14)의 상방에서 프론트 포크(70)를 지지하는 톱 브릿지(71)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반체(90)는, 상기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분할면(103)은,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며, 상기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41)의 차량 전방면측에는, 전타하는 상기 프론트 포크(70)를 피하는 전타 여유부(10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9. 제 1항, 제 5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시트(13)의 하방에 연료 탱크(57)가 배치되며, 상기 탑승자 시트(13)의 전방에 그 탑승자 시트(13)보다 하방으로 움푹 패인 걸침부(56)가 마련되고, 상기 연료 탱크(57)의 급유구(57a)는, 상기 탑승자 시트(13)의 상기 걸침부(56)측에 마련된 리드(44a)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10. 탑승자 시트(13)와 그 탑승자 시트(13)의 전방의 헤드 파이프(14)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를 구비한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케이스(41)는, 상기 헤드 파이프(14)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 부재(15)와 상기 헤드 파이프(14)의 후방면(14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반체(90)와, 상기 프레임 부재(15)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반체(9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반체(91)는, 상하 2분할 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상하 2분할 구조의 분할면(103)은, 차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경사진 상기 분할면(103)을 따라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88)가 부착되며,
    상기 헤드 파이프(14)의 상방에서 프론트 포크(70)를 지지하는 톱 브릿지(71)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반체(90)는, 상기 톱 브릿지(71)의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분할면(103)은, 전방 상향의 경사로 배치되며, 상기 회동 궤적의 연장 평면(P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반체(91)의 상기 분할면(103)은, 측면에서 보아 상기 톱 브릿지(71)의 상단보다 상방을 지나는 전방 상향의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KR1020170018031A 2016-03-03 2017-02-09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KR101911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0858A JP6333873B2 (ja) 2016-03-03 2016-03-03 鞍乗り型車両のエアクリーナ構造
JPJP-P-2016-040858 2016-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35A KR20170103635A (ko) 2017-09-13
KR101911165B1 true KR101911165B1 (ko) 2018-10-23

Family

ID=5821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031A KR101911165B1 (ko) 2016-03-03 2017-02-09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78492B2 (ko)
EP (1) EP3213985B1 (ko)
JP (1) JP6333873B2 (ko)
KR (1) KR101911165B1 (ko)
BR (1) BR102017003924B1 (ko)
TW (1) TWI6473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6908A (ja) * 2016-11-28 2018-06-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WO2019224961A1 (ja) * 2018-05-23 2019-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GB201903579D0 (en) * 2019-03-15 2019-05-01 Norton Motorcycles Uk Ltd Motorcycle arrangements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JP7251311B2 (ja) * 2019-05-24 2023-04-04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吸気構造
JP6964723B1 (ja) * 2020-06-23 2021-11-1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2023004405A (ja) * 2021-06-25 2023-01-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TW202304734A (zh) * 2021-07-16 2023-02-0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跨騎式車輛控制開關座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311A (ja) * 2003-01-27 2004-08-12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車高調整装置
JP2015045320A (ja) * 2013-07-31 2015-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クリー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8357B2 (ja) * 2004-12-27 2010-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収納ボックス配置構造
JP5203660B2 (ja) * 2007-09-14 2013-06-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2009085195A (ja) * 2007-10-03 2009-04-23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エアクリー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5459898B2 (ja) * 2008-05-14 2014-04-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3157335U (ja) * 2009-11-27 2010-02-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6232960B2 (ja) * 2013-11-18 2017-11-22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吸気ダクト装置
JP6269081B2 (ja) * 2014-01-15 2018-01-31 スズキ株式会社 インジェクタ取付構造
JP6190478B2 (ja) 2016-02-10 2017-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電装品配置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311A (ja) * 2003-01-27 2004-08-12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車高調整装置
JP2015045320A (ja) * 2013-07-31 2015-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クリー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54652A (ja) 2017-09-07
BR102017003924B1 (pt) 2022-12-20
EP3213985B1 (en) 2018-11-28
US10378492B2 (en) 2019-08-13
TWI647384B (zh) 2019-01-11
KR20170103635A (ko) 2017-09-13
TW201734302A (zh) 2017-10-01
US20170254300A1 (en) 2017-09-07
JP6333873B2 (ja) 2018-05-30
BR102017003924A2 (pt) 2017-11-21
EP3213985A1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165B1 (ko) 안장형 차량의 에어 클리너 구조
JP6642837B2 (ja) 鞍乗り型車両のabs配置構造
US7549675B2 (en) Straddle-type vehicle
US20130313861A1 (en) Saddle-ride type vehicle
JP5727874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JP5912877B2 (ja) 鞍乗り型車両の補機取付構造
JP2014043189A (ja) 鞍乗り型車両の収納部構造
CN110431068B (zh) 鞍乘型车辆的空气滤清器支承结构
JP3609121B2 (ja) スクーターの吸気装置
JP5852502B2 (ja) 鞍乗り型車両
JP6649971B2 (ja) 鞍乗り型車両
CN107709146B (zh) 摩托车内后挡泥板结构
JP2009190577A (ja) 自動二輪車の配線保持構造
JP6705049B2 (ja) 鞍乗り型車両のメーター取付構造
JP2013248948A (ja) 鞍乗り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JP2019137285A (ja) 鞍乗り型車両
JP7065141B2 (ja) 鞍乗り型車両
JP4989991B2 (ja) 自動二輪車のグリップ構造
WO2017018309A1 (ja) 鞍乗り型車両
JP7060643B2 (ja) 鞍乗り型車両
US11873048B2 (en) Saddle riding vehicle
JP6554494B2 (ja) 自動二輪車のマフラー支持構造
JP2021160595A (ja) 鞍乗り型車両
CN112829861A (zh) 后挡板
JP2020066408A (ja) 鞍乗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