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839B1 -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839B1
KR101902839B1 KR1020180026270A KR20180026270A KR101902839B1 KR 101902839 B1 KR101902839 B1 KR 101902839B1 KR 1020180026270 A KR1020180026270 A KR 1020180026270A KR 20180026270 A KR20180026270 A KR 20180026270A KR 101902839 B1 KR101902839 B1 KR 10190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
airbags
fram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충렬
양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양충렬
양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양충렬, 양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Priority to KR102018002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상에 에어백들이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백들로부터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레일을 타고 에어백들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시켜 차량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에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레일을 타고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다수개의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백 내부압을 조절하는 에어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장치{Crash cushion apparatus}
본 발명은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상에 에어백들이 일렬로 설치되어 에어백에 차량 충돌시 에어백들로부터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에어백들이 레일을 타고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시켜 차량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흡수장치는 도로의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입구 양측, 교각, 톨게이트 입구 양단 등에 설치되는 교통 안전시설물의 하나이다.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 차로를 벗어나 도로 구조물에 충돌할 때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 운전자나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면서 차량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 및 차량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에 가드레일을 설치하고, 양측 가드레일의 사이에 폐타이어, 에어백 및 고무 칩 등의 충격흡수재를 설치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다.
특히, 에어백(Air-Bag)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는, 외부로부터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에어백으로부터 에어가 빠지면서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서서히 흡수하여 정지시킴으로써, 차량과 인명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는, 에어백들을 소수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외부 차량의 충격력을 장시간에 걸쳐서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차량의 충돌시에는 단시간에 걸쳐서 충격력이 가해져서 오히려 에어백의 반발력을 차량에 가하게 되어 차량의 파손이 극심한 상태이고, 그에 따른 인명피해를 줄이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2-0015020호, 충격흡수장치.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022533호, 확산형 충격흡수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상에 에어백들이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백들로부터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레일을 타고 에어백들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시켜 차량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일 실시예는,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에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레일을 타고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다수개의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백 내부압을 조절하는 에어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압력조절유닛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급기부; 상기 에어급기부와 에어백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에어급기부로부터 에어백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에어공급관; 상기 에어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에어백 내에 충진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 및 상기 압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에어급기부에서 에어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이내이면 상기 에어급기부에서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에는, 차량 충돌시 파손되면서 에어백의 내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에어백마개가 설치되되, 상기 에어백마개는, 에어백의 측면부 및 상면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일렬 혹은 다열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마개의 개수는,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 중 차량과 최초로 충돌되는 에어백에는 다른 에어백들보다 많은 개수의 에어백마개가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에어백마개의 개수가 적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들은, 고정클립에 의해 인접하는 에어백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인접하는 에어백의 사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커버를 고정클립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는: 상원 교류전원(AC 220V)이 공급되는 제1 전원부; 혹은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쏠라판과, 상기 쏠라판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로 이루어진 제2 전원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는 분전함을 통해 공급되게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에 인접하는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지주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상기 쏠라판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충전지 및 분전함이 지주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의 후방에는 에어백의 충격완충 범위를 벗어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충격완충보조유닛;을 더 설치하되, 상기 충격완충보조유닛은;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 중 최후방에 위치되는 에어백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면에 경사를 이루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 제2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제2 프레임을 연결하며, 완충 작용을 하도록 엑스자형을 이루며 교차하도록 설치되되, 교차 부위가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제1, 제2 프레임에 각각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링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프레임은: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상하로 배치되도록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에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레일을 타고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다수개의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의 후방에 설치되어 에어백의 충격완충 범위를 벗어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완충보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충보조유닛은;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 중 최후방에 위치되는 에어백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면에 경사를 이루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 제2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제2 프레임을 연결하며, 완충 작용을 하도록 엑스자형을 이루며 교차하도록 설치되되, 교차 부위가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제1, 제2 프레임에 각각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링크프레임;로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프레임은: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상하로 배치되도록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에는, 차량 충돌시 파손되면서 에어백의 내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에어백마개가 설치되되, 상기 에어백마개는, 에어백의 측면부 및 상면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일렬 혹은 다열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마개의 개수는,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 중 차량과 최초로 충돌되는 에어백에는 다른 에어백들보다 많은 개수의 에어백마개가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에어백마개의 개수가 적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들은 고정클립에 의해 인접하는 에어백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인접하는 에어백의 사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커버를 고정클립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에어백에 인접하는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지주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 의하면,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 상에 에어백들이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백들로부터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레일을 타고 에어백들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서 차량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에어백들의 내부압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백의 후방에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충격완충보조유닛을 설치하여 충돌력이 매우 강하여 에어백에서 완전하게 충격을 완충시키기 못하는 경우에도 충격완충보조유닛의 링크 구조에 의해 보조 완충이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충격흡수장치를 좌측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충격흡수장치에서 에어백이 보이는 우측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된 예를 보인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되는 에어압력조절유닛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에어압력조절유닛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충격흡수장치를 좌측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충격흡수장치에서 에어백이 보이는 우측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된 예를 보인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되는 에어압력조절유닛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에어압력조절유닛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는 고정유닛(1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도로의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차도의 입구 양측, 교각, 톨게이트 입구 양단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레일(110)이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레일(11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지면에 홈을 형성한 후, 그 홈에 위치되어 지면과 동일 높이를 이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일(110)은 양단부를 절곡하고, 그 양단부를 앙카볼트(112)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는 충격완충유닛(2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완충유닛(200)은 다수개의 에어백(2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일(110) 상에 다수개의 에어백(210)이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백(210)에 충진된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레일(110)을 타고 에어백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110) 상에 에어백(2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일(110)에 에어백이 설치되는 위치에 고정구(114)를 설치하여 에어백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210)에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에 충진된 에어가 배출됨과 동시에 고정구(114)가 파괴되면서 상기 에어백(210)이 레일을 타고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210)은 원통형상 혹은 사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백(210)들은 고정클립(220)에 의해 인접하는 에어백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에어백의 사이에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커버(230)를 설치하여 상기 커버(230)를 고정클립(220)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백(210)의 일측으로 에어백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 혹은 사각형으로 커버(230)를 고정한 후, 인접하는 커버(230)들을 고정클립(220)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230)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즉, 에어백과 에어백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구비되는데, 그 공간부를 커버(230)로 막아줌에 의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210)에는 차량 충돌과 동시에 에어백에 충진된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에어백(210)에 다수개의 에어백마개(21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에어백(210)에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마개(212)가 파손되면서 에어백에 충전된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되어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백마개(212)는 상기 레일(110) 상에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210) 중 차량과 최초로 충돌되는 에어백(도 1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에어백)에는 다른 에어백들보다 많은 개수의 에어백마개가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즉, 도 1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에어백마개(212)의 개수가 적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마개(212)는 에어백(210)의 측면부 및 상면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일렬 혹은 다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서 차량과 최초 충돌하는 우측에 위치하는 에어백에는 에어백마개(212)가 2열로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고, 도 1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2열, 1열로 설치하며 에어백마개의 간격도 럽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에어백마개(212)의 개수를 달리함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즉, 최초 차량이 충돌할 때에 큰 충격력이 발생되므로 충격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에어가 배출되므로 효과적으로 충격을 완중하게 된다.
일 예로써, 도 1과 같이 5개의 에어백이 설치된 상태에서 빠른 속도록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력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5개의 에어백 모두가 순차적으로 에어가 배출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되고, 비교적 저속으로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2개 혹은 3개의 에어백에서만 에어가 배출되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는 차량 충돌과 동시에 일렬로 설치되는 모든 에어백에서 에어가 배출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그 충격력을 완충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충격완충유닛(200)의 후방에 충격완충보조유닛(400)을 설치하여 충격을 완충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충격완충보조유닛(400)은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 중 최후방에 위치되는 에어백에 고정 설치되도록 제1 프레임(41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410)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제2 프레임(42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프레임(420)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420)의 후면에 경사를 이루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프레임(430)이 설치되어 제2 프레임을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제2 프레임(410,420)의 사이에는 완충 작용을 하도록 엑스자형을 이루며 교차되는 링크프레임(440)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프레임(410,42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링크프레임(440)의 교차 부위는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링크프레임(440)의 양단부 역시 제1, 제2 프레임(410,420)에 각각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프레임(440)은 제1, 제2 프레임(410,420)에 상하로 배치되도록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프레임(440)의 개수에 따라 완충력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충격완충보조유닛(400)의 설치로 인해, 차량 충돌과 동시에 에어백에서 완전하게 완충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링크프레임(440)에 의해 제1, 제2 프레임(410,420)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충격을 완전하게 완충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는 에어압력조절유닛(3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압력조절유닛(300)은 충격완충유닛(200)의 에어백(210)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에어백(21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백 내부압을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에어백(210)에 충진된 에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출이 발생될 수 있고, 누출이 발생되면 에어백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음으로 상기 에어압력조절유닛(300)에 의해 에어백의 내부압에 따라 에어를 공급해주어 항상 일정한 압으로 충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에어압력조절유닛(30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0)와, 상기 전원부(31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상기 에어백(210)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210)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급기부(320)와, 상기 에어급기부(320)와 에어백(2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에어급기부(320)로부터 에어백(21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에어공급관(330)과, 상기 에어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에어백 내에 충진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340)와, 상기 압력감지센서(340)에서 감지된 측정값에 따라 에어급기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급기부(320)는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컴프레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압력감지센서(340)는 에어백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압력감지센서(340)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에어급기부(320)에서 에어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340)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이내이면 상기 에어급기부(320)에서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에 의해, 상기 에어백(210)의 내부는 항상 일정한 압으로 에어가 충진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3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352a, CPU), 메모리(352b, MEMORY), 서포트 회로(352c,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352a)는 본 실시예에서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352b, MEMORY)는 중앙처리장치(352a)와 연결된다. 메모리(352b)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352c,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352a)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352c)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310)는 상원 교류전원(AC 220V)이 공급되는 제1 전원부(312), 혹은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쏠라판(314a)과, 상기 쏠라판(314a)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314b)로 이루어진 제2 전원부(314)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상기 전원부(3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분전함(316)을 통해 공급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전원부(312)에 의한 교류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상기 제2 전원부(314)에 의한 태양광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날씨가 좋은 날에는 제2 전원부에 의해 태양광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제1 전원부에 의한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원부(314)의 쏠라판(314a)을 설치하기 위해, 최후방에 위치하는 에어백에 인접하여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지주(50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500)의 상단부에 상기 쏠라판(314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주(500)에는 상기 충전지(314b) 및 분전함(316)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500)의 상단부에 카메라(6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에어백들로부터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면서 충격을 완충시키고, 에어백만으로 완충이 안되는 경우 에어백의 후방에 설치되는 링크 구조에 의해 완충시킴으로서 차량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고정유닛 110 - 레일
200 - 충격완충유닛 210 - 에어백
212 - 에어백마개 300 - 에어압력조절유닛
310 - 전원부 320 - 에어급기부
330 - 에어공급관 340 - 압력감지센서
350 - 제어부 400 - 충격완충보조유닛
410 - 제1 프레임 420 - 제2 프레임
430 - 지지프레임 440 - 링크프레임

Claims (8)

  1.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110);
    상기 레일(110) 상에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레일(110)을 타고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다수개의 에어백(210); 및
    상기 에어백(210)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에어백(21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백 내부압을 조절하는 에어압력조절유닛(300);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압력조절유닛(30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0);
    상기 전원부(31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상기 에어백(210)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210)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급기부(320);
    상기 에어급기부(320)와 에어백(2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에어급기부(320)로부터 에어백(21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에어공급관(330);
    상기 에어공급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에어백(210) 내에 충진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340); 및
    상기 압력감지센서(340)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에어급기부(320)에서 에어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340)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이내이면 상기 에어급기부(320)에서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210)에는, 차량 충돌시 파손되면서 에어백(210)의 내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에어백마개(212)가 설치되되,
    상기 에어백마개(212)는, 에어백(210)의 측면부 및 상면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일렬 혹은 다열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마개(212)의 개수는,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210) 중 차량과 최초로 충돌되는 에어백에는 다른 에어백들보다 많은 개수의 에어백마개(212)가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에어백마개(212)의 개수가 적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210)들은, 고정클립(220)에 의해 인접하는 에어백(210)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인접하는 에어백(210)의 사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커버(230)를 설치하여 상기 커버(230)를 고정클립(220)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10)는:
    상원 교류전원(AC 220V)이 공급되는 제1 전원부(312); 혹은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쏠라판(314a)과, 상기 쏠라판(314a)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314b)로 이루어진 제2 전원부(314);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310)는 분전함(316)을 통해 공급되게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210)에 인접하는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지주(50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500)의 상단부에 상기 쏠라판(314a)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충전지(314b) 및 분전함(316)이 지주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210)의 후방에는 에어백(210)의 충격완충 범위를 벗어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충격완충보조유닛(400);을 더 설치하되,
    상기 충격완충보조유닛(400)은;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210) 중 최후방에 위치되는 에어백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프레임(410);
    상기 제1 프레임(410)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420);
    상기 제2 프레임(420)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420)의 후면에 경사를 이루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30); 및
    상기 제1, 제2 프레임(410,4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제2 프레임(410,420)을 연결하며, 완충 작용을 하도록 엑스자형을 이루며 교차하도록 설치되되, 교차 부위가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제1, 제2 프레임(410,420)에 각각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링크프레임(4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프레임(440)은, 상기 제1, 제2 프레임(410,420)에 상하로 배치되도록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
  4.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110);
    상기 레일(110) 상에 일렬로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에어가 순차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레일(110)을 타고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다수개의 에어백(210); 및
    상기 에어백(2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에어백(210)의 충격완충 범위를 벗어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완충보조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충보조유닛(400)은;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210) 중 최후방에 위치되는 에어백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프레임(410);
    상기 제1 프레임(410)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420);
    상기 제2 프레임(420)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420)의 후면에 경사를 이루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30); 및
    상기 제1, 제2 프레임(410,4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제2 프레임(410,420)을 연결하며, 완충 작용을 하도록 엑스자형을 이루며 교차하도록 설치되되, 교차 부위가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제1, 제2 프레임(410,420)에 각각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링크프레임(4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프레임(440)은, 상기 제1, 제2 프레임(410,420)에 상하로 배치되도록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210)에는, 차량 충돌시 파손되면서 에어백(210)의 내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에어백마개(212)가 설치되되,
    상기 에어백마개(212)는, 에어백(210)의 측면부 및 상면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일렬 혹은 다열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마개(212)의 개수는,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에어백(210) 중 차량과 최초로 충돌되는 에어백에는 다른 에어백들보다 많은 개수의 에어백마개(212)가 설치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에어백마개(212)의 개수가 적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210)들은 고정클립(220)에 의해 인접하는 에어백(210)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인접하는 에어백(210)의 사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커버(230)를 설치하여 상기 커버(230)를 고정클립(220)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210)에 인접하는 후방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지주(50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500)의 상단부에 카메라(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장치.
KR1020180026270A 2018-03-06 2018-03-06 충격흡수장치 KR10190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70A KR101902839B1 (ko) 2018-03-06 2018-03-06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70A KR101902839B1 (ko) 2018-03-06 2018-03-06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839B1 true KR101902839B1 (ko) 2018-10-01

Family

ID=6387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70A KR101902839B1 (ko) 2018-03-06 2018-03-06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2213A (zh) * 2021-03-31 2021-07-02 襄阳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桥梁的装配式护栏及其装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85Y1 (ko) * 2001-12-27 2002-04-13 이문용 충격흡수대
KR100869344B1 (ko) *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041234B1 (ko) * 2010-11-25 2011-06-13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85Y1 (ko) * 2001-12-27 2002-04-13 이문용 충격흡수대
KR100869344B1 (ko) *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041234B1 (ko) * 2010-11-25 2011-06-13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도로변 차량 충격 흡수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2213A (zh) * 2021-03-31 2021-07-02 襄阳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桥梁的装配式护栏及其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35601A (ja) 衝撃吸収装置
KR101153856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CN205369107U (zh) 缓冲护栏
KR101215335B1 (ko) 차량 방호울타리
CN209323439U (zh) 一种公路用防护栏
KR100902630B1 (ko) 차량 충돌충격 흡수완화장치
KR101902839B1 (ko) 충격흡수장치
KR100590118B1 (ko) 교량 상단의 차량충돌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649365B1 (ko)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 흡수용 가드레일
CN103434476B (zh) 一种车用安全系统
KR101381407B1 (ko) 차량 충격 흡수 장치
KR10050350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1086826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에어백 구조
US7588267B2 (en) Active vehicle impact dampening system
CN213952046U (zh) 一种道路护栏防护支架
KR102354121B1 (ko) 차량 충격완화장치
CN206457759U (zh) 一种高速路隔离带柔弹性防撞设施
KR20180119181A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20230037976A (ko) 교량의 안전난간
CN105774742A (zh) 一种车用安全系统
CN210737432U (zh) 一种隧道多重缓冲护栏
KR20130068744A (ko) 에너지 흡수부재를 갖는 도로용 가드레일
KR200326711Y1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1134717B1 (ko)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050113352A (ko) 가드레일의 충격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