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814B1 -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814B1
KR101901814B1 KR1020180008779A KR20180008779A KR101901814B1 KR 101901814 B1 KR101901814 B1 KR 101901814B1 KR 1020180008779 A KR1020180008779 A KR 1020180008779A KR 20180008779 A KR20180008779 A KR 20180008779A KR 101901814 B1 KR101901814 B1 KR 10190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cylinder
slider
pisto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문배
Original Assignee
손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문배 filed Critical 손문배
Priority to KR102018000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는 일부에 검사대상물이 안착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고 전진영역과 후진영역으로 구분되는 이동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일측방향을 따라 상기 전진영역과 상기 후진영역을 왕복하여 상기 베이스와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서 승강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검사수단이 안착되어 상기 검사대상물과 인접하여 승강되는 승강파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Device for Testing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대상물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키며, 승강파트는 하향되게 배치하여 전체 높이가 낮게 형성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대부분에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부분의 카메라는 CMOS나 CCD 이미지 센서가 적용된 소형 카메라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소형카메라는 인쇄회로기판에 CMOS나 CCD 이미지센서가 장착된 후 렌즈(lens)와 하우징(housing)에 조립된 후 외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카메라모듈을 제작하게 되며, 이 후 제작이 완료된 카메라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종래에는 모니터의 화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작업자가 카메라모듈을 장착한 후 모니터의 화면에 검사 이미지(image)를 표시하면 이를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카메라모듈의 정상 동작의 여부를 수동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지그장치는 검사대상물인 카메라모듈이 안착된 대상위치로 검사수단을 이송시키기 위해 이동플레이트를 수평이동 및 상하이동 시킨다.
또한, 검사대상물인 카메라 모듈을 지그장치에 놓아 정렬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을 수평 및 상하이동시키는데, 이 때, 관성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정렬이 어긋나게 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자동화 시스템으로 검사가 수행되면서 다수의 지그장치가 결합되는데, 이 때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서 여러 장비가 서로 간섭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지그장치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승강파트가 하루 돌출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그장치가 결합되는 스테이지장치와 함께 전체적인 공간활용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른 최적화 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는 일부에 검사대상물이 안착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고 전진영역과 후진영역으로 구분되는 이동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일측방향을 따라 상기 전진영역과 상기 후진영역을 왕복하여 상기 베이스와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서 승강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검사수단이 안착되어 상기 검사대상물과 인접하여 승강되는 승강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파트는, 상기 슬라이더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일부가 소정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홈을 관통하는 승강케이스,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면에 검사수단이 안착되며, 상기 승강케이스 상부에서 신축되는 승강스테이지,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에 형성되어 유체가 주입되는 승강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주입관에서 주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승강케이스 내부로 유동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유로, 상기 승강유로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스테이지를 지지하고, 상기 승강유로를 통해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로는, 상기 승강주입관에서 주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승강실린더로 하향 이동되도록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로는, 상기 승강실린더로 상기 유체가 이동되도록 측부으로 분기되는 분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파트는, 상기 승강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승강피스톤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스테이지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승강스테이지 하면 양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승강케이스를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서 제2구동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일측에 상기 슬라이더가 왕복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실린더 및 일단에 상기 제1실린더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밀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실린더에 삽입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주입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 내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1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제1피스톤은, 상부로 주입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의 내측부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밀폐부로 인한 압력의 차이로 상기 후진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왕복되는 방향을 따라 타측에 상기 제1실린더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실린더 및 일단에 상기 제2실린더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밀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실린더에 삽입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주입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의 일측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2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제2실린더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내부를 관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는 상기 제2유로를 통해 배출된 유체에 의해 내부 압력의 차이로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전진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그장치의 높이를 포함한 전체 체적을 작게 형성하여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승강파트가 이동홈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승강유로가 계단식으로 구비되어 승강스테이지의 승강되는 높이가 지그장치 상면과 인접한 높이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제1구동부는 제1유로에 제1실린더의 내측부로 유체가 배출되는경로가 되는 꺽임유로의 간단한 구성으로 슬라이더를 후진영역으로 이동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가후진영역에 위치한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가 전진영역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슬라이더가 전진영역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제1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슬라이더가 후진영역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제2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승강파트는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유체가 주입되면서 승강피스톤이 하강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승강피스톤이 하강하면서 스프링이 압착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승강스테이지가 상승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에서 승강유로와 분기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100), 슬라이더(200) 및 승강파트(3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전체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에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결합된다.
베이스(1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검사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영역(101)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이동홈(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동홈(210)에는 슬라이더(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더(200)가 이동되는 영역을 설정하는데,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안착영역(101)과 인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200)가 이동되는 전진영역(212) 및 이와 반대되는 타측으로 슬라이더(200)가 이동되는 후진영역(21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전체적인 형상이 'ㄷ'형상을 가지며, 중심에는 승강파트(300)가 있고 양측에 길게 구동부(제1구동부, 제2구동부)가 형성된다.
먼저 승강파트(300)는 슬라이더(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소정 하부로 돌출되어 이동홈(210)을 관통하며, 상부에서 승강되는 승강스테이지(330)가 결합된다.
승강스테이지(330)는 검사수단이 결합되며, 안착영역(101)에 안착된 검사수단의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전진영역(212)으로 이동되어 승강한다.
이때 슬라이더(200)가 전진영역(212)로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베이스(100)상에 구동부(제2구동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승강스테이지(330)의 높이는 양측에 형성된 구동부(제1구동부, 제2구동부)의 높이에 준하게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승강스테이지(330)가 하강 되었을 경우에는 양측 구동부(제1구동부, 제2구동부)의 상면보다 낮으며, 상승하였을 경우에는 소정 높이 상부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대상물은 실질적으로 CCD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검사대상물의 종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슬라이더(200)는 전진영역(212)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검사대상물이 안착된 안착영역(101)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스테이지(330)가 상승하여 검사대상물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종래에 지그장치(10)들과 비교할 때, 전체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며 매뉴얼(MANUAL)장비들과 대등한 높이에서 기계식으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10)에서 슬라이더(200)의 왕복 이동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슬라이더(200)는 승강케이스(340)를 중심으로 양측에 실린더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200)는 후진영역(214)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는 제1실린더(220) 및 전진영역(212)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피스톤(230)을 포함한다.
제1실린더(220)는 슬라이더(200)의 일측에서 슬라이더(200)가 왕복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실린더(250)는 이와 평행되게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 상기 실린더에는 서로 다른 형태의 피스톤(제1피스톤(230) 및 제2피스톤(260))이 삽입되게 된다.
제1실린더(220) 내부에는 베이스(100)와 연결된 제1피스톤(230)이 삽입되며, 제1피스톤(230)은 일단에 제1실린더(220)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제1밀폐부(236)가 형성되어 제1실린더(220)에 삽입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주입된 유체가 제1실린더(220) 내부로 배출되면서 압력에 의해 제1실린더(220)를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제1피스톤(230)은 내부로 주입된 유체가 제1실린더(220) 내부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232)를 포함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피스톤(230)은 베이스(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주입관(290)과 연결되고, 슬라이더(200)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제1실린더(220) 내부에 삽입되는 제1로드(236) 및 제1로드(236)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실린더(220) 내주연을 밀폐하는 제1밀폐부(236)로 구성되며, 제1실린더(220)로 유체를 주입하는 제1주입관(280)을 통해 주입된 유체가 제1피스톤(230) 내부를 지나 제1실린더(220)로 배출되면서 압력에 의해 제1실린더(220)가 이동된다.
이때 발생된 구동력으로 슬라이더(200)가 후진영역(21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유로(232)는 제1주입관(280)으로 주입된 유체가 이동하도록 내부에 길게 통로를 형성하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2)상에 꺽임유로(234)가 형성되어 제1실린더(220)의 측부로 유체가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유체가 제1실린더(220) 측부로 배출되는 것은, 제1유로(232)가 제1로드(236)의 내부에만 형성되고, 제1밀폐부(236) 앞에서 측부로 분기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꺽임유로(234)는 제1로드(236)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제1유로(232)와 연통되며, 꺽임유로(234)로 배출된 유체가 압력에 의해 제1실린더(220)를 후진영역(214)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 유체는 공기나 가스 등의 유체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유체는 공기나 가스 등의 기체 이외에도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200)를 전진시키는 제2실린더(250)는 내부에 제2피스톤(260)이 삽입되고, 내부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제2유로(262)가 형성된다.
제2피스톤(260)은 베이스(100)에 고정되어 제2주입관(290)과 연결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제2유로(262)는 제2피스톤(260)과 평행하게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형성된 제2주입관(290)으로 주입된 유체가 제2피스톤(260)을 관통하여 제2피스톤(260)의 타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2피스톤(260)은 제1피스톤(230)과 동일하게 제2밀폐부(264)와 제2로드(268)가 형성되는데, 차이점은 제1로드(236)와 제2로드(268)의 형태가 차이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유로(232)는 제1주입관(280)으로 주입된 유체가 제1밀폐부(236)를 관통하지 않고 제1로드(236)상에서 측면으로 배출되게 경로를 형성하고, 제2유로(262)는 주입된 유체가 제2밀폐부(264)를 관통하여 배출되는 경로를 가진다.
이를 통해 제2피스톤(260)은 제2유로(262)를 따라 배출된 유체를 통해 제2실린더(250)를 전진영역(212)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2피스톤(260)은 제2유로(262)와 대향된 제2실린더(250) 일측에 유체접촉부재(266)가 형성된다.
유체접촉부재(266)는 제2피스톤(260)의 제2밀폐부(264)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2실린더(25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유체접촉부재(266)는 제2유로(262)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유체의 유속에 따른 실린더 내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피스톤(230) 및 제2피스톤(260)이 각각 베이스(100)의 양측에 고정되며, 단부가 각각 제1주입관(280) 및 제2주입관(290)과 연결된다.
이처럼 상기 피스톤들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실린더(220) 및 제2실린더(250)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슬라이더(200)가 전진영역(212)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슬라이더(200)가 전진영역(212)으로 이동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은 제2실린더(250)이며, 여기서는 제2주입관(290)을 통해 제2실린더(250)에 유체가 주입된다.
유체는 제2유로(262)를 통해 제2주입관(290)과 대향된 제2실린더(250)의 일측으로 유체를 배출하고 이를 통해 제2실린더(250)가 전진영역(212)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피스톤(260)은 제2밀폐부(264)와 제2로드(268)로 구성되며, 제2유로(262)는 제2로드(268)와 제2밀폐부(264)를 관통하는 직선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2주입관(290)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밀폐부(264)를 관통한다.
따라서 제2주입관(290)에서 주입된 유체는 제2유로(262)를 통해 수평 이동하여 전면에 유체접촉부재(266)에 접촉하고, 이 때 압력으로 제2실린더(250)를 전진영역(212)으로 이동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262)는 슬라이더(200)의 외측에 형성된 제2주입관(290)과 연통되어 제2피스톤(26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제2피스톤(260)의 단부는 슬라이더(200)의 이동에 따라 유체접촉부재(266)에 접촉되게 형성되고, 또한 제2유로(262)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배출되면서 압력을 발생시켜 제2실린더(250)가 전진영역(212)으로 이동된다.
다음, 도 5는 슬라이더(200)가 후진영역(214)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제1주입관(280)으로 유체가 주입되고 제1유로(232)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가 꺽임유로(234)를 통해 배출되면서, 제1실린더(220) 내부의 압력으로 인해 제1실린더(220)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더(200)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1주입관(280)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어 제1피스톤(230) 내부의 제1유로(232)의 경로를 통해 후진영역(214)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1유로(232)는 제1로드(236)에만 형성되고, 제1밀폐부(236)와 인접한 제1로드(236)의 단부에 제1로드(236)의 둘레를 따라 분기되어 그 압력에 의해 제1밀폐부(236)를 전진영역(212)으로 밀어낸다.
도 6를 통해 제1피스톤(230) 내부를 자세히 살펴보면, 내부에 제1유로(232)가 형성되되 제1로드(236) 내부에 형성되고, 제1주입관(280)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로(232)는 제1밀폐부(236)를 관통하지 않고 제1밀폐부(236)를 앞에 두고 꺽임유로(234)가 측면에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꺽임유로(234)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제1유로(232)에서 제1로드(236)의 외측 둘레를 관통하는 형태의 꺽임유로(23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꺽임유로(234)의 개수는 슬라이더(200)를 후진영역(214)으로 이동시키는 속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정에 따라 개수의 제한은 권리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실린더(220)는 내부에 제2유로(262)가 제2로드(268)의 둘레를 따라 꺽임유로(234)와 연통되어 제1주입관(280)에서 주입된 유체가 제2로드(268)의 측부로 배출되면서 이에 대한 압력으로 제1실린더(220)를 후진영역(214)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파트(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승강파트(300)를 자세히 살펴보면, 승강파트(300)는 승강케이스(340), 승강스테이지(330), 승강유로(322), 승강실린더(370) 및 승강피스톤(360)을 포함한다.
승강케이스(340)는, 양측에 실린더가 배치되고, 이동홈(210)에 일부가 소정 삽입되며 슬라이더(2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승강케이스(340)는 하부가 이동홈(210)에 소정 일부가 삽입되도록 돌출되고, 상면은 지그장치(10)의 상면에서 하향 단턱지게 홈이 형성된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면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부에 검사수단이 안착되는 승강스테이지(330)가 상하 방향 신축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신축되는 승강스테이지(330)는 승강케이스(340)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에 의해서 승강하게 되며, 따라서 승강케이스(34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370)가 구비되어 승강스테이지(330)를 승강시킨다.
승강실린더(370)는 슬라이더(200) 외부에 형성되어 유체가 주입되는 승강주입관(320)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주입된 유체가 승강케이스(340) 내부로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유로(322)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유로(322)는 승강실린더(370)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여 승강스테이지(330)는 상승 또는 하강시키며, 승강실린더(370) 내부에는 승강피스톤(360)이 구비된다.
승강피스톤(360)은 일단이 승강케이스(34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며 승강스테이지(330)의 하면에 연결되어 유체가 주입되면서 승강스테이지(3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승강피스톤(360)이 승강되는 것은 승강유로(332)에 유체가 주입되면서 승강피스톤(360)이 하강하고, 승강케이스(340) 일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승강스테이지(330)이 상승하면서 승강피스톤(360)이 상승한다.
또한 스프링(380)은 승강케이스(34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일부가 함몰된 케이스홈(342) 및 승강스테이지(330)의 하면 일부에 함몰된 스테이지홈(332)에 각 단이 삽입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승강피스톤(36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에서 실린더 내주연과 맞닿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승강밀폐부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밀폐부는 하부를 향해 승강실린더(37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둘레 주입된 유체가 압력에 의해 상기 승강밀폐부를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승강스테이지(330)는 탄성에 의해 상승되고, 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하강하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라 스프링(380)이 상기 승강로드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승강밀폐부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유로(322)가 승강실린더(370) 하부에 연결되어 유체가 주입되면서 승강피스톤(360)이 상승되고 스프링(380)에 의해 하강되는 구조로 가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를 살펴보면, 승강실린더(370) 내부에는 승강피스톤(360)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케이스(340)에는 스프링(380)이 안착되어 승강스테이지(330)와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도 7에서 승강실린더(370)의 양측에는 가이드바(390)가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바(39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승강케이스(340) 내부에 형성되어 단부가 승강스테이지(330)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바(390)는 승강피스톤(360)의 승강에 따라 승강스테이지(330)가 승강되면서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피스톤(360) 및 가이드바(390)는 4개씩 구비되며, 승강피스톤(360)은 4개가 서로 인접하게 2X2로 배열되어 있고, 가이드바(390)를 이를 중심으로 양측으로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피스톤(360) 및 가이드바(390)는 모두 단부가 승강스테이지(330)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주입관(320)은 내부의 승강유로(322)와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유로(322)에서 주입되는 유체가 승강유로(322)를 통해 승강실린더(370) 내부로 이동되면서 승강스테이지(330)가 하강하게 되고, 유체가 차단되면 스프링(380)에 의해 승강스테이지(330)이 상승하면서, 이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피스톤(360) 및 가이드바(390)이 상승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로(332)에서 유체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380)의 탄성에 의해 승강피스톤(360) 및 가이드바(390)가 승강스테이지(33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로(322)를 중심으로 양측에 승강실린더(370)가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주입관(320)에서 승강케이스(340) 내부로 승강유로(322)가 길게 형성되며, 승강유로(322)는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승강유로(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두개씩 형성된 승강실린더(370)와 연통된다.
따라서 승강유로(322)는 양측에 각 두개씩 배치된 승강실린더(370)와 연통되는 분기홀(324)이 4개 구비되어 승강주입관(320)에서 주입된 유체가 승강유로(322)를 따라 승강실린더(370)로 이동되게 경로를 형성한다.
이처럼 승강유로(322)에서 승강실린더(370)로 이동된 유체는 승강피스톤(360)을 하루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로(322)는 승강실린더(370)에서 상기 승강밀폐부의 상부로 유체가 이동되게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승강피스톤(360)이 하향 이동되게 한다.
이를 통해 승강주입관(320)으로 유체가 주입되면 승강스테이지(330)는 하강하게 되고, 유체가 주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380)의 탄성에 의해 승강피스톤(360)과 함께 승강스테이지(330)이 상부로 이동된다.
승강유로(322)는 슬라이더(200)의 일측에 형성된 승강주입관(320)에서 연장되어 승강케이스(340) 내부로 연장되며, 구체적으로는 본 지그장치(10)를 단면에서 봤을 때, 하향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주입관(320)에서 연장된 승강유로(322)는 슬라이더(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하부로 2회 절곡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승강유로(322)가 하향 절곡된 계단식으로 형성된 것은 본 발명의 지그장치(10)가 종래의 지그장치(10)보다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기 위함으로 승강케이스(340)가 이동홈(210)을 관통하여 하향 배치됨으로 승강유로(322) 또한 승강주입관(320)에서부터 하향 계단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지그장치
100: 베이스
101: 안착영역
200: 슬라이더
201: 제1구동부
202: 제2구동부
210: 이동홈
212: 전진영역
214: 후진영역
220: 제1실린더
230: 제1피스톤
232: 제1유로
234: 꺽임유로
236: 제1로드
238: 제1밀폐부
250: 제2실린더
260: 제2피스톤
262: 제2유로
264: 제2밀폐부
266: 유체접촉부재
268: 제2로드
280: 제1주입관
290: 제2주입관
300: 승강파트
320: 승강주입관
322: 승강유로
324: 분기홀
330: 승강스테이지
332: 스테이지홈
340: 승강케이스
342: 케이스홈
360: 승강피스톤
370: 승강실린더
380: 스프링
390: 가이드바

Claims (10)

  1. 일부에 검사대상물이 안착되고,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고 전진영역과 후진영역으로 구분되는 이동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일측방향을 따라 상기 전진영역과 상기 후진영역을 왕복하여 상기 베이스와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서 승강되게 결합되고, 상부에 검사수단이 안착되어 상기 검사대상물과 인접하여 승강되는 승강파트;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파트는 상기 슬라이더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일부가 소정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홈을 관통하는 승강케이스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면에 검사수단이 안착되며, 상기 승강케이스 상부에서 신축되는 승강스테이지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에 형성되어 유체가 주입되는 승강주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주입관에서 주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승강케이스 내부로 유동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유로와, 상기 승강유로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스테이지를 지지하고, 상기 승강유로를 통해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피스톤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로는,
    상기 승강주입관에서 주입된 상기 유체가 상기 승강실린더로 하향 이동되도록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로는,
    상기 승강실린더로 상기 유체가 이동되도록 측부으로 분기되는 분기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파트는,
    상기 승강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승강피스톤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스테이지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승강스테이지 하면 양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승강케이스를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서 제2구동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일측에 상기 슬라이더가 왕복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실린더; 및
    일단에 상기 제1실린더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밀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실린더에 삽입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주입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 내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1피스톤;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은,
    내부로 주입된 유체가 상기 제1실린더의 내측부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밀폐부로 인한 압력의 차이로 상기 후진영역으로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왕복되는 방향을 따라 타측에 상기 제1실린더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실린더; 및
    일단에 상기 제2실린더의 내주연을 밀폐하는 밀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실린더에 삽입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주입된 유체가 상기 제2실린더의 일측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2피스톤;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제2실린더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내부를 관통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고, 제2실린더는 상기 제2유로를 통해 배출된 유체에 의해 내부 압력의 차이로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전진영역으로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20180008779A 2018-01-24 2018-01-24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901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79A KR101901814B1 (ko) 2018-01-24 2018-01-24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79A KR101901814B1 (ko) 2018-01-24 2018-01-24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814B1 true KR101901814B1 (ko) 2018-09-27

Family

ID=6371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79A KR101901814B1 (ko) 2018-01-24 2018-01-24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8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763B1 (ko) * 2018-10-05 2019-07-08 손문배 플립형 소켓 스테이지
KR102199180B1 (ko) * 2019-09-26 2021-01-08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양방향 이송스테이지 어셈블리
KR102264807B1 (ko) * 2020-08-06 2021-06-15 (주)하이비젼시스템 무게중심 유지가 가능한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2365457B1 (ko) * 2021-01-12 2022-02-25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실린더 이동식 지그장치
KR20220030617A (ko) *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유니세트 반도체 메모리 모듈 고온 테스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16B1 (ko) * 2013-05-15 2013-10-18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39176B1 (ko) * 2016-02-25 2016-07-13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카메라 모듈의 ois 검사용 소켓
KR101676314B1 (ko) 2016-07-22 2016-11-15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KR101751882B1 (ko) 2017-01-26 2017-06-28 삼승테크(주)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16B1 (ko) * 2013-05-15 2013-10-18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39176B1 (ko) * 2016-02-25 2016-07-13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카메라 모듈의 ois 검사용 소켓
KR101676314B1 (ko) 2016-07-22 2016-11-15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KR101751882B1 (ko) 2017-01-26 2017-06-28 삼승테크(주)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763B1 (ko) * 2018-10-05 2019-07-08 손문배 플립형 소켓 스테이지
KR102199180B1 (ko) * 2019-09-26 2021-01-08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양방향 이송스테이지 어셈블리
KR102264807B1 (ko) * 2020-08-06 2021-06-15 (주)하이비젼시스템 무게중심 유지가 가능한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20220030617A (ko) *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유니세트 반도체 메모리 모듈 고온 테스트 장치
KR102398395B1 (ko) * 2020-09-03 2022-05-16 주식회사 유니세트 반도체 메모리 모듈 고온 테스트 장치
KR102365457B1 (ko) * 2021-01-12 2022-02-25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실린더 이동식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81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2039542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246182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751882B1 (ko)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KR101574486B1 (ko) 테스트 소켓
KR101316816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CN106597706B (zh) 液晶屏自动点灯治具
KR10192085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926690B1 (ko) 슬라이드 수직형 테스트 소켓
JP4891348B2 (ja) 部品装着検出装置
KR101745521B1 (ko) 분리형 승강플레이트를 가지는 공기주입식 검사용 지그장치
CN117249949A (zh) 一种真空泵腔体密封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1504570A (zh) 一种检测装置
KR101992803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KR101566691B1 (ko) 누수 검사 장치
KR101694135B1 (ko) 흡착식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216702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642973B1 (ko) 내연기관용 밸브 리크 검사장치
CN112582327A (zh) 选择器及包括其的手部
CN110082041B (zh) 灭火器气密性检验装置
KR102438532B1 (ko)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CN208696738U (zh) 泵盖组装机的丝堵上料机构
KR101316818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CN115165237A (zh) 一种高压氢气下橡胶密封圈密封特性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KR102264807B1 (ko) 무게중심 유지가 가능한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