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882B1 -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882B1
KR101751882B1 KR1020170012880A KR20170012880A KR101751882B1 KR 101751882 B1 KR101751882 B1 KR 101751882B1 KR 1020170012880 A KR1020170012880 A KR 1020170012880A KR 20170012880 A KR20170012880 A KR 20170012880A KR 101751882 B1 KR101751882 B1 KR 10175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ing plate
elevating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문배
구자흥
Original Assignee
삼승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승테크(주) filed Critical 삼승테크(주)
Priority to KR102017001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면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격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검사수단이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이격공간상에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 검사대상물이 결합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 끝단부에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 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조절유닛,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하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하강부를 포함하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에 연결되며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의 승하강을 조절하는 공기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을 대상위치로 이동시키는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Jig Equipment Having Lifting Plate of Air Intrusive}
본 발명은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이용하여 검사대상물의 위치를 대상위치로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대부분에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부분의 카메라는 CMOS나 CCD 이미지 센서가 적용된 소형 카메라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소형카메라는 인쇄회로기판에 CMOS나 CCD 이미지센서가 장착된 후 렌즈(lens)와 하우징(housing)에 조립된 후 외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카메라모듈을 제작하게 되며, 이 후 제작이 완료된 카메라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종래에는 모니터의 화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작업자가 카메라모듈을 장착한 후 모니터의 화면에 검사 이미지(image)를 표시하면 이를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카메라모듈의 정상 동작의 여부를 수동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지그장치는 검사대상물인 카메라모듈이 안착된 대상위치로 검사수단을 이송시키기 위해 이동플레이트를 수평이동 및 상하이동 시킨다.
이때, 모터 등을 이용하여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속도가 제한적이며 정밀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04948호 (공고일자 2015년 3월 24일) 'VCM 모듈 접속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공기를 이용하여 검사수단을 정확하게 대상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빠른 응답속도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는 설치면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격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검사수단이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이격공간상에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 검사대상물이 결합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 끝단부에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 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조절유닛,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하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하강부를 포함하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에 연결되며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의 승하강을 조절하는 공기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을 대상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내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측 일부가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제2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피스톤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유입공간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공급유닛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되는 제1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내부에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공기공급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1유로로 기체를 전달하는 제2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이 상기 제1유로를 가지며 횡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유로는 일측이 분기되어 상기 승강부 각각에 기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부는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타측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신축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검사수단이 결합된 베이스와 검사대상물이 안착된 이동플레이트 각각에 연결된 슬라이딩 조절유닛이 신축을 통해 빠르게 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며, 단시간에 검사대상물을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된 승하강 플레이트를 별도의 승강부가 공기공급을 통해 밀어올리는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 공급을 위한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이동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이동플레이트의 승하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지그장치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승하강 조절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A-A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이동플레이트 내부에 구비된 제2유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1의 지그장치에서 슬라이딩 조절유닛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이동플레이트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6의 지그장치에서 승하강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지그장치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승하강 조절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A-A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이동플레이트 내부에 구비된 제2유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1의 지그장치에서 슬라이딩 조절유닛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안착된 검사대상물(미도시)을 움직이며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검사수단(미도시)을 통해 정상 작동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가지는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베이스(100), 이동플레이트(200), 승하강 플레이트(300), 슬라이딩 조절유닛(400), 승하강 조절유닛(500) 및 공기공급유닛(미도시) 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전체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설치면의 하부에 이격공간(20)을 가지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검사수단(미도시)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0)는 일측에 상기 검사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 및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검사수단은 상기 검사대상물이 이송되는 대상위치(T)상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00)는 크게 측면부(110) 및 평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110)는 상기 설치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고 사이에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배치되는 상기 이격공간(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120)는 상기 측면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검사수단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베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 후술하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 및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100)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평면부(120)의 하부에서 상기 이격공간(20) 내에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의해 측면 일부가 감싸지는 형태로 배치되며, 측면 중 개방된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별도의 슬라이딩 가이드(2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상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0)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상기 베이스(100)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0)가 관통하는 부분에 별도의 베어링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0)와의 마찰을 저감시키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사각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평면부(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평면부(120)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후술하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안착된 상기 검사대상물이 상기 검사수단의 하부에서 상기 대상위치(T)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킨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후술하는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제2유로(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유로(22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후술하는 상기 승강부(5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공기공급유닛에 연결되어 기체를 후술하는 승강부(5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510)는 상기 제2유로(22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로(22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타측 끝단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 외부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상기 공기공급유닛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51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에 분기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100)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내부에 상기 제2유로(22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면에 상기 검사대상물이 안착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에 적층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상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의 상부에 적층 형태로 배치되며, 후술하는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검사대상물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승하강 가이드(310)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31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상에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이탈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가이드(310)는 4개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상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관통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일측 상부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후술하는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승하강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 매립되어 선택적으로 신축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전후이동 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상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상기 평면부(120)의 하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 결합되어 선택적인 신축을 통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길게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신축되는 일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크게 베이스(100)상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410) 및 제1실린더(410)에서 돌출되어 신축하는 제1피스톤(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실린더(410)는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상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별도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린더(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100)상에 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제1피스톤(420)이 구비된다.
상기 제1피스톤(420)은 상기 제1실린더(410)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실린더(410) 내부에 배치되어 상술한 내부공간을 제1공간(412) 및 제2공간(414)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피스톤(420)의 타측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스톤(4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격벽(422)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피스톤(420)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의 크기 변화에 따라 슬라이딩이동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된 상기 제1실린더(410)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 결합된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전후이동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410)의 타측에 상기 제1공간(412)이 위치하고 일측에 상기 제2공간(414)이 위치하며, 상기 제1공간(412) 내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공기공급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실링부재(4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410) 내부의 상기 제1공간(412) 또는 상기 제2공간(4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1피스톤(420)의 일측 끝단부와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기 대상위치(T)에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피스톤(420)이 상기 제1실린더(410)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전후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기 대상위치(T)로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부재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쿠션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1완충부재는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 시 상기 격벽(422)이 상기 제1실린더(410)의 내측면과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시킨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410)는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부가 돌출된 상기 제1실린더(410)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전후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실린더(410) 및 상기 제1피스톤(420)이 일정 크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출원발명과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전후 슬라이딩 시키는 경우 상기 제1실린더(410)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실린더(410)는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자체의 크기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각각 함몰시켜 상기 제1실린더(410)의 배치 공간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100)에 각각 연결되어 신축함으로써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전후 슬라이딩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승하강 하도록 조절하는 구성으로 크게 승강부(510) 및 하강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510)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510)는 후술하는 공기공급유닛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일부가 신축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부(510)는 크게 제2실린더(512) 및 제2피스톤(5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에 기체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2피스톤(514)이 이동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2실린더(512)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5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공간(516)은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실린더(512)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또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실린더(512)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와 일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유입공간(5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피스톤(514)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측 일부가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피스톤(514)은 상측이 상기 유입공간(516) 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간(516) 내부에 기체가 공급됨에 따라 하부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피스톤(514)의 상측에는 둘레를 따라 별도의 밀폐부재(514a)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공간(516) 내부에서 기체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피스톤(514)은 외부로부터 기체를 전달받아 상기 유입공간(516) 내부로 전달하는 제1유로(518)가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518)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피스톤(514) 내부에 구비되어 상측 끝단부가 상기 유입공간(516)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518)의 하측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 내부에서 상기 제2유로(220)의 일측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유로(518)는 상기 제2피스톤(514) 내부에서 상기 제2유로(220)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공간(516) 내부로 기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부(510)는 상기 제2실린더(512) 및 상기 제2피스톤(5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220)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로 기체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2피스톤(514)의 상측 끝단부가 하강하여 상기 제2실린더(51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상에서 상부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부(5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이격 배치되며,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2피스톤(514)의 내부에 상기 제1유로(518)가 구비되어 상기 제2유로(220)와 연통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518)의 일측 끝단부는 분기되어 각각의 상기 제2유로(220)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강부(520)는 상기 승강부(510)와 별도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하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강부(520)는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510)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강부(5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별도의 지지부재(52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와 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하강부(52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 방향으로 하강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하강부(520)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하부방향으로 지속적인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강부(5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횡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복원력이 고르게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은 상기 승강부(510)와 상기 하강부(520)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510)의 경우 상기 제2실린더(512)와 상기 제2피스톤(514)을 포함하여 기체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512)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상부에서 승강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510)에 기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하강부(52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하강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은 하강부(520)가 구비되어 하부방향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승강부(510)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공급유닛을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과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연결되며 내부에 기체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제1공간(412), 상기 제2공간(414)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유닛이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 중 어느 하나에 기체를 주입함으로써, 분할된 공간들 중 어느 하나가 팽창함과 동시에 상기 제1피스톤(42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격벽(422)을 밀어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제1공간(412) 또는 상기 제2공간(414) 중 어느 하나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 모두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공간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차이를 통해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피스톤(4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술한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 뿐만 아니라, 별도로 상기 제2유로(220)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공급유닛이 상기 제2유로(220)에 연결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유로(220)를 통해 기체를 공급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512)의 상기 유입공간(516) 내부로 기체가 전달되어 상기 제2실린더(51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제2유로(220)에 공기를 공급할 때,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상기 대상위치(T)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과 별도로 상기 제2유로(22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유로(220)에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베이스(100)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과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기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도면의 좌측에서 상기 공기공급유닛이 기체를 공급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유로(220)의 타측 및 상기 제1실린더(410)에서 상기 제1피스톤(420)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에서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과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각각 기체를 독립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위치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의 승하강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는 상기 베이스(100)상에 구비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이동시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결합된 상기 검사대상물을 상기 대상위치(T)로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100) 일측에 고정된 상기 검사수단을 통해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가 동작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는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이동플레이트(200)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지그장치에서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를 살펴보면, 초기상태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기 대상위치(T)로부터 멀어진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제2공간(414)으로 공기를 주입한 상태로 상기 제2공간(414)이 상기 제1실린더(410) 내부에서 확장되어 상기 제1피스톤(42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상기 격벽(422)이 상기 제1실린더(410)의 타측에 접촉한 상대가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의 상기 하강부(520)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유닛이 상기 제1공간(412)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제1공간(412)이 확장되며 상기 제1피스톤(420)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상기 대상위치(T) 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이때, 상기 제1공간(412)은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확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2공간(414)이 수축하여 상기 격벽(422)이 상기 제2공간(4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이동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유닛이 상기 제2유로(220)에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실린더(512)가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510)에 의해 상기 제2실린더(512)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복원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로 기체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부로 이동하면 안착된 상기 검사대상물이 함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대상위치(T) 내에서 상기 검사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검사수단이 상기 대상위치(T)에 위치한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한 후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하강부(52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역순으로 구동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후, 상기 검사대상물을 교체하며 반복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는 복수의 검사대상물을 교체하며 반복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 자체를 상기 제2실린더(512)와 일체화 시켜 간단한 공기주입만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베이스
110: 측면부
120: 평면부
200: 이동플레이트
210: 슬라이딩 가이드
220: 제2유로
300: 승하강 플레이트
400: 슬라이딩 조절유닛
410: 제1실린더
420: 제1피스톤
500: 승하강 조절유닛
510: 승강부
520: 하강부
T: 대상위치

Claims (8)

  1. 설치면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격공간을 가지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검사수단이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이격공간상에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
    검사대상물이 결합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 끝단부에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승하강 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조절유닛;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하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하강부를 포함하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에 연결되며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승강부의 승하강을 조절하는 공기공급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상기 유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측 일부가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피스톤은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유입공간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공급유닛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되는 제1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일측이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공기공급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1유로로 기체를 전달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검사대상물을 대상위치로 이동시키는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이 상기 제1유로를 가지며 횡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유로는 일측이 분기되어 상기 승강부 각각에 기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부는,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타측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신축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KR1020170012880A 2017-01-26 2017-01-26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KR101751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880A KR101751882B1 (ko) 2017-01-26 2017-01-26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880A KR101751882B1 (ko) 2017-01-26 2017-01-26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882B1 true KR101751882B1 (ko) 2017-06-28

Family

ID=5928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880A KR101751882B1 (ko) 2017-01-26 2017-01-26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88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814B1 (ko) 2018-01-24 2018-09-27 손문배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2039542B1 (ko) * 2018-06-21 2019-11-01 삼승테크(주)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20200110023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20200131957A (ko) * 2019-05-14 2020-11-2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어레이 테스터
KR102365457B1 (ko) * 2021-01-12 2022-02-25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실린더 이동식 지그장치
KR102508229B1 (ko) * 2022-06-29 2023-03-09 주식회사 프로이천 상하전후구동블록조립체 및 프로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851B1 (ko) 2012-04-17 2012-08-23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슬라이딩 구동모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모듈 컨택장치
KR101246182B1 (ko) 2013-01-22 2013-03-22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15181B1 (ko) 2014-12-30 2016-04-2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85468B1 (ko) 2015-08-29 2016-12-14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851B1 (ko) 2012-04-17 2012-08-23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슬라이딩 구동모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모듈 컨택장치
KR101246182B1 (ko) 2013-01-22 2013-03-22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15181B1 (ko) 2014-12-30 2016-04-2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85468B1 (ko) 2015-08-29 2016-12-14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814B1 (ko) 2018-01-24 2018-09-27 손문배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2039542B1 (ko) * 2018-06-21 2019-11-01 삼승테크(주)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20200110023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2167024B1 (ko) * 2019-03-15 2020-10-1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20200131957A (ko) * 2019-05-14 2020-11-2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어레이 테스터
KR102190482B1 (ko) 2019-05-14 2020-12-1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어레이 테스터
KR102365457B1 (ko) * 2021-01-12 2022-02-25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실린더 이동식 지그장치
KR102508229B1 (ko) * 2022-06-29 2023-03-09 주식회사 프로이천 상하전후구동블록조립체 및 프로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882B1 (ko)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KR101816125B1 (ko) 자동으로 위치조절되는 검사용 지그장치
KR101850937B1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246182B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2039542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CA3093142C (en) Suction gripping device, transfer system, and transfer method
KR10190181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574486B1 (ko) 테스트 소켓
KR101745521B1 (ko) 분리형 승강플레이트를 가지는 공기주입식 검사용 지그장치
KR10192085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926690B1 (ko) 슬라이드 수직형 테스트 소켓
KR101696682B1 (ko)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1706087B1 (ko) 공기주입식 검사용 지그장치
KR10167293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JPH115629A (ja) 半導体デバイステスト用ハンドラシステムのピックアンドプレース装置
TW201350887A (zh) 在用於測試半導體元件之測試系統中置換接合單元的模組及具有此模組的測試系統
US200900333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use of a universal test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ifferent devices
KR102438532B1 (ko)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KR101594563B1 (ko) 검사시스템용 소켓 이송장치
KR102264807B1 (ko) 무게중심 유지가 가능한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2365457B1 (ko) 실린더 이동식 지그장치
KR10216702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606175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99799B1 (ko)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의 품질 불량 유무 검사장치
KR102544276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