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532B1 -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532B1
KR102438532B1 KR1020200155750A KR20200155750A KR102438532B1 KR 102438532 B1 KR102438532 B1 KR 102438532B1 KR 1020200155750 A KR1020200155750 A KR 1020200155750A KR 20200155750 A KR20200155750 A KR 20200155750A KR 102438532 B1 KR102438532 B1 KR 102438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elevating
plate
control unit
targe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171A (ko
Inventor
손문배
김종호
김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5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5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대상에 배치되며 따라 적어도 일부에 검사대상물의 검사가 수행되는 대상위치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하며, 일측에 검사대상물이 안착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대상위치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에서 일정높이를 가지며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대상위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대상위치에 위치한 상기 검사대상물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신축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조절유닛,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며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공기공급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을 대상위치로 이동시키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공기주입식 지그장치{Jig Equipment of Air Intrusive}
본 발명은 공기주입식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이용하여 검사대상물의 위치를 대상위치로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대부분에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부분의 카메라는 CMOS나 CCD 이미지 센서가 적용된 소형 카메라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소형카메라는 인쇄회로기판에 CMOS나 CCD 이미지센서가 장착된 후 렌즈(lens)와 하우징(housing)에 조립된 후 외부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카메라모듈을 제작하게 되며, 이 후 제작이 완료된 카메라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종래에는 모니터의 화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작업자가 카메라모듈을 장착한 후 모니터의 화면에 검사 이미지(image)를 표시하면 이를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작업자가 확인하여 카메라모듈의 정상 동작의 여부를 수동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지그장치는 검사대상물인 카메라모듈이 안착된 대상위치로 검사수단을 이송시키기 위해 이동플레이트를 수평이동 및 상하이동 시킨다.
이때, 모터 등을 이용하여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속도가 제한적이며 정밀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04948호 (공고일자 2015년 3월 24일) 'VCM 모듈 접속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공기를 이용하여 검사수단을 정확하게 대상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빠른 응답속도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지그장치는 설치대상에 배치되며 따라 적어도 일부에 검사대상물의 검사가 수행되는 대상위치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하며, 일측에 검사대상물이 안착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대상위치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에서 일정높이를 가지며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대상위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대상위치에 위치한 상기 검사대상물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신축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조절유닛,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며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공기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을 대상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은 상기 베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는 하강부 및 상기 하강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상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부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간 내부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전달하는 제3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강부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은 상기 베이스 내부에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제1실린더에 삽입되고 타측이 이동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위치가 조절되는 제1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스톤은 일측 끝단부에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되어 기체를 전달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2공간과 연결되어 기체를 전달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에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이탈하지 않고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대상위치 내에서 상기 검사대상물의 측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을 동일한 방향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지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검사수단이 결합된 승하강플레이트와 검사대상물이 안착된 이동플레이트 각각에 연결되어 공기주입을 통해 독립적으로 조절 함으로써 이동플레이트와 승하강 플레이트를 빠르게 이동시키며, 단시간에 검사대상물을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동플레이트와 승하강 플레이트가 베이스를 이루는 평판부와 돌출부 각각의 상부에 안착되며, 베이스 내부에 승하강조절유닛 및 슬라이딩 조절유닛이 구비되어 무게중심의 변화를 최소화시키며 동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지그장치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슬라이딩 조절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A-A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이동플레이트 내부에 구비된 제2유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1의 지그장치에서 승하강 조절유닛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지그장치에서 이동플레이트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1의 슬라이딩 조절유닛에 연결되는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도 1의 승하강 조절유닛에 연결되는 제3유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플레이트에 안착된 검사대상물(미도시)을 움직이며 베이스(10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된 검사수단(미도시)을 통해 정상 작동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베이스(100), 이동플레이트(200), 승하강 플레이트(300), 슬라이딩 조절유닛(400), 승하강 조절유닛(500) 및 공기공급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전체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설치대상에서 일정 면적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배치되고, 이와 별도로 일측 상면에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0)는 전체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설치대상의 적어도 일면에 고정되며, 일부에 검사대상물(미도시)의 검사가 수행되는 대상위치(T)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상위치(T)는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대상위치(T)에서 상기 베이스(100)의 일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후술하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평면부(110) 및 상기 평면부(110)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대상위치(T)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위치(T)로 이송되는 상기 검사대상물은 상기 돌출부(120)에 의해 일부가 감싸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설치대상에 결합되는 상기 평면부(110)와 상기 평면부(110)의 일측에 상기 돌출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0)는 ㄷ` 형상을 가지며 중앙의 함몰된 부분에 상기 대상위치(T)가 형성되어 상기 검사대상물이 이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대상위치(T)에 안착된 상기 검사대상물의 측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100)에서 상기 평면부(110)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배치되며, 상기 대상위치(T)에서 상기 검사대상물과 상기 검사수단이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100)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평면부(110)의 상부에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검사대상물이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검사대상물이 상기 대상위치(T)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평면부(110)의 상부에서 적층 형태로 배치되며, 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후술하는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이동 시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별도의 슬라이딩 가이드(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검사대상물이 안착되어 횡 방향을 따라 상기 평면부(1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10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0)(21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0)는 한 쌍으로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상기 베이스(100)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사각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검사대상물을 선택적으로 상기 대상위치(T)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면에 상기 검사수단이 안착되고, 상기 대상위치(T)의 상부에서 상기 돌출부(120)에 적층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100)상에서 승하강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일정두께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ㄷ`형태의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베이스(100)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위치(T)로 이송되는 상기 검사대상물에 상기 검사수단이 상부에서 인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선택적으로 승하강 하도록 구성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상부에 상기 검사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대상위치(T)에서 승하강하며 이송되는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신축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횡 방향으로 전후이동(횡 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길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가이드(2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와 고정됨으로써 신축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상기 돌출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 결합되어 선택적인 신축을 통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길게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신축되는 일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크게 베이스(100)상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410) 및 제1실린더(410)에서 돌출되어 신축하는 제1피스톤(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실린더(410)는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상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별도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린더(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 상기 제1피스톤(42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피스톤(420)은 상기 제1실린더(410)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실린더(410) 내부에 배치되어 상술한 내부공간을 제1공간(412) 및 제2공간(414)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피스톤(420)의 타측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피스톤(4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격벽(422)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피스톤(420)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의 크기 변화에 따라 슬라이딩이동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된 상기 제1실린더(410)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 결합된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전후이동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410)의 타측에 상기 제1공간(412)이 위치하고 일측에 상기 제2공간(414)이 위치하며, 상기 제1공간(412) 내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410) 내부의 상기 제1공간(412) 또는 상기 제2공간(4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완충부재(416)(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1피스톤(420)의 일측 끝단부와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상기 대상위치(T)에 인접한 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피스톤(420)이 상기 제1실린더(410)내부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412)이 상기 제2공간(41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가 상기 대상위치(T)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피스톤(420)이 상기 제1실린더(410)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412)이 상기 제2공간(414)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후술하는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상기 제1공간(412) 또는 상기 제2공간(414) 중 어느 하나에 기체를 공급하여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410) 내부에서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방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전후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검사대상물이 상기 대상위치(T)로 이동하도록 횡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416)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쿠션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완충부재(416)는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 시 상기 격벽(422)이 상기 제1실린더(410)의 내측면과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100)에 각각 연결되어 신축함으로써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전후 슬라이딩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승하강 하도록 조절하는 구성으로 크게 하강부(510) 및 승강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하강부(510)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 내장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베이스(100)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하강시킨다.
상기 하강부(510)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부가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베이스(100)와 고정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신축 함으로써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강부(510)는 크게 제2실린더(512) 및 제2피스톤(5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에 기체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2피스톤(514)이 이동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실린터는 상하방향에 따른 상부에서 기체를 공급 받음으로써, 상기 제2피스톤(514)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하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2실린더(512)는 상기 돌출부(120) 내부에 형성되며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512a)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간(512a)은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실린더(512)는 상기 돌출부(120)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피스톤(514)은 상측이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 일부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와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피스톤(514)은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당겨 내려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512) 내에서 상부에 외부로부터 기체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피스톤(514)의 하측에는 둘레를 따라 별도의 밀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에서 기체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강부(510)는 상기 제2실린더(512) 및 상기 제2피스톤(514)을 포함하며, 후술하는 공기공급유닛(600)으로부터 상기 제3유로(416)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로 기체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2피스톤(514)의 하측 끝단부가 하강하여 상기 제2실린더(512)의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2피스톤(514)의 길이가 수축 하여 상기 베이스(100)와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며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강부(510)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에서 양측으로 각각 두 쌍으로 이격 배치되며, 각각에 구비된 상기 제2실린더(512)의 내부에 후술하는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은 상기 하강부(510)와 상기 승강부(520)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하강부(510)는 상기 제2실린더(512)와 상기 제2피스톤(514)을 포함하여 기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피스톤(514)이 하강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강부(510)에 기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승강부(52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부로 이동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은 승강부(520)가 구비되어 상부방향으로 지속적인 복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하강부(510)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유닛(6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에 연결되는 제1유로(412) 및 제2유로(414)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연결되는 제3유로(416)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을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00)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 및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을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은 크게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서 기체를 분배하여 전달하는 유로부(610) 및 외부의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기체를 전달받아 상기 유로부(610)로 기체를 전달하는 공급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부(610)는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부(620)로부터 공급받은 기체를 각각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 및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써, 제1유로(412), 제2유로(414) 및 제3유로(416)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유로(4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외부에서 기체를 전달받아 상기 제1공간(412)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며, 상기 제2유로(414)는 상기 제1유로(412)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414) 내부로 기체를 공급한다.
즉, 상기 제1유로(412)와 상기 제2유로(414)는 각각 상기 제1공간(412), 상기 제2공간(414)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이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 중 어느 하나에 기체를 주입함으로써, 분할된 공간들 중 어느 하나가 팽창함과 동시에 상기 제1피스톤(420)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격벽(422)을 밀어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은 상기 제1공간(412) 또는 상기 제2공간(414) 중 어느 하나에 기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제1피스톤(420)의 슬라이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 모두에 기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공간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 차이를 통해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피스톤(4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유로(412)와 상기 제2유로(414)는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각각 상기 제1공간(412) 및 상기 제2공간(414) 내부와 연통함으로써, 기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유로(416)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이 아닌 승하강 조절유닛(500)과 연결되어 기체를 전달하는 구성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유로(412) 및 제2유로(414)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제2실린더(512)에 형성된 유입공간(512a)과 연통된다.
이때, 상기 제3유로(416)는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와 연통 시 상하방향에 따른 상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2피스톤(514)의 하측 끝단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유로(416)를 통해 기체가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피스톤(514)이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상기 돌출부(12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부(610)는 상기 제1유로(412) 내지 상기 제3유로(416)를 포함하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서 기체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 및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으로 기체를 전달한다.
한편, 상기 공급부(620)는 상기 외부의 공급원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상기 유로부(61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써, 제1공급구(622), 제2공급구(624) 및 제3공급구(626)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유로(412), 상기 제2유로(414) 및 상기 제3유로(416)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공급구(622) 내지 상기 제3공급구(626)는 상기 베이스(100)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원과 상기 베이스(1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지그장치는 상술한 상기 베이스(100), 상기 이동플레이트(200),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 사익 승하강 조절유닛(500) 및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을 포함하며, 기체의 공급을 독립적으로 제어 함으로써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상기 검사대상물을 상기 대상위치(T)로 이동시킨 후 상기 검사수단을 접근시키며 빠르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초기상태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는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서 상기 돌출부(120)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대상위치(T)로부터 멀어진 상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은 상기 제2공간(414)에 기체를 주입한 상태로 상기 제2공간(414)이 상기 제1실린더(410) 내부에서 확장되어 상기 제1피스톤(42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상기 격벽(422)이 상기 제1실린더(410)의 타측에 접촉한 상대가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의 상기 승강부(520)에 의해 상기 구동플레이트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120)와 와 이격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이 상기 제1공간(412)으로 기체를 주입하면 상기 제1공간(412)이 확장되며 상기 제1피스톤(420)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200)를 상기 대상위치(T)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공간(412)은 주입되는 기체에 의해 확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2공간(414)이 수축하여 상기 격벽(422)이 상기 제2공간(4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 이동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는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유닛(600)이 상기 제3유로(416)에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피스톤(514)이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구동플레이트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강부(510)에 의해 상기 제2피스톤(514)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승강부의 복원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2실린더(512) 내부로 기체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상부에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와 함께 상기 검사수단이 함께 하강하여 상기 대상위치(T)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검사수단이 상기 대상위치(T)에 위치한 상기 검사대상물을 검사한 후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500) 및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400)이 역순으로 구동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300)가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후, 상기 검사대상물을 교체하며 반복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는 복수의 검사대상물을 교체하며 반복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00)에 대부분의 구성이 내장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00)의 횡 방향 슬라이딩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를 최소화 함으로써 내구성을 유지해 파손을 방지하고 정밀하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 내에 구비된 슬라이딩 조절유닛(400) 및 승하강 조절유닛(500)이 기체의 공급을 통해 빠르게 신축하며 이동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단시간에 검사대상물을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베이스(100) 내에 기체공급을 위한 제1유로(412) 내지 제3유로(416)가 모두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공급부(620)가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 부분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베이스
110: 평면부
120: 돌출부
200: 이동플레이트
210: 슬라이딩 가이드
300: 승하강 플레이트
400: 슬라이딩 조절유닛
410: 제1실린더
420: 제1피스톤
500: 승하강 조절유닛
510: 하강부
520: 승강부
600: 공기공급유닛
T: 대상위치

Claims (8)

  1. 설치대상에서 일정 면적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에 검사대상물의 검사가 수행되는 대상위치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하며, 일측에 검사대상물이 안착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대상위치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에서 일정높이를 가지며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대상위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대상위치에 위치한 상기 검사대상물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신축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조절유닛;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며 각각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공기공급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은, 상기 베이스 내부에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제1실린더에 삽입되고 타측이 이동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위치가 조절되는 제1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은 일측 끝단부에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되어 기체를 전달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2공간과 연결되어 기체를 전달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1유로 또는 상기 제2유로 중 어느 하나에 기체를 공급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을 대상위치로 이동시키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조절유닛은,
    상기 베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제2실린더 내부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는 하강부; 및
    상기 하강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상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부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간 내부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전달하는 제3유로가 형성되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강부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조절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이탈하지 않고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대상위치 내에서 상기 검사대상물의 측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대상물을 동일한 방향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KR1020200155750A 2020-11-19 2020-11-19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KR102438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50A KR102438532B1 (ko) 2020-11-19 2020-11-19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50A KR102438532B1 (ko) 2020-11-19 2020-11-19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171A KR20220069171A (ko) 2022-05-27
KR102438532B1 true KR102438532B1 (ko) 2022-09-02

Family

ID=8179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750A KR102438532B1 (ko) 2020-11-19 2020-11-19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5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937B1 (ko) * 2016-09-08 2018-05-08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171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882B1 (ko) 공기주입식 승하강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그장치
KR102039542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90181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816125B1 (ko) 자동으로 위치조절되는 검사용 지그장치
KR100888257B1 (ko) 카메라 모듈용 렌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조립방법
KR101574486B1 (ko) 테스트 소켓
KR101745521B1 (ko) 분리형 승강플레이트를 가지는 공기주입식 검사용 지그장치
CN105552300A (zh) 注液装置和注液设备
KR20150055831A (ko) 렌즈모듈 조립장치
KR101667312B1 (ko) 전자 부품 반송 장치 및 전자 부품 검사 장치
JP4891348B2 (ja) 部品装着検出装置
KR102438532B1 (ko)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KR10167293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20180020037A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2365457B1 (ko) 실린더 이동식 지그장치
KR102264807B1 (ko) 무게중심 유지가 가능한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706087B1 (ko) 공기주입식 검사용 지그장치
KR20100057653A (ko) 접합 기판 제조 장치 및 접합 기판 제조 방법
KR101594563B1 (ko) 검사시스템용 소켓 이송장치
TWI649567B (zh)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KR101606175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JP7128415B2 (ja) 半導体素子検査装置
KR10216702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9698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장치
KR102544276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