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314B1 -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314B1
KR101676314B1 KR1020160093127A KR20160093127A KR101676314B1 KR 101676314 B1 KR101676314 B1 KR 101676314B1 KR 1020160093127 A KR1020160093127 A KR 1020160093127A KR 20160093127 A KR20160093127 A KR 20160093127A KR 101676314 B1 KR101676314 B1 KR 101676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ase
camera module
cylin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우
김준기
지태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Priority to KR102016009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3203

Abstract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액추에이터의 배치를 최소화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소켓을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하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소켓 및 상기 상부소켓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하부소켓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소켓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소켓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소켓을 상기 하부소켓에 대해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소켓부를 향해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소켓과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상부소켓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AUTO SOCKET FOR TESTING OF CAMERA MODULE }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이미지 센서, 구동부 및 렌즈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은 구동부를 통해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초점 조절과 손 떨림 보정을 수행 할 수 있다.
상술한 카메라 모듈은 생산되는 과정에서 양품여부를 검사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카메라 모듈을 하나씩 소켓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의 양품 여부를 검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검사 속도가 느리고 인건비로 인해 생산단가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작업자 대신 로봇 암이 카메라 모듈을 자동 소켓에 공급하고 자동 소켓에 장착된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자동 소켓의 구성 품을 승강 및 진퇴시켜 카메라 모듈의 양품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그 구조 및 구동 방식이 복잡하여 유지관리 및 보수가 어렵고, 검사할 카메라 모듈이 변경될 때 세팅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가의 액추에이터가 다수 사용되어야 하므로 제품의 가격이 높아져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5592호 (발명의 명칭 :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의 포커싱 장비와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액추에이터의 배치를 최소화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소켓을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하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소켓 및 상기 상부소켓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하부소켓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소켓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소켓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소켓을 상기 하부소켓에 대해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소켓부를 향해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소켓과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상부소켓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소켓부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에 유입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를 따라 진퇴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 및 상기 바디와 실린더가 기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양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진퇴에 따라 샤프트 및 상부소켓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1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클램프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전진하도록 상기 제2실린더에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전진과 함께 상기 소켓부를 향해 전진하며 상기 상부소켓의 상부와 상기 하부소켓의 상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블럭부재 및 가압부재에 외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차단되면 상기 블럭부재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블럭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는 상기 블럭부재가 전진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상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이 서로 밀착시키는 가압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소켓과 상기 상부소켓은 상기 가압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슬라이딩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상부소켓이 상기 하부소켓 및 상기 베이스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부소켓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제1완충부재 및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완충부재에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소켓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은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제1기어를 통해 소켓부를 개폐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닫힌 소켓을 가압해 카메라 모듈과 소켓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클램프부를 통해 엑추에이터의 사용은 최소화 하면서도 자동으로 소켓부를 작동시킬 수 있어 제품 단가를 줄임으로써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커넥터는 핀블럭,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으로 모듈화 되어 상부소켓의 저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간단한 체결구를 통해 탈착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므로 검사장비의 가동률을 높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램프부는 블럭부재의 전진에 따라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카메라 모듈과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와 제2접속단자가 서로 원활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압부재에 형성된 가압경사면을 통해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이 소정 각도 벌어진 상태에서도 간섭 없이 상부소켓과 하부소켓을 가압하여 맞닿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램프부는 압축공기에 의해 진퇴하는 피스톤을 이용해 블럭부재를 전진시키며 압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블럭부재를 후퇴시킬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의 제작 시 가공공수 및 장착되는 부품을 줄일 수 있으므로 기구 구성을 심플하게 하면서도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완충부의 제1완충부재와 제2완충부재는 상부소켓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하부소켓 또는 베이스부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소켓에 배치된 전자부품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완충부는 제1커넥터와 카메라 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1커넥터의 핀블럭이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부소켓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내구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의 일부를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의 일부를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의 상부커버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의 클램프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의 일부를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의 일부를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10) 검사용 소켓(1000)은 베이스부(100), 소켓부(200), 구동부(300), 클램프부(400) 및 완충부(5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카메라 모듈(10)을 검사하는 검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다. 베이스부(100)는 소켓부(200), 구동부(300), 클램프부(400) 및 완충부(500)를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구동부(300) 및 클램프부(400)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10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구동부(300) 및 클램프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0)는 내부에 압축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제1실린더(110)와 제2실린더(120)를 포함한다.
제1실린더(11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소켓부(200)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실린더(110)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공간이다. 제1실린더(110)는 내부에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제1실린더(110)의 전방과 후방에는 압축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1실린더(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동시에 공급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1실린더(110)는 서로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00)는 제1실린더(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개구부(111)는 실린더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제1실린더(110)와 개구부(111)에는 구동부(300)를 이루는 구성이 배치된다.
제2실린더(120)는 클램프부(400)에 인접하도록 베이스부(100)의 전방에 형성된다. 제2실린더(120)는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실린더(12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2실린더(120)에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켓부(200)는 하부소켓(210), 상부소켓(220) 및 샤프트(230)를 포함한다.
하부소켓(210)은 베이스부(100)의 수용공간에 결합된다. 하부소켓(210)은 안착홈(211), 제1연결부(212) 및 제2커넥터(213)를 포함한다.
안착홈(211)은 하부소켓(2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안착홈(211)에는 카메라 모듈(10) 삽입된다. 이를 위해 안착홈(211)은 카메라 모듈(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제1연결부(212)는 하부소켓(2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연결부(212)에는 샤프트(2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2커넥터(213)는 상부소켓(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2커넥터(213)에는 복수의 핀들이 배치된다.
상부소켓(220)은 하부소켓(210)의 안착홈(211)에 삽입된 카메라 모듈(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부소켓(220)은 투과홀(221), 제2연결부(222), 제1커넥터(223), 접속기판(224)을 포함한다.
투과홀(221)은 카메라 모듈(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투과홀(221)은 카메라 모듈(10)이 상부소켓(220) 너머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부소켓(220)에 형성된다.
제2연결부(222)는 샤프트(230)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연결부(222)와 샤프트(230)에는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넥터(223)는 상부소켓(220)의 저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다. 제1커넥터(223)는 카메라 모듈(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커넥터(223)는 카메라 모듈(10)에 형성된 커넥터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블럭(2231)과, 핀블럭(2231)의 상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하우징(2232)과 제2하우징(223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커넥터(223)는 핀블럭(2231), 제1하우징(2232) 및 제2하우징(2233)으로 모듈화 되어 상부소켓(220)의 저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간단한 체결구를 통해 탈착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므로 검사장비의 가동률을 높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접속기판(224)은 상부소켓(2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접속기판(224)은 상부소켓(220)의 저면에 형성된 홀에 결합된 제1커넥터(2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2241)와 하부소켓(210)의 제2커넥터(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2242)를 포함한다. 접속기판(224)의 제1접속단자(2241)와 제2접속단자(224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접속기판(224)은 제1커넥터(2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2241)와 제2커넥터(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2242)를 통해 카메라 모듈(10)과 제2커넥터(213)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커넥터(213)는 검사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검사장치는 제2커넥터(213), 제2접속단자(2242), 제1접속단자(2241), 제1커넥터(223)를 경유하여 카메라 모듈(10)에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해 카메라 모듈(1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샤프트(230)는 상부소켓(220)과 함께 회전되어 하부소켓(2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230)는 하부소켓(210)의 제1연결부(212)와 상부소켓(220)의 제2연결부(222)에 형성된 관통 홀에 축 결합 된다. 이때 샤프트(230)의 회전에 따라 상부소켓(2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230)와 상부소켓(220)의 서로 고정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300)는 베이스부(100)와 소켓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소켓(220)을 하부소켓(210)에 대해 회전시킨다.
구동부(300)는 동력전달부재(310) 및 제1기어(32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재(31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실린더(110) 내부에 각각 진퇴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동력전달부재(310)는 제1실린더(11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진하거나 후퇴한다.
동력전달부재(310)는 바디(311), 제2기어(312) 및 실링부재(313)를 포함한다.
바디(311)의 양측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 일부는 바디(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다.
제2기어(312)는 바디(311)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에 형성된다. 제2기어(312)는 바디(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기어(312)는 랙기어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실링부재(313)는 바디(311)의 양측에 배치된다. 실링부재(313)는 제1실린더(110)와 바디(311)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실린더(110)는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개구부(111)에 의해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제1실린더(110) 내부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압축공기는 개구부(11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실링부재(313)는 바디(3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실린더(110)와 바디(311)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실린더(11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제1실린더(110) 내부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개구부(11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재(310)가 제1실린더(110) 내부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진퇴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동력전달부재(310)가 진퇴하는 범위는 실링부재(313)가 개구부(111)로부터 제1실린더(11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유지 되어야 한다.
제1기어(320)는 샤프트(230)의 양측에 고정되며 제2기어(312)와 치합된다. 제1기어(320)는 동력전달부재(310)의 진퇴에 따라 샤프트(230) 및 상부소켓(220)과 함께 회전하며 하부소켓(210)을 열거나 닫는다. 제1기어(320)는 피니언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클램프부(400)는 소켓부(200)를 향해 진퇴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결합되어 하부소켓(210)과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소켓(220)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도록 가압한다.
클램프부(400)는 피스톤(410), 블럭부재(420), 스프링(430)을 포함한다.
피스톤(410)은 제2실린더(120)에 진퇴가능하게 결합된다. 피스톤(410)은 제2실린더(12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전진한다.
블럭부재(420)는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다. 블럭부재(420)는 피스톤(410)의 전방에 배치되며 피스톤(410)이 전진하면, 피스톤(410)에 의해 밀려나며 소켓부(200)를 향해 전진한다. 블럭부재(420)의 전방에는 상하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가압돌기(421)가 배치된다. 한 쌍의 가압돌기(421)는 블럭부재(420)의 전진에 따라 각각 소켓부(200)의 상부소켓(220)의 상면과 하부소켓(210)의 하면을 가압한다. 또한 한 쌍의 가압돌기(421) 각각에는 가압경사면(422)이 형성된다. 가압경사면(422)은 블럭부재(420)가 전진되는 정도에 연동해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을 서로 밀착시킨다. 즉, 가압경사면(422)은 블럭부재(420)가 전진을 시작하면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이 소정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도 간섭 없이 한 쌍의 가압돌기(421) 사이로 위치되도록 하며, 블럭부재(420)가 소정 위치만큼 전진한 경우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을 점점 서로 맞닿게 가압한다.
이와 같이 클램프부(400)는 블럭부재(420)의 전진에 따라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과 제1커넥터(223) 및 제2커넥터(213)와 제2접속단자(2242)가 서로 원활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압부재에 형성된 가압경사면(422)을 통해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이 소정 각도 벌어진 상태에서도 간섭 없이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을 가압하여 맞닿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에는 블럭부재(420)의 가압경사면(4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경사면(2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경사면(240)은 상부소켓(220)의 전단 상부 모서리와 하부소켓(210)의 전단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경사면은 가압경사면(422)과 접촉 시 마찰과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430)은 블럭부재(420)와 베이스부(100)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430)은 블럭부재(420)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해 블럭부재(420)가 후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클램프부(400)는 압축공기에 의해 진퇴하는 피스톤(410)을 이용해 블럭부재(420)를 전진시키며 압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스프링(430)의 탄성력을 통해 블럭부재(420)를 후퇴시킬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100)의 제작 시 가공공수 및 장착되는 부품을 줄일 수 있으므로 기구 구성을 심플하게 하면서도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완충부(500)는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소켓(220)이 상기 하부소켓(210) 및 상기 베이스부(1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부(500)는 제1완충부재(510) 및 제2완충부재(520)를 포함한다.
제1완충부재(510)는 하부소켓(2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압력에 의해 승강된다. 예를 들면 제1완충부재(5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부소켓(21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완충부재(510)는 볼 플런저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소켓(220)을 구동하는 구동부(300)는 압축공기를 동력원으로 구동한다. 압축공기는 특정구간에서 공급되는 압력을 낮추거나 높일 수 없다.
따라서, 완충부(500)의 제1완충부재(510)와 제2완충부재(520)는 상부소켓(220)이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하며 하부소켓(210) 또는 베이스부(10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소켓(220)에 배치된 전자부품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완충부(500)는 제1커넥터(223)와 카메라 모듈(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1커넥터(223)의 핀블럭(2231)이 충격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부소켓(22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내구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 검사용 소켓(1000)의 상부커버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 검사용 소켓(1000)의 클램프부(400)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10) 검사용 소켓(1000)의 작동과정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10) 검사용 소켓(1000)을 이용해 카메라 모듈(10)의 양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동부(300)를 통해 상부소켓(220)을 하부소켓(210)으로부터 회전시켜 열리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한 쌍의 제1실린더(110) 내부로 동일하게 공급된다. 이때 압축공기는 도 5의 (a)와 같이 한 쌍의 제1실린더(110)의 후방에서 공급된다. 압축공기가 제1실린더(110) 내부로 공급되면 제1실린더(110) 내부에 배치된 동력전달부재(310)가 제1실린더(110) 내부에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전진한다. 이때 제1실린더(110)와 동력전달부재(310) 사이에는 실링부재(313)를 통해 기밀이 형성된 상태이다. 동력전달부재(310)에 형성된 제2기어(312)는 동력전달부재(310)와 함께 전진하고 제2기어(312)와 치합된 제1기어(320)는 샤프트(230) 및 상부소켓(220)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부소켓(220)은 동력전달부재(310)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동력전달부재(310)가 전진하면 상부소켓(220)은 그 반대방향인 베이스부의 후방을 향해 회전하며 하부소켓(210)을 열리도록 한다.
이때, 열려진 상부소켓(220)의 상면은 베이스부(100)에 설치된 제2완충부재(520)와 밀착된다. 이와 같이 제2완충부재(520)는 상부소켓(220)이 구동부(300)에 의해 열릴 때 베이스부(10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소켓(210)이 열리면 이송 암(도시되지 않음)이 카메라 모듈(10)을 하부소켓(210)의 안착홈(211)에 공급한다.
안착홈(211)에 카메라 모듈(10)의 공급이 완료되면 구동부(300)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상부소켓(220)을 하부소켓(210)으로부터 회전시켜 닫는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한 쌍의 제1실린더(110) 내부로 동일하게 공급된다. 이때 압축공기는 도 5의 (b)와 같이 한 쌍의 제1실린더(110)의 전방에서 공급된다. 압축공기가 제1실린더(110) 내부로 공급되면 제1실린더(110) 내부에 배치된 동력전달부재(310)가 제1실린더(110) 내부에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후진한다. 이때 제1실린더(110)와 동력전달부재(310) 사이에는 실링부재(313)를 통해 기밀이 형성된 상태이다. 동력전달부재(310)에 형성된 제2기어(312)는 동력전달부재(310)와 함께 후진하고 제2기어(312)와 치합된 제1기어(320)는 샤프트(230) 및 상부소켓(220)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부소켓(220)은 동력전달부재(310)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동력전달부재(310)가 후진하면 상부소켓(220)은 그 반대방향인 하부소켓(210)의 상면을 향해 회전하며 하부소켓(210)을 닫는다.
이때, 닫힌 상부소켓(220)의 상면은 하부소켓(210)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된 제1완충부재(510)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완충부재(510)는 상부소켓(220)이 구동부(300)에 의해 닫힐 때 하부소켓(210)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소켓(220)이 구동부(300)에 의해 닫히면 클램핑부가 구동하여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을 서로 맞닿도록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가 제2실린더(120)로 공급되면 피스톤(410)이 압축공기에 의해 전진한다. 피스톤(410)이 전진함에 따라 블럭부재(420)도 함께 전진한다. 이때 스프링(430)은 블럭부재(420)와 베이스부(100) 사이에 배치되며 블럭부재(420)가 전진한 만큼 압축된다. 블럭부재(420)가 전진하면 블럭부재(420)의 전방에 형성된 한 쌍의 가압돌기(421) 사이에는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이 배치된다. 이때,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은 제1완충부재(510)에 의해 살짝 벌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블럭부재(420)가 더 전진하면 한 쌍의 가압돌기(421)에 형성된 가압경사면(422)과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에 형성된 슬라이딩경사면(240)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 되며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을 서로 맞닿도록 가압한다. 이때 제1완충부재(510)는 상부소켓(220)의 저면에 눌리며 하강한다. 클램프부(400)의 구동이 완료되면 카메라 모듈(10)은 제1커넥터(223), 제1접속단자(2241), 제2접속단자(2242), 제2커넥터(213) 및 검사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검사장치에서 제공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며 검사공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카메라 모듈(10) 검사용 소켓(1000)은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하는 동력전달부재(310)와 제1기어(320)를 통해 소켓부(200)를 개폐하는 구동부(300)와 구동부(300)에 의해 닫힌 소켓을 가압해 카메라 모듈(10)과 소켓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클램프부(400)를 통해 엑추에이터의 사용은 최소화 하면서도 자동으로 소켓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어 제품 단가를 줄임으로써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부(400)는 가압돌기(421)를 통해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을 서로 맞닿도록 가압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과 검사장치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가압경사면(422)을 통해 블럭부재(420)가 전진되는 정도에 따라 제1완충부재(510)에 의해 벌어진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이 가압돌기(42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부소켓(220)과 하부소켓(210)을 점진적으로 가압하여 맞닿게 함으로써 제1커넥터(223)의 핀이 카메라 모듈(10)의 커넥터에 부드럽고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카메라 모듈(10)의 커넥터와 제1커넥터(223)의 파손을 방지하며 제1커넥터(223)의 핀이 마모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100) : 베이스부 (110) : 제1실린더
(111) : 개구부 (120) : 제2실린더
(200) : 소켓부 (210) : 하부소켓
(211) : 안착홈 (212) : 제1연결부
(213) : 제2커넥터 (220) : 상부소켓
(221) : 투사홀 (222) : 제2연결부
(223) : 제1커넥터 (224) : 접속기판
(230) : 샤프트 (300) : 구동부
(310) : 동력전달부재 (311) : 바디
(312) : 제2기어 (313) : 실링부재
(320) : 제2기어 (400) : 클램핑부
(410) : 피스톤 (420) : 가압블럭
(421) : 가압돌기 (420) : 스프링
(500) : 완충부 (510) : 제1완충부재
(520) : 제2완충부재

Claims (6)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는 하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소켓 및 상기 상부소켓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하부소켓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소켓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소켓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소켓을 상기 하부소켓에 대해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소켓부를 향해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소켓과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상부소켓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클램프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전진하도록 상기 제2실린더에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전진과 함께 상기 소켓부를 향해 전진하며 상기 상부소켓의 상부와 상기 하부소켓의 상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블럭부재 및 가압부재에 외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차단되면 상기 블럭부재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블럭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소켓부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실린더에 삽입되고 상기 제1실린더에 유입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제1실린더를 따라 진퇴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기어 및 상기 바디와 제1실린더가 기밀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양 측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진퇴에 따라 샤프트 및 상부소켓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제1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는,
    상기 블럭부재가 전진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상부소켓과 상기 하부소켓이 서로 밀착시키는 가압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소켓과 상기 상부소켓은,
    상기 가압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슬라이딩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상부소켓이 상기 하부소켓 및 상기 베이스부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부소켓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제1완충부재 및,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완충부재에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소켓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충돌을 방지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6. 삭제
KR1020160093127A 2016-07-22 2016-07-22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KR101676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127A KR101676314B1 (ko) 2016-07-22 2016-07-22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127A KR101676314B1 (ko) 2016-07-22 2016-07-22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314B1 true KR101676314B1 (ko) 2016-11-15

Family

ID=5752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127A KR101676314B1 (ko) 2016-07-22 2016-07-22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3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814B1 (ko) 2018-01-24 2018-09-27 손문배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936003B1 (ko) * 2017-09-29 2019-01-07 (주)이즈미디어 자동 소켓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및 이의 소켓 개폐방법
KR20190026159A (ko) *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20190031709A (ko) * 2017-09-18 2019-03-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1997763B1 (ko) * 2018-10-05 2019-07-08 손문배 플립형 소켓 스테이지
KR102218871B1 (ko) * 2020-04-27 2021-02-23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
KR20230041859A (ko) * 2021-09-17 2023-03-27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용 회로 기판 정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592B1 (ko) 2009-02-24 2009-09-07 (주) 에스에스피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의 포커싱 장비와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KR101425646B1 (ko) * 2014-06-25 2014-08-05 팸텍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소켓장치
KR101464223B1 (ko) * 2014-08-20 2014-11-25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KR101615181B1 (ko) * 2014-12-30 2016-04-2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37403B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592B1 (ko) 2009-02-24 2009-09-07 (주) 에스에스피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의 포커싱 장비와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KR101425646B1 (ko) * 2014-06-25 2014-08-05 팸텍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소켓장치
KR101464223B1 (ko) * 2014-08-20 2014-11-25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KR101615181B1 (ko) * 2014-12-30 2016-04-2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37403B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59A (ko) *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2504144B1 (ko) 2017-09-04 2023-02-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20190031709A (ko) * 2017-09-18 2019-03-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2527104B1 (ko) 2017-09-18 2023-05-0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1936003B1 (ko) * 2017-09-29 2019-01-07 (주)이즈미디어 자동 소켓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및 이의 소켓 개폐방법
KR101901814B1 (ko) 2018-01-24 2018-09-27 손문배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997763B1 (ko) * 2018-10-05 2019-07-08 손문배 플립형 소켓 스테이지
KR102218871B1 (ko) * 2020-04-27 2021-02-23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
KR20230041859A (ko) * 2021-09-17 2023-03-27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용 회로 기판 정렬 장치
KR102608592B1 (ko) 2021-09-17 2023-12-04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용 회로 기판 정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31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KR10168306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수직 자동 소켓
CN109286112B (zh) 电子设备组装装置以及电子设备组装方法
KR101584970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KR101581712B1 (ko) 측면 접속기능을 갖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JP2018163152A (ja) スライド垂直型テストソケット
CN108650877B (zh) 自动插件设备
KR101504961B1 (ko)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0006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180034762A (ko) 수평방향 사이드 컨택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용 테스트 소켓
CN111427419B (zh) 翻转功能组件及电子设备
CN102097690B (zh) 具有可分离的配合接口的电连接器组件
KR102096317B1 (ko) 공정 유닛
KR101628302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KR101674016B1 (ko) 카메라 모듈의 vcm 검사용 소켓
KR101702857B1 (ko) 카메라 모듈 조립용 그립퍼장치
KR101606175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99799B1 (ko)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의 품질 불량 유무 검사장치
KR101869678B1 (ko) 전자부품 테스트 기능을 갖는 그립퍼장치
KR101690017B1 (ko)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KR101362418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9698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장치
CN109587377B (zh) 具有自动插座的相机模块检查装置及其插座的开闭方法
KR102504144B1 (ko)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0532660B1 (ko)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