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017B1 -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017B1
KR101690017B1 KR1020160113678A KR20160113678A KR101690017B1 KR 101690017 B1 KR101690017 B1 KR 101690017B1 KR 1020160113678 A KR1020160113678 A KR 1020160113678A KR 20160113678 A KR20160113678 A KR 20160113678A KR 101690017 B1 KR101690017 B1 KR 10169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riving member
case
foc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우
김준기
지태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에프이
Priority to KR102016011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와 구동부의 포커싱 공정을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와 구동부을 배열한 다음 한 번에 포커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와 렌즈를 수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수용된 구동부재와 렌즈 중 구동부재는 케이스부에 안착시키고 동시에 렌즈는 구동부재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동부재와 렌즈를 각각 가압하는 포커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JIG FOR FOCUSING OF CAMERA MODULE }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는 렌즈의 초점을 맞춰주는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이미지 센서, 구동부 및 렌즈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은 구동부를 통해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초점 조절과 손 떨림 보정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과정 중에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의 거리를 조절해 초점을 맞추는 포커싱 공정이 포함된다.
종래의 포커싱 공정을 살펴보면 구동부의 내측과 렌즈의 외측에는 서로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동부와 렌즈는 각각 포커싱 장치에 공급되고 포커싱 장치는 구동부에 렌즈를 일정 높이가 될 때 까지 회전시켜 포커싱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포커싱 공정은 포커싱 장치가 구동부와 렌즈를 하나씩 체결해 포커싱 하는 방식으로 대량 생산을 위해 다수의 포커싱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커싱 공정은 렌즈와 구동부를 나사 체결하기 때문에 그 체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커싱 공정은 렌즈와 구동부에 나사산을 형성해야 하므로 렌즈와 구동부의 생산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렌즈나 구동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불량으로 서로 체결이 안 되거나 공정상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포커싱 공정에서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 초점이 안 맞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2190호 (발명의 명칭 : 디지털 카메라 모듈, 그 조립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렌즈와 구동부의 포커싱 공정을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와 구동부을 배열한 다음 한 번에 포커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와 렌즈를 수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수용된 구동부재와 렌즈 중 구동부재는 케이스부에 안착시키고 동시에 렌즈는 구동부재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동부재와 렌즈를 각각 가압하는 포커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구동부재와 렌즈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1수용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커싱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수용부에 결합되며 제1수용부에 수용된 구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관통홀과, 제1수용부에 수용된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끼워지며 제1수용에 수용된 구동부재와 렌즈를 가압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가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은 구동부재의 상면 모퉁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홀은 렌즈의 상면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압핀의 헤드는 각각 구동부재와 렌즈에 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에 수용되어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포커싱부에 의해 가압된 구동부재와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액를 도포하기 위해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수용부와 상기 포커싱부의 베이스에는 서로 연통되는 투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양측에 결합되는 블록부재, 상기 블록부재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걸림턱과 체결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블록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턱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용 포커싱 지그의 포커싱부는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결합되어 구동부재 및 렌즈와 점 접촉하는 가압핀을 통해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서로 결합되는 것만으로도 구동부재와 렌즈의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어 포커싱 공정을 수행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량 증대를 통해 원가 절감을 이뤄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핀과 가이드홀은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위치를 가이드해 줌으로써 포커싱부의 가압핀이 미리 설정된 구동부재와 렌즈의 위치에 정확히 점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압핀의 헤드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구동부재 또는 렌즈에 스크레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 관리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부는 고정부재에 외력을 제공해 돌기를 걸림턱을 향해 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통해 핸들에 가해지는 외력을 없애는 것만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어 개폐 공정을 단순화해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의 포커싱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a-a선으로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b-b선으로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의 포커싱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a-a선으로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b-b선으로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는, 케이스부(100)와 포커싱부(20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수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부(100)는 36개의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수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부(100)는 하부케이스(110), 상부케이스(12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10)는 제1수용부(111)와 걸림턱(112) 및 가이드핀(113)을 포함한다.
제1수용부(111)는 하부케이스(1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구동부재(10)를 내부에 수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10)의 제1수용부(111)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제1수용부(111)는 하부케이스(110)의 서로 수직되는 변을 따라 배열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제1수용부(111)는 36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수용부(111)의 네 귀에는 도피홀(111a)이 형성된다. 도피홀(111a)은 구동부재(10)가 삽입 또는 취출될 때 끼임이나 간섭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걸림턱(112)은 하부케이스(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걸림턱(112)은 하부케이스(110)의 양측에 형성된다. 걸림턱(112)은 하부케이스(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걸림턱(112)을 하부케이스(110)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체결부(130)가 결합된다.
가이드핀(113)은 하부케이스(110)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이드핀(113)은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체결부(130)에 의해 결합될 때 결합위치를 가이드 한다. 가이드핀(113)은 하부케이스(110)의 상면 네 귀 부근에 배치되어 결합위치 가이드 시 유격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11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부케이스(120)는 제2수용부(121) 및 투입홀(h)을 포함한다.
제2수용부(121)는 제1수용부(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수용부(121)는 내부에 포커싱부(200)를 수용한다. 제2수용부(121)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이며, 바닥면에는 투입홀(h)이 형성된다. 투입홀(h)은 접착액이 포커싱 작업이 완료된 구동부재(10)와 렌즈(20)에 공급되도록 한다.
가이드홀(122)은 상부케이스(120)의 저면에 형성된다. 가이드홀(122)은 가이드핀(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10)가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 한다. 즉 가이드홀(122)은 내부에 가이드핀(113)을 수용하여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1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 한다.
체결부(130)는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부케이스(120)에 결합된다. 체결부(130)는 블록부재(131), 고정부재(132), 탄성부재(133) 및 핸들(134)을 포함한다.
블록부재(131)는 상부케이스(120)의 양측에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부재(131)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부케이스(120)의 양측에 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32)는 블록부재(13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132)는 블록부재(131)와 힌지 결합된다. 고정부재(132)의 하부에는 돌기가 형성된다. 돌기는 하부케이스(110)의 걸림턱(112)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도 2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33)는 블록부재(131)와 고정부재(132)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부재(133)는 고정부재(132)를 향해 외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33)의 일측은 블록부재(131)의 일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고정부재(132)에 접촉된다. 탄성부재(133)는 탄성 반발력에 의해 고정부재(132)를 외측으로 밀어낸다. 탄성부재(133)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33)는 고정부재(132)가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33)는 고정부재(132)의 돌기가 하부케이스(110)의 걸림턱(112)을 향해 이동하도록 외력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부재(133)는 고정부재(132)를 향해 지속적으로 외력을 제공함으로써 고정부재(132)가 걸림턱(1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핸들(134)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바 형태로 구성된다. 핸들(134)의 양측은 한 쌍으로 구성된 고정부재(132)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핸들(134)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돌기를 걸림턱(112)으로 부터 멀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핸들(134)은 탄성부재(133)에 의해 고정된 고정부재(132)와 걸림턱(112) 사이의 체결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부(100)는 하부케이스(110), 상부케이스(120)를 통해 복수의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체결부(130)재와 가이드핀(113) 및 가이드홀(122)을 통해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커싱부(200)는 상부케이스(120)의 제2수용부(121)에 결합되며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킨다. 포커싱부(200)는 베이스(210) 및 가압핀(220)을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제2수용부(121)에 결합된다. 베이스(210)는 제1관통홀(211), 제2관통홀(212) 및 투입홀(h)을 포함한다.
제1관통홀(211)을 베이스(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1관통홀(211)은 제1수용부(111)에 수용될 구동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관통홀(211)은 구동부재(10)의 상면 모퉁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관통홀(211)은 4개의 홀로 형성된다.
제2관통홀(212)은 베이스(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2관통홀(212)은 제1수용부(111)에 수용될 렌즈(2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관통홀(212)은 렌즈(20)의 상면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가압핀(220)은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에 끼워진다. 가압핀(220)은 헤드(221)를 포함한다. 헤드(221)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헤드(221)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1수용부(111)에 삽입된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가압한다. 이때 헤드(221)는 배치된 위치에 따라 구동부재(10)와 렌즈(20)의 상면에 점접촉 한다. 헤드(221)는 미리 설정된 압력 값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포커싱부(200)는 베이스(210)부와 가압핀(220)을 통해 케이스부(100)에 수용된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가압한다. 즉, 포커싱부(200)는 케이스부(100)에 수용된 구동부재(10)와 렌즈(20) 중 구동부재(10)는 케이스부(100)에 안착시키고 동시에 렌즈(20)는 구동부재(10)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각각 가압한다.
한편, 제2수용부(121)와 베이스(210)에는 서로 연통되는 투입홀(h)이 형성된다. 투입홀(h)로는 케이스부(100)에 수용되어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포커싱부(200)에 의해 가압된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액이 공급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의 작동과정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를 이용해 카메라 모듈을 포커싱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케이스(110)의 제1수용부(111)에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삽입한다. 이때, 렌즈(20)는 구동부재(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정은 로봇암 또는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수용부(111)에 구동부재(10)와 렌즈(20)가 수용되면 상부케이스(120)가 하부케이스(110)를 덮는다. 먼저 로봇암 또는 작업자가 체결부(130)의 핸들(134)에 외력을 가해 상측을 향해 회전시킨다. 이때, 고정부재(132)는 핸들(134)과 함께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벌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20)를 하강시키며 상부케이스(120)의 가이드홀(122)에 하부케이스(110)의 가이드핀(113)이 삽입시켜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의 위치를 정렬한다.
상부케이스(120)가 하부케이스(110)에 맞닿으면 로봇암 또는 작업자는 핸들(134)에 가하던 외력을 점점 감소시켜 없앤다. 이때, 탄성부재(133)는 고정부재(132)를 밀어내 힌지를 기준으로 고정부재(132)를 하부를 향해 회전시켜 오므린다. 고정부재(132)가 오므려지면 돌기는 걸림턱(112)에 걸리며 고정된다.
한편,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10)가 맞닿는 과정이 수행될 때 포커싱부(200)는 제1수용부(111)에 삽입된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가압하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120)가 점진적으로 하강하면 가압핀(220)의 헤드(221)가 구동부재(10)와 렌즈(20)에 접촉된다. 이때 헤드(221)는 베이스(210)에 형성된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의 위치에 따라 각각 구동부재(10) 또는 헤드(221)에 점 접촉하게 된다.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10)의 체결이 완료되면 가압핀(220)의 헤드(221)는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구동부재(10)와 렌즈(20)에 밀착해 탄성력을 제공하며 지속적으로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가압한다.
상술한 과정이 완료되면 구동부재(10)와 렌즈(20)는 포커싱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수용부(121)와 베이스(210)에 형성된 투입홀(h)을 통해 구동부재(10)와 렌즈(20)를 고정시키는 접착액을 도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공정이 완료된다. 이 후 케이스부(100)는 로봇암 또는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상부케이스(120)를 분리한 다음 포커싱 공정이 완료된 카메라 모듈을 다음 공정을 향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용 포커싱 지그의 포커싱부(200)는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에 결합되어 구동부재(10) 및 렌즈(20)와 점 접촉하는 가압핀(220)을 통해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서로 결합되는 것만으로도 구동부재(10)와 렌즈(20)의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어 포커싱 공정을 수행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량 증대를 통해 원가 절감을 이뤄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핀(113)과 가이드홀(122)은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위치를 가이드해 줌으로써 포커싱부(200)의 가압핀(220)이 미리 설정된 구동부재(10)와 렌즈(20)의 위치에 정확히 점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압핀(220)의 헤드(221)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구동부재(10) 또는 렌즈(20)에 스크레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 관리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부(130)는 고정부재(132)에 외력을 제공해 돌기를 걸림턱(112)을 향해 회전시키는 탄성부재(133)를 통해 핸들(134)에 가해지는 외력을 없애는 것만으로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10)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어 개폐 공정을 단순화해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케이스부 (110) : 하부케이스
(111) : 제1수용부 (112) : 걸림턱
(120) : 상부케이스 (121) : 제2수용부
(130) : 체결부 (131) : 블록부재
(132) : 고정부재 (133) : 탄성부재
(134) : 핸들 (200) : 포커싱부
(210) : 베이스 (211) : 제1관통홀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와 렌즈를 수용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며 수용된 구동부재와 렌즈 중 구동부재는 케이스부에 안착시키고 동시에 렌즈는 구동부재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동부재와 렌즈를 각각 가압하는 포커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구동부재와 렌즈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1수용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커싱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수용부에 결합되며 제1수용부에 수용된 구동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관통홀과, 제1수용부에 수용된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끼워지며 제1수용에 수용된 구동부재와 렌즈를 가압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가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은,
    구동부재의 상면 모퉁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홀은,
    렌즈의 상면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압핀의 헤드는 각각 구동부재와 렌즈에 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는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 수용되어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포커싱부에 의해 가압된 구동부재와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수용부와 상기 포커싱부의 베이스에는 서로 연통되는 투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양측에 결합되는 블록부재,
    상기 블록부재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걸림턱과 체결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블록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턱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돌기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5. 삭제
  6. 삭제
KR1020160113678A 2016-09-05 2016-09-05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KR10169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78A KR101690017B1 (ko) 2016-09-05 2016-09-05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78A KR101690017B1 (ko) 2016-09-05 2016-09-05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017B1 true KR101690017B1 (ko) 2016-12-27

Family

ID=5773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78A KR101690017B1 (ko) 2016-09-05 2016-09-05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597B1 (ko) * 2019-07-11 2019-11-11 황만수 적층형 전자부품 압착지그
KR20220158935A (ko) *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코엠에스 렌즈 조립체의 연결부재 조립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190A (ko) 2003-03-18 2004-09-2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모듈, 그 조립장치 및 방법
KR100702601B1 (ko) * 2005-10-26 2007-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지그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190A (ko) 2003-03-18 2004-09-2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모듈, 그 조립장치 및 방법
KR100702601B1 (ko) * 2005-10-26 2007-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지그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597B1 (ko) * 2019-07-11 2019-11-11 황만수 적층형 전자부품 압착지그
KR20220158935A (ko) *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코엠에스 렌즈 조립체의 연결부재 조립방법
KR102526183B1 (ko) 2021-05-25 2023-04-26 주식회사 코엠에스 렌즈 조립체의 연결부재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100B2 (ja) 撮像装置、光学機器、電子機器、車両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101442035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1448961B1 (ko)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73375B1 (ko)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23044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
KR101683070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Face-Front 소켓
KR101690017B1 (ko) 카메라 모듈 포커싱용 지그
US9581180B2 (en) Clamper and device using the same
US7656179B2 (en) Relay connector having a pin block and a floating guide with guide hole
US8757036B2 (en) Jig for measuring dimensions of workpiece
JPWO2016047350A1 (ja) 撮像装置、光学機器、電子機器、車両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10167631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CN108369365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其的摄像装置模块
US704626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nit
KR102454210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00118497A1 (en) Module structure
US20090190025A1 (en) Image-captur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69909B1 (ko)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KR20100069134A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
KR102363363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0867525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TWI605713B (zh) 影像擷取模組組裝之定位裝置
KR100789985B1 (ko)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KR102664084B1 (ko) 카메라 모듈 이송용 이중 트레이 장치
TWI449613B (zh) 電子元件引腳校正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