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985B1 -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985B1
KR100789985B1 KR1020060091431A KR20060091431A KR100789985B1 KR 100789985 B1 KR100789985 B1 KR 100789985B1 KR 1020060091431 A KR1020060091431 A KR 1020060091431A KR 20060091431 A KR20060091431 A KR 20060091431A KR 100789985 B1 KR100789985 B1 KR 100789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amera module
bar
bar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에스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텍(주) filed Critical 에스비텍(주)
Priority to KR102006009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는 내부에 한 쌍의 가이드바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바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내측 방향 혹은 외측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외측면을 잡아주는 제1 및 제2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며, 상기 구동부를 하부로 가압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는 구동부와 고정부를 구비하여 렌즈와 경통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반송과정에서도 진동 혹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카메라, 모듈, 고정, 렌즈, 스프링, 경통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FOR CAMERA MODULE}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정면도이다.
도3 은 도1 의 평면도이다.
도4 는 도1 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가 카메라 모듈을 클램핑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5 는 도4 의 정면도이다.
도6 은 도1 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가 카메라 모듈을 언클램핑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7 은 도1 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가 카메라 모듈을 클램핑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용이하게 고정하여 반송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PDA 등의 전자기기가 대중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전자기기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의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소형 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소형 카메라에 장착되는 렌즈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렌즈와, 렌즈를 고정시키는 경통(barrel)과, 그리고 상기 경통이 조립되는 경통홀더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통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오목 및 볼록 렌즈가 일정한 순서로 조립된다. 그리고, 경통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통의 나사산이 경통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됨으로써 경통과 경통홀더가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통홀더에는 전기회로가 배치된 서브 스트레이트가 배치되며, 이 서브 스트레이트에는 고해상도의 이미지 센서(CMOS)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경통의 렌즈를 통하여 투사된 영상이 이미지 센서에 의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됨으로써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출하전에 초점이 조정된 상태로 출하되어야 한다. 즉, 카메라 모듈을 제작한 후 별도의 초점 조정장비에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초점을 조정한 다음, 초점 조정된 카메라 모듈을 별도의 에폭시 도포 장치로 반송하여 에폭시를 도포하고 이를 경화장치로 경화시켜 초점 조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출하전에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조립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이 여러 공정으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진동 혹은 변형으로 인하여 조정된 초점이 변화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와 경통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반송과정에서도 진동 혹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한 쌍의 가이드바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바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베이스에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내측 방향 혹은 외측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외측면을 잡아주는 제1 및 제2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며, 상기 구동부를 하부로 가압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1)는 베이스(Base;5)와, 상기 베이스(5)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11)와, 상기 베이스(5)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11)와 연동함 으로써 개폐가능한 고정부(7,9)와, 렌즈와 경통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L,B)이 안착되는 안착부(1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는 인덱스 테이블(Index Table)에 장착됨으로써 인덱스 테이블이 회전하는 경우 같이 반송됨으로써 카메라 모듈(L,B)을 각 공정으로 반송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5)는 그 내부 양측에 제1 및 제2 가이드바(Guide Bar;17a,17b)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구동부(11)를 상하로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부(11)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7a,17b)에 결합된 수평바(19)와, 수평바(19)의 상부에 돌출된 한 쌍의 수직바(21a,21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1)의 하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가이드바(17a,17b)를 따라 상승하게 되며, 외력이 해제된 경우 후술하는 스프링 부재(Spring Member;13)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바(21a,21b)에는 고정부(7,9)가 구비됨으로써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L,B)의 외측을 잡아줌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7,9)는 제1 수직바(21a)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고정바(7)와, 상기 제1 고정바(7)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제2 수직바(21b)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고정바(9)와, 제1 및 제2 고정바(7,9)를 제1 및 제2 수직바(21a,21b)에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힌지핀(Hinge Pin;25a,25b)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고정바(7)는 일측은 베이스(5) 내부의 일 측에 제1 고정핀(23a)에 의하여 고정되며, 타측은 제1 힌지핀(25a)에 의하여 제1 수직바(21a)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 고정바(7)에는 제1 장공(27a)이 형성되고, 제1 장공(27a)에는 제1 힌지핀(25a)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바(7)가 제1 고정핀(23a)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내측 혹은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힌지핀(25a)이 제1 장공(27a)의 내부에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 고정바(9)는 제1 고정바(7)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 고정바(7)와 같이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L,B)의 외주면을 잡음으로써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제2 고정바(9)는 그 일측은 베이스(5) 내부의 일측에 제2 고정핀(23b)에 의하여 고정되며, 타측은 제2 힌지핀(25b)에 의하여 제2 수직바(21b)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 고정바(9)에는 제2 장공(27b)이 형성되고, 제2 장공(27b)에는 제2 힌지핀(25b)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바(9)가 제2 고정핀(23b)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내측 혹은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힌지핀(25b)이 제2 장공(27b)의 내부에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고정바(7,9)의 선단에는 고정턱(29a,29b)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고정턱(29a,29b)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L,B)이 안착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는 베이스(5)에 연결되는 안착 플레이트(15)와, 상기 안착플 레이트(15)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1)의 수평바(19)에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1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안착부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15)는 베이스(5)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그 상면은 편평한 형상을 가지므로 카메라 모듈(L,B)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13)는 그 상부는 안착 플레이트(15)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부는 수평바(19)의 상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바(19)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는 이 스프링 부재(13)가 수축되며, 반대로 수평바(19)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스프링 부재(1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수평바(19)를 하부로 밀어냄으로써 구동부(11)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과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카메라 모듈(L,B)을 고정시키는 경우, 반송지그(3)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L,B)을 고정장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L,B)을 고정위치에 정렬한 후 하강시킴으로써 안착 플레이트(15)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부(11)의 하부로부터 외력을 가하여 구동부(11)를 상승시킨다. 구동부(11)가 상승함에 따라 제1 및 제2 수직바(21a,21b)가 제1 및 제2 고정바(7,9)를 각각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바(7,9)의 선단은 각각 외측 상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개방상태가 되어 카메라 모듈(L,B)의 그 사이를 통하여 안착 플레이트(15)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12)의 스프링 부재(13)는 압축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L,B)이 안착 플레이트(15)의 상면에 안착되면, 고정부(7,9)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L,B)을 고정하게 된다.
즉, 도4, 도5, 그리고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를 가압하던 외력을 해제하면, 안착부(12)의 스프링 부재(13)가 탄성력에 의하여 수평바(19)를 하부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11)는 이 탄성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11)가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수직바(21a,21b)에 연결된 제1 및 제2 고정바(7,9)의 선단이 내측 하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바(7,9)는 각각 제1 및 제2 고정핀(23a,23b)에 의하여 베이스(5)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바(7,9)의 선단에 구비된 고정턱(29a,29b)이 카메라 모듈(L,B)의 경통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L,B)이 베이스(5)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덱스 테이블이 회전함으로써 다음 공정으로 반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고정장치 는 구동부와 고정부를 구비하여 렌즈와 경통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반송과정에서도 진동 혹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5)

  1. 내부에 한 쌍의 가이드바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를 따라 승하강하는 구동부;
    상기 베이스에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내측 방향 혹은 외측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외측면을 잡아주는 제1 및 제2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며, 상기 구동부를 하부로 가압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그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에 각각 삽입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수직바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수직바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고정바와, 상기 제1 고정바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제2 수직바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고정바와, 제1 및 제2 고정바를 제1 및 제2 수직바에 힌지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힌지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바가 서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고정시키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바는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고정하는 고정턱과, 타측에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고정핀과, 중간부에는 제1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수직바와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바는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고정하는 고정턱과, 타측에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고정핀과, 중간부에는 제2 장공을 통하여 상기 제2 수직바와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핀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그 상면에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수평바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KR1020060091431A 2006-09-20 2006-09-20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KR10078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431A KR100789985B1 (ko) 2006-09-20 2006-09-20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431A KR100789985B1 (ko) 2006-09-20 2006-09-20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985B1 true KR100789985B1 (ko) 2008-01-02

Family

ID=3921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431A KR100789985B1 (ko) 2006-09-20 2006-09-20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65B1 (ko) 2008-08-29 2010-07-06 전자부품연구원 카메라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65B1 (ko) 2008-08-29 2010-07-06 전자부품연구원 카메라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0624B2 (en) Digital camera module with focusing function
KR101938527B1 (ko) 카메라 모듈 조립 지그 및 이를 활용한 카메라 모듈 조립 방법
KR10123044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지그
JP4394750B2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読取装置
US8018527B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digital camera module employing the same
KR100982266B1 (ko) 렌즈 구동 모듈
US11947182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7359130B1 (en) Lens mount and alignment method
CN108353116A (zh) 摄像机模块
CN216013788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JP620795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0789985B1 (ko) 카메라 모듈의 고정장치
US201300769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planarity adjusting module
JP2006154319A (ja) 撮像ユニット、撮像ユニットを有する撮像装置、および撮像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31697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7169175A (ja) 撮像装置
KR101281618B1 (ko) 카메라 모듈의 에폭시 수지 경화용 지그
JP4968365B2 (ja)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US7304812B1 (en) Clamping fixture and method for washing optical members
US20090282673A1 (en) Device for locking lens
US2006019694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fine-tunable camera module
JP4604729B2 (ja) 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328484B1 (ko) 카메라용 렌즈 결합장치
KR102203396B1 (ko) 진공 라미네이팅 장치
US7872818B2 (en) Apparatus for coupling first lens to second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