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09B1 -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09B1
KR101469909B1 KR1020100107254A KR20100107254A KR101469909B1 KR 101469909 B1 KR101469909 B1 KR 101469909B1 KR 1020100107254 A KR1020100107254 A KR 1020100107254A KR 20100107254 A KR20100107254 A KR 20100107254A KR 101469909 B1 KR101469909 B1 KR 10146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peripheral member
inner peripheral
camera module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611A (ko
Inventor
조규범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9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 및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렌즈배럴을 감싸고 가압에 의해 상기 렌즈배럴의 수평위치를 조심(Align)시키는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이격된 외측둘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CAMERA MODULE AND METHOD OF ALIGN FOR BARREL}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이미지센서는 선명한 이미지를 위해 화소수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픽셀 사이즈가 점차 작아지고 있다. 픽셀사이즈가 작아질수록 배럴의 광축 특히, 수평 위치를 맞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배럴의 수평 위치를 조심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배럴; 및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렌즈배럴을 감싸고 가압에 의해 상기 렌즈배럴의 수평위치를 조심시키는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이격된 외측둘레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렌즈배럴; 및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렌즈배럴을 감싸는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이격된 외측둘레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럴의 조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의 수직 위치를 조심하는 단계; 상기 렌즈배럴의 수평 위치를 조심하는 단계;-이때, 상기 내측둘레부재를 상기 렌즈배럴을 향하여 가압함 - 및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내측둘레부재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럴의 조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 사이인 간극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둘레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렌즈배럴을 조심시키는 삽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둘레부재는 상기 외측둘레부재보다 변형력이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둘레부재는 상기 외측둘레부재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의 간극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둘레부재의 둘레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둘레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는 원통형이고, 상기 삽입홈은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무두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위치를 조심하는 단계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기둥형상의 삽입부재를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의 간극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조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위치를 조심하는 단계는, 상기 외측둘레부재의 둘레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조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후, 상기 접착제를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를 경화하는 단계후, 상기 삽입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배럴의 수평위치를 조심할 수 있다. 특히, 불필요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부재의 진입 정도에 따라 렌즈배럴의 변위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조심을 할 수 있어, 점차 작아지는 픽셀사이즈를 구비하는 이미지센서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삽입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의 조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배럴(110) 및 하우징(120)을 포함하며, 삽입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10)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렌즈를 통하여 외부의 광원이 집속 되도록 한다. 렌즈배럴(110)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20)은 렌즈배럴(110)을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120)을 상단부(121)와 하단부(129)로 나누어 설명하면, 하우징(120)의 상단부(121)는 렌즈배럴(110)을 지지하고, 렌즈배럴(110)이 원통형인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120)의 상단부(12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하단부(129)는 적외선 차단필터(미도시), 이미지센서 및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120)의 하단부(129)는 인쇄회로기판이 사각형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사각형의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광원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메인기판과 전기적 신호를 이루는 인쇄회로기판과 와이어본딩 방식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이미지센서가 패키지화되어 하우징(120)의 하단부(129)에 실장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필터는 이미지센서로 유입되는 광원 중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렌즈로부터 이미지센서에 이르는 경로상에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재(130)는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 사이에 삽입되어 내측둘레부재(123)를 가압하여 렌즈배럴(110)을 조심시킬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모듈(100)의 하우징(1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은 광원이 이미지센서로 입사되게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상단부(121)는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배럴(1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는 중공의 원통 2개가 겹쳐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내측둘레부재(123)의 외측에 내측둘레부재(123)보다 직경이 큰 외측둘레부재(125)가 구비되어 중공 및 간극(124)을 가지는 두 겹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둘레부재(123)는 상부가 개방되며 렌즈배럴(110)을 감싸고 가압에 의해 렌즈배럴(110)의 수평위치(앞뒤 및 좌우위치)를 조심(Align)시킨다. 외측둘레부재(125)는 내측둘레부재(123)와 이격되어 내측둘레부재(123)를 둘러싼다.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 사이에는 간극(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유지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유지부(127)는 하우징(120)이 사출성형되는 경우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유지부(127)는 내측둘레부재(123)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등간격으로 3개가 형성될 수 있고, 내측둘레부재(123)의 세로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130)는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 사이에 삽입되어 내측둘레부재(123)를 가압하여 렌즈배럴(110)을 조심시킬 수 있다. 이때, 내측둘레부재(123)는 외측둘레부재(125)보다 변형력이 클 수 있다. 일 예로, 내측둘레부재(123)는 외측둘레부재(125)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외측둘레부재(125)보다 두께가 얇은 내측둘레부재(123)는 삽입부재(130)가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 사이에 삽입되면, 내측둘레부재(123)에 외력이 발생하여 형상이 변형되면서 렌즈배럴(110)을 가압하여 조심할 수 있다.
삽입부재(130)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13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의 간극(124)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재(13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삽입부재(130) 최하부의 직경은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의 간극(124)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여기서, 동일은 설계상 제조상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는 실질적 동일을 의미한다.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의 간극(124)에 삽입부재(130)가 삽입될 경우, 삽입부재(130)는 상부로 갈수로 직경이 커져, 간극(124)에 진입할 수록 내측둘레부재(123)를 렌즈배럴(11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삽입부재(130)는 직경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내측둘레부재(123)를 미는 정도가 커진다.
렌즈배럴(110)의 수평방향을 조심하는 경우 렌즈배럴(1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에 대응하는 간극(124)에 삽입부재(130)를 배치하여 삽입부재(130)를 눌러 진입시킬 수 있다.
렌즈배럴(110)의 조심이 이루어지면, 접착제로 렌즈배럴(110)을 본딩하고 접착제를 경화 시킨 후 삽입부재(130)는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삽입부재(130)가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의 간극(124)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실시한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220)은 내측둘레부재(123) 및 외측둘레부재(2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둘레부재(123) 및 외측둘레부재(225)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달리,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225)의 변형력이 동일할 수 있고,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225)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는 등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225)의 상대적인 변형력과 두께가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내측둘레부재(123)가 외측둘레부재(225)보다 변형력이 클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둘레부재(225)의 둘레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삽입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26)에는 삽입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22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삽입부재(230)는 무두볼트로서 무두볼트를 조임으로써 내측둘레부재(123)를 가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모듈(200)의 하우징(2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225)는 원통형이고, 수평방향의 조심을 위해, 삽입홈(226)은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홈(226)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 혹은 그 이하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의 하우징(220)에 삽입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230)는 삽입홈(226)으로 삽입되어 내측둘레부재(123)를 가압할 수 있다. 삽입부재(2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삽입홈(226)에 회전되면서 진입하여 내측둘레부재(123)를 가압할 수 있다.
삽입부재(230)는 그 길이방향의 길이가 이동하는 것에 대응하여 내측둘레부재(123)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230)는 일 예로, 무두볼트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화살표는 무두볼트의 가압방향을 지시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럴(110)의 조심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의 조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앞서 설명한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100, 2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100, 200)의 선명한 이미지를 위해 점차적으로 이미지센서의 픽셀사이즈는 작아지고 있다. 이미지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 이미지센서에 대응하도록 렌즈배럴(110)의 수평위치를 조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200)은 렌즈배럴(110) 및 하우징(120, 22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 220)에 지지되는 렌즈배럴(110)의 조심은 아래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렌즈배럴(110)의 수직 위치를 조심한다(S110). 렌즈배럴(110)이 내측둘레부재(12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내측둘레부재(123)의 상부에 배치 한 후 렌즈배럴(11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광축을 맞추어 렌즈배럴(110)의 수직 위치를 조심한다.
다음, 렌즈배럴(110)의 수평 위치를 조심한다. 이때, 내측둘레부재(123)를 렌즈배럴(110)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미지센서는 하우징(120, 220)의 하단부(129)에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미지센서의 화상을 확인하고 렌즈배럴(110)의 앞뒤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 위치를 조심한다(S120).
수평 위치 조심(S120)은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에 따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기둥형상의 삽입부재(130)를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의 간극(124)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조심할 수 있다. 삽입부재(130)는 높이에 따라 직경이 달리 형성되어,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따라서, 삽입부재(130)가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의 간극(124)에 진입하는 정도에 따라 내측둘레부재(123)를 미는 양의 정도가 달라진다.
렌즈배럴(110)은 내측둘레부재(123)가 가압하는 것에 따라 수평 위치가 조심될 수 있다. 렌즈배럴(110)의 수평 위치를 조심하기 위해, 렌즈배럴(110)이 내측둘레부재(123)에 의해 밀려나야 하는 위치에 삽입부재(130)를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의 간극(124)에 배치하여 삽입부재(130)를 눌러 진입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둘레부재(123)의 변형력은 외측둘레부재(125)의 변형력보다 커서 삽입부재(130)에 의해 내측둘레부재(123)가 가압되어 내측둘레부재(123)의 가압에 의해 렌즈배럴(110)이 조심될 수 있다.
삽입부재(130)는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의 간극(124)에서 내측둘레부재(123)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삽입부재(130)를 간극(124)에 삽입 후 삽입부재(130)를 좌우 이동시켜 렌즈배럴(110)의 가압위치를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부재(130)의 진입 정도에 따라 렌즈배럴(110)의 변위 정도가 달라져 미세한 위치조정인 조심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둘레부재(123)와 외측둘레부재(125) 사이에 기둥형상의 삽입부재(130)가 진입되는 정도와 내측둘레부재(123)를 따라 삽입부재(130)가 이동하여 렌즈배럴(110)의 수평 위치를 조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앞서 설명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의 외측둘레부재(225)의 둘레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삽입홈(226)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의 조심을 위해, 삽입홈(226)은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200)의 경우, 수평 위치 조심을 아래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삽입부재(230)는 삽입홈(226)으로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수평 위치를 조심할 수 있다. 렌즈배럴(110)의 수평위치에 대응하여 삽입부재(230)를 삽입홈(226)에 삽입하고, 렌즈배럴(110)이 조심되는 변위에 대응하여 삽입부재(230)를 회전시켜 렌즈배럴(110)을 가압함으로써 렌즈배럴(110)의 수평위치를 조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렌즈배럴(110)의 조심이 이루어지면, 다음으로, 렌즈배럴(110)과 내측둘레부재(123)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다(S130).
다음, 접착제를 경화할 수 있다(S140). 접착제 경화는 공정대기시간인 리드타임을 줄일 수 있도록 열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를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자연 건조로 경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삽입부재(230)를 제거할 수 있다(S150). 삽입부재(230)를 이용하여 렌즈배럴(110)의 수평위치를 조정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렌즈배럴(110)을 하우징(120, 220)에 고정시킨 후 삽입부재(230)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다른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은 렌즈배럴의 수평위치를 조심할 수 있다. 특히 불필요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부재의 진입정도에 따라 렌즈배럴의 변위를 조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10: 배럴
120: 하우징
123: 내측둘레부재
124: 간극
125, 225: 외측둘레부재
130, 230: 삽입부재
226: 삽입홈

Claims (15)

  1. 렌즈배럴; 및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렌즈배럴을 감싸고 가압에 의해 상기 렌즈배럴의 수평위치를 조심(Align)시키는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이격된 외측둘레부재와,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를 연결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 사이인 간극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둘레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렌즈배럴을 조심시키는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둘레부재는 상기 외측둘레부재보다 변형력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둘레부재는 상기 외측둘레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의 간극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둘레부재의 둘레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둘레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는 원통형이고,
    상기 삽입홈은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무두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렌즈배럴; 및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렌즈배럴을 감싸는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이격된 외측둘레부재와,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를 연결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배럴의 조심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의 수직 위치를 조심하는 단계;
    상기 렌즈배럴의 수평 위치를 조심하는 단계; -이때, 상기 내측둘레부재를 상기 렌즈배럴을 향하여 가압함 - 및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내측둘레부재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럴의 조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위치를 조심하는 단계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기둥형상의 삽입부재를 상기 내측둘레부재와 상기 외측둘레부재의 간극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조심하는 것을 특징으로 배럴의 조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위치를 조심하는 단계는,
    상기 외측둘레부재의 둘레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조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럴의 조심방법.
  14.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후,
    상기 접착제를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럴의 조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경화하는 단계후,
    상기 삽입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럴의 조심방법.
KR1020100107254A 2010-10-29 2010-10-29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KR10146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54A KR101469909B1 (ko) 2010-10-29 2010-10-29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54A KR101469909B1 (ko) 2010-10-29 2010-10-29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11A KR20120045611A (ko) 2012-05-09
KR101469909B1 true KR101469909B1 (ko) 2014-12-05

Family

ID=4626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254A KR101469909B1 (ko) 2010-10-29 2010-10-29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690B1 (ko) 2012-12-06 2020-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05140B1 (ko) 2012-12-06 2020-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광 차단 도장층 형성방법
TWM503584U (zh) * 2015-01-23 2015-06-21 Topray Mems Inc 一種取像裝置
KR102392580B1 (ko) * 2015-07-31 2022-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441B1 (ko) * 1996-10-14 2003-11-17 펜탁스 프레시젼 가부시키 가이샤 시시티브이카메라용렌즈의마운트시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441B1 (ko) * 1996-10-14 2003-11-17 펜탁스 프레시젼 가부시키 가이샤 시시티브이카메라용렌즈의마운트시프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611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100B2 (ja) 撮像装置、光学機器、電子機器、車両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11815740B2 (en) Imaging lens set with plastic lens element,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6664358B (zh) 摄像装置、光学设备、电子设备、车辆以及摄像装置的制造方法
CN108353116B (zh) 摄像机模块
US7850377B2 (en) Mounting structure for plurality of lenses,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JP6657099B2 (ja) 撮像装置、光学機器、電子機器および車両
KR102166232B1 (ko) 카메라 모듈의 틸트 보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7986476B2 (en) Camera device with image sensor driving apparatus
US20210072487A1 (en) Imaging lens assembly modul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10574870B2 (en) Lens module comprising an image sensor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a circuit board with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363424B2 (en) Camera module having a guide unit
KR101469909B1 (ko) 카메라 모듈 및 배럴의 조심방법
CN107295222B (zh) 照相镜头模块
US11668895B2 (en) Lens assembly actuat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13132630A (zh) 摄像装置模块以及移动设备
CN112492129A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US20070141881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300769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planarity adjusting module
KR100845547B1 (ko) 카메라 모듈과 이의 조립 장치
JP200812940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US20190320096A1 (en) Camera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for same
KR20140073255A (ko) 카메라 모듈
KR101170734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84973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0752708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