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803B1 -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803B1
KR101992803B1 KR1020180009793A KR20180009793A KR101992803B1 KR 101992803 B1 KR101992803 B1 KR 101992803B1 KR 1020180009793 A KR1020180009793 A KR 1020180009793A KR 20180009793 A KR20180009793 A KR 20180009793A KR 101992803 B1 KR101992803 B1 KR 10199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image sensor
sensor modu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Priority to KR102018000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의 커넥터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신뢰성과 정밀도를 향상시킨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에 대한 것으로서, 이미지 센서 모듈이 안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며 이미지 센서 모듈을 슬라이드 어셈블리의 컨텍유닛과 접속 또는 접속 해제시키는 업다운 어셈블리와,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에서부터 후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 모듈에 접속되는 컨텍유닛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Image Sensor Module Socket}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을 검사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커넥터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신뢰성과 정밀도를 향상시킨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에는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이미지 센서나 CCM(Charge Coupled Device)이미지 센서가 포함된 이미지 센서 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인쇄회로기판에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그 정면에 렌즈(Lens)가 설치되고 하우징(Housing)에 수용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카메라의 내부에 조립되기 이전에 그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상기한 이미지 센서 모듈의 검사과정을 살펴보면,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접속핀블록을 이미지 센서 모듈의 커넥터에 수직방향으로 대응되게 근접시키고, 상기 접속핀블록의 접속핀과 이미지 센서 모듈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동작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이미지 센서 모듈의 종래 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0-1616391호를 살펴보면,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몸체부를 승강 시키는 단동형 실린더와, 상기 몸체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복동형 실린더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 양측으로 크로스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은 몸체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동형 실린더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후면 방향에 위치하고, 검사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복동형 실린더의 로드가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몸체부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상기와 같이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한 실린더가 후면 방향에 위치하면, 검사 작업시 로드가 전면 방향으로 돌출하여 로드의 단부와 실린더 사이의 간격이 멀어진 상태가 되고, 상기와 같이 로드의 단부와 실린더의 간격이 멀어지면 로드의 전,후 방향 이동의 정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은 매우 작고 정밀한 접속핀블록과 이미지 센서 모듈의 커넥터가 수직으로 접속하여 검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전,후 방향 이동 및 상,하 방향 이동의 정밀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하지만, 현재 이미지 모듈 소켓의 후면 방향 전,후 이동 실린더는 매우 정밀한 전,후 방향 이동을 확보하지 못하여 검사 작업중 접속핀의 휘어짐 및 부러짐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은 검사 작업을 위한 승강 작용이 주로 단동 실린더의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한 단동 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한 에어 호스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단동 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해 에어 호스가 이미지 센서 모듈의 외부에 배치되면, 이미지 센서 모듈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이러한 대형화는 작업 공간의 효율성 저하 및 검사 작업의 효율성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은 일부 부품이 비자성체로 구성한 경우가 있으나, 접속핀을 비자성체로 구성한 경우는 없었다. 이미지 모듈 센서 검사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자석에 의해 자기장으로 구동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특성을 고려하여 검사 작업시 전기적인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은 검사 작업시 전기적인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62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13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85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이동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된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을 소형화하여 작업 공간의 효율성이 상승되고, 이로 인한 작업 효율이 상승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전체를 비자성체로 구성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 검사 작업시 전기적인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은 이미지 센서 모듈이 안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며 이미지 센서 모듈을 슬라이드 어셈블리의 컨텍유닛과 접속 또는 접속 해제시키는 업다운 어셈블리와,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에서부터 후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 모듈에 접속되는 컨텍유닛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실린더의 로드가 슬라이드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 모듈과 접속핀의 접속이 이루어져, 슬라이드블록의 전,후 방향 이동의 정밀성이 확보되고,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 모듈 검사 작업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작업을 위한 업다운실린더와 업다운로드를 분리하여 구성하고, 상기 업다운실린더와 업다운로드 사이에 구성되는 에어파이프를 베이스의 내부로 배치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이 소형화되고, 작업 공간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다운블록의 승강 작동시 상승 및 하강 거리를 최소한으로 설정하고, 6개의 승강 가이드를 구성하여 업다운블록의 상,하 방향 이동의 정밀성이 확보되고,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 모듈 검사 작업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전체가 비자성체로 구성되어 이미지 센서 모듈 검사 작업시 전기적인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검사 작업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5b,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작용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전,후,좌,우측 방향은 도 1에 표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은 업다운 어셈블리(200)와,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200)와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부품을 제외한 모든 부품이 비자성체로 형성된다.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200)는 이미지 센서 모듈(ISM)이 안착되어 하측 방향에서 상승하여 슬라이드 어셈블리(100)의 컨텍유닛(110)과 접속된다.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는 업다운 어셈블리(200)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에서 후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 모듈(ISM)에 접속되는 컨텍유닛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즉, 업다운 어셈블리(200)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ISM)이 안착되고,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는 이미지 센서 모듈(ISM)과 접속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ISM)을 검사하는 컨텍유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200)의 업다운블록(220)은 이미지 센서 모듈(ISM)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고,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는 저면에 컨텍유닛(110)이 결합된 슬라이드블록(120)이 업다운블록(220)의 상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는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드블록(12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120)의 저면에 결합된 컨텍유닛(11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120)의 후면 방향 저면과 결합된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과, 상기 슬제1라이드가이드블록(130)의 후면 방향에 배치되되 소정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블록과 결합되는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과,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의 전면 방향에 배치되는 스톱블록(170)과,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 및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의 저면에 배치되는 LM가이드(180) 및 LM액츄에이터(181)와, 상기 스톱블록(170)의 전면 방향에 배치되는 슬라이드실린더(190)와, 상기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와 체결되되, 후면 방향에서 전면 방향으로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을 관통하는 제1결합볼트(150)와,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과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을 관통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160)와, 상기 스톱블록(170)의 전면 방향에 배치되는 슬라이드실린더(190)를 포함한다.
컨텍유닛(110)은 상단부에 형성된 탑플레이트(111)와 상기 탑플레이트(111)와 상기 탑플레이트(111)의 하측 방향에 구성된 소켓바디 및 플로팅플레이트와 접속핀을 포함한다. 컨텍유닛(110)은 슬라이드 어셈블리(100)의 작용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 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하측 방향에서 상승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ISM)과 접촉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ISM)을 검사한다. 상기 컨텍유닛(110)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라이드블록(120)의 중앙 저면은 컨텍유닛(110)의 탑플레이트(111) 상면과 결합되고, 슬라이드블록(120)의 후면 방향 저면은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의 상면과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120)의 좌,우 방향 양측에는 슬라이드스토퍼(121)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스토퍼(121)는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블록(230)의 제2슬라이드가이드블록(231)에 형성된 슬라이드가이드홈(231')에 접속되며 슬라이드블록(120)의 전,후 방향 이동의 정밀도 및 멈춤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은 후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과 제2결합볼트(160)의 의해 결합된다. 제1결합볼트(150)는 후면 방향에서 전면 방향으로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와 체결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과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등과 같은 슬라이드탄성체(161)가 제2결합볼트(160)를 감싸며 배치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 및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의 좌,우 방향 저면에는 LM액츄에이터(181)가 결합되고, 상기 LM액츄에이터(181)는 LM가이드(180)와 접속된다. 상기 LM가이드(180)는 베이스(240)의 상면에 배치되되, 후면 단부에서부터 전면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과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결합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 및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의 저면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된 LM가이드(180)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 및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과 LM가이드(180)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4점이 접촉되는 매우 안정적인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를 하게된다. 또한,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과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의 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드탄성체(161)는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 및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이 전,후 방향 이동 시작 및 이동을 멈추는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스톱블록(170)은 베이스(240)에 형성된 스톱블록결합홈(241)에 접속 결합된다. 스톱블록(170)의 저면 중앙에는 스톱블록저면홈(171)이 형성된다. 상기 스톱블록저면홈(171)에는 슬라이드실린더(190)가 접속된다. 스톱블록(170)의 스톱블록저면홈(171)은 스톱블록(170)의 높이를 낮추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톱블록저면홈(171)은 스톱블록(17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이미지 센소 모듈 소켓 전체 높이를 낮추고, 업다운블록(220)의 승하강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 검사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슬라이드실린더(190)는 공기압을 공급받는 부분이 컨텍유닛(110)이 배치된 방향, 즉 베이스(240)의 전면 방향에 배치되고,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는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이 배치된 방향, 즉 베이스(240)의 후면 방향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 모듈(ISM)의 검사 작업을 위해 이미지 센서 모듈(ISM)과 컨텍유닛(110)이 접속하는 상태일 때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는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 센서 모듈(ISM)의 컨텍유닛(110)이 접촉하는 상태일 때,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가 인입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가 직선상으로 돌출하며 이동할 때, 슬라이드실린더(190)와 로드(191) 단부의 거리가 멀어지며 발생하는 미세한 오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드실린더(190)는 복동형 실린더로 구성된다. 슬라이드실린더(190)는 공압 전달이 가능한 대체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는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 및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이 LM가이드(180)와 4점 접촉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120) 및 컨텍유닛(110)의 이동 정밀도를 향상함과 동시에, 검사 작업시에는 슬라이드실린더(190)와 로드(191)의 작동에 따른 미세한 오차를 제거한다. 또한, 슬라이드블록(120)의 슬라이드스토퍼(121)와 제2슬라이드가이드블록(231)의 슬라이드가이드홈(231')의 작용 및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과 스톱블록(170)의 2중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블록(120) 및 컨텍유닛(110)의 멈춤 위치 정밀도가 향상된다.
상기한 오차 제거, 전,후 방향 및 멈춤 위치 정밀도 향상은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드블록(120) 및 컨텍유닛(110)의 전,후 방향 이동 정밀도 및 멈춤 위치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이러한 작용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작동 안정성 및 작업 효율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 어셈블리(200)는 이미지 센서 모듈(ISM)이 안착되는 가이드플레이트(210)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업다운블록(220)과, 상기 업다운블록(220)의 하측 방향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블록(230)과, 상기 베이스블록(230)의 하측 방향에 배치되는 베이스(240)와, 상기 베이스(24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업다운블록(220)의 저면과 결합된 4개의 업다운로드(245)와 상기 베이스(240)의 일측에 배치되어 업다운로드(245)를 상승시키는 업다운실린더(250) 및 제2에어파이프(243)를 포함한다.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이미지 센서 모듈(ISM)이 안착 가능하도록 중앙에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이다. 업다운블록(220)은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서, 좌,우 양측 방향으로 업다운가이드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업다운가이드홈(221)은 업다운가이드블록(233)이 내부로 수용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서, 업다운블록(220)의 승강 작동시 상,하 방향 이동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업다운블록(220)의 4방향 가장자리에는 각각 2개씩 업다운가이드부시(222)가 배치된다. 상기 업다운가이드부시(222) 내측에는 베이스블록(230)의 업다운가이드핀(234)이 접촉되며 업다운블록(220)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한 2개의 업다운가이드홈(221)과 4개의 업다운가이드부시(222)는 2중으로 업다운블록(220)의 상,하 방향 이동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상,하 방향 이동 정밀도 향상은 이미지 센서 모듈(ISM)의 수직 방향 이동 및 컨텍유닛(110)과의 접속 정밀도 향상으로 이어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작동 안정성 및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좌우 양측으로 배치된 베이스블록(230) 사이에는 슬라이드실린더홈(232)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실린더홈(232)에는 슬라이드실린더(190)가 접속된다. 슬라이드실린더홈(232)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스톱블록(170)의 스톱블록저면홈(171)과 동일하다.
상기 양측 베이스블록(23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제2슬라이드가이드블록(231)이 배치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가이드블록(23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가이드홈(231')을 포함한다. 상기 제2슬라이드가이드홈(231')에는 슬라이드블록(120)의 전,후 방향 이동시 슬라이드스토퍼(121)가 접속된다. 제2슬라이드가이드홈(231')에는 슬라이드스토퍼(121)가 접속되며 슬라이드블록(120)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고, 슬라이드스토퍼(121)가 슬라이드가이드홈(231')의 전면 방향 단부에 접촉되면 슬라이드블록(120)의 전면 방향 이동이 멈추도록 작용한다.
베이스블록(230)의 중앙 좌,우 양측으로는 업다운가이드블록(233)이 배치된다. 상기 업다운가이드블록(233)은 상단부는 베이스블록(230)의 상단부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크기 및 형상은 업다운블록(220)의 업다운가이드홈(221) 내부로 수용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다.
베이스블록(230)의 4방향 가장자리에는 업다운가이드핀(234)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업다운가이드핀(234)은 앞서 설명한 업다운가이드부시(222)의 내부로 접속하여 업다운블록(220)의 상,하 방향 이동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베이스블록(230)의 좌,우 방향 양측으로는 각각 2개씩 업다운로드관통공(235)이 형성된다. 상기 업다운로드관통공(235)의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될 업다운로드(245)의 배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업다운로드관통공(235)은 업다운로드(24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베이스(240)의 상면 전면 방향 단부에는 슬라이드실린더접속홈(242)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스톱블록결합홈(241)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 후면 방향 단부에는 LM가이드홈(246)이 좌,우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실린더접속홈(242)에는 슬라이드실린더(190)의 저면이 접속되고, 스톱블록결합홈(241)에는 스톱블록(170)이 접속되며, LM가이드홈(246)에는 LM가이드(180)가 접속된다. 상기 슬라이드실린더접속홈(242),스톱블록결합홈(241), LM가이드홈(246)은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전체 높이를 낮추기 위한 구성이다.
베이스(240)의 슬라이드실린더접속홈(242) 좌,우 방향 양측으로는 각각 업다운로드(245)가 2개씩 배치되고, 상기 업다운로드(245)는 제2에어파이프(243)에 의해 업다운실린더(250)와 연결된다. 상기 업다운로드(245)의 배치 위치는 베이스블록(230)의 업다운로드관통공(235)과 대응되는 위치이다. 업다운로드(245)는 단동 실린더인 업다운실린더(250)에서 발생한 공기압에 의해 상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업다운블록(220)의 저면과 접촉되고, 이러한 작동은 업다운블록(220), 가이드플레이트(210), 이미지 센서 모듈(ISM)의 상승 작동으로 이어진다.
업다운실린더(250)는 베이스(240)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업다운실린더(250)의 결합시 업다운실린더브라켓이 구성될 수 있다. 제2에어파이프(243)는 베이스(24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2에어파이프(243)는 업다운실린더(250)에서 발생된 공기압을 4개의 업다운로드(245)로 전달한다. 상기 업다운실린더(250)는 공압 전달이 가능한 대체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파이프(243)는 업다운로드(245)의 작동에 필요한 공기압을 베이스(240)의 내부를 통해 전달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을 소형화하고, 이러한 소형화는 작업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도 5a, 5b,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작용 예시도이다.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5a를 참조하면,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가 후면 방향으로 돌출하여 슬라이드블록(120) 및 컨텍유닛(110)이 후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가이드플레이트(210)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ISM)이 안착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가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슬라이드블록(120)과 컨텍유닛(110)이 전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전면 방향 이동은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 LM액츄에이터(181) 및 LM가이드(180)의 4점 접촉에 의해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면 방향 이동에는 슬라이드스토퍼(121)와 제2슬라이드가이드블록(231)의 슬라이드가이드홈(231')의 작용이 더해져 슬라이드블록(120)과 컨텍유닛(110)의 전면 방향 이동 정밀성이 더욱 향상된다.
슬라이드블록(120)과 컨텍유닛(110)의 전면 방향 이동이 완료될 때에는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의 전면과 스톱블록(170)의 후면이 접촉하고, 슬라이드스토퍼(121)와 슬라이드가이드홈(231')의 단부가 접촉한다. 상기한 2중 접촉은 슬라이드블록(120)과 컨텍유닛(110)의 멈춤 위치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도 5c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 모듈(ISM), 가이드플레이트(210), 업다운블록(220)은 업다운로드(245) 및 업다운실린더(250)의 작동에 의해 상승한다. 상기한 상승에 의해 이미지 센서 모듈(ISM)과 컨텍유닛(110)은 접속하고, 상기한 접속에 의해 이미지 센서 모듈 검사 작업이 진행된다.
이미지 센서 모듈(ISM), 가이드플레이트(210), 업다운블록(220)의 상승시 각각 2개의 업다운가이드홈(221)과 업다운가이드블록(233)이 작용하고, 상기한 작용과 동시에 각각 4개의 업다운가이드부시(222)와 업다운가이드핀(234)이 작용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ISM), 가이드플레이트(210), 업다운블록(220)의 상부 방향 이동 정밀도는 크게 향상된다.
이미지 센서 모듈(ISM)의 검사가 완료되면 업다운실린더(250)의 작동이 완료되고, 이미지 센서 모듈(ISM), 가이드플레이트(210), 업다운블록(220)은 중력에 의해 하강한다. 상기한 하강 작동시에도 앞서 설명한 업다운가이드홈(221), 업다운가이드블록(233), 업다운가이드부시(222)와 업다운가이드핀(234)의 작용에 의해 이미지 센서 모듈(ISM), 가이드플레이트(210), 업다운블록(220)의 하부 방향 이동 정밀도는 크게 향상된다.
상기한 이미지 센서 모듈(ISM), 가이드플레이트(210), 업다운블록(220)의 상승 작용시 업다운실린더(250)에서 발생한 공기압은 제1에어파이프(251)와 베이스(240) 내부에 배치된 제2에어파이프(243)에 의해 업다운로드(245)로 전달된다. 상기 제2에어파이프(243)는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의 외부에 형성되는 에어파이프를 최소화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을 소형화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슬라이드 어셈블리 110: 컨텍유닛
111: 탑플레이트 120: 슬라이드블록
121: 슬라이드스토퍼 130: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
140: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 150: 제1결합볼트
160: 제2결합볼트 161: 슬라이드탄성체
170: 스톱블록 171: 스톱블록저면홈
180: LM가이드 181: LM액츄에이터
190: 슬라이드실린더 191: 로드
200: 업다운 어셈블리 210: 가이드플레이트
220: 업다운블록 221: 업다운가이드홈
222: 업다운가이드부시 230: 베이스블록
231: 제2슬라이드가이드블록 231': 슬라이드가이드홈
232: 슬라이드실린더홈 233: 업다운가이들블록
234: 업다운가이드핀 235: 업다운로드관통공
240: 베이스 241: 스톱블록결합홈
242: 슬라이드실린더접속홈 243: 제2에어파이프
243: 스톱블록결합홈 245: 업다운로드
246: LM가이드홈 250: 업다운실린더
ISM: 이미지 센서 모듈

Claims (3)

  1. 이미지 센서 모듈(ISM)이 안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며 이미지 센서 모듈(ISM)을 슬라이드 어셈블리(100)의 컨텍유닛(110)과 접속 또는 접속 해제시키는 업다운 어셈블리(200)와,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200)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에서부터 후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 모듈(ISM)에 접속되는 컨텍유닛(1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100)는 접속핀을 포함하는 컨텍유닛(110)과, 상기 컨텍유닛(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12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120)의 후면 방향 저면과 결합되는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과,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의 후면 방향에 배치되되 소정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블록(120)과 결합되는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과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의 전면 방향에 배치되는 스톱블록(170)과,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 및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의 저면에 배치되는 LM가이드(180) 및 LM액츄에이터(181)와, 상기 스톱블록(170)의 전면 방향에 배치되는 슬라이드실린더(190)와, 상기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와 체결되되 후면 방향에서 전면 방향으로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을 관통하는 제1결합볼트(150)와, 상기 제1슬라이드가이드블록(130)과 슬라이드스페이서블록(140)을 관통 결합하는 제2결합볼트(160)를 포함하고,
    상기 업다운 어셈블리(200)는 이미지 센서 모듈(ISM)이 안착되는 가이드플레이트(210)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업다운블록(220)과, 상기 업다운블록(220)의 하측 방향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블록(230)과, 상기 베이스블록(230)의 하측 방향에 배치되는 베이스(240)와, 상기 베이스(24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업다운블록(220)의 저면과 접촉된 4개의 업다운로드(245)와, 상기 베이스(240)의 일측에 배치되어 업다운로드(245)를 상승시키는 업다운실린더(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라이드실린더(190)는 베이스(240)의 전면 방향에서 후면 방향으로 배치되되,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가 후면 방향에 배치되고,
    이미지 센서 모듈(ISM)의 검사 작업시에는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가 슬라이드실린더(190) 내부로 인입되며,
    이미지 센서 모듈(ISM) 검사 준비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실린더(190)의 로드(191)가 슬라이드실린더(190)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3. 삭제
KR1020180009793A 2018-01-26 2018-01-26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KR10199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93A KR101992803B1 (ko) 2018-01-26 2018-01-26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93A KR101992803B1 (ko) 2018-01-26 2018-01-26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803B1 true KR101992803B1 (ko) 2019-06-25

Family

ID=6706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793A KR101992803B1 (ko) 2018-01-26 2018-01-26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8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182B1 (ko) * 2019-10-10 2020-08-18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카메라 모듈 자동 테스트소켓
KR102164974B1 (ko) * 2019-12-05 2020-10-13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다중 이미지센서모듈 검사소켓
KR102296485B1 (ko) * 2020-02-21 2021-08-31 임완철 광학 검사 장비의 스테이지 자동정렬 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244B1 (ko) 2008-09-03 2011-01-07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08741B1 (ko) * 2013-06-04 2013-09-17 김광일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1341380B1 (ko) 2012-08-28 2013-12-13 김대봉 Uv led 내장형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06175B1 (ko) * 2015-08-31 2016-03-25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615181B1 (ko) * 2014-12-30 2016-04-2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85468B1 (ko) * 2015-08-29 2016-12-14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798593B1 (ko) 2016-09-07 2017-11-17 주식회사 퓨런티어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244B1 (ko) 2008-09-03 2011-01-07 주식회사 엔티에스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41380B1 (ko) 2012-08-28 2013-12-13 김대봉 Uv led 내장형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08741B1 (ko) * 2013-06-04 2013-09-17 김광일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1615181B1 (ko) * 2014-12-30 2016-04-2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85468B1 (ko) * 2015-08-29 2016-12-14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606175B1 (ko) * 2015-08-31 2016-03-25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798593B1 (ko) 2016-09-07 2017-11-17 주식회사 퓨런티어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182B1 (ko) * 2019-10-10 2020-08-18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카메라 모듈 자동 테스트소켓
KR102164974B1 (ko) * 2019-12-05 2020-10-13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다중 이미지센서모듈 검사소켓
KR102296485B1 (ko) * 2020-02-21 2021-08-31 임완철 광학 검사 장비의 스테이지 자동정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803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KR101616391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CN103945215A (zh) 用于相机模块的测试座
KR101615181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CN108604056B (zh) 相机模块检验设备
JP2018163152A (ja) スライド垂直型テストソケット
CN210092057U (zh) 一种led固晶机的音圈顶针机构
CN212323332U (zh) 一种全自动对插装置和电池包检测设备
KR101910538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KR102003210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TW201623932A (zh) 吸附式照相機模組測試治具
KR102544276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19698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장치
KR20200110023A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CN213240468U (zh) 一种连接器测试装置
CN115664143A (zh) 音圈马达装配机
KR100770030B1 (ko) 디바이스 테스트 소켓
CN102066962A (zh) 测试头移动装置及电子元件测试装置
CN104692116B (zh) 一种物料组装机构
CN209631959U (zh) 一种带有探针检测装置的冲压模具
CN114019196A (zh) 一种继电器接触压降测试夹具
CN217544411U (zh) 用于装配真空断路器拉杆弹簧的工装
CN220542998U (zh) 一种用于自动测试设备的自动对接装置
CN211777059U (zh) 簧片顶出机构及使用其的电磁屏蔽门屏蔽结构
CN219591371U (zh) 顶推装置及半导体装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