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428B1 -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428B1
KR101897428B1 KR1020177031210A KR20177031210A KR101897428B1 KR 101897428 B1 KR101897428 B1 KR 101897428B1 KR 1020177031210 A KR1020177031210 A KR 1020177031210A KR 20177031210 A KR20177031210 A KR 20177031210A KR 101897428 B1 KR101897428 B1 KR 101897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ner layer
laminated film
outer layer
you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718A (ko
Inventor
이꾸노 이구찌
사찌꼬 스가야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적층 필름이, 열융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상기 내층에 적층된 외층과, 적어도 상기 외층의 일부가 제거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내층의 일부가 존재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선 형상이며, 2.0기가파스칼 이하의 영률을 갖는 취약 가공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LAMINATE FILM AND 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적층 필름,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 용기에 사용함으로써 내용물을 전자 레인지에 의해 적합하게 가열할 수 있는 적층 필름 및 당해 적층 필름을 사용한 포장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10월 15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2807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조리 완료 또는 반조리 상태의 식품을 상온, 저온, 혹은 냉동 보존 가능하게 포장 주머니 등의 포장 용기에 수용하고, 개봉하지 않고 전자 레인지에서 가열하여, 먹을 수 있는 상태로 하는 식품이 알려져 있다.
포장 용기를 개봉하지 않고 전자 레인지에서 가열하면, 포장 용기 내의 수분이 수증기로 되어, 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수증기를 방출 가능한 간극이 없으면 포장 용기가 파열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 한편, 내용물이 반조리 상태 등의 경우에는, 단순히 가열할 뿐만 아니라,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내용물을 뜸들이는 것 등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증기를 방출하는 구멍 등이 과도하게 크면, 뜸들이기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아, 풍미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한 용도에 대응한 포장 주머니는 몇 개 알려져 있다. 모두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압이 높아지면, 적층 필름의 일부에 파열 틈이 생겨 당해 파열 틈으로부터 수증기를 방출함으로써 파열을 방지한다.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내용물을 뜸들이는 것도 가능한 포장 주머니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포장 주머니가 알려져 있다. 이 포장 주머니에서는, 외층 및 내층을 갖는 적층 필름의 일부에, 외층 및 내층을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하고, 그 후 내층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내층의 슬릿만을 폐쇄하고 있다. 이 포장 주머니를 전자 레인지에서 가열하면, 내층이 파열되어 작은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과도하게 수증기가 방출되지 않고, 파열을 방지하면서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다.
국제 공개 제2012/08629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포장 주머니에서는, 파열을 방지하면서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지만, 슬릿의 형성 및 재용착에 관한 가공이 복잡하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번잡해져,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재용착 후의 밀봉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포장 용기에 적용함으로써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파열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도 용이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파열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도 용이한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은, 열융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상기 내층에 적층된 외층과, 적어도 상기 외층의 일부가 제거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내층의 일부가 존재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선 형상이며, 2.0기가파스칼 이하의 영률을 갖는 취약 가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은, 선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열융착 가능한 내층과, 상기 내층에 적층된 외층과, 적어도 상기 외층의 일부가 제거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내층의 일부가 존재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선 형상이며, 2.8기가파스칼 미만의 영률을 갖는 취약 가공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취약 가공부 근방의 가열 환경하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0.1N/2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취약 가공부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은,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 사이에 형성된 중간층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때, 상기 중간층을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키는 잉크층으로 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취약 가공부 및 상기 취약 가공부의 주위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해도 되고, 상기 중간층을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강 라미네이트층으로 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취약 가공부의 길이 방향 양측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 제1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구비하고,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상기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에 의하면, 포장 용기에 적용함으로써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파열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에 의하면,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파열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 또는 포장 용기에 의하면, 포장 용기에 적용함으로써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뜸들이기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으로 형성된 포장 주머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취약 가공부의 영률을 측정할 때의 시험편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전자 레인지로 가열되었을 때의 취약 가공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동 적층 필름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동 적층 필름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동 적층 필름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내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동 적층 필름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내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c는 동 적층 필름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내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필름의 취약 가공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필름의 취약 가공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필름의 취약 가공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필름의 취약 가공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필름의 취약 가공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포장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에 대해,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포장 용기)(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포장 주머니(1)는, 적어도 한쪽의 면이 열융착 가능한 적층 필름(10)을 사용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1매의 적층 필름(10)의 단부(10a)와 단부(10b)를 열융착하여 대략 통 형상으로 한 후, 당해 통 형상의 관강이 연장되는 방향의 양단부(10c) 및 양단부(10d)를 열융착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에 있어서, 적층 필름을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는 수순 및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2매의 적층 필름을 대향 배치하고, 주연부를 열융착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포장 주머니가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방법이 취해져도 된다.
도 2는 도 1 중의 A-A선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10)의 단면도이다. 적층 필름(10)은, 포장 주머니(1)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층(20)과, 포장 주머니(1)의 내면을 형성하고, 열융착 가능한 내층(30)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외층(20) 및 내층(30)은 모두 수지로 형성된다.
외층(20)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내용물을 보호하는 관점에서, 비교적 강성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및 2축 연신 나일론(ONy)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층(20)에는, 인쇄 또는 증착 등의 2차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의장성을 높이거나, 각종 정보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러한 2차 가공은, 외층(20)의 표리 어느 면에 행해져도 된다.
내층(30)은, 소위 실란트층으로서 기능하므로, 내층(30)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열융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공지의 각종 범용 폴리올레핀 및 특수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EMA) 및 아이오노머(IO)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층(30)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열융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층(30)의 충격 파괴 질량은 100그램(g) 이상 800g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g 이상 700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충격 파괴 질량은, JIS K7124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자유 낙하의 다트법에 의한 충격 시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한 값으로 정의한다.
외층(20)과 내층(30)은, 도시하지 않은 접착층을 사이에 배치하여 공지의 드라이 라미네이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접합되어 있다. 외층과 내층을 적층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수지를 사이에 끼운 샌드위치 라미네이션 또는 공압출 등의 방법에 의해 외층과 내층을 적층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 주머니(1)의 외면의 일부에는, 외층(20)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취약 가공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취약 가공부(40)에 있어서, 외층(20)은 예를 들어 폭 w1이 약 150마이크로미터(㎛), 길이 l1이 40밀리미터(㎜)의 영역에서 제거되어 있고, 당해 영역에 홈(40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취약 가공부(40)는, 적층 필름(10) 중 홈(40a) 내에 위치하는, 다른 부위보다도 얇아진 부분이며, 취약 가공부(40)에서는, 외층(20)이 대략 모두 제거되어 있다.
취약 가공부(40)에서는, 외층(20)이 제거됨으로써, 단위 단면적당 응력-변형 직선의 기울기로서 나타내어지는 영률(인장 탄성률)이 적층 필름(10)의 다른 부위에 비해 낮고, 파열되기 쉽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취약 가공부(40)의 영률은, JIS K 7127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2.0기가파스칼(㎬)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특히 내층(30)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취약 가공부(40)의 영률은, JIS K 7127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2.8기가파스칼(㎬) 미만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취약 가공부(40)의 영률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취약 가공부(40)가 내층 단층의 영률을 하회한 경우에는,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취약 가공부가 파단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JIS K 7127에서는, 시험편의 크기가 정해져 있으므로, 취약 가공부만의 영률을 JIS K 7127에 따라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시험편(Sp)을 사용하여 JIS K 7127에 따라 측정한 영률을 가지고, 취약 가공부의 영률이라고 정의한다. 시험편(Sp)에서는, JIS K 7127에 정하는 크기로 잘라내어진 적층 필름(10)의 길이 방향 중앙에, 폭 방향에 걸쳐 연장되도록 취약 가공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약 가공물의 영률 산출에 사용하는 단면적은, 취약 가공부의 두께를 사용하여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영률이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취약 가공부에 있어서의 외층 제거의 정도나 가공 깊이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취약 가공부의 전면에 걸쳐 얇게 외층이 잔존함으로써 내층이 노출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외층뿐만 아니라 내층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어도 된다. 단,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전의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취약 가공부는 내층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취약 가공부의 영률이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적어도 외층의 일부가 제거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내층의 일부가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취약 가공부(40)를 형성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단부(10a) 내지 단부(10d) 등의, 적층 필름(10)을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열융착되는 부위와 다른 부위라면 어디여도 되고, 내용물의 종류 및 충전 공정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취약 가공부가 1개의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영률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취약 가공부는 예를 들어 곡선 형상, 지그재그 선 형상이어도 되고, 또한 2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취약 가공부가 연속선인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상술한 영률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파선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취약 가공부(4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레이저 가공이 적합하다.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면, 레이저 헤드의 출력과 주사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취약 가공부의 형상 및 가공 깊이를 비교적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단, 형성 수단은 레이저 가공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임의의 위치에 취약 가공부(40)를 형성한 적층 필름(10)을, 개방 단부를 남겨 대략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개방 단부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개방 단부를 열융착함으로써, 내용물이 충전된 포장 주머니(1)가 완성된다. 내용물이 충전된 본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를 전자 레인지에 넣어 가열하면, 내용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수증기로 되어 팽창하고, 포장 주머니(1)의 내압이 상승한다.
내압의 상승에 의해, 취약 가공부에 파열 틈이 발생하여, 적층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 취약 가공부(40)의 영률을 상술한 소정의 값 미만으로 설정하면,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포장 주머니(1)의 내압이 상승하였을 때에 취약 가공부(40)가 전체에 걸쳐 파열되지 않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이격한 복수의 작은 구멍(41)이 형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기본적으로, 취약 가공부(40)는 그 길이 방향으로는 변형되기 쉽지만,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외층(20)과 접합된 부위와 근접하고 있어 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취약 가공부(40)에 있어서, 서로 이격한 몇 개의 점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에 의한다고 생각된다. 형성된 작은 구멍(41)을 연결하도록 파열 틈이 넓어지지 않는 것은, 작은 구멍(41)으로부터 수증기가 방출되어 내압이 저하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발명자들은, 취약 가공부(40)를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하면, 작은 구멍(41)이 취약 가공부(40)의 길이 방향에 걸쳐 비교적 짧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도 발견하였다. 이것은, 레이저광의 출력의 주기적 변동에 의해, 취약 가공부를 형성할 때에 생기는 홈에 깊은 부분과 얕은 부분이 반복해서 형성되고, 홈이 깊은 부분, 즉, 취약 가공부에 있어서 보다 얇은 부분이 빨리 파열되어 작은 구멍이 형성되는 것에 의한다고 추측된다.
또한, 내층(30)을 LLDPE로 형성하는 경우, LLDPE는, 유연성이 풍부하여 신장되기 쉽고, 충격 강도도 높으므로, 작은 구멍(41)이 형성된 후에도 적층 필름에 작용하는 내압에 잘 견디고, 작은 구멍끼리가 연통되어 파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취약 가공부(40)에 복수의 작은 구멍(41)이 형성되므로, 포장 주머니(1)의 내부에 발생한 수증기는, 단번에 포장 주머니(1)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내압의 상승에 따라 수시 파열을 방지하는 정도로 계속하여 방출된다. 이에 의해,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도 파열 등을 일으키지 않고, 또한 포장 주머니(1) 내에 잔류하는 수증기에 의한 뜸들이기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10)을 구비한 포장 주머니(1)에 의하면,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40)에 복수의 작은 구멍(41)이 형성되므로, 내압 상승에 의한 파열 등을 적절하게 방지하면서, 수증기의 일부를 포장 주머니 내에 저류하여 뜸들이기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취약 가공부(40)를 설치하는 경우, 내층을 슬릿으로 절단하고 나서 재융착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 없다. 그로 인해, 적층 필름(10)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주머니(1)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취약 가공부(40)는, 내층(30)끼리 열융착되는 단부를 제외하고 적층 필름 상의 어느 부위에도 형성할 수 있어, 포장 주머니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내용물의 종류 등에 따라 취약 가공부의 형성 위치가 다른 복수 종류의 포장 주머니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예를 들어 레이저의 조사 위치를 변경하는 등에 의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층 및 내층은 반드시 단층이 아니어도 된다. 도 5a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적층 필름(10A)에서는, 외층(20A)이,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제1층(21)과, 제1 수지와는 다른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제2층(22)을 갖고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적층 필름(10B)에서는, 외층(20A)과 접합되는 내층(30A)이, 제3 수지로 형성되는 상층(31)과, 제3 수지와 다른 제4 수지로 형성되는 하층(32)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내층(30A)으로서 LLDPE를 사용하는 경우, 내층(30A)이, LLDPE로 이루어지는 상층(31)과, 상층(31)과는 다른 물성의 LLDPE로 이루어지는 하층(32)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와 같은 구성에서는, 샌드위치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제3 수지로 외층(20A)과 하층(32)을 접합함으로써, 접착층을 사용하지 않고 적층 필름(10B)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취약 가공부가 형성 가능하면 층의 수 및 구성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내층이 2층이며 외층이 1층이어도 되고, 각각 3층 이상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취약 가공부 근방의 가열 환경하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0.1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환경하에서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0.1N/25㎜ 이상인 경우, 전자 레인지 가열 시, 포재의 내용적이 팽창할 때라도, 취약 가공부 이외의 영역에서 외층과 내층이 접착되어 있음으로써, 용적 팽창에 의한 응력이 취약 가공 영역의 내층에 한정되어 가해지고, 상기 영역의 내층이 효율적으로 신장되어 국소적인 파단이 일어나므로, 취약 가공 영역에 한정하여 증기 배출 구멍을 출현시킬 수 있다.
한편, 가열 환경하에서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0.1N/25㎜를 하회하는 경우, 전자 레인지 가열 시, 포재의 내용적이 팽창할 때, 내층이 신장되려고 하는 응력에 의해 외층과 내층의 층간이 박리되게 된다. 따라서, 내층이 단층으로 끝없이 신장되게 된다. 또한 내용적이 과잉으로 팽창하면, 내층의 강도가 저하됨으로써 불특정 개소로부터 주머니가 파열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에 대해, 도 6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1)과 제1 실시 형태의 포장 주머니(1)를 형성하는 적층 필름(10)의 다른 점은, 외층과 내층 사이에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취약 가공부(40)의 영률은, JIS K 7127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2.0기가파스칼(㎬)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특히 내층(30)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취약 가공부(40)의 영률은, JIS K 7127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2.8기가파스칼(㎬) 미만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취약 가공부 근방의 가열 환경하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0.1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1)의 부분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필름(51)에 있어서는, 외층(20)과 내층(30) 사이에, 잉크층(중간층)(52)이 형성되어 있다.
잉크층(52)은, 포장 용기의 의장성을 높이거나, 상품에 관한 각종 표시 등의 기능을 포함하기 위해 형성되고, 공지의 각종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잉크층(52)이 개재함으로써, 외층(20)과 내층(30)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저하되지만, 취약 가공부(40) 및 그 주변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면, 가열 시에 작은 구멍이 잘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 및 그 주위에 잉크층(52)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취약 가공부(40)의 주위에 있어서 잉크층(52)을 형성하지 않는 범위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취약 가공부(40)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 양측에 5㎜씩, 폭 방향 양측에 2.5㎜씩 이격된 위치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재질의 상성 등에 의해,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중간층을 형성함으로써,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켜도 된다. 도 7a 내지 도 7c에는,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모두 변형예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외층을 제외하고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내층(55) 중, 외층과 접합되는 면에는, 미디움을 도포함으로써 강 라미네이트층(5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강 라미네이트층(56)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다른 부위보다도 향상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40)(취약 가공부는 오로지 외층에 형성되므로, 파선으로 나타냄)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강 라미네이트층(56)을 형성하면, 강 라미네이트층(56)에 의해 취약 가공부(40)에 가해지는 응력의 작용이 불균일해지고, 취약 가공부(40)의 연장선과 강 라미네이트층(56)이 교차하는 부위 P에 작은 구멍(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강 라미네이트층(중간층)(56)은, 적어도 취약 가공부(40)의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되면 되고,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40)의 주위 전체에 형성되어도 되고,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의 길이 방향 양측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강 라미네이트층이 적층 필름의 전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51)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적층 필름(10)과 마찬가지로, 포장 용기에 적용함으로써,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시에, 내압 상승에 의한 파열 등을 적절하게 방지하면서, 뜸들이기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층과 내층 사이에 중간층을 갖기 때문에, 취약 가공부 및 그 주위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외층 및 내층으로서 보다 다종의 재료를 사용해도,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에 적절하게 작은 구멍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층을 잉크층으로 하면, 적층 필름으로 형성한 포장 주머니에 의장성을 부여하거나, 제품 정보 등을 표시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통해서 더 설명한다.
(실시예 1 그룹)
실시예 1 그룹은, 외층 및 내층이 각각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LLDPE 필름(영률 0.15㎬:JIS K 7127에 따라 측정, 이하 마찬가지.)을 사용하였다. 외층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형성하여 실시예 1-1의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JIS K 6854에 따라 측정)는 8N/25㎜였다.
이것을 상술한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포장 주머니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단부(10a)와 단부(10b)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면을 저면, 그 반대측을 천장면, 저면과 천장면 사이의 면을 측면으로 하였다. 실시예 1-1의 포장 주머니는, 취약 가공부가 천장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실시예 1-2)
적층 필름으로서, 실시예 1-1과 동일한 적층 필름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의 포장 주머니는, 취약 가공부가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실시예 1-3)
적층 필름으로서, 실시예 1-1과 동일한 적층 필름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의 포장 주머니는, 취약 가공부가 저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실시예 1-4)
외층 및 내층의 재질은, 실시예 1-1의 재질과 동일하다. 취약 가공부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파선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파선은, 1㎜의 길이의 홈을 0.1㎜의 간격을 두고 30회 반복하여 형성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실시예 1-4의 포장 주머니는, 취약 가공부가 천장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실시예 1-5)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영률 0.15㎬)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7㎬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1-6)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LLDPE 필름(영률 0.12㎬)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1-7)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LLDPE 필름(영률 0.05㎬)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0㎬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1-8)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EVA 필름(영률 0.16㎬)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7㎬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1-9)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LDPE 필름(영률 0.3㎬)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0㎬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비교예 1-A)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CPP 필름(영률 0.7㎬)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2㎬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비교예 1-B)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CPP 필름(영률 0.8㎬)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5㎬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상술한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하기 수순에 의해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을 행하였다.
포장 주머니 형성 시에, 50cc의 물을 포함한 상태에서 냉동시킨 천을 내용물로서 포장 주머니 내에 배치하고 나서 포장 주머니의 단부를 폐쇄하여 밀폐하였다. 내용물이 포함된 포장 주머니를 전자 레인지에 의해 출력 600와트로 2분간 가열하고, 파열의 유무 및 뜸들이기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파열은, 포장 주머니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 이외의 부위가 파열되거나, 또는, 취약 가공부가 파열되지만, 취약 가공부 이외의 부위까지 파열 틈이 연장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한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뜸들이기에 대해서는, 가열 중, 취약 가공부 내에 ㎜ 단위 또는 1㎜ 이하의 증기 구멍이 형성되어 팽창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 것을 양호, 취약 가공부 내에 ㎝ 단위의 증기 구멍이 형성되고, 팽창 상태가 어느 정도 유지된 것을 가능, 취약 가공부 이외가 파열되거나 또는 취약 가공부가 파열되지만, 취약 가공부 이외의 부위까지 파열 틈이 연장되고, 팽창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것을 나쁨으로 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8, 및 비교예 1-A 내지 1-C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의 영률을 2.0㎬ 이하로 한 실시예 1-1 내지 1-8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9에서도, 취약 가공부 전체에 걸쳐 큰 파열 틈이 형성되었으므로, 파열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A 및 1-B에서는, 각각 취약 가공부 및 열융착한 적층 필름의 단부로부터 파열을 일으켰다.
(실시예 2 그룹)
실시예 2 그룹은, 외층 및 내층 중 적어도 한쪽이 복수층으로 구성된 실시예이다.
(실시예 2-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 및 두께 15㎛의 ONy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영률 0.15㎬)을 사용하였다.
PET 필름과 ONy 필름, 및 외층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형성하여 실시예 2-1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1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2-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2)
외층의 구성은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고,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을 준비하였다.
외층의 필름끼리를 드라이 라미네이션으로 접합 후, LDPE를 샌드층으로 한 샌드위치 라미네이션을 행하여 외층과 내층을 접합하였다. 이에 의해, 내층이 LDPE(두께 13㎛) 및 LLDPE의 2층 구성으로 된 실시예 2-2의 적층 필름(내층의 영률 0.15㎬)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2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2-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A)
취약 가공부의 깊이를, PET 필름만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비교예 2-A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A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3.5㎬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비교예 2-A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비교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B)
취약 가공부의 깊이를, ONy 필름의 두께 방향 중간부까지 도달하는 깊이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비교예 2-B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B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3.1㎬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비교예 2-B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비교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1 내지 2-2 및 비교예 2-A 및 2-B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실시예 1 그룹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행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의 영률을 2.0㎬ 이하로 한 실시예 2-1 및 2-2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에서는, 모두 열융착한 적층 필름의 단부로부터 파열을 일으켰다.
(실시예 3 그룹)
실시예 3 그룹은,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키는 잉크층을 중간층으로서 구비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3-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LLDPE 필름(영률 0.15㎬)을 사용하였다. 백색 잉크를 사용한 인쇄에 의해 PET 필름의 한쪽의 면에, 50㎜×5㎜의 직사각형 영역을 제외하고 잉크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외층 중 잉크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였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평면에서 볼 때 잉크층을 형성하지 않은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실시예 3-1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1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3-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2)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영률 0.15㎬)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3-3)
취약 가공부의 형상을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8N/25㎜였다.
(실시예 3-4)
잉크층을 PET 필름의 한쪽의 면 전체에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3-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1.8N/25㎜였다.
실시예 3-1 내지 3-4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실시예 1 그룹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행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의 영률을 2.0㎬ 이하로 하고, 또한 취약 가공부의 주위에 잉크층을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 3-1 내지 3-3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3-4에서도, 파열을 억제하면서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지만, 취약 가공부에 형성된 작은 구멍의 수가 다른 실시예보다도 적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로부터 분출되는 현상이 보여졌다. 따라서, 잉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취약 가공부의 주위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4 그룹)
실시예 4 그룹은, 라미네이트 강도를 증가시키는 강 라미네이트층을 중간층으로서 구비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4-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영률 0.16㎬)을 사용하였다. 또한, 외층의 일면 상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를 형성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10㎜×5㎜의 미디움 코트층(강 라미네이트층)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외층 중 미디움 코트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였다. 또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평면에서 볼 때 2개의 미디움 코트층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실시예 4-1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1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미디움 코트층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5N/25㎜였다.
실시예 4-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2)
미디움 코트층을, 50㎜×5㎜의 미형성 영역을 제외한 PET 필름(외층)의 전면에 형성하고, 취약 가공부를 평면에서 볼 때 미형성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미디움 코트층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5N/25㎜였다.
(실시예 4-3)
PET 필름의 폭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폭 50㎜로 형성되는 미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미디움 코트층을 PET 필름의 전면에 형성하고, 취약 가공부를 평면에서 볼 때 미형성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미디움 코트층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5N/25㎜였다.
(실시예 4-4)
취약 가공부의 형상을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미디움 코트층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5N/25㎜였다.
(실시예 4-5)
미디움 코트층을 형성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며,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2N/25㎜였다.
실시예 4-1 내지 4-5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실시예 1 그룹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행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의 영률을 2.0㎬ 이하로 하고, 또한 취약 가공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미디움 코트층을 형성한 실시예 4-1 내지 4-4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의 연장선과 미디움 코트층의 교점(2개소)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또한, 미디움 코트층을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 4-5에서는, 취약 가공부 전체에 걸쳐 큰 파열 틈이 형성되고, 파열을 억제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그룹)
실시예 5 그룹은, 외층 및 내층이 각각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5-1 내지 5-3은,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30㎛ 또는 40㎛의 LLDPE를 사용하였다. 외층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형성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내지 5-6은, 외층으로서 두께 16㎛의 PET를, 내층으로서 두께 30㎛ 또는 40㎛의 LLDPE를 사용하였다. 그 후는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접합을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5-1 내지 5-6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각각 1.8∼2.0㎬의 범위였다.
실시예 5-7은,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사용하고, 내층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두께 40㎛)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5-7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0㎬이었다.
비교예 5-A 내지 5-B는,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사용하고, 내층에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두께 40㎛)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A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2㎬, 비교예 5-B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5㎬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을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포장 주머니를 형성하였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하기 수순에 의해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을 행하였다.
포장 주머니 형성 시에, 50cc의 물을 포함한 상태에서 냉동시킨 천을 내용물로서 포장 주머니 내에 배치하고 나서 포장 주머니의 단부를 폐쇄하여 밀폐하였다. 내용물이 포함된 포장 주머니를 전자 레인지에 의해 출력 600와트로 2분간 가열하고, 파열의 유무 및 뜸들이기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5-1 내지 5-7, 및 비교예 5-A 내지 5-B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5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에서는, 내층에 LLDPE를 사용한 실시예 5-1 내지 실시예 5-6에서는 내층이 신장되기 쉽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한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적절하게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또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이 2.0㎬인 LDPE를 사용한 실시예 7에서는, 취약 가공부 전체가 크게 개구되어 파열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에서는, 내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LLDPE가 아니고, 신장률이 낮으므로, 취약 가공부의 연장선 상 혹은 열융착한 적층 필름의 단부에서 파열을 일으켰다.
(실시예 6 그룹)
실시예 6 그룹은, 외층 및 내층 중 적어도 한쪽이 복수층으로 구성된 실시예이다.
(실시예 6-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 및 두께 15㎛의 ONy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을 사용하였다. PET 필름과 ONy 필름, 및 외층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형성하여 실시예 6-1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6-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5-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2)
외층 및 내층의 구성은 실시예 6-1과 동일하게 하였다.
외층의 필름끼리를 드라이 라미네이션으로 접합 후, LDPE를 샌드층으로 한 샌드위치 라미네이션을 행하여 외층과 내층을 접합하였다. 이에 의해, LDPE로 이루어지는 접착층(두께 13㎛)을 통해 외층과 내층이 접합된 실시예 6-2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6-2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5-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6-1 및 6-2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실시예 6-1 및 6-2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실시예 5 그룹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행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6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6-1 및 6-2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그룹)
실시예 7 그룹은,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키는 잉크층을 중간층으로서 구비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7-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을 사용하였다. 백색 잉크를 사용한 인쇄에 의해 PET 필름의 한쪽의 면에 잉크층을 형성하였지만, 직선 형상의 취약 가공부(치수 및 형성 방법은 실시예 5-1과 마찬가지)의 사방에 폭 2.5㎜로 넓어지는 대략 띠 형상 영역에는 잉크층을 형성하지 않았다. 외층 중 잉크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취약 가공부를 형성하여 실시예 7-1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7-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5-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2)
실시예 7-2는, 두께 30㎛의 LLDPE 필름을 사용한 점, 및 취약 가공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실시예 7-1과 다르다. 취약 가공부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파선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파선의 형상은, 1㎜의 길이의 홈을 0.1㎜의 간격을 두고 30회 반복한 것으로 하였다.
(실시예 7-3 내지 7-7)
실시예 7-3 내지 7-7은, 취약 가공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만 실시예 7-1과 다르다. 도 8a 내지 도 8e에, 실시예 7-3 내지 7-7에 있어서의 취약 가공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각각 도시한다.
(실시예 7-8)
잉크층을 PET 필름의 한쪽의 면 전체에 형성한(즉, 잉크층을 형성하지 않는 영역이 없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7-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실시예 7-8의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7-1 내지 7-8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실시예 7-1 내지 7-8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실시예 5 그룹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행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의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7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의 주위에 잉크층을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 7-1 내지 7-3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7-2 내지 7-7에서는, 취약 가공부를, 단순한 직선 형상이 아닌 특징적인 형상으로 함으로써, 포장 주머니의 제조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고 형성된 흠집 또는 핀 홀 등과의 구별이 하기 쉬워졌다. 또한, 실시예 7-6에 있어서는, 시험편을 도 8d의 점선으로 나타내어지는 형상으로 되도록 제작하였지만, 취약 가공부의 교차부가 시험편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면,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한편, 실시예 7-8에서도, 파열을 억제하면서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지만, 취약 가공부에 형성된 작은 구멍의 수가 다른 실시예보다도 적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로부터 분출되는 현상이 보여졌다. 따라서, 잉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취약 가공부의 주위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8 그룹)
실시예 8 그룹은, 라미네이트 강도를 증가시키는 강 라미네이트층을 중간층으로서 구비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8-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외층의 일면 상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를 형성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10㎜×5㎜의 미디움 코트층(강 라미네이트층)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외층 중 미디움 코트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였다. 또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평면에서 볼 때 2개의 미디움 코트층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실시예 8-1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8-1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미디움 코트층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5N/25㎜였다.
실시예 8-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5-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2)
미디움 코트층을, 50㎜×5㎜의 미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PET 필름의 전면에 형성하고, 취약 가공부를 평면에서 볼 때 미형성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8-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미디움 코트층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5N/25㎜였다.
(실시예 8-3)
PET 필름의 폭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폭 50㎜로 형성되는 미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미디움 코트층을 PET 필름의 전면에 형성하고, 취약 가공부를 평면에서 볼 때 미형성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8-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미디움 코트층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5N/25㎜였다.
(실시예 8-4)
취약 가공부의 형상을 실시예 7-2와 동일하게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8-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미디움 코트층에 있어서의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5N/25㎜였다.
또한, 실시예 8-1 내지 8-4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실시예 8-1 내지 8-4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실시예 5 그룹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행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의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8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약 가공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미디움 코트층을 형성한 실시예 8-1 내지 8-4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의 연장선과 미디움 코트층의 교점(2개소)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그룹)
실시예 9 그룹은,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키는 잉크층을 중간층으로서 구비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9-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영률 0.15㎬)을 사용하였다. 잉크를 사용한 인쇄에 의해 PET 필름의 한쪽의 면에, 50㎜×5㎜의 직사각형 영역을 제외하고 잉크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외층 중 잉크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였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평면에서 볼 때 잉크층을 형성하지 않은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실시예 9-1의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9-1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실시예 9-1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고, 본 실시예의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2)
내층으로서 영률 0.27㎬의 LLDPE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8㎬이었다.
(실시예 9-3)
외층으로서, 두께 16㎛의 PET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0㎬이었다.
(실시예 9-4)
외층으로서, 두께 25㎛의 PET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6㎬이었다.
(실시예 9-5)
실시예 9-5에서는,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LLDPE 필름을 사용한 점, 및 외층의 인쇄면에 LDPE로 이루어지는 앵커 코트(AC)제를 도공하고, 압출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외층과 내층을 접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외층과 내층 사이에 형성된 LDPE의 두께는 20㎛이며,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비교예 9-A)
외층으로서 두께 25㎛의 PET 필름을 사용한 점, 및 내층으로서 영률 0.45㎬의 LLDPE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8㎬이었다.
실시예 9-1 내지 9-5 및 비교예 9-A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실시예 5 그룹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행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의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09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LDPE 필름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을 2.8 미만으로 한 실시예 9-1 내지 9-5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9-A에서는, 취약 가공부의 영률이 2.8 이상이므로, 시일부가 파열을 일으켰다.
(실시예 10 그룹)
실시예 10 그룹은, 다양한 층 구성을 구비한 적층 필름에 관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10-1)
외층으로서, 두께 12㎛의 PET 필름을,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LDPE 필름(영률 0.15㎬)을 사용하였다. 외층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하고, 레이저 조사에 의해, 폭 150㎛, 길이 40㎜로 외층을 대략 관통하는 깊이의 취약 가공부를 형성하여 실시예 10-1의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1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3N/25㎜였다.
(실시예 10-2)
잉크를 사용한 인쇄에 의해 PET 필름의 한쪽의 면에, 50㎜×5㎜의 직사각형 영역을 제외하고 잉크층을 형성한 후, 외층 중 잉크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2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1.2N/25㎜였다.
(실시예 10-3)
외층의 인쇄면에 LDPE로 이루어지는 앵커 코트(AC)제를 도공하고, 압출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외층과 내층을 접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3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2N/25㎜였다.
(실시예 10-4)
내층으로서, 두께 30㎛의 LLDPE 필름을 사용한 점, 및 HS 니스를 사용한 인쇄에 의해 PET 필름의 한쪽의 면의 전면에 히트 시일(HS) 니스를 형성한 후, 외층 중 잉크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4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1.6㎬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0.05N/25㎜였다.
(실시예 10-5)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LDPE 필름(영률 0.3㎬)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5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0㎬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3N/25㎜였다.
(비교예 10-A)
내층으로서, 두께 40㎛의 CPP 필름(영률 0.7㎬)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0-A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5㎬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3N/25㎜였다.
(실시예 10-6)
외층으로서, 두께 16㎛의 PET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6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2㎬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3N/25㎜였다.
(실시예 10-7)
외층으로서, 두께 16㎛의 PET 필름을 사용한 점, 및 HS 니스를 사용한 인쇄에 의해 PET 필름의 한쪽의 면의 전면에 HS 니스를 형성한 후, 외층 중 잉크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7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2㎬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0.05N/25㎜였다.
(실시예 10-8)
외층으로서 두께 25㎛의 PET 필름을 사용한 점, 및 내층으로서 영률 0.27㎬의 CPP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8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6㎬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3N/25㎜였다.
(실시예 10-9)
외층으로서 두께 25㎛의 PET 필름을 사용한 점, 내층으로서 영률 0.27㎬의 CPP 필름을 사용한 점, 및 HS 니스를 사용한 인쇄에 의해 PET 필름의 한쪽의 면의 전면에 HS 니스를 형성한 후, 외층 중 HS 니스층을 형성한 면과 내층을 지방족 에스테르계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접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9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6㎬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0.05N/25㎜였다.
(비교예 10-B)
외층으로서, 두께 25㎛의 PET 필름을 사용한 점, 및 내층으로서 영률 0.45㎬의 CPP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적층 필름 및 포장 주머니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0-B 적층 필름에 있어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은, 2.8㎬이었다. 또한, 적층 필름을 80℃ 환경하에 2분간 정치시킨 후, 80℃ 환경하 중에서 측정한 외층과 내층의 라미네이트 강도는 3N/25㎜였다.
실시예 10-1 내지 10-9 및 비교예 10-A 내지 10-B의 포장 주머니에 대해, 실시예 5 그룹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행한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 실험의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06586682-pat00010
표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LDPE 필름의 취약 가공부의 영률을 2.8 미만이며, 또한 라미네이트 강도를 0.1N/25㎜ 이상으로 한 실시예 10-1, 10-2, 10-3, 10-6 및 10-8에서는, 가열 시에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파열을 일으키지 않고 증기가 포장 주머니 밖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포장 주머니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뜸들이기를 행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0-4, 10-5, 10-7 및 10-9에서는, 취약 가공부 전체가 크게 개구되어 파열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0-A에서는, 내층으로서 LLDPE 필름이 사용되어 있지 않고, 또한 취약 가공부의 영률이 2.0보다 컸으므로, 취약 가공부가 찢어져, 파열을 일으켰다. 또한, 비교예 10-B에서는, 취약 가공부의 영률이 2.8 이상이므로, 시일부가 파열을 일으켰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에 다양한 변경을 가하거나, 삭제하거나, 각 실시 형태의 구성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포장 주머니 이외의 포장 용기에도 이용 가능하다. 도 9에는, 적층 필름(10)이, 종이 등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100)에 덮개재로서 장착된 포장 용기(101)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포장 용기(101)를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면, 취약 가공부(40)로부터 적절하게 증기를 방출하여 파열 등을 방지하면서, 뜸들이기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소위 롤 투 롤 방식에 의해, 취약 가공부를 형성 후에 권취하여 원단의 형태로 하면서 제조되어도 된다. 이때, 취약 가공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권취 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해도 되지만, 권취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되도록 형성하면, 취약 가공부가 권취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적층 필름을 권취한 원단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절하게 보존 및 수송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취약 가공부의 형태는, 상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리 다이커터 등의 날붙이 가공을 이용한 소위 하프컷 가공 등에 의해, 외층을 제거하지 않고 취약 가공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형상도,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굴곡 또는 만곡 부분을 갖거나, 복수의 선분이 접속된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1 : 포장 주머니(포장 용기)
10, 51 : 적층 필름
20, 20A : 외층
30, 30A, 55 : 내층
40 : 취약 가공부
52 : 잉크층(중간층)
56 : 강 라미네이트층(중간층)
101 : 포장 용기

Claims (7)

  1. 열융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상기 내층에 적층된 외층과,
    적어도 상기 외층의 일부가 제거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내층의 일부가 존재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선 형상이며, 2.0기가파스칼 이하의 영률을 갖는 취약 가공부와,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과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과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저하시키는 잉크층이며,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취약 가공부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적층 필름.
  2. 열융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상기 내층에 적층된 외층과,
    적어도 상기 외층의 일부가 제거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내층의 일부가 존재하고,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선 형상이며, 2.0기가파스칼 이하의 영률을 갖는 취약 가공부와,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과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과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강 라미네이트층이며,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취약 가공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있어서, 상기 취약 가공부의 연장선 상에 있으며, 또한 상기 취약 가공부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적층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 가공부 근방의 가열 환경하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0.1N/25㎜ 이상인, 적층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선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인, 적층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 가공부는, 깊은 부분과 얕은 부분이 반복하여 형성된 홈을 갖는, 적층 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취약 가공부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상기 취약 가공부를 그 주위 전체에 걸쳐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적층 필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층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구비하고, 전자 레인지에 의한 가열시에, 상기 취약 가공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는, 포장 용기.
KR1020177031210A 2012-10-15 2013-10-15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KR101897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8075 2012-10-15
JP2012228075 2012-10-15
PCT/JP2013/077945 WO2014061651A1 (ja) 2012-10-15 2013-10-15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容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998A Division KR20150053970A (ko) 2012-10-15 2013-10-15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18A KR20170123718A (ko) 2017-11-08
KR101897428B1 true KR101897428B1 (ko) 2018-09-10

Family

ID=504882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998A KR20150053970A (ko) 2012-10-15 2013-10-15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KR1020177031210A KR101897428B1 (ko) 2012-10-15 2013-10-15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998A KR20150053970A (ko) 2012-10-15 2013-10-15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538376B2 (ko)
JP (1) JP6365302B2 (ko)
KR (2) KR20150053970A (ko)
CN (2) CN104736331B (ko)
HK (2) HK1210110A1 (ko)
MY (1) MY183184A (ko)
PH (1) PH12015500641B1 (ko)
TW (1) TWI628120B (ko)
WO (1) WO2014061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3923A (ja) * 2008-06-10 2011-08-25 プライアント エルエルシー レーザーで切り込みを入れた排気システムを備える密封式包装体
JP2016043948A (ja) * 2014-08-21 2016-04-04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JP2016043947A (ja) * 2014-08-21 2016-04-04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JP2016068981A (ja) * 2014-09-29 2016-05-09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
JP2016068982A (ja) * 2014-09-29 2016-05-09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及び包装容器
JP6503676B2 (ja) * 2014-09-30 2019-04-24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容器
WO2017010088A1 (ja) * 2015-07-13 2017-01-19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JP2017024767A (ja) * 2015-07-24 2017-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JP2017056978A (ja) * 2015-09-17 2017-03-23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及び包装体
JP6724365B2 (ja) * 2016-01-05 2020-07-15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19018906A (ja) * 2017-07-21 2019-02-07 北村化学産業株式会社 蓋体、及び、同製造方法
JP7032092B2 (ja) * 2017-09-29 2022-03-08 大和製罐株式会社 包装体及びフィルム
JP2019077470A (ja) * 2017-10-25 2019-05-23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および包装容器
JP2019136930A (ja) * 2018-02-09 2019-08-22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包装袋および包装容器
JP7305929B2 (ja) * 2018-07-10 2023-07-11 東洋製罐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立体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7172274B2 (ja) * 2018-08-13 2022-11-16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容器
CN109181075A (zh) * 2018-09-18 2019-01-11 福建凯达集团有限公司 食品包装膜及其制备方法、用其制得的微波炉用包装袋
JP2020192997A (ja) * 2019-05-28 2020-12-03 凸版印刷株式会社 蓋、パッケージ、および、包装体
KR102307562B1 (ko) * 2019-12-03 2021-10-05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1148A (ja) * 1999-07-16 2001-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容器
JP2004115056A (ja) * 2002-09-26 2004-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4115053A (ja) 2002-09-26 2004-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5008260A (ja) 2003-06-20 2005-0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6327590A (ja) 2005-05-23 2006-12-07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性電子レンジ用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091B2 (ja) * 1997-07-17 2008-08-20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内圧開放可能な包装材
JP3942709B2 (ja) * 1997-11-10 2007-07-11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自動調圧機能を有する包装用袋の製造法
JP2001301844A (ja) * 2000-04-24 2001-10-3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対応小袋
US6596355B1 (en) 2000-04-06 2003-07-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Sealable package for heating in a microwave oven
US7527843B2 (en) * 2004-04-28 2009-05-05 L'oreal Support provided with two series of labels
JP2005350102A (ja) * 2004-06-10 2005-12-22 Hosokawa Yoko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CN101378976B (zh) * 2006-02-08 2010-09-01 通用磨坊销售公司 蒸蔬菜的盒
CN200948937Y (zh) * 2006-04-12 2007-09-19 东莞市新雅包装有限公司 微波加热食品袋
JP2011523923A (ja) * 2008-06-10 2011-08-25 プライアント エルエルシー レーザーで切り込みを入れた排気システムを備える密封式包装体
WO2012086295A1 (ja) 2010-12-24 2012-06-28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の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1148A (ja) * 1999-07-16 2001-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容器
JP2004115056A (ja) * 2002-09-26 2004-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4115053A (ja) 2002-09-26 2004-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5008260A (ja) 2003-06-20 2005-0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6327590A (ja) 2005-05-23 2006-12-07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性電子レンジ用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5500641A1 (en) 2015-05-11
US20150210463A1 (en) 2015-07-30
KR20150053970A (ko) 2015-05-19
JPWO2014061651A1 (ja) 2016-09-05
JP6365302B2 (ja) 2018-08-01
PH12015500641B1 (en) 2015-05-11
US10392179B2 (en) 2019-08-27
TWI628120B (zh) 2018-07-01
HK1222832A1 (zh) 2017-07-14
KR20170123718A (ko) 2017-11-08
HK1210110A1 (en) 2016-04-15
CN105800117A (zh) 2016-07-27
MY183184A (en) 2021-02-18
TW201422499A (zh) 2014-06-16
CN104736331A (zh) 2015-06-24
US20180002099A1 (en) 2018-01-04
US10538376B2 (en) 2020-01-21
CN105800117B (zh) 2019-02-19
WO2014061651A1 (ja) 2014-04-24
CN104736331B (zh)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428B1 (ko) 적층 필름 및 포장 용기
JP6167702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容器
JP4899915B2 (ja) ストリップ包装体
KR20130076764A (ko) 전자레인지 가열용 봉지
KR102218933B1 (ko) 전자레인지 가열용 포장 주머니
US9776782B2 (en) Overwrap with integral lidding film
CN111164024B (zh) 包装体以及薄膜
JP2016068416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容器
KR20140067842A (ko) 직선형 절취 특성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체
JP6657816B2 (ja) 包装体
KR200489112Y1 (ko) 진공 포장용 필름, 상기 필름으로 된 식품포장용기 및 상기 용기 내에 포장된 식품
JP6897020B2 (ja) 包装袋
JP7204024B2 (ja) 包装体、フィルム及び内容物入り包装体
JP2019199304A (ja) ガゼット袋および内容物収納体
JP2015189495A (ja) 包装袋
JP6895044B2 (ja) 包装体
JP5974468B2 (ja) 部分開封蓋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粉粒体収納用包装体
JP2019038593A (ja) 包装袋
JP2018012519A (ja) 易開封性包装袋
JP6900638B2 (ja) 包装体
KR20140138559A (ko) 직선형 절취 특성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체
CN117813199A (zh) 层叠膜、包装袋以及包装体
JP2020089980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容器
JP2013141999A (ja) 部分開封蓋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粉粒体収納用包装体
KR20160094771A (ko) 다층 필름 적층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