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562B1 -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562B1
KR102307562B1 KR1020190159252A KR20190159252A KR102307562B1 KR 102307562 B1 KR102307562 B1 KR 102307562B1 KR 1020190159252 A KR1020190159252 A KR 1020190159252A KR 20190159252 A KR20190159252 A KR 20190159252A KR 102307562 B1 KR102307562 B1 KR 10230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container
vapor discharge
layer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434A (ko
Inventor
김일혁
김도연
Original Assignee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5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32B2435/02Closures, end caps, stopper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가 개시된다. 증기 배출 리드는 용기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필름층 및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용기는, 용기 내부 증기압이 상승하는 경우 증기 배출 리드의 일부가 파단되어 개방되며, 증기압을 배출할 수 있다. 포장 용기는 증기 배출 리드를 구비함으로써, 가열 시 내부 증기압에 의해 터질 위험이 없으며,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식 대체 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은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식품이다. 가정식 대체 식품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일부가 조리된 상태에서 밀폐된 용기 및 파우치에 담겨서 판매된다. 사용자는 식품이 포함된 용기 및 파우치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하여, 손쉽게 식품을 조리하고, 신선한 식품을 먹을 수 있다.
한편, 밀폐된 용기에 담긴 가정식 대체 식품을 전자레인지에 조리하는 경우, 용기 내부는 수증기 등에 의해 내부 증기압이 상승한다. 이로 인해, 용기가 부풀어 오를 수 있고, 일정 기압 이상이 되면, 용기 또는 용기의 리드(lid)가 터질 수도 있다. 용기 또는 용기의 리드가 터지게 되면 밀폐되어 있던 식품이 새어 나오고, 전자레인지 내부가 더럽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밀폐된 용기의 리드 부분 일부를 미리 개봉하여 전자레인지에 조리를 한다. 하지만, 용기를 미리 개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의 개봉 부분을 잡고 개봉을 해도, 용기를 밀폐하고 있는 리드가 완전히 다 개봉되지 않고, 최외측 필름만 개봉이 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용기 개봉 정도의 차이로 인해 용기 내부 식품의 조리 품질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용기가 필요하다. 사용자가 밀폐된 용기의 리드 부분을 미리 개봉하지 않아도,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리드의 일부가 자동으로 개봉되어,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실시예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기 리드의 일부를 미리 개봉하지 않아도,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용기 리드의 일부가 파단되며 개방되는 증기 배출 리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수용 공간을 가지는 용기와 용기를 밀폐하는 증기 배출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는 용기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필름층 및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절개부는 제2필름층의 상면부터 하면까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제1필름층은 외기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증기 배출 리드는,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 사이에 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리어층은 투명 증착 필름 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PVDC(polyvinylidene chloride), PVA(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코팅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필름층에 조사된 레이저는, 제2필름층만을 관통하도록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절개부는 제2필름층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의 길이는 3 내지 10 cm일 수 있으며, 절개부의 폭은 190 내지 230 ㎛일 수 있다. 또한, 절개부는 제2필름층에 복수의 개소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선이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제1필름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 ㎛일 수 있고, 제2필름층의 두께는 15 내지 25 ㎛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증기 배출 리드의 제1필름층은, 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이지필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제1필름층은,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필름층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증기 배출 리드는 제1필름층의 상면에 다방향의 찢김이 가능한 다공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층은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 리드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고, 제1필름층, 다공성층, 배리어층, 제2필름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제2필름층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OPP(oriented 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polyolef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필름층은, 절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증착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용기 리드의 일부가 파단되며 개방되어, 용기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 리드를 구비한 용기는, 전자레인지 또는 끓는 물 속에서 가열 시 터질 위험이 없으며,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를 구비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를 구비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를 구비한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장 용기(1)는 용기(20) 및 증기 배출 리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2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진다. 용기(20)의 수용 공간에는, 가정식 대체 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정식 대체 식품이란 레토르트 식품을 말하며,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식품을 말한다.
증기 배출 리드(10)는 용기(20)를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증기 배출 리드(10)는 용기(20)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 리드(10)는 사용자가 잡고 개봉하기 쉽도록, 일 측이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형상일 수도 있다.
증기 배출 리드(10)는 다층 필름으로 구성되며,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을 포함한다.
제1필름층(101)은 용기(20)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도록, 용기(20)의 상측에 부착되는 층이다. 제1필름층(101)은 30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필름층(101)은 용기(2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지필(easy peel) 형태로 부착된다. 여기서, 이지필 형태란, 사용자가 용기(20)로부터, 용기(20)를 밀폐하고 있는 필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이 때, 제1필름층(101)은 용기(20)의 상측에 열 접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름층(101)은 용기(20)에 1.0kgf/15mm 내지 2.0kgf/15mm의 접착강도로 부착될 수 있다.
제1필름층(101)은 연신율 이상의 힘을 받으면 파단이 일어나는 연포장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필름층(101)은 이지필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름층(101)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2필름층(104)은, 제1필름층(101)에 적층되며, 증기 배출 리드(10)의 최상측에 위치하는 층이다. 제2필름층(104)은 15 내지 25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필름층(104)은 포장 용기(1)의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필름층(104)은 포장 용기(1)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필름층(104)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OPP(oriented 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polyolef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제2필름층(104)에는 포장 용기(1)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 등이 인쇄될 수도 있다. 이 때,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은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UV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
제2필름층(104)에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 등이 인쇄되는 경우, 잉크의 접착력 향상 및 부착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필름층(104)은 코로나 방전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2필름층(104)은 인쇄 내용의 보호 및 포장 용기(1)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라미네이트 코팅 처리될 수도 있다.
제2필름층(104)에는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하는 경우, 내부 증기를 배출하여 증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절개부(11)가 형성된다. 절개부(11)가 형성되는 경우, 제2필름층(104)에는, 절개부(11)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선이 표시될 수 있다. 가이드선은 포장 용기(1)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이 인쇄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인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선은 절개부(11)와 길이가 같거나, 또는 더 길게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제2필름층(104)에 형성되는 절개부(11)에 대해 상술한다. 참고적으로,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절개부(11)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1)가 직선의 형태인 경우, 절개부(11)의 길이는 3 내지 10 c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11)의 폭은 190 내지 230 ㎛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의 중앙에 위치하고, 길이가 길수록 용기(20)의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데 유리하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절개부(11)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절개부(11)는 복수의 선이 교차하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11)의 형태는 십자형(+), 별표형(*) 또는 꼭지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에 복수의 개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개부(11)가 복수의 개소인 경우, 각 개소는 상호 이격되도록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개소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의 상면부터 하면까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필름층(101)은 절개부(11)를 통해 외기와 접촉할 수 있다.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을 관통하기 위해 제2필름층(104)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필름층(101)과 절개부(11)를 포함한 제2필름층(104)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증착방식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통해 합지된다. 합지 방식은, 열 압착, 스프레이, 드라이 롤 성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합지 방식은 상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이 합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다층 필름으로 구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10)는,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 외에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를 상술한다. 참고적으로,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증기 배출 리드(10)는 다공성층(102) 또는 배리어층(10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공성층(102)은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 사이에 형성된다. 다공성층(102)은, 용기(20)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증기 배출 리드(10)의 효과적인 개봉을 위해, 다방향의 찢김이 가능한 층이다. 다공성층(102)은, 예를 들어, 다공화 처리된 PET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층(103)은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 사이에 형성된다. 이 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배출 리드(10)가 다공성층(102)도 포함하는 경우, 배리어층(103)은 다공성층(102)과 제2필름층(10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증기 배출 리드(10)는 제1필름층(101), 다공성층(102), 배리어층(103) 및 제2필름층(10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층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증착방식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통해 합지될 수 있다.
배리어층(103)은 투명 증착 필름 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PVDC(polyvinylidene chloride), PVA(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코팅된 필름으로 형성된다. 이 때, 배리어층(103)은 공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층(103)과 제2필름층(104)이 적층된 상태로, 제2필름층(104)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절개부(11)를 형성하는 경우, 레이저가 제2필름층(104)의 상면부터 하면까지만 관통하도록, 레이저의 조사 깊이를 결정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여 절개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배리어층(103)에는 절개부(11)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용기(2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배리어층(103)은 용기(20)의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 및 산소 배리어를 포함함으로써 내용물의 신선도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103)은 UV 차단 코팅제가 도포, 분사 또는 증착되거나 UV 차단 필름을 더 포함한 상태로 형성되어, 햇빛이 수용 공간 내부로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햇빛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용기(20)의 내부 증기압 상승 시 나타나는 포장 용기(1)의 형태 변형을 상술한다. 참고적으로, 도 4는 도 1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를 구비한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 4의 증기 배출 리드(10)는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로 구성되어 있지만, 증기 배출 리드(10)의 다층 필름 구조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증기 배출 리드(10)는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층(102) 및 배리어층(10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20)에 가정식 대체 식품이 들어있는 경우, 포장 용기(1)는 전자레인지에서 가열 조리되거나, 끓는 물 속에서 데워질 수 있다. 포장 용기(1)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20) 내 식품에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증기 배출 리드(10)로 밀폐된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할 수 있다.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포장 용기(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포장 용기(1)가 부풀어 오르면, 내부 증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제1필름층(101)은 절개부(11)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된다. 여기서, 절개부(11)가 형성된 부분이란, 제2필름층(104)에 형성된 절개부(11)의 위치를 말한다. 다시 말해, 제1필름층(101)이 외기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1필름층(101)은, 예를 들어,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외부 증기압보다 140% 이상인 경우 파단이 일어날 수 있다.
포장 용기(1)는 이와 같은 구조로, 내부 증기압을 조절하며, 용기(20) 내부의 식품을 효과적으로 가열 조리할 수 있다. 우선, 일정 증기압까지 용기(20) 내부의 식품은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을 이용하여, 설익지 않도록 충분히 조리될 수 있다. 이후, 포장 용기(1)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하면, 제1필름층(101)이 파단되고, 파단되는 부분을 통해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포장 용기(1)가 터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식품을 더 가열 조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장 용기(1)는 용기(20)와 증기 배출 리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증기 배출 리드(10)는 용기(20)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는 제1필름층(101) 및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절개부(11)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1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장 용기(1)는 증기 배출 리드(1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증기 배출 리드(10)의 일부를 미리 개봉하지 않아도, 포장 용기(1) 내부의 증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하는 경우, 증기 배출 리드(10)는 일부가 파단되어 개방되며, 용기(20)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 리드(10)를 구비한 포장 용기(1)는 가열 시 터질 위험이 없으며, 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포장 용기
10: 증기 배출 리드
101: 제1필름층
102: 다공성층
103: 배리어층
104: 제2필름층
11: 절개부
20: 용기

Claims (25)

  1. 용기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필름층;
    상기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다방향의 찢김이 가능하도록 다공화 처리된 PET재질로 형성되는 다공성층;
    상기 다공성층에 적층되는 배리어층; 및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되고,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배리어층, 상기 다공성층 및 상기 제1필름층을 제외하고 상기 제2필름층에만 형성되고,
    상기 배리어층은 투명 증착 필름 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PVDC(polyvinylidene chloride), PVA(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코팅된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팅된 필름 상에 UV 차단 코팅제가 도포, 분사 또는 증착되거나 UV 차단 필름을 포함한 상태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필름층의 상면부터 하면까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제1필름층이 외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에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2필름층만을 관통하도록 상기 절개부를 형성하는 증기 배출 리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필름층의 중앙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길이는 3 내지 10 cm 인 증기 배출 리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폭은 190 내지 230 ㎛ 인 증기 배출 리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필름층에 복수의 개소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복수의 선이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 ㎛ 인 증기 배출 리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의 두께는 15 내지 25 ㎛ 인 증기 배출 리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상기 용기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지필(Easy Peel) 형태로 부착되는 증기 배출 리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상기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 리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 상기 다공성층, 상기 배리어층 및 상기 제2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증기 배출 리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OPP(oriented 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polyolef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 리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은,
    상기 절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선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 리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필름층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증착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합지되는 증기 배출 리드.
  21. 수용 공간을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증기 배출 리드;
    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배출 리드는,
    상기 용기의 수용 공간을 이지필(Easy Peel) 형태로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필름층;
    상기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다방향의 찢김이 가능하도록 다공화 처리된 PET재질로 형성되는 다공성층;
    상기 다공성층에 적층되는 배리어층; 및
    상기 배리어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1필름층이 외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배리어층, 상기 다공성층 및 상기 제1필름층을 제외하고 상기 제2필름층에만 형성되고,
    상기 배리어층은 투명 증착 필름 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PVDC(polyvinylidene chloride), PVA(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코팅된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팅된 필름 상에 UV 차단 코팅제가 도포, 분사 또는 증착되거나 UV 차단 필름을 포함한 상태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필름층의 중앙에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 ㎛ 인 포장 용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의 두께는 15 내지 25 ㎛ 인 포장 용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상기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
KR1020190159252A 2019-12-03 2019-12-03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 KR10230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252A KR102307562B1 (ko) 2019-12-03 2019-12-03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252A KR102307562B1 (ko) 2019-12-03 2019-12-03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434A KR20210069434A (ko) 2021-06-11
KR102307562B1 true KR102307562B1 (ko) 2021-10-05

Family

ID=7637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252A KR102307562B1 (ko) 2019-12-03 2019-12-03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46B1 (ko) * 2022-04-15 2023-02-07 윤태훈 친환경 유니소재를 이용한 다층 플라스틱 배리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4134A (ja) * 2006-02-06 2007-08-16 Sun A Kaken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の開封方法
WO2012086295A1 (ja) * 2010-12-24 2012-06-28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1074B2 (ja) * 2002-04-25 2009-10-28 清二 加川 直線的易裂性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MY183184A (en) * 2012-10-15 2021-02-18 Toppan Printing Co Ltd Laminated film and packag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4134A (ja) * 2006-02-06 2007-08-16 Sun A Kaken Co Ltd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の開封方法
WO2012086295A1 (ja) * 2010-12-24 2012-06-28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の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434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8931A (en) Packaging sheet and containers and pouches using the sheet
EP1422163A1 (en) Food package for heating in an oven
US7582340B2 (en) Container for retort pouch food
KR20130022371A (ko) 유연한 자기-배기성 레토르트 포장용기
US4756917A (en) Packaging sheet and containers and pouches using the sheet
US9908681B2 (en) Food degassing bag
JP2018127257A (ja) 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2011173628A (ja) 電子レンジ用調理袋
JP5887745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
JPWO2018055989A1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KR102307562B1 (ko)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
JP6790471B2 (ja) 包装体
JP4501019B2 (ja) 電子レンジ対応包装材料、それを用いた包装袋及び容器
JP6662095B2 (ja) 包装袋
JP6766442B2 (ja) 蒸気抜きパウチ
JP2016068981A (ja) 蓋材
JP2012056596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17171361A (ja) 包装袋
JP6863417B2 (ja) スキンパック包装体
JP2017165480A (ja) テトラ型パウチ
JP6551591B2 (ja) 加熱用包装袋
JP6953900B2 (ja) 包装袋
JP2007204073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
JP2005350102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JP2019099257A (ja) 電子レンジ加熱用の包装袋及び包装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