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766B1 -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 - Google Patents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766B1
KR101887766B1 KR1020160136588A KR20160136588A KR101887766B1 KR 101887766 B1 KR101887766 B1 KR 101887766B1 KR 1020160136588 A KR1020160136588 A KR 1020160136588A KR 20160136588 A KR20160136588 A KR 20160136588A KR 101887766 B1 KR101887766 B1 KR 10188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solid electrolyte
electrode active
composite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887A (ko
Inventor
윤용섭
민홍석
김경수
권오민
신동욱
박찬휘
손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766B1/ko
Priority to US15/377,971 priority patent/US20180114979A1/en
Priority to CN201710131931.9A priority patent/CN107968220B/zh
Publication of KR2018004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3Mo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물질과 고체전해질 사이에 안정적인 계면을 형성하는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는 전고체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용 활물질로서, 전극 활물질 베어와;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부착되는 미립형 고체전해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ACTIVE MATERIAL COMPOSITE PARTICLES, ELECTRODE COMPOSIT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LL SOLID BATTERY}
본 발명은 활물질과 고체전해질 사이에 안정적인 계면을 형성하는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휴대전화, 노트북, 소형가전에서부터 자동차, 대용량 전력 저장장치 등까지 다양한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며 이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유기물을 함유한 액체전해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전해질은 리튬이온전도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누액이 발생하거나, 고온에서의 화재 및 폭발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러한 안전성의 문제점은 고체전해질을 적용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하다.
전극 활물질에서 고체전해질로의 리튬이온수송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고체전해질과 전극활물지간의 접촉면적이 향상될 필요가 있다. 현재 대부분의 전고체전지는 1축가압성형을 통해서 제조되고 있으며, 가압을 통해 전극활물질과 고체전해질의 접촉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고체전해질은 액체전해질에 비해서 딱딱하고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단순한 가압만으로는 접촉면적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전극 복합체를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전극 복합체는 전극 활물질(1)과 고체전해질(2a)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성형하였다. 이 경우 전극 활물질(1)과 고체전해질(2a) 간의 접촉면적이 부족하여 전지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극 복합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전해질(2b)의 입자 사이즈를 줄여서 전극 활물질(1)과 고체전해질(2b) 간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미립화된 고체전해질(2b)을 사용함으로서 전지 사용시에 전극활물질(1)의 부피가 팽창되는 경우 고체전해질(2b)이 분쇄되거나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근래에는 전극 활물질의 입자 사이즈를 줄이는 방법, 전극 활물질의 입자 사이즈를 2종류로 형성하는 방법 및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극 복합체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4-0074174 A (2014.06.17)
본 발명은 고체바인더를 이용하여 고체전해질을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부착시켜 전극 활물질과 고체전해질 사이에 안정적인 계면을 형성하는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는 전고체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용 활물질로서, 전극 활물질 베어와;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부착되는 미립형 고체전해질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입자 사이즈는 3 ~ 30㎛이고,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는 1㎛ 이하이며, 상기 고체바인더의 입자 사이즈는 10㎚ ~ 1㎛이고, 상기 고체바인더의 입자 사이즈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바인더, 전극 활물질 베어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는 상호간에 점접촉에 의해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바인더는 그물형 구조의 바인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은 리튬(Li), 인(P) 및 황(S)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은 전고체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용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극 활물질 베어, 미립형 고체전해질 및 고체바인더를 준비하는 제 1 준비과정;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을 함께 볼밀링하여 혼합하는 제 1 혼합과정;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혼합물에 고체바인더를 추가로 첨가하여 함께 볼밀링하여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상기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을 부착시켜 활물질 복합 입자를 획득하는 부착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준비과정에서 준비되는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입자 사이즈는 3 ~ 30㎛이고,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는 1㎛ 이하이며, 상기 고체바인더의 입자 사이즈는 10㎚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혼합과정에서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와 미립형 고체전해질은 중량비로 80 : 5~1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과정에서 추가되는 상기 고체바인더의 양은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와 고체바인더의 중량비로 80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혼합과정에서의 볼밀링은 200rpm 이하의 속도로 2분 이하 동안 실시하고, 상기 부착과정에서의 볼밀링은 200rpm 이하의 속도로 2분 이하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복합체는 전고체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체로서, 전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이 부착된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복합체는 도전재 및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보다 입자 사이즈가 큰 조립형 고체전해질이 더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입자 사이즈는 3 ~ 30㎛이고,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는 1㎛ 이하이며, 고체바인더의 입자 사이즈는 10㎚ ~ 1㎛이고, 상기 조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는 1 ~ 100㎛(1㎛는 제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전고체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이 부착된 활물질 복합 입자를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에 조립형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고, 가압 성형하여 전극 복합체를 획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보다 입자 사이즈가 큰 조립형 고체전해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는 제 2 준비과정과;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 조립형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는 제 2 혼합과정과;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 조립형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전극 복합체로 가압 성형하는 성형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혼합과정에서는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양과 미립형 고체전해질과 조립형 고체전해질 양의 합이 중량비로 80 : 20의 비율이 되도록 조립형 고체전해질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양과 도전재의 양이 중량비로 80: 2의 비율이 되도록 도전재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고체 전지는 양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이 부착된 양극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양극 복합체부와; 음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이 부착된 음극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복합체부와; 상기 양극 복합체부와 음극 복합체부 사이에 고체전해질이 충진되어 형성된 고체전해질부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복합체부 및 음극 복합체부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보다 입자 사이즈가 큰 조립형 고체전해질 및 도전재가 더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 복합체부 및 음극 복합체부를 형성하는 상기 양극 활물질 베어 및 음극 활물질 베어의 입자 사이즈는 3 ~ 30㎛이고,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는 1㎛ 이하이며, 상기 고체바인더의 입자 사이즈는 10㎚ ~ 1㎛이고, 상기 조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는 1 ~ 100㎛(1㎛는 제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 복합체부 및 음극 복합체부을 형성하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과 조립형 고체전해질은 상기 고체전해질부를 형성하는 고체전해질은 동종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바인더를 사용하여 미립형의 고체전해질을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전극 활물질의 부피팽창이 발생하더라도 고체전해질의 전극 활물질의 표면에서 박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밀링 공정을 통하여 미립형의 고체전해질 및 고체바인더를 전극 활물질에 점접촉시키기 때문에 미립형의 고체전해질과 전극활물질의 계면 접촉을 유지하면서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전극 복합체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활물질 복합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전고체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먼저 활물질 복합 입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10,20)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고체바인더(13)를 매개로 부착되는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포함한다.
전극 활물질 베어(11,21)는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이다. 이때 양극 활물질 베어(11)는 LCO, NCM, LFP 등이 사용되고, 음극 활물질 베어(21)는 천연흑연, 인조흑연, 카본류, Si, S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의 종류는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은 리튬(Li), 인(P) 및 황(S) 등을 포함하는 고체상태의 전해질이다.
고체바인더(13)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서, 그물형 구조의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체바인더로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 fluoroethylene; PTFE)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고체바인더(13)의 종류는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부착시킬 수 있는 고상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고체바인더(13),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은 볼밀링을 통하여 상호간에 점접촉에 의해 부착된다. 특히, 고체바인더(13)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상호간에 부착되는 것을 매개한다.
이렇게 고체바인더(130의 매개를 통한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부착 시에 계면 접촉을 유지하면서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고체바인더(13)의 입자 사이즈를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입자 사이즈는 3 ~ 30㎛이고,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입자 사이즈가 1㎛ 이하이며, 고체바인더(13)의 입자 사이즈는 10㎚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입자 사이즈 대비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고체바인더(13)의 입자 사이즈를 작게 하고, 특히 고체바인더(13)의 입자 사이즈는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입자 사이즈와 같거나 작게 하여 고체바인더(13)가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부착을 매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극 복합체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고체바인더(13)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부착된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포함하면서,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입자 사이즈보다 입자 사이즈가 큰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이 더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10,20)는 전술된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사용한다.
상기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은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12a)과 같은 재료의 고체전해질(12)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립형 고체전해질(12b)과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구분하는 기준은 입자의 사이즈이다.
예를 들어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구성하는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은 입자 사이즈가 1㎛ 이하이고,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의 입자 사이즈는 1 ~ 100㎛(1㎛는 제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구성하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입자 사이즈는 3 ~ 30㎛이고, 고체바인더(13)는 10㎚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의 혼합양은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양과 미립형 고체전해질(12a)과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양의 합이 중량비로 80 : 20의 비율이 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극 복합체에는 도전재(미도시)가 더 혼합된다. 전고체 전지에서 전극재료가 반응을 하기 위해서는 전자 및 리튬이온이 동시에 필요하다. 그런데 전극 복합체는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리튬이온의 수송은 가능하나,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이 전자전도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전재를 첨가하여 전극 복합체에서 전자를 수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전재의 양은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양과 도전재의 양이 중량비로 80: 2의 비율이 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재로는 카본 블랙, 케첸블랙 등의 나노 분말 타입 및 CNT, VGCF 등의 같은 전도성 탄소 재료와 Ni과 같은 황화물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복합체에는 활물질 복합 입자(10,20), 도전재 및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상호 간에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인더(미도시)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이때 바인더는 전술된 고체바인더(13)와 같은 재료의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바인더는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활물질 복합 입자(10,20), 도전재 및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상호 간에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바인더가 적용될 수 있다.
그래서, 전극 복합체는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10,20),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도전재 및 바인더가 혼합된 상태에서 가압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활물질 복합 입자와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준비하는 제 1 단계와(S100);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이용하여 전극 복합체를 획득하는 제 2 단계(S200)를 포함한다.
제 1 단계(S100)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고체바인더(13)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부착된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부연하자면,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준비하는 제 1 단계(S100)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고체바인더(13)를 준비하는 제 1 준비과정;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함께 볼밀링하여 혼합하는 제 1 혼합과정;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혼합물에 고체바인더(13)를 추가로 첨가하여 함께 볼밀링하여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v의 표면에 상기 고체바인더(13)를 매개로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부착시켜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획득하는 부착과정을 포함한다.
제 1 준비과정은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고체바인더(13)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이다.
전극 활물질 베어(11,21)는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로서, 양극 활물질 베어(11)와 음극 활물질 베어(21)는 각각 별도로 마련한다. 그래서 양극 활물질 복합 입자(10,20)와 음극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양극 활물질 베어(11)는 LCO, NCM, LFP 등을 사용하여 마련하고, 음극 활물질 베어(21)는 천연흑연, 인조흑연, 카본류, Si, Sn 등을 사용하여 마련한다. 그리고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입자 사이즈는 3 ~ 30㎛이 되도록 마련한다.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은 리튬(Li), 인(P) 및 황(S) 등을 포함하는 고체상태의 전해질로서, 입자 사이즈는 1㎛ 이하가 되도록 마련한다.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은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아래의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와 같은 방법으로 마련할 수 있다.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1) 2g의 상용 Li2S와 P2S5를 70 : 30의 몰비로 칭량 후, 톨루엔 10㎖ 및 3mm의 직경을 갖는 지르코니아볼 10g과 함께 20㎖ 용량의 유리병에 투입하여 밀봉한 후, 120rpm으로 24시간 동안 혼합한다.
2) 혼합된 현탁액에서 지르코니아볼을 걸러낸 후, 90㎖의 추가 용매와 함께 고온/고압 반응기에 투입한다.
3) 반응기의 온도를 140℃까지 상승시켜 온도를 24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 때 분말의 침전을 막고 균일한 분산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현탁액을 지속적으로 교반시킨다.
4) 반응이 종료된 이후, 합성된 분말을 걸러내어 용매의 끓는점보다 10℃ 높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한다.
5) 건조된 분말을 300℃에서 3시간 동안 결정화하여 황화물계 결정화 유리를 제조한다.
6) 상기 공정을 통해 제조된 1㎛ 이하의 크기를 갖는 미립형 고체전해질을 획득한다.
한편, 고체바인더(13)로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 fluoroethylene; PTFE)을 10㎚ ~ 1㎛의 입자 사이즈가 되도록 마련한다.
제 1 혼합과정은 준비된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함께 볼밀링하여 혼합하는 과정이다. 이때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은 중량비로 80 : 5~1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중량비를 제한하는 이유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입자 사이즈를 고려하여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부착되는 경우에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함이다.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혼합은 유성볼밀장비[P5, fritch]를 이용하여 200rpm 이하의 속도로 2분 이하 동안 실시한다.
이렇게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고르게 혼합되었다면 부착과정을 실시한다.
부착과정은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혼합물에 고체바인더(13)를 추가로 첨가하여 함께 볼밀링하여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고체바인더(13)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부착시켜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획득하는 과정이다.
부착과정도 제 1 혼합과정과 마찬가지로 유성볼밀장비를 이용한다. 제 1 혼합과정에서 얻어진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혼합물에 미리 준비된 고체바인더(13)를 추가로 첨가하고 볼밀링을 실시한다. 이때 볼밀링은 200rpm 이하의 속도로 2분 이하 동안 실시한다.
이렇게 제 1 혼합과정 및 부착과정에서 볼밀링의 최대 속도와 최대 시간을 한정하는 이유는 제시된 속도 및 지속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및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과도하게 볼밀링되면서 파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부착과정에서 추가되는 상기 고체바인더(13)의 양은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고체바인더(13)의 중량비로 80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고체바인더(13)의 중량비를 제한하는 이유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고체바인더(13)의 입자 사이즈를 고려하여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부착되는 경우에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하면서 고체바인더(13)가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을 매개하여 안정적인 계면 접촉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부착과정에서 볼밀링을 통하여 고체바인더(13)를 매개로 전극 활물질 베어(11,21)와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부착되는 것은 볼밀링의 최대 속도와 지속 시간을 한정함에 따라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표면에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고체바인더(13)가 박히면서 물리적으로 부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전극 활물질 베어(11,21), 미립형 고체전해질(12a) 및 고체바인더(13)를 볼밀링하여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제 2 단계(S200)는 제 1 단계(S100)에서 준비된 활물질 복합 입자(10,20)에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고, 가압 성형하여 전극 복합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부연하자면, 전극 복합체를 획득하는 제 2 단계(S200)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의 입자 사이즈보다 입자 사이즈가 큰 조립형 고체전해질(12b)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는 제 2 준비과정과;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10,20),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는 제 2 혼합과정과;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10,20),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전극 복합체로 가압 성형하는 성형과정을 포함한다.
제 2 준비과정은 조립형 고체전해질(12b)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은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아래의 <조립형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와 같은 방법으로 마련할 수 있다.
<조립형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a) Li2S 및 P2S5의 몰비율이 각각 75%, 25% 인 고체전해질 원료를 준비한다.
(b) 준비된 고체전해질 원료를 유성볼밀장비[P7, Fritch]를 이용하여 600rpm의 속도로 24시간 동안 볼밀링한다.
(c) 이렇게 볼밀링된 고체전해질을 280℃에서 3시간 열처리한다.
(d) 상기 공정을 통해 제조된 1 ~ 100㎛(1㎛는 제외)의 크기를 갖는 조립형 고체전해질을 획득한다.
한편, 도전재는 카본 블랙, 케첸블랙 등의 나노 분말 타입 및 CNT, VGCF 등의 같은 전도성 탄소 재료와 Ni과 같은 황화물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준비한다.
또한, 바인더는 전술된 고체바인더(13)와 같은 재료의 바인더를 준비하거나 통상의 전고체 전지에 사용되는 바인더로 준비한다.
제 2 혼합과정은 준비된 활물질 복합 입자(10,20),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도전재 및 바인더를 함께 볼밀링하여 혼합하는 과정이다.
제 2 혼합과정에서는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형성하는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양과 미립형 고체전해질(12a)과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양의 합이 중량비로 80 : 20의 비율이 되도록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11,21)의 양과 도전재의 양이 중량비로 80: 2의 비율이 되도록 도전재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조립형 고체전해질 및 도전재의 중량비를 제한하는 이유는 전고체 전지의 효율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활물질 복합 입자(10,20),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도전재 및 바인더가 고르게 혼합되었다면 성형과정을 실시한다.
성형과정은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10,20), 조립형 고체전해질(12b),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전극 복합체로 1축 가압 성형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성형과정을 통하여 전극 복합체를 획득한다.
이때 양극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사용하였다면 양극 복합체를 획득할 수 있고, 음극 활물질 복합 입자(10,20)를 사용하였다면 음극 복합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획득되는 양극 복합체 및 음극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고체 전지는 양극 활물질 베어(11)의 표면에 고체바인더(13)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부착된 양극 활물질 복합 입자(10)를 포함하는 양극 복합체부(100)와; 음극 활물질 베어(21)의 표면에 고체바인더(13)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12a)이 부착된 음극 활물질 복합 입자(20)를 포함하는 음극 복합체부(200)와; 상기 양극 복합체부(100)와 음극 복합체부(200) 사이에 고체전해질(12b)이 충진되어 형성된 고체전해질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양극 복합체부(100)는 양극 활물질 베어(11)를 이용하여 전술된 전극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서 획득되는 양극 복합체이다.
또한, 음극 복합체부(200)는 음극 활물질 베어(21)를 이용하여 전술된 전극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서 획득되는 음극 복합체이다.
고체전해질부(300)는 리튬(Li), 인(P) 및 황(S) 등을 포함하는 고체상태의 고체전해질(12b)로 형성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양극 복합체부 및 음극 복합체부를 형성하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12a)과 조립형 고체전해질(12b)은 상기 고체전해질부(300)를 형성하는 고체전해질(12b)은 동종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비교예 및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복합 입자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전지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혼합 비율로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고체 전지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고체 전지에 대하여 C/10 전류밀도로 충방전을 수행하고,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전극 활물질 베어, 미립형 고체전해질, 조립형 고체전해질, 고체바인더 및 도전재의 양의 중량비를 의미한다.

구분
전극 활물질
베어
미립형
고체전해질
조립형
고체전해질

고체바인더

도전재
초기
방전용량
(mAh/g)
실시예1 80 10 10 1 2 117.84
실시예2 80 5 15 1 2 127.49
비교예1 80 - 20 - 2 90.93
비교예2 70 - 30 - 2 112.32
비교예3 80 20 - - 2 103.64
비교예4 80 - 20 - 2 92.36
비교예5 90 - 10 - 2 64.37
비교예6 80 20 - 1 78.63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초기 방전용량이 비교예들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체바인더를 사용하여 미립형 고체전해질을 전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부착시켰기 때문에 미립형 고체전해질과 전극 활물질 베어 사이의 접촉면적이 향상되면서도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하여 초기 방전용량이 향상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특히, 비교예 3은 미립형 고체전해질을 사용하였지만 고체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가압성형만으로 전고체 전지를 제작한 것으로서, 초기 방전용량이 다른 비교예에 비하여 향상되었지만 실시예보다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립형 고체전해질과 전극 활물질 베어 사이의 접촉면적이 향상되었지만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하지 못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전극 활물질 2a, 2b: 고체전해질
10, 20: 활물질 복합 입자 11, 21: 전극 활물질 베어
12a: 미립형 고체전해질 12b: 조립형 고체전해질
13: 고체바인더 100: 양극 복합체부
200: 음극 복합체부 300: 고체전해질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전고체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이 부착된 활물질 복합 입자를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에 조립형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고, 가압 성형하여 전극 복합체를 획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보다 입자 사이즈가 큰 조립형 고체전해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준비하는 제 2 준비과정과;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 조립형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는 제 2 혼합과정과;
    상기 활물질 복합 입자, 조립형 고체전해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전극 복합체로 가압 성형하는 성형과정을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과정에서는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양과 미립형 고체전해질과 조립형 고체전해질 양의 합이 중량비로 80 : 20의 비율이 되도록 조립형 고체전해질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전극 활물질 베어의 양과 도전재의 양이 중량비로 80: 2의 비율이 되도록 도전재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복합체의 제조방법.
  17. 양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이 부착된 양극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양극 복합체부와;
    음극 활물질 베어의 표면에 고체바인더를 매개로 미립형 고체전해질이 부착된 음극 활물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복합체부와;
    상기 양극 복합체부와 음극 복합체부 사이에 고체전해질이 충진되어 형성된 고체전해질부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양극 복합체부 및 음극 복합체부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보다 입자 사이즈가 큰 조립형 고체전해질 및 도전재가 더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전지.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양극 복합체부 및 음극 복합체부를 형성하는 상기 양극 활물질 베어 및 음극 활물질 베어의 입자 사이즈는 3 ~ 30㎛이고,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는 1㎛ 이하이며, 상기 고체바인더의 입자 사이즈는 10㎚ ~ 1㎛이고, 상기 조립형 고체전해질의 입자 사이즈는 1 ~ 100㎛(1㎛는 제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전지.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양극 복합체부 및 음극 복합체부을 형성하는 상기 미립형 고체전해질과 조립형 고체전해질은 상기 고체전해질부를 형성하는 고체전해질은 동종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 전지.
KR1020160136588A 2016-10-20 2016-10-20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 KR10188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88A KR101887766B1 (ko) 2016-10-20 2016-10-20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
US15/377,971 US20180114979A1 (en) 2016-10-20 2016-12-13 Active Material Composite Particle, Electrode Composite Comprising the Sam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All-Solid Battery
CN201710131931.9A CN107968220B (zh) 2016-10-20 2017-03-07 活性材料复合颗粒、包括其的电极复合物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588A KR101887766B1 (ko) 2016-10-20 2016-10-20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887A KR20180043887A (ko) 2018-05-02
KR101887766B1 true KR101887766B1 (ko) 2018-08-13

Family

ID=6196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588A KR101887766B1 (ko) 2016-10-20 2016-10-20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14979A1 (ko)
KR (1) KR101887766B1 (ko)
CN (1) CN1079682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5625B (zh) * 2017-09-29 2023-03-31 日本瑞翁株式会社 全固体二次电池、电极、电极用复合颗粒及其制造方法
EP3787074A4 (en) * 2018-05-25 2021-06-23 Lg Chem, Ltd. COMPOSITE PARTICLES FOR ACTIVE ANODE MATERIAL AND ANODE FOR COMPLETELY SOLID BATTERY CONTAINING THEM
US10992004B2 (en) * 2018-12-28 2021-04-27 TeraWatt Technology Inc. Electric vehicle solid state battery cell
US11108035B2 (en) 2019-01-08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lid-state positive electrode,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KR20200129380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고체전지의 전극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고체전지 전극
US20210020944A1 (en) 2019-07-16 2021-01-21 Lionano Se Inc.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and other applications
JP2022099698A (ja) * 2020-12-23 2022-07-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全固体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6404116B (zh) * 2023-06-09 2023-08-18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高压实密度复合正极片、其制备方法及储能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0637A (ja) * 2011-10-04 2013-05-02 Idemitsu Kosan Co Ltd 複合電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複合電極材料を用いたリチウム電池
JP2014175278A (ja) * 2013-03-13 2014-09-22 Hitachi Maxell Ltd 非水二次電池用正極材料、非水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非水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829B2 (ja) * 1979-01-06 1985-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水電解液電池用正極の製造法
TW540281B (en) * 2001-08-09 2003-07-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ve pas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ing wiring base board
WO2007015409A1 (ja) * 2005-08-02 2007-02-08 Idemitsu Kosan Co., Ltd. 固体電解質シート
KR100801637B1 (ko) * 2006-05-29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활물질 및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JP4778034B2 (ja) * 2008-01-30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1065982A (ja) * 2009-08-18 2011-03-31 Seiko Epson Corp リチウム電池用電極体及びリチウム電池
JP4835736B2 (ja) * 2009-08-31 2011-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解質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20108572A (ko) * 2011-03-24 2012-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2차 전지
CN104106164A (zh) * 2012-02-17 2014-10-15 索尼公司 二次电池、二次电池的制造方法、用于二次电池的电极以及电子装置
JP5828304B2 (ja) * 2012-06-29 2015-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合活物質、固体電池および複合活物質の製造方法
JP2014035888A (ja) * 2012-08-09 2014-02-24 Toyota Motor Corp 全固体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6149A (ja) 2012-12-07 2014-06-26 Samsung R&D Institute Japan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WO2014132333A1 (ja) * 2013-02-26 2014-09-04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20150147660A1 (en) * 2013-11-26 2015-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ll soli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all solid secondary battery
KR20150122293A (ko) * 2014-04-22 2015-11-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음극바인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5932225A (zh) * 2016-06-29 2016-09-07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一种全固态二次锂电池用改善室温电子离子快速传输电极片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0637A (ja) * 2011-10-04 2013-05-02 Idemitsu Kosan Co Ltd 複合電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複合電極材料を用いたリチウム電池
JP2014175278A (ja) * 2013-03-13 2014-09-22 Hitachi Maxell Ltd 非水二次電池用正極材料、非水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非水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887A (ko) 2018-05-02
CN107968220B (zh) 2022-09-06
US20180114979A1 (en) 2018-04-26
CN107968220A (zh)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766B1 (ko) 활물질 복합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복합체와 이들의 제조방법 및 전고체 전지
KR101774683B1 (ko) 전극 활물질 슬러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이차전지
CN102356485B (zh) 具有分级电极的全固体二次电池
US11018374B2 (en) All-solid-state battery
US11387485B2 (en) All-solid-stat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1886358B1 (ko) Latp 함유 양극 복합재를 갖는 전고체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79132A (ko) 전고체 전지
CN110235284B (zh) 全固态电池用电极的制造方法以及全固态电池的制造方法
JP6913963B2 (ja) 複合負極材の製造方法
US20180301753A1 (en) Anode mixture, anode comprising the anode mixture, and all-solid-stat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anode
KR10221183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105877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US11329315B2 (en) All-solid-stat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190044397A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용 음극
KR10144569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930992B1 (ko)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리튬 이차전지
JP5796798B2 (ja) 正極材料、全固体電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1247673B (zh) 活性物质层形成用组合物、电池、电极片及相关制造方法
KR102456770B1 (ko)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전해질층 및 양극복합체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전지
JP6988738B2 (ja) 硫化物全固体電池用負極及び硫化物全固体電池
US20200358080A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olid battery, negative electrode using the active material, and solid battery
US20200287202A1 (en) Configuring anisotropic expansion of silicon-dominant anodes using particle size
KR20180127213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14725359B (zh) 二次电池用负极材料、负极及二次电池
CN112768751B (zh) 钠离子传导体和钠离子固体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