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187B1 - 정발제 - Google Patents

정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187B1
KR101881187B1 KR1020140145694A KR20140145694A KR101881187B1 KR 101881187 B1 KR101881187 B1 KR 101881187B1 KR 1020140145694 A KR1020140145694 A KR 1020140145694A KR 20140145694 A KR20140145694 A KR 20140145694A KR 101881187 B1 KR101881187 B1 KR 10188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lead
methacrylic acid
dispersio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514A (ko
Inventor
마리나 미무라
유스케 다키노
요헤이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ublication of KR2015006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3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 esters (polyvinylace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스타일링이 용이하고, 또한 모발에 젖은 듯한 윤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정발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A) 증점제, (B) 세트 수지 및/또는 액상유, (C) 납의 분산액, 및 (D) 물이 배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제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정발제에 있어서는, (C) 납의 분산액은 칸데릴라납 또는 밀랍의 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납과,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물이 배합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정발제{HAIR STYLING AGENT}
본 발명은 스타일링이 용이하고, 또한 모발에 젖은 듯한 윤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정발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정발제로는 여러 가지의 조성의 것이 개발되어 있고, 예를 들어, 납 또는 탄화수소와 같은 세트력을 높이기 위한 성분이나, 증점제로서 기능하는 고분자 (수용성 고분자) 를 배합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2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938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98936호
그런데, 수용성 고분자와 같은 증점제를 사용한 정발제는 예를 들어 모발에 양호한 윤기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더 낳은 세트력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증점제에 추가로 세트 수지나 액상유를 배합하면, 세트 수지를 배합한 경우에는 도포한 모발을 곧바로 굳게 해 버리는 경우가 있고, 또, 액상유를 배합한 경우에는, 모발이 기름기가 많고 무거워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어느 경우도 희망하는 헤어스타일을 만드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모발에 양호한 윤기를 부여하는 기능을 저해시키지 않고, 스타일링이 용이한 정발제를 개발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타일링이 용이하고, 또한 모발에 젖은 듯한 윤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정발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여 얻은 본 발명의 정발제는 (A) 증점제, (B) 세트 수지 및/또는 액상유, (C) 납의 분산액, 및 (D) 물이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일링이 용이하고, 또한 모발에 젖은 듯한 윤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정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증점제를 배합한 정발제에 있어서는, 세트 수지나 액상유를 배합함으로써, 스타일링의 용이함이 저해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서는, (A) 증점제, (B) 세트 수지 및/또는 액상유, 그리고 (D) 물을 배합한 정발제에 있어서, (C) 성분으로서, 분산매 중에 납이 미분산되어 있는 분산액을 추가로 배합하고 있고, 이로 인해, 모발에 젖은 듯한 윤기를 부여하는 기능의 확보와 함께, 스타일링의 용이함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A) 성분인 증점제는, 정발제를 양호하게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점도로 조정하는 기능을 가짐과 함께, (B) 성분, (C) 성분 및 (D) 성분과 함께 배합됨으로써, 정발 후의 모발에 젖은 듯한 윤기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성분이다.
증점제의 구체예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인산,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스테아록시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티온화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의 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아미드,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의 염 (메타크릴산알킬에 있어서의 알킬 부분의 탄소수가 10 ∼ 30 인 것),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타마린드시드검,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30 만 이상, 예를 들어 평균 분자량 200 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점제의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증점제 중에서도, 증점 효과가 특히 우수한 점에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의 염,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200 만),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타마린드시드검이 바람직하고, 카르복시비닐폴리머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증점제 중, 염형인 것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의 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의 염 등) 에 대해서는, 염인 상태의 증점제를 사용하여 정발제를 조제해도 되고, 산성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등) 와, 이것을 중화하기 위한 알칼리제를 배합하고, 정발제 중에서 염을 형성시켜도 된다.
산성 고분자를 중화하기 위한 알칼리제의 구체예로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아르기닌 등의 유기 알칼리;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 암모니아,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A) 성분인 증점제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상기 기능을 보다 양호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0.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A) 성분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모발에 단단함을 느끼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A) 성분인 증점제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정발제 중에서 염형의 증점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산성 고분자 및 알칼리제를, 형성 후의 염형의 증점제가 상기의 배합량을 만족하는 것과 같은 양으로 배합하여 정발제를 조제하면 되고, 알칼리제의 배합량은 상기 산성 고분자를 중화하는 데에 충분한 양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정발제에는, (B) 성분으로서, 세트 수지 및 액상유의 적어도 일방을 배합한다. (B) 성분은 주로 정발제의 세트력을 높이기 위한 성분이다.
본 발명의 정발제에는, 세트 수지만이 배합되어 있어도 되고, 액상유만이 배합되어 있어도 되며, 세트 수지 및 액상유의 양방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세트 수지에는, 아크릴기를 갖는 중합성 비닐 모노머 (아크릴산, 아크릴산에스테르 등), 메타크릴기를 갖는 중합성 비닐 모노머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 그 밖의 중합성 비닐 모노머 (비닐피롤리돈, 아세트산비닐, 비닐메틸에테르 등) 등을 모노머로 하는 아니온성, 양쪽성 또는 논이온성의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우레탄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트 수지의 구체예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산메톡시메틸 공중합체,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메톡시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아미드/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아크릴산옥틸아미드/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 아크릴산알킬코폴리머 AMP,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D,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C1-18)/알킬(C1-8)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 등],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산메톡시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비닐메틸에테르/말레산에틸 공중합체, 비닐메틸에테르/말레산부틸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디에틸황산염, 아크릴레이트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AMP, 폴리우레탄-14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의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세트 수지 중에서도, 세트력을 높이는 작용이 보다 강한 점에서, 아크릴기를 갖는 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 및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메톡시에틸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며,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AMP 가 특히 바람직하다.
(B) 성분으로서 세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그 사용에 의한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0.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정발제 중 세트 수지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정발제의 도포시에 세트 수지가 굳어지기 쉬워져, 그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B) 성분으로서 세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상유의 구체예로는, 식물유, 탄화수소, 에테르, 실리콘, 에스테르유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유의 구체예로는, 호호바유, 시어버터, 로즈힙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알간유, 동백유, 산다화유,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참기름, 쌀겨유, 사플라워유, 대두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살구씨유, 팜유, 피마자유, 그레이프시드유, 야자유, 경화유 등의 식물유를 들 수 있다. 탄화수소의 구체예로는,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의 구체예로는,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글리세린모노세틸에테르,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의 구체예로는, 디메틸실리콘 (디메티콘 등), 디메티코놀, 고리형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의 구체예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부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카프릴산세틸, 올레산올레일, 라우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2-옥틸도데실,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2-디에틸헥실, 스테아르산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에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카프르산)그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톨, 네오펜탄산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산2-헥실데실, 2-에틸헥산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디메틸옥탄산2-헥실데실, 디메틸옥탄산2-옥틸도데실, 이소팔미트산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2-옥틸도데실, 락트산라우릴, 락트산2-옥틸도데실, 탄산디카프릴릴, 시트르산트리2-에틸헥실, 말산디스테아릴,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2-에틸헥실, 세바크산디에틸,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세바크산디부틸옥틸, 12-스테아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발제에 사용하는 액상유로는, 유동 파라핀, 시어버터, 디메티콘 및 2-에틸헥산산세틸이 바람직하고, 유동 파라핀이 특히 바람직하다.
(B) 성분으로서 액상유를 사용하는 경우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그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정발제 중의 액상유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정발제의 조제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B) 성분으로서 액상유를 사용하는 경우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6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발제에 관한 (C) 성분인 납의 분산액은 분산매 중에 납이 미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납의 분산액에 관련된 납의 구체예로는, 칸데릴라납, 밀랍 등을 들 수 있다. 또, 납의 분산액에 관련된 분산매에는, 물이 사용된다.
또한, 납의 분산액에는,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POE 세틸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POE·POP 세틸에테르)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논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의해, 분산액 중에서의 납의 분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납의 분산액에 배합되는 상기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는 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11.0 ∼ 1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개개의 HLB 가 상기 값의 것이 아니어도, 가중 평균 HLB 값이 11.0 ∼ 16.0 이 되도록 복수의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이하의 (1), (2) 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구해지는 값이다.
(1) a 질량부의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질량부의 소르비탄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닛코 케미컬사 제조「NIKKOL SS-10MV」, HLB 값 = 4.7) 를 유화제로서 사용하고, a 와 b 를 다양한 비율로 한 하기 조성의 복수의 유화물을 하기 조제법에 의해 조제한다.
(2) 상기 복수의 유화물을 일단 방치하고, 그 후에 각 유화물의 유적의 입자직경을 조사하고, 그것이 최소가 되는 a 와 b 의 비율을 이용하여,「(10.5 - 4.7 × b/4) × (4/a)」의 식에 의해 HLB 값을 산출한다.
유화물의 조성:
유동 파라핀 (유상) 40 질량%,
유화제 a + b = 4 질량%,
물 56 질량%.
유화물의 조제법:
유동 파라핀을 80 ℃ 정도로 가온하여 교반하면서, 여기에 80 ℃ 이상의 수상을 더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시키면서 교반을 계속하여 40 ℃ 에서 방치한다.
POE 세틸에테르의 구체예로는, POE 세틸에테르 (5.5 E.O), POE 세틸에테르 (7 E.O), POE 세틸에테르 (10 E.O), POE 세틸에테르 (15 E.O), POE 세틸에테르 (20 E.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 POE 세틸에테르에 있어서,「E.O.」앞의 수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 수를 의미하고 있다).
이들 POE 세틸에테르에는, 닛코 케미컬사 제조의「NIKKOL BC-5.5」,「NIKKOL BC-7」,「NIKKOL BC-10」,「NIKKOL BC-15」,「NIKKOL BC-20」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 POE·POP 세틸에테르의 구체예로는, POE·POP 세틸에테르 (1 E.O) (4 P.O), POE·POP 세틸에테르 (10 E.O) (4 P.O), POE·POP 세틸에테르 (20 E.O) (4 P.O), POE·POP 세틸에테르 (1 E.O) (8 P.O), POE·POP 세틸에테르 (20 E.O) (8 P.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각 POE·POP 세틸에테르에 있어서,「E.O.」앞의 수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 수를 의미하고 있고,「P.O.」앞의 수치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 수를 의미하고 있다).
이들 POE·POP 세틸에테르에는, 닛코 케미컬사 제조의「NIKKOL PBC-31」,「NIKKOL PBC-33」,「NIKKOL PBC-34」,「NIKKOL PBC-41」,「NIKKOL PBC-44」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납의 분산액에 있어서의 납의 분산 입자직경은, 정발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을 보다 양호하게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체적 평균 입자직경으로, 5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납의 분산액에 있어서의 납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은 레이저 회절법 또는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
납의 분산액에 있어서의 납의 배합량은 3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납의 분산액에 있어서의 상기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납의 배합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3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와 같은 양으로 배합함으로써, 분산액 중에 있어서의 납의 분산 입자직경을 상기와 같이 작게 할 수 있고, 또, 분산액 중에서의 납의 분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납의 분산액에는, 다가 알코올 [(A) 성분 ∼ (D)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정발제에 배합 가능한 첨가 성분으로서 후술하는 다가 알코올의 구체예로서 예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 등] 이나 당 알코올 (소르비톨 등) 을 배합해도 된다. 납의 분산액에 다가 알코올이나 당 알코올을 배합하는 경우에는, 이들 배합량은 납의 분산액 중 1 ∼ 10 질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납의 분산액은, 예를 들어, 납 및 상기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다가 알코올이나 당 알코올) 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유상을 70 ∼ 95 ℃ 로 유지하면서 교반하고, 여기에 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C) 성분인 납의 분산액에 포함되는 납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C) 성분의 사용에 의한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발제의 조제에 있어서는, (C) 성분인 납의 분산액을 정발제에 있어서의 납의 배합량이 상기의 값을 만족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발제는 용매로서 (D) 물을 사용한다. (D) 성분인 물의 정발제에 있어서의 배합량 [(C) 성분 중의 물의 양을 포함] 은 20 ∼ 9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발제에는, 상기의 각 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인 정발제 등의 모발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각종 성분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방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산화 방지제, 향료 (정유, 로즈수 등의 플라워 워터를 포함)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의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30 만 미만인 것),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펜틸렌글리콜, 헥산디올, 카프릴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정발제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0.1 ∼ 20 질량% 이다.
방부제의 구체예로는, 히노키티올, 벤조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액,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등을 들 수 있다. 정발제에 있어서의 방부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0.001 ∼ 2 질량% 이다.
pH 조정제의 구체예로는, 시트르산, 인산, 말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의 산;알칼리제 [(A) 성분에 있어서, 산성 고분자의 중화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앞서 예시한 알칼리제와 동일한 것 등] 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발제는 그 pH 가 4 ∼ 8 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pH 조정제는 정발제의 pH 를 상기의 값으로 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킬레이트제의 구체예로는,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또는 그 염, 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 또는 그 염, 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삼아세트산 또는 그 염, 하이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정발제에 있어서의 킬레이트제의 배합량은 0.01 ∼ 1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의 구체예로는, 토코페롤,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정발제에 있어서의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0.01 ∼ 1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정발제에는, 상기의 첨가 성분 이외에도, 저급 알코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POE 세틸에테르, POE·POP 세틸에테르 등), 상온에서 고형의 유성 성분 (에스테르, 식물유, 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미리스트산 등의 지방산, 밀랍 등의 납, 세탄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 착색제, 자외선 방지제, 식물 추출물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서는, 납 분산액 중에 함유되는 형태로 배합되는 것과 별도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발제의 제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겔상, 크림상, 유액상 등의 각종 제형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발제로 이루어지는 원액과 LPG 등의 분사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펌프 포머에 충전시켜 폼 타입의 정발제로 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스프레이 용기에 충전시켜 스프레이 타입의 정발제로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발제가 유액상 등인 경우에는, 분사제와 혼합되지 않고 스프레이 용기에 충전시켜 미스트 타입의 정발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정발제는 적당량을 손에 덜거나 하여 건조된 상태의 모발에 도포하거나, 건조된 상태의 모발에 적당량을 스프레이하여 도포하거나 한 다음에 머리 모양을 정돈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표 1 ∼ 표 3 에서는 정발제 전체에서, 각각 100 % 가 되도록 각 성분의 배합량을 % 로 나타내는데, 그 % 는 모두 질량% 이고, 또, 그 % 의 표시를 생략하고, 배합량을 나타내는 수치만으로 표시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질량 기준 (질량%) 이다.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6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6 의 정발제를 조제하고,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1 명의 피험자의 두발 (건조한 상태의 두발) 에, 정발제:1 g 을 손에 덜어 도포하고,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젖은 듯한 윤기) 와 정발제를 도포 후의 모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 (모발의 움직임이 용이함) 에 대하여, 전문 평가자 5 명 각각이, 비교예 1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점수를 매겼다.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및 정발시의 모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의 평가 기준]
비교예 1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매우 양호:2 점,
비교예 1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양호:1 점,
비교예 1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와 동등:0 점,
비교예 1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불량:-1 점,
비교예 1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매우 불량:-2 점.
그리고, 정발제마다 전체 평가자의 점수를 합계하여, 각 정발제로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및 정발시의 모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의 평가로 하였다.
이들 평가 결과와, 각 정발제의 외관 (제형) 을 표 1 및 표 2 에 병기한다. 또한, 표 1 및 표 2 에 있어서의「칸데릴라납 분산액」은 칸데릴라납과 POE 세틸에테르 (10 E.O) 와 물이 배합되고, 칸데릴라납 및 POE 세틸에테르 (10 E.O) 의 배합량은 모두 10 % 이다. 또한「칸데릴라납 분산액」은, 닛키소사 제조의「Microtrac MT3000」을 사용하여,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칸데릴라납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 100 ㎚ 이하이다 (이후의 각 실시예 및 각 처방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들 칸데릴라납 분산액은 칸데릴라납과 POE 세틸에테르 (10 E.O) 를 혼합하여 얻어진 유상을 80 ℃ 정도로 유지하고, 이 유상을 교반하면서 물을 서서히 첨가한 후에 자연 냉각시킴으로써 조제한 것이다.
Figure 112014102417206-pat00001
Figure 112014102417206-pat00002
표 1 및 표 2 에 있어서, 물의 란의「합계 100 으로 한다」란, 정발제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각 성분의 합계량에, 물의 양을 추가하여 100 % 가 되도록 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후기하는 표 3 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표 1 및 표 2 에 기재된「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은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이다 (후기하는 표 3 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성분 내지 (D) 성분을 배합한 실시예 1 ∼ 6 의 정발제에서는,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이, 기준품인 비교예 1 의 정발제 [(C) 성분을 배합하지 않은 정발제] 를 사용했을 때보다 양호하였다. 또, 실시예 1 ∼ 6 의 정발제는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젖은 듯한 윤기) 도 비교예 1 의 정발제보다 양호하여,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는 기능이 우수하였다.
이에 대해, (A) 성분 대신에 POE 세틸에테르 (10 E.O) 를 사용하고, 칸데릴라납을 분산액으로 하지 않고 사용한 비교예 2 의 정발제는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이 열등해져 있었다. 또, 비교예 3 ∼ 5 의 정발제는 칸데릴라납을 분산액으로 하지 않고 사용한 예이지만, 이 중, 비교예 3 의 정발제는 균일하게 분산·혼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비교예 3 의 정발제에 있어서는, 상기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또, 비교예 4, 5 의 정발제는 POE 세틸에테르 (10 E.O) 도 사용한 예이지만, (A) 성분의 배합량을 줄인 비교예 4 의 정발제는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이 열등해져 있고, (A) 성분의 배합량을 실시예 1 의 정발제 등과 동등하게 한 비교예 5 의 정발제는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가 열등해져 있었다. 또한, (A) 성분을 사용하지 않았던 비교예 6 의 정발제는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및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 모두가 열등해져 있었다.
실시예 7, 8 및 비교예 7, 8
표 3 에 나타내는 조성 및 실시예 7, 8 및 비교예 7, 8 의 정발제를 조제하고,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1 명의 피험자의 두발 (건조한 상태의 두발) 에, 정발제 1 g 을 손에 덜어, 도포하고,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젖은 듯한 윤기) 및 가벼움 (끈적임이 적음), 그리고 정발제를 도포 후의 모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 (모발의 움직임이 용이함) 에 대하여, 전문 평가자 5 명 각각이, 비교예 7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점수를 매겼다.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및 가벼움, 그리고 정발시의 모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의 평가 기준]
비교예 7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매우 양호:2 점,
비교예 7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양호:1 점,
비교예 7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와 동등:0 점,
비교예 7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불량:-1 점,
비교예 7 의 정발제를 사용했을 때보다 매우 불량:-2 점.
그리고, 정발제마다 전체 평가자의 점수를 합계하여, 각 정발제로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및 가벼움, 그리고 정발시의 모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의 평가로 하였다.
이들 평가 결과와, 각 정발제의 외관 (제형) 을 표 3 에 병기한다.
Figure 112014102417206-pat00003
표 3 에 있어서의「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는 메타크릴산알킬 에 있어서의 알킬 부분의 탄소수가 10 ∼ 30 인 것이다.
(A) 성분 내지 (D) 성분을 배합한 실시예 7, 8 의 정발제에서는,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이 기준품인 비교예 7 의 정발제 [(C) 성분을 배합하지 않은 정발제] 를 사용했을 때보다 양호하였다. 또, 실시예 7, 8 의 정발제는 정발 후의 모발의 윤기 (젖은 듯한 윤기) 도 비교예 7 의 정발제보다 양호하여,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는 기능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 ∼ 6 의 정발제는 제형을 젤상으로 한 예인 데에 반해, 실시예 7, 8 의 정발제는 액상유 (유동 파라핀) 를 배합함으로써 크림상으로 한 예이다. 이들 실시예 7, 8 의 정발제에서는, 액상유를 배합해도, 정발 후의 모발이 가볍고 끈적임이 억제되어 있었다 (즉, 정발 후의 모발이 기름기가 많고 무거워 보이는 것이 억제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칸데릴라납을 분산액으로 하지 않고 사용한 비교예 8 의 정발제는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이 열등해져 있고, 또, 정발 후의 모발의 가벼움도 열등해져 있었다.
실시예 9, 10 (크림 타입의 정발제)
하기 조성으로 실시예 9, 10 의 정발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9
타마린드시드검 0.1 % ((A) 성분),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 ((A) 성분),
수산화칼륨 적당량 ((A) 성분),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1.0 % ((B) 성분),
유동 파라핀 5.0 % ((B) 성분),
칸데릴라납 분산액 5.0 % ((C) 성분),
물 합계 100 % 로 한다 ((D) 성분)
스테아르산 3.0 %,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0.5 %,
POE 세틸에테르 (15 E.O) 3.0 %,
POE 세틸에테르 (5.5 E.O) 3.0 %,
밀랍 1.0 %,
1,3-부틸렌글리콜 5.0 %,
방부제 적당량,
에탄올 1.0 %
향료 적당량
실시예 9 에 있어서의 물의「합계 100 % 로 한다」란, 정발제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각 성분의 합계량에, 물의 양을 더하여 100 % 가 되도록 한 것을 의미 하고 있다 (후기하는 각 실시예 및 처방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0
타마린드시드검 0.1 % ((A) 성분),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 ((A) 성분),
수산화칼륨 적당량 ((A) 성분),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1.0 % ((B) 성분),
유동 파라핀 5.0 % ((B) 성분),
밀납 분산액 5.0 % ((C) 성분),
물 합계 100 % 로 한다 ((D) 성분)
스테아르산 3.0 %,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0.5 %,
POE 세틸에테르 (15 E.O) 3.0 %,
POE 세틸에테르 (5.5 E.O) 3.0 %,
밀랍 1.0 %,
1,3-부틸렌글리콜 5.0 %,
방부제 적당량,
에탄올 1.0 %
향료 적당량
실시예 10 의 정발제에서 사용한「밀랍 분산액」은, 칸데릴라납을 밀랍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정발제 등으로서 사용한 칸데릴라납 분산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실시예 9 및 실시예 10 의 정발제를 실시예 1 의 정발제 등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험자의 두발에 도포하였다. 그 결과, 칸데릴라납 분산액을 배합한 실시예 9 의 정발제, 밀랍 분산액을 배합한 실시예 10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 (모발의 움직임이 용이함), 그리고 정발 후의 윤기 (젖은 듯한 윤기) 및 가벼움 (끈적임이 적음) 이 양호하였다.
처방예 1 (폼 타입의 정발제)
하기 조성으로 조제되는 원액과 분사제 (LPG) 를 90:10 (질량비) 으로 하여 처방예 1 의 정발제를 얻는다.
처방예 1 의 정발제에 관한 원액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 % ((A) 성분),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200 만) 0.05 % ((A) 성분),
시어버터 0.5 % ((B) 성분),
디메티콘 0.5 % ((B) 성분),
2-에틸헥산산세틸 1.0 % ((B) 성분),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메톡시에틸 공중합체액 0.5 % ((B) 성분),
칸데릴라납 분산액 또는 밀랍 분산액 8.0 % ((C) 성분),
물 합계 100 % 로 한다 ((D) 성분)
POE 세틸에테르 (20 E.O) 1.0 %,
미리스트산 3.0 %,
세탄올 0.5 %,
1,3-부틸렌글리콜 3.0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처방예 1 에 있어서,「칸데릴라납 분산액 또는 밀랍 분산액」이라고 기재하고 있는 것은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후기하는 처방예 2 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은, 실시예 9 및 실시예 10 의 정발제와 마찬가지로, 어느 것을 사용해도,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 (모발의 움직임이 용이함), 및 정발 후의 윤기 (젖은 듯한 윤기) 가 양호하다.
처방예 2 (미스트 타입의 정발제)
하기 조성으로 처방예 2 의 정발제를 조제한다.
처방예 2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005 % ((A) 성분),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1.0 % ((B) 성분),
칸데릴라납 분산액 또는 밀랍 분산액 8.0 % ((C) 성분),
물 합계 100 으로 한다 ((D) 성분)
프로필렌글리콜 5.0 %,
로즈수 5 %,
에탄올 1.0 %,
방부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처방예 2 의 정발제도, 실시예 9 및 실시예 10 의 정발제와 마찬가지로, 칸데릴라납 분산액을 배합한 경우, 밀랍 분산액을 배합한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정발시의 스타일링의 용이함 (모발의 움직임이 용이함), 및 정발 후의 윤기 (젖은 듯한 윤기) 가 양호하다.

Claims (3)

  1. (A) 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인산,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스테아록시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티온화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의 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아미드,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의 염 (메타크릴산알킬에 있어서의 알킬 부분의 탄소수가 10 ~ 30 인 것),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타마린드시드검,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30 만 이상)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증점제,
    (B)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산메톡시메틸 공중합체,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메톡시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아미드/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옥틸아미드/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산메톡시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AMP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세트 수지 및/또는 유동 파라핀, 디메틸실리콘, 2-에틸헥산산세틸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액상유,
    (C) 칸데릴라납 또는 밀랍과,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물이 배합된 칸데릴라납 또는 밀랍의 분산액, 및
    (D) 물이 배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제로서,
    상기 (C) 칸데릴라납 또는 밀랍의 분산액에, 다가 알코올이 배합된 것인 정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C) 상기 칸데릴라납 또는 밀랍의 분산액에 있어서의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배합량은, 칸데릴라납 또는 밀랍의 배합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 질량부 이상 300 질량부 이하인 정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 상기 칸데릴라납 또는 밀랍의 분산액에,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배합되지 않는 것인 정발제.
KR1020140145694A 2013-11-26 2014-10-27 정발제 KR101881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3436 2013-11-26
JP2013243436A JP6274646B2 (ja) 2013-11-26 2013-11-26 整髪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514A KR20150060514A (ko) 2015-06-03
KR101881187B1 true KR101881187B1 (ko) 2018-07-23

Family

ID=5318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694A KR101881187B1 (ko) 2013-11-26 2014-10-27 정발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03788B2 (ko)
JP (1) JP6274646B2 (ko)
KR (1) KR101881187B1 (ko)
CN (1) CN1046662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6155B2 (ja) * 2016-06-08 2020-11-18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CN108024943B (zh) * 2016-03-30 2021-08-03 株式会社漫丹 整发剂组合物
JP6931978B2 (ja) * 2016-06-08 2021-09-08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JP6814556B2 (ja) * 2016-03-30 2021-01-20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WO2017170695A1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JP6798828B2 (ja) * 2016-09-01 2020-12-09 株式会社アリミノ フォーム状毛髪化粧料原液およびフォーム状毛髪化粧料
JP7217087B2 (ja) * 2017-12-21 2023-02-02 株式会社ミルボン 整髪用組成物および整髪方法
JP7096584B2 (ja) * 2018-05-02 2022-07-06 株式会社アリミノ 整髪料
CN111643391A (zh) * 2020-07-22 2020-09-11 广州市圣莎拉化妆品有限公司 一种水解小麦蛋白质的护发产品及加工工艺
JP2020176153A (ja) * 2020-08-06 2020-10-29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1320A1 (en) 2000-10-02 2002-05-23 Emmanuelle Belli Long-retention hairstyling gel
US20030059377A1 (en) 2001-06-18 2003-03-2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Hair styling compositions
US20050095212A1 (en) 2001-06-26 2005-05-05 Kao Corporation Hair cosmetic compositions
JP2011093846A (ja) * 2009-10-30 2011-05-12 Milbon Co Ltd 整髪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7518A (en) * 1969-07-18 1971-05-04 Nat Patent Dev Corp Hydrophilic hairspray and hair setting preparations
LU87457A1 (fr) * 1989-02-24 1990-09-19 Oreal Utilisation,comm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cheveux,d'une microdispersion de cire,et procede de traitement des cheveux avec une telle composition
FR2666014B1 (fr) * 1990-08-23 1994-10-2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cheveux contenant un polymere filmogene et une silicone incorpores dans une microdispersion de cire,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JP3639715B2 (ja) * 1997-03-21 2005-04-20 株式会社資生堂 ワックスの微細分散組成物および毛髪化粧料ならびにつや出し剤
US6066316A (en) * 1997-03-21 2000-05-23 Shiseido Co., Ltd. Fine dispersion composition of wax, hair cosmetic preparation and glazing agent
JP3600437B2 (ja) * 1997-09-30 2004-12-15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毛髪化粧料
JPH11263914A (ja) * 1998-03-18 1999-09-28 Shiseido Co Ltd ワックスの微細分散組成物および毛髪化粧料ならびにつや出し剤
JP5700926B2 (ja) 2009-11-09 2015-04-15 株式会社ミルボン 整髪剤組成物
JP5989962B2 (ja) * 2010-10-20 2016-09-07 中野製薬株式会社 スタイリング化粧料
US20140105845A1 (en) * 2012-10-15 2014-04-17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wax dispers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1320A1 (en) 2000-10-02 2002-05-23 Emmanuelle Belli Long-retention hairstyling gel
US20030059377A1 (en) 2001-06-18 2003-03-2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Hair styling compositions
US20050095212A1 (en) 2001-06-26 2005-05-05 Kao Corporation Hair cosmetic compositions
JP2011093846A (ja) * 2009-10-30 2011-05-12 Milbon Co Ltd 整髪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66221A (zh) 2015-06-03
JP2015101564A (ja) 2015-06-04
US20150147285A1 (en) 2015-05-28
CN104666221B (zh) 2019-10-18
KR20150060514A (ko) 2015-06-03
JP6274646B2 (ja) 2018-02-07
US9603788B2 (en)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187B1 (ko) 정발제
WO2009093677A1 (ja) 乳化型整髪料
JP6003311B2 (ja) 非水制汗剤組成物
JP5837330B2 (ja) 粘性組成物
JP5215002B2 (ja) 乳化型毛髪化粧料
JP2009161488A (ja) 毛髪化粧料
JP2017538739A (ja) 安定化したポリマー粒子及び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を含む組成物
JP6415126B2 (ja) エアゾールスプレー整髪剤
JP6150714B2 (ja) 乳化整髪剤組成物
JP7307685B2 (ja) アデノシンリン酸およびトラネキサム酸含有外用組成物の変色抑制方法
JP5748137B2 (ja) 整髪料組成物
JP6274645B2 (ja) 整髪剤
JP6359275B2 (ja) 乳化整髪剤組成物
JP5510997B2 (ja) 整髪剤組成物
WO2020218547A1 (ja)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高粘度乳化組成物
JP2000086439A (ja) ジェル状化粧料
JP4129377B2 (ja) 整髪剤組成物
WO2020218546A1 (ja)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低粘度乳化組成物
JP6274499B2 (ja) 整髪剤
JP6282801B2 (ja) 整髪剤
JP6607631B2 (ja) 化粧料組成物
JP6279218B2 (ja) 整髪剤
WO2020195560A1 (ja) 整髪剤組成物
JP2020015700A (ja) 毛髪化粧料
CN110913835A (zh) 整发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